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2237Y1 - 셔틀 추락방지 기능을 갖는 자동화물 시스템 - Google Patents

셔틀 추락방지 기능을 갖는 자동화물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2237Y1
KR200482237Y1 KR2020140005346U KR20140005346U KR200482237Y1 KR 200482237 Y1 KR200482237 Y1 KR 200482237Y1 KR 2020140005346 U KR2020140005346 U KR 2020140005346U KR 20140005346 U KR20140005346 U KR 20140005346U KR 200482237 Y1 KR200482237 Y1 KR 20048223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shuttle
rack structure
cargo
stop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4000534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00298U (ko
Inventor
이기중
이종희
이기환
권영욱
Original Assignee
(주)일양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일양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일양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202014000534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2237Y1/ko
Publication of KR2016000029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029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223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223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00Storing articles, individually or in orderly arrangement, in warehouses or magazines
    • B65G1/02Storage devices
    • B65G1/04Storage devices mechanic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00Storing articles, individually or in orderly arrangement, in warehouses or magazines
    • B65G1/02Storage devices
    • B65G1/04Storage devices mechanical
    • B65G1/10Storage devices mechanical with relatively movable racks to facilitate insertion or removal of articles

Abstract

본 고안은 셔틀유닛 추락방지 기능을 갖는 자동화물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적어도 2층 이상의 적재공간을 가지고, 일정간격 이격된 2열이 1조를 이룰 때 적어도 1조 이상으로 구성되는 랙 구조물과, 상기 2열의 랙 구조물 사이에 구비되는 가이드레일에서 이동하면서 화물을 운반하여 적재공간에 반입시키거나 반출하기 위한 셔틀유닛과, 상기 랙 구조물의 각 층 양단부로 각각 화물을 승하강시켜서 상기 랙 구조물의 각 층에 구비되는 셔틀유닛으로 공급하기 위한 리프트유닛과, 상기 2열로 랙 구조물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셔틀유닛이 상기 랙 구조물에서 이탈되어 추락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셔틀 추락방지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화물을 운반하는 셔틀유닛이 왕복 이동되는 2열로 된 랙 구조물의 단부에 셔틀 추락방지 유닛이 구비됨으로써, 셔틀유닛의 제어가 잘못되더라도 추락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셔틀 추락방지 기능을 갖는 자동화물 시스템{GOODS DESTINATION SYSTEM WITH DROP PREVENTION FUNCTION}
본 고안은 자동 화물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2열 이상의 랙 구조물 사이에서 왕복 이동하는 셔틀유닛이 랙 구조물에서 추락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셔틀 추락방지 기능을 갖는 자동화물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물류 자동화 분야에서 사용이 확대되고 있는 자동화물 시스템은 하물을 보관하기 위한 랙을 가지는 랙 구조물, 하물을 자동창고 내, 외부로 선택적으로 입고 또는 출고시키는 작업대, 랙 구조물 측면을 따라 설치된 가이드 레일을 따라 이동하여 제어장치의 제어에 의해 작업대의 하물을 랙 구조물의 랙에 입고시키거나 랙 구조물의 랙에 안치된 하물을 출고시키는 스태커 크레인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자동화물 시스템을 자동창고라고도 한다.
이러한 자동화물 시스템이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2009-143651(특허문헌1)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 특허문헌 1에 개시된 종래의 자동 화물 창고 시스템은 일정간격 이격되고 서로 마주보고 2열로 설치되며 화물을 보관하기 위한 2열 선반, 2열 선반 사이의 지면에 설치되는 레일, 레일을 따라 이동하면서 2열 선반으로 물건을 넣고 빼기 위한 스태커 크레인, 스태커 크레인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한다.
