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28498A - Bio trickling filter system for processing odor and volatile organic compounds - Google Patents
Bio trickling filter system for processing odor and volatile organic compounds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70028498A KR20070028498A KR1020070014486A KR20070014486A KR20070028498A KR 20070028498 A KR20070028498 A KR 20070028498A KR 1020070014486 A KR1020070014486 A KR 1020070014486A KR 20070014486 A KR20070014486 A KR 20070014486A KR 20070028498 A KR20070028498 A KR 20070028498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ater
- circulating water
- reaction chamber
- pipe
- organic compounds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74—General processes for purification of waste gases;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53/84—Biological process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7/00—Components to be removed
- B01D2257/70—Organic compounds not provided for in groups B01D2257/00 - B01D2257/602
- B01D2257/708—Volatile organic compounds V.O.C.'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20—Air quality improvement or preservation, e.g. vehicle emission control or emission reduction by using catalytic converter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35/00—Chemistry: molecular biology and microbiology
- Y10S435/821—Microorganisms used in the destruction of hazardous or toxic was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Treating Waste G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악취 및 휘발성 유기화합물 처리용 바이오트리클링 필터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시스템 내에 미생물 부착능이 우수하고 비표면적이 높아 악취 및 휘발성 유기화합물의 제거효율을 극대화 시킬 수 있으며, 80% 이상의 공극율을 갖고 있을 뿐만 아니라 비중이 1.05~1.20으로 낮아 효율적인 역세가 가능한 충진 여재인 미생물 담체를 내장하여 악취성분 및 휘발성 유기화합물질들을 미생물에 의해 분해 제거시켜 안정하고 무해한 형태의 물질로 전환 배출하도록 하는 친환경적인 악취 및 휘발성 유기화합물 처리용 바이오트리클링 필터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iotrickle filter system for treating malodor and volatile organic compounds, and more particularly, has excellent microbial adhesion ability and high specific surface area in the system to maximize the removal efficiency of malodor and volatile organic compounds, and 80% In addition to having a higher porosity and a specific gravity of 1.05 to 1.20, the microorganism carrier, which is a filling medium capable of efficient backwashing, is embedded to decompose and remove odorous substances and volatile organic compounds by microorganisms so that they can be converted into stable and harmless forms. It relates to an environmentally friendly bio-trickle filter system for treating odor and volatile organic compounds.
본 발명은 내부 중앙부에 순환수가 공급되는 제1살수관이 설치되고 내부 하측에는 다수의 통공이 형성된 지지망 위에 미생물 담체인 메디아가 충진되어 수용성 가스를 제거하는 제1반응챔버와, 내부 상측에 순환수가 공급되는 제2살수관이 설치되고 내부 중앙부에는 다수의 통공이 형성된 지지망 위에 미생물 담체인 메디아가 충진되어 난/비수용성 가스를 제거하는 제2반응챔버와, 상기 제1반응챔버 및 제2반응챔버 사이에 위치하여 상호간에 플랜지로서 체결되고 내부가 비어 있는 공간챔버와, 상기 제2반응챔버 상측에 플랜지로서 체결 설치되며 상측 중앙에 가스배출구가 형성된 호퍼형상의 상부덮개와, 상기 제1반응챔버 하측에 플랜지로서 체결 설치되며 일측면에 유해가스가 유입되는 가스유입구가 형성되고 하측 중앙부에는 순환수배출구가 형성된 하부덮개로 이루어진 바이오트리클링 필터 본체와; 상기 제 1, 제2살수관을 통해 상기 메디아에 미생물의 성장 및 수용성가스를 용해하기 위해 순환수를 공급하는 순환수 공급장치와; 상기 순환수 공급장치 내에 유입된 순환수의 영양염 농도, pH 농도를 조절하고 일정 수위를 유지하기 위해 영양염, NaOH, 보충수를 공급하는 안정화 조절장치가 구비되고, 상기 순환수 공급장치에 유입된 순환수는 펌프로서 제1배관과 순환수 공급밸브를 통해 상기 제1, 제2살수관으로 공급하도록 하고, 상기 순환수배출구와 펌프 사이에는 역세수 유입밸브를 통해 제3배관이 설치되고, 상기 순환수배출구와 순환수 공급장치 사이에는 순환밸브를 통해 제5배관이 설치되고, 상기 제5배관의 일측에는 역세수 배출밸브를 통해 제4배관이 분기 설치되는 것에 특징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a first water discharge pipe is installed in the inner center of the circulating water is installed in the inner lower side of the first reaction chamber to remove the water-soluble gas by filling the media of the microorganism carrier on the support network formed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the circulation water in the upper side A second reaction chamber for supplying a second sprinkling water pipe and having a plurality of through-holes formed therein, a second reaction chamber for removing an egg / non-aqueous gas by filling a medium as a microbial carrier on a support network having a plurality of apertures, the first reaction chamber and the second reaction chamber A space chamber which is located between and fastened as a flange to each other and is empty inside, a hopper-shaped upper cover which is installed as a flange on the upper side of the second reaction chamber and has a gas outlet at the upper center thereof, and a lower side of the first reaction chamber. It is fastened and installed as a flange on the side, and a gas inlet for introducing harmful gas is formed on one side, and a circulating water outlet is formed at the lower center. Bio-cycling filter tree composed of a main body and a lower cover; A circulating water supply device for supplying circulating water to the media to grow microorganisms and dissolve water soluble gases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water pipes; In order to control the nutrient concentration, pH concentration of the circulating water introduced into the circulating water supply device and to maintain a constant water level, a stabilization controller is provided to supply nutrients, NaOH, and supplemental water, and the circulation flowed into the circulating water supply device. Water is supplied to the first and second water pipes through a first pipe and a circulating water supply valve as a pump, and a third pipe is installed between the circulating water outlet and the pump through a backwash water inlet valve. A fifth pipe is installed between the water outlet and the circulating water supply device through a circulation valve, and a fourth pipe is branched through a backwash water discharge valve on one side of the fifth pipe.