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50841A - 그리드 플레이트를 구비한 전계 방출 표시장치 - Google Patents

그리드 플레이트를 구비한 전계 방출 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50841A
KR20050050841A KR1020030084487A KR20030084487A KR20050050841A KR 20050050841 A KR20050050841 A KR 20050050841A KR 1020030084487 A KR1020030084487 A KR 1020030084487A KR 20030084487 A KR20030084487 A KR 20030084487A KR 20050050841 A KR20050050841 A KR 200500508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id plate
mask
fixing
substrate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844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지광선
지응준
진성환
Original Assignee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844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50841A/ko
Priority to CNB2004100825829A priority patent/CN100342479C/zh
Priority to JP2004281848A priority patent/JP2005190986A/ja
Priority to US10/969,432 priority patent/US7288883B2/en
Publication of KR200500508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50841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1/00Details of electrodes, of magnetic control means, of screens, or of the mounting or spacing thereof, common to two or more basic types of discharge tubes or lamps
    • H01J1/46Control electrodes, e.g. grid; Auxiliary electro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1/00Details of electrodes, of magnetic control means, of screens, or of the mounting or spacing thereof, common to two or more basic types of discharge tubes or lamps
    • H01J1/02Main electrodes
    • H01J1/30Cold cathodes, e.g. field-emissive cathod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329/00Electron emission display panels, e.g. field emission display panels
    • H01J2329/86Vessels
    • H01J2329/8625Spacing members
    • H01J2329/8665Spacer holding means

Landscapes

  • Cathode-Ray Tubes And Fluorescent Screens For Displa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열팽창과 수축에 의한 그리드 플레이트의 정렬 불량과 변형을 방지하기 위한 전계 방출 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임의의 간격을 두고 대향 배치되는 제1 및 제2 기판과; 제1 기판에 마련되는 전자 방출원과; 전자 방출원으로부터 전자를 방출시키기 위한 전극들과; 제2 기판에 구비되어 전자 방출원에서 방출된 전자들에 의해 이미지를 구현하도록 발광하는 발광부와; 제1 기판과 제2 기판 사이에 배치되는 그리드 플레이트를 포함하며, 그리드 플레이트가 전자빔 통과를 위한 어퍼쳐들을 형성하는 마스크부와; 마스크부의 열팽창을 수용하는 소정의 여유분을 두고 마스크부 외곽에 상하 좌우 대칭형으로 구비되어 마스크부의 팽창 방향과 수축 방향이 반대가 되도록 마스크부를 고정 지지하는 고정부를 포함하는 전계 방출 표시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그리드 플레이트를 구비한 전계 방출 표시장치{FIELD EMISSION DISPLAY DEVICE WITH GRID ELECTRODE}
본 발명은 전계 방출 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표시장치 제작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그리드 플레이트의 변형과 정렬 불량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그리드 플레이트를 개선한 전계 방출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계 방출 표시장치는 양자 역학적인 터널링 효과를 이용하여 캐소드 전극에 마련된 에미터로부터 전자를 방출시키고, 방출된 전자를 애노드 전극에 형성된 형광막에 충돌시켜 이를 발광시킴으로써 소정의 영상을 구현하는 표시장치로서, 캐소드 전극과 게이트 전극 및 애노드 전극을 구비한 3극관 구조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통상의 3극관 구조에서는 캐소드 전극과 게이트 전극을 구비하는 후면 기판과, 애노드 전극을 구비하는 전면 기판이 프릿(frit)과 같은 밀봉재에 의해 일체로 접합되어 진공 용기를 구성하며, 진공 용기 내부에는 다수의 스페이서가 장착되어 전, 후면 기판을 일정한 간격으로 유지시킨다.
그리고 전, 후면 기판 사이에는 다수의 어퍼쳐를 갖는 메쉬 형태의 그리드 플레이트가 위치한다. 그리드 플레이트는 에미터에서 방출된 전자들을 집속시켜 화면의 색순도를 향상시키고, 캐소드 전극과 애노드 전극 사이의 내전압 특성을 높이는 역할을 한다. 그리드 플레이트와 관련한 종래 기술로는 일본 공개특허 2000-268704호에 개시된 전계 방출형 표시소자를 들 수 있다.
