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81450A - 전자기기의 에너지 저장장치 - Google Patents

전자기기의 에너지 저장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81450A
KR20060081450A KR1020050001775A KR20050001775A KR20060081450A KR 20060081450 A KR20060081450 A KR 20060081450A KR 1020050001775 A KR1020050001775 A KR 1020050001775A KR 20050001775 A KR20050001775 A KR 20050001775A KR 20060081450 A KR20060081450 A KR 200600814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ergy storage
electronic device
supercapacitors
storage device
supercapaci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017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범성
이돈희
정일형
김진홍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017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081450A/ko
Publication of KR200600814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8145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11/00Hybrid capacitors, i.e. capacitors having different positive and negative electrodes; Electric double-layer [EDL] capacitors; Processes for the manufacture thereof or of parts thereof
    • H01G11/10Multiple hybrid or EDL capacitors, e.g. arrays or modules
    • H01G11/12Stacked hybrid or EDL capaci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3Energy storage using capaci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Secondary Cells (AREA)
  • Battery Electrode And Active Subsutan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현대 휴대용 전자기기가 요구하는 고에너지밀도화, 장수명화, 초소형화, 경량화, 안전성 확보, 환경친화성 보장 등의 특성을 갖는 슈퍼 캐패시터를 이용한 새로운 에너지 저장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전자기기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순간 동작에 필요한 고율의 방/충전을 수행하는 슈퍼 캐패시터를 적층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된 다층구조로 구성되는데 있다.
슈퍼 캐패시터, 이차전지, 리튬 이차전지

Description

전자기기의 에너지 저장장치{apparatus for energy storage in electronic devices}
도 1 은 일반적인 슈퍼 캐패시터의 초고용량 발현원리를 나타낸 도면
도 2a, 2b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전자기기의 에너지 저장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제 1 실시예
도 3a 내지 3e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전자기기의 에너지 저장장치의 단위층 캐패시터의 연결방법을 나타낸 제 2 실시예
도 4a 내지 4c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전자기기의 에너지 저장장치의 충전 및 방전 구성을 나타낸 제 3 실시예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다공성 활성나노탄소 전극 20 : 전해질 음이온
30 : 전해질 양이온 40 : 슈퍼 캐패시터
50 : 휴대용 전자기기
본 발명은 에너지 저장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휴대용 전자기 기에 적용되어 이차전지를 대체 할 수 있는 새로운 에너지 저장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격적으로 고도 정보화 사회가 되어감에 따라 현대사회의 정보는 상업적인 용도와 더불어 개인적인 용도에도 점차 부가가치가 높아지고 있다. 이에 따라 음성, 문자, 영상 등의 정보를 처리하는 휴대용 전자기기의 발전이 눈부시게 이루어져왔다.
이러한 휴대용 전자기기는 정보통신 시스템의 높은 신뢰성과 더불어 장시간 안정적인 전기 에너지를 저장하는 장치의 확보가 필요하다.
이와 같은 관점에서 노트북 컴퓨터, 휴대전화, MP3 플레이어 등 휴대용 전자기기의 급속한 시장확대에 따라, 이들에 사용되는 에너지 저장장치의 고 에너지밀도화, 고출력화, 장기 신뢰화, 초소형화, 경량화, 안전성 확보, 환경친화성 보장 등의 조건에 대한 요구가 높아지고 있다.
현재 광범위한 휴대용 전자기기에 널리 사용되는 에너지 저장장치는 충전 및 방전이 반복적으로 가능한 이차전지이다. 최근 여러 종류의 이차전지 중 에너지밀도가 높은 리튬이온 및 리튬-폴리머 등 리튬의 금속이온을 기반으로 한 이차전지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특히, 상기 리튬 이차전지는 리튬이온 등의 알칼리 금속이온을 하전 담체로 하여 그 전하 수수에 수반하는 전기 화학 반응을 이용한 이차전지로 안정성이 우수하고 에너지 밀도가 큰 고용량 전지로서 각종 전자기기에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한 현대 휴대용 전자기기가 필요로 하는 에너지 저장장치는 높 은 에너지 밀도와 더불어 높은 에너지 출력 특성을 요구한다. 즉, 휴대용 전자기기의 기능이 복잡해짐에 따라 에너지 출력방식 또한 짧은 시간에 높은 출력을 발현해야 하는 요구가 발생하고 있다.
