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2125Y1 - Cup for patient with essential trem - Google Patents
Cup for patient with essential trem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92125Y1 KR200492125Y1 KR2020180004175U KR20180004175U KR200492125Y1 KR 200492125 Y1 KR200492125 Y1 KR 200492125Y1 KR 2020180004175 U KR2020180004175 U KR 2020180004175U KR 20180004175 U KR20180004175 U KR 20180004175U KR 200492125 Y1 KR200492125 Y1 KR 200492125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eight
- cup
- cup body
- patients
- handl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7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85/7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edible or potable liquids, semiliquids, or plastic or pasty material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22—Drinking vessels or saucers used for table service
- A47G19/2205—Drinking glasses or vessel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or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40—Details of wall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28—Hand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Table Devices Or Equipmen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내부에 수용 공간을 갖는 컵 몸체; 상기 컵 몸체의 일측에 연결되는 손잡이; 상기 컵 몸체와 상기 손잡이의 연결 부위에 삽입되는 제1 무게추; 및 상기 제1 무게추와 마주보도록 상기 컵 몸체의 타측에 삽입되는 제2 무게추;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무게추가 상기 제2 무게추보다 큰 무게를 갖도록 설정됨으로써 손 떨림 완화 기능을 갖는 수전증 환자용 컵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a cup body having an accommodation space therein; A handle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cup body; A first weight inserted into a connection portion between the cup body and the handle; And a second weight inserted into the other side of the cup body so as to face the first weight. Including, and by setting the first weight to have a greater weight than the second weight, relates to a cup for patients with metabolic syndrome having a hand shake relief function.
Description
본 고안은 수전증 환자용 컵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무게를 통해 수전증 증상을 완화해주고, 인체공학적 디자인으로 손목 근육의 부담을 덜어주어 안정감을 주는 수전증 환자용 컵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up for patients with dysplasia, and more particularly, to a cup for patients with dyslexia that relieves symptoms of dystrophy through weight and relieves the burden on the wrist muscles with an ergonomic design and gives a sense of stability.
수전증(손 떨림)은 가장 흔한 이상운동질환 중 하나로 몸의 일부분 혹은 여러 부분에서 개별적인 근육이 교대로 또는 동시에 수축하여 규칙적으로 일정한 빈도를 가지는 진동성 운동이다. 떨림은 대개 기간을 두고 지속적으로 나타나기도 하고 증상이 심해졌다가 완화되는 변동적 양상을 보이기도 하는데, 흔히 환자의 감정 상태나 불안, 육체적인 피로에 의해 떨림 증상이 심해진다.Tremors (hand tremor) is one of the most common abnormal motor disorders, and it is a vibrational exercise that has a regular and constant frequency as individual muscles contract alternately or simultaneously in parts or parts of the body. The tremor usually appears continuously over a period of time, and the symptoms worsen and then show a fluctuating pattern that relieves. Often, the symptoms of tremor are severe due to the patient's emotional state, anxiety, or physical fatigue.
종래 기술의 경우 일반적으로 전자회로와 센서를 통해 손떨림을 완화시키고 있다. In the case of the prior art, hand shake is generally alleviated through electronic circuits and sensors.
먼저 첫 번째 기술로는 손 떨림 방지 스푼 및 포크로 진동 감지 센서가 환자의 손 떨림을 파악하고 그와 반대되는 진동을 발생시켜 손 떨림을 상쇄시키는 원리이다. First, the first technology is the principle that the vibration sensor detects the shaking of the patient's hand with a spoon and fork that prevents shaking of the hand and generates the opposite vibration to offset the shaking of the hand.
두 번째로는 손 떨림 보정 장갑인데 자이로스코프 센서를 통해 초기 축을 위쪽을 향하도록 세팅해 놓고 손이 떨릴 경우 자이로스코프가 경사지게 되면서 자신을 쓰러뜨리는 힘으로 손 떨림을 저항하며 완화시키는 장갑이다. The second is a hand shake correction glove, which is set to face upward through the gyroscope sensor, and when the hand shakes, the gyroscope inclines, and the glove resists and mitigates hand shake with the force that knocks it down.
세 번째로는 전류로 손목을 지나는 정중신경과 노신경에 자극을 주어 손 떨림을 차단하는 장갑이다. Thirdly, it is a glove that blocks hand tremor by stimulating the median nerve and the elbow nerve passing through the wrist with electric current.
