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58378A - 조명유닛 및 조명장치 - Google Patents

조명유닛 및 조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58378A
KR20070058378A KR1020067024265A KR20067024265A KR20070058378A KR 20070058378 A KR20070058378 A KR 20070058378A KR 1020067024265 A KR1020067024265 A KR 1020067024265A KR 20067024265 A KR20067024265 A KR 20067024265A KR 20070058378 A KR20070058378 A KR 200700583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light emitting
emitting diode
reflecting
reflecting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242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84596B1 (ko
Inventor
도시오 히라츠카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미라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4346543A external-priority patent/JP3694310B1/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5249986A external-priority patent/JP3787147B1/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5257976A external-priority patent/JP3787148B1/ja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미라이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미라이
Publication of KR200700583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583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845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845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7/00Reflectors for light sources
    • F21V7/0083Array of reflectors for a cluster of light sources, e.g. arrangement of multiple light sources in one plan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KNON-ELECTRIC LIGHT SOURCES USING 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ELECTROCHEMI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CHARGES OF COMBUSTIBLE MATERIAL; 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K9/00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 lasers
    • F21K9/60Optical arrangements integrated in the light source, e.g. for improving the colour rendering index or the light extraction
    • F21K9/68Details of reflectors forming part of the light sour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00Lighting devices or systems using a string or strip of light sources
    • F21S4/20Lighting devices or systems using a string or strip of light sources with light sources held by or within elongate supports
    • F21S4/28Lighting devices or systems using a string or strip of light sources with light sources held by or within elongate supports rigid, e.g. LED ba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7/00Reflectors for light sources
    • F21V7/005Reflectors for light sources with an elongated shape to cooperate with linear light sour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03/00Elongate light sources, e.g. fluorescent tubes
    • F21Y2103/10Elongate light sources, e.g. fluorescent tubes comprising a linear array of point-like light-generating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03/00Elongate light sources, e.g. fluorescent tubes
    • F21Y2103/30Elongate light sources, e.g. fluorescent tubes curved
    • F21Y2103/33Elongate light sources, e.g. fluorescent tubes curved annula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05/00Planar light sources
    • F21Y2105/10Planar light sources comprising a two-dimensional array of point-like light-generating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05/00Planar light sources
    • F21Y2105/10Planar light sources comprising a two-dimensional array of point-like light-generating elements
    • F21Y2105/14Planar light sources comprising a two-dimensional array of point-like light-generat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overall shape of the two-dimensional array
    • F21Y2105/18Planar light sources comprising a two-dimensional array of point-like light-generat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overall shape of the two-dimensional array annular; polygonal other than square or rectangular, e.g. for spotlights or for generating an axially symmetrical light bea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Abstract

전력절약화를 도모하면서, 높은 조도로 일정한 평탄조도분포의 조명영역이 얻어지고, 조사거리를 연장할 수 있는 조명유닛 및 이를 구비한 조명장치를 제공한다. 발광 다이오드(17)를 발광 광원으로 한 조명유닛(100)으로서, 복수의 발광 다이오드(17)를 기대(19)에 설치한 발광부(21)와, 발광부(21)의 광출사측에 복수의 발광 다이오드(17) 각각에 대응하여 설치되고, 발광 다이오드(17)로부터의 광을 광출사측으로 향하여 대략 평행화하여 반사하는 제1 반사부(25)와, 제1 반사부(25)의 광출사측에 더 설치되고, 제1 반사부(25)에 입사하지 않은 발광 다이오드(17)로부터의 광을 광출사측으로 향하여 대략 평행화하여 반사하는 제2 반사부(27)를 구비하였다.

Description

조명유닛 및 조명장치{ILLUMINATION UNIT AND ILLUMINATION APPARATUS}
본 발명은, LED를 광원으로 한 조명유닛 및 이를 구비한 조명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조명기구로서는, 형광등이나 백열전구, 스폿라이트 등 여러가지 타입의 조명광원이 이용되고 있는데, 조명광 중에 피조사물의 열화를 유발하는 자외선 성분을 포함하고 있거나, 조명광원의 발열에 의해, 그 설치에 관해서는 제약이 많았다. 또한, CO2 삭감 등의 환경문제를 배려하여 가능한 소비전력이 적은 광원이 요구되고 있다. 최근, 발열이나 소비전력이 적은 LED광원이 주목받고, 또한 고휘도인 백색 LED도 제공되기 때문에, 일반 조명용의 조명기구에 LED광원을 이용하는 것이 늘고 있다. LED는, 고휘도이면서 발열량이 적고, 전력절약화에 적합한 광원일 뿐만 아니라, 자외선이나 적외선을 거의 포함하지 않기 때문에, 조사 대상물을 손상하는 일이 거의 없는 이점이 있다. 이 종류의 조명장치의 일례가, 예를 들면 일본특허공개 2000-021209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다.
그런데, LED로부터 얻어지는 직접광의 조사광 분포는, 지향성이 높은 것에서도 조사거리가 길어짐에 따라 넓어지고, 조사영역이 너무 넓어서 조도부족이 된다. 도 34(a)에 LED(81)를 반사판을 설치하지 않고 단체(單體)로 발광시켰을 때의 소정 거리를 사이에 둔 면 상에서의 조도분포를 나타냈다. 도시한 바와 같이, 소정 거리만큼 떨어진 면 상에서는, LED(81)를 단체로 발광시킨 경우, 낮은 조도로 넓은 광량분포가 된다. 그 때문에, LED광원에 반사판을 설치하는 구성이 많이 제안되고 있는데, 어떤 반사판도 LED광원의 측방이나 후방으로 향한 광을 전방으로 되돌리는 것만으로, 반드시 집광성이 높은 구성이라고는 할 수 없으며, 또한 조사광 분포도 넓어지고, 불필요한 영역까지 조사하게 되었다. 이러한 상황에서, 필요 충분한 조도를 얻기 위해서는 고휘도의 광원을 이용하고, 조사영역을 제한하는 데는 루버 등의 차광재에 의해 불필요한 광을 컷하는 것이 일반적으로 행해지고 있다.
그러나, 고휘도의 광원은 소비전력이 높고, 또한 형상도 대형화되기 때문에, 조명장치의 장착시의 제약이 많고 적용범위가 제한되어 있었다. 또, 루버 등의 차광재는 광 이용효율을 저하시키는 원인이 되고, 여전히 과제가 많이 남겨져 있다.
일반적으로, 조명용 광원으로서는, 높은 조도이면서 평탄한 조도분포를 가지는 조명영역의 얻어지는 광원이 요구되고 있다. 그래서, 도 34(b)에 도시한 바와 같이, LED(81)의 측방(또는 배면측 등)에 오목면 형상의 포물면을 가지는 반사판(83)을 설치함으로써, LED(81)로부터의 광을 이 반사판(83)에 의해 평행광화하여 광속밀도를 올릴 수 있다. 또한, 이 반사판(83)에 의해, 광의 도달거리를 어느 정도 연장할 수 있다. 그러나, LED(81)의 측방으로 출사한 광성분(85)은 반사판(83)에 의해 편향되는데, 반사판(83)에 조사되지 않은 광성분(86)은 확산되면서 광로 전방으로 나아간다. 이 때문에, 광원 전체로서 조도분포는 반사판(83)에 의해 조도 앰프가 도모되는데, 여전히 넓은 분포를 나타낸 채로 되고, 조명에 필요하게 되는 고조도로 평탄조도분포의 조명영역이 충분히 얻어지지 않는다. 또한, 당연하지만, LED(81)가 10°정도의 작은 조도각인 경우에는, 반사판(83)에 LED(81)로부터의 출사광이 조사되지 않아 실질적으로 편향에 기여하지 않는 성분이 많아지고, 조도의 향상은 바랄 수 없다.
또한, 광의 도달거리를 연장하는 데는, 렌즈를 사용하는 것도 생각되는데, 렌즈를 배치하는 것에 의한 부품점수 증가에 따르는 비용 상승과, 조립성의 저하와, 광축 조정 등의 여분의 작업이 필요하게 되는 점이 문제가 되고, 조명장치를 저비용으로 실현하는 데는 과제가 많다.
본 발명은, 상술한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전력절약화를 도모하면서, 높은 조도로 일정한 평탄조도분포의 조명영역이 얻어지고, 이 조명영역에 색 얼룩이나 그림자를 일으키지 않으며, 또한 광의 조사거리를 연장할 수 있는 조명유닛 및 이를 구비한 조명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상기 목적은, 하기 구성에 의해 달성된다.
(1) 발광 다이오드를 광원으로 한 조명유닛으로서, 복수의 발광 다이오드를 기대에 설치한 발광부와, 상기 발광부의 광출사측에 상기 복수의 발광 다이오드 각각에 대응하여 설치되고, 상기 발광 다이오드의 발광면이 초점위치가 되는 포물면으로 이루어진 제1 반사부와, 상기 제1 반사부의 광출사측에 더, 상기 발광 다이오드를 개재하여 상기 발광 다이오드의 나란한 방향에 대해 평행하게 한 쌍 배열되고, 상기 발광 다이오드로부터의 광을 광출사측으로 향하여 반사하는 평판형상의 반사면을 가지는 제2 반사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유닛.
이 조명유닛에 의하면, 제1 반사부가 발광 다이오드로부터의 광을 광출사측으로 향하여 반사시키고, 제2 반사부가 발광 다이오드로부터의 광을 광출사측으로 향하여 반사시킴으로써, 전력절약이면서 높은 조도로 조도분포를 균일하게 할 수 있고, 조사거리를 연장할 수 있다.
또한, 제1 반사부의 반사면이 포물면임으로써, 발광 다이오드로부터의 광을 반사했을 때에, 고정밀도로 평행광을 생성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조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 제2 반사부의 반사면이 평판형상임으로써, 발광 다이오드로부터의 광을 반사했을 때에, 그 반사광의 조사범위의 경계를 명료하게 할 수 있다.
그리고, 평판형상의 반사면이 발광 다이오드의 배열방향과는 직교하는 방향으로 제1 반사부를 개재하여 한 쌍 설치함으로써, 쌍방의 반사면으로부터의 광이 집광되어 조도가 높아진다.
