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4121Y1 - Relay for electric vehicle - Google Patents

Relay for electric vehic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4121Y1
KR200484121Y1 KR2020160001300U KR20160001300U KR200484121Y1 KR 200484121 Y1 KR200484121 Y1 KR 200484121Y1 KR 2020160001300 U KR2020160001300 U KR 2020160001300U KR 20160001300 U KR20160001300 U KR 20160001300U KR 200484121 Y1 KR200484121 Y1 KR 20048412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lay
plate
electric vehicle
fastening hole
contact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60001300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도근
Original Assignee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6000130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4121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412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4121Y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02Bases; Casings; Covers
    • H01H50/04Mounting complete relay or separate parts of relay on a base or inside a case
    • H01H50/047Details concerning mounting a relays
    • B60L11/18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1Electric veh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Abstract

버스 바의 결합 시 릴레이의 손상 및 파손을 방지하고, 내구성 및 사용상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전기 자동차용 릴레이에 관하여 개시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자동차용 릴레이는, 버스 바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접점부가 구비되는 릴레이의 몸체와, 상기 접점부로부터 이격하여 상기 몸체로부터 돌출하여 구비되는 인서트 볼트와, 상기 몸체에 밀착되어, 상기 접점부와 상기 인서트 볼트 사이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도록 결합되는 연결부재를 포함한다.
Disclosed is an electric vehicle relay capable of preventing damage and breakage of a relay when a bus bar is coupled, and improving durability and stability in us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electric vehicle relay includes a body of a relay having a contact portion electrically connected to a bus bar, an insert bolt protruding from the body and spaced apart from the contact portion, And a connecting member that is coupled to electrically connect the contact portion and the insert bolt.

Description

전기 자동차용 릴레이{RELAY FOR ELECTRIC VEHICLE} Relay for Electric Vehicle {RELAY FOR ELECTRIC VEHICLE}

본 고안은 전기 자동차용 릴레이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버스 바의 결합 시 릴레이의 손상 및 파손을 방지하고, 내구성 및 사용상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전기 자동차용 릴레이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ctric vehicle relay, and more particularly, to an electric vehicle relay capable of preventing damage and breakage of a relay when a bus bar is coupled, and improving durability and stability in use.

전기 자동차(EV: Electric Vehicle)에는 전류를 기계적 힘으로 바꾸어 주거나 그 반대의 역할을 하는 다수의 릴레이(Relay)가 사용되는데, 이를 전기 자동차용 릴레이라 한다. Electric vehicles (EVs) use a number of relays that convert current into mechanical force and vice versa, which is called a relay for electric vehicles.

전기 자동차용 릴레이에는 전류 전달을 위해 버스 바(Bus Bar)가 결합된다. Electric vehicle relays combine a bus bar for current transmission.

버스 바는 낮은 임피던스와 높은 전류용량을 갖는 도체이다. 구체적으로는 버스 바는 2개 이상의 회로를 개별적으로 연결해주거나 또는 단일의 시스템 내에서 다수의 등량 점(Like Point)을 연결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또는 여러 지점으로 전원을 분배하는 공통 도체로도 많이 사용된다.
The bus bar is a conductor with low impedance and high current capacity. Specifically, bus bars serve to connect two or more circuits individually or to connect multiple like points within a single system. Or as a common conductor that distributes power to multiple points.

도 1 및 도 2는 종래의 전기 자동차용 릴레이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릴레이에 버스 바가 체결되는 모습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1 and 2 are perspective views showing a relay for a conventional electric vehicle, and FIG.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where a bus bar is fastened to the relay shown in FIG.

종래의 전기 자동차용 릴레이(10)의 경우 기본적으로 볼트 또는 너트에 의해 버스 바(30, 40, 도 3 참조)가 체결되는 방식으로 이루어져 있다.In the case of the conventional electric vehicle relay 10, the bus bars 30 and 40 (see FIG. 3) are basically fastened by bolts or nuts.

도 1에 도시된 종래의 전기 자동차용 릴레이(10)는 볼트(50, 60, 도 3 참조)를 이용하여 버스 바(30, 40, 도 3 참조)가 체결되는 방식으로, 릴레이(10)의 상단에는 나사 홈(11)이 구비된다. The conventional electric vehicle relay 10 shown in Fig. 1 is mounted on the rear side of the relay 10 in such a manner that the bus bars 30 and 40 (see Fig. 3) are fastened using bolts 50 and 60 And a screw groove 11 is provided at an upper end thereof.