그런데 금속으로 제작되는 그리드 플레이트는 글래스로 제작되는 전, 후면 기판과 열팽창율 차이가 크기 때문에, 봉착 등의 열공정에서 그리드 플레이트에 가해지는 열적 스트레스로 인해 그리드 플레이트가 쉽게 변형되거나 정렬 불량이 발생할 수 있다.
그리드 플레이트의 정렬 불량은 에미터에서 방출된 전자들이 해당 화소의 어퍼쳐를 온전하게 통과하지 못하고 그리드 플레이트에 부딪혀 산란되거나, 타 화소의 어퍼쳐를 통해 타 화소의 형광막에 도달하는 등, 표시 특성을 저하시키는 결과를 나타낸다. 그리고 그리드 플레이트의 변형은 그리드 플레이트와 에미터의 접촉을 유도하여 전기적 단락을 유발한다.
더욱이 종래에는 그리드 플레이트에 전기 신호를 인가하는 외부 전극이 단순한 밴드 혹은 와이어 형태로 그리드 플레이트와 연결되고, 밀봉재에 둘러싸여 고정됨에 따라, 외부 전극이 그리드 플레이트의 열팽창과 수축 현상에 구속을 가하게 되어 그리드 플레이트의 정렬 불량을 심화시킨다.
한편, 그리드 플레이트의 변형을 방지하기 위해 그리드 플레이트에 인장력을 가하여 전, 후면 기판 사이에 고정시키는 방안이 제안되었으나, 이 방법은 전, 후면 기판 사이의 간격이 극히 협소하고 내부가 진공으로 유지되는 전계 방출 표시장치의 특성상 적용이 용이하지 않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그리드 플레이트의 정렬 불량을 방지하여 에미터에서 방출된 전자들이 해당 화소의 어퍼쳐를 온전하게 통과하도록 하여 표시 특성을 높이며, 그리드 플레이트의 변형을 방지하여 에미터와의 접촉에 따른 전기적 단락을 방지할 수 있는 전계 방출 표시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임의의 간격을 두고 대향 배치되는 제1 및 제2 기판과, 제1 기판에 마련되는 전자 방출원과, 전자 방출원으로부터 전자를 방출시키기 위한 전극들과, 제2 기판에 구비되어 전자 방출원에서 방출된 전자들에 의해 이미지를 구현하도록 발광하는 발광부와, 제1 기판과 제2 기판 사이에 배치되는 그리드 플레이트를 포함하며, 그리드 플레이트가 전자빔 통과를 위한 어퍼쳐들을 형성하는 마스크부와, 마스크부의 열팽창을 수용하는 소정의 여유분을 두고 마스크부 외곽에 상하 좌우 대칭형으로 구비되어 마스크부의 팽창 방향과 수축 방향이 반대가 되도록 마스크부를 고정 지지하는 고정부를 포함하는 전계 방출 표시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고정부는 마스크부의 장변측 외곽에 부착되는 고정 프레임들과, 각 고정 프레임 내부에 위치하면서 마스크부를 제1, 2 기판에 고정시키는 고정편들을 포함한다. 고정 프레임들은 마스크부의 장변측 양단부에 구비되는 제1, 2 프레임과, 마스크부의 장변측 중심부에 구비되는 제3 프레임을 포함한다.
상기 각 고정 프레임 내부에 위치하는 고정편들은 마스크부와 일정한 간격을 두고 위치하여 그리드 플레이트의 단축 방향을 따라 제1 갭을 형성하며, 제1, 2 프레임 내부에 위치하는 고정편들은 제3 프레임을 향한 일측 단부에서 해당 프레임과 일정한 간격을 두고 위치하여 그리드 플레이트의 장축 방향을 따라 제2 갭을 형성한다.
그리고 제3 프레임 내부에 위치하는 고정편은 제1, 2 프레임을 향한 양측 단부에서 제3 프레임과 일정한 간격을 두고 위치하여 그리드 플레이트의 장축 방향을 따라 제3 갭을 형성하거나, 제1, 2 프레임을 향한 양측 단부가 제3 프레임에 고정되어 배치된다.
