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32570A - 트리거 순차에 기초한 텍스트 입력을 위한 효율적 방법 및장치 - Google Patents

트리거 순차에 기초한 텍스트 입력을 위한 효율적 방법 및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32570A
KR20060132570A KR1020067006672A KR20067006672A KR20060132570A KR 20060132570 A KR20060132570 A KR 20060132570A KR 1020067006672 A KR1020067006672 A KR 1020067006672A KR 20067006672 A KR20067006672 A KR 20067006672A KR 20060132570 A KR20060132570 A KR 200601325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ymbol
conversion
symbols
sequence
in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066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56565B1 (ko
Inventor
하워드 앤드류 구토비츠
Original Assignee
이토니 어거노믹스, 인코퍼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토니 어거노믹스, 인코퍼레이티드 filed Critical 이토니 어거노믹스, 인코퍼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0601325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325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565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565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40Processing or translation of natural language
    • G06F40/53Processing of non-Latin tex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13/10Program control for peripheral devices
    • G06F13/12Program control for peripheral devices using hardware independent of the central processor, e.g. channel or peripheral processo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8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riental charact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06F3/0233Character input metho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10Text processing
    • G06F40/12Use of codes for handling textual entities
    • G06F40/126Character encoding
    • G06F40/129Handling non-Latin characters, e.g. kana-to-kanji convers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20Natural language analysis
    • G06F40/274Converting codes to words; Guess-ahead of partial word inputs

Abstract

중국어, 일본어, 한국어와 같이 전체나 일부가 표의문자를 품고 있는 언어는 2단계 과정으로 텍스트-입력 시스템에 의해 컴퓨터에 입력된다. 첫번째 과정에서는 변환전 기호가 입력되고, 두번째 과정에서는 이들 변환전 기호가 변환후 기호로 변환된다. 본 발명은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명백한 변환 신호의 요구 없이도 변환전 기호를 변환후 기호로 자동 변환하는 방법과 장치를 제공한다. 이 목적은,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명백한 변환 신호와 기능적으로 동일한 키누름의 트리거 순차의 설계를 통해 이루어진다. 트리거 순차 방법에 맞게 구성된 장치는 특히 소형 자판에 사용하기에 적합하고, 또한 예측 텍스트-입력 방법과 관련된다. 특히 중국어, 일본어 및 한국어의 입력에 적합한 구조를 지닌다.

Description

트리거 순차에 기초한 텍스트 입력을 위한 효율적 방법 및 장치{Efficient Method and Apparatus For Text Entry Based On Trigger Sequences}
본 발명은 트리거 순차에 기초한 텍스트 입력을 위한 효율적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텍스트 입력은 번거로운 작업이다. 알려진 바와 같이, 전체 또는 부분적으로 표의문자를 포함하는 언어를 컴퓨터를 이용해 입력하는 경우, 미리 입력되어 있던 변환전 기호를 변환후 기호인 표의문자로 변환하는 "변환" 키를 누르는 수고를 해야 한다. 각 표의문자를 키마다 하나씩 할당할 수 있다면, 변환전 기호나 변환 과정이 불필요할 것이다. 이러한 변환 문제가 야기되는 것은 실제 텍스트 입력장치의 키의 개수가 입력해야 하는 수 만개의 표의문자에 비해 훨씬 적기 때문이다. 표의문자 집합은 먼저 소집합으로 분류된 변환전 기호 순차를 표현한 다음 이들 순차를 원하는 표의문자로 변환함으로써 입력된다. 입력할 문자 수에 비해 키의 개수가 적은 경우의 문제점은 휴대폰과 같은 소형 휴대장치의 경우에 있어서 더욱 심각하다. 이들 장치에서는 키의 개수가 변환전 기호의 수보다도 적다. 그 결과, 사용자는 변환하기 위한 변환전 문자를 입력하기 위해 키를 여러 번 누르고, 또 입력하고자 하는 변환후 문자를 지정하기 위해 키를 더 눌러야 한다. 따라서, 텍스트가 짧을 경 우에도 키누름 횟수가 아주 많을 수 있다.
변환전 기호나 변환후 기호, 또는 양쪽 모두를 입력하는데 필요한 키누름 수를 줄이기 위해 예측적 텍스트 방법이 도입되었다. 이 방법이 미국특허 6219731(2001.04.17), PCT/US99/29346(Method and apparatus for improved multi-tap text input: 텍스트 입력을 위한 향상된 다중 누름 방식의 방법과 장치), PCT/US01/30264, EPO 01983089.2-2212-US0130264(Method and apparatus for accelerated entry of symbols on a reduced keypad: 소형 키패드에 있어서 기호 입력을 촉진하는 방법 및 장치), 미국 가특허출원 60/111,665, PCT/US99/29343, WIPO WO 00/35091 (Touch-typable devices based on ambiguous codes and methods to design such devices: 모호부호에 기초한 터치 방식 타자 장치와 그 장치를 고안하는 방법)에 기술되고 이들 모두 본 발명에서 기호기준 또는 단어 전체나 단어 일부분으로 이루어진 문맥 기준으로 예측을 하는데 참고하였다. Davis J.R.의 당신의 손가락으로 철자를 쓰세요: 전화 키패드로 작성한 단어의 잠재적 명확화, Avois Journal 9(1991), 57-66에 기술한 이와 같은 대부분의 종래의 시스템에서는 단어사전을 기준으로 예측된다.
이러한 예측 설계의 효용성은 상업적 성공 뿐만 아니라 가능한 한 텍스트 입력에 드는 노력을 줄이는 텍스트-입력 메커니즘에 대한 산업상의 필요성이 강력히 요구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지금까지는 변환전 기호와 변환후 기호의 입력에 관련된 키누름 수 뿐만 아니라 변환전/후 기호들에 관련된 변환기능을 실행하는데 관련된 키누름을 줄이는데 초점을 맞추었었다. 본 발명은 실제로 변환 키누름을 배제하 였다. 이 경우, 놀랍게도, 변환전 기호, 변환후 기호 또는 양쪽 모두에 적용되는 예측 텍스트 방법의 장점을 유지할 수 있다. 게다가 컴퓨터 메모리와 처리 능력이 적게 요구되는 장점으로 인해, 본 발명은 소형 및/또는 휴대용 장치에도 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을 명확히 하기 위해 명세서에 사용되는 몇 가지 용어를 정의하고, 최적의 작동 모드를 보여준다. 또한 용어정리 순서는 본 발명의 설명 순서에 따른다.
프린트 가능기호 및 불가능 기호: 프린트 가능기호는 통상적인 글쓰기의 텍스트로 표시되는 기호이다. 예컨대, 영문자 a는 프린트 가능 기호이다. 또한, 프린트 불가능 기호를 고려하는 것도 유용하다. 예를 들어, 삭제버튼은 프린트 불가능한 "delete" 기호를 생성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런 용어는 컴퓨터상의 텍스트 입력을 위한 대부분의 표준화된 기호화 시스템에서 통일되어 있다. 주) 읽기 편하도록, "문자", "알파벳"이란 용어는 두 용어 사이에 확실한 구별이 표시되지 않는 한 각각 "기호", "기호 집합"과 호환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프린트 가능 기호를 텍스트 입력 도중에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란 "사용자가 알 수 있게 표시하여 주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은 시각적 디스플레이에 일반적으로 응용되고, 본 명세서의 구체적 설명을 위해 시각적 디스플레이를 위주로 설명한다. 그러나 음성인식 시스템의 경우에는 청각적 디스플레이가, 맹인용 입력장치의 경우 촉각적 디스플레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키와 키누름: 일반적인 텍스트-입력 시스템에서는 기호 입력에 기계식 키를 사용한다. 키누름이란 표현하고자 하는 바를 텍스트-입력장치를 사용해 표현할 기호(프린트 가능 또는 불가능한)를 입력하는 사용자의 행위이다. 구체적으로는 키를 통한 의사표현에 사용되는 물리적 수단으로 정의된다. 키와 키누름에 대한 물리적 형태는 입력장치에 따라 다르다. 청각적 시스템인 경우, 키누름은 예를 들면 말을 하거나 손뼉소리에 의해 신호화되어 이루어진다. 터치패드 시스템인 경우, 키는 패드를 문지르는 것이다. 양자역학에 근거하는 시스템의 경우, 키는 사용자가 의도한 입자의 진동상태의 변화이다. 일정 시간 동안 아무 행위도 하지 않는 것으로 기호 입력 의사를 표현할 수도 있다. 요컨대, 기호를 입력하고자 하는 물리적 의사표현은 본 발명에서 한정되지 않는다.
기호 입력: 쿼티(Qwerty) 자판과 같이 우리에게 익숙한 명백한 타자기 자판의 경우, 키누름 순차와 기호 순차 입력 사이의 관계는 아주 직접적이어서, 기호키를 한번 칠 때마다 하나의 기호가 입력된다. 모호 자판의 경우, 이 관계는 좀더 복잡하다. 단일 기호를 입력하는데 여러 번의 키누름이 필요하거나, 기호를 전혀 디스플레이하지 않는 키누름이 적절한 텍스트 입력에 필요하거나, 출력 텍스트에 나타나는 기호를 전혀 디스플레이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전화 키패드의 "멀티탭" 입력 방식을 사용하는 경우, c를 입력하려면 2번 키를 3번 눌러야 한다. 멀티탭 키패드에는 흔히 타임아웃 킬(time-out kill) 버튼도 있는데, 그 목적은 동일한 키에서 연속적인 문자의 입력을 용이하게 하는데 있다. 타임아웃 킬 버튼을 누르면 프린트 가능 기호가 입력되지 않고, 프린트 가능기호의 입력을 분리한다.
텍스트 입력시스템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로 기호를 정의하고 디스플레이 하는데 필요한 키누름은 물론, 다음 기호의 입력을 개시하거나 변환을 일으키거나 전체 입력 텍스트를 중단하거나 전송하는 등에 의해 기호의 입력을 종료하는 키누름을 포함하는 키누름 순차를 입력했을 때 프린트 가능기호가 입력된다고 할 수 있다. 기호 입력을 종료하는 키누름은 기호를 정의 및/또는 디스플레이 하는 키누름과 동일하거나, 또는 기호 입력 종료 이외의 기능은 안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화 키패드용 표준 멀티탭 시스템에서, 프린트 가능 순차인 "ba..."를 입력하기 위한 1회의 키누름 순차는 "22T2..."로 시작하는데, 여기서 각 2는 2번 키의 키누름을, T는 타임아웃 킬 키의 키누름을 나타낸다. 키누름 순차 22가 입력되면, 문자 b가 디스플레이 된다. 그러나, 2번 키를 한번 더 두드리면 문자 c로 바뀌어 디스플레이되므로, 분명히 문자 b가 입력되었다고는 아직 말할 수 없다. 프린트 불능기호 T를 입력한 뒤에야 비로서 문자 b가 입력되었다고 할 수 있다. 프린트 가능 순차 "ba..."를 멀티탭 시스템에서 입력하기 위한 또 다른 키누름 순차는 "22W2.."로 시작하는 것인데, 여기서 각 2는 2번 키의 키누름을, W는 타임아웃 시간이 지날 때까지 사용자 대기를 나타낸다.
키누름 순차 22를 누른 뒤 백스페이스 키 B를 누르면, 백스페이스 키를 누르는 순간에 문자 b가 입력된다고 할 수 있는데, 이는 이런 키누름으로 기호 입력이 종료되기 때문이며, 심지어는 동일한 키누름으로 문자 b가 지워지기도 하고 디스플레이되지 않을 수도 있다. 삭제기호 이외에 기호 입력 마침 기호나 커서 이동 기호를 생성하는 키로서 백스페이스 키를 고려할 때, 이런 상황이 명백해진다. 일반적으로, 입력이란 디스플레이 된 기호에 붙는 기호-입력-마침 기호의 생성과 함께, 즉 디스플레이 후 또는 그와 동시에 이루어지는 디스플레이를 의미한다. 디스플레이와 입력의 구분은 본 명세서에서 나타내고 설명되는 변환 예측시스템의 인식에 특히 중요하다.
변환전 기호, 변환후 기호 및 비변환 기호: 중국어, 일본어, 한국어와 같이 전체나 일부가 표의문자를 품고 있는 자연어는 2단계 과정에 의해 컴퓨터에 입력되고, 각 과정은 각각 변환전 기호와 변환후 기호라 불리우는 기호 집합을 포함한다. 첫번째 과정에서는 변환전 기호 집합이 입력되고, 두번째 과정에서는 이들 기호가 변환후 기호인 표의문자로 변환된다. 잘 알려진 중국어의 변환전 기호는 한어병음(Hanyu Pinyin: 성조기호(tone mark)가 붙은 로마자), 다른 로마자 체계, 또는 (Bopomofo로 알려진) 주음기호(Zhuyin)를 포함한다. 일본어의 경우, 로마자나 히라가나로 구성된 변환전 기호열을 먼저 입력하면 표의문자인 일본한자(Kanji) 기호가 입력되고, 이어서 이 기호가 두번째 변환과정에서 일본한자로 변환된다. 한국어의 경우, 변환전 기호는 통상 로마자나 자모이고, 표의문자인 한자는 두번째 변환 과정에서 생성된다. 어떤 언어의 텍스트 입력은 변환전 기호도 변환후 기호도 아닌 기호에 관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구두기호는 대개 다른 기호로 변환될 의도로 입력되지 않으며, 또한 변환 과정의 결과물도 아니다. 다른 기호로 변환되지 않는 기호를 비변환 기호라 한다.
변환전, 변환후 또는 비변환 기호와 같은 기호의 특징은 기호가 고유하게 가지고 있는 것이 아니라 텍스트-입력 장치에 따라 달라진다. 예를 들어, 종래의 장치에서는 구두기호가 비변환 기호이지만, 구두 순차가 입력되었을 때 웃는 얼굴을 그림으로 나타낸 듯한 :-)로 대체되는 장치의 경우에는 변환전 기호라 할 수 있다.
c히라가나, c로마자, c자모: 본 발명의 기본개념은 디스플레이와 입력의 구분에 있다. 마찬가지로,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도 출력 텍스트에 나타내고자 하는 기호와, 동일하지만 다른 기호로 변환하고자 하는 기호 사이의 구분을 기초로 한다. c히라가나는 일본어에 적용되는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기호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각각의 히라가나는 c히라가나에 대응한다. 히라가나는 실시예에 있어서 c히라가나와 구분되는데, 히라가나는 직접 출력 텍스트에 표현되는 것이어서 비변환 기호인 반면, c히라가나는 텍스트 입력 과정 중에 변환후 기호인 일본한자로 변환되는 변환전 기호이다. 본 발명의 일반적 실시에 있어서, c히라가나는 히라가나와는 구분되는 표시로 디스플레이 되는 특징을 갖는다. 마찬가지로, c로마자는 변환될 의도로 입력되는 로마자로서, 디스플레이에는 로마자와는 다르게 표시되고, c자모 역시 변환될 의도로 입력되는 변환전 기호로서 비변환 자모와 구분되어 표시된다.
트리거 순차: 본 발명의 핵심 단계는 키누름의 트리거 순차를 창안하는 것이다. 트리거 순차란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었을 때 변환을 일으킴과 동시에 변환전 및/또는 비변환 기호를 입력하는 기능을 하는 키누름 순서이다. 변환전 기호의 입력과 변환 신호의 입력을 이중으로 표현함으로써, 텍스트 입력에 필요한 키누름 수를 줄이고, 이에 의해 종래와 같은 전용 변환 키누름을 없애는 것이 트리거 순차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종래의 변환전 기호를 보조기호로 확장하여 적절한 트리거 순차를 만들 수 있다. 이상적인 트리거 순차란 입력되었을 경우에만 변환을 일으키는 키누름 순차이다. 즉, 변환을 일으키는 트리거 순차를 이상적으로 충분히 입력하고, 또한 변환은 트리거 순차를 입력하는데 필요한 결과이어야 한다.
트리거 순차와 변환 사이의 동질성을 유지하기 위해, 트리거 순차는 언어로 표현될 때, 가능하면 변환의 본질을 반영하도록 신중히 설계되어야 한다. 언어에 따라 트리거 순차가 복잡할 수도 있다. 또한, 트리거 순차가 잘 정의되도록 변환전 기호와 변환후 기호 집합을 설계해야 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중국어, 일본어, 한국어의 트리거 순차의 구조를 자세히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이들 구조와 일반적 원리를 이해하면, 당업자라면 다른 언어의 트리거 순차도 용이하게 구성할 수 있을 것이다.
구체적으로, 트리거 순차는 변환전 기호의 디스플레이를 일으키는 첫번째 키누름과, 기호-입력-마침 기호를 생성함과 동시에 최종 변환전 기호 입력의 트리거 변환을 일으키는 두번째 키누름과 같은 2회 이상의 키누름 순차로 이루어진다.
트리거 순차는 전화 키패드와 같은 소형 자판의 텍스트-입력 시스템 설계에 특히 유용하다. 이런 소형 자판에서는, 각 기호 입력에 필요한 키누름 수를 늘려 키의 개수가 적은 것을 보완한다. 사용자가 다음에 입력할 기호를 예측하여 키누름 수를 줄이려는 소프트웨어가 다양하게 개발되었다. 본 발명에서는 키누름을 줄이는 다른 방법을 소개한다. 오로지 변환만을 목적으로 하는 키누름은 줄이거나 없앤다. 또한, 변환을 위한 키누름을 줄이되 예측 소프트웨어 시스템으로 키누름을 더 줄이면서 많은 언어에 적용할 수 있는 설계 전략을 채택하였다. 특히, 본 발명은 예측 소프트웨어와 함께 사용하는 경우, 변환할 언어로 텍스트를 입력하는데 필요한 키누름 수를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다.
이하에서 자세히 설명하겠지만, 중국어의 경우, 성조기호를 디스플레이 하는 키누름과, 성조기호를 입력하는 기호-입력-마침 기호를 생성하는 키누름으로 이루어지는 트리거 순차가 바람직하다.
