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9568Y1 - 화물결속용 자동바 - Google Patents
화물결속용 자동바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79568Y1 KR200479568Y1 KR2020140007696U KR20140007696U KR200479568Y1 KR 200479568 Y1 KR200479568 Y1 KR 200479568Y1 KR 2020140007696 U KR2020140007696 U KR 2020140007696U KR 20140007696 U KR20140007696 U KR 20140007696U KR 200479568 Y1 KR200479568 Y1 KR 200479568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elt
- side frame
- cargo
- magnet
- handl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7/00—Securing or covering of load on vehicles
- B60P7/06—Securing of load
- B60P7/135—Securing or supporting by load bracing mea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4—Trucks; Load vehicles, Busses
- B60Y2200/145—Haulage vehicles, trailing truck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G—BELTS, CABLES, OR ROPES, PREDOMINANTLY USED FOR DRIVING PURPOSES; CHAINS; FITTINGS PREDOMINANTLY USED THEREFOR
- F16G3/00—Belt fastenings, e.g. for conveyor belts
- F16G3/003—Apparatus or tools for joining bel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e Frames And Binding Band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화물결속용 자동바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제1벨트와 래치기어가 설치되는 벨트고정축이 일측 끝단에 설치되고, 타측 끝단에 제2벨트가 설치되는 벨트고정쇠와; 일측 끝단이 상기 벨트고정축에 관통되는 사이드 프레임과, 상기 사이드 프레임의 타측 끝단에 설치되는 손잡이로 이루어진 핸들과; 상기 사이드 프레임에 양단이 고정되는 지지대와; 상기 사이드 프레임에 양단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어 그 끝단이 상기 래치기어의 기어치 사이에 끼움되는 레버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벨트고정쇠에는 자석이 고정 설치되고 상기 자석이 화물차의 적재함에 부착됨으로써, 벨트가 끊어지더라도 도로에 낙하되는 것이 방지될 뿐만 아니라 혼자서 화물 결속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화물결속용 자동바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화물차의 적재함에 견고하게 부착하고, 화물 결속작업을 혼자서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화물결속용 자동바에 관한 것이다.
화물차에 적재된 화물은 화물차의 운행 중 화물의 유동이나 이탈에 의한 사고의 예방을 위해 적재함에 견고히 체결되어야 하는 바, 이를 위한 화물의 고정수단으로 종래에는 통상 고무로프 등이 사용되어 왔으나 이들 고무로프는 화물의 고정시 2인 이상의 인원이 직접 이들 고정수단을 체결하여야 하여 화물의 고정에 많은 시간과 노력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어 최근에는 고무로프에 비해 보다 견고한 결속력을 제공하면서도 운전자 혼자서도 체결이 용이한 속칭 '깔깔이'이라 불리우는 자동바(또는 벨트 텐셔너)가 구비된 합성수지재 벨트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상기 자동바는 화물차의 적재함에 화물을 실은 후 주행시 물건이 흐트러지거나 추락되지 않도록 벨트를 걸고 그 벨트를 탄탄하게 당겨서 고정시키는 장비로서, 회전하는 벨트고정용 축을 중심으로 밸트고정쇠와 핸들이 조립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자동바는 결속되어 있는 벨트가 이러저러한 이유로 끊어지는 경우에 자동바까지 적재함에서 도로면으로 떨어져 후속하는 차량을 방해함으로써 교통사고를 유발하는 문제가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자석에 의해 화물차의 적재함에 부착되어 충격이 발생되거나 자외선 또는 열에 의해 벨트가 끊어지더라도 도로에 추락되는 것이 방지되고, 화물 결속작업을 혼자서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화물결속용 자동바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에 의한 화물결속용 자동바는 제1벨트와 래치기어가 설치되는 벨트고정축이 일측 끝단에 설치되고, 타측 끝단에 제2벨트가 설치되는 벨트고정쇠와; 일측 끝단이 상기 벨트고정축에 관통되는 사이드 프레임과, 상기 사이드 프레임의 타측 끝단에 설치되는 손잡이로 이루어진 핸들과; 상기 사이드 프레임에 양단이 고정되는 지지대와; 상기 사이드 프레임에 양단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어 그 끝단이 상기 래치기어의 기어치 사이에 끼움되는 레버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벨트고정쇠에는 자석이 고정 설치되어, 상기 자석이 화물차의 적재함에 부착된다.
