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40328A - 방송 문서 자동 제작 방법 및 그 방법이 기록된 저장 매체 - Google Patents

방송 문서 자동 제작 방법 및 그 방법이 기록된 저장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40328A
KR20050040328A KR1020030075497A KR20030075497A KR20050040328A KR 20050040328 A KR20050040328 A KR 20050040328A KR 1020030075497 A KR1020030075497 A KR 1020030075497A KR 20030075497 A KR20030075497 A KR 20030075497A KR 20050040328 A KR20050040328 A KR 200500403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oadcast
camera
script
scene
docu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754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13100B1 (ko
Inventor
이광진
Original Assignee
이광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광진 filed Critical 이광진
Priority to KR10-2003-00754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13100B1/ko
Publication of KR200500403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403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131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13100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데이터 처리 기술에 관한 것이다. 좀 더 자세하게는, 본 발명은 방송 문서 자동 제작 방법 및 그 방법이 기록된 저장 매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영상물 제작에 필요한 복수의 방송 문서들을 자동으로 생성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방송 문서들이 공유하는 정보로서 입력 받은 기본 정보 및 제작 기획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 상기 기본 정보 및 제작 기획 정보를 포함하는 방송 대본 입력 화면을 출력하는 단계; 상기 방송 대본 입력 화면을 통해 해설, 방송 용어, 지문 및 대사로 구성된 구성 문서 또는 영상 부분(VIDEO) 및 음향 부분(AUDIO)으로 구성된 방송 대본을 입력 받아 에피소드(EPISODE)/신(SCENE)을 구분하고 미리 지정된 방식에 따라 컷을 구분하고, 구분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컷 각각에 상응하는 카메라 콘티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에피소드/신 구분, 컷 구분 및 카메라 콘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방송 문서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송 문서 생성 방법 및 그 방법이 저장된 기록 매체가 제공된다.

Description

방송 문서 자동 제작 방법 및 그 방법이 기록된 저장 매체{Method for generating broadcasting document and computer-readable medium thereof}
본 발명은 데이터 처리 기술에 관한 것이다. 좀 더 자세하게는, 본 발명은 방송 문서 자동 제작 방법 및 그 방법이 기록된 저장 매체에 관한 것이다.
방송 문서로는 크게 방송 제작 기획서, 예산 기획서, 구성 대본, 방송 대본, 스토리보드, 큐시트, 촬영 진행표, 영상 캡쳐 리스트, 영상 편집 계획서 등이 있다. 이러한 방송 문서들은 서로 상당한 정보를 상호간에 공유하는 것이 필연적이다. 그러나, 현재 방송 문서들은 철저하게 수작업으로 작성되며, 방송 문서를 작성하기 위해서는 상당한 기간과 숙련도가 요구된다. 특히, 초보자인 경우에는 많은 경험이 있어야 실제 방송 제작에 사용될 수 있는 수준의 방송 문서를 제작할 수 있다. 이는 방송 특히 영상 제작 분야가 전문적인 경험과 지식을 필요로 하며, 양질의 영상물을 제작하기 위해서는 단순히 카메라 촬영 이외에도 특수 효과, 전문 조명, 지미집, 컴퓨터 그래픽 등을 제공하는 장비 및 인력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초보자나 개인들은 이러한 영상물을 제작하기가 쉽지도 않을 뿐더러 배우기도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착안된 것으로서, 초보자들도 디지털 캠코더 및 카메라의 대중화에 따라 고화질의 영상물을 제작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방송 분야의 특수성 때문에 제작 방법과 관련 노하우를 쉽게 접할 수 없는 현재의 문제점을 해결하는데 본 발명의 목적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초보자에게는 영상물 제작에 필요한 방송 문서들을 자동으로 생성하여 제작해주며, 필요한 경우 이미 제작된 다른 방송 문서들을 제공함으로써 초보자들도 쉽게 영상물을 제작할 수 있도록 한다. 아울러, 전문가에게는 영상물 제작에 필요한 방송 문서들을 일괄하여 작성할 수 있도록 하며, 필요한 경우 제작에 필요한 다양한 디지털 컨텐츠 소스, 예를 들어 3D 타이틀, 영상 소스, 자막, 음향, 음악, 효과음 등을 제공함으로써 보다 편리하게 전문적인 영상물을 제작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방송 문서 일괄 제작을 위해 입력된 구성 대본을 변환하여 실제 방송 제작시 필요한 방송 대본을 생성하는 방법 및 그 방법이 기록된 저장 매체를 제공하는데 있다. 즉, 본 발명은 해설, 방송 용어, 등장 인물, 지문 및 대사 등의 구성 요소로 이루어진 구성 대본에 미리 정해진 방식에 따라 카메라 콘티를 생성하여 삽입하며, 방송 용어에 따라 정해진 효과를 선택하여 삽입하여 실제 영상물 제작시 이용되는 개선된 방송 대본으로 변환한다. 아울러, 미리 입력된 기본 항목 데이터 및 제작 기획 데이터와 결합하여 다수의 방송 문서가 자동으로 생성된다.