이차전지는 전기 화학반응을 이용한 전지이기 때문에 높은 에너지 밀도를 유지 할 수는 있지만, 화학반응 속도를 촉진하여 높은 출력에 대응하기에는 한계가 있으며 지나친 반응속도의 촉진은 반응열에 의해 전극을 열화시켜 성능을 저하시킬 수 있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상기한 현대 휴대용 전자기기가 필요로 하는 에너지 저장장치는 소형화 경량화 특성을 요구한다.
그런데 상기 리튬이온 이차전지는 양극에 비중이 큰 금속산화물을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단위질량 당 전기용량은 충분하다고는 할 수 없다. 따라서, 보다 경량인 전극재료를 사용하여 고용량전지를 개발하고자 하는 시도가 경량재료인 흑연과 전도성 고분자를 중심으로 검토되어 왔다.
그러나, 충방전 사이클을 거듭하면서도 용량이 저하되지 않는 소형화 경량화 이차전지의 개발은 많은 실패를 거듭해 오고 있는 실정이다.
이 때문에 고용량 전지를 실현하기 위해서 전이금속 함유 활성물질을 이용하지 않은 여러 가지 전지의 제안이 이루어지고 있지만, 에너지 밀도 및 에너지 출력이 높고 안정성이 우수한 전지는 아직 얻어지지 않고 있다.
또한, 상기한 현대 휴대용 전자기기가 필요로 하는 에너지 저장장치는 안정성의 확보와 친환경적 특성을 요구한다. 그런데 상기 리튬이온 이차전지는 누수 및 수분접촉에 의해 폭발할 위험성을 지니고 있으며, 폐기시 막대한 유해물 처리비용을 지불해야 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현대 휴대용 에너지 저장장치는 고 에너지밀도화, 고출력화, 장기 신뢰화, 초소형화, 경량화, 안전성 확보, 환경친화성 보장 등의 조건에 대한 요구를 만족하기 위한 새로운 에너지 저장장치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이와 같은 요구에 부응하기 위해, 미국 특허공보 제4,833,048호 및 일본 특허공보 제2715778호에는 디설파이드 결합을 갖는 유기화합물을 양극에 사용한 전지가 개시되어 있다. 이것은 디설파이드 결합의 생성, 해리를 수반하는 전기 화학적 산화 환원반응을 전지의 원리로서 이용한 것이다. 이 전지는 황이나 탄소라는 비중이 작은 원소를 주성분으로 하는 전극재료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고에너지 밀도의 대용량 전지라는 점에 있어서 일정한 효과를 나타내고 있다.
그러나, 해리된 결합이 재차 결합하는 효율이 작은 것이나, 활 물질의 전해액으로의 확산 때문에, 충방전 사이클을 거듭하면 용량이 저하되기 쉽다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동일하게 유기화합물을 이용한 전지로서, 도전성 고분자를 전극재료에 사용한 전지가 제안되어 있다. 이것은 도전성 고분자에 대한 전해질 이온의 도핑, 탈도핑 반응을 원리로 한 전지이다.
여기에서 설명하는 도핑 반응이란, 도전성 고분자의 산화 혹은 환원에 의해 생기는 하전 솔리톤이나 폴라론 등의 엑시톤을 대(對)이온에 의해 안정화시키는 반응이다. 또한 상기 탈도핑 반응이란 그 역반응에 상당하고, 대이온에 의해 안정화 된 엑시톤을 전기 화학적으로 산화 혹은 환원하는 반응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미국 특허공보 제4,442,187호에는 이러한 도전성 고분자를 양극 혹은 음극의 재료로 하는 전지가 개시되어 있다. 이 전지는 탄소나 질소라는 비중이 작은 원소만으로 구성된 것으로, 고용량 전지로서 개발이 기대되었다.