(2) 상기 제2 반사부 표면에서의 상기 제1 반사부로부터 출사된 상기 발광 다이오드로부터의 광속과 그 음영의 경계선을 제1 경계선으로 하고, 상기 제2 반사부 표면에서의 상기 발광 다이오드에 인접하는 다른 발광 다이오드로부터의 광속과 그 음영의 경계선을 제2 경계선으로 했을 때, 상기 제2 반사부의 상기 광출사측으로 돌출하는 높이가 상기 제1 경계선과 상기 제2 경계선이 최초로 공차하는 상기 제2 반사부 표면 상의 점보다도 높게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에 기재된 조명유닛.
이 조명유닛에 의하면, 제2 반사부의 높이가, 제2 반사부 표면에서의 제1 반사부로부터 출사된 광속과 그 음영의 제1 경계선과, 제2 반사부 표면에서의 인접하는 다른 발광 다이오드로부터의 광속과 그 음영의 제2 경계선의 최초의 공차점보다 높게 설정됨으로써, 이 제2 반사부에 조사되지 않고 생기는 음영을 제2 반사부를 넘어 광출사측으로 떨어뜨리지(전반하지) 않고 제2 반사부 표면 내에서 수용하게 된다. 따라서, 음영이 광속과 함께 출사함으로써 생기는 조명광의 색 얼룩이나 그림자가 발생하지 않게 된다.
(3) 발광 다이오드를 광원으로 한 조명유닛으로서, 복수의 발광 다이오드를 기대에 설치한 발광부와, 상기 발광부의 광출사측에 상기 복수의 발광 다이오드 각각에 대응하여 설치되고, 상기 발광 다이오드의 발광면이 초점위치가 되는 포물면으로 이루어진 제1 반사부와, 상기 제1 반사부의 광출사측에 더, 상기 발광 다이오드로부터의 광을 광출사측으로 향하여 반사하는 평판형상의 반사면을 가지는 제2 반사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2 반사부 표면에서의 상기 제1 반사부로부터 출사된 상기 발광 다이오드로부터의 광속과 그 음영의 경계선을 제1 경계선으로 하고, 상기 제2 반사부 표면에서의 상기 발광 다이오드에 인접하는 다른 발광 다이오드로부터의 광속과 그 음영의 경계선을 제2 경계선으로 했을 때에, 상기 제2 반사부의 상기 광출사측으로 돌출하는 높이가 상기 제1 경계선과 상기 제2 경계선이 최초로 공차하는 상기 제2 반사부 표면 상의 점보다도 높게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유닛.
이 조명유닛에 의하면, 제1 반사부가 발광 다이오드로부터의 광을 광출사측으로 향하여 반사시키고, 제2 반사부가 발광 다이오드로부터의 광을 광출사측으로 향하여 반사시킴으로써, 전력절약이면서 높은 조도로 조도분포를 균일하게 할 수 있고, 조사거리를 연장할 수 있다. 또한, 제2 반사부의 높이가 제2 반사부 표면에서의 제1 반사부로부터 출사된 광속과 그 음영의 제1 경계선과, 제2 반사부 표면에서의 인접하는 다른 발광 다이오드로부터의 광속과 그 음영의 제2 경계선의 최초의 공차점보다 높게 설정됨으로써, 이 제2 반사부에 조사되지 않고 생기는 음영을 제2 반사부를 넘어 광출사측으로 떨어뜨리지(전반하지) 않고 제2 반사부 표면 내에서 수용하게 된다. 따라서, 음영이 광속과 함께 출사함으로써 생기는 조명광의 색 얼룩이나 그림자가 발생하지 않게 된다.
(4) 상기 복수의 발광 다이오드가 복수열 형상으로 배열되고, 상기 제2 반사부가 상기 복수의 발광 다이오드 열의 나란한 방향 양 외측에서, 상기 발광 다이오드 열 내에서의 발광 다이오드의 나란한 방향에 대해 평행하게 한 쌍 배열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에 기재된 조명유닛.
이 조명유닛에 의하면, 발광 다이오드로부터 직접 제2 반사부에 입사한 광이 한 쌍의 제2 반사부에서의 쌍방의 반사면에서 집광되어 조도가 높아진다.
(5) 상기 발광 다이오드 열은, 당해 발광 다이오드 열 내의 상기 제1 반사부의 배치피치가 인접하는 발광 다이오드 열 사이에서 서로 1/2 피치만큼 열방향으로 어긋난 지그재그형 배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4)에 기재된 조명유닛.
이 조명유닛에 의하면, 제1 반사부의 배치가 인접하는 발광 다이오드 열 사이에서 지그재그형 배치가 됨으로써, 제1 반사부끼리를 근접위치에 배치할 수 있고, 제1 반사부로부터 출사되는 광이 조사되지 않은 음영이 작아지며, 이 음영에 의한 조명광의 색 얼룩이나 그림자의 발생이 억제된다.
(6) 상기 발광 다이오드 열과 이것에 인접하는 다른 발광 다이오드 열의 사이에서, 각 열 사이의 발광 다이오드가 서로 광출사방향에 대해 단차를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4) 또는 (5)에 기재된 조명유닛.
이 조명유닛에 의하면, 인접하는 한쪽의 발광 다이오드의 단차(광출사방향의반대측으로 들어가는 방향의 단차)에 따라, 정각(頂角)을 개재하는 한쪽의 변부인 경계선(예를 들면, 제1 경계선)이 발광 다이오드측으로 평행 이동되고, 제2 반사부의 표면에 형성되는 제1 경계선과 제2 경계선에 개재되는 대략 삼각형상의 음영이 축소된다. 즉, 음영이 작아짐으로써, 조명광의 색 얼룩이나 그림자의 발생이 억제된다.
(7) 상기 제1 반사부와 상기 제2 반사부의 반사면이, 증착에 의한 미러면의 코팅가공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1)~(6)의 어느 하나에 기재된 조명유닛.
이 조명유닛에 의하면, 반사면이 증착에 의한 코팅 가공, 예를 들면 스퍼터링 도금에 의해 완성된다. 스퍼터링 도금의 공정은, 전용 프라이머에 의한 베이스코트의 도포, 진공 중에서의 알루미늄 증착, 알루미늄 증착면에의 우레탄 클리어 코트로 이루어지고, 수지제품의 포물면 등 복잡한 피착면에 대해서도 균일한 미러면 형성이 가능하게 되며, 고반사율의 반사면이 형성 가능하게 된다.
(8) 상기 제1 반사부와 상기 제2 반사부의 적어도 어느 하나의 반사면이, 새틴 피니시된 면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1)~(6)의 어느 하나에 기재된 조명유닛.
이 조명유닛에 의하면, 새틴 피니시된 광반사면에 의해 반사된 광이 거시적으로 보면 미러면 반사가 되지만, 미시적으로 보면 확산되어 반사되고, 그 결과, 분산되어 색분리된 다른 주파수(파장) 성분의 광이 혼합된다.
(9) 상기 발광 다이오드가 청색 발광 다이오드와, 당해 청색 발광 다이오드로부터의 청색광을 황색광으로 변환하는 형광체를 가지는 백색 발광 다이오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1)~(8)의 어느 하나에 기재된 조명유닛.
이 조명유닛에서는, 청색 발광 다이오드로부터 출사된 청색광이 형광체에 흡수되면, 형광체는 황색광을 발하고, 이 황색광과 흡수되지 않은 청색광이 섞여서 발광 다이오드로부터의 출사광이 백색광이 된다.
(1O) (1)~(9)의 어느 하나에 기재된 조명유닛과, 상기 발광 다이오드를 발광 구동하기 위한 전력을 공급하는 구동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장치.
이 조명장치에 의하면, 상용전력이 구동부에 공급됨으로써, 구동부가 발광 구동에 필요한 구동전력을 발광 다이오드에 공급하고, 발광 다이오드가 전력절약이면서 높은 조도로 균일한 조도분포에서 발광된다.
본 발명의 조명유닛 및 조명장치에 의하면, 전력절약화를 도모하면서, 높은 조도로 일정한 평탄조도분포의 조명영역이 얻어지고, 조사거리를 연장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조명의 에너지 효율이 향상하여 CO2 배출삭감 등의 환경문제에 미치는 영향을 크게 삭감할 수 있다. 또한, 조명광의 색 얼룩이나 그림자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고, 고품질의 균일 조명을 행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조명장치의 제1 실시형태를 도시한 전체 구성도이다.
도 2는 조명유닛의 측면도(a), 하면도(b)이다.
도 3은 조명유닛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한 조명유닛의 A-A단면도이다.
도 5는 조명유닛에 의한 조도분포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6은 LED의 점등시에 반사미러부재를 광출사측에서 본 상태를 도시한 설명도이다.
도 7은 조명유닛에 의한 광원의 방사휘도와 광원으로부터의 거리의 관계를 반사면의 유무나 그 종류에 따라 조사한 개념적인 그래프이다.
도 8은 상대분광분포의 상대강도와 파장의 상관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9는 제2 반사부의 광출사측으로 돌출하는 높이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9의 높이(HM)로 설정된 제2 반사부를 가지는 조명유닛에 의해 조사되는 조사면을 도시한 모식도이다.
도 11은 (a)에 본 발명, (b), (c)에 비교예의 조사광을 모식적으로 도시한 설명도이다.
도 12는 반사면을 새틴 피니시된 면으로 구성한 제2 실시형태에 관한 조명유 닛의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1O에 도시한 반사미러부재의 단면도이다.
도 14는 반사면을 새틴 피니시된 면으로 구성한 조명유닛에 의한 조도분포를 도시한 설명도이다.
도 15는 조명장치에 의해 근접위치를 조명하는 경우를 도시한 설명도이다.
도 16은 제3 실시형태의 복수 어레이화한 조명유닛과 이 조명유닛에 의한 조도분포를 도시한 설명도이다.
도 17은 제4 실시형태의 원환(圓環)형상의 조명유닛의 단면도(a), 하면도(b)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18은 다른 단면구조를 가지는 반사미러부재의 구성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9는 발광 다이오드가 2열 배열된 조명유닛의 평면을 (a), 그 B-B단면을 (b)에 도시한 설명도이다.
도 20은 도 19에 도시한 조명유닛을 병렬시켜 이용한 변형예의 평면을 (a), 그 C-C단면을 (b)에 도시한 설명도이다.
도 21은 발광 다이오드가 3열 배열된 조명유닛의 평면을 (a), 그 D-D단면을 (b)에 도시한 설명도이다.
