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112242A - 환기장치를 구비한 공기조화기 - Google Patents

환기장치를 구비한 공기조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112242A
KR20050112242A KR1020040037170A KR20040037170A KR20050112242A KR 20050112242 A KR20050112242 A KR 20050112242A KR 1020040037170 A KR1020040037170 A KR 1020040037170A KR 20040037170 A KR20040037170 A KR 20040037170A KR 20050112242 A KR20050112242 A KR 200501122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door
air
main body
ventilator
fa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371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63525B1 (ko
Inventor
신행조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371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63525B1/ko
Publication of KR200501122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122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635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63525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환기장치를 구비한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본 발명은 환기장치를 실외기에 일체화하여 팬의 공용화를 통해 팬의 개수를 줄이고, 환기장치와 실외기의 설치작업을 간편하게 하고, 설치공간을 최소화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실외기 본체 내부에 마련되는 실외팬, 실외기 본체에 결합되도록 마련된 환기장치의 본체, 실외공기를 실내 측으로 전달하도록 환기장치의 본체 내부에 마련되는 급기유로, 실내공기를 실외 측으로 전달하도록 환기장치의 본체 내부에 마련되는 배기유로, 실외공기가 급기되도록 급기유로 상에 마련되는 급기팬을 포함하고, 실내공기를 실외팬에 의해 실외로 배기시키기 위해 배기유로의 출구를 실외기 본체와 통하도록 마련한다.

