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29404A - Ground anchor - Google Patents
Ground ancho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60029404A KR20060029404A KR1020040078328A KR20040078328A KR20060029404A KR 20060029404 A KR20060029404 A KR 20060029404A KR 1020040078328 A KR1020040078328 A KR 1020040078328A KR 20040078328 A KR20040078328 A KR 20040078328A KR 20060029404 A KR20060029404 A KR 20060029404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anchor
- ground
- steel wire
- ground anchor
- stress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02—Foundation pits
- E02D17/04—Bordering surfacing or stiffening the sides of foundation pit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74—Means for anchoring structural elements or bulkheads
- E02D5/76—Anchorings for bulkheads or sections thereof in as much a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74—Means for anchoring structural elements or bulkheads
- E02D5/80—Ground anchor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50/00—Production methods
- E02D2250/0046—Production methods using prestressing technique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30—Miscellaneous comprising anchoring detail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25—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omprising retention means in the backfill
- E02D29/0233—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omprising retention means in the backfill the retention means being anch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iles And Underground Anch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그라운드 앵커를 개량하여 지중에서 그라운드 앵커가 보다 큰 응력을 발휘할 수 있게 하여 흙막이벽을 보다 견고하게 지지할 수 한 그라운드 앵커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ground anchor that can support the earth wall more firmly by improving the ground anchor to enable the ground anchor to exert greater stress in the ground.
종래의 그라운트 앵커는 인장력에 대항하는 응력이 내하체(2)와 앵커분체(1)의 주변에만 집중되어 응력이 넓은 범위에 분포되지 못함에 따라 인장력이 응력을 한계를 넘어서면 내하체(2)의 주변에서 콘크리트(300)가 파열되는 문제점이 있었던 바, 본 발명은 강선(3)의 일단이 물리어 고정되는 앵커본체(1)와; 앵커본체(1)의 선단에 설치되는 내하체(2)와; 강선(3)의 외부에 감싸여 설치되는 피복(30)과; 강선(3)의 또 다른 단부가 결합되는 앵커헤드(4)로 구성되는 것에 있어서, 상기 피복(30)의 외측에 보강파이프(5)를 설치시켜 구성함으로써, 그라운드 앵커가 지중에서 큰 응력을 발휘하게 함은 물론 보다 넓은 범위에 응력이 분포되어 흙막이벽을 보다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는 효과와 아울러 그라운드 앵커의 제조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임.
Conventional ground anchors are concentrated in the periphery of the load bearing body 2 and the anchor powder 1 because the stress against the tensile force is not distributed over a wide range. Bar has a problem that the concrete 300 is ruptured in the vicinity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nchor body (1) is fixed to one end of the steel wire (3); A lower body 2 installed at the tip of the anchor body 1; A cover 30 wrapped around the outside of the steel wire 3 and installed; In the structure consisting of an anchor head (4) to which the other end of the steel wire (3) is coupled, by constructing a reinforcing pipe (5) outside the coating (30), the ground anchor exhibits a large stress in the ground Of course, the stress is distributed in a wider range, and the effect of supporting the retaining wall more firmly, as well as reducing the manufacturing cost of the ground anchor.
Description
도 1 은 일반적인 그라운드 앵커의 시공 실시 예를 도시한 단면도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construction of a general ground anchor
도 2 는 종래의 그라운드 앵커를 도시한 사시도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ventional ground anchor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그라운드 앵커를 발췌 도시한 사시도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ground anch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 는 본 발명의 요부인 고정장치를 발췌 도시한 분리 사시도Figure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tract of the main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그라운드 앵커의 시공 실시 예를 도시한 단면도
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construction of the ground anch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 앵커본체 2. 내하체1. Anchor
3. 강선 4. 앵커헤드3.
5. 보강파이프 6. 고정장치5.
30. 피복
30. Cloth
본 발명은 흙막이벽을 지지하는 그라운드 앵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그라운드 앵커를 개량하여 지중에서 그라운드 앵커가 보다 큰 응력을 발휘할 수 있게 하여 흙막이벽을 보다 견고하게 지지할 수 한 그라운드 앵커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ground anchor for supporting a retaining wall.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ground anchor that can support a retaining wall more firmly by improving a ground anchor to exert a greater stress in the ground. will be.
