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89497A - Heat exchanger - Google Patents
Heat exchange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50089497A KR20050089497A KR1020040014951A KR20040014951A KR20050089497A KR 20050089497 A KR20050089497 A KR 20050089497A KR 1020040014951 A KR1020040014951 A KR 1020040014951A KR 20040014951 A KR20040014951 A KR 20040014951A KR 20050089497 A KR20050089497 A KR 20050089497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refrigerant flow
- header
- flow passage
- curved portion
- heat exchanger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11/00—Accessories fitted to machine tools for keeping tools or parts of the machine in good working condition or for cooling work; Safety devices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chine tools
- B23Q11/10—Arrangements for cooling or lubricating tools or work
- B23Q11/1084—Arrangements for cooling or lubricating tools or work specially adapted for being fitted to different kinds of machin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11/00—Accessories fitted to machine tools for keeping tools or parts of the machine in good working condition or for cooling work; Safety devices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chine tools
- B23Q11/0042—Devices for removing chips
- B23Q11/005—Devices for removing chips by blow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t-Exchange Devices With Radiators And Conduit Assembli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열교환기는, 상호 평행하게 이격되어 배치되고, 각각 그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격벽에 의해 서로 분리된 복수 개의 냉매흐름통로를 구비하는 한 쌍의 헤더파이프; 상기 한 쌍의 헤더파이프에 형성된 슬롯을 통해 양 단부가 각 헤더파이프의 냉매흐름통로로 삽입되어 상기 한 쌍의 헤더파이프를 연결하는 서로 평행한 복수 개의 튜브; 및, 상기 복수 개의 튜브 사이에 설치된 휜;을 구비하고,The heat exchang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pair of header pipes arranged in parallel to each other and having a plurality of refrigerant flow passages separated from each other by partition walls extending in a longitudinal direction therein; A plurality of tubes parallel to each other, the both ends of which are inserted into the refrigerant flow passages of the header pipes through slots formed in the pair of header pipes to connect the pair of header pipes; And a fin installed between the plurality of tubes,
상기 냉매흐름통로는, 상기 튜브의 단부가 삽입되는 오목한 제1 곡면부와, 상기 제1 곡면부와 마주보는 오목한 제2 곡면부를 구비하고, The refrigerant flow passage has a concave first curved portion into which an end of the tube is inserted, and a second concave curved surface facing the first curved portion,
상기 한 쌍의 헤더파이프 중 적어도 하나의 내부에는 서로 인접한 상기 냉매흐름통로를 연통하기 위하여 상기 격벽을 관통하여 형성된 리턴홀이 구비되고,At least one of the pair of header pipes is provided with a return hole formed through the partition wall to communicate the refrigerant flow passages adjacent to each other,
상기 냉매흐름통로의 제1 및 제2 곡면부 사이의 최장폭을 H라 하고, 상기 헤더파이프에 형성된 슬롯을 통해 상기 냉매흐름통로 내부로 들어온 상기 튜브 단부 길이의 최대값을 h라 하면, h는 H의 1/3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When the longest width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curved portions of the refrigerant flow passage is H, and the maximum value of the tube end length introduced into the refrigerant flow passage through the slot formed in the header pipe is h, h is It is characterized by being 1/3 or less of H.
Description
본 발명은 열교환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높은 압력하에서 작동될 수 있는 헤더파이프를 갖는 열교환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eat exchang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heat exchanger having a header pipe that can be operated under high pressure.
일반적으로 열교환기는 온도가 높은 유체로부터 전열벽(傳熱壁)을 통해 온도가 낮은 유체에 열을 전달하는 장치를 말하며, 이러한 열교환기의 형식에서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것은 금속관을 전열벽으로 하는 것으로, 이 형식에는 주수식(注水式), 이중관식, 핀붙이 다관식, 투관형식(透管型式) 등이 있다. In general, a heat exchanger is a device that transfers heat from a high temperature fluid to a low temperature fluid through a heat transfer wall. The most commonly used heat exchanger type is a metal tube with a heat transfer wall. This type includes main type, double type, multi-pin type, and tube type.
이러한 열교환기를 구성요소로 하는 공조 시스템의 작동 매체로 종래에는 주로 HFC 냉매가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이러한 HFC 냉매는 지구 온난화의 주요요인 중의 하나로 인식되어 그 사용에 대한 규제가 점차 확대되어 왔다. 그리하여 상기 HFC 냉매를 대체할 냉매로서 이산화탄소 냉매에 대한 연구가 전 세계적으로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HFC refrigerants have conventionally been mainly used as an operating medium of an air conditioning system having such a heat exchanger as a component. However, such HFC refrigerants have been recognized as one of the main factors of global warming, and the restrictions on their use have been gradually expanded. Therefore, researches on carbon dioxide refrigerants as a refrigerant to replace the HFC refrigerants are being actively conducted worldwide.
이산화탄소는 첫째, 작동 압축비가 낮아 압축 효율이 우수하며, 둘째, 열전달 특성이 매우 우수하여 2차 유체인 공기의 입구 온도와 냉매의 출구 온도 사이의 차이가 기존의 냉매에 비해 훨씬 작아 냉매로서의 이점이 클 뿐만 아니라 히트펌프에도 적용 가능성이 크다. 또한, 이산화탄소는 체적냉방능력(증발잠열 ×기체밀도)이 기존의 냉매인 HFC 냉매의 7배 내지 8배 이므로 압축기의 토출체적을 크게 줄일 수 있으며, 표면 장력이 작아 비등열전달이 우수하고, 비열이 크고 액체 점도가 낮아 냉매로서 우수한 열역학적 특성을 갖고 있다. 또한, 작동 압력이 기존 HFC 냉매에 비해 6배 내지 10배 정도로서 매우 높아, 유동 통로를 미세하게 형성하는데 따른 시스템상의 냉매의 압력 강하에 대한 손실이 기존 냉매에 비해 상대적으로 현저하게 작게 되는 바, 이산화탄소 냉매의 유동 통로로 열교환 성능이 우수한 미세 채널을 사용할 수 있다.First, carbon dioxide has excellent compression efficiency due to its low operating compression ratio. Second, it has very good heat transfer characteristics, so that the difference between the inlet temperature of the secondary fluid air and the outlet temperature of the refrigerant is much smaller than that of the conventional refrigerant. In addition to the large size, it is highly applicable to the heat pump. In addition, since carbon dioxide has a volume cooling capacity (evaporative latent heat x gas density) of 7 to 8 times that of HFC refrigerant, which is a conventional refrigerant, the discharge volume of the compressor can be greatly reduced. It has a large and low liquid viscosity and has excellent thermodynamic properties as a refrigerant. In addition, the operating pressure is about 6 to 10 times higher than that of the conventional HFC refrigerant, so that the loss in pressure drop of the refrigerant in the system due to the formation of a fine flow passage is significantly smaller than that of the conventional refrigerant, carbon dioxide. A fine channel having excellent heat exchange performance may be used as the flow path of the refrigerant.