도 22는 다른 복수의 발광 다이오드의 배열 양태를 가지는 조명유닛의 설명도이다.
도 23은 비교예 1-1의 조도분포 측정결과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4는 비교예 1-2의 조도분포 측정결과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5는 실시예 1-1의 조도분포 측정결과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6은 실시예 3-1의 조도특성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7은 실시예 3-1의 배광특성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8은 실시예 3-2의 조도특성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9는 실시예 3-2의 배광특성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0은 실시예 3-3의 조도특성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1은 실시예 3-3의 배광특성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2는 비교예 3-1의 조도특성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3은 비교예 3-1의 배광특성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4의 (a), (b)는 종래의 조명장치의 모식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구동부
17 : LED(발광 다이오드)
21 : 발광부
25 : 제1 반사부
25a : 포물면 미러(포물면)
25b : 포물면 미러(새틴 피니시된 면)
27 : 제2 반사부
27a : 평판 미러(평판형상의 반사면)
27b : 평판 미러(새틴 피니시된 면)
45 : 제1 경계선
47 : 제2 경계선
51 : 음영
100, 300, 400, 500, 600, 700, 700A, 700B, 700C : 조명유닛
200 : 조명장치
G : 단차
HM : 광출사측으로 돌출하는 높이
이하, 본 발명에 관한 조명유닛 및 조명장치의 매우 적합한 실시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1 실시형태)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조명장치의 제1 실시형태를 도시한 전체 구성도이다.
본 발명에 관한 제1 실시형태의 조명장치(200)는, 조명유닛(100)과 구동부(11)를 가지고 구성되어 있다.
구동부(11)는, 조명유닛(100)에 발광구동전력을 공급하는 것으로, 예를 들면 풀 레인지 트랜스 등을 사용할 수 있다. 구동부(11)는 상용전원에 접속하고, 상용전원으로부터의 예를 들면 AC110V~220V, 50Hz~60Hz 등의 전력을 DC12V(DC6V나 DC24V 등의 임의의 전압, 혹은 교류이어도 됨)의 구동전압으로 변환하여 조명유닛 (100)에 공급한다.
조명유닛(100)은, 후판(15)과, 다수개의 발광 다이오드(LED)(17)를 기대인 배선기판(19) 상에 직선적으로 설치한 발광부(21)와, 반사미러부재(23)를 가지고 구성되어 있다. 후판(15)은, 반사미러부재(23)와의 사이에 배선기판(19)을 끼워넣어 반사미러부재(23)에 착탈 자유자재로 부착된다.
LED(17)는, 청색 발광 다이오드와, 이 청색 발광 다이오드로부터의 청색광을 황색광으로 변환하는 형광체를 가진다. 이에 의해, LED(17)에서는, 청색 발광 다이오드로부터 출사된 청색광이 형광체에 흡수되면, 형광체가 황색광을 발하고, 이 황색광과 흡수되지 않은 청색광이 섞여서 출사광이 백색광이 된다.
도 2에 조명유닛의 측면도(a), 하면도(b), 도 3에 조명유닛의 분해 사시도를 나타내었다.
조명유닛(100)은, 도 2(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반사미러부재(23)에 후판(15)을 부착한 상태에서 높이(H)를 가진다. 높이(H)는, 본 실시형태에서는 약 20mm정도로서, 발열전구나 형광등 등을 광원으로서 사용한 경우와 비교하여 대폭적으로 박형화되어 있다. 또, 높이(H)는, 너무 작으면 반사미러부재(23)의 편향특성이 손상되고, 너무 크면 설치공간을 필요로 하여 본 조명유닛(100)의 배치 자유도가 높아지지 않는다. 그 때문에, 높이(H)는 15~30mm정도, 특히 20~23mm정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반사미러부재(23)는, 긴 판형상의 장착 기판부(24)(도 3 참조)와, 도 2(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장착 기판부(24)에 접속되고, 중심위치에 개구를 가지며 광출사 측이 해방측이 되는 포물면으로 이루어진 반사면(포물면 미러)(25a)을 복수개(본 실시형태에서는 합계 16개) 형성한 제1 반사부(25)와, 제1 반사부(25)의 광출사측에 더 설치되고, 포물면 미러(25a)의 나란한 방향으로 평행한 평판형상의 반사면(평판 미러)(27a)을 형성한 제2 반사부(27)를 일체로 가진다. 제2 반사부(27)는, 포물면 미러(25a)의 나란한 방향과는 직교하는 방향으로 평판 미러(27a)이 한 쌍 형성된 것으로, 나란한 방향 양측은 제1 반사부(25)의 포물면 미러을 연장한 포물면벽(27b)으로 접속되어 있다. 반사미러부재(23)는, 사출성형에 의해 일체 성형된 수지성형품으로서, 적어도 제1 반사부(25)와 제2 반사부(27)의 광반사면에는 도금법이나 알루미늄 증착법 등에 의한 미러면의 코팅가공이 실시되어 있다. 또한, 광반사면으로서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상투수단이 이용 가능하다.
제1 반사부(25)와 제2 반사부(27)의 반사면(포물면 미러(25a), 평판 미러(27a))은, 증착에 의한 코팅가공, 예를 들면 스퍼터링 도금에 의해 완성된다. 스퍼터링 도금의 공정은, 전용 프라이머에 의한 베이스 코트의 도포, 진공 중에서의 알루미늄 증착, 알루미늄 증착면에의 우레탄 클리어 코트로 이루어지고, 수지제품의 포물면 등 복잡한 피착면에 대해서도 균일한 미러면 형성이 가능하게 되며, 고반사율의 반사면이 형성 가능하게 된다.
후판(15)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단면이 "く"자 형상의 우산부(29)와, 우산부(29)의 내측면에 배선기판(19)의 배면측을 지지하는 리브(30)와, 우산부(29)의 길이방향의 복수 개소(본 실시형태에서는 5개소)에 반사미러부재(23)와 걸어맞추는 로크 클로우(locking claw)(31)가 설치되어 이루어진다. 로크 클로우(31) 는, 도면 중 상하 한 쌍의 종단면이 "コ"자 형상의 후크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배선기판(19)은, 예를 들면 프린트 기판으로서, 반사미러부재(23) 측에 길이방향을 따라 개개의 포물면 미러(25a)에 대응하여 복수개(여기서는 16개)의 LED(17)가 직선형상으로 실장되어 있다. 그리고, 배선기판(19)의 일단측에서는 리드선(33)이 꺼내져 구동부(11)(도 1 참조)에 접속되어 있다. 배선기판(19)은, 한쪽 면 실장 모듈 때문에, 장해 발생시에 문제점을 발견하기 쉽고, 유지보수성이 우수한 안전한 모듈이다.
반사미러부재(23)는, 긴 평판형상으로 형성된 장착 기판부(24)의 양단에 조명유닛(100)의 고정용 브라켓(37)이 형성되어 있고, 장착 기판부(24)의 도 3에서의 상하방향에 후판(15)의 로크 클로우(31)가 걸어맞추는 걸어맞춤부(39)를 설치하고 있다. 걸어맞춤부(39)는, 배선기판(19)을 후판(15)과의 사이에서 끼워넣고, 후판(15)의 로크 클로우(31)와의 스냅 액션에 의해 탈착 자유자재로 조합된다.
반사미러부재(23), 배선기판(19), 후판(15)을 조합했을 때, 제1 반사부(25)의 포물면 미러의 초점위치에 LED(17)의 발광면이 위치하게 된다. 이는, 즉 반사미러부재(23)에는, 배선기판(19) 표면에 당접하는 면이 이산적으로 배치되어 있고, 이 당접면을 LED(17)의 발광면이 포물면 미러의 초점위치가 되는 높이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배선기판(19)이 반사미러부재(23)에 형성된 기판수용위치에 수용될 때, 후판(15)의 리브(30)는, 이 당접면에 배선기판(19)을 가압하도록 그 높이가 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반사미러부재(23), 배선기판(19), 후판(15)을 단지 조합하는 것만으 로, 포물면 미러의 초점위치와 LED(17)의 발광면의 위치가 간단히 하여 고정밀도로 일치하게 된다. 이 구성에 의해, 예를 들면 나사 등의 체결수단을 이용하지 않고 간단히 부착할 수 있고, 부품점수를 줄여서 조립이나 조정을 위한 공정을 경감할 수 있으며, 생산성의 향상이 도모된다.
다음에, 상기 구성의 조명유닛(100)에 대한 광학적 특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4는 도 2에 도시한 조명유닛의 A-A 단면도이다.
조명유닛(100)의 반사미러부재(23)는, 제1 반사부(25)와 제2 반사부(27)가 연속하여 형성되어 있고, 제1 반사부(25)의 기단부에는, LED(17)의 발광면을 포물면 미러(25a)의 초점위치에 배치시키기 위한 개구(41)가 설치되어 있다. 제1 반사부(25)의 포물면 미러(25a)은, LED(17)의 발광면을 초점위치로 하는 포물면으로 이루어진 반사면을 갖고 있고, LED(17)로부터의 광을 광출사측으로 향하여 거시적으로는 대략 평행화하여 반사한다.
또한, 제2 반사부(27)는, 제1 반사부(25)의 광출사측에 더 설치되고, 포물면 미러(25a)의 배열방향, 즉 LED(17)의 배열방향에 대해 평행하게 배치된 평판형상의 평판 미러(27a)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제1 반사부(25)에 조사되지 않은 LED(17)로부터의 광을 받아 광출사측으로 향하여 대략 평행화하여 반사한다. 제1 반사부(25)는 미리 정해진 반사면 영역(M1)을 가지고, 제2 반사부(27)는 반사면 영역(M1)에 연속하여 미리 정해진 반사면 영역(M2)을 가지기 때문에, 거시적으로는, 제1, 제2 반사부(25, 27)에 의해 반사된 광은, 큰 광량의 평행광이 되어 피조명물에 조사된다.
평판 미러(27a)의 LED(17)의 광축에 대한 경사각도는, 제1 반사부(25)에 조사되지 않은 LED(17)로부터의 광속이 평행광화하는 각도로 설정된다. 본 실시형태의 경우는, LED(17)의 광축에 대해 20°~27°의 범위로 경사각도가 설정되어 있다.
