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79171A - 수도배관 연결박스 - Google Patents

수도배관 연결박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79171A
KR20050079171A KR1020040007337A KR20040007337A KR20050079171A KR 20050079171 A KR20050079171 A KR 20050079171A KR 1020040007337 A KR1020040007337 A KR 1020040007337A KR 20040007337 A KR20040007337 A KR 20040007337A KR 20050079171 A KR20050079171 A KR 200500791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pipe
outer case
inner case
case body
wat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073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77741B1 (ko
Inventor
박정호
Original Assignee
박정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정호 filed Critical 박정호
Priority to KR10200400073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77741B1/ko
Publication of KR200500791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791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777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77741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Lifetim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02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with controlled internal environment
    • A41D13/0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with controlled internal environment with controlled temperature
    • A41D13/0051Heated garment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02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with controlled internal environment
    • A41D13/0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with controlled internal environment with controlled temperature
    • A41D13/0058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with controlled internal environment with controlled temperature having pockets for heated or cooled 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400/00Functions or special features of garments
    • A41D2400/10Heat retention or warm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물의 벽체내로 급수 파이프가 설치되어 상기 급수파이프에 분기관을 연결하여 주방등의 수도로 사용하는 벽면과 일체형 구조를 갖는 급수용 연결재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주요개념은 합성수지 재질 등의 외부케이스(10), 내부케이스(20), 스프링(26), 수도배관 연결구(30), 후면뚜껑(40) 및 전면뚜껑(50) 등으로 이루어지며, 외부케이스(10)의 후면으로 내부케이스(20)를 장착하고, 내부케이스(20)의 후면에 스프링(26)을 끼운 후에 후면뚜껑(40)을 결합시키고, 내부케이스의 내부에 수도배관 연결구(30)를 장착하고 외부케이스(10)의 후면에 후면뚜껑(40)을 결합시키며, 외부케이스(10)의 전면에 보조뚜껑을 장착하여 콘크리트를 타설 및 양생된 후에 보조뚜껑을 제거하고 전면뚜껑(60)을 결합시켜 수도배관 연결구(30)가 외부로 벽 외부로 돌출되도록 한 후에 수도파이프 등을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시공이 완료된 상태에서 수도배관 연결구의 수도연결부가 벽면으로부터 약 5cm 정도 인출되어 타일을 설치한 후에도 용이하게 수도파이프를 연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수도배관 연결박스{Water Pipe Coupling Box}