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악취 및 휘발성 유기화합물 처리용 바이오트리클링 필터시스템 구성도.1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bio-trickle filter system for treating odor and volatile organic compound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의 (가) 및 (나)는 본 발명에 따른 악취 및 휘발성 유기화합물 처리용 바이오트리클링 필터에 사용되는 메디아의 사시도 및 단면도.Figure 2 (a) and (b) is a perspective view and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media used in the bio trickling filter for treating odor and volatile organic compound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악취 및 휘발성 유기화합물 처리용 바이오트리클링 필터의 콘트롤부 블록도.Figure 3 is a block diagram of the control unit of the bio-trickle filter for treating odor and volatile organic compound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악취 및 휘발성 유기화합물 처리용 바이오트리클링 필터 콘트롤부의 제어흐름도.Figure 4 is a control flow diagram of the bio-trickle filter control unit for treating odor and volatile organic compound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Drawing]
7a, 7a-1 : 지지망 7b, 7b-1 : 통공7a, 7a-1:
8 : 제4배관 8a : 제5배관8:
9 : 제3배관 10a, 10b : 제1, 제2살수관9:
11 : 배출구 12 : 상부덮개11 outlet 12: top cover
13 : 제1반응챔버 14 : 공간챔버13: first reaction chamber 14: space chamber
15 : 제2반응챔버 17 : 하부덮개15: second reaction chamber 17: lower cover
18, 19 : 메디아 20 : 제1배관18, 19: media 20: first pipe
21a~21c : 제1 내지 제3압력계 22a, 22b : 순환수 공급밸브21a to 21c: 1st to
22c : 역세수 유입밸브 22d : 역세수 배출밸브22c: backwash
22e : 순환밸브 23 : 온도센서22e: circulation valve 23: temperature sensor
24 : 펌프 25 : 송풍기24: pump 25: blower
26 : 수위감지센서 27 : 히터26: water level sensor 27: heater
28 : 수소이온농도 감지센서 29 : 순환수저장조 28: hydrogen ion concentration sensor 29: circulating water storage tank
30 : 제2배관 31 : 영양염 공급탱크30: second piping 31: nutrient supply tank
32 : NaOH 공급탱크 33 : 순환수 공급탱크32: NaOH supply tank 33: circulating water supply tank
34a~34d : 제1 내지 제3솔레노이드밸브34a to 34d: first to third solenoid valves
40 : 바이오트리클링 필터 본체 50 : 순환수 공급장치40: bio trickling filter body 50: circulating water supply device
60 : 안정화 조절장치 71 : 조작부60: stabilization control device 71: control panel
72 : MPU 73 : 드라이브72: MPU 73: Drive
본 발명은 악취 및 휘발성 유기화합물(VOCs) 처리용 바이오트리클링 필터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시스템 내에 미생물 부착능이 우수하고 비표면적이 높아 악취 및 휘발성 유기화합물의 제거효율을 극대화 시킬 수 있으며, 80% 이상의 공극율을 갖고 있을 뿐 만 아니라 비중이 1.05 - 1.20 으로 낮아 효율 적인 역세가 가능한 충진 여재인 미생물 담체를 내장하여 악취성분 및 휘발성 유기화합물질들을 미생물에 의해 분해 제거시켜 안정하고 무해한 형태의 물질로 전환 배출하도록 하는 친환경적인 악취 및 휘발성 유기화합물 처리용 바이오트리클링 필터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io trickling filter system for treating odors and volatile organic compounds (VOCs), and more particularly, has excellent microbial adhesion ability and high specific surface area in the system to maximize the removal efficiency of odors and volatile organic compounds. It has a porosity of more than 80% and has a specific gravity of 1.05-1.20, so it contains a microorganism carrier, which is a filling medium capable of efficient backwashing, and decomposes and removes odor components and volatile organic compounds by microorganisms.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io-trickle filter system for the treatment of environmentally friendly odors and volatile organic compounds that can be converted and discharged into materials.
통상적으로, 페인트공장, 석유화학공장, 인쇄공장, 자동차 도장공장, 음식폐기물 자원화 시설, 수산물 가공시설 및 폐수처리장 등에서는 악취를 풍기는 물질과 유해오염물질 등이 다량으로 형성되며, 이러한 악취가스 및 유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일반적인 방법으로서는 개방형 실내저장조나 발효숙성조 등에서 산성수를 분무하여 악취가스 및 유해가스에 함유된 암모니아나 아민류 등의 알칼리성 가스와 중성 산화성가스를 중화 및 산화 반응시켜 제거하고 있다.In general, odorous substances and harmful pollutants are formed in paint plants, petrochemical plants, printing plants, automobile coating plants, food waste recycling facilities, aquatic product processing facilities, and wastewater treatment plants. As a general method for removing substances, acidic water is sprayed in an open indoor storage tank or fermentation aging tank to neutralize and oxidize alkaline gases such as ammonia and amines contained in odorous gases and harmful gases and neutral oxidizing gases.
상기와 같은 일반적인 제거방법은 악취가스 및 유해가스가 산성수에 의해 제거되지 않는 황화수소 및 메르캅탄류 등의 산성가스와 중성 환원성 가스 및 휘발성 유기화합물이 항상 함유되어 있어서, 이런 산성가스와 중성 환원성 가스 및 휘발성 유기화합물에 의해 작업자의 작업여건이 열악해지고 환경을 오염시킨다는 문제점이 있다.The general removal method as described above always contains acid gases such as hydrogen sulfide and mercaptans, neutral reducing gas and volatile organic compounds in which odor gas and noxious gas are not removed by acidic water. An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working conditions of the worker is poor by the volatile organic compounds and pollute the environment.