여기서, LED(17)는, 예를 들면 120° 등의 넓은 조도각을 가지고 있고, 출사한 광 중에서 측방으로 향하여 출사한 광성분이 증가해도, 제1 반사부(25), 제2 반사부(27)에 잡혀 평행광화에 기여하는 비율이 높아진다. 이에 의해, 조도분포의 균일화 효과가 한층 더 높아진다.
다음에, 조명유닛(100)에 의한 조도분포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5는 조명유닛에 의한 조도분포를 도시한 그래프를 나타내었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LED(17)로부터 직접적으로 조사되는 광성분과, 제1 반사부(25), 제2 반사부(27)에 의한 반사를 동반하여 도달한 광성분으로 이루어진 범위(W1)에서의 광량은, 다른 영역과 비교하여 그 경계가 명료하게 나타나 있다. 이는, 범위(W1) 내에 집광되면서 광속이 대략 평행광이 되고, 방사조도가 높은 상태로 되어 있기 때문이다.
도 6은 LED의 점등시에 반사미러부재를 광출사측에서 본 상태를 도시한 설명도이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LED(17)의 발광면(17a)은 LED(17)의 소자의 중앙부이고, 이 발광면(17a)은 제1 반사부(25)의 포물면 미러(25a)의 전면에 상을 영출한다. 또한, 제2 반사부(27)의 쌍방의 평판 미러(27a, 27a)에도 발광면(17a)의 상을 영출한다. 즉, 제1 반사부(25)만으로는 LED(17)로부터의 직접 조사되는 광의 성 분이 확산에 의해 퍼져 버리지만, 제2 반사부(25)의 평판 미러(27a)에 의해, 확산되어 퍼지는 광성분을 편향하여 평행광화한다. 이 작용에 의해, 얻어지는 광속의 방사조도가 높아지고, 범위(W1) 내의 조도분포를 높고 균일하게 할 수 있으며, 그 결과, 범위(W1)의 경계가 명료하게 보이게 된다.
다음에, 조명유닛(100)의 광 도달거리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7은 본 실시형태에서의 조명유닛에 의한 광원의 방사휘도와 광원으로부터의 거리의 관계를 반사면의 유무나 그 종류에 따라 조사한 개념적인 그래프이다.
조명장치의 용도로서, 가로등 등의 광원으로부터 긴 거리를 사이에 두고 피조명물이 존재하는 경우, 혹은 공사경고등 등의 먼 곳으로 향하여 광원위치를 알리는 경우에는, 광의 도달거리가 조명장치의 성능을 좌우한다. 그래서, 일례로서, 도 7에 광원으로부터의 광이 반사면에 의해 도달거리에 차이가 생기는 예를 나타내었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광원위치를 확인할 수 있는 방사휘도의 한계범위가 도면 중 사선부로 나타내는 범위인 경우, 반사경을 구비하지 않는 경우에는 거리(Ln)를 초월하면 휘도 부족이 된다. 포물면 미러만 구비한 경우에는, 거리(Ln)에서는 허용 내의 방사휘도를 가지고 있지만, 거리(Lp)를 초월하면 휘도 부족이 된다. 한편, 본 발명과 같은 포물면 미러(25a)과 평판 미러(27a)을 함께 구비한 경우에는, 거리(Ln, Lp)로부터 크게 이격한 거리(Lpp)까지 휘도 부족을 일으키지 않는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관한 구성의 경우, 광 도달거리를, 포물면 미러(25a)과 평판 미러(27a)의 상승효과에 의해 비약적으로 연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광원의 모든 광속을 42.81m로 한 경우, 거리(Ln)가 15cm에서 1200 lx, 거리(Lp)가 30cm에서 1000 lx가 되고, 또 거리가 30m이어도 2 lx가 얻어진다.
도 8은 상대분광분포의 상대강도와 파장의 상관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상대분광분포는, 450~480nm의 파장영역의 광이 고강도로 얻어지는 것 외에, 560nm부근의 파장영역의 광이 얻어진다. 여기서, 440nm부근의 날카로운 발광피크가 청색 발광 다이오드로부터의 방사광이고, 560nm부근에 있는 넓은 피크가 형광체로부터의 발광이다. 또한, 이 분광분포에서는, 곤충이 좋아하는 365nm~410nm간의 파장영역의 광을 포함하지 않으므로, 나방이나 모기 등의 해충이 접근하기 어려운 조명장치(200)를 실현할 수 있다.
다음에, 제2 반사부의 돌출 높이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9는 제2 반사부의 광출사측으로 돌출하는 높이를 도시한 단면도, 도 10은 도 9의 높이(HM)로 설정된 제2 반사부를 가지는 조명유닛에 의해 조사되는 조사면을 도시한 모식도, 도 11은 (a)에 본 발명, (b), (c)에 비교예의 조사광을 모식적으로 도시한 설명도이다.
그런데, 조명유닛(100)은, 제2 반사부(27)의 광출사측으로 돌출하는 높이(HM)가 소정의 높이로 규정되어 있다. 즉,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높이(HM)는, 제2 반사부(27)의 표면(평판 미러(27a))에서의 제1 반사부(25)로부터 출사된 LED(17)로부터의 광속과 그 음영의 경계선을 제1 경계선(45)으로 하고, 제2 반사부(27)의 표면(평판 미러(27a))에서의 LED(17)에 인접하는 다른 LED(17)로부터의 광 속과 그 음영의 경계선을 제2 경계선(47)으로 했을 때에, 제2 반사부(27)의 광출사측으로 돌출하는 높이(HM)가 제1 경계선(45)과 제2 경계선(47)이 최초로 공차하는 제2 반사부(27) 표면 상의 점(49)의 높이(HS)보다도 높게 설정되어 있다.
다시 말하면, 제2 반사부(27)의 광출사측으로 돌출하는 높이(HM)는, 제1 반사부(25)로부터 출사하는 LED(17)로부터의 광속이 제2 반사부(27)에 조사되지 않음으로써, 이 제2 반사부(27)에 생기는 음영(51)을,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반사부(27)를 넘어 광출사측으로 떨어뜨리지 않고 수용할 수 있는 높이(HM)로 설정되어 있다.
도 11(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반사부(27)의 높이(HM)가 이러한 값으로 규정됨으로써, LED(17)로부터의 광속이 제2 반사부(27)에 조사되지 않음으로써 발생하는 제2 반사부(27)에서의 음영(51)은, 제2 반사부(27)의 표면 내에서 수용하고, 제2 반사부(27)를 넘어 광출사측으로 떨어뜨려 전반하는 일이 없어진다. 이에 의해, 광의 분포를 불균일하게 하는 음영(51)의 영향이 저감되고, 고품질의 균일 조명광이 얻어진다.
한편, 도 11(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반사부의 높이(HM)가 상기 규정범위를 벗어나거나, 도 11(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반사부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음영(51)이 광속(53)과 함께 출사함으로써, 조명광의 색 얼룩이나 그물형상의 그림자(51a)가 발생하고, 그 결과, 얼룩이 있는 불균일한 조명광이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관한 조명유닛(100) 및 이를 구비한 조명장치(200)에 의하면, 제1 반사부(25)가 LED(17)로부터의 광속을 광출사측으로 향하여 대략 평행화하여 반사하고, 제2 반사부(27)가 제1 반사부(25)에 입사하지 않은 LED(17)로부터의 광속을 광출사측으로 향하여 대략 평행화하여 반사함으로써, 조도분포를 균일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방사조도가 높기 때문에 광출사거리를 연장할 수 있다. 그리고, 광원이 되는 LED(17) 자체가 저렴하게 공급되기 때문에, 조명장치 전체를 저비용으로 제작할 수 있고, 광원의 소비전력이 백열전구나 형광등 등과 비교하여 대폭적으로 낮기 때문에, 러닝 비용도 저감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1, 제2 반사부(25, 27)에 의한 조도, 조사거리 향상의 유효성은, 동일 조도하에 있어서, LED(17)는 소비전력이 네온등의 1/6이고, 형광등의 1/8이다. 이는, 조명의 에너지 효율을 향상시키고, CO2 배출삭감 등의 환경문제에 미치는 영향을 삭감하는 것에 기여하게 된다.
또한, LED(17)가 저전압 구동 때문에, 쇼크 해저드 등의 설치 후의 트러블이 쉽게 일어나지 않고, 또 자외선이나 적외선을 거의 포함하지 않기 때문에, 조사대상물을 손상하는 일이 없다.
조명유닛(100)은, LED(17)의 광출사측에 제1, 제2 반사부(25, 27)로 이루어진 반사경을 설치하고 있기 때문에, LED(17)의 배면측에 설치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광원유닛의 두께를 얇게 구성할 수 있다. 이는, 쇼 케이스 등의 설치공간이 제한된 부위에 수납할 때에 특히 유리하게 된다.
또, LED(17)는, 다수개를 1유닛으로 한 어레이형상으로서 발광부(21)를 구성하였지만, 원하는 휘도가 얻어지면 LED가 1개의 단체구성이어도 된다. 또한, 제1 반사부(25)의 포물면 미러(25a)의 반사면은, 엄밀하게 포물면이 아니어도 되고, 예를 들면 쌍곡선이어도 된다. 어느 쪽이든, 포물면에 근사한 곡면이면 되고, 미세한 평면경이 전체로서 포물면 형상으로 형성한 것이어도 된다.
본 실시형태에 의한 조명유닛(100)은, 제2 반사부(27)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LED(17)를 개재하여 LED(17)의 나란한 방향에 대해 평행하게 한 쌍 배열되어 있다. 이에 의해, LED(17)로부터 직접 제2 반사부(27)에 입사한 광이, 한 쌍의 제2 반사부(27, 27)에서의 쌍방의 평판 미러(27a, 27a)에서 집광되어 높은 조도가 얻어지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이 조명유닛(100)에 의하면, 포물면 미러(25a)을 가지는 제1 반사부(25)와, 평판 미러(27a)을 가지는 제2 반사부(27)를 구비하고, 제2 반사부(27) 표면의 높이(HM)를 제1 경계선(45)과 제2 경계선(47)이 최초로 공차하는 제2 반사부 표면 상의 점(49)보다도 높게 설정하였으므로, 제2 반사부(27)에 조사되지 않음으로써, 이 제2 반사부(27)에 생기는 음영(51)을 제2 반사부(27)를 넘어 광출사측으로 떨어뜨리지 않고 수용할 수 있으며, 음영(51)이 광속(53)과 함께 출사함으로써 생기는 조명광의 색 얼룩이나 그림자(51a)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이 결과, 고품질의 균일 조명광(55)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조명유닛(100)을 구비한 조명장치(200)에 의하면, LED(17)를 발광 구 동하기 위한 전력을 공급하는 구동부(11)를 구비하였으므로, 상용전력을 구동부(11)에 공급함으로써, 전력절약이면서 높은 조도로 균일한 조도분포가 얻어지고, 게다가 색 얼룩 및 그림자가 없는 조명광을 독립한 당해 단체장치에서 조사할 수 있다.