종래기술의 문제점은 모두 전자 장치가 들어간다는 점이다. 제품 안에 전자 회로와 각종 센서가 들어가야 하므로, 이로 인해 제품의 무게는 무거워지고 값이 비싸지며 두께가 두꺼워지게 된다. The problem of the prior art is that all electronic devices are used. Since electronic circuits and various sensors must be placed in the product, the weight of the product becomes heavy, expensive, and the thickness of the product becomes thicker.
컵이나 스푼, 포크 등은 일상에서 계속해서 사용하는 제품이고 편안해야 하는데, 자극이 있는 이러한 제품은 의료용품이라는 거부감이 있다. 또한, 수전증 환자들을 위한 제품임에도 불구하고 인체공학적인 설계에 대해서는 다소 부족함이 있다.Cups, spoons, forks, etc. are products that are used continuously in everyday life and should be comfortable, but these products with irritation are rejected as medical supplies. In addition, although it is a product for patients with dysplasia, it is somewhat lacking in ergonomic design.
본 고안은 손 떨림 완화 기능을 갖는 수전증 환자용 컵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up for patients with tremors having a function to relieve hand tremor.
또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손잡이에 썸 레스트(Thumb Rest)와 핑거 레스트(Finger Rest)를 형성하여 손목 근육의 부담을 경감시킬 수 있는 수전증 환자용 컵을 제공하기 위함이다.In addition,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form a thumb rest and a finger rest on the handle to provide a cup for patients with dysplasia that can reduce the burden on the wrist muscles.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수전증 환자용 컵은, 내부에 수용 공간을 갖는 컵 몸체, 상기 컵 몸체의 일측에 연결되는 손잡이, 상기 컵 몸체와 상기 손잡이의 연결 부위에 삽입되는 제1 무게추 및 상기 제1 무게추와 마주보도록 상기 컵 몸체의 타측에 삽입되는 제2 무게추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무게추가 상기 제2 무게추보다 큰 무게를 갖도록 설정됨으로써 손 떨림 완화 기능을 가질 수 있다. The cup for a metastasis pati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up body having an accommodation space therein, a handle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cup body, a first weight inserted into a connection portion between the cup body and the handle, and the first weight. 1 It includes a second weight that is inserted into the other side of the cup body so as to face the weight, and the first weight is set to have a greater weight than the second weight, thereby having a hand shake relief function.
또한, 상기 제1 무게추와 상기 제2 무게추의 무게 비율은, 2.5 : 1 로 설정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weight ratio of the first weight and the second weight may be set to 2.5:1.
또한, 상기 제1 무게추는, 240g ~ 260g의 무게를 가지고, 상기 제2 무게추는, 90g ~ 110g의 무게를 가질 수 있다. In addition, the first weight may have a weight of 240g to 260g, and the second weight may have a weight of 90g to 110g.
또한, 상기 제1 무게추가 내부에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컵 몸체와 상기 손잡이의 연결 부위에 형성되는 제1 무게추 홈 및 상기 제2 무게추가 내부에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컵 몸체의 타측에 형성되는 제2 무게추 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first weight groove formed in the connection portion between the cup body and the handle so that the first weight can be inserted inside, and the second weight is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cup body so that it can be inserted into the inside. It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weight groove.
또한, 상기 손잡이의 상측에는 파지 시 사용자의 엄지손가락이 안착되는 엄지손가락 안착홈이 형성되고, 상기 컵 몸체와 마주보는 상기 손잡이의 내측에는 파지 시 사용자의 나머지 손가락들이 안착되는 손가락 안착홈이 형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a thumb seating groove is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handle in which the user's thumb is seated when gripped, and a finger seating groove in which the remaining fingers of the user are seated when gripped is formed inside the handle facing the cup body. I can.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르면, 상이한 무게를 갖는 제1 무게추와 제2 무게추를 통해 수전증 환자의 관련 근육에 긴장이 가해지며, 근육 단련에 의한 수전증 완화 효과가 있는 수전증 환자용 컵을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ension is applied to the related muscles of the patients with dysplasia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weights having different weights, and a cup for patients with dyslexia having an effect of alleviating dyslexia by muscle training is provided. I can.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수전증 환자용 컵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수전증 환자용 컵의 내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cup for patients with hydrocephal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interior of the cup for patients with metaplasi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본 고안과 관련된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이를 상세한 설명을 통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본 고안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본 고안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rough detailed description.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and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it includes all changes, equivalents, or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
본 고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In describing the compon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erms such as first, second, A, B, (a), (b) may be used. These terms are only for distinguishing the component from other components, and the nature, order, or order of the component is not limited by the term.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들과 관련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수전증 환자용 컵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related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scription will be given of a cup for patients with dystroph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수전증 환자용 컵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수전증 환자용 컵의 내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cup for patients with dyslexi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interior of a cup for patients with dyslexi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수전증 환자용 컵은 컵 몸체(2), 손잡이(5), 제1 무게추(7), 및 제2 무게추(8)를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ures 1 and 2, the cup for patients with metaplasi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up body (2), a handle (5), a first weight (7), and a second weight (8). I can.