마찬가지로 이하에서 자세히 설명하겠지만, 일본어의 경우, 2 계층으로 트리거 순차를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계층의 트리거 순차에서는, 첫번째 키누름으로 c히라가나를 디스플레이 하고, 두번째 키누름으로 디스플레이 된 c히라가나에 적용되는 기호-입력-마침 기호를 생성하는데, 이 때 두번째 키누름은 c히라가나가 할당되지 않은 키에 대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2 계층의 트리거 순차에서는, 첫번째 키누름에 의해 c히라가나를 디스플레이 하고, 두번째 키누름에 의해 디스플레이 된 c히라가나에 적용되면서 비변환 기호를 디스플레이 하는 기호-입력-마침 기호가 생성되며, 세번째 키누름으로는 디스플레이 된 비변환 기호가 입력되는 특징을 지닌다.
2개의 기호를 제2 계층의 트리거 순차의 두번째 키누름으로 입력하되 서로 다른 키누름으로 입력하는 계층과 같은 다른 계층을 정의한다. 또, 이들 트리거 순차 계층은 변환전 기호로서 c히라가나의 관점에서 정의된다. c로마자 등의 다른 변환전 기호를 선택해도, 트리거 순차를 유사하게 정의할 수 있다.
이하에서 자세히 설명하겠지만, 한국어의 경우, 2 계층으로 트리거 순차를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계층의 트리거 순차에서는, 첫번째 키누름으로 c자모를 디스플레이 하고, 두번째 키누름으로 디스플레이 된 c자모에 적용되는 기호-입력-마침 기호를 생성하는데, 이때 두번째 키누름은 c자모가 할당되지 않은 키에 대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2 계층의 트리거 순차에서는 첫번째 키누름에 의해 c자모를 디스플레이 하고, 두번째 키누름에 의해 디스플레이 된 c자모에 적용되면서 비변환 기호를 디스플레이 하는 기호-입력-마침 기호가 생성되며, 세번째 키누름으로는 디스플레이 된 비변환 기호가 입력되는 특징을 지닌다.
2개의 기호를 제2 계층의 트리거 순차의 두번째 키누름으로 입력하되 서로 다른 키누름으로 입력하는 계층과 같은 다른 계층을 정의한다. 또, 이들 트리거 순차 계층은 변환전 기호로서 c자모의 관점에서 정의된다. c로마자 등의 다른 변환전 기호를 선택해도, 트리거 순차를 유사하게 정의할 수 있다.
모호 자판: 모호 자판이란 개별의 프린트 가능 기호들을 하나의 키에 할당하되 시프트(shift)키와 같은 하드웨어 수단 이외에 동일한 키에 할당된 여러 프린트 가능 기호들을 구분하도록 설계된 자판이다.
예측 텍스트 시스템: 모호 자판의 일정한 키에 할당된 기호 집합 중 키누름에 응답해 입력되거나 디스플레이 될 요소를 문맥의 기능으로 결정하는 소프트웨어.
멀티탭: 멀티탭은 하나의 키에 있는 여러 개의 기호를 해당 키를 여러번 눌러서 구분하면서 또한 이들 기호가 항상 키를 누르는 순서대로 나타나는 모호 키패드용의 종래의 텍스트-입력 방식이다.
Next키: Next키를 누르면 여러 기호가 할당된 키 누름의 결과로서 디스플레이 된 기호의 진행이 이루어진다. 멀티탭 방식에서는 디스플레이 된 기호가 첫번째 기호를 디스플레이 한 키의 반복적인 키누름에 의해 진행되지만, Next키 방식에서는 디스플레이를 진행하는 키가 진행할 기호를 디스플레이 한 키와 구분한다는 점에서 Next키 진행은 멀티탭 진행과 다르다. 어떤 Next키 방식에서는 Next키가 여러 개이고, 그 각각이 다른 계층의 기호의 디스플레이를 진행한다.
가변 순서 및 고정 순서: 하나의 키에 할당되는 기호가 하나 이상이면, 주어진 시간내에 디스플레이 할 기호를 선택하는 메커니즘이 구비되어야 한다. 시스템에서 기호가 항상 같은 순서로 디스플레이 되고 어떤 기호는 다른 기호가 디스플레이 되기 전에는 디스플레이 되지 않을 경우, 이런 시스템을 고정 순서 시스템이라 한다. 한편, 가변 순서 시스템도 있다. 예측 텍스트 시스템이 가변 순서 시스템인 반면, 표준 멀티탭 시스템은 고정 순서 시스템이다. 하이브리드 가변/고정 순서 시스템도 가능한데, 이 경우 동일한 키에 할당된 기호의 일부는 고정 순서로 제시되고 나머지는 가변 순서로 제시된다.
발명의 목적
본 발명의 목적은 예컨대 종래 시스템에서와 같이 "변환(convert)" 키를 누름으로서 명백한 변환 신호 생성을 위한 사용자의 요구 없이도 변환전 기호의 순차를 변환후 기호의 순차로 자동 변환하는데 있다. 이런 자동 변환은 전체나 일부에 표의문자가 사용되는 중국어, 일본어, 한국어와 같은 언어의 입력에 특히 유용하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변환전 기호나 변환후 기호 또는 양쪽 모두의 입력에 예측 메커니즘을 이용할 때에도 변환전 기호의 순차를 변환후 기호의 순차로 자동 변환하는데 있다. 이런 자동 변환은 텍스트를 전화 키패드와 같은 적은수의 키로 입력하는 경우에 특히 유용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트리거 순차를 정의하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중국어용 트리거 순차를 정의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일본어용 트리거 순차를 정의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한국어용 트리거 순차를 정의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이로하(Iroha) 순서를 기초로 한 자판의 키에 히라가나를 새롭게 할당하는 방법을 도입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가변 순서로 예측되는 성조기호와 트리거 순차를 기초로 한 자동 변환을 하여 사용자에 의한 에러 수정을 용이하게 하는 중국어용 예측 텍스트-입력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트리거 순차로 텍스트 입력의 에러 수정 메커니즘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최소의 컴퓨터 메모리 용량으로 변환을 구현할 수 있는 텍스트 입력용 메커니즘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변환에 아주 효과적인 클라이언트-서버 아키텍처를 허용하여 클라이언트의 메모리와 처리조건을 크게 줄이는데 있다.
이하의 도면과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다른 시스템, 방법, 특징 및 장점들을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들 상세한 설명에 포함되는 모든 추가적인 시스템, 방법, 특징 및 장점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고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해 보호된다.
이하, 첨부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자세히 설명한다.
도 1은 트리거 순차 설계 방법의 개요를 나타내는 플로어차트;
도 2는 트리거 순차를 기초로 한 텍스트-입력 시스템의 개요를 나타내는 플로어차트;
도 3은 중국어용 트리거 순차를 기초로 한 텍스트-입력 시스템의 개요를 나타내는 플로어차트;
도 4는 일본어용 트리거 순차를 기초로 한 텍스트-입력 시스템의 개요를 나타내는 플로어차트;
도 5는 한국어용 트리거 순차를 기초로 한 텍스트-입력 시스템의 개요를 나타내는 플로어차트;
도 6은 텍스트-입력 방법을 요약한 표;
도 7은 종래의 텍스트-입력 방법을 요약한 표;
도 8은 변환전 기호와 변환후 기호를 위한 Next키를 갖춘 전화 키패드;
도 9는 미국특허출원 60/11,665를 우선권 주장하는 미국특허 6219731과 WIPO WO 00/35091에서 소개하는 텍스트-입력 방법을 요약한 표;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해 해결된 단점을 여전히 갖고 있는 텍스트-입력 방법을 요약한 표;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한 텍스트-입력 방법을 요약한 표;
도 1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요약한 표;
도 13은 중국어에 응용되는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비한정적 텍스트 입력예;
도 14는 중국어에 응용되는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두번째 비한정적 텍스트 입력예;
도 15는 바람직한 실시예에 사용하는 중국어 문장의 비한정적 입력예;
도 16은 중국어에 응용되는 다른 실시예에 의한 비한정적 텍스트 입력예;
도 17은 전화 키패드의 키에 히라가나의 표준 할당을 나타내는 표;
도 18은 바람직한 실시예에 사용하는 히라가나, c히라가나, 일본한자(Kanji)의 입력을 위해 라벨 부착된 전화 키패드;
도 19는 전화 키패드의 키에 히라가나를 표준 할당함에 의한 바람직한 실시에에 사용하는 일본어의 비한정적 입력예;
도 20은 이로하(Iroha) 순서에 따라 전화 키패드의 키에 히라가나의 할당을 나타내는 표;
도 21은 이로하(Iroha) 할당에 의해 라벨 부착된 비한정적 전화 키패드 예;
도 22는 이로하(Iroha) 할당에 의해 라벨 부착된 두번째 비한정적 전화 키패드 예;
도 23은 이로하(Iroha), c히라가나 및 히라가나 양쪽의 Next 키를 갖는 키패드를 이용한 바람직한 실시에에 사용하는 일본어의 비한정적 입력예;
도 24는 바람직한 실시에에 사용하는 한국어 입력을 위한 키패드;
도 25는 바람직한 실시에에 사용하는 한국어의 비한정적 입력예;
도 26은 클라이언트-서버 변환 개요를 나타내는 플로어차트.
트리거 순차 방법
트리거 순차란 최소한 사용자가 원할 때만 변환을 일으키는 트리거 속성을 갖는 키누름 순서이다. 더 바람직게는 다음과 같다:
1) 원어민이라면 트리거 순차가 입력될 때 변환이 일어남을 알 수 있다.
2) 변환전 기호나 변환후 기호에 대해 예측 메커니즘을 이용해 사용자가 입력하고자 하는 기호를 예측할 때에도 트리거를 실행할 수 있다.
3) 변환전 기호를 에러 없이 입력할 경우, 트리거 순차가 입력되면 변환후 기호를 정의하는데 입력되는 아직 변환되지 않은 변환전 기호가 항상 충분하다. 트리거 순차의 입력으로 이루어진 변환에 의해 아직 변환되지 않은 충분한 변환전 기호들이 변환후 기호들로 변환되고, 더 많은 변환전 기호들이 역시 더 많은 변환후 기호로 변환될 수 있다.
4) 간단한 알고리즘을 구비한 컴퓨터로 트리거 순차를 확인할 수 있다.
5) 텍스트 입력시의 사소한 에러가 출력 텍스트의 대형 에러로 바뀌지 않는다는 점에서 트리거는 강력하다.
6) 최소 메모리 저장 비용에 의한 예측 메커니즘으로 트리거 순차를 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도 1에서 설명하는 체계적인 방법으로 트리거 순차를 찾을 수 있다. 이 방법은 변환전 및 변환후 기호의 집합을 선택하는 단계 100으로 이루어진다. 중국어의 종래의 일반적 변환전 기호로는 병음(성조기호가 있는 로마자) 또는 성조기호가 있는 주음기호(Bopomofo)가 있다. 이들 기호는 당업자에게 잘 알려진 바와 같이 변환의 목적으로만 사용되기 때문에 중국 원어민들이라면 직관적으로 변환전 기호인 것을 알 수 있다. 관습적으로 이들 기호는 최종 출력 텍스트에서는 나타나지 않고 오로지 텍스트 변환에만 사용된다. 중국어의 일반적 변환후 기호로는 한자가 있다.
일본어의 경우, 종래의 일반적 변환전 기호로 로마자나 히라가나가 있다. 이들 변환전 기호 하나만을 사용하면 고품질 트리거 순차를 얻기가 어렵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비변환 기호로 히라가나를 사용하고 나머지(로마자)를 변환전 기호로 사용하면, 강력하고 유용한 트리거 순차를 간단히 만들 수 있다. 일본어에 대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이들 기호를 더 크게 확대할 수 있다. 일본어의 일반적 변환후 기호로는 일본한자(Kanji)가 있다.
한국어의 경우, 종래의 일반적 변환전 기호로 로마자 또는 자모(Jamo)가 있다. 일반적 변환후 기호는 한자이다. 한국어의 경우, 자모(Jamo)는 대응하는 cJamo와 함께 확장되는데, 이에 대해서는 뒤에 자세히 설명한다. 다음 단계인 101에서는, 텍스트-입력 시스템의 특징을 정의하고 규정한다. 텍스트 입력에 필요한 키누 름 순차는 텍스트-입력 시스템의 특징에 좌우된다. 정의해야 할 특징으로는 키의 개수, 키에 대한 기호의 할당, 시스템이 예측적인지의 여부, 예측-텍스트 시스템의 경우에 언어 데이타베이스, 기호를 키에 모호하게 할당할 경우에 기호를 진행시키는 방법 등이 있다. 이들 특징 모두 어떤 언어에서의 텍스트 순차에 해당하는 키누름 순차에 영향을 미친다. 다음 단계인 102 에서는, 입력 가능한 텍스트에 대응하는 키누름 순차를 결정한다. 이 순차는 단계 100의 언어를 표현하도록 선택된 변환전/변환후 기호와 단계 101에서 선택된 텍스트-입력 방법에 따라 결정된다. 키누름 순차는 언어에 대한 형식적 설명, 언어를 표현하는데 사용된 기호 및 텍스트-입력 방법으로부터 연역적으로 결정될 수 있거나, 또는 언어에 대한 텍스트 자료로부터 귀납적으로 결정될 수 있다. 연역적 접근의 경우, 명확한 언어 입력 모델이 개발되었고, 이 모델로부터 필요한 트리거 순차가 연역된다. 귀납적 접근의 경우, 텍스트 본문을 수집하고 이에 대응하는 키누름 순차들을 분석한다. 목표는 키누름 순차를 입력했을 때 텍스트가 출력으로 복구되도록 입출력 맵을 작성하는데 있다. 이런 방법은 당 분야에서 공지되어 있고, 그 예로는 유전자 알고리즘, 유전자 프로그래밍, 시뮬레이티드 어닐링(simulated annealing), 인공신경망 등의 통계적 기법이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당업자라면 알 수 있겠지만, 훈련 데이터, 언어에서 유도된 키누름 순차, 후보 트리거 순차를 취하는 평가함수를 정의함으로서 통계적 기법이 적용되고, 이 기법에 의하면 사용자가 원하는대로 변환을 할 수 있는 트리거 순차를 얻게 된다. 최선의 후보 솔루션을 변형하여 새로운 후보 솔루션을 형성하는데, 새로운 솔루션은 동일한 방식으로 반복적으로 얻어진다. 일반적으로 이 과정을 계속 반복하여, 퀄리티가 계속 높아지는 트리거 순차를 얻게 된다. 이들 키누름 순차들이 효과적으로 결정되고 기술되면, 단계 103에서, 단계 102의 키누름 순차들에 의해 생성된 각각의 변환전 기호에 대한 키누름 순차를 구하되, 키누름을 한번 하면 변환전 기호가 표시되고, 키누름을 한번 더하면 기호-입력-마침 기호가 생성되지만 첫번째 키누름과 동일한 변환후 기호로 변환하고자 하는 변환전 기호는 생성되지 않는다.
양쪽 기준을 모두 충족하는 순차를 찾을 수 없을 경우, 단계 104에서 단계 100으로 되돌아가 기호 집합와 텍스트-입력 방법의 특성들을 필요에 따라 재정의한다. 단계 103에서 설명한 기준을 만족하는 순차를 찾으면, 이 키누름 순차를 언어의 트리거 순차로 채택한다.
이제 도 2의 기본 연산방법으로 가서 본 발명에 따른 트리거 순차를 기초로 텍스트-입력 시스템의 기본 연산에 대해 살펴본다. 트리거 순차에 기초한 자연어 텍스트-입력 시스템은 1) 복수의 키, 2) 복수의 변환전 기호, 3) 복수의 변환후 기호, 4) 복수의 기호-입력-마침 기호, 5) 기호를 표시할 디스플레이, 6) 키누름에 응답하여 상기 변환전 기호들을 디스플레이 할 제1 메커니즘, 및 7) 트리거 순차를 인식함으로써 제1 메커니즘에 의해 디스플레이 된 복수의 변환전 기호를 복수의 변환후 기호로 변환시키는 제2 메커니즘으로 구성되고, 상기 트리거 순차는 키누름 순차를 포함하고, 상기 키누름 순차는 2회 이상의 키누름을 포함하되, 첫번째 키누름에 의해서는 제1 메커니즘이 변환전 기호를 디스플레이 하고, 두번째 키누름에 의해서는 기호-입력-마침 기호가 생성되며, 상기 생성된 기호-입력-마침 기호는 트 리거 순차의 첫번째 키누름에 응답해 제1 메커니즘에 의해 디스플레이 된 변환전 기호의 하나 이상에 적용되고, 이것에 의해 전용 변환키의 키누름 없이 복수의 변환전 기호가 복수의 변환후 기호로 변환된다.
따라서, 트리거 순차를 기초로 한 텍스트 입력방법은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고 메커니즘에 의해 수신되는 키누름 순차(200)를 받는다. 입력 키누름 순차내의 트리거 순차를 인식하는 메커니즘(201)은 입력 키누름 순차를 점검하여 트리거 순차가 수신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수신되었다면, 변환메커니즘(202)이 시작된다. 변환메커니즘은 발명의 다른 관점에 따라 가능하거나 희망하는 선택된 변환전 기호들을 변환후 기호로 변환한다. 모든 변환이 가능하다면, 이 변환은 트리거 순차의 결과로 디스플레이되는 임의의 변환전 기호들의 처리과정을 포함한다.
이하에서 다시 상세히 설명하겠지만, 간단하면서도 효과적인 중국어 모델에 대해 아주 간단한 트리거 순차를 정의할 수 있다. 이 경우의 트리거 순차는 성조기호(tone mark)를 디스플레이 하는 최종 키누름과, 그 다음 기호-입력-마침 기호(다른 기호 사이에서 같은 키누름으로 생성되는)를 생성하는 키누름으로 구성된다. 이런 중국어 텍스트-입력 시스템의 기본 동작의 개요에 대해서는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단계 300에서,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키누름 순차는 텍스트-입력 시스템에 의해 수신된다. 이 순차는 단계 301, 302에서 트리거 순차가 존재하는지 조사된다. 이 경우의 트리거 순차는 (단계 301에서 메커니즘에 의해 점검된) 성조기호를 디스플레이 하는 기능을 하는 키누름, 및 (단계 302에서 메커니즘에 의해 점검된) 성조기호에 적용할 기호-입력-마침 기호를 생성하는 키누름으로 구성된다. 만일 메커니 즘이 이들 각각의 상태가 유지되는 것을 확인하면, 변환메커니즘이 시작되고, 변환메커니즘은 단계 303에서 변환전 기호를 변환후 기호로 변환한다.