그리고 나사 홈(11)에 W방향으로 볼트(50, 60, 도 3 참조)가 나사 결합되어 버스 바(30, 40, 도 3 참조)가 릴레이(10)의 상단에 고정된다. 3) are screwed to the screw groove 11 in the direction W to fix the bus bars 30 and 40 (see FIG. 3) to the upper end of the relay 10. As shown in FIG.

도 2에 도시된 종래의 전기 자동차용 릴레이(10)는 너트(미도시)에 의해 버스 바가 체결되는 방식으로, 릴레이(10)의 상단에는 버스 바를 고정하도록 너트(미도시)가 나사 결합되기 위한 나사 돌기(21)가 구비된다. 너트(미도시)는 나사 돌기(21)에 W 방향으로 나사 결합된다. The conventional electric vehicle relay 10 shown in FIG. 2 has a structure in which a bus bar is fastened by a nut (not shown) and a nut (not shown) is screwed to the upper end of the relay 10 to fix the bus bar A screw projection 21 is provided. The nut (not shown) is screwed to the screw projection 21 in the W direction.

도 3을 참조하면, 도 1에 도시된 종래의 전기 자동차용 릴레이(10)의 상단에 복수 개의 버스 바(30, 40)가 고정되는 구조를 보여준다. Referring to FIG. 3, there is shown a structure in which a plurality of bus bars 30 and 40 are fixed to the upper end of the conventional electric vehicle relay 10 shown in FIG.

종래의 전기 자동차용(10)의 상단에는 복수 개의 나사 홈(11: 11a, 11b)이 구비되고, 이들 나사 홈(11: 11a, 11b)을 통해 버스 바(30, 40)의 체결 홀(31, 41)을 관통한 볼트(50, 60)가 나사 결합된다. A plurality of thread grooves 11 (11a and 11b) are provided on the upper end of the conventional electric automobile 10 and the fastening holes 31 (11a and 11b) of the bus bars 30 and 40 Bolts 50, 60 penetrating through the bolts 41, 42 are screwed.

이와 같은 구조에 따라 복수 개의 버스 바(30, 40)는 전기 자동차용 릴레이(10)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었다.
According to this structure, the plurality of bus bars 30 and 40 can be firmly fixed to the electric vehicle relay 10.

하지만,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전기 자동차용 릴레이(10)는 볼트(50, 60)의 과도한 체결력에 의해 릴레이(10) 자체가 파손되는 문제가 유발될 수 있었다. However, the conventional relay 10 for an electric vehicle as described above may cause a problem that the relay 10 itself may be damaged due to excessive fastening force of the bolts 50 and 60.

또한, 상기의 같은 종래의 전기 자동차용 릴레이(10)는 장기간 사용으로 인해 볼트(50, 60)의 조임 및 풀림이 반복적으로 수행될 경우 접점에 손상이 발생되는 문제가 야기될 수 있었다.
In addition, the conventional relay 10 for an electric vehicle as described above may cause a problem of damage to contacts when the bolts 50 and 60 are repetitively tightened and loosened due to long-term use.

본 고안과 관련된 선행기술로는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4-0003026호(2014.05.22. 공개일)가 있으며, 상기 선행문헌에는 전기자동차용 릴레이와 버스바의 체결구조에 관한 내용이 개시되어 있다.
As a prior art relat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 Korean Utility Model No. 20-2014-0003026 (date of publication May 21, 2014), and the prior art discloses a connection structure of an electric vehicle relay and a bus bar. .

본 고안의 목적은 버스 바의 결합을 위해 볼트를 체결 시 과도한 토크 발생 또는 반복 사용으로 인해 릴레이나 접점에 손상이 유발되는 것을 방지하여 사용상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전기 자동차용 릴레이를 제공함에 있다.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electric vehicle relay capable of preventing the occurrence of damage to relays or contacts due to excessive torque generation or repetitive use when bolts are fastened for coupling of bus bars, thereby improving stability in use.

