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94716A - 벽체배수판 커버판넬의 체결부재 - Google Patents

벽체배수판 커버판넬의 체결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94716A
KR20070094716A KR1020070088756A KR20070088756A KR20070094716A KR 20070094716 A KR20070094716 A KR 20070094716A KR 1020070088756 A KR1020070088756 A KR 1020070088756A KR 20070088756 A KR20070088756 A KR 20070088756A KR 20070094716 A KR20070094716 A KR 200700947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panel
fastening member
base frame
wall
fixing hol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887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영규
이도원
Original Assignee
이영규
이도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영규, 이도원 filed Critical 이영규
Priority to KR10200700887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094716A/ko
Publication of KR200700947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94716A/ko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31/00Protective arrangements for foundations or foundation structures; Ground foundation measures for protecting the soil or the subsoil water, e.g. preventing or counteracting oil pollution
    • E02D31/02Protective arrangements for foundations or foundation structures; Ground foundation measures for protecting the soil or the subsoil water, e.g. preventing or counteracting oil pollution against ground humidity or ground wate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0Drying or keeping dry, e.g. by air v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72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specially adapted, structured or shaped covering or lining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축물의 지하공간 내벽에 시공된 벽체배수판에 특정 그래픽 연출이 가능하도록 하는 커버판넬의 체결부재를 알파벳 U자형으로 개선하여 커버판넬이 베이스프레임에 조립 설치될 때 체결부재의 탄력적인 탄성반발력으로 인해 견고한 체결을 도모함과 동시에 그래픽 수정 또는 파손에 따른 유지보수시 체결부재의 탄력적 해정(풀림)이 이루어져 수월한 분리가 가 가능하도록 한 발명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지하공간의 내벽에 고정되는 고정컵이 사방으로 형성되어 있는 베이스프레임과,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고정구멍에 체결부재가 끼워져 조립 설치되는 커버판넬로 이루어진 벽체 배수판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프레임(10)의 고정컵(11) 사방주변으로 커버판넬(20)의 체결부재(21)가 끼워지는 고정구멍(13)이 길죽하게 형성되어 있고, 상기 고정구멍(13)에 끼워져 고정되는 커버판넬(20)의 체결부재(21)는 일측 방향의 형상이 알파벳 U자형으로 걸림턱(23)과 경계가 되는 걸림부(24)의 폭이 베이스프레임(10)의 고정구멍(13)의 길이 방향쪽 폭과 대응하는 폭을 갖고 형성되어 있되, 조립설치시 또는 그래픽보정을 위한 분리시 발생하는 탄성력이 걸림턱(23)과 이웃하는 걸림부(24) 주변에서 일어날 수 있도록 수직바(22)가 위쪽에서 아래쪽 걸림부(24)로 가면서 좁아지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배수판 커버판넬의 체결부재에 의하여 달성될 수 있는 것이다.
베이스프레임, 고정컵, 고정구멍, 커버판넬, 체결부재, 걸림척, 수직간, 걸림부

Description

벽체배수판 커버판넬의 체결부재{Combination part of cover panel for wall drainage plate}
본 발명은 건축물의 지하공간 중 출입구가 항시 개방되어 있어 외부로부터 공기가 유입되고, 유입된 공기중의 습도가 온도차이로 인해 응결되어 내벽에 응결수가 발생하거나 백화현상이 발생하는 주차공간 등의 내벽에 결로현상에 의한 곰팡이 발생과 백화현상 등으로 인해 미관을 해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벽체배수판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시공된 벽체배수판에 특정 그래픽 연출이 가능하도록 하는 커버판넬의 체결부재를 알파벳 U자형으로 개선하여 커버판넬이 베이스프레임에 조립 설치될 때 체결부재의 탄력적인 탄성반발력으로 인해 견고한 체결을 도모함과 동시에 그래픽 수정 또는 파손에 따른 유지보수시 체결부재의 탄력적 해정(풀림)이 이루어져 수월한 분리가 가능하도록 한 발명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은 지상으로 축조되는 구조물의 안정성을 높이기 위한 수단으로 지하에 옹벽을 쳐서 안전성을 확보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지하에 건설되는 옹벽은 구조물 자체의 중력에 따른 안정성을 확보하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건설된 옹벽은 지하에 공간이 형성되어지게 되고, 상기 지하공간은 유용하게 활용되어지고 있다.
