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73549A - 복수의 사용 제한 정보들을 포함하는 컨텐트를 임포트하는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복수의 사용 제한 정보들을 포함하는 컨텐트를 임포트하는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73549A
KR20070073549A KR1020060021837A KR20060021837A KR20070073549A KR 20070073549 A KR20070073549 A KR 20070073549A KR 1020060021837 A KR1020060021837 A KR 1020060021837A KR 20060021837 A KR20060021837 A KR 20060021837A KR 20070073549 A KR20070073549 A KR 200700735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usage
information
content file
determin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218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13973B1 (ko
Inventor
윤영선
김봉선
남수현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US11/519,855 priority Critical patent/US20070156598A1/en
Priority to PCT/KR2006/005818 priority patent/WO2007078109A1/en
Priority to TW095150034A priority patent/TWI390926B/zh
Priority to EP06127359A priority patent/EP1814052A3/en
Priority to CN201310247622XA priority patent/CN103400058A/zh
Priority to JP2007000250A priority patent/JP5111860B2/ja
Publication of KR200700735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735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139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139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7/00Digital computing or data processing equipment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functi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1/00Details of 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nly semiconductor devices or only unspecified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 H03F1/32Modifications of amplifiers to reduce non-linear distortion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3/00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r only semiconductor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 H03F3/20Power amplifiers, e.g. Class B amplifiers, Class C amplifiers
    • H03F3/21Power amplifiers, e.g. Class B amplifiers, Class C amplifiers with semiconductor devices only
    • H03F3/217Class D power amplifiers; Switching amplifier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MCODING; DECODING; CODE CONVERSION IN GENERAL
    • H03M1/00Analogue/digital conversion; Digital/analogue conversion
    • H03M1/10Calibration or testing
    • H03M1/1009Calibration
    • H03M1/1033Calibration over the full range of the converter, e.g. for correcting differential non-linearit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10Protecting distributed programs or content, e.g. vending or licensing of copyrighted material ; Digital rights management [DRM]
    • G06F21/107License processing; Key processing
    • G06F21/1073Conversion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mplifiers
    • H03F2200/03Indexing scheme relating to amplifiers the amplifier being designed for audio applicati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mplifiers
    • H03F2200/144Indexing scheme relating to amplifiers the feedback circuit of the amplifier stage comprising a passive resistor and passive capacitor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mplifiers
    • H03F2200/351Pulse width modulation being used in an amplifying circuit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mplifiers
    • H03F2200/372Noise reduction and elimination in amplifier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MCODING; DECODING; CODE CONVERSION IN GENERAL
    • H03M1/00Analogue/digital conversion; Digital/analogue conversion
    • H03M1/66Digital/analogue converters
    • H03M1/82Digital/analogue converters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to time interval
    • H03M1/822Digital/analogue converters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to time interval using pulse width modul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Multimedia (AREA)
  • Technology Law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Storage Device Security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DRM(Digital Rights Management) 시스템에서의 디지털 컨텐트의 보호에 관한 것으로, 제 1 컨텐트 파일에 포함된 정보들을 기반으로 제 1 컨텐트 파일에 포함된 컨텐트 부분들 각각의 사용 규칙들을 결정하고, 이 사용 규칙들을 따르는 제 2 컨텐트 파일을 생성함으로서 외부로부터 수신된 컨텐트 파일에 포함된 전체 컨텐트 중 사용자가 정당한 권한을 가지고 있는 컨텐트 부분만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Description

복수의 사용 제한 정보들을 포함하는 컨텐트를 임포트하는 장치 및 방법 {Apparatus and method for importing a content including a plurality of Usage constraint Informations}
도 1은 종래의 디지털 컨텐트 보호 환경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컨텐트 보호 환경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트 임포트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UCI/UR 매핑 테이블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라이센스의 포맷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a-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트 임포트 방법의 흐름도이다.
본 발명은 디지털 컨텐트의 보호에 관한 것으로, 특히 DRM(Digital Rights Management) 시스템에서의 디지털 컨텐트의 보호에 관한 것이다.
아날로그 시대로부터 디지털 시대로 전환됨에 따라 많은 컨텐츠가 디지털로 제작되고 있다. 아날로그 컨텐트는 그 복사에 많은 노력과 시간이 소요되나, 디지털 컨텐트는 그 복사가 용이하고 신속하게 이루어진다. 또한, 아날로그 컨텐트는 그 복사 횟수에 비례하여 그 품질이 저하되나, 디지털 컨텐트는 그 복사 횟수에 상관없이 동일한 품질을 유지한다. 이에 따라, 디지털 컨텐트 보호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되었고, 디지털 컨텐트 보호에 관한 다양한 연구들이 여러 기업들에 의해서 진행되고 있다.
도 1은 종래의 디지털 컨텐트 보호 환경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디지털 컨텐트 보호 환경에서는 다양한 브로드캐스트 전송 채널들을 통하여 전송 스트림을 수신하고, 이것에 포함된 정보를 이용하여 컨텐트를 보호하고자 하였다.
특히, 미국 케이블랩스(CableLabs)라는 단체는 컨텐트의 복사를 제어하기 위하여 컨텐트에 복사 제어 정보(CCI, Copy Control Information)를 첨부하도록 하였다. 복사 제어 정보란 컨텐트의 복사의 횟수를 제한하는 2 비트의 정보를 말하며, 이것의 종류에는 카피 프리(copy free, 00), 카피 원스(copy once, 01), 카피 노모어(copy no more, 10) 및 카피 네버(copy never, 11)가 있다. 카피 프리는 컨텐트의 무제한 복사가 허용됨을 나타내고, 카피 원스는 컨텐트의 일회 복사만 허용됨을 나타낸다. 카피 원스인 컨텐트가 복사되면, 이 컨텐트는 카피 노모어가 된다. 카피 네버는 컨텐트의 복사 금지를 나타낸다.
또한, 미국의 연방 통신 위원회(FCC, Federal Communications Commission)는 미국 내에서 방송되는 HD(High Definition) 급 디지털 컨텐트에 대하여 컨텐트의 무제한 재배포를 금지하기 위하여 컨텐트에 브로드캐스트 플래그(broadcast flag)를 첨부하도록 하였다. 브로드캐스트 플래그란 컨텐트의 무제한 재배포의 금지 여부를 나타내는 1 비트의 정보를 말하며, 이것의 종류에는 브로드캐스트 플래그 온(on, 1) 및 브로드캐스트 플래그 오프(off, 0)가 있다. 브로드캐스트 플래그 온은 컨텐트의 무제한 재배포가 허용되지 않음을 나타내고, 브로드캐스트 플래그 오프는 컨텐트의 무제한 재배포가 허용됨을 나타낸다.
