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104734A - 공기조화기 - Google Patents

공기조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104734A
KR20050104734A KR1020040030126A KR20040030126A KR20050104734A KR 20050104734 A KR20050104734 A KR 20050104734A KR 1020040030126 A KR1020040030126 A KR 1020040030126A KR 20040030126 A KR20040030126 A KR 20040030126A KR 20050104734 A KR20050104734 A KR 200501047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guide
orifice
air guide
air condition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301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희준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301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104734A/ko
Publication of KR200501047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04734A/ko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7/00Water main or service pipe systems
    • E03B7/09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E03B7/10Devices preventing bursting of pipes by freezing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7/00Water main or service pipe systems
    • E03B7/09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E03B7/10Devices preventing bursting of pipes by freezing
    • E03B7/12Devices preventing bursting of pipes by freezing by preventing freez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49/00Means in or on valves for heating or coo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3/00Heating of pipes or pipe systems; Cooling of pipes or pipe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Air Filters, Heat-Exchange Apparatuses, And Housings Of Air-Conditioning Un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흡입공기의 유동경로를 형성하는 에어가이드와 오리피스의 결합부에 누설방지부가 형성되는 구조를 가지는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는 흡입된 공기를 상방으로 안내하는 에어가이드(300)와, 상기 에어가이드(300)와 결합하여 흡입공기의 유로를 형성하는 오리피스(410)와, 상기 에어가이드(300)와 오리피스(410)의 결합부에 형성되어 공기의 누설을 방지하는 누설방지부(330)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진다. 그리고, 상기 오리피스(410)에는 흡입공기를 상기 에어가이드(300)로 안내하는 관통홀(412)이 다수개 형성된다. 한편, 상기 누설방지부(330)는 상기 에어가이드(300)와 오리피스(410)에 서로 대응되게 형성되어 면접촉하는 누설방지홈(304)과 누설방지리브(414)를 포함하여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에 의하면 결합방지부의 형성으로 흡입공기의 외부누설없이 원활하게 실내토출구로 안내되어 공기조화기의 작동효율을 향상시키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공기조화기 { Air conditioner }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흡입공기의 유동경로를 형성하는 에어가이드와 오리피스의 결합부에 누설방지부가 형성되는 구조를 가지는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조화기는 차량이나 사무실 또는 가정 등과 같은 실내의 한 공간 또는 벽면에 설치되어 실내를 냉방하거나 난방하는 냉/난방기기로서, 압축기-실외열교환기-팽창밸브-실내열교환기로 이루어진 일련의 냉동사이클을 구성하는 기기이다.
특히, 공기조화기는 통상적으로 주로 실외에 설치되는 실외측(또는 실외기)과, 주로 실내에 설치되는 실내측(또는 실내기)으로 나뉘어지는데, 주로 냉방장치에서는 상기 실외측을 방열측이라 하고 실내측을 흡열측이라 한다. 그리고, 상기 실외측에는 실외열교환기와 압축기가 설치되고, 상기 실내측에는 실내열교환기가 설치된다.
공기조화기는 주지된 바와 같이, 실외측과 실내측이 분리된 분리형 공기조화기와 실외측과 실내측이 일체로된 일체형 공기조화기로 크게 나눌 수 있다. 그리고, 분리형 공기조화기는 장착형태에 따라서는 패키지형, 벽부착형, 천장부착형 등으로 나뉘어진다. 또한, 일체형 공기조화기는 창문을 중심으로 실내에는 실내측이 형성되고 실외에는 실외측이 위치되는 창문형 공기조화기가 있으며, 창문외에 벽속에 설치되는 것도 있다.
도 1 은 종래 기술에 의한 일체형 공기조화기의 구조를 보인 분해사시도로서, 이를 참고로 일체형 공기조화기의 내부구성을 살펴보면, 공기조화기의 바닥을 베이스팬(1)이 형성하고, 상기 베이스팬(1)의 실내측 전면에는 프론트그릴(3)이 설치된다. 상기 프론트그릴(3)은 공기조화기의 정면 외관을 형성하게 되는 것으로 실질적으로는 아래에서 설명될 캐비넷(30)의 전면에 장착된다.