여기서, 상기 제1벨트와 제2벨트 중 적어도 하나에는 상기 화물차의 적재함에 부착되는 자석이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지지대는 그 단면 형태가 'ㄷ'자 형태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핸들의 사이드 프레임은 상기 지지대 옆에 보강봉이 설치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의 화물결속용 자동바는 자석이 화물차의 적재함에 견고하게 부착되기 때문에 화물차의 운행 중에 충격이 발생되더라도 자동바가 도로에 추락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오래되었거나 또는 자외선이나 열에 의해 벨트가 끊어지더라도 자석에 의해 자동바가 추락되지 않고 화물차의 적재함에 부착된 상태를 유지하기 때문에 후속하는 차량의 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화물결속용 자동바를 자동차의 적재함에 부착함과 아울러 자석에 의해 벨트를 자동차의 적재함에 부착시킴으로써 벨트로 화물을 결속시키는 작업을 혼자서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ㄷ'자 형태의 지지대와 보강봉을 핸들에 설치함으로써 많은 힘이 가해져도 핸들이 뒤틀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화물결속용 자동바를 보인 사시도.
도 3 및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화물결속용 자동바의 사용모습을 보인 도.
도 5는 본 고안에 의한 화물결속용 자동바의 측면도.
도 3 및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화물결속용 자동바의 사용모습을 보인 도.
도 5는 본 고안에 의한 화물결속용 자동바의 측면도.
이하, 본 고안에 의한 화물결속용 자동바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화물결속용 자동바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3 및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화물결속용 자동바의 사용모습을 보인 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에 의한 화물결속용 자동바의 측면도이다.
본 고안에 의한 화물결속용 자동바는 화물차(C)의 적재함(B)에 적재된 화물(L)이 적재함(B)으로부터 이탈되어 바닥면에 추락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으로 사용되는 본 고안의 화물결속용 자동바는 벨트고정쇠(10)와, 상기 벨트고정쇠(10)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핸들(20)과, 상기 핸들(20)에 설치되는 지지대(30)와, 상기 핸들(20)에 설치되는 레버(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벨트고정쇠(10)에는 벨트고정축(11)이 설치됨과 아울러 제2벨트(12)가 설치된다.
상기 벨트고정축(11)은 상기 벨트고정쇠(10)의 일측 끝단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제1벨트(11a)가 설치됨과 아울러 래치기어(11b)가 설치된다.
상기 제1벨트(11a)는 화물차(C)의 적재함(B)에 적재된 화물(L) 위로 넘겨져서 그 끝단이 적재함(B)의 특정 부분에 고정된다.
상기 래치기어(11b)는 상기 벨트고정축(11)의 양단에 각각 설치된다.
상기 제2벨트(12)는 상기 벨트고정쇠(10)의 타측 끝단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제1벨트(11a)보다 그 길이가 상대적으로 짧게 형성되고, 그 끝단에 고리(12a)가 구비된다. 이 제1벨트(11a)의 고리(12a)는 상기 적재함(B)에 구비된 걸림고리(B1)에 연결된다.
상기와 같이 제1벨트(11a)와 제2벨트(12) 및 벨트고정축(11) 등이 설치되는 벨트고정쇠(10)의 일면에는 자석(M)이 고정 설치된다. 이 자석(M)은 벨트고정쇠(10)의 표면에 노출되어 화물차(C)의 적재함(B)에 자력에 의해 견고하게 부착된다. 이러한 자석(M)의 내측면에는 일체로 형성된 볼트부(M1)가 구비되고, 이 볼트부(M1)가 벨트고정쇠(10)의 일면을 관통한 후 너트(M2)에 의해 나선결합됨으로써 자석(M)이 벨트고정쇠(10)에 견고하게 설치된다.