본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여기서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The problems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other problems not mentioned here can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자동차용 릴레이는, 버스 바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접점부가 구비되는 릴레이의 몸체; 상기 접점부로부터 이격하여 상기 몸체로부터 돌출하여 구비되는 인서트 볼트; 및 상기 몸체에 밀착되어, 상기 접점부와 상기 인서트 볼트 사이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도록 결합되는 연결부재;를 포함한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electric vehicle relay includes a relay body having a contact portion electrically connected to a bus bar; An insert bolt protruding from the body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the contact portion; And a connection member which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body and is coupled to electrically connect the contact portion and the insert bolt.

이때,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몸체에 마련된 안착 홈을 통해 삽입되는 플레이트; 상기 플레이트의 일단부에 형성되는 제1 체결 홀; 및 상기 플레이트의 타단부에 형성되는 제2 체결 홀;을 포함한다. At this time, the connecting member includes: a plate inserted through a seating groove provided in the body; A first fastening hole formed at one end of the plate; And a second fastening hole formed at the other end of the plate.

또한, 상기 제1 체결 홀은, 상기 플레이트의 안착 시 상기 접점부의 상부에 위치할 수 있다. The first fastening hole may be located on the contact portion when the plate is seated.

또한, 상기 제1 체결 홀을 관통하여 상기 접점부에 나사 조립되는 조립 볼트를 포함한다. And an assembly bolt that passes through the first fastening hole and is screwed to the contact portion.

또한, 상기 제2 체결 홀은, 상기 플레이트의 안착 시 상기 인서트 볼트가 관통하도록 위치하며, 상기 관통한 인서트 볼트를 통해 버스 바가 결합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second fastening hole is positioned such that the insert bolt passes through when the plate is seated, and the bus bar can be coupled through the penetrating insert bolt.

한편, 상기 플레이트의 일단부와 타단부 사이에는 상기 플레이트의 일단부와 타단부보다 두께가 작은 두께 감소부가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플레이트의 일단부와 타단부의 두께는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두께 감소부는 플레이트의 일단부와 타단부 사이에서 단차를 형성하여 상대적으로 작은 두께를 가질 수 있는데, 재료비 절감 및 중량 감소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A thickness reducing part having a thickness smaller than one end and the other end of the plate may be provided between one end and the other end of the plate. For example, the thickness of one end of the plate and the thickness of the other end of the plate may be the same, and the thickness reduction part may form a step between one end and the other end of the plate to have a relatively small thickness. The effect of reduction can be expected.

본 고안인 전기 자동차용 릴레이에 의하면, 버스 바의 결합을 위해 볼트를 체결 시 과도한 토크 발생 또는 반복적인 볼트의 조임 및 풀림으로 인해 릴레이나 접점에 손상 또는 파손이 유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기 자동차용 릴레이의 사용상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relay for an electric vehicle can prevent the occurrence of excessive torque when the bolt is fastened for coupling the bus bar, or damage or breakage of the relay or the contact due to repetitive tightening and loosening of the bolt. As a result, the stability in use of the electric vehicle relay can be improved.

또한, 본 고안인 전기 자동차용 릴레이에 의하면, 릴레이 접점을 통해 버스 바를 결합시키기 위해 볼트가 직접 체결되는 기존의 방식에서 벗어나 버스 바의 결합을 위한 작업자의 조립 위치가 간격을 두어 형성되는 간접 체결 구조를 가질 수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relay for an electric vehicle has an indirect coupling structure in which an assembling position of an operator is formed at an interval for engagement of a bus bar, apart from a conventional method in which a bolt is directly fastened, Lt; / RTI >

다시 말해, 릴레이 접점으로부터 간격을 두어 인서트 볼트가 구비되고, 릴레이 접점과 인서트 볼트 사이에는 연결부재가 구비되며, 버스 바는 인서트 볼트를 통해 접점으로부터 벗어나 간접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이로써 접점의 직접적인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In other words, an insert bolt is provided at an interval from the relay contact, a connection member is provided between the relay contact and the insert bolt, and the bus bar can be indirectly coupled out of the contact via the insert bolt. This can prevent direct damage of the contact point.