이와 같은 프론트그릴(3)의 일측에는 공기조화를 위한 공간의 공기가 공기조화기의 내부로 흡입되는 흡입부(3i)가 형성되어 있고, 타측에는 공기조화기에서 열교환된 공기가 다시 실내로 토출되는 토출부(3e)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흡입부(3i)에는 흡입그릴(4)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토출부(3e)의 하부에는 공기조화기의 동작을 조작하기 위한 컨트롤패널부(3c)가 구비된다.
상기 프론트그릴(3)의 내측에는 실내열교환기(7)가 설치된다. 상기 실내열교환기(7)는 상기 프론트그릴(3)의 흡입부(3i)를 통해 흡입되는 공기와 공기조화사이클의 작동유체 사이의 열교환을 위한 것으로, 보다 정확하게는 아래에서 설명될 에어가이드(9)에 설치된다.
상기 실내열교환기(7)가 설치되는 에어가이드(9)의 구성을 설명하면, 에어가이드(9)에는 상기 실내열교환기(7)를 통과한 공기가 안내되는 통공(10)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프론트그릴(3)의 토출부(3e)에 대응되는 위치에는 토출가이드(9e)가 형성된다. 이와 같은 에어가이드(9)의 바닥면에는 상기 실내열교환기(7)에서 발생된 응축수를 배수하기 위한 배수구조(9')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에어가이드(9)의 후방에는 상기 에어가이드(9)와 결합되는 스크롤(11)이 설치된다. 상기 스크롤(11)의 내면에는 유동가이드면(12)이 형성되어 아래에서 설명될 시로코팬(19)에 의해 형성되는 기류를 안내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프론트그릴(3)의 컨트롤패널부(3c)에 대응되는 베이스팬(1) 상에는 공기조화기의 제어를 위한 각종 전장부품이 구비되는 컨트롤박스(14)가 설치된다. 상기 컨트롤박스(14)는 그 전단에서 2개의 나사로 상기 베이스팬(1)에 체결되고, 그 후단에서 상기 에어가이드(9)에 나사로 체결되어 고정된다.
다음으로 상기 스크롤(11)의 후면에 밀착되어 공기조화기의 실내측과 실외측을 구획하는 베리어(15)가 설치된다. 상기 베리어(15)는 공기조화기의 실내측과 실외측을 구획하여 실내측 환경과 실외측 환경이 서로 영향을 받지 않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베리어(15)의 상단 일측에는 전선통과구(16)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베리어(15)의 후단, 즉 실외측에는 모터마운트(18)가 베이스팬(1)에 안착되어 설치되고, 이에는 모터(17)가 설치된다. 상기 모터(17)는 그 축이 각각 실내측과 실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것으로, 일측 축은 상기 베리어(15)를 관통하여 실내측의 스크롤(11) 내부로 돌출 된다. 상기 실내측으로 돌출된 축에는 시로코팬(19)이 설치된다. 상기 시로코팬(19)은 공기조화를 위한 공간의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실내열교환기(7)를 통과시키고 다시 상기 토출가이드(9e)로 안내하여 실내로 다시 토출되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상기 모터(17)의 실외측 축에는 송풍팬(21)이 설치된다. 상기 송풍팬(21)은 실외의 공기를 흡입하여 공기조화기 실외측의 실외열교환기(27)를 통과하면서 열교환되도록 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실외측에는 상기 송풍팬(22)에 의해 형성되는 기류를 안내하는 쉬라우드(23)가 설치된다. 상기 쉬라우드(23)는 실외열교환기(27)로 외부에서 흡입된 공기를 고르게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쉬라우드(23)에는 상기 송풍팬(21)이 설치되는 통공(23')이 형성되어 있다. 도면부호 24는 쉬라우드(23)의 상면을 형성하는 커버이다. 그리고 도면부호 25는 상기 에어가이드(9)와 쉬라우드(23)의 상단을 연결하여 그 설치상태를 견고하게 하는 브레이스이다.
다음으로, 실외열교환기(27)는 상기 베이스팬(1) 상에 설치되는 것으로 실외측 가장 외곽에 설치된다. 상기 실외열교환기(27)는 실외에서 흡입된 공기와 작동유체 사이에서 열교환이 일어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베이스팬(1) 상에 설치되는 각종 부품은 차폐하도록 캐비넷(30)이 구비된다. 상기 캐비넷(30)은 상기 베이스팬(1)과 체결되어 설치되고, 공기조화기의 양측면과 상단을 차폐한다.