본 발명은 건물내의 주방등에 사용되는 벽면과 일체형구조를 갖는 수도배관 연결박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외부케이스 외부케이스에서 슬라이딩 되는 내부케이스 및 보조뚜껑을 이용하여 종래의 급수용연결재의 문제점인 급수용연결재를 벽면에 설치시 상기 수도배관 연결구의 측면이 외부로 노출됨으로 인한, 콘크리트 마감 공사 및 미장용타일을 부착시의 시공상의 어려움 및 작업이 번잡한등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으며, 콘크리트 타설 후에는 일정한 높이가 돌출되는 수도배관 연결박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도배관 연결박스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벽면내의 급수파이프(2)으로 유입된 물을 벽면 외부의 수도파이프(3)로 연결시키기 위한 분기관이 형성된 수도배관 연결구가 장착된 수도배관 연결박스(1)을 이용하여 수도배관 연결구의 일측이 급수파이프(2)에 연결되고, 타측이 수도파이프(3)에 연결시키는 구조로서 벽면 내부에 위치하는 수도배관 연결박스의 외측으로 콘크리트(4)가 타설되고, 벽면 외부에 위치하는 수도배관 연결박스이 외측으로는 타일(5)이 장착된다.
이러한 종래의 급수용연결재는 벽면에 설치시, 수도용 파이프를 연결키 위한 수도용 연결부가 벽면외부로 상당부분이 노출되게 되어 콘크리트 타설시에 수도용연결부의 노출로 인하여 거푸집에 노출구멍을 삽입시키는 구멍을 뚫어야 하는 등의 작업성 저하 및 많은 애로사항이 있었으며, 특히 콘크리트가 수도용 연결부의 내부로 유입되게 되어 제품사용이 불가한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수도용 연결부의 외부면에 별도의 부재를 부착하여 콘크리트 및 타일등을 마감,양생후 제거하여 사용하는 제품이 있었으나, 이또한 수도용연결부의 외부노출로 상기 마감작업시의 문제점인 작업성 저하 및 작업이 번거러움 등의 문제가 여전히 남아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저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외부케이스 외부케이스에서 슬라이딩 되는 내부케이스 및 보조뚜껑을 이용하여 종래의 급수용연결재의 문제점인 급수용연결재를 벽면에 설치시 상기 수도배관 연결구의 측면이 외부로 노출됨으로 인한, 콘크리트 마감 공사 및 미장용타일을 부착시의 시공상의 어려움 및 작업이 번잡한등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으며, 콘크리트 타설 후에는 일정한 높이가 돌출되는 수도배관 연결박스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수도배관 연결박스는 전면과 후면이 개방된 소정형상의 외부케이스 본체와, 상기 외부의 급수파이프와 연결되도록 상기 외부케이스 본체의 일측면에 형성된 급수파이프 연결홈 및 상기 외부케이스 본체의 내부에서 상기 급수파이프 연결홈의 좌,우측면에 돌출된 요홈부가 형성된 외부케이스와; 상부가 개방되고 하부가 밀폐된 내부케이스 본체와 상기 수도배관 연결구를 적층시킬 수 있도록 상기 내부케이스 본체 내부에서 형성된 연결구적치대와, 외부케이스 본체의 요홈부에 대등되어 슬라이드 되도록 상기 내부케이스 본체의 외부 좌,우측면에 형성된 돌출부와, 상기 내부케이스 본체의 중앙하부에서 외부로 돌출된 스프링유지부 및 상기 내부케이스 본체의 내부 양측면에 형성된 전면뚜껑 걸림편이 형성된 내부케이스와; 상기 내부케이스의 스프링유지부에 장착되는 스프링과; 상기 외부케이스 본체의 후면에 결합되는 후면뚜껑 및 상기 외부케이스 본체의 전면에 위치하며, 일면에 내부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된 상기 수도배관 연결구의 수도연결부를 외부로 돌출시키는 관통홈에 형성되고, 양측면에 상기 내부케이스의 전면뚜껑 걸림편에 대응하여 상응되는 구조의 결함홈을 갖는 다리부가 형성된 전면뚜껑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외부케이스 본체의 외부 좌,우측면에는 이웃하는 외부케이스 본체와 연결시키는 간격유지대 삽입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외부케이스 본체의 일측면에는 철근에 고정되는 철근걸이가 착탈가능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외부케이스의 전면에 결합되고 상기 수도배관 연결구를 누르면서 결합되는 보조뚜껑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내부케이스 내부 일측에는 몸체적치대 상에 장착된 수도배관 연결구를 고정시키는 고정구가 더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내부케이스 본체의 내부 양측면에는 전면뚜껑 걸림편이 형성되고, 상기 전면뚜껑에는 상기 전면뚜껑 걸림편에 대응하여 상응되는 구조의 결함홈을 갖는 다리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키로 한다.
도 2은 본 발명에 의한 수도배관 연결박스의 사용상태상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3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외부케이스를 단면도이고, 도4은 본 발명의 실시에에 따른 내부케이스의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뚜껑의 사시도이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벽면과 일체형 구조를 갖는 수도배관 연결박스는 합성수지 재질 등의 외부케이스(10), 내부케이스(20), 스프링(26), 수도배관 연결구(30), 후면뚜껑(40) 및 전면뚜껑(50) 등으로 이루어지며, 외부케이스(10)의 후면으로 내부케이스(20)를 장착하고, 내부케이스(20)의 후면에 스프링(26)을 