상기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영상물 제작에 필요한 복수의 방송 문서들을 자동으로 생성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방송 문서들이 공유하는 정보로서 입력 받은 기본 정보 및 제작 기획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 상기 기본 정보 및 제작 기획 정보를 포함하는 방송 대본 입력 화면을 출력하는 단계; 상기 방송 대본 입력 화면을 통해 해설, 방송 용어, 지문 및 대사로 구성된 구성 문서 또는 영상 부분(VIDEO) 및 음향 부분(AUDIO)으로 구성된 방송 대본을 입력 받아 에피소드(EPISODE)/신(SCENE)을 구분하고 미리 지정된 방식에 따라 컷을 구분하고, 구분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컷 각각에 상응하는 카메라 콘티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에피소드/신 구분, 컷 구분 및 카메라 콘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방송 문서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송 문서 생성 방법 및 그 방법이 기록된 저장 매체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미리 제작된 영상물 제작에 필요한 복수의 방송 문서들을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방송 문서들이 공유하는 정보로서 입력 받은 기본 정보 및 제작 기획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 상기 기본 정보에 상응하는 미리 저장된 방송 문서 샘플들을 검색하여 추출하는 단계; 상기 추출된 방송 문서 샘플을 목록화하여 제작자의 단말기에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제공된 방송 문서 샘플 목록에서 선택된 방송 문서 샘플을 상기 제작자의 단말기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송 문서 제공 방법 및 그 방법이 기록된 저장 매체 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방송 대본에서 카메라 콘티를 자동으로 생성하는 방법에 있어서, 에피소드(EPISODE) 및 신(SCENE)으로 구분되는 방송 대본의 각 신별 영상 부분(VIDEO)에서 화면 전환을 지시하는 방송 용어 및 음향 부분(AUDIO)에서 출연자별 대사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검출된 방송 용어 및 출연자별 대사를 각각의 컷으로 구분하는 단계; 상기 에피소드별 또는 신별로 출연자의 수, 카메라의 수 및 영상물의 종류를 판단하여 상응하는 카메라 콘티를 검색하는 단계; 및 상기 검색된 카메라 콘티를 각 컷마다 할당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카메라 콘티 자동 생성 방법 및 그 방법이 기록된 저장 매체가 제공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생성된 방송 문서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구성 대본이 입력되면 방송 대본, 스토리보드, 큐시트, 영상 캡쳐 리스트, 영상 편집 계획서 및 기타 방송 문서가 생성된다. 여기서, 구성 대본의 해설, 지문, 대사 및 방송 용어를 기초로 하여 에피소드(Episode) 및 신(Scene) 항목이 인식되며, 대사 및 방송 용어를 기초로 하여 컷(Cut) 항목과 카메라 순서 및 카메라 샷(이하에서는 카메라 콘티라 칭함)이 자동으로 생성되며, 상기 방송 문서들은 에피소드, 신, 컷 및 카메라 콘티 항목을 공유한다. 아울러, 상기 방송 문서들은 기본적으로 공유하는 에피소드, 신, 컷 및 카메라 콘티 항목 이외의 데이터는 미리 입력된 기본 항목 데이터 및 제작 기획 데이터를 각각 추출한 후 고유 형식으로 재구성한다. 여기서, 카메라 샷이란 카메라의 위치나 각도, 또는 카메라의 움직임에 따라서 얻어지는 여러 가지 화면을 말하며, 촬영 시작에서 정지할 때까지의 화면 길이를 한 단위의 샷이라고 한다. 샷은 컷이라는 용어와 약간의 차이는 있지만 동일한 뜻으로 쓰인다. 샷은 풍경, 인물, 피사체의 수, 카메라 앵글, 카메라 워킹 등의 분류에 의해 그 부르는 명칭이 구분된다.
구성 대본은 해설, 방송 용어, 등장 인물, 대사 및 지문으로 구성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제작자의 역량에 따라 구성 대본만 가지고도 영상물을 제작할 수는 있지만, 구성 대본 자체에는 카메라 콘티나 스토리 보드와 같은 구체적인 정보가 기재되어 있지 않으므로, 이를 가지고 곧바로 영상물을 작성하는 것은 초보자는 물론 전문가에게도 무리가 따른다. 따라서, 구성 대본은 영상물 촬영을 위해 방송 대본으로 변환하여 이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해설은 에피소드 또는 신에서의 상황 설정, 배경 등 해당 장면에 관한 설명이다. 방송 용어는 에피소드 또는 신과 같이 화면의 구분을 표시하는 용어, 시각 효과, 음향 효과 등을 표시하는 용어 등을 포함한다. 지문은 출연자의 동작, 표정, 말투 등을 지시한 글이다. 대사는 출연자간의 대화, 독백 등을 지시한 글이다.
도 7A에 도시되어 있는 방송 대본은 입력된 구성 대본을 변환하여 생성한 것으로서, 세로축으로는 에피소드 및 신 별로 구분되며, 가로축으로는 영상(Video) 부분, 카메라 콘티 부분 및 음향(Audio) 부분으로 구분된다. 영상 부분에는 구성 대본의 해설이 위치하게 되며, PD가 입력한 카메라-출연자 위치에 관한 정보 등 영상에 관련된 다양한 정보가 기록된다. 카메라 콘티 부분은 본 발명에 의해 자동적으로 생성된 카메라 콘티가 기재되며, 이는 도 6A에 도시된 PD 수정 화면을 통해 수정이 가능하다. 도 7A에 도시된 방송 대본은 PD에 의한 수정이 완료된 완성된 방송 대본이다. 음향 부분에는 다양한 음향 효과, 출연자의 대사, 지문 등이 기재된다. 도 7A에 도시된 방송 대본은 제작자의 역할에 따라 PD용 방송 대본, FD용 방송 대본 등으로 표시될 수 있으며, 각 방송 대본에 의해 표시되는 정보를 다르게 설정할 수 있다. 방송 대본 생성시 구분된 에피소드 및 신과 생성된 컷 구분 및 카메라 콘티는 이후 본 발명에 따른 다른 방송 문서가 공유하게 된다. 즉, PD 수정 화면, FD 수정 화면과 같은 수정 화면 및 스토리 보드 생성 화면을 출력하기 위한 프로세스는 생성된 방송 대본의 모든 정보를 이용한다. 아울러, 큐 시트 작성 화면은 구분된 에피소드와 신 및 기본 항목 데이터/제작 기획 데이터(즉, 촬영 장소(세트), 출연자, 소도구, 분장/의상, 조명, 오디오 등)를 이용한다. 또한, 편집 단계에서 이용되는 캡처 리스트 및 편집 계획서는 구분된 에피소드 및 신 정보를 이용한다.
방송 대본의 서두에는 영상물에 관한 기본 정보가 표시된다. 대표적으로, 영상물의 제목, 출연자 수/명칭, 소품, 촬영 장소, 분장/의상, 조명, 음향 장치 등이 표시되며, 이러한 기본 항목 데이터 및 제작 기획 데이터는 도 4A 및 도 4B에서 입력할 수도 있고, 도 5A 내지 5C에서와 같이 방송 대본 작성 화면에서 입력할 수도 있다. 방송 대본 작성 화면에서 입력한 경우에는 일정한 규칙에 맞게 작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일정한 규칙대로 작성된 기본 정보는 컴퓨터에 의해 인식되어 기본 항목 데이터 및 제작 기획 데이터로서 이용될 수 있다. 특히, 소품, 촬영 장소(세트), 분장/의상, 조명, 오디오 항목으로 입력된 정보는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후 도 6B에 도시된 FD 수정 화면에서 다양한 형식의 메뉴로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FD는 소품, 세트, 분장/의상, 조명, 오디오 등 FD가 담당하는 영상물 제작 부분을 용이하게 관리할 수 있다.