바람직하게, 고정편들은 유리 소재로 이루어져 제1, 2 기판과의 열팽창 계수 차이를 최소화하며, 각각의 고정편은 제1, 2 기판 사이 간격과 같거나 작은 높이로 형성되어 고정편 위치에서 제1, 2 기판이 들뜨지 않도록 한다.
상기 그리드 플레이트는 밀봉재의 내, 외측에 걸쳐 형성되어 마스크부에 전기 신호를 인가하는 외부 전극을 더욱 포함한다. 외부 전극은 밀봉재 내측에 소정의 탄성을 갖는 길이 가변부를 형성하거나, 그 단부에 소정의 탄성을 갖는 두께 가변부를 형성하여 두께 가변부를 통해 마스크부와 접촉하여 연결되도록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계 방출 표시장치의 평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A-A선을 기준으로 절개한 전계 방출 표시장치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면을 참고하면, 전계 방출 표시장치는 프릿(frit)과 같은 밀봉재(2)에 의해 가장자리가 접합된 후 내부가 배기되어 진공 용기를 구성하는 제1 기판(4)과 제2 기판(6)을 포함하며, 제1 기판(4)에는 전계 형성으로 전자를 방출하는 구성이, 그리고 제2 기판(6)에는 전자에 의해 가시광을 내어 소정의 이미지를 구현하는 구성이 제공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 기판(4) 위에는 게이트 전극(8)들이 일방향(도면의 Y 방향)을 따라 스트라이프 패턴으로 형성되고, 게이트 전극(8)들을 덮으면서 제1 기판(4)의 내면 전체에 절연층(10)이 위치한다. 그리고 절연층(10) 위에는 캐소드 전극(12)들이 게이트 전극(8)과 교차하는 방향(도면의 X 방향)을 따라 스트라이프 패턴으로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전계 방출 표시장치의 화소 영역을 게이트 전극(8)과 캐소드 전극(12)의 교차 영역으로 정의할 때에, 각 화소 영역마다 캐소드 전극(12)의 일측 가장자리 위에 전자 방출원인 에미터(14)가 위치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에미터(14)는 카본계 물질, 가령 카본 나노튜브, 흑연, 다이아몬드, 다이아몬드상 카본, C60(fulleren)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 물질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제1 기판(4)에 대향하는 제2 기판(6)의 일면에는 애노드 전극(16)이 형성되고, 애노드 전극(16)의 일면에 적색, 녹색 및 청색의 형광막들(18)과 흑색층(20)으로 이루어진 형광 스크린(22)이 형성된다. 형광 스크린(22) 표면에는 메탈 백(metal back) 효과에 의해 화면의 휘도를 높이는 금속 반사막, 일례로 알루미늄 반사막(도시하지 않음)이 위치할 수 있다.
이로서 게이트 전극(8)과 캐소드 전극(12)에 소정의 구동 전압을 인가하면, 두 전극의 전압 차에 의해 에미터(14) 주위에 전계가 형성되어 에미터(14)로부터 전자가 방출된다. 그리고 애노드 전극(16)에 높은 (+)전압을 인가하면, 에미터(14)에서 방출된 전자들이 형광막(18)에 도달하여 이를 여기시켜 가시광을 내게 함으로써 소정의 표시가 이루어진다.
아울러 제1 기판(4)과 제2 기판(6)이 형성하는 진공 용기 내부에는 전자빔 통과를 위한 다수의 어퍼쳐(24)를 갖는 메쉬 형태의 그리드 플레이트(26)가 위치한다. 그리드 플레이트(26)는 애노드 전압보다 낮은 (+)전압을 인가받아 에미터(14)에서 방출된 전자들을 집속시켜 화면의 색순도를 높이며, 진공 용기 내부에서 아킹이 발생한 경우 그 피해가 제1 기판(4)으로 향하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이 때, 제1 기판(4)과 그리드 플레이트(26) 사이에는 다수의 하부 스페이서(28)가 배치되어 제1 기판(4)과 그리드 플레이트(26)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시키며, 그리드 플레이트(26)와 제2 기판(6) 사이에는 다수의 상부 스페이서(30)가 배치되어 그리드 플레이트(26)와 제2 기판(6)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시킨다.
