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111622A - 휘일림에 연결하기 위한 성형체 및 성형체에 연결되는휘일림 - Google Patents

휘일림에 연결하기 위한 성형체 및 성형체에 연결되는휘일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111622A
KR20050111622A KR1020057018073A KR20057018073A KR20050111622A KR 20050111622 A KR20050111622 A KR 20050111622A KR 1020057018073 A KR1020057018073 A KR 1020057018073A KR 20057018073 A KR20057018073 A KR 20057018073A KR 20050111622 A KR20050111622 A KR 200501116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ne
contact surface
rim
rimwell
join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180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스 호우벤
바츠도르프 핸닝 본
마틴 알가이어
Original Assignee
베루 악티엔게젤샤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베루 악티엔게젤샤프트 filed Critical 베루 악티엔게젤샤프트
Publication of KR200501116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11622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21/00Rims
    • B60B21/12Appurtenances, e.g. lining ban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23/00Devices for measuring, signalling, controlling, or distributing tyre pressure or temperature, specially adapted for mounting on vehicles; Arrangement of tyre inflating devices on vehicles, e.g. of pumps or of tanks; Tyre cooling arrangements
    • B60C23/02Signalling devices actuated by tyre pressure
    • B60C23/04Signalling devices actuated by tyre pressure mounted on the wheel or tyre
    • B60C23/0408Signalling devices actuated by tyre pressure mounted on the wheel or tyre transmitting the signals by non-mechanical means from the wheel or tyre to a vehicle body mounted receiv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23/00Devices for measuring, signalling, controlling, or distributing tyre pressure or temperature, specially adapted for mounting on vehicles; Arrangement of tyre inflating devices on vehicles, e.g. of pumps or of tanks; Tyre cooling arrangements

Abstract

림웰(7)의 안쪽에 위치한 지점에서 림과 결합하기 위해 개조되고, 림웰 위에 놓이게 되는 접촉표면(2)을 가진 성형체가 서술되어 있다. 접촉표면(2)이 굴곡부(5)를 따라 상호평행한 제1평면(3)의 집합체 각각과 교차하고; 상기 굴곡부는 원형의 아치가 아니라 제2평면(6)으로부터 굴곡부의 거리가 적어도 제2평면(6)의 한쪽 측면에서 적어도 평균적으로는 감소하는 증가율을 가지고 증가하는 것이며; 상기 제2평면은 접촉표면(2)을 분할하며 제1평면과 수직인 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 본 발명에 의해 제공된다.

Description

휘일림에 연결하기 위한 성형체 및 성형체에 연결되는 휘일림{MOULDED PART FOR CONNECTION TO A WHEEL RIM AND WHEEL RIM WHICH IS CONNECTED TO A MOULDED PART}
본 발명은 림웰(rim well)에 위치한 지점에서 림과 결합되도록 개조된 성형체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성형체는 림웰위에 놓이게 되는 접촉표면을 갖고 있다.
EP 0 751 017 B1에서 공지된 성형체는 림에 장착된 공기 타이어의 기압 측정 장치를 포함하는 하우징의 형태를 갖고 있다. 공지된 하우징은 나사에 의해 밸브 베이스와 견고하게 결합된다. 펌프에 의해 공기가 주입되는 밸브 보어는 나사 보어의 용도로 형성되며, 기압 측정 장치의 하우징은 중공나사가 밸브 보어의 나선에 고정될 수 있는 장방형 구멍이 있다. 상기 나사는 밸브 베이스에 하우징을 고정하기 위해서 단단하게 조여진다. 밸브 베이스는 상기 용도를 위해 금속으로 만들어지고, 밸브 베이스의 외부형태는 타이어 기압 측정 장치의 하우징의 오목한 곳에 잘 맞는 구형 부분의 형태이고, 외부 형태는 상기 목적을 위해 상보성 구형 캡의 형태로 설계된다. 림웰 위에서 하우징이 지탱되기 위해서, 하우징은 두 개의 발형상부(feet)를 구비하며 림웰과 마주보는 측면이 있고, 상기 측면은 림웰과 접촉하는 접촉표면이 있으며 이는 하우징이 림웰위에 위치할 수 있게 하는 수단이 된다. 상이한 형태의 림에 대해서도 발형상부가 림에 실제로 닿을 수 있게 하기 위해, 상기 장방형 구멍은 밸브 보어의 장축에 대해 상이한 배열로 하우징이 밸브 베이스에 고정될 수 있게 해준다. 이러한 배열은 하우징 및 기압 측정 장치의 하나의 동일한 하우징이 상이한 외형의 림이 있는 바퀴에도 견고하게 장착될 수 있게 한다. 그러나 상기 배열의 단점은 하우징 장착을 위해 밸브베이스의 밸브보어가, 하우징을 밸브베이스에 나사로 고정할 수 있도록, 관통보어를 구비한 특수한 나사와 결합하기 위한 나사보어로 만들어진 특수하게 개조된 밸브가 필요하다는 것이다. 상기 특수하게 설계된 밸브와 통로를 갖는 나사는 비싸다.
