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47848A - 일체형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일체형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50047848A KR20050047848A KR1020030081648A KR20030081648A KR20050047848A KR 20050047848 A KR20050047848 A KR 20050047848A KR 1020030081648 A KR1020030081648 A KR 1020030081648A KR 20030081648 A KR20030081648 A KR 20030081648A KR 20050047848 A KR20050047848 A KR 20050047848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indoor
- outdoor
- ventilation
- air
- louver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2—Self-contained 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i.e. with all apparatus for treatment installed in a common casing
- F24F1/022—Self-contained 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i.e. with all apparatus for treatment installed in a common casing comprising a compressor cycle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24F11/46—Improving electric energy efficiency or saving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4—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 F24F13/1413—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using more than one tilting member, e.g. with several pivoting blad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4—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 F24F13/1426—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characterised by actuating means
- F24F2013/1433—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characterised by actuating means with electric motors
Abstract
본 발명은 환기를 간편하고 효율적으로 행할 수 있는 일체형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실내 공기 토출구를 개폐하는 실내 루버과; 상기 실내 루버를 개폐 작동시키는 실내 루버 구동수단과; 상기 환기홀을 개폐하는 환기 루버와; 상기 환기 루버를 개폐 작동시키는 환기 루버 구동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냉방 모드시 환기홀을 밀폐시킴과 아울러 실내 공기 토출구를 개방시키며, 환기 모드시 환기홀을 개방시킴과 아울러 실내 공기 토출구를 밀폐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일체형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실내 공기 토출구와 환기홀의 개폐를 통해 간단하게 실내를 환기시킬 수 있는 일체형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조화기는 실내 공기를 쾌적한 조건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흡입공기를 처리하여 건물 또는 방에 공급하는 장치로서, 크게 분리형과 일체형으로 구분된다.
상기한 분리형과 일체형은 기능적으로는 같지만 분리형은 실내측에 냉각 장치를 설치하고 실외측에 방열 장치를 설치하여 서로 분리된 두 장치간을 냉매 배관으로 연결시킨 것이고, 일체형은 냉각 방열의 기능을 일체화하여 가옥의 벽에 구멍을 뚫거나 창에 장치를 걸어서 직접 설치한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일체형 공기조화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일체형 공기조화기의 내부 구성도이다.
종래의 일체형 공기조화기는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벽 또는 창문에 장착된 본체(2)와, 상기 본체(2)의 내부를 실내부(I)와 실외부(O)로 구획하는 베리어(10)와, 상기 실외부(O)에 장착되어 저온 저압의 기체 상태의 냉매를 고온 고압으로 압축시키는 압축기(13)와, 상기 압축기(13)에서 압축된 냉매가 실외부(O)의 공기로 열을 방열하여 응축되도록 상기 실외부(O)에 장착된 응축기(14)와, 상기 응축기(14)에서 응축된 고온 고압의 액체 냉매가 저온 저압의 2상 냉매(액체와 기체의 혼합) 상태로 팽창되는 팽창기(16)와, 상기 팽창기(16)에서 팽창된 냉매가 상기 실내부(I) 공기의 열을 빼앗으면서 증발되도록 상기 실내부(I)에 장착된 증발기(18)로 구성된다.
상기 본체(2)는 베이스(4)와, 상기 베이스(4)의 상측에 배치된 캐비닛(6)과, 상기 캐비닛(6)의 실내측 전면에 결합되고 실내 공기 흡입구(8a) 및 실내 공기 토출구(8b)가 형성된 전면 패널(8)로 구성된다.
상기 캐비닛(6)은 전면과 저면이 개방되고, 양측면에 실외 공기가 흡입되는 실외 공기 흡입구(6a)가 형성되며, 배면이 개방되어 실외 공기가 토출되는 실외 공기 토출구(6b)가 형성된다.
상기 전면 패널(8)에는 상기 실내 공기 흡입구(8a)를 보호하기 위한 흡입 그릴(8c)이 배치되고, 상기 실내 공기 토출구(8b)를 보호하기 위한 토출 그릴(8d)이 배치된다.
