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13771A - 전기오븐레인지의 오븐부 구조 - Google Patents

전기오븐레인지의 오븐부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13771A
KR20060013771A KR1020040062362A KR20040062362A KR20060013771A KR 20060013771 A KR20060013771 A KR 20060013771A KR 1020040062362 A KR1020040062362 A KR 1020040062362A KR 20040062362 A KR20040062362 A KR 20040062362A KR 20060013771 A KR20060013771 A KR 200600137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ven
food
rack
handle
rang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623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해운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623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013771A/ko
Publication of KR200600137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13771A/ko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Landscapes

  • Electric Stoves And Ran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오븐레인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전기오븐레인지오븐부의 내부에 구비되는 랙의 전단부에 손잡이가 형성되는 전기오븐레인지의 오븐부 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전기오븐레인지의 오븐부 구조는, 음식물이 요리되는 공간인 오븐캐비티(320)와, 상기 오븐캐비티(320)의 양 측면을 형성하는 측면플레이트 (370)와, 상기 측면플레이트(370)에 돌출되게 형성되는 그루브(380)와, 상기 그루브(380)에 의해 지지되면서 요리될 음식물 또는 음식물이 담긴 용기를 상면에 위치시키게 되는 랙(60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전기오븐레인지의 오븐부(300) 구조에 있어서; 상기 랙(600)에는 하방으로 절곡된 손잡이(610)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손잡이(610)는 랙(600)의 전단부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전기오븐레인지의 오븐부 구조는 사용자의 부상을 예방할 수 있어 안전성이 향상되고, 사용의 편의성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전기오븐레인지, 오븐부, 오븐캐비티, 랙, 그루브, 손잡이

Description

전기오븐레인지의 오븐부 구조 {A structure of oven department for electric oven range}
도 1 은 종래 기술에 의한 일반적인 전기오븐레인지를 나타낸 사시도.
도 2 는 종래 기술에 의한 전기오븐레인지의 오븐부 내부를 나타낸 부분 절결사시도.
도 3 은 종래 기술에 의한 전기오븐레인지의 랙을 나타낸 평면도.
도 4 는 본 발명에 의한 바람직한 일실시예가 채용된 전기오븐레인지를 나타낸 사시도.
도 5 는 본 발명에 의한 바람직한 일실시예가 채용된 전기오븐레인지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6 은 본 발명에 의한 전기오븐레인지 오븐부의 오븐도어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7 은 본 발명에 의한 전기오븐레인지의 요부 구성인 랙을 나타낸 사시도.
도 8 은 본 발명에 의한 전기오븐레인지의 요부 구성인 랙을 나타낸 정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탑버너부 110 : 상판
120 : 버너(Burner) 200 : 제어부
210 : 디스플레이 220 : 조작노브
300 : 오븐부 310 : 오븐도어
312 : 도어핸들 314 : 전면투시창
320 : 오븐캐비티 330 : 상부히터
340 : 하부히터 350 : 후면플레이트
360 : 하면플레이트 370 : 측면플레이트
380 : 그루브(Groove) 382 : 그루브돌기
390 : 가스켓 400 : 드로워부
410 : 드로워손잡이 500 : 컨벡션챔버
510 : 컨벡션커버 520 : 흡입구
530 : 컨벡션팬 540 : 컨벡션모터
550 : 컨벡션히터 600 : 랙(Rack)
610 : 손잡이 620 : 테두리
622 : 전방빔 624 : 후방빔
626 : 좌측빔 628 : 우측빔
630 : 중앙빔
본 발명은 전기오븐레인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전기오븐레인지 오븐부의 내부에 구비되는 랙의 전단부에 손잡이가 형성되는 전기오븐레인지의 오븐부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오븐레인지(Oven range)는 요리할 음식물을 밀폐된 공간내에서 고온의 열기를 이용하여 요리하는 오븐(Oven)과 요리될 음식물을 용기에 담아 위치시킨 후 직접 가열하여 음식물을 요리하는 레인지(Range)가 결합되어 일체화된 하나의 주방기기이다. 이러한 오븐레인지는 열원(熱源)의 종류에 따라 가스오븐레인지와 전기오븐레인지로 나누어진다.