도 1 내지 도 3은 종래의 전기 자동차용 릴레이와 버스 바 결합 구조를 간략히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자동차용 릴레이를 간략히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자동차용 릴레이를 간략히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자동차용 릴레이의 플레이트 부재를 간략히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자동차용 릴레이의 플레이트 부재의 변형예를 간략히 도시한 사시도이다.
FIGS. 1 to 3 are views schematically showing a structure of a conventional electric vehicle relay and a bus bar.
4 is a perspective view briefly showing a relay for an electric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relay for an electric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plate member of an electric vehicle rela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perspective view briefly showing a modified example of a plate member of an electric vehicle rela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기 자동차용 릴레이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a relay for an electric vehicl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일반적으로, 전기 자동차(EV: Electric Vehicle)에는 전류를 기계적 힘으로 바꾸어 주거나 그 반대의 역할을 하는 다수의 릴레이(Relay)가 사용되는데, 이를 전기 자동차용 릴레이라 한다. Generally, electric vehicles (EVs) use a large number of relays, which convert electric current to mechanical force and vice versa, which are called electric vehicle relays.

대부분의 경우, 전기 자동차용 릴레이에는 전류 전달을 위해 버스 바(Bus Bar)가 결합되어 사용되는데, 버스 바는 낮은 임피던스와 높은 전류용량을 갖는 도체를 말한다.
In most cases, relays for electric vehicles use a combination of bus bars for current carrying, which is a conductor with low impedance and high current capacity.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자동차용 릴레이를 간략히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자동차용 릴레이를 간략히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FIG. 4 is a perspective view briefly showing a relay for an electric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briefly showing an electric vehicle rela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및 도 5를 참조하면, 도시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자동차용 릴레이(100)는, 릴레이의 몸체(101)와, 연결부재(110), 그리고 인서트 볼트(150)를 포함한다.
4 and 5, an electric vehicle relay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relay body 101, a connecting member 110, and an insert bolt 150 do.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자동차용 릴레이(100)는 버스 바(30, 40, 도 3 참조)의 결합 시 몸체(101)의 일측(예: 상단)에 구비된 접점부(107, 도 5참조)에 손상이 유발되는 것을 방지하는 구조를 가지는데, 전기 자동차용 릴레이(100)의 사용상 안정성을 향상시켜줄 수 있다.
The relay 100 for an electric vehicl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contact points 107 and 108 provided on one side (e.g., the upper end) of the body 101 when the bus bars 30 and 40 5), which can improve the stability of the electric vehicle relay 100 in use.

릴레이의 몸체(이하 간략히 '몸체'라 함)(101)는 도 4에 도시된 형상에 따라 제공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형상으로 변경하여 실시 가능하다. The body 101 of the relay may be provided according to the shape shown in FIG. 4,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modified into various shapes.

몸체(101)의 일측, 즉 몸체의 상단(103)을 통해 버스 바(미도시)가 통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는데, 접점부(107, 도 5 참조)가 암나사공의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A bus bar (not shown) may be energized through one side of the body 101, that is, the upper end 103 of the body, and the contact 107 (see FIG. 5)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a female screw .

인서트 볼트(150)는 몸체(101)의 접점부(107, 도 5 참조)와 간격을 두고 위치하는데, 몸체(101)의 상단(103)에서 수직 상방으로 소정의 길이를 갖도록 돌출될 수 있다. The insert bolt 150 is spaced apart from the contact portion 107 of the body 101 and may protrude vertically upward from the upper end 103 of the body 101 to have a predetermined length.

이러한 인서트 볼트(150)는 연결부재(130)의 삽입 후 버스 바(미도시)와 결합될 수 있다.
The insert bolt 150 may be engaged with a bus bar (not shown) after the connection member 130 is inserted.

연결부재(110)는 몸체(101)의 상단(103)에 밀착되어 접점부(107, 도 5 참조)와 인서트 볼트(150) 사이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The connection member 110 may be coupled to the upper end 103 of the body 101 to electrically connect the contact portion 107 (see FIG. 5) and the insert bolt 150.

구체적인 예로서, 이러한 연결부재(110)는 몸체의 상단(103)에 구비된 안착 홈(105, 도 5 참조)에 밀착될 수 있는데, 연결부재(110)의 양단을 통해 접점부(107, 도 5 참조)와 인서트 볼트(150)는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5) provided on the upper end 103 of the body, and the contact portions 107 and 107 may be connected to both ends of the connecting member 110 through the opposite ends of the connecting member 110. [ 5) and the insert bolt 150 can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도 5를 참조하면, 연결부재(110)는 플레이트(111), 제1 체결 홀(113), 및 제2 체결 홀(115)을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5, the connecting member 110 may include a plate 111, a first fastening hole 113, and a second fastening hole 115.