또한, 상기 일체형 공기조화기는 양축 모터(22)의 일축에 연결되어 실내 공기를 상기 증발기(18)로 송풍시키는 실내팬(24)과, 상기 양축 모터(22)의 타축에 연결되어 실외 공기를 상기 응축기(14)를 송풍시키는 실외팬(26)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한편, 상기 베리어(10)의 일측에는 실외부(B)의 공기가 실내부(A)로 흡입되어 실내를 환기할 수 있도록 환기홀(미도시)이 형성되고, 상기 전면패널(8)과 베리어(10)의 사이에는 상기 환기홀을 막는 환기기구(30)가 배치된다.
도 3은 종래 기술에 따른 환기장치의 사시도이다.
상기 환기장치(30)는 상기 전면패널의 전방으로 일단이 돌출되어 사용자에 의해 누름 또는 당김되는 봉(32)과, 상기 봉(32)의 타단에 배치되어 상기 환기홀을 개폐하는 마개부(34)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 기술의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일체형 공기조화기를 작동시키면 상기 압축기(13), 응축기(14), 팽창기구(16), 증발기(18)로 구성된 냉동 사이클에는 냉매가 순환되게 되고, 상기 양축 모터(22)는 구동되어 실내팬(24)과 실외팬(26)을 회전시킨다.
실내의 공기는 상기 실내팬(24)의 회전에 의해 실내부(I)로 흡입되고 상기 증발기(18)를 통하면서 방열되어 저온으로 변환된 후 실내로 다시 토출되고, 실외의 공기는 상기 실외팬(26)의 회전에 의해 상기 실외부(O)로 흡입되고 상기 응축기(14)를 통하면서 흡열된 후 실외측으로 다시 토출된다.
이 때, 사용자가 실내를 환기시키기 위해 상기 봉(32)을 잡아당기면 상기 마개(34)는 상기 베리어(20)의 환기홀에서 분리되어 상기 실내부(I)와 실외부(O)가 통하도록 하고, 실외부(O) 내부의 신선한 외기는 상기 베리어(10)의 환기홀을 통해 실내측 공간(A)으로 유입된 후 상기 실내 공기 토출구(8b) 및 토출그릴(8d)을 통해 실내로 토출된다.
그러나, 종래의 일체형 공기조화기는 상기 봉(32)이 상기 전면패널(8)의 전방으로 많이 돌출되어 있으므로, 일체형 공기조화기의 전면부 미관이 떨어트리고, 일체형 공기조화기의 운반시 봉(32)이 쉽게 파손될 수 있으며, 상기 환기기구(30)를 사용자가 수동으로 조작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종래 기술에 따른 일체형 공기조화기는 실내 냉방 도중에 실외 공기가 실내로 흡입되므로 환기 도중의 냉방 성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환기를 간편하고 효율적으로 행할 수 있는 일체형 공기조화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실내 공기 토출구 및 증발기를 보다 크게 하여 냉방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일체형 공기조화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냉방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고 실내 환기가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일체형 공기조화기의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일체형 공기조화기는 실내 공기 흡입구 및 실내 공기 토출구가 형성되고, 실외 공기 흡입구 및 실외 공기 토출구가 형성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내부를 실내부와 실외부로 구획하고, 일측에 환기홀이 형성된 베리어와; 실내 공기를 상기 실내공기 흡입구를 통해 실내부로 흡입시킨 후 상기 실내 공기 토출구를 통해 실내로 토출시키도록 상기 실내부에 배치된 실내팬과; 상기 실내부에 배치된 증발기와; 실외 공기를 상기 실외 공기 흡입구를 통해 실외부로 흡입시킨 후 흡입시킨 후 상기 실외 공기 토출구를 통해 실외로 토출시키도록 상기 실외부에 배치된 실외팬과; 상기 실외부에 배치된 응축기와; 상기 실내 공기 토출구를 개폐하는 실내 루버과; 상기 실내 루버를 개폐 작동시키는 실내 루버 구동수단과; 상기 환기홀을 개폐하는 환기 루버와; 상기 환기 루버를 개폐 작동시키는 환기 루버 구동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일체형 공기조화기의 제어 방법은 냉방 모드시 환기홀을 밀폐시킴과 아울러 실내 공기 토출구를 개방시키는 제 1 단계와; 환기 모드시 환기홀을 개방시킴과 아울러 실내 공기 토출구를 밀폐시키는 제 2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일체형 공기조화기 일실시예의 냉방 모드시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일체형 공기조화기 일실시예의 환기 모드시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일체형 공기조화기 일실시예의 냉방 모드시 내부 구성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일체형 공기조화기 일실시예의 환기 모드시 내부 구성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공기조화기는 도 4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벽면 또는 창문에 장착되는 본체(52)에 실내 공기 흡입구(53) 및 실내 공기 토출구(54)가 형성되고, 실외 공기 흡입구(55) 및 실외 공기 토출구(56)가 형성된다.