컵 몸체(2)는 내용물이 담길 수 있는 수용 공간을 구비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서는 원통형의 컵 몸체(2)를 도시하였으나, 그 형상은 다양하게 변화될 수 있다. 또한, 컵 몸체(2)는 플라스틱, 금속 등의 다양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The
컵 몸체(2)의 상측에는 입구(1)가 형성될 수 있으며, 컵 몸체(2)의 하측에는 바닥부(3)가 추가로 부착되거나 결합될 수 있다. An inlet 1 may be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손잡이(5)는 컵 몸체(2)의 일측에 연결될 수 있다. 사용자는 손잡이(5)를 파지함으로써 컵을 들거나 내려놓을 수 있다. The
또한, 손잡이(5)에 엄지손가락 안착홈(Thumb Rest, 4)과 손가락 안착홈(Finger Rest, 6)을 형성하고 팜 그립(Palm Grip) 형태와 같은 인체공학적 설계를 적용하여, 사용자가 컵을 사용하는 동안 손목 근육의 부담을 덜어 손에 무리가 가지 않도록 하였다. In addition, by forming a thumb rest (4) and a finger rest (6) on the handle (5) and applying an ergonomic design such as a palm grip, the user can During use, the burden on the wrist muscles was relieved so that the hand was not strained.
구체적으로, 손잡이(5)의 상측에는 파지 시 사용자의 엄지손가락이 안착되는 엄지손가락 안착홈(4)이 형성되고, 컵 몸체(2)와 마주보는 손잡이(5)의 내측에는 파지 시 사용자의 나머지 손가락들이 안착되는 손가락 안착홈(6)이 형성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upper side of the
제1 무게추(7)는 컵 몸체(2)와 손잡이(5)의 연결 부위에 삽입되어 위치할 수 있다. The first weight 7 may be inserted into and positioned at a connection portion between the
이를 위하여 컵 몸체(2)와 손잡이(5)의 연결 부위에는 제1 무게추 홈(9a)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1 무게추(7)는 제1 무게추 홈(9a)의 내부에 삽입되어 외부로 노출되지 않을 수 있다. To this end, a first weight groove (9a) may be formed at a connection portion between the cup body (2) and the handle (5), and the first weight 7 is inside the first weight groove (9a). It may be inserted and not exposed to the outside.
제2 무게추(8)는 제1 무게추(7)와 마주보도록 컵 몸체(2)에 타측에 삽입될 수 있다. The
이를 위하여 컵 몸체(2)의 타측에는 제2 무게추 홈(9b)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2 무게추(8)는 제2 무게추 홈(9b)의 내부에 삽입되어 외부로 노출되지 않을 수 있다. To this end, a second weight groove (9b) may be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cup body (2), and the second weight (8) is inserted into the second weight groove (9b) and is not exposed to the outside. May not.