그러나 도전성 고분자에는 산화환원에 의해 생기는 엑시톤이 pi 전자공액계의 넓은 범위에 걸쳐 비국재화하고, 이들이 상호 작용한다는 성질이 있다. 이것은 발생하는 엑시톤의 농도에 한계를 초래하는 것으로, 전지의 용량을 제한하는 것이다. 이 때문에, 도전성 고분자를 전극 재료로 하는 전지에서는 경량화라는 점에서는 일정한 효과를 나타내고 있지만, 대용량이라는 점에서는 불충분하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고용량전지를 실현하기 위해서, 전이금속 함유 활 물질을 이용하지 않은 여러 가지 전지의 제안이 이루어지고 있으나, 에너지 밀도가 높고 고용량이며 안정성이 우수한 전지는 아직 얻어지지 않고 있다.
또한,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양극에 전이금속 산화물을 사용하는 리튬이온 전지에서는 원소의 비중이 크기 때문에 현상을 상회하는 고용량 전지의 제조가 원리적으로 곤란하였다. 이 때문에 고용량 전지를 실현하기 위해서 전이금속 함유 활 물질을 이용하지 않은 여러 가지 전지의 제안이 이루어지고 있지만, 에너지 밀도가 높고 고용량이며 안정성이 우수한 전지는 아직 얻어지지 않고 있다.
또한, 상기 초고용량 캐패시터는 소위 슈퍼 캐패시터(super capacitor) 혹은 울트라 캐패시터(ultra capacitor)라고 불리는 매우 큰 용량을 지닌 캐패시터를 지칭한 것이다. 이들은 작동 원리상으로 볼 때 총괄적으로 전기화학 캐패시터라고 불 리어질 수 있으며, 종래의 캐패시터와 이차전지와는 다른 새로운 범주의 에너지 저장장치이다.
이 전자화학 캐패시터는 전기 이중층 캐패시터(Electrochemical Double-Layer Capacitors : EDLC)와 산화환원 캐패시터(redox capacitor)라고 부르는 두 형태로 분류될 수 있다.
상기 EDLC는 도 1에서 도시된 것과 같이, 다공성 활성나노탄소 고체전극(10)과 전해질용액 같이 두상의 개면에 있어서 정, 부의 전하는 굉장히 짧은 거리를 배열 분포한다.
이때, 상기 다공성 활성나노탄소 고체전극(10)이 정전하(+)를 띄고 있는 경우에서는 전하를 보상하기 위해 용액중의 전해질 음이온(-)(20)이 배열하고, 상기 다공성 활성나노탄소 고체전극(10)이 부전하(-)를 띄고 있는 경우에서는 전하를 보상하기 위해 용액중의 전해질 양이온(+)(30)이 배열하는데, 이 전하의 배열에 의해 전기 이중층이 생기게 되며, 이것을 이용한 캐패시터이다. 여기서, 상기 전기 이중층은 다공성 활성나노탄소 전극(10)과 전해질 이온(20)(30)사이에 전자의 이동을 동반하지 않은 비 유도전류(faradic) 반응에 의해 형성된다.
한편, 전자의 수수를 동반하는 흡착반응 또는 산화환원반응 등의 유도전류 반응에 있어서도 용량이 생기는데, 이 용량을 가상용량(pseudo capacitor)라고 하며, 이것을 이용한 캐패시터를 산화환원 캐패시터, 가상 캐패시터라고 한다.
이 산화환원 캐패시터는 상기 EDLC에 비해 축적용량이 3~4배정도 크지만 RuOx, IrOx 등 고가의 금속산화물을 전극 물질로 하여 제조상의 어려움과 높은 ESR(Equivalent series resistance) 등의 문제점으로 아직 보편화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현대 휴대용 전자기기가 요구하는 고에너지밀도화, 장수명화, 초소형화, 경량화, 안전성 확보, 환경친화성 보장 등의 특성을 갖는 슈퍼 캐패시터를 이용한 새로운 에너지 저장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슈퍼 캐패시터의 특성을 더욱 향상시켜 이차전지 없이 슈퍼 캐패시터 단독으로 현대 휴대용 전자기기가 요구하는 고에너지밀도화, 장수명화, 초소형화, 경량화, 안전성 확보, 환경친화성 보장 등의 특성을 만족시키는 에너지 저장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전자기기의 에너지 저장장치의 특징은 전자기기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순간 동작에 필요한 고율의 방/충전을 수행하는 슈퍼 캐패시터를 적층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된 다층구조로 구성되는데 있다.