일반적으로 고층건물이나 지하철 또는 기타 대형구조물의 지하구조물을 건설할 때에는 지하로 깊이를 더해가면서 주변에 H빔을 수직으로 고정하고 대형의 괴목을 이용하여 흙막이벽을 형성하게 된다. 이 경우에 횡으로 설치된 괴목이 받는 주위의 토압은 지하로 들어감에 따라 수백톤에 이르는 압력을 받게 되어 결국 흙막이벽이 압력을 이기지 못하고 붕괴하는 사고가 발생하게 된다.In general, when constructing high-rise buildings, underground structures of subways or other large structures, H-beams are fixed vertically while adding depth to the basement, and a large wall is used to form an earthen wall. In this case, the earth pressure around the lateral trees is pushed up to several hundred tons as it enters the basement, resulting in the collapse of the wall without overcoming the pressure.
이에 흙막이벽의 붕괴를 막기 위해 대형 빔을 이용으로 지하공간 양측의 흙막이벽을 연결하는 강제 보강공법을 실시하기도 하지만 이와 같은 경우 격자로 설치된 강철제 빔이 원활한 시공을 방해하는 장애요소가 되어 작업능률 저하와 공사기간 연장, 공사비용 상승 및, 막대한 철재 낭비등의 여러가지 문제를 야기시키게 된다.In order to prevent the collapse of the retaining wall, a forced beam reinforcement method is used to connect the retaining walls of both sides of the underground space with a large beam. However, in this case, the steel beam installed as a grid is an obstacle to smooth construction. It causes many problems such as deterioration, extension of construction period, rising construction cost, and huge waste of steel.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흙막이벽의 이면 지중에 구멍을 형성시키고, 이에 강선이 연결된 앵커를 삽입시킨 후 구멍의 내부로 콘크리트를 주입 양생시켜 강선이 흙막이벽을 지지할 수 있게 하는 시공방법이 널리 이용되고 있다.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a construction method for forming a hole in the back ground of the retaining wall, inserting an anchor connected to the steel wire, and injecting and curing concrete into the hole allows the steel wire to support the retaining wall. It is becoming.
첨부된 도면 도 1 은 일반적인 그라운드 앵커의 시공 실시 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nstruction example of a general ground anchor.
도 1 에서와 같이, 흙막이벽(100)의 이면 지중에 구멍(200)을 형성시키고, 구멍(200)의 내부로 강선(3)이 연결된 앵커본체(1)를 삽입시킨 다음 구멍(200)의 내부로 콘크리트(300)를 주입시켜 양생시킨다.As shown in FIG. 1, a
주입된 콘크리트(300)의 양생이 완료되면 흙막이벽(100)의 외부로 노출된 강선(3)을 인장시키고 이를 앵커헤드(4)에 고정시킴으로서 흙막이벽(100)이 흙의 압력에 대항 할 수 있는 것이다.When curing of the injected
첨부된 도면 도 2 는 종래의 그라운드 앵커를 도시한 단면도이다.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nventional ground anchor.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종래에 있어서의 그라운드 앵커는 강선(3)의 일단이 물리어 고정되는 앵커본체(1)와; 앵커본체(1)의 선단에 설치되는 내하체(2)와; 강선(3)의 외부에 감싸여 설치되는 피복(30)과; 강선(3)의 또 다른 단부가 결합되는 앵커헤드(4)로 구성된다.As shown in Fig. 2, the ground anchor in the prior art includes: an
상기 내하체(2)는 주물로 제작되며 구멍(200)에 주입되는 콘크리트(300)와 결합되어 강선(3)의 인장력으로 당겨지는 앵커분체(1)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The load-bearing
그라운드 앵커가 본래의 기능을 충분하게 발휘할 수 있으려면 인장력에 대항하는 응력이 커야되고 보다 넓게 분포되어야 한다.In order for the ground anchor to be able to fully function its original function, the stress against the tensile force must be large and distributed more widely.
