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21992A - 선형 롤러 베어링 - Google Patents

선형 롤러 베어링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21992A
KR20050021992A KR10-2004-7020707A KR20047020707A KR20050021992A KR 20050021992 A KR20050021992 A KR 20050021992A KR 20047020707 A KR20047020707 A KR 20047020707A KR 20050021992 A KR20050021992 A KR 200500219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ct
roller
tongue
section
final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70207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멩에스마르틴
엘릭커토마스
Original Assignee
이나-쉐플러 카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나-쉐플러 카게 filed Critical 이나-쉐플러 카게
Priority to KR10-2004-70207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21992A/ko
Publication of KR200500219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21992A/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29/00Bearings for parts moving only linearly
    • F16C29/04Ball or roller bearings
    • F16C29/06Ball or roller bearings in which the rolling bodies circulate partly without carrying loa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earings For Parts Moving Linearl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롤러 (7) 를 통해 가이드 레일 (2) 상에서 롤러 베어링 가능한 가이드 캐리지 (1) 를 구비한 선형 롤러 베어링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롤러 (7) 용의 적어도 하나의 무한 롤러 덕트 (8) 가 제공되고, 상기 롤러 덕트 (8) 는 롤러 (7) 지지용의 베어링 덕트 (9), 롤러 (7) 리턴용의 리턴 덕트 (10), 그리고 상기 베어링 덕트 (9) 및 리턴 덕트 (10) 를 서로 연결시키는 2 개의 방향 전환 덕트 (11) 를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 캐리지 (1) 는 상기 리턴 덕트 (10) 및 베어링 덕트 (9) 를 포함하는 지지 요소 (3) 그리고 상기 지지 요소 (3) 의 양 정면에 배치되어 상기 방향 전환 덕트 (11) 를 포함하는 최종 부재 (4) 를 포함하며, 상기 리턴 덕트 (10) 는 리턴 파이프 (27) 를 포함하며, 상기 롤러 덕트 (8) 는 롤러 (7) 용의 트랙 (12, 13, 14, 15, 16, 17) 및 상기 롤러 덕트 (8) 를 옆에서 제한하기 위한 측면 (18, 19, 20, 21, 22, 23) 을 포함하며, 상기 최종 부재 (4) 는 서로를 향한 최종 부재면 (32) 사이에 상기 방향 전환 덕트 (11) 의 오목하게 구부러진 외부 트랙 (15) 을 포함하며, 상기 리턴 파이프 (27) 가 설형부 (33) 를 구비하고, 상기 설형부는 최종 부재 (4) 에 결합되며, 상기 설형부의 서로를 향한 측면 (34) 은 서로를 향한 최종 부재면 (32) 과 함께 상기 방향 전환 덕트 (11) 의 옆을 제한하기 위한 측면 (22) 을 형성하며, 위치 결정 장치 (38) 에 의해서 상기 설형부 (33) 의 서로를 향한 측면 (34) 은 최종 부재 (4) 의 서로를 향한 최종 부재면 (32) 과의 공통 평면에 지지된다.

Description

선형 롤러 베어링 {LINEAR ROLLER BEARING}
본 발명은 예를 들어 공작 기계 제조시 사용되는 것과 같은 선형 롤러 베어링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특히 상기와 같은 유형의 선형 롤러 베어링이 가이드 레일 상에 길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는 선형 가이드 유닛에 관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유형의 선형 가이드 유닛에서는, 선형 롤러 베어링의 가이드 캐리지와 가이드 레일 사이에서 가이드 레일의 양 길이측에 적어도 각각 하나의 롤러 바디 루우프가 배치되어 있다. 횡단면으로 볼 때 예를 들어 4 개의 열을 갖는 롤러 바디 열이 x-배열 상태로 배열되거나 또는 o-배열 상태로도 배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배열 상태에서는 가이드 캐리지가 가이드 레일의 종축을 중심으로 이루어지는 토오크(torque)도 수용할 수 있다.
독일 공개 특허 출원서 제 41 39 026호에는 예를 들어 가이드 레일 상에 롤러를 통해 롤링 지지된 가이드 캐리지를 구비한 선형 롤러 베어링이 공지되어 있으며, 상기 가이드 캐리지는 2 개의 레그로 가이드 레일을 둘러싼다. 각각의 레그 내에는 롤러를 위한 2 개의 무한 롤러 덕트가 제공되어 있다. 각각의 롤러 덕트는 지지 작용하는 롤러를 위한 하나의 지지 덕트, 리턴하는 롤러를 위한 리턴 덕트 그리고 상기 지지 덕트 및 리턴 덕트를 서로 연결시키는 2 개의 방향 전환 덕트를 포함한다. 가이드 캐리지는 리턴 덕트 및 지지 덕트를 포함한다. 지지 바디의 양 정면에는, 방향 전환 덕트를 포함하는 최종 부재가 배치되어 있다. 상기 지지 바디 내에는 보어가 제공되어 있고, 상기 보어 내에는 리턴 파이프가 배치되어 있다. 상기 리턴 파이프 내에는 롤러를 위한 리턴 덕트가 형성되어 있다.
