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08636A - 피로 회복 지원 장치 - Google Patents

피로 회복 지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08636A
KR20070008636A KR1020067021398A KR20067021398A KR20070008636A KR 20070008636 A KR20070008636 A KR 20070008636A KR 1020067021398 A KR1020067021398 A KR 1020067021398A KR 20067021398 A KR20067021398 A KR 20067021398A KR 20070008636 A KR20070008636 A KR 200700086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image
recovery support
fatigue recovery
light emi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213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기요시 마쯔오
마사오 야마모또
Original Assignee
스카라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카라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스카라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0086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0863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4Projection arrangements for image reproduction, e.g. using eidophor
    • H04N5/7475Constructional details of television projection apparatus
    • H04N5/7491Constructional details of television projection apparatus of head mounted projec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5/00Exercisers for the ey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7Head mounted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11/00Non-optical adjuncts; Attachment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with further special therapeutic means, e.g. electrotherapy, magneto therapy or radiation therapy, chromo therapy, infrared or ultraviolet therap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35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characterised by the body area to be irradiated
    • A61N2005/0643Applicators, probes irradiating specific body areas in close proximity
    • A61N2005/0645Applicators worn by the patient
    • A61N2005/0647Applicators worn by the patient the applicator adapted to be worn on the head
    • A61N2005/0648Applicators worn by the patient the applicator adapted to be worn on the head the light being directed to the ey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5Light sources therefor
    • A61N2005/0651Diodes
    • A61N2005/0652Arrays of diod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Abstract

퍼스널 컴퓨터나 텔레비전 등을 사용하는 사용자가 번거로움 없이 피로를 회복할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한다. 화상 표시 장치의 화면 상에서 수평 방향으로 왕복 이동하는 소정의 오브젝트의 화상을 생성하는 동시에, 오브젝트의 화상을 화상 표시 장치의 화면에 표시하는 화상 생성 수단을 갖고, 오브젝트의 화상은 하방을 보는 사용자가 이것을 눈으로 쫓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피로를 회복시키도록 되어 있는 피로 회복 지원 장치를 제공한다.
조작 버튼, 디스플레이, 비디오 인터페이스, 제어기, 자기 기억 장치

Description

피로 회복 지원 장치{FATIGUE RECOVERY SUPPORT DEVICE}
본 발명은 사용자의 피로를 회복시키기 위한 피로 회복 지원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퍼스널 컴퓨터나 워드프로세서의 보급에 수반하여 업무상 이것들을 장시간에 걸쳐서 사용하는 것이 일상적으로 행해지도록 되어 있다.
또한, 가정 내에 있어서도, 텔레비전 게임으로 노는 경우가 많아지고 있어, 결과적으로 텔레비전을 장시간에 걸쳐서 사용하는 경우도 많아지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퍼스널 컴퓨터나 텔레비전 등의 표시 화면을 장시간에 걸쳐서 계속 보면, 안구의 움직임이 현저하게 적어져 표시 화면을 보는 사용자에게 큰 부담, 피로를 주는 경향이 있다.
이와 같은 부담, 피로를 회복시키기 위한 방법으로서는, 표시 화면으로부터 눈을 돌려 먼 곳의 경치를 보는 방법 등이 종래부터 알려져 있지만, 퍼스널 컴퓨터나 텔레비전 등이 설치되어 있는 환경에 따라서는 이와 같은 방법을 취할 수 없는 경우도 있다.
본 발명은 이상의 점에 비추어 이루어진 것으로, 퍼스널 컴퓨터나 텔레비전 등을 사용하는 사용자가 번거로움 없이 피로를 회복할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하는 것 을 그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사용자의 헤드부에 장착 가능하게 된 본체와, 상기 사용자가 상기 본체를 헤드부에 장착하여 정면을 보았을 때에 시계로부터 벗어나는 동시에 상기 사용자가 시선을 하방으로 이동하였을 때에만 시계에 들어오도록 하여 상기 본체에 설치되어 있고 소정의 오브젝트의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부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사용자가 상기 본체를 헤드부에 장착하여 정면을 보았을 때에 시야를 확보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 피로 회복 지원 장치이며, 상기 사용자에 대해 수평 방향으로 왕복 이동하는 상기 오브젝트의 화상을 생성하는 동시에, 생성된 상기 오브젝트의 화상을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는 화상 생성 수단을 갖고 있고, 상기 오브젝트의 화상은 하방을 보는 상기 사용자가 이것을 눈으로 쫓도록 함으로써 상기 사용자의 피로를 회복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는 피로 회복 지원 장치를 제공한다.
이 피로 회복 지원 장치는 화상 생성 수단에 의해 사용자에 대해 수평 방향으로 왕복 이동하는 소정의 오브젝트의 화상이 생성되고, 생성된 오브젝트의 화상이 표시부에 표시되도록 되어 있다.
이 오브젝트의 화상은 하방을 보는 사용자가 이것을 눈으로 쫓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피로를 회복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으므로, 이 피로 회복 지원 장치를 사용하면 사용자의 피로를 회복시킬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있어서의「사용자의 피로」라 함은, 두통, 어깨 결림, 피로감, 안구 건조 또는 귀 울림 등 퍼스널 컴퓨터나 텔레비전 등의 표시 화면을 계속 봄으로써 생기는 경우가 있는 다양한 증상을 말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사용자에 대해 수평 방향」이라 함은, 사용자의 오른쪽 눈과 왼쪽 눈을 연결한 직선과 대략 평행한 방향을 말한다.
하방을 보는 사용자가 소정의 오브젝트의 화상을 눈으로 쫓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피로를 회복할 수 있는 이유는 이하와 같은 것이다.
퍼스널 컴퓨터나 텔레비전 등의 표시 화면을 계속 보는 것에 따른 사용자의 피로는 교감 신경이 과도하게 긴장함으로써 발생된다.
이 교감 신경은 각성 중에 작용하는 신경이며, 에너지를 발산하도록 작용한다. 한편, 부교감 신경은 사람이 릴렉스하고 있을 때, 즉 안정시, 휴식시 또는 수면중에 작용하는 신경이며, 몸에 에너지를 모으도록 작용한다. 이로 인해, 부교감 신경이 작용하고 있는 경우에는 혈압이 내려가고, 동공이 수축하고, 고동ㆍ호흡이 느려지고, 위장의 기능이 활발해지는 등의 작용이 발생하고, 교감 신경이 작용하고 있는 경우에는 이와는 반대로 혈압이 오르고, 동공이 확대되고, 고동ㆍ호흡이 빨라지고, 위장의 기능이 약해지는 등의 작용이 발생한다.
그리고, 교감 신경은 사람이 눈을 치뜨는 것으로, (얼굴을 정면을 향해)정면으로부터 상방을 본 경우에 작용하는 것이다. 한편, 사람이 눈을 내리뜨는 것으로, (얼굴을 정면을 향해)정면으로부터 하방을 본 경우에는 부교감 신경이 작용하는 것이다.
이상의 이유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사람은 정면으로부터 하방을 봄으로써 부교감 신경을 작용시키는 것이 가능하고, 그것에 의해 릴렉스한 상태를 만들 수 있어, 교감 신경의 긴장을 완화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피로 회복 지원 장치의 화상 생성 수단에 의해 표시부에 표시되는 오브젝트의 화상은 하방을 보는 사용자가 이것을 눈으로 쫓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피로를 회복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으므로, 그것을 봄으로써 강제적으로 사용자의 부교감 신경을 작용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피로 회복 지원 장치는 이에 의해 사용자를 릴렉스한 상태로 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두통이나 어깨 결림 등의 증상을 완화ㆍ예방할 수 있다. 즉, 사용자의 피로를 회복시킬 수 있게 된다.
표시부는 오브젝트의 화상을 표시할 수 있는 것이면 어떤 것을 이용해도 좋고, 예를 들어 액정 디스플레이를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사용자의 헤드부에 장착 가능하게 된 본체와, 상기 사용자가 상기 본체를 헤드부에 장착하여 정면을 보았을 때에 시계로부터 벗어나는 동시에, 상기 사용자가 시선을 하방으로 이동하였을 때에만 시계에 들어오도록 하여 상기 본체에 설치되어 있고, 선 형상(예를 들어, 직선 형상)으로 배열된 복수의 발광체를 갖는 발광부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사용자가 상기 본체를 헤드부에 장착하여 정면을 보았을 때에 시야를 확보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 피로 회복 지원 장치이며, 상기 복수의 발광체를 차례로 발광시켰을 때의 광상이 상기 사용자에 대해 수평 방향으로 왕복 이동하도록 상기 복수의 발광체를 발광시키는 발광 신호를 생성하는 동시에, 생성된 상기 발광 신호를 기초로 하여 상기 복수의 발광체를 발광시키는 발광 신호 생성 수단을 갖고 있고, 상기 광상은 하방을 보는 상기 사용자가 이것을 눈으로 쫓도록 함으로써 상기 사용자의 피로를 회복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는 피로 회복 지원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피로 회복 지원 장치의 발광 신호 생성 수단에 의해 발광부에 표시되는 광상은 하방을 보는 사용자가 이것을 눈으로 쫓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피로를 회복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으므로, 상술한 피로 회복 지원 장치와 마찬가지로 그것을 봄으로써 강제적으로 사용자의 부교감 신경을 작용시킬 수 있고, 이에 의해 사용자를 릴렉스한 상태로 하는 것이 가능해져 두통이나 어깨 결림 등의 증상을 완화ㆍ예방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발광체는 소정의 광을 발할 수 있는 것이면 어떤 것이라도 상관없다. 예를 들어 LED, 광 파이버의 선단부 부분을 사용할 수 있다.