이하에서 다시 상세히 설명하겠지만, 간단하면서도 효과적인 일본어 모델에 대해 간단한 트리거 순차를 정의할 수 있다. 이 경우 다른 2 계층의 트리거 순차가 있다. 첫번째 계층의 트리거 순차는 2개 이상의 키누름 순차 범위를 포함하고 c히라가나를 디스플레이 하는 키누름과, 이어서 기호-입력-마침 기호를 생성하지만 c히라가나 기호는 생성할 수 없는 키누름으로 구성된다. 일본어의 트리거 순차에서는 변환을 하지 않고도 일련의 c히라가나를 입력할 수 있다. 이렇게 c히라가나를 변환 없이 입력할 수 있는 것은, c히라가나와 관련된 키누름이 첫번째 계층의 트리거 순차에 의한 변환을 일으키지 않기 때문이다. 이것은 중국어와 비교된다. 중국어에서는, 성조기호들이 중국어 모델에 맞게 생성된 순차대로 되지 않아, 이런 제한이 필요없다. 반면에, 일본어에서는 c히라가나의 순차를 연속으로 입력할 때 변환이 필요하고, c히라가나가 아닌 문자를 입력하면 c히라가나의 순차가 종료된다. 일본어의 두번째 계층의 트리거 순차는 이와 같은 경우를 다룬다. 두번째 계층의 트리거 순차는 2개 이상의 키누름 순차 범위를 포함하고, c히라가나 기호를 입력하는 키누름과 이어서 비변환 기호를 입력하는 키누름으로 구성된다. 요컨대, 첫번째 계층의 트리거 순차는 구두 기호, 마침 기호 등 c히라가나의 입력을 분명히 종료함을 표시하는 기호를 입력할 경우 변환을 일으킨다. 두번째 계층의 순차에서는, 히라가나 기호와 같은 다른 기호들의 순차의 입력과 함께 c히라가나 순차의 연속 입력이 가능하다. 실제로는 일반적인 일본어 문장에 대해 두번째 계층의 트리거 순차 가 첫번째 것보다 더 자주 실시된다.
한번의 키누름의 실시로 a) 앞서 표시된 c히라가나의 종료, b) 비변환 기호의 디스플레이, c) 비변환 기호의 입력 종료가 가능한 경우도 있다. 이런 경우, 두번째 계층의 트리거 순차의 제2, 제3 키누름은 하나의 키를 동일한 물리력으로 대응하는 것을 말한다. 일반적인 경우는 예측 소프트웨어가 이에 관련하는 바, 두번째 계층의 트리거 순차의 제2, 제3 키누름들이 각각 별개의 물리적인 키누름에 대응한다. 또한 정교한 시스템에서는 c히라가나, 히라가나, c로마자, 로마자, 가타카나, 구두기호 등과 같은 여러 종류의 기호의 입력도 가능하다. 이 경우, 더 많은 트리거 순차의 계층들이 규정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이런 개념의 확장에 대해서는 본 명세서를 읽고 이해한 당업자라면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마찬가지로, 중국어의 텍스트-입력 시스템도 여러 가지 로마자 기반의 기호들을 포함하는바, 일례로 로마자를 기초로 하는 언어의 입력과 로마자 기반의 다른 기호를 입력하여 한자로 변환할 수 있다.
도 4는 본 시스템의 연산 개요도이다. 단계 400에서 트리거 순차의 존재를 검사하기 위해 키누름 순차가 수신된다. 트리거 순차를 인식할 메커니즘은 2가지 계층 중 하나의 순차를 검사한다. 첫번째 계층의 경우, 단계 401에서 c히라가나를 디스플레이 할 키누름을 위해 입력 순차를 검사한다. 이 순차는, 단계 401에서 디스플레이 된 c히라가나에 적용할 기호-입력-마침 기호를 생성하면서 c히라가나가 전혀 할당되지 않은 키에 대한 후속 키누름을 위해 단계 402에서 더 검사된다. 이런 한쌍의 키누름이 순차에서 발견되면, 단계 403에서 변환메커니즘이 시작된다. 첫번째 계층의 트리거 순차가 발견되지 않으면, 두번째 계층의 트리거 순차를 위한 입력 순차를 또한 검사할 수 있다. 이 검사에서, 단계 404에서 c히라가나를 입력하는 키누름, 단계 405에서 비-c히라가나를 디스플레이 하는 키누름, 단계 406에서 비-c히라가나 입력을 중단하는 기호-입력-마침 기호를 생성하는 키누름을 찾을 것이다. 이런 3가지 키누름이 발견되면, 변환메커니즘이 단계 403에서 시작된다.
이하에서 다시 상세히 설명하겠지만, 간단하면서도 효과적인 한국어 모델에 대한 간단한 트리거 순차를 정의할 수 있다. 한국어 모델은 상술한 바와 같이 중국어나 일본어 모델을 기반으로 한다. 일본어 기반의 한국어 텍스트 입력 모델이 더 바람직한데, 그 이유는 a) 모호한자의 한국어 입력이 흔히 성조기호 없이 이루어지고, b) 한자 발음을 나타내는 일반적 한국어 기호인 자모가 한글 입력에도 사용되기 때문인데, 이는 일본어의 히라가나가 일본한자 입력에 사용됨과 동시에 출력텍스트를 히라가나로 표현하는 이중의 역할을 하는 것과 같다. 한글 자모의 이중 역할을 구분하기 위해, 일본어의 c히라가나의 구조와 마찬가지로 관련 c자모를 정의한다. c자모는 한자로의 변환을 위해 입력되고, 자모는 한글을 만들 때 입력된다. 당업자라면 로마자/c로마자 쌍이 일본어에 사용되는 마찬가지의 방법으로 한국어에도 로마자/c로마자 쌍을 사용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한글 발음구조의 모든 이중 표현이 본 발명에 따른 한글 텍스트 입력의 기본이 된다.
일본어와 마찬가지로, 한글의 경우에도 다른 2 계층의 트리거 순차가 있다. 첫번째 트리거 순차는 2가지 이상의 키누름 순차 범위를 포함하고, c자모를 표시하는 키누름, 이어서 기호-입력-마침 기호를 생성하지만 c자모 기호는 생성할 수 없 는 키누름으로 구성된다.
두번째 트리거 순차는 3개 이상의 키누름 순차를 포함하고, c자모 기호를 입력하는 키누름, 비변환 기호를 추가로 표시할 키누름, 이어서 기호-입력-마침 기호를 생성하는 키누름으로 구성된다. 도 5는 본 시스템의 연산 개요도이다. 단계 500에서 트리거 순차의 존재를 검사하기 위해 키누름 순차가 수신된다. 트리거 순차를 인식할 메커니즘은 2가지 계층중 하나의 순차를 검사한다. 첫번째 계층의 경우, 단계 501에서 c자모를 디스플레이 할 키누름을 위해 입력 순차를 검사한다. 이 순차는, 기호-입력-마침 기호를 생성하면서 c자모가 전혀 할당되지 않은 키에 대한 후속 키누름을 위해 단계 502에서 더 검사된다. 이런 한쌍의 키누름이 주어진 순차에서 발견되면, 단계 503에서 변환메커니즘이 시작된다. 첫번째 계층의 트리거 순차가 발견되지 않으면, 두번째 계층의 트리거 순차를 위한 입력순차를 또한 검사할 수 있다. 이 검사에서, 단계 504에서 c자모를 입력하는 키누름, 단계 505에서 비-c자모를 디스플레이 하는 키누름, 단계 506에서 기호-입력-마침 기호를 생성하는 키누름을 찾을 것이다. 이런 3가지 키누름이 발견되면, 변환메커니즘이 단계 503에서 시작된다.
도 1-5에서 설명된 메커니즘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펌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도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메모리에 저장되어 적절한 명령체계로 실행되는 소프트웨어나 펌웨어로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드웨어의 경우, 당분야에서 잘 알려진 기술로 본 발명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하는 플로우차트는 본 발명에서 구현 가능한 아키텍처, 기능 및 연산을 보여준다. 이와 관련 하여, 각각의 블록은 모듈, 세그먼트 또는 코드의 일부를 표시하고, 이들은 구체적인 논리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실행어를 포함한다. 또, 블록에 표시된 기능을 다른 순서로, 실질적으로 동시에 또는 병행하여 다르게 구현하는 것도 가능하다.
설명의 편의상 0가 연산을 표시하는 플로우차트 논리노드는 생략했다.
텍스트-입력시스템 계층
도 6은 본 발명을 포함한 텍스트-입력 시스템의 계층을 설명한다. 이 도면과 이후의 도면의 목적은 본 발명과 종래의 시스템의 경계를 명확히 하기 위해서이다. 도 6의 표에는 연역적으로 다른 64가지 텍스트-입력 시스템이 정의되어 있는데, 이는 가능한 모든 옵션의 조합을 고려했을 때이다. 이들 옵션 중에서 특히 본 발명의 새로운 특징을 교시하기 위해, 표의 전체 텍스트-입력 시스템을 다음과 같이 나눌 수 있다:
1) 당업자에게 자명한 시스템,
2) GUTOWITZ(미국특허 6219731)나 Avios 기사의 관점에서 당업자에게 자명한 시스템,
3) 단점을 갖는 새로운 시스템,
4) 단점을 거의 없앤 새로운 시스템,
표에서 첫째 열은 텍스트-입력 시스템의 설계 종류를, 2-3열은 설계 종류를 구현하기 위한 2가지 주요 옵션을 제시한다. 이런 정의와 이하의 비한정적 예로부 터, 당업자라면 표의 내용을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설계에 있어서 다음을 고려한다: 1) 변환전: 변환전 기호가 가변 순서나 고정 순서로 제시되는지 여부. 2) 변환전 진행: 동일한 키상의 복수의 변환전 기호의 표시가 전용 Next 키를 사용하거나 멀티탭을 이용해 스크롤되는지 여부. 3) 성조기호: 성조기호가 다른 변환전 기호에 가변 순서나 고정 순서로 나타나는지 여부. 즉, 이하에서 좀더 자세히 설명하겠지만, 키에 할당된 성조기호는 항상 모든 변환전 기호들이 스크롤 순서로 표시된 뒤에 디스플레이 될 수 있는데, 다른 변환전 기호들이 가변 순서로 제시된 경우에도 그러하다. 4) 변환: 트리거 순차를 입력할 때 또는 (변환전 기호로 성조기호를 사용하는 시스템용으로) 성조기호를 입력할 때 변환이 일어나는지 여부. 대부분의 종래 시스템은 전용 변환키를 누를 때만 변환을 행한다. 5) 변환후: 변환전 기호가 가변 순서나 고정 순서로 제시되는지 여부와 관계없이 변환후 기호가 가변 순서나 고정 순서로 제시되는지 여부. 6) 변환후 진행: 변환전 기호에 사용되는 진행방법과는 관계없이 변환후 기호가 Next 키나 멀티탭을 사용해 스크롤되는지 여부. 변환전이나 변환후 기호 모두, Next 키는 스크롤 휠, 터치패드 등의 다양한 하드웨어에서 구현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멀티탭 방식도 다양한 종류의 입력 메커니즘을 여러번 작동시켜 구현될 수 있다. 7) 예측 방법: 기호기반이나 단어기반. 예측적 텍스트 입력시스템에는 크게 2가지 계층이 있다. 어느 경우에도, 어느 기호를 선택해 디스플레이 할지는 문맥을 기준으로 한다. 단어기반 시스템은 대개 단어사전에 의존하여 디스플레이 할 단어나 기호를 결정하지만, 기호기반 시스템은 그렇지 않다. 본 명세서에서는 기호기반 방식을 취하여 대 부분의 비한정적 예를 제시했는데, 이는 설명의 편의상 그런 것일 뿐이고, 본 발명이 기호기반 시스템에 한정된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트리거 순차는 기호기반이나 단어기반은 물론, 어떤 혼합 시스템에도 잘 동작한다.
도 7은 본 발명에 가까운 종래 기술이 다음과 같은 중국어 텍스트-입력 시스템의 조합임을 나타낸다: 1) 변환전: 고정 순서, 2) 변환전 진행: 멀티탭, 3) 성조기호; 고정 순서, 4) 변환: 성조기호 입력시, 6) 변환후: 고정 순서, 6) 변환후 진행: 멀티탭, 7) 예측 방법: 기호기반이나 단어기반. 이들 옵션은 특히 각 문자와 각 성조기호를 각각 다른 키에 할당하여 한번의 키누름으로 또는 시프트키와 같은 보조키와 협력하여 한번의 키누름으로 확실히 입력할 수 있는 전체 자판을 설명한다. 자판이 명확하므로, 진행방법이 용이하므로 복수의 탭들이 필요치 않은 멀티탭 입력이다. 성조기호를 (명확히) 입력하면, 변환이 일어나고 변환후 기호들이 고정 순서로 제시된다.
전화 키패드에 비발명 종래기술의 적용.
도 8은 로마자와 성조기호를 중국어의 변환전 기호로 입력하기 위한 전화 키패드(80)를 보여준다. 각각의 키(801~805)를 사용해 성조기호 1-5를 입력하고, 키(802-809)를 사용해 로마자를 입력한다.
전화 키패드에 중국어 텍스트 입력을 위해 종래의 기술을 이용하고자 하는 당업자라면 도 7에서 도시한 종래의 텍스트-입력 시스템의 특징들을 도 8에 도시한 키패드에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이 시스템은 성조기호가 문자 다음의 고정 순서 끝에 위치할 경우의 텍스트 입력을 위한 것이다. 이 시스템에서, 성조기호가 표시됨과 동시에 변환이 일어나고, 성조기호 다음의 문자가 의도될 수 있다. 의도된 문자는 이미 변환이 일어났기 때문에 입력될 수 없다. 이런 제한은, 성조기호를 입력할 키누름 수가 항상 많음을 의미한다. 키(801)에 할당된 성조기호 1을 제외하고, 각 성조기호를 입력하는데 4회 이상의 키누름이 필요하다. Gutowitz(미국특허출원 60/111,665, PCT/US99/29343, WIPO WO 00/35091 및 관련 특허서류)에 의하면, 적절한 문자/성조기호 키에 대한 키누름과 동시에 시프트키를 적용하여 성조기호 등을 입력하도록 시프트키를 부가하면 이런 어려움을 극복할 수 있다.
이 시스템의 단점은 에러수정이 어렵다는 것이다. 문자를 입력하고자 하는 사용자는 너무 많은 문자키를 누르고, 성조기호가 입력되고 변환이 일어나는 경우, 사용자는 표시된 변환후 기호를 삭제하고 다시 시작해야만 한다.
Gutowitz(미국특허 6219731)의 관점에서, 변환전 또는 변환후 기호의 한쪽 또는 양쪽에 대해 멀티탭을 Next키로 대체하는 것이 바람직함을 당업자라면 명백히 알 수 있다. 그러나, 이렇게 해도 이 시스템의 전술한 단점을 극복하지는 못한다.
또한, 상기 특허의 관점에서, 변환전 또는 변환후 기호의 한쪽 또는 양쪽에 가변 순서를 부여하기 위해 예측시스템을 사용하면 되는 것을 당업자라면 명백히 알 수 있다. 성조기호를 예측할 수 없는 한 그리고 변환전 기호의 순서 끝에 성조기호가 있는 한, 완벽한 시스템으로 텍스트를 입력할 수 있다. 그럼에도 상기 단점은 여전히 남아있다.
도 9에 요약하여 나타낸 작동시스템의 다음의 계층은 종래 기술의 관점에서 는 명백하다: 변환전: 가변 순서 또는 고정 순서(순서 끝에는 고정된 성조기호가 있음). 변환전 진행: 멀티탭 또는 Next키. 성조기호: 고정 순서. 변환: 성조기호에서. 변환후: 가변 순서 또는 고정 순서. 변환후 진행: 멀티탭 또는 Next키. 예측 방법: 기호기반 또는 단어기반.
도 10에 요약하여 나타낸 작동시스템의 다음의 계층은 사용하기 어려워서 실제로 작동되지는 않는다: 변환전: 가변 순서 또는 고정 순서. 변환전 진행: 멀티탭 또는 Next키. 성조기호: 가변 순서. 변환: 성조기호에서. 변환후: 가변 순서 또는 고정 순서. 변환후 진행: 멀티탭 또는 Next키. 예측 방법: 기호기반 또는 단어기반.
도 11에서 요약하여 나타낸 것은 본 발명의 시스템의 이하의 계층 구조를 설명하는 것인데, 이 모든 것이 당업자에게 명백한 종래 시스템의 단점들을 없앤다: 변환전: 가변 순서 또는 고정 순서. 변환전 진행: 멀티탭 또는 Next키. 성조기호: 가변 순서 또는 고정 순서. 변환: 트리거 순차 입력으로. 변환후: 가변 순서 또는 고정 순서. 변환후 진행: 멀티탭 또는 Next키. 예측 방법: 기호기반 또는 단어기반.
도 12는 다음에서 설명되는 시스템 계층 구조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이다: 변환전: 가변 순서. 변환전 진행: Next키. 성조기호: 가변 순서. 변환: 트리거 순차 입력으로. 변환후: 가변 순서. 변환후 진행: Next키. 예측 방법: 기호기반 또는 단어기반.
중국어의 바람직한 실시예
중국어 텍스트 입력에 있어 본 발명을 적용하는 것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트리거 순차 방법을 중국어에 적용하려면, 도 1에서 도시한 단계들을 따른다. 당업자라면 비한정적 예에서 성조기호가 디스플레이 된 출력에서 숫자에 의해 나타나고, 병음 음절의 발음기호로 또는 어떤 다른 디스플레이 형태로 표시될 수도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도 1에서 설명한 것과 같은 체계적인 방법에 의해 트리거 순차를 찾을 수 있다. 이 방법은 변환전 및 변환후 기호들을 선택하는 단계 100으로 이루어진다. 전술한 바와 같이, 중국어의 일반적인 변환전 기호는 병음(성조기호가 있는 로마자) 또는 성조기호가 있는 주음기호이다. 병음과 주음기호 사이에 간단한 매핑이 있어, 당업자라면 병음과 관련하여 설명한 구성을 주음기호에도 적용할 수 있고, 또는 중국어의 소리를 표시하기에 충분한 기타 다른 계층의 기호들에도 적용할 수 있다. 병음기호는 당업자에게 잘 알려진 바와 같이 변환의 목적으로만 사용되기 때문에 중국 원어민들이라면 직관적으로 변환전 기호인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이 단계에서 변환전 기호로 병음을 선택하는데, 병음은 로마자와 각각의 병음 음절에 붙은 성조기호로 구성된다. 완전한 단계 100을 위해, 변환후 기호로는 한자를 선택한다.