여기서, 도면으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실외측에는 공기조화사이클의 구성요소인 압축기와 팽창밸브 등이 구비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일체형 공기조화기는 상기 실내측에 해당되는 부분이 공기조화를 위한 공간을, 상기 실외측에 해당되는 부분이 실외측을 향하도록 설치되어 사용된다.
한편, 공기조화기가 냉방을 위해 동작되는 것을 살펴본다. 즉, 공기조화기가 구동되면, 공기조화사이클이 동작되고 상기 모터(17)가 상기 시로코팬(19) 및 송풍팬(21)을 회전시키게 된다.
따라서 실내측에서는 공기조화를 위한 공간의 공기가 프론트그릴(3)의 흡입부(3i)를 통해 흡입되어 실내열교환기(7)로 전달된다. 상기 공기는 실내열교환기(7)를 통과하면서 작동유체와 열교환하여 상대적으로 낮은 온도로 된다.
그리고 상기 시로코팬(19)의 회전에 의해 상기 열교환된 공기는 상기 에어가이드(9)의 통공(10)을 통해 시로코팬(19)으로 흡입된다. 그리고 시로코팬(19)에서 토출되어 스크롤(11)의 내부를 따라 안내되면서 상기 토출가이드(9e)로 전달된다. 상기 토출가이드(9e)로 전달된 공기는 프론트그릴(3)의 토출부(3e)를 통해 공기조화를 위한 공간으로 토출된다.
한편, 상기 실외측에서는 상기 실내열교환기(7)에서 작동유체가 전달받은 열을 외부로 배출하는 동작이 진행된다. 즉 상기 송풍팬(21)에 의해 외부의 공기가 공기조화기의 실외측으로 흡입되고, 상기 쉬라우드(23)에 의해 안내되어 상기 실외열교환기(27)를 통과하면서 작동유체와 열교환하여 외부로 열을 방출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 의한 공기조화기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 의한 공기조화기에서는 흡입된 공기가 에어가이드(9)로 유입되어 상기 스크롤(11)을 통과하면서 유동경로가 변경되어 자연스럽게 토출부(3e)로 안내되는 구조로 형성된다. 이때 상기 에어가이드(9)와 스크롤(11)의 단순한 결합으로 흡입공기가 안내되는 유로가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에어가이드(9)와 스크롤(11)이 별도의 구조나 장치가 마련되어 있지 않고 단순한 면접촉에 의한 결합을 하게 되면 작동중 발생하는 진동이나 외부요인에 의해서 상기 에어가이드(9)와 스크롤(11)의 결합부에서 일부의 누설이 발생할 수 있는 문제가 발생된다.
그리고 상기 에어가이드(9)와 스크롤(11)의 결합부에서 누설이 발생하게 되면, 이는 곧 흡입공기의 유동시 흡입공기의 손실을 초래하게 되어 공기조화기의 작동효율을 떨어뜨리게 되는 치명적인 문제점이 발생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흡입된 공기의 유동을 안내하는 오리피스와 에어가이드의 결합부에 흡입공기의 누설을 방지하는 누설방지부가 형성되는 공기조화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흡입된 공기를 상방으로 안내하는 에어가이드와, 상기 에어가이드와 결합하여 흡입공기의 유로를 형성하는 오리피스와, 상기 에어가이드와 오리피스의 결합부에 형성되어 공기의 누설을 방지하는 누설방지부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오리피스에는 흡입공기를 상기 에어가이드로 안내하는 관통홀이 다수개 형성된다.
상기 누설방지부는 상기 에어가이드와 오리피스에 서로 대응되게 형성되어 면접촉하는 누설방지홈과 누설방지리브를 포함하여 형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에 의하면, 결합방지부의 형성으로 흡입공기의 외부누설없이 원활하게 실내토출구로 안내되어 공기조화기의 작동효율을 향상시키는 이점이 있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일체형 공기조화기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2 는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로서 도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공기조화기는 전면외관을 형성하는 프론트그릴(200)과 측면및 후면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넷(700)과 상면의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넷커버(600)에 의해서 대략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된다.
도 3 은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요부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로서 도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공기조화기의 바닥면을 구성하는 베이스팬(100) 상면은 실내측과 실외측으로 구획되어 각종 부품이 설치된다. 먼저 실내측의 최전방에는 프론트그릴(200)이 설치된다.