상기와 같이 활용되어지는 지하공간은 땅속에 매립되어 있는 공간이어서 옹벽을 통해 습기가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따라서, 옹벽을 건설할 때에는 몰탈에 방수제를 첨가하여 옹벽을 건설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방수제를 첨가한 몰탈을 이용해 옹벽을 건설함으로써, 땅속에 존재하는 수분(물) 침투를 예방할 수 있었으나, 지하공간 활용에 따른 지하공간 내의 습기유입 및 온도 차이로 인하여 백화현상 또는 결로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상기한 백화현상 및 결로현상은 출입구가 항시 개방되어 있는 주차공간에 흔히 발생하게 되는데. 그 이유는 외부로부터 공기가 유입되고, 유입된 공기중의 습도가 온도차이로 인해 응결되어지면서 내벽에 응결수가 생성되어지게 되고, 내벽에 생성된 응결수는 내벽에 곰팡이가 발생하여 지하공간에서 메케한 냄새는 물론 외관이 지저분해 짐은 물론 내벽의 부식을 촉진시켜 백화현상까지도 초래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건축물의 지하공간 내벽에 발생하는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시공되는 것이 벽체배수판 이다.
상기 벽체배수판은 지하공간의 내벽에 고정부재(못, 나사못, 고정핀)에 의해 직접 고정되거나 상기 고정부재에 의해 고정된 고정매개물을 매개로 하여 고정되어지는 베이스프레임과 상기 베이스프레임에 조립되는 커버판넬(장식판이라고도 함)로 이루어진다.
상기 벽체배수판가 베이스프레임과 커버판넬로 이루어지는 이유는 지하공간의 내벽에 고정 시공되어지는 베이스프레임의 중량을 줄여 운반취급이 용이하도록 해야 시공에 따른 안정성 및 공기(工期)단축에도 기여할 수 있게 되는데, 중량을 줄이는 방편중의 하나가 베이스프레임의 구조를 고정컵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을 살빼기를 통한 창살형태를 제작해야 가능해 진다.
상기 베이스프레임을 살빼기를 통해 중량을 줄임에 따라 시공은 간편해진 반면, 시공후의 내구성에 문제가 발생하기 때문에 시공 후, 상기 베이스프레임에 조립 설치되어짐과 동시에 서로 연결되어 지는 커버판넬이 조립되어 짐에 따라 내구성의 보완되어 지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베이스프레임에 설치되는 커버판넬은 베이스프레임의 내구성을 보완하는 기능에 국한 되지 않고 시공완료한 벽체배수판에 그래픽 연출이 가능하도록 하는 역할을 하기도 한다.
즉, 베이스프레임에 조립되는 커버판넬의 색상을 선택하여 설정된 그래픽을 따라 커버판넬을 배열 조립함으로써 그래픽의 연출이 가능해지게 된다.
상기와 같이 베이스프레임에 조립 설치되어지는 커버판넬의 기존 체결구조를 보면 다음과 같다.
커버판넬의 저면 네모서리에 형성됨과 동시에 외측으로 형성된 걸림턱이 베이스프레임의 고정후크공에 끼워지면서 규제되어 질 때 내측으로 오므려질 수 있도록 절개 형성되어진 통상의 고정훅크 타입이 있는가 하면, 커버판넬의 저면 네모서리에 원통형으로 끝단 외측면에 고정턱이 형성된 고정돌기를 베이스프레임의 고정 구멍에 억지끼움시켜 조립 설치하는 타입이 있다.
상기의 커버판넬 체결구조 중 절개 형성되어 내측으로 오므려지도록 된 고정훅크 타입은 탄성 변형되어 질 때 연결부위에 탄성력이 집중되어 백화현상이 발생하는 사례가 빈번하고, 그로 인하여 고정훅크가 고정훅크로써의 기능을 쉽게 상실하게 되는 단점이 야기됨은 물론, 베이스프레임에 대한 안정된 조립을 도모할 수 없게 되는 문제점도 야기되었다.