가스오븐레인지는 가스를 열원으로 하여 다수개의 버너(Burner)에 점화되는 불꽃으로 음식물을 가열하여 요리하고, 전기오븐레인지는 전기를 열원으로 다수개의 히터(Heater)에서 발산되는 열로 음식물을 가열하여 요리하게 된다. 즉, 가스오븐레인지는 가스를 열원으로 하여 전도열과 대류열을 이용하여 음식물을 요리하는 요리 기구이며, 전기오븐레인지는 전기를 열원으로 하여 복사열과 대류열 및 전도열을 이용하여 음식물을 요리하는 요리 기구이다.
또한, 전기오븐레인지는 요리할 음식물의 겉과 속을 동시에 가열하여 가스오븐레인지보다 요리 속도가 더 빠르고, 열효율과 안전성이 높아 그 이용이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다.
이하에서는 도시된 도면을 참조하여 전기오븐레인지에 대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도 1 에는 종래 기술에 의한 일반적인 전기오븐레인지를 나타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전기오븐레인지는 용기에 담긴 음식물을 가열하여 요리하는 탑버너부(10)와, 전기오븐레인지의 동작을 조작하는 제어부(20)와, 밀폐뙨 공간의 열대류에 의해 음식물을 요리하는 오븐부(30) 그리고, 요리된 음식물을 데우거나 간단한 요리를 담당하며, 요리된 음식물을 보관하기도 하는 드로워부(40)가 결합되어 일체로 구성된다.
전기오븐레인지의 상부에는 탑버너부(10)가 설치된다. 상기 탑버너부(10)의 상면은 세라믹 소재로 성형되는 상판(12)에 의해 차폐되며, 상기 상판(12)의 하측에는 인가되는 전기를 열원으로 열을 발산하는 버너(14)가 다수개 구비된다. 상기 탑버너부(10)의 하방에는 제어부(20)가 설치된다.
상기 제어부(20)는 전기오븐레인지의 동작을 조절하는 부분으로 전면 일측에는 전기오븐레인지의 동작 상태 및 요리 시간, 요리 온도 등이 표시되는 디스플레이(22)가 형성되며, 상기 디스플레이(22)의 측방에는 사용자가 전기오븐레인지의 동작을 조작하도록 다수개의 조작노브(24)가 구비된다.
이러한 조작노브(24)는 상기 탑버너부(10)에 구비되는 다수개의 버너(14)를 조작할 수 있도록 각각의 버너(14)에 대응되도록 구비되며, 아래에서 설명할 오븐부(30)와 드로워부(40)를 조작할 수 있도록 하는 조작노브(24)가 더 구비된다.
상기 제어부(20)의 하방에는 오븐부(30)가 설치된다. 상기 오븐부(30)는 전기를 열원으로 열을 발산하게 되는 히터(Heater)의 열을 이용하여 밀폐된 공간에서 음식물을 가열하면서 요리하는 부분이다. 상기 오븐부(30)의 정면에는 오븐부(30)의 정면을 선택적으로 차폐하는 오븐도어(31)가 구비되며, 상기 오븐도어(31)의 정면 상부에는 사용자가 오븐도어(31)를 개폐할 때 파지할 수 있도록 도어핸들(32)이 돌출되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오븐도어(31)의 정면에는 오븐부(30)의 내부에서 요리되는 음식물의 요리 상태를 사용자가 외부에서 확인할 수 있도록 투명하게 형성되는 전면투시창(33)이 구비된다. 상기 오븐부(30)의 하방에는 드로워부(40)가 설치된다.
상기 드로워부(40)는 요리된 음식물을 데우거나 따뜻하게 보관하기도 하며, 간단한 요리를 담당하게 된다. 상기 드로워부(40)는 상면이 개구된 육면체의 형상으로 성형되며, 전면에는 사용자가 드로워부(40)를 사용하고자 할 때 파지하도록 드로워손잡이(42)가 내부로 함몰되어 형성된다.
도 2 에는 종래 기술에 의한 전기오븐레인지의 오븐부 내부를 나타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상기 오븐부(30)의 내부에는 음식물이 요리되는 공간인 오븐캐비티(Oven cavity,34)가 형성된다. 이러한 오븐캐비티 (34)는 하면을 형성하는 하면플레이트(36)와, 후면을 형성하는 후면플레이트(37)와 양측면을 형성하는 측면플레이트(38)와, 상면을 형성하는 상면플레이트(도시되지 않음)로 오븐부(30)의 내부 공간에 형성된다.