끼운 후에 후면뚜껑(40)을 결합시키고, 내부케이스의 내부에 수도배관 연결구(30)를 장착하고 외부케이스(10)의 후면에 후면뚜껑(40)을 결합시키며, 외부케이스(10)의 전면에 보조뚜껑을 장착하여 콘크리트를 타설 및 양생된 후에 보조뚜껑을 제거하고 전면뚜껑(60)을 결합시켜 수도배관 연결구(30)가 외부로 벽 외부로 돌출되도록 한 후에 수도파이프 등을 결합하는 것을 기본 개념으로 한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외부케이스(10)는 전,후면이 개방되고, 일측면에 급수파이프(2)를 연결할 수 있는 연결홀(13) 및 다수개의 나사홀(14)이 형성된 외부케이스 본체(11)와 외부케이스 본체 내부에서 연결홀의 좌,우측면에 형성되어 있는 내부케이스가 삽입될 수 있도록 돌출된 요홈부(12) 및 외부케이스 본체(11)의 양측면에는 후면뚜껑(40)이 결합되는 후면뚜껑 걸림편(15)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요홈부(12)의 저면은 상기 내부케이스(20)가 삽입되도록 개방되고, 요홈부의 상부는 내부케이스(20)가 일정 이상 상부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밀폐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외부케이스 본체의 외부 좌,우측면에는 이웃하는 외부케이스 본체와 연결시키는 간격유지대 삽입홈이 형성되고, 철근에 고정되는 철근걸이가 착탈가능하게 설치된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내부케이스(20)는 상부가 개방되고 하부가 밀폐된 내부케이스 본체(21)와 내부케이스 본체 내부에서 상기 수도배관 연결구(30)를 적층시킬 수 있는 반원형상의 연결구적치대(22)와, 내부케이스 본체의 외부 좌,우측면에서 외부케이스 본체의 요홈부(12)에 결합되는 돌출부(23)와, 바닥의 중앙하부에서 스프링(26)이 삽입, 유지되도록 외부로 돌출된 스프링유지부(24) 및 내부케이스 본체의 내부 양측면에서 전면뚜껑(50)이 결합되는 전면뚜껑 걸림편(25)이 형성되어 있다. 이때, 돌출부(23)는 외부케이스의 요홈부(12)에 삽입되어 상,하로 이동될 수 있도록 가이드레일 형태의 돌출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내부케이스의 내부에는 연결구적치대(22)에 설치된 수도배관 연결구(30)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끈(미도시)이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내부케이스(20)는 외부케이스(10)의 요홈부(12)내에서만 이동이 되고, 요홈부(12)의 상부가 밀폐되어 있어 스프링(26)의 작용으로 상승하더라도 일정높이만 상승된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도배관 연결구(30)는 내부케이스의 연결구적치대()에 장착되며, 벽면 내측의 콘크리트에 배설되는 급수파이프를 벽면 안쪽으로 연장할 수 있도록 "L"자형의 분기관(31)과 일측이 벽면의 내측에서 급수파이프에 연결되는 급수연결부(32) 및 타측이 벽면 안쪽에서 수도파이프에 연결되는 수도연결부(33)로 이루어진다. 이때, 급수연결부(32)에는 급수파이프와 연결되어 누수을 방지하기 위하여 패킹(34) 및 급수용결합구(35)를 구비하는 것 및 수도연결부(33)에 수도파이프가 결합되도록 다수개의 나사홀이 형성되는 것은 당연하다.
이러한, 수도배관 연결구(30)의 수도연결부(33)는 외부케이스(10)에 장착된 내부케이스의 스프링유지부(24)에 장착된 스프링(26)과 후면뚜껑(40)의 작용으로 외부케이스의 요홈부(12) 상부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수도배관 연결구(30)는 외부케이스의 요홈부(12) 상부가 막혀있기 때문에 요홈부의 길리를 조절하여 타일이 설치되는 두께인 약 5cm 정도의 일정한 길이만을 벽면 안쪽으로 정확하게 돌출시킬 수 있다.
한편, 후면뚜껑(40)은 외부케이스 본체(11)의 저면에 결합되며 외부케이스에 결합된 내부케이스의 스프링유지부(24)에 설치된 스프링(26)의 탄력을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외부케이스 본체의 후면뚜껑 걸림편(15)에 장착되도록 대응하여 상응되는 구조의 결함홈(41)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후면뚜껑(40)은 비스 등을 이용하여 외부케이스 본체에 결합시킬 수 있는 것과 같이 다양한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면뚜껑(50)은 외부케이스 본체의 전면에 위치하며, 일면에 내부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된 상기 수도배관 연결구의 수도연결부(33)를 외부로 돌출시키는 관통홈(51)에 형성되고, 양측면에 상기 내부케이스의 전면뚜껑 걸림편(25)에 대응하여 상응되는 구조의 결함홈(52)이 형성된 다리부(53)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수도배관 연결장치는 벽면 내에 설치될 때 타설된 콘크리트가 수도배관 연결장치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보조뚜껑이 사용된다. 보조뚜껑은 합판, 플라스틱 등으로 제작되며 외부케이스의 전면에 장착되고, 콘크리트 타설 및 양생 후 제거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연결박스의 설치과정을 살펴보면, 먼저 외부케이스(10)의 요홈부(12) 하단으로 내부케이스(20)의 돌출부(23)를 밀어 넣어, 외부케이스(10)의 내부에서 내부케이스(20)가 슬라이딩 방식으로 이동하도록 결합시킨다.