플레이트(111)는 몸체의 상단(103)에 마련된 안착 홈(105, 도 5 참조)에 안착 가능한 부재로서, 바람직하게는 안착 홈(105, 도 5 참조)의 크기 및 형상에 대응하여 형성될 수 있다. The plate 111 is a member that can be seated in a seating groove 105 (see FIG. 5) provided on the upper end 103 of the body and can preferably be formed corresponding to the size and shape of the seating groove 105 have.

일 예로서, 이러한 플레이트(111)는 각 모서리가 라운드 처리된 직사각형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이 경우 안착 홈(105) 역시 같은 형상을 갖는 것이 좋다. As an example, the plate 111 may have a rectangular shape in which each corner is rounded. In this case, the seating groove 105 may have the same shape.

다만, 이러한 안착 홈(105)과 플레이트(111)는 도시된 형상에 한정되지 않으며 이와 다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However, the seating groove 105 and the plate 111 are not limited to the illustrated shapes and may have different shapes.

제1 체결 홀(113)은 플레이트(111)의 일단부에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체결 홀(113)은 플레이트(111)의 안착 시 접점부(107)의 상부에 위치하는 것이 좋다. The first fastening hole 113 may be formed at one end of the plate 111. The first fastening hole 113 may be located above the contact point 107 when the plate 111 is seated.

이와 같이 형성됨에 따라 버스 바(미도시)를 결합하기에 앞서, 몸체의 상단(103)에 마련된 안착 홈(105)을 통해 플레이트(111)를 삽입하되, 이때 제1 체결 홀(113)은 접점부(107)와 마주하여 위치하게 된다. The plate 111 is inserted through the seating groove 105 provided at the upper end 103 of the body so that the first fastening hole 113 is in contact with the contact As shown in Fig.

한편, 제1 체결 홀(113)이 접점부(107)의 상부에 위치하게 되면, 작업자는 제1 체결 홀(113)을 관통하여 접점부(107)에 조립 볼트(130)를 나사 조립하게 된다. 도면부호 133은 조립 볼트(130)의 나사부(133)를 나타낸 것으로, 이 나사부(133)는 제1 체결 홀(113)을 관통하여 암나사 형상의 접점부(107)에 체결 될 수 있다.
When the first fastening hole 113 is positioned above the contact portion 107, the operator passes the first fastening hole 113 and screws the assembly bolt 130 to the contact portion 107 . Reference numeral 133 denotes a threaded portion 133 of the assembly bolt 130. The threaded portion 133 can be fastened to the female threaded contact portion 107 through the first fastening hole 113. [

제2 체결 홀(115)은 플레이트(111)의 타단부에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플레이트(111)의 타단부'라 함은 전술한 제1 체결 홀(113)이 형성된 플레이트(111)의 일단부의 반대편을 의미한다. The second fastening hole 115 may be formed at the other end of the plate 111. Here, the 'other end of the plate 111' refers to the opposite side of the one end of the plate 111 on which the first fastening hole 113 is formed.

이러한 제2 체결 홀(115)은 플레이트(111)의 안착 시 접점부(107)와 간격을 두고 돌출된 인서트 볼트(150)가 관통되는 구멍으로서, 이를 위해 인서트 볼트(150)와 마주하는 위치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second fastening hole 115 is a hole through which the insert bolt 150 protruded at a distance from the contact point 107 is passed through when the plate 111 is seated. .

그리고 이와 같이 제2 체결 홀(115)을 관통한 인서트 볼트(150)를 통해 버스 바(미도시)가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서, 버스 바(미도시)는 인서트 볼트(150)에 연결된 후 별도의 체결부재(예: 너트 등)에 의해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A bus bar (not shown) may be coupled through the insert bolt 150 passing through the second fastening hole 115. As a specific example, a bus bar (not shown) may be coupled to the insert bolt 150 and then tightly coupled by a separate fastening member (e.g., a nut).