또한, 상기 하면플레이트(36)의 하측에는 인가되는 전기를 열원으로 하여 오븐캐비티(34)의 내부로 열을 발산하는 하부히터(35)가 구비되며, 오븐캐비티(34)의 상면에는 상기 하부히터(35)와 동일한 기능을 하는 상부히터(도시되지 않음)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측면플레이트(38)에는 오븐캐비티(34)의 내부로 돌출되게 그루브(Groove,38a)가 성형된다. 상기 그루브(38a)에는 아래에서 설명할 랙(Rack,60) 의 양측테두리가 지지된다.
한편, 상기 후면플레이트(37)에는 오븐부(30)의 내부 공기를 순환시키는 컨벡션챔버(50)가 형성되며, 이러한 컨벡션챔버(50)에는 인가되는 전기에 의해 회전동력을 발생시키는 컨벡션모터(도시되지 않음)의 회전동력에 의해 회전하여 흡인력을 발생시키는 컨벡션팬(52)이 구비되며, 컨벡션팬(52)을 감싸도록 컨벡션커버(54)가 형성된다.
도 3 에는 종래 기술에 의한 전기오븐레인지의 랙을 나타낸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상기 오븐부(30)의 내부에는 음식물이 요리되는 공간인 오븐캐비티(34)가 형성된다. 이러한 오븐캐비티(34)의 내부에는 요리될 음식물이나 음식물이 담긴 용기가 상면에 지지되는 랙(Rack,60)이 구비된다.
상기 랙(60)은 다수개의 세로빔과 가로빔으로 형성되는데, 상기 랙(60)에는 가로가 긴 직사각형의 테두리(61)가 형성된다. 이러한 테두리(61)의 중앙 위치에는 중앙빔(66)이 구비된다. 상기 중앙빔(66)은 세로빔의 강도를 보강하기도 하고, 세로빔의 중앙부를 고정시키는 역할을 담당하게 된다.
즉, 상기 랙(60)은 직사각형의 테두리(61)가 성형되며, 이러한 테두리(61)는 전방빔(62)과 후방빔(63) 그리고, 좌측빔(64)과 우측빔(65)으로 형성된다. 상기 좌측빔(64)의 전후방향 중앙과 우측빔(65)의 전후방향 중앙 저면에는 상기 중앙빔(66)이 고정된다.
상기 전방빔(62)의 측면에 고정되어 성형되는 다수개의 세로빔은 상기 중앙빔(66)의 상면에 세로빔의 중앙부가 고정되고, 세로빔(66)의 후단부는 상기 후방빔 (63)의 일측면에 고정된다. 이처럼 상기 랙(60)은 직사각형의 테두리(61)에 중앙빔(66)이 형성되고, 상기 테두리(61)의 전후방향으로 다수개의 세로빔이 고정된다.
그러나, 이와 같이 구성되는 전기오븐레인지의 오븐부 구조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상기 오븐부(30)를 이용하여 요리하기 위해서는 오븐부(30)의 내부에 구비되는 랙(Rack,60)의 상면에 음식물 또는 음식물이 담긴 용기를 상면에 위치시켜야 한다. 상기 랙(60)의 상면에 음식물 또는 음식물이 담긴 용기를 위치시키기 위해서는 랙(60)의 전단부를 파지하여 전방으로 슬라이딩시켜 인출시키게 되며, 요리가 완료되면 랙(60)의 전단부를 파지하여 전방으로 슬라이딩시켜 요리가 완료된 음식물을 오븐부(30)의 내부에서 인출하게 된다.
이때, 사용자는 랙(60)의 전단부를 직접 파지해야되는 문제점이 있다. 랙(60)의 전단부를 직접 파지하게 되면, 파지가 불편해지는 문제점이 있으며, 파지하기 불편해짐에 따라 오븐부(30)의 내부에 사용자의 손이 상대적으로 오랜시간 머물러야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오븐부(30)의 내부에 사용자의 손이 오랜시간 머물게 되면 화상 등의 부상이 우려되는 문제점도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오븐부의 내부에 음식물 또는 음식물이 담긴 용기가 상면에 위치하게 되는 랙(Rack)에 손잡이가 형성되는 전기오븐레인지의 오븐부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전기오븐레인지의 오븐부 구조는, 음식물이 요리되는 공간인 오븐캐비티와, 상기 오븐캐비티의 양 측면을 형성하는 측면플레이트와, 상기 측면플레이트에 돌출되게 형성되는 그루브와, 상기 그루브에 의해 지지되면서 요리될 음식물 또는 음식물이 담긴 용기를 상면에 위치시키게 되는 랙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전기오븐레인지의 오븐부 구조에 있어서; 상기 랙에는 하방으로 절곡된 손잡이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손잡이는 랙의 전단부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랙의 양측단은 상기 그루브에 지지되어 슬라이딩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그루브는 상기 측면플레이트에 다수개의 층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전기오븐레인지의 오븐부 구조는 사용자의 부상을 예방할 수 있어 안전성이 향상되고, 사용의 편의성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의한 바람직한 일실시예가 채용된 전기오븐레인지를 예를 들어 설명한다.