이때, 제1 무게추(7)는 제2 무게추(8) 보다 큰 무게를 갖도록 설정됨으로써 손 떨림 완화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first weight 7 is set to have a greater weight than the
예를 들어, 제1 무게추(7)는 240g ~ 260g의 무게를 가지고, 제2 무게추(8)는 90g ~ 110g의 무게를 가지도록 설정될 수 있다. For example, the first weight 7 may be set to have a weight of 240g to 260g, and the
특히, 제1 무게추(7)는 250g, 제2 무게추(8)는 100g으로 설정되는 경우, 수전증환자가 들었을 때 육체적, 심리적으로 부담이 적지만 수전증 완화 효과가 있는 최적의 무게인 350g을 이룰 수 있게 된다. In particular, when the first weight 7 is set to 250g and the
이 경우 제1 무게추(7)와 제2 무게추(8)의 무게 비율은 2.5 : 1 로 설정될 수 있는데, 이는 컵을 바닥에 놓았을 때 가장 안정적인 무게비이며, 사용자가 들었을 때, 마실 때 컵을 안정적으로 들 수 있는 최적의 무게비에 해당한다. In this case, the weight ratio of the first weight 7 and the
사용자는 손가락 안착홈(6)에 엄지 손가락을 제외한 손가락들을 얹고, 손잡이(5)를 손바닥으로 감싸서 잡으면, 엄지손가락은 엄지손가락 안착홈(4)에 위치하게 된다. 상기 자세는 본 고안을 들었을 때, 손목에 무리가 되지 않는 안정적인 자세이다. 이후, 컵을 들었을 때, 제1 무게추(7)와 제2 무게추(8)의 무게감으로 인해 손근육, 손목 근육, 팔근육 전반에 긴장이 가해진다. 이 과정에서 상기 근육들을 단련시켜 주며 수전증 완화에 효과가 발생하게 된다. When the user puts fingers other than the thumb in the
즉,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수전증 환자용 컵은 수전증 환자가 제품을 사용하여 손 떨림을 완화할 수 있도록 전자기기를 통한 완화가 아닌 무게 배분을 통해 수전증을 완화한다. 실제로 무게 팔찌를 통해 수전증 환자의 치료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이 컵은 복잡한 회로가 아닌 무게추를 두 곳으로 배분하여 모멘트 작용을 통해 사용자가 안정감을 느끼도록 한다. That is, the cup for patients with dyslexi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lleviates dyslexia through weight distribution rather than relief through electronic devices so that patients with dyslexia can alleviate hand tremor using the product. In fact, the treatment of patients with tremors is performed through a weight bracelet, and this cup distributes weights to two places rather than a complicated circuit, so that the user feels a sense of stability through a moment action.
한편,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수전증 환자용 컵의 경우, 손 떨림 보정이 필요한 환자를 위한 컵 등의 식기류에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대학병원의 입원실, 요양원 등의 손 떨림 보정이 필요한 환자를 위한 컵, 가정에서 치료를 하는 손 떨림 보정이 필요한 환자의 가정용 컵, 손목 부상 환자 등 손목에 부담이 가지 않아야 하는 환자의 개인용 컵 등으로 이용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a cup for a patient with hydrocephal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may be used for tableware such as a cup for a patient who needs correction of hand shake. For example, cups for patients who need hand shake correction in hospitals and nursing homes in university hospitals, home cups for patients who need hand shake correction who are treated at home, wrist injuries, etc. It can be used as a personal cup.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고안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지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고안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고안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ll understand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its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characteristics.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illustrative in all respects and not limiting.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dicated by the claims to be described later rather tha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all changes or modified form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 concept of equivalents thereof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o.
1: 컵 입구
2: 컵 몸체
3: 컵 바닥부
4: 엄지손가락 안착홈
5: 손잡이
6: 손가락 안착홈
7: 제1 무게 추
8: 제2 무게 추
9a: 제1 무게추 홈
9b: 제2 무게추 홈1: cup opening
2: cup body
3: cup bottom
4: Thumb recess
5: handle
6: Finger mounting groove
7: first weight weight
8: second weight weight
9a: first weight groove
9b: second weight groove
Claims (5)
상기 컵 몸체의 일측에 연결되는 손잡이;
상기 컵 몸체와 상기 손잡이의 연결 부위에 삽입되는 제1 무게추; 및
상기 제1 무게추와 마주보도록 상기 컵 몸체의 타측에 삽입되는 제2 무게추;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무게추가 상기 제2 무게추보다 큰 무게를 갖도록 설정됨으로써 손 떨림 완화 기능을 갖는 수전증 환자용 컵.
A cup body having an accommodation space therein;
A handle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cup body;
A first weight inserted into a connection portion between the cup body and the handle; And
A second weight inserted into the other side of the cup body to face the first weight; Including,
The cup for patients with metabolic syndrome having a hand shake relief function by setting the first weight to have a greater weight than the second weight.
상기 제1 무게추와 상기 제2 무게추의 무게 비율은, 2.5 : 1 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전증 환자용 컵.
The method of claim 1,
The weight ratio of the first weight and the second weight is set to 2.5:1.
상기 제1 무게추는, 240g ~ 260g의 무게를 가지고,
상기 제2 무게추는, 90g ~ 110g의 무게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전증 환자용 컵.
The method of claim 1,
The first weight has a weight of 240g ~ 260g,
The second weight is a cup for patients with metaplasia,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 weight of 90g ~ 110g.
상기 제1 무게추가 내부에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컵 몸체와 상기 손잡이의 연결 부위에 형성되는 제1 무게추 홈; 및
상기 제2 무게추가 내부에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컵 몸체의 타측에 형성되는 제2 무게추 홈; 을 더 포함하는 수전증 환자용 컵.