이때, 상기 다층구조는 각각의 슈퍼 캐패시터의 단위층을 10 내지 500층으로 적층한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각각의 슈퍼 캐패시터의 연결은 직렬 및 병렬 중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연결되어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각각의 슈퍼 캐패시터의 출력 전압은 1 내지 5 볼트인 것이 바 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슈퍼 캐패시터는 소형 전자기기 외부에 탈착이 가능한 외장형 구조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전자기기의 에너지 저장장치의 다른 특징은 상기의 구조를 갖는 슈퍼 캐패시터와, 상기 슈퍼 캐패시터와 연계되어 소형 전자기기의 연속 동작에 따른 저율의 방전을 수행하는 재충전이 가능한 이차전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특성 및 이점들은 첨부한 도면을 참조한 실시예들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 명백해질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전자기기의 에너지 저장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a, 2b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전자기기의 에너지 저장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제 1 실시예이다.
도 2a와 같이, 휴대용 전자기기(5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고에너지 밀도와 고에너지 출력이 동시에 가능한 슈퍼 캐패시터(40)가 휴대용 전자기기 다양한 에너지 소모 방식에 대응한다.
이때, 상기 슈퍼 캐패시터(40)는 전극/전해질 계면에서 이온들의 정전기적 배향(전기화학이중층: electrochemical double-layer)을 이용하여 전하를 저장하는 에너지 저장장치이다. 또한, 슈퍼 캐패시터는 나노스케일의 다공성 탄소전극재료를 사용하여 집전 면적을 증가시켰고, 유전층의 두께가 약 10 이온층 (ionic layer)으 로 감소시켜 결국 집전용량(capacitance)을 초고용량으로 증가시킬 수 있다.
따라서, 고도 정보화 사회가 요구하는 음성, 문자, 영상 등의 정보를 단독 혹은 복합적으로 처리하는 휴대용 전자기기에 장시간 안정적인 전기에너지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슈퍼 캐패시터(40)로 구성되는 에너지 저장장치는 도 1에서 도시된 구조를 갖고 있으며, 아울러 도 2b와 같이 각각의 슈퍼 캐패시터의 단위층을 10 내지 500층으로 적층한 다층구조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다층구조로 구성되는 각각의 슈퍼 캐패시터의 연결은 직렬 및 병렬 중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연결되어 구성된다.
이와 같이 다층구조를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에너지 저장장치의 연결방법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a 내지 3e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전자기기의 에너지 저장장치의 단위층 캐패시터의 연결방법을 나타낸 제 2 실시예이다.
도 3a는 단위층 캐패시터 각각의 단위층 전체를 병렬로 연결한 구조로, 순차적으로 적층된 각각의 슈퍼 캐패시터를 순차적으로 병렬 연결하고 있다.
도 3b는 단위층 캐패시터 각각의 단위층 중 각 2개 층을 직렬 연결 후 전체 병렬 연결한 구조로, 순차적으로 적층된 각각의 슈퍼 캐패시터를 이웃하는 2개의 층을 직렬로 연결하고, 이렇게 2개 쌍으로 직렬 연결된 슈퍼 캐패시터 각각을 순차적으로 병렬 연결하고 있다.
도 3c는 단위층 캐패시터 각각의 단위층 중 각 3개 층을 직렬 연결 후 전체 병렬 연결한 구조로, 순차적으로 적층된 각각의 슈퍼 캐패시터를 연속하는 3개의 층을 직렬로 연결하고, 이렇게 3개 쌍으로 직렬 연결된 슈퍼 캐패시터 각각을 순차적으로 병렬 연결하고 있다.
도 3d는 단위층 캐패시터 각각의 단위층 중 각 4개 층을 직렬 연결 후 전체 병렬 연결한 구조로, 순차적으로 적층된 각각의 슈퍼 캐패시터를 연속하는 4개의 층을 직렬로 연결하고, 이렇게 4개 쌍으로 직렬 연결된 슈퍼 캐패시터 각각을 순차적으로 병렬 연결하고 있다.
도 3e는 단위층 캐패시터 각각의 단위층 중 각 5개 층을 직렬 연결 후 전체 병렬 연결한 구조로, 순차적으로 적층된 각각의 슈퍼 캐패시터를 연속하는 5개의 층을 직렬로 연결하고, 이렇게 5개 쌍으로 직렬 연결된 슈퍼 캐패시터 각각을 순차적으로 병렬 연결하고 있다.