도 7B에 도시되어 있는 스토리 보드는 영상물 제작시 PD가 주요 장면 컷의 세부 내용을 스케치 형태의 그림을 통해 구성하거나 상세한 장면 설명, 카메라 워크 등을 설정하기 위한 것으로 텍스트로 표현하는 구성 대본 또는 방송 대본에서 나타내지 못하는 보다 구체적인 영상을 기획할 수 있도록 도와 주는 것이다. 스토리 보드는 PD 수정 화면에서 에피소드, 신 또는 컷 단위로 설정할 수 있는 별도의 항목이 출력되고, PD가 선택하면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은 해당 에피소드, 신 또는 컷에 대한 스토리 보드 작성 화면이 출력된다. 일 실시예에서, 스토리 보드 작성 화면은 미리 저장된 이미지 불러오기 및 그림 도구 기능을 더 포함하여 PD가 화면상에서 필요한 그림을 작성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 5C에 도시되어 있는 큐시트는 방송 제작의 시퀀스를 말하며 보통 생방송인 경우에는 방송 진행 순서, 조명, 오디오 및 관련 정보를 정리하며 녹화 방송인 경우에는 크게 녹화장소, 출연진, 무대, 신(Scene)등을 고려하여 작성된다. 큐시트에는 위에서 나열한 것 외의 다양한 의미와 내용이 담기게 되는데 이는 프로그램의 단순 진행, 스탭 과의 약속된 규칙, 구성의 흐름과 내용을 분석하는 보고서, 제작일지, 제작비 정산시 필요한 참고 자료 등이다. 큐 시트는 구분되어 순서대로 정렬된 에피소드 및 신 항목과 이에 대응되는 촬영 장소(세트), 출연자 항목으로 구성되어 있다. 추가적으로, 소도구, 분장/의상, 조명, 오디오 등 영상물 제작에 필요한 항목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아울러, 각 에피소드 또는 신마다 부가되어 있는 명칭이나 각 에피소드 또는 신의 첫 지문/대사를 간략히 표시하는 주요 내용 항목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세트, 소도구, 분장/의상, 조명, 오디오 등의 항목은 방송 대본에서 필요한 정보를 추출하여 다양한 형태의 메뉴로 제공되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방송 대본의 에피소드 또는 신마다에는 에피소드/신 구분 기호와 함께 각 에피소드.신의 명칭 및/또는 촬영 장소가 부기되어 있는 것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방송 대본에서 에피소드/신 구분 기호가 확인되면 부기되어 있는 정보로부터 해당 에피소드/신의 명칭 및/또는 촬영 장소를 추출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다. 또한, 촬영 장소는 기본 항목/제작 기획 정보 입력시 등록이 가능하므로, 에피소드/신에 촬영 장소가 부기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미리 등록된 촬영 장소를 선택할 수 있는 풀-다운 메뉴를 제공할 수도 있다. 촬영 장소 항목과 마찬가지로, 출연자 항목도 방송 대본의 각 에피소드/신에서 출연자의 명칭과 수를 직접 인식하여 추출할 수도 있고, 기본 항목/제작 기획 정보 입력시 등록도 가능하다. 소도구, 분장/의상, 조명, 오디오 항목도 방송 대본에서 직접 추출할 수도 있고, 미리 등록할 수도 있다.
이상 방송 대본, 스토리 보드, 큐시트는 영상물 촬영 단계에서 필요한 방송 문서이며, 영상 캡쳐 리스트 및 영상 편집 계획서는 영상물 편집 단계에서 필요한 방송 문서이다.
도 8A에 도시되어 있는 영상 캡쳐 리스트는 편집 단계에서 사용될 영상을 선별하는 작업에 관한 방송 문서이다. 영상물을 촬영한 뒤, 촬영 테이프 또는 전자 파일 형태의 영상을 모니터를 통해 프리뷰하고, NG컷을 제외한 OK컷을 선별하여야 하는데, 이러한 과정을 캡처라고 한다. 영상을 편집하려면 수 십개 이상의 컷 영상이 필요한데, 캡처받을 컷영상의 목록을 작성하는 것이 캡처 리스트이다.
일반적으로, 편집은 리니어(Linear) 편집과 넌리니어(Nonlinear) 편집으로 구분될 수 있다. 리니어 편집은 기존 하드웨어 편집 시스템에 의한 아날로그 편집 방법으로서, 두 대 이상의 편집기(Play deck, record deck)를 사용하여 플레이 데크에서 촬영한 테이프를 앞뒤로 돌려 리뷰한 후 원하는 OK 컷을 찾아 레코드 데크로 카피하는 방법이다. 넌리니어 편집은 컴퓨터를 이용하여 영상을 편집하는 대부분의 디지털 편집 방법으로서, 작업 대상 영상을 디지털 저장 장치에 기록한 뒤 편집을 원하는 위치를 바로 억세스 하여 작업하는 편집 방식을 말한다. 따라서, 도 8A에 도시되어 있는 영상 캡쳐 리스트는 상술한 양 편집 방법에 따라 다르게 이용될 수 있다.
리니어 편집의 경우, 보통은 편집기를 이용하여 각 테이프별로 OK 컷, 즉, 에피소드/신 단위의 편집 대상 영상을 찾으면, 테이프 번호, 에피소드/신 식별 번호, 시작 시간(START TIME), 종료 시간(END TIME), 해당 영상의 길이(DURATION)가 포함된 캡처 리스트 파일을 생성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촬영된 영상은 방송 대본의 순서와 다르므로, 캡처된 OK 컷의 순서도 방송 대본상의 에피소드/신의 순서와 동일하지 않다. 여기서, 캡처 리스트 파일은 각각의 편집기마다 고유한 포맷으로 생성되지만, 실질적으로는 텍스트 형식이다. 이러한 과정을 거쳐 각 OK 컷이 선정되고, 캡처 리스트 파일이 생성되면, 도 8A의 캡처 리스트 화면에서 해당 캡처 리스트 파일을 불러온다. 읽어온 캡처 리스트 파일은 화면상에서 방송 대본에서의 에피소드 및 신의 순서로 재배열되어 최종적으로 편집 계획서에서 이용 가능한 캡처 리스트가 생성된다.
넌리니어 편집의 경우, 저장된 작업 대상 영상을 프리뷰하면서 비교적 방송 대본의 에피소드/신 순서에 맞게 캡처 리스트를 작성할 수 있다. 따라서, 방송 문서 생성시 구분된 에피소드 및 신 순서를 이용하여 캡처명 항목을 미리 생성하여 표시한 후, 편집자나 제작자는 OK 컷을 찾아서 캡처 리스트를 완성할 수 있다.
도 8B에 도시되어 있는 영상 편집 계획서는 도 8A의 캡처 리스트를 작성한 후 최종적으로 편집하기 위해 사용하는 방송 문서로서, 촬영 영상을 캡처한 뒤, 영상과 음향, 효과 등을 대본에 맞추어 편집할 수 있게 만든 목록이다. 따라서, 도 8A에서 작성된 캡처 리스트는 각 신의 영상 길이를 고려하여 전체 영상물의 길이를 산출하고, 해당 신이 전체 영상물에서 어느 시간에 시작되고 언제 끝나는지를 결정하는데 이용된다. 아울러, 편집 단계에서 이루어지는 각종 영상 및 음향 효과는 방송 대본 생성시 검출된 방송 용어, 대사 또는 에피소드/신의 명칭 등을 각 에피소드/신 단위로 읽어와서 표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체적인 방송 문서 생성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로서, 본 발명에 의해 실시되는 방송 문서 자동 제작 과정을 제작자의입장에서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인터넷을 통해 서비스되는 ASP 형태 또는 개인용 컴퓨터에서 실행되는 프로그램 형태 모두 구현 가능하다.