그러나, 이산화탄소의 냉동 사이클은 초임계(transcritical) 압력 사이클로서, 종래의 HFC 냉매의 냉동 사이클에 비해 그 작동 압력이 매우 높다. 따라서, 이산화탄소 냉매와 같이 고압에서 동작하는 냉매를 사용하는 열교환기는 기존의 HFC 냉매를 사용하는 열교환기에 비해 약 5배 이상(최고 작동압력 150bar 이상)의 압력을 견뎌야만 한다. However, the refrigeration cycle of carbon dioxide is a transcritical pressure cycle, and its operating pressure is very high compared to the refrigeration cycle of conventional HFC refrigerants. Therefore, a heat exchanger using a refrigerant operating at high pressure, such as a carbon dioxide refrigerant, must withstand a pressure of about five times or more (maximum operating pressure of 150 bar or more) than a heat exchanger using a conventional HFC refrigerant.
그리하여 종래에는 라미네이트형(laminate type) 증발기나, 피에프형(paralle flow type) 응축기와 같은 높은 작동 압력을 견딜 수 없는 열교환기는 사용되지 못하였고, 두께를 크게 한 서펜틴형(serpentine type) 열교환기를 고압 운전이 필요한 열교환기로 사용하여 왔다. 그러나, 상기 두께만을 크게 한 서펜틴형 열교환기는 압력강하가 크고 튜브내의 냉매 분포가 균일하지 못하여 열교환 성능이 떨어지며 제조비용이 높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Thus, conventionally, heat exchangers that cannot tolerate high operating pressures, such as laminate type evaporators or paralle flow type condensers, have not been used, and serpentine type heat exchangers having a large thickness have not been used. It has been used as a heat exchanger that requires high pressure operation. However, the serpentine type heat exchanger having only the above thickness has a problem in that the pressure drop is large and the refrigerant distribution in the tube is not uniform, resulting in poor heat exchange performance and high manufacturing cost.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높은 작동 압력에서 견딜 수 있는 헤더파이프를 갖는 열교환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heat exchanger having a header pipe that can withstand high operating pressure.
또한, 이산화탄소와 같은 고압 냉동 사이클을 갖는 냉매가 원활하게 연통될 수 있는 헤더파이프를 갖는 열교환기를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Another object is to provide a heat exchanger having a header pipe through which a refrigerant having a high pressure refrigeration cycle such as carbon dioxide can be smoothly communicated.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열교환기는, 상호 평행하게 이격되어 배치되고, 각각 그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격벽에 의해 서로 분리된 복수 개의 냉매흐름통로를 구비하는 한 쌍의 헤더파이프; 상기 한 쌍의 헤더파이프에 형성된 슬롯을 통해 양 단부가 각 헤더파이프의 냉매흐름통로로 삽입되어 상기 한 쌍의 헤더파이프를 연결하는 서로 평행한 복수 개의 튜브; 및, 상기 복수 개의 튜브 사이에 설치된 휜;을 구비하고,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heat exchang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rranged in parallel with each other, a pair of headers having a plurality of refrigerant flow passages separated from each other by a partition wall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rein, respectively. pipe; A plurality of tubes parallel to each other, the both ends of which are inserted into the refrigerant flow passages of the header pipes through slots formed in the pair of header pipes to connect the pair of header pipes; And a fin installed between the plurality of tubes,
상기 냉매흐름통로는, 상기 튜브의 단부가 삽입되는 오목한 제1 곡면부와, 상기 제1 곡면부와 마주보는 오목한 제2 곡면부를 구비하고, The refrigerant flow passage has a concave first curved portion into which an end of the tube is inserted, and a second concave curved surface facing the first curved portion,
상기 한 쌍의 헤더파이프 중 적어도 하나의 내부에는 서로 인접한 상기 냉매흐름통로를 연통하기 위하여 상기 격벽을 관통하여 형성된 리턴홀이 구비되고,At least one of the pair of header pipes is provided with a return hole formed through the partition wall to communicate the refrigerant flow passages adjacent to each other,
상기 냉매흐름통로의 제1 및 제2 곡면부 사이의 최장폭을 H라 하고, 상기 헤더파이프에 형성된 슬롯을 통해 상기 냉매흐름통로 내부로 들어온 상기 튜브 단부 길이의 최대값을 h라 하면, h는 H의 1/3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When the longest width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curved portions of the refrigerant flow passage is H, and the maximum value of the tube end length introduced into the refrigerant flow passage through the slot formed in the header pipe is h, h is It is characterized by being 1/3 or less of H.
바람직하게는, 상기 헤더파이프의 냉매흐름통로는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편평면부를 구비하며, 상기 각 편평면부는 상기 제1 곡면부와 제2 곡면부 사이에 마련될 수 있다. Preferably, the refrigerant flow passage of the header pipe may have a pair of flat surface portions facing each other, and each of the flat surface portions may be provided between the first curved portion and the second curved portion.
바람직하게는, 상기 리턴홀은 그 단면의 형상이 사각형일 수 있다. Preferably, the return hole may have a quadrangular cross section.
바람직하게는, 상기 헤더파이프는, 복수 개의 상기 제1 곡면부를 구비하는 헤더; 및, 복수 개의 상기 제2 곡면부;를 구비하는 탱크가 서로 결합되어 형성되고, Preferably, the header pipe, the header having a plurality of the first curved portion; And a tank having a plurality of the second curved portions is coupled to each other,
상기 격벽은, 상기 탱크의 인접하는 제2 곡면부 사이에서 상기 헤더의 인접하는 제1 곡면부 사이로 돌출되고, 그 말단이 상기 헤더에 결합되는 레일부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The partition wall may protrude between adjacent first curved portions of the header between adjacent second curved portions of the tank, and may be formed by a rail portion whose end is coupled to the header.