상기 본체(52)는 베이스(60)와, 상기 베이스(60)의 상측에 배치되고, 양측면또는 상면에 상기 실내 공기 흡입구(53) 및 실외 공기 흡입구(54)가 형성되며, 배면에 상기 실외 공기 토출구(56)가 형성된 캐비닛(62)과, 상기 캐비닛(62)의 전면에 배치되고 상기 실내 공기 토출구(54)가 형성된 전면 패널(68)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본체(52)는 상기 실내 공기 흡입구(53) 및 실외 공기 흡입구(54)에 그릴이 형성되어 이물질의 투입을 방지함과 아울러 내부를 보호한다.
상기 본체(52)는 상기 실외 공기 토출구(56)에 그릴(57)이 장착되어 이물질의 투입을 방지함과 아울러 내부를 보호한다.
상기 본체(52)에는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를 실외부(O)와 실내부(I)로 구획하고, 일측에 환기홀(70a)이 형성된 베리어(70)가 장착된다.
상기 베리어(70)는 상기 베이스(60)의 상면 중앙과 상기 캐비닛(62)의 내둘레면 중앙에 밀착되게 수직하게 배치된다.
상기 실외부(O)에는 저온 저압의 기체 상태의 냉매를 고온 고압으로 압축시키는 압축기(81)와, 상기 압축기(81)에서 압축된 냉매가 실외부(O)의 공기로 열을 방열하여 응축되도록 상기 실외부(O)에 장착된 응축기(82)와, 상기 응축기(82)에서 응축된 고온 고압의 액체 냉매가 저온 저압의 2상 냉매(액체와 기체의 혼합) 상태로 팽창되는 팽창기(83)가 배치되고, 실외 공기를 상기 실외 공기 흡입구(55)를 통해 실외부(O)로 흡입시킨 후 흡입시킨 후 상기 실외 공기 토출구(56)를 통해 실외로 토출시키는 실외팬(84)이 배치된다.
상기 실외팬(84)은 상기 환기홀(70a)의 개방시 상기 실내부(I)에서 흡입된 공기가 실외부(O)로 흡입된 후 상기 실외 공기 토출구(56)를 통해 실외로 토출되기 용이하도록 축류팬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실내부(I)에는 상기 팽창기(84)에서 팽창된 냉매가 상기 실내부(I) 공기의 열을 빼앗으면서 증발되도록 상기 실내부(I)에 장착된 증발기(92)가 배치되고, 실내 공기를 상기 실내공기 흡입구(53)를 통해 실내부(I)로 흡입시킨 후 상기 실내 공기 토출구(54)를 통해 실내로 토출시키는 실내팬(94)이 배치된다.
상기 증발기(92)는 상기 캐비닛의 양측면의 사이에 넓게 배치된다.