부교감 신경을 작용시키기 위해서는, 어느 정도 눈을 내리뜨게 하는 것이 필요하고, 또한 정면을 향했을 때에 표시부 또는 발광부가 시계에 들어오면 외계에 대한 시야를 확보할 수 없어 일상 생활에 지장을 주기 때문에, 상기 표시부는 상기 사용자가 시선을 하방으로 20°이상 이동하였을 때에만 시계에 들어오도록 하여 상기 본체에 설치된 것으로 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발광부는 상기 사용자가 시선을 하방으로 20°이상 이동하였을 때에만 시계에 들어오도록 하여 상기 본체에 설치된 것으로 할 수 있다.
이렇게 하면, 사용자가 표시부 또는 발광부를 볼 때에는 자연스럽게 눈을 내리뜨게 되므로, 그에 의해 부교감 신경을 작용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표시부와 발광부는 모두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시선을 하방으로 20°이상 이동하였을 때에만 시계에 들어가도록 되어 있으면 되지만, 사용자가 시선을 하방으로 70°이하 이동하였을 때에만 시계에 들어오도록 할 수도 있다. 이것은 70°를 초과하여 하방을 보는 것은 곤란하여 사용자에게 그것을 억지로 요구하면 오히려 피로를 생기게 하게 되기 때문이다.
또한, 표시부 또는 발광부를 볼 때에 요구되는 시선을 하방으로 이동하는 각도가 대략 45°인 경우에는, 사용자의 피로가 가장 적어질 가능성이 크다. 이 점을 고려하면, 표시부 또는 발광부를 볼 때의 사용자의 시선의 방향이 정면으로부터 하방으로 대략 45°이동한 상태가 되도록 하여 본체에 표시부 또는 발광부를 설치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있어서의「하방」에는 정면의 하방과, 좌우 비스듬한 전방의 하방의 양방을 포함한다.
표시부와 발광부는 모두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본체를 헤드부에 장착하여 정면을 보았을 때에 시계로부터 벗어나는 동시에, 사용자가 시선을 하방으로 이동하였을 때에만 시계에 들어오도록 하여 본체에 설치되어 있으면 된다.
즉, 표시부는 본체와 일체로 성형되어 있어도 좋다. 발광부도 마찬가지이다. 그것들은, 예를 들어 본체의 일부에 끼워 넣어져 있어도 좋다. 그와 같은 피로 회복 지원 장치는 표시부 또는 발광부를 본체에 설치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손쉽게 사용할 수 있지만, 표시부 또는 발광부는 본체에 대해 본체의 소정의 위치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도록 되어 있어도 상관없다.
표시부는 하나라도 좋지만, 복수라도 좋다. 발광부도 마찬가지이다. 예를 들어, 표시부는 사용자의 오른쪽 눈의 하측에 위치하는 오른쪽 눈측 표시부와, 왼쪽 눈의 하측에 위치하는 왼쪽 눈측 표시부를 포함하고 있어도 좋다. 혹은, 발광부는 사용자의 오른쪽 눈의 하측에 위치하는 오른쪽 눈측 발광부와, 왼쪽 눈의 하측에 위치하는 왼쪽 눈측 발광부를 포함하고 있어도 좋다.
이렇게 하면, 오른쪽 눈측 표시부 등의 일단부측으로부터 왼쪽 눈측 표시부 등의 타단부에 걸쳐서 오브젝트의 화상 등을 왕복 이동시킬 수 있으므로, 오른쪽 눈측 표시부 등 또는 왼쪽 눈측 표시부 등 중 어느 한쪽만을 갖는 경우보다도 보다 효과적으로 사용자의 피로를 회복시킬 수 있게 된다.
이상의 표시부에 표시되는 오브젝트의 화상은 사용자에 대해 수평 방향으로 왕복 이동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발광부의 광상은 사용자에 대해 수평 방향으로 왕복 이동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표시부는 소정의 폭 및 길이를 갖고 있고, 상기 오브젝트의 화상은 상기 표시부의 길이 방향으로 왕복 이동하도록 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상기 발광부는 소정의 폭 및 길이를 갖고 있고, 상기 광상은 상기 발광부의 길이 방향으로 왕복 이동하도록 되어 있어도 좋다.
이렇게 하면, 표시부 또는 발광부의 폭을 줄일 수 있어 표시부 또는 발광부의 구성을 콤팩트하게 할 수 있다.
상기 화상 생성 수단은 상기 오브젝트의 화상을, 상기 사용자의 깜박임을 재촉하는 계기가 되는 변화를 수반하는 것으로서 생성하는 것으로 해도 좋다. 또한, 상기 발광 신호 생성 수단은 상기 광상을, 상기 사용자의 깜박임을 재촉하는 계기가 되는 변화를 수반하는 것으로서 생성하는 것으로 해도 좋다.
퍼스널 컴퓨터 등의 표시 화면을 장시간에 걸쳐서 계속 보면, 깜박임의 회수가 현저하게 감소하여, 이른바 안구 건조의 증상이 생기기 쉬워진다. 이러한 점, 오브젝트의 화상 또는 광상을 사용자의 눈 깜박임을 재촉하는 계기가 되는 변화를 수반하는 것으로 하면 사용자의 깜박임을 재촉할 수 있으므로 안구 건조를 방지할 수 있다.
사용자의 깜박임을 재촉하는 계기가 되는 변화를 수반하는 것이 되는 오브젝트의 화상은 깜박임을 재촉하는 계기가 되는 변화를 수반하는 것이면 어떤 화상이라도 좋다. 사용자의 깜박임을 재촉하는 계기가 되는 변화를 수반하는 것이 되는 광상은 깜박임을 재촉하는 계기가 되는 변화를 수반하는 것이면 어떤 광상이라도 좋다.
오브젝트의 화상에 사용자의 깜박임을 재촉하는 계기가 되는 변화를 부여하기 위해서는, 예를 들어 오브젝트의 화상의 적어도 일부의 색이나 형상을 변화시켜도 좋고, 오브젝트의 화상을 점멸 표시시켜도 좋다. 또한, 오브젝트의 화상의 이동 속도를 바꾸거나 움직임 방법을 변화시켜도 좋다. 또한, 오브젝트의 화상에 부가하여,「깜박입시다」등의 사용자의 깜박임을 재촉하는 문자를 포함하는 화상을 표시해도 좋고, 깜박임을 행하는 눈의 화상 등의 오브젝트 이외의 다른 화상을 표시해도 좋다.
또한, 광상에 사용자의 깜박임을 재촉하는 계기가 되는 변화를 부여하기 위해서는, 발광부를 형성하는 복수의 발광체 중 일부의 발광체의 발광색을 다른 발광체의 발광색과 다르도록 구성하는 등으로 하고, 그 밖의 발광체와 다른 발광색의 발광체가 발광하였을 때에 사용자에게 깜박임을 시키도록 해도 좋고, 광상의 이동 속도를 바꾸어도 좋다. 또한, 사용자에게 깜박임을 재촉하는 위한 다른 발광체와 다른 발광색, 또는 다른 발광체와 다른 광량의 발광체를 설치해 두고, 그 발광체가 발광하였을 때에 사용자에게 깜박임을 시키도록 해도 좋다.
상기 화상 생성 수단은 상기 오브젝트의 화상을, 예를 들어 소정의 시간 간격의 소정의 타이밍에 생성하도록 해도 좋다. 마찬가지로, 상기 발광 신호 생성 수단은 상기 광상을, 예를 들어 소정의 시간 간격의 소정의 타이밍에 생성하도록 해도 좋다.
이렇게 하면, 예를 들어 소정의 시간이 경과할 때마다 사용자에게 오브젝트의 화상 또는 광상을 보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본체의 형상은 어떤 것이라도 상관없다. 표시부 또는 발광부를 설치할 수 있고, 또한 사용자가 본체를 헤드부에 장착하여 정면을 보았을 때에 시야를 확보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 것을 저해하지 않는 것이면 그것으로 충분하다.
이 본체는 예를 들어 안경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다. 이 경우의 안경 형상에는 고글 형상도 포함한다.
안경 형상인 경우, 본체는 하부 테를 갖는 안경 프레임을 구비한 것으로 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상기 표시부 또는 상기 발광부는 상기 안경 프레임의 하부 테에 설치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안경 형상인 경우, 본체는 안경 렌즈를 구비한 것으로 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표시부 또는 발광부는 안경 프레임의 하부 테에 설치할 수 있다. 표시부가 오른쪽 눈측 표시부 및 왼쪽 눈측 표시부를 포함하는 것이면, 오른쪽 눈측 표시부는 오른쪽 눈에 대응한 하부 테에, 왼쪽 눈측 표시부는 왼쪽 눈에 대응한 하부 테에 각각 설치할 수 있다. 발광부가 오른쪽 눈측 발광부 및 왼쪽 눈측 발광부를 포함하는 것이면, 오른쪽 눈측 발광부는 오른쪽 눈에 대응한 하부 테에, 왼쪽 눈측 발광부는 왼쪽 눈에 대응한 하부 테에 각각 설치할 수 있다. 단, 여기서 말하는 안경 렌즈는 도수가 들어갔는지 여부는 상관없다. 또한, 안경 렌즈는 오른쪽 눈에 대응한 것과 왼쪽 눈에 대응한 것이 일련으로 되어 있어도 상관없다.