기압 측정 장치를 포함한 바퀴는 DE 196 26 145 A1을 통해 공지되었다. 상기 공지된 바퀴는, 밸브 베이스에 나사에 의해 고정되는 기압 측정 장치의 하우징 사례가 아니라, 한쪽으로는 림웰의 베이스와 다른 쪽으로는 림웰의 측면 벽의 두 지지부에 의해 하우징이 지지되는 방식으로 하우징이 스프링의 자유말단과 차량 바퀴의 림 사이에 죄어지도록 스프링의 자유말단이 하우징에 작용하는 스프링 사례이다. 따라서 네 측면, 즉 스프링의 양 측면, 림웰의 한 측면 및 림웰의 측면 벽의 한 측면에 의해 하우징이 둘러싸이도록, 스프링이 하우징을 림웰 바닥 및 림웰의 측면 벽 양쪽으로 민다. 상기 실시예의 단점은, DE 0751 017 B1에서 공지된 실시예의 경우처럼, 밸브베이스에 스프링을 고정하기 위하여 비싼 통로 보어를 갖는 특수한 나사가 요구된다는 것이다. 상이한 형태의 림을 밀어서 하우징을 림에 고정하기 위해서는 상이한 형태의 스프링이 요구된다는 것 또한 단점이다.
림을 둘러싸고 림웰에 위치하는 재갈끈(restraining strap)으로 공기 타이어 기압 측정 장치의 하우징을 림에 고정하는 것도 제안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재갈끈은 필요한 턴 버클과 결합된 끈이 비교적 무거운 단점이 있고, 상이한 크기의 림을 위해서는 팽팽하게 한 후에 개별적으로 단축하여야 하며, 온도나 피로의 영향으로 느슨하게 될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일정 실시예는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징을 더욱 분명하게 하기 위해 치수 관계가 확장된 도면에 도시되어 있다. 동일한 부분이나 대응되는 부분은 다른 실시예에서 동일한 도면부호에 의해 나타내어진다.
도1은 상이한 굴곡 접합부의 연속부를 포함하는 접촉표면을 가진 성형체의 사시도
도2는 큰 직경의 림웰에 사용되는 도1의 성형체의 측면도
도3은 작은 직경의 림웰에 사용되는 도 1의 성형체의 측면도
도4는 접촉표면의 굴곡도가 계속해서 변하는 성형체의 측면도
도5는 도4에 도시된 성형체의 변형예의 측면도
도6 내지 도11은 림의 회전축에 대해 방사 접합부를 표현하는 것처럼, 림웰에 사용되는 성형체의 방사 접합부를 도시하고; 림웰의 상이한 외형 및 성형체의 접촉표면의 상이한 외형을 도시한 도
본 발명의 목적은 공기 타이어의 기압 측정 장치를 구비한 하우징을 상이한 크기의 고무타이에의 림에 최소의 비용과 최소의 부가 중량으로 장착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제 1 청구항에서 정의되는 특징을 갖는 성형체와 제 19 청구항에서 정의되는 특징을 갖으며, 성형체가 장착되어 있는 림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유리한 또 다른 발달사항은 종속항의 내용이다.
본 발명에 따른 성형체는 하우징, 특히 공기 타이어의 기압 및/또는 압력을 측정하는 기구를 포함하는 하우징일 것이다. 이 경우, 만약 필요하다면, 접촉표면을 형성하기 위해 무시할 수 있을 만큼 작은 중량이 요구될 것이다. 상기 하우징은 부가적인 구성요소, 특히 배터리, 트랜스미터, 라디오 수신기, 롤 센서, 원심 센서 등을 구비할 수 있다. 사실상 중요한 유일한 것은 제 1 청구항에서 정의되는 특징을 갖는 접촉표면이 있는 하우징의 외형이다.
하우징 형태로서 만들어지는 것 대신에, 성형체는 성형체에 장착될 물체를 위한 캐리어나 홀더 형태를 취할 수 있고, 특히 공기 타이어의 기압 측정 장치의 하우징용 캐리어나 홀더의 형태를 취할 수 있다. 캐리어나 홀더로서 제공되는 성형체와 성형체에 결합하는 물체와의 결합은, 예를 들어, 개체결합, 나사에 의한 고정, 폼핏(form fit), 성형체에 스내핑(snapping)처럼 편리성을 고려하여 다른 방식으로 실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에서 사실상 중요한 유일한 것은 성형체는 제 1 청구항에서 정의되는 특징을 가지며 림웰과 마주보고 있는 접촉표면이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성형체가 캐리어나 홀더 혹은 이와 유사한 장착 보조기라 할지라도, 상기 캐리어를 이용하여 장착되는 물체에 대해 현저한 부가적 중량이 없도록 플라스틱처럼 최소 중량을 가지는 것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은 실질적인 이점을 제공한다;
단일 성형체는 모든 생각할 수 있는 림 유형에 적합하다. 밸브에 고정되지 않는 것은 없다.
따라서, 비싼 특수 밸브가 필요하지 않고, 대신 통상적인 저가의 밸브가 사용될 수 있다.
성형체나 성형체에 의해 결합되는 하우징 각각의 외형에 대해, 밸브에 대한 특수한 설계를 고려할 필요가 없다.
성형체는 림웰의 요구되는 어떠한 부분, 특히 림의 가장자리로부터 먼 거리에 있는 곳이나 림웰의 최저점 부분에도 고정될 수 있다. 이는 불균형을 방지할 수 있다는 점에서 적합하다. 또한, 타이어 장착시 성형체나 성형체에 의해 운반되는 물체의 손상위험을 감소시킨다.
장착을 위해 최소한의 중량만이 요구된다.
접합표면은 가능한 최고 접합 인장 강도를 달성하는데 가장 효과적이 될 수 있다. 생산의 저비용과 성형체 장착에 대해서는 필적하는 것이 없다.