바람직하게는, 상기 리턴홀은 상기 탱크의 레일부를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Preferably, the return hole may be formed through the rail of the tank.
바람직하게는, 상기 리턴홀은 상기 냉매흐름통로의 상기 제1 곡면부 및 제2 곡면부 중 제1 곡면부에 더 근접하여 위치할 수 있다. Preferably, the return hole may be located closer to the first curved portion of the first curved portion and the second curved portion of the refrigerant flow passage.
바람직하게는, 상기 헤더파이프의 격벽의 두께를 Tw라 하고, 상기 헤더파이프의 냉매흐름통로의 제2 곡면부의 주변부의 폭을 t라 하면, Tw는 t의 1.5 내지 2.0배일 수 있다. Preferably, when the thickness of the partition wall of the header pipe is Tw, and the width of the periphery of the second curved portion of the refrigerant flow passage of the header pipe is t, Tw may be 1.5 to 2.0 times t.
바람직하게는, 상기 리턴홀은 상기 격벽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 개가 일렬로 형성될 수 있다. Preferably, the plurality of return holes may be formed in a row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artition wall.
바람직하게는, 상기 헤더파이프의 격벽의 두께를 Tw라 하고, 상기 격벽의 길이방향을 따라 서로 인접한 리턴홀 간의 거리를 P라 하고, 상기 리턴홀의 격벽의 길이방향의 폭을 w라 하고, 상기 냉매흐름통로의 단면의 면적을 S라고 하면,Preferably, the thickness of the barrier rib of the header pipe is referred to as Tw, the distance between the return holes adjacent to each other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arrier rib is P, the width of the barrier rib of the return hole is defined as w, and the refrigerant S is the area of the cross section of the flow passage,
의 값이 0.2 내지 0.4일 수 있다. The value of may be 0.2 to 0.4.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열교환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a preferred embodiment of a heat exchang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열교환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열교환기의 제1 헤더파이프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열교환기의 제1 헤더파이프를 III-III에 따라 절개하여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1의 열교환기의 제1 헤더파이프를 IV-IV에 따라 절개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5는 도 1의 열교환기의 제2 헤더파이프를 V-V에 따라 절개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한편,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열교환기의 헤더파이프의 격벽의 두께와, 내압성과의 상관관계를 나타낸 그래프이며, 도 7은 도 1에 도시된 열교환기의 와, 내압성 및 방열성능과의 상관관계를 나타낸 그래프로서, 수치 한정의 근거를 제시하기 위하여 첨부되었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referred embodiment of a heat exchang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first header pipe of the heat exchanger of Figure 1, Figure 3 is a first view of the heat exchanger of Figure 1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header pipe cut along III-III, and 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heat exchanger of FIG. 1 taken along IV-IV. FIG. 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heat exchanger of FIG. It is sectional drawing which cut | disconnected the 2nd header pipe along VV. 6 is a graph showing a correlation between the thickness of the partition wall of the header pipe of the heat exchanger illustrated in FIG. 1 and the pressure resistance. FIG. 7 is a graph illustrating the heat exchanger illustrated in FIG. And a graph showing the correlation between pressure resistance and heat dissipation performance, which are attached to provide a basis for numerical limitation.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열교환기(10)는, 상호 평행하게 이격되어 배치된 한 쌍의 제1 및 제2 헤더파이프(20, 50)와, 상기 제1 및 제2 헤더파이프(20, 50)를 연결하는 서로 평행한 복수 개의 튜브(80)들과, 상기 튜브(80)들 사이에 설치된 휜(85)을 구비한다. 상기 제1 및 제2 헤더파이프(20, 50)는 각각 그 양 단부가 엔드캡들(45, 46, 75, 76)에 의해 밀폐된다. 상기 제1 헤더파이프(20)에는 냉매의 유입과 유출을 위하여 일측 엔드캡(45)을 관통하는 냉매유입관(48) 및 냉매유출관(49)이 마련된다. 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heat exchanger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air of first and second header pipes 20 and 50 spaced apart in parallel to each other, the first and the first And a plurality of tubes 80 parallel to each other connecting the two header pipes 20 and 50, and a fin 85 provided between the tubes 80. Both ends of the first and second header pipes 20 and 50 are respectively closed by end caps 45, 46, 75, and 76. The first header pipe 20 is provided with a coolant inlet pipe 48 and a coolant outlet pipe 49 penetrating through one end cap 45 for inflow and outflow of the coolant.
상기 제1 헤더파이프(20)는, 도 2 및 도 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슬롯(28)이 형성되어 있고 프레스 가공에 의해 형성된 헤더(21)와, 압출 가공에 의해 형성된 탱크(30)가 결합되어 이루어진다. 종래에는 일반적으로 헤더와 탱크를 모두 프레스 가공에 의해 형성하고 있으나, 그럴 경우 헤더와 탱크의 결합 부분이 완전히 밀착되지 못하여 높은 작동 압력에서 파괴될 염려가 있기 때문이다. As shown in FIGS. 2 and 3, the first header pipe 20 includes a header 21 having a slot 28 formed therein, and a tank 30 formed by extrusion processing. Are combined. In the prior art, both the header and the tank are generally formed by press working, but there is a risk that the coupling portion of the header and the tank may not be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and may be destroyed at a high working pressure.