그런데, 디지털 컨텐트를 보호하기 위하여 제시된 종래의 복사 제어 정보, 브로드캐스트 플래그 등은 그 표현 내용이 매우 간단하고 한정적이어서, 사용자로부터의 컨텐트의 자유로운 사용 요구에 대응하여 컨텐트를 보호하기에는 매우 미흡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복사 제어 정보, 브로드캐스트 플래그 등만으로는 컨텐트가 유통이 될 때 컨텐트에 대한 정당한 권한을 가진 사용자만을 선별하여 이 컨텐트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어렵고, 특히 불특정 다수에게 이 컨텐트가 불법적으로 재 배포되거나 사용될 위험을 방지하는데 효과적이지 못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사용자로부터의 컨텐트의 자유로운 사용 요구에 대응하여 컨텐트를 보호할 수 있으며, 컨텐트에 대한 정당한 권한을 가진 사용자만이 이 컨텐트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할 수 있고, 불특정 다수에게 이 컨텐트가 불법적으로 재 배포되거나 사용될 위험을 방지할 수 있게 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상기된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라, 제 1 컨텐트 파일을 제 2 컨텐트 파일로 임포트(import)하는 장치는 상기 제 1 컨텐트 파일에 포함된 정보들을 기반으로 상기 제 1 컨텐트 파일에 포함된 컨텐트 부분들 각각의 사용 규칙들을 결정하는 사용 규칙 결정부; 및 상기 결정된 사용 규칙들을 따르는 상기 제 2 컨텐트 파일을 생성하는 컨텐트 파일 생성부를 포함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라, 제 1 컨텐트 파일을 제 2 컨텐트 파일로 임포트(import)하는 방법은 상기 제 1 컨텐트 파일에 포함된 제 1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제 1 컨텐트 파일에 포함된 제 1 컨텐트 부분의 사용 규칙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제 1 컨텐트 파일에 포함된 제 2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제 1 컨텐트 파일에 포함된 제 2 컨텐트 부분의 사용 규칙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된 사용 규칙들을 따르는 상기 제 2 컨텐트 파일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기된 임포트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를 제공한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 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컨텐트 보호 환경은 DRM(Digital Rights Management) 시스템(100), HDCP(High Bandwidth Digital Content Protection) 시스템(200) 및 DTCP(Digital Transmission Content Protection) 시스템(300)과 같은 다양한 컨텐트 보호 시스템과 이것들에 의한 보호를 받는 다수의 디바이스들(21-23)로 구성된다.
DRM 시스템(100)은 외부로부터 수신된 컨텐트의 권리를 관리하기 위한 시스템이다. HDCP 시스템(200)은 DVI(Digital Video Interface)와 같은 고 대역폭 인터페이스를 통해 디지털 디스플레이로 출력되는 컨텐트의 복사를 방지하기 위한 시스템이다. DTCP 시스템(300)은 IEEE(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 1394 규격을 따르는 USB(Universal Serial Bus)를 통해서 전송되는 컨텐트의 복사를 방지하기 위한 시스템이다. 상기된 바와 같은 컨텐트 보호 시스템 이외에도 CAS(Conditional Access System) 시스템, CPRM(Content Protection for Recordable Media) 시스템 등과 같은 다른 컨텐트 보호 시스템이 더 포함될 수 있음을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예에 따르면, DRM 시스템(100)은 종래의 복사 제어, 브로드캐스트 플래그 등에 의해 보호되는 컨텐트를 컨텐트 제작자 및 컨텐트 공급자의 보안 요구를 준수하면서도 동시에 컨텐트 사용자의 자유로운 사용 요구를 보다 충분히 만족시킬 수 있도록 설계된 DRM 시스템(100)의 규칙을 따르는 컨텐트로 임포트하는 컨텐트 임포트 장치(1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의 컨텐트 임포트란 DRM 시스템(100)의 규칙에 따라 컨텐트를 구성하는 컨텐트 부분들 각각의 라이센스를 발급하고, 이 컨텐트 부분들을 암호화하는 과정을 말한다. 즉, 본 실시예에서의 컨텐트 임포트란 DRM 시스템(100)의 규칙을 따르지 않는 컨텐트 파일을 DRM 시스템(100)의 규칙을 따르는 컨텐트 파일로 변환하는 과정을 말한다. 특히, 컨텐트 중 어느 부분이 하나의 컨텐트 부분인지는 사용 제한 정보 또는 라이센스에 의하여 구별된다. 즉, 컨텐트 부분들 각각은 서로 다른 사용 제한 정보 또는 라이센스를 갖는다.
본 실시예에서의 컨텐트 파일이란 컨텐트 부분들 및 이것들 각각에 대한 복사 제어 정보들 또는 라이센스들 등을 포함하는 파일을 말한다. 특히, 컨텐트 파일이란 용어는 단순히 컨텐트란 용어로 호칭될 수도 있음을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트 임포트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도 2에 도시된 컨텐트 임포트 장치(10)는 수신부(101), 검출부(102), 사용 범위 결정부(103), 사용 규칙 결정부(104), 컨텐트 아이디/키 생성부(105), 암호화부(106), 제 1 암호화부(1061), 제 2 암호화부(1062), 라이센스 발급 시점 측정부(107), 전자 서명부(108), 라이센스 발급부(109), 컨텐트 파일 생성부(110), 저장부(111), 스토리지(112) 및 송수신부(113)로 구성된다.
수신부(101)는 다양한 브로드캐스트 전송 채널들을 통하여 전송 스트림을 수 신한다. 예를 들어, 수신부(101)는 인공 위성, 지상 기지국 등의 무선 매체를 통하여 전송 스트림을 수신할 수도 있고, 인터넷 등의 유선 매체를 통하여 전송 스트림을 수신할 수도 있고, DVD(Digital Versatile Disk) 등의 기록 매체를 통하여 전송 스트림을 수신할 수도 있다.
검출부(102)는 수신부(101)에 수신된 전송 스트림으로부터 어느 하나의 컨텐트 파일을 검출하고, 이 컨텐트 파일로부터 복수의 컨텐트 부분들 및 이 컨텐트 부분들 각각에 대한 사용 제한 정보(UCI, Usage Constraint Information)들을 검출한다. 검출부(102)에 의해 검출된 컨텐트 파일은 DRM 시스템(100)의 규칙을 따르지 않으며, 종래의 복사 제어 정보 또는 브로드캐스트 플래그를 포함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컨텐트 파일에 포함된 컨텐트 부분들은 DRM 시스템(100)에 의해 보호될 수도 있고, 종래의 HDCP 시스템(200) 또는 DTCP 시스템(300)에 의해 보호될 수도 있다. 다만, 이 컨텐트 파일에 포함된 컨텐트 부분들이 DRM 시스템(100)에 의해 보호되기 위해서는 검출부(102)에 의해 검출된 컨텐트 파일을 DRM 시스템(100)의 규칙을 따르는 컨텐트 파일로 임포트하여야 한다.
사용 제한 정보의 예로는 종래의 복사 제어 정보, 브로드캐스트 플래그 등을 들 수 있다. 상기된 바와 같이, 복사 제어 정보란 컨텐트 부분의 복사의 횟수를 제한하는 정보를 말하며, 이것의 종류에는 카피 프리, 카피 원스, 카피 노모어 및 카피 네버가 있다. 또한, 브로드캐스트 플래그란 컨텐트 부분의 무제한 재배포의 금지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를 말하며, 이것의 종류에는 브로드캐스트 플래그 온 및 브로드캐스트 플래그 오프가 있다.
그런데, 카피 노모어는 카피 원스인 컨텐트 부분이 일회 복사됨에 따라 발생된 복사 제어 정보이기 때문에 DRM 시스템(100)은 카피 노모어인 컨텐트 부분을 수신할 수 없고, 이에 따라 카피 노모어인 컨텐트 부분을 임포트하는 경우는 없다. 왜냐하면, DRM 시스템(10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양한 브로드캐스트 전송 채널들을 통하여 전송 스트림을 최초로 수신하는 컨텐트 보호 시스템으로서 카피 노모어인 컨텐트 부분을 수신하는 경우는 발생할 수 없기 때문이다. 또한, 카피 네버는 컨텐트 부분의 복사 금지를 나타내기 때문에 DRM 시스템(100)은 카피 네버인 컨텐트 부분을 복사할 수 없고, 이에 따라 카피 네버인 컨텐트 부분을 임포트할 수 없다. 왜냐하면, DRM 시스템(100)이 어느 하나의 컨텐트 부분을 임포트하기 위해서는 DRM 시스템(100)의 규칙을 따르지 않는 컨텐트 파일에 포함된 컨텐트 부분을 복사하고, 이것을 DRM 시스템(100)의 규칙을 따르는 컨텐트 파일에 포함시켜야 하기 때문이다.
