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82024A - 이방산란 점착부재 - Google Patents

이방산란 점착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82024A
KR20070082024A KR1020070012560A KR20070012560A KR20070082024A KR 20070082024 A KR20070082024 A KR 20070082024A KR 1020070012560 A KR1020070012560 A KR 1020070012560A KR 20070012560 A KR20070012560 A KR 20070012560A KR 20070082024 A KR20070082024 A KR 200700820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in layer
adhesive member
anisotropic scattering
light
scattering adhes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125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겐사쿠 히가시
야스히코 모토다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도모에가와 세이시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도모에가와 세이시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도모에가와 세이시쇼
Publication of KR200700820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8202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2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04Diffusing, scattering, diffracting el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04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made of organic materials, e.g. plastic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2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 G02B5/0205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 G02B5/0236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the diffusion taking place within the volume of the element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2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 G02B5/0205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 G02B5/0257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creating an anisotropic diffusion characteristic, i.e. distributing output differently in two perpendicular ax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8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and having an adhesive outermost laye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Polarising Elements (AREA)

Abstract

수지층에 입사하는 입사광의 직선 투과광량이 입사각 의존성을 가지며, 또한 수지층이 점착성을 갖는 이방산란 점착부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이방산란 점착부재는 광경화 수지 조성물의 경화물로 이루어진 점착성을 갖는 수지층으로 이루어지며, 수지층의 경화 후의 유리 전이 온도가 -85 ~ 0℃이며, 또한 수지층을 입사광이 투과할 때의 직선 투과광량이 수지층에 대한 입사광의 입사각에 따라 다른 것이다. 그리고, 수지층 중에 형성된 이웃하는 경화 영역의 굴절률이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이방산란 점착부재{ANISOTROPIC SCATTERING ADHESIVE MEMBER}
도 1은 본 발명의 이방산란 점착부재의 일례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이방산란 점착부재의 일례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3은 이방산란 점착부재의 직선 투과광량의 입사각 의존성의 평가 방법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4는 이방산란 점착부재를 투과하는 직선 투과광량의 입사각 의존성을 설명하는 모식적 단면도이다.
도 5는 이방산란 점착부재의 직선 투과광량의 입사각 의존성의 평가에 있어서의 입사각과 직선 투과광량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6은 이방산란 점착부재의 직선 투과광량의 입사각 의존성의 평가에 있어서의 입사각과 직선 투과광량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7은 실시예 1에서의 직선 투과광량의 입사각 의존성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8은 실시예 2에서의 직선 투과광량의 입사각 의존성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9는 실시예 3에서의 직선 투과광량의 입사각 의존성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0은 비교예 1에서의 직선 투과광량의 입사각 의존성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1은 실시예 2에서의 직선 투과광량의 입사각 의존성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부호의 설명
1 이방산란 점착부재
2 기둥 형상 경화 영역
3 매트릭스
4 수광부
I 입사광
P 판 형상 구조의 연장되는 방향
T 투과광
기술분야
본 발명은 입사광의 입사 각도에 따라 직선 투과광량이 크게 변화하며, 아울러 점착성을 갖는 이방산란 점착부재에 관한 것이다.
배경기술
광(光)산란성을 갖는 부재는 옛날부터 조명 기구나 건재(建材)에 사용되고 있었을 뿐만 아니라, 최근 디스플레이, 특히 LCD (Liquid Crystal Display)에 있어서도 널리 이용되고 있다. 이들 부재의 광산란 발현 기구로는 표면에 형성된 요철(凹凸)에 의한 산란(표면 산란), 매트릭스 수지와 그 안에 분산된 필러간의 굴절률 차에 의한 산란(내부 산란) 및 표면 산란과 내부 산란의 양쪽에 의한 것을 들 수 있다. 단, 이들 광산란 부재에는 일반적으로 그 산란 성능은 등방적(等方的)이며, 특정한 각도를 갖는 입사광만을 선택적으로 산란시킬 수 없었다.
그러나, 최근에는 특정한 각도로부터의 입사광만을 선택적으로 산란할 수 있다고 하는 광제어판이 하기와 같이 제안되고 있다 (예를 들면, 일본국 특개평 01-077001호 공보 참조). 이 광제어판이라는 특수한 광산란 부재는 각각의 굴절률에 차이가 있는 분자내에 1개 이상의 광중합성 탄소-탄소 이중 결합을 갖는 화합물의 복수로 이루어진 수지 조성물에, 특정 방향으로부터 자외선을 조사하여 경화시킨 플라스틱 시트이며, 그 시트에 대해 특정한 각도를 이루는 입사광만을 선택적으로 산란시킨다고 하는 것이다.
이 광제어판을 제작하기 위한 재료로는, 상술한 「각각의 굴절률에 차이가 있는 분자내에 1개 이상의 광중합성 탄소-탄소 이중 결합을 갖는 화합물의 복수로 이루어진 수지 조성물」이외에도,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를 포함하는 조성물 등이 개시되어 있다 (예를 들면, 일본국 특개평 01-147405호 공보, 일본국 특개평 01-147406호 공보 및 일본국 특개평 02-054201호 공보 참조).