단계 101에서, 텍스트-입력 시스템의 특징을 완전히 정의한다. 그 특징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이미 도 12에 요약되어 있다. 변환전과 변환후 기호 양쪽 모두에 예측 방법과 Next키 진행을 사용하고, 트리거 순차의 입력시 변환을 수행한다. 키의 개수는 12개로 설정하고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들 키에 변환전 기호를 할당한다. 변환전용 Next키는 812이고, 변환후용 Next키는 811이다. 키패드(80)의 모든 키는 Next키 812를 제외하고는 디스플레이 할 변환 전 또는 변환후 기호, 최종 변환전 기호에 적용될 기호-입력-마침 기호를 생성한다. 따라서, 변환용 Next키인 C-Next(811)를 누르면, 디스플레이 될 최종 변환전 기호의 입력이 끝난다. 이렇게 되면 단계 101이 끝난다. 단계 102를 실행하려면, 텍스트-입력 시스템을 사용할 때 생성되는 키누름 순차에 대해 설명해야 한다.
성조기호가 1~5의 숫자로 표시되고 각 병음 음절 끝에 입력되는 것을 고려하여 설명한다. 이것은 종래의 방법에 따른다. 성조기호가 숫자가 아닌 발음기호로 로마자에 표시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런 표현 방식이 텍스트-입력 시스템의 구성을 바꾸지는 않으며, 성조기호를 어떤 방법으로 입력하여도 된다. 키누름 순차의 내용을 간단히 하기 위해, a) 유효 병음의 순차만 사용자가 사용하고 이어서 성조기호가 사용되며, b) 입력된 각각의 유효 병음 음절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한자가 변환후 기호 집합에 있다고 가정한다. 사실상, 유효 병음 순차가 아닌 변환전 순차를 포함하는 것과 같은 가변적 키누름 순차를 취급할 메커니즘을 설정한다. 이 메커니즘은 본 발명의 설명을 위해 언급된 이상적 텍스트-입력 시스템에 필요한 것보다 더 복잡한 트리거 순차를 수반할 수 있다.
단계 103에서는 단계 102의 키누름 순차에 의해 생성된 각각의 변환전 기호를 위해, a) 순차의 키누름들 중 하나가 주어진 변환전 기호를 디스플레이하고, b) 순차의 다른 키누름으로 i) 주어진 변환전 기호에 적용될 기호-입력-마침 기호를 생성하며, ii) 변환후 기호에 대응하는 변환전 기호의 모든 순차에 있어서 주어진 변환전 기호를 뒤따르는 모든 변환전 기호를 추가로 디스플레이 하지 않도록 키누름 순차를 검색한다.
중국어의 비한정적 예를 나타냄에 있어서, 이들 기준을 만족하는 키누름은 성조기호를 디스플레이 하는 최종 키누름과, 그 다음 Next키(812) 이외의 다른 모든 키의 키누름으로 구성되며, Next키(812)만 변환전 기호에 적용되어 기호-입력-마침 기호를 생성하지 않는다. 이런 트리거 순차가 발견되지 않으면, 이 방법은 단계 104에서 단계 100으로 돌아간다.
본 시스템의 연산은 어떤 비한정적 예를 고려함으로써 좀더 완전하게 평가된다. 도 13에서는 병음 음절을 입력하고, 이 음절을 트리거 순차를 이용해 한자로 변환하는 것에 대해 설명한다. 단계 1361에서 키(808)를 누르면, 기호 t가 디스플레이(1381)에 표시된다. 이 문자는 키(808)에 할당된 문자 t, u, v 로부터 문맥에서 사용자가 의도하는 것에 가장 맞는 문자로서 선택된다. t가 사용자가 원한 문자이므로, 단계 1362에서 사용자가 키(804)를 누르면 문자 i가 디스플레이(1382)에 표시된다. 단계 1363에서 사용자가 성조기호 2를 입력하길 원하면 기호 a, b, c와 성조기호 2가 할당된 키(802)를 누른다. a가 키누름에 가장 맞는 문자라는 판단하에 예측시스템은 a를 보여준다. 단계 1364에서 (변환전) Next키(812)를 눌러 성조기호 2를 보여준다. 이런 키누름은 트리거 순차를 완료하지 못하는 것에 유의하여야 한다. 그것은 단지 성조기호를 보여주지만, Next키(812)는 기호-입력-마침 기호 를 생성하지 않는다. 따라서, 성조기호가 디스플레이 되지만 이 때는 입력되지 않는다. 단계 1365에서, 키(803)를 눌러 다음 병음 음절의 첫번째 문자를 입력한다. 이번 키누름에서는 문자 d가 디스플레이되는데, 변환전 기호용 예측시스템이 키(803)에 할당된 기호 d, e, f 와 성조기호 3 중에서 가장 최적의 선택으로 제안하는 것이다. 또한, 단계 1365 에서 키누름에 의해 기호-입력-마침 기호가 생성되고, 이 마침 기호는 단계 1364에서 표시된 성조기호에 적용된다. 따라서, 이 키누름이 트리거 순차를 완성한다. 트리거 순차는 변환을 일으킨다. 변환후 기호용 예측시스템은 디스플레이(1384)에 나타난 병음 ti2에 의한 최적의 것으로서 디스플레이(1385)에 나타난 한자를 선택한다. 병음 음절은 디스플레이(1385)에 선택된 한자로 대체된다. 사용자는, 1) 변환후 기호의 예측시스템이 원하는 한자를 선택했을 경우 다음 병음 음절을 계속 입력하고, 또는 2) C-Next키(811)를 눌러 디스플레이 된 한자를 바꾼다. C-Next키(811)의 사용은 일반적으로는 필요치 않고, 트리거 순차의 인식 및 처리에 있어서 사용자의 편의를 위해 명백한 변환 단계는 제외된다.
두번째 비한정적 예를 보면 변환전/변환후 기호들 양쪽에 예측 메커니즘을 통합하는데 트리거 순차를 어떻게 사용하는지 이해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이 비한정적 예에서는, 양쪽 기호에 대한 예측 메커니즘의 동작과 변환전 및 변환후 Next키를 사용해 사용자가 예측상의 에러를 수정할 수 있는 것을 포함한다. 이 두번째 비한정적 예를 도 14에 나타낸다. 단계 1401-1406에서, 문자간 예측시스템을 이용해 병음 음절 gang1을 입력하는데, 사용자는 필요한 경우, 즉 단계 1404에서 Next키(N)를 누른다. 당업자라면 알겠지만, 본 발명의 기본 특징을 바꾸지 않고 단 어기반 예측시스템, 문자나 단어기반 예측시스템 등을 이용해서도 같은 음절을 생성할 수 있을 것이다. 중요한 것은, 디스플레이(1416)에 gang1이 표시되는 것이고, 이때 음절은 아직 완전히 입력되지 않았고 트리거 순차도 아직 끝나지 않았다. 단계 1407에서 트리거 순차가 끝나고, gang1이 변환후 기호의 예측시스템에 의해 예측된 첫번째 한자로 변환되고 변환전 기호의 예측시스템에 의해 c가 표시된다. 이 경우, 예측된 한자는 사용자가 원하는 한자가 아니다. 따라서 사용자는 단계 1408에서 C-Next(C)를 눌러 다음 한자로 진행한다. 1) 단계 1407에서 키를 누르면, 입력된 최종 변환전 기호에 대응하되 디스플레이(1417)에 나타난 변환후 한자의 입력을 끝내지는 않는 기호-입력-마침 기호(성조기호 1)이 나타난다. 2) C-Next를 누르면 표시된 최종 변환전 기호에 적용되지만 표시된 최종 변환후 기호에는 적용되지 않는 기호-입력-마침 기호가 나타난다. 단계 1408에서 C-Next 키를 누르면, 새로운 한자가 표시되지만, 이 한자는 다른 한자가 더 표시될 때까지 확정되지는 않는다. 즉, 기호-입력-마침 기호는 표시된 최종 변환전 또는 변환후 기호에 적용되지만 입력되지는 않는다.
이들 2가지 비한정적 예를 문장에 적용하고 완전히 이해하기 위해 도 15에서는 완전한 중국어 문장을 위한 키누름 순차(1500, 1530으로 이어짐), 병음 변환전 기호(1510, 1540으로 이어짐), 한자 변환후 기호(1520, 1550으로 이어짐)를 나타낸다. 이해를 돕기 위해, 키누름 순차와 병음 순차는 대응하는 한자에 맞게 간격을 두고 묶어서 그룹으로 표현했다. 병음 그룹은 한자로 변환하기 직전에 디스플레이 되어 보여진다.
Next키가 아닌 멀티탭을 변환전 기호에 사용하고 Next키는 변환후 기호의 진행에 사용하며 변환전과 변환후 기호 양쪽에 고정 순서를 사용할 경우, 본 발명을 어떻게 구현하는지 중국어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이 실시예와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당업자라면 도 11의 옵션들에 따른 본 발명의 개념으로 시스템을 구현하고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멀티탭 진행을 변환전 기호에 사용하는 경우, (변환전) 기호-입력-마침 기호의 할당이 Next키 진행에 사용되는 할당과는 다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멀티탭 시스템에서는 동일한 키를 여러번 누르는 것이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변환전 기호에 해당할 수 있다. 복수의 변환전 기호를 입력하려면, 동일한 키에 대한 복수의 키누름을 기호마다 구분하기 위해 기호-입력-마침 기호를 만드는 메커니즘을 이용해야만 한다. 종래에는, a) 다중 누름 순차에서 사용자가 키를 누르고 난 후 충분히 오래 대기했을 경우, 시스템이 기호-입력-마침 기호를 생성하는 타임아웃, 또는 b) 타임아웃을 끝내고 기호-입력-마침 기호를 생성하는 타임아웃킬(time-out-kill) 키가 있다. 멀티탭 시스템에서는, 사용자가 다른 키의 키누름을 수행할 때 동일한 키에 대한 다중 키누름 순차가 끝난다. 이 경우, 다른 키는 자체의 기능 외에도 (변환전) 기호-입력-마침 기호를 생성한다.
연산에 있어서 실시예의 비한정적 예를 도 16에 나타낸다. 도 16은 도 8의 키패드를 사용해 병음 di4에 해당하는 한자를 입력하는데 필요한 키누름 순차를 보여준다. 문자는 고정된 알파벳 순서로 도 8에서와 같이 제시되고, 필요할 경우 성조기호를 마지막에 사용한다. 따라서, 단계 1621에서 키(803)을 누르면 디스플레이(1641)에 문자 d가 표시되고, 단계 1622-1624와 같이 키(804)를 연속 3회 누르면 문자 g와 h가 나타난 후에 문자 i가 디스플레이 된다. 원하는 성조기호 4가 동일한 키(804)에 표시된 문자 i로서 할당되었기 때문에, 문자 i를 명확히 입력하려면 변환전 기호-입력-마침 기호를 생성해야만 한다. 이것은 단계 1625에서 타임아웃킬 키(T)를 누르면 된다. 디스플레이는 변하지 않아서 단계 1644는 단계 1645와 같지만, 단계 1625에서는 문자 i가 확실히 입력되고, 반면에 단계 1624에서는 문자 i만 표시된다. 단계 1626-1629에서 키(804)를 4회 누르면 성조기호 4가 표시된다. 성조기호 입력을 완료하는데 아무런 기호-입력-마침 기호가 생기지 않았다. 키(804)를 한번 더 누르면, 키(804)의 변환전 기호의 순서가 한번 더 진행되고, 이 경우 단계 1626 상태로 돌아간다. 따라서, 사용자가 의도한 다음 병음 음절이 키(804)의 문자로 시작되었으면, 사용자는 1) 타임아웃킬 키를 누르거나, 2) 타임아웃을 기다리거나, 3) 다음 진행을 위해 C-Next키를 눌러야 한다. 이 3가지 옵션은 기호-입력-마침 기호를 생성하고, 성조기호의 입력이 완료되고, 트리거 순차가 끝나 변환을 일으킨다. 도 16의 경우, 다음번 음절은 키(803)의 문자 d로 시작된다. 따라서, 단계 1630에서 키(803)를 누른다. 이렇게 하면, 트리거 순차가 완료되어 변환이 일어나고, 이는 다음번 병음 음절의 입력을 시작하는데 있어서 유리하다. 디스플레이(1649)에서 순차 di4는 디스플레이(1650)에 나타난 한자로 바뀌고, 문자 d는 디스플레이에 나타난다. 이 한자는 사용자가 원하는 한자가 아니므로, 단계 1631에서 C-Next키(C)(811)를 눌러 원하는 한자(1651)로 한자를 디스플레이 하도록 한다.
일본어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일본어는 대개 3가지 기호인 히라가나, 가타카나, 일본한자로 구분되어 쓰여진다. 로마자나 구두기호 같은 추가 기호도 일본어의 텍스트-입력 시스템에 제공되는 경우가 많다. 대개, 일본한자는 그 발음에 해당하는 히라가나를 입력한 다음 히라가나를 일본한자로 변환하는데, 히라가나에 의해 발음이 표현된 (가능한 한 많은) 한자의 선택을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변환과 비변환 양쪽에 모두 히라가나를 사용할 때, 변환을 원하는 히라가나를 원치않는 히라가나에 관련시키는 짧고 간단한 패턴은 없다. 종래의 일본어 변환시스템에서는 복잡한 소프트웨어를 이용해 변환할 히라가나와 비변환 히라가나의 기능적 역할을 구분하고자 했다. 이들 시스템은 더 뛰어난 컴퓨터 처리 능력과 메모리를 요구하였고 심지어는 최첨단 소프트웨어도 필요했지만, 많은 변환 에러는 그와 같은 소프트웨어로 인해 발생한다. 특히 휴대장치에 적용할 경우, 컴퓨터 처리 능력이 매우 제한적이 되어 복잡한 변환소프트웨어를 사용할 수 없었다. 이런 종래의 변환 시스템의 단점은 본 발명에 의해 상당히 극복된다. 본 발명의 일본어 적용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종래의 시스템에서 히라가나가 2가지 역할을 하는 것을 인지하고 이들 역할을 2가지 기호군으로 구분하는 것이 유리한 추가 단계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변환되지 않을 히라가나를 간단히 히라가나로, 변환될 히라가나를 한자-히라가나 또는 c히라가나로 한다. c히라가나는 일본한자의 발음을 입력하는데 종래부터 사용되던 각 히라가나 기호에 대응하는 기호를 포함한다.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 될 때 c히라가나 기호는 대응하는 히라가나 기호와 구분하는 방법으로 표시된다. 시각적으로는, 컬러, 형상, 정렬, 스타일, 배경, 밑줄 등의 기호를 표시할 폰트의 몇 가지 특징으로 구분한다. 청각적으로는, 히라가나와 c히라가나를 예컨대 음조 차이로 구분할 수 있다. 다른 표시 방식으로 히라가나와 c히라가나 차 이를 구분할 수도 있다. 또한 히라가나와 c히라가나를 입력할 때 이들을 확실히 구분할 보조 디스플레이를 제공해서 시각적으로 구분할 수도 있다. 차선책이지만, 히라가나 기호에 가타카나 기호를 부가하여 변환/비변환 기호 집합을 만들 수도 있다. 다른 실시예로, c히라가나를 주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때는 기호 또는 마크(예를 들면 문자 k)를 보여주고, 히라가나를 주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때는 다른 기호 또는 마크를 보여주는 보조 디스플레이를 사용할 수도 있다. 히라가나와 c히라가나 대신에 로마자와 대응하는 c로마자를 사용할 경우, 로마자와 c로마자 사이의 구분은 다른 방식으로 표시할 수 있다. 일본어는 일반적으로 히라가나와 가타카나의 2가지 기호로 쓰여지고, 이들은 동일한 음성가를 나타내고 시각적으로 구분되고 서로 다른 텍스트-입력 기능을 보여주며, 시각적으로 구분되면서 다른 텍스트-입력 기능을 보여주는 또 다른 기호를 추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는, 기본 히라가나와 이에 대응하는 c히라가나 및 일본한자의 역할에 초점을 맞춘다. 본 발명에서는 발음기호가 달린 히라가나, 가타카나, 로마자 및 구두점과 같은 추가 기호의 입력을 제공한다.
종래의 일본어용 전화 키패드에서는 현대 표준에 따르는 순서로 각각의 키에 히라가나가 할당된다. 이런 배열의 핵심을 도 17에 나타낸다. 여기서, 기본 히라가나(1700)는 키패드 숫자(1701)와 연관되어 표시된다. 각각의 히라가나는 자음(1702)과 모음(1703) 쌍 또는 자음 없이 모음만을 표시한다. 도 17의 키 할당에 편입된 히라가나가 디자인된 키패드를 도 18에 도시한다. 여기서는 각 히라가나 열의 처음 히라가나만을 각각의 키에 표시하였다. 비록 나머지 문자가 확실히 키패드 에 표시되지는 않았지만, 사용자는 나머지 문자가 위치한 곳을 제대로 추측할 수 있을만큼 순서를 충분히 안다고 가정한다. 마찬가지로, 사용자는 이 디자인에서 발음기호를 갖거나 표준 크기의 히라가나보다 작은 추가적인 히라가나를 찾을 수 있다고 본다.