또한, 브로드캐스트 플래그 오프인 컨텐트 부분은 컨텐트 부분의 무제한 재배포가 허용되기 때문에 DRM 시스템(100)에 의한 컨텐트 보호가 불필요하다. 따라서, DRM 시스템(100)은 브로드캐스트 플래그 오프인 컨텐트 부분을 임포트할 필요가 없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르면, 컨텐트 임포트 장치(100)가 카피 노모어, 카피 네버 또는 브로드캐스트 오프인 컨텐트 부분을 임포트하는 경우는 없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컨텐트 부분의 사용 제한 정보가 카피 노모어, 카피 네버, 브로드캐스트 오프인 경우를 제외하고 설명하기로 한다.
사용 범위 결정부(103)는 DRM 시스템(100)의 규칙에 따라 검출부(102)에 의 해 검출된 사용 제한 정보들을 기반으로 검출부(102)에 의해 검출된 컨텐트 부분들 각각의 사용 범위(usage bind)들을 결정한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사용 범위 결정부(103)는 검출부(102)에 의해 검출된 컨텐트 부분들 각각의 사용 범위들을 어느 하나의 디바이스로 한정하는 디바이스 범위(device bound)로 결정하거나, 아니면 어느 하나의 도메인에 포함된 모든 디바이스로 한정하는 도메인 범위(domain bound)로 결정한다.
검출부(102)에 의해 검출된 사용 제한 정보가 복사 제어 정보인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사용 범위 결정부(103)는 검출부(102)에 의해 검출된 컨텐트 부분들 중 복사 제어 정보가 카피 프리인 컨텐트 부분에 대해서는 DRM 시스템(100)의 규칙에 따라 이 컨텐트 부분의 사용 범위를 어느 하나의 디바이스로 한정하는 디바이스 범위(device bound)로 결정하거나, 아니면 어느 하나의 도메인에 포함된 모든 디바이스로 한정하는 도메인 범위(domain bound)로 결정한다. 또한, 사용 범위 결정부(103)는 검출부(102)에 의해 검출된 컨텐트 부분들 중 복사 제어 정보가 카피 원스인 컨텐트 부분에 대해서는 DRM 시스템(100)의 규칙에 따라 이 컨텐트 부분의 사용 범위를 디바이스 범위로 결정한다.
카피 프리는 컨텐트 부분의 무제한 복사가 허용됨을 나타내기 때문에 디바이스 범위 또는 도메인 범위 둘 다 가능하다. 그러나, 카피 원스는 컨텐트 부분의 일회 복사만 허용됨을 나타내기 때문에 디바이스 범위만 가능하다. 왜냐하면, 컨텐트 부분의 사용 범위가 도메인 범위로 결정될 경우, 어느 하나의 도메인에 포함된 디바이스들은 이들간의 컨텐트 부분의 자유로운 복사가 허용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다음으로, 검출부(102)에 의해 검출된 사용 제한 정보가 브로드캐스트 플래그인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사용 범위 결정부(103)는 검출부(102)에 의해 검출된 컨텐트 부분들 중 브로드캐스트 플래그가 브로드캐스트 플래그 온인 컨텐트 부분에 대해서는 DRM 시스템(100)의 규칙에 따라 이 컨텐트 부분의 사용 범위를 디바이스 범위로 결정하거나, 아니면 도메인 범위로 결정한다. 브로드캐스트 플래그가 브로드캐스트 플래그 온인 경우에는 컨텐트 부분의 무제한 재배포가 허용되지 않음을 나타내기 때문에 디바이스 범위 또는 도메인 범위 둘 다 가능하다. 왜냐하면, 디바이스 범위 내에서의 컨텐트 부분 사용은 당연히 컨텐트 부분의 무제한 재배포 금지에 부합하고, 도메인 범위도 사용자에 의해 인식 가능한 특정 지역이기 때문에 도메인 범위 내에서의 컨텐트 부분 사용도 컨텐트 부분의 무제한 재배포 금지에 부합하기 때문이다.
일반적으로, 어떤 디바이스들이 어떤 도메인을 구성하는 지에 관해서는 사용자에 의해 미리 설정되기 때문에 도메인 범위는 사용자 범위로 표현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된 바와 같이, DRM 시스템(100)의 규칙은 컨텐트 제작자 및 컨텐트 공급자의 보안 요구를 준수하면서도 동시에 컨텐트 사용자의 자유로운 사용 요구를 보다 충분히 만족시킬 수 있는 방향으로 결정되기 때문에, 사용 범위 결정부(103)는 이와 같은 방향에서 컨텐트 부분들 각각의 사용 범위들을 디바이스 범위로 결정하거나, 아니면 도메인 범위로 결정한다. 다만, 디바이스 범위는 도메인 범위로 결정되는 것이 사용 제한 정보에 위반되는 경우에만 결정되도록 한다. 왜냐하면, 사용자의 컨텐트 사용 권리를 제한할 수 있기 때문이다.
사용 규칙 결정부(104)는 DRM 시스템(100)의 규칙에 따라 검출부(102)에 의해 검출된 사용 제한 정보들을 기반으로 검출부(102)에 의해 검출된 컨텐트 부분들 각각의 사용 규칙(usage rule)들을 결정한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사용 규칙 결정부(104)는 사용 범위 결정부(103)에 의해 결정된 사용 범위들마다 컨텐트 부분들 각각의 사용 규칙을 결정한다. 즉, 사용 규칙 결정부(104)는 사용 범위 결정부(103)에 의해 디바이스 범위로 결정된 컨텐트 부분에 대해서는 어느 하나의 디바이스에서의 사용 규칙을 결정한다. 또한, 사용 규칙 결정부(104)는 사용 범위 결정부(103)에 의해 결정된 도메인 범위로 결정된 컨텐트 부분에 대해서는 어느 하나의 도메인에서의 사용 규칙을 결정한다.
DRM 시스템(100)의 규칙은 컨텐트 제작자 및 컨텐트 공급자의 보안 요구를 준수하면서도 동시에 컨텐트 사용자의 자유로운 사용 요구를 보다 충분히 만족시킬 수 있는 방향으로 결정되기 때문에, 사용 규칙 결정부(104)는 이와 같은 방향에서 컨텐트 부분들 각각의 사용 규칙을 결정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UCI/UR 매핑 테이블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UCI/UR 매핑 테이블은 사용 제한 정보 필드(41), 임포트 필드(42), 사용 범위 필드(43) 및 사용 규칙 필드(44)로 구성된다. 특히, 도 4에 도시된 UCI/UR 매핑 테이블은 컨텐트를 구성하는 컨텐트 부분들 중 어느 하나에 대한 것이다.