크기, 접촉표면의 기울기 및/또는 굴곡도, 또는 접합부의 다양성으로 인해, 상이한 유형의 바퀴와 접합시 작용하는 압력을 위한 접합 간격 기하구조를 최적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능 및 장점은 이하 본 발명의 두 가지 특수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설명을 읽어보면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라, 성형체의 접촉표면은 상호 평행한 제1평면의 집합체 각각이 제2평면부터의 거리가 증가할수록 굴곡도가 감소하는 굴곡 접합부의 연속부를 나타낸 오목한 윤곽의 굴곡부를 따라 접촉표면과 교차하고; 상기 제2평면 중 적어도 한 측면은 접촉표면을 분할하며 제1평면과 수직인 방향으로 연장하는 방식으로 만들어진다. 각각의 굴곡 접합부 내에서는, 굴곡도는 굴곡부의 굴곡 접합부 각각이 원형 아치를 구성하도록 굴곡부를 따라 일정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기술된 제1실시예의 경우에, 성형체가 장착되는 상이한 림의 림웰 굴곡도와 일치하거나, 근접하도록 굴곡 접합부의 굴곡도가 주어지도록 한다. 이 경우, 접촉표면에 매칭 접합부가 있을 것이고, 각각의 림웰 직경에 맞게, 성형체는 림웰에 접합할 수 있다. 성형체의 접합부와 림웰 사이에는 일정하거나 실질적으로 일정한 접합간격이 있을 것이고, 이는 강한 접합력을 획득하는데 특히 적합하며 요구되는 접합 인장력을 달성하는데 필요한 길이를 쉽게 얻을 수 있다.
이러한 방법으로 설계된 접촉표면은 림웰의 직경이 상이한 다른 크기의 림에도 쉽게 접합할 수 있다. 최소 림웰 직경을 갖는 림은 제2평면과 밀접한 접촉표면의 접합부 하나 혹은 두 개와 접합 되며; 큰 림웰 직경을 갖는 림은 제2평면으로부터 더 먼곳에 있는 접촉표면의 접합부 하나 혹은 두 개와 접합하고, 림웰의 직경과 비례하여 접합부와 제2평면 사이의 간격은 증가한다. 이는 확실한 개체결합, 특히 성형체와 상이한 림웰 직경의 림 사이의 접합을 가능하게 하고, 이로 인해 모든 생각 가능한 림웰 직경에 대해 충분히 긴 접합지역을 획득할 수 있게 한다. 접합 간격의 높이에 따라 접합제에 대한 인장 응력이 용인되기 때문에, 접합지역 길이는 접합제의 종류 및 접합층이 노출되는 인장 응력을 고려한 최대값을 초과하여서는 안되며 제어되어야 한다. 림웰같은 실린더형 표면이 접촉표면의 평면 접합부와 결합된다면, 평면 접촉표면이 림웰과 직접 만나는 곳에서 시작하는 접합간격은 최소직경의 림웰에서 가장 빠르게 증가하며 최대직경의 림웰에서 가장 느리게 증가한다. 실린더형 림웰과 평면 접촉표면 사이에서 형성되며 접합 간격의 높이가 미리 정해진 최대치에 도달하는 지점에서 끝나는 접합지역에 대해서, 가장 효과적인 접합지역은 최소림웰 직경에 대해서는 최소이며, 최대림웰 직경에 대해서는 최대인 접합지역이다. 상황에 따라, 본 발명은 최소 직경 림웰이 만나게 되는 곳이나, 접합지역의 확장이 매우 중요한 곳에 사용하기 위해 특별하게 확장되는 효과적인 접합지역을 가능하게 한다.
바람직하게는, 전체적으로는 오목한 굴곡 윤곽을 유지하지만, 접촉표면의 굴곡도가 두 개의 인접한 접합부 사이에서 갑자기 변화할 수 있도록 상이한 굴곡도의 접합부는 서로 바로 잇따르고, 제2평면부터 굴곡부의 거리는 개별 굴곡 접합부에 대해 평균적으로 증가한다. 성형체의 상기 외형은 특별히 짧은 접촉표면이 달성될 수 있게 한다. 그러나 다른 고려대상이 요구된다면, 상이한 림웰직경에 대응하는 각각의 굴곡 접합부가 서로 바로 인접하는 배열 대신에, 간격을 메우는 표면지역이 생각 가능한 림웰직경 중 어떠한 것에 대한 접합연결에도 연관될 필요가 없는 경우에는 접합부 사이에 간격이 제공될 가능성도 있다.
림웰과의 개체결합에 사용되는 접촉표면의 접합부가 굴곡져 있을 때라도, 접합결합을 실현하도록 림웰에 사용되는 접촉표면 중 한 접합부와 인접한 접합부의 추가적 사용이 가능하며 유리하다. 이는 접촉표면이 상이한 직경의 다양한 림웰에 접합하여야 하는 경우와 접촉표면의 상이한 굴곡 접합부만이 짧게 될 수 있는 경우에 현저한 중요성이 있다. 바로 접촉하도록 정렬된 접촉표면의 접합부와 바로 인접한 접촉표면은, 결합 간격이 점차 증가함에 따라 접합결합을 형성하도록 부가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접촉표면의 순서대로 배열된 접합부에서 첫 번째와 마지막 접합부를 중간 접합부보다 길게 만드는 경우, 마지막 접합부가 한쪽 측면에만 인접 접합부를 갖고 있기 때문에 접합 섹션의 증가에 도움이 되는 유리한 점이 있다.