도 4 에는 본 발명에 의한 바람직한 일실시예가 채용된 전기오븐레인지를 나타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전기오븐레인지는 음식물이 담긴 용기를 가열하여 요리하는 탑버너부(100)와, 전기오븐레인지의 작동을 조작하는 제어부(200)와, 밀폐된 공간의 열대류에 의해 음식물을 요리하는 오븐부 (300)와, 요리된 음식물을 데우거나 간단한 요리를 담당하며, 요리된 음식물을 보관하기도 하는 드로워부(400)가 결합되어 일체로 구성된다.
전기오븐레인지의 상부에는 탑버너부(100)가 설치된다. 상기 탑버너부(100)는 일반적인 요리를 담당하는 부분으로 아래에서 설명할 버너(120)에서 음식물이 담긴 용기로 직접 전달되는 복사열과 용기로부터 담겨져 있는 음식물로 전달되는 전도열을 이용하여 용기 내부에 담긴 음식물을 요리하는 부분이다. 상기 탑버너부(100)는 음식물의 요리 상태를 한 눈에 알아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탑버너부(100)의 상면은 세라믹 소재로 성형되는 상판(110)에 의해 차폐되며, 이러한 상판(110)의 하측에는 인가되는 전기를 열원으로 하여 열을 발산하는 버너(120)가 다수개 구비된다. 상기 버너(120)는 통상적으로 코일(Coil) 등으로 성형되며, 대략 원형으로 형성되어 요리될 음식물이 담기 뇽기로 직접 열을 전달하게 된다.
즉, 상기 버너(120)가 인가되는 전기에 의해 열을 발산하게 되면, 발산되는 복사열은 상기 상판(110)을 투과하여 상판(110)의 상방에 위치하게 되는 음식물이 담긴 용기를 가열하게 된다. 이때, 상기 버너(120)의 상방에 구비되는 상판(110)을 제외한 다른 부분의 상판(110)에는 열이 전달되지 않아 가열되지 않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사용자의 부주의 또는 요리후에 남아 있는 열기에 의해 인체의 일부가 부상을 당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게 된다.
상기 탑버너부(100)의 후측에는 전기오븐레인지의 동작을 조절하는 제어부(200)가 형성된다. 상기 제어부(200)는 전기오븐레인지의 후면과 일체로 성형되 며, 상기 탑버너부(100)의 후측 상방에 구비된다. 상기 제어부(200)의 대략 중앙에는 전기오븐레인지의 동작 상태 및 요리 시간, 요리 온도 등이 표시되는 디스플레이(210)가 형성되며, 상기 다스플레이(210)의 좌·우측에는 사용자가 전기오븐레인지의 동작을 조작하도록 다수개의 조작노브(220)가 전방으로 돌출되게 구비된다.
상기 조작노브(220)는 상기 탑버너부(100)에 구비되는 다수개의 버너(120)를 조작할 수 있도록 각각의 버너(120)와 대응되는 수량으로 구비되며, 상기 오븐부(300)와 드로워부(400)를 조작할 수 있도록 하는 조작노브(220)가 더 구비된다.
상기 탑버너부(100)의 하방에는 오븐부(300)가 설치된다. 상기 오븐부(300)는 통구이나 대용량의 요리를 담당하는 부분으로 내부에는 인가되는 전기를 열원으로 하여 열기를 발산하는 다수개의 히터(Heater)가 구비된다. 상기 오븐부(300)는 상기 히터(Heater)에서 발산되는 열기 즉, 다수개의 히터에서 밀폐된 공간으로 발산되는 복사열과 대류열 그리고, 가열된 철판에서 전달되는 전도열로 음식물을 요리하는 부분이다. 상기 오븐부(300)는 대용량의 요리가 가능하고 음식물 고유의 맛과 향이 유지되는 장점이 있다.