또한, 페인트공장, 석유화학공장, 인쇄공장 및 자동차 도장공장 등에서는 다량의 휘발성 유기화합물이 생성되며, 이런 휘발성 유기화합물은 일반적으로 0.02psi 이상의 증기압을 갖거나 끓는점 100℃ 미만인 탄화 수소화합물을 총칭하는 대기오염 관련물질로서, 대기 중으로 배출되면 질소 산화물과 광화학 반응에 의해 광학스모그 형성, 오존발생, 악취 원인물질 등을 형성하는 물질로 정의되고 있으 며, 이러한 휘발성 유기화합물을 비롯한 유해물질의 배출을 규제하기 위해 대한민국에서는 대기환경보전법에 규제 규정을 신설하여 배출억제 및 방지시설의 설치에 관한 규정을 제정하였으나, 휘발성 유기화합물을 근본적으로 제거하는 기술이 현재까지는 미비한 상태이다.In addition, a large amount of volatile organic compounds are produced in paint plants, petrochemical plants, printing plants, and automobile coating plants, and these volatile organic compounds generally refer to hydrocarbon compounds having a vapor pressure of 0.02 psi or more or a boiling point of less than 100 ° C. Air pollutant-related substances are defined as substances that form optical smog, ozone generation, and odor-causing substances by photochemical reactions with nitrogen oxides when they are released into the atmosphere, and regulate the emission of harmful substances including volatile organic compounds. To this end, the Republic of Korea has established regulations on air pollution preservation law to establish emission control and prevention facilities, but the technology to fundamentally remove volatile organic compounds is insufficient.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대한민국등록특허 제665800호(등록일자:2006년12월29일)에서는 작업장에서 배출된 휘발성 유기화합물 또는 악취를 포함한 대기 또는 폐가스의 처리를 위하여 전 공정으로서 광촉매반응과 같은 AOP (Advanced Oxidation Process)가 미생물에 난분해성이거나 독성이 있는 휘발성 유기화합물 또는 악취발생물질을 OH 라디칼로 산화 분해하여 작은 BDOC (Biologically degradable organic compound)를 생성시키거나 농도를 낮추어서 후 공정인 바이오필터에서의 미생물처리가 용이하도록 한 전 공정인 광촉매 반응기와, 후 공정인 바이오필터로 조합된 하이브리드 시스템 공정 및 장치가 제안되었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Republic of Korea Patent No. 665800 (Registration Date: December 29, 2006) is a photocatalytic reaction as a whole process for the treatment of air or waste gas containing volatile organic compounds or odor emitted from the workplace The same AOP (Advanced Oxidation Process) oxidizes volatile organic compounds or odor generating substances that are highly degradable or toxic to microorganisms with OH radicals to produce small BDOC (Biologically degradable organic compounds) or lower concentrations. A hybrid system process and apparatus have been proposed that combine a photocatalytic reactor as a pre-process and a biofilter as a post-process to facilitate microbial treatment in.
또한, 대한민국등록특허 제460179호(등록일자:2004년12월08일)에서는 전해수를 전기분해하여 생성한 산성수 및 알칼리수와 여기에 혼합되는 강력한 산화제 및 흡수용해제를 사용하여 악취가스, VOC 및 유해가스를 제거함으로써 작업자를 보호하고 환경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물의 전기분해를 이용한 악취가스, VOC 및 유해가스 동시 제거장치 및 그 제거방법이 제안되었다.In addition, the Republic of Korea Patent No. 460179 (Registration Date: December 08, 2004) uses acidic and alkaline water produced by electrolysis of electrolyzed water and a strong oxidizing agent and absorption solvent mixed therewith, which causes odor gas, VOC and harmful substances. An apparatus for removing odorous gases, VOCs and harmful gases simultaneously using electrolysis of water, which can protect workers and prevent environmental pollution by removing gas, and a method of removing the same have been proposed.
상기와 같은 종래 등록특허 제665800호 및 제460179호는 VOC 및 유해가스를 부분적으로 제거하는 효과는 있지만, 이 역시 휘발성 유기화합물의 제거효율이 낮은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Conventional Patent Nos. 665800 and 460179 as described above have the effect of partially removing VOCs and harmful gases, but also have a problem of low removal efficiency of volatile organic compounds.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80% 이상의 공극율을 가져 미생물 부착능이 우수하고 비표면적이 높아 악취 및 휘발성 유기화합물의 제거효율을 극대화함은 물론, 역세가 가능한 충진 여재인 미생물 담체가 내장되어 암모니아, 황화수소와 같은 수용성 가스를 제거하는 제1반응챔버와, 아민류, 알데히드류 등의 난/비수용성 가스를 처리하는 제2반응챔버를 각각 구비하여 악취성분 및 휘발성 유기화합물질들을 미생물에 의해 분해 제거시켜 안정하고 무해한 형태의 물질로 전환 배출하도록 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has a porosity of 80% or more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excellent microbial adhesion ability and high specific surface area to maximize the removal efficiency of odor and volatile organic compounds, as well as built-in microorganism carrier which is a filling medium capable of backwashing And a first reaction chamber for removing water-soluble gases such as ammonia and hydrogen sulfide, and a second reaction chamber for treating egg- and water-insoluble gases such as amines and aldehydes, respectively. It is a technical problem to decompose and remove the material so that it can be converted and discharged into a stable and harmless form.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순환수조의 수소이온농도를 센싱하는 pH센서를 부가하여 유입 배가스 내 산성 또는 알칼리 가스에 의한 미생물 불활성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순환수의 pH 농도를 자동 조절함으로써 안정적 운전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by adding a pH sensor for sensing the concentration of hydrogen ions in the circulation tank to automatically operate the pH concentration of the circulating water in order to prevent the microorganism inert phenomenon by acid or alkali gas in the inlet flue gas to enable stable operation It is technical problem to do.