이때, 상기 단위층 캐패시터 각각을 적층한 적층구조로 연결된 슈퍼 캐패시터의 출력 전압은 1 내지 5 볼트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슈퍼 캐패시터는 이차전지와 일체형으로 구성 가능하고 소형 전자기기 외부에 탈착이 가능한 외장형 구조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방전의 경우 휴대용 전자기기와 결합된 상태에서 행해지며, 충전의 경우 휴대용 전자기기와 결합된 상태 혹은 휴대용 전자기기와 분리된 상태에서 각각 가능한 구조로 구성된다.
도 4a 내지 4c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전자기기의 에너지 저장장치의 충전 및 방전 구성을 나타낸 제 3 실시예로서, 도 4a는 슈퍼 캐패시터의 방전을 도시하 고 있으며, 도 4b 및 4c는 슈퍼캐패시터의 방전 원리를 도시하고 있다.
도 4a와 같이, 상기 슈퍼 캐패시터(40)의 방전은 휴대용 전자기기(50)와 결합된 상태에서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슈퍼 캐패시터(40)의 충전은 도 4b와 같이 휴대용 전자기기(50)와 결합된 상태 및 도 4c와 같이 휴대용 전자기기(50)와 분리되어 별도의 충전시스템을 이용한 상태에서 가능하다.
이와 같은 상기 슈퍼 캐패시터(40)는 화학적 반응에 의존하는 이차전지와 달리 이론적으로 충방전 횟수가 무한하여 휴대용 전자기기의 사용시간에 따라 에너지 저장장치의 성능저하가 일어나지 않아 장수명화 실현이 가능하다.
결국, 에너지 저장장치가 분리되어도 전원을 유지하고 있어야 하는 메모리 백업용 캐패시터를 제외한 보드내의 고출력용 캐패시터의 공간이 질량이 새로운 에너지 저장장치의 도입으로 보존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슈퍼 캐패시터(40)를 에너지 저장장치로 사용하면 휴대용 전자기기 내부의 보드, 즉 기존 휴대용 전자기기에서 고율의 방전에 사용되던 수십 개의 캐패시터를 고에너지밀도화를 갖는 슈퍼 캐패시터 하나로 대체가능 하다.
이와 같은 원인들로 휴대용 전자기기의 초소형화 및 경량화를 이룰 수 있다.
또한, 에너지 저장장치인 슈퍼 캐패시터가 휴대용 전자기기 내부로 삽입되는 수십 개의 기존 고출력용 캐패시터의 기능을 대신할 수 있기에 가격 면에서도 유리한 장점을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을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첨부된 청구범위에서 알 수 있 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한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지 자에 의해 변형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전자기기의 에너지 저장장치의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고에너지 밀도와 고에너지 출력을 갖는 슈퍼 캐패시터를 휴대용 소형전자기기 시스템의 에너지 저장장치로 사용함으로써 휴대용 전자기기의 전체적인 성능 및 기능 향상을 꾀할 수 있다. 즉, 현재 휴대용 전자기기에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이차전지의 단점인 수명저하, 안전성, 환경오염 등을 막을 수 있는 대체 에너지 저장장치로의 활용이 가능하다.