도1은 제1 실시 형태의 피로 회복 지원 장치를 후방으로부터 본 경우의 전체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2는 제1 실시 형태의 피로 회복 지원 장치의 제어기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3은 제1 실시 형태의 피로 회복 지원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4는 제1 실시 형태의 피로 회복 지원 장치를 도1의 X 방향으로부터 본 경우의 제어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5는 피로 회복 지원 장치의 처리의 흐름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6은 디스플레이에 오브젝트의 화상이 표시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7은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오브젝트의 화상의 보는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8은 오브젝트의 화상의 표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9는 오브젝트의 화상의 표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10은 오브젝트의 화상의 표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11은 제2 실시 형태의 피로 회복 지원 장치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12는 제2 실시 형태의 피로 회복 지원 장치의 제어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13은 제2 실시 형태의 피로 회복 지원 장치의 제어기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14는 제2 실시 형태의 피로 회복 지원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15는 제3 실시 형태의 피로 회복 지원 장치의 광 파이버부의 구성을 도시하는 일부 단면도이다.
도16은 제3 실시 형태의 피로 회복 지원 장치의 제어기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17은 제3 실시 형태의 피로 회복 지원 장치의 구성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내지 제3 실시 형태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 각 실시 형태의 설명에 있어서 공통되는 대상에는 중복되는 부호를 이용하는 것으로 한다. 또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는 것이 있다.
<제1 실시 형태>
도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의한 피로 회복 지원 장치(A)를 후방으로 부터 보았을 때의 전체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또, 실시 형태의 설명에 있어서, 피로 회복 지원 장치(A)의 후방이라 함은, 피로 회복 지원 장치(A)를 사용자의 얼굴에 장착한 경우에 사용자의 얼굴에 가까운 측을 말하는 것으로 한다.
이 피로 회복 지원 장치(A)는 본체(10)와, 오브젝트의 화상을 표시하기 위한 오른쪽 눈측 디스플레이(1R) 및 왼쪽 눈측 디스플레이(1L)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이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본체(10)는 이것에는 한정되지 않지만, 안경의 프레임 형상을 하고 있고, 다리(11)와 프레임 테(12)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즉, 피로 회복 지원 장치(A)는 사용자가 이것을 안경과 같은 방법으로 헤드부에 고정적으로 장착한 상태에서 사용되는 것이다. 본체(10)의 2개의 다리(11)를 사용자의 귀에 걺으로써 피로 회복 지원 장치(A)를 사용자의 헤드부에 고정적으로 장착할 수 있다.
프레임 테(12)는 오른쪽 눈측 프레임 테(12R)와, 왼쪽 눈측 프레임 테(12L)를 포함하고 있다. 오른쪽 눈측 프레임 테(12R)는 피로 회복 지원 장치(A)의 사용자의 헤드부에의 고정적인 장착을 하였을 때에 사용자의 오른쪽 눈 전방에 위치하는 프레임 테(12)이고, 왼쪽 눈측 프레임 테(12L)는 피로 회복 지원 장치(A)의 사용자의 헤드부에의 고정적인 장착을 하였을 때에 사용자의 왼쪽 눈 전방에 위치하는 프레임 테(12)이다. 반드시 그럴 필요는 없지만, 이 실시 형태에서는 양 프레임 테(12) 모두 대략 직사각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양 프레임 테(12)의 하방 부분이 본 발명의 하부 테이다. 이 하부 테의 길이는 본 실시 형태에서는 그 양단 부에 위치하는 가로 테의 길이보다도 조금 길어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오른쪽 눈측 프레임 테(12R), 왼쪽 눈측 프레임 테(12L)의 내측에는 각각 오른쪽 눈측 렌즈(13R), 왼쪽 눈측 렌즈(13L)가 끼워져 있다. 오른쪽 눈측 렌즈(13R), 왼쪽 눈측 렌즈(13L)는 모두 도수가 들어가 있지 않은 완만한 곡면 형상으로 형성된 무색 투명한 유리판이다. 단, 오른쪽 눈측 렌즈(13R) 및 왼쪽 눈측 렌즈(13L)는 도수가 들어가 있어도 상관없고, 착색되어 있어도 상관없고, 또한 유리 이외, 예를 들어 수지로 형성되어 있어도 상관없다. 또한, 오른쪽 눈측 렌즈(13R) 및 왼쪽 눈측 렌즈(13L)는 존재하지 않아도 좋다.
오른쪽 눈측 프레임 테(12R), 왼쪽 눈측 프레임 테(12L)의 각 하부 테에는 각각 오브젝트의 화상을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가 끼워 넣어져 있다. 즉, 오른쪽 눈측 프레임 테(12R)의 하부 테에는 오른쪽 눈측 디스플레이(1R), 왼쪽 눈측 프레임 테(12L)의 하부 테에는 왼쪽 눈측 디스플레이(1L)가 끼워 넣어져 있다.
오른쪽 눈측 디스플레이(1R) 및 왼쪽 눈측 디스플레이(1L)는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피로 회복 지원 장치(A)를 사용자의 헤드부에 고정적으로 장착하였을 때에 사용자가 눈으로 확인할 수 있는 측에 화면이 위치하도록 하여 하부 테에 끼워 넣어져 있다. 이들 오른쪽 눈측 디스플레이(1R) 및 왼쪽 눈측 디스플레이(1L)는 대략 직사각 형상으로 구성되어 있고, 하부 테 내에 끼워 넣을 수 있을 정도의 크기로 되어 있다.
또, 본 실시 형태에서는 디스플레이로서 액정 디스플레이가 사용되고 있다.
이 피로 회복 지원 장치(A)를 사용자의 헤드부에 고정적으로 장착한 상태에 서 사용자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하여 디스플레이(1R, 1L)에 표시되는 오브젝트의 화상을 사용자의 의사에 따라 볼 수 있게 된다.
또, 오른쪽 눈측 디스플레이(1R) 및 왼쪽 눈측 디스플레이(1L)는 안경의 프레임 형상으로 된 본체(10)의 오른쪽 눈측 프레임 테(12R) 또는 왼쪽 눈측 프레임 테(12L)의 하부 테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사용자가 정면을 보고 있는 한, 사용자는 오른쪽 눈측 디스플레이(1R) 및 왼쪽 눈측 디스플레이(1L)를 볼 수 없다.
즉, 이 피로 회복 지원 장치(A)를 헤드부에 장착하고 있어도, 사용자는 통상의 안경을 쓰고 있는 경우와 같은 정도의 시야를 확보할 수 있고, 적어도 정면을 보고 있는 한 그 시야를 확보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즉, 이 피로 회복 지원 장치(A)를 헤드부에 장착하고 있었다고 해도, 퍼스널 컴퓨터의 화면 등을 보거나 하는 데 지장이 없다.
한편, 피로 회복 지원 장치(A)를 헤드부에 장착하고 있는 사용자는 시선을 하방으로 떨어뜨림으로써 오른쪽 눈측 디스플레이(1R) 및 왼쪽 눈측 디스플레이(1L)를 볼 수 있고, 이 디스플레이(1R, 1L)에 표시되는 오브젝트의 화상을 볼 수 있다.
이 실시 형태에서는 헤드부가 정면을 향한 상태로부터 시선을 45°떨어뜨렸을 때에, 오른쪽 눈측 디스플레이(1R) 및 왼쪽 눈측 디스플레이(1L)가 시계에 들어가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헤드부가 정면을 향한 상태로부터 시선을 45°떨어뜨렸을 때에 오른쪽 눈측 디스플레이(1R) 및 왼쪽 눈측 디스플레이(1L)에 표시되는 오브젝트의 화상을 볼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 이 디스플레이(1R, 1L)는 오브젝트의 화상을 보지 않은 경우에 있어서의 사용자의 시야를 확보하기 위해, 사용자가 시선을 하방으로 20°이상 이동하였을 때에만 시계에 들어오도록 되어 있으면 된다. 또한, 이 각도가 지나치게 커지면, 오른쪽 눈측 디스플레이(1R) 및 왼쪽 눈측 디스플레이(1L)에 표시되는 오브젝트의 화상을 보는 것이 어려워지므로, 디스플레이(1R, 1L)는 사용자가 시선을 하방으로 70°이하 이동하였을 때에만 시계에 들어오도록 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오른쪽 눈측 디스플레이(1R) 및 왼쪽 눈측 디스플레이(1L)는 본체(10)에 대해 설치되어 있다.
오른쪽 눈측 디스플레이(1R) 및 왼쪽 눈측 디스플레이(1L)는 본 실시 형태에서는 오른쪽 눈측 프레임 테(12R) 및 왼쪽 눈측 프레임 테(12L)의 하부 테에 끼워 넣어져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하부 테의 하측에 설치되어 있어도 좋다.
이상의 오른쪽 눈측 디스플레이(1R) 및 왼쪽 눈측 디스플레이(1L)는 다리(11)의 소정의 위치에 설치된 제어기(20)와 도시하지 않은 배선에 의해 접속되어 있다.
제어기(20)는 오른쪽 눈측 디스플레이(1R) 및 왼쪽 눈측 디스플레이(1L)를 조작ㆍ제어하기 위한 것이다. 이 제어기(20)는 본 실시 형태에서는 가늘고 긴 대략 직육면체 형상이 되고, 오른쪽 눈측 프레임 테(12R)측의 다리(11)에, 본체(10)의 사용자의 헤드부에의 장착을 저해하지 않도록 하여 설치되어 있지만, 본체(10)의 사용자의 헤드부에의 장착을 저해하지 않는 형상 및 위치에 설치되어 있으면 된다. 예를 들어 제어기(20)는 본체(10)의 다리(11)로서 사용할 수 있는 형상, 위치 에 설치되어 있어도 좋다.
이 제어기(20)는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 표면의 소정의 위치에 조작 버튼(21)이 설치되어 있다.