접촉표면의 굴곡 접합부들의 길이는 동일하거나 혹은 대략 동일하다. 그러나 상이한 림과 결합시 작용하는 압력에 대해 접합부를 최적화하기 위하여, 용도에 맞춰 상이한 길이를 선택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2평면에 가장 가까운 접합부가 최대 길이를 나타내도록 하기 위해서 접합부와 접합할 림웰의 작은 직경에 대해서는 접합부를 길게 만드는 것이 유리하다. 접촉표면의 근접한 접합부 사이에서 직면하게 되는 굴곡도의 급격한 변화는 제2평면의 인근에서 최대이기 때문에, 주어진 림과 접합할 접합부에 인접한 접합부가 제공할 수 있는 접합 간격의 효과적인 길이에 대한 기여도는 제2평면과 멀리 떨어진 접합부의 경우보다 제2평면에 인접한 경우에 더 작다. 상기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서, 제2평면과 가장 가까운 접합부에는 가장 긴 길이가 주어지는 것이 유리하다.
편리하게도, 특히 각각의 평면의 양쪽 측면의, 굴곡 접합부의 수는 성형체에 접합할 림웰 직경에 따라 적절히 선택된다.
접촉표면의 외형의 제2실시예에 의하면, 접촉표면은 접촉표면을 분할하며 제1평면과 수직인 방향으로 연장하는 제2평면의 적어도 한쪽 측면에서 적어도 하나의 접합부를 가지는 오목한 굴곡부를 따라 상호 평행한 제1평면의 집합체 각각과 교차하며, 상기 접합부의 굴곡도는 제2평면부터 멀어질수록 점차 감소한다. 제3청구항에 의한 외형으로부터 시작하는 이러한 외형은 미리 정해진 길이의 접촉표면의 접합부의 수는 무한대가 되는 배열에 의해 달성된다. 이는 양 실시예가 공통의 발명 아이디어를 바탕으로 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제2실시예의 경우, 제2평면의 측면 중 적어도 한 측면에서 굴곡부 전부에 걸쳐서 접촉표면은 계속적인 굴곡도의 변화가 있고, 상기 굴곡도는 제2평면으로부터 멀어질수록 감소한다. 그러나 바람직하게는(제1실시예에 대해 바람직한 것과 마찬가지로), 상기 실시예의 접촉표면은 제2평면의 양쪽 측면에서 상이한 윤곽의 림웰과 유사 접촉, 특히 대칭 접촉을 할 수 있도록 제2평면의 양쪽 측면에 청구된 굴곡 윤곽을 나타내는 것이 좋다. 이러한 외관은 접합층에서의 토크 발생을 최소화시켜주는 장점이 있다.
일반적으로, 대칭적으로 설계되지 않는다는 점에서 바람직하지는 않지만, 예를 들어 제2평면의 한쪽 측면에 대해 단일평면 접촉표면을 제공하는 방식으로 제2평면의 한쪽 측면보다 다른 쪽 측면에 대해 접촉표면이 상이한, 특히 좀더 단순한 외형을 갖게 할 수 있다. 접촉표면 외형에 대한 두 실시예의 조합을 사용할 수도 있다. 상이한 굴곡도를 가진 접촉표면의 아치형 접합부 연속을 사용하는 제1실시예는 성형체에 접합하고 매우 좁은 치수 허용오차를 갖는 림웰을 갖는 림의 경우 특히 적합하다. 그러나 이것이 본 발명의 규칙은 아니다. 만약 림웰에 큰 치수허용오차가 존재한다면, 제8청구항에 의한 제2실시예가 더욱 접합하며 바람직하다.
치수허용오차는 림의 원주 방향뿐 아니라, 가로축 방향에서도 일어나게 된다. 구체적으로, 림웰이 항상 실린더 모양을 가진다고 생각될 수 없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발전에 의하면, 굴곡부와 수직으로 교차하는 제3평면을 구비한 교차선을 따라 볼록한 모양으로 연장하는 접촉표면이 제공된다. 이 경우 결합선이 곡선이 아닌 직선형태이기 때문에, 전체가 정확하게 실린더 모양인 림웰이 최적의 접촉표면을 얻는데 가장 적합하다. 그러나 실제로 항상 실린더형 림웰로부터 시작할 수 있는 것은 아니며, 충분하게 큰 접촉표면은 하나의 동일한 성형체 및 다수의 림웰 형태로부터 획득될 수 있다는 것을 고려하여, 만약 접촉표면이 상기 언급된 굴곡부와 직각으로 교차하는 제3평면을 구비한 교차선을 따라 볼록한 모양으로 연장한다면 적합한 절충안이 획득될 것이다. 제3평면을 구비한 교차선은 연속적인 접합부 사이의 각도가 폴리라인(polyline)의 한쪽 말단에서 다른 쪽 말단으로 증가하는 곳에서 폴리라인을 형성하는 일직선 접합부의 연속으로 구성되어 진다. 그러나 교차선은 접합부에 의해 굽어지거나 연속적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 굴곡도는 교차선의 한쪽 말단에서부터 다른 쪽 말단으로 증가하는 것이 좋다. 림의 가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상기 (림과 관련하여)비대칭 외형은, 높은 치수변화를 갖는 림 , 비실린더형 림웰을 갖는 림 및 비실린더형 림웰을 갖는 림이 어깨형상부(shoulder)로 변화하기 시작하는 림웰의 가장자리 부분에 충분한 적합성을 갖고 성형체를 고정하는데 특히 적합하다. 상기 방법으로 만들어진 성형체의 접촉표면은 안장 절반의 모양과 비슷하다.