도 2를 참조하면, 단계 100에서 제작자는 기본 항목과 제작 기획 정보를 입력한다. 기본 항목 입력 화면은 도 4A에 도시되어 있으며, 제작 기획 정보 입력 화면은 도 4B에 도시되어 있다. 제작자는 도 4A에 도시된 기본 항목 입력 화면에서 제작하고자 하는 영상물에 관한 기본적인 사항인 작품 종류(100a), 방송 용어(100b), 제작 방식(100c), 제작 장비(100d), 스텝 및 출연자(100e)를 입력할 수 있다.
작품 종류(100a)는 제작하고자 하는 영상물의 종류를 선택하기 위한 항목으로서, 일 실시예에서 제작자가 화면에 제시된 항목 중 임의의 한 항목을 선택하면, 해당 항목으로 분류되어 데이터베이스에 미리 저장되어 있는 정형화된 영상물에 관한 판매용 방송 문서들이 함께 제공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작자는 자신이 직접 방송 문서 제작을 위하여 자신만의 구성 대본을 입력하여 원하는 방송 문서를 출력할 수도 있지만, 각 종류별로 미리 제작된 방송 문서를 그대로 또는 약간의 변형을 통해 구입할 수도 있다. 정형화된 영상물이란, 예를 들어 예식장에서의 웨딩 촬영이나 회갑연 비디오 촬영과 같이 거의 정해진 형식으로 촬영되고 편집되는 영상물을 의미한다. 이러한 정형화된 영상물은 제작자가 주관적이고 새로운 제작 기법이나 촬영 방법을 도입하지 않고서도 제작할 수 있을 정도로 다양하지만 카메라 콘티와 편집 방법은 각각의 영상물마다 고정되어 있다. 이러한 정형화된 영상물에 대해서는 제작자가 새로 방송 문서를 작성하기 보다는 이미 작성된 방송 문서를 그대로 이용하거나 약간의 변형을 통해 이용하는 것이 더 효율적이다. 본 발명에서는 제작자가 미리 저장된 정형화된 방송 문서를 이용할 수 있도록 제공한다. 따라서, 제작자가 초보자인 경우에도 특별한 경험이나 기술 없이도 전문적인 방송 문서를 제작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초보자가 방송 문서 제작시 참고할 수 있는 도움말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도움말 기능은 온라인 또는 방송 문서 작성용 소프트웨어에 포함되어 제공되며, 초보자가 방송 용어의 의미 또는 카메라 콘티 등을 작성하면서 참고할 수 있는 레퍼런스로서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제작자가 전문가인 경우에도 타인이 미리 제작한 방송 문서에 자신만의 노하우가 접목된 방송 문서를 제작할 수 있게 된다. 등록된 작품 종류 정보는 대본 등록 화면 및 적합한 방송 문서에 출력된다. 도 4A에 도시된 작품 종류 항목은 단지 예시일 뿐이며,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방송 용어(100b)는 영상물 촬영시 필요한 영상 효과, 카메라 샷, 앵글, 오디오 효과 등에 관한 용어들을 미리 등록할 수 있는 항목으로서, 미리 지정되어 있는(디폴트) 용어들이 제공된다. 제작자는 디폴트로 지정되어 있는 방송 용어 중 필요한 방송 용어를 신규로 등록하거나 또는 필요 없는 방송 용어를 삭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작품 종류(100a)에 따라 필수적인 방송 용어들을 그룹화하여 미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 후, 선택된 작품 종류에 상응하는 방송 용어 그룹이 출력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카메라 샷은 풍경, 인물, 피사체의 수 등의 항목으로 구분되며, 카메라 앵글은 촬영 각도에 따라 구분되며, 카메라 워크(work)는 카메라의 이동 또는 움직임에 따라 구분된다. 도 4A에 도시된 방송 용어 항목은 단지 예시일 뿐이며,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제작 방식(100c)은 영상물 제작 방식을 선택하는 항목이다. 제작 방식(100C)역시 미리 등록되어 있는 항목중에서 선택할 수도 있으며, 제작자가 추가로 등록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도 4A에 도시된 제작 방식 항목은 단지 예시일 뿐이며,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제작 장비(100d) 항목은 제작자가 제작 장비와 수량을 선택하는 항목으로서, 입력된 정보는 스텝 명단 제작시 입력란 수를 자동으로 생성하고, 카메라 수에 따른 방송 대본에서의 카메라 샷, 컷의 생성에 있어 기본 정보로서 이용된다. 제작자는 필요한 항목을 추가로 등록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필요 없는 항목은 삭제할 수도 있다. 도 4A에 도시된 제작 장비 항목은 단지 예시일 뿐이며,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제작자는 스텝 및 출연자(100e) 항목은 제작 형태에 따라 VJ 또는 일반 제작 형식을 먼저 선택한 후, 스텝 및 출연자 수를 입력할 수 있다. 입력된 정보는 스텝 명단 제작시 입력란 수를 자동으로 생성하는데 이용된다. 출연자 수는 영상물 제작 방식, 즉, VJ에 의한 제작인지 아니면 일반 제작 시스템에 의한 제작인지에 따라 달라지며, 기타 방송 문서에 해당하는 예산 기획서 또는 섭외 리스트에 이용된다. 아울러, 스텝 및 출연자의 수와 명칭은 방송 대본을 포함하는 방송 문서에서 스텝 또는 출연자에 관한 정보를 입력할 때 그 입력 메뉴 구성에 이용될 수 있다.
제작자는 도 4B에 도시된 제작 기획 정보 입력 화면에서 제작 기획서 제작에 필요한 기본적인 항목인 제작명(100f), 제작 내용(100g), 제작 인원(100h), 제작 기간(100i), 제작 비용(100j)을 입력할 수 있다. 제작 기획 정보 입력 화면에서 작품 종류(100a), 제작 내용(100g) 항목에 표시되는 일부 정보는 기본 정보 항목에서 추출하여 표시된다.
제작명(100f) 항목은 제작자가 제작하고자 하는 영상물의 명칭을 입력하는 항목이다. 제작 내용(100g) 항목은 기획 의도, 주요 내용, 기대 효과 등 제작 기획에 관련된 정보와, 촬영 장소 및 작품 길이와 같은 제작물에 관련된 정보가 입력된다. 특히, 촬영 장소와 작품 길이에 관한 정보는 방송 대본, 큐시트, 촬영 진행표, 영상 캡쳐 리스트, 영상 편집 계획서 등에서 이용된다. 도 4B에 도시된 제작 내용 항목은 단지 예시일 뿐이며,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제작 인원(100h) 항목은 제작자가 제작인 즉 스텝의 명단과 출연자의 명단을 입력하는 항목이다. 입력된 출연자의 명단은 방송 대본 생성시 이용된다.