상기 프론트그릴(200)은 공기조화기의 전면 외관을 형성하는 것으로, 전방으로 라운드지게 형성된다. 즉, 전면 중앙부가 전방으로 일정부분 라운드지게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프론트그릴(200)의 하단부에는 공기조화를 위한 공간의 공기를 공기조화기의 실내측으로 흡입하는 통로인 전면흡입구(210)가 형성되어 있고, 프론트그릴(200)의 양측면에는 측면흡입구(215)가 형성된다.
상기 프론트그릴(200)의 상단부에는 열교환된 공기를 다시 공기조화를 위한 공간으로 토출하는 실내토출구(220)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실내토출구(220)의 전면에는 상기 실내토출구(220)를 상하로 슬라이딩하면서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토출구도어(230)가 설치된다.
상기 베이스팬(100)상에는 실내로부터 흡입된 공기의 유동로가 되는 에어가이드(300)가 형성되고, 상기 에어가이드(300)의 하단에는 실내측베이스(320)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실내측베이스(320)는 상기 에어가이드(300) 하단으로부터 수직 절곡되어 전방으로 돌출된 형상을 가지며 상기 베이스팬(100)의 선단부와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베이스팬(100)에 고정된다.
상기 에어가이드(300)의 상부에는 아래에서 설명할 실내팬(420)으로부터 유도되어 배출되는 공기를 상기 프론트그릴(200) 상부의 실내토출구(220)로 안내하는 토출가이드(350)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토출가이드(350)의 상면과 우측면에 걸쳐서 공기조화기를 제어하는 컨트롤박스(380)가 설치된다.
한편, 상기 에어가이드(300)의 전방에는 실내공기와 열교환을 수행하는 실내열교환기(400)가 설치된다. 상기 실내열교환기(400)와 상기 에어가이드(300) 사이에는 상기 에어가이드(300)와 결합되는 오리피스(410)가 설치된다. 상기 오리피스(410)는 상기 실내열교환기(400)에서 열교환된 공기를 상기 에어가이드(300)로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에어가이드(300)의 내부에는 실내팬(420)이 설치되어 실내측에서의 공기유동을 위한 원동력을 제공한다. 상기 실내팬(420)는 좌우에 각각 하나씩 쌍으로 형성된다. 즉, 상기 실내팬(420)은 상기 에어가이드(300)의 좌우에 형성되는 실내팬설치홀(312)에 각각 위치되는 것이다.
상기 실내팬(420)의 후측에는 팬모터(450)가 설치된다. 상기 팬모터(450)의 중심축(452) 선단은 상기 실내팬(420)의 중심부에 삽입되고, 후단은 아래에서 설명할 실외팬(460)의 중심부에 삽입된다. 따라서, 상기 팬모터(450)는 상기 실내팬(420) 및 실외팬(460)에 회전동력을 제공하게 된다.
상기 에어가이드(300)로부터 소정 거리를 두고 후방에는 실외측에서의 공기유동을 안내하는 쉬라우드(500)가 설치된다. 상기 쉬라우드(500)의 내측에는 실외의 공기를 강제 송풍하여 열교환이 일어나게 하는 실외팬(460)이 설치된다.
상기 쉬라우드(500)의 후측에 해당되는 상기 베이스팬(100)의 후단에는 실외열교환기(550)가 설치된다. 상기 실외열교환기(550)는 열교환사이클의 작동유체와 실외에서 흡입된 공기가 열교환된다.
한편, 상기 실외측의 베이스팬(100) 상에는 열교환사이클을 구성하는 작동유체를 고온고압으로 압축시키는 압축기(560)가 설치된다.
상기와 같은 공기조화기의 외관 후면과 양측면은 캐비넷(700)에 의해서 형성되고, 상기 공기조화기의 상면외관은 상방으로 탈거가능한 캐비넷커버(600)에 의해서 형성된다. 상기 캐비넷(700)과 캐비넷커버(600)는 상기 구성요소들을 차폐하고 공기조화기의 내부에 공기유로를 형성하도록 구성된다.
도 4 는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요부구성인 오리피스와 에어가이드의 외형을 보인 분해 사시도이고, 도 5 는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요부구성인 오리피스의 배면도로서, 도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상기 베이스팬(100) 상에는 실내측과 실외측을 구획하고 실내측에서의 공기유동을 안내하는 에어가이드(300)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에어가이드(300)의 전면 중앙부에는 상하로 좌우베리어(310)가 형성된다. 즉, 상기 좌우베리어(310)는 상기 에어가이드(300)의 전면 중앙부로부터 전방으로 돌출 형성되어 에어가이드(300)의 전방을 좌우로 구획한다.