상기 일체형 공기조화기는 상기 실외팬(84) 및 실내팬(94)의 각각에 송풍모터가 연결되어 실외팬 및 실내팬이 개별적으로 제어되는 것도 가능하고, 상기 실외부(O) 또는 실외부(I) 중 어느 일측에 장착되어 일축이 상기 실내팬(94)에 연결되고 타축이 상기 실외팬(84)에 연결되며 일축과 타축 중 어느 하나가 상기 베리어(70)에 형성된 축관통홀을 관통하는 양축 모터(96)에 의해 일체로 제어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한편, 상기 전면 패널(68)에는 상기 실내 공기 토출구(54)가 중앙에 사각형으로 넓게 형성된다.
상기 전면 패널(68)에는 상기 실내 공기 토출구(54)를 개폐하는 실내 루버(100)와, 상기 실내 루버(100)를 개폐 작동시키는 실내 루버 구동수단이 장착된다.
상기 실내 루버(100)는 상기 실내 공기 토출구(54)에 상하 또는 좌우로 길게 배치되고, 복수개가 좌우 또는 상하로 배열된다.
상기 실내 루버 구동수단은 상기 복수개의 실내 루버(100)가 일체로 회동될 수 있도록 복수개의 실내 루버(100)의 각각에 연결된 실내 루버 연동링크(102)와, 상기 연동 링크(102)를 직선 이동시키거나 상기 복수개의 실내 루버(100) 중 어느 하나를 회동시키는 실내 루버 구동모터(미도시)로 이루어진다.
상기 실내 루버 구동모터는 상기 캐비닛(62)에 장착되는 것도 가능하고, 상기 전면 패널(68)의 배면에 장착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상기 베리어(70)에는 상기 환기홀을 개폐하는 환기 루버(110)와, 상기 환기 루버(110)를 개폐 작동시키는 환기 루버 구동수단이 장착된다.
미설명 부호 59는 상기 실외부에 장착되어 실외 공기의 흡입 및 토출을 안내하는 쉬라우드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일체형 공기조화기 일실시예의 환기 기구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상기 환기 루버(110)는 상기 환기홀(70a)에 상하 또는 좌우로 길게 배치되고, 복수개가 좌우 또는 상하로 배열된다.
상기 환기 루버 구동수단은 상기 복수개의 환기 루버(110)가 일체로 회동될 수 있도록 복수개의 환기 루버(110)의 각각에 연결된 환기 루버 연동링크(112)와, 상기 연동 링크(112)를 직선 이동시키거나 상기 복수개의 환기 루버(110) 중 어느 하나를 회동시키는 환기 루버 구동모터(114)로 이루어진다.
상기 환기홀(70a)은 상기 양축 모터의 일축(84a)이 관통되는 관통홀(70b)의 양 옆 또는 상하에 복수개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일체형 공기조화기 일실시예의 제어 블록도이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공기조화기는 사용자가 냉방 모드와 환기 모드를 선택하도록 조작하는 컨트롤러(120)와, 상기 컨트롤러(120)의 조작에 의해 압축기(63)와, 상기 실외팬(84) 및 실내팬(94)과, 실내 루버 구동모터(104)와, 환기 루버 구동 모터(114)을 제어하는 제어부(122)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일체형 공기조화기 일실시예의 제어 수순이 도시된 순서도이다.
먼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컨트롤러(120)를 통해 냉방 모드가 입력되면, 상기 제어부(122)는 상기 압축기(63)를 온시킴과 아울러 상기 실외팬(84) 및 실내팬(94)을 온시킨다.(S1,S2)
그리고, 상기 제어부(122)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실내 루버 구동모터(104)를 온시켜 상기 실내 공기 토출구(54)를 개방시키고, 상기 환기 루버 구동모터(114)를 오프시켜 상기 환기홀(70a)을 밀폐시킨다.(S3)
상기 압축기(63)의 온시 상기 압축기(63)에서는 고온 고압의 기체 냉매가 토출되고, 토출된 기체 냉매는 상기 응축기(82)를 통과하면서 실외부(O)의 공기로 열을 방열하여 응축되며, 응축된 냉매는 상기 팽창기(83)를 통과하면서 감압된다. 상기 팽창기(83)에 의해 팽창된 냉매는 상기 증발기(92)를 통과하면서 실내부(I)의 공기의 열을 빼앗으면서 증발되고, 이후 상기 압축기(63)와 응축기(82)와 팽창기(83)와 증발기(92)를 순환하면서 냉동 사이클을 형성한다.