일본어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히라가나가 할당된 도 18의 각각의 키에는 대응하는 c히라가나가 또한 할당된다. 고정 순서 방법에 있어서 히라가나와 c히라가나를, 히라가나와 c히라가나를 규칙적으로 혼합, 모든 히라가나를 모든 c히라가나 바로 앞에 등과 같은 임의의 방식으로 배열할 수 있다. 히라가나와 c히라가나를 구분하기 위한 하드웨어 방법을 미국 가특허출원 60/111,665, PCT/US99/29343, WIPO WO00/35091, PCT/US01/30264, EPO 01983089, 2-2212-US0130264에서 소개한 방법대로 보조 시프트키를 이용해 적용할 수 있는 바, 이 내용을 본 발명에서 참고하였다. 설명의 편의상, 히라가나와 c히라가나가 가변 순서로 제시된다고 가정하고, 이 순서는 예측 방법에 따른 문맥에 의해 좌우된다. 도 18의 키패드에는 Next키 2개, 히라가나/c히라가나-Next 키(1812) 1개, 변환용 Next키(1811) 1개가 있다.
일본어용 트리거 순차
중국어의 경우, 병음을 입력하는 표준 방식에 따라 주어진 변환후 한자에 대응하는 변환전 기호의 순차 끝에 항상 나타나는 한가지 형태의 변환전 기호가 있다. 이러한 사실에서 원하는 변환에 대응하는 작은 트리거 순차 집합을 정의할 수 있다. 성조기호를 입력하자마자, 완벽한 변환전 기호 단위가 입력되어, 원하는 변환후 기호로 변환이 이루어지고, 이러한 이벤트는 간단한 트리거 순차로도 충분히 인식할 수 있다. 일본어의 경우는 보다 더 미묘한데, 대부분의 변환전 c히라가나가 어떤 일본한자에 대응하는 순차의 앞이나 중간 또는 끝에 나타날 수 있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RI를 발음한 c히라가나는 RICHI 순차의 앞에, SHIRIZOKU 순차의 중간에, SATORI 순차의 끝에 나타나고, 이들 3가지 c히라가나 순차 각각은 하나의 일본한자에 대응한다. 이런 현상을 고려하여, 사용자가 입력하고자 하는 변환후 기호를 완벽히 정의하기 위해 충분히 많은 변환전 기호를 입력했음을 명백히 할 때까지 지연되는 트리거 순차가 바람직하다. 사용자가 비변환 기호의 입력에 주의를 돌려 텍스트 입력을 마치거나 또는 c히라가나 순차의 입력에서 관심이 멀어질 때, 방금 입력된 변환전 기호의 연속 순차를 이용해 원하는 변환후 기호를 충분히 정의할 수 있다고 본다. 바람직하게 변환이 시작될 수 있는 것은 이 때이다. 사용자의 관점에서 보면, 이것은 복수의 변환후 기호들을 커버하는 c히라가나의 순차를 변환 이전에 입력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대조적으로, 중국어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하나의 변환후 기호를 정의하는 변환전 기호 순차가 입력된 다음에 변환이 일어난다.
일본어의 경우, 간단한 트리거 순차 집합은 다른 2 계층의 트리거 순차를 포함한다. 제1 계층에서는 첫번째 키누름으로 c히라가나가 표시되고, 두번째 키누름으로 기호-입력-마침 기호가 생성되는데, 이 마침 기호는 표시된 c히라가나에 적용되어 입력된다. 제1 계층의 트리거 순차로 될 키누름 순차의 경우, 두번째 키누름은 c히라가나가 할당되지 않은 키에 대해 이루어져야 한다. 두번째 키누름은 이것 에 의해 입력된 c히라가나에 대응하는 모든 순차를 따르는 c히라가나 순차를 완료하도록 된 것이 아니다. 예를 들어, 첫번째 키누름이 c히라가나 RI를 표시했고 두번째 키누름은 c히라가나를 전혀 표시하지 않으면, 시스템은 RICHI를 의도한 것이 아니고 RI는 SATORI와 같이 일본한자에 대응하는 순차의 마지막 c히라가나이어야 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발음이 아직 완전히 입력되지 않은 한자를 표시할 위험 없이 변환을 안전하게 할 수 있다. 당업자라면 알 수 있겠지만, 종래의 단어-완성 시스템과 같이 완전한 발음을 입력하기 전에 미리 변환을 시도하는 방법도 있다. 그러나, 이런 시스템은 사용하기가 어려워 바람직하지 않다. 경우에 따라서는 두번째 키누름으로 c히라가나를 표시하거나 또는 이미 입력된 다른 c히라가나와 함께 입력하고자 하는 한자에 대응할 수 있는 c히라가나를 더이상 입력할 수 없음을 확인할 수 있는 경우도 있다. 이런 경우의 예로는, c히라가나와 비변환 기호 둘다 할당된 키에 두번째 키누름을 할 경우, c히라가나가 아닌 비변환 기호를 입력하여 완전한 c히라가나 순차를 입력했음을 사용자가 나타낸다. 비변환 기호를 입력하려면, 비변환 기호에 적용하는 기호-입력-마침 기호가 생성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제2 계층의 특징은 첫번째 키누름으로 c히라가나가 표시되고 두번째 키누름으로 표시된 c히라가나에 적용되는 기호-입력-마침 기호가 생성되고, 또한 비변환 기호가 표시되며, 세번째 키누름은 상기 디스플레이 된 비변환 기호를 입력한다.
당업자라면 알 수 있듯이, 두번째 키누름으로 입력된 2개의 기호는 실제로는 별개의 키누름으로 입력된 것이고, 또한 기호들은 트리거 순차의 키누름에 의해 추 가로 입력될 수 있다.
제1 계층의 연산은 상기 중국어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사용된 트리거 순차와 아주 비슷하다고 할 수 있다. 제2 계층의 순차의 사용에 대해서는 도 19의 비한정적 예를 들어 설명하겠다.
도 19를 참조하여 제2 계층의 트리거 순차를 사용해 c히라가나를 한자로 변환하는 일본어 텍스트 일부의 입력에 대해 설명한다. 도 19에서 히라가나는 히라가나 기호 그 자체로 표현되고, 대응하는 c히라가나는 박스 안의 히라가나로 표현된다. 단계 1901에서 시작하여, 키(1801)를 눌러 디스플레이(1921)에 표시된 원하는 히라가나 기호를 입력한다. 단계 1902에서는 사용자가 원치 않은 히라가나가 디스플레이 되고, 단계 1903에서 히라가나/c히라가나 Next키(1812)를 눌러 디스플레이(1923)에 올바른 기호를 표시한다. 키(1806)상의 다음 키누름을 단계 1904와 같이 누르면 디스플레이(1924)에 c히라가나가 표시된다. 그러나 이것은 사용자가 원하고자 한 c히라가나는 아니다. 올바른 c히라가나를 얻으려면 키(1812)를 두번 두드린다. 우선 단계 1905에서는 디스플레이(1925)에 히라가나가 표시되고, 다음 단계 1906에서는 원하는 c히라가나를 디스플레이(1926)에 표시한다. 다음 단계 1907의 키누름으로 디스플레이(1927)에 올바른 c히라가나가 표시된다. 다음 단계 1908의 키누름으로 (비변환) 히라가나의 입력이 시작된다. 디스플레이(1928)의 히라가나는 원하는 히라가나가 아니지만, 단계 1909에서 키(1812)를 한번 누르면 디스플레이(1929)에 올바른 히라가나가 생긴다. 이어서, 단계 1910에서 그 다음 기호를 입력하면, 제2 계층의 트리거 순차가 형성되고, 입력된 c히라가나의 변환이 이루어 진다. 그 결과가 디스플레이(1930)에 표시되고, 여기서는 앞에 표시된 c히라가나가 한자로 교체된다. 트리거 순차를 형성하는 키누름은 a) 단계 1907 또는 단계 1908의 키누름, b) 단계 1908 또는 단계 1909의 키누름, c) 단계 1910의 키누름이다. 이 경우, 트리거 순차의 진행으로 표시된 한자는 원하는 한자가 아니다. 단계 1911 에서 C-Next키(1811)의 키누름으로 디스플레이(1931)에 원하는 한자가 표시된다.
변환전 기호용 복수 Next키
기호 입력 없이 디스플레이 된 기호를 진행시키도록 복수 Next키를 구현하는 방법에 대해 이미 알아보았고, 이때 진행된 기호의 형태는 어느 복수 Next키를 작동시켰는가에 좌우된다. 상기 실시예에서 Next키 하나는 변환전 기호에 할당되고 다른 Next키는 변환후 기호에 할당되었다. 마찬가지로, 변환전 기호와 비변환 기호에 별도의 Next키를 사용할 수 있다. 이 방식은 동일한 키에 변환전 기호와 비변환 기호를 모두 할당한 경우에 유용한데, 이는 중국어, 일본어, 한국어에 마찬가지다. 예를 들어 일본어의 경우, c히라가나와 히라가나가 동일한 키에 할당된다. 또, c히라가나와 히라가나 모두 하나의 Next키를 이용해 양쪽 기호 집합의 진행에 사용되었을 때 동일한 순서로 혼합되어 나타난다. 바람직하게는, 하나의 Next키가 히라가나에 사용되고 별도의 Next키가 c히라가나에 사용될 때, 히라가나 Next키에 대한 키누름은 고정 순서나 가변 순서로 얻어지는 다음 히라가나를 제시하고, c히라가나 Next키에 대한 키누름으로는 고정 순서나 가변 순서의 다음 c히라가나를 제시한다. Next키를 적용할 기호 집합을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도록 기호집합 선택키를 이용 하면 비슷한 효과를 볼 수 있다. 예컨대, 기호집합 선택키와 조합된 하나의 Next키를 사용해 선택 설정에 따라 변환전 기호나 비변환 기호 또는 변환후 기호를 진행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복수 Next키 방식의 장점은, 기호집합 선택키에 추가의 키누름이 필요하지 않다는데 있다. 다음 실시예에서는 변환전 및 비변환 기호에 별도의 Next키를 사용하는 것에 대해 설명한다.
당업자라면 알 수 있겠지만, 각각의 계층의 대표적인 기호를 동일한 키 또는 키들에 할당하는 경우, 히라가나, 가타카나, c히라가나, 구두점, 숫자 등에 각각 다른 Next키를 사용하는 경우에 이 방법을 확장할 수 있다.
이로하(Iroha) 키패드 할당
도 18의 키패드의 장점은 그 배열이 잘 알려져 있고 표준형이라는데 있다. 그러나, 발음기호나 다른 기호를 고려하면 몇몇 키에는 15개 이상의 많은 기호가 있다는 것이 단점이다. 즉, 예측 및 비-위장(non-pretext) 입력 양쪽에 대해 주어진 히라가나 입력에 필요한 키누름 수가 아주 많을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 다른 단점은, Gutowitz(미국 가특허출원 60/111,665, PCT/US99/29343, WIPO WO 00/35091)가 소개한 최적화 방법을 적용할 수 없다는데 있다. 표준 배열을 구분하여 표준 배열의 변화 없이 텍스트 입력에 필요한 키누름 수를 최적으로 줄이는 방법이 상기 특허에 소개되었다. 그러나, 이런 히라가나의 표준 배열을 위해서는 히라가나의 순서와 구분을 표준화 해야 하고 최적화는 거의 또는 전혀 할 수 없다.
이들 단점들은 여기서 소개하는 키패드의 키에 히라가나를 할당하는 새로운 방법에 의해 극복될 수 있다. 이 배열은 잘 알려진 시, 일반적으로 이로하(Iroha)로 명명된 시를 기초로 한다. 이 시는 (발음기호를 포함한 음절과 N 음을 나타내는 기호를 제외한) 모든 히라가나 음절을 정확히 한번만 사용해 쓰여진 것이다. 이 시의 음절은 사전 순서대로 한번 배열되었지만, 현대에는 이 목적으로 사용되지 않는다. 이로하 배열은 소형 자판에서 텍스트를 입력하는데 뛰어난 장점을 가지며, 이런 용도의 특허권이 청구되어 있다. 이로하 배열을 사용한다는 것은, 거의 이로하 순서로 키에 히라가나를 할당함을 의미하고, 모든 기호를 키에 표시한다면, 이 시를 키로부터 읽을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일반적인 키패드 사용에 이어서, 이 순서로 히라가나를 소집합으로 한 것을 키에 붙여 키패드에 기호를 어지럽게 분산시키지 않을 수 있다. 이로하 배열로 텍스트를 입력하는 장점은다음과 같다:
1) 각각의 키에 할당되는 기호의 수를 종래에 비해 균일하게 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 배열의 세부는 표준 배열보다 용이하게 바꿀 수 있다. 특히, 시의 단어 경계를 따라 순서를 구분하여, 사용자가 할당을 기억하려는 큰 노력 없이도 키패드에 기호를 골고루 할당할 수 있다.
2) 같은 이유로, Gutowitz의 방법에 따라 할당을 최적화하여 텍스트 입력에 필요한 키누름 수를 줄일 수 있다.
3) 히라가나를 기억하기 쉽게 할당할 수 있는 키의 개수가 가변적이다. 표준형 배열에서는 키의 개수가 고정되어, 히라가나 기호 한 그룹마다 키 하나씩 배당되지만, 이로하 배열은 융통성이 높고 단어 경계에 따라 기억하기 쉽게 구분되며, 하나 이상의 단어를 각각의 키에 대응시킬 수 있다.
도 20을 참고하면, 이로하 배열에 따라 전화 키패드의 키에 히라가나를 할당한 비한정적 예를 나타낸 표를 볼 수 있다. 표준 히라가나 순서에 맞게 할당하는 도 17과는 달리, 도 20의 행렬은 대응 행렬의 음을 표시하는 로마자와 연관 지울 수 없다. 도 21에서 히라가나는 키패드의 8개의 키에 할당된다. 도 22는 이로하 배열에 따른 키패드이다. 여기서 히라가나는 10개의 키에 분산된다. 도 21은 시의 단어를 기준으로 키에 히라가나를 할당한 것을 보여준다. 당업자라면 1) 히라가나가 할당된 키의 개수를 본 발명의 범위내에서 바꿀 수 있고, 2) 이로하 배열내의 변화를 기준으로 본 발명의 범위내에서 히라가나의 할당을 약간 바꿀 수 있으며, 3) 이로하 시에 없는 다른 히라가나의 할당을 마찬가지로 본 발명의 범위내에서 바꿀 수 있고, 4) 시에 있는 단어기준으로 히라가나를 구분하여 키에 할당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동일한 수의 히라가나를 정확히 각각의 키에 구분하여 할당하는 다양하고 사소한 방법으로 달리 구분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의 이런 기본적 특징은 여전히 남아있고, 이런 특징에 의해 이로하 배열로 히라가나를 키에 할당한다.
이로하 배열로 표시된 키패드를 사용해 일본어 텍스트를 입력하는 방법을 알기위해, 도 23에서의 비한정적 예를 통해 도 21의 키패드 사용법을 설명한다. 이 실시예에서는 a) 도 21의 2112에 대응하고 c히라가나의 디스플레이 진행에 사용되는 Next키(N), b) 도 21의 2100에 대응하고 히라가나의 디스플레이 진행에 사용되는 H-Next키(H), c) 도 21의 2111에 대응하고 한자 디스플레이 진행에 사용되는 C-Next키(C)의 3가지 Next키를 사용한다. 도면의 첫번째 열에는 키누름을, 두번째 열 에는 그 결과로서의 디스플레이를 제공한다. 단계 2301에서 사용자는 키(2108)를 눌러 디스플레이(2321)에 보이는 히라가나 기호를 표시한다. 단계 2302에서는 키(2106)를 눌러 앞에서 표시된 히라가나를 입력하고 다음의 원하는 히라가나를 디스플레이(2322)에 표시한다. 단계 2303에서는 키(2109)를 눌러 디스플레이(2323)에서 보여지는 것과 같은 히라가나 기호를 표시한다. 이 경우, 사용자가 c히라가나를 입력하고자 했다면, 이것은 예측시스템에 의해 올바로 예측되지 않은 것이다. 따라서, 단계 2304에서 사용자는 키(2112)를 눌러 예측 메커니즘이 제시한 순서대로 첫번째 c히라가나를 디스플레이 한다. 이것은 사용자가 원하는 c히라가나가 아니므로, 단계 2305에서 키(2112)를 눌러 예측 메커니즘이 예측한 다음 c히라가나에 대한 디스플레이를 진행한다. 단계 2306에서 사용자는 키(2102)를 눌러 다음의 원하는 c히라가나를 입력한다. 이 경우, 예측 메커니즘은 디스플레이(2326)에 표시된 것과 같이 원하는 c히라가나를 선택한다. 단계 2307에서 사용자는 히라가나를 입력할 의도로 다시 키(2102)를 누른다. 예측시스템은 디스플레이(2327)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표시하도록 히라가나를 선택한다. 그러나, 이것은 원하는 히라가나가 아니다. 따라서, 단계 2308에서 키(2100)를 눌러 디스플레이(2328)에서 보여지는 것과 같이 그 다음 원하는 히라가나의 디스플레이를 진행한다. 단계 2309에서 사용자는 키(2107)를 눌러 디스플레이(2329)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c히라가나를 디스플레이 한다. 이번 키누름으로 트리거 순차가 완성된다. 따라서, 디스플레이(2328)에 보이는 2개의 c히라가나가 디스플레이(2329)에서 보여지는 것과 같이 하나의 한자로 변환된다. 이 한자가 사용자가 원하는 한자가 아니므로, 계속해서 단계 2310에 서 키(2311)(C-Next)를 눌러 주어진 다음 한자의 디스플레이를 진행한다. 최종 디스플레이 상태가 디스플레이(2330)에 표시된다.