둘째, 에너지의 효율적인 이용에 유리하고 현재 휴대용 전자기기의 에너지 저장장치로 사용되고 있는 이차전지에 비해 제조비용 및 폐기비용을 고려할 경우 단가가 싸다는 장점이 있다. 이것은 휴대용 전자기기의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셋째, 전기에너지를 사용하는 다양한 동력시스템의 여러 요소에서 그 활용이 가능하므로 엄청난 규모의 수요잠재력을 가질 수 있으며, 가장 가까이에서는 이차전지와 교체되는 모든 출력 범위의 에너지원으로서의 활용에 그 무게를 둘 수 있다. 이 경우 낮은 전압에서 구동하는 휴대용 전자기기에서 고전압에서 구동하는 대형 전자기기까지 모든 기기에 적용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Claims (10)

  1. 전자기기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순간 동작에 필요한 고율의 방/충전을 수행하는 슈퍼 캐패시터를 적층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된 다층구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의 에너지 저장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층구조는 각각의 슈퍼 캐패시터의 단위층을 10 내지 500층으로 적층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의 에너지 저장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슈퍼 캐패시터의 연결은 직렬 및 병렬 중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연결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의 에너지 저장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슈퍼 캐패시터의 연결은 적층된 각각의 슈퍼 캐패시터를 순차적으로 병렬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의 에너지 저장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슈퍼 캐패시터의 연결은 순차적으로 적층된 각각의 슈퍼 캐패시 터를 이웃하는 2개의 층을 직렬로 연결하고, 이렇게 2개 쌍으로 직렬 연결된 슈퍼 캐패시터 각각을 순차적으로 병렬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의 에너지 저장장치.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슈퍼 캐패시터의 연결은 순차적으로 적층된 각각의 슈퍼 캐패시터를 적어도 3개 이상의 층을 직렬로 연결하고, 이렇게 직렬 연결된 슈퍼 캐패시터 각각을 순차적으로 병렬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의 에너지 저장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직렬 연결되는 적어도 3개 이상의 층은 연속되어 적층된 슈퍼 캐패시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의 에너지 저장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슈퍼 캐패시터의 출력 전압은 1 내지 5 볼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의 에너지 저장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슈퍼 캐패시터는 소형 전자기기 외부에 탈착이 가능한 외장형 구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의 에너지 저장장치.
  10. 상기 청구항 1항의 구조를 갖는 슈퍼 캐패시터와,
    상기 슈퍼 캐패시터와 연계되어 소형 전자기기의 연속 동작에 따른 저율의 방전을 수행하는 재충전이 가능한 이차전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의 에너지 저장장치.
KR1020050001775A 2005-01-07 2005-01-07 전자기기의 에너지 저장장치 KR2006008145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1775A KR20060081450A (ko) 2005-01-07 2005-01-07 전자기기의 에너지 저장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1775A KR20060081450A (ko) 2005-01-07 2005-01-07 전자기기의 에너지 저장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81450A true KR20060081450A (ko) 2006-07-13

Family

ID=371724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01775A KR20060081450A (ko) 2005-01-07 2005-01-07 전자기기의 에너지 저장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08145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0428B1 (ko) * 2007-05-04 2009-08-04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균등 충전 단자를 포함한 울트라 커패시터 모듈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0428B1 (ko) * 2007-05-04 2009-08-04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균등 충전 단자를 포함한 울트라 커패시터 모듈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Shukla et al. Electrochemical capacitors: Technical challenges and prognosis for future markets
KR100686804B1 (ko) 초고용량 캐패시터을 구비하는 전극 조립체 및 이를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
CN106688132B (zh) 硅二次电池
JP2004355823A (ja) ハイブリッド型蓄電部品
US9385539B2 (en) Surface-mediated cell-powered portable computing devices and methods of operating same
Schneuwly Charging ahead [ultracapacitor technology and applications]
US20110188171A1 (en) Electric double layer capacito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EP3780237A1 (en) Unit cell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KR101008795B1 (ko) 에너지 저장장치
KR20060081450A (ko) 전자기기의 에너지 저장장치
KR20090102396A (ko) 에너지 저장장치
KR20130085572A (ko) 캐패시터 및 캐패시터 제조방법
KR102028677B1 (ko) 그래핀 전극을 적용한 적층형 리튬 이온 커패시터
WO2005076296A1 (ja) 電気化学デバイスおよび電極体
KR102385369B1 (ko) 에너지 저장 장치
KR101025983B1 (ko) 에너지 저장장치
KR102555960B1 (ko) 전기화학소자용 전해액 첨가제 및 그를 포함하는 전해액
KR101022308B1 (ko) 에너지 저장장치
KR101258545B1 (ko) 저항특성이 개선된 전기에너지 저장장치 및 그 제조방법과, 이를 위한 내부 터미널
Vidhya et al. Prospective Materials for Potential Applications in Energy Storage Devices
CN202025655U (zh) 一种双电层电容器储能结构
KR101368226B1 (ko) 리튬 2차전지용 전극구조체 및 상기 전극구조체를 포함하는 2차전지
KR100919103B1 (ko) 에너지 저장장치
KR101205846B1 (ko) 플레이트형 집전체를 갖는 리튬 이온 커패시터
KR20060029341A (ko) 소형 전자기기의 에너지 저장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