또, 제2 반사부(27)의 높이의 규정은, 이하에 설명하는 각 실시형태에 대해서 적용함으로써, 보다 확실히 균일한 조명광을 얻을 수 있다.
(제2 실시형태)
다음에, 본 발명에 관한 조명유닛의 제2 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2는 반사면을 새틴 피니시된 면으로 구성한 조명유닛의 사시도, 도 13은 도 12에 도시한 반사미러부재의 단면도, 도 14는 반사면을 새틴 피니시된 면으로 구성한 조명유닛에 의한 조도분포를 도시한 설명도이다. 또, 이하의 각 실시형태에 있어서, 도 1~도 6에 나타낸 구성과 동일한 구성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형태에 의한 조명유닛(300)은, 제1 반사부(25)와 제2 반사부(27)의 적어도 어느 하나의 반사면(포물면 미러(25b), 평판 미러(27b))이 새틴 피니시된 면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한 제1 반사부(25)와 제2 반사부(27)의 반사면(포물면 미러(25b), 평판 미러(27b))에 실시되는 코팅 가공면으로서는, 예를 들면 스퍼터링 도금에 의한 완성을 들 수 있다. 스퍼터링 도금의 공정은, 전용 프라이머에 의한 베이스 코트의 도포, 진공 중에서의 알루미늄 증착, 알루미늄 증착면에의 우레탄 클리어 코트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예를 들면 피코팅면을 까칠까칠한 상태로 완성함으로써, 스퍼터링 도금 후의 발광면이 새틴 피니시된 면으로 형성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새틴 피니시된 반사면은, 광택 제거(광택 없음) 또는 광택 있음으로 할 수 있다. 이 광택 없음 또는 광택 있음은, 도금의 초벌액을 조제함으로써 변경할 수 있다.
이 구성에서는, 도 13,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LED(17)로부터 직접적으로 조사되는 광성분과, 제1 반사부(25), 제2 반사부(27)에 의한 반사를 동반하여 도달한 광성분으로 이루어진 범위(W2)에서의 광량은, 다른 영역과 비교하여 그 경계가 명료하게 나타나 있다. 이는, 범위(W2) 내에 집광되면서 광속이 대략 평행광이 되고, 방사조도가 높은 상태로 되어 있기 때문이다. 또한, 발광면을 미러면으로 형성한 경우와 비교하여 최대조도가 약간 저하되지만, 조도가 균일하게 되는 범위(W2)가 넓어지고, 1대의 조명유닛(300)에 의해 보다 광범위의 조명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평판 미러(27b)의 LED(17)의 광축에 대한 오픈각도(θ)를 변경함으로써, 광의 편향상태를 조정할 수 있다. 즉, 오픈각도(θ)를 크게 하여 조명범위를 확대하거나, 오픈각도(θ)를 작게 하여 특정 위치에 집광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그 경우에는, 제1 반사부(25)와 제2 반사부(27)를 일체로 구성하지 않고 개별로 설치하며, 평판 미러(27b)의 오픈각도(θ)를 조정 자유자재로 한 구성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조명유닛(300)에 의하면, 다색혼합방식에 의한 LED(17)를 광원으로서, LED(17)의 발광면이 초점위치가 되는 포물면으로 이루어진 반사면(포물면 미러(25b))을 가지는 제1 반사부(25)와, 제1 반사부(25)의 광출사측에 더, LED(17)를 개재하여 평행하게 한 쌍 배열된 평판형상의 반사면(평판 미러(27b))을 가지는 제2 반사부(27)를 구비하고, 제1 반사부(25)와 제2 반사부(27)의 반사면을 새틴 피니시된 면으로 형성하였으므로, 이 새틴 피니시된 반사면에 의해 반사된 광은, 거시적으로 보면 미러면반사가 되지만, 미시적으로 보면 도 13의 화살표(4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확산하여 반사되고, 그 결과, 분산하여 색 분리된 다른 주파수(파장)성분의 광이 혼합된다. 즉, 분리된, 예를 들면 청색광과 황색광이 백색광으로 혼합된다. 이 결과, 고효율로 LED의 광을 집광시킴과 동시에, 근접하여 조명하는 경우이어도 조사영역 내에 색 얼룩 및 그림자를 일으키지 않고 균질한 조명광을 얻을 수 있으며, 조명광의 품질을 더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특히 백색 LED(82)를 구비한 조명장치(84)에 의해 근접위치를 조명하는 경우, 백색 LED(82)의 청색광과 형광체 여기광(황색광)이 색분리되고, 특정의 조사영역(S1, S2) 등에 청색영역과 황색영역이 얼룩이 되어 나타나거나, 그림자가 나타나는 등의 결함이 생기는 것을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조명장치(100)를, 예를 들면 탁상의 조명광으로서 이용한 경우에는, 조명광의 품질을 떨어뜨리지 않고 균일한 조명광이 얻어진다.
또한, 고효율로 LED(17)의 출사광을 확산시키므로, 복수의 LED(17)의 각 소자를 소자 자체의 발광파장의 개체 차가 적은 것을 갖출 필요성을 경감할 수 있다. 미러면반사에 의한 조명유닛의 경우는, 개개의 LED(17)로부터의 출사광이 그대로 조명광으로서 이용되고, 조명영역에 있어서 발광파장의 개체 차가 두드러지게 된 다. 그래서, 조명광이 국소적으로 다른 파장성분이 되는 색 얼룩의 발생을 피하기 위해서, 발광파장이 균일하게 갖춘 LED 소자를 이용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반사면을 새틴 피니시된 면으로 함으로써 미러면반사에서 확산반사가 되고, LED(17)의 발광파장이 흩어져 있어도 확산되어 조명광이 되기 때문에, 국소적인 색 얼룩이 경감되고, 발광파장의 편차가 두드러지지 않게 된다. 이에 의해, 반사면을 새틴 피니시된 면으로 하는 것이 광원으로서 사용하는 LED소자의 발광특성을 엄격하게 선정할 필요를 없애고, 저렴한 LED소자의 이용을 가능하게 하며, 조명장치의 비용을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LED소자 제조 프로세스에서는, 반드시 발광파장의 개체 차가 큰 LED소자가 생산되는데, 이들 LED소자를 쓸데없게 하지 않고 유효하게 활용할 수 있다. 그 때문에, LED의 제조공정에서도 본 발명의 조명유닛을 사용하는 것의 이익이 얻어진다.
(제3 실시형태)
다음에, 본 발명에 관한 조명유닛의 제3 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광범위의 조명을 행하기 위한 구성으로 하고 있다.
도 16은, 본 실시형태에 관한 조명유닛과 이 조명유닛에 의한 조도분포를 도시한 설명도이다.
본 실시형태의 조명유닛(400)은, 상술한 제1 실시형태에 나타낸 조명유닛(100)을 조합하여 복수개, 병렬로 배치하여 어레이형상으로 구성하고 있다. 각 조명유닛(100)의 배치간격은, 인접하는 조명유닛(100)으로부터의 조사광의 강도를 맞춘 모든 조도분포(도면 중 일점쇄선으로 나타냄)가 평탄하게 되도록 설정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조명유닛을 복수 어레이화함으로써, 조도가 균일하게 되는 범위를 확대할 수 있고, 조명하는 영역을, 조도의 저하를 일으키지 않고 넓힐 수 있다. 또, 조명유닛(100)은, 제2 실시형태의 조명유닛(300)이어도 되고, 또 조명유닛(100)과 조명유닛(300)을 조합한 구성으로 하는 것이어도 된다. 이에 의해, 조명광의 강도와 균일성을 적절하게 조정할 수 있다.
(제4 실시형태)
다음에, 본 발명에 관한 조명유닛의 제4 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조명유닛을 원환형상으로 구성하고 있다.
도 17에 원환형상의 조명유닛의 단면도(a), 하면도(b)를 나타내었다.
본 실시형태의 조명유닛(500)은, 원환형상 혹은 원판상 등으로 형성된 배선기판(19) 상에 복수(본 실시형태에서는 12개)의 LED(17)가 원주방향을 따라 설치되어 있고, 제1 반사부(25)가 각 LED(17)에 대응한 수만큼 각각 개별로 설치되어 있다. 또한, 제2 반사부(27)가 제1 반사부(25)의 광출사측에 더, 내주측과 외주측의 원환형상으로 형성되어 제1 반사부(25)를 덮어 일체로 연속하여 형성되어 있다.
본 구성의 조명유닛(500)에 의하면, 전체가 원환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조도가 균일하게 되는 범위가 원환형상으로 나타나고, 조명유닛(500)의 크기가 작아도 넓은 범위에 걸쳐 균일한 조도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이 경우의 반사면에 대해서도, 새틴 피니시된 면으로 함으로써 확산성을 향상한 구성으로 할 수 있다. 또, 이 조명유닛(500)을 직경 사이즈가 다른 것끼리를 조합함으로써, 동심원상으로 복수의 조명유닛을 배열할 수도 있고, 소형이면서 넓은 범위에 걸쳐 균일한 조도가 얻어지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제5 실시형태)
다음에, 본 발명에 관한 조명유닛의 제5 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8은, 다른 단면구조를 가지는 반사미러부재의 구성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구성의 조명유닛(600)에 있어서는, 광원인 LED(17)의 광로 전면에 볼록면경(47)을 설치하고, LED(17)로부터의 출사광의 대부분이 볼록면경(47)에 조사된다. 볼록면경(47)에 조사되어 반사한 광은 제1 반사부(25)의 포물면 미러(25a)에 의해 평행광화되고, 또는 제2 반사부(27)의 평판 미러(27a)에 의해 평행광화된다. 또한, 볼록면경(47)에 조사되지 않은 일부의 광은 제2 반사부(27)의 평판 미러(27a)에 의해 평행광화된다. 이에 의해, LED(17)로부터 출사된 광은, 반드시 제1 반사부(25) 또는 제2 반사부(27)에 의한 편향을 받아 평행광화되고, 방사조도가 높은 상태가 되어 광로 전방으로 향하게 된다.