한편, 상기 실내팬(94)의 온시 실내의 공기는 상기 실내 공기 흡입구(53)을 통해 실내부(I)로 흡입되고, 흡입된 공기는 상기 환기 루버(110)에 막힘되어 실외부(O)로 유입되지 않으며, 상기 증발기(92)를 지나면서 냉각된 후 상기 실내 공기 토출구(54)를 통해 실내로 다시 토출된다.
그리고, 상기 실외팬(84)의 온시 실외의 공기는 상기 실외 공기 흡입구(55)를 통해 상기 실외부(O)로 흡입되고, 흡입된 공기는 상기 환기 루버(110)에 막힘되어 실내부(I)로 유입되지 않으며, 상기 응축기(82)를 지나면서 가열된 후 상기 실외 공기 토출구(56)를 통해 실외로 다시 토출된다.
한편, 상기 컨트롤러(120)를 통해 냉방 모드가 입력되면, 상기 제어부(122)는 상기 압축기(63)를 오프시킴과 아울러 상기 실외팬(84) 및 실내팬(94)을 온시킨다.(S4,S5)
그리고, 상기 제어부(122)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실내 루버 구동모터(104)를 오프시켜 상기 실내 공기 토출구(54)를 밀폐시키고, 상기 환기 루버 구동모터(114)를 온시켜 상기 환기홀(70a)을 개방시킨다.(S6)
상기 압축기(63)의 오프시 상기 압축기(63)와 응축기(82)와 팽창기(83)와 증발기(92)에는 냉매가 순환되지 않게 된다.
그리고, 상기 실내팬(94)의 온시 실내의 공기는 상기 실내 공기 흡입구(53)을 통해 실내부(I)로 흡입되고, 흡입된 공기는 상기 환기홀(17a)을 통해 실외부(O)로 유입되며, 상기 응축기(64)를 열교환없이 지난 후 상기 실외 공기 토출구(56)를 실외로 토출된다.
한편, 상기 실외팬(84)의 온시 실외의 공기는 상기 실외 공기 흡입구(55)를 통해 상기 실외부(O)로 흡입되고, 흡입된 공기는 상기 환기홀(70a)을 통해 흡입되는 공기와 합쳐진 후 상기 응축기(82)를 열교환없이 지나며, 상기 실외 공기 토출구(56)를 통해 실외로 다시 토출된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환기 모드가 실내 공기의 오염도를 감지하여 실내 공기가 오염된 것을 판단되면 실시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일체형 공기조화기 다른 실시예의 환기 기구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공기조화기의 환기 기구는 상기 베리어(70)에 형성된 환기홀(130)을 개폐하도록 상기 베리어(70)의 전면 또는 배면에 좌우 또는 상하로 직선 이동 가능하게 배치된 환기 루버(140)와, 상기 환기 루버(140)를 직선 이동시키는 액츄에이터(1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환기홀(130) 및 상기 환기 루버(140)는 복수개 형성됨이 바람직하고, 이 경우 상기 액츄에이터(150)에는 상기 복수개의 환기 루버(140) 각각에 연결되는 연동 링크(152)가 연결됨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공기조화기의 환기 기구는 상기 제어부가 상기 액츄에이터(150)를 온시키면, 상기 환기 루버(140)는 상기 환기홀(130)을 막도록 상기 환기홀(130)의 전방 또는 후방으로 직선 이동되고, 상기 실내부와 실외부는 차폐되어 상기 환기홀(130)을 통한 실내 공기와 실외 공기의 혼입을 막는다.