또, 상기 광제어판의 구조는 일본국 특개평 01-147405호 공보에 도해되어 있으나, 도 2(a)를 사용하여 자세하게 설명하면, 제작시에 그 상공에 배치한 선상(線 狀) 광원(도시생략)을 광제어판 표면에 투영한 선(B-B 선)과 평행한 선을 포함한 굴절률이 다른 판 형상 영역이, 그 내부에 서로 평행하게 형성된 것이다.
상기 광제어판에서는 그 내부에 굴절률이 다른 판 형상 영역이 형성되어 있으나, 굴절률이 높은 영역이 두께 방향으로 기둥 형상 구조를 형성함으로써, 다른 산란 특성을 나타내는 광산란 필름도 제안되고 있다 (예를 들면, 국제특허 WO 02/097483호 공보 및 일본국 특개 2003-202415호 공보 참조). 이 광산란 필름은 특정한 감방사선성을 갖는 고분자 필름에, 특정한 마스크를 통해 소정의 방향으로부터 방사선을 조사함으로써 형성되는 것이며, 그 내부 구조는 도 1과 같이 나타난다. 여기서 미소(微小) 영역(2)을 모식적으로 원주 모양으로 나타내고 있으나, 마스크나 조사 조건 등에 의해 그 원주의 단면은 원형상, 다각형상, 부정형상 등으로, 또 그 경사도 변경할 수 있는 것으로 되어 있다.
상술한 광제어판이나 상기 광산란 필름은 건재 용도나 LCD 를 중심으로 하는 각종 디스플레이에 이용되고 있으나, 이들 자체는 점착성을 가지고 있지 않다. 한편, 디스플레이의 구성 부재로서 사용하기 위해서는 점착층을 통해 첩합(貼合)할 필요가 있다. 그 때문에, 점착층의 광학 특성도 최종 제품인 디스플레이 등의 특성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적층 구성에 의한 광학 특성, 점착력의 최적화 검토를 행할 필요도 있다.
각종 디스플레이의 제조에는 박형화, 경량화, 저가격화 등의 조건이 요구되어 있고, 동일 기능, 동일 가격을 가진다면 부품 점수가 적은 것이 요구되고 있으 며, 동일 광학 특성을 갖는 점착성 필름이 선호된다.
본 발명은 이상의 종래 기술을 근거로 하여 광산란 부재의 개량을 지향하는 것으로, 입사광의 입사 각도에 의해 광산란 특성이 크게 변화하는 필름에 점착성을 보유시킨 이방산란 점착부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의 이방산란 점착부재는 적어도 광중합성의 관능기를 갖는 모노머 및/또는 올리고머 (제 1 수지 성분)를 함유하는 광경화 수지 조성물을 경화하여 이루어진 수지층을 갖고, 이 수지층의 경화후의 유리 전이 온도가 -85 ~ 0 ℃이며, 이 수지층을 투과하는 입사광 직선 투과광량이 상기 수지층에 대한 상기 입사광의 입사각에 따라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의 이방산란 점착부재의 수지층 중에 형성된 이웃하는 경화 영역의 굴절률이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의 이방산란 점착부재의 수지층은 매트릭스와 매트릭스 중에 형성된 특정 경화 영역으로 이루어지고, 매트릭스와 특정 경화 영역의 굴절률이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의 이방산란 점착부재에 사용되는 광경화 수지 조성물은 광중합성의 관능기를 갖는 고굴절률 모노머 (제 2 수지 성분)를 배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의 이방산란 점착부재의 수지층의 점착력은 JIS-Z0237 로 정해진 180도 박리 점착력에서 1 ~ 30 N/25㎜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 다른 본 발명의 이방산란 점착부재는 직선 투과광량이 산란 중심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 다른 본 발명의 이방산란 점착부재는 수지층의 적어도 한쪽에 투명 기체를 적층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형태
본 발명의 이방산란 점착부재에 대하여, 이하 상세하게 설명을 실시한다.
본 발명의 이방산란 점착부재는 그 광산란 특성이 입사각 의존성을 가지며, 또한 점착성을 갖는 부재로서, 이방산란 점착부재 중의 구조는, 도 1 또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굴절률이 다른 상(相)이 분리된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이방산란 점착부재는 입사각 의존성을 가지는 것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특정 경화 영역이 도 1의 매트릭스(3) 중에 형성되는 기둥 형상 경화 영역(2)의 구조를 가지는 것에서는, 그 기둥 형상 구조를 연장한 방향에 산란 중심축을 갖고, 이 산란 중심축 근방의 방향으로부터의 입사광은 강하게 산란되고 (직선 투과광량은 작고), 입사광의 방향이 산란 중심축으로부터 경사짐에 따라 약하게 산란되는 (직선 투과광량은 커지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이 산란 중심축으로부터의 기울기에 방위각 의존성은 보이지 않는다. 한편, 도 2(a)의 판 형상 구조를 갖는 것에서는, 판 형상 구조의 연장되는 방향과 수직으로 교차하는 평면을 입사면으로 한 경우에, 도 1의 구조를 갖는 것의 경우와 동일한 산란 특성을 나타내지만, 판 형상 구조를 포함한 평면 내를 입사면으로 한 경우에는 거의 입사각 의존성을 나타내지 않는 것이다.