성형체와 림 사이의 개체결합을 위해 적합한 물질은 접합제 중에서도 특히 두 개의 성분 에폭시수지 및 두 개의 성분 SE 폴리머처럼 수정가능한 접합제이고, 이는 적어도 1mm의 높이까지 접합간격이 달성될 수 있게 한다. 비록 차가운 경화 접합제가 처리과정 절감을 위해서 바람직하더라도, 뜨거운 경화 접합체 또한 사용가능하다. 접합제의 부착은 적합한 외형을 가지고 있거나 울퉁불퉁하게 하기, 에칭, 및 접촉표면의 구조화 또는 도려내기처럼 공지된 접촉표면에 대한 사전초치에 의해 개선될 수 있다.
개체결합은 또한 야금술에 의해 실현될 수 있으나, 상기 해법은 접합제 결합에 비해 많은 비용이 든다.
도1에 도시된 성형체(1)는 일반적인 오목 모양의 접촉표면(2)을 갖고 있다. 제1평면(3)의 집합체는 연속적인 접합부(5a, 5b, 5c)를 포함하는 굴곡부(5)를 따라 성형부와 교차하고; 상기 제1평면(3)의 집합체는 상호 평형하며 이중 하나는 성형체의 측면표면(4)과 동일한 공간을 차지하고; 상기 연속적인 접합부는 접합부(5a)가 최소 굴곡 반경을 가지는 반면 접합부(5c)가 최대 굴곡 반경을 갖도록, 제1평면(3)과 직각으로 교차하고 접촉표면(2)을 분할하는 제2평면(6)과 가장 가까운 접합부(5a)부터 시작하여 굴곡도가 제2평면(2)으로부터 멀어질수록 감소하는 방식으로 상이하게 굴곡져 있다. 그 결과 제2평면(6)의 양쪽 측면에서, 접촉표면(2)이 서로 바로 잇따르는 상이하게 굴곡진 접합부(2a, 2b, 2c)의 연속부를 구비한다. 도시된 예에서, 접합부(2a, 2b, 2c) 각각은 실린더 덮개 섹션을 구성한다.
상기 배열은, 접촉 표면의 접합부(2a)가 제2평면(6)의 한쪽 측면에서부터 다른 쪽 측면으로 변화없이 연장되고 다른 접합부(2b, 2c)도 바깥쪽으로 접합부(2a)를 잇따르도록, 제2평면(6)에 대해 거울역상(mirror-inverted)이다. 제2평면(6)의 상이한 측면에서 동일한 도면부호로 표시된 접합부(2b, 5b)는 각각 동일한 굴곡도와 동일한 곡률 중심을 가지고 있고, 곡률 중심은 제2평면(6)위에 있다. 동일 도면 부호로 나타내어진 접합부(5c, 2c) 각각에 동일사항이 대응하여 적용된다.
도2에 도시된 종류의 성형체가 큰 직경의 실린더형 림웰(7)에 사용된다면, 성형체(1)는 접촉표면(2)의 외부 접합부(2c)에 의해 꼭 맞게 림웰(7)에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성형부(1)가 림웰(7)에 접합될 때, 실질적으로 일정한 두께의 접합층은 접촉표면의 접합부(2c)의 지역에 형성될 수 있다. 간격(8)은 외부 접합부(2c)의 가장자리에서 시작하여 제2평면(6)의 방향으로 림웰(7)과 접촉표면(2) 사이로 최대높이(dmax)까지 개방될 것이며, 상기 최대높이는 접합제의 종류 및 요구되는 접합인장강도에 의존하며, 간격의 최대높이까지 접합체를 채웠을 때 요구되는 인장강도의 원인이 된다. 간격의 최대높이에 도달하는 이러한 지역은 하기에 접합지역(9)으로 기술되어 있다.
도3에 의한 성형체(1)가 작은 직경의 림웰(7)에 사용될 때, 접촉표면의 내부 접합부(2a)는 림웰(7)에 꼭 맞게 사용될 것이고 접합지역은 접합부(2a)의 양쪽 측면에 지역과 만나는 특정 영역을 넘어 접합부(2b)의 지역까지 연장된다.
평균 직경의 림의 경우, 성형체(1)는 접촉표면(2)의 접합부(2b)에 의해 꼭 맞게 림웰(7)에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이 경우, 접합지역(9)은 미리 정해진 간격의 최대톺이(dmax)에 도달할 때까지 접합부(2b) 각각의 양쪽 측면에서 이웃접합부(2b, 2c)로 연장된다.
굴곡의 직경이 상이한 세 접합부를 위해 도1 내지 도3에 도시된 것은 성형부(1)가 사용될 상이한 림웰 직경 수에 따라 다수의 상이한 굴곡 직경으로 확대될 수 있다.
도4는 만약 접촉표면의 불연속 접합부(2a, 2b, 2c)의 수가 접촉표면(2)의 미리 정해진 전체길이를 초과하여 무한대가 되도록 선택되어 진다면, 이에 따라 첫 번째 실시예에서의 경계선를 접촉표면(2)이 연속적으로 변화는 굴곡도로 나타내는 성형체(1)의 실시예의 측면도를 나타낸다.