상기 예와 같이, 반사미러부재의 구조는 적절히 변경 가능하고, 그 밖에도 다음과 같은 변경이 있어도 된다.
예를 들면, 제2 반사부(27)의 평판 미러(27a)은 곡면경으로서, 소정 거리에서 집광(결상)시키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또한, 평판 미러(27a)의 LED(17)의 광축에 대한 오픈각도(θ)(도 14 참조)를 변경함으로써, 광의 편향상태를 조정할 수 있다. 즉, 오픈각도(θ)를 크게 하여 조명범위를 넓히거나, 오픈각도(θ)를 작게 하여 특정위치에 집광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그 경우에는, 제1 반사부와 제2 반 사부를 일체로 구성하지 않고 개별로 설치하며, 평판 미러의 오픈각도(θ)를 조정 자유자재로 한 구성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6 실시형태)
다음에, 본 발명에 관한 조명유닛의 제6 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9는, 발광 다이오드가 2열 배열된 조명유닛의 평면을 (a), 그 B-B단면을 (b)에 도시한 설명도이다.
본 실시형태에 의한 조명유닛(700)은, 도 19(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의 LED(17)가 복수열 형상(도면 예에서는 2열)으로 배열된다. 제1 반사부(25)는, 각각의 LED(17)에 따라 설치되고, 각 열의 배치가 제1 반사부(25)의 배치 피치의 1/2만큼 열방향으로 어긋난 지그재그 형상으로 배열(지그재그 배치)되어 있다. 여기서, 도 19(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들 LED(17) 및 제1 반사부(25)의 인접하는 열(L1, L2)끼리는, 제1 반사부(25)가 서로 최근접 혹은 근접하는 위치가 되도록 배치되고, 또한 서로 광출사방향에 대해 LED(17) 및 제1 반사부(25)가 단차(G)를 갖고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제2 반사부(27)가 복수의 발광 다이오드 열의 나란한 방향 양 외측에서, 발광 다이오드 열 내에서의 발광 다이오드의 나란한 방향에 대해 평행하게 한 쌍 배열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조명유닛(700)에 의하면, 각 열 사이가 서로 근접하고 있기 때문에, 음영(51)이 축소되고, 또한 인접하는 한쪽의 LED(17)의 단차(광출사방향의 반대측으로 들어가는 방향의 단차)(G)에 의해서도 음영(51)이 축소된다. 즉, 도 9에 나타낸 정각(점(49))을 개재하는 한쪽의 변부인 경계선(예를 들면, 제1 경계선(45))이 LED(17)측(도 9의 하측)으로 평행 이동되고, 제2 반사부(27)의 표면에 형성되는 제1 경계선(45)과 제2 경계선(47)에 개재되는 대략 삼각형상의 음영(51)이 축소된다. 이에 의해, 음영(51)이 한층 더 작아지고, 조명광의 색 얼룩이나 그림자의 발생이 더 억제된다.
또한, 조명유닛(700)은, 도 20에 도시한 바와 같이, 2개의 것을 연결하여 조명유닛(700A)으로서 구성해도 된다.
도 20은, 도 19에 도시한 조명유닛을 병렬시켜 사용한 변형예의 평면을 (a), 그 C-C단면을 (b)에 도시한 설명도이다. 이 경우, 연결부분의 제2 반사부(27)는 제거하고, 제2 반사부(27)는 전체를 개재하는 외측에 한 쌍의 것만을 남기는 구성으로 한다.
또, 본 실시형태에 의한 조명유닛(700)은, 도 21에 도시한 바와 같이, LED(17)가 3열로 배열된 조명유닛(700B)으로 해도 된다.
도 21은, 발광 다이오드가 3열 배열된 조명유닛의 평면을 (a), 그 D-D단면을 (b)에 도시한 설명도이다. 이 경우, 중앙에 배열되는 열(L2)이 단차(G)만큼 낮게 배치되고, 양측의 열(L1, L3)은 높게 배치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서도, 상기와 같은 작용에 의해 음영(51)이 축소되고, 조명광의 색 얼룩이나 그림자(51a)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또, LED(17)의 단차(G)는, 인접하는 발광 다이오드 열이 차이에 단차를 가지고 있으면 되므로, 각 열 사이에서의 오목볼록을 볼록오목으로 하여 볼록과 오목이 반대로 된 구성으로 해도 상관없다. 또한, 발광 다이오드 열은, 발 광 다이오드 열의 나란한 방향과 같은 정도의 길이로 하여, 제2 반사부(27)가 대략 정사각형의 테두리 형상으로 된 구성으로 해도 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의한 LED가 복수열 형상으로 된 구성을 각각 상술한 제3, 제4 실시형태에서의 어레이형상, 원환형상으로 할 수도 있고, 그 경우에는, 조명광량을 크게 벌 수 있다. 또, 다른 복수의 발광 다이오드의 배열양태를 도 22에 나타내었다. 이 경우의 조명유닛(700C)은, 환상의 제2 반사부(27)의 내측에 제1 반사부(25)를 복수, 지그재그 형상으로 배치하고 있다. 이 경우도 발광 다이오드(17)는, 인접하는 것끼리의 사이에서 서로 광출사방향에 대해 단차를 가지고 있다. 또한, 도면에서는 육각형 테두리 형상의 제2 반사부(27)를 형성하고 있는데, 이에 한정되지 않고 임의의 다각형상이나 원환형상이어도 된다.
이상, 본 발명을 상세하게 특정의 실시형태를 참조하여 설명하였는데,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여러 가지 변경이나 수정을 가할 수 있는 것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하다.
본 출원은, 2004년 11월 30일 출원의 일본국 특허출원번호 2004-346543 및 2005년 8월 30일 출원의 일본국 특허출원번호 2005-249986과 2005년 9월 6일 출원의 일본국 특허출원번호 2005-257976에 기초하는 것으로, 그 내용은 여기에 참조로서 도입된다.
(실시예 1)
이하, 본 발명에 관한 조명유닛을 사용한 조명장치의 조명성능을 평가한 결과를 설명한다.
본 발명에 관한 제1 실시형태의 조명장치(200)의 성상을 이하에 나타낸다.
·LED수 16개
·반사미러부재(23)의 외형치수
세로 23.8mm, 가로 264mm, 높이(H) 16.25mm
상기 구성의 조명장치(200)에 의하면, 하기의 기본특성이 실험적으로 얻어진다.
·직선조사거리(광원위치부터 1 lx이상의 조도가 얻어지는 위치까지의 최대거리) 30m이상
·광점직하조도(광점직하거리 2m의 지점에서의 조도) 48.5 lx/m2
·전기적 특성
12V구동시(AC/DC공통) 0.09A 1.1Wh/1개
24V구동시(AC/DC공통) 0.08A 1.92Wh/1개
·광학적 특성
모든 광속(12V구동시) 18.8lm
모든 광속(24V구동시) 42.8lm
여기서, 상기 구성의 조명유닛(100)의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서, 이하의 조건으로 조도분포의 시험을 행하였다.
상기 구성의 조명유닛을 실시예 1-1로 하고, 상기 구성의 조명유닛에서 미러면반사부재를 제거하고, 발광부(21)만의 구성으로 한 것을 비교예 1-1로 하며, 상 기 구성의 조명유닛의 미러면반사부재를 제1 반사부(25)만의 구성으로 한 것을 비교예 1-2로 하였다. 즉, 포물면 미러+평판 미러(실시예 1-1), 포물면 미러만(비교예 1-1), 반사경없음(비교예 1-2)의 3모델로 하였다.
조도 측정에 있어서는, 암실 내에서 30cm×35cm×높이 49cm의 박스를 준비하고, 이 박스 안에 상기 3모델의 조명유닛을 안착하여 미리 설정한 각 측정위치의 조도를 조도측정장치(요코가와 인스트루멘트 주식회사 제품 형명 510 02)에 의해 측정하였다.
도 23에 비교예 1-1, 도 24에 비교예 1-2, 도 25에 실시예 1-1의 조도분포 측정결과를 나타낸다.
비교예 1-1에서는, 도 23에 도시한 바와 같이, 100 lx정도의 낮은 조도의 영역이 넓은 각도범위에 걸쳐 형성되어 최대조도도 115 lx정도이었다.
비교예 1-2에서는, 도 24에 도시한 바와 같이, 360~400 lx의 조도를 가지는 광의 띠가 형성되고, 그 조사범위도 포물면 미러의 해방측의 폭과 대략 동등한 범위가 되었다.
이에 대해 실시예 1-1은, 도 25에 도시한 바와 같이, 900 lx를 넘는 대략 일정 조도를 가지는 강한 광의 띠가 평판상경의 폭과 대략 동등한 범위로 형성되고, 이 광의 띠의 외측은 200 lx정도까지 급준하게 조도가 저하되는 결과가 되었다. 이 실시예 1-1의 강한 광의 띠는, 비교예 1-2에서 나타난 경계를 확실히 하지 않는 광의 띠와는 명백하게 달리, 광의 띠의 위치를 명료하게 식별할 수 있는 것이 되었다.
다음에, 본 조명장치의 소비전력의 저감효과에 대해서 비교하였다.
여기서는, 형광등이나 전구형 형광램프를 이용한 종래의 조명장치를 조도가 동등 레벨이 되도록 본원 발명의 조명장치로 치환한 경우에 대해서, 쌍방의 소비전력의 차를 비교하였다.
Figure 112006084706162-PCT00001
비교예 2-1은, 인버터식 틸드라인의 형광등(56W×8개)을 사용하고 있고, 소비전력이 448W이다. 이 비교예 2-1의 구성과 동등 레벨의 조도를 얻기 위해서, 실시예 2-1에서는 DC24V구동의 조명유닛(LED어레이)과 반사판을 조합한 제1 실시형태와 같은 구성의 조명유닛을 합계 70개 준비하였다. 구동전압은 DC24V에서 조명유닛 1개당 소비전력은 1.92W이고, 70개분을 합한 소비전력은 134W가 된다. 즉, 종전의 소비전력 448W의 조명장치를 본원 발명의 조명장치로 변경함으로써, 소비전력은 0.30배의 134W까지 저감되었다.