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1, 제2반응챔버에 각각 압력계를 설치하여 미생물 담체층 간의 차압에 의해 역세주기를 파악함으로써 과다한 미생물 증식에 의한 미생물 담체의 공극 막힘(clogging) 현상을 방지하였으며, 또한 순환수조 내 히터를 설치하여 겨울철 등 기온의 급격한 변화에 대처할 수 있게 하여 안정적인 순환수 온도를 유지함에 따라 안정적이고 효과적인 운전이 가능하도록 한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events the pore clogging of the microbial carrier by excessive microbial growth by installing a pressure gauge in the first and second reaction chambers respectively to grasp the backwash cycle by the differential pressure between the microbial carrier layers. It is a technical problem to install a heater in a circulation water tank so that it can cope with a sudden change in temperature, such as winter, so that stable and effective operation is possible by maintaining a stable circulation water temperature.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악취 및 휘발성 유기화합물 처리용 바이오트리클링 필 터시스템을 첨부된 도 1 내지 도 4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ure 1 to Figure 4 attached to the bio-trickle filter system for treating malodor and volatile organic compound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악취 및 휘발성 유기화합물 처리용 바이오트리클링 필터시스템 구성도로서, 크게는 수용성 가스와 악취성분 및 휘발성 유기화합물질들을 메디아에 부착된 미생물에 의해 분해 제거시켜 안정하고 무해한 형태의 물질로 전환 배출하는 바이오트리클링 필터 본체(40)와, 상기 바이오트리클링 필터 본체(40)내에 적재된 메디아에 부착된 미생물의 성장을 위해 물을 공급하는 순환수 공급장치(50)와, 상기 순환수 공급장치(50) 내에 휘발성 유기화합물과 같은 유입 배가스 내 산성 또는 알칼리 가스에 의한 미생물 불활성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순환수의 pH 농도를 조절 및 순환수가 일정 레벨의 수위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안정화 조절장치(60)로 이루어진다.1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bio-trickle filter system for treating odor and volatile organic compound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is largely stable and harmless by decomposing and removing water-soluble gas, odor components and volatile organic compounds by microorganisms attached to the media. A bio trickling filter
상기 바이오트리클링 필터 본체(40)는 내부 상측에 순환수가 공급되는 제1, 제2살수관(10a)(10b)이 설치되고, 내부 하측에는 다수의 통공(7b)(7b-1)이 형성된 지지망(7a)(7a-1) 위에 미생물 부착능이 우수하고 비표면적이 높아 악취 및 휘발성 유기화합물의 제거효율을 극대화 시키며, 일반적인 미생물 담체에 비해 비중이 낮아 효율적인 역세가 가능한 충진 여재인 미생물 담체인 메디아(18)(19)가 적재되어 암모니아, 황화수소와 같은 수용성 가스를 제거하는 제1반응챔버(13)와, 아민류, 알데히드류 등의 난/비수용성인 휘발성 유기화합물질의 가스를 제거하는 제2반응챔버(15)가 구비된다.The bio trickling filter
상기 제1반응챔버(13) 내부에 충진된 메디아(18)의 부착 미생물은 티오바실러스 종(Thiobacillus sp)이나 애시디티오바실러스 종(Acidithiobacillus sp)이 주 종으로 암모니아, 황화수소와 같은 수용성 가스를 제거하기 위함이며, 상기 제2반응챔버(15) 내부에 충진된 메디아(19)의 부착 미생물은 슈도모나스종(Pseudomonas sp), 메틸로바실러스 종(Methylobacillus sp) 및 바실러스 세레우스(Bacillus cereus 1) 가 주종으로 아민류, 알데히드류 등의 난/비수용성인 휘발성 유기화합물질의 가스를 제거하기 위한 것이다.Adhering microorganisms of the
이와 같이 두 메디아(18)(19)에서 서식하는 미생물을 서로 다르게 하여 제1반응챔버(13)와 제2반응챔버(15)에서 성분이 다른 가스의 처리가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In this way, the microorganisms inhabiting the two media (18) and (19)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to allow the treatment of gases having different components in the first reaction chamber (13) and the second reaction chamber (15).
상기 제2반응챔버(15) 상부에는 중앙에 가스배출구(11)가 형성된 호퍼형상의 상부덮개(12)가 플랜지로서 체결되고, 제1반응챔버(13) 하부에는 일측면에 유해가스가 유입되는 가스유입구(16)가 형성되며 하측 중앙부에는 순환수배출구(17a)가 형성된 하부덮개(17)가 플랜지로서 체결되며, 상기 제1반응챔버(13) 및 제2반응챔버(15) 사이에는 내부가 비어 있는 공간챔버(14)가 플랜지로서 체결되고, 상기 각각의 제1반응챔버(13), 공간챔버(14), 제2반응챔버(15)의 일측에는 제1 내지 제3압력계(21a~21c)가 설치된다.In the upper portion of the
상기 제1, 제2반응챔버(13)(15)내에 설치된 제1, 제2살수관(10a)(10b)의 일측에는 순환수 공급밸브(22a)(22b)와 제1배관(20)을 통해 펌프(24)와 연결되고, 하부덮개(17)의 하측 중앙에 형성된 순환수배출구(17a) 일측에는 역세수 유입밸브(22c)를 통해 제3배관(9)이 설치되고, 또한 상기 순환수배출구(17a) 타측에는 역세수 배출밸브(22d) 및 순환밸브(22e)를 통해 제4, 제5배관(8)(8a)이 분기 설치된 다.One side of the first and second
상기 순환수 공급장치(50)는 순환수가 유입 및 저장되는 순환수 저장조(29)가 구비되고, 이 순환수 저장조(29)의 내부 바닥면에는 순환수를 일정한 온도로 유지하는 히터(27)와, 수위레벨에 따라 전기신호를 발생하는 수위감지센서(26)와, 순환수의 온도를 센싱하여 그에 비례하는 전기신호를 발생하는 온도센서(23)와, 순환수의 pH 농도를 센싱하여 그에 비례하는 전기신호를 발생하는 수소이온농도 감지센서(28)와, 상기 순환수저장조(29)의 외부 일측에는 송풍기(25)가 설치되어 순환수에 공기를 공급하고, 펌프(24)에 의해 제1, 제2반응챔버(13)(15)로 메디아(18)(19)에 부착된 미생물의 성장을 위한 물과 세척수를 공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The circulating
상기 안정화 조절장치(60)는 휘발성 유기화합물과 같은 유입 배가스 내 미생물 영양염류가 부족할 경우 영양염을 공급하는 영양염 공급탱크(31)와, 순환수의 pH 농도를 조절하여 유입 배가스 내 산성 또는 알칼리 가스에 의한 미생물 불활성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NaOH 공급탱크(32)와, 순환수 저장조(29)에 유입된 순환수가 항시 일정한 레벨의 수위를 유지하도록 보충하기 위한 순환수 공급탱크(33)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각각의 영양염, NaOH, 순환수는 제1 내지 제3솔레노이드밸브(34a~34c) 및 제2배관(30)를 통하여 순환수 저장조(29)로 공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The
여기서 영양염이란 상기 제1, 제2반응챔버(13)(15) 내부에 충진되는 메디아(18)(19)에 부착된 미생물의 성장에 필요한 영양분으로서 상기 영양염은 통상적 으로 KH2PO4, K2HPO4, MgCl2, (NH4)2SO4, FeSO4 등을 적절한 농도로 조절한다. Here, the nutrient is a nutrient necessary for the growth of microorganisms attached to the