제작 기간(100i) 및 제작 비용(100j) 항목은 영상물 제작에 소요되는 총 기간과 비용을 입력하는 항목으로, 제작 기획서 및 예산 기획서 제작에 이용된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단계 105에서, 제작자는 방송 대본 작성 템플릿 사용 여부를 선택하며 방송 대본 작성 템플릿이 선택되면 단계 115로 진행하며, 미선택시 단계 110으로 진행한다. 본 발명에서 방송 문서 작성은 크게 미리 완성된 구성 대본을 이용하여 방송 문서를 생성하는 방법, 미리 완성된 방송 문서를 그대로 이용 또는 수정하여 생성하는 방법 및 방송 문서를 신규로 작성하는 방법으로 구분되어 질 수 있다. 단계 110에서, 이미 작성되어 있는 구성 대본을 저장 장치, 예를 들어, 하드 디스크 또는 시디 롬으로부터 읽어 들인다. 읽어 들인 구성 대본은 지문, 대사 및 방송 용어로 구분되어 방송 대본으로 변환된다. 단계 115에서, 방송 대본 작성 템플릿을 이용하여 방송 대본을 입력하는 경우, 미리 저장된 정형화된 샘플 방송 문서(예를 들어, 판매용 방송 문서 등)를 이용할 것인지를 제작자가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 제작자가 미리 저장된 샘플 방송 문서를 선택한 경우 단계 120으로 진행하며,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단계 125로 진행한다.
단계 120에서, 영상물의 종류 별로 미리 제작된 방송 문서를 이용하는 경우, 제작자가 선택한 종류에 해당하는 샘플 방송 문서들의 목록을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추출하여 제작자의 단말기상에 출력한다. 제작자는 출력된 목록에서 자신의 제작 의도에 부합하는 방송 대본을 선택하며, 필요한 경우 PD 수정 화면 또는 FD 수정 화면 이전에 직접 방송 대본을 수정할 수 있다.
단계 125에서, 제작자가 직접 방송 대본을 입력한다. 방송 대본을 입력하는 화면의 예는 도 5A 내지 5C에 도시되어 있다. 도 5A 내지 5C를 참조하면, 방송 대본 작성 템플릿은 방송 용어 목록(127A), 등장 인물 목록(127B), 에피소드 입력창(125c), 방송 대본 입력창(125d, 125e, 125f)으로 구성된다.
방송 용어 목록(127A)은 제작자가 미리 등록한 방송 용어들이 표시되며, 제작자는 필요한 방송 용어 입력시 상기 방송 용어 목록(127A)에서 해당 방송 용어를 끌어다가 필요한 위치에 놓음(드래그&드롭)으로써 방송 대본을 완성할 수 있다. 이와 동일한 방식으로, 미리 등록된 등장 인물의 명단이 등장 인물 목록(127B)에 출력되며, 제작자는 필요한 등장 인물 입력시 상기 등장 인물 목록(127B)에서 해당 등장 인물을 끌어다가 필요한 위치에 놓거나 또는 미리 지정된 형식, 예를 들어, 등장 인물 명칭:의 형식으로 입력함으로써 방송 대본을 완성할 수 있다. 입력된 등장 인물의 명칭은 완성된 방송 대본에서는 해당 연기자/출연자의 이름으로 변환되어 출력된다.
에피소드 입력창(125c)은 제작자가 입력할 방송 대본의 에피스드의 명칭이며, 한 에피소드에 대한 입력이 완료되면 다음 에피소드 구분 번호가 표시되며, 새로운 에피소드 명칭을 입력할 수 있다. 방송 대본 입력창의 기본 정보 표시부(125d)는 제작자가 미리 입력한 영상물의 제목, 출연자 및 소품이 출력되는 부분이며, 필요한 경우 제작자가 표시된 내용을 수정할 수도 있다. 영상 입력창(125e)은 신 구분 번호-신의 명칭, 촬영 장소, 해설, 영상 효과, 자료 화면 등을 입력할 수 있는 부분으로서 일반적으로 방송 대본의 왼편에 위치한다. 음향 입력창(125f)은 지문, 대사, 음향 효과 등을 입력할 수 있는 부분으로서, 제작자는 출연자 명칭과 해당 출연자의 지문, 대사, 방송 용어 등을 입력할 수 있다. 제작자는 출연자의 명칭 및 방송 용어들을 화면 상단에 표시되는 방송 용어 목록(127A), 등장 인물 목록(127B)에서 끌어다가 입력할 수 있다. 입력된 해설, 지문, 대사 및 방송 용어는 방송 대본 생성시 비디오, 오디오 항목으로 구분되어 출력되며, 지문, 대사 및 방송 용어는 신 또는 컷 단위로 구분되어 각각에 적합한 카메라 콘티가 미리 지정된 방식에 의해 자동으로 부여된다.
신 입력 완료 단추(125g)와 에피소드 입력 완료 단추(125h)는 화면의 하단에 표시되며, 제작자가 하나의 신 또는 에피소드 이상을 입력할 경우 새로운 입력 화면을 표시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단계 130에서, 방송 문서 제작에 필요한 기본 항목, 제작 기획 정보 및 방송 대본의 입력이 완료되면, 방송 문서가 제작된다. 본 단계에서 제작되는 방송 문서들의 예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으며, 이외에도 미리 입력된 상기 정보를 이용하여 다양한 방송 문서의 제작이 가능하다. 각 방송 문서는 이미 입력된 기본 항목, 제작 기획 정보에서 해당 방송 문서를 제작하는데 필요한 정보를 추출하여 제작된다. 각 방송 문서의 제작에 필요한 정보는 미리 지정되어 있으며, 제작자의 필요에 따라 새롭게 추가하거나 변경할 수 있다.
본 단계는 대부분의 방송 문서가 공유하는 에피소드, 신 및 컷의 구분과 카메라 콘티의 선택이 이루어지며, 이에 대한 상세한 과정은 도 3A 내지 도 3B에 도시되어 있다. 도 3A를 참조하면, 스튜디오에서 촬영하는 경우 3 대의 카메라를 이용하여 출연자를 촬영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3 대의 카메라는 좌측부터 1, 2, 3의 순서로 번호가 부여되어 있다. 따라서, 선택된 카메라는 3대의 카메라에 미리 부여된 번호로서 표현된다. 즉, 카메라 선택 순서가 2, 1, 3, 1이라면, 중앙 카메라-좌측 카메라-우측 카메라-좌측 카메라의 순서로 카메라가 선택되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카메라 선택과 더불어, 카메라 샷의 종류가 함께 결정될 수 있다. 카메라 샷은 풍경, 인물, 피사체의 수에 의해 구분된다. 풍경의 경우, 원근감이 나타나고 객관적 상황의 경치를 표현하고자 할 때 사용하는 롱 샷(LS: Long Shot)과 건물의 전체, 동물원의 원숭이 우리 전체 등 한 단위 그룹의 전체를 표현하고자 할 때 사용하는 풀 샷(FS: Full Shot)으로 구분된다.