차량을 운행하다 보면 많은 충격력이 화물(L)에 가해지고, 이 충격력이 그대로 제1벨트(11a) 및 제2벨트(12)에 전달되며, 동시에 제1벨트(11a)나 제2벨트(12)는 오랫동안 햇빛을 받아서 삭아 있는 상태일 수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전술한 것처럼 충격력이 전달되면 제1벨트(11a)나 제2벨트(12)가 끊어질 수 있는데, 이러한 벨트의 끊어짐에 의해 스틸재질로 제작된 자동바가 도로면에 떨어져 후속하는 차량에 위협을 가할 수 있다. 자석(M)이 벨트고정쇠(10)에 구비되면 벨트가 끊어지더라도 자동바가 화물차(C)의 적재함(B)에 부착된 상태를 유지하므로 위에 기재한 문제를 예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벨트고정쇠(10)에 자석(M)을 설치할 뿐만 아니라 제1벨트(11a)와 제2벨트(12)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자석(M)을 설치할 수도 있다. 이렇게 제1벨트(11a)와 제2벨트(12)에 설치되는 자석(M)은 상기 화물차(C)의 적재함(B)에 부착되어 작업의 편의성을 향상시킨다. 즉, 제2벨트(12)에 고정된 고리(12a)를 적재함(B)의 걸림고리(B1)에 건 후 적재함(B)의 건너편에서 제1벨트(11a) 조작을 하다 보면 제2벨트(12)의 고리(12a)가 걸림고리(B1)에서 빠지는 일이 흔히 발생한다. 이렇게 되면 작업자는 다시 제2벨트(12)의 고리(12a)를 걸림고리(B1)에 끼워야 하고 그 만큼 작업이 지체되거나 번거로워진다. 이러한 일들 때문에 보통 화물차(C)의 적재함(B)에 화물(L)을 싣고 벨트를 이용하여 이를 결속하고자 할 경우에는 2명 정도의 인력이 필요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처럼 자석을 제1벨트(11a)나 제2벨트(12)에 부착하면 자석 때문에 벨트의 움직임이 최소화되서 벨트에 연결된 고리도 적재함(B)의 걸림고리(B1)에서 빠지지 않게 되어 작업시에 번거로웠던 일이 없어진다. 따라서 1명의 작업자만으로도 화물(L)의 결속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상기 핸들(20)은 상기 벨트고정쇠(10)의 일측 끝단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서, 사이드 프레임(21)과, 상기 사이드 프레임(21)에 설치되는 손잡이(22)로 구성된다.
상기 사이드 프레임(21)은 서로 마주보는 두 개의 스틸재질로 이루어진 것으로서, 일측 끝단이 상기 벨트고정축(11)에 의해 관통된다.
상기 손잡이(22)는 상기 사이드 프레임(21)의 타측 끝단에 설치된다.
상기 지지대(30)는 상기 사이드 프레임(21)에 양단이 고정된다. 이러한 지지대(30)는 그 단면 형태가 'ㄷ'자 형태로 형성된다. 이렇게 지지대(30)가 'ㄷ'자 형태로 형성됨으로써 강성이 강화되고, 이로써 지지대(30)가 설치되는 사이드 프레임(21)의 강성도 강화된다.
그리고, 상기 지지대(30)에는 다수개의 관통홀(30a)을 형성시켜 상기 레버(40)가 움직일 때 레버(40)의 움직임을 방해하지 않도록 한다.
한편, 'ㄷ'자 형태를 갖는 지지대(30)에 의해 핸들(20)의 강성이 보강되기도 하지만, 핸들(20)의 강성을 더욱 보강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핸들(20)의 사이드 프레임(21)에 보강봉(21b)을 설치한다.