롤러 덕트는 롤러를 위한 트랙 및 롤러 덕트를 옆에서 제한하기 위한 측면을 포함한다. 상기 최종 부재는 서로를 향해 있는 최종 부재면 사이에, 오목하게 구부러진 방향 전환 덕트의 외부 트랙을 포함한다. 리턴 파이프를 상기 최종 부재 상에서 오류 없이 정렬시키고, 최종 부재의 호울 내에서 이루어지는 리턴 파이프의 자유로운 회전을 저지하기 위해서, 상기 리턴 파이프의 단부에는 뒤로 물러난 섹션 및 돌출부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 경우 최종 부재는 상보적인 제 2 프로파일 구조를 갖는다. 슬리브 절반으로 구성된 리턴 파이프는 반달 모양의 또는 세그먼트 형상의 돌출부를 포함하는 반면, 상기 뒤로 물러난 정면은 말굽 모양의 뒤로 물러난 스텝 또는 섹션을 제한한다.
리턴 파이프는 최종 부재 내부로 삽입된다. 리턴 파이프와 최종 부재 사이의 충돌 장소에서 롤러 덕트 내부에는 부정합(offset)이 존재할 수 있으며, 상기 부정합은 바람직하지 않은 허용 오차 위치 때문에 나타난다. 이와 같은 내용이 의미하는 것은, 방향 전환 덕트로부터 롤링-아웃되어 리턴 덕트 내부로 롤링-인 되는 롤러가 상기 부정합에 의해 형성된 에지에 끼게된다(jamming)는 것이다. 이와 같은 부정합 또는 상기 에지는 특히 롤러 덕트를 옆에서 제한하기 위한 측면에서 임계적이다. 그 이유는, 롤러의 정면 가장자리가 상기 에지에 낄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 영역에서는 롤러가 부하를 받지 않기 때문에, 상기와 같은 얽힘 또는 끼임으로 인해 롤러가 예정된 위치로부터 빠져나와 최악의 경우에는 삽입된 상태로 유지되어, 결국에는 롤러의 에러 없는 순환이 더이상 불가능해지는 경우가 쉽게 발생될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선형 롤러 베어링의 횡단면이며,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선형 롤러 베어링의 리턴 파이프를 세부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 은 도 2 의 리턴 파이프의 절반이며,
도 4 는 도 1 의 본 발명에 따른 선형 롤러 베어링의 부분적인 종단면이고,
도 5 는 도 1 의 선형 롤러 베어링의 최종 부재의 일부분 및 리턴 파이프의 일부분의 사시도이며,
도 6 은 최종 부재와 연결된 리턴 파이프의 개략도이고,
도 7 은 최종 부재 및 리턴 파이프의 부분적인 사시도이며,
도 8 은 최종 부재의 추가 사시도이고,
도 9 는 최종 부재 내에 배치된 리턴 파이프의 설형부의 개략도이며,
도 10 은 도 9 의 선 X-X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고,
도 11 은 중간 구속용 브리지를 세부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12 는 중간 구속용 브리지의 절반의 사시도이고,
도 13 은 중간 구속용 브리지를 도 11 의 선 XIII-XIII을 따라 절단하여 도시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며,
도 14 는 변형된 중간 구속용 브리지의 사시도이고,
도 15 는 최종 부재 내에 배치되고 도 14 에 도시된 중간 구속용 브리지의 설형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략도이며,
도 16 은 최종 부재 내에 배치된 중간 구속용 브리지의 개략적인 종단면이다.
본 발명의 과제는, 끼임 또는 얽힘의 위험이 명백하게 감소된, 청구항 1의 전제부의 특징에 따른 선형 롤러 베어링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는 본 발명에 따라, 리턴 파이프가 최종 부재 내부로 삽입되는 설형부(tongue)를 구비하며, 상기 설형부의 서로를 향한 면은 서로를 향한 최종 부재면과 공통으로 방향 전환 덕트를 옆에서 제한하기 위한 측면을 형성하며, 위치 결정 장치에 의해서 상기 설형부의 서로를 향한 면이 최종 부재의 서로를 향한 최종 부재면과의 공통 평면에 지지됨으로써 해결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해서는, 롤러의 정면 가장자리가 방향 전환 덕트로부터 빠져나와 리턴 덕트 내부로 롤링-인 될 때 상기 가장자리는 어떤 곳에도 걸리거나 끼이지 않을 수 있다.