도4에 도시된 실시예와 비교하면 도5에 도시된 실시예는, (도4의 실시예처럼)제2평면(6)의 한쪽 측면에 있는 굴곡부(5)의 굴곡도는 제2평면으로부터 멀어질수록 감소하는 반면, 제2평면(5)의 다른 쪽 측면에 있는 접촉표면(2)은 굽지않고 일직선이라는 점에서 변형예이다. 이러한 비교는 간격의 최대높이(dmax)에 도달할 때까지 접합지역(9)의 길이가, 제2평면(6)의 다른 쪽 측면에 있는 지역보다 접촉표면이 일직선의 경계선을 가지는 지역에서 더 짧다는 것을 보여준다.
도6 내지 도11은 림웰의 회전축, 즉 림의 반경 방향평면에 위치한 제3평면에서 림웰(7)에 대한 접촉표면(2)의 적용을 도시한 것이다. 상기 제3평면은 도2 내지 도5에서는 투영면에 수직하게 연장되는 반면, 도6 내지 도11 각각에서는 투영면이다. 현재의 관계에 대한 본 토의의 목적에서 중요한 것은 오직 림웰(7)의 두 표면의 모양과 서로 마주보는 성형체(1)의 모양이기 때문에, 림웰(7)과 성형체(1)는 모두 매우 간단한 블록형태로 도시되었다.
도6은 성형체(1)와 접촉하는 지역에서 림웰(7)이 실린더형태를 갖고 있는 경우를 도시한 것이다. 림의 회전축과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림웰(7)의 가로방향(10)에서, 만약 접촉표면(2)이 (상기 실시예에 대한 도시에서처럼)실린더형 접합부(도1 내지 도3), 평평한 접합부, 혹은 가로방향(10)으로 일직선 경계선을 가진 접합부 중 어느 것을 구비하였다면; 일정한 간격높이의 접합지역(9)이 획득될 수 있다. 그러나 불행하게도, 이것이 흔한 경우는 아니다. 림웰(7)은 종종 도8에 도시된 것처럼 원뿔형 형태를 갖는다. 이런 경우, 간격 최대높이(dmax)까지의 효과적인 접합지역(9)은 원뿔각에 따라 많이 혹은 적게 감소된다. 이는 바람직하지 않다. 이것은 도6 및 도7에 도시된 일직선 경계선 대신에, 접촉표면(2)의 윤곽선이 가로 방향으로 많이 혹은 적게 볼록하게 되는 효과가 있는 폴리라인의 윤곽을 가로방향으로 원뿔형 표면(2)에 부여하는 것으로 상쇄될 수 있다. 폴리라인이 두 개의 일직선 접합면을 구비한 상기 배열의 가장 간단한 실시예는 도8 및 도9에 도시되었다. 비록 정확히 실린더형 림웰(7)을 가진 림의 경우 가로방향(10)으로 접합지역(9)이 짧아지지만; 그러나 이러한 단점은 상기 외형의 성형체(1)가 원뿔형 림웰(7)에 접합 될 때(도9 참조), 도8에 도시된 경우와 비교하면 접합지역(9)의 길이가 증가한다는 사실에 의해 상쇄된다는 것이 도8 및 도9에 도시되어 있다. 그러므로 가로방향(10)으로 접촉표면(2)을 구부리는 것은 도6 및 도7에 도시된 경계선 케이스 사이 중간의 유리한 절충안을 구성한다.
접촉표면이 도8 및 도9에 도시된 것처럼 단순히 구부려진 것 아니라; 제3평면(12)를 구비한 교차선(11)로 표현되며, 굴곡도가 성형체의 한쪽 말단(도10의 왼쪽 좌측가장자리)에서 부터 성형체의 반대편 가장자리를 향해 평균적으로 증가하는 도10 및 도 11에 도시된 윤곽선을 접촉표면에 주도록 폴리라인이 사용된다면; 가로방향으로 접촉표면(2)의 개발은 최적화될 수 있다. 폴리라인 대신에, 교차선(11)이 연속적인 굴곡부에 주어질 수 있고, 가로 방향으로 연속적인 굴곡부에 가까워진다. 그러면 접촉표면(2)의 윤곽선은 절반의 말안장의 윤곽선과 비슷하다. 만약 하나의 동일한 성형체(1)가 많은 수의 다양한 림웰에 사용될 수 있다면, 이는 달성할 수 있는 최적의 조건이다.

Claims (20)

  1. 림웰(7)의 안쪽에 위치한 지점에서 림과 결합되고, 림웰 위에 놓이게 되는 접촉표면(2)을 가진 성형체에 있어서;
    접촉표면(2)이 굴곡부(5)를 따라 상호평행한 제1평면(3)의 집합체의 각각과 교차하고; 상기 굴곡부는 원형의 아치가 아니라, 제2평면(6)으로부터 굴곡부의 거리가 적어도 제2평면(6)의 한쪽 측면에서 일정 증가율을 가지고 증가하는 것이며; 상기 증가율은 평균적으로 감소하고; 상기 제2평면은 접촉표면(2)을 분할하며 제1평면(3)과 수직인 방향으로 연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체.
  2. 제1항에 있어서, 증가율은 제2평면(6)으로부터 굴곡부(5)의 거리가 증가함에 따라 한계 값까지 감소된 후 상기 거리가 계속 증가할 때에 일정한 값을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체.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굴곡부(5)는 오목한 굴곡 접합부(5a, 5b, 5c)의 연속부을 포함하며, 상기 굴곡부의 굴곡도는 제2평면(6)으로부터의 거리가 증가할수록 감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체.
