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1931Y1 - 무단횡단 방지용 휀스 - Google Patents
무단횡단 방지용 휀스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91931Y1 KR200491931Y1 KR2020200001656U KR20200001656U KR200491931Y1 KR 200491931 Y1 KR200491931 Y1 KR 200491931Y1 KR 2020200001656 U KR2020200001656 U KR 2020200001656U KR 20200001656 U KR20200001656 U KR 20200001656U KR 200491931 Y1 KR200491931 Y1 KR 200491931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ole
- horizontal bar
- transverse direction
- bracket
- hardness
- Prior art date
Links
- 230000003014 reinforcing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7
- 230000000875 corresponding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3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
- 230000002787 reinforcemen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3
- 210000000614 Ribs Anatomy 0.000 claims description 18
- 230000015572 biosynthetic process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05755 formation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29920000515 polycarbonate Polymer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4417 polycarbon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29920002635 polyurethane Polymer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4814 polyuretha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0000037250 Clearanc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190 augmentativ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512 clearanc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629 sup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5/00—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 E01F15/02—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 E01F15/04—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essentially made of longitudinal beams or rigid strips supported above ground at spaced point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14—Fences constructed of rigid elements, e.g. with additional wire fillings or with posts
- E04H17/1413—Post-and-rail fences, e.g. without vertical cross-members
- E04H17/1447—Details of connections between rails and posts
- E04H17/1452—Details of connections between rails and posts the ends of the rails are fixed on the lateral sides of the posts
-
- E04H2017/1452—
Abstract
본 고안은 지주 및 연결브래킷의 교체 없이 다양한 종류의 가로바를 견고하고 용이하게 결합시킬 수 있고, 외부 충격에 의해 연결부분이 쉽게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무단횡단 방지용 휀스를 제공함에 있다. 이를 위한 본 고안은 횡방향으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한 쌍의 지주; 상기 지주에 횡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연결브래킷; 상기 지주 사이에 횡방향으로 구비되며, 단부에 상기 연결브래킷이 삽입되는 가로바; 상기 가로바에 삽입되도록 상기 가로바의 내측면과 상응하는 형상의 외측면을 가지며, 상기 연결브래킷이 삽입되도록 상기 연결브래킷의 외측면과 상응하는 형상의 내측면을 가지고, 내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체결공이 관통 형성되는 보강소켓; 및 상기 가로바, 상기 보강소켓 및 상기 연결브래킷을 관통하면서 상기 체결공에 나사 결합되는 체결부재를 포함하는 특징을 개시한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무단횡단 방지용 휀스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다양한 종류의 가로바를 견고하고 용이하게 결합시킬 수 있고, 외부 충격에 의해 연결부분이 쉽게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무단횡단 방지용 휀스에 관한 것이다.
도로나 인도의 가장자리에는 차량이나 보행자의 무단횡단을 방지하기 위한 목적으로 휀스가 설치된다. 이러한 휀스는 통행의 방향에 따라 차도 혹은 인도를 분리하기 위하여 도로나 인도의 중앙에 설치될 수도 있다.
도 1은 종래 휀스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 휀스(10)는 이격 배치되는 복수의 지주(11)가 연속 설치되고, 이웃하는 지주(11)를 연결하도록 횡방향으로 가로바(13)가 연속적으로 배치된다.
이때, 지주(11)에는 횡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중공 구조의 브래킷(12)이 구비된다. 따라서, 가로바(13)의 양쪽 단부를 브래킷(12)에 삽입한 다음, 가로바(13)의 삽입단부와 브래킷(12)를 볼트와 나사로 체결하게 된다.
이러한 종래 휀스(10)는 비록 현장 시공성이 우수하지만, 차량 추돌 등 휀스(10)에 외력이 가해지면, 브래킷(12)으로부터 가로바(13)가 쉽게 분리되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즉, 휀스(10)에 외력이 가해지면, 가장 취약한 브래킷(12)과 가로바(13)의 연결부분에 집중되고, 이로 인하여 브래킷(12)이나 가로바(13)의 단부 부분이 쉽게 파손되는 문제가 발생된다.
한편, 가로바(13)는 설치되는 환경에 따라 다양한 길이 및 단면 형상을 가지도록 제작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차도의 경우에는 상대적으로 두꺼운 두께의 가로바(13)가 설치될 수 있고, 인도의 경우에는 상대적으로 얇은 두께의 가로바(13)가 설치될 수 있다.