더욱이 본 실시예에서 그리드 플레이트(26)는 제1, 2 기판(4, 6)에 대한 그리드 플레이트(26)의 고정 구조를 개선하여 표시장치 제작 과정에서 제1, 2 기판(4, 6)과의 열팽창율 차이에 의한 그리드 플레이트(26)의 정렬 불량 또는 이의 변형을 억제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도 3은 그리드 플레이트의 평면도이고, 도 4는 도 1의 B-B선을 기준으로 절개한 전계 방출 표시장치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면을 참고하면, 그리드 플레이트(26)는 다수의 어퍼쳐(24)를 형성하는 마스크부(32)와, 마스크부(32)의 열팽창을 수용하는 소정의 여유분을 두고 마스크부(32) 외곽에 상하 좌우 대칭형으로 구비되어 마스크부(32)의 팽창 방향과 수축 방향이 서로 반대가 되도록 마스크부(32)를 고정 지지하는 고정부(34)를 포함한다.
상기 고정부(34)는 소정의 내부 공간을 가지면서 마스크부(32) 외곽에 부착되는 다수의 고정 프레임(36a, 36b, 36b)과, 고정 프레임(36a, 36b, 36c) 내부에 위치하면서 마스크부(32)를 제1, 2 기판(4, 6) 상에 고정시키는 고정편들(38a, 38b, 38c)을 포함한다.
고정 프레임(36a, 36b, 36c)은 일례로 마스크부(32)의 장변측 양단부, 즉 좌우측 단부에 구비되는 제1, 2 프레임(36a, 36b)과, 마스크부(32)의 장변측 중심부에 구비되는 제3 프레임(36c)을 포함하며, 그리드 플레이트(26) 전체에 6개의 고정 프레임(36a, 36b, 36c)이 상하 좌우 대칭형으로 구비된다.
그리고 고정편들(38a, 38b, 38c)은 각 프레임 내부에 위치하는 6개의 고정편들로 구성되는데, 이 고정편들(38a, 38b, 38c)은 해당 프레임 내부에서 마스크부(32)와 일정한 간격을 두고 위치하여 그리드 플레이트(26)의 단축 방향(도면의 Y 방향)을 따라 제1 갭(G1)을 형성한다.
또한 제1, 2 프레임(36a, 36b) 내부에 위치하는 제1, 2 고정편들(38a, 38b)은 제3 프레임(36c)을 향한 일측 단부에서 해당 프레임과 일정한 간격을 두고 위치하여 그리드 플레이트(26)의 장축 방향(도면의 X 방향)을 따라 제2 갭(G2)을 형성하며, 제3 프레임(36c) 내부에 위치하는 제3 고정편(38c)은 제1, 2 프레임(36a, 36b)을 향한 양측 단부에서 해당 프레임과 일정한 간격을 두고 위치하여 상기 장축 방향을 따라 제3 갭(G3)을 형성한다.
이 때, 그리드 플레이트(26)의 장축 방향에 따른 제1, 2 고정편들(38a, 38b)의 여유분, 즉 제2 갭(G2)은 서로 같은 크기로 설정되며, 상기 장축 방향에 따른 제3 고정편(38c)의 좌우 여유분, 즉 제3 갭(G3) 또한 서로 같은 크기로 설정된다. 이로서 고정 프레임(37a, 36b, 36c)과 더불어 상기 고정편들(38a, 38b, 38c) 또한 그리드 플레이트(26) 전체에 상하 좌우 대칭형으로 구비된다.