사용 제한 정보 필드(41)에는 컨텐트 부분의 사용 제한 정보가 기록된다. 임 포트 필드(42)에는 사용 제한 정보 필드(41)에 기록된 사용 제한 정보를 갖는 컨텐트 부분이 임포트 가능한지 여부를 나타내는 값이 기록된다. 사용 범위 필드(43)에는 사용 제한 정보 필드(41)에 기록된 사용 제한 정보를 기반으로 하는 사용 범위가 기록된다. 사용 규칙 필드(44)에는 사용 범위 필드(43)에 기록된 사용 범위 별로 사용 제한 정보 필드(41)에 기록된 사용 제한 정보를 기반으로 하는 사용 규칙이 기록된다.
특히, 사용 규칙 필드(44)에 기록된 값들 중 "올(all)"은 컨텐트 부분에 대한 모든 종류의 사용이 가능함을 나타낸다. 또한, 사용 규칙 필드(44)에 기록된 값들 중 "M"은 컨텐트 부분의 이동(Move)을 나타낸다. 컨텐트 부분의 이동이란 어느 하나의 디바이스에 저장된 컨텐트 부분이 이 디바이스로부터 삭제됨과 동시에 다른 디바이스에 저장됨을 의미한다. 또한, 사용 규칙 필드(44)에 기록된 값들 중 "S"는 컨텐트 부분의 스트리밍(Streaming)을 나타낸다. 컨텐트 부분의 스트리밍이란 어느 하나의 디바이스에 저장된 컨텐트 부분이 다른 디바이스로 잠시 출력되나, 원래 디바이스에서 컨텐트 부분을 계속적으로 저장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사용 규칙 필드(44)에 기록된 값들 중 "P"는 컨텐트 부분의 재생(Play)을 나타낸다. 컨텐트 부분의 재생이란 어느 하나의 디바이스가 컨텐트 부분을 재생함을 의미한다.
카피 프리는 컨텐트 부분의 무제한 복사가 허용됨을 나타내기 때문에, 사용 제한 정보가 카피 프리인 경우에는 사용 범위 필드(43)에 디바이스, 도메인이 기록되고, 사용 규칙 필드(44)에 "올"이 기록된다. 반면, 카피 원스는 컨텐트 부분의 일회 복사만 허용됨을 나타내기 때문에, 사용 제한 정보가 카피 원스인 경우에는 사용 범위 필드(43)에 디바이스가 기록되고, 사용 규칙 필드(44)에 "M, S, P"가 기록된다.
컨텐트 부분의 사용 예들로는 상기된 이동, 스트리밍, 재생 이외에도 복사 등이 있다. 컨텐트 부분의 복사란 본 실시예에 따라 임포트된 컨텐트 부분을 복사함을 의미한다. 그런데, 컨텐트 임포트 장치(10)가 컨텐트 부분을 임포트하기 위해서는 컨텐트 부분 복사가 전제되어야 하고, 그 결과 본 실시예에 따라 임포트된 컨텐트 부분을 복사한다면 2 회의 복사가 이루어지게 된다. 따라서, 컨텐트 임포트 장치(10)는 카피 원스인 컨텐트 부분을 임포트할 수는 있으나, 본 실시예에 따라 임포트된 컨텐트 부분을 복사하도록 허용할 수는 없다. 이것이 사용 제한 정보가 카피 원스인 경우에 사용 규칙 필드(44)에 "M, S, P"만이 기록되는 이유이다.
브로드캐스트 플래그 온은 컨텐트 부분의 무제한 재배포가 허용되지 않음을 나타내기 때문에 브로드캐스트 플래그가 브로드캐스트 플래그 온인 경우에는 사용 범위 필드(43)에 디바이스, 도메인이 기록되고, 사용 규칙 필드(44)에 "올"이 기록된다. 디바이스 범위 내에서의 컨텐트 부분의 복사를 포함한 어떠한 형태의 사용도 컨텐트 부분의 무제한 재배포 금지에 부합하고, 도메인 범위도 사용자에 의해 인식 가능한 특정 지역이기 때문에 도메인 범위 내에서의 컨텐트 부분의 복사를 포함한 어떠한 형태의 사용도 컨텐트 부분의 무제한 재배포 금지에 부합한다.
컨텐트 아이디/키 생성부(105)는 DRM 시스템(100)의 규칙에 따라 검출부(102)에 의해 검출된 컨텐트 부분들 각각의 아이디들을 생성하고, 이 컨텐트 아이디들 각각에 대응하는 컨텐트 키들을 생성한다. 컨텐트 아이디/키 생성부(105)에 의해 생성된 컨텐트 키들은 검출부(102)에 의해 검출된 컨텐트 부분들을 암호화하는데 사용된다.
암호화부(106)는 검출부(102)에 의해 검출된 사용 제한 정보들 각각을 기반으로 검출부(102)에 의해 검출된 컨텐트 부분들을 선택적으로 암호화한다. 즉, 복사 제어 정보가 카피 노모어, 카피 네버인 경우나 브로드캐스트 플래그가 브로드캐스트 플래그 오프인 경우에 컨텐트 임포트 장치(10)는 컨텐트를 임포트하지 않기 때문에, 암호화부(106)는 검출부(102)에 의해 검출된 컨텐트 부분들을 암호화하지 않는다. 암호화부(106)는 컨텐트 키들을 암호화하는 제 1 암호화부(1061) 및 컨텐트 부분들을 암호화하는 제 2 암호화부(1062)로 구성된다.
제 1 암호화부(1061)는 사용 범위 결정부(103)에 의해 결정된 사용 범위들 각각에 대응하는 암호화 키들로 컨텐트 아이디/키 생성부(105)에 의해 생성된 컨텐트 키들을 암호화한다. 즉, 제 1 암호화부(1061)는 사용 범위 결정부(103)에 의해 디바이스 범위로 결정된 컨텐트 부분에 대해서는 어느 하나의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암호화 키(이하 "디바이스 키"라 함)로 이 컨텐트 부분의 암호화에 사용될 컨텐트 키를 암호화한다. 또한, 제 1 암호화부(1061)는 사용 범위 결정부(103)에 의해 도메인 범위로 결정된 컨텐트 부분에 대해서는 어느 하나의 도메인에 대응하는 암호화 키(이하 "도메인 키"라 함)로 이 컨텐트 부분의 암호화에 사용될 컨텐트 키들을 암호화한다.
이에 따라, 컨텐트 임포트 장치(10)에 의해 임포트된 컨텐트를 수신한 디바이스들 중 컨텐트 키 암호화에 사용된 디바이스 키 또는 도메인 키를 보유한 디바 이스만이 제 1 암호화부(1061)에 의해 암호화된 컨텐트 키를 복호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암호화 과정을 통하여 전체 컨텐트 중 사용자가 정당한 권한을 가지고 있는 컨텐트 부분만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할 수 있고, 컨텐트 부분 단위로 불특정 다수에게 불법적으로 재 배포되거나 사용될 위험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디바이스 또는 도메인만이 컨텐트 키들을 획득할 수 있도록 하려면, 제 1 암호화부(1061)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디바이스 키 또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도메인에 대응하는 도메인 키로 컨텐트 키들을 암호화하면 된다. 다만, 제 1 암호화부(1061)는 어떤 디바이스와 어떤 암호화 키가 서로 대응하는지를 알고 있어야 하는데, 이것에 관한 정보는 도메인 관리자(미 도시) 등과 같은 서버로부터 얻을 수 있다.
제 2 암호화부(1062)는 컨텐트 아이디/키 생성부(105)에 의해 생성된 컨텐트 키들 각각으로 검출부(102)에 의해 검출된 컨텐트 부분들을 선택적으로 암호화한다.