상기 오븐부(300)의 전면에는 오븐부(300)를 선택적으로 차폐하는 오븐도어(310)가 구비된다. 상기 오븐도어(310)는 전기오븐레인지와 소정의 힌지로 결합되어 상·하로 회동가능하게 형성된다. 상기 오븐도어(310)의 전면 상부에는 사용자가 오븐도어(310)를 개폐할 때 파지하도록 도어핸들(312)이 전방으로 돌출되게 구비된다.
상기 오븐도어(310)의 중앙부에는 오븐부(300)의 내부에서 요리되는 음식물 의 요리 상태를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투명하게 성형되는 전면투시창(314)이 형성된다. 상기 전면투시창(314)을 통해 사용자는 음식물의 요리 상태를 확인하면서 요리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오븐부(300)의 하방에는 드로워부(400)가 설치된다. 상기 드로워부(400)는 요리된 음식을 데우거나 보관을 담당하는 부분으로 필요에 따라 간단한 요리를 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별도의 히터가 내측 상면 또는 하면이나 상·하면에 구비되기도 한다. 내측 상면 및 내측 하면 또는 내측 상·하면에 형성되는 히터에서 발산되는 열에 의해 요리된 음식물에 직접 전달되는 복사열과 가열된 철판에서 전달되는 전도열로써 음식물을 따뜻하게 보관하거나 데우기도 하고, 간단한 요리도 가능하게 된다.
이러한 드로워부(400)는 상면이 개방된 육면체의 현상으로 성형되며, 전면에 는 상기 드로워부(400)를 사용할 때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도록 내부로 함몰되어 성형되는 드로워손잡이(410)가 형성된다. 상기 드로워부(400)는 서랍의 형태로 성형되어 드로워부(400)의 정면에서 사용자가 전방으로 당기게 되면, 전방으로 슬라이딩되어 인출되고 후방으로 밀게되면, 슬라이딩되어 후방으로 인입되도록 형성된다.
한편, 도 5 에는 본 발명에 의한 전기오븐레인지의 측단면을 나타낸 측단면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6 에는 본 발명에 의한 전기오븐레인지의 오븐도어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상기 오븐부(300)는 전면이 개구된 육면체의 형상으로 성형되고, 상기 오븐부(300)의 전면 은 상기 오븐도어(310)에 의해 선택적으로 차폐된다. 전면이 차폐되는 오븐부(300)의 내부에는 음식물이 요리되는 공간이 구비되는데 이러한 공간이 오븐캐비티(320)가 된다.
상기 오븐캐비티(320)는 후면을 형성하는 후면플레이트(350)와, 하면을 형성하는 하면플레이트(360) 그리고, 양측면을 형성하는 측면플레이트(370)와 상면을 형성하는 상면플레이트(도시되지 않음)가 각각 체결되거나, 각각의 플레이트 (Plate)가 일체로 성형되어 오븐부(300)의 내부 공간에 형성된다.
상기 오븐캐비티(320)의 내부 상면에는 인가되는 전기를 열원으로 열을 발산하게 되는 상부히터(330)가 구비된다. 상기 상부히터(330)는 오븐캐비티(320)의 내부 상면에 하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하면플레이트(360)의 하측에는 상기 상부히터(330)와 동일하게 작용하는 하부히터(340)가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상부히터(330)에서 하방으로 발산되는 복사열과 대류열, 상기 하부히터(340)에서 발산되는 열기로 가열되는 하면플레이트(360)에서 상기 오븐캐비티(320)의 내부로 전달되는 전도열로 음식물을 요리하게 된다.
상기 오븐캐비티(320)의 후면을 형성하는 후면플레이트(350)의 전면에는 상기 오븐캐비티(320)의 내부 공기 즉, 음식물을 요리하기 위한 다수개의 히터에서 발산되는 열기를 강제 대류시키는 컨벡션챔버(500)가 구비된다.
이러한 컨벡션챔버(500)에는 인가되는 전원에 의해 회전 동력을 발생시키는 컨벡션모터(540)와, 상기 컨벡션모터(540)의 회전 동력에 의해 회전하면서 흡인력을 발생시키는 컨벡션팬(530)과, 상기 컨벡션팬(530)의 회전으로 발생하는 흡인력 에 의해 오븐캐비티(320)의 내부 공기를 컨벡션챔버(500)의 내부로 흡입되는 유동통로인 흡입구(520)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컨벡션팬(530)의 외주면에는 컨벡션팬(530)보다 더 큰 지름으로 컨벡션팬(530)의 외주면을 따라 컨벡션히터(550)가 더 구비된다. 상기 후면플레이트(350)에는 컨벡션팬(530)과 컨벡션히터(550)의 전면과 외주면을 감싸도록 전방으로 돌출 성형되는 컨벡션커버(510)가 더 구비된다.