한국어의 바람직한 실시예
한국어 입력의 바람직한 실시예도 일본어 입력과 매우 비슷하다. 한국어는 일본한자에 대응하는 변환후 한자의 발음을 정한다는 점에서 히라가나에 대응하는 자모를 사용해 입력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일본한자가 일본어를 잘 쓰는데 필수적인 반면, 한국어를 잘 쓰는데 한자는 없어도 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한국어와 일본어는 종래 텍스트 입력시스템에서 자모와 히라가나가 변환전 기호와 비변환 기호의 역할을 모두 한다는 점에서 비슷하다. 이것이 바람직한 실시예의 관점에서 한국어와 일본어를 비슷하게 만든다. 당업자라면 알 수 있겠지만, 자모와 히라가나의 차이는 자모를 입력하면 일반적으로 한글로 변환되고, 한글은 시각적으로 음절을 표시하는 특정 방법으로 공간적으로 정렬된 자모의 집합이라는 것이다. 자모-한글 변환은 자모-한자 변환과는 무관하고 당업자에게 알려진 알고리즘에 의해 실행된다. 따라서, 자모-한글 변환에 대해서는 설명의 편의상 이하에서는 생략한다. 자모-한글 변환은 변환전 기호나 비변환 기호 각각이나 둘다에 대해 진행하여 실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한국어 텍스트-입력시스템은 자모로 이루어진 비변환 기호, c자모로 이루어진 변환전 기호, 및 한자로 이루어진 변환후 기호, 기호를 표시할 메커니즘, 및 트리거 순차를 인식할 메커니즘으로 구성된다. 트리거 순차는 적 어도 2개의 계층이다. 제1 계층에서, 트리거 순차는 c자모를 표시하는 첫번째 키누름과, 표시된 c자모에 적용될 기호-입력-마침 기호를 생성하는 두번째 키누름으로 구성된다. c자모가 할당되지 않은 키에 대해 두번째 키누름이 되면, 이들 키누름이 입력되었을 때 변환이 일어난다. 제2 계층의 트리거 순차의 특징은, 첫번째 키누름으로 c자모가 디스플레이 되고, 두번째 키누름으로 c자모의 디스플레이에 적용될 기호-입력-마침 기호가 생성되며 또한 자모와 같은 비변환 기호를 디스플레이 하며, 세번째 키누름으로 디스플레이 된 비변환 기호에 적용되어 입력될 기호-입력-마침 기호를 생성하는 것이다.
한국어 텍스트 입력을 위해서는 텍스트 입력장치의 키에 자모와 c자모를 선택적으로 할당할 필요가 있다.
도 24는 자모, c자모와 다른 기호가 할당된 전화 키패드를 보여준다. 이 실시예에서 자모는 한국의 배열대로 할당되는데, 자음은 첫째 행에 모음은 둘째 행에 제공된다. 당업자라면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은 도시된 할당 또는 배열을 갖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c자모와 대응하는 자모 둘다 같은 키에 할당된다. 다른 배열도 가능하지만, 도시된 배열이 바람직하다.
도 25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사용한 한국어 텍스트의 입력예이다. 도 23과 마찬가지로, 첫째 열은 입력된 키누름을 나타내고 (도 25의 경우, 도 24의 키패드에 대한 키누름임), 둘째 열은 키누름 결과로서 디스플레이 된 기호이다. c자모는 박스 안에 표시되었고, 자모는 박스 없이 표시되었다. 이 실시예에서는, 변환전 기호와 변환후 기호 양쪽에 예측시스템이 사용되었다. 또한, 이실시예는 Next키 진행이 변환전과 변환후 예측시스템 양쪽에 사용되었다. 변환전을 위한 Next키의 키누름은 대문자 N으로, 변환후를 위한 Next키의 키누름은 대문자 C로 표시한다. 편의상, 자모 및/또는 c자모 꾸러미를 대응하는 한글로 만드는 알고리즘을 제안했고, 이들 자모와 c자모는 일렬로 표시했으며, 그 순서가 디스플레이 된다. 따라서, 단계 2501에서 키 7을 누르면 디스플레이(2521)에 c자모가 나타난다. 이것은 사용자가 원하는 c자모이고, 사용자는 계속해서 단계 2502에서 다음 c자모를 입력한다. 변환전 시스템은 올바른 c자모를 표시하지 않고 오히려 원하는 c자모와 같은 키에 할당된 자모를 표시한다. 어떤 계층의 트리거 순차도 아직 입력되지 않았다. 제1 계층의 트리거 순차가 아직 입력되지 않은 것은 눌려진 키 1에 c자모가 할당되었기 때문이다. 제2 계층의 트리거 순차도 입력되지 않은 것은 비변환 자모가 디스플레이는 되었지만 아직 입력은 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여기서 다른 계층의 트리거 순차를 점검하지는 않는다. 예측시스템에 의해 올바른 c자모가 표시되지 않았으면, 단계 2503에서 Next키를 눌러 디스플레이(2523)에 올바른 c자모를 표시한다. 이런 식으로 계속하여, 단계 2504-2507에서 두번째 한자를 지정하는데 필요한 c자모를 입력한다. 사용자는 이들 단계 어디에서도 트리거 순차가 입력되지 않았음을 확인할 수 있다. 단계 2508에서, 원하는 한자 블록을 위한 모든 c자모가 입력되었고, 사용자는 자모 입력을 진행한다. 원하는 자모는 디스플레이(2528)에 다른 자모를 디스플레이하는 텍스트-입력 시스템에 의해 올바르게 예측되지 않는다. 단계 2509에서 사용자는 Next키를 눌러 표시된 자모를 원하는 자모로 바꾼다. 이 경우, Next키를 한번 눌러도 충분히 원하는 자모를 표시할 수 있다. 단계 2510에서 사용자는 두번째 자모를 입력한다. 이 키누름을 끝으로 제2 계층의 트리거 순차가 완성되는데, 이는 이번 키누름이 자모를 표시하지 않고 최종 입력된 기호인 (비변환) 자모에 적용되는 기호-입력-마침 기호를 생성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변환 메커니즘이 시작되어, 디스플레이(2530)에 표시된 5개의 c자모가 디스플레이(2531)에 표시된 2개 한자로 대체된다. 이런 변환은 사용자로부터 명백한 "변환"신호를 요구하지 않고, 사용자는 단순히 원하는 자모와 c자모를 계속 입력하기만 하면 된다.
이러한 비한정적 실시예는 본 발명의 특징을 상세히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의 범위내에서 실시예를 바꾸는 것도 가능한다. 예를 들어 비변환 기호나 변환전 기호가 로마자나 다른 기호 집합일 수도 있다. 변환전/후 기호들에 예측시스템이 필요치 않고, 자모 꾸러미를 한글로 바꾸는 알고리즘이 본 발명과 함께 이용될 수도 있으며, 자모와 c자모를 키에 할당하는 것이 다를 수도 있다.
원격변환
변환후 기호의 예측시스템은 원하는 변환후 기호를 입력하는데 필요한 키누름을 줄이는 것을 모색한다. 훌륭한 변환후 기호 예측시스템이라도, 예컨대 몇개의 비한정적 실시예에서 보여지는 C-Next키를 이용해 사용자가 가끔씩 예측을 조정할 필요가 있을 수 있다. 훌륭한 변환후 예측시스템의 계산 요건이 아주 까다로와 질 수도 있다. 본 발명은 또한 변환후 키누름의 필요성을 거의 없애고 사용자의 입력장치에 계산 요건을 없애는 것에 관한 것이다. 핵심은, 변환전 기호와 비변환 기호를 구분하는 정보, 예컨대 c히라가나와 (비변환) 히라가나를 구분하는 정보를 입력 해 충분한 처리능력의 전자동 변환시스템이 효과적으로 무결점 변환을 행하는 가능성을 크게 높이는 것이다. 예를 들어 일본어의 경우, 종래의 변환시스템에서는 각각의 입력된 히라가나에 대해 a) 히라가나가 일본한자의 발음의 일부인지 또는 히라가나로서 텍스트에 표현되어야 할지 여부, b) 입력된 히라가나가 일본한자로 변환되어야 할지 여부를 사용자가 결정해야만 한다. 이런 결정으로 인한 모호성은 강력한 자원수요 변환 시스템의 유효성을 제한한다. 입력 시점에서 c히라가나와 히라가나를 구분하면, 사용자는 모호성을 없애기가 훨씬 쉬운 입력 순차를 만들게 된다. 따라서, 비변환 또는 일부 변환된 기호들의 출력물이 c히라가나와 히라가나는 물론 기타 기호를 포함한 시스템에 관한 권리를 본 발명에서 청구한다. 사용자는 모든 c히라가나를 변환할 필요 없이, 이 작업을 원격서버에서 처리한다. 원격서버는 (휴대용) 단말기처럼 비용이나 사이즈 제한을 받지 않으므로, 원격서버는 임의의 매우 복잡한 소프트웨어가 운용되는 임의의 강력한 컴퓨터일 수 있다. 따라서, 원격서버는 변환 과정을 위해 입력 스트림에서 작용할 수 있다. 완전히 변환된 입력 스트림은 후속처리를 위해 대상이 되는 메시지 수신자에게 보내질 수 있다.
도 26을 참조하여 이런 시스템의 연산에 대해 좀 더 자세히 설명한다. 입력장치(2600)는 변환전 기호를 포함한 기호 스트림을 생성한다. 이 기호 스트림은 원격서버(2601)로 보내지고, 이곳에서 모든 변환전 기호가 변환후 기호로 변환된다. 변환된 텍스트는 변환 텍스트 프로세서(2602)로 보내지는데, 이곳에는 원격서버에 연결된 단말기, 원격서버에 연결된 저장장치 또는 다른 원격 단말기 등이 있을 수 있다. 원격서버에서의 변환과정을 사용자 취향에 맞출 수 있다. 예를 들어, 한국어 의 경우, 한자로 변환하느냐 한글로 남겨두느냐의 선택은 개인 취향 문제이다. 한자 사용을 더 늘릴지의 여부는 좀더 현학적이거나 교육을 받은 사람에 의해 고려된다. 따라서, 변환전 기호를 변환후 기호로 변환하거나 비변환 한글로 변환하는 방식을 표현함으로서 쓰는 스타일을 사용자가 자기 취향에 맞게 결정할 수 있다. 같은 종류의 커스텀화(customization)를 원격서버가 아닌 사용자 자신의 단말기에도 할 수 있지만, 이런 커스텀화(customization)에는 사용자 단말기에서 이용할 수 없는 계산 처리 능력이 필요할 수 있다.
에러수정과 암묵적 트리거 순차
트리거 순차 방법은 사용자가 항상 올바르게 텍스트를 입력한 이상적인 문장에 대해 제시되므로, 보통은 변환하고자 할 때마다 올바른 트리거 순차가 입력된다. 실제로는 그렇지 않은 바, 어떤 메커니즘에서는 사용자가 먼저 에러와 누락된 것을 수정하곤 한다. 예를 들어 중국어의 경우, 사용자가 shang1wen4와 같은 병음 순차를 입력해야 하는데 실수로 성조기호 1을 누락하여 shangwen4를 입력했다면, 에러수정 소프트웨어를 이용해 누락된 성조 기호를 쉽게 수정할 수 있는데, 이 때 당업자에게 잘 알려진 문자열 일치 알고리즘을 이용한다. 이것은, 순차 shangwen4가 텍스트-입력 시스템을 이용한 이상적인 텍스트 입력에서는 일어날 수 없고, shang1wen4가 실제 입력된 순차에 비슷한 가장 이상적인 순차라는 사실 때문이다. 에러수정 소프트웨어는 정의된 트리거 순차를 포함한 이상적 순차를 실제 입력된 순차에 일치시켜, 트리거 변환에 효과적인 암묵적 트리거 순차를 인식에 유효한 메 커니즘에 제공하고 트리거 순차를 처리한다. 텍스트-입력 시스템을 구현하는 장치에 이용할 수 있는 컴퓨터 자원에 따라, 에러수정 메커니즘을 임의로 복잡하고 강력하게 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에 대해 몇 가지 예를 들어 설명하였지만, 특히 바람직한 실시예들은 실현가능하고, 본 발명의 확실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예를 든 것일 뿐이고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원리와 정신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이나 변경이 가능하다. 모든 변형이나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고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보호됨을 목적으로 한다.

Claims (20)

  1. 트리거 순차에 기초한 텍스트-입력 시스템에 있어서:
    1) 복수의 키, 2) 복수의 변환전 기호, 3) 상기 변환전 기호 순차에 대응하는 복수의 변환후 기호, 4) 복수의 기호-입력-마침 기호, 5) 기호를 표시할 디스플레이, 6) 키누름에 응답하여 상기 변환전 기호를 표시할 제1 메커니즘, 및 7) 트리거 순차를 인식함으로써 상기 제1 메커니즘에 의해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상기 복수의 변환전 기호를 상기 복수의 변환후 기호로 변환시키는 제2 메커니즘을 포함하고, 상기 트리거 순차는 키누름 순차를 포함하고, 상기 키누름 순차는 2회 이상의 키누름 순차를 포함하되, 상기 첫번째 키누름으로는 상기 제1 메커니즘에 의해 상기 변환전 기호 중 하나가 디스플레이 되고, 상기 두번째 키누름으로는 상기 기호-입력-마침 기호가 생성되며, 상기 생성된 기호-입력-마침 기호는 상기 디스플레이 된 변환전 기호에 적용되고, 또한 상기 두번째 키누름에 의해서는 상기 변환전 기호들이 더 이상 디스플레이 되지 않으며, 상기 변환전 기호와 변환후 기호가 일치되면, 상기 트리거 순차 중 하나를 인식했을 때 전용 변환키의 키누름 없이 상기 디스플레이 된 복수의 변환전 기호가 상기 복수의 변환후 기호로 변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텍스트-입력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1) 상기 변환전 기호가 성조기호와, 로마자와 주음기호의 집합에서 선택된 기호로 구성되고, 2) 상기 변환후 기호가 한자로 구성되며, 3) 상 기 순차의 상기 첫번째 키누름에 의해 상기 제1 메커니즘이 상기 성조기호의 하나를 디스플레이 하고, 상기 순차의 상기 두번째 키누름에 의해 상기 기호-입력-마침 기호가 생성되며, 상기 생성된 기호-입력-마침 기호가 상기 디스플레이 된 성조기호에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텍스트-입력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복수의 비변환 기호를 더 포함하고, 1) 상기 변환전 기호가 c히라가나로 구성되고, 2) 상기 변환후 기호가 일본한자(Kanji)로 구성되고, 3) 상기 비변환 기호가 히라가나로 구성되며, 4) 상기 제1 메커니즘은 상기 변환전 기호, 상기 변환후 기호 및 상기 비변환 기호로 이루어지는 기호 집합을 디스플레이 하는데 유효하고, 5) 상기 트리거 순차는 2계층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1 계층은 상기 순차의 상기 첫번째 키누름에 의해 상기 제1 메커니즘이 상기 c히라가나의 하나를 디스플레이 하고, 상기 순차의 상기 두번째 키누름에 의해 상기 기호-입력-마침 기호의 하나가 생성되고, 상기 순차의 상기 두번째 키누름에 의해 생성된 상기 기호-입력-마침 기호는 상기 디스플레이 된 c히라가나에 적용되며, 상기 순차의 상기 두번째 키누름은 상기 c히라가나가 전혀 할당되지 않은 상기 키의 하나에 대해 할당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제2 계층은 상기 순차의 상기 첫번째 키누름에 의해 상기 제1 메커니즘이 상기 c히라가나의 하나를 디스플레이 하고, 상기 순차의 상기 두번째 키누름에 의해 상기 기호-입력-마침 기호의 하나를 생성하고, 상기 순차의 상기 두번째 키누름에 의해 생성된 상기 기호-입력-마침 기호는 상기 디스플레이 된 c히라가나에 적용되고, 또한 상기 순차의 상기 두번째 키누름에 의해 상기 비변환 기호의 하나가 상기 제1 메커니즘에 의해 디스플레이 되며, 세번째 키누름에 의해 상기 기호-입력-마침 기호의 하나가 생성되고, 상기 기호-입력-마침 기호는 상기 디스플레이 된 비변환 기호에 적용되어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텍스트-입력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복수의 비변환 기호를 더 포함하고, 1) 상기 변환전 기호가 c로마자 기호로 구성되고, 2) 상기 변환후 기호가 일본한자(Kanji)로 구성되고, 3) 상기 비변환 기호가 로마자 기호와 히라가나로 구성되며, 4) 상기 제1 메커니즘은 상기 변환전 기호, 상기 변환후 기호 및 상기 비변환 기호로 이루어지는 기호 집합을 디스플레이 하는데 유효하고, 5) 상기 트리거 순차는 2계층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1 계층은 상기 순차의 상기 첫번째 키누름에 의해 상기 제1 메커니즘이 상기 c로마자 기호의 하나를 디스플레이 하고, 상기 순차의 상기 두번째 키누름에 의해 상기 기호-입력-마침 기호의 하나가 생성되고, 상기 순차의 상기 두번째 키누름에 의해 생성된 상기 기호-입력-마침 기호는 상기 디스플레이 된 c로마자 기호에 적용되며, 상기 순차의 상기 두번째 키누름은 상기 c로마자 기호가 전혀 할당되지 않은 상기 키의 하나에 대해 할당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제2 계층은 상기 순차의 상기 첫번째 키누름에 의해 상기 제1 메커니즘이 상기 c로마자 기호의 하나를 디스플레이 하고, 상기 순차의 상기 두번째 키누름에 의해 상기 기호-입력-마침 기호의 하나를 생성되고, 상기 순차의 상기 두번째 키누름에 의해 생성된 상기 기호-입력-마침 기호는 상기 디스플레이 된 c로마자 기호에 적용되고, 또한 상기 순차 의 상기 두번째 키누름에 의해 상기 비변환 기호의 하나가 상기 제1 메커니즘에 의해 디스플레이 되며, 세번째 키누름에 의해 상기 기호-입력-마침 기호의 하나가 생성되고, 상기 기호-입력-마침 기호는 상기 디스플레이 된 비변환 기호에 적용되어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텍스트-입력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복수의 비변환 기호를 더 포함하고, 1) 상기 변환전 기호가 로마자 기호로 구성되고, 2) 상기 변환후 기호가 일본한자(Kanji)로 구성되고, 3) 상기 비변환 기호가 히라가나로 구성되며, 4) 상기 제1 메커니즘은 상기 변환전 기호, 상기 변환후 기호 및 상기 비변환 기호로 이루어지는 기호 집합을 디스플레이 하는데 유효하고, 5) 상기 트리거 순차는 2계층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1 계층은 상기 순차의 상기 첫번째 키누름에 의해 상기 제1 메커니즘이 상기 로마자 기호의 하나를 디스플레이 하고, 상기 순차의 상기 두번째 키누름에 의해 상기 기호-입력-마침 기호의 하나가 생성되고, 상기 순차의 상기 두번째 키누름에 의해 생성된 상기 기호-입력-마침 기호는 상기 디스플레이 된 로마자 기호에 적용되며, 상기 순차의 상기 두번째 키누름은 상기 로마자 기호가 전혀 할당되지 않은 상기 키의 하나에 대해 할당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제2 계층은 상기 순차의 상기 첫번째 키누름에 의해 상기 제1 메커니즘이 상기 로마자 기호의 하나를 디스플레이 하고, 상기 순차의 상기 두번째 키누름에 의해 상기 기호-입력-마침 기호의 하나를 생성하고, 상기 순차의 상기 두번째 키누름에 의해 생성된 상기 기호-입력-마침 기호는 상기 디스플레이 된 로마자 기호에 적용되고, 또한 상기 순차의 상기 두번째 키 누름에 의해 상기 비변환 기호의 하나가 상기 제1 메커니즘에 의해 디스플레이 되며, 세번째 키누름에 의해 상기 기호-입력-마침 기호의 하나가 생성되고, 상기 기호-입력-마침 기호는 상기 디스플레이 된 비변환 기호에 적용되어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텍스트-입력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복수의 비변환 기호를 더 포함하고, 1) 상기 변환전 기호가 c자모로 구성되고, 2) 상기 변환후 기호가 한자로 구성되고, 3) 상기 비변환 기호가 자모로 구성되며, 4) 상기 제1 메커니즘은 상기 변환전 기호, 상기 변환후 기호 및 상기 비변환 기호로 이루어지는 기호 집합을 디스플레이 하는데 유효하고, 5) 상기 트리거 순차는 2계층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1 계층은 상기 첫번째 키누름에 의해 상기 제1 메커니즘이 상기 c자모의 하나를 디스플레이 하고, 상기 두번째 키누름에 의해 상기 기호-입력-마침 기호의 하나를 생성하고, 상기 두번째 키누름에 의해 생성된 상기 기호-입력-마침 기호는 상기 디스플레이 된 c자모에 적용되며, 상기 두번째 키누름은 상기 c자모가 전혀 할당되지 않은 상기 키의 하나에 대해 할당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제2 계층은 상기 첫번째 키누름에 의해 상기 제1 메커니즘이 상기 c자모의 하나를 디스플레이 하고, 상기 두번째 키누름에 의해 상기 기호-입력-마침 기호의 하나를 생성하고, 상기 두번째 키누름에 의해 생성된 상기 기호-입력-마침 기호는 상기 디스플레이 된 c자모에 적용되고, 또한 상기 두번째 키누름에 의해 상기 비변환 기호의 하나가 디스플레이 되며, 세번째 키누름에 의해 상기 기호-입력-마침 기호의 하나가 생성되고, 상기 기호-입력-마침 기호는 상기 디스플레이 된 비변환 기호에 적용되어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텍스트-입력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변환전 기호를 상기 변환후 기호로 변환시키는 제3 메커니즘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텍스트-입력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메커니즘이 상기 제1 메커니즘에서 물리적으로 멀리 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텍스트-입력 시스템.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메커니즘이 앞서 입력된 다른 기호의 문맥을 기초로 상기 선택을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텍스트-입력 시스템.