제조 기술적으로 특히 바람직한 위치 결정 장치는: 설형부의 서로로부터 이격되어 마주보는 측에 제공된 지지 섹션, 서로를 향하는 설형부의 측에 제공된 위치 결정 섹션, 최종 부재에 제공된 스톱 섹션을 포함하며, 이 경우 설형부의 위치 결정 섹션은 최종 부재의 스톱 섹션에 충돌하고, 상기 최종 부재에 제공된 베어링 섹션에 충돌하며, 이 경우 설형부의 지지 섹션은 최종 부재의 베어링 섹션에서 지지된다. 달리 표현하면, 설형부는 최종 부재의 베어링 섹션과 스톱 섹션 사이에 배치되어 바람직하게는 고정된다. 그에 따라 설형부가 상기 섹션들 사이에 삽입되어 위치 결정됨으로써, 서로를 향한 설형부의 면은 최종 부재의 서로를 향한 면과의 공통 평면에 배치된다.
상기 최종 부재는 공지된 방식으로 측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측부에 최종 부재의 면이 형성된다.
한편으로는 각각의 설형부의 서로를 향한 면과 위치 결정 섹션 사이의 간격 그리고 다른 한편으로는 상기 측부의 서로를 향한 최종 부재면과 스톱 섹션 사이의 간격은, 서로를 향한 최종 부재의 면과 서로를 향한 설형부의 면이 공통의 평면에 배치되도록 서로 맞추어 조절된다. 이와 같은 내용이 의미하는 것은, 본 발명에 따른 선형 롤러 베어링을 제조할 때, 방향 전환 덕트로부터 리턴 덕트로 변환되는 천이부에 롤러가 끼는 현상을 피하기 위해서는, 전술한 2가지 간격을 확실하게 지정하기만 하면 된다.
위치 결정 섹션을 구비한 설형부가 최종 부재의 스톱 섹션에 완벽하게 접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상기 최종 부재의 베어링 섹션과 상기 설형부의 지지 섹션 사이에 탄성으로 또는 소성으로 변형 가능한 수단을 제공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며, 상기 수단의 변형에 의해 설형부가 접하게 된다.
상기 수단은 바람직하게 리턴 파이프가 최종 부재와 삽입 연결될 때 소성으로 변형되는 핀치 리브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소성 변형에 의해서는 설형부가 스톱 섹션을 향해 가압된다. 상기와 같은 형태의 핀치 리브는 상기 설형부 또는 최종 부재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최종 부재 또는 리턴 파이프가 일체로 형성된 설형부와 함께 사출 성형 방법에 의해 플라스틱으로부터 제조되면, 상기와 같은 핀치 리브는 공구 내에서 아무 문제없이 고려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핀치 리브는 바람직하게 쐐기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와 같은 쐐기 형상의 형성은 리턴 파이프가 최종 부재와 삽입 연결될 때 최종 부재와 리턴 파이프가 쐐기에 의해 고정되는 방식으로 이루어지며, 이 경우 설형부의 위치 결정 섹션은 최종 부재의 스톱 섹션에 접하게 된다.
본 발명은 전체적으로 13 개의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조하여 하기에서 자세히 설명된다.
도 1 은, 가이드 레일 (2) 상에 롤링 지지된 가이드 캐리지 (1) 를 구비한 본 발명에 따른 선형 가이드부의 횡단면을 보여준다. 가이드 캐리지 (1) 는 지지 요소 (3) 및 최종 부재 (4) (도 4 참조)를 포함하며, 이 경우 최종 부재 (4) 는 지지 요소 (3) 의 양 정면에 고정된다. 지지 요소 (3) 는 2 개의 가이드 레그 (5) 및 상기 2 개의 가이드 레그 (5) 를 일체로 서로 연결시키는 연결 브리지 (6) 를 포함하는데, 특히 u자형의 지지 바디가 형성되는 방식으로 포함한다. 가이드 브리지 (1) 는 롤러 (7) 를 통해 가이드 레일 (2) 상에 길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된다. 롤러 (7) 는 롤러 덕트 (8) 내에 배치되어 있다. 각각 롤러 덕트 (8) 는 롤러 (7) 지지용의 베어링 덕트 (9), 롤러 (7) 리턴용의 리턴 덕트 (10), 그리고 상기 베어링 덕트 (9) 및 리턴 덕트 (10) 를 서로 연결시키는 2 개의 방향 전환 덕트 (11) 를 포함한다. 롤러 덕트 (8) 는 롤러 (7) 용의 트랙 (12, 13, 14, 15, 16, 17) 을 포함한다. 상기 트랙 (12) 은 가이드 레일 (2) 상에 형성된다. 가이드 레일 (2) 의 각각의 종측에서는 상기 트랙 (12) 중에서 2 개의 트랙이 서로 약 90°의 각으로 배치된다. 대응하는 트랙 (13) 은 지지 요소 (3) 의 양 가이드 레그 (5) 에서 형성된다. 롤러 (7) 를 상기와 같이 배치하면, 가이드 레일 (2) 에 대해 가로로 작용하는 힘뿐만 아니라 토오크도 가이드 캐리지를 통해 전달될 수 있다. 방향 전환 덕트 (11) 내에서는 롤러 (7) 용의 오목하게 구부러진 외부 트랙 (15) 및 볼록하게 구부러진 내부 트랙 (14) 이 형성된다. 리턴 덕트 (10) 내에서는 서로 마주 놓인 측면에 롤러 (7) 용의 트랙 (16 및 17) 이 형성된다. 또한 롤러 덕트 (8) 는 상기 롤러 덕트 (8) 를 옆으로 제한하기 위해 측면 (18, 19, 20, 21, 22, 23, 54) 을 포함한다. 리턴 덕트 (10) 내에서 서로 마주 놓인 측에는 측면 (18) 이 형성된다. 방향 전환 덕트 (11) 내에서는 측면 (22, 23, 54) 이 형성된다. 베어링 덕트 (9) 내에서는 측면 (19, 20, 21) 이 형성된다.