한편, 상기 제어부가 상기 액츄에이터(150)를 오프시키면, 상기 환기 루버(140)는 상기 환기홀(130)의 옆으로 직선 이동되어 상기 실내부와 실외부가 통하도록 하고, 실내부 내의 공기는 실외부로 혼입된 후 실외로 토출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일체형 공기조화기는 본체에 실내 공기 토출구가 형성됨과 아울러 실내 공기 토출구를 개폐하는 실내 루버 및 실내 루버 구동수단이 배치되고, 베리어에 환기홀이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환기홀을 개폐하는 환기 루버 및 환기 루버 구동수단이 배치되어, 상기 실내 루버의 실내 공기 토출구 밀폐와 함께 상기 환기 루버의 환기홀 개방이 이루어지면, 실내 공기를 보다 신속하고 효율 좋게 환기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 일체형 공기조화기는 실내 공기 흡입구를 양측면 또는 상면에 형성하고 실내 공기 토출구를 전면에 넓게 형성하며, 증발기를 상기 실내 공기 토출구의 후방에 넓게 배치시킬 수 있기 때문에, 냉방 성능이 보다 향상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 일체형 공기조화기는 실외부에 장착된 실외팬이 축류팬으로 이루어져, 실내에서 흡입된 공기를 보다 신속하게 실외로 배출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일체형 공기조화기의 제어 방법은 냉방 모드시 환기홀을 밀폐시킴과 아울러 실내 공기 토출구를 개방시키고, 압축기를 온시키며, 실내팬과 실외팬을 온시키므로, 실내 공기의 실외 누설을 최소화하면서 냉방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일체형 공기조화기의 제어 방법은 환기 모드시 환기홀을 개방시킴과 아울러 실내 공기 토출구를 밀폐시키고, 압축기를 오프시키며, 실내팬과 실외팬이 온시키므로, 압축기 구동의 소비전력을 최소화하면서 실내 공기를 신속하게 환기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일체형 공기조화기의 사시도,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일체형 공기조화기의 내부 구성도,
도 3은 종래 기술에 따른 환기 기구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일체형 공기조화기 일실시예의 냉방 모드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일체형 공기조화기 일실시예의 환기 모드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일체형 공기조화기 일실시예의 냉방 모드시 내부 구성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일체형 공기조화기 일실시예의 환기 모드시 내부 구성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일체형 공기조화기 일실시예의 환기 기구가 도시된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일체형 공기조화기 일실시예의 제어 블록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일체형 공기조화기 일실시예의 제어 수순이 도시된 순서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일체형 공기조화기 다른 실시예의 환기 기구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52: 본체 53: 실내 공기 흡입구
54: 실내 공기 토출구 55: 실외 공기 흡입구
56: 실외 공기 토출구 57: 토출그릴
59: 쉬라우드 60: 베이스
62: 캐비닛 68: 전면 패널
70: 베리어 70a: 환기홀
70b: 관통홀 81: 압축기
82: 응축기 83: 팽창기
84: 실외팬 92: 증발기
94: 실내팬 100: 실내 루버
102: 실내 루버 연동링크 104: 실내 루버 구동모터
110: 환기 루버 112: 환기 루버 연동링크
114: 환기 루버 구동모터 120: 컨트롤 패널
122: 제어부 130: 환기홀
140: 환기 루버 150: 액츄에이터
Claims (9)
- 실내 공기 흡입구 및 실내 공기 토출구가 형성되고, 실외 공기 흡입구 및 실외 공기 토출구가 형성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내부를 실내부와 실외부로 구획하고, 일측에 환기홀이 형성된 베리어와; 실내 공기를 상기 실내공기 흡입구를 통해 실내부로 흡입시킨 후 상기 실내 공기 토출구를 통해 실내로 토출시키도록 상기 실내부에 배치된 실내팬과; 상기 실내부에 배치된 증발기와; 실외 공기를 상기 실외 공기 흡입구를 통해 실외부로 흡입시킨 후 흡입시킨 후 상기 실외 공기 토출구를 통해 실외로 토출시키도록 상기 실외부에 배치된 실외팬과; 상기 실외부에 배치된 응축기와; 상기 실내 공기 토출구를 개폐하는 실내 루버과; 상기 실내 루버를 개폐 작동시키는 실내 루버 구동수단과; 상기 환기홀을 개폐하는 환기 루버와; 상기 환기 루버를 개폐 작동시키는 환기 루버 구동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공기조화기.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본체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의 상측에 배치되고, 양측면 또는 상면에 상기 실내 공기 흡입구 및 실외 공기 흡입구가 형성되며, 배면에 상기 실외 공기 토출구가 형성된 캐비닛과, 상기 캐비닛의 전면에 배치되고 상기 실내 공기 토출구가 형성된 전면 패널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공기조화기.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실외팬은 축류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공기조화기.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실내 루버 구동수단은 상기 실내 루버를 회동시키는 모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공기조화기.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환기 루버 구동수단은 상기 환기 루버를 회동시키는 모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공기조화기.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환기 루버 구동수단은 상기 환기 루버를 직선 이동시키는 액츄에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공기조화기.