이와 같이 구성됨에 따라,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자동차용 릴레이(100)에 따르면, 도 3에 도시된 종래의 릴레이(10)에서와 같이 접점(11)을 통해 직접 볼트(50, 60)를 체결하여 버스 바(30, 40)를 결합하지 않는다. According to the electric vehicle relay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olts 50, 60 (not shown) are directly connected through the contact 11 as in the conventional relay 10 shown in Fig. So that the bus bars 30 and 40 are not coupled.

다시 말해, 기존의 방식에서 벗어나 버스 바의 결합을 위한 작업자의 조립 위치, 즉, 인서트 볼트(150)가 구비된 위치가 접점부(107)에서 간격을 두고 벗어나 위치하는 간접 체결 구조를 갖는다. In other words, it has an indirect fastening structure in which the assembly position of the operator for engaging the bus bars, that is, the position where the insert bolt 150 is provided, is located apart from the contact portion 107 at intervals apart from the conventional method.

즉, 접점부(107)으로부터 간격을 두어 인서트 볼트(150)가 구비되고, 이들 사이에는 서로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연결부재(110)가 구비된다. 이와 같이 구성됨에 따라 버스 바(미도시)는 인서트 볼트(150)에서 결합되고, 접점부(107)를 통해 볼트가 직접 체결되는 데에 따른 접점부(107)의 손상 및 파손 등의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In other words, the insert bolts 150 are provided at intervals from the contact portions 107, and a connecting member 110 for electrically connecting each other is provided between them. The bus bar (not shown) is coupled to the insert bolt 150 and prevents the contact portion 107 from being damaged or broken due to the bolt being directly fastened through the contact portion 107. [ can do.

도 6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자동차용 릴레이의 플레이트 부재를 간략히 도시한 사시도이다. 6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plate member of an electric vehicle rela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을 참조하면, 도시된 연결부재(110)는 플레이트(111), 제1 체결 홀(113), 그리고 제2 체결 홀(115)을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6, the connecting member 110 includes a plate 111, a first fastening hole 113, and a second fastening hole 115.

플레이트(111)는 전술한 안착 홈(105, 도5 참조)에 대응하여 삽입 가능한 형상을 가질 수 있는데, 구체적으로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모서리가 라운드 처리된 직사각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The plate 111 may have a shape that can be inserted corresponding to the above-described seating groove 105 (see FIG. 5), and specifically, each corner may have a rounded rectangular shape as shown in FIG.

다만, 이러한 형상은 전술한 안착 홈(105, 도 5 참조)의 형상 변경에 따라 다르게 실시 가능하며, 특정 형태로 한정될 필요는 없다. However, this shape can be changed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seating groove 105 (see FIG. 5) described above, and is not limited to a specific shape.

또한, 도 6을 참조하면, 제1 체결 홀(113)과, 제2 체결 홀(115)이 서로 일직선 상에 위치하는 것으로 나타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6, the first fastening hole 113 and the second fastening hole 115 are shown to be aligned with each other,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한편, 도 6에 도시된 플레이트(111)는 전체적으로 두께가 동일한 형태로 이루어져 있는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Meanwhile, the plate 111 shown in FIG. 6 has the same thickness as the whole, but is not limited thereto.

도 7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자동차용 릴레이의 플레이트 부재의 변형예를 간략히 도시한 사시도이다.7 is a perspective view briefly showing a modified example of a plate member of an electric vehicle rela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을 참조하면, 도시된 연결부재(110)의 경우 플레이트(111)의 단면 형상이 도 6에서 살펴본 바와 다른 형태로 이루어져 있다. Referring to FIG. 7, in the case of the connecting member 110,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plate 111 is different from that shown in FIG.

도 7에 도시된 플레이트(111)는 제1 체결 홀(113)이 형성된 플레이트(111)의 일단부와 제2 체결 홀(115)이 형성된 플레이트(111)의 타단부 사이에 단차를 이루어 상대적으로 두께가 감소된 형상을 갖는 두께 감소부(116)가 형성될 수 있다.The plate 111 shown in FIG. 7 has a step between the one end of the plate 111 on which the first fastening hole 113 is formed and the other end of the plate 111 on which the second fastening hole 115 is formed, A thickness reducing portion 116 having a reduced thickness shape can be formed.