이처럼 지주(11)와 달리 설치 환경에 따라 다양한 종류의 가로바(13)가 설치될 경우 지주(11)에 가로바(13)를 조립하기 위해서는 가로바(13)와 상응하는 연결브래킷(12)이 마련되어야 하기 때문에, 가로바(13)의 종류에 따라 연결브래킷(12) 및 지주(11)도 함께 교체되어야 하며, 이에 따라, 많은 비용과 설치 공수가 요구된다.
본 고안의 목적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고안은 지주 및 연결브래킷의 교체 없이 다양한 종류의 가로바를 견고하고 용이하게 결합시킬 수 있고, 외부 충격에 의해 연결부분이 쉽게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무단횡단 방지용 휀스를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무단횡단 방지용 휀스는, 횡방향으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한 쌍의 지주; 상기 지주에 횡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횡방향으로 길이를 가지는 장공의 제1관통공이 구비되는 브래킷몸체부와, 상기 지주와 연결되는 상기 브래킷몸체부의 일단부에서 상기 지주의 외측면을 따라 좌측 및 우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브래킷보강부와, 상기 브래킷몸체부의 좌측 및 우측에 길이방향을 따라 오목 형성되며 상기 제1관통공이 배치되는 수용부와, 상기 브래킷몸체부의 외측면에 오목 형성되는 걸림홈부를 구비하는 연결브래킷; 상기 지주 사이에 횡방향으로 구비되며, 단부에 상기 연결브래킷이 삽입되고, 상기 제1관통공에 상응하도록 횡방향으로 길이를 가지는 장공의 제2관통공과, 내측면 상부 및 내측면 하부에 길이방향으로 구비되며 복수개의 안내홈부가 형성되도록 서로 이격 배치되는 복수개의 제1돌출리브와, 내측면에 오목 형성되는 위치결정 오목부를 구비하는 가로바; 상기 가로바에 삽입되도록 상기 가로바의 내측면과 상응하는 형상의 외측면을 가지며, 상기 연결브래킷이 삽입되도록 상기 연결브래킷의 외측면과 상응하는 형상의 내측면을 가지고, 내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체결공이 관통 형성되며, 외측면에 길이방향으로 구비되며 각각의 상기 안내홈부에 삽입되는 복수개의 제2돌출리브와, 외측면에 볼록 형성되어 상기 위치결정 오목부에 결합되는 위치결정 볼록부와, 상기 체결공을 교차하면서 횡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두께가 증대되도록 내측면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수용부에 삽입되는 두께보강부와, 내측면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걸림홈부에 결합되는 걸림돌출부를 구비하는 보강소켓; 및 상기 제1관통공, 상기 제2관통공 및 상기 체결공을 관통하되, 상기 체결공에 나사 결합되는 체결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브래킷은 제1경도를 가지고, 상기 가로바는 제2경도를 가지며, 상기 보강소켓은 제3경도를 가지되, 상기 제3경도는 상기 제1경도 및 상기 제2경도 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단횡단 방지용 휀스는, 횡방향으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한 쌍의 지주; 상기 지주에 횡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횡방향으로 길이를 가지는 장공의 제1관통공과, 좌측 및 우측에 길이방향을 따라 오목 형성되며 상기 제1관통공이 배치되는 수용부와, 외측면에 오목 형성되는 걸림홈부를 구비하는 연결브래킷; 상기 지주 사이에 횡방향으로 구비되며, 단부에 상기 연결브래킷이 삽입되고, 상기 제1관통공에 상응하도록 횡방향으로 길이를 가지는 장공의 제2관통공과, 내측면 상부 및 내측면 하부에 길이방향으로 구비되며 복수개의 안내홈부가 형성되도록 서로 이격 배치되는 복수개의 제1돌출리브와, 내측면에 오목 형성되는 위치결정 오목부를 구비하는 가로바; 상기 가로바에 삽입되도록 상기 가로바의 내측면과 상응하는 형상의 외측면을 가지며, 상기 연결브래킷이 삽입되도록 상기 연결브래킷의 외측면과 상응하는 형상의 내측면을 가지고, 내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체결공이 관통 형성되며, 외측면에 길이방향으로 구비되며 각각의 상기 안내홈부에 삽입되는 복수개의 제2돌출리브와, 외측면에 볼록 형성되어 상기 위치결정 오목부에 결합되는 위치결정 볼록부와, 상기 체결공을 교차하면서 횡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두께가 증대되도록 내측면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수용부에 삽입되는 두께보강부와, 내측면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걸림홈부에 결합되는 걸림돌출부를 구비하는 소켓몸체부와, 상기 지주의 외측면에 밀착되도록 상기 소켓몸체부의 일단부에서 상기 지주의 외측면을 따라 좌측 및 우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소켓날개부를 구비하는 보강소켓; 및 상기 제1관통공, 상기 제2관통공 및 상기 체결공을 관통하되, 상기 체결공에 나사 결합되는 체결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브래킷은 제1경도를 가지고, 상기 가로바는 제2경도를 가지며, 상기 보강소켓은 제3경도를 가지되, 상기 제3경도는 상기 제1경도 및 상기 제2경도 보다 큰 것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보강소켓을 매개로 지주와 가로바를 연결하도록 함으로써, 지주의 교체 없이 다양한 종류의 가로바를 효율적으로 조립 시공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휀스의 제작 및 보수 작업에 소요되는 공수 및 비용을 크게 줄일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르면, 보강소켓을 매개로 지주와 가로바를 연결하도록 함으로써, 지주와 가로바의 조립 위치를 용이하게 설정하여 조립을 신속 정확하게 수행할 수 있고, 