그 후, 내부케이스(20)의 바닥외부에 형성된 스프링유지부(24)에 스프링(26)을 고정시키고, 후면뚜껑(40)의 결합홈(41)을 외부케이스(20)의 후면뚜껑 걸림편(15)고정 결합시켜 내부케이스(20)에 장착되어 있는 스프링(26)이 압착되어 내부케이스의 돌출부(23)를 외부케이스의 요홈부(12)의 최상부로 슬라이딩되도록 한다. 이때, 후면뚜껑은 비스 등을 이용하여 외부케이스 본체에 결합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외부케이스(10) 내부에 내부케이스(20)가 장착되면 내부케이스(20)의 연결구 적치대(22)에 수도배관 연결구(30)를 장착시키고, 급수연결부(32)를 급수파이프에 결합 연결시킨다. 이때, 수도배관 연결구가 외부케이스로부터 약 5cm 정도가 돌출되도록 외부케이스의 요홈부의 높이를 조절한다.
그 후, 외부케이스(10)의 전면에 합판, 플라스틱 등으로 제작된 보조뚜껑을 부착한 후, 거푸집에 전면이 일치하도록 설치한 후에 콘크리트(4)를 타설한다. 이때, 평상시에 외부케이스의 전면부 밖으로 돌출되는 수도배관 연결부(30)는 보조뚜껑에 의 압력을 받게 되고 결합연결된 내부케이스와 함께 스프링이 압축되면서 내부케이스의 돌출부가 외부케이스의 요홈부 내에서 슬라이딩디면서 외부케이스의 저면으로 밀려들어가게 된다. 이때, 외부케이스 본체의 일측면에 형성된 철근걸이를 이용하여 벽의 내부에 형성된 철근에 고정하면 수도배관 연결박스를 철근에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다.
그리고, 콘크리트(4)가 양생된 후에 거푸집을 제거하고, 보조뚜껑을 제거하여 수도배관 연결부의 수도연결부(33)가 스프링(26)의 압축으로 외부케이스(10) 밖으로 돌출되며, 전면뚜껑(50)의 관통홈(51)에 수도연결부(33)를 끼운 후에 양측면에 형성된 다리부(53)의 결함홈(52)을 내부케이스의 전면뚜껑 걸림편(25)에 결합시킨다. 이와 같이, 전면뚜껑(50)이 내부케이스(20)에 고정되면, 사용자가 수도연결부를 벽면으로 밀어도 내부케이스가 전면뚜껑에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수도배관 연결구의 유동을을 방지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전면뚜껑(50)의 관통홈(51)으로 돌출된 수도배관 연결부의 수도연결부(33) 외부에 타일 등을 설치하고 수도파이프(3)를 연결하여 사용한다.
한편, 두 개 이상의 수도배관 연결박스를 서로 연결하기 위하여 외부케이스 본체의 외부 좌,우측면에 형성된 간격유지대 삽입홈(16)에 일정한 형상의 간격유지대를 삽입하여 장착하여 고정할 수 있다. 이러한 간격유지대 삽입홈(16)에 장착된 간격유지대에 의하여 수도배관 연결박스를 서로 연결시키면 일반적인 냉/온수의 수도파이프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기술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 있어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이라면, 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본 발명을 여러 가지로 변형 또는 설계변경하여 실시하는 경우에는 본 발명의 범주로 간주한다.
이상에서 살펴본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수도배관 연결박스는 수도배관 연결구의 수도연결부가 벽면으로부터 약 5cm 정도 인출되어 타일을 설치한 후에도 용이하게 수도파이프를 연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외부케이스에서 슬라이딩 되는 내부케이스 및 보조뚜껑을 이용하여 종래의 급수용연결재의 문제점인 급수용연결재를 벽면에 설치시 상기 급수용 연결재의 측면이 외부로 노출됨으로 인한, 콘크리트 마감 공사 및 미장용타일을 부착시의 시공상의 어려움 및 작업이 번잡한등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으며, 콘크리트 타설시 콘크리트 등의 오염물이 박스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전면뚜껑을 내부케이스에 장착시켜 사용자가 수도연결부를 벽면으로 밀어도 수도배관 연결구가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급수배관 연결박스의 장착상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수도배관 연결박스의 사용상태상의 분해사시도,
도 3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외부케이스를 단면도이고,
도 4은 본 발명의 실시에에 따른 내부케이스의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면뚜껑의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외부케이스 11 : 외부케이스 본체
12 : 요홈부 13 : 연결홀
14 : 나사홀 15 : 후면뚜껑 걸림편
20 : 내부케이스 21 : 내부케이스 본체
22 : 연결구적치대 23 : 돌출부
24 : 스프링유지부 25 : 전면뚜껑 걸림편
26 : 스프링 30 : 수도배관 연결구
31 : 분기관 32 : 급수연결부
33 : 수도연결부 34 : 패킹
35 : 급수용결합구 40 : 후면뚜껑
41 : 결함홈 50 : 전면뚜껑
51 : 관통홈 52 : 결함홈
53 : 다리부