도 2a는 제1, 제2반응챔버(13)(15) 내부에 충진되어 수용성 가스와 악취성분 및 휘발성 유기화합물질들을 부착된 미생물에 의해 분해 제거시키는 메디아(18)(19)의 사시도이며, 도 2b는 도 2a의 단면도로서, "+" 형상으로 교차된 내부지지대(1)에 의해 견고히 지지되는 관체(2)의 외주면에 다수개의 배양판(3)이 외부지지대(4)로서 부착되고, 상기 관체(2) 종단면의 가운데에 원판인 형상의 칸막이(5)가 배양판(3)의 내측 둘레에 형성되어 관체(2)의 외측 벽면과 칸막이(5)의 사이에 통수공(6)이 형성되어 구성된다.Figure 2a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media (18) (19) is filled in the first and second reaction chamber (13), 15 to decompose and remove the water-soluble gas, odor components and volatile organic compounds by the attached microorganisms, FIG. 2B is a cross-sectional view of FIG. 2A, in which a plurality of
상기의 배양판(2), 관체(2), 내부지지대(1), 외부지지대(4) 및 칸막이(5)는 표면적 증대 및 부착성 향상을 위하여 표면 가공 등으로 거칠게 가공되어 있고, 재질은 합성수지 50~95wt%와 세라믹(제올라이트 또는 탄화물) 5%~50wt%가 혼합 사용되며, 합성수지로서는 폴리염화비닐(Polyvinyl Chloride : PVC), 저밀도 폴리에틸렌(Low Density Polyethylene : LDPE), 고밀도 폴리에틸렌 (High Density Polyethylene : HDPE),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 PP),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Ethylene Vinyl Acetate : EVA) 등 다양하게 사용 가능하다.The culture plate (2), the tubular body (2), the inner support (1), the outer support (4) and the partition (5) are roughly processed by surface processing, etc. in order to increase the surface area and improve adhesion, the material is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악취 및 휘발성 유기화합물 처리용 바이오트리클링 필터의 콘트롤부 블록도로서, 조작부(71)로부터 입력되는 조작신호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른 바이오트리클링 필터시스템을 제어하는 마이크로 프로세스 유니트(MPU)(72)가 구비되고, 상기 MPU(72)의 입력단에는 온도센서(23), 수위감지센 서(26), 수소이온농도 감지센서(28)가 연결되며, 상기 MPU(72)의 입력단에는 드라이브(73)를 통해 펌프(24), 송풍기(25), 히터(27), 제1 내지 제3솔레노이드밸브(34a~34d)각 각각 접속되어 있다.3 is a block diagram of a control unit of the odor and volatile organic compound biotreating filter process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micro process for controlling the bio trickling filter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the operation signal input from the operation unit 71 A unit (MPU) 72 is provided, and an input terminal of the
상기 MPU(72)에는 가장 최적의 수소이온농도와 순환수의 온도의 범위가 데이터로서 저장되어 있으며, 상기 조작부(71)에는 시스템의 전원공급과 펌프(24) 및 송풍기(25)를 제어할 수 있는 버튼이 설치되어 있다.The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악취 및 휘발성 유기화합물 처리용 바이오트리클링 필터 콘트롤부의 제어흐름도이다.Figure 4 is a control flow chart of the bio-trickle filter control unit for treating odor and volatile organic compound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따른 악취 및 휘발성 유기화합물 처리용 바이오트리클링 필터시스템에서 악취 및 휘발성 유기화합물을 제거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the process of removing the odor and volatile organic compounds in the bio-trickle filter system for treating odor and volatile organic compound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먼저 순환수 공급밸브(22a)(22b)와 순환밸브(22e)를 개방한 상태에서 조작부(71)의 전원버튼을 조작하여 시스템에 전원을 공급하게 되면 MPU(72)에서는 시스템을 초기화 한 후, 펌프(24)와 송풍기(25)를 가동하게 되고, 상기 펌프(24)가 가동하면 제1, 제2반응챔버(13)(15)내에 설치된 제1, 제2살수관(10a)(10b)을 통해 내부에 충진되어 있는 메디아(18)(19)로 물을 공급하여 미생물이 성장할 수 있도록 한다.First, when the circulating
상기 제1살수관(10a)을 통해 공급되는 순환수는 제1반응챔버(13)에 충진된 메디아(18)에 일정한 량으로 지속적으로 공급하여 이 순환수에 의해 미생물이 부착된 메디아(18)의 표면에는 수층이 형성되는 한편, 상기 제2살수관(10b)을 통해 공 급되는 순환수는 제2반응챔버(15)내 충진된 메디아(19)에 부착된 미생물이 성장하여 살아갈 수 있는 최소한의 량으로 일정 주기 마다 간헐적으로 공급한다.The circulating water supplied through the
상기 제1살수관(10a)을 통해 지속적으로 공급되는 순환수는 메디아(18)를 경유한 후, 하부덮개(17)의 하측에 형성된 순환수배출구(17a)와 제5배관(8a)을 통해 순환수 저장조(29)로 다시 유입된다.The circulating water continuously supplied through the
이러한 상태에서 가스유입구(16)를 통해 암모니아, 황화수소 등과 같은 수용성가스와, 휘발성 유기화합물질인 아민류, 알데히드류 등과 같은 난/비수용성 가스가 하부덮개(17) 내부로 유입되면 암모니아, 황화수소 등과 같은 수용성 가스는 제1반응챔버(13)의 하부로부터 상부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제1반응챔버(13)의 제1살수관(10a)으로부터 공급되는 순환수에 의해 메디아(18)의 표면에 형성된 수층에 흡수된 후 미생물 부착층으로 이동하여 상기 메디아(18)에 성장하는 티오바실러스 종이나 애시디티오바실러스 종이 주종인 미생물에 의해 제거됨으로써 악취 및 수용성 가스의 98% 이상이 제거가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In this state, when a water-soluble gas such as ammonia or hydrogen sulfide, and an egg / non-insoluble gas such as amines or aldehydes, which are volatile organic compounds, enter the
상기 제1반응챔버(13)를 경유하는 과정에서 제거되지 않은 휘발성 유기화합물질인 아민류, 알데히드류 등과 같은 난/비수용성 가스는 공간챔버(14)로 상승 유입된 후, 지지망(7a-1)의 통공(7b-1)을 통해 제2반응챔버(15) 내부로 상승 유입됨으로써 메디아(19)를 경유하게 된다.The non-aqueous gas, such as amines, aldehydes, and the like, which are not removed in the process of passing through the
이때, 상기 메디아(19)에 성장하는 슈도모나스종, 메틸로바실러스종 및 바실러스 세레우스 1 이 주종인 미생물에 의해 휘발성 유기화합물질이 98% 이상 제거가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At this time, more than 98% of the volatile organic compounds are removed by the microorganisms, which are mainly Pseudomonas species, methylovacillus species and
즉, 난/비수용성 악취 및 휘발성 유기화합물질은 제2반응챔버(15)내에서 주로 제거되는데, 그 이유는 제2반응챔버(15)에서는 제1반응챔버(13)와는 달리 챔버 상부에서 살수하는 순환수 량을 적게 하여 수층에서의 물질전달 저항을 줄임으로써 미생물에 의한 처리효율을 높이게 되는 것이다.In other words, the egg / water-insoluble odor and volatile organic compounds are mainly removed in the
다음은 본 발명에 따른 악취 및 휘발성 유기화합물 처리용 바이오트리클링 필터시스템을 안정적으로 동작시키기 위한 과정을 도 3 및 도 4에 의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Next, a process for stably operating the biotrickle filter system for treating malodor and volatile organic compound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3 and 4.