라이센스 발급 시점 측정부(107)는 제 1 암호화부(1061)에 의한 암호화가 완료되어 컨텐트 부분들 각각의 라이센스들을 발급할 준비가 완료되면, 라이센스들 각각이 발급될 시점들을 측정한다. 이와 같이 측정된 라이센스 발급 시점들을 라이센스들에 삽입함으로서 컨텐트 임포트 장치(10)에 의해 임포트된 컨텐트를 수신한 디바이스들 중 이 라이센스 발급 시점들에서 정당한 권한을 보유한 디바이스만이 컨텐트 부분의 사용을 할 수 있도록 한다. 그런데, 라이센스의 발급 시점들이 조작된다면, 컨텐트 제작자 및 컨텐트 공급자의 보안 요구를 준수할 수 없게 되고, 그 결과 DRM 시스템(100)의 컨텐트 보호 기능이 제대로 발휘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라이센스 발급 시점들은 반드시 임의로 조작이 불가능한 보안 시간(secure time)을 사용하여야 한다.
전자 서명부(108)는 DRM 시스템(100)의 규칙에 따라 사용 규칙 결정부(104)에 의해 결정된 사용 규칙들 각각 및 라이센스 발급 시점 측정부(107)에 의해 측정된 라이센스 발급 시점들 각각에 전자 서명을 한다. 일반적으로, 전자 서명은 문서 또는 메시지가 변조되지 않았음을 보증하기 위해 사용된다. 사용 규칙 결정부(104)에 의해 결정된 사용 규칙 또는 라이센스 발급 시점 측정부(107)에 의해 측정된 라이센스 발급 시점이 변조된다면, 컨텐트 제작자 및 컨텐트 공급자의 보안 요구를 준수할 수 없게 되고, 그 결과 DRM 시스템(100)의 컨텐트 보호 기능이 제대로 발휘될 수 없게 된다.
라이센스 발급부(109)는 DRM 시스템(100)의 규칙에 따라 전자 서명부(108)에 의해 전자 서명된 사용 규칙들과 라이센스 발급 시점들, 컨텐트 아이디/키 생성부(105)에 의해 생성된 컨텐트 아이디들, 제 1 암호화부(1061)에 의해 암호화된 컨텐트 키들 및 라이센스 발급 시점 측정부(107)에 의해 측정된 라이센스 발급 시점들을 포함하는 컨텐트 부분들 각각의 라이센스들을 생성하여 발급한다. 특히, 하나의 라이센스는 하나의 사용 제한 정보를 기반으로 하여 생성되기 때문에 하나의 라이센스는 하나의 전자 서명된 사용 규칙과 라이센스 발급 시점, 하나의 컨텐트 아이디, 하나의 컨텐트 키 및 하나의 라이센스 발급 시점으로 구성된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라이센스 발급부(109)는 사용 범위 결정부(103)에 의해 결정된 사용 범위들마다 사용 규칙 결정부(104)에 의해 결정된 사용 규칙들 각각을 포함하는 라이센스들을 생성하여 발급한다. 라이센스 발급부(109)는 사용 범위 결정부(103)에 의해 디바이스 범위로 결정된 컨텐트 부분에 대해서는 어느 하나의 디바이스에 대한 라이센스를 생성하여 발급한다. 또한, 라이센스 발급부(109)는 사용 범위 결정부(103)에 의해 도메인 범위로 결정된 컨텐트 부분에 대해서는 라이센스 발급부(109)는 어느 하나의 도메인에 대한 라이센스를 생성하여 발급한다.
컨텐트 파일 생성부(110)는 DRM 시스템(100)의 규칙에 따라 사용 규칙 결정부(104)에 의해 결정된 사용 규칙을 따르는 컨텐트 파일을 생성한다. 이것은 컨텐트 임포트 장치(10)에 의해 임포트된 컨텐트를 수신한 디바이스가 사용 규칙 결정부(104)에 의해 결정된 사용 규칙에 따라 컨텐트 부분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된 바와 같이, 사용 규칙 결정부(104)에 의해 결정된 사용 규칙들 각각은 라이센스 발급부(109)에 의해 발급된 라이센스들에 삽입된다. 즉, 컨텐트 파일 생성부(110)는 라이센스 발급부(109)에 의해 발급된 라이센스들 및 제 2 암호화부(1062)에 의해 암호화된 컨텐트 부분들을 포함하는 컨텐트 파일을 생성한다. 다만, 라이센스 발급부(109)에 의해 발급된 라이센스들 및 제 2 암호화부(1062)에 의해 암호화된 컨텐트 부분들은 하나로 패키징될 수도 있고, 서로 분리되어 패키징될 수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트 파일의 포맷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컨텐트 파일은 암호화된 컨텐트 부분들과 이것들 각각의 라이센스들로 구성된다. 도 5에 도시된 컨텐트 파일은 이 컨텐트 파일에 몇 개의 라이센스들이 포함되어 있는지를 신속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모든 라이센스들이 컨텐트 파일의 앞 부분에 배치되도록 하고, 라이센스들 다음에 암호화된 컨텐트 파일들이 배치되도록 하였다. 다만, 이와 달리, 암호화된 컨텐트 부분들과 이것들 각각의 라이센스가 연속적으로 배치되도록 할 수 있다.
라이센스들 각각은 컨텐트 아이디(51), 암호화된 컨텐트 키(52), 전자 서명된 사용 규칙 및 라이센스 발급 시점(53)으로 구성된다.
컨텐트 임포트 장치(10)에 의해 임포트된 컨텐트 부분을 수신한 디바이스는 도 5에 도시된 라이센스의 컨텐트 아이디(51)를 참조하여 컨텐트 임포트 장치(10)에 의해 임포트된 컨텐트 부분을 식별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컨텐트 임포트 장치(10)에 의해 임포트된 컨텐트 부분을 수신한 디바이스는 상기된 바와 같이 식별된 컨텐트 부분을 획득하기 위하여 도 5에 도시된 라이센스의 암호화된 컨텐트 키(52)에 대한 복호화를 시도한다. 상기된 바와 같이, 컨텐트 임포트 장치(10)에 의해 임포트된 컨텐트 부분을 수신한 디바이스들 중 컨텐트 키 암호화에 사용된 디바이스 키 또는 도메인 키를 보유한 디바이스만이 암호화된 컨텐트 키(52)를 복호할 수 있다. 또한, 컨텐트 임포트 장치(10)에 의해 임포트된 컨텐트 부분을 수신한 디바이스는 상기된 복호화에 의해 복원된 컨텐트 키로 컨텐트 임포트 장치(10)에 의해 임포트된 컨텐트 부분을 복호화한다. 상기된 바와 같이, 컨텐트 임포트 장치(10)에 의해 임포트된 컨텐트 부분은 암호화된 형태의 컨텐트 부분이기 때문이다.
또한, 컨텐트 임포트 장치(10)에 의해 임포트된 컨텐트를 수신한 디바이스는 도 5에 도시된 라이센스의 전자 서명된 사용 규칙 및 라이센스 발급 시점(53)이 변조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이 사용 규칙 및 라이센스의 발급 시점에 기초하여 사용자가 정당한 권한을 보유하고 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그 결과, 전자 서명된 사용 규칙 및 라이센스 발급 시점(53)이 변조되지 않았고, 사용자가 정당한 권한을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면, 컨텐트 임포트 장치(10)에 의해 임포트된 컨텐트를 수신한 디바이스는 도 5에 도시된 라이센스에 포함된 사용 규칙에 따라 컨텐트 부분을 사용한다. 이에 따라, 컨텐트 제작자 및 컨텐트 공급자의 보안 요구를 준수하면서도 동시에 컨텐트 사용자의 자유로운 사용 요구를 보다 충분히 만족시킬 수 있게 된다.