이러한, 종래의 자동화물 시스템은 화물을 보관하기 위해서는 스태커 크레인을 2열로 된 선반의 양끝 밖으로 이동시킨 후에, 화물을 스태커 크레인에 싣게 된다. 그러면, 스태커 크레인은 제어부의 제어로 2열로 된 선반 사이로 이동하되 화물을 비어 있는 적재 공간이 있는 곳으로 이동한 후에 화물을 선반의 적재공간으로 옮겨 놓는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자동화물 시스템은 하나의 스태커 크레인이 지면에 놓인 레일을 따라 이동하면서 화물을 실어서 선반에 올리거나 내리도록 구성되어 있어 많은 화물을 선반에 올리거나 내리기 위해서는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다수의 화물을 신속하게 반출하고 반입하기 위하여, 복수의 랙 구조물을 2열 이상으로 구성하고, 2열로 된 복층 랙구조물 사이에 셔틀유닛을 각층마다 배치하여 왕복 이동하면서 화물을 반출하거나 반입할 수 있는 자동화물 시스템이 제안되었다.
이러한 자동화물 시스템은 셔틀유닛이 2열로 된 랙 구조물 사이에서 왕복 이동되도록 구성되어 있어, 셔틀유닛이 주행 중 고장이 발생되거나 제어가 잘못되어 랙 구조물에서 이탈되지 못하도록 하는 구조가 요구되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2009-143651 (2009.07.02)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요구를 부응하기 위한 것으로, 2열로 된 랙구조물 사이에 셔틀유닛의 지지하는 구성을 추가하여, 셔틀유닛이 랙 구조물에서 추락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셔틀 추락방지 기능을 갖는 자동화물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서로 이웃하고 일정간격 이격되는 2열이 1조로 구성될 때 적어도 1조 이상으로 구성되고, 적어도 2층 이상의 적재공간을 구비하는 랙 구조물과, 상기 2열의 랙 구조물 사이에 구비되는 가이드레일에서 이동하면서 화물을 운반하여 적재공간에 반입시키거나 반출시키기 위한 셔틀유닛과, 상기 랙 구조물의 각 층 양단부로 각각 화물을 승하강시켜서 상기 랙 구조물의 각 층에 구비되는 셔틀유닛으로 공급하기 위한 리프트유닛과, 상기 2열로 랙 구조물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셔틀유닛이 상기 랙 구조물에서 이탈되어 추락하는 것을 방지하는 셔틀 추락방지 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셔틀 추락방지유닛은, 상기 2열로 구성된 랙 구조물 사이에서 상기 셔틀유닛의 저면보다 높은 위치에 구비되며, 상기 셔틀유닛의 저면이 걸려서 상기 셔틀유닛의 이동을 멈추도록 하는 멈춤부재와, 상기 멈춤부재가 상기 셔틀유닛의 저면보다 낮은 위치가 되도록 상기 멈춤부재를 작동시키는 작동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작동유닛은, 상기 멈춤부재를 회전시키기 위한 동력을 발생시키고, 상기 리프트 유닛에 구비되어 랙 구조물 쪽으로 이동되는 피스톤로드를 갖는 실린더와, 상기 멈춤부재에 연결되고 상기 실린더의 피스톤로드에 의해 가압되어 상기 멈춤부재를 회전시키는 회전링크로 구성되되, 상기 셔틀유닛의 배출시 상기 리프트 유닛이 배출되어질 셔틀유닛이 있는 층으로 이동된 후에, 상기 실린더가 작동되어 상기 멈춤부재를 상기 셔틀유닛의 저면보다 낮은 위치로 회전시키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또한, 상기 복귀유닛은 상기 가이드레일의 일측에 결합되는 결합브래킷와, 상기 동력전달부재에 연결되어 상기 결합브래킷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이동부재와, 상기 이동부재를 결합브래킷에 탄력 지지하는 탄성체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의하면, 화물을 운반하는 셔틀유닛이 왕복 이동되는 2열로 된 랙 구조물의 단부에 셔틀 추락방지 유닛이 구비됨으로써, 셔틀유닛의 제어가 잘못되더라도 추락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셔틀유닛을 스톱시키는 멈춤부재를 한 쌍의 리프트유닛이 셔틀유닛의 배출을 위해 동기화될 때 셔틀유닛보다 낮게 하는 작동시킴으로써, 그 사용이 매우 편리하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화물 시스템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자동화물 시스템에서 셔틀유닛과 셔틀 추락방지 유닛 부분을 도시한 평면도.