베어링 덕트 (9) 내에서 롤러 (7) 의 양 정면에는 구속용 브리지 (24, 25, 26) 가 배치되어 있고, 상기 브리지는 하기에서 상부 구속용 브리지 (24), 중간 구속용 브리지 (25) 및 하부 구속용 브리지 (26) 로 구분된다. 상기 측면 (19) 은 상부 구속용 브리지 (24) 에 형성되고, 상기 측면 (20) 은 중간 구속용 브리지 (25) 에서 상기 상부 구속용 브리지 (24) 를 향하는 한 측에 형성된다. 상기 측면 (21) 은 하부 구속용 브리지 (26) 에 형성되고, 추가의 측면은 중간 구속용 브리지 (25) 에 형성되는데, 특별히 상기 하부 구속용 브리지 (26) 를 향하는 한 측면에 형성된다. 상기 구속용 브리지 (24, 25, 26) 는, 롤러 (7) 가 분실되지 않게 가이드 캐리지 (1) 에 지지되는 방식으로 상기 롤러 (7) 를 둘러싼다. 이와 같은 형성은 특히 가이드 캐리지 (1) 가 가이드 레일 (2) 로부터 제거될 때 바람직하다.
실제로 매끄러운 외부 실린더 표면을 갖는 리턴 파이프 (27) 가 제공되며, 이 경우 리턴 파이프 (27) 의 내부에서는 리턴 덕트 (10) 를 형성하기 위한 윤곽이 형성된다. 지지 요소 (3) 는 전체적으로 4 개의 관통 보어 (28) 를 포함하고, 상기 관통 보어 내부로는 각각 하나의 리턴 파이프 (27) 가 삽입된다.
최종 부재 (4) (도 4)는 지지 요소 (3) 에 고정된 헤드 (29) 를 포함한다. 상기 헤드 (29) 내에는 방향 전환 셸이 배치되어 있고, 상기 셸의 측부 (31) 는 서로를 향하고 있는 측에 최종 부재면 (32) 을 구비하며, 이 경우 상기 최종 부재면 (32) 은 방향 전환 덕트 (11) 의 전술한 측면 (22) 을 형성한다. 하나의 방향 전환 셸 (30) 의 상기 2 개의 측부 (31) 사이에서 방향 전환 셸 (30) 상에는 오목하게 구부러진 외부 트랙 (15) 이 형성되어 있다.
도 2 및 도 3 은 리턴 파이프 (27) 를 보여준다. 상기 리턴 파이프 (27) 는 2 개의 동일한 길이부 (28) 로 구성된다. 상기 리턴 파이프 (27) 의 양 단부에는 각각 2 개의 설형부 (33) 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서로 마주 놓인 설형부의 면 (34) 은 전술한 방향 전환 덕트 (11) 의 측면 (23) 을 형성한다. 이와 같은 형성은 도 4 에서 명확하게 알 수 있다. 이 경우 설형부 (33) 는 최종 부재 (4) 내에 결합된다. 도 5 는 리턴 파이프 (27) 및 헤드 (29) 를 형성하며, 이 경우에는 상기 리턴 파이프 (27) 가 헤드 (29) 쪽으로 정렬됨으로써, 설형부 (33) 는 헤드 (29) 내부로 삽입될 수 있다.
도 7 은 설형부 (33) 가 삽입된 헤드 (29) 및 리턴 파이프 (27) 를 보여준다.
도 8 에서는, 방향 전환 셸 (30) 이 개구 (35) 를 구비하고, 상기 개구가 리턴 파이프 (27) 의 설형부 (33) 를 위한 수용부 (36) 를 형성함을 알 수 있다.
도 6 은 최종 부재 (4) 내에 삽입된 리턴 파이프 (27) 를 개략적으로 보여준다. 도 6 은 오목하게 구부러진 외부 트랙 (15) 을 구비한 방향 전환 셸 (30) 및 파선으로 도시된 리턴 파이프 (27) 의 설형부 (33) 중 하나를 보여준다. 상기 설형부 (33) 는 오목하게 구부러진 외부 트랙 (15) 내에 배치된 한 평면을 관통한다. 이것이 의미하는 것은, 상기 설형부 (33) 의 자유로운 단부가 상기 트랙 (15) 을 지나서 배치된다는 것이다. 도 6 에서는 또한, 주형 시임 (37)(mould seam) 이 각각의 설형부 (33) 와 최종 부재 (4) 사이에서 리턴 파이프 (27) 에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구체적인 실시예에서는 상기 주형 시임(37)이 설형부 (33) 및 방향 전환 셸 (30) 의 측부 (31) 에 의해서 제한된다.