상기 제1 헤더파이프(20)의 내부에는 격벽에 의해 분리되어 상기 제1 헤더파이프(20)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제1 내지 제4의 냉매흐름통로(A, B, C, D)가 마련된다. 상기 복수 개의 냉매흐름통로(A, B, C, D)는 각각, 서로 마주보도록 마련된 오목한 제1 곡면부(A1, B1, C1, D1) 및 제2 곡면부(A2, B2, C2, D2)와, 상기 제1 곡면부(A1, B1, C1, D1) 및 제2 곡면부(A2, B2, C2, D2) 사이에 마련된 제1 편평면부(A3, B3, C3, D3) 및 제2 편평면부(A4, B4, C4, D4)에 의해 한정되어, 그 단면이 소위 '육상트랙'의 형상과 같은 폐곡선을 이룬다. 상기 제1 곡면부(A1, B1, C1, D1)는 상기 헤더(21)의 내측면에 마련되고, 이에 대응하여 상기 제2 곡면부(A2, B2, C2, D2)는 상기 탱크(30)의 내측면에 마련된다. 냉매흐름통로(A, B, C, D)가 상기와 같이 곡면부들(A1, B1, C1, D1, A2, B2, C2, D2)을 갖는 것은, 헤더파이프(20) 내부에서 냉매의 압력으로 인한 응력 집중을 막아 내압성을 향상시키고, 되도록 작은 단면적을 가진 냉매흐름통로(A, B, C, D)를 형성하기 위함이다. 또한, 냉매흐름통로(A, B, C, D)가 편평면부들(A3, B3, C3, D3, A4, B4, C4, D4)을 갖는 것은, 리턴홀(37) 가공을 용이하게 하고 헤더(21)와 탱크(30)의 브레이징을 용이하게 하기 위함이다. Inside the first header pipe 20, first to fourth refrigerant flow passages A, B, C, and D are separated by partitions and ext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header pipe 20. do. Each of the plurality of refrigerant flow passages A, B, C, and D respectively includes concave first curved portions A1, B1, C1, and D1 and second curved portions A2, B2, C2, and D2 that face each other. And first flat surface portions A3, B3, C3, and D3 provided between the first curved portions A1, B1, C1, and D1 and the second curved portions A2, B2, C2, and D2. It is limited by the surface portions A4, B4, C4 and D4, and its cross section forms a closed curve like the shape of the so-called 'land track'. The first curved portions A1, B1, C1, and D1 are provid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header 21, and correspondingly, the second curved portions A2, B2, C2, and D2 may correspond to the tank 30. It is provided on the inner side of the. The coolant flow passages A, B, C, and D have curved portions A1, B1, C1, D1, A2, B2, C2, and D2 as described above, in response to the pressure of the coolant in the header pipe 20. This is to prevent the stress concentration due to improve the pressure resistance, and to form the refrigerant flow passage (A, B, C, D) having a small cross-sectional area as possible. In addition, the refrigerant flow passages A, B, C, and D having flat surface portions A3, B3, C3, D3, A4, B4, C4, and D4 facilitate the processing of the return hole 37 and the header. This is to facilitate the brazing of the 21 and the tank 30.
한편, 상기 제1 곡면부(A1, B1, C1, D1)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롯(28)이 마련되어, 이를 통해 튜브(80)의 일측 단부가 상기 냉매흐름통로(A, B, C, D)의 내부로 삽입된다. 본 발명의 열교환기(10)에서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냉매흐름통로(A, B, C, D)의 제1 곡면부(A1, B1, C1, D1)와 제2 곡면부(A2, B2, C2, D2) 사이의 최장폭을 H라 하고, 상기 각 냉매흐름통로(A, B, C, D) 내부로 들어온 튜브(80) 단부 길이의 최대값을 h라 하면, h는 H의 1/3 이하가 된다. 만약 h가 H의 1/3보다 크면, 상기 튜브의 단부가 냉매흐름통로(A, B, C, D)를 따라 흐르는 냉매의 흐름이 심한 방해를 받아 열교환 효율이 감소되기 때문이다. On the other hand, the first curved portion (A1, B1, C1, D1), as shown in Figure 3, the slot 28 is provided, through which one end of the tube 80 is the refrigerant flow passage (A, B) , C, D) is inserted into the inside. In the heat exchanger 10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ure 3, the first curved portion (A1, B1, C1, D1) and the second curved portion of each of the refrigerant flow passage (A, B, C, D) Assuming that the longest width between A2, B2, C2, and D2 is H, and the maximum value of the end length of the tube 80 introduced into each of the refrigerant flow passages A, B, C, and D is h, h is It becomes less than 1/3 of H. If h is larger than 1/3 of H, the heat exchange efficiency is reduced because the end of the tube is severely interrupted by the flow of the refrigerant along the refrigerant flow passages (A, B, C, D).
상기 탱크(30)는, 인접하는 제2 곡면부(A2, B2, C2, D2) 사이에서 상기 헤더(21)의 인접하는 제1 곡면부(A1, B1, C1, D1) 사이로 돌출되며 탱크(30)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3개의 레일부(32)들을 구비한다. 상기 레일부(32)들은, 그 말단이 상기 헤더(21)의 인접하는 제1 곡면부(A1, B1, C1, D1) 사이에 결합되어 상기 냉매흐름통로들(A, B, C, D)를 분리하는 격벽을 형성한다. 상기 제1 냉매흐름통로(A)와 제2 냉매흐름통로(B)를 분리하는 격벽(32)의 양 측면은, 각각 제1 냉매흐름통로(A)의 제1 편평면(A3)과 제2 냉매흐름통로(B)의 제2 편평면(B4)을 이루고, 상기 제2 냉매흐름통로(B)와 제3 냉매흐름통로(C)를 분리하는 격벽(32)의 양 측면은, 각각 제2 냉매흐름통로(B)의 제1 편평면(B3)과 제3 냉매흐름통로(C)의 제2 편평면(C4)을 이루며, 상기 제3 냉매흐름통로(C)와 제4 냉매흐름통로(D)를 분리하는 격벽(32)의 양 측면은, 각각 제3 냉매흐름통로(C)의 제1 편평면(C3)과 제4 냉매흐름통로(D)의 제2 편평면(D4)을 이룬다. The tank 30 protrudes between adjacent first curved portions A1, B1, C1, and D1 of the header 21 between adjacent second curved portions A2, B2, C2, and D2. And three rail portions 32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30. The rail portions 32 have their ends coupled between adjacent first curved portions A1, B1, C1, and D1 of the header 21, so that the refrigerant flow passages A, B, C, and D are connected. Form a partition to separate. Both side surfaces of the partition wall 32 separating the first refrigerant flow passage A and the second refrigerant flow passage B may have a first flat surface A3 and a second surface of the first refrigerant flow passage A, respectively. Both side surfaces of the partition wall 32 forming the second flat surface B4 of the refrigerant flow passage B, and separating the second refrigerant flow passage B and the third refrigerant flow passage C, are respectively formed on the second side surface. The first flat surface (B3) of the refrigerant flow passage (B) and the second flat surface (C4) of the third refrigerant flow passage (C), the third refrigerant flow passage (C) and the fourth refrigerant flow passage ( Both side surfaces of the partition wall 32 separating D) form a first flat surface C3 of the third refrigerant flow passage C and a second flat surface D4 of the fourth refrigerant flow passage D, respectively. .