여기서, 도 1의 기둥 형상 경화 영역(2)의 축이 연장되는 방향과, 또는 도 2(b)의 판 형상 구조의 필름면에 평행한 방향과는 다른 방향으로 연장되는 방향 P 와, 필름면의 법선 방향과의 이루는 각도는 2 개의 도면에서는 0°로 하고 있으나, 당연히 이 각도는 임의로 변경 가능하며, 65°이내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45°이내이다. 각도가 65°를 넘으면 입사각 의존성이 대칭성을 나타내기 어렵게 된다. 그 이유는 도 4로부터도 명백한 바와 같이, 산란 중심축과 평행한 입사광 I0 에 대하여 동일 각도만큼 경사진 입사광 I1 끼리라도, 이방산란 점착부재 중의 광로 길이가 각각 현저하게 달라져 버려 투과광 T1 의 광량에 차가 생기게 되기 때문이다.
본 발명에서는 직선 투과광량을 사용하여 광산란 특성의 입사각 의존성을 표현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산란 특성으로는, JIS-K7105 나 JIS-K7136 에서 나타나는 확산 투과율이나 평행 광선 투과율, 헤이즈로 표현되나, 이들은 적분구 (integrating sphere)에 샘플을 밀착시켜서 광누출이 없는 것과 같은 조건에서, 샘플면의 법선 방향으로부터 빛을 조사하여 측정되는 것으로, 입사 각도를 임의로 변경한 측정은 상정되어 있지 않다. 즉, 이방산란 점착부재의 입사각 의존성을 평가하기 위한 공식으로 인정된 방법은 존재하지 않는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도시하지 않는 광원과 수광기(4)의 사이에 샘플을 배치하고, 샘플 표면의 직선 L, 또는 직선 L 과 직교하는 직선 M 을 중심으로 하여 각도 를 변화시키면서 샘플을 직선 투과하여 수광기(4)에 들어가는 광량을 측정한다고 하는 측정 원리에 의해, 직선 투과광량의 입사각 의존성의 평가를 실시하기로 하였다. 구체적인 장치로는, 시판의 헤이즈미터 (hazemeter)나 변각 광도계 (bending photometer), 분광 광도계 (spectrophotometer)에 있어서, 광원과 수광부와의 사이에 회전 가능한 샘플 홀더를 설치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 얻어지는 광량의 값은 어디까지나 상대적인 것이나, 직선 투과광량의 입사각 의존성은 도 5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은 측정 결과를 얻을 수 있고, 만약 이 세로축을 산란성의 지표인 헤이즈로 표현하면 상하를 반전한 것과 같은 것이 될 것이다.
도 3에 나타내는 측정 방법에 있어서, 도 1의 구조를 갖는 이방산란 점착부재에서는 A-A 선을 중심으로 회전시킨 경우도, B-B 선을 중심으로 회전시킨 경우도,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직선 투과광량의 입사각 의존성을 나타내었다. 도 2(a)의 구조를 갖는 이방산란 점착부재에서는 B-B 선을 도 3의 직선 L 에, A-A 선을 도 3의 직선 M 에 일치시킨 경우에, B-B 선을 중심으로 하여 광제어판을 회전시켰을 때에 도 6의 실선으로 나타내어진 것과 같은 직선 투과광량의 입사각 의존성을 나타내고, A-A 선을 중심으로 회전했을 때에는 도 6의 파선으로 나타내어진 것과 같이 직선 투과광량의 입사각 의존성이 거의 보여지지 않거나, 크게 다른 직선 투과광량의 입사각 의존성을 나타내었다.
본 발명의 이방산란 점착부재의 형태로는, 상기 이방산란 점착부재 단독, 이방산란 점착부재를 투명 기체상에 적층한 구성, 이방산란 점착부재의 양측에 투명 기체를 적층한 구성이 제공 가능하다. 여기서, 투명 기체로는 투명성은 높은 것일 수록 양호하고, 전체 광선 투과율 (JIS K7361-1)이 80%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85% 이상, 가장 바람직하게는 90% 이상의 것, 또 헤이즈 값(JIS K7136)이 3.0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이하, 가장 바람직하게는 0.5 이하의 것을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투명한 플라스틱 필름이나 유리판 등이 사용 가능하나, 얇고, 가벼우며, 쉽게 깨지지 않고, 생산성이 우수한 점에서 플라스틱 필름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PET),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 (PEN), 트리아세틸 셀룰로오스 (TAC), 폴리카보네이트 (PC), 폴리아릴레이트, 폴리이미드 (PI), 방향족 폴리아미드, 폴리술폰 (PS), 폴리에테르술폰 (PES), 셀로판, 폴리에틸렌 (PE), 폴리프로필렌 (PP), 폴리비닐알코올 (PVA), 시클로올레핀 수지 등을 들 수 있으며, 이들의 단독 또는 혼합, 나아가서는 적층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또, 기체의 두께는 용도나 생산성을 고려하면 1㎛ ~ 5㎜, 바람직하게는 10 ~ 500㎛, 보다 바람직하게는 50 ~ 150㎛ 이다.