즉, 상기 컨벡션챔버(500)의 내부 공간을 살펴보면 전면과 측면은 전방으로 돌출 성형되는 컨벡션커버(510)가 형성하고, 후면은 상기 후면플레이트(350)가 형성된다. 그리고, 후면플레이트(350)에는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오븐부(300)의 내부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센서와 오븐부(300)의 내부 조명을 담당하는 오븐램프가 더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오븐도어(310)와 접하는 오븐부(300)의 전면테두리에는 가스켓(Gasket,390)이 구비되며, 상기 가스켓(390)은 오븐도어(310)가 오븐부(300)의 전면을 차폐할 때, 오븐부(300)의 내부 열기가 외부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구비된다.
한편, 상기 오븐캐비티(320)의 내부에 음식물이 담긴 용기 또는 음식물을 지지하는 랙(Rack,600)이 구비된다. 상기 랙(600)은 다수개의 세로빔과 가로빔으로 형성되어 음식물이 담긴 용기를 지지하게 된다. 상기 오븐캐비티(320)의 내측 양측면을 형성하는 측면플레이트(370)에는 상기 랙(600)이 지지되는 그루브(Groove,380)가 다수개 형성된다.
상기 그루브(380)의 전반부 하면 일측에는 그루브돌기(382)가 하방으로 돌출되게 성형되는데, 이는 상방으로 돌출되게 성형되는 상기 랙(600)의 전반부 일측과 접하게 됨으로써 상기 랙(600)이 전방으로 슬라이딩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즉, 상기 랙(600)의 상면에 음식물 또는 음식물이 담긴 용기를 위치시킬때, 음식물 또는 음식물이 담긴 용기의 무게 중심이 전방으로 향하는 경우 랙(600)이 전방으로 슬라이딩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 그루브(380)는 오븐캐비티(320)의 내부에서 음식물이 요리될 때 음식물의 크기와 종류에 따라 랙(600)의 위치를 다양하게 위치시킬 수 있도록 상·하 방향으로 다수개의 층을 이루면서 좌·우 양측면에 대응되게 형성된다.
한편, 도 7 에는 본 발명에 의한 전기오븐레인지의 요부 구성인 랙을 나타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8 에는 본 발명에 의한 전기오븐레인지의 요부 구성인 랙을 나타낸 정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7과 도 8을 참조하여 랙(600)을 보다 상세히 살펴보면, 상기 랙(600)은 가로가 긴 직사각형 형상의 테두리(620)가 형성된다.
상기 테두리(620)는 전단부를 형성하는 전방빔(622)과, 후단부를 형성하는 후방빔(624)이 가로로 성형되고, 좌측단부를 형성하는 좌측빔(626)과 우측단부를 형성하는 우측빔(628)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좌측빔(626)과 우측빔(628)의 전·후방향의 중앙부에는 중앙빔(630)이 저면에 고정되면서 형성된다.
이러한 중앙빔(630)의 상면에는 다수개의 세로빔이 중앙빔(630)과 수직방향으로 형성된다. 즉, 중앙빔(630)은 상기 세로빔의 강도를 보강하고, 세로빔이 직 선으로 고정되도록 중앙부를 고정시켜 주는 역할을 하게된다. 따라서, 상기 중앙빔(630)이 구비되면서 세로빔의 강도를 보강하고, 세로빔의 유동이 방지되며, 세로빔의 비틀림도 예방하게 된다.
또한, 상기 랙(600)에는 좌측빔(626)의 전단부로부터 전방으로 더 돌출되게 손잡이좌측빔(612)이 좌측빔(626)과 일체로 성형된다. 돌출되게 성형되는 상기 손잡이좌측빔(612)의 전단부에는 손잡이빔(616)이 우측방으로 절곡되면서 형성된다. 소정의 길이로 우측방으로 절곡된 손잡이빔(616)은 다시 하방으로 절곡되고, 하방으로 절곡된 손잡이빔(616)은 다시 우측방으로 절곡되어 사용자가 파지하기 용이하도록 형성된다.
소정의 길이로 우측방으로 절곡되어 성형되는 손잡이빔(616)은 다시 하방으로 절곡된 만큼 상방으로 절곡되며, 상방으로 절곡되는 손잡이빔(616)은 우측방으로 절곡된다. 우측방으로 절곡된 다음 소정의 길이를 가지도록 성형되는 손잡이빔 (616)은 다시 하방으로 절곡되면서, 우측방으로 절곡되어 사용자가 파지하기 용이하도록 형성된다.