휀스 연결부분을 보강하여 외부 충격에 의해 연결부분이 쉽게 파손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무단횡단 방지용 휀스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무단횡단 방지용 휀스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무단횡단 방지용 휀스의 연결부분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무단횡단 방지용 휀스의 연결부분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연결브래킷 및 보강소켓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무단횡단 방지용 휀스의 연결부분에 대한 횡단면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무단횡단 방지용 휀스의 연결부분에 대한 종단면이다.
도 8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결브래킷 및 보강소켓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단횡단 방지용 휀스의 연결부분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무단횡단 방지용 휀스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무단횡단 방지용 휀스의 연결부분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무단횡단 방지용 휀스의 연결부분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연결브래킷 및 보강소켓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무단횡단 방지용 휀스의 연결부분에 대한 횡단면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무단횡단 방지용 휀스의 연결부분에 대한 종단면이다.
도 8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결브래킷 및 보강소켓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단횡단 방지용 휀스의 연결부분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이하 상술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가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된다. 본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될 수 있으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무단횡단 방지용 휀스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무단횡단 방지용 휀스의 연결부분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무단횡단 방지용 휀스의 연결부분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연결브래킷 및 보강소켓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무단횡단 방지용 휀스(100)는 지주(110), 연결브래킷(120), 가로바(130), 보강소켓(140) 및 체결부재(150)를 포함할 수 있다.
지주(110)는 횡방향으로 이격 배치되는 한 쌍의 지주를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지주(110)는 수직하게 구비되며, 하단부에는 바닥면에 결합되는 고정부(111)가 구비될 수 있다. 고정부(111)는 앵커 등의 별도의 체결부재를 이용하여 바닥면에 고정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지주(110)는 차량 충돌 등 외력에 의하여 자연스레 휘어지거나 압축되는 등 변형되었다가 최초 위치 및 형태로 복원될 수 있도록 탄성력을 가지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면, 폴리우레탄(polyurethane),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소재가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지주(110)는 외력에 의한 변형 및 복원이 용이하도록 내부가 중공 구조를 이룰 수 있다.
또한, 지주(110)의 외면에는 차량이나 보행자의 시인성을 높일 수 있도록 반사시트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연결브래킷(120)은 이웃하는 지주(110)를 향하도록 지주(110)에서 횡방향으로 돌출되도록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연결브래킷(120)은 지주(110)의 높이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유지하며 복수개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연결브래킷(120)은 지주(110)에 일체로 결합될 수 있으며, 지주(110) 제작 시 일체로 성형되어 제작될 수 있다. 이러한 연결브래킷(120)은 제1경도를 가질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연결브래킷(120)은 브래킷몸체부(122) 및 브래킷보강부(123)를 포함할 수 있다.
브래킷몸체부(122)는 보강소켓(140)에 삽입되는 부분으로, 보강소켓(140)에 삽입도록 지주(110)에서 돌출되어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브래킷몸체부(122)의 단면 형상은 보강소켓(140)의 단면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브래킷몸체부(122)에는 체결부재(150)가 관통하는 제1관통공(121)이 형성될 수 있다. 제1관통공(121)은 체결부재(150)가 관통되도록 체결부재(150)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가질 수 있으며, 보강소켓(140) 및 가로바(130)가 삽입되는 횡방향으로 길이를 가지는 장공일 수 있다.