한편, 상기 고정돌기형은 고정훅크 타입의 체결구조에서 나타나는 백화현상 등이 발생하지 않는 반면, 억지끼움 방식이어서 그래픽 연출시 잘못 조립 설치된 커버판넬을 수정하고자 할 때 잘 빠지지 않아 어려움을 격게 되는 단점을 가지고 있을 뿐만 아니라, 심지어나 과도한 힘이 베이스프레임에 가해져 상기 베이스프레임에 손상을 일으키거나, 내벽으로부터 흔들림이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을 유발시키기도 한다.
본 발명은 종래 벽체배수판의 구성요소인 커버판넬의 체결부재의 단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개발한 것으로, 그 목적은 커버판넬의 저면 네모서리에 형성되는 체결부재의 구조를 알파벳 U자형태로 개선함에 따라 종래 고정훅크 타입에서 발생하였던 연결부위의 백화현상을 방지함과 더불어 부드러우면서 고탄력의 탄성력 발생으로 조립 설치 및 그래픽연출시 잘못 조립된 커버판넬 보정시 부드러운 조립과 분리가 가능할 뿐만 아니라, 조립된 상태의 안정된 고정을 도모하여 베이스프레임의 내구성을 향상시킨 벽체배수판 커버판넬의 체결부재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중량을 경량화하여 운반 또는 시공시 취급이 용이하게 함과 동시에 공기(工期)의 단축시킬 수 있게 연결간들에 의해 지하공간의 내벽에 고정되는 고정컵이 사방으로 형성되어 있는 베이스프레임과,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고정구멍에 체결부재가 끼워져 조립 설치되는 커버판넬로 이루어진 벽체 배수판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프레임(10)의 고정컵(11) 사방주변으로 커버판넬(20)의 체결부재(21)가 끼워지는 고정구멍(13)이 길죽하게 형성되어 있고, 상기 고정구멍(13)에 끼워져 고정되는 커버판넬(20)의 체결부재(21)는 일측 방향의 형상이 알파벳 U자형으로 걸림턱(23)과 경계가 되는 걸림부(24)의 폭이 베이스프레임(10)의 고정구멍(13)의 길이 방향쪽 폭과 대응하는 폭을 갖고 형성되어 있되, 조립설치시 또는 그래픽보정을 위한 분리시 발생하는 탄성력이 걸림턱(23)과 이웃하는 걸림부(24) 주변에서 일어날 수 있도록 수직바(22)가 위쪽에서 아래쪽 걸림부(24)로 가면서 좁아지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배수판 커버판넬의 체결부재에 의하여 달성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벽체배수판 커버판넬의 체결부재는, 커버판넬(20)의 저면 네모서리에 형성되는 체결부재(21)의 구조를 알파벳 U자형태로 개선함에 따라 종래 고정훅크 타입에서 발생하였던 연결부위의 백화현상을 방지 함과 더불어 부드러우면서 고탄력의 탄성력 발생으로 조립 설치 및 그래픽연출시 잘못 조립된 커버판넬(20) 보정시 부드러운 조립과 분리가 가능할 뿐만 아니라, 조립된 상태의 안정된 고정을 도모하여 베이스프레임(10)의 내구성을 향상시킨 이점을 가지고 있다.
이하,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 내지 도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벽체배수판 커버판넬의 체결부재는, 지하공간의 내벽에 고정되는 베이스프레임(10)과, 상기 베이스프레임(10)에 조립 설치되는 커버판넬(20)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베이스프레임(10)은, 운반 또는 시공시 취급이 용이하게 함과 동시에 공기(工期)의 단축시킬 수 있게 연결간(12)들에 의해 지하공간의 내벽에 고정되는 고정컵(11)이 사방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고정컵(11)이 연결간(12)들에 의해 연결 형성되어 짐으로써, 경량의 베이스프레임(10)을 얻게 된다.
상기 베이스프레임(10)에는 커버판넬(20)의 조립 설치가 가능하도록 커버판넬(20)의 체결부재(21)가 끼워지는 고정구멍(13)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고정구멍(13)은 긴 길이를 가지고 형성되어 있다.