우측방으로 절곡되는 손잡이빔(616)은 하방으로 절곡된 만큼 다시 상방으로 절곡되고, 우측방으로 다시 절곡된다. 이처럼 우측방으로 절곡되는 손잡이빔(616)은 상기 우측빔(628)의 전단부로부터 전방으로 더 돌출 형성되는 손잡이우측빔 (614)의 전단부와 고정된다.
즉, 상기 랙(600)을 전방에서 볼때 좌·우측은 대칭되는 형상으로 나타나게 된다. 그리고, 사용자가 파지하기 용이하도록 형성되는 손잡이빔(616)은 하방으로 절곡되면서 소정의 폭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전기오븐레인지의 작용에 대해 살펴본다. 먼저, 전기오븐레인지의 탑버너부(100)의 작용을 살펴보면, 사용자가 상기 상판(110)의 상면에 음식물이 담긴 용기를 위치시킨 후 상기 제어부(200)의 조작노브(220)를 조작하여 상기 버너(120)를 작동시킨다.
상기 버너(120)가 작동하면 버너(120)에서 발산되는 복사열이 상판(110)을 투과하여 음식물이 담긴 용기를 가열하게 된다. 이때, 버너(120)에서 음식물이 담긴 용기로 직접 전달되는 복사열과 가열되는 음식물이 담긴 용기에서 전달되는 전도열로 용기 내부에 감긴 음식물을 요리하게 된다.
한편, 전기오븐레인지의 오븐부(300)의 작용을 살펴보면, 사용자가 상기 도어핸들(312)을 파지하여 전방으로 당기게 되면, 상기 오븐도어(310)는 하방으로 회동하여 오븐부(300)의 전면이 개방된다. 상기 오븐부(300)의 전면이 개방되면 사용자는 요리할 음식물 또는 음식물이 담긴 용기를 오븐캐비티(320)의 내부에 구비되는 랙(600)의 상면에 위치시키고 오븐도어(310)를 상방으로 회동시켜 오븐부(300)를 밀폐시키게 된다.
상기 오븐부(300)가 밀폐되면 사용자는 상기 제어부(200)에 구비되는 조작노브(220)를 조작하여 오븐부(300)의 내부에 구비되는 다수개의 히터 즉, 상기 상부히터(330)와 하부히터(340)를 작동시키게 된다. 사용자가 조작노브(220)를 조작하게 되면 오븐부(300)에 전기가 공급되면서 오븐캐비티(320)의 내부로 열을 발산하게 된다.
다수개의 히터들이 발산하게 되는 열에 의해 밀폐된 오븐캐비티(320)의 내부 온도는 상승하게 되고, 상기 오븐캐비티(320)의 내부 온도가 상승하게 되면, 사용자가 원하는 방식으로 음식물을 요리하게 된다. 또한, 전기오븐레인지에 전원이 인가되면 상기 오븐캐비티(320)의 후면에 구비되는 컨벡션챔버(500)가 오븐캐비티(320)의 내부 공기를 강제 열대류시키게 된다.
따라서, 다수개의 히터에서 발산되는 열은 컨벡션챔버(500)에 의해 열대류가 발생하게고, 이러한 열대류에 의해 오븐캐비티(320)의 내부에 위치하게 되는 음식물이 골고루 요리된다. 요리하고자 하는 음식물이 골고루 요리가 되면, 사용자는 오븐도어(310)를 전방으로 당겨서 하방으로 회동시키면서 밀폐된 오븐캐비티(320)의 전면을 개방하게 된다.
전면을 개방한 다음 상기 랙(600)의 상면에 위치한 음식물을 꺼내기 위해 랙(600)의 손잡이(610)를 사용자가 파지하게 된다. 상기 손잡이(610)를 사용자가 파지하고 전방으로 랙(600)을 슬라이딩시키면 상기 랙(600)은 전방으로 슬라이딩되면서 인출된다.
즉, 오븐캐비티(320)의 내부에서 요리를 시작하거나 요리가 완료되면 사용자는 랙(600)의 전단부에 성형되는 손잡이(610)를 파지하여 랙(600)을 전·후방으로 슬라이딩시키는 것이 용이하게 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에서 예시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와 같은 기술범위 안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는 본 발명을 기초로 하는 많은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예들 들어, 상기 손잡이(610)는 하방으로 절곡되어 성형되지만, 상방으로 절곡되어 성형되는 것도 무방하며, 좌·우대칭으로 형성되지 않아도 무방할 것이다.