먼저 순조작부(71)의 전원버튼을 조작하여 시스템에 전원을 공급하게 되면 MPU(72)에서는 시스템을 초기화한 후, 각 센서로부터의 정보를 읽어 들이게 된다.First, when power is supplied to the system by operating the power button of the
즉, 순환수 저장조(29)내에 설치된 수소이온농도 감지센서(28)는 순환수의 수소이온농도를 센싱하여 그에 비례하는 전기신호를 MPU(72)로 전송하게 되며, 상기 MPU(72)에서는 수소이온농도 감지센서(28)로부터 전송되는 신호를 분석하여 수소이온농도 값이 기준 설정 범위 보다 미달될 경우 제2솔레노이드밸브(34b)를 제어하여 NaOH 공급탱크(32)에 저장된 NaOH를 일정량 공급하게 되며, 이러한 과정은 순환수의 수소이온농도가 기준 설정된 값 범위에 도달할 때까지 반복하게 된다.That is, the hydrogen
이와 같이 순환수에 NaOH를 공급하여 수소이온농도를 기준치로 유지하는 이유는 유입 배가스 내 산성 또는 알칼리 가스에 의한 미생물 불활성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안정적 운전이 가능하도록 하였다.The reason for maintaining the hydrogen ion concentration as a reference value by supplying NaOH to the circulating water as described above is to prevent microbial inactivation caused by acidic or alkaline gas in the inlet flue gas, thereby enabling stable operation.
또한, 순환수저장조(29)내의 순환수에 존재하는 질소(또는 인)의 농도를 인위적으로 검출하여 영양염 농도 값이 일정 기준 설정 범위 보다 미달될 경우 조작 부(71)를 조작하여 제1솔레노이드밸브(34a)를 제어함으로써 NaOH 공급탱크(32)에 저장된 NaOH를 일정량 공급하며, 이러한 과정은 순환수의 영양염 농도가 기준 설정된 값 범위에 도달할 때까지 반복한다.In addition, by artificially detecting the concentration of nitrogen (or phosphorus) present in the circulating water in the circulating
상기와 같이 순환수의 영양염 농도를 일정한 범위내에서 유지하는 이유는 악취 및 휘발성 유기화합물을 처리할 경우, 유입가스 중에 미생물 성장에 필요한 영양염류의 농도가 부족하게 되면 처리효율이 낮아지게 됨으로써 주기적인 처리효율과 순환수 중의 영양염 농도를 측정한 후 이들 결과를 토대로 영양염을 순환수에 적정량 만큼 수동 주입하도록 하여 안정적이고 효과적인 운전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The reason for maintaining the nutrient concentration in the circulating water as described above is that when treating odors and volatile organic compounds, when the concentration of nutrients necessary for the growth of microorganisms in the inlet gas is insufficient, the treatment efficiency is lowered periodically After measuring the treatment efficiency and the concentration of nutrients in the circulating water, the nutrients can be manually injected into the circulating water by the appropriate amount based on these results to enable stable and effective operation.