조작 버튼(21)은 후술하는 오브젝트 데이터 기록부(61)에 기록된 복수의 오브젝트 데이터 중 어느 하나를 사용자에게 선택하게 하기 위한 버튼이다. 이 조작 버튼(21)은 본 실시 형태에서는 본체(10)를 사용자의 헤드부에 장착하였을 때, 제어기(20)의 외면의, 사용자의 피부측에 위치하는 면과 마주 보는 면 상에 설치되어 있다.
이 제어기(20)는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어기(20) 전체의 동작을 통괄하는 CPU(30), 메모리의 일예가 되는 RAM(31), ROM(32), 자기 기억 장치(33), 조작 버튼(21)으로부터의 조작 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 인터페이스(34) 및 오른쪽 눈측 디스플레이(1R) 및 왼쪽 눈측 디스플레이(1L)를 위한 비디오 인터페이스(35)를 갖고 있다. 자기 기억 장치(33)에는 오퍼레이팅 시스템(OS)이 인스톨되어 있다.
이 제어기(20)의 ROM(32)에는 소정의 컴퓨터 프로그램이 미리 인스톨되어 있고, 본 발명의 피로 회복 지원 장치(A)로서 동작하도록 되어 있다.
소정의 컴퓨터 프로그램이라 함은, 오른쪽 눈측 디스플레이(1R) 및 왼쪽 눈측 디스플레이(1L)와 접속되어 있는 제어기(20)를 디스플레이(1R, 1L)의 화면 상에서 사용자에 대해 수평 방향으로 왕복 이동하는 소정의 오브젝트의 화상을 생성하는 동시에, 오브젝트의 화상을 디스플레이(1R, 1L)의 화면에 표시하는 표시 제어 수단, 오브젝트의 화상을 기억하기 위한 기억 수단으로서 기능시키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이며, 오브젝트의 화상은 하방을 보는 사용자가 이것을 눈으로 쫓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피로를 회복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는 컴퓨터 프로그램이다.
이 컴퓨터 프로그램은 제어기(20)를 그 단일 부재로 피로 회복 지원 장치(A)로서 동작시키기 위한 소요의 기능을 형성하는 것이라도 좋고, 상기 제어기(20)에 탑재되어 있는 OS와의 협동에 의해 소요의 기능을 형성하는 것이라도 좋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필요에 따라서 인스톨된 컴퓨터 프로그램이 RAM(31)에 호출되고, CPU(30)에 의해 실행됨으로써 제어기(20) 상에 도3에 나타내는 기능, 즉 입력 제어부(40), 출력 제어부(50) 및 주제어부(60)의 기능이 형성되고, 이에 의해 피로 회복 지원 장치(A)가 구성되도록 되어 있다.
입력 제어부(40)는 조작 버튼(21)으로부터의 입력을 접수하여 주제어부(60)에 입력하기 위한 제어를 행한다.
출력 제어부(50)는 디스플레이(1R, 1L)에 데이터를 출력하기 위한 제어를 행함으로써, 후술하는 오브젝트의 화상이 생성된 경우, 이것을 디스플레이(1R, 1L)에 표시하는 것이다.
주제어부(60)는 피로 회복 지원 장치(A) 전체의 통괄적인 제어를 행하는 것으로, 상술한 입력 제어부(40), 출력 제어부(50)는 이 주제어부(60)의 관리하에서 동작하도록 되어 있다.
이 주제어부(60)는 오브젝트의 화상의 생성을 행한다. 즉, 주제어부(60)는 도시하지 않은 소정의 데이터 기록 수단의 소정 영역에 오브젝트의 화상에 관한 데이터(이하, 오브젝트 데이터라 함)를 기록하는 오브젝트 데이터 기록부(61)와, 이 오브젝트 데이터 기록부(61)에 기록되어 있는 오브젝트 데이터를 판독하여 화상을 생성하는 오브젝트 생성부(62)를 갖고 있다.
오브젝트 데이터 기록부(61)에는 소정의 오브젝트 데이터가 기록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금붕어」,「집오리」,「배」,「자동차」의 4개의 오브젝트에 관한 오브젝트 데이터가 기록되어 있는 것으로서 설명하지만, 기록되어 있는 오브젝트 데이터의 종류는 몇 가지라도 상관없다. 또, 기록되어 있는 오브젝트 데이터의 수가 많을수록 오브젝트의 화상의 선택 폭이 확대되고, 사용자의 기호나 기분에 맞는 오브젝트의 화상을 생성할 수 있게 된다.
이 오브젝트 데이터는 본 실시 형태에서는 상술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제어기(20)의 자기 기억 장치(33)에 인스톨할 때, 모두 인스톨되도록 되어 있다.
오브젝트 생성부(62)는 디스플레이(1R, 1L)에 표시시키는 오브젝트의 화상을 오브젝트 데이터를 기초로 하여 생성한다.
오브젝트 생성부(62)에 의해 생성되는 오브젝트의 화상은 소정의 오브젝트가 디스플레이(1R, 1L)의 화면 상에서 수평 방향으로 왕복 이동하는 화상, 즉 피로 회복 지원 장치(A)를 사용자의 헤드부에 장착하여 사용할 때, 사용자에 대해 수평 방향으로 왕복 이동하는 화상이며, 하방을 보는 사용자가 이것을 눈으로 쫓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피로를 회복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이 실시 형태에서는 사용자의 깜박임을 재촉하는 계기가 되는 변화를 수반하는 것으로 되어 있는 화상으로 되어 있다.
또한, 오브젝트 생성부(62)는 도시하지 않은 타이머를 갖고 있고, 소정의 시 간이 경과한 경우에도 화상을 생성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도4는 도1의 X 방향으로부터 본 경우의 제어기(20)를 도시한 도면이다. 즉, 제어기(20)의 조작 버튼(21)이 설치되어 있는 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오브젝트 데이터 기록부(61)에「금붕어」,「집오리」,「배」,「자동차」의 4개의 오브젝트 데이터가 기록되어 있는 본 실시 형태의 조작 버튼(21)은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4개의 조작 버튼(21A 내지 21D)을 갖고 있다. 각 버튼에는 오브젝트 데이터 기록부(61)에 기록되어 있는 각 오브젝트(「금붕어」,「집오리」,「배」,「자동차」)의 화상이 표시되어 있고, 각 오브젝트의 오브젝트 데이터와 대응되어 구성되어 있다.
또한, 이 면에는 디스플레이(1R, 1L) 상의 오브젝트의 화상의 표시를 종료시키는 종료 버튼(22)과, 피로 회복 지원 장치(A)의 전원이 되는 전원 스위치(23)가 설치되어 있다. 피로 회복 지원 장치(A)를 사용할 때에는 이 전원 스위치(23)를 온(ON)으로 한다.
다음에,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피로 회복 지원 장치(A)의 동작 순서를 도5의 흐름도를 기초로 하여 설명한다.
전원 스위치(23)가 온으로 된 피로 회복 지원 장치(A)는 중지 모드와, 능동 모드의 2개의 모드를 갖고 있다.
중지 모드라 함은, 오브젝트의 화상이 오른쪽 눈측 디스플레이(1R) 및 왼쪽 눈측 디스플레이(1L)의 어느 쪽에도 표시되지 않는 모드이다. 능동 모드라 함은, 오브젝트의 화상이 오른쪽 눈측 디스플레이(1R) 또는 왼쪽 눈측 디스플레이(1L) 중 어느 하나에 표시되는 모드이다.
중지 모드일 때, 주제어부(60)는 출력 제어부(50)를 제어하여 양방의 디스플레이(1R, 1L) 상에 아무것도 표시시키지 않도록 한다(ST71).
그리고, 조작 버튼(21) 중 어느 하나가 사용자에 의해 조작된(눌러진) 경우(ST72 : A), 입력 제어부(40)는 이 조작이 있었던 것을 나타내는 데이터를 접수하여 주제어부(60)에 입력하고, 중지 모드로부터 능동 모드로 이행하도록 되어 있다(ST73).
또한, 조작 버튼(21)으로부터의 입력이 없고 일정 시간 경과한 경우(ST72 : B)에도 주제어부(60)는 능동 모드로 이행한다(ST73).
사용자에 의한 조작 버튼(21)의 조작이 없는 경우나, 이 조작이 없고 일정 시간 경과하고 있지 않은 경우(ST72 : C)에는 중지 모드인 상태가 된다(ST72).
또, 일정 시간 경과하였는지 여부는 계속적으로 타이머에 의해 감시되고 있다.
능동 모드에서, 주제어부(60)는 입력 제어부(40)로부터의 입력을 기초로 하여 디스플레이(1R, 1L)에 표시시키기 위한 소정의 오브젝트의 화상을 생성한다. 이 처리는, 구체적으로는 오브젝트 생성부(62)가 행한다. 즉, 오브젝트 생성부(62)는 오브젝트 데이터 기록부(61)에 기록된 오브젝트 데이터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오브젝트에 관한 데이터를 판독하여 오브젝트의 화상을 생성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에 의해「금붕어」의 조작 버튼(21A)이 눌러진 경우에는, 오브젝트 생성부(62)는「금붕어」의 오브젝트의 화상을 생성한다.
오브젝트의 화상이 생성되면 주제어부(60)는 출력 제어부(50)를 제어하여 생성된 오브젝트의 화상을 디스플레이(1R, 1L)에 표시시킨다. 이 오브젝트의 화상의 움직임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도6은「금붕어」의 화상이 디스플레이(1R, 1L)에 표시되어 있는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또, 제어기(20) 상의 종료 버튼(22)이 사용자에 의해 조작된 경우(ST74 : A), 입력 제어부(40)는 이것을 접수하여 주제어부(60)에 입력한다.