도 3은 도 1의 자동화물 시스템에서 셔틀 추락방지 유닛을 도시한 평면도.
도 4는 도 1의 자동화물 시스템에서 셔틀 추락방지 유닛을 도시한 측면도.
도 5는 도 1의 자동화물 시스템에서 셔틀 추락방지 유닛을 도시한 정면도.
본 고안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고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화물 시스템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자동화물 시스템에서 셔틀유닛과 셔틀 추락방지 유닛 부분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자동화물 시스템에서 셔틀 추락방지 유닛을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4는 도 1의 자동화물 시스템에서 셔틀 추락방지 유닛을 도시한 측면도이며, 도 5는 도 1의 자동화물 시스템에서 셔틀 추락방지 유닛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먼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화물 시스템(100)은, 적어도 2층 이상의 적재공간(111)을 가지고, 2열이 1조로 구성될 때 적어도 1조 이상으로 구성되는 랙 구조물(110)의 양단부에 화물(G)을 반입하거나 반출하기 위한 리프트 유닛(130)(131)이 각각 구성되며, 한 쌍의 랙 구조물(110) 사이에서 이동하면서 화물을 운반하는 셔틀유닛(140)이 적재공간(111)이 구비되는 각층마다 구비된다.
여기서, 부호 120은, 랙 구조물(110)의 양단부에 각각 구비되어 리프트 유닛(130)(131)에 의해 랙 구조물(110)로 이동되는 화물(G)을 임시로 대기시키기 위한 대기 컨베이어 유닛이다.
상기와 같이, 복층으로 된 랙 구조물(110)이 2열을 한 쌍으로 할 때 한 쌍 이상으로 구성되는 본 고안의 실시에서의 자동화물 시스템(100)에서 랙 구조물(110)은 도 1과 같이, 1조로 구성된 것을 예로서 설명하기로 한다.
자동화물 시스템(100)은 2열로 된 한 쌍의 랙 구조물(110) 사이의 각 층에 셔틀유닛(140)이 왕복 이동 가능하게 구비된다. 그리고, 랙 구조물(110) 양단부에는 각각 한 쌍의 리프트 유닛(130)(131)이 구비되어 화물을 랙 구조물(110)의 각 층으로 전달하거나 전달받아 화물을 랙 구조물(110)로 반입시키거나 반출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즉, 랙 구조물(110)의 일단부에 구비되는 한 쌍의 리프트유닛(130)을 반입용 유닛이라고 할 때, 이 반입용 리프트 유닛은 한 쌍이 각각 승하강되도록 구성되어, 화물을 2열로 된 랙 구조물(110)로 입고할 때, 화물을 승강시켜서 각각의 랙 구조물(110)로 전달한다. 랙 구조물(110)의 타단부에 구비되는 한 쌍의 리프트 유닛(131)을 반출용 리프트 유닛이라고 할 때, 이 반출용 리프트 유닛은 화물을 랙 구조물(110)에서 반출할 때, 각 열의 랙 구조물(110)에서 화물을 전달받아 하강시켜서 반출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랙 구조물(110)은 복수의 수직부재와 수평부재가 지면에 대하여 수직과 수평으로 서로 결합되어 화물을 보관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적재공간(111)을 형성한다. 이 랙 구조물(110)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적재공간(111)이 적어도 2층 이상으로 구비되되, 적어도 2열 이상으로 서로 이격되어 구비된다.
즉, 랙 구조물(110)은 복수의 수직부재와 수평부재가 서로 결합되어, 화물을 보관하기 위한 적재공간(111)을 수직과 수평방향으로 복수로 구성된 구조가 적어도 2열 이상으로 배치되되, 서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구성된다.
랙 구조물(110)은 화물을 이동시키기 위하여 랙 구조물(110)의 수평방향으로 이동하는 셔틀유닛(140)이 왕복 이동하는 가이드레일(112)이 구비된다. 이 가이드레일(112)은 이웃하는 한 쌍의 랙 구조물(110)에서 서로 마주보는 랙 구조물(110)의 수평부재에 구비되되, 각 층마다 구비된다.