구체적인 예로서, 제1 체결 홀(113)이 형성된 플레이트(111)의 일단부의 두께(t2)와 제2 체결 홀(115)이 형성된 플레이트(111)의 타단부의 두께(t1)는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As a specific example, the thickness t2 of one end of the plate 111 on which the first fastening hole 113 is formed and the thickness t1 of the other end of the plate 111 on which the second fastening hole 115 is formed are formed to be the same .

이와 달리, 두께 감소부(116)의 두께(t3)는 t1 및 t2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은 크기로 이루어질 수 있다.Alternatively, the thickness t3 of the thickness reducing portion 116 may be relatively small compared to t1 and t2.

이는, 전술된 조립 볼트(130, 도 5 참조)에 의해 접점부(107, 도 5 참조)와 플레이트(110)가 고정되는 부위와, 인서트 볼트(150, 도 6 참조)를 통해 버스 바(미도시)가 결합되는 부위의 두께를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한 것이다. 이로써, 체결 또는 결합되는 구조 부위에는 보강 효과를 강화시키고, 그 외의 부위는 상대적으로 두께를 작게 하여 경량화 및 재료 절감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5) and the portion where the plate 110 is fixed by the assembly bolt 130 (see Fig. 5) and the bus bar (not shown) via the insert bolt 150 The thickness of the portion to which the adhesive is bonded is relatively increased. As a result, the reinforcing effect is strengthened at the structural part to be fastened or bonded, and the thickness of the other part is made relatively small, so that the weight saving and the material saving effect can be obtained.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구성 및 작용에 따르면, 버스 바의 결합을 위해 볼트를 체결 시 과도한 토크 발생 또는 반복적인 볼트의 조임 및 풀림으로 인해 릴레이나 접점에 손상 또는 파손이 유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기 자동차용 릴레이의 사용상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structure and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excessive torque generation or bolt tightening and loosening when the bolts are fastened for engagement of the bus bars, thereby preventing damage or breakage of the relays or contacts . As a result, the stability in use of the electric vehicle relay can be improved.

나아가, 릴레이 접점을 통해 버스 바를 결합시키기 위해 볼트가 직접 체결되는 기존의 방식에서 벗어나 버스 바의 결합을 위한 작업자의 조립 위치가 간격을 두어 형성되는 간접 체결 구조를 가질 수 있다. Further, it may have an indirect fastening structure in which the assembly position of the operator for the engagement of the bus bar is formed at an interval apart from the conventional manner in which the bolt is directly fastened to the bus bar through the relay contact.

다시 말해, 릴레이 접점으로부터 간격을 두어 인서트 볼트가 구비되고, 릴레이 접점과 인서트 볼트 사이에는 연결부재가 구비되며, 버스 바는 인서트 볼트를 통해 접점으로부터 벗어나 간접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이로써 접점의 직접적인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In other words, an insert bolt is provided at an interval from the relay contact, a connection member is provided between the relay contact and the insert bolt, and the bus bar can be indirectly coupled out of the contact via the insert bolt. This can prevent direct damage of the contact point.

지금까지 본 고안인 전기 자동차용 릴레이에 관하여 살펴보았으나, 본 고안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실시 변형이 가능함은 자명하다. 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spect to electric vehicle relays, it is apparent that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그리고 전술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고안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될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그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및 변형된 형태가 본 고안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illustrative in all aspect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ing,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indicated by the claims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described below rather tha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all equivalents and modifications that come within the meaning and range of equivalency of the claims are to be embraced within their scope.

100: 전기 자동차용 릴레이
101: 몸체
103: 몸체의 일측(또는 상단)
105: 안착 홈
107: 접점부
110: 연결부재
111: 플레이트
113: 제1 체결 홀
115: 제2 체결 홀
116: 두께 감소부
130: 조립 볼트
133: 나사부
150: 인서트 볼트
100: Relays for electric cars
101: Body
103: One side (or upper side)
105: seat groove
107:
110:
111: plate
113: first fastening hole
115: second fastening hole
116:
130: Assembly bolt
133:
150: Insert bolt

Claims (6)