본 발명의 이방산란 점착부재의 점착력은 180도 박리 점착력이 1 ~ 30 N /25㎜, 보다 바람직하게는 3 ~ 20 N/25㎜, 더욱 바람직하게는 5 ~ 15 N/25㎜이다. 180도 박리 점착력이 1 N/25㎜ 미만에서는, 특히 디스플레이 용도에서는 내구성이 약하여 사용시에 견디기 어렵다. 또, 30 N/25㎜를 넘는 경우에는 디스플레이 용도에 있어서 내구성은 향상되나, 다른 광학 필름 등과의 첩합시에 맞춤 교정이 어려워지는 등의 작업성이 저하한다.
180도 박리 점착력의 측정 방법은 JIS-Z0237에 준하여 실시하였다. 세정 용매로는 에탄올을 사용하였다. 시험편은 이방산란 점착부재를 25㎜ × 250 ㎜로 절 단하여 작성하였다. 시험판의 일단에 이 시험편의 일단을 25㎜ × 120 ㎜의 면적이 접하도록 첩부하고, 2 kg의 롤러를 사용하여 20㎜/s의 속도로 2 왕복시켜 시험편을 시험판에 압착시켰다. 그리고, 압착으로부터 30분후, 24시간후의 시험편의 시험판에 대한 180도 박리 점착력을 측정하였다.
본 발명의 이방산란 점착부재를 구성하는 수지층은 광경화성 화합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경화한 광경화 수지 조성물로서, 광 조사에 의해 이방산란 점착부재 중에 굴절률이 다른 미크론 단위의 미세한 구조가 형성된다. 이에 의해 본 발명에 나타나는 입사각 의존성을 발현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사용되는 광경화 수지 조성물로는 광경화 후의 굴절률이 다른 조합이 필수이며, 그리고 광경화 후의 굴절률이 다른 폴리머 등이 상분리하는 것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광경화 후의 굴절률이 다른 조합이란, 광경화 수지 조성물이 경화 후의 굴절률이 다른 복수의 수지로 이루어진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광경화 수지 조성물이 한 종류의 수지로 이루어진 경우라도, 광경화시에 수지의 농도 구배가 생긴 상태에서 경화함으로써, 경화 후의 수지 밀도의 차에 의한 굴절률이 다른 영역을 형성시킬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이방산란 점착부재가 실온에서 점착성을 갖기 위해서는, 수지층의 유리 전이 온도 (TG)가 -85℃ 이상 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TG가 0℃보다 큰 경우에는 견고하게 점착성을 갖지 않는 플라스틱 필름이 형성되어 본 발명의 실시가 곤란하게 될 가능성이 높아지며, TG가 -85℃보다 작은 경우에는 취급이 용이하고 또한 선택 가능한 재료의 범위를 넘을 가능성이 높아진다.
본 발명의 이방산란 점착부재에 사용되는 제 1 및 제 2 수지 성분으로는 다음과 같은 것을 들 수 있다.