위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전기오븐레인지의 오븐부에는 전단부에 하방으로 절곡되는 손잡이가 형성된다.
이처럼 손잡이가 랙의 전단부에 형성되면 요리를 시작하거나 요리가 완료된 후에 랙의 상면에 음식물 또는 음식물이 담긴 용기를 위치시키기 용이해지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전기오븐레인지 사용의 편의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편의성이 향상됨으로 인해 사용자의 활동이 원활해짐으로써 활동이 불편하던 랙을 사용할 때 발생하게 되는 각종 안전사고 등이 예방되는 효과도 있다.
즉, 사용자의 신체의 일부가 랙의 빔 사이에 끼이거나 뜨거운 환경에서 활동이 불편하여 음식물을 꺼내는데 소비되는 시간이 오래 걸렸으나, 편의성의 향상으로 사용자의 활동이 원활해짐으로써 음식물을 꺼내는데 소비되는 시간이 단축되고, 시간의 단축으로 인한 각종 안전사고 등이 예방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음식물이 요리되는 공간인 오븐캐비티와, 상기 오븐캐비티의 양 측면을 형성하는 측면플레이트와, 상기 측면플레이트에 내부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그루브와, 상기 그루브에 의해 지지되면서 요리될 음식물 또는 음식물이 담긴 용기를 상면에 위치시키게 되는 랙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전기오븐레인지의 오븐부 구조에 있어서;
    상기 랙에는 하방으로 절곡된 손잡이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오븐레인지의 오븐부 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는 랙의 전단부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오븐레인지의 오븐부 구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랙의 양측단은 상기 그루브에 지지되어 슬라이딩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오븐레인지의 오븐부 구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그루브는 상기 측면플레이트에 다수개의 층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오븐레인지의 오븐부 구조.
KR1020040062362A 2004-08-09 2004-08-09 전기오븐레인지의 오븐부 구조 Ceased KR2006001377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62362A KR20060013771A (ko) 2004-08-09 2004-08-09 전기오븐레인지의 오븐부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62362A KR20060013771A (ko) 2004-08-09 2004-08-09 전기오븐레인지의 오븐부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13771A true KR20060013771A (ko) 2006-02-14

Family

ID=371229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62362A Ceased KR20060013771A (ko) 2004-08-09 2004-08-09 전기오븐레인지의 오븐부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013771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41444B1 (ko) 전기오븐레인지의 오븐도어 구조
KR100646879B1 (ko) 전기오븐레인지의 오븐부 구조
KR100686772B1 (ko) 전기오븐레인지
KR100646880B1 (ko) 전기오븐레인지의 오븐부 구조
KR200390573Y1 (ko) 전기오븐의 하부히터챔버 고정구조
KR200365635Y1 (ko) 전기오븐레인지의 오븐부 구조
KR200365634Y1 (ko) 전기오븐레인지의 오븐부 구조
KR200365633Y1 (ko) 전기오븐레인지의 오븐부 구조
KR200365632Y1 (ko) 전기오븐레인지의 오븐부 구조
KR20060013771A (ko) 전기오븐레인지의 오븐부 구조
KR200377058Y1 (ko) 전기오븐의 오븐랙 장착구조
KR100641447B1 (ko) 전기오븐레인지의 오븐부 구조
KR100646881B1 (ko) 전기오븐레인지의 하부히터 차폐구조
KR100693526B1 (ko) 전기오븐의 오븐캐비티 구조
KR100697459B1 (ko) 전기오븐의 탑버너부 구조
KR20060082249A (ko) 전기오븐의 오븐부 구조
KR100618221B1 (ko) 전기오븐레인지의 드로워랙
KR200380333Y1 (ko) 전기오븐의 탑버너부 유동방지구조
KR200365631Y1 (ko) 전기오븐레인지의 오븐부 구조
KR101121917B1 (ko) 전기오븐의 탑버너부
KR200367151Y1 (ko) 전기오븐레인지의 오븐랙 구조
KR20060082256A (ko) 전기오븐의 하부히터 고정구조
KR200380334Y1 (ko) 전기오븐의 안티팁브라켓 장착구조
KR200380807Y1 (ko) 전기오븐의 오븐캐비티 전면 결합구조
KR101180528B1 (ko) 전기오븐레인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4080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6042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060918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060420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