인물의 경우, 머리부터 발끝까지 전신을 보여주는 풀 피겨 샷(FF: Full Figure Shot), 무릎에서 머리까지의 화면을 보여주는 니이 샷(KS: Knee Shot), 허리부터 머리까지의 상반신을 보여주는 웨스트 샷(WS: Waist Shot), 인물의 가슴에서부터 머리까지를 보여주는 바스트 샷(BS: Bust Shot), 목 밑부분부터 얼굴 전체를 보여주는 클로즈 샷(CS: Close Shot) 및 인물의 얼굴만을 크게 보여주는 클로즈업 샷(CU: Close Up Shot)으로 구분된다.
인물의 수에 따라서 화면에 나타나는 인물의 수가 한 명이면 원 샷(1S), 두 명이면 투 샷(2S), 세 명이면 쓰리 샷(3S), 그 이상이면 그룹 샷(GS)으로 구분된다. 등장 인물이 한 명인 경우에는 2번 카메라 앞에 위치하므로, 특별히 카메라의 위치나 등장 인물의 위치를 지정할 필요는 없지만, 등장 인물이 두 명 이상인 경우에는 등장 인물의 위치와 카메라의 위치를 지정한 맵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맵은 방송 대본 입력 화면 또는 PD 수정 화면에서 입력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B를 참조하면, 카메라 샷은 기본적으로 생방송 형식의 카메라 샷 콘티를 기본으로 한다. 따라서, 최초 샷은 보통 풀 샷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는 출연자의 대사를 기초로 하여 컷을 자동으로 생성한다.
컷은 출연자들의 대사 순서에 따라 우선적으로 구분되며, 대사를 식별하는 방법은 출연자명: 으로 시작하는 문장을 대사로 취급하는 방식을 이용한다. 아울러, 대사가 길어 컷을 바꿔야 할 경우에는 문장의 끝에 위치하는 부호(., ?, ! 등) 또는 문장 중간에 위치하는 쉼표(,)와 같은 구분 코드를 식별하여, 해당 대사가 컷 전환이 필요한 정도로 긴 대사인지 여부를 판단한 후 결정한다.
컷이 결정되면, 해당 컷에 상응하는 카메라와 카메라 샷이 결정된다. 해당 출연자를 촬영할 카메라의 선택과 카메라 샷의 선택은 영상물의 종류, 제작 방식, 출연자의 수, 카메라의 수, 출연자와 카메라의 배열 위치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가능한 경우의 수 각각에 상응하는 최적의 카메라 콘티를 미리 저장한 후, 방송 대본에서 추출한 해당 신의 출연자 수, 카메라 수 및 영상물의 종류에 따라 해당 신에 가장 적합한 카메라 콘티를 기본적으로 제공한다. 제공된 카메라 콘티는 PD 수정 모드에서 수정되어질 수 있다.
카메라 샷을 결정하는 원칙은 다음과 같다.
1. 카메라 샷은 기본적으로 생방송 형식의 카메라 샷 콘티를 기본으로 한다.
2. 최초의 카메라 샷은 보통 F.S으로 사용한다.
3. 컷이 넘어갈 때는 같은 카메라로 샷을 바꿀수 없다. 예를 들어, 1번 카메라 F.S에서 1번 카메라의 T.S로의 전환은 불가능하다. 그러나, 예외적으로, 카메라 1대로 중복으로 촬영하며 연출을 할 경우, 즉, 대사가 길어 컷을 끊어서 촬영할 경우에는 가능하다.
4. 같은 장소에서 촬영시 같은 F.S으로 카메라 컷을 넘길 수 없다. 예를 들면, 1번 카메라 F.S에서 2번 카메라의 F.S으로의 전환은 거의 사용하지 않는다. 다만, 연출자의 의도에 따라서 사용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PD 수정 모드에서 수정할 수 있다.
5. 출연자 한 사람의 대사일 경우 혹은 두 사람과의 대화가 많은 영상에서는 1S(Close UP) 샷 또는 TB 샷을 가장 많이 사용한다(우선순위).
6. 출연자의 위치를 나타내주는 맵이 있으면 더 완벽한 카메라 샷 콘티가 제작된다.
상술한 원칙에 따라 생성된 카메라 콘티가 도 3B에 도시되어 있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단계 135에서, 제작자는 생성된 방송 대본을 수정할지 여부를 결정한다. 방송 대본 수정을 결정하면 단계 140으로 진행하여 각각의 역할에 따라 방송 대본을 수정하거나 필요한 정보를 추가로 입력한다. 단계 140에서, PD, FD 및 작가는 각각 자신이 맡은 분야에서 방송 문서를 수정할 수 있다. 도 6A 및 도 6C는 각각 PD 수정 화면, FD 수정 화면 및 스토리 보드 입력 화면이다. 도 6A를 참조하면, 영상 부분(비디오), 음향 부분(오디오) 및 미리 지정된 알고리즘에 의해 자동적으로 생성된 카메라 콘티가 PD 수정 화면에 출력된다. 판매용 방송 문서를 선택한 경우 또는 직접 구성 대본을 입력하였더라도 자동으로 생성된 카메라 콘티가 제작자의 의도와 다른 경우에는 직접 카메라 콘티를 수정할 수 있다. PD 수정 화면은 에피소드 구분 번호, 신 구분 번호, 컷 구분 번호, 카메라 콘티, 비디오, 스토리 보드 선택 메뉴, 오디오 항목의 순서로 구성된다. 대사의 길이 또는 방송 용어에 의해 구분된 컷마다 정해진 카메라 콘티는 PD에 의해 변경되어지며, 변경된 카메라 콘티는 생성될 방송 대본에 재반영된다. 아울러, 본 화면에서는, PD가 스토리 보드를 생성 여부를 결정할 수 있도록 스토리 보드 체크 메뉴를 별도로 포함할 수 있다. PD가 스토리 보드 생성을 결정하면, 해당 에피소드 또는 샷에 관한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토리 보드 입력 화면이 생성된다. 입력된 정보는 도 7B에서와 같이 출력되며, PD만 확인할 수 있도록 방송 대본의 화면 출력시 또는 인쇄시 PD용 방송 대본에만 표시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B를 참조하면, 생성된 방송 대본을 기초로 하여 생성된 카메라 콘티 또는 PD에 의해 수정된 카메라 콘티가 화면에 출력되며, FD는 필요한 방송 장비나 소품을 선택하여 입력할 수 있다. FD가 입력한 조명, 소품, 마이크 등의 방송 장비는 생성될 방송 대본 및 기타 방송 문서에 반영된다. FD 수정 모드에서 대도구, 소도구를 포함하는 모든 소품을 선택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많은 변형이 본 발명의 사상 내에서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가능함은 물론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해, 초보자는 영상물 제작에 필요한 방송 문서들을 자동으로 생성하여 제작할 수 있으며, 필요한 경우 이미 제작된 다른 방송 문서들을 제공받을 수 있으므로, 초보자들도 쉽게 영상물을 제작할 수 있도록 한다. 아울러, 전문가는 영상물 제작에 필요한 방송 문서들을 일괄하여 작성할 수 있으며, 필요한 경우 제작에 필요한 다양한 디지털 컨텐츠 소스, 예를 들어 3D 타이틀, 영상 소스, 자막, 음향, 음악, 효과음 등을 제공받으므로 보다 편리하게 전문적인 영상물을 제작할 수 있다.