또한, 브래킷몸체부(122)의 외측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오목 형성되는 수용부(124)가 형성될 수 있다. 수용부(124)는 후술되는 보강소켓(140)과의 결합 시 두께보강부(147)가 삽입 안내될 수 있다.
브래킷보강부(123)는 지주(110)와 연결되는 브래킷몸체부(122)의 일단부에서 지주(110)의 외측면을 따라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즉, 브래킷보강부(123)는 지주(110)와 브래킷몸체부(122)를 연결하는 부분의 두께를 보강하여 지주(110)와 보강소켓(140) 및 가로바(130)의 연결부분의 강성이 증대될 수 있다. 그리고, 브래킷보강부(123)는 지주(110)의 외측면을 따라 좌측 및 우측으로 연장 형성됨으로써, 차량 충돌 등 좌측 또는 우측에서 가해지는 외력으로부터 연결부분의 강성이 보다 증대될 수 있다.
가로바(130)는 이웃하는 지주(110)를 연결하는 것으로, 이웃하는 지주(110) 사이에서 횡방향으로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가로바(130)는 단부에 연결브래킷(120)이 삽입될 수 있으며, 이러한 가로바(130)는 연결브래킷(120)이 삽입될 수 있도록 내부 전체가 중공될 수 있으며, 연결브래킷(120)이 삽입되는 적어도 단부 영역은 중공될 수 있다.
또한, 가로바(130)는 차량 충돌 등 외력에 의하여 자연스레 휘어지거나 압축되는 등 변형되었다가 최초 위치 및 형태로 복원될 수 있도록 탄성력을 가지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면, 폴리우레탄(polyurethane),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소재가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가로바(130)는 제2경도를 가질 수 있으며, 제2경도는 제1경도와 동일할 수 있다.
또한, 가로바(130)는 체결부재(150)가 관통하는 제2관통공(131)이 형성될 수 있다. 제2관통공(131)은 체결부재(150)가 관통되도록 체결부재(150)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가질 수 있으며, 가로바(130)가 삽입되는 횡방향으로 길이를 가지는 장공일 수 있다.
또한, 가로바(130)의 외측면에는 차량이나 보행자의 시인성을 높일 수 있도록 반사시트가 더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가로바(130)는 설치되는 환경에 따라 다양한 길이 및 단면 형상을 가지도록 제작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차도의 경우에는 상대적으로 두꺼운 두께의 가로바(130)가 설치될 수 있고, 인도의 경우에는 상대적으로 얇은 두께의 가로바(130)가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지주(110)와 지주(110) 사이의 간격이 큰 경우에는 상대적으로 두꺼운 두께의 가로바(130)가 설치될 수 있고, 지주(110)와 지주(110) 사이의 간격이 짧은 경우에는 상대적으로 얇은 두께의 가로바(130)가 설치될 수 있다.
이처럼 지주(110)와 달리 설치 환경에 따라 다양한 종류의 가로바(130)가 설치될 경우 지주(110)에 가로바(130)를 조립하기 위해서는 가로바(130)와 상응하는 연결브래킷(120) 혹은 지주(110)가 마련되어야 하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연결브래킷(120) 및 지주(110)의 교체 없이 다양한 종류의 가로바(130)를 결합시킬 수 있다.
보강소켓(140)은 지주(110) 및 연결브래킷(120)의 교체 없이 다양한 종류의 가로바(130)를 견고하고 용이하게 결합시킬 수 있고, 무단횡단 방지용 휀스(100)의 연결부분의 강성을 더욱 보강하여 차량 충돌 등 외부 충격으로부터 연결부분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보강소켓(140)은 양측이 개방된 중공 구조를 이루며, 가로바(130)의 단부에 삽입될 수 있으며, 가로바(130)의 내측면과 상응하는 형상의 외측면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연결브래킷(120)이 삽입되도록 연결브래킷(120)의 외측면과 상응하는 형상의 내측면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보강소켓(140)은 체결공(141)이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체결공(141)의 내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으며, 체결공(141)은 체결부재(150)와 나사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보강소켓(140)은 가로바(130)가 삽입되는 횡방향을 따라 연결브래킷(120)보다 긴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보강소켓(140)은 연결브래킷(120) 및 가로바(130) 보다 상대적으로 딱딱한 소재로 제작될 수 있다. 즉, 보강소켓(140)은 제1경도 및 제2 경도보다 큰 제3경도를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충돌하는 차량이나 보행자에 대한 충격 감소를 위해 변형 및 복원이 용이한 소재로 제작되는 연결브래킷(120) 및 가로바(130)는 보강소켓(140)을 매개로 접촉 및 지지되기 때문에, 휀스 연결부분의 강성이 증대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연결브래킷(120), 보강소켓(140) 및 가로바(130)가 순차적으로 조립되면 체결부재(150)를 체결하여 휀스 조립을 완료하게 된다.