그러나 종래의 그라운트 앵커는 인장력에 대항하는 응력이 내하체(2)와 앵커분체(1)의 주변에만 집중되어 응력이 넓은 범위에 분포되지 못함에 따라 인장력이 응력을 한계를 넘어서면 내하체(2)의 주변에서 콘크리트(300)가 파열되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e conventional ground anchors are concentrated only in the periphery of the
이는 강선(3)이 피복(30)에 의해 가려져 콘크리트(300)와 결합되지 못하고, 피폭(30)은 합성수지재질로 형성되어 콘크리트(300)와의 결합력이 매우 취약하기 때문이다.This is because the steel wire (3) is covered by the
이와 같이 콘크리트(300)가 파열되면 인장력에 대한 응력이 감소됨은 물론 파열된 틈새로 수분이 침투되어 앵커본체(1)와 강선(3)을 부식시키고 결국에는 응력이 상실되어 그라운드 앵커로의 기능이 상실되는 문제점이 있다.
As such, when the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그라운드 앵커를 개량하여 지중에서 큰 응력을 발휘하게 함은 물론 보다 넓은 범위에서 응력이 분포되게 하여 흙막이벽을 보다 견고하게 지지할 수 한 그라운드 앵커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conventional problems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mprove the ground anchor to exert a large stress in the ground as well as to distribute the stress in a wider range to support the earth wall more firmly The purpose is to provide as many ground anchors.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즉, 본 발명은 강선의 일단이 물리어 고정되는 앵커본체와; 앵커본체의 선단에 설치되는 내하체와; 강선의 외부에 감싸여 설치되는 피복과; 강선의 또 다른 단부가 결합되는 앵커헤드로 구성되는 것에 있어서, 상기 강선의 피복 외측에 보강파이프를 설치시켜 구성되는 것에 특징을 둔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as follows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at is,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anchor body is fixed to one end of the steel wire; A load bearing body installed at the tip of the anchor body; A cloth wrapped and installed on the outside of the liner; In the configuration of the anchor head to which the other end of the steel wire is coupled, the reinforcing pipe is provided on the outer side of the coating of the steel wire.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첨부된 도면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그라운드 앵커를 발췌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 는 본 발명의 요부인 고정장치를 발췌 도시한 분리 사시도이다.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tract of the ground anch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tract of the fixing device that is the main par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 및 도 4 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강선(3)의 일단이 물리어 고정되는 앵커본체(1)와; 앵커본체(1)의 선단에 설치되는 내하체(2)와; 강선(3)의 외부에 감싸여 설치되는 피복(30)과; 강선(3)의 또 다른 단부가 결합되는 앵커헤드(4)로 구성되는 것에 있어서, 상기 피복(30)의 외측에 보강파이프(5)를 설치시켜 구성되는 것이다.As shown in Figures 3 and 4,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anchor body (1) to which one end of the steel wire (3) is bitten and fixed; A
보강파이프(5)를 설치시킴에 있어서는 설치되는 보강파이프(5)와 피복(30)과의 사이에 유동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installing the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보강파이프(5)에 피복(30)과의 견고한 결합을 위한 고정장치(6)를 설치시켜 구성하였다.To this end,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by installing a
상기 고정장치(6)는 보강파이프(5)의 단부에 경사진 나사부(61)와, 상기 나사부(61)에 형성되는 절개부(62)과, 나사부(61)에 체결되는 조임너트(63)로 구성된다.The
상기 고정장치(6)는 보강파이프(5)의 양측 단부 모두에 형성시킬 수도 있고, 어느 일단에만 형성시킬 수 있다. 즉, 보강파이프(5)가 피복(30)의 중간에 설치되는 경우에는 양측 단부 모두에 고정장치(6)를 형성시키고, 보강파이프(5)의 일단이 내하체(2) 또는 앵커본체(1)와 같은 고정물체에 지지되는 경우에는 고정물체와 접촉되는 않는 단부에만 형성시키게 되는 것이다.The
또한 상기 보강파이프(5)의 외주연에는 콘크리트(300)와의 결합력을 증대시키는 리브(55)를 형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o form
그리고 이렇게 구성되는 보강파이프(5)는 필요에 따라 다수개로 설치시켜 사용할 수 있다.And the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은 길이재인 보강파이프(5)가 콘크리트(300)와 견고하게 결합되어 인장력에 대한 응력을 크게 할 수 있으며, 응력의 분포를 보다 넓은 범위에까지 확대시킬 수 있는 것이다.In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the
이로써 기존의 내하체(2)를 고가의 주물로 형성시키지 않고 합성수지재질로 대체할 수 있어 그라운드 앵커의 제조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다.As a result, the existing load-bearing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이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가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s, and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within the scope allowed by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그라운드 앵커가 지중에서 큰 응력을 발휘하게 함은 물론 보다 넓은 범위에 응력이 분포되어 흙막이벽을 보다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는 효과와 아울러 그라운드 앵커의 제조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ground anchor not only exerts a large stress in the ground, but also a stress is distributed in a wider range, thereby supporting the soil wall more firmly and reducing the manufacturing cost of the ground anchor. There is an effect that can be made.