저장부(111)는 컨텐트 파일 생성부(110)에 의해 생성된 컨텐트 파일을 스토리지(112)에 저장한다.
송수신부(113)는 도 2에 도시된 디바이스들(21-23) 중 어느 하나로부터 컨텐트를 전송하여 달라는 요청을 수신하면, 이 디바이스로 스토리지(112)에 저장된 컨텐트 파일을 전송한다. 송수신부(111)는 이 디바이스가 지원하는 임의의 방식으로 컨텐트 파일을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면, SD(Secure Digital) 카드 같은 저장 매체를 통하여 컨텐트를 전송할 수도 있고, RTP(Real-time Transport Protocol)와 같은 전송 프로토콜에 따라 컨텐트를 전송할 수도 있다.
도 6a-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트 임포트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6a-b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컨텐트 임포트 방법은 도 3에 도시된 컨텐트 임포트 장치(10)에서 시계열적으로 처리되는 단계들로 구성된다. 따라서, 이하 생략된 내용이라 하더라도 도 3에 도시된 컨텐트 임포트 장치(10)에 관하여 이상에서 기술된 내용은 본 실시예에 따른 컨텐트 임포트 방법에도 적용된다.
601 단계에서 컨텐트 임포트 장치(10)는 다양한 브로드캐스트 전송 채널들을 통하여 전송 스트림을 수신한다.
602 단계에서 컨텐트 임포트 장치(10)는 601 단계에서 수신된 전송 스트림으로부터 어느 하나의 컨텐트 파일을 검출한다.
603 단계에서 컨텐트 임포트 장치(10)는 602 단계에서 수신된 컨텐트 파일로부터 어느 하나의 컨텐트 부분 및 이 컨텐트 부분에 대한 사용 제한 정보를 검출한다.
604 단계에서 컨텐트 임포트 장치(10)는 DRM 시스템(100)의 규칙에 따라 603 단계에서 검출된 사용 제한 정보를 기반으로 603 단계에서 검출된 컨텐트 부분의 사용 범위를 결정한다.
605 단계에서 컨텐트 임포트 장치(10)는 604 단계에서 결정된 사용 범위가 디바이스 범위라면 606 단계로 진행하고, 도메인 범위라면 607 단계로 진행한다.
606 단계에서 컨텐트 임포트 장치(10)는 603 단계에서 검출된 사용 제한 정보를 기반으로 604 단계에서 디바이스 범위로 결정된 컨텐트 부분에 대하여 어느 하나의 디바이스에서의 사용 규칙을 결정한다.
607 단계에서 컨텐트 임포트 장치(10)는 603 단계에서 검출된 사용 제한 정 보를 기반으로 604 단계에서 도메인 범위로 결정된 컨텐트 부분에 대하여 어느 하나의 디바이스에서의 사용 규칙을 결정한다.
608 단계에서 컨텐트 임포트 장치(10)는 DRM 시스템(100)의 규칙에 따라 603 단계에서 검출된 컨텐트 부분의 아이디를 생성하고, 이 컨텐트 아이디에 대응하는 컨텐트 키를 생성한다.
609 단계에서 컨텐트 임포트 장치(10)는 603 단계에서 결정된 사용 범위가 디바이스 범위라면 610 단계로 진행하고, 도메인 범위라면 611 단계로 진행한다.
610 단계에서 컨텐트 임포트 장치(10)는 DRM 시스템(100)의 규칙에 따라 어느 하나의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디바이스 키로 컨텐트 키를 암호화한다.
611 단계에서 컨텐트 임포트 장치(10)는 DRM 시스템(100)의 규칙에 따라 어느 하나의 도메인에 대응하는 도메인 키로 컨텐트 키를 암호화한다.
612 단계에서 컨텐트 임포트 장치(10)는 603 단계에서 검출된 사용 제한 정보를 기반으로 608 단계에서 생성된 컨텐트 키로 603 단계에서 검출된 컨텐트 부분을 암호화한다.
613 단계에서 컨텐트 임포트 장치(10)는 610 단계 또는 611 단계에서의 암호화가 완료되어 라이센스를 발급할 준비가 완료되면, 라이센스가 발급될 시점을 측정한다.
614 단계에서 컨텐트 임포트 장치(10)는 DRM 시스템(100)의 규칙에 따라 606 단계 또는 607 단계에서 결정된 사용 규칙들 각각 및 613 단계에서 측정된 라이센스 발급 시점에 전자 서명을 한다.
615 단계에서 컨텐트 임포트 장치(10)는 DRM 시스템(100)의 규칙에 따라 608 단계에서 생성된 컨텐트 아이디, 610 단계 또는 611 단계에서 암호화된 컨텐트 키 및 614 단계에서 전자 서명된 사용 규칙 및 라이센스 발급 시점을 포함하는 라이센스를 생성하여 발급한다.
616 단계에서 컨텐트 임포트 장치(10)는 602 단계에서 수신된 컨텐트 파일에 포함된 컨텐트 부분들 모두가 임포트되었는지를 확인하다. 즉, 616 단계에서 컨텐트 임포트 장치(10)는 602 단계에서 수신된 컨텐트 파일에 포함된 컨텐트 부분들 모두에 대해 상기된 603 단계 - 615 단계가 수행되었는지를 확인하다. 602 단계에서 수신된 컨텐트 파일에 포함된 컨텐트 부분들 모두가 임포트된 경우에는 617 단계로 진행하고, 컨텐트 부분들 모두가 임포트되지 않은 경우에는 나머지 컨텐트 부분들을 임포트하기 위하여 603 단계로 돌아간다. 후자의 경우에 따라 603 단계로 돌아간 컨텐트 임포트 장치(10)는 602 단계에서 수신된 컨텐트 파일로부터 상기된 컨텐트 부분과는 다른 컨텐트 부분 및 이 컨텐트 부분에 대한 사용 제한 정보를 검출하며, 나머지 604 단계 - 616 단계들도 마찬가지로 반복된다.
617 단계에서 컨텐트 임포트 장치(10)는 DRM 시스템(100)의 규칙에 따라 606 단계 또는 607 단계에서 결정된 사용 규칙들을 따르는 컨텐트 파일을 생성한다. 즉, 617 단계에서 컨텐트 임포트 장치(10)는 615 단계에서 발급된 라이센스들 및 612 단계에서 암호화된 컨텐트 부분들을 포함하는 컨텐트 파일을 생성한다.
618 단계에서 컨텐트 임포트 장치(10)는 616 단계에서 생성된 컨텐트 파일을 저장한다.
619 단계에서 컨텐트 임포트 장치(10)는 도 2에 도시된 디바이스들(21-23) 중 어느 하나로부터 컨텐트를 전송하여 달라는 요청을 수신하면 620 단계로 진행한다.
620 단계에서 컨텐트 임포트 장치(10)는 619 단계에서 저장된 컨텐트 파일을 전송한다.