리턴 파이프 (27) 와 최종 부재 (4) 사이의 도시된 연결 방식은 특히 설치열이 크게 설계된 경우에 적합하다. 공지된 선형 롤러 베어링에서는 주형 시임이 리턴 파이프와 최종 부재 사이에서 상기 리턴 파이프의 종축에 대해 가로로 배치된다. 이와 같은 경우에는 주형 시임이 자유로운 설형부의 단부에 의해서 제한된다. 상기와 같이 공지된 실시예에서 바람직하지 않은 허용 오차 위치로 인해 리턴 파이프가 너무 짧게 제조되면, 상기 주형 시임은 롤러 바디 주변에서 바람직하지 않은 주행 소음 및 다른 장애들이 발생될 정도로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선형 롤러 베어링의 경우에는 상기와 같은 허용 오차 변동이 주형 시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데, 그 이유는 상기 주형 시임이 길이 방향으로 리턴 파이프 (27) 쪽으로 진행하기 때문이다. 각각의 경우마다 설형부 (33) 의 자유 단부는 방향 전환 덕트 (11) 를 지나서 배치된다.
서로를 향한 설형부의 면 (34) 이 최종 부재 (4) 의 서로를 향한 최종 부재면 (32) 과의 공통 평면에 배치되도록 하기 위해 - 이 경우 서로를 향한 설형부의 면 (34) 과 서로를 향한 최종 부재면 (32) 은 방향 전환 덕트 (11) 의 측면 (22 및 23) 을 형성함 - 위치 결정 장치(positioning device) (38) 가 제공된다.
도 9 는 위치 결정 장치 (38) 의 가능한 구체적인 실시예를 보여준다. 구체적인 배열 상태에서 상기 위치 결정 장치는, 서로로부터 이격되어 마주 놓인 설형부 (33) 의 측면에 제공된 지지 섹션 (39), 또한 서로를 향한 설형부 측면에 제공된 위치 결정 섹션 (40), 또한 최종 부재 (4) 에 제공된 스톱 섹션 (41) 을 포함하고, 이 경우에는 상기 설형부 (33) 의 위치 결정 섹션 (40) 이 최종 부재 (4) 의 스톱 섹션 (41) 에 부딪치며, 또한 최종 부재 (4) 에 제공된 베어링 섹션 (42) 을 포함하고, 이 경우에는 상기 설형부 (33) 의 지지 섹션 (39) 이 최종 부재 (4) 의 베어링 섹션 (42) 에 지지된다.
본 경우에 지지 섹션 (39) 은 간접적으로 핀치 리브 (43) 를 통해 최종 부재 (4) 의 베어링 섹션 (42) 에 지지된다. 상기 핀치 리브 (43) 는 본 경우에 최종 부재 (4) 에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핀치 리브 (43) 가 쐐기 형상으로 형성됨으로써, 설형부 (33) 의 삽입 동안 상기 설형부는 최종 부재 (4) 의 위치 결정 섹션 (41) 과 핀치 리브 (43) 사이에 점차적으로 삽입된다.
한편으로 설형부 (33) 의 위치 결정 섹션 (40) 과 설형부의 면 (34) 사이의 간격 그리고 다른 한편으로 최종 부재 (4) 의 스톱 섹션 (41) 과 최종 부재 (4) 의 최종 부재면 (32) 사이의 간격은, 상기 최종 부재면 (32) 과 설형부의 면 (34) 이 공통의 평면에 배치되도록 서로 맞추어 조절된다. 그럼으로써, 방향 전환 덕트 (11) 의 측면 (22 및 23) 은 하나의 공통 평면에 놓이게 된다. 롤러 (7) 는 라운딩 처리되거나 또는 상호 맞물릴 수 없고, 오히려 방향 전환 덕트 (11) 내에서 완벽하게 순환한다. 측면 (22 및 23) 을 제작하는 경우에는 단지 전술한 간격들만 완벽하게 지켜지면 된다. 최종 부재 (4) 또는 리턴 파이프 (27) 의 다른 장소에서의 허용 오차 변동은 설형부의 면 (34) 과 최종 부재면 (32) 의 상호 위치에 전혀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도 11 내지 13 은 특이하게 형성된 중간 구속용 브리지 (25) 를 보여준다. 상기 구속용 브리지 (25) 는 2 개의 동일한 길이부 (44) 로부터 형성된다. 2 개의 분할은 특히 구속용 브리지가 큰 장치열을 위해 제공된 경우에 장점이 된다. 