이에 의해 주제어부(60)는 디스플레이(1R, 1L) 상의 오브젝트의 화상의 표시를 중지하도록 출력 제어부(50)를 제어한다. 이와 같이 하여, 능동 모드로부터 중지 모드로 이행한다(ST71).
또한, 오브젝트의 화상이 표시된 후, 일정 시간이 경과한 경우(ST74 : B)에도 중지 모드로 이행한다(ST71).
사용자에 의한 조작이 없는 경우나, 오브젝트의 화상이 표시된 후 일정 시간 경과하고 있지 않은 경우(ST74 : C)에는 능동 모드인 상태가 된다(ST74). 일정 시간 경과하였는지 여부는 계속적으로 타이머에 의해 감시되고 있다.
또, 피로 회복 지원 장치(A)의 사용을 종료할 때는 전원 스위치(23)를 오프(OFF)로 한다.
다음에, 디스플레이(1R, 1L)에 표시되어 있는 오브젝트의 화상의 사용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6은 상술한 바와 같이 오브젝트의 화상의 일예인「금붕어」의 화상이 디스 플레이(1R, 1L)에 표시되어 있는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 오브젝트의 화상은 금붕어가 소정의 속도로 디스플레이(1R, 1L)의 화면 상을 수평 방향으로 왕복 이동하는 화상으로 되어 있다.
즉, 도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왼쪽 눈측 디스플레이(1L)에 있어서, 왼쪽 눈측 디스플레이(1L)의 다리(11)가 설치되어 있는 측(도면 중 Y측)으로부터 오른쪽 눈측 디스플레이(1R)측(도면 중 Z측)을 향해 이동하는 금붕어는, 왼쪽 눈측 디스플레이(1L) 화면 상의 Z측 단부까지 이동하면 왼쪽 눈측 디스플레이(1L) 화면으로부터 없어지고 오른쪽 눈측 디스플레이(1R) 화면 상의 Y측 단부에 나타난다. 오른쪽 눈측 디스플레이(1R) 화면 상의 Y측 단부에 나타난 금붕어는 그 후 Z측을 향해 이동하여 그 단부까지 이동한다. 금붕어가 오른쪽 눈측 디스플레이(1R)의 Z측 단부까지 이동한 경우, 금붕어는 그 방향을 바꾸어 상술과 마찬가지로 하여 왼쪽 눈측 디스플레이(1L)의 Y측 단부까지 이동한다.
이와 같이, 디스플레이(1R, 1L)의 화면 상을 이동하는 금붕어가 각 디스플레이(1R, 1L)가 다리(11)가 설치되어 있는 측의 단부까지 이동한 경우, 금붕어는 그 방향을 바꾸어 왕복 이동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각 디스플레이(1R, 1L)의 다리(11)가 설치되어 있는 측의 단부에 금붕어가 이동하였을 때, 금붕어가 점멸하도록 되어 있다.
사용자는 디스플레이(1R, 1L)에 표시된 금붕어를 눈으로 쫓아가도록 한다. 또한, 금붕어의 점멸에 맞추어 깜박임을 하도록 한다.
이 때, 도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시선을 하방으로(본 실시 형태에서는 45°) 이동한 상태에서 오브젝트의 화상을 보게 되고, 이것을 볼 때에 부교감 신경이 작용하고, 이에 의해 사용자를 릴렉스한 상태로 하는 것이 가능해져 사용자의 피로를 회복시킬 수 있다.
또한, 금붕어가 점멸하는 것이 계기가 되어 깜박임이 촉진되어 안구 건조를 방지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피로 회복 지원 장치(A)의 디스플레이(1R, 1L)의 화면 상에 표시되는 오브젝트의 화상은 하방을 보는 사용자가 이것을 눈으로 쫓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피로를 회복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으므로, 그것을 볼 때에는 부교감 신경이 작용하고, 이에 의해 사용자의 교감 신경의 긴장을 완화시켜 사용자를 릴렉스한 상태로 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두통, 어깨 결림, 피로감, 안구 건조 또는 귀 울림 등의 증상을 완화ㆍ예방할 수 있다. 즉, 사용자의 피로를 회복시킬 수 있다.
또, 본 실시 형태에서는, 오브젝트의 화상은 상술한 바와 같이 각 디스플레이(1R, 1L)의 다리(11)가 설치되어 있는 측의 단부로 이동한 경우에 점멸하는 것으로서 구성하였지만, 소정의 오브젝트가 디스플레이(1R, 1L)의 화면 상에서 수평 방향으로 왕복 이동하는 화상이고, 하방을 보는 사용자가 이것을 눈으로 쫓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피로를 회복시키는 화상이면 충분하다.
또한, 오브젝트의 화상을 사용자의 깜박임을 재촉하는 계기가 되는 변화를 수반하는 것으로 하는 경우에는, 오브젝트의 화상이 점멸하는 것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와 같이 구성해도 좋다.
예를 들어, 오브젝트의 화상의 적어도 일부의 색을 변화시켜도 좋다.
또한, 오브젝트의 화상의 이동의 속도나 움직이는 방법, 크기를 변화시켜도 좋다. 즉, 도8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금붕어의 화상이 각 디스플레이(1R, 1L)의 다리(11)가 설치되어 있는 측의 단부로 이동하였을 때, 금붕어가 깜박임을 하도록 해도 좋다.
또한, 도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오브젝트의 화상에 부가하여,「깜박임」등의 사용자의 깜박임을 재촉하는 문자를 포함하는 화상을 표시해도 좋고, 도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깜박임을 행하는 눈의 화상을 표시해도 좋다. 이들 화상은 디스플레이(1R, 1L) 상이면 어디에 표시해도 좋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생성된 오브젝트의 화상이 오른쪽 눈측 디스플레이(1R) 및 왼쪽 눈측 디스플레이(1L)의 양방에 교대로 표시되도록 구성되어 있지만, 오브젝트의 화상이 오른쪽 눈측 디스플레이(1R) 또는 왼쪽 눈측 디스플레이(1L)의 어느 한쪽에만 표시되도록 해도 좋다. 이 경우, 사용자가 오른쪽 눈측 디스플레이(1R) 또는 왼쪽 눈측 디스플레이(1L)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도록 되어 있어도 좋고, 주제어부(60)가 임의로 선택하도록 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양방의 디스플레이(1R, 1L)에 각각 오브젝트의 화상이 표시되도록 되어 있어도 좋다.
이들은 후술하는 제2 실시 형태 및 제3 실시 형태에 있어서도 마찬가지이다.
<제2 실시 형태>
본 실시 형태의 피로 회복 지원 장치(B)는 제1 실시 형태의 피로 회복 지원 장치(A)와 대략 마찬가지로 구성되어 있고, 사용 방법도 바뀌지 않지만, 오른쪽 눈측 디스플레이(1R) 및 왼쪽 눈측 디스플레이(1L) 대신에, 복수의 LED(102)를 갖는 오른쪽 눈측 LED부(101R) 및 왼쪽 눈측 LED부(101L)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는 점에서 상이하다. 즉, 본 실시 형태의 피로 회복 지원 장치(B)에 있어서는 오브젝트의 화상은 표시되지 않고, LED부(101R, 101L)를 발광시켰을 때의 광상이 표시되는 것으로 된다.
오른쪽 눈측 LED부(101R) 및 왼쪽 눈측 LED부(101L)는 도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오른쪽 눈측 프레임 테(112R), 왼쪽 눈측 프레임 테(112L)의 각 하부 테에 각각 복수의 LED(102)가 하부 테의 길이 방향으로 나란히 끼워 넣어지게 된다. 이들 복수의 LED(102)는 피로 회복 지원 장치(B)를 사용자의 헤드부에 고정적으로 장착하였을 때에 사용자가 알아볼 수 있도록 하여 하부 테에 끼워 넣어져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백색의 LED(102)를 이용하는 것으로 한다.
이 오른쪽 눈측 LED부(101R) 및 왼쪽 눈측 LED부(101L)는,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1 실시 형태의 피로 회복 지원 장치(A)와 마찬가지로 헤드부가 정면을 향한 상태로부터 시선을 45°떨어뜨렸을 때에 시계에 들어가도록 되어 있는 동시에, 다리(111)의 소정의 위치에 설치된 제어기(120)에 접속되어 있다.
이 제어기(120)에는 도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조작 버튼(121)과 종료 버튼(122), 전원 스위치(123)가 설치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의 조작 버튼(121)은 후술하는 발광 신호 패턴 기록부(161)에 기록된 복수의 발광 신호 패턴 중 어느 하나를 사용자에게 선택시키기 위한 버튼이 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조작 버튼(121)은 두 개 설치되어 있고, 한쪽 버튼(121A)에는「H」, 다른 쪽 버튼(121B)에는「L」로 표시되어 있다. 「H」의 버튼은 후술하는「High」의 발광 신호 패턴과,「L」의 버튼은 후술하는「Low」의 발광 신호 패턴에 각각 대응되어 구성되어 있다.
이 제어기(120)는 도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어기(120) 전체의 동작을 통괄하는 CPU(130), 메모리의 일예가 되는 RAM(131), ROM(132), 자기 기억 장치(133), 조작 버튼(121)으로부터의 조작 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 인터페이스(134) 및 오른쪽 눈측 LED부(101R) 및 왼쪽 눈측 LED부(101L)를 위한 출력 인터페이스(135)를 갖고 있다. 자기 기억 장치(133)에는 OS가 인스톨되어 있다.