제 1 수지 성분으로는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아크릴레이트, 에톡시화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 트리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 테트라아크릴레이트 및 펜타에리트리톨 헥사아크릴레이트 등의 다관능 모노머; 말단에 상기 모노머 성분을 함유하는 에폭시 아크릴레이트,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폴리에스테르 아크릴레이트, 폴리에테르 아크릴레이트, 폴리부타디엔 아크릴레이트 및 실리콘 아크릴레이트 등의 아크릴 올리고머를 들 수 있다. 이들은 단독 혹은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제 2 수지 성분으로는 분자 내에 페닐기를 함유하는 것 또는 할로겐화물 등이 있다. 예를 들면, 페녹시에틸 아크릴레이트, 비스페놀 A 의 EO 부가물 디아크릴레이트, 2,2-비스[4-(아크릴옥시디에톡시)페닐]프로판, 2,2-비스[4-(메타크릴옥시에톡시)페닐]프로판, 트리브로모페닐 아크릴레이트, EO 변성 트리브로모페닐 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단독 혹은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광중합 개시제로는 α-히드록시케톤계 광중합 개시제, α-아미노케톤계 광중합 개시제, 벤질케탈계 광중합 개시제, 아실포스핀옥사이드계 광중합 개시제, 벤조페논계 광중합 개시제 및 티옥산톤계 광중합 개시제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화합물은 각 단체(單體)로 사용해도 되며, 복수 혼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또, 벤조페논계나 티옥산톤계와 같은 수소 인발형 (hydrogen-abstraction type)광중합 개시제에 대해서는, 중합개시 조제로서 N-메틸디에탄올아민이나 4,4'-비스디에틸아미노벤조 페논 등 아민계 화합물을 혼합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을 구성하는 수지층에 있어서, 상기 제 1 수지 성분이 광경화시에 농도 구배 등에 의한 굴절률 차를 일으키지 않고 경화하는 경우, 또는 상기 제 1 수지 성분의 광경화후 굴절률이 광경화 수지 조성물에 함유되는 다른 수지 경화 후의 굴절률과 동일한 경우에는 제 2 수지 성분을 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성 요건 이외에도, 점도 조정용으로서 단관능 모노머를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이방산란 점착부재의 제조 방법으로는 광경화 수지 조성물을 광 조사에 의해 경화시키는 것 이외에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일례로서 상술한 광경화 수지 조성물을 시트 형상으로 만들고, 이것에 특정한 방향으로부터 광선을 조사하여 상기 조성물을 경화시킴으로써 제조되는 것이다.
또한, 광 조사시에 광경화 수지 조성물의 경화를 촉진시키거나 입사각 의존성의 강도를 제어하거나 하는 등의 목적으로, 시트 형상으로 만든 조성물의 한쪽 면 또는 양면을 광선이 투과하는 투명한 가요(可撓)성 시트로 피복하여도 된다. 또 이 가요성 시트로서 특정한 투광성 패턴을 가지는 마스크를 사용해도 된다. 또한, 동일한 목적으로 광 조사의 전후에 시트 형상으로 만든 조성물을 가열해도 된다.
여기서, 광경화성 수지 조성물을 기체상에 시트 형상으로 만드는 방법으로는 통상의 도공(塗工) 방식이나 인쇄 방식이 적용된다. 구체적으로는 에어닥터 코팅, 바 코팅, 블레이드 코팅, 나이프 코팅, 리버스 코팅, 트랜스퍼 롤 코팅, 그라비어 롤 코팅, 키스 코팅, 캐스트 코팅, 스프레이 코팅, 슬롯 오리피스 코팅, 캘린더 코 팅, 댐 코팅, 딥 코팅, 다이 코팅 등의 코팅이나, 그라비어 인쇄 등의 오목판 인쇄, 스크린 인쇄 등의 공판(孔版) 인쇄 등의 인쇄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 조성물이 저점도인 경우에는 기체의 주위에 일정한 높이의 둑을 설치하고, 이 둑으로 둘러싸인 가운데 조성물을 캐스트할 수도 있다.
시트 형상으로 만든 광경화성 수지 조성물에 광 조사를 실시하기 위한 광원으로는 통상은 쇼트 아크 (short arc)의 자외선 발생 광원이 사용되며, 구체적으로는 고압 수은등, 저압 수은등, 메탈 할라이드 램프, 크세논 램프 등이 사용가능하다.
광 조사에 의해 형성되는 미세 구조의 형상은 발광면의 형상에 따라 달라져 있고, 막대 형상의 발광면을 갖는 광원에서는 판 형상의 미세 구조가 형성되는데 반해, 레지스트의 노광에 사용되는 평행 광원을 사용하면 기둥 형상의 미세 구조가 형성되나, 본 발명의 용도에서 보면, 이 쪽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 기둥 형상의 미세 구조를 형성하는 경우, 이방산란 점착부재의 크기가 작은 경우에는 자외선 스폿 광원을 사용하여 충분히 떨어진 거리로부터 조사하는 것도 가능하다.