이와 같은 경우에 상기 구속용 브리지의 길이는 200 mm 이상으로, 그리고 횡단면은 7 mm 이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속용 브리지는 바람직하게 플라스틱으로부터 사출 성형 방법으로 제조된다. 구속용 브리지가 일체로 구현된 경우에는, 냉각시 사출 성형 모울드 내에서 플라스틱 재료가 바람직하지 않게 불균일하게 응고될 수 있음으로써, 구속용 브리지는 원치 않게 일그러진다. 본 발명에서 제안된 바와 같이, 구속용 브리지가 2 개 부분으로 - 또는 3 개 또는 4 개 부분으로 - 구현된 경우에는 상기와 같은 단점들이 지양된다. 그 이유는, 공구 형태의 횡단면이 설계됨으로써 원치 않는 일그러짐이 나타나지 않기 때문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2 개의 길이부 (44) 가 자신의 길이 연장부를 따라 공동부 (45) 를 둘러쌈으로써, 벽두께는 상기 공동부의 길이 연장부에 걸쳐 대체로 일정하고, 상기 벽두께의 치수는 어떤 경우라도 원치 않는 일그러짐 없이 완벽하게 냉각이 보장되도록 설정된다. 상기 공동부는 리세스 (46) 로 형성되고, 상기 리세스는 길이부 (44) 에서 서로를 향한 분할측 (47) 에 제공된다. 특히 도 12 를 통해서는 상기 길이부 (44) 에 브리지 (48) 가 제공됨을 알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2 개 길이부 (44) 의 브리지 (48) 는 구속용 브리지 (25) 를 형성하기 위한 삽입 조인트 (49) 를 형성하기 위해 서로 결합된다.
상기 2 개의 길이부 (44) 가 서로를 향한 분할측 (47) 에 각각 돌출부 및 리세스를 구비하면, 각각 하나의 돌출부 및 리세스는 각각의 길이부에서 구속용 브리지 (25) 의 가로 중심선에 대칭으로 배치된다. 이와 같은 대칭 배열 상태에서는 상기 2 개의 길이부 (44) 가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고, 아무 문제없이 삽입 연결될 수 있다.
각각의 길이부 (44) 는 양 단부에 부분 저널 (50) 을 포함한다. 2 개의 길이부 (44) 가 결합되면, 결합된 상기 부분 저널 (50) 은 각각 하나의 저널 (51) 을 형성한다. 상기 저널 (51) 은 최종 부재 (4) 의 상응하는 저널 수용부에 삽입된다. 이와 같은 저널의 형상 및 수용부 내부로의 저널의 삽입은 구속용 브리지의 2 개 길이부의 완벽한 연결에 기여한다.
도 14 는 중간 구속용 브리지 (25) 를 사시도로 보여준다. 상기 구속용 브리지 (25) 는 단부에 설형부 (52) 를 포함하고, 상기 설형부의 면 (53) 은 각각 개별 방향 전환 덕트 (11) 의 측면 (54) 을 형성한다. 리턴 파이프 (27) 의 설형부 (33) 와 마찬가지로 상기 설형부 (52) 도 최종 부재 (4) 의 오목하게 구부러진 외부 트랙 (15) 이 배치된 평면을 관통한다. 이것이 의미하는 것은, 상기 설형부 (52) 의 자유로운 단부가 상기 트랙 (15) 을 지나서 배치된다는 것이다. 이 경우에도 각각의 설형부 (52) 와 최종 부재 (4) 사이에는 상기 구속용 브리지 (25) 에 평행하게 주형 시임 (55) 이 배치된다. 구체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주형 시임 (55) 은 방향 전환 셸 (30) 의 측부 (31) 및 설형부 (52) 에 의해서 제한된다. 이 경우에도 구속용 브리지 (25) 의 길이 면에서의 허용 오차 변동이 상기 주형 시임 (55) 의 폭에 전혀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본 발명에 따른 장점이 얻어진다. 그에 따라 롤러 (7) 의 정면은 완벽하게 방향 전환 덕트 (11) 를 통과할 수 있게 된다.
설형부의 면 (53) 이 최종 부재면 (32) 과의 공통 평면에 배치되도록 하기 위해 - 이 경우 설형부의 면 (53) 과 최종 부재면 (32) 은 방향 전환 덕트 (11) 의 측면 (54 및 22) 을 형성함 - 추가의 위치 결정 장치 (56) 가 제공된다.
