KR20070119114A - 농작물 수확용 협로이동장치 - Google Patents
농작물 수확용 협로이동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70119114A KR20070119114A KR1020060053278A KR20060053278A KR20070119114A KR 20070119114 A KR20070119114 A KR 20070119114A KR 1020060053278 A KR1020060053278 A KR 1020060053278A KR 20060053278 A KR20060053278 A KR 20060053278A KR 20070119114 A KR20070119114 A KR 20070119114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rame
- moving
- crop
- saddle
- rolle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bandoned
Links
- 238000003306 harvesting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6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8000009313 farm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40000004160 Capsicum annuum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8534 Capsicum annuum var annuum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07862 Capsicum baccatum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0000007594 Oryza sativ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7164 Oryza sativ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1728 capsicum frutescen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44000037666 field crop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NJPPVKZQTLUDBO-UHFFFAOYSA-N novaluron Chemical compound C1=C(Cl)C(OC(F)(F)C(OC(F)(F)F)F)=CC=C1NC(=O)NC(=O)C1=C(F)C=CC=C1F NJPPVKZQTLUDBO-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5000009566 ric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75/00—Accessories for harvesters or mowers
- A01D75/002—Carriers for the transport of harvesters or mower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93/00—Harvesting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33/00—Castors in general; Anti-clogging castors
- B60B33/0002—Castors in general; Anti-clogging castors assembling to the object, e.g. furnitur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gricultural Mach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농작물 수확용 협로이동장치에 관한 것으로,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양단에 각각 구비되는 1쌍의 지지브라켓과, 상기 지지브라켓에 구비되는 이동바퀴, 롤러기구에 의해 상기 프레임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안장부 및, 수확한 농작물을 적재하는 적재부재를 포함하는 구성에 의해, 작업자가 좁은 밭이랑을 따라 이동하면서 농작물을 용이하게 수확할 수 있고, 작업자의 피로를 덜어 줄 수 있으며, 수확한 농작물을 적재하여 이동할 수 있게 된다.
농작물, 밭고랑, 수확, 높이조절, 안장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농작물 수확용 협로이동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2은 도 1에 도시된 농작물 수확용 협로이동장치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1의 A-A선을 따라 절개한 측단면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가이드부재의 높이조절상태를 나타낸 확대사시도,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이동의자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프레임 11 : 롤러수용부
12 : 롤러가이드편 13 : 롤러출입구
20 : 지지브라켓 21 : 볼트구멍
30 : 이동바퀴 40 : 롤러기구
41 : 롤러몸체 50 : 안장부
51 : 회전축 60 : 적재부재
본 발명은 농작물 수확용 협로이동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밭농사에서 키가 낮은 작물을 수확하는데 사용되는 농작물 수확용 협로이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농사를 짓는 것은 심고 자라게 하고 수확하는 일련의 과정을 거치게 되는데 키가 작은 밭작물의 경우 벼와 같이 자동으로 수확하는 장치가 개발되어 있지 않아 작업자가 앉아서 수작업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고추와 같이 키가 자라면서 지속적으로 수확해야 하는 작물의 경우 자동화가 쉽지 않아 작업자의 일손이 더욱 요구된다.
등록실용신안 제230234호 「농사용 다용도 운반기」에는 시트(의자)가 축회전가능하게 구비된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공개실용신안공보 제1999-012120호 「농작물 작업 운반기」에서는 좌대가 회전가능하고 적재함이 탈부착가능한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의 농작물 수확용 협로이동장치는 시트, 즉 좌대(의자)가 고정되어 있어 작업자가 이동하고자 할 경우 장치 전체를 이동시켜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그리고, 종래의 농작물 수확용 협로이동장치는 농작물의 높이에 따라 의자를 축회전시켜 높이는 방식을 채택하고 있으므로 의자가 높아질 경우 모멘트가 커져 의자가 쉽게 파손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아울러, 이와 같이 나사회전식으로 의자높이를 조절하는 경우에는 작업자가 방향을 바꾸게 되면 의자의 높이까지 달라지게 되어 작업자에게 안정감을 주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농작물 수확용 협로이동장치가 가지는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작업자가 밭이랑을 따라 용이하게 이동하면서 농작물을 손쉽게 수확할 수 있고 안정적으로 작업자를 지지할 수 있는 농작물 수확용 협로이동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농작물 수확용 협로이동장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양단에 각각 구비되는 1쌍의 지지브라켓과; 상기 지지브라켓에 구비되는 이동바퀴 및; 상기 프레임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안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은, 상기 안장부의 일측에 결합되고, 상기 프레임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롤러기구;를 더 포함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안장부는 상기 롤러기구의 일측에 축회전가능하게 구비된다.