더욱이 각각의 고정편(38a, 38b, 38c)은 제1, 2 기판(4, 6)과 열팽창 계수가 동일하거나 유사한 물질, 일례로 글래스로 제작되어 제1, 2 기판(4, 6)과의 열팽창 계수 차이를 최소화하며, 각 고정편(38a, 38b, 38c)의 높이는 제1, 2 기판(4, 6)의 사이 간격과 같거나 이보다 작게 설정되어 고정편(38a, 38b, 38c) 위치에서 제1, 2 기판(4, 6)이 들뜨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다. 상기한 구성의 그리드 플레이트(26)는 그 전체가 밀봉재(2) 내측에 위치한다.
전술한 구성에 의해, 하부 스페이서들(28)이 설치된 제1 기판(4) 위에 그리드 플레이트(26)를 배치하여 제1 기판(4)과 그리드 플레이트(26)의 정렬을 맞춘 다음, 고정편들(38a, 38b, 38c)을 해당 고정 프레임 내부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접착제를 이용해 고정편(38a, 38b, 38c) 하단을 제1 기판(4) 위에 부착시킨다. 그리고 그리드 플레이트(26) 위에 상부 스페이서들(30)을 설치하고, 제1 기판(4)의 가장자리를 따라 밀봉재(2)를 도포하여 제1, 2 기판(4, 6)을 봉착시킨 다음, 도시하지 않은 배기구를 통해 제1, 2 기판(4, 6) 사이 공간을 배기시킴으로써 진공 용기를 완성하게 된다.
상기한 전계 방출 표시장치 제작 과정에서 특히 봉착 공정은 고온 분위기에서 진행되므로, 금속으로 제작되어 제1, 2 기판(4, 6)보다 열팽창 계수가 큰 그리드 플레이트(26)는 봉착과 같은 열공정시 팽창하며, 열공정 이후 상온 분위기에서 수축하게 된다.
도 5는 마스크부의 팽창 방향과 수축 방향을 나타낸 그리드 플레이트의 개략도로서, 도면에서 팽창 방향과 수축 방향을 각각 실선과 점선으로 표시하였다.
도면을 참고하면, 고온 분위기에서 마스크부(32)는 외곽 방향을 향해 팽창하는데, 제1, 2 고정편들(38a, 38b) 주위에서는 제1, 2 고정편들(38a, 38b)에 형성된 제1, 2 갭(G1, G2)을 통해 제1, 2 고정편들(38a, 38b)을 향해 팽창하고, 제3 고정편(38c) 주위에서는 제3 고정편(38c)에 형성된 제1 갭(G1)을 통해 제3 고정편(38c)을 향해 팽창하게 된다.
이러한 열팽창 이후 마스크부(32)는 상온 분위기에서 수축하게 되는데, 전술한 고정 프레임(36a, 36b, 36c)과 고정편들(38a, 38b, 38c) 형상에 의해 마스크부(32)의 수축 방향은 팽창 방향과 반대가 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의한 그리드 플레이트(26)는 열팽창과 수축 이후 초기 정렬 상태를 유지하여 정렬 불량과 변형이 억제되는 장점을 갖는다.
한편,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제3 고정편(38c)이 제1, 2 프레임(36a, 36b)을 향한 양측 단부에서 해당 프레임과 제3 갭(G3)을 두고 위치하는 구성을 설명하였으나,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3 고정편(38d)은 제1, 2 프레임(36a, 36b)을 향한 양측 단부가 제3 프레임(36c)에 고정되어 마스크부(32)의 중심부를 고정시키도록 위치할 수 있다.
이 경우, 마스크부(32)의 열팽창과 수축은 중심부가 고정된 상태에서 이루어지므로, 마스크부(32)가 전체적으로 위치 이동할 가능성을 배제하며, 마스크부(32)의 정렬 불량이 발생하더라도 마스크부(32)의 중심부가 아닌 마스크부(32) 외곽에서 정렬 불량이 일어나게 되어 표시 품위 저하를 최소화한다.
이 때, 각 프레임(36a, 36b, 36c) 내부에 고정편(38a, 38b, 38d)을 하나 이상 구비하여 각 프레임(36a, 36b, 36c) 내부 공간에 대해 고정편(38a, 38b, 38d)이 65∼85% 면적을 점유하도록 함으로써 고정편(38a, 38b, 38d)의 부착력을 강화할 수 있다. 상기 점유 면적이 65% 미만이면, 고정편(38a, 38b, 38c)에 의한 부착력 강화 효과를 얻기 어려우며, 점유 면적이 85%를 초과하면, 마스크부(32)의 팽창과 수축이 원활하게 않게 되어 초기 정렬 상태를 유지하기 어려운 문제가 예상된다.