버스 바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접점부가 구비되는 릴레이의 몸체;
상기 접점부로부터 이격하여 상기 몸체로부터 돌출하여 구비되는 인서트 볼트; 및
상기 몸체에 밀착되어, 상기 접점부와 상기 인서트 볼트 사이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도록 결합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몸체에 마련된 안착 홈을 통해 삽입되는 플레이트;
상기 플레이트의 일단부에 형성되는 제1 체결 홀; 및
상기 플레이트의 타단부에 형성되는 제2 체결 홀;을 포함하며,
상기 플레이트의 일단부와 타단부 사이에는 상기 플레이트의 일단부와 타단부보다 두께가 작은 두께 감소부가 구비되는 전기 자동차용 릴레이.
A relay body having a contact portion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bus bar;
An insert bolt protruding from the body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the contact portion; And
And a connecting member which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body and is coupled to electrically connect the contact portion and the insert bolt,
The connecting member includes:
A plate inserted through a seating groove provided in the body;
A first fastening hole formed at one end of the plate; And
And a second fastening hole formed at the other end of the plate,
Wherein a thickness reducing portion having a thickness smaller than that of one end and the other end of the plate is provided between one end and the other end of the pla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체결 홀은,
상기 플레이트의 안착 시 상기 접점부의 상부에 위치하는
전기 자동차용 릴레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rst fastening hole
And when the plate is seated,
Relays for electric cars.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체결 홀을 관통하여 상기 접점부에 나사 조립되는 조립 볼트를 포함하는
전기 자동차용 릴레이.
The method of claim 3,
And an assembly bolt that passes through the first fastening hole and is screwed to the contact portion
Relays for electric car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체결 홀은,
상기 플레이트의 안착 시 상기 인서트 볼트가 관통하도록 위치하며, 상기 관통한 인서트 볼트를 통해 버스 바가 결합되는
전기 자동차용 릴레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econd fastening hole
The insert bolt is positioned so as to penetrate when the plate is seated, and a bus bar is coupled through the penetrating insert bolt
Relays for electric cars.
삭제delete
KR2020160001300U 2016-03-11 2016-03-11 Relay for electric vehicle KR200484121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1300U KR200484121Y1 (en) 2016-03-11 2016-03-11 Relay for electric vehic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1300U KR200484121Y1 (en) 2016-03-11 2016-03-11 Relay for electric vehicl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4121Y1 true KR200484121Y1 (en) 2017-08-01

Family

ID=606281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1300U KR200484121Y1 (en) 2016-03-11 2016-03-11 Relay for electric vehic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4121Y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5844A (en) * 1997-06-30 1999-01-29 Sumitomo Wiring Syst Ltd Connecting structure of battery and electrical connection box
KR20140003026U (en) * 2012-11-14 2014-05-22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Connect structure between relay and busbar for electric vehicl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5844A (en) * 1997-06-30 1999-01-29 Sumitomo Wiring Syst Ltd Connecting structure of battery and electrical connection box
KR20140003026U (en) * 2012-11-14 2014-05-22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Connect structure between relay and busbar for electric vehicl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38310A (en) Fuse box
JP3042579B2 (en) Screw structure of distribution box
US10971784B2 (en) Battery module
US20120184155A1 (en) Terminal block
KR101188637B1 (en) Post terminal with improved rotational and pull off force on battery post for vehicle including automobile
WO2013064515A1 (en) High voltage electrical connector
WO2017212912A1 (en) Insulation cover, and terminal block with insulation cover
US9532476B2 (en) Switching assembly and interconnect assembly therefor
US9130360B2 (en) Electrical junction box
KR200484121Y1 (en) Relay for electric vehicle
WO2017077831A1 (en) Connector
KR101502586B1 (en) Fabricated cabinet panel
KR200480383Y1 (en) Connect structure between relay and busbar for electric vehicle
US20140038452A1 (en) Meter socket having a breakable tab for retaining a sliding nut
KR101744660B1 (en) The electric cable connection body of upper and lower contact part for cut out switch
CN104953305A (en) Grounding terminal
KR200454014Y1 (en) Terminal block
KR20190044291A (en) Housing of junction block
US3292133A (en) Vehicle-panel connector
KR20170001195U (en) Block for vehicles and bolt terminal
KR200439074Y1 (en) Fusebox
KR200437691Y1 (en) Mounting structure of a busbar
KR100671735B1 (en) A bolt and a nut in a connector
KR200408484Y1 (en) Structure of joining a connection bracket
KR200365242Y1 (en) multi-earth termin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