- 냉방 모드시 환기홀을 밀폐시킴과 아울러 실내 공기 토출구를 개방시키는 제 1 단계와; 환기 모드시 환기홀을 개방시킴과 아울러 실내 공기 토출구를 밀폐시키는 제 2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공기 조화기의 제어 방법.
- 제 7 항에 있어서,상기 제 1 단계는 압축기를 온시키고, 실내팬과 실외팬을 온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공기 조화기의 제어 방법.
- 제 7 항에 있어서,상기 제 2 단계는 압축기를 오프시키고, 실내팬과 실외팬이 온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공기 조화기의 제어 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30081648A KR20050047848A (ko) | 2003-11-18 | 2003-11-18 | 일체형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 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30081648A KR20050047848A (ko) | 2003-11-18 | 2003-11-18 | 일체형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 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50047848A true KR20050047848A (ko) | 2005-05-23 |
Family
ID=372467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30081648A KR20050047848A (ko) | 2003-11-18 | 2003-11-18 | 일체형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 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50047848A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80082250A (ko) * | 2017-01-10 | 2018-07-18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일체형 공기조화기 |
-
2003
- 2003-11-18 KR KR1020030081648A patent/KR20050047848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80082250A (ko) * | 2017-01-10 | 2018-07-18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일체형 공기조화기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130088579A (ko) | 일체형 공기조화기 | |
KR20170018995A (ko) | 차량용 히트 펌프 시스템 | |
KR20050047848A (ko) | 일체형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 방법 | |
KR20060005196A (ko) | 일체형 공기조화기 | |
KR20090010449A (ko) | 공기조화기 | |
KR100600749B1 (ko) | 공기조화기 | |
KR100613512B1 (ko) | 일체형 공기조화기 | |
JP4632919B2 (ja) | 室外機用排気フード | |
KR100512619B1 (ko) | 공기 청정 기능을 갖는 일체형 공기조화기 및 그 운전 방법 | |
KR100600070B1 (ko) | 공기조화기 | |
KR100579572B1 (ko) | 공기조화기 | |
KR20100032759A (ko) | 멀티토출형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 |
KR100696717B1 (ko) |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토출구 개폐장치 | |
KR101203580B1 (ko) | 히트 펌프식 공기조화기 | |
KR100573067B1 (ko) | 분리형 공기조화기용 벽 매입형 실외기 및 분리형공기조화기용 실외기 | |
KR100598795B1 (ko) | 댐퍼 시스템이 적용된 냉난방 겸용 공기조화장치 | |
KR100485441B1 (ko) | 냉매 순환구성의 수납구조를 갖는 공기조화장치 | |
JP2000329370A (ja) | 壁埋込型空気調和機 | |
KR20060069700A (ko) | 환기 기능을 갖는 이동형 에어컨 | |
KR100437053B1 (ko) | 일체형 공기조화기 | |
KR20050118946A (ko) | 일체형 공기조화기 | |
KR20030089008A (ko) | 일체형 공기조화기의 환기장치 | |
KR100315799B1 (ko) | 창문형 에어콘의 유로구조 | |
KR200148716Y1 (ko) | 환풍기가 구비된 창문형 에어컨 | |
KR20040006266A (ko) | 일체형 공기조화기의 환기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