도 7a는 그리드 플레이트에 외부 전극이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전계 방출 표시장치의 평면도이고, 도 7b는 도 7a에 도시한 외부 전극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면을 참고하면, 외부 전극(40)은 일단이 마스크부(32)와 접촉하고 다른 일단이 밀봉재(2) 외부로 노출되도록 밀봉재(2) 내, 외측에 걸쳐 형성되며, 밀봉재(2)에 고정된다. 본 실시예에서 외부 전극(40)은 마스크부(32)의 열팽창과 수축에 구속을 가하지 않기 위하여 밀봉재(2) 내측에 위치하는 외부 전극(40) 일부에 스프링 모양의 길이 가변부(42)를 형성한다. 이로서 길이 가변부(42)가 마스크부(32)의 열팽창시 수축하고, 마스크부(32) 수축시 초기 상태로 복원되어 마스크부(32)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한다.
이 경우, 바람직하게 길이 가변부(42) 표면에 도시하지 않은 절연막을 형성하여 길이 가변부(42) 형성 부분에서 외부 전극(40)과 제1 기판(4) 또는 제2 기판(6)의 접촉에 따른 전기적 단락을 방지한다.
도 8a는 외부 전극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8b는 도 8a의 외부 전극이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전계 방출 표시장치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면을 참고하면, 외부 전극(44)은 마스크부(32)와 접촉하는 단부에 태엽 스프링 모양의 두께 가변부(46)를 형성한다. 이로서 마스크부(32) 위에 두께 가변부(46)를 위치시킨 상태에서 제1, 2 기판(4, 6)을 봉착하면, 제2 기판(6)을 누르는 힘에 의해 두께 가변부(46)가 가압되어 마스크부(32)에 밀착됨으로써 외부 전극(44)이 마스크부(32)에 고정된다.
상기한 외부 전극(44)은 용접 등을 통해 마스크부(32)에 부착되지 않아 제조 공정이 단순해지며, 제1, 2 기판(4, 6) 사이 간격이 작은 표시장치에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이러한 외부 전극(44)은 마스크부(32)의 열팽창과 수축에 영향을 미치지 않아 마스크부(32)의 정렬 불량을 유발하지 않으며, 두께 가변부(46)를 제외한 밀봉재(2) 내측에 위치하는 외부 전극(44) 표면에 절연막(48)을 형성하여 제1 기판(4) 또는 제2 기판(6)과의 접촉에 의한 전기적 단락을 방지한다.
한편, 상기에서는 게이트 전극(8)이 캐소드 전극(12) 하부에 배치되는 구성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캐소드 전극(12)과 게이트 전극(8) 및 전자 방출원(14)의 구성은 전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전술한 구성에서 게이트 전극(8)이 제1 기판(4) 내면 전체에 형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캐소드 전극(12)과 애노드 전극(16)이 서로 교차하는 스트라이프 패턴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열공정에서 그리드 플레이트가 열팽창한 이후 상온 분위기에서 수축할 때에, 전술한 고정부 구성에 의해 마스크부의 팽창 방향과 수축 방향이 서로 반대가 되어 그리드 플레이트가 초기 정렬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전계 방출 표시장치는 그리드 플레이트의 변형과 정렬 불량을 억제함으로써 변형에 따른 전기적 단락을 방지하고, 정렬 불량에 따른 화면 품질 저하를 방지하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계 방출 표시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A-A선을 기준으로 절개한 전계 방출 표시장치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한 그리드 플레이트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B-B선을 기준으로 절개한 전계 방출 표시장치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5는 열공정 전후 마스크부의 팽창 방향과 수축 방향을 나타낸 그리드 플레이트의 평면도이다.
도 6은 도 3에 도시한 고정부의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그리드 플레이트의 평면도이다.