랙 구조물(110)에는 가이드레일(112)을 따라 왕복 이동하는 셔틀유닛(140)이 랙 구조물(110)의 양측단에서 이탈되어 추락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셔틀 추락방지 유닛(200)이 구비된다.
이 셔틀 추락방지 유닛(200)은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이격된 2열의 랙 구조물(110) 사이에서 셔틀유닛(140)의 밑면보다 높게 형성되어 셔틀유닛(140)의 이동을 멈추기 위한 멈춤부재(210), 멈춤부재(210)를 가이드레일(112)보다 낮게 작동시키기 위한 작동유닛(220)을 포함한다.
멈춤부재(210)는 가이드레일(112)이나 랙 구조물(1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작동유닛(220)에 의해 회전되어 가이드레일(112)보다 낮게 되어 셔틀유닛(140)을 랙 구조물(110)의 외부로 배출시키도록 구성된다. 즉, 멈춤부재(210)는 'ㄷ'형상의 부재 양단부가 절곡 형성되어 가이드레일(112)이나 랙 구조물(1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멈춤부재(210)는 'ㄷ' 부분이 위쪽을 향하여 형성되되, 가이드레일(112)이나 근처에 설치되어 작동시 가이드레일(112)보다 높게 구성된다.
여기서 멈춤부재(210)는, 가이드레일(112)의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성하되, 회전되면 가이드레일(112)의 윗면과 동일한 평면으로 됨으로써, 가이드레일(112)이 리프트 유닛(130)(131)에 연결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즉, 셔틀유닛(140)을 랙 구조물(110)의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하여 리프트 유닛(130)(131)이 배출하기 위한 셔틀유닛(140)이 있는 랙 구조물(110)의 층으로 이동하여 멈출 때, 멈춤부재(210)가 회전되면서 가이드레일(112)이 리프트 유닛(130)(131)에 연결되도록 하여 셔틀유닛(140)이 랙 구조물(110)의 가이드레일(112)에서 리프트 유닛(130)(131)으로 이동되도록 구성할 수 있는 것이다.
작동유닛(220)은 랙 구조물(110)에서 셔틀유닛(140)을 배출시키기 위하여, 리프트 유닛(130)(131)을 배출되어지는 셔틀유닛(140)이 있는 층으로 위치시킬 때, 멈춤부재(210)를 회전시키기 위한 것으로, 멈춤부재(210)를 회전시키기 위한 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부, 구동부의 동력을 멈춤부재(210)로 전달하는 동력전달부재를 포함한다.
구동부(221)는 리프트 유닛(130)(131)에 구비되며, 작동시 전후진 되는 피스톤로드를 갖는 실린더(221)로 구성된다. 이 실린더(221)는 리프트 유닛(130)(131)에서 랙 구조물(110)을 향하는 방향으로 설치되되, 작동시 실린더(221)의 피스톤로드(221a)가 랙 구조물(110)을 향해 이동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실린더(221)는 유압 실린더와 공압 실린더를 모두 적용할 수 있으나, 설비 비용이 저렴한 공압실린더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동력전달부재는 멈춤부재(210)에 연결되되, 가이드레일(112)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멈춤부재(210)의 양단부 중 일단부에 연결되는 회전링크(222)로 구성된다.
이 회전링크(222)는 일단부가 멈춤부재(210)의 일단부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실린더(221)의 피스톤 로드(221a)와 동일직선 상에 배치되어 실린더(221)의 작동시 피스톤 로드(221a)에 의해 타단부가 가압될 때, 일단부를 중심으로 회전되도록 구성된다.
작동유닛(220)은 구동부에 의해 회전되는 멈춤부재(210)를 원위치로 복귀시키기 위한 복귀유닛(223)을 더 포함한다.