Description

환기장치를 구비한 공기조화기{AIR CONDITIONER HAVING VENTILATION DEVICE}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실내기를 환기하는 환기장치를 구비한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조화기로는 방 안의 환기가 충분하지 않으므로 환기를 위해 환기장치가 별도로 설치되어 있다.
        환기장치는 본체 내부에 실내공기를 실외측으로 전달하도록 마련된 배기유로, 실외공기를 실내측으로 전달하도록 마련된 급기유로, 실내공기를 배기하도록 배기유로 상에 설치되는 배기팬, 실외공기를 급기하도록 급기유로 상에 설치되는 급기팬, 그리고, 배기유로와 급기유로의 교차점에 열교환을 위해 설치되는 전열교환기를 구비하고, 실외공기를 방 안으로 유입시킬 때에는 급기팬을 작동시키고, 방 안의 공기를 실외로 배출시킬 때에는 배기팬을 작동시켜 실내를 환기시킨다.
        또한, 공기조화기는 실내열교환기, 실내팬을 갖는 실내기와, 압축기, 실외열교환기, 실외팬을 갖는 실외기를 구비한다.
        종래에는 환기장치와 공기조화기의 실외기가 모두 실외측에 설치되는 데에도 불구하고, 환기장치와 실외기가 별개로 설치되기 때문에 배기팬 없이도 실외팬으로 배기팬의 역할을 대체시킬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팬을 공용화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환기장치를 실외기에 일체화하여 팬의 공용화를 통해 팬의 개수를 줄일 수 있는 환기장치를 구비한 공기조화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환기장치를 실외기에 일체화함으로서 환기장치와 실외기의 설치작업을 간편하게 할 수 있고, 설치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는 환기장치를 구비한 공기조화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환기장치를 구비한 공기조화기는 실외기 본체 내부에 마련되는 실외팬, 실외기 본체에 결합되도록 마련된 환기장치의 본체, 실외공기를 실내 측으로 전달하도록 상기 환기장치의 본체 내부에 마련되는 급기유로, 실내공기를 실외 측으로 전달하도록 상기 환기장치의 본체 내부에 마련되는 배기유로, 실외공기가 급기되도록 상기 급기유로 상에 마련되는 급기팬을 포함하고, 실내공기를 상기 실외팬에 의해 실외로 배기시키기 위해 상기 배기유로의 출구를 상기 실외기 본체와 통하도록 마련함으로서 환기장치를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고, 설치공간을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실외팬으로 배기팬의 기능을 대체할 수 있어 환기장치의 배기팬을 없앨 수 있으므로 환기장치를 소형화할 뿐만 아니라, 제조비용을 줄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본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환기장치를 구비한 공기조화기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환기장치를 구비한 공기조화기의 시실외기(10)는 전면판(11a)과 후면판(11b)과 양 측면판(11c), 그리고 상면판(11d)과 바닥판(11e)을 구비하여 대략 박스형상을 이루는 본체(11)에 의해 외관을 형성하게 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1)의 내부에는 본체(11)의 내부공간을 상부공간(12)과 하부공간(13)으로 구획하도록 하는 구획판(14)이 횡방향으로 배치되어서, 상부공간(12)에는 실외열교환기(15)와 한 쌍의 실외팬(16)이 배치되고, 하부공간(13)에는 압축기(17)가 배치된다.
        전면판(11a)의 상부에는 상부공간(12)에 수직으로 배치된 실외팬(16)들에 의해 실외공기가 본체(11)의 내부로 유입되어 실외열교환기(15)와 열 교환된 후 다시 본체(11)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흡입구(18)와 토출구(19)가 마련되어 있다.
        흡입구(18)는 흡입되는 공기가 실외열교환기(15)를 거치도록 하기 위해 실외열교환기(15)의 전방에 배치되고, 토출구(19)는 실외열교환기(15)를 거친 공기가 외부로 토출되는 것을 안내하기 위해 각 실외팬(16)을 둘러싸는 각 케이싱(21)의 토출부(20)의 전방에 배치된다.
        한 쌍의 실외팬(16)은 선단부에 토출부(20)가 형성되어 있는 각 케이싱(21)의 내부에 배치되며, 이 실외팬(16)들 사이에 배치된 하나의 구동모터(22)의 양단에 연결되어 회전될 수 있게 된다. 즉, 본체(11)의 상부공간(12)에는 한 쌍의 실외팬(16)이 케이싱(21)의 내부에서 그 사이에 배치된 구동모터(22)의 양단에 연결되어 수직으로 배치되게 된다.
        또한, 도 2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환기장치(30)는 본체(31)를 구비한다. 이 본체(31)에는 실외공기가 흡입될 수 있도록 마련된 급기구(32), 급기구(32)측에서 흡입된 실외공기를 실내측으로 토출시킬 수 있도록 마련된 토출구(33), 실내의 탁한 공기가 흡입될 수 있도록 마련된 환기구(34), 환기구(34)에서 흡입된 실내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마련된 배기구(35)가 마련되어 있다.
        본체(31)에는 급기구(32)에서 토출구(33)로 이어지는 급기통로(A-A')와, 환기구(34)에서 배기구(35)로 이어지는 배기통로(B-B')가 형성되어 있다.
        급기통로(A-A')에는 급기팬(36), 전열교환기(37)가 순서대로 설치된다. 이때, 전열교환기(37)는 급기통로(A-A')로 유입되는 실외공기와 배기통로(B-B')를 통해 배출되는 실내공기가 교차하면서 열 교환할 수 있도록 급기통로(A-A')와 배기통로(B-B')가 교차하는 지점에 마련된다.
        한편, 환기장치(30)는 배기구(35)는 실외팬 작동에 의해 방 안의 공기가 배기유로(B-B')를 거쳐 실외기의 토출구(19)를 통해 실외로 배출되도록, 본체(31) 하부 측으로 소정길이 연장되어 형성되며, 그 단부는 실외기(10)의 본체(11)의 상면판(11d)에 형성된 관통홀(23)을 관통하여 실외팬(16)이 내부에 배치된 상부측 케이싱(21)의 흡입부(24)측에 배치된다. 이와 같이, 배기통로(B-B')를 통해 방 안의 공기를 흡입하여 실외로 배출시키는 기존의 배기팬을 없애고, 배기팬을 기능을 실외팬으로 대신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환기장치에서 배기팬을 없앨 수 있어 환기장치를 소형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배기팬 제거에 따른 제조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배치구조에 의해 실외공기를 실내로 토출시킬 때에는 급기팬(36)을 작동시켜 급기구(32)를 통해 실외공기를 흡입하고, 흡입된 실외공기는 급기유로(A-A')를 거쳐 토출구(33)를 통해 실내로 토출된다. 한편, 방 안의 공기를 실외로 토출시킬 때에는 실외팬(16)을 작동시켜 환기구(34)를 통해 방 안의 공기를 흡입하고, 흡입된 실외공기는 배기유로(B-B')를 거쳐 배기구(35)를 통해 실외기(10) 내부에 유입되며, 유입된 실외공기는 상부측 케이싱(21)을 거쳐 실외기의 토출구(19)로 하여 실외로 토출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환기장치를 구비한 공기조화기는 전반적인 제어를 수행하는 제어부(40), 사용자로부터 제어명령을 입력받기 위한 키입력부(50), 실내온도를 검출하는 실내온도센서(51), 실외온도를 검출하는 실내온도센서(52), 급기팬(36)과 실외팬(16)을 작동시키는 팬구동부(60)와, 압축기(17)를 구동하는 압축기구동부(70)를 포함한다.
        이 제어부(40)는 공기조화기를 이용한 냉방 또는 난방운전이 필요한 경우, 압축기구동부(70)를 통해 압축기를 작동시킨다. 또한, 제어부(40)는 실외공기를 방 안으로 토출시킬 경우에는 팬구동부(60)를 통해 급기팬(36)을 작동시켜 급기유로(A-A')를 통해 실외공기를 방 안으로 토출시키고, 방 안의 공기를 실외로 배출시킬 경우에는 실외팬(16)을 작동시켜 배기유로(B-B'), 실외기의 토출구(19)를 통해 실외로 배출시킨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환기장치를 실외기에 일체화함에 따라 실외기의 실외팬으로 배기팬의 기능을 대체할 수 있어 환기장치의 배기팬을 없앨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팬의 공용화를 통해 배기팬을 없앨 수 있으므로 환기장치를 소형화할 뿐만 아니라, 제조비용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환기장치를 실외기에 일체화함으로서 환기장치와 실외기의 설치작업을 간편하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설치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환기장치를 구비한 공기조화기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환기장치를 구비한 공기조화기의 제어블록도이다.
        *도면의 주요 기능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실외기                  11 : 실외기 본체
        16 : 실외팬                  19 : 토출구
        23 : 관통홀                 30 : 환기장치
        31 : 환기장치 본체          32 : 급기구
        33 : 토출구                  34 : 환기구
        35 : 배기구                  A-A' : 급기통로
        B-B' : 배기통로             36 : 급기팬
        37 : 전열교환기