또한, 방송 문서 일괄 제작을 위해 사용자가 입력한 구성 대본을 변환하여 실제 방송 제작시 필요한 방송 대본을 생성하는 방법 및 그 방법이 기록된 저장 매체를 제공된다. 즉, 본 발명은 해설, 방송 용어, 등장 인물, 지문 및 대사 등의 구성 요소로 이루어진 구성 대본을 영상 부분 및 음향 부분으로 이루어진 방송 대본으로 변환하고, 변환된 방송 대본에 미리 정해진 방식에 따라 카메라 콘티를 생성하여 삽입하며, 방송 용어에 따라 정해진 효과를 선택하여 삽입하여 실제 영상물 제작시 이용되는 개선된 방송 대본으로 변환한다. 아울러, 미리 입력된 기본 항목과 제작 기획서와 결합하여 다수의 방송 문서가 자동으로 생성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생성된 방송 문서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체적인 방송 문서 생성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샷 및 앵글 자동 선택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카메라 배치 예시도이다.
도 3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샷 및 앵글 자동 선택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기본 항목 입력 화면의 예시도이다.
도 4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제작 기획 정보 입력 화면의 예시도이다.
도 5A 내지 5C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방송 대본 입력 화면의 예시도이다.
도 6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PD 수정 화면의 예시도이다.
도 6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FD 수정 화면의 예시도이다.
도 6C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토리 보드 입력 화면의 예시도이다.
도 7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해 생성된 방송 대본의 예시도이다.
도 7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해 생성된 스토리 보드의 예시도이다.
도 7C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해 생성된 큐시트의 예시도이다.
도 8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해 생성된 캡처 리스트의 예시도이다.
도 8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해 생성된 편집 계획서의 예시도이다.

Claims (16)

  1. 영상물 제작에 필요한 복수의 방송 문서들을 자동으로 생성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방송 문서들이 공유하는 정보로서 입력 받은 기본 정보 및 제작 기획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
    상기 기본 정보 및 제작 기획 정보를 포함하는 방송 대본 입력 화면을 출력하는 단계;
    상기 방송 대본 입력 화면을 통해 해설, 방송 용어, 지문 및 대사로 구성된 구성 문서 또는 영상 부분(VIDEO) 및 음향 부분(AUDIO)으로 구성된 방송 대본을 입력 받아 에피소드(EPISODE)/신(SCENE)을 구분하고 미리 지정된 방식에 따라 컷을 구분하고, 구분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컷 각각에 상응하는 카메라 콘티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에피소드/신 구분, 컷 구분 및 카메라 콘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방송 문서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송 문서 생성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 문서는 카메라 콘티를 포함하는 방송 대본, 스토리 보드, 큐시트, 캡처 리스트 및 편집 계획서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인 방송 문서 생성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된 에피소드/신 구분, 컷 구분 및 카메라 콘티를 이용하여 생성된 영상 부분, 카메라 콘티 및 음향 부분으로 구성된 방송 대본을 화면에 출력하는 단계; 및
    입력된 수정 명령에 따라 상기 생성된 컷과 카메라 콘티를 수정하여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송 문서 생성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 대본 입력 화면은 상기 기본 정보로 등록된 방송 용어 및 등장 인물 항목을 제공하며, 상기 방송 용어 및 등장 인물은 입력된 텍스트 형식의 지문 및 대사에 드래그&드롭 형식으로 삽입 가능한 방송 문서 생성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 대본 입력 화면은 전자 파일 형태의 구성 대본 또는 방송 대본을 입력 가능하며, 입력된 구성 대본은 해설, 방송 용어, 지문 및 대사로 구분되어 인식되고, 입력된 방송 대본은 영상 부분 및 음향 부분으로 구분되어 인식되는 방송 문서 생성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컷은 대사와 구분 코드에 의해 구분되는 방송 문서 생성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된 기본 정보에 상응하여 미리 저장된 디지털 콘텐츠 목록을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제공된 디지털 콘텐츠 목록에서 선택된 디지털 콘텐츠를 데이터베이스에서 추출하여 제작자의 단말기로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송 문서 생성 방법.
  8. 미리 제작된 영상물 제작에 필요한 복수의 방송 문서들을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방송 문서들이 공유하는 정보로서 입력 받은 기본 정보 및 제작 기획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
    상기 기본 정보에 상응하는 미리 저장된 방송 문서 샘플들을 검색하여 추출하는 단계;
    상기 추출된 방송 문서 샘플을 목록화하여 제작자의 단말기에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제공된 방송 문서 샘플 목록에서 선택된 방송 문서 샘플을 상기 제작자의 단말기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송 문서 제공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작자의 단말기로부터 수정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제공된 방송 문서를 수정할 수 있는 수정 화면을 상기 제작자의 단말기로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수정 화면을 통해 입력된 수정 내용을 반영하여 방송 문서를 재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송 문서 제공 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된 기본 정보에 상응하여 미리 저장된 디지털 콘텐츠 목록을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제공된 디지털 콘텐츠 목록에서 선택된 디지털 콘텐츠를 데이터베이스에서 추출하여 상기 제작자의 단말기로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송 문서 생성 방법.
  11. 방송 대본에서 카메라 콘티를 자동으로 생성하는 방법에 있어서,
    에피소드(EPISODE) 및 신(SCENE)으로 구분되는 방송 대본의 각 신별 영상 부분(VIDEO)에서 화면 전환을 지시하는 방송 용어 및 음향 부분(AUDIO)에서 출연자별 대사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검출된 방송 용어 및 출연자별 대사를 각각의 컷으로 구분하는 단계;
    상기 에피소드별 또는 신별로 출연자의 수, 카메라의 수 및 영상물의 종류를 판단하여 상응하는 카메라 콘티를 검색하는 단계; 및
    상기 검색된 카메라 콘티를 각 컷마다 할당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카메라 콘티 자동 생성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컷은 대사와 구분 코드에 의해 구분되는 카메라 콘티 자동 생성 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에피소드별 또는 신별로 출연자의 수, 카메라의 수 및 영상물의 종류를 판단하여 상응하는 카메라 콘티를 검색하는 단계는,
    제작 방식 및 출연자와 카메라의 배열 위치를 더 판단하여 상응하는 카메라 콘티를 검색하는 단계인 카메라 콘티 자동 생성 방법.