광경화성 수지 조성물을 시트 형상으로 한 것에 조사하는 광원은 상기 광경화성 화합물을 경화 가능한 파장을 포함하고 있는 것이 필요하며, 통상은 수은등의 365㎚를 중심으로 하는 파장의 빛이 이용된다. 이 파장대를 사용하여 본 발명의 이방산란 점착부재를 제작하는 경우, 조도로는 0.01~100 mW/㎠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0.1~20 mW/㎠의 범위이다. 조도가 0.01 mW/㎠ 이하이면 경화에 장시간을 요하기 때문에 생산 효율이 나빠지며, 100 mW/㎠ 이상이면 광경화 성 화합물의 경화가 너무 빨라 구조 형성이 발생하지 않고, 목적으로 하는 입사각 의존성을 발현할 수 없게 되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이방산란 점착부재의 광경화성 수지 조성물은 도공 적정 향상을 위해 용매를 사용할 수 있다. 용매의 사용에 의해 조성물의 점도가 내려가서 도공시의 취급이 용이해진다. 이와 같은 용매로는 메탄올, 에탄올, 1-프로판올, 2-프로판올, 부탄올 등의 알코올류, 에틸렌 글리콜, 프로필렌 글리콜, 헥실렌 글리콜 등의 글리콜류, 에틸 셀로솔브, 부틸 셀로솔브, 에틸 카르비톨, 부틸 카르비톨, 디에틸 셀로솔브, 디에틸 카르비톨 등의 글리콜 에테르류, 아세톤, 메틸에틸 케톤, 메틸이소부틸 케톤 등의 케톤류, 아세트산 메틸, 아세트산 에틸, 아세트산 프로필, 아세트산 부틸 등의 에스테르류, 벤젠, 톨루엔, 자일렌 등의 방향족 탄화수소류, N-메틸 피롤리돈, 디메틸 포름아미드 등의 함(含)질소류, 클로로포름, 염화메틸렌, 트리클로로에틸렌 등의 할로겐화 탄화수소류 등이 사용되나,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 상기 용매는 단독 혹은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광경화성 수지 조성물에 용매를 사용한 경우에는 상기 조성물의 광 조사에 의한 경화전에 가열 건조 등에 의해 용매를 제거할 필요가 있다.
실시예 1
두께 75㎛, 76 × 26㎜ 크기의 PET 필름(토요보사제, 상품명 : A4300)의 테두리부 전체 둘레에 디스펜서를 사용하여 경화성 수지로 높이 0.3㎜의 격벽을 형성하였다. 이 안에 하기의 광경화 수지 조성물을 적하하고, 별도의 PET 필름으로 커버하였다.
· 제 1 수지 성분을 함유한 자외선 경화형 점착제 100 중량부
(주죠 케미컬사제, 상품명 : RAYTACK - 10)
· 제 2 수지 성분인 페녹시에틸 아크릴레이트 11 중량부
(쿄에이 화학사제, 상품명 : PO-A)
이 양면을 PET 필름으로 끼워진 0.3㎜ 두께의 액막에 대해, UV 스폿 광원 (하마마츠 포토닉스사제, 상품명 : L2859-01)의 낙사용 조사 유니트 (epi-irradiation unit)로부터 수직으로, 조사 강도 8 mW/㎠의 자외선을 15분간 조사하였다. 그 후 양측의 PET 필름을 떼어내고, DSC법에 의한 TG의 값이 -27℃, 180도 박리 점착력이 19 N/25㎜이며, 또한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기둥 형상의 미소한 영역을 다수 갖는 실시예 1의 이방산란 점착부재를 얻었다.
실시예 2
실시예 1과 동일한 PET 필름에 끼워진 상태의 광경화 수지 조성물에, PET 필름의 긴 변과 직교하는 방향에 배치한 발광 길이 125㎜의 선상 UV 광원(일본 UV 머신사제, 상품명 : 핸디 UV장치 HUV-100)으로부터 실시예 1과 동일한 조사 강도의 자외선을 수직으로 조사하여, DSC법에 의한 TG의 값이 -27℃, 180도 박리 점착력이 19 N/25㎜이며, 또한 도 2(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굴절률이 다른 판 형상의 영역을 갖는 실시예 2의 이방산란 점착부재를 얻었다.
실시예 3
실시예 1과 동일한 PET 필름에 끼워진 상태의 광경화 수지 조성물에, UV 스폿 광원 (하마마츠 포토닉스사제, 상품명 : L2859-01)의 낙사용 조사 유니트로부터 수직으로, 조사 강도 30 mW/㎠의 자외선을 5분간 조사하였다. 그 후 양측의 PET 필름을 벗겨내고, DSC법에 의한 TG의 값이 -27℃, 180도 박리 점착력이 19 N/25㎜이며, 또한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기둥 형상의 미소한 영역을 다수 갖는 실시예 3의 이방산란 점착부재를 얻었다.
비교예 1
두께 75㎛, 76 × 26㎜ 크기의 PET 필름(토요보사제, 상품명 : A4300)의 테두리부 전체 둘레에 디스펜서를 사용하여 경화성 수지로 높이 0.3㎜의 격벽을 형성하였다. 이 안에 하기의 광경화 수지 조성물을 적하하고, 별도의 PET 필름으로 커버하였다.
· 2-(퍼플루오로옥틸)-에틸아크릴레이트 50 중량부
(쿄에이샤 화학사제, 상품명 : 라이트아크릴레이트 FA-108)
· 1,9-노난디올 디아크릴레이트 50 중량부
(쿄에이샤 화학사제, 상품명 : 라이트 아크릴레이트 1.9 ND-A)
· 2-히드록시-2-메틸-1-페닐프로판-1-온 4 중량부
(치바·스페셜티·케미컬스제, 상품명 : Darocure 1173)
이 양면을 PET 필름에 끼워진 0.3㎜ 두께의 액막에 대해, UV 스폿 광원 (하마마츠 포토닉스사제, 상품명 : L2859-01)의 낙사용 조사 유니트로부터 수직으로, 조사 강도 8mW/㎠의 자외선을 15분간 조사하였다. 그 후 양측의 PET 필름을 벗겨내, DSC법에 의한 TG의 값이 70℃이며,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기둥 형상의 미소한 영역을 다수 갖는 비교예 1의 광산란 필름을 얻었다.