Claims (4)

  1.         실외기 본체 내부에 마련되는 실외팬,
            실외기 본체에 결합되도록 마련된 환기장치의 본체,
            실외공기를 실내 측으로 전달하도록 상기 환기장치의 본체 내부에 마련되는 급기유로,
            실내공기를 실외 측으로 전달하도록 상기 환기장치의 본체 내부에 마련되는 배기유로,
            실외공기가 급기되도록 상기 급기유로 상에 마련되는 급기팬을 포함하고,
            실내공기를 상기 실외팬에 의해 실외로 배기시키기 위해 상기 배기유로의 출구를 상기 실외기 본체와 통하도록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장치 구비한 공기조화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외기 본체에는 상기 배기유로와 상기 실외기 내부와 통하도록 하는 관통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장치를 구비한 공기조화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환기장치에는 상기 관통홀에 결합되며, 상기 실외기 내부로 연장된 배기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장치를 구비한 공기조화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급기유로와 상기 배기유로는 교차하며, 상기 교차하는 지점에는 실내로 유입되는 실외공기와 실외로 배출되는 실내공기를 열 교환시키는 전열교환기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장치를 구비한 공기조화기.
KR1020040037170A 2004-05-25 2004-05-25 환기장치를 구비한 공기조화기 Expired - Fee Related KR1005635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37170A KR100563525B1 (ko) 2004-05-25 2004-05-25 환기장치를 구비한 공기조화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37170A KR100563525B1 (ko) 2004-05-25 2004-05-25 환기장치를 구비한 공기조화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12242A true KR20050112242A (ko) 2005-11-30
KR100563525B1 KR100563525B1 (ko) 2006-03-27

Family

ID=372871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37170A Expired - Fee Related KR100563525B1 (ko) 2004-05-25 2004-05-25 환기장치를 구비한 공기조화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6352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6925B1 (ko) * 2006-08-11 2008-03-27 엘지전자 주식회사 환기 겸용 공기조화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6925B1 (ko) * 2006-08-11 2008-03-27 엘지전자 주식회사 환기 겸용 공기조화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63525B1 (ko) 2006-03-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26688B1 (ko) 실내 공기순환 제어구조를 갖는 환기장치
KR101578528B1 (ko) 바이패스 유로를 별도로 구비한 열회수 환기장치
KR100665999B1 (ko) 환기겸용 덕트형 공기조화기
CN108613262A (zh) 厨房空调内机及厨房空调装置
KR20050023790A (ko) 룸 에어컨의 공기 배출 구조
KR20180012957A (ko) 상치형 열회수형환기장치
KR20130088579A (ko) 일체형 공기조화기
KR100563525B1 (ko) 환기장치를 구비한 공기조화기
KR100728674B1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20070060501A (ko) 공기조화기
KR20070107403A (ko)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KR100517598B1 (ko) 액자형 공기조화기
KR100402619B1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100506405B1 (ko) 이중 덕트에 의한 열회수 방식을 이용한 환기 장치
KR20090132994A (ko) 환기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0710219B1 (ko) 공기조화 시스템
KR100669021B1 (ko) 공기조화기용 환기유닛
KR100710374B1 (ko) 공기조화 시스템
KR100698910B1 (ko) 덕트형 공기조화기
KR20080010979A (ko) 공기조화기의 외기도입장치
JP3223893B2 (ja) 天井埋込カセット型熱交換換気装置
JPH03282132A (ja) 空気調和装置
KR100437395B1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20060025925A (ko) 환기장치
KR100626451B1 (ko) 일체형 공기조화기의 흡입토출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40525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511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60307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6031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6031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22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225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225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228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7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227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7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227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6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226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6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226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712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