상기 제2 냉매흐름통로(B)와 제3 냉매흐름통로(C)를 분리하는 격벽(32)에는, 상기 인접한 냉매흐름통로들(B, C)을 연통하기 위하여 리턴홀(37)들이 마련된다. 상기 리턴홀(37)들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단면의 형상이 대체로 정사각형으로 상기 탱크(30)의 레일부(32)를 관통하여 형성되며, 상기 레일부(32)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 개가 일렬로 형성된다. 상기 정사각형의 리턴홀(37)들은 냉매의 통과시에 유동저항을 줄여주며, 정사각형 팁(tip)을 갖는 프레스공구로 상기 리턴홀(37)을 형성하는 경우 상기 프레스공구의 정렬이 용이해지므로, 열교환기(10)의 제작성이 향상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리턴홀(37)들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턴홀(37)이 형성된 격벽(32)에 인접한 냉매흐름통로(B, C)의 제2 곡면부(B2, C2)보다 제1 곡면부(B1, C1)에 더 근접하여 위치한다. 이에 따라, 튜브(80)를 통과하고 제2 냉매흐름통로(B)를 거쳐 리턴홀(37)로 향하는 냉매의 흐름에, 점선으로 된 화살표로 표시된 바와 같이 난류(亂流)가 형성되면서, 층류(層流)일 경우에 나타날 수 있는 액냉매와 기냉매의 분리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이로 인해 냉매가 열교환기(10) 내부에서 고르게 분포되면, 결국 열교환기(10) 내부의 온도 분포가 균일하게 되어 열교환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In the partition wall 32 separating the second refrigerant flow passage B and the third refrigerant flow passage C, return holes 37 are provided to communicate the adjacent refrigerant flow passages B and C. . The return holes 37 are formed through the rail portion 32 of the tank 30 in a substantially square shape as shown in Figure 2,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rail portion 32 A plurality of them are formed in a line along the line. The square return holes 37 reduce the flow resistance when the refrigerant passes, and when the return hole 37 is formed by a press tool having a square tip, alignment of the press tools is facilitated. The manufacturability of the heat exchanger 10 can be improved. Meanwhile, as illustrated in FIG. 3, the return holes 37 may be formed of second return portions B2 and C2 of the refrigerant flow passages B and C adjacent to the partition wall 32 on which the return holes 37 are formed. 1 is located closer to the curved portion (B1, C1). Accordingly, in the flow of the refrigerant passing through the tube 80 and passing through the second refrigerant flow passage B toward the return hole 37, a turbulent flow is formed as indicated by the dotted arrows, and the laminar flow Separation of the liquid refrigerant and the air refrigerant which may occur in the case of (層 流) can be prevented. As a result, when the refrigerant is evenly distributed in the heat exchanger 10, the temperature distribution in the heat exchanger 10 may be uniform, thereby improving heat exchange efficiency.
상기 헤더(21)와 탱크(30)는 브레이징(brazing)에 의해 서로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탱크(30)의 양 단부(38)에는 플랜지(38a)가 마련되어 상기 단부(27, 38)의 브레이징된 부분을 감싸므로, 헤더파이프(20)의 내압성이 향상된다. 한편, 상기 탱크(30)의 레일부(32) 말단과, 헤더(21)의 인접하는 제1 곡면부(A1, B1, C1, D1) 사이도 브레이징 접합된다. 상기 리턴홀(37)이 레일부(32)를 온전히 관통하여 상기 레일부(32)의 말단이 단절되지 않고 일직선을 이루며 이어져 있으므로, 상기 레일부(32)와 헤더(21)의 접합 면적이 커져 견고한 브레이징 접합이 보장되며, 따라서 헤더파이프(20)의 내압성이 향상된다. The header 21 and the tank 30 are preferably coupled to each other by brazing. Both ends 38 of the tank 30 are provided with flanges 38a to wrap the brazed portions of the ends 27 and 38, thereby improving the pressure resistance of the header pipe 20. On the other hand, brazing is also performed between the rail part 32 end of the said tank 30, and the adjacent 1st curved-surface parts A1, B1, C1, and D1 of the header 21. FIG. Since the return hole 37 penetrates the rail part 32 completely, and the terminal part of the rail part 32 is not disconnected and continues in a straight line, the joining area of the rail part 32 and the header 21 is increased. Robust brazing bonding is ensured, thus improving the pressure resistance of the header pipe 20.
상기 제2 헤더파이프(50)도,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제1 헤더파이프(20)와 유사한 구조를 가지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다만, 제2 헤더파이프(50)는 제1 헤더파이프(20)와 달리 냉매유입구(48) 및 냉매유출구(49)가 없다. 또한, 도 4 및 도 5의 비교를 통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제1 헤더파이프(20)는 제2 냉매흐름통로(B)와 제3 냉매흐름통로(C) 사이 격벽(32)의 일측 반부에 리턴홀(37)들이 마련되어 있으나, 제2 헤더파이프(50)는 제1 냉매흐름통로(E)와 제2 냉매흐름통로(F) 사이 격벽(62), 및 제3 냉매흐름통로(G)와 제4 냉매흐름통로(H) 사이의 격벽(62)의 타측 반부에 리턴홀(67)들이 마련되어 있다. Since the second header pipe 50 also has a structure similar to that of the first header pipe 20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2 and 3,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However, unlike the first header pipe 20, the second header pipe 50 does not have a refrigerant inlet 48 and a refrigerant outlet 49. 4 and 5, the first header pipe 20 has one half of the partition 32 between the second refrigerant flow passage B and the third refrigerant flow passage C. As shown in FIG. Return holes 37 are provided in the second header pipe 50, but the second header pipe 50 includes a partition wall 62 between the first refrigerant flow passage E and the second refrigerant flow passage F, and the third refrigerant flow passage G. Return holes 67 are provided in the other half of the partition wall 62 between the and fourth refrigerant flow passages H.