비교예 2
비교예 1과 동일한 PET 필름에 끼워진 상태의 광경화 수지 조성물에, PET 필름의 긴 변과 직교하는 방향에 배치한 발광 길이 125㎜의 선상 UV 광원 (일본UV 머신사제, 상품명 : 핸디 UV장치 HUV-100)으로부터, 비교예 1과 동일한 조사 강도의 자외선을 수직으로 조사하여, DSC법에 의한 TG의 값이 약 70℃이며, 도 2(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굴절률이 다른 판 형상의 영역을 갖는 비교예 2의 광제어판을 얻었다.
고니오포토미터(무라카미 색채사제, 상품명 : GP-5)를 사용하여 광선으로부터의 직진광을 받는 위치에 수광부를 고정하고, 그 사이의 샘플 홀더에 실시예 1~3에서 얻어진 이방산란 점착부재 및 비교예 1 및 2에서 얻어진 광산란 필름 및 광제어판을 세트하였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샘플의 짧은 변 방향을 회전축(L)으로 하여 샘플을 회전시켜 각각의 입사각에 대응하는 직선 투과광량을 측정하고, 이것을 「단변축 회전」이라 명명하였다. 다음으로 샘플 홀더로부터 샘플을 일단 제외하고, 이것을 면내에 90°회전시켜서 재차 세트함으로써, 이번에는 샘플의 장변을 회전축(M)으로 하는 직선 투과광량을 측정하여 「장변축 회전」으로 하였다.
실시예 1 및 3의 이방산란 점착부재와 비교예 1의 광산란 필름에 대해, 단변축 및 장변축의 2개의 회전축에 대해 측정한 입사각과 직선 투과광량과의 관계를 각각 도 7, 도 9와 도 10에 나타낸다. 어느 것에 있어서도 직선 투과광량의 변화율 (직선 투과광량의 최대치와 최소치의 차)이 약 0.8~0.9의 깊은 골 형상으로 대략 좌우 대칭인 것을 알 수 있다.
실시예 2의 이방산란 점착부재와 비교예 2의 광제어판에 대해, 단변축 및 장변축의 2 개의 회전축에 대해 측정한 입사각과 직선 투과광량의 관계를 각각 도 8과 도 11에 나타낸다. 어느 것에 있어서도 단변축 회전의 직선 투과광량의 변화율이 약 0.8~0.9의 깊은 골 형상으로 대략 좌우 대칭인 것을 알 수 있다. 단, 장변축 회전의 직선 투과광량은 큰 변화를 나타내지 않고, 변화율이 0.1 이하였다.
실시예 1~3의 이방산란 점착부재는 상기와 같이 점착성을 나타내었으나, 비교예 1~2의 광산란 필름 및 광제어판은 점착성을 나타내지 않아, 180도 박리 점착력을 측정할 수 없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입사광의 입사 각도에 의한 직선 투과광량의 변화량이 큰 입사각 의존성을 나타내며, 또한 점착성을 갖는 이방산란 점착부재를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수단에 의하면, 각각의 굴절률이 다른 영역을 수지층에 형성함으로써, 입사광의 입사 각도에 의한 직선 투과광량의 변화율이 큰, 즉 입사각 의존성을 가지며, 또한 점착성을 갖는 이방산란 점착부재를 얻을 수 있다.

Claims (7)

  1. 적어도 광중합성의 관능기를 가지는 모노머 및/또는 올리고머 (제 1 수지성분)를 함유하는 광경화 수지 조성물을 경화하여 이루어지는 수지층을 갖고,
    이 수지층의 경화 후 유리 전이 온도가 -85 ~ 0℃ 이며,
    이 수지층을 투과하는 입사광의 직선 투과광량이 이 수지층에 대한 해당 입사광의 입사각에 따라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방산란 점착부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층 중에 형성된 이웃하는 경화 영역의 굴절률이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방산란 점착부재.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층이 매트릭스와, 이 매트릭스 중에 형성된 특정 경화 영역으로 이루어지고, 매트릭스와 특정 경화 영역의 굴절률이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방산란 점착부재.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광경화 수지 조성물이 광중합성의 관능기를 가지는 고굴절률 모노머 (제 2 수지성분)를 배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방산란 점착부재.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층의 180도 박리 점착력이 1 ~ 30 N/25㎜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방산란 점착부재.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직선 투과광량이 산란 중심축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방산란 점착부재.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층의 적어도 한 쪽에 투명 기체를 적층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방산란 점착부재.