상기 베이스프레임(10)에 조립 설치되는 커버판넬(20)은, 저면 네모서리에 체결부재(21)를 구비하고 있되, 상기 체결부재(21)는, 일측방향의 형상이 알파벳 U 자형으로 걸림턱(23)과 경계가 되는 걸림부(24)의 폭이 베이스프레임(10)의 고정구멍(13)의 길이 방향쪽 폭과 대응하는 폭을 갖고 형성되어 있다.
상기 체결부재(21)는 조립설치시 또는 그래픽 보정을 위한 분리시 발생하는 탄성력이 걸림턱(23)과 이웃하는 걸림부(24) 주변에서 일어날 수 있도록 수직바(22)가 위쪽에서 아래쪽 걸림부(24)로 가면서 좁아지게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전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벽체배수판 커버판넬의 체결부재를 통해 지하공간의 내벽에 시공된 베이스프레임(10)에 커버판넬(20)을 조립 설치하여 베이스프레임(10)의 내구성을 보완함과 동시에 커버판넬(20)에 의한 그래픽 연출을 하게 된다.
상기 커버판넬(20)을 지하공간의 내벽에 고정컵(11) 고정으로 시공된 베이스프레임(10)에 조립 설치할 때에는 상기 베이스프레임(10)의 고정구멍(13)에 커버판넬(20)의 체결부재(21)를 일치시킨 상태에서 끼워 넣는다.
상기와 같이 커버판넬(20)의 체결부재(21)를 끼워 조립할 때 걸림턱(23)이 고정구멍(13)의 내벽에 규제되어지면서 삽입되어짐에 따라 수직간(22)에 탄성변형이 일어난다.
상기와 같이 탄성변형이 일어나는 수직간(22)은 위에서 아랫쪽 걸림부(24)쪽으로 가면서 좁아지게 형성되어 있어 도2에서와 같이 걸림부(24) 부위에서 탄성 변형이 일어나게 된다.
상기와 같이 탄성변형되어지는 수직간(22)은 활이 휘어질 때와 같이 수직간(22) 전체에서 골고루 발생하는 것이어서 탄성력이 부드러우면서 탄력적으로 이 루어지게 된다.
도2에서와 같이 커버판넬(20)의 체결부재(21)가 베이스프레임(10)의 고정구멍(13)으로 체결되어 지는 커버판넬(20)의 체결부재(21)는 걸림턱(23)이 고정구멍(13)을 통과하면, 도3에서와 같이 수직간(22)이 탄성 복원되어져 걸림턱(23)이 걸림고정되어지게 짐으로써, 커버판넬(20)의 조립 설치가 완료되어지게 되는 것이다.
도4는 지하공간 내벽에 설치된 베이스프레임(10)에 커버판넬(20)이 설치된 상태로써, 고정컵(11)을 내벽에 고정부재를 이용하여 고정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체결부재를 구비한 커버판넬의 결합으로 이루어진 벽체배수판으로써, 하나의 커버판넬을 분리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커버판넬의 체결부재가 베이스프레임의 고정구멍에 끼워지는 과정을 보인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커버판넬의 체결부재가 베이스프레임의 고정구멍에 끼워진 상태를 보인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벽체배수판을 설치한 상태의 예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베이스프레임 11 : 고정컵
12 : 연결간 13 : 고정구멍
20 : 커버판넬 21 : 체결부재
22 : 수직바 23 : 걸림턱
24 : 걸림부

Claims (1)

  1. 중량을 경량화하여 운반 또는 시공시 취급이 용이하게 함과 동시에 공기(工期)의 단축시킬 수 있게 연결간들에 의해 지하공간의 내벽에 고정되는 고정컵이 사방으로 형성되어 있는 베이스프레임과,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고정구멍에 체결부재가 끼워져 조립 설치되는 커버판넬로 이루어진 벽체 배수판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프레임(10)의 고정컵(11) 사방 주변으로 커버판넬(20)의 체결부재(21)가 끼워지는 고정구멍(13)이 길죽하게 형성되어 있고, 상기 고정구멍(13)에 끼워져 고정되는 커버판넬(20)의 체결부재(21)는 일측 방향의 형상이 알파벳 U자형으로 걸림턱(23)과 경계가 되는 걸림부(24)의 폭이 베이스프레임(10)의 고정구멍(13)의 길이 방향쪽 폭과 대응하는 폭을 갖고 형성되어 있되, 조립설치시 또는 그래픽보정을 위한 분리시 발생하는 탄성력이 걸림턱(23)과 이웃하는 걸림부(24) 주변에서 일어날 수 있도록 수직바(22)가 위쪽에서 아래쪽 걸림부(24)로 가면서 좁아지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배수판 커버판넬의 체결부재.