이 제어기(120)의 ROM(132)에는 소정의 컴퓨터 프로그램이 미리 인스톨되어 있고, 본 발명의 피로 회복 지원 장치(B)로서 동작하도록 되어 있다.
소정의 컴퓨터 프로그램이라 함은, 오른쪽 눈측 LED부(101R) 및 왼쪽 눈측 L ED부(101L)와 접속되어 있는 제어기(120)를, 복수의 LED(102)를 차례로 발광시켰을 때의 광상이 사용자에 대해 수평 방향으로 왕복 이동하도록 LED부(101R, 101L)를 구성하는 복수의 LED(102)를 발광시키는 발광 신호를 생성하는 동시에, 생성된 발광 신호를 기초로 하여 LED부(101R, 101L)를 구성하는 복수의 LED(102)를 발광시키는 LED 제어 수단, 발광 신호 패턴을 기억하기 위한 기억 수단으로서 기능시키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이며, LED부(101R, 101L)에 표시되는 광상은 하방을 보는 사용자가 이것을 눈으로 쫓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피로를 회복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는 컴퓨터 프로그램이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필요에 따라서, 인스톨된 컴퓨터 프로그램이 RAM(131)에 호출되고, CPU(130)에 의해 실행됨으로써, 제어기(120) 상에 도14에 도시되는 기능, 즉 입력 제어부(140), 출력 제어부(150) 및 주제어부(160)의 기능이 형성되고, 이에 의해 피로 회복 지원 장치(B)가 구성되도록 되어 있다.
입력 제어부(140)는 조작 버튼(121)으로부터의 입력을 접수하여 주제어부(160)에 입력하기 위한 제어를 행한다.
출력 제어부(150)는 후술하는 발광 신호가 생성된 경우, LED부(101R, 101L)에 이것을 출력하기 위한 제어를 행하는 것이다.
주제어부(160)는 피로 회복 지원 장치(B) 전체의 통괄적인 제어를 행하는 것으로, 상술한 입력 제어부(140), 출력 제어부(150)는 이 주제어부(160)의 관리하에서 동작하도록 되어 있다.
이 주제어부(160)는 발광 신호의 생성을 행한다. 즉, 주제어부(160)는 도시하지 않은 소정의 데이터 기록 수단의 소정 영역에 복수의 LED(102)를 발광시키는 발광 신호 패턴을 기록하는 발광 신호 패턴 기록부(161)와, 이 발광 신호 패턴 기록부(161)에 기록되어 있는 발광 신호 패턴을 판독하여 발광 신호를 생성하는 발광 신호 생성부(162)를 갖고 있다.
발광 신호 패턴 기록부(161)에는 소정의 발광 신호 패턴의 데이터가 기록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Low」와「High」의 2개의 발광 신호 패턴이 기록되어 있고,「Low」의 발광 신호 패턴은「High」의 발광 신호 패턴보다도 LED부(101R, 101L)를 구성하는 복수의 LED(102)를 발광시켰을 때의 광상의 이동 속도가 느리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이와 같은 2개의 발광 신호 패턴이 기록되어 있는 것으로서 설명하지만, 기록되어 있는 발광 신호 패턴의 종류는 몇 개라도 상관없다. 또, 기록되어 있는 발광 신호 패턴의 수가 많을수록 발광 신호 패턴의 선택 폭이 확대되어 사용자의 기호나 기분에 맞는 광상을 표시할 수 있게 된다.
이 발광 신호 패턴의 데이터는 본 실시 형태에서는 상술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제어기(120)의 자기 기억 장치(133)에 인스톨할 때에 인스톨되도록 되어 있다.
발광 신호 생성부(162)는 LED부(101R, 101L)를 구성하는 복수의 LED(102)를 발광시키는 발광 신호를, 발광 신호 패턴을 기초로 하여 생성한다.
발광 신호 생성부(162)에 의해 생성되는 발광 신호를 기초로 하여 LED부(101R, 101L)를 구성하는 복수의 LED(102)를 차례로 발광시켰을 때의 광상은, 광상이 LED부(101R, 101L)의 수평 방향으로 왕복 이동, 즉 피로 회복 지원 장치(B)를 사용자의 헤드부에 장착하여 사용할 때 사용자에 대해 수평 방향으로 왕복 이동하도록 되어 있어, 하방을 보는 사용자가 이것을 눈으로 쫓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피로를 회복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이 실시 형태의 광상은 제1 실시 형태의 피로 회복 지원 장치(A)의 오브젝트의 화상과 마찬가지로, 사용자의 깜박임을 재촉하는 계기가 되는 변화를 수반하는 것이 되는 광상으로 되어 있고, 또한 발광 신호 생성부(162)는 도시하지 않은 타이머를 갖고 있어, 소정 시간이 경과한 경우라도 발광 신호를 생성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LED부(101R, 101L)에 표시되는 광상은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소정의 속도로 LED부(101R, 101L)의 길이 방향으로 왕복 이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왼쪽 눈측 LED부(101L)의 복수의 LED(102)를 왼쪽 눈측 LED부(101L)의 다리(111)가 설치되어 있는 측으로부터 오른쪽 눈측 LED부(101R)측을 향해 차례로 발광시키고, 그 후 오른쪽 눈측 LED부(101R)의 복수의 LED(102)를 왼쪽 눈측 LED부(101L)측으로부터 오른쪽 눈측 LED부(101R)의 다리(111)가 설치되어 있는 측을 향해 차례로 발광시키도록 되어 있다. 그 후, 오른쪽 눈측 LED부(101R)의 복수의 LED(102)를 오른쪽 눈측 LED부(101R)의 다리(111)가 설치되어 있는 측으로부터 왼쪽 눈측 LED부(101L)측을 향해 차례로 발광시키고, 그 후 왼쪽 눈측 LED부(101L)의 복수의 LED(102)를 오른쪽 눈측 LED부(101R)측으로부터 왼쪽 눈측 LED부(101L)의 다리(111)가 설치되어 있는 측을 향해 차례로 발광시키도록 되어 있다. 이상의 발광 패턴이 반복하여 행해지고, 광상이 LED부(101R, 101L)의 수평 방향으로 왕복 이동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각 LED부(101R, 101L)의 다리(111)가 설치되어 있는 측의 단부의 LED(102)이 발광할 때, 소정 회수 점멸하도록 되어 있다.
이상의 피로 회복 지원 장치(B)의 동작 순서에 대해서는 상술한 제1 실시 형태의 피로 회복 지원 장치(A)와 마찬가지이다.
또한, LED부(101R, 101L)에 표시되는 광상의 사용 방법은 상술한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이다. 즉, 사용자는 LED부(101R, 101L)에 표시된 광상을 쫓도록 본다. 또한, 광상의 점멸에 맞추어 깜박임을 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시선을 하방으로 이동한 상태에서 LED부(101R, 101L)에 표시되는 광상을 봄으로써 사용자의 피로를 회복시킬 수 있다.
또, 본 실시 형태의 피로 회복 지원 장치(B)는 백색의 LED(102)를 이용하여 구성되어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적색이나 주황색의 LED를 사용해도 좋다. 또한, 복수의 색의 LED를 사용해도 좋다.
<제3 실시 형태>
본 실시 형태의 피로 회복 지원 장치(C)는 제2 실시 형태의 피로 회복 지원 장치(B)와 대략 마찬가지로 구성되어 있고, 사용 방법도 바뀌지 않지만, 오른쪽 눈측 LED부(101R) 및 왼쪽 눈측 LED부(101L) 대신에 복수의 광 파이버(202)를 갖는 오른쪽 눈측 광 파이버부(201R) 및 왼쪽 눈측 광 파이버부(201L)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는 점에서 상이하다. 즉, 본 실시 형태의 피로 회복 지원 장치(C)에 있어서는, LED부(101R, 101L)를 발광시켰을 때의 광상이 아닌, 광 파이버부(201R, 201L)를 발광시켰을 때의 광상이 표시되게 된다.
오른쪽 눈측 광 파이버부(201R) 및 왼쪽 눈측 광 파이버부(201L)는 도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오른쪽 눈측 프레임 테(212R), 왼쪽 눈측 프레임 테(212L)의 각 하부 테에 각각 복수의 광 파이버(202)의 일단부측 선단부 부분이 하부 테의 길이 방향으로 나란히 끼워 넣어지게 된다. 이들 복수의 광 파이버(202)의 일단부측의 선단부 부분은 피로 회복 지원 장치(C)를 사용자의 헤드부에 고정적으로 장착하였을 때에 사용자가 알아볼 수 있도록 하여 하부 테에 끼워 넣어져 있다. 이 오른쪽 눈측 광 파이버부(201R) 및 왼쪽 눈측 광 파이버부(201L)는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2 실시 형태의 피로 회복 지원 장치(B)와 마찬가지로 헤드부가 정면을 향한 상태로부터 시선을 45°떨어뜨렸을 때에 시계에 들어오도록 되어 있다.
또한, 복수의 광 파이버(202)는 도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프레임 테(212) 및 다리(211)의 내부에 매립되어 있고, 그 타단부의 선단부 부분이 도시하지 않은 소정의 광원에 접속되어 있다.
이 광원에 의해, 복수의 광 파이버(202)의 일단부측의 선단부 부분이 발광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이 광원은 다리(211)의 소정의 위치에 설치된 제어기에 접속되어 있다.