도 15 는 위치 결정 장치 (56) 를 구비한 최종 부재 (4) 내에서의 구속용 브리지 (25) 의 설형부 (52) 의 배치 상태를 개략적으로 보여준다. 상기 위치 결정 장치 (56) 는, 설형부의 면 (53) 으로부터 이격되어 마주 놓인 설형부 (52) 의 측면에 제공된 지지 섹션 (57), 또한 설형부의 면 (53) 을 포함하는 설형부 (52) 의 측면에 제공된 위치 결정 섹션 (58), 또한 최종 부재 (4) 에 제공된 스톱 섹션 (59) 을 포함하고, 이 경우에는 상기 설형부 (52) 의 위치 결정 섹션 (58) 이 최종 부재 (4) 의 스톱 섹션 (59) 에 부딪치며, 또한 최종 부재 (4) 에 제공된 베어링 섹션 (60) 을 포함하고, 이 경우에는 상기 설형부 (52) 의 지지 섹션 (57) 이 최종 부재 (4) 의 베어링 섹션 (60) 에 지지된다. 본 경우에 지지 섹션 (57) 은 간접적으로 핀치 리브 (61) 를 통해 최종 부재 (4) 의 베어링 섹션 (60) 에 지지된다. 상기 핀치 리브 (61) 는 본 경우에 최종 부재 (4) 에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핀치 리브 (61) 가 쐐기 형상으로 형성됨으로써, 설형부 (52) 의 삽입 동안 상기 설형부는 최종 부재 (4) 의 위치 결정 섹션 (58) 과 핀치 리브 (61) 사이에 점차적으로 삽입된다.
한편으로 설형부 (52) 의 위치 결정 섹션 (58) 과 설형부의 면 (53) 사이의 간격 그리고 다른 한편으로 최종 부재 (4) 의 스톱 섹션 (59) 과 최종 부재 (4) 의 최종 부재면 (32) 사이의 간격은, 상기 최종 부재면 (32) 과 설형부의 면 (53) 이 공통의 평면에 배치되도록 서로 맞추어 조절된다. 그럼으로써, 방향 전환 덕트 (11) 의 측면 (22, 23, 54) 은 하나의 공통 평면에 놓이게 된다. 롤러 (7) 는 라운딩 처리되거나 또는 상호 맞물릴 수 없고, 오히려 방향 전환 덕트 (11) 내에서 완벽하게 순환한다. 측면 (22, 23, 54) 을 제작하는 경우에는 단지 전술한 간격들만 완벽하게 지켜지면 된다. 최종 부재 (4) 또는 구속용 브리지 (25) 의 다른 장소에서의 허용 오차 변동은 설형부의 면 (53) 과 최종 부재면 (32) 의 상호 위치에 전혀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가이드 캐리지 2: 가이드 레일
3: 지지 바디 4: 최종 부재
5: 가이드 레그 6: 연결 브리지
7: 롤러 8: 롤러 덕트
9: 지지 덕트 10: 리턴 덕트
11: 방향 전환 덕트 12, 13, 14, 15, 16, 17: 트랙
18, 19, 20, 21, 22, 23, 54: 측면
24, 25, 26: 구속용 브리지 27: 리턴 파이프
28: 관통 보어 29: 헤드
30: 방향 전환 셸 31: 측부
32: 최종 부재면 33, 52: 설형부(tongue)
34, 53: 설형부의 면 35: 개구
36: 수용부 37, 55: 주형 시임(mould seam)
38, 56: 위치 결정 장치 39: 피스 섹션
40: 위치 결정 섹션 41, 59: 스톱 섹션
42, 60: 베어링 섹션 43, 61: 핀치 리브
44: 길이부 45: 공동부
46: 리세스 47: 분할측
48: 브리지 49: 삽입 조인트
50: 부분 저널(journal) 51: 저널
57: 지지 섹션 58: 위치 결정 섹션

Claims (8)

  1. 롤러 (7) 를 통해 가이드 레일 (2) 상에서 롤러 베어링 가능한 가이드 캐리지 (1) 를 구비한 선형 롤러 베어링으로서,
    상기 롤러 (7) 용의 적어도 하나의 무한 롤러 덕트 (8) 가 제공되고, 상기 롤러 덕트 (8) 는 롤러 (7) 지지용의 베어링 덕트 (9), 롤러 (7) 리턴용의 리턴 덕트 (10), 그리고 상기 베어링 덕트 (9) 및 리턴 덕트 (10) 를 서로 연결시키는 2 개의 방향 전환 덕트 (11) 를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 캐리지 (1) 는 상기 리턴 덕트 (10) 및 베어링 덕트 (9) 를 포함하는 지지 요소 (3) 그리고 상기 지지 요소 (3) 의 양 정면에 배치되어 상기 방향 전환 덕트 (11) 를 포함하는 최종 부재 (4) 를 포함하며, 상기 리턴 덕트 (10) 는 리턴 파이프 (27) 를 포함하며, 상기 롤러 덕트 (8) 는 롤러 (7) 용의 트랙 (12, 13, 14, 15, 16, 17) 및 상기 롤러 덕트 (8) 를 옆에서 제한하기 위한 측면 (18, 19, 20, 21, 22, 23) 을 포함하며, 상기 최종 부재 (4) 는 서로를 향한 최종 부재면 (32) 사이에 상기 방향 전환 덕트 (11) 의 오목하게 구부러진 외부 트랙 (15) 을 포함하도록 구성된, 선형 롤러 베어링에 있어서,
    상기 리턴 파이프 (27) 가 설형부 (33) 를 구비하고, 상기 설형부는 최종 부재 (4) 에 결합되며, 상기 설형부의 서로를 향한 측면 (34) 은 서로를 향한 최종 부재면 (32) 과 함께 상기 방향 전환 덕트 (11) 의 옆을 제한하기 위한 측면 (22) 을 형성하며, 위치 결정 장치 (38) 에 의해서 상기 설형부 (33) 의 서로를 향한 측면 (34) 은 최종 부재 (4) 의 서로를 향한 최종 부재면 (32) 과의 공통 평면에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형 롤러 베어링.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결정 장치 (38) 가
    상기 설형부 (33) 의 서로로부터 이격되어 마주 놓인 측면에 제공된 지지 섹션 (39) 을 포함하며,
    서로를 향한 설형부의 면에 제공된 위치 결정 섹션 (40) 을 포함하며,
    상기 최종 부재 (4) 에 제공된 스톱 섹션을 포함하며, 이 경우 상기 설형부 (33) 의 위치 결정 섹션 (40) 은 상기 최종 부재 (4) 의 스톱 섹션 (41) 에 부딪치며,
    상기 최종 부재 (4) 에 제공된 베어링 섹션 (42) 을 포함하며, 이 경우 상기 설형부 (33) 의 지지 섹션 (39) 은 상기 최종 부재 (4) 의 베어링 섹션 (42) 에서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형 롤러 베어링.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스톱 섹션 (41) 및 상기 베어링 섹션 (42) 은 최종 부재면 (32) 이 제공된 최종 부재 (4) 의 측부 (31) 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형 롤러 베어링.