한편,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컴퓨터에서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작성가능하고,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이용하여 상기 프로그램을 동작시키는 범용 디지털 컴퓨터에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된 데이터의 구조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여러 수단을 통하여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마그네틱 저장매체(예를 들면, 롬,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등), 광학적 판독 매체(예를 들면, 시디롬, 디브이디 등) 및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면, 인터넷을 통한 전송)와 같은 저장매체를 포함한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 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DRM 시스템의 규칙을 따르지 않는 컨텐트를 DRM 시스템의 규칙을 따르는 컨텐트로 임포트함으로서 사용자로부터의 컨텐트의 자유로운 사용 요구에 대응하여 컨텐트를 보호할 수 있으며, 컨텐트에 대한 정당한 권한을 가진 사용자만이 이 컨텐트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할 수 있고, 불특정 다수에게 이 컨텐트가 불법적으로 재 배포되거나 사용될 위험을 방지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르면, 외부로부터 수신된 컨텐트 파일에 포함된 정보들, 예를 들면 복사 제어 정보들, 브로드캐스트 플래그들 등을 기반으로 이 컨텐트 파일에 포함된 컨텐트 부분들 각각의 사용 규칙들을 결정하고, 이 사용 규칙들을 따르는 컨텐트 파일을 생성함으로서 외부로부터 수신된 컨텐트 파일에 포함된 전체 컨텐트 중 사용자가 정당한 권한을 가지고 있는 컨텐트 부분만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할 수 있고, 컨텐트 부분 단위로 불특정 다수에게 불법적으로 재 배포되거나 사용될 위험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컨텐트 부분 단위로 컨텐트 사용자의 자유로운 사용 요구를 보다 다양하게 반영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Claims (18)

  1. 제 1 컨텐트 파일을 제 2 컨텐트 파일로 임포트(import)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 1 컨텐트 파일에 포함된 정보들을 기반으로 상기 제 1 컨텐트 파일에 포함된 컨텐트 부분들 각각의 사용 규칙들을 결정하는 사용 규칙 결정부; 및
    상기 결정된 사용 규칙들을 따르는 상기 제 2 컨텐트 파일을 생성하는 컨텐트 파일 생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들은 상기 컨텐트 부분들 각각의 사용 제한 정보(Usage constraint Information)들이고,
    상기 사용 규칙 결정부는 상기 사용 제한 정보들 각각에 대응하는 상기 사용 규칙들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 제한 정보들 중 적어도 하나의 사용 제한 정보는 상기 컨텐트 부분들 중 적어도 하나의 컨텐트 부분의 복사의 횟수를 제한하는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 제한 정보들 중 적어도 하나의 사용 제한 정보는 상기 컨텐트 부분들 중 적어도 하나의 무제한 재배포의 금지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들을 기반으로 상기 컨텐트 부분들 각각을 암호화하는 암호화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컨텐트 파일 생성부는 상기 사용 규칙들 및 상기 암호화된 컨텐트 부분들을 포함하는 상기 제 2 컨텐트 파일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들을 기반으로 상기 컨텐트 부분들 각각의 사용 범위들을 결정하는 사용 범위 결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사용 규칙 결정부는 상기 결정된 사용 범위들마다 상기 컨텐트 부분들 각각의 사용 규칙들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 범위 결정부는 상기 컨텐트 부분들 각각의 사용 범위들을 어느 하나의 디바이스로 한정하는 디바이스 범위로 결정하거나, 아니면 어느 하나의 도메인에 포함된 모든 디바이스로 한정하는 도메인 범위로 결정하고,
    상기 사용 규칙 결정부는 상기 디바이스 범위로 결정된 컨텐트 부분에 대해서는 어느 하나의 디바이스에서의 사용 규칙을 결정하고, 상기 도메인 범위로 결정된 컨텐트 부분에 대해서는 어느 하나의 도메인에서의 사용 규칙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된 사용 범위들 각각에 대응하는 암호화 키들로 컨텐트 키들 각각을 암호화하는 제 1 암호화부; 및
    상기 컨텐트 키들 각각으로 상기 컨텐트 부분들을 암호화하는 제 2 암호화부를 포함하고,
    상기 컨텐트 파일 생성부는 상기 사용 규칙, 상기 암호화된 컨텐트 키들 및 상기 암호화된 컨텐트 부분들을 포함하는 상기 제 2 컨텐트 파일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된 사용 규칙들 각각을 포함하는 상기 컨텐트 부분들 각각의 라이센스들을 생성하여 발급하는 라이센스 발급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컨텐트 파일 생성부는 상기 발급된 라이센스들을 포함하는 상기 제 2 컨텐트 파일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라이센스들 각각이 발급될 시점들을 측정하는 측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라이센스 발급부는 상기 측정된 시점들을 더 포함하는 라이센스들을 생성하여 발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된 사용 규칙들 각각에 전자 서명을 하는 전자 서명부; 및
    상기 전자 서명된 사용 규칙들을 포함하는 상기 컨텐트 부분들 각각의 라이센스들을 생성하여 발급하는 라이센스 발급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컨텐트 파일 생성부는 상기 발급된 라이센스들을 포함하는 상기 제 2 컨텐트 파일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컨텐트 파일은 소정 DRM(Digital Rights Management) 시스템의 규칙을 따르지 않고, 상기 제 2 컨텐트 파일은 상기 소정 DRM 시스템의 규칙을 따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3. 제 1 컨텐트 파일을 제 2 컨텐트 파일로 임포트(import)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제 1 컨텐트 파일에 포함된 제 1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제 1 컨텐트 파일에 포함된 제 1 컨텐트 부분의 사용 규칙을 결정하는 단계;
    (b) 상기 제 1 컨텐트 파일에 포함된 제 2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제 1 컨텐트 파일에 포함된 제 2 컨텐트 부분의 사용 규칙을 결정하는 단계; 및
    (c) 상기 (a) 단계에서 결정된 사용 규칙 및 상기 (b) 단계에서 결정된 사용 규칙을 따르는 상기 제 2 컨텐트 파일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정보는 상기 제 1 컨텐트 부분의 사용 제한 정보(Usage constraint Information)이고, 상기 제 2 정보는 상기 제 2 컨텐트 부분의 사용 제한 정보이고,
    상기 (a) 단계는 상기 제 1 컨텐트 부분의 사용 제한 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사용 규칙을 결정하고,
    상기 (b) 단계는 상기 제 2 컨텐트 부분의 사용 제한 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사용 규칙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5. 제 13 항에 있어서,
    (d) 상기 제 1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제 1 컨텐트 부분을 선택적으로 암호화하는 단계; 및
    (e) 상기 제 1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제 2 컨텐트 부분을 선택적으로 암호화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c) 단계는 상기 (a) 단계에서 결정된 사용 규칙, 상기 (b) 단계에서 결정된 사용 규칙, 상기 (d) 단계에서 암호화된 제 1 컨텐트 부분 및 상기 (e) 단계에서 암호화된 제 2 컨텐트 부분을 포함하는 상기 제 2 컨텐트 파일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6. 제 13 항에 있어서,
    (f) 상기 제 1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제 1 컨텐트 부분의 사용 범위를 결정하는 단계; 및
    (g) 상기 제 2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제 2 컨텐트 부분의 사용 범위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a) 단계는 상기 (f) 단계에서 결정된 사용 범위 별로 상기 제 1 컨텐트 부분의 사용 규칙을 결정하고,
    상기 (b) 단계는 상기 (g) 단계에서 결정된 사용 범위 별로 상기 제 2 컨텐트 부분의 사용 규칙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7. 제 13 항에 있어서,
    (h) 상기 (a) 단계에서 결정된 사용 규칙을 포함하는 상기 제 1 컨텐트의 라이센스를 생성하여 발급하는 단계; 및
    (i) 상기 (b) 단계에서 결정된 사용 규칙을 포함하는 상기 제 2 컨텐트의 라이센스들을 생성하여 발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c) 단계는 상기 (h) 단계에서 발급된 라이센스 및 상기 (i) 단계에서 발급된 라이센스를 포함하는 상기 제 2 컨텐트 파일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8. 제 13 항 내지 제 17 항 중에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1020060021837A 2006-01-03 2006-03-08 복수의 사용 제한 정보들을 포함하는 컨텐트를 임포트하는장치 및 방법 KR1008139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1/519,855 US20070156598A1 (en) 2006-01-03 2006-09-13 Apparatus and method for importing content including plural pieces of usage constraint information
PCT/KR2006/005818 WO2007078109A1 (en) 2006-01-03 2006-12-28 Apparatus and method for importing content including plural pieces of usage constraint information
TW095150034A TWI390926B (zh) 2006-01-03 2006-12-29 輸入包含多個片段的使用限制資訊的裝置與方法
EP06127359A EP1814052A3 (en) 2006-01-03 2006-12-29 Apparatus and method for importing content including plural pieces of usage constraint information