한편, 냉매의 유로를 적절히 변경하면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바와 달리 제1 헤더파이프에 냉매유입구가 있고 제2 헤더파이프에 냉매유출구가 있는 구성이나, 그와 반대로 제1 헤더파이프에 냉매유출구가 있고 제2 헤더파이프에 냉매유입구가 있는 구성도 가능하다는 것을 쉽게 알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if the flow path of the refrigerant is appropriately changed, as shown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re is a refrigerant inlet in the first header pipe and a refrigerant outlet in the second header pipe, but on the contrary, there is a refrigerant outlet in the first header pipe. It can be easily seen that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refrigerant inlet is provided in the second header pipe is also possibl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교환기(10)는, 제1 및 제2 헤더파이프(20, 50)의 대응하는 4 쌍의 냉매흐름통로(A와 E, B와 F, C와 G, D와 H)를 한 쌍씩 연결하기 위해 4 열의 튜브(80)을 구비하는 소위 '멀티슬랩(Multislap) 방식의 열교환기이다. 이와 같은 멀티슬랩 방식의 열교환기(10)를 차량에 장착할 때에는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냉매유출관(49)과 연결되는 제1 헤더파이프(20)의 제4 냉매흐름통로(D)와, 제2 헤더파이프(50)의 제4 냉매흐름통로(H)를 연결하는 튜브(80)들이 외부 공기와 먼저 접할 수 있게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온도 접근성(temperature approach), 즉 외부 공기의 입구 온도와 냉매의 출구 온도 사이의 차이를 최소화하여 열교환기의 성능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Heat exchanger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rresponding four pairs of refrigerant flow passages (A and E, B and F, C and G, D) of the first and second header pipes (20, 50) And H) is a so-called 'multislap' heat exchanger having four rows of tubes 80 to connect one by one. When the multi-slab type heat exchanger 10 is mounted on a vehicle, as shown in FIG. 2, the fourth refrigerant flow passage D of the first header pipe 20 connected to the refrigerant outlet pipe 49 is shown. And, it is preferable to arrange the tubes 80 connecting the fourth refrigerant flow passage H of the second header pipe 50 to be in contact with the outside air first. By doing so,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difference between the temperature approach, that is, the difference between the inlet temperature of the outside air and the outlet temperature of the refrigerant, thereby improving performance of the heat exchanger.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열교환기(10)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차량의 공조장치를 스위치온(switch-on)하면, 냉매유입구(48)를 통해 이산화탄소 냉매 등의 고압 작동 냉매가 제1 헤더파이프(20)의 제1 냉매흐름통로(A)에 진입하여 화살표 방향(91)으로 흐르며, 튜브(80)를 통해 제2 헤더파이프(50)의 제1 냉매흐름통로(E)에 진입한다. 상기 제2 헤더파이프(50)의 제1 냉매흐름통로(E)에서 냉매는 화살표 방향(95)으로 흐르고, 점선으로 된 화살표 방향으로 격벽(62)에 형성된 리턴홀(67)을 통과하여 제2 헤더파이프(50)의 제2 냉매흐름통로(F)에 진입한다. 상기 제2 헤더파이프(50)의 제2 냉매흐름통로(F)에서 냉매는 화살표 방향(96)으로 흐르고, 튜브(80)를 통해 제1 헤더파이프(20)의 제2 냉매흐름통로(B)에 진입한다. 상기 제1 헤더파이프(20)의 제2 냉매흐름통로(B)에서 냉매는 화살표 방향(92)으로 흐르고, 점선으로 된 화살표 방향으로 격벽(32)에 형성된 리턴홀(37)을 통과하여 제1 헤더파이프(20)의 제3 냉매흐름통로(C)에 진입한다. 상기 제1 헤더파이프(20)의 제3 냉매흐름통로(C)에서 냉매는 화살표 방향(93)으로 흐르고, 튜브(80)를 통해 제2 헤더파이프(50)의 제3 냉매흐름통로(G)에 진입한다. 상기 제2 헤더파이프(50)의 제3 냉매흐름통로(G)에서 냉매는 화살표 방향(97)으로 흐르고, 점선으로 된 화살표 방향으로 격벽(62)에 형성된 리턴홀(67)을 통과하여 제2 헤더파이프(50)의 제4 냉매흐름통로(H)에 진입한다. 상기 제2 헤더파이프(50)의 제4 냉매흐름통로(G)에서 냉매는 화살표 방향(98)으로 흐르고, 튜브(80)를 통해 제1 헤더파이프(20)의 제4 냉매흐름통로(D)에 진입한다. 상기 제1 헤더파이프(20)의 제4 냉매흐름통로(D)에서 냉매는 화살표 방향(94)으로 흘러 냉매유출구(49)를 통해 열교환기(10)의 외부로 방출된다. 이와 같이 냉매가 흐르는 과정에서 튜브(80)를 통과하는 냉매와 튜브(80) 외부를 흐르는 외부 공기 간의 온도차에 의해 열교환이 발생하여 외부 공기가 냉각되고, 이렇게 냉각된 공기는 차량 내부로 유입된다. The operation of the heat exchanger 1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4 and 5 as follows. When the vehicle air conditioner is switched on, a high-pressure operating refrigerant such as carbon dioxide refrigerant enters the first refrigerant flow passage A of the first header pipe 20 through the refrigerant inlet 48 to the arrow direction. And flows into the first coolant flow path E of the second header pipe 50 through the tube 80. In the first refrigerant flow passage (E) of the second header pipe (50), the refrigerant flows in the arrow direction (95), and passes through the return hole (67) formed in the partition wall (62) in the dotted arrow direction. The second refrigerant flow path F of the header pipe 50 enters. In the second refrigerant flow passage F of the second header pipe 50, the refrigerant flows in the arrow direction 96, and the second refrigerant flow passage B of the first header pipe 20 passes through the tube 80. To enter. In the second refrigerant flow passage B of the first header pipe 20, the refrigerant flows in an arrow direction 92, and passes through a return hole 37 formed in the partition wall 32 in a dotted arrow direction, and thus, the first coolant flows through the return hole 37. The third refrigerant flow passage C of the header pipe 20 enters. In the third refrigerant flow passage C of the first header pipe 20, the refrigerant flows in the arrow direction 93, and the third refrigerant flow passage G of the second header pipe 50 passes through the tube 80. To enter. In the third refrigerant flow path G of the second header pipe 50, the refrigerant flows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97 and passes through the return hole 67 formed in the partition wall 62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indicated by the dotted line. The fourth refrigerant flow passage H of the header pipe 50 enters. In the fourth refrigerant flow passage (G) of the second header pipe (50), the refrigerant flows in the direction of an arrow (98), and the fourth refrigerant flow passage (D) of the first header pipe (20) through the tube (80). To enter. In the fourth refrigerant flow passage (D) of the first header pipe 20, the refrigerant flows in the arrow direction 94 and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heat exchanger 10 through the refrigerant outlet 49. As such, heat exchange occurs due to a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the refrigerant passing through the tube 80 and the external air flowing outside the tube 80 in the process of cooling the refrigerant, and the cooled air is introduced into the vehicle.