비교예 2-2는, 엔도조명 제품 조명기구 EG-9818에 히타치제작소 제품 형광램프 EFD9EL-E17(9W×60개)를 사용하고 있고, 소비전력이 540W이다. 실시예 2-2에서는, 이것과 동등 레벨의 조도를 얻기 위해서, 제1 실시형태와 같은 조명유닛을 합계 132개 준비하였다. 구동전압은 DC24V에서 조명유닛 1개당 소비전력은 1.92W이고, 132개분을 합한 소비전력은 253W가 된다. 즉, 이 경우의 소비전력은 0.47배까지 저감되었다.
비교예 2-3은, 엔도조명 제품 조명기구 EG-9818에 히타치제작소 제품 형광램프 EFD9EL-E17(9W×36개)를 사용하고 있고, 소비전력이 324W이다. 실시예 2-3에서는, 이것과 동등 레벨의 조도를 얻기 위해서, 제1 실시형태와 같은 조명유닛을 합계 86개 준비하였다. 구동전압은 DC12V에서 조명유닛 1개당 소비전력은 1.1W이고, 86개분을 합한 소비전력은 94.6W가 된다. 즉, 이 경우의 소비전력은 0.29배까지 저감되었다.
다음에, 상기 구성의 조명유닛(100) 및 (300)의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서, 이하의 조건으로 조도특성 및 배광특성의 시험을 행하였다.
상기 실시형태의 구성에서 반사면을 미러면으로 형성한 조명유닛(100)을 실시예 3-1로 하고, 상기 실시형태의 구성에서 반사면을 새틴 피니시 광택 있음으로 형성한 조명유닛(300)을 실시예 3-2로 하며, 반사면을 새틴 피니시 광택 없음으로 형성한 조명유닛(300)을 실시예 3-3으로 하였다. 또한, 제1 반사부(25), 제2 반사부(27)를 구비하지 않는 LED(17)만의 조명유닛을 비교예 3-1로 하였다.
또한, 실시예, 비교예에 사용한 조명유닛의 성상을 이하에 나타낸다.
·LED수 16개
·반사미러부재(23)의 외형치수
세로 23.8mm, 가로 264mm, 높이(H) 16.25mm
또한, 실시예 3-2, 실시예 3-3의 새틴 피니시된 반사면의 광택 있음, 광택 없음은, 도금의 초벌액을 다른 것으로 함으로써 형성하였다. 즉, 실시예 3-2의 도금 초벌액은 동양공업도료주식회사 제품 K173NP 언더를 사용하고, 실시예 3-3의 도금 초벌액은 주식회사 히쇼 제품 500 광택 없음 28을 사용하였다.
이 반사면에서의 광택 있음 또는 광택 없음의 표면성상은, 예를 들면 샌드 페이퍼의 번호를 이용하여 상당 조밀함을 특정할 수 있다. 즉, 실시예 3-2의 표면성상의 샌드 페이퍼 상당번호(N1)는 #70≤N1≤#100이고, 바람직하게는 #80≤N1≤#90이다. 또한, 실시예 3-3의 샌드 페이퍼 상당번호(N2)는 #60≤N2≤#100이고, 바람직하게는 #75≤N2≤#85이다.
도 26은 실시예 3-1의 조도특성을 나타낸 그래프, 도 27은 실시예 3-1의 배광특성을 나타낸 그래프, 도 28은 실시예 3-2의 조도특성을 나타낸 그래프, 도 29는 실시예 3-2의 배광특성을 나타낸 그래프, 도 30은 실시예 3-3의 조도특성을 나타낸 그래프, 도 31은 실시예 3-3의 배광특성을 나타낸 그래프, 도 32는 비교예 3-1의 조도특성을 나타낸 그래프, 도 33은 비교예 3-1의 배광특성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또, 도 27, 29, 31, 33의 각 그래프에 있어서, 횡축의 각도는, 측정기에 대해 조명유닛(100)의 광출사면의 중심축을 회전축으로서 좌우대칭으로 90도 회전했을 때의 각도를 표기한 것이다. 또한, 각 그래프 중의 실선은 조명유닛(300)의 길이방향으로 평행한 축을 회전축으로 하고, 점선은 이 회전축과는 직교하는 방향의 축을 회전축으로 하여 계측한 결과를 나타내고 있다.
실시예 3-1, 실시예 3-2, 실시예 3-3, 비교예 3-1의 표면성상, 공급전원, 모든 광속, 효율, 최대광도, 1/2 빔각 및 평가를 표 2에 나타낸다.
Figure 112006084706162-PCT00002
실시예 3-1은, 도 26에 도시한 바와 같이, 2m의 조사거리에서 조도 50 lx의 조사영역이 수평거리 약 0.4m로 형성되었다. 또한, 도 27에 도시한 바와 같이, -10~10°의 배광각도에서 50~약 400cd의 광도가 얻어지는데, 조사거리가 가까운 위치에서는, 청색광과 황색광의 색분리(색 얼룩)나 그림자가 인정되었지만, 조사거리가 길어짐에 따라 이 색 얼룩이나 그림자는 소실하였다.
실시예 3-2는, 도 28에 도시한 바와 같이, 2m의 조사거리에서 조도 10 lx의 조사영역이 수평거리 약 0.8m로 형성되었다. 또한, 도 29에 도시한 바와 같이, -30~30°의 배광각도에서 20~약 50cd의 균질한 광도가 얻어지고, 청색광과 황색광의 색 분리는 인정되지 않았다.
실시예 3-3은, 도 30에 도시한 바와 같이, 2m의 조사거리에서 조도 10 lx의 조사영역이 수평거리 약 0.8m로 형성되고, 그 내측에 조도 20 lx의 조사영역이 수평거리 0.4m로 형성되었다. 또한, 도 31에 도시한 바와 같이, -30~30°의 배광각도에서 20~약 100cd의 광도가 얻어지고, 청색광과 황색광의 색 분리는 인정되지 않았다.
비교예 3-1은, 도 32에 도시한 바와 같이, 1.6m의 조사거리에서 조도 5 lx의 조사영역이 수평거리 약 0.8m로 형성되는 데에 그쳐 충분한 조도를 확보할 수 없었다. 그러나, 도 33에 도시한 바와 같이, -90°~90°의 배향각도에서 0~약 15cd의 광도가 완만하게 변화하는 조사영역이 형성되고, 청색광과 황색광의 색 분리는 인정되지 않았다.
따라서, 반사면을 새틴 피니시된 광택 있음으로 형성한 실시예 3-2와, 반사면을 새틴 피니시된 광택 없음으로 형성한 실시예 3-3에서, 고효율로 LED의 광을 집광시킴과 동시에, 조사영역 내에 색 얼룩 및 그림자를 일으키지 않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제2 반사면의 높이가 규정범위에 들어가 있는 각 실시예는, 제2 반사면을 구비하지 않는 비교예 1-1, 1-2, 3-1과 비교하여 명확한 광량분포의 균일성이 얻어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발명은, 전력 절약화를 도모하면서, 높은 조도로 일정한 평탄조도분포의 조명영역을 얻고, 게다가 광의 조사거리를 연장할 수 있는 조명의 용도에 매우 적합하게 적용할 수 있다.

Claims (10)

  1. 발광 다이오드를 광원으로 한 조명유닛으로서,
    복수의 발광 다이오드를 기대(基臺)에 설치한 발광부와,
    상기 발광부의 광출사측에 상기 복수의 발광 다이오드 각각에 대응하여 설치되고, 상기 발광 다이오드의 발광면이 초점위치가 되는 포물면으로 이루어진 제1 반사부와,
    상기 제1 반사부의 더욱 광출사측에, 상기 발광 다이오드를 개재하여, 상기 발광 다이오드의 나란한 방향에 대해 평행하게 한 쌍 배열되고, 상기 발광 다이오드로부터의 광을 광출사측으로 향하여 반사하는 평판형상의 반사면을 가지는 제2 반사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유닛.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 반사부 표면에서의 상기 제1 반사부로부터 출사된 상기 발광 다이오드로부터의 광속과 그 음영의 경계선을 제1 경계선으로 하고,
    상기 제2 반사부 표면에서의 상기 발광 다이오드에 인접하는 다른 발광 다이오드로부터의 광속과 그 음영의 경계선을 제2 경계선으로 했을 때,
    상기 제2 반사부의 상기 광출사측으로 돌출하는 높이가 상기 제1 경계선과 상기 제2 경계선이 최초로 공차하는 상기 제2 반사부 표면 상의 점보다도 높게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유닛.
  3. 발광 다이오드를 광원으로 한 조명유닛으로서,
    복수의 발광 다이오드를 기대에 설치한 발광부와,
    상기 발광부의 광출사측에 상기 복수의 발광 다이오드 각각에 대응하여 설치되고, 상기 발광 다이오드의 발광면이 초점위치가 되는 포물면으로 이루어진 제1 반사부와,
    상기 제1 반사부의 더욱 광출사측에, 상기 발광 다이오드로부터의 광을 광출사측으로 향하여 반사하는 평판형상의 반사면을 가지는 제2 반사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2 반사부 표면에서의 상기 제1 반사부로부터 출사된 상기 발광 다이오드로부터의 광속과 그 음영의 경계선을 제1 경계선으로 하고,
    상기 제2 반사부 표면에서의 상기 발광 다이오드에 인접하는 다른 발광 다이오드로부터의 광속과 그 음영의 경계선을 제2 경계선으로 했을 때,
    상기 제2 반사부의 상기 광출사측으로 돌출하는 높이가 상기 제1 경계선과 상기 제2 경계선이 최초로 공차하는 상기 제2 반사부 표면 상의 점보다도 높게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유닛.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발광 다이오드가 복수열 형상으로 배열되고, 상기 제2 반사부가 상기 복수의 발광 다이오드 열의 나란한 방향 양(兩) 외측(外側)에서, 상기 발광 다이오드 열 내에서의 발광 다이오드의 나란한 방향에 대해 평행하게 한 쌍 배열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유닛.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발광 다이오드 열은, 당해 발광 다이오드 열 내의 상기 제1 반사부의 배치 피치가 인접하는 발광 다이오드 열 사이에서 서로 1/2 피치만큼 열방향으로 어긋난 지그재그형 배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유닛.