제어기에는 제2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조작 버튼과 전원 스위치, 종료 버튼이 설치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의 조작 버튼은 후술하는 발광 신호 패턴 기록부(261)에 기록된 복수의 발광 신호 패턴 중 어느 하나를 사용자에게 선택시키기 위한 버튼이다. 또, 본 실시 형태에서는 조작 버튼은 2개 설치되어 있고, 한쪽 버튼에는「H」, 다른 쪽 버튼에는「L」로 표시되어 있다. 「H」의 버튼은 후술하는「High」의 발광 신호 패턴과,「L」의 버튼은 후술하는「Low」의 발광 신호 패턴에 각각 대응되어 구성되어 있다.
이 제어기는 도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어기 전체의 동작을 통괄하는 CPU(230), 메모리의 일예가 되는 RAM(231), ROM(232), 자기 기억 장치(233), 조작 버튼으로부터의 조작 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 인터페이스(234), 및 오른쪽 눈측 광 파이버부(201R) 및 왼쪽 눈측 광 파이버부(201L)를 위한 출력 인터페이스(235)를 갖고 있다. 자기 기억 장치(233)에는 OS가 인스톨되어 있다.
이 제어기의 ROM(232)에는 소정의 컴퓨터 프로그램이 미리 인스톨되어 있고, 본 발명의 피로 회복 지원 장치(C)로서 동작하도록 되어 있다.
소정의 컴퓨터 프로그램이라 함은, 오른쪽 눈측 광 파이버부(201R) 및 왼쪽 눈측 광 파이버부(201L)와 접속되어 있는 제어기를, 복수의 광 파이버(202)를 차례로 발광시켰을 때의 광상이 사용자에 대해 수평 방향으로 왕복 이동하도록 광 파이버부(201R, 201L)를 구성하는 복수의 광 파이버(202)를 발광시키는 발광 신호를 생성하는 동시에, 생성된 발광 신호를 기초로 하여 광 파이버부(201R, 201L)를 구성하는 복수의 광 파이버(202)를 발광시키는 발광 신호 생성 수단, 발광 신호 패턴을 기억하기 위한 기억 수단으로서 기능시키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이며, 광 파이버부(201R, 201L)에 표시되는 광상은 하방을 보는 사용자가 이것을 눈으로 쫓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피로를 회복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는 컴퓨터 프로그램이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필요에 따라 인스톨된 컴퓨터 프로그램이 RAM(231)에 호출되고, CPU(230)에 의해 실행됨으로써, 제어기 상에 도17에 나타내는 기능, 즉 입력 제어부(240), 출력 제어부(250) 및 주제어부(260)의 기능이 형성되고, 이에 의해 피로 회복 지원 장치(C)가 구성되도록 되어 있다.
입력 제어부(240)는 조작 버튼으로부터의 입력을 접수하여 주제어부(260)에 입력하기 위한 제어를 행한다.
출력 제어부(250)는 후술하는 발광 신호가 생성된 경우, 광 파이버부(201R, 201L)에 이것을 출력하기 위한 제어를 행하는 것이다.
주제어부(260)는 피로 회복 지원 장치(C) 전체의 통괄적인 제어를 행하는 것으로, 상술한 입력 제어부(240), 출력 제어부(250)는 이 주제어부(260)의 관리하에서 동작하도록 되어 있다.
이 주제어부(260)는 발광 신호의 생성을 행한다. 즉, 주제어부(260)는 도시하지 않는 소정의 데이터 기록 수단의 소정 영역에 복수의 광 파이버(202)를 발광시키는 발광 신호 패턴을 기록하는 발광 신호 패턴 기록부(261)와, 이 발광 신호 패턴 기록부(261)에 기록되어 있는 발광 신호 패턴을 판독하여 발광 신호를 생성하는 발광 신호 생성부(262)를 갖고 있다.
발광 신호 패턴 기록부(261)에는 소정의 발광 신호 패턴의 데이터가 기록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Low」와「High」의 두 개의 발광 신호 패턴이 기록되어 있고,「Low」의 발광 신호 패턴은「High」의 발광 신호 패턴보다도 광 파이버부(201R, 201L)를 구성하는 복수의 광 파이버(202)를 발광시켰을 때의 광상의 이동 속도가 느리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이와 같은 두 개의 발광 신호 패턴이 기록되어 있는 것으로서 설명하지만, 기록되어 있는 발광 신호 패턴의 종류는 몇 개라도 상관없다.
이 발광 신호 패턴의 데이터는, 본 실시 형태에서는 상술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제어기의 자기 기억 장치(233)에 인스톨할 때에 인스톨되도록 되어 있다.
발광 신호 생성부(262)는 광 파이버부(201R, 201L)를 구성하는 복수의 광 파 이버(202)를 발광시키는 발광 신호를 발광 신호 패턴을 기초로 하여 생성한다.
발광 신호 생성부(262)에 의해 생성되는 발광 신호를 기초로 하여 광 파이버부(201R, 201L)를 구성하는 복수의 광 파이버(202)를 차례로 발광시켰을 때의 광상은, 광상이 광 파이버부(201R, 201L)의 수평 방향으로 왕복 이동, 즉 피로 회복 지원 장치(C)를 사용자의 헤드부에 장착하여 사용할 때 사용자에 대해 수평 방향으로 왕복 이동하도록 되어 있고, 하방을 보는 사용자가 이것을 눈으로 쫓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피로를 회복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이 실시 형태의 광상은 제2 실시 형태의 피로 회복 지원 장치(B)의 광상과 마찬가지로 사용자의 깜박임을 재촉하는 계기가 되는 변화를 수반하는 것이 되는 광상으로 되어 있고, 또한 발광 신호 생성부(262)는 도시하지 않은 타이머를 갖고 있어, 소정 시간이 경과한 경우에도 발광 신호를 생성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광 파이버부(201R, 201L)에 표시되는 광상은 제2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소정의 속도로 광 파이버부(201R, 201L)의 길이 방향으로 왕복 이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왼쪽 눈측 광 파이버부(201L)의 복수의 광 파이버(202)를 왼쪽 눈측 광 파이버부(201L)의 다리(211)가 설치되어 있는 측으로부터 오른쪽 눈측 광 파이버부(201R)측을 향해 차례로 발광시키고, 그 후 오른쪽 눈측 광 파이버부(201R)의 복수의 광 파이버(202)를 왼쪽 눈측 광 파이버부(201L)측으로부터 오른쪽 눈측 광 파이버부(201R)의 다리(211)가 설치되어 있는 측을 향해 차례로 발광시키도록 되어 있다. 그 후, 오른쪽 눈측 광 파이버부(201R)의 복수의 광 파이버(202)를 오른쪽 눈측 광 파이버부(201R)의 다리(211)가 설치되어 있는 측으로부터 왼쪽 눈측 광 파이버부(201L)측을 향해 차례로 발광시키고, 그 후 왼쪽 눈측 광 파이버부(201L)의 복수의 광 파이버(202)를 오른쪽 눈측 광 파이버부(201R)측으로부터 왼쪽 눈측 광 파이버부(201L)의 다리(211)가 설치되어 있는 측을 향해 차례로 발광시키도록 되어 있다. 이상의 발광 패턴이 반복하여 행해지고, 광상이 광 파이버부(201R, 201L)의 수평 방향으로 왕복 이동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각 광 파이버부(201R, 201L)의 다리(211)가 설치되어 있는 측의 단부의 광 파이버(202)가 발광할 때, 소정 회수 점멸하도록 되어 있다.
이상의 피로 회복 지원 장치(C)의 동작 순서 및 사용 방법에 대해서는 제2 실시 형태의 피로 회복 지원 장치(B)와 마찬가지이다.
이와 같이, 시선을 하방으로 이동한 상태에서 광 파이버부(201)에 표시되는 광상을 봄으로써 사용자의 피로를 회복시킬 수 있다.

Claims (16)

  1. 사용자의 헤드부에 장착 가능하게 된 본체와,
    상기 사용자가 상기 본체를 헤드부에 장착하여 정면을 보았을 때에 시계로부터 벗어나는 동시에 상기 사용자가 시선을 하방으로 이동하였을 때에만 시계에 들어오도록 하여 상기 본체에 설치되어 있고 소정의 오브젝트의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부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사용자가 상기 본체를 헤드부에 장착하여 정면을 보았을 때에 시야를 확보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 피로 회복 지원 장치이며,
    상기 사용자에 대해 수평 방향으로 왕복 이동하는 상기 오브젝트의 화상을 생성하는 동시에, 생성된 상기 오브젝트의 화상을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는 화상 생성 수단을 갖고 있고,
    상기 오브젝트의 화상은 하방을 보는 상기 사용자가 이것을 눈으로 쫓도록 함으로써 상기 사용자의 피로를 회복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는 피로 회복 지원 장치.
  2. 사용자의 헤드부에 장착 가능하게 된 본체와,
    상기 사용자가 상기 본체를 헤드부에 장착하여 정면을 보았을 때에 시계로부터 벗어나는 동시에 상기 사용자가 시선을 하방으로 이동하였을 때에만 시계에 들어오도록 하여 상기 본체에 설치되어 있고 선 형상으로 배열된 복수의 발광체를 갖 는 발광부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사용자가 상기 본체를 헤드부에 장착하여 정면을 보았을 때에 시야를 확보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 피로 회복 지원 장치이며,
    상기 복수의 발광체를 차례로 발광시켰을 때의 광상이 상기 사용자에 대해 수평 방향으로 왕복 이동하도록 상기 복수의 발광체를 발광시키는 발광 신호를 생성하는 동시에, 생성된 상기 발광 신호를 기초로 하여 상기 복수의 발광체를 발광시키는 발광 신호 생성 수단을 갖고 있고,
    상기 광상은 하방을 보는 상기 사용자가 이것을 눈으로 쫓도록 함으로써 상기 사용자의 피로를 회복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는 피로 회복 지원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상기 사용자가 시선을 하방으로 20°이상 이동하였을 때에만 시계에 들어오도록 하여 상기 본체에 설치되어 있는 피로 회복 지원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소정의 폭 및 길이를 갖고 있고,
    상기 오브젝트의 화상은 상기 표시부의 길이 방향으로 왕복 이동하도록 되어 있는 피로 회복 지원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 생성 수단은 상기 오브젝트의 화상을, 상기 사용자의 깜박임을 재촉하는 계기가 되는 변화를 수반하는 것으로서 생성하는 피로 회 복 지원 장치.