KR1020070012560A 2006-02-14 2007-02-07 이방산란 점착부재 KR2007008202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6037280A JP2007219027A (ja) 2006-02-14 2006-02-14 異方散乱粘着部材
JPJP-P-2006-00037280 2006-02-14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82024A true KR20070082024A (ko) 2007-08-20

Family

ID=383689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12560A KR20070082024A (ko) 2006-02-14 2007-02-07 이방산란 점착부재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070190317A1 (ko)
JP (1) JP2007219027A (ko)
KR (1) KR20070082024A (ko)
CN (1) CN101246221A (ko)
TW (1) TW200741254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738006B2 (ja) * 2011-03-01 2015-06-17 株式会社巴川製紙所 光学フィルム
JP5862945B2 (ja) * 2011-11-30 2016-02-16 国立研究開発法人産業技術総合研究所 光散乱素子の製造方法
WO2013088997A1 (ja) * 2011-12-15 2013-06-20 東レ株式会社 面発光体および前面フィルム
JP7040959B2 (ja) * 2018-02-21 2022-03-23 リンテック株式会社 光拡散粘着剤組成物、光拡散粘着剤シート、及び光拡散粘着剤シート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789858T2 (de) * 1986-12-18 1994-09-01 Nippon Sheet Glass Co Ltd Platten für Lichtkontrolle.
US5767935A (en) * 1995-08-31 1998-06-16 Sumitomo Chemical Company, Limited Light control sheet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comprising the same
JPH10119168A (ja) * 1996-10-23 1998-05-12 Saitama Gomme Kogyo Kk 剥離シートを用いない粘着剤付き機能性シート
JPH11223712A (ja) * 1998-02-09 1999-08-17 Tomoegawa Paper Co Ltd 拡散粘着シートおよびそれを用いた液晶表示装置
JP4928693B2 (ja) * 2001-09-17 2012-05-09 株式会社巴川製紙所 制御された散乱・透過特性を有する光学積層体
JP3972651B2 (ja) * 2001-12-26 2007-09-05 凸版印刷株式会社 光散乱フィルムとそれを用いた表示装置
WO2004044629A1 (ja) * 2002-11-14 2004-05-27 Tomoegawa Paper Co., Ltd. 異方性光拡散粘着層、異方性光拡散粘着積層体、及び異方性光拡散粘着積層体を有する照明装置
JP4152341B2 (ja) * 2004-03-31 2008-09-17 株式会社巴川製紙所 異方性拡散媒体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5265915A (ja) * 2004-03-16 2005-09-29 Tomoegawa Paper Co Ltd 異方性拡散媒体及びその製造方法
JP4455139B2 (ja) * 2004-04-21 2010-04-21 日東電工株式会社 フラットパネルディスプレイ用マザーガラス保護フィルムおよびその用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246221A (zh) 2008-08-20
JP2007219027A (ja) 2007-08-30
TW200741254A (en) 2007-11-01
US20070190317A1 (en) 2007-08-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16118B1 (ko) 이방성 광학 필름
KR100847702B1 (ko) 점접착시트, 적층시트 및 액정표시장치
JP5296575B2 (ja) 光硬化性接着剤組成物、偏光板とその製造法、光学部材及び液晶表示装置
JP5120715B2 (ja) 偏光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光学部材、液晶表示装置
KR101154807B1 (ko) 방현성 코팅 조성물, 방현 필름 및 그의 제조방법
JP5667554B2 (ja) 光硬化性接着剤組成物、偏光板とその製造法、光学部材及び液晶表示装置
KR100447671B1 (ko) 광학시트 및 그 제조방법
CN110214286B (zh) 使用了各向异性光学膜的导光层叠体及使用了该导光层叠体的面状光源装置
KR102045391B1 (ko) 이방성 광학 필름
KR20140134228A (ko) 하드 코트 필름, 편광판 및 화상 표시 장치
JP6716313B2 (ja) 異方性光学フィルムの製造方法
WO2006043508A1 (ja) 異方性拡散媒体
TW201722702A (zh) 分段式轉移膠帶及其製作與使用方法
JP2006323379A (ja) 光制御膜の製造方法
JP2005265915A (ja) 異方性拡散媒体及びその製造方法
KR20070082024A (ko) 이방산란 점착부재
JP5596207B2 (ja) 光硬化性接着剤組成物、偏光板とその製造法、光学部材及び液晶表示装置
KR20070094519A (ko) 표면에 미세 요철을 형성하는 코팅 조성물 및 그의 응용
JP6542007B2 (ja) 異方性光学フィルム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286381B1 (ko) 자외선 경화형 접착층 전사 시트 및 차광 패턴의 형성 방법
KR102636766B1 (ko) 편광 필름 보호용 적층체 및 그 제조 방법
KR20220127153A (ko) 적층체
TW202235445A (zh) 各向異性光學膜用組成物及各向異性光學膜
TW202246814A (zh) 各向異性光擴散膜及顯示裝置
WO2020004804A1 (ko) 편광판, 액정 패널 및 디스플레이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