체결부재(150)는 적층된 연결브래킷(120), 보강소켓(140) 및 가로바(130)를 관통하면서 체결될 수 있으며, 볼트부재(151) 및 너트부재(152)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볼트부재(151)는 연결브래킷(120)의 제1관통공(121) 및 가로바(130)의 제2관통공(131)을 관통하여 보강소켓(140)의 체결공(141)에 나사 결합될 수 있으며, 관통한 타단부가 너트부재(152)에 결합되어서 고정 체결될 수 있다.
이러한 체결부재(150)의 조립 시, 장공 구조를 이루는 연결브래킷(120)의 제1관통공(121) 및 가로바(130)의 제2관통공(131)을 통하여, 내측에 배치되어 있는 보강소켓(140)의 체결공(141)에 체결부재(150)를 용이하게 일치시켜 조립할 수 있다.
그리고, 장공 구조를 이루는 연결브래킷(120)의 제1관통공(121) 및 가로바(130)의 제2관통공(131)을 통하여, 지주(110) 및 가로바(130)에 차량 충돌 등 외력이 작용하게 되면, 지주(110) 및 가로바(130)의 자체 변형 및 복원 뿐만 아니라, 체결부재(150)와 제1관통공(121) 및 제2관통공(131)의 사이의 유격만큼 지주(110) 또는 가로바(130)는 횡방향으로 요동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휀스 연결부분에 충격 하중이 집중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6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무단횡단 방지용 휀스의 연결부분에 대한 횡단면도이다.
도 6을 추가 참조하면, 가로바(130)는 내측면에 길이방향으로 구비되며, 복수개의 안내홈부(133a)가 형성되도록 서로 이격 배치되는 복수개의 제1돌출리브(133)를 가질 수 있고, 이 경우, 보강소켓(140)은 외측면에 길이방향으로 구비되며, 각각의 안내홈부(133a)에 삽입되는 복수개의 제2돌출리브(145)를 가질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돌출리브(133) 및 제2돌출리브(145)는 가로바(130) 및 보강소켓(140)의 상부와 하부에 구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나타낸 가로바(130) 및 보강소켓(140)은 다각 형상의 단면 구조를 가지고 있으나, 이와 달리, 원형 단면 구조를 가지는 경우에는 가로바(130)에 대한 보강소켓(140)의 조립 작업에 어려움이 발생될 수 있는데, 가로바(130)의 제1돌출리브(133) 및 보강소켓(140)의 제2돌출리브(145)를 형성함으로써, 가로바(130)에 대한 보강소켓(140)의 바른 조립 위치를 용이하게 설정할 수 있고, 조립 작업을 손쉽게 완료할 수 있다.
그리고, 가로바(130) 및 보강소켓(140)의 길이방향인 횡방향으로 구비되는 제1돌출리브(133) 및 제2돌출리브(145)를 돌출 형성함으로써, 가로바(130) 및 보강소켓(140)의 강성이 증대될 수 있다.
또한, 가로바(130) 및 보강소켓(140)이 조립된 상태에서 제1돌출리브(133) 및 제2돌출리브(145)가 서로 접촉 지지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설치 후 유격에 의한 가로바(130)의 진동 및 이로 따른 소음을 줄일 수 있다.
한편, 도 5를 다시 참조하면, 보강소켓(140)은 두께가 증대되도록 내측면에 돌출 형성되는 두께보강부(147)를 더 가질 수 있다. 이러한 두께보강부(147)는 체결공(141)을 교차하면서 횡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두께보강부(147)가 구비되는 경우, 연결브래킷(120)은 외측면에 길이방향으로 구비되며, 두께보강부(147)가 삽입되는 수용부(123)를 더 가질 수 있다. 수용부(123)는 연결브래킷(120)에 보강소켓(140)이 삽입되는 과정에서 보강부(147)의 이동을 안내할 수 있다.
두께보강부(147) 및 수용부(123)는 체결부재(150)가 관통하는 보강소켓(140) 및 연결브래킷(120)의 좌우 측벽부에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두께보강부(147)는 보강소켓(140)의 두께를 두껍게 형성하여 체결부재(150)가 체결되는 체결공(141)의 두께를 두껍게 보강함으로써, 충격이 집중되는 체결부재(150) 영역의 강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체결공(141)을 교차하면서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됨으로써, 가로바(130)를 지지하는 보강소켓(130)의 강성을 더욱 증대시킬 수 있다.