  10. 제1항에 있어서, 앞서 입력된 다른 기호의 문맥을 기초로 디스플레이하기 위해 상기 변환전 기호를 선택하도록 연산하는 예측 텍스트 메커니즘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텍스트-입력 시스템.
  11. 제1항에 있어서, 기호의 디스플레이를 진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Next키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텍스트-입력 시스템.
  12. 제1항에 있어서, 기호의 디스플레이를 진행하기 위한 멀티탭 메커니즘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텍스트-입력 시스템.
  1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로마자 기호가 디스플레이는 되어도 입력되지는 않고 나서 상기 성조기호의 하나가 디스플레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텍스트-입력 시스템.
  14. 제1항에 있어서, 복수의 비변환 기호, 상기 복수의 변환전 기호에 적용되는 Next키, 및 상기 복수의 비변환 기호에 적용되는 Next키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텍스트-입력 시스템.
  1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변환전 기호와 상기 비변환 기호를 포함한 복수의 기호들이 이로하(Iroha) 배열로 상기 키에 할당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텍스트-입력 시스템.
  16. 텍스트-입력 시스템용 트리거 순차를 구성하는 방법에 있어서:
    1) 변환전 기호와 변환후 기호 집합을 선택하는 단계, 2) 텍스트-입력 메커니즘을 선택하는 단계, 3) 상기 텍스트-입력 시스템을 사용하여 입력 가능한 텍스트 집합에 대응하는 키누름 순차 집합을 결정하는 단계, 4) 상기 키누름 순차 집합내의 각각의 상기 키누름에 의해 생성된 각각의 변환전 기호를 위해, a) 상기 순차에서 상기 한번의 키누름으로 상기 변환전 기호의 하나를 디스플레이 하고, b) 상 기 순차에서 상기 다른 키누름으로 i) 상기 변환전 기호의 하나에 적용되는 기호-입력-마침 기호가 생성되고, ii) 상기 변환후 기호에 대응하는 상기 변환전 기호의 모든 순차에 있어서 상기 변환전 기호를 뒤따르는 상기 모든 변환전 기호를 추가로 디스플레이하지 않도록 키누름 순차를 검색하는 단계; 및 5) 상기 검색 단계에서 상기 순차가 만족스런 순차를 생성하지 못할 경우, 상기 변환전 기호와 변환후 기호의 집합을 선택하는 상기 단계로 되돌아가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7. 1) 복수의 키, 2) 이로하 배열로 상기 복수의 키에 히라가나를 배열하기 위한 수단, 및 3) 키누름에 응답해 상기 히라가나를 디스플레이 하는 메커니즘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텍스트-입력 메커니즘.
  1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변환전 기호가 단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텍스트-입력 시스템.
  19. 제18항에 있어서, 단어 완성 메커니즘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텍스트-입력 시스템.
  20.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성조기호가 상기 로마자 뒤에서 상기 배열 끝에 나타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텍스트-입력 시스템.
KR1020067006672A 2003-09-11 2004-09-09 트리거 순차에 기초한 텍스트 입력을 위한 효율적 방법 및장치 KR10105656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0/605,157 US8200865B2 (en) 2003-09-11 2003-09-11 Efficient method and apparatus for text entry based on trigger sequences
US10/605,157 2003-09-11
PCT/US2004/029115 WO2005026897A2 (en) 2003-09-11 2004-09-09 Efficient method and apparatus for text entry based on trigger sequence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32570A true KR20060132570A (ko) 2006-12-21
KR101056565B1 KR101056565B1 (ko) 2011-08-11

Family

ID=342731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06672A KR101056565B1 (ko) 2003-09-11 2004-09-09 트리거 순차에 기초한 텍스트 입력을 위한 효율적 방법 및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8200865B2 (ko)
EP (1) EP1676205A4 (ko)
JP (1) JP2007505400A (ko)
KR (1) KR101056565B1 (ko)
CN (1) CN100555254C (ko)
CA (1) CA2538805A1 (ko)
WO (1) WO2005026897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RE43082E1 (en) 1998-12-10 2012-01-10 Eatoni Ergonomics, Inc. Touch-typable devices based on ambiguous codes and methods to design such devices
US8706747B2 (en) 2000-07-06 2014-04-22 Google Inc. Systems and methods for searching using queries written in a different character-set and/or language from the target pages
US7136854B2 (en) * 2000-07-06 2006-11-14 Google,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providing search results in response to an ambiguous search query
US7761175B2 (en) 2001-09-27 2010-07-20 Eatoni Ergonom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discoverable input of symbols on a reduced keypad
US8200865B2 (en) 2003-09-11 2012-06-12 Eatoni Ergonomics, Inc. Efficient method and apparatus for text entry based on trigger sequences
US8392453B2 (en) * 2004-06-25 2013-03-05 Google Inc. Nonstandard text entry
US8972444B2 (en) * 2004-06-25 2015-03-03 Google Inc. Nonstandard locality-based text entry
US7711542B2 (en) * 2004-08-31 2010-05-04 Research In Motion Limited System and method for multilanguage text input in a handheld electronic device
US20060095842A1 (en) * 2004-11-01 2006-05-04 Nokia Corporation Word completion dictionary
US7630980B2 (en) * 2005-01-21 2009-12-08 Prashant Parikh Automatic dynamic contextual data entry completion system
US8117540B2 (en) * 2005-05-18 2012-02-14 Neuer Wall Treuhand Gmbh Method and device incorporating improved text input mechanism
US8374846B2 (en) * 2005-05-18 2013-02-12 Neuer Wall Treuhand Gmbh Text input device and method
US8036878B2 (en) 2005-05-18 2011-10-11 Never Wall Treuhand GmbH Device incorporating improved text input mechanism
US9606634B2 (en) * 2005-05-18 2017-03-28 Nokia Technologies Oy Device incorporating improved text input mechanism
US20090193334A1 (en) * 2005-05-18 2009-07-30 Exb Asset Management Gmbh Predictive text input system and method involving two concurrent ranking means
US20080126079A1 (en) * 2006-01-20 2008-05-29 Research In Motion Limited Handheld electronic device with automatic text generation
US7996769B2 (en) * 2006-04-05 2011-08-09 Research In Motion Limited Handheld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performing spell checking during text entry and for providing a spell-check learning feature
EP2038769A4 (en) * 2006-06-23 2012-03-07 Systems Ltd Keyless COMBINED DATA INPUT SYSTEMS
WO2008034112A2 (en) * 2006-09-14 2008-03-20 Eatoni Ergonomics, Inc. Keypads row similar to a telephone keypad
US7979425B2 (en) * 2006-10-25 2011-07-12 Google Inc. Server-side match
US7774524B2 (en) * 2007-01-12 2010-08-10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Adaptive multitap timeout
KR20090049004A (ko) * 2007-11-12 2009-05-15 삼성전자주식회사 문자 입력 처리 방법 및 장치와 제어 방법 및 장치
US10877778B2 (en) * 2007-12-04 2020-12-29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equence detection and automation for complex portal environments
US20090241027A1 (en) * 2008-03-18 2009-09-24 Dapeng Gao Handheld electronic device and associated method for improving typing efficiency on the device
DE602008006521D1 (de) 2008-03-18 2011-06-09 Research In Motion Ltd Tragbare elektronische Vorrichtung und entsprechendes Verfahren zur Erhöhung der Tippeffizienz auf der Vorrichtung
EP2120130A1 (en) * 2008-05-11 2009-11-18 Research in Motion Limited Mobile electronic device and associated method enabling identification of previously entered data for transliteration of an input
DE602008005428D1 (de) * 2008-06-11 2011-04-21 Exb Asset Man Gmbh Vorrichtung und Verfahren mit verbessertem Texteingabemechanismus
US20100114887A1 (en) * 2008-10-17 2010-05-06 Google Inc. Textual Disambiguation Using Social Connections
KR101083540B1 (ko) * 2009-07-08 2011-11-14 엔에이치엔(주) 통계적인 방법을 이용한 한자에 대한 자국어 발음열 변환 시스템 및 방법
EP2452251B1 (en) * 2009-07-10 2018-09-19 Koninklijke Philips N.V. User friendly entry of text items
CN102478961A (zh) * 2010-11-23 2012-05-30 群光电子股份有限公司 智能互动型键盘及用于智能互动型键盘的方法
US8832188B1 (en) * 2010-12-23 2014-09-09 Google Inc. Determining language of text fragments
CN102184172A (zh) * 2011-05-10 2011-09-14 中国科学院计算技术研究所 一种用于盲人读取汉字的系统和方法
US20120290287A1 (en) * 2011-05-13 2012-11-15 Vadim Fux Methods and systems for processing multi-language input on a mobile device
US8286104B1 (en) * 2011-10-06 2012-10-09 Google Inc. Input method application for a touch-sensitive user interface
US8812302B2 (en) * 2012-01-17 2014-08-19 Google Inc. Techniques for inserting diacritical marks to text input via a user device
US8930181B2 (en) 2012-12-06 2015-01-06 Prashant Parikh Automatic dynamic contextual data entry completion
KR102182672B1 (ko) * 2014-01-11 2020-11-24 (주)네온베리 다국어 통합 자음 패턴 검색 방법 및 그 장치
CN104021116A (zh) * 2014-06-19 2014-09-03 苏州大学 一种外延事件关系识别方法及系统
KR20180031291A (ko) * 2016-09-19 2018-03-28 삼성전자주식회사 다중 언어 번역 및 예측 장치 및 방법
CN111310927B (zh) * 2020-01-19 2022-04-15 哈尔滨工业大学 一种引入推理机制的文本生成方法
WO2022212652A1 (en) * 2021-03-31 2022-10-06 Cerini Arielle Nicole Digital penmanship
US20230315216A1 (en) * 2022-03-31 2023-10-05 Rensselaer Polytechnic Institute Digital penmanship

Family Cites Families (17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58795A (en) 1972-10-03 1977-11-15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ext-aided recognition
US3833765A (en) 1973-01-30 1974-09-03 Secretary Of The Department Keyboard and message system
US3929216A (en) 1973-09-04 1975-12-30 Harvey Einbinder Input keyboards
US4360892A (en) 1979-02-22 1982-11-23 Microwriter Limited Portable word-processor
US4679951A (en) 1979-11-06 1987-07-14 Cornell Research Foundation, Inc. Electronic keyboard system and method for reproducing selected symbolic language characters
US4447692A (en) 1981-05-18 1984-05-08 Essex Group, Inc. Control system with interactive display
US4680572A (en) 1981-12-14 1987-07-14 Ncr Corporation Chord entry keying of data fields
US4475013A (en) 1982-05-12 1984-10-02 International Quartz Ltd. Repertory automatic telephone dialing apparatus wherein a name and telephone number are searched by depressing one or more letter code keys
DE3235752A1 (de) 1982-09-27 1984-03-29 Siemens Ag Mehrfunktionstaste
US4522518A (en) 1983-07-07 1985-06-11 Schmidt John R Character data input keyboard arrangement having central matrix of keys
CA1308457C (en) 1983-10-04 1992-10-06 Keycorp Pty. Ltd. Positive feedback tactile function key
US4555193A (en) 1983-10-31 1985-11-26 Stone Philip J Keyboards including color coding and one handed operation
US4836700A (en) 1984-04-02 1989-06-06 Jensen Paul S Data entry system
US4608457A (en) 1984-04-11 1986-08-26 Fowler Stephen L Telecommunications device for the hearing impared
US4615629A (en) 1984-04-24 1986-10-07 Power Daniel J Input keyboard
US4791556A (en) 1984-08-29 1988-12-13 Vilkaitis John V Method for operating a computer which searches for operational symbols and executes functions corresponding to the operational symbols in response to user inputted signal
US4650927A (en) 1984-11-29 1987-03-17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Processor-assisted communication system using tone-generating telephones
US4715736A (en) 1984-12-03 1987-12-29 Fwm Enterprises, Inc. Process for determining optimum keyboard formats for a given language
US5003503A (en) 1985-05-02 1991-03-26 The Laitram Corporation Comprehensive computer data control entries from very few keys operable in a fast touch type mode
US5175803A (en) 1985-06-14 1992-12-29 Yeh Victor C Method and apparatus for data processing and word processing in Chinese using a phonetic Chinese language
US4737980A (en) 1985-07-19 1988-04-12 Amtelco Computer data entry method and apparatus
FR2585487B1 (fr) 1985-07-29 1990-09-07 Guyot Sionnest Laurent Claviers pour ordinateurs, < a 70 cm2 et a moins de 13 contacts actionnes de facon combinee par les doigts d'une seule main
US5098425A (en) * 1985-08-16 1992-03-24 Alza Corporation Method of administering a ruminant dispensing device comprising density member dispersed in hydrogel member
US4677659A (en) 1985-09-03 1987-06-30 John Dargan Telephonic data access and transmission system
US4674112A (en) 1985-09-06 1987-06-16 Board Of Regents, The University Of Texas System Character pattern recognition and communications apparatus
US4754474A (en) 1985-10-21 1988-06-28 Feinson Roy W Interpretive tone telecommunication method and apparatus
US4817129A (en) 1987-03-05 1989-03-28 Telac Corp. Method of and means for accessing computerized data bases utilizing a touch-tone telephone instrument
US4775255A (en) 1987-03-16 1988-10-04 Langley Lawrence W Ternary chord-type keyboard
WO1989002369A1 (en) 1987-09-15 1989-03-23 Michael Pham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keyboard systems
US5031206A (en) 1987-11-30 1991-07-09 Fon-Ex,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identifying words entered on DTMF pushbuttons
US4866759A (en) 1987-11-30 1989-09-12 Riskin Bernard N Packet network telecommunication system having access nodes with word guessing capability
US5255310A (en) 1989-08-11 1993-10-19 Korea Telecommunication Authority Method of approximately matching an input character string with a key word and vocally outputting data
CA1336418C (en) 1989-08-29 1995-07-25 Edgar Matias One-handed keyboard
US5339358A (en) 1990-03-28 1994-08-16 Danish International, Inc. Telephone keypad matrix
US5392338A (en) 1990-03-28 1995-02-21 Danish International, Inc. Entry of alphabetical characters into a telephone system using a conventional telephone keypad
US5575576A (en) 1990-05-25 1996-11-19 Roysden, Jr.; Brunn W. Keyboard
US5581243A (en) 1990-06-04 1996-12-03 Microslate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simulated keyboards on touch-sensitive displays
US5097425A (en) 1990-06-11 1992-03-17 Semantic Compaction Systems Predictive scanning input system for rapid selection of visual indicators
US5040479A (en) 1990-07-24 1991-08-20 Apollo Plastics Corporation Illuminated multiple color button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5458425A (en) 1990-08-01 1995-10-17 Torok; Ernest J. Keyboard for touch type editing
US5128672A (en) 1990-10-30 1992-07-07 Apple Computer, Inc. Dynamic predictive keyboard
US5210689A (en) 1990-12-28 1993-05-11 Semantic Compaction Systems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selecting among a plurality of input modes
US5200988A (en) 1991-03-11 1993-04-06 Fon-Ex, Inc. Method and means for telecommunications by deaf persons utilizing a small hand held communications device
US5332322A (en) 1991-06-06 1994-07-26 Gambaro Thomas L Ergonomic thumb-actuable keyboard for a hand-grippable device
AU1799692A (en) 1991-06-06 1993-01-08 Care Tec Gmbh Keyboard
KR950008022B1 (ko) * 1991-06-19 1995-07-24 가부시끼가이샤 히다찌세이사꾸쇼 문자처리방법 및 장치와 문자입력방법 및 장치
US5329278A (en) 1991-10-24 1994-07-12 Dombroski Michael L Pivoting electronic keyboard keys
US5367298A (en) 1991-10-25 1994-11-22 Axthelm John K Data input terminal
JPH05233623A (ja) 1991-11-27 1993-09-10 Internatl Business Mach Corp <Ibm> ストローク構文入力装置
US5963671A (en) 1991-11-27 1999-10-05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Enhancement of soft keyboard operations using trigram prediction
DE4230912A1 (de) 1992-02-21 1993-08-26 Bosch Gmbh Robert Verfahren zur eingabe von alphanumerischen informationen
US5410333A (en) 1992-03-18 1995-04-25 Conway; Kevin M. Computer keyboard
US5535119A (en) 1992-06-11 1996-07-09 Hitachi, Ltd. Character inputting method allowing input of a plurality of different types of character species, and information processing equipment adopting the same
CN2123092U (zh) 1992-06-18 1992-11-25 杨穗民 一种电子计算机键盘装置
US5661605A (en) 1992-06-26 1997-08-26 Conway; Kevin M. Computer keyboard
US5358344A (en) 1992-09-01 1994-10-25 Key Tronic Corporation Keyboard with full-travel, self-leveling keyswitches