Claims (7)

  1. 건물 벽면내의 급수파이프와 수도파이프를 연결하는 수도배관 연결구를 고정시키는 수도배관 연결박스에 있어서,
    전면과 후면이 개방된 소정형상의 외부케이스 본체와, 상기 외부의 급수파이프와 연결되도록 상기 외부케이스 본체의 일측면에 형성된 급수파이프 연결홈 및 상기 외부케이스 본체의 내부에서 상기 급수파이프 연결홈의 좌,우측면에 돌출된 요홈부가 형성된 외부케이스;
    상부가 개방되고 하부가 밀폐된 내부케이스 본체와 상기 수도배관 연결구를 적층시킬 수 있도록 상기 내부케이스 본체 내부에서 형성된 연결구적치대와, 외부케이스 본체의 요홈부에 대등되어 슬라이드 되도록 상기 내부케이스 본체의 외부 좌,우측면에 형성된 돌출부와, 상기 내부케이스 본체의 중앙하부에서 외부로 돌출된 스프링유지부 및 상기 내부케이스 본체의 내부 양측면에 형성된 전면뚜껑 걸림편이 형성된 내부케이스;
    상기 내부케이스의 스프링유지부에 장착되는 스프링;
    상기 외부케이스 본체의 후면에 결합되는 후면뚜껑 및
    상기 외부케이스 본체의 전면에 위치하며, 일면에 내부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된 상기 수도배관 연결구의 수도연결부를 외부로 돌출시키는 관통홈에 형성되고, 양측면에 상기 내부케이스의 전면뚜껑 걸림편에 대응하여 상응되는 구조의 결함홈을 갖는 다리부가 형성된 전면뚜껑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도배관 연결박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케이스에 결합되어 상기 수도배관 연결구를 누르면서 결합되는 보조뚜껑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도배관 연결박스.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케이스 내부 일측에는 상기 수도배관 연결구를 고정시키는 고정구가 더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도배관 연결박스.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케이스 본체의 내부 양측면에는 전면뚜껑 걸림편이 형성되고, 상기 전면뚜껑에는 상기 전면뚜껑 걸림편에 대응하여 상응되는 구조의 결함홈을 갖는 다리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도배관 연결박스.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케이스의 요홈부는 하면이 개방되어 있으며 상면이 밀폐되어 있는 가이드 레일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도배관 연결박스.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케이스 본체의 외부 좌,우측면에는 이웃하는 외부케이스 본체와 연결시키는 간격유지대 삽입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도배관 연결박스.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케이스 본체의 일측면에는 철근에 고정되는 철근걸이가 착탈가능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도배관 연결박스.
KR1020040007337A 2004-02-04 2004-02-04 수도배관 연결박스 Expired - Lifetime KR1005777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07337A KR100577741B1 (ko) 2004-02-04 2004-02-04 수도배관 연결박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07337A KR100577741B1 (ko) 2004-02-04 2004-02-04 수도배관 연결박스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02682U Division KR200349749Y1 (ko) 2004-02-04 2004-02-04 수도배관 연결박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79171A true KR20050079171A (ko) 2005-08-09
KR100577741B1 KR100577741B1 (ko) 2006-05-10