또한, 상기 순환수 저장조(29)내에 설치된 히터(27)와 온도센서(23)에 의해 순환수의 온도를 20~40℃를 유지하여 겨울철 등 기온의 급격한 변화에 대처하도록 하였다In addition, by maintaining the temperature of the circulating
즉, 상기 순환수 저장조(29) 내에 설치된 온도센서(23)는 순환수의 온도 값에 따라 그에 비례하는 전기신호를 발생하여 MPU(72)로 전송하게 되며, 상기 MPU(72)에서는 온도센서(23)로부터 출력되는 순환수의 온도 정보에 의해 히터(27)를 발열 정도를 조절함으로서 순환수의 온도를 설정한 범위 내에서 유지되도록 하고, 이러한 순환수의 온도 설정은 계절에 따라 조절할 수 있게 하여 겨울철 등 기온의 급격한 변화에 대처할 수 있어 안정적 운전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That is, the
또한, 상기 순환수 저장조(29)내에 설치된 수위감지센서(26)에 의해 순환수 저장조(29)에 유입되는 순환수를 항시 일정한 수위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하였다.In addition, the water
즉, 상기 수위감지센서(26)는 순환수 저장조(29)내에 유입된 최고 수위레벨에 도달하게 되면 통전되어 전기신호를 발생하여 MPU(72)로 전송하게 되며, 상기 72에서는 수위감지센서(26)로부터 출력되는 순환수의 수위 정보에 의해 제3솔레노이드밸브(34c)를 제어하여 순환수 공급탱크(33)에 저장된 순환수를 순환수 저장조(29)로 자동 공급 및 보충함으로서 순환수를 항시 일정한 수위레벨을 확보함으로써 안정적 운전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That is, when the
다음은 바이오트리클링 필터 본체(40)에서의 역세과장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Next, the back taxation section in the
상기 제1, 제2반응챔버(13)(15)에 적재된 메디아(18)(19)에 과다하게 미생물이 증식할 경우 공극 막힘 현상이 발생하여 압력 부하가 증대되며, 가스의 제거효율이 저하됨으로써 일정한 주기 마다 세척을 실행하여야 하며, 이러한 세척 주기는 제1반응챔버(13), 공간챔버(14), 제2반응챔버(15)의 차압으로 확인할 수 있다.When microorganisms excessively proliferate in the
즉, 제1반응챔버(13), 공간챔버(14), 제2반응챔버(15)의 일측에 설치된 제1 내지 제3압력계(21a~21c)는 각 챔버내의 압력에 비례하여 계측된 값을 표시하게 되고, 메디아(18)(19)에 과다하게 부착된 미생물은 운전과정에서 가스 중의 유기물과 영양염류를 섭취하여 계속 성장함에 따라 어느 일정시간 이상 운전시간이 경과하게 되면 메디아(18)(19)에 부착된 미생물 피막에 의해 가스와 순환수의 흐름이 방해받게 됨으로써 각 챔버의 압력이 상승하게 되며, 상기 제1 내지 제3압력계(21a~21c)의 차압에 의해 역세시기를 결정하게 된다.That is, the first to
이때, 관리자는 제1 내지 제3압력계(21a~21c)의 차압에 따라 역세가 필요할 경우 순환수 공급밸브(22a)(22b), 역세수 배출밸브(22d), 순환밸브(22e)를 폐쇄함과 동시에 역세수 유입밸브(22c)를 개방한 후, 높은 토출 압력으로 펌프(24)를 가동하게 되면 순환수 저장조(29)에 유입되어 있는 순환수가 제3배관(9)을 통해 제1, 제2반응챔버(13)(15)의 메디아(18)(19)는 교반되면서 서로 충돌이 일어나게 되며, 이 충돌로 인해 상기 메디아(18)(19)에 부착된 과다한 미생물이 탈리된다.At this time, the manager closes the circulating
따라서 이와 같은 반복 역세과정에서 메디아(18)(19)로부터 탈리된 미생물은 하부덮개(17)로 침전이 일어나게 되며, 이 침전물은 역세수와 함께 제4배관(8)과 배출밸브(22d)를 통해 외부로 배출됨으로써 메디아(18)(19)에 과다한 미생물 증식에 의한 공극 막힘 현상을 방지할 수 있어 안정적이고 효과적인 운전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Therefore, the microorganisms detached from the media (18) (19) during the repeated backwashing process is precipitated by the lower cover (17), the precipitate is the fourth pipe (8) and the discharge valve (22d) with the backwashing water. By being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media (18) (19) to prevent the clogging of the pore due to excessive microbial growth will be able to operate stable and effective.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80% 이상의 공극율을 가져 미생물 부착능이 우수하고 비표면적이 높아 악취 및 휘발성 유기화합물의 제거효율을 극대화함은 물론, 역세가 가능한 충진 여재인 미생물 담체가 내장되어 암모니아, 황화수소와 같은 수용성 가스를 제거하는 제1반응챔버와, 아민류, 알데히드류 등의 난/비수용성 가스를 처리하는 제2반응챔버를 각각 구비하여 악취성분 및 휘발성 유기화합물질들을 미생물에 의해 분해 제거시켜 안정하고 무해한 형태의 물질로 전환 배출함으로써 작업장에서 작업자를 보호하고 환경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a porosity of 80% or more, and has excellent microbial adhesion ability and high specific surface area, maximizing the removal efficiency of odors and volatile organic compounds, as well as embedding a microorganism carrier which is a backwashing-filling medium. And a first reaction chamber for removing water-soluble gas such as hydrogen sulfide, and a second reaction chamber for treating egg / insoluble water such as amines and aldehydes, respectively, to decompose and remove odor components and volatile organic compounds by microorganisms. By converting and discharging the material into a stable and harmless form, it protects workers in the workplace and prevents environmental pollution.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1, 제2반응챔버에 유입된 메디아에 부착되어 성장하 는 미생물에 물을 공급하는 순환수조 내에 순환수조의 수소이온농도를 센싱하는 pH센서를 부가하여 유입 배가스 내 산성 또는 알칼리 가스에 의한 미생물 불활성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순환수의 pH 농도를 자동 조절하고, 휘발성 유기화합물과 같은 유입 배가스 내 미생물 영양염류가 부족할 경우 영양염을 공급함으로써 안정적 운전이 가능한 효과가 있는 것이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by adding a pH sensor for sensing the hydrogen ion concentration of the circulation tank in the circulation tank for supplying water to the growing microorganisms attached to the media flowing into the first and second reaction chamber, the acid in the inlet flue gas Or in order to prevent the microorganism inert phenomenon by alkali gas, the pH concentration of the circulating water is automatically adjusted, and when there is a lack of microbial nutrients in the inlet flue gas such as volatile organic compounds, it is possible to operate stably by supplying nutrients.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1, 제2반응챔버에 각각 압력계를 설치하여 미생물 담체층 간의 차압에 의해 역세주기를 파악함으로써 과다한 미생물 증식에 의한 미생물 담체의 공극 막힘(clogging) 현상을 방지하였으며, 또한 순환수조 내 히터를 설치하여 겨울철 등 기온의 급격한 변화에 대처할 수 있게 하여 안정적인 순환수 온도를 유지함에 따라 안정적이고 효과적인 운전이 가능한 효과가 있는 것이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events the pore clogging of the microbial carrier by excessive microbial growth by installing a pressure gauge in the first and second reaction chambers respectively to grasp the backwash cycle by the differential pressure between the microbial carrier layers. By installing a heater in the circulation water tank, it is possible to cope with a sudden change in temperature such as winter season, thereby maintaining a stable temperature of the circulation water, thereby having a stable and effective operation.