  6. 제1항 또는 제3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 생성 수단은 상기 오브젝트의 화상을 소정의 타이밍에 생성하는 피로 회복 지원 장치.
  7. 제1항 또는 제3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상기 사용자의 오른쪽 눈의 하측에 위치하는 오른쪽 눈측 표시부와, 왼쪽 눈의 하측에 위치하는 왼쪽 눈측 표시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피로 회복 지원 장치.
  8. 제1항 또는 제3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안경 형상으로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피로 회복 지원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하부 테를 갖는 안경 프레임을 구비하고 있고,
    상기 표시부는 상기 안경 프레임의 하부 테에 설치되어 이루어지는 피로 회복 지원 장치.
  10.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부는 상기 사용자가 시선을 하방으로 20°이상 이동하였을 때에만 시계에 들어오도록 하여 상기 본체에 설치되어 있는 피로 회복 지원 장치.
  11.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부는 소정의 폭 및 길이를 갖고 있고,
    상기 광상은 상기 발광부의 길이 방향으로 왕복 이동하도록 되어 있는 피로 회복 지원 장치.
  12.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 신호 생성 수단은 상기 광상을, 상기 사용자의 깜박임을 재촉하는 계기가 되는 변화를 수반하는 것으로서 생성하는 피로 회복 지원 장치.
  13. 제2항 또는 제10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 신호 생성 수단은 상기 광상을 소정의 타이밍에 생성하는 피로 회복 지원 장치.
  14. 제2항 또는 제10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부는 상기 사용자의 오른쪽 눈의 하측에 위치하는 오른쪽 눈측 발광부와, 왼쪽 눈의 하측에 위치하는 왼쪽 눈측 발광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피로 회복 지원 장치.
  15. 제2항 또는 제10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 있어서, 상기 본체는 안경 형상으로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피로 회복 지원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하부 테를 갖는 안경 프레임을 구비하고 있고,
    상기 발광부는 상기 안경 프레임의 하부 테에 설치되어 이루어지는 피로 회복 지원 장치.
KR1020067021398A 2004-03-17 2005-03-17 피로 회복 지원 장치 KR2007000863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4077120A JP4578834B2 (ja) 2004-03-17 2004-03-17 疲労回復支援装置
JPJP-P-2004-00077120 2004-03-1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08636A true KR20070008636A (ko) 2007-01-17

Family

ID=349752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21398A KR20070008636A (ko) 2004-03-17 2005-03-17 피로 회복 지원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7635185B2 (ko)
EP (1) EP1731119A4 (ko)
JP (1) JP4578834B2 (ko)
KR (1) KR20070008636A (ko)
CN (1) CN1953723A (ko)
WO (1) WO2005087158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16870A (ko) * 2021-07-27 2023-02-03 동서대학교 산학협력단 컨텐츠 이미지에 의한 시력 훈련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191965A1 (en) * 2007-02-09 2008-08-14 Raffaele Martini Pandozy Apparatus and method for eye exercises
JP2010145436A (ja) * 2008-12-16 2010-07-01 Brother Ind Ltd ヘッドマウントディスプレイ
US20110181832A1 (en) * 2009-01-16 2011-07-28 Brian Patrick Smith Eyewear system for the treatment of unilateral neglect syndrome
JP5279737B2 (ja) * 2010-01-25 2013-09-04 株式会社コナミデジタルエンタテインメント 表示制御装置、視線誘導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GB201106882D0 (en) 2011-04-26 2011-06-01 Univ Leicester Apparatus and method
GB2514751A (en) * 2013-03-06 2014-12-10 Daniel Richard Matthew Farr Teds - 1x
KR102212562B1 (ko) 2014-05-23 2021-02-0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영상 처리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영상 처리 장치
JP2016158056A (ja) * 2015-02-24 2016-09-01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表示装置、表示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CN104760538A (zh) * 2015-04-29 2015-07-08 深圳市保千里电子有限公司 一种防疲劳驾驶的按摩装置及其使用方法
CN112731668A (zh) * 2021-01-15 2021-04-30 东莞市东全智能科技有限公司 头戴式近视调节装置及近视调节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02145U (ja) 1994-02-18 1994-09-20 紀雄 三井 視力回復訓練装置
JPH0363648U (ko) * 1989-10-27 1991-06-21
JPH0612766Y2 (ja) 1990-04-05 1994-04-06 スタンレー電気株式会社 眼球運動訓練装置
JPH0451940A (ja) 1990-06-18 1992-02-20 Toshiba Corp 超音波ドプラ診断装置
JPH0451940U (ko) * 1990-09-11 1992-05-01
JPH05220190A (ja) * 1992-01-23 1993-08-31 Shunketsu U 逆近反射を誘発して視力の悪化を防止する方法
JPH08373U (ja) * 1993-01-18 1996-02-20 迅 村上 ワープロ等の表示画面凝視に因る眼の疲労を軽減するための、 間歇的に点滅する警告用シグナル発光灯の設置。
US5515069A (en) * 1993-11-01 1996-05-07 Dillon, Iii; John A. Apparatus for relieving eyestrain and fatigue
US5813990A (en) * 1995-05-15 1998-09-29 Ryll; David Lloyd Projected display sport goggle
JPH1033583A (ja) 1996-07-26 1998-02-10 Shigero Makishima 目の疲労軽減及び除去装置
JP3614278B2 (ja) 1997-08-06 2005-01-26 富士通株式会社 眼球訓練装置及び方法並びに記録媒体
JPH1156942A (ja) * 1997-08-20 1999-03-02 Haruo Ohama 視力訓練装置
JP3731996B2 (ja) 1997-12-11 2006-01-05 ソシエテ エコピク ライン(エス エ エル) 鳥を追い払うための電気装置
JP2000157586A (ja) * 1998-11-30 2000-06-13 Norio Mitsui 動体視力訓練装置及び表示装置
GB2349320A (en) * 1999-04-23 2000-10-25 Su Chen Chang Eye fatigue reducing device for use with a video display
JP3063648U (ja) * 1999-05-06 1999-11-16 俊成 蘇 目の保護装置
JP2003505718A (ja) * 1999-07-20 2003-02-12 スマートスペックス,リミティド ライアビリティー カンパニー 通信用統合装置および方法
US6394601B1 (en) * 2000-07-17 2002-05-28 David S. Bettinger Spectacle-mounted micro display ocular
JP4810632B2 (ja) * 2001-05-29 2011-11-09 エレス株式会社 発光機能付き眼鏡
JP2003046903A (ja) * 2001-07-31 2003-02-14 Sanyo Electric Co Ltd 表示装置
CN1685273A (zh) * 2002-08-12 2005-10-19 斯卡拉株式会社 图像显示装置
JP2004236241A (ja) 2003-01-31 2004-08-19 Nikon Corp 表示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16870A (ko) * 2021-07-27 2023-02-03 동서대학교 산학협력단 컨텐츠 이미지에 의한 시력 훈련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4578834B2 (ja) 2010-11-10
CN1953723A (zh) 2007-04-25
EP1731119A1 (en) 2006-12-13
US7635185B2 (en) 2009-12-22
EP1731119A4 (en) 2010-04-07
JP2005266171A (ja) 2005-09-29
WO2005087158A1 (ja) 2005-09-22
US20070273827A1 (en) 2007-1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70008636A (ko) 피로 회복 지원 장치
US9486386B2 (en) Using a 3D display to train a weak eye
US9958749B2 (en) Optical assemblies that are both brightly backlit and transparent for use in costumed characters
US20210212881A1 (en) Eye exercising device and method
US9910488B2 (en) Motion guide presentation method and system therefor, and motion guide presentation device
JP2018051100A (ja) 運動訓練装置、プログラム、表示方法
JP2014130204A (ja) 表示装置、表示システム、および、表示装置の制御方法
KR100758701B1 (ko) 착용형 디스플레이
KR102075499B1 (ko) 안구운동장치
JP2005266171A5 (ko)
JP2007215691A (ja) 眼精疲労回復促進装置
JP3236041U (ja) 眼球運動トレーニング装置、眼球運動トレーニング機器
CN113454520A (zh) 利用多个增强现实用图像的增强现实用光学装置
CN105193605A (zh) 视力康复训练仪
CN211484965U (zh) 配戴镜的结构
CN108542725A (zh) 一种弱视训练系统
KR200419482Y1 (ko) 시력 교정용 안경
KR101382590B1 (ko) 안경을 이용한 안구의 인지 훈련 방법
JP2000157586A (ja) 動体視力訓練装置及び表示装置
TW201513841A (zh) 具輔助保健視力功能的可攜式電子裝置
WO2019069812A1 (ja) ヘッドマウントディスプレイの視線検出システム、ヘッドマウントディスプレイ及びヘッドマウントディスプレイの視線検出方法
CN203108004U (zh) 一种眼睛保健仪器
JP7070955B1 (ja) 視力訓練具
WO2023203923A1 (ja) 頭部装着型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記憶媒体
TWI764153B (zh) 直視型近眼顯示裝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