The method of claim 1,
A first weight groove formed in a connection portion between the cup body and the handle so that the first weight can be inserted therein; And
A second weight groove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cup body so that the second weight can be inserted into the inside; Cups for patients with hydrocephalus further comprising a.
상기 손잡이의 상측에는 파지 시 사용자의 엄지손가락이 안착되는 엄지손가락 안착홈이 형성되고, 상기 컵 몸체와 마주보는 상기 손잡이의 내측에는 파지 시 사용자의 나머지 손가락들이 안착되는 손가락 안착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전증 환자용 컵.
The method of claim 1,
A thumb seating groove is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handle in which the user's thumb is seated when gripped, and a finger seating groove is formed in the inner side of the handle facing the cup body to seat the remaining fingers of the user when gripped. Cups for patients with hydrocephalus.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80004175U KR200492125Y1 (en) | 2018-09-07 | 2018-09-07 | Cup for patient with essential trem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80004175U KR200492125Y1 (en) | 2018-09-07 | 2018-09-07 | Cup for patient with essential trem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000593U KR20200000593U (en) | 2020-03-17 |
KR200492125Y1 true KR200492125Y1 (en) | 2020-08-11 |
Family
ID=699487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180004175U Active KR200492125Y1 (en) | 2018-09-07 | 2018-09-07 | Cup for patient with essential trem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492125Y1 (en)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090078714A1 (en) * | 2007-07-06 | 2009-03-26 | Christopher James Peacock | Stabalising & locking drinking device |
JP2014181077A (en) * | 2013-03-18 | 2014-09-29 | Yasuo Kimura | Container with handle, having thumb cushion mounting part |
CN107378959A (en) * | 2017-07-20 | 2017-11-24 |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 A kind of hand held object and its hand jitter compensation method |
Family Cites Familie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50011958A (en) * | 2013-07-24 | 2015-02-03 | 우형중 | weight added papercup |
-
2018
- 2018-09-07 KR KR2020180004175U patent/KR200492125Y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090078714A1 (en) * | 2007-07-06 | 2009-03-26 | Christopher James Peacock | Stabalising & locking drinking device |
JP2014181077A (en) * | 2013-03-18 | 2014-09-29 | Yasuo Kimura | Container with handle, having thumb cushion mounting part |
CN107378959A (en) * | 2017-07-20 | 2017-11-24 |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 A kind of hand held object and its hand jitter compensation method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000593U (en) | 2020-03-1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Shim et al. | Age-related changes in finger coordination in static prehension tasks | |
Augurelle et al. | Importance of cutaneous feedback in maintaining a secure grip during manipulation of hand-held objects | |
JP6202649B2 (en) | Handheld device and vibration canceling method | |
Frost et al. | PLAD (personal lift assistive device) stiffness affects the lumbar flexion/extension moment and the posterior chain EMG during symmetrical lifting tasks | |
Duff | Impact of peripheral nerve injury on sensorimotor control | |
WO2014186537A1 (en) | Game-based sensorimotor rehabilitator | |
JP3175233U (en) | Clamps such as chopsticks and tongs with a second biasing section | |
KR200492125Y1 (en) | Cup for patient with essential trem | |
US10455961B2 (en) | Adaptive handcuff for progressive feeding utensils | |
US20190350796A1 (en) | Ergonomic grip and axilla for walking aid devices | |
KR101079832B1 (en) | Chopsticks For Training | |
WO2012002889A1 (en) | Handheld device with a vertically holding body for a disabled person | |
JP7674733B2 (en) | Daily Grasp Target Items | |
EP3013191B1 (en) | Device for a set of cutlery | |
TWI847850B (en) | Holding assist device | |
CN205697024U (en) | A kind of rehabilitation auxiliary cutlery | |
Szekeres | Tenodesis extension splinting for radial nerve palsy | |
CN210749697U (en) | Simple chopsticks | |
JP5928982B2 (en) | Bathtub with handrail | |
KR20130122873A (en) | Easy-to-Grip Meal | |
Dierick et al. | Fine adaptive control of precision grip without maximum pinch strength changes after median nerve mobilization | |
CN215535351U (en) | Multifunctional holding aid | |
JP3058892U (en) | Eating and drinking equipment for the disabled | |
Saptari et al. | Hand Parameters and Walking Stick Design: A Case Study among Elderly Malaysian | |
KR20190068809A (en) | Spoons for patients with tremo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UA0108 |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180907 |
|
U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U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20190617 |
|
U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20191223 |
|
U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U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date: 20200720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U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Patent event date: 20200805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U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20200806 |
|
U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62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80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