  4. 제3항에 있어서, 굴곡도는 굴곡부(5)를 따라 굴곡 접합부(5a, 5b, 5c) 내에서 일정한 값을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체.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이한 굴곡 접합부(5a, 5b, 5c)가 서로 바로 잇따르고, 두 인접한 접합부 사이에서 굴곡도가 급격히 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체.
  6. 상기 선행하는 청구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접합부(5a, 5b, 5c)는 길이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체.
  7. 제3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2평면(6)과 가장 가까운 접합부(5a)는 나머지 접합부(5b, 5c)보다 길고; 상기 나머지 접합부는 길이가 서로 동일하거나 제2접합부로부터 거리가 증가할수록 짧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체.
  8. 굴곡부는(5) 제2평면(6)으로부터의 거리가 증가할수록 굴곡도가 계속 감소하는 오목한 접합부를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부.
  9. 제8항에 있어서, 제2평면의 적어도 한 측면에서 굴곡부(5)가 굴곡부 전부에 걸쳐 제2평면(6)으로부터의 거리가 증가할수록 감소하는 굴곡도를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체.
  10. 선행하는 청구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굴곡부(5)는 제2평면(6)의 양쪽 측면에서 청구된 모양을 보여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체.
  11. 제10항에 있어서, 굴곡부(5)는 제2평면(6)에 대해 거울 대칭적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체.
  12. 제10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제2평면(6)의 상이한 측면에 위치한 굴곡부(5)의 두 접합부 각각은 일치된 굴곡도와 동일한 곡률 중심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체.
  13. 선행하는 청구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접합표면(2)이 굴곡부(5)와 수직하게 교차하는 제3평면(12)을 구비한 교차선(11)을 따라 볼록한 모양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체.
  14. 제13항에 있어서, 교차선(11) 각각은 교차선의 한쪽 말단에서 다른 쪽 말단으로 증가하는 굴곡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체.
  15. 제14항에 있어서, 교차선(11)의 굴곡도는 계속 증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체.
  16. 선행하는 청구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성형체는 하우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체.
  17. 제1항 내지 제15항에 있어서, 성형체는 하우징용 캐리어나 홀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체.
  18. 제16항 또는 제17항에 있어서, 하우징이 림에 장착된 공기 타이어의 기압이나 온도를 측정하는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체.
  19. 개체결합에 의해 림웰(7) 안쪽의 한 지점에서 림과 결합하는 접촉표면(2)을 가지고, 상기 선행하는 청구항 중 어느 한 항의 성형체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체를 구비한 림.
  20. 제19항에 있어서, 성형체(1)는 림웰(7)에 접합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림.
KR1020057018073A 2003-03-27 2004-03-27 휘일림에 연결하기 위한 성형체 및 성형체에 연결되는휘일림 KR2005011162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314498A DE10314498A1 (de) 2003-03-27 2003-03-27 Formteil zur Verbindung mit einer Felge und Felge, die mit einem Formteil verbunden ist
DE10314498.6 2003-03-2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11622A true KR20050111622A (ko) 2005-11-25

Family

ID=329808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18073A KR20050111622A (ko) 2003-03-27 2004-03-27 휘일림에 연결하기 위한 성형체 및 성형체에 연결되는휘일림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7661311B2 (ko)
EP (1) EP1608520B1 (ko)
JP (1) JP4582811B2 (ko)
KR (1) KR20050111622A (ko)
AT (1) ATE334832T1 (ko)
DE (2) DE10314498A1 (ko)
ES (1) ES2270370T3 (ko)
WO (1) WO200408517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55689A (ja) * 2008-04-15 2009-11-05 Bridgestone Corp 部品固定器具、部品固定方法及びタイヤ組立体
US8640534B2 (en) 2011-08-22 2014-02-04 Bendix Commercial Vehicle Systems Llc Mounting method and device for tire pressure monitoring sensor
JP7045885B2 (ja) * 2018-03-09 2022-04-01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用ホイール
JP2019199094A (ja) * 2018-05-14 2019-11-21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用ホイール及びそ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3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17452A (en) * 1977-04-06 1978-09-26 Gould Inc. Tire condition sensing apparatus
FR2407033A1 (fr) * 1977-10-31 1979-05-25 Honda Motor Co Ltd Procede de fabrication de jantes de roues sans soudure
JPS55160610A (en) * 1979-06-02 1980-12-13 Toyobo Co Ltd Safety tire for motorcar
GR63211B (en) * 1979-08-02 1979-10-08 Thrassyvoulos System of electronic location of any kind of tires
US4384482A (en) * 1979-11-27 1983-05-24 Imperial Clevite Inc. Vibrating transducer power supply for use in abnormal tire condition warning systems
US4510484A (en) 1983-03-28 1985-04-09 Imperial Clevite Inc. Piezoelectric reed power supply for use in abnormal tire condition warning systems
US4507956A (en) * 1983-09-09 1985-04-02 Eaton Corporation Circuit mounting apparatus
JPH0274204U (ko) * 1988-11-28 1990-06-06
US5285189A (en) * 1991-05-14 1994-02-08 Epic Technologies, Inc. Abnormal tire condition warning system