한편, 본 발명자는, 본 실시예에 따른 열교환기(10)를 작동하였을 때, 냉매흐름통로의 곡면부들(A1, A2, B1, B2, C1, C2, D1, D2)에 비해 편평면부들(A3, A4, B3, B4, C3, C4, D3, D4)에서 고압 작동 냉매로 인한 응력의 분포가 집중되는 현상이 발생함을 테스트를 통해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자는 상기 편평면부들이 형성된 격벽(32)의 적절한 두께를 결정하기 위해 테스트를 하였고, 그에 대한 결과가 도 6의 그래프에 나타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present inventors, when operating the heat exchanger 1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flat surface portions (A1, A2, B1, B2, C1, C2, D1, D2) compared to the curved portion (A1, A2, B1, B2, C1, C2, D1, D2) The test showed that the stress distribution due to the high-pressure working refrigerant occurs in A3, A4, B3, B4, C3, C4, D3, and D4). Therefore, the present inventors tested to determine an appropriate thickness of the partition wall 32 in which the flat surface portions were formed, and the results are shown in the graph of FIG.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열교환기에서 헤더파이프의 격벽의 두께를 Tw(도 3 참조)라 하고, 상기 냉매흐름통로의 제2 곡면부의 두께를 t(도 3 참조)라 하고, 상기 Tw의 크기를 증가시키며 상기 격벽의 파단압력을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이를 참조하면, 상기 Tw를 증가시키면 격벽의 파단압력이 커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이는 즉 상기 Tw를 증가시키면 격벽의 내압성이 커짐을 의미한다. 그러나, 상기 Tw가 상기 t의 1.5배 보다 작으면 이산화탄소를 냉매로 사용하는 것과 같은 고압 작동 열교환기에 요구되는 내압성을 충분히 확보할 수 없으며, 상기 Tw가 상기 t의 2.0배 보다 크면 내압성의 증가가 상기 Tw의 증가에 비해 둔화되며 자칫 상기 냉매흐름통로의 곡면부에서 응력집중이 발생할 가능성도 있다. 따라서 상기 Tw는 상기 t의 1.5 내지 2.0배인 것이 바람직하다. FIG. 6 is a thickness of the partition wall of the header pipe in the heat exchanger illustrated in FIG. 1 as Tw (see FIG. 3), and a thickness of the second curved portion of the refrigerant flow passage is t (see FIG. 3), and the Tw It shows the result of measuring the breaking pressure of the partition wall while increasing the size of. Referring to this, it can be seen that increasing the Tw increases the breaking pressure of the partition wall, that is, increasing the Tw means that the pressure resistance of the partition wall is increased. However, if the Tw is less than 1.5 times the t, the pressure resistance required for a high pressure operating heat exchanger such as using carbon dioxide as a refrigerant cannot be sufficiently secured, and if the Tw is greater than 2.0 times the t, the increase in the pressure resistance is increased. There is also a possibility that stress concentration may occur at the curved portion of the refrigerant flow passage, which is slower than the increase in Tw. Therefore, the Tw is preferably 1.5 to 2.0 times the t.
한편, 본 발명자는 헤더파이프의 설계를 위하여, 헤더파이프 격벽의 두께를 Tw(도 3 참조)라 하고, 상기 격벽의 길이방향을 따라 서로 인접한 리턴홀 간의 거리를 P(도 4 또는 도 5 참조)라 하고, 상기 리턴홀의 격벽의 길이방향의 폭을 w(도 4 또는 도 5 참조)라 하고, 헤더파이프의 냉매흐름통로의 단면(도 3 참조)의 면적을 S라 하여, 의 변화에 따른 파단압력과 방열성능의 변화를 테스트하였으며, 그 결과가 도 7의 그래프에 나타나 있다. 이를 참조하면, 방열성능은 의 값이 0.2 내지 0.4에서 높은 값을 나타내고, 그 이외의 범위에서는 급격히 감소함을 알 수 있다. 파단압력은 곧 내압성을 의미하는 바, 상기 내압성은 의 증가에 따라 대체로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으나, 가 0.2 내지 0.4 인 범위에서도 고압 작동 열교환기에서 요구하는 수준을 충분히 만족하는 내압성을 나타내고 있으므로, 방열성능을 주로 고려하여 가 0.2 내지 0.4인 것이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the present inventors for the design of the header pipe, the thickness of the header pipe bulkhead is called Tw (see Fig. 3), the distance between the return holes adjacent to each other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artition P (see Fig. 4 or 5) The width of the partition wall of the return hol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s referred to as w (see FIG. 4 or FIG. 5), and the area of the cross section (see FIG. 3) of the refrigerant flow passage of the header pipe is referred to as S, The change of the breaking pressure and the heat dissipation performance with the change of was tested, and the result is shown in the graph of FIG. Referring to this, the heat radiation performance is It can be seen that the value of represents a high value at 0.2 to 0.4, and rapidly decreases in other ranges. Breaking pressure means pressure resistance, the pressure resistance It can be seen that the increase generally increases with, Has a pressure resistance that satisfies the level required by the high pressure operating heat exchanger even in the range of 0.2 to 0.4. Is preferably 0.2 to 0.4.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 한 타 실시예가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shown in the drawings, this is merely exemplary, and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other embodiments are possible. Therefore, the tru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fined only by the appended claims.
본 발명에 따른 열교환기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갖는다. The heat exchang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following effects.
첫째, 헤더파이프의 냉매흐름통로가 곡면부를 구비하여 열교환기가 이산화탄소를 냉매로 사용하는 경우와 같이 높은 작동 압력이 요구되는 환경에서도 견딜 수 있다. First, the refrigerant flow passage of the header pipe has a curved portion, so that the heat exchanger can withstand an environment requiring high operating pressure, such as when carbon dioxide is used as a refrigerant.