이 복귀유닛(223)은 멈춤부재(210)를 작동유닛(220)으로 회동시켜 그 높이를 가이드레일(112)보다 낮게 하여, 셔틀유닛(140)을 랙 구조물(110) 밖으로 배출시킨 후에, 멈춤부재(210)를 원래의 위치 즉, 가이드레일(112)보다 높아서 가이드레일(112)을 이동하는 셔틀유닛(140)이 멈춤부재(210)에 걸리도록 하기 위하여, 멈춤부재(210)를 회전시켜 원래의 상태로 복귀시키게 된다.
이 복귀유닛(223)은 가이드레일(112)의 일측에 결합되는 결합브래킷(223a), 회전링크(222)에 연결되고 결합브래킷(223a)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이동부재(223b), 이동부재(223b)를 결합브래킷(223a)에 탄력 지지하는 탄성체(223c)를 포함한다.
결합브래킷(223a)은 가이드레일(112)에 결합되되, 셔틀유닛(140)이 이동되는 가이드레일(112)의 윗면을 제외한 부분으로 가이드레일(112)의 측면에서 가이드레일(112)보다 높은 위치에 결합된다. 이 결합브래킷(223a)은 대략 "U" 자 형상으로 형성되며,"U'자 형상이 셔틀유닛(140)의 이동방향에 대하여 직교되는 방향으로 배치된다.
이동부재(223b)는 결합브래킷(223a)의 상단부에 관통 결합되어 리프트 유닛 쪽을 향하여 돌출되어 회전링크(222)에 연결된다. 즉, 이동부재(223b)는 실린더(221)의 피스톤 로드(221a)에 의해 가압되도록 피스톤 로드(221a)와 같은 직선상에 배치되거나 회전링크(222)가 실린더(221)의 피스톤로드(221a)의 가압될 때, 회전링크(222)가 회동될 때 리프트 유닛(130)(131)의 반대편을 향하여 이동되도록 구성된다.
탄성체(223c)는 코일 스프링으로 구성되되, 결합브래킷(223a)의 상단부에 결합되어 있는 이동부재(223b)에 끼워져서 일단부가 결합브래킷(223a)이 지지되고 타단부가 이동부재(223b)에 구비되는 걸림부에 지지되어 탄성력을 작용하도록 구성된다.
즉, 실린더(221)가 작동되어 피스톤로드(221a)가 전진하여 이동부재(223b)나 회전링크(222)를 가압하여 이동부재(223b)가 리프트 유닛(130)(131)의 반대편으로 이동하거나 회전링크(222)의 일단부가 리프트 유닛(130)(131)의 반대편으로 가압될 때, 탄성체(223c)가 압축되면서 탄성력을 얻게 되며 실린더(221)의 작동이 멈추게 되면 탄성체(223c)는 이동부재(223b)를 리프트 유닛(130)(131) 쪽으로 밀어내어 멈춤부재(210)를 원상태로 복귀시키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셔틀유닛 추락방지 기능을 갖는 자동화물 시스템(100)의 작용을 간략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셔틀유닛(140)이 랙 구조물(110)의 가이드레일(112)에서 왕복 이동하면서 화물을 반입하거나 반출할 때, 셔틀 추락방지 유닛(200)은 초기 상태에 있게 된다.
셔틀 추락방지 유닛(200)의 초기 상태란, 2열 랙 구조물(110)의 양단부에 구비되는 멈춤부재(210)가 셔틀유닛(140)의 저면보다 높게 구성되어 셔틀유닛(140)이 멈춤부재(210)에 의해 랙 구조물(110)에서 추락되는 것을 방지하고 있는 상태를 말한다.
이와 같은 셔틀 추락방지 유닛(200)의 초기 상태에서 셔틀유닛(140)을 랙 구조물(110)의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하여 2열로 된 랙 구조물(110)의 각열에 구비되어 각각 승하강되는 리프트 유닛(130)(131)을 배출하기 위한 셔틀유닛(140)이 있는 랙 구조물(110)로 승하강시켜 위치시키게 된다. 즉, 2열로 된 랙 구조물(110)에 각각 구비되는 2개의 리프트 유닛(130)(131)을 동시에 셔틀유닛(140)이 있는 층으로 이동시켜서 위치시키게 되는 것이다.