  14. 영상물 제작에 필요한 복수의 방송 문서들을 자동으로 생성하는 방법을 수행할 수 있는 명령어들의 프로그램이 유형적으로 구현되어 있으며, 전자 정보 처리 장치에 의해 판독될 수 있는 기록매체에 있어서,
    상기 방송 문서들이 공유하는 정보로서 입력 받은 기본 정보 및 제작 기획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
    상기 기본 정보 및 제작 기획 정보를 포함하는 방송 대본 입력 화면을 출력하는 단계;
    상기 방송 대본 입력 화면을 통해 해설, 방송 용어, 지문 및 대사로 구성된 구성 문서 또는 영상 부분(VIDEO) 및 음향 부분(AUDIO)으로 구성된 방송 대본을 입력 받아 에피소드(EPISODE)/신(SCENE)을 구분하고 미리 지정된 방식에 따라 컷을 구분하고, 구분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컷 각각에 상응하는 카메라 콘티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에피소드/신 구분, 컷 구분 및 카메라 콘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방송 문서를 생성하는 단계를 수행하는 프로그램을 저장한 기록 매체.
  15. 미리 제작된 영상물 제작에 필요한 복수의 방송 문서들을 제공하는 방법을 수행할 수 있는 명령어들의 프로그램이 유형적으로 구현되어 있으며, 전자 정보 처리 장치에 의해 판독될 수 있는 기록매체에 있어서,
    상기 방송 문서들이 공유하는 정보로서 입력 받은 기본 정보 및 제작 기획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
    상기 기본 정보에 상응하는 미리 저장된 방송 문서 샘플들을 검색하여 추출하는 단계;
    상기 추출된 방송 문서 샘플을 목록화하여 제작자의 단말기에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제공된 방송 문서 샘플 목록에서 선택된 방송 문서 샘플을 상기 제작자의 단말기로 제공하는 단계를 수행하는 프로그램을 저장한 기록 매체.
  16. 방송 대본에서 카메라 콘티를 자동으로 생성하는 방법을 수행할 수 있는 명령어들의 프로그램이 유형적으로 구현되어 있으며, 전자 정보 처리 장치에 의해 판독될 수 있는 기록매체에 있어서,
    에피소드(EPISODE) 및 신(SCENE)으로 구분되는 방송 대본의 각 신별 영상 부분(VIDEO)에서 화면 전환을 지시하는 방송 용어 및 음향 부분(AUDIO)에서 출연자별 대사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검출된 방송 용어 및 출연자별 대사를 각각의 컷으로 구분하는 단계;
    상기 에피소드별 또는 신별로 출연자의 수, 카메라의 수 및 영상물의 종류를 판단하여 상응하는 카메라 콘티를 검색하는 단계; 및
    상기 검색된 카메라 콘티를 각 컷마다 할당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카메라 콘티 자동 생성 방법.
KR10-2003-0075497A 2003-10-28 2003-10-28 방송 문서 자동 제작 방법 및 그 방법이 기록된 저장 매체 KR1005131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75497A KR100513100B1 (ko) 2003-10-28 2003-10-28 방송 문서 자동 제작 방법 및 그 방법이 기록된 저장 매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75497A KR100513100B1 (ko) 2003-10-28 2003-10-28 방송 문서 자동 제작 방법 및 그 방법이 기록된 저장 매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40328A true KR20050040328A (ko) 2005-05-03
KR100513100B1 KR100513100B1 (ko) 2005-09-07

Family

ID=372421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75497A KR100513100B1 (ko) 2003-10-28 2003-10-28 방송 문서 자동 제작 방법 및 그 방법이 기록된 저장 매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13100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0904B1 (ko) * 2006-04-28 2008-08-08 주식회사 올리브나인 대사 분류 프로그램을 이용한 무인대화시스템
KR20210041270A (ko) * 2019-10-07 2021-04-15 유호진 음악 방송용 콘티 제작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음악 방송 시스템,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CN114567819A (zh) * 2022-02-23 2022-05-31 中国平安人寿保险股份有限公司 视频生成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0904B1 (ko) * 2006-04-28 2008-08-08 주식회사 올리브나인 대사 분류 프로그램을 이용한 무인대화시스템
KR20210041270A (ko) * 2019-10-07 2021-04-15 유호진 음악 방송용 콘티 제작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음악 방송 시스템,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CN114567819A (zh) * 2022-02-23 2022-05-31 中国平安人寿保险股份有限公司 视频生成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CN114567819B (zh) * 2022-02-23 2023-08-18 中国平安人寿保险股份有限公司 视频生成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13100B1 (ko) 2005-09-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702039B (zh) 图像编辑装置和图像编辑方法
JP4261644B2 (ja) マルチメディア編集方法及び装置
US7362946B1 (en) Automated visual image editing system
US7432940B2 (en) Interactive animation of sprites in a video production
US7945142B2 (en) Audio/visual editing tool
JP3185505B2 (ja) 会議録作成支援装置
US7483618B1 (en) Automatic editing of a visual recording to eliminate content of unacceptably low quality and/or very little or no interest
US10015463B2 (en) Logging events in media files including frame matching
GB2419768A (en) Creating a video sequence of photographic images in accordance with metadata relating to the images
JP2001028722A (ja) 動画像管理装置及び動画像管理システム
JP3708854B2 (ja) メディア作品制作支援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2007336106A (ja) 映像編集支援装置
CN102542591A (zh) 基于数据库的动画创作方法
JP2006060653A (ja) 画像編集装置,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20120251081A1 (en) Image editing device, image editing method, and program
JP2006166208A (ja) コマ分類情報付与装置及びプログラム
WO2013040244A1 (en) Logging events in media files including frame matching
KR100513100B1 (ko) 방송 문서 자동 제작 방법 및 그 방법이 기록된 저장 매체
Team Adobe Premiere Pro CS3 Classroom in a Book: Adobe Prem Pro CS3 Classroo_1
JP3942471B2 (ja) データ編集方法、データ編集装置、データ記録装置および記録媒体
JP2005285076A (ja) 映像情報制作方法
JP4208458B2 (ja) データ処理装置、データ処理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AU745436B2 (en) Automated visual image editing system
AU2002301447B2 (en) Interactive Animation of Sprites in a Video Production
Costello Non-Linear Edit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22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30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