CN201310247622XA CN103400058A (zh) 2006-01-03 2006-12-30 用于导入包括多条使用约束信息的内容的设备和方法
JP2007000250A JP5111860B2 (ja) 2006-01-03 2007-01-04 複数の使用制限情報を含むコンテンツをインポートする装置及び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75509206P 2006-01-03 2006-01-03
US60/755,092 2006-01-03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01443A Division KR101105852B1 (ko) 2006-01-03 2008-01-04 복수의 사용 제한 정보들을 포함하는 컨텐트를 임포트하는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73549A true KR20070073549A (ko) 2007-07-10
KR100813973B1 KR100813973B1 (ko) 2008-03-14

Family

ID=38508130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21837A KR100813973B1 (ko) 2006-01-03 2006-03-08 복수의 사용 제한 정보들을 포함하는 컨텐트를 임포트하는장치 및 방법
KR1020080001443A KR101105852B1 (ko) 2006-01-03 2008-01-04 복수의 사용 제한 정보들을 포함하는 컨텐트를 임포트하는장치 및 방법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01443A KR101105852B1 (ko) 2006-01-03 2008-01-04 복수의 사용 제한 정보들을 포함하는 컨텐트를 임포트하는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070156598A1 (ko)
EP (1) EP1814052A3 (ko)
JP (1) JP5111860B2 (ko)
KR (2) KR100813973B1 (ko)
CN (2) CN101009710A (ko)
TW (1) TWI390926B (ko)
WO (1) WO200707810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874015B2 (en) 2006-05-12 2011-01-18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Methods, system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s for controlling distribution of digital content in a file sharing system using license-based verification, encoded tagging, and time-limited fragment validity
US20080271076A1 (en) * 2007-04-27 2008-10-30 General Instrument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Switching Between Edge Device Resources in an SDV System
US20080270311A1 (en) * 2007-04-27 2008-10-30 General Instrument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Composing a Digital Rights Management License Format
US20090257593A1 (en) * 2008-04-10 2009-10-15 Comverse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secure messaging
US8387150B2 (en) 2008-06-27 2013-02-26 Microsoft Corporation Segmented media content rights management
US9117060B2 (en) * 2009-05-07 2015-08-25 Cadence Design Systems, Inc. System and method for preventing proper execution of an application program in an unauthorized processor
CN102419991A (zh) * 2010-09-27 2012-04-18 株式会社日立制作所 内容复制设备、方法和系统以及记录介质
US10672046B2 (en) 2012-12-31 2020-06-02 Baker Hughes, A Ge Company, Llc Systems and methods for non-destructive testing online stores
US9305170B1 (en) * 2013-03-13 2016-04-05 Symantec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securely providing information external to documents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38443A (en) * 1994-11-23 1997-06-10 Xerox Corporation System for controlling the distribution and use of composite digital works
US5629980A (en) * 1994-11-23 1997-05-13 Xerox Corporation System for controlling the distribution and use of digital works
ATE412945T1 (de) * 1995-02-13 2008-11-15 Intertrust Tech Corp Systeme und verfahren für ein sicheres übertragungsmanagement und elektronischerrechtsschutz
US6226618B1 (en) * 1998-08-13 2001-05-0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Electronic content delivery system
US7549056B2 (en) * 1999-03-19 2009-06-16 Broadcom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processing and protecting content
US6920567B1 (en) * 1999-04-07 2005-07-19 Viatech Technologies Inc. System and embedded license control mechanism for the creation and distribution of digital content files and enforcement of licensed use of the digital content files
KR20020018011A (ko) * 2000-08-29 2002-03-07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컨텐츠 유통 시스템의 제어방법, 시스템, 컨텐츠의유통제어 프로그램, 및 그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
KR100601635B1 (ko) * 2000-09-07 2006-07-14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지털 권리 관리의 구조 변환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US7477744B2 (en) * 2001-06-08 2009-01-13 Irdeto Eindhoven B.V. Device and method for selectively supplying access to a service encrypted using a control word, and smart card
JP3734461B2 (ja) * 2001-08-08 2006-01-11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ライセンス情報変換装置
US7487363B2 (en) * 2001-10-18 2009-02-03 Nokia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ed copying and moving of content between devices and domains based on conditional encryption of content key depending on usage
US7299362B2 (en) * 2001-10-29 2007-11-20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Apparatus of a baseline DVB-CPCM
JP4477822B2 (ja) * 2001-11-30 2010-06-09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情報変換装置
JP4447821B2 (ja) * 2002-04-15 2010-04-07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
KR100523054B1 (ko) * 2002-11-19 2005-10-2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디지털 방송 컨텐츠 저장 및 재생을 위한 제어 장치
WO2005046167A1 (en) * 2003-11-07 2005-05-19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System and method for time based digital content access
US20050102513A1 (en) * 2003-11-10 2005-05-12 Nokia Corporation Enforcing authorized domains with domain membership vouchers
WO2005073869A2 (en) * 2004-01-29 2005-08-11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Transmission apparatus, content reproduction apparatus and license distribution system
KR101058002B1 (ko) * 2004-02-02 2011-08-19 삼성전자주식회사 도메인 관리 시스템하에서의 데이터 기록 및 재생 방법
US7546641B2 (en) * 2004-02-13 2009-06-09 Microsoft Corporation Conditional access to digital rights management conversion
KR100713844B1 (ko) * 2005-05-06 2007-05-02 주식회사 코어트러스트 디알엠 컨버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009710A (zh) 2007-08-01
JP2007183963A (ja) 2007-07-19
CN103400058A (zh) 2013-11-20
KR20080009237A (ko) 2008-01-25
EP1814052A2 (en) 2007-08-01
KR101105852B1 (ko) 2012-01-13
EP1814052A3 (en) 2009-01-07
US20070156598A1 (en) 2007-07-05
WO2007078109A1 (en) 2007-07-12
KR100813973B1 (ko) 2008-03-14
JP5111860B2 (ja) 2013-01-09
TWI390926B (zh) 2013-03-21
TW200731731A (en) 2007-08-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23261B1 (ko) 라이센스를 생성하는 방법 및 장치
KR100856404B1 (ko) 컨텐트를 임포트하는 방법 및 장치
KR100782847B1 (ko) 복수의 컨텐트 부분들을 포함하는 컨텐트를 임포트하는방법 및 장치
KR101105852B1 (ko) 복수의 사용 제한 정보들을 포함하는 컨텐트를 임포트하는장치 및 방법
KR101185560B1 (ko) 컨텐트를 재-임포트하는 방법 및 장치
EP2458888A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mporting cont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4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