이후에, 이렇게 2개의 리프트 유닛(130)(131)이 배출 대상이 있는 셔틀유닛(140)이 있는 곳으로 이동되어 위치하게 되면, 메인 컨트롤러에서 작동유닛(220)의 구동부인 실린더(221)를 작동시키게 된다. 그러면, 실린더(221)가 작동하게 되며, 이때 피스톤로드(221a)가 전진하여 멈춤부재(210)에 연결되어 있는 동력전달부재인 회전링크(222)의 타단부나 복귀유닛(223)의 이동부재(223b)를 가압하게 된다. 이렇게 회전링크(222)의 타단부가 리프트 유닛(130)(131)의 반대쪽으로 가압될 때, 회전링크(222)는 일단부를 중심으로 회동하게 됨과 동시에 회전링크(222)의 일단부와 연결되는 멈춤부재(210)도 회전하게 된다.
그러면, 초기 상태에 있던 멈춤부재(210)는 셔틀유닛(140)의 저면보다 낮은 위치에 있게 되며, 이때, 셔틀유닛(140)이 랙 구조물(110)에서 리프트 유닛(130)(131)으로 이동된 후에 리프트 유닛(130)(131)이 하강하게 됨으로써 랙 구조물(110)의 외부로 완전히 배출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G : 화물 100 : 자동화물 시스템
110 : 랙 구조물 111 : 적재공간
112 : 가이드레일
120 : 대기 컨베이어 유닛
130,131 : 리프트유닛
140 : 셔틀유닛
200 : 셔틀 추락방지 유닛
210 : 멈춤부재
220 : 작동유닛 221 : 실린더
221a : 피스톤로드 222 : 회전링크
223 : 복귀유닛 223a : 결합브래킷
223b : 이동부재 223c : 탄성체

Claims (8)

  1. 서로 이웃하고 일정간격 이격되는 2열이 1조로 구성될 때 적어도 1조 이상으로 구성되고, 적어도 2층 이상의 적재공간을 구비하는 랙 구조물;
    상기 2열의 랙 구조물 사이에 구비되는 가이드레일에서 이동하면서 화물을 운반하여 적재공간에 반입시키거나 반출시키기 위한 셔틀유닛;
    상기 랙 구조물의 각 층 양단부로 각각 화물을 승하강시켜서 상기 랙 구조물의 각 층에 구비되는 셔틀유닛으로 공급하기 위한 리프트유닛;
    상기 2열의 랙 구조물 사이에 구비되되, 상기 셔틀유닛이 상기 랙 구조물에서 이탈되어 추락하는 것을 방지하는 셔틀 추락방지 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셔틀 추락방지유닛은, 상기 2열로 구성된 랙 구조물 사이에서 상기 셔틀유닛의 저면보다 높은 위치에 구비되며, 상기 셔틀유닛의 저면이 걸려서 상기 셔틀유닛의 이동을 멈추도록 하는 멈춤부재;
    상기 멈춤부재가 상기 셔틀유닛의 저면보다 낮은 위치가 되도록 상기 멈춤부재를 작동시키는 작동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작동유닛은, 상기 멈춤부재를 회전시키기 위한 동력을 발생시키고, 상기 리프트 유닛에 구비되어 랙 구조물 쪽으로 이동되는 피스톤로드를 갖는 실린더와, 상기 멈춤부재에 연결되고 상기 실린더의 피스톤로드에 의해 가압되어 상기 멈춤부재를 회전시키는 회전링크로 구성되되,
    상기 셔틀유닛의 배출시 상기 리프트 유닛이 배출되어질 셔틀유닛이 있는 층으로 이동된 후에, 상기 실린더가 작동되어 상기 멈춤부재를 상기 셔틀유닛의 저면보다 낮은 위치로 회전시키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셔틀유닛 추락 방지 기능을 갖는 자동화물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작동유닛은,
    상기 실린더에 의해 회전되는 상기 멈춤부재를 원위치로 복귀시키기 위한 복귀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셔틀유닛 추락방지 기능을 갖는 자동화물 시스템.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복귀유닛은,
    상기 가이드레일의 일측에 결합되는 결합브래킷;
    상기 회전링크에 연결되어 상기 결합브래킷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이동부재;
    상기 이동부재를 결합브래킷에 탄력 지지하는 탄성체;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셔틀유닛 추락방지 기능을 갖는 자동화물 시스템.