한편, 상기 에어가이드(300)의 좌측과 우측에는 상기 실내팬(420)이 각각 설치되는 실내팬설치홀(312)이 형성된다. 상기 실내팬설치홀(312)은 상기 실내팬(420)과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되며, 상기 에어가이드(300)의 전방으로 일정부분 돌출되는 안내리브(302)가 형성된다.
상기 에어가이드(300)의 좌우베리어(310)와 안내리브(302)의 단부에는 흡입공기의 누설을 방지하기 위한 누설방지홈(304)이 형성된다. 상기 누설방지홈(304)은 상기 좌우베리어(310)와 안내리브(302)의 단부를 따라 단차지게 형성된다.
상기 에어가이드(300)의 일측 안내리브(302)의 상단부에는 아래에서 설명할 오리피스(410)와 결합할때 상기 오리피스(410)와의 고정을 위한 스크류가 관통되는 스크류체결부(306)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에어가이드(300)의 전방에는 상기 오리피스(410)가 형성되며, 상기 에어가이드(300)와 오리피스(410)는 결합하여 흡입공기가 유동하는 통로를 완성한다. 상기 오리피스(410)에는 상기 에어가이드(300)의 실내팬설치홀(312)과 대응되는 관통홀(412)이 각각 좌우에 쌍으로 형성된다.
상기 오리피스(410) 배면의 상부와 하부를 제외한 양측면과 상기 관통홀(412) 사이의 중앙부에는 상방으로 소정의 높이만큼 돌출된 누설방지리브(414)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오리피스(410) 배면 하방의 양 모서리와 좌우베리어(310)측에도 상기 누설방지리브(414)가 형성된다.
상기 누설방지리브(414)와 누설방지홈(304)이 결합되어 상기 에어가이드(300) 내부를 유동하는 공기의 누설을 방지하는 누설방지부(330)를 형성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오리피스(410) 상방의 일측단부에는 상기 에어가이드(300)와 결합될때 스크류에 의해 고정되기 위한 스크류결합홀(416)이 형성된다. 상기 스크류결합홀(416)은 상기 에어가이드(300)의 스크류체결부(306)와 스크류에 의해서 고정되어 상기 에어가이드(300)와 오리피스(410)의 결합을 한층 더 강하게 한다.
도 6 은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요부구성인 누설방지부의 결합구조를 보인 분해 사시도이고, 도 7 은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요구부성인 오리피스와 에어가이드가 결합된 모습을 보인 사시도로서 도면에 따르면, 상기 누설방지리브(414)는 상기 에어가이드(300)에 형성된 누설방지홈(304)의 단차진 부분과 대응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에어가이드(300)와 오리피스(410)가 결합될때 상기 누설방지홈(304)과 이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 누설방지리브(414)는 서로 면접촉을 하면서 형합되어 누설방지부(330)를 구성하게 된다.
상기 누설방지리브(414)와 누설방지홈(304)이 면접촉하면서 결합되면 상기 에어가이드(300)와 오리피스(410)의 결합부는 상기 누설방지리브(414)와 누설방지홈(304)으로 구성되는 누설방지부(330)에 의해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누설방지부(330)는 상기 오리피스(410)를 통해서 상기 에어가이드(300)로 유입되는 공기가 누설되지 않도록 상기 오리피스(410)와 에어가이드(300)의 결합부를 실링하게 된다.
한편, 상기 누설방지부(330)는 누설방지리브(414)가 상기 에어가이드(300)의 일측에 형성되고, 누설방지홈(304)은 오리피스(410)의 일측에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서로 면접촉에 의한 결합을 하게 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를 시동하기 위해서, 공기조화기에 전원을 인가하고 상기 디스플레이(260)를 사용의도에 맞게 조작하게 되면 상기 컨트롤박스(380)에서 공기조화기 내부의 구성요소를 제어하여 공기조화기를 구동시킨다.
공기조화기가 구동되면 상기 좌우의 팬모터(450)가 동작되어 상기 팬모터(450)의 중심축(452)에 연결된 실내팬(420)과 실외팬(460)이 각각 회전된다. 그리고, 상기 압축기(560)가 구동되어 작동유체를 고온고압으로 압축하여 열교환사이클을 순환하게 한다.