US5305238A (en) 1992-11-03 1994-04-19 Key Tronic Corporation Data input monitor and indicator for managing work pace and rest periods
US5659769A (en) * 1993-02-19 1997-08-19 Apple Computer, Inc. Text services manager
US5535421A (en) 1993-03-16 1996-07-09 Weinreich; Michael Chord keyboard system using one chord to select a group from among several groups and another chord to select a character from the selected group
US5432510A (en) 1993-03-22 1995-07-11 Matthews; Walter S. Ambidextrous single hand chordic data management device
US5473346A (en) 1993-04-12 1995-12-05 Pollack; Jordan Data input device and method
USD357011S (en) 1993-06-25 1995-04-04 Stratos Product Development Group, Inc. Keyboard
USD357476S (en) 1993-06-25 1995-04-18 Ziba Design, Inc. Keyboard
US5880685A (en) 1993-07-23 1999-03-09 Weeks; James A. Computer keyboard with accessory platform
US6243460B1 (en) 1993-12-08 2001-06-05 Lucent Technologies Inc. Telephone with character keypad
US5515305A (en) 1993-12-09 1996-05-07 Dell Usa, L.P. PDA having chord keyboard input device and method of providing data thereto
JP3523343B2 (ja) 1993-12-27 2004-04-26 ミサワホーム株式会社 キー入力装置およびキー入力方法
US5734749A (en) 1993-12-27 1998-03-31 Nec Corporation Character string input system for completing an input character string with an incomplete input indicative sign
JPH076172A (ja) * 1994-02-14 1995-01-10 Sanyo Electric Co Ltd ワードプロセッサ
USD362432S (en) 1994-02-23 1995-09-19 Microsoft Corporation Keyboard
US5543818A (en) 1994-05-13 1996-08-06 Sony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entering text using an input device having a small number of keys
US5574482A (en) 1994-05-17 1996-11-12 Niemeier; Charles J. Method for data input on a touch-sensitive screen
JPH07334625A (ja) 1994-06-06 1995-12-22 Nec Corp 文字列入力装置
US5675819A (en) 1994-06-16 1997-10-07 Xerox Corporation Document information retrieval using global word co-occurrence patterns
AU2977295A (en) 1994-07-19 1996-02-16 Georg Strom Keyboard for one hand typing
US5661505A (en) 1995-01-13 1997-08-26 Livits; Eric A. Single hand-controlled computer input device
US5847697A (en) 1995-01-31 1998-12-08 Fujitsu Limited Single-handed keyboard having keys with multiple characters and character ambiguity resolution logic
US5748512A (en) 1995-02-28 1998-05-05 Microsoft Corporation Adjusting keyboard
CA2214709C (en) 1995-03-08 2001-01-16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A method of selecting characters from a keypad, and a telephone set operating according to this method
US5559512A (en) 1995-03-20 1996-09-24 Venturedyne,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entering alpha-numeric data
US6160536A (en) 1995-03-27 2000-12-12 Forest; Donald K. Dwell time indication method and apparatus
GB2314186B (en) 1995-03-27 1999-08-18 Donald K Forest User Interface
US6903723B1 (en) 1995-03-27 2005-06-07 Donald K. Forest Data entry method and apparatus
GB2299884A (en) 1995-04-13 1996-10-16 Telsis Holdings Ltd Communication systems
US6734881B1 (en) 1995-04-18 2004-05-11 Craig Alexander Will Efficient entry of words by disambiguation
US5487616A (en) 1995-06-01 1996-01-30 Jean D. Ichbiah Method for designing an ergonomic one-finger keyboard and apparatus therefor
US5748177A (en) 1995-06-07 1998-05-05 Semantic Compaction Systems Dynamic keyboard and method for dynamically redefining keys on a keyboard
US5828991A (en) 1995-06-30 1998-10-27 The Research Foundation Of The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Sentence reconstruction using word ambiguity resolution
US5797098A (en) 1995-07-19 1998-08-18 Pacific Communication Sciences, Inc. User interface for cellular telephone
WO1997005541A1 (en) 1995-07-26 1997-02-13 King Martin T Reduced keyboard disambiguating system
US5818437A (en) 1995-07-26 1998-10-06 Tegic Communications, Inc. Reduced keyboard disambiguating computer
US5790103A (en) 1995-10-04 1998-08-04 Willner; Michael A. Ergonomic keyboard entry system
JP3124714B2 (ja) 1995-10-20 2001-01-15 富士通株式会社 片手入力キーボード
JP3727399B2 (ja) 1996-02-19 2005-12-14 ミサワホーム株式会社 画面表示式キー入力装置
FI111897B (fi) 1995-11-24 2003-09-30 Nokia Corp Kaksitoiminen tiedonvälityslaite
US5809415A (en) 1995-12-11 1998-09-15 Unwired Planet, Inc. Method and architecture for an interactive two-way data communication network
US5911485A (en) 1995-12-11 1999-06-15 Unwired Planet, Inc. Predictive data entry method for a keypad
US5625354A (en) 1996-01-26 1997-04-29 Lerman; Samuel I. Compact stylus keyboard
US5661476A (en) 1996-02-23 1997-08-26 General Wireless Communications, Inc. Keyboard for personal information device
GB9608571D0 (en) 1996-04-24 1996-07-03 Marshall Timothy J Keyboard
US5675329A (en) 1996-05-09 1997-10-07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of obtaining a second function from keys on a keyboard using pressure differentiation
JP3328133B2 (ja) 1996-05-16 2002-09-24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キーボード
KR19990044366A (ko) 1996-07-03 1999-06-25 요트.게.아. 롤페즈 다기능 키를 가진 키보드와 이 키보드를 포함하고 있는 장치
WO1998009270A1 (en) 1996-08-28 1998-03-05 Via, Inc. Touch screen systems and methods
US5664896A (en) 1996-08-29 1997-09-09 Blumberg; Marvin R. Speed typing apparatus and method
AU4565397A (en) 1996-10-04 1998-05-05 Intellprop Limited Text communication systems
GB9620979D0 (en) 1996-10-08 1996-11-27 Ncr Int Inc Keypad
GB9622349D0 (en) 1996-10-28 1997-01-08 Therefore Limited Hand held computer and communications apparatus
US5952942A (en) 1996-11-21 1999-09-14 Motorola, Inc. Method and device for input of text messages from a keypad
JP3889466B2 (ja) 1996-11-25 2007-03-07 ソニー株式会社 文章入力装置及び方法
US5953541A (en) 1997-01-24 1999-09-14 Tegic Communications, Inc. Disambiguating system for disambiguating ambiguous input sequences by displaying objects associated with the generated input sequences in the order of decreasing frequency of use
WO1998033110A1 (fr) 1997-01-24 1998-07-30 Misawa Homes Co., Ltd. Clavier
US5936555A (en) 1997-01-28 1999-08-10 Zagnoev; Ari Combined keyboard and mouse employing conventional typing keys
US5993089A (en) 1997-02-03 1999-11-30 Burrell, Iv; James William 8-bit binary code for use as an 8-dot braille arrangement and data entry system and method for 8-key chordic binary keyboards
US5982303A (en) 1997-02-03 1999-11-09 Smith; Jeffrey Method for entering alpha-numeric data
JP3887867B2 (ja) 1997-02-26 2007-02-28 株式会社日立製作所 構造化文書の登録方法
US6232956B1 (en) 1997-02-27 2001-05-15 Spice Technologies, Inc. OHAI technology user interface
US6005495A (en) 1997-02-27 1999-12-21 Ameritech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intelligent text entry on a numeric keypad
CN1227914C (zh) 1997-03-19 2005-11-16 西门子公司 具有用于文字和/或数字和/或特殊字符输入工具的设备
US5793312A (en) 1997-04-09 1998-08-11 Tsubai; Ryozo Data entry system
US6047300A (en) 1997-05-15 2000-04-04 Microsoft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correcting a misspelled word
JPH10326138A (ja) 1997-05-26 1998-12-08 Toshiba Corp キー入力装置
US6054941A (en) 1997-05-27 2000-04-25 Motorola,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ting ideographic characters
US5903630A (en) 1997-06-30 1999-05-11 Movo Medi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specifying alphanumeric information with a telephone keypad
US5936556A (en) * 1997-07-14 1999-08-10 Sakita; Masami Keyboard for inputting to computer means
US6986613B2 (en) 1997-07-15 2006-01-17 Silverbrook Research Pty Ltd Keyboard
US6641315B2 (en) 1997-07-15 2003-11-04 Silverbrook Research Pty Ltd Keyboard
US6043761A (en) 1997-07-22 2000-03-28 Burrell, Iv; James W. Method of using a nine key alphanumeric binary keyboard combined with a three key binary control keyboard
US6232892B1 (en) 1997-07-22 2001-05-15 Burrell, Iv James W. Method of using a nine key alphanumeric binary keyboard combined with a three key binary control keyboard
US6184803B1 (en) 1997-07-22 2001-02-06 Burrell, Iv James W. Nine key alphanumeric binary keyboard combined with a three key binary control keyboard and combinational control means
US5990890A (en) 1997-08-25 1999-11-23 Liberate Technologies System for data entry and navigation in a user interface
US5874906A (en) 1997-09-22 1999-02-23 Wilnel, Inc. Data entry system
DE69806780T2 (de) 1997-09-25 2003-03-13 Tegic Communications Inc System zur unterdrückung der vieldeutigkeit in einer verringerten tastatur
US5982351A (en) 1997-09-30 1999-11-09 Motorol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supplementing a keyboard and for helping a user operate an electronic device
US6088220A (en) 1997-10-02 2000-07-11 Katz; Michael Pocket computer with full-size keyboard
US6295509B1 (en) 1997-10-17 2001-09-25 Stanley W. Driskell Objective, quantitative method for measuring the mental effort of managing a computer-human interface
US6005498A (en) * 1997-10-29 1999-12-21 Motorola, Inc. Reduced keypad entry apparatus and method
US5896321A (en) 1997-11-14 1999-04-20 Microsoft Corporation Text completion system for a miniature computer
GB9726380D0 (en) 1997-12-11 1998-02-11 British Telecomm An input device
US5945928A (en) 1998-01-20 1999-08-31 Tegic Communication, Inc. Reduced keyboard disambiguating system for the Korean language
FI114267B (fi) 1998-01-29 2004-09-15 Nokia Corp Elektroninen laite ja menetelmä tietojen näyttämiseksi
US6181328B1 (en) 1998-03-02 2001-01-30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calibrating touch screen sensitivities according to particular physical characteristics associated with a user
US6037942A (en) 1998-03-10 2000-03-14 Magellan Dis, Inc. Navigation system character input device
US20010040550A1 (en) 1998-03-12 2001-11-15 Scott Vance Multiple pressure sensors per finger of glove for virtual full typing
US6190256B1 (en) * 1998-06-22 2001-02-20 Walker Digital, Llc Gaming device and method of operation thereof
US6262716B1 (en) 1998-07-01 2001-07-17 Gateway, Inc.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having a numeric keypad with cover that functions as a palm rest
WO2000008547A1 (en) 1998-08-05 2000-02-17 British Telecommunications Public Limited Company Multimodal user interface
US6359572B1 (en) 1998-09-03 2002-03-19 Microsoft Corporation Dynamic keyboard
US6271835B1 (en) 1998-09-03 2001-08-07 Nortel Networks Limited Touch-screen input device
US6004049A (en) 1998-10-29 1999-12-21 Sun Microsystem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dynamic configuration of an input device
GB2343414B (en) 1998-11-23 2000-09-27 Mun San Ho A keyboard layout
US6646573B1 (en) * 1998-12-04 2003-11-11 America Online, Inc. Reduced keyboard text input system for the Japanese language
US6636162B1 (en) 1998-12-04 2003-10-21 America Online, Incorporated Reduced keyboard text input system for the Japanese language
US7720682B2 (en) 1998-12-04 2010-05-18 Tegic Communications, Inc. Method and apparatus utilizing voice input to resolve ambiguous manually entered text input
US7712053B2 (en) 1998-12-04 2010-05-04 Tegic Communications, Inc. Explicit character filtering of ambiguous text entry
JP2002532792A (ja) 1998-12-10 2002-10-02 イートニ エルゴノミッ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曖昧コードを基礎とするタッチタイプ装置およびそのような装置を設計する方法
USRE43082E1 (en) 1998-12-10 2012-01-10 Eatoni Ergonomics, Inc. Touch-typable devices based on ambiguous codes and methods to design such devices
US6219731B1 (en) 1998-12-10 2001-04-17 Eaton: Ergonom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improved multi-tap text input
US20030006956A1 (en) 1999-05-24 2003-01-09 Charles Yimin Wu Data entry device recording input in two dimensions
US6172625B1 (en) 1999-07-06 2001-01-09 Motorola, Inc. Disambiguation method and apparatus, and dictionary data compression techniques
JP2001166868A (ja) * 1999-12-08 2001-06-2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数字キーパッドによる中国語ピンイン入力方法及び装置
USD443615S1 (en) 2000-02-25 2001-06-12 Dennis J Kirchner Illuminated keyboard
JP3998896B2 (ja) * 2000-08-08 2007-10-31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情報入力方法及び情報入力装置
JP2002335321A (ja) * 2001-05-11 2002-11-22 Masatoshi Oka 携帯電話機の電話番号等構成手順方法
JP2005504370A (ja) 2001-09-20 2005-02-10 ティモシー ビー. ヒギンソン ユニバーサルキーボード
US7136803B2 (en) * 2001-09-25 2006-11-14 Apple Computer, Inc. Japanese virtual dictionary
US7761175B2 (en) 2001-09-27 2010-07-20 Eatoni Ergonom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discoverable input of symbols on a reduced keypad
US7083342B2 (en) 2001-12-21 2006-08-01 Griffin Jason T Keyboard arrangement
US8200865B2 (en) 2003-09-11 2012-06-12 Eatoni Ergonomics, Inc. Efficient method and apparatus for text entry based on trigger sequences
WO2006080935A1 (en) 2005-01-27 2006-08-03 Eatoni Ergonomics, Inc. Typability optimized ambiguous keyboards with reduced distortion
WO2006080927A1 (en) 2005-01-27 2006-08-03 Eatoni Ergonomics, Inc. Typability optimized ambiguous keyboards with reduced distortion
WO2008034112A2 (en) 2006-09-14 2008-03-20 Eatoni Ergonomics, Inc. Keypads row similar to a telephone keypa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676205A4 (en) 2010-02-03
US20050060448A1 (en) 2005-03-17
WO2005026897A3 (en) 2005-12-22
US8200865B2 (en) 2012-06-12
JP2007505400A (ja) 2007-03-08
EP1676205A2 (en) 2006-07-05
CN100555254C (zh) 2009-10-28
KR101056565B1 (ko) 2011-08-11
CA2538805A1 (en) 2005-03-24
CN1922594A (zh) 2007-02-28
WO2005026897A2 (en) 2005-03-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56565B1 (ko) 트리거 순차에 기초한 텍스트 입력을 위한 효율적 방법 및장치
US5128672A (en) Dynamic predictive keyboard
KR100377432B1 (ko) 문자/단어 생성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정보통신 서비스 방법
WO2010035574A1 (ja) 入力装置、入力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US20050283358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visual indication of character ambiguity during text entry
JP4316687B2 (ja) 画面タッチ式入力装置
KR100997555B1 (ko) 문자 입력 장치
JPH1139078A (ja) コンピュータ入力システム
MXPA01007505A (es) Metodo y aparato para el tecleo de velocidad.
KR101426843B1 (ko) 확장키를 이용한 정보입력시스템 및 정보입력방법
KR100989836B1 (ko) 문자열 예측 입력방법 및 그 방법이 구현되는 전자장치
KR20100135340A (ko) 터치스크린 등을 이용한 중국어 및 한자 입력 시스템 및 방법
EP1875620B1 (en) Hangeul input keypad and methods using the same
JP2022094941A (ja) 文字入力方法、文字入力プログラム、及び文字入力装置
KR100517029B1 (ko) 한국어 자모 입력방법
EA005175B1 (ru)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ввода алфавитных символов с кнопочной панели
JPH09128134A (ja) 画面タッチ式入力装置
KR20080024571A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아랍어 및 이란어 문자 입력 방법
CN117590953B (zh) 基于10键键盘及应用于小屏电子设备的双拼输入法
CN117608415B (zh) 基于10键键盘及应用于小屏电子设备的简拼输入法
WO2023248323A1 (ja) 文字入力方法、文字入力プログラム、及び文字入力装置
RU2344564C2 (ru) Раскладки знаков, способы ввода и устройство ввода
JPH0721797B2 (ja) 中国語入力装置
JPH08137594A (ja) キーボード
Martin et al. Continuous EdgeWrite: Dictionary-based disambiguation instead of explicit segmentation by the us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