둘째, 헤더파이프 내에 리턴홀들이 형성되어 있어 이산화탄소와 같은 고압 냉동 사이클을 갖는 냉매가 원활하게 연통될 수 있다. Second, since return holes are formed in the header pipe, a refrigerant having a high pressure refrigeration cycle such as carbon dioxide can be smoothly communicated.
셋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리턴홀이 냉매흐름통로의 제2 곡면부보다 제1 곡면부에 더 근접하여, 냉매의 분포가 고르게 유지될 수 있으며 열교환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Third,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turn hole is closer to the first curved portion than the second curved portion of the refrigerant flow passage, the distribution of the refrigerant can be maintained evenly and heat exchange efficiency can be improved.
넷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헤더파이프 격벽의 두께(Tw)가 냉매흐름통로의 제2 곡면부의 주변부의 폭(t)의 1.5 내지 2.0배가 되도록 하여 고압에서의 헤더파이프의 파손 가능성을 줄일 수 있다. Fourth,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hickness (Tw) of the header pipe partition wall is 1.5 to 2.0 times the width (t) of the peripheral portion of the second curved portion of the refrigerant flow passage to reduce the possibility of breakage of the header pipe at high pressure Can be reduced.
다섯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헤더파이프 격벽의 두께(Tw), 리턴홀 간의 거리(P), 리턴홀의 폭(w), 냉매흐름통로의 단면적(S)을 적절히 설계하여 열교환기의 방열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Fifth,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eat pipe heat exchanger by properly designing the thickness (Tw) of the header pipe bulkhead, the distance between the return holes (P), the width of the return holes (w), the cross-sectional area (S) of the refrigerant flow passages The heat dissipation performance can be improved.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열교환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referred embodiment of a heat exchang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의 열교환기의 제1 헤더파이프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first header pipe of the heat exchanger of FIG. 1.
도 3은 도 1의 열교환기의 제1 헤더파이프를 III-III에 따라 절개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3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the first header pipe of the heat exchanger of FIG. 1 taken along line III-III.
도 4는 도 1의 열교환기의 제1 헤더파이프를 IV-IV에 따라 절개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the first header pipe of the heat exchanger of FIG. 1 taken along the line IV-IV.
도 5는 도 1의 열교환기의 제2 헤더파이프를 V-V에 따라 절개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second header pipe of the heat exchanger of FIG. 1 taken along the line V-V.
도 6은 도 1 도시된 열교환기의 헤더파이프의 격벽의 두께와, 파단압력과의 상관관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FIG. 6 is a graph showing a correlation between a thickness of a partition wall of a header pipe and a breaking pressure of the heat exchanger illustrated in FIG. 1.
도 7은 도 1에 도시된 열교환기의 와, 파단압력 및 방열성능과의 상관관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7 is a view of the heat exchanger shown in FIG. And a graph showing the correlation between the breaking pressure and the heat dissipation performance.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열교환기 20, 50 ...헤더파이프10 ... heat exchangers 20, 50 ... header pipe
21 ...헤더 28 ...슬롯 21 ... header 28 ... slot
30 ...탱크 32, 62 ...격벽30 ... tanks 32, 62 ... bulkhead
37, 67 ...리턴홀 48, 49 ...냉매유입구 및 냉매유출구37, 67 ... Return hole 48, 49 ... Refrigerant inlet and refrigerant outlet
80 ...튜브 85 ...휜80 ... tube 85 ... 휜
A, B, C, D, E, F, G ...헤더파이프의 냉매흐름통로 A, B, C, D, E, F, G ... refrigerant flow path of the header pipe
Claims (9)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40014951A KR20050089497A (en) | 2004-03-05 | 2004-03-05 | Heat exchange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40014951A KR20050089497A (en) | 2004-03-05 | 2004-03-05 | Heat exchanger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50089497A true KR20050089497A (en) | 2005-09-08 |
Family
ID=372719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40014951A KR20050089497A (en) | 2004-03-05 | 2004-03-05 | Heat exchanger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50089497A (en)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40699B1 (en) * | 2006-07-10 | 2007-07-23 | 주식회사 고산 | Header pipe for heat exchanger |
KR100740698B1 (en) * | 2006-06-23 | 2007-07-23 | 주식회사 고산 | Header pipe for heat exchanger |
KR101318622B1 (en) * | 2006-11-03 | 2013-10-16 |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 A Heat Exchanger having three rows |
-
2004
- 2004-03-05 KR KR1020040014951A patent/KR20050089497A/en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40698B1 (en) * | 2006-06-23 | 2007-07-23 | 주식회사 고산 | Header pipe for heat exchanger |
KR100740699B1 (en) * | 2006-07-10 | 2007-07-23 | 주식회사 고산 | Header pipe for heat exchanger |
KR101318622B1 (en) * | 2006-11-03 | 2013-10-16 |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 A Heat Exchanger having three rows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638490B1 (en) | Heat exchanger | |
JP5142109B2 (en) | Evaporator | |
KR100628793B1 (en) | Heat exchanger and refrigeration system with split fin | |
JP2003121092A (en) | Heat exchanger | |
US20060101850A1 (en) | Parallel flow evaporator with shaped manifolds | |
US20070056718A1 (en) | Heat exchanger and duplex type heat exchanger | |
US20080184734A1 (en) | Flat Tube Single Serpentine Co2 Heat Exchanger | |
KR100638488B1 (en) | Heat exchanger for using CO2 as a refrigerant | |
KR20050089497A (en) | Heat exchanger | |
KR100790382B1 (en) | Manufacturing method of tube for heat exchanger | |
US7650934B2 (en) | Heat exchanger | |
KR100825708B1 (en) | Heat exchanger for CO2 | |
KR100667702B1 (en) | Header of heat exchanger using co2 refrigerant | |
KR20070111656A (en) | Header of high pressure heat exchanger | |
KR101195840B1 (en) | A heat exchanger | |
KR100950395B1 (en) | Heat-exchanger | |
KR101149725B1 (en) | A heat exchanger | |
KR100862809B1 (en) | heat exchanger for high pressure condition | |
KR100859730B1 (en) | Duplex heat exchanger | |
JP5352275B2 (en) | Connection device for heat exchanger | |
JP2007178018A (en) | Heat exchanger | |
KR20070111756A (en) | Header of high pressure heat exchanger | |
KR20050030359A (en) | Combination structure of heat exchanger for using co2 as a refrigerant | |
JP2006153437A (en) | Heat exchanger | |
KR20030056590A (en) | Heat exchange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