그리고 좌우측에 각각 구비되어 있는 상기 실내팬(420)의 구동에 의해서는, 공기조화를 위한 공간의 공기가 상기 전면흡입구(210) 및 측면흡입구(215)를 통해 흡입되어 상기 실내열교환기(400)를 거쳐 열교환 되면서 실내측의 내부로 유입된다.
상기 실내열교환기(400)에서 열교환되어 상대적으로 낮은 온도로 된 공기는 상기 실내팬(420)의 전방으로 흡입되는데, 이때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오리피스(410)에 쌍으로 형성된 관통홀(412)을 통해 실내의 공기가 유입된다.
상기 실내팬(420)의 흡인력에 의해 흡입된 공기는 상기 오리피스(410)의 관통홀(412)을 통해서 상기 에어가이드(300)로 유입된다. 상기 에어가이드(300)로 유입된 공기는 실내팬(420)의 회전에 따라 실내팬(420)의 원주방향으로 토출된다.
이와 같이 상기 실내팬(420)의 원주방향으로 토출된 공기는 상기 에어가이드(300)의 양쪽 측면의 안내리브(302)와 좌우베리어(310)가 형성하는 유로에 의해 안내되어 상기 에어가이드(300)의 상방에 설치되는 토출가이드(350) 내부로 유동된다. 그리고, 상기 토출가이드(350)의 내부로 유입된 공기는 전방으로 안내되어 실내토출구(220)를 통해 전방으로 토출된다.
즉, 상기 에어가이드(300)에 의해 상방으로 유입된 공기는 방향이 전환되어 전방으로 토출되는데, 상기 토출가이드(350)를 경유한 다음 상기 프론트그릴(200)의 실내토출구(220)를 통해 공기조화를 위한 공간으로 토출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오리피스(410)는 에어가이드(300)와 결합하여 상기 에어가이드(300) 내부의 유로를 완성하게 되고, 상기 오리피스(410)의 관통홀(412)을 통해서 유입된 공기는 실내팬(420)에 의해서 에어가이드 내주면 즉, 상기 좌우베리어(310)와 안내리브(302)가 형성하는 면에 의해 안내되어 배출된다.
그리고 상기 상기 에어가이드(300)의 안내리브(302)에 형성된 누설방지홈(304)과 이에 대응하는 위치인 상기 오리피스(410) 배면에 형성된 누설방지리브(414)가 면접촉 하면서 결합하여 누설방지부(330)를 형성하고, 상기 누설방지부(330)는 상기 오리피스(410)와 에어가이드(300)가 결합할때 결합부를 실링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누설방지부(330)는 상기 에어가이드(300)의 내주면을 따라 안내되는 공기의 누설을 방지하여 상기 에어가이드(300)의 내부로 유입된 흡입공기를 모두 상기 토출가이드(350)로 안내하게 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에서 예시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와 같은 기술범위 안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는 본 발명을 기초로 하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오리피스(410)에는 두개의 관통홀(412)이 형성되고 상기 에어가이드(300)와 결합하여 유로를 형성되었지만, 필요에 따라 상기 관통홀(412)은 한개가 될 수 도 있고 둘 이상의 복수개가 되고, 상기 오리피스(410)는 상기 에어가이드(300)와 결합하여 이에 따른 유로를 생성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위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에서는 에어가이드 테두리의 단부에 누설방지홈을 형성하고 이에 대응하는 위치인 오리피스의 배면에 누설방지리브를 형성하여 상기 에어가이드와 오리피스가 결합되어 흡입공기의 유로를 형성할때 상기 누설방지홈과 누설방지리브 또한 결합되어 누설방지부를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오리피스의 관통홀을 통해서 상기 에어가이드로 유입된 공기는 상기 에어가이드의 내부에서 내주면을 따라 상방으로 유동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누설방지홈과 누설방지리브의 면접촉에 의한 결합으로 상기 에어가이드 내부에서 유동하는 공기가 외부로 누설되는것을 방지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오리피스 관통홀을 통해 유입된 흡입공기는 모두 상기 에어가이드를 거쳐 토출가이드로 안내되고, 이는 공기조화기의 작동성능과 효율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상기 오리피스와 에어가이드는 상기 누설방지홈과 누설방지리브의 면접촉에 의한 결합 뿐아니라 상기 오리피스의 스크류결합홀과 에어가이드의 스크류체결부가 스크류에 의해 결합된다.