US5559484A (en) * 1991-05-14 1996-09-24 Epic Technologies, Inc. Data logging tire monitor with condition predictive capabilities and integrity checking
JP2769138B2 (ja) * 1994-12-16 1998-06-25 日立金属株式会社 フェライトコア及びその製造方法
US5816894A (en) * 1994-12-16 1998-10-06 Hitachi Metals, Ltd. Gap-providing ferrite core half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US5844131A (en) 1995-06-26 1998-12-01 Alligator Ventilfabrik Gmbh Tire pressure sensor apparatus for a pneumatic tire of a vehicle
US5838229A (en) * 1995-07-18 1998-11-17 Schrader-Bridgeport International, Inc. Remote tire pressure monitoring system employing coded tire identification and radio frequency transmission and enabling recalibration upon tire rotation or replacement
DE19529289A1 (de) * 1995-08-09 1997-02-13 Continental Ag Befestigungsvorrichtung an Fahrzeugfelgen
US5699041A (en) * 1996-02-14 1997-12-16 Ballyns; Jan Pneumatic pressure sensor device
US5637926A (en) * 1996-02-20 1997-06-10 Delco Electronics Corp. Battery powered electronic assembly for wheel attachment
DE19626144A1 (de) * 1996-07-01 1998-01-08 Continental Ag Schutzgehäuse für einen Elektronikbaustein
DE19626145A1 (de) * 1996-07-01 1998-01-08 Continental Ag Befestigungsvorrichtung für ein Elektronikmodul
US5798689A (en) * 1996-12-23 1998-08-25 Huang; Tien-Tsai Tire pressure indicator
US5900808A (en) * 1997-02-21 1999-05-04 Lebo; Michael E. Low pressure warning system
JP3869909B2 (ja) * 1997-05-20 2007-01-17 横浜ゴム株式会社 空気入りタイヤの内圧検知装置
JPH11308738A (ja) * 1998-04-21 1999-11-05 Sumitomo Wiring Syst Ltd コネクタホルダー
US6175301B1 (en) * 1999-03-19 2001-01-16 Gregory H. Piesinger Low tire pressure warning system
US6243007B1 (en) * 1999-12-01 2001-06-05 Mclaughlin John T. Tire condition monitoring system
JP3937669B2 (ja) * 2000-01-13 2007-06-27 日本精工株式会社 球面測定方法
FR2807363B1 (fr) * 2000-04-07 2003-02-07 Trw France Capteur de mesure de parametre de pneumatique et systeme de mesure en comportant application
JP4169457B2 (ja) * 2000-06-09 2008-10-22 横浜ゴム株式会社 タイヤ内電子部品の保護構造
FR2810272B1 (fr) * 2000-06-15 2002-08-30 Sagem Boitier de capteur de pression de pneumatique de vehicule automobile
TW520332B (en) * 2000-09-02 2003-02-11 Lite On Automotive Corp Status sensor of inflated automobile tire
DE10131411A1 (de) * 2001-06-26 2003-02-20 Beru Ag Rad für Fahrzeuge mit Luftreifen und Anordnung aus einem Ventil, einer Vorrichtung zum Messen des Reifendruckes und einer sie im Luftreifen haltenden Feder
TW515764B (en) * 2002-01-09 2003-01-01 Lite On Automotive Corp Wheel rim having sensor
US6805000B1 (en) * 2002-02-11 2004-10-19 Smartire Systems,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mounting a tire condition sensor capsule to a wheel rim
FR2839016A1 (fr) * 2002-04-30 2003-10-31 Johnson Contr Automotive Elect Embase de fixation d'un boitier capteur de pression de pneumatique pour vehicule automobile, boitier associe et procede de montag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4085177A1 (de) 2004-10-07
ES2270370T3 (es) 2007-04-01
DE10314498A1 (de) 2004-10-14
ATE334832T1 (de) 2006-08-15
EP1608520A1 (de) 2005-12-28
US20060177625A1 (en) 2006-08-10
US7661311B2 (en) 2010-02-16
JP4582811B2 (ja) 2010-11-17
JP2006521240A (ja) 2006-09-21
DE502004001103D1 (de) 2006-09-14
EP1608520B1 (de) 2006-08-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072500B2 (ja) 空気圧タイヤのための自動車用車輪及びバルブ、タイヤ圧測定装置及び前記空気圧タイヤに前記装置を保持するスプリングを備える機構
CA2902398C (en) Vehicle wheel
US20080156139A1 (en) Grip for handlebar of bicycle
US8286679B2 (en) Vehicle wheel
US20160016430A1 (en) Vehicle wheel
CN102085836B (zh) 车轮传感器安装装置
JP2001188159A5 (ko)
KR20050111622A (ko) 휘일림에 연결하기 위한 성형체 및 성형체에 연결되는휘일림
US7040155B1 (en) Sensor housing fastening arrangement in wheels with pneumatic tires
KR100447524B1 (ko) 이륜차 차륜용 균형추
JP6704986B2 (ja) タイヤ状態検出装置
CN110722925B (zh) 车辆用轮毂
US7396003B2 (en) Fluid-filled vibration-damping device
CN110450578B (zh) 车辆用轮毂
JP2010095165A (ja) 空気圧検出装置の取付構造
US7172301B2 (en) Optical reflecting mirror
ATE408527T1 (de) Schlauchlos montierte anordnung für ein fahrrad
US9932075B1 (en) Spare wheel assembly for a vehicle
US20180372937A1 (en) Optical Module Optical Interface Assembly with an Optical Lens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JP2005112082A (ja) 一対のネジ部品を用いた固定構造及びそれを備えたアンテナ装置
JPH06185517A (ja) 部材結合要素
JP3010523U (ja) リムレス眼鏡におけるレンズ連結機構
SU1689197A1 (ru) Отражатель дл спицевого колеса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CH703272B1 (fr) Spiral Breguet à courbe terminale localement épaissie.
KR101538227B1 (ko) 화학기계 연마고정구 및 고정베이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