Claims (4)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014486A KR100781777B1 (en) | 2007-02-12 | 2007-02-12 | Bio trickling filter system for processing odor and volatile organic compounds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014486A KR100781777B1 (en) | 2007-02-12 | 2007-02-12 | Bio trickling filter system for processing odor and volatile organic compounds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70028498A true KR20070028498A (en) | 2007-03-12 |
KR100781777B1 KR100781777B1 (en) | 2007-12-04 |
Family
ID=381011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70014486A KR100781777B1 (en) | 2007-02-12 | 2007-02-12 | Bio trickling filter system for processing odor and volatile organic compounds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781777B1 (en)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860077B1 (en) * | 2007-05-30 | 2008-09-24 | 주식회사 에코바이론 | Inorganic and Organic Odor Deodorizer |
CN101804300A (en) * | 2009-02-18 | 2010-08-18 | 盐城盐工环境科技有限公司 | Combined bio-trickling filter linkage organic waste gas treatment equipment |
CN103920377A (en) * | 2014-04-16 | 2014-07-16 | 浙江万里学院 | Electric-biological drip filter purification device for VOC (volatile organic compounds) waste gas |
CN111318159A (en) * | 2020-03-06 | 2020-06-23 | 深圳格立菲环境科技有限公司 | Energy-concerving and environment-protective type biological deodorizing device |
CN117695838A (en) * | 2024-01-24 | 2024-03-15 | 江苏泽玮环保科技有限公司 | Biological deodorization device with internal gas distribution pipeline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178851B1 (en) | 2010-08-27 | 2012-08-31 |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 Method for operating the system of a biotrickling filter for eliminating odor |
KR101160622B1 (en) * | 2010-12-29 | 2012-06-29 | (주)로타 | A water layer type air purification system |
KR101427217B1 (en) * | 2012-11-29 | 2014-08-14 | 주식회사 글로벌스탠다드테크놀로지 | Circulation water supplying and draining system for waste gas purification |
KR101341165B1 (en) | 2013-07-05 | 2013-12-13 | (주)케이비친환경 | Odor deodorization apparatus |
CN108479377A (en) * | 2018-03-29 | 2018-09-04 | 东莞市环境科学研究所 | Organic waste gas treatment equipment |
KR20250016870A (en) | 2023-07-26 | 2025-02-04 | 박수환 | Dust collection system for collecting complex odors and method for treating odors using the same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276156B1 (en) * | 1999-04-19 | 2000-12-15 | 이태용 | Two way directional biological trickling air biofilter system |
KR100528358B1 (en) * | 2003-11-06 | 2005-11-16 | 주식회사 에코비젼 | Biofilter System for Removal of Odor Gases and Volatile Organic Compounds |
KR100437534B1 (en) | 2004-03-10 | 2004-07-03 | 주식회사 건양기술공사 건축사사무소 | Biofilter system using a porosity air bag |
-
2007
- 2007-02-12 KR KR1020070014486A patent/KR100781777B1/en active IP Right Grant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860077B1 (en) * | 2007-05-30 | 2008-09-24 | 주식회사 에코바이론 | Inorganic and Organic Odor Deodorizer |
CN101804300A (en) * | 2009-02-18 | 2010-08-18 | 盐城盐工环境科技有限公司 | Combined bio-trickling filter linkage organic waste gas treatment equipment |
CN103920377A (en) * | 2014-04-16 | 2014-07-16 | 浙江万里学院 | Electric-biological drip filter purification device for VOC (volatile organic compounds) waste gas |
CN111318159A (en) * | 2020-03-06 | 2020-06-23 | 深圳格立菲环境科技有限公司 | Energy-concerving and environment-protective type biological deodorizing device |
CN117695838A (en) * | 2024-01-24 | 2024-03-15 | 江苏泽玮环保科技有限公司 | Biological deodorization device with internal gas distribution pipelin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0781777B1 (en) | 2007-12-0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781777B1 (en) | Bio trickling filter system for processing odor and volatile organic compounds | |
KR200468971Y1 (en) | Complex type apparatus capable of removing malodor gas of animal-excretion | |
KR101024296B1 (en) | Biological deodorizer for removing high concentrations of complex odors and volatile organic compounds | |
KR100860077B1 (en) | Inorganic and Organic Odor Deodorizer | |
JP5326187B2 (en) | Gas processing apparatus provided with gas pretreatment apparatus and cleaning method | |
CN101259367A (en) | A process and device for simultaneously removing the stench of multiple mixed gases | |
KR100581675B1 (en) | Odor gas deodorizer | |
KR101150787B1 (en) | Natural circulation type biofilter deodorinzing device for removing complex malodor | |
KR101056064B1 (en) | Deodorizer with integrated scrubber and bio filter to remove high concentration odor and volatile organic compounds | |
JP2006341249A (en) | Dedusting and deodorizing system and method, and barn | |
KR100802220B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removing odor and volatile organic compounds using soil microorganisms | |
KR100318528B1 (en) | Trickle Air Biofilter for circulating a microorganism | |
KR20020073971A (en) | Stench and VOCs remove system using Biofilter and AC/ACF | |
KR100984387B1 (en) | Compact typed apparatus capable of removing malodor gas of animal-excretion | |
KR100288474B1 (en) | Modular biofilter for filtering air comprising a bad smell and VOCs | |
JP4015285B2 (en) | Biological treatment method and apparatus for exhaust gas | |
KR100432052B1 (en) | Stench and VOCs remove system using Biofilter | |
KR101577346B1 (en) | High-efficiency apparatus and method for treating malodorous gas | |
KR20150055684A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treating hardly degradable malodorous gas | |
CN211358359U (en) | Device for biologically treating malodorous gas | |
KR20150127964A (en) | A hybrid deodorizing device | |
KR102094714B1 (en) | Vertical-type Carrier Deodorizer with Cleaning and Absorption Processing | |
CN211051226U (en) | Odor deodorization system | |
KR200234656Y1 (en) | Stench and VOCs remove system using Biofilter | |
JP2006035028A (en) | Bio-deodorization method, bio-deodorization system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70212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070215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070212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7050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71031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7112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07112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G170 |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 ||
PG1701 | Publication of correc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0112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1112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21122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21122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1122 Year of fee payment: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31122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1125 Year of fee payment: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41125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1127 Year of fee payment: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51127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1212 Year of fee payment: 1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1212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1127 Year of fee payment: 11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1127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1105 Year of fee payment: 12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1105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1120 Year of fee payment: 13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1120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1110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1031 Start annual number: 16 End annual number: 1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1031 Start annual number: 17 End annual number: 1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1010 Start annual number: 18 End annual number: 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