KR2020140005346U 2014-07-16 2014-07-16 셔틀 추락방지 기능을 갖는 자동화물 시스템 KR20048223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5346U KR200482237Y1 (ko) 2014-07-16 2014-07-16 셔틀 추락방지 기능을 갖는 자동화물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5346U KR200482237Y1 (ko) 2014-07-16 2014-07-16 셔틀 추락방지 기능을 갖는 자동화물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0298U KR20160000298U (ko) 2016-01-26
KR200482237Y1 true KR200482237Y1 (ko) 2017-01-03

Family

ID=553104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40005346U KR200482237Y1 (ko) 2014-07-16 2014-07-16 셔틀 추락방지 기능을 갖는 자동화물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2237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573429A (zh) * 2018-11-23 2019-04-05 楚天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双层组合式双工位rgv小车和自动化立体仓储系统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74640A (ja) * 2001-03-19 2002-09-25 Honda Motor Co Ltd パレットストッパ装置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86923U (ja) * 1992-04-28 1993-11-22 前浜工業株式会社 作業台車の中間停止装置
JP5251105B2 (ja) 2007-12-12 2013-07-31 株式会社Ihi 自動倉庫における荷物の移動方法
KR20090129582A (ko) * 2008-06-13 2009-12-17 주식회사 포스코 밸트 사행 교정장치
JP5513930B2 (ja) * 2010-03-03 2014-06-04 デマティック アカウンティング サービシーズ ゲーエムベーハー 立体自動倉庫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74640A (ja) * 2001-03-19 2002-09-25 Honda Motor Co Ltd パレットストッパ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573429A (zh) * 2018-11-23 2019-04-05 楚天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双层组合式双工位rgv小车和自动化立体仓储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0298U (ko) 2016-0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84652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loading and unloading containers
KR102059451B1 (ko) 컨테이너 보관 영역 안에 컨테이너를 배치시키거나 컨테이너 보관 영역으로부터 컨테이너를 제거하기 위한 컨테이너 운반 설비 및 방법
CN205802159U (zh) 一种立体仓库输送线配套自动升降平台
KR101697657B1 (ko) 자동 화물 시스템
US8657310B2 (en) Wafer box conveyor
CN105197561A (zh) 托盘自动循环机器人码垛系统
CN102633076A (zh) 一种带升降穿梭小车的立体仓库
KR200462222Y1 (ko) 래크식 아암포크를 탑재한 스태커 크레인
CN217050074U (zh) 机器人、料箱转移装置、料箱转移系统
CN105151613A (zh) 一种升降堆垛式自动立库
CN104986693B (zh) 一种用于密集存储库的走行升降机
CN204727023U (zh) 一种移动堆垛式密集存储库
KR200482237Y1 (ko) 셔틀 추락방지 기능을 갖는 자동화물 시스템
JP6740634B2 (ja) 自動倉庫
CN104960825A (zh) 一种密集存储库
CN204727025U (zh) 一种移动堆垛式自动立库
CN204737691U (zh) 一种用于密集存储库的走行升降机
CN204751204U (zh) 一种用于密集存储库的巷道堆垛机
CN204751208U (zh) 一种用于密集存储库的堆垛机
CN202508541U (zh) 一种带升降穿梭小车的立体仓库
CN106235791A (zh) 一种货架
KR101720199B1 (ko) 자동화물 시스템용 화물 리프트 동기화 장치 및 그 제어방법
CN204751203U (zh) 一种密集存储库
CN205397534U (zh) 一种自动空罐卸罐机
CN216376051U (zh) 一种货箱转移系统、货箱转移装置和机器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26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