도 7a는 그리드 플레이트에 외부 전극이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전계 방출 표시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7b는 도 7a에 도시한 외부 전극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8a는 외부 전극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8b는 도 8a의 외부 전극이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전계 방출 표시장치의 부분 단면도이다.

Claims (15)

  1. 임의의 간격을 두고 대향 배치되며, 밀봉재에 의해 접합되어 진공 용기를 구성하는 제1 및 제2 기판과;
    상기 제1 기판에 마련되는 전자 방출원과;
    상기 전자 방출원으로부터 전자를 방출시키기 위한 전극들과;
    상기 제2 기판에 구비되어 상기 전자 방출원에서 방출된 전자들에 의해 이미지를 구현하도록 발광하는 발광부; 및
    상기 제1 기판과 제2 기판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전자들의 집속성을 우수하게 제어하기 위한 그리드 플레이트를 포함하며,
    상기 그리드 플레이트가,
    전자빔 통과를 위한 어퍼쳐들을 형성하는 마스크부; 및
    상기 마스크부의 열팽창을 수용하는 소정의 여유분을 두고 마스크부 외곽에 상하 좌우 대칭형으로 구비되어 마스크부의 팽창 방향과 수축 방향이 반대가 되도록 마스크부를 고정 지지하는 고정부
    를 포함하는 전계 방출 표시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가,
    상기 마스크부의 장변측 외곽에 부착되는 고정 프레임들; 및
    상기 각 고정 프레임 내부에 위치하면서 상기 마스크부를 제1, 2 기판에 고정시키는 고정편들을 포함하는 전계 방출 표시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프레임들이 상기 마스크부의 장변측 양단부에 구비되는 제1, 2 프레임과, 마스크부의 장변측 중심부에 구비되는 제3 프레임을 포함하는 전계 방출 표시장치.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각 고정 프레임 내부에 위치하는 고정편들이 상기 마스크부와 일정한 간격을 두고 위치하여 그리드 플레이트의 단축 방향을 따라 제1 갭을 형성하는 전계 방출 표시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2 프레임 내부에 위치하는 고정편들이 상기 제3 프레임을 향한 일측 단부에서 해당 프레임과 일정한 간격을 두고 위치하여 그리드 플레이트의 장축 방향을 따라 제2 갭을 형성하는 전계 방출 표시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3 프레임 내부에 위치하는 고정편이 상기 제1, 2 프레임을 향한 양측 단부에서 제3 프레임과 일정한 간격을 두고 위치하여 그리드 플레이트의 장축 방향을 따라 제3 갭을 형성하는 전계 방출 표시장치.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3 프레임 내부에 위치하는 고정편은 상기 제1, 2 프레임을 향한 양측 단부가 제3 프레임에 고정되어 배치되는 전계 방출 표시장치.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편들이 해당 고정 프레임 내부 공간에 대해 65∼85% 면적을 점유하도록 형성되는 전계 방출 표시장치.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편들이 유리 소재로 이루어지는 전계 방출 표시장치.
  10.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각 고정편이 상기 제1, 2 기판 사이 간격과 같거나 작은 높이로 형성되는 전계 방출 표시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크부와 고정부 전체가 상기 밀봉재 내측에 위치하는 전계 방출 표시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그리드 플레이트가 상기 밀봉재의 내, 외측에 걸쳐 형성되어 마스크부에 전기 신호를 인가하는 외부 전극을 더욱 포함하며,
    상기 외부 전극이 밀봉재 내측에 소정의 탄성을 갖는 길이 가변부를 형성하는 전계 방출 표시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길이 가변부가 절연막으로 둘러싸이는 전계 방출 표시장치.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그리드 플레이트가 상기 밀봉재의 내, 외측에 걸쳐 형성되어 마스크부에 전기 신호를 인가하는 외부 전극을 더욱 포함하며,
    상기 외부 전극이 그 단부에 소정의 탄성을 갖는 두께 가변부를 형성하여 두께 가변부를 통해 마스크부와 접촉하여 연결되는 전계 방출 표시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두께 가변부를 제외하고 상기 밀봉재 내측에 위치하는 외부 전극의 일부가 절연막으로 둘러싸이는 전계 방출 표시장치.