또한, 상기 프레임의 일측에 상기 롤러기구가 출입하는 롤러출입구가 형성되 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프레임은 상기 지지브라켓의 일측에 높이조절가능하게 구비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은, 상기 지지브라켓의 일측에 구비되고, 수확한 농작물을 적재하는 적재부재;를 더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농작물 수확용 협로이동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농작물 수확용 협로이동장치는, 프레임(10)과, 상기 프레임(10)의 양단에 각각 구비되는 1쌍의 지지브라켓(20)과, 상기 지지브라켓(20)에 구비되는 이동바퀴(30), 롤러기구(40)에 의해 상기 프레임(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안장부(50) 및, 수확한 농작물을 적재하는 적재부재(60)를 포함한다.
상기 프레임(10)은 그 단면이 대략 'ㄷ'자 형상으로 형성된 빔(beam)으로, 그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롤러기구(40)를 수용하는 롤러수용부(11)를 구비하고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롤러수용부(11)에는 롤러기구(40)가 삽입되어 프레임(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한다. 롤러기구(40)의 일측에는 안장부(50)가 결합되어 일체로 이동한다.
상기 안장부(50)는 롤러기구(40)에 의해 상기 프레임(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안장부(50)가 상기 프레임(10)에 대하여 이동가능하게 구비됨으로써 밭이랑에 프레임(10)과 이동바퀴(30)가 정지한 상태에서 작업자가 안장부(50)만을 이동시키면서 농작물을 수확할 수 있게 된다.
즉, 작업자가 장치 전체를 이동시키지 않고도 안장부(50)만을 이동시킴으로써 수확하고자 하는 농작물 앞에 안장부(50)를 위치시킨 상태에서 작업자가 편안한 자세로 농작물을 수확할 수 있게 된다.
작업자가 상기 안장부(50)를 프레임(10)의 일단까지 이동시켜 작업한 후에 장치 전체를 이동시켜 작업하게 된다.
여기서, 작업자가 일어서서 장치 전체를 이동시키지 않고도 안장부(50)에 앉은 상태에서 프레임(10)을 비롯한 장치의 다른 부분을 당기거나 밀어, 프레임(10)에 대한 안장부(50)의 위치를 일단에서 반대쪽 선단으로 이동시킬 수 있게 되고, 그로 인해 안장부(50)에 앉은 상태에서 연속하여 작업을 계속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롤러기구(40)는 롤러몸체(41)를 구비하고, 그 롤러몸체(41)에 안장부(50)가 회전축(51)으로 축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따라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안장부(50)에 작업자가 앉은 상태에서 프레임(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함과 동시에 회전하면서 농작물을 수확할 수 있게 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롤러수용부(11)의 일측에는 롤러가 상부로 출입하지 못하게 구속하는 롤러가이드편(1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롤러가이드편(12)의 일측에 상기 롤러기구(40)를 출입시키는 롤러출입구(13)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프레임(10)의 롤러출입구(13)로는 롤러가 출입하여 프레임(10)으로부터 롤러기구(40)를 분리시키거나 장착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롤러출입구(13)를 제외하고 롤러가이드편(12)을 통해서는 롤러가 출입할 수 없으므로 롤러기구(40)가 프레임(10)의 상부로 분리되지 아니하고 그 프레임(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게 된다.
도 4을 참조하면, 상기 프레임(10)은 상기 지지브라켓(20)의 일측에 높이조절가능하게 구비된다. 즉, 상기 지지브라켓(20)의 일측에 다수개의 볼트구멍(21)이 형성되어 프레임(10)을 높이에 따라 위치이동하면서 볼트결합시킬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농작물의 높이에 따라 프레임(10)의 높이를 조절하여 안장부(50)가 농작물의 위쪽에서 운행될 수 있게 한다.
상기 적재부재(60)는 상기 지지브라켓(20)의 일측에 구비되어, 작업자가 안장부(50)에 앉아서 수확한 농작물을 적재부재(60)에 적재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적재부재(60)는 적재상자나 수확한 농작물을 적재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2개의 지지브라켓(20)에는 지지기둥(도면미도시)을 수직하게 결합하고 그 2개의 지지기둥에 차양막을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각각의 지지브라켓(20)에는 1쌍의 이동바퀴(30)가 지지되어 4륜을 이루게 되고, 4개의 이동바퀴(30)에 의해 작업자가 지지하지 않더라도 넘어지지 않게 된다.