KR1020070088756A 2007-09-03 2007-09-03 벽체배수판 커버판넬의 체결부재 Ceased KR2007009471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8756A KR20070094716A (ko) 2007-09-03 2007-09-03 벽체배수판 커버판넬의 체결부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8756A KR20070094716A (ko) 2007-09-03 2007-09-03 벽체배수판 커버판넬의 체결부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94716A true KR20070094716A (ko) 2007-09-21

Family

ID=386884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88756A Ceased KR20070094716A (ko) 2007-09-03 2007-09-03 벽체배수판 커버판넬의 체결부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094716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3584B1 (ko) * 2007-10-05 2010-08-02 마장훈 벽체용 배수판 조립체
CN109736518A (zh) * 2018-12-30 2019-05-10 中铁十四局集团有限公司 室内装修施工方法
CN111058467A (zh) * 2019-12-13 2020-04-24 上海东方雨虹防水技术有限责任公司 一种地下室背水面防水排水结构及施工方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3584B1 (ko) * 2007-10-05 2010-08-02 마장훈 벽체용 배수판 조립체
CN109736518A (zh) * 2018-12-30 2019-05-10 中铁十四局集团有限公司 室内装修施工方法
CN111058467A (zh) * 2019-12-13 2020-04-24 上海东方雨虹防水技术有限责任公司 一种地下室背水面防水排水结构及施工方法
CN111058467B (zh) * 2019-12-13 2021-11-19 上海东方雨虹防水技术有限责任公司 一种地下室背水面防水排水结构及施工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9990012351U (ko) 건축물외장판재의설치구조
KR101422586B1 (ko) 측벽용 갤러리 창호를 구비한 재래시장 아케이트
KR20070094716A (ko) 벽체배수판 커버판넬의 체결부재
KR101163134B1 (ko) 다양한 형태를 갖는 체결패널 및 원터치 방식의 체결유닛을 포함하는 거푸집 체결구조
KR101250508B1 (ko) 재래시장 아케이트의 지붕시트 고정프레임
KR100603001B1 (ko) 벽체용 방습 패널 및 그 시공방법
KR101010046B1 (ko) 지붕패널 고정프레임
KR100879367B1 (ko) 벽체용 방습 패널 및 그 시공방법
JP2009203791A (ja) ブロック部材を用いたパネル構造体
KR101430366B1 (ko) 비닐하우스용 비닐 고정패드
KR101250507B1 (ko) 재래시장 아케이트의 지붕시트 고정프레임
KR200405166Y1 (ko) 건축용 천장판넬 어셈블리
KR20070090133A (ko) 벽체 배수판
KR200451969Y1 (ko) 벽체용 배수판
KR20140005485U (ko) 천정판 고정구조
KR101331883B1 (ko) 벽체 개구부 보강용 플레이트
KR20130046991A (ko) 단열성이 향상된 창틀 지지용 브래킷
JP2007292369A (ja) 建物用換気装置およびその取付方法
KR20120003300U (ko) 벽체 배수판 설치 구조
KR101721223B1 (ko) 갤러리 창호
KR20080015041A (ko) 벽체 배수판
KR101247163B1 (ko) 패널 어셈블리
KR101839200B1 (ko) 건축물 외장패널
KR100617964B1 (ko) 방습용 및 아트용 벽체 블록 및 이를 이용한 블록 조립체
KR101311150B1 (ko) 조립식 패널의 두께에 맞춰 설치되는 창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70903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9060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091204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090605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