도 7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무단횡단 방지용 휀스의 연결부분에 대한 종단면이다.
도 7을 추가 참조하면, 연결브래킷(120)은 외측면에 오목 형성되는 걸림홈부(125)를 가질 수 있고, 이 경우, 보강소켓(140)은 내측면에 걸림홈부(125)에 결합되도록 돌출 형성되는 걸림돌출부(148)를 가질 수 있다.
연결브래킷(120)을 향해 보강소켓(140)을 삽입할 시, 걸림돌출부(148)가 연결브래킷(120)의 외측면을 따라 슬립되며 이동하다가 걸림홈부(125)에 결합됨으로써, 삽입이 완료될 수 있고, 삽입 후 연결브래킷(120)으로부터 보강소켓(140)이 분리되는 것이 억제될 수 있다.
그리고, 보강소켓(140)은 외측면에 볼록 형성되는 위치결정 볼록부(149)를 더 가질 수 있고, 이 경우, 가로바(130)는 내측면에 오목 형성되어 위치결정 볼록부(149)가 결합되는 위치결정 오목부(135)를 가질 수 있다.
보강소켓(140)을 향해 가로바(130)를 삽입할 시, 위치결정 오목부(135)는 보강소켓(140)의 외측면을 따라 슬립되며 이동하다가 위치결 볼록부(149)에 딸깍하는 소리와 함께 결합될 수 있으며, 이렇게 위치결정 오목부(135) 및 위치결정 볼록부(149)가 결합된 상태에서 작업자는 가로바(130)의 이동을 멈춰 가로바(130)의 삽입 작업을 종료할 수 있다.
그리고, 위치결정 오목부(135) 및 위치결정 볼록부(149)가 결합된 상태에서, 보강소켓(140)의 체결공(141) 및 가로바(130)의 제2관통공(131)은 일치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이후 작업자는 체결공(141)에 대한 체결부재(150)의 체결 작업도 신속히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도 8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결브래킷 및 보강소켓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연결브래킷(120)은 전술한 실시예의 브래킷보강부(123:도 5 참조)가 없는 것에 차이가 있다.
대신에, 본 실시예에 따른 보강소켓(140)은 전술한 실시예와 달리 소켓몸체부(142) 및 소켓날개부(143)를 가질 수 있다.
소켓몸체부(142)는 양측이 개방된 중공 구조를 이루며, 가로바(130)의 단부에 삽입될 수 있으며, 가로바(130)의 내측면과 상응하는 형상의 외측면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연결브래킷(120)이 삽입되도록 연결브래킷(120)의 외측면과 상응하는 형상의 내측면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소켓몸체부(142)는 내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체결공(141)이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체결공(141)은 체결부재(150)와 나사 결합될 수 있다.
소켓날개부(143)는 지주(110)에 밀착되는 소켓몸체부(142)의 일단부에서 지주(110)의 외측면 형상에 대응되도록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즉, 소켓날개부(143)은 연결브래킷(120)에 보강소켓(140)의 삽입이 완료됨과 동시에 지주(110)의 외측면에 밀착될 수 있다.
소켓몸체부(142) 및 소켓날개부(143)은 일체로 제작될 수 있으며, 개별적으로 제작된 다음 체결부재를 통해 일체로 고정 결합될 수도 있다.
결과적으로, 소켓날개부(143)는 전술한 브래킷보강부(123)와 상응하는 작용으로부터 지주(110), 보강소켓(140) 및 가로바(130)의 연결부분의 바른 설치 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강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도 9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단횡단 방지용 휀스의 연결부분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무단횡단 방지용 휀스(100)는 만약 단면 형상 등 다른 종류의 가로바(130A)의 설치가 요구될 경우 미리 설치되어 있는 지주(110) 및 연결브래킷(120)의 교체 없이, 가로바(130) 및 가로바(130)의 형상에 상응하는 보강소켓(140A)만을 제작 준비하여 휀스의 조립을 완성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휀스의 설치 및 보수 작업의 공수와 비용을 크게 줄일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고안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경시킬 수 있다.