또한, 상기 1쌍의 이동바퀴(30)는 서로 인접하게 구비되어 폭이 좁은 이랑을 따라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상기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은 첨부된 도면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 것에 지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형태로 변형된 것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농작물 수확용 협로이동장치에 의하면, 작업자가 좁은 밭이랑을 따라 이동하면서 농작물을 용이하게 수확할 수 있고, 작업자의 이동량을 줄이고 손쉽게 이동하여 작업자의 피로를 덜어 줄 수 있으며, 수확한 농작물을 적재하여 이동할 수 있고, 프레임 자체로 높이조절함으로써 의자부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6)
- 프레임과;상기 프레임의 양단에 각각 구비되는 1쌍의 지지브라켓과;상기 지지브라켓에 구비되는 이동바퀴 및;상기 프레임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안장부;를 포함하는 농작물 수확용 협로이동장치.
- 제1항에 있어서,상기 안장부의 일측에 결합되고, 상기 프레임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롤러기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작물 수확용 협로이동장치.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안장부는,상기 롤러기구의 일측에 축회전가능하게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작물 수확용 협로이동장치.
-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상기 프레임의 일측에 상기 롤러기구가 출입하는 롤러출입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작물 수확용 협로이동장치.
-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상기 프레임은, 상기 지지브라켓의 일측에 높이조절가능하게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작물 수확용 협로이동장치.
-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상기 지지브라켓의 일측에 구비되고, 수확한 농작물을 적재하는 적재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작물 수확용 협로이동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60053278A KR20070119114A (ko) | 2006-06-14 | 2006-06-14 | 농작물 수확용 협로이동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60053278A KR20070119114A (ko) | 2006-06-14 | 2006-06-14 | 농작물 수확용 협로이동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70119114A true KR20070119114A (ko) | 2007-12-20 |
Family
ID=391374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60053278A Abandoned KR20070119114A (ko) | 2006-06-14 | 2006-06-14 | 농작물 수확용 협로이동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70119114A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00084133A (ko) * | 2019-01-02 | 2020-07-10 | 주식회사 부농테크 | 농사용 작업의자 |
-
2006
- 2006-06-14 KR KR1020060053278A patent/KR20070119114A/ko not_active Abandoned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00084133A (ko) * | 2019-01-02 | 2020-07-10 | 주식회사 부농테크 | 농사용 작업의자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170126124A (ko) | 농업용 전동 작업차 | |
KR101324217B1 (ko) | 전동식 농작물 수확기 | |
KR20070119114A (ko) | 농작물 수확용 협로이동장치 | |
KR100881215B1 (ko) | 제동이 가능한 농작물 수확용 운반차 | |
JP4274959B2 (ja) | コンバインの掻込みリール構造 | |
KR20160136194A (ko) | 농작물 수확기 | |
KR100912089B1 (ko) | 농작물용 이동수레 | |
KR101555574B1 (ko) | 비닐하우스용 이동식 작업장치 | |
KR101213295B1 (ko) | 동력식 작업의자 | |
KR200224977Y1 (ko) | 농업용 축전지 전동 자주식 작업기 | |
JP2001258313A (ja) | 農作業用台車 | |
KR200292431Y1 (ko) | 농작물 수확기 | |
JP2013143928A (ja) | 三本の畝を跨ぐ作業者補助台車 | |
KR20090099883A (ko) | 높이 조절이 가능한 3륜 의자 | |
KR20100009826U (ko) | 이동형 작물 관리 및 수확기 | |
KR0112544Y1 (ko) | 개량 농사 작업용 의자 | |
KR101493153B1 (ko) | 농업용 작업기 | |
KR20070119113A (ko) | 농작물 수확작업장치 | |
KR20110008200U (ko) | 과채류 수확기 | |
JPS5913780Y2 (ja) | 収穫機の穀稈分草装置 | |
CN209473066U (zh) | 收割机 | |
KR20200077346A (ko) | 포도수확용 작업차 | |
JP2007116915A (ja) | 収穫機 | |
JP2006042650A (ja) | コンバインのサイドデバイダ | |
KR19990012120U (ko) | 농작물 작업 운반기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60614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703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70731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NORF |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 | ||
PC1904 |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