  6. 청구항 4 또는 5에 있어서,
    상기 발광 다이오드 열과 이것에 인접하는 다른 발광 다이오드 열의 사이에서, 각 열 사이의 발광 다이오드가 서로 광출사방향에 대해 단차를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유닛.
  7. 청구항 1 내지 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반사부와 상기 제2 반사부의 반사면이, 증착에 의한 미러면의 코팅 가공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유닛.
  8. 청구항 1 내지 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반사부와 상기 제2 반사부의 적어도 어느 하나의 반사면이, 새틴 피니시(satin-finished)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유닛.
  9. 청구항 1 내지 8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 다이오드가, 청색 발광 다이오드와, 상기 청색 발광 다이오드로부터의 청색광을 황색광으로 변환하는 형광체를 가지는 백색 발광 다이오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유닛.
  10. 청구항 1 내지 9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조명유닛과,
    상기 발광 다이오드를 발광 구동하기 위한 전력을 공급하는 구동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장치.
KR1020067024265A 2004-11-30 2005-09-13 조명유닛 및 조명장치 KR10078459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4346543A JP3694310B1 (ja) 2004-11-30 2004-11-30 照明ユニット及びこれを備えた照明装置
JPJP-P-2004-00346543 2004-11-30
JPJP-P-2005-00249986 2005-08-30
JP2005249986A JP3787147B1 (ja) 2005-08-30 2005-08-30 照明ユニット及び照明装置
JPJP-P-2005-00257976 2005-09-06
JP2005257976A JP3787148B1 (ja) 2005-09-06 2005-09-06 照明ユニット及び照明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58378A true KR20070058378A (ko) 2007-06-08
KR100784596B1 KR100784596B1 (ko) 2007-12-11

Family

ID=365648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24265A KR100784596B1 (ko) 2004-11-30 2005-09-13 조명유닛 및 조명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070230171A1 (ko)
EP (2) EP2039991A3 (ko)
KR (1) KR100784596B1 (ko)
MY (1) MY138360A (ko)
TW (1) TWI303701B (ko)
WO (1) WO2006059422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8801B1 (ko) * 2008-04-04 2011-07-12 주식회사 아모럭스 벽면 조명용 케이싱 및 이를 사용한 발광 다이오드 조명 기구
KR101398531B1 (ko) * 2012-10-31 2014-05-27 부국전자 주식회사 콤보형 엘이디 조명모듈
KR101441042B1 (ko) * 2012-10-31 2014-09-17 부국전자 주식회사 엘이디 조명모듈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067479A (zh) * 2007-02-06 2007-11-07 宁波安迪光电科技有限公司 大功率led照明装置
JP4894688B2 (ja) 2007-09-05 2012-03-14 東芝ライテック株式会社 照明装置
US7828456B2 (en) 2007-10-17 2010-11-09 Lsi Industries, Inc. Roadway luminaire and methods of use
US8322881B1 (en) 2007-12-21 2012-12-04 Appalachian Lighting Systems, Inc. Lighting fixture
JP5218771B2 (ja) 2008-05-22 2013-06-26 東芝ライテック株式会社 反射体及び照明器具
CN101586740B (zh) * 2008-05-23 2012-02-01 富准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发光二极管模组
FI20085548A0 (fi) * 2008-06-04 2008-06-04 Valopaa Oy Laite valaistuksen suuntaamiseen ja valaistukseen
EP2180241B1 (en) 2008-10-22 2012-08-29 Toshiba Lighting & Technology Corporation Lighting Apparatus
US7959322B2 (en) * 2009-04-24 2011-06-14 Whelen Engineering Company, Inc. Optical system for LED array
RU2491471C1 (ru) 2009-06-15 2013-08-27 Шарп Кабусики Кайся Блок источников света, осветите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устройство отображения, телевизионный приемник и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отражательной пластины для блока источников света
EP2264357A1 (en) 2009-06-19 2010-12-22 Toshiba Lighting & Technology Corporation Light source unit and illumination device
DE102009044387B4 (de) * 2009-11-02 2017-05-24 Selux Aktiengesellschaft LED-Außenleuchte
US8794787B2 (en) 2009-11-10 2014-08-05 Lsi Industries, Inc. Modular light reflectors and assemblies for luminaire
CN102980072A (zh) * 2010-03-01 2013-03-20 亿光电子工业股份有限公司 光源模块与灯具
WO2012064903A1 (en) 2010-11-11 2012-05-18 Bridgelux, Inc. Led light using internal reflector
US9091399B2 (en) 2010-11-11 2015-07-28 Bridgelux, Inc. Driver-free light-emitting device
US8742655B2 (en) * 2011-07-22 2014-06-03 Guardian Industries Corp. LED lighting systems with phosphor subassemblies, and/or methods of making the same
US8696154B2 (en) 2011-08-19 2014-04-15 Lsi Industries, Inc. Luminaires and lighting structures
CN104302969B (zh) * 2012-03-18 2018-05-18 罗布照明有限公司 改进的用于led照明设备的准直系统
WO2015075608A1 (en) * 2013-11-20 2015-05-28 Koninklijke Philips N.V. Method and apparatus for uniform illumination of a surface
DE102014205898A1 (de) * 2014-03-28 2015-10-01 Selux Aktiengesellschaft Reflektor
US9541255B2 (en) 2014-05-28 2017-01-10 Lsi Industries, Inc. Luminaires and reflector modules
JP2017538254A (ja) * 2014-11-13 2017-12-21 フィリップス ライティング ホールディング ビー ヴィ 照明装置、照明装置構成方法、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製品、計算処理デバイス及び照明システム
DE202015106256U1 (de) * 2015-11-18 2017-02-22 Zumtobel Lighting Gmbh Blendarme Lichttechnik
JP2017135219A (ja) * 2016-01-26 2017-08-03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光源、照明器具及び光源の製造方法
JP6876051B2 (ja) * 2016-08-01 2021-05-26 Idec株式会社 リフレクタおよび照明装置
JP2023107264A (ja) 2022-01-24 2023-08-03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照明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01593B2 (ja) * 1986-07-28 1994-12-12 三菱電線工業株式会社 発光ダイオ−ド構造物
JPH086614Y2 (ja) * 1991-04-26 1996-02-28 株式会社小糸製作所 車輌用標識灯
JP2000216437A (ja) * 1998-11-20 2000-08-04 Kano Densan Hongkong Yugenkoshi 照明装置、照明装置を有する表示装置、表示装置用照明装置並びに電子機器
US6729746B2 (en) * 2000-03-14 2004-05-04 Toyoda Gosei Co., Ltd. Light source device
JP2002093209A (ja) * 2000-09-11 2002-03-29 Koito Mfg Co Ltd 車両用灯具
DE20021934U1 (de) * 2000-12-27 2001-04-05 Zweibrueder Stahlwarenkontor G Lampe, insbesondere Wohnraum-, Tisch- oder Taschenlampe
JP4239565B2 (ja) * 2002-03-20 2009-03-18 豊田合成株式会社 発光器および灯具
US6641284B2 (en) * 2002-02-21 2003-11-04 Whelen Engineering Company, Inc. LED light assembly
US6644841B2 (en) * 2002-03-01 2003-11-11 Gelcore Llc Light emitting diode reflector
US7011431B2 (en) * 2002-04-23 2006-03-14 Nichia Corporation Lighting apparatus
TWI326040B (en) * 2002-05-23 2010-06-11 Nissha Printing Touch panel with supporting board
ITTO20020625A1 (it) * 2002-07-17 2004-01-19 Fiat Ricerche Guida di luce per dispositivi di visualizzazione di tipo "head-mounted" o "head-up"
US7008079B2 (en) * 2003-11-21 2006-03-07 Whelen Engineering Company, Inc. Composite reflecting surface for linear LED array
US20060092644A1 (en) * 2004-10-28 2006-05-04 Mok Thye L Small package high efficiency illuminator design
KR100700201B1 (ko) * 2005-09-01 2007-03-27 에스엘 주식회사 발광 램프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8801B1 (ko) * 2008-04-04 2011-07-12 주식회사 아모럭스 벽면 조명용 케이싱 및 이를 사용한 발광 다이오드 조명 기구
KR101398531B1 (ko) * 2012-10-31 2014-05-27 부국전자 주식회사 콤보형 엘이디 조명모듈
KR101441042B1 (ko) * 2012-10-31 2014-09-17 부국전자 주식회사 엘이디 조명모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0619558A (en) 2006-06-16
WO2006059422A1 (ja) 2006-06-08
MY138360A (en) 2009-05-29
TWI303701B (en) 2008-12-01
EP2039991A2 (en) 2009-03-25
EP1818607A1 (en) 2007-08-15
EP1818607A4 (en) 2008-05-14
EP2039991A3 (en) 2009-04-01
US20070230171A1 (en) 2007-10-04
KR100784596B1 (ko) 2007-1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84596B1 (ko) 조명유닛 및 조명장치
JP3787148B1 (ja) 照明ユニット及び照明装置
JP3787145B1 (ja) 照明パネル及び照明装置
CN100510518C (zh) 照明单元和照明设备
JP4365453B2 (ja) 机上照明装置
US8231259B2 (en) Luminaire having separate lamps for direct lighting and indirect lighting
JP4173183B1 (ja) 広域照明装置
US8870417B2 (en) Semi-indirect aisle lighting fixture
US20130194820A1 (en) Reduced contrast led lighting system
JPWO2010119580A1 (ja) 光源モジュール
JP2014524105A (ja) Led用の光学レンズに関連する方法及び装置
JP2007311064A (ja) 照明装置
JP3787147B1 (ja) 照明ユニット及び照明装置
US8534880B1 (en) Solid state lighting system
JP2013149590A (ja) 平面発光ダイオード照明
KR20110023231A (ko) 봉형 엘이디조명등기구
KR100991890B1 (ko) 엘이디를 이용한 조명 모듈
CN101498427B (zh) 均匀发光装置
JP2008305785A (ja) 照明器具
US20190211975A1 (en) Bulbs with indirect illumination
JP2013143250A (ja) 照明装置
JP2013045921A (ja) 発光装置及び照明装置
KR20060122045A (ko) 발광다이오드를 이용한 조명장치
JP5848176B2 (ja) ホリゾントライト
MXPA06009875A (es) Luminari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1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