Claims (4)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40078328A KR20060029404A (en) | 2004-10-01 | 2004-10-01 | Ground ancho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40078328A KR20060029404A (en) | 2004-10-01 | 2004-10-01 | Ground anchor |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4-0028048U Division KR200370707Y1 (en) | 2004-10-04 | 2004-10-04 | Ground anchor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60029404A true KR20060029404A (en) | 2006-04-06 |
Family
ID=371397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40078328A KR20060029404A (en) | 2004-10-01 | 2004-10-01 | Ground anchor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60029404A (en)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27091B1 (en) * | 2009-07-27 | 2009-11-13 | 김용기 | Integrated distributed compression anchor and pressure grouting anchoring method using the same |
KR100930347B1 (en) * | 2007-07-23 | 2009-12-08 | 김용기 | Integrated distributed compression anchor and pressure grouting anchoring method using the same |
KR101089173B1 (en) | 2009-02-18 | 2011-12-02 | 이충규 | Ground anchor |
-
2004
- 2004-10-01 KR KR1020040078328A patent/KR20060029404A/en active IP Right Grant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30347B1 (en) * | 2007-07-23 | 2009-12-08 | 김용기 | Integrated distributed compression anchor and pressure grouting anchoring method using the same |
KR101089173B1 (en) | 2009-02-18 | 2011-12-02 | 이충규 | Ground anchor |
KR100927091B1 (en) * | 2009-07-27 | 2009-11-13 | 김용기 | Integrated distributed compression anchor and pressure grouting anchoring method using the same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3753354A (en) | Corrosion-protected anchoring rods for anchoring structural parts in the earth, as well as method of producing anchorings with corrosion-protected anchor rods | |
KR101765683B1 (en) | Two fracture type anchor assembly of and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 |
KR101353882B1 (en) | Method of reinforcement and construction of pillar of neighboring tunnel | |
KR100971147B1 (en) | Reinforce unit for grouting and soil nailing reinforce method using the same | |
KR101864857B1 (en) | Construction method of foundation pile with reinforced casing structure | |
KR101789567B1 (en) | Concrete anchor block for strengthening an anchor component force on the slope | |
KR102018140B1 (en) | A micro-pile and the method | |
KR200370707Y1 (en) | Ground anchor | |
KR20060029404A (en) | Ground anchor | |
KR101202845B1 (en) | Hybrid ground reinforcing method by earth anchor and soil nail | |
KR100862387B1 (en) | Top down construction method of tension kit for top down construction of acupressure permanent anchor | |
KR101027788B1 (en) | Head reinforcement structure of PHC pile | |
JP4707177B2 (en) | Seismic structure of wooden house | |
KR200392177Y1 (en) | Ground anchor of removal wire | |
JPH0324665Y2 (en) | ||
JP3584323B2 (en) | Slope stabilization method | |
KR100776620B1 (en) | Bar Type Anchor | |
KR100741506B1 (en) | Civil reinforcement | |
JP6296963B2 (en) | Natural ground reinforcement method and structure | |
KR101363483B1 (en) | High performance composite anchor | |
KR101935544B1 (en) | Compressive ground pressure type ground anchor | |
KR101368055B1 (en) | Ground anchor | |
KR200203646Y1 (en) | Rihforcement fixer for secondary pre-stress | |
KR101213588B1 (en) | Tie Cable for Ground Embankment | |
KR102612246B1 (en) | Soil nailing structure for permanent slope reinforcement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41001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51130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41001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610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Patent event date: 20061117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70413 |
|
NORF |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 | ||
PC1904 |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