Family

ID=372661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07337A Expired - Lifetime KR100577741B1 (ko) 2004-02-04 2004-02-04 수도배관 연결박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7774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9573B1 (ko) * 2006-10-14 2007-04-20 주식회사 삼안 하수 가지관 이음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9573B1 (ko) * 2006-10-14 2007-04-20 주식회사 삼안 하수 가지관 이음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77741B1 (ko) 2006-05-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77741B1 (ko) 수도배관 연결박스
KR200349749Y1 (ko) 수도배관 연결박스
KR101902620B1 (ko) 잔수 누출 방지를 위한 샤워기 헤드
KR20030002019A (ko) 문틀 및 그 시공방법
CN208329123U (zh) 一种便于清理的侧式地漏
KR101854776B1 (ko) 타일용 마감부재
DE50311163D1 (de) Steckschiebeverschluss
KR100615855B1 (ko) 공동주택용 단자함 고정구
KR20150071124A (ko) 콘크리트 벽체 모서리 시공용 성형바
KR200436995Y1 (ko) 벽부용 아웃렛박스
KR100684058B1 (ko) 콘크리트 구조물 시공을 위한 지수판 조립구조
KR101153279B1 (ko) 납골함 안치 유니트
KR200365564Y1 (ko) 개량 전선 배관용 전기박스
KR200333895Y1 (ko) 벽부용 아웃렛 박스
KR200441405Y1 (ko) 옥내 배선용 아웃렛 박스의 기구고정구조
KR100356702B1 (ko) 벽부용 아웃렛 박스
CN209641531U (zh) 模板用拼接开关盒
CA2662214C (en) Void former
KR200346920Y1 (ko) 아웃렛 박스
KR20100012400U (ko) 급수 및 배수관용 파이프 고정구
KR200314970Y1 (ko) 거푸집 고정용 핀
KR20090045795A (ko) 천정재용 몰딩 설치구조
KR100634220B1 (ko) 공동주택용 단자함 고정구
CN204728426U (zh) 一种改进顶盖的冲厕水箱
KR200335565Y1 (ko) 건물 외벽의 돌출무늬를 성형하기 위한 거푸집용 마감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40204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602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6050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6050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42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42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503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1102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02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502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5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425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30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430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03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503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30

Year of fee payment: 1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430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506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504

Start annual number: 16

End annual number: 1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503

Start annual number: 17

End annual number: 17

PC1801 Expiration of term

Termination date: 20240804

Termination category: Expiration of du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