KR1020030084487A 2003-11-26 2003-11-26 그리드 플레이트를 구비한 전계 방출 표시장치 KR20050050841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84487A KR20050050841A (ko) 2003-11-26 2003-11-26 그리드 플레이트를 구비한 전계 방출 표시장치
CNB2004100825829A CN100342479C (zh) 2003-11-26 2004-09-21 平板显示器
JP2004281848A JP2005190986A (ja) 2003-11-26 2004-09-28 平板素子
US10/969,432 US7288883B2 (en) 2003-11-26 2004-10-19 Flat panel display device with reduced alignment err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84487A KR20050050841A (ko) 2003-11-26 2003-11-26 그리드 플레이트를 구비한 전계 방출 표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50841A true KR20050050841A (ko) 2005-06-01

Family

ID=386661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84487A KR20050050841A (ko) 2003-11-26 2003-11-26 그리드 플레이트를 구비한 전계 방출 표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050841A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69439A (ja) * 1985-09-20 1987-03-3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画像表示装置
US5506467A (en) * 1993-07-13 1996-04-09 Kabushiki Kaisha Toshiba Cathode-ray tub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6252347B1 (en) * 1996-01-16 2001-06-26 Raytheon Company Field emission display with suspended focusing conductive sheet
KR20020078977A (ko) * 2001-04-12 2002-10-19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전계 방출 표시장치
JP2003007231A (ja) * 2001-04-20 2003-01-10 Toshiba Corp 表示装置
JP2003123672A (ja) * 2001-10-09 2003-04-25 Toshiba Corp 画像表示装置
KR20040069506A (ko) * 2003-01-29 2004-08-06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전계방출소자와 이를 적용한 표시소자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69439A (ja) * 1985-09-20 1987-03-3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画像表示装置
US5506467A (en) * 1993-07-13 1996-04-09 Kabushiki Kaisha Toshiba Cathode-ray tub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6252347B1 (en) * 1996-01-16 2001-06-26 Raytheon Company Field emission display with suspended focusing conductive sheet
KR20020078977A (ko) * 2001-04-12 2002-10-19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전계 방출 표시장치
JP2003007231A (ja) * 2001-04-20 2003-01-10 Toshiba Corp 表示装置
JP2003123672A (ja) * 2001-10-09 2003-04-25 Toshiba Corp 画像表示装置
KR20040069506A (ko) * 2003-01-29 2004-08-06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전계방출소자와 이를 적용한 표시소자 및 그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91262B2 (en) Vacuum vessel, its method of manufacture, and electron emission display using the vacuum vessel
KR100499138B1 (ko) 전계방출소자
US4666415A (en) Linear electrode construction for fluorescent display device and process for preparing same
KR20050050841A (ko) 그리드 플레이트를 구비한 전계 방출 표시장치
KR101009984B1 (ko) 전계 방출 표시장치
US7288883B2 (en) Flat panel display device with reduced alignment error
JP3782347B2 (ja) 平面型表示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0323073A (ja) 画像表示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561150Y2 (ja) グラフィック蛍光表示管
JP2002358915A (ja) 画像表示装置
US20060232190A1 (en) Electron emission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JP2003132823A (ja) 平面表示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1022289A (ja) 表示装置および位置合わせ装置
JP2775205B2 (ja) 発光素子
JP3136542B2 (ja) 発光素子
KR20060001622A (ko) 전자 방출 소자
JP2000228158A (ja) 画像表示装置
JP2006059746A (ja) 画像表示装置
KR20050030435A (ko) 전계 방출 표시장치
KR20050051836A (ko) 전계 방출 표시장치
JP2005310648A (ja) メッシュ構造の四極電界放射ディスプレイ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020060423A (ko) 글래스 바를 이용한 평판표시소자의 실링방법
KR20040003093A (ko) 전계방출 표시소자
KR20060001433A (ko) 전자 방출 소자
JP2006079905A (ja) 画像表示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