100: 무단횡단 방지용 휀스
110: 지주
120: 연결브래킷
130: 가로바
140: 보강소켓
150: 체결부재
110: 지주
120: 연결브래킷
130: 가로바
140: 보강소켓
150: 체결부재
Claims (2)
- 횡방향으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한 쌍의 지주;
상기 지주에 횡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횡방향으로 길이를 가지는 장공의 제1관통공이 구비되는 브래킷몸체부와, 상기 지주와 연결되는 상기 브래킷몸체부의 일단부에서 상기 지주의 외측면을 따라 좌측 및 우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브래킷보강부와, 상기 브래킷몸체부의 좌측 및 우측에 길이방향을 따라 오목 형성되며 상기 제1관통공이 배치되는 수용부와, 상기 브래킷몸체부의 외측면에 오목 형성되는 걸림홈부를 구비하는 연결브래킷;
상기 지주 사이에 횡방향으로 구비되며, 단부에 상기 연결브래킷이 삽입되고, 상기 제1관통공에 상응하도록 횡방향으로 길이를 가지는 장공의 제2관통공과, 내측면 상부 및 내측면 하부에 길이방향으로 구비되며 복수개의 안내홈부가 형성되도록 서로 이격 배치되는 복수개의 제1돌출리브와, 내측면에 오목 형성되는 위치결정 오목부를 구비하는 가로바;
상기 가로바에 삽입되도록 상기 가로바의 내측면과 상응하는 형상의 외측면을 가지며, 상기 연결브래킷이 삽입되도록 상기 연결브래킷의 외측면과 상응하는 형상의 내측면을 가지고, 내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체결공이 관통 형성되며, 외측면에 길이방향으로 구비되며 각각의 상기 안내홈부에 삽입되는 복수개의 제2돌출리브와, 외측면에 볼록 형성되어 상기 위치결정 오목부에 결합되는 위치결정 볼록부와, 상기 체결공을 교차하면서 횡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두께가 증대되도록 내측면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수용부에 삽입되는 두께보강부와, 내측면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걸림홈부에 결합되는 걸림돌출부를 구비하는 보강소켓; 및
상기 제1관통공, 상기 제2관통공 및 상기 체결공을 관통하되, 상기 체결공에 나사 결합되는 체결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브래킷은 제1경도를 가지고, 상기 가로바는 제2경도를 가지며, 상기 보강소켓은 제3경도를 가지되, 상기 제3경도는 상기 제1경도 및 상기 제2경도 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단횡단 방지용 휀스. - 횡방향으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한 쌍의 지주;
상기 지주에 횡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횡방향으로 길이를 가지는 장공의 제1관통공과, 좌측 및 우측에 길이방향을 따라 오목 형성되며 상기 제1관통공이 배치되는 수용부와, 외측면에 오목 형성되는 걸림홈부를 구비하는 연결브래킷;
상기 지주 사이에 횡방향으로 구비되며, 단부에 상기 연결브래킷이 삽입되고, 상기 제1관통공에 상응하도록 횡방향으로 길이를 가지는 장공의 제2관통공과, 내측면 상부 및 내측면 하부에 길이방향으로 구비되며 복수개의 안내홈부가 형성되도록 서로 이격 배치되는 복수개의 제1돌출리브와, 내측면에 오목 형성되는 위치결정 오목부를 구비하는 가로바;
상기 가로바에 삽입되도록 상기 가로바의 내측면과 상응하는 형상의 외측면을 가지며, 상기 연결브래킷이 삽입되도록 상기 연결브래킷의 외측면과 상응하는 형상의 내측면을 가지고, 내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체결공이 관통 형성되며, 외측면에 길이방향으로 구비되며 각각의 상기 안내홈부에 삽입되는 복수개의 제2돌출리브와, 외측면에 볼록 형성되어 상기 위치결정 오목부에 결합되는 위치결정 볼록부와, 상기 체결공을 교차하면서 횡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두께가 증대되도록 내측면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수용부에 삽입되는 두께보강부와, 내측면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걸림홈부에 결합되는 걸림돌출부를 구비하는 소켓몸체부와, 상기 지주의 외측면에 밀착되도록 상기 소켓몸체부의 일단부에서 상기 지주의 외측면을 따라 좌측 및 우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소켓날개부를 구비하는 보강소켓; 및