따라서 공기조화기의 작동중 발생하는 진동이나 외부요인 등에 의해 유발되는 상기 에어가이드와 오리피스간의 유격발생으로 인한 공기의 누설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도 1 은 종래 기술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구조를 보인 분해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 3 은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요부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4 는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요부구성인 오리피스와 에어가이드의 외형을 보인 분해 사시도.
도 5 는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요부구성인 오리피스의 배면도.
도 6 은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요부구성인 누설방지부의 결합구조를 보인 분해 사시도.
도 7 은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요구부성인 오리피스와 에어가이드가 결합된 모습을 보인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베이스팬 200. 프론트그릴
210. 전면흡입구 215. 측면흡입구
220. 실내토출구 230. 토출구도어
260. 디스플레이 300. 에어가이드
302. 안내리브 304. 누설방지홈
306. 스크류체결부 310. 좌우베리어
312. 실내팬설치홀 320. 실내측베이스
330. 누설방지부 350. 토출가이드
380. 컨트롤박스 400. 실내열교환기
410. 오리피스 412. 관통홀
414. 누설방지리브 416. 스크류결합홀
420. 실내팬 450. 팬모터
452. 중심축 460. 실외팬
500. 쉬라우드 550. 실외열교환기
560. 압축기 600. 캐비넷커버
620. 설치안내부 700. 캐비넷

Claims (3)

  1. 흡입된 공기를 상방으로 안내하는 에어가이드와,
    상기 에어가이드와 결합하여 흡입공기의 유로를 형성하는 오리피스와,
    상기 에어가이드와 오리피스의 결합부에 형성되어 공기의 누설을 방지하는 누설방지부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공기조화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오리피스에는 흡입공기를 상기 에어가이드로 안내하는 관통홀이 다수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누설방지부는,
    상기 에어가이드와 오리피스에 서로 대응되게 형성되어 면접촉하는 누설방지홈과 누설방지리브를 포함하여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KR1020040030126A 2004-04-29 2004-04-29 공기조화기 Ceased KR2005010473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30126A KR20050104734A (ko) 2004-04-29 2004-04-29 공기조화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30126A KR20050104734A (ko) 2004-04-29 2004-04-29 공기조화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04734A true KR20050104734A (ko) 2005-11-03

Family

ID=372822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30126A Ceased KR20050104734A (ko) 2004-04-29 2004-04-29 공기조화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104734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31715A (ko) 2018-05-17 2019-11-27 남동규 바람 토출 장치
KR102078976B1 (ko) 2019-11-16 2020-02-19 주식회사 퓨리움 바람 토출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31715A (ko) 2018-05-17 2019-11-27 남동규 바람 토출 장치
KR102078976B1 (ko) 2019-11-16 2020-02-19 주식회사 퓨리움 바람 토출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06605B1 (ko) 냉장고
KR20090076031A (ko) 송풍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KR100423973B1 (ko)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KR100765163B1 (ko) 공기조화기
KR20060027916A (ko) 시로코팬 및 이를 구비한 공기조화기
KR20050019444A (ko) 공기조화기
KR20050104734A (ko) 공기조화기
KR100584299B1 (ko) 공기조화기
KR100584302B1 (ko) 공기조화기
KR100584303B1 (ko) 공기조화기
KR100389426B1 (ko) 벽매립형 공기조화기의 실외측 공기안내구조
KR20050115345A (ko) 공기조화기
KR100432743B1 (ko) 창문형 공기조화기의 실외측 공기유동구조
KR100626449B1 (ko) 일체형 공기조화기
KR100584298B1 (ko) 일체형 공기조화기
KR100626448B1 (ko) 일체형 공기조화기
KR20050104736A (ko) 공기조화기
CN100491845C (zh) 空调器
KR100626451B1 (ko) 일체형 공기조화기의 흡입토출구조
KR20070039327A (ko) 공기조화기
KR100541474B1 (ko) 일체형 공기조화기
KR20000055580A (ko) 창문형 공기조화기
KR20030071136A (ko) 창문형 공기조화기의 실외측 부품 조립구조
KR20050018384A (ko) 일체형 공기조화기
KR20030000211A (ko) 공기조화기의 모터 장착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4042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5112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060224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051125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