  4. 제 3 항에 있어서, 한편으로 각 설형부 (33) 의 위치 결정 섹션 (40) 과 서로를 향한 설형부의 면 (34) 사이의 간격 그리고 다른 한편으로 상기 측부 (31) 의 스톱 섹션 (41) 과 서로를 향한 최종 부재면 (32) 사이의 간격은, 상기 서로를 향한 최종 부재면 (32) 과 상기 서로를 향한 설형부의 면 (34) 이 공통의 평면에 배치되도록 서로 맞추어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형 롤러 베어링.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최종 부재 (4) 의 베어링 섹션 (42) 과 상기 설형부 (33) 의 지지 섹션 (39) 사이에 탄성으로 또는 소성으로 변형 가능한 수단 (43) 이 제공되며, 상기 수단의 변형에 의해 상기 설형부 (33) 의 위치 결정 섹션 (40) 이 상기 최종 부재 (4) 의 스톱 섹션 (41) 에 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형 롤러 베어링.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단이 핀치 리브 (43) 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형 롤러 베어링.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핀치 리브 (43) 가 상기 설형부 (33) 또는 상기 최종 부재 (4) 에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형 롤러 베어링.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핀치 리브 (43) 가 쐐기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형 롤러 베어링.
KR10-2004-7020707A 2002-06-21 2003-05-27 선형 롤러 베어링 KR2005002199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7020707A KR20050021992A (ko) 2002-06-21 2003-05-27 선형 롤러 베어링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27688.9 2002-06-21
KR10-2004-7020707A KR20050021992A (ko) 2002-06-21 2003-05-27 선형 롤러 베어링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21992A true KR20050021992A (ko) 2005-03-07

Family

ID=417844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20707A KR20050021992A (ko) 2002-06-21 2003-05-27 선형 롤러 베어링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021992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161896A (en) Rolling bearing for linear movement
JPS63243425A (ja) スライドレール
US8057336B2 (en) Guide device for an endless torque-transmitting means, and mold for producing a guide device
US20020067869A1 (en) Guide apparatus
CN101903686B (zh) 滚柱丝杠
US6802647B2 (en) Linear rolling bearing
EP2134632A1 (en) Modular belt with rodless hinge
KR20200128381A (ko) 호스 체결 장치
JPH04211715A (ja) 循環式リニヤーベヤリング及びその製作方法
KR19990028516A (ko) 회전운동 안내장치와 회전운동 안내장치의 이동가능한 부재를제조하는 방법
KR20050021992A (ko) 선형 롤러 베어링
US20070172537A1 (en) Insert for an injection molding apparatus
JP4562140B2 (ja) 繋ぎ用軌道レールを備えた直動案内ユニット
US6550969B1 (en) Carriage for linear guiding device
EP1403541B1 (en) Linear rolling element bearing with rollers retained in a flexible cage
US6371648B1 (en) Linear guide device
US7121723B2 (en) Linear guide apparatus
KR100955436B1 (ko) 선형 롤러 베어링
JP2005530119A (ja) リニア回転ベアリング
US20050105834A1 (en) Linear rolling bearing
JP5909869B2 (ja) リニアガイド装置
EP0404224B1 (en) Chain link formed of polymeric material
KR20220019802A (ko) 클린룸 어플리케이션들을 위한 지지 체인이 있는 라인 가이드 및 이를 위한 지지 체인
US20020025867A1 (en) Rocker joint silent chain
US5996764A (en) Arrangement for supporting rollers in a roller convey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