상기 제1관통공, 상기 제2관통공 및 상기 체결공을 관통하되, 상기 체결공에 나사 결합되는 체결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브래킷은 제1경도를 가지고, 상기 가로바는 제2경도를 가지며, 상기 보강소켓은 제3경도를 가지되, 상기 제3경도는 상기 제1경도 및 상기 제2경도 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단횡단 방지용 휀스.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200001656U KR200491931Y1 (ko) | 2020-05-18 | 2020-05-18 | 무단횡단 방지용 휀스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200001656U KR200491931Y1 (ko) | 2020-05-18 | 2020-05-18 | 무단횡단 방지용 휀스 |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200009112 Division | 2020-01-23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491931Y1 true KR200491931Y1 (ko) | 2020-07-02 |
Family
ID=715269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200001656U KR200491931Y1 (ko) | 2020-05-18 | 2020-05-18 | 무단횡단 방지용 휀스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491931Y1 (ko) |
Citation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18381Y1 (ko) * | 2006-03-08 | 2006-06-12 | 장기숙 | 조립식 안전펜스 |
KR101374310B1 (ko) * | 2013-05-20 | 2014-03-14 | 주식회사 지로드 | 탄성형 무단횡단 금지대 |
KR101538957B1 (ko) * | 2014-07-21 | 2015-07-27 | (주) 케이 이엔씨 | 조립식 레일 체결형 난간 |
KR101550381B1 (ko) | 2015-02-10 | 2015-09-07 | (주)성일솔레드 | 도로용 분리대 |
KR20170061324A (ko) * | 2015-11-26 | 2017-06-05 | 주식회사 정원로드 | 무단횡단방지용 차선분리대 |
KR20170091815A (ko) * | 2016-02-01 | 2017-08-10 | 주식회사 지로드 | 차선 분리대 |
KR20180004946A (ko) * | 2016-07-05 | 2018-01-15 | 정도산업 주식회사 | 휀스 |
-
2020
- 2020-05-18 KR KR2020200001656U patent/KR200491931Y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18381Y1 (ko) * | 2006-03-08 | 2006-06-12 | 장기숙 | 조립식 안전펜스 |
KR101374310B1 (ko) * | 2013-05-20 | 2014-03-14 | 주식회사 지로드 | 탄성형 무단횡단 금지대 |
KR101538957B1 (ko) * | 2014-07-21 | 2015-07-27 | (주) 케이 이엔씨 | 조립식 레일 체결형 난간 |
KR101550381B1 (ko) | 2015-02-10 | 2015-09-07 | (주)성일솔레드 | 도로용 분리대 |
KR20170061324A (ko) * | 2015-11-26 | 2017-06-05 | 주식회사 정원로드 | 무단횡단방지용 차선분리대 |
KR20170091815A (ko) * | 2016-02-01 | 2017-08-10 | 주식회사 지로드 | 차선 분리대 |
KR20180004946A (ko) * | 2016-07-05 | 2018-01-15 | 정도산업 주식회사 | 휀스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0491930Y1 (ko) | 무단횡단 방지용 휀스 | |
JP4993768B2 (ja) | 道路用柵 | |
KR101913838B1 (ko) | 휀스 | |
KR100827373B1 (ko) | 탄성 지지봉용 하부 고정부 | |
KR20150033333A (ko) | 펜스용 지주의 조립구조 | |
KR200491931Y1 (ko) | 무단횡단 방지용 휀스 | |
US9777448B2 (en) | Flexible crash barrier with improved impact energy-absorbing capacity | |
KR102213118B1 (ko) | 차선분리대의 지주와 횡대의 체결 보강장치 | |
KR102319139B1 (ko) | 휀스 | |
KR101825050B1 (ko) | 무단횡단방지용 차선분리대 | |
JP4397254B2 (ja) | 防音パネルの取付構造及び防音壁 | |
KR100812621B1 (ko) | 휀스용 프레임 조립체 | |
KR100823594B1 (ko) | 방호 울타리 | |
KR101609760B1 (ko) | 경사지용 옹벽을 이용한 확장 인도 시공방법 | |
KR200350314Y1 (ko) | 펜스 조립체 | |
KR102158426B1 (ko) | 도로용 탄성 볼라드 | |
KR102057202B1 (ko) | 도로 방호블록 연결기구 | |
KR100995872B1 (ko) | 원터치 연결형 도로용 가드레일 | |
KR200491311Y1 (ko) | 난간 | |
KR200467513Y1 (ko) | 무단횡단 방지 분리대 | |
KR102238512B1 (ko) | 내구성을 향상시킨 가드레일 결합구조체 | |
KR200381723Y1 (ko) | 도로용 차선 규제봉 | |
KR101249007B1 (ko) | 와이어 타입 안전 펜스 | |
AU2006235940A1 (en) | Road safety barrier | |
KR100732465B1 (ko) | 방호 울타리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