상기 보강봉(21b)은 상기 지지대(30)의 옆에 설치되어 양단이 사이드 프레임(21)에 각각 고정되는 것으로서, 그 형상은 원기둥 형태를 갖는다.
핸들(20)을 상하방향으로 계속 움직여 제1벨트(11a)를 팽팽하게 하다 보면 핸들(20)에 많은 하중이 작용되고, 이러한 하중 때문에 핸들(20)의 사이드 프레임(21)이 비틀리는 문제들이 발생되었는데, 이렇게 핸들(20)에 상당한 하중이 발생되더라도 사이드 프레임(21)이 비틀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ㄷ'자 형태를 갖는 지지대(30)와 원기둥 형태의 보강봉(21b)을 사이드 프레임(21)에 설치하였다.
상기 레버(40)는 상기 사이드 프레임(21)에 설치되어 그 끝단이 상기 래치기어(11b)의 기어치 사이에 끼움된다.
좀 더 자세히 설명하면, 상기 레버(40)는 양측단에 삽입편(41)이 돌출 형성되는데, 이 삽입편(41)은 상기 사이드 프레임(21)에 형성된 가이드홀(21a)에 삽입된다. 따라서, 상기 레버(40)는 양단이 상기 사이드 프레임(21)의 가이드홀(21a)을 따라 슬라이딩된다.
그리고, 상기 레버(40)의 중앙 부분에는 스프링 가이드(42)가 형성되고, 상기 스프링 가이드(42)의 외측면에 압축스프링(42a)이 설치된다.
상기 압축스프링(42a)은 일단은 레버(40)에 지지되지만 타단은 상기 지지대(30)의 내측면에 지지된다.
이러한 압축스프링(42a)은 평상시에는 상기 레버(40)의 일단이 상기 래치기어(11b)의 기어치 사이에 삽입되도록 탄성력을 작용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작업자가 레버(40)를 잡아당기면 레버(40)의 끝단이 래치기어(11b)의 기어치 사이에서 이탈된다.
한편, 작업자가 레버(40)를 잡아당기거나, 또는 당겼던 레버(40)를 놓을 때 레버(40)의 스프링 가이드(42)는 상기 지지대(30)에 형성된 관통홀(30a)을 통해 출입되기 때문에 지지대(30)가 레버(40)의 움직임을 방해하지 않는다.
상기와 같은 레버(40)는 끝부분이 래치기어(11b)의 기어치 사이에 걸려 있는 상태에서 핸들(20)을 상하로 올렸다 내렸다를 반복하면, 핸들(20)이 상측으로 들어 올려질 때는 래치기어(11b)가 상측으로 회전하고, 핸들(20)이 하측으로 내려질 때는 레버(40)의 끝부분이 래치기어(11b)를 타고 하측으로 내려오고 이때 래치기어(11b)는 회전하지 않는다.
10: 벨트고정쇠 11: 벨트고정축
11a: 제1벨트 11b: 래치기어
12: 제2벨트 12a: 고리
20: 핸들 21: 사이드 프레임
21a: 가이드홀 21b: 보강봉
22: 손잡이 30: 지지대
30a: 관통홀 40: 레버
41: 삽입편 42: 스프링 가이드
42a: 압축스프링
C: 화물차 B: 적재함
B1: 걸림고리 L: 화물
M: 자석
11a: 제1벨트 11b: 래치기어
12: 제2벨트 12a: 고리
20: 핸들 21: 사이드 프레임
21a: 가이드홀 21b: 보강봉
22: 손잡이 30: 지지대
30a: 관통홀 40: 레버
41: 삽입편 42: 스프링 가이드
42a: 압축스프링
C: 화물차 B: 적재함
B1: 걸림고리 L: 화물
M: 자석
Claims (4)
- 제1벨트(11a)와 래치기어(11b)가 설치되는 벨트고정축(11)이 일측 끝단에 설치되고, 타측 끝단에 제2벨트(12)가 설치되는 벨트고정쇠(10)와; 일측 끝단이 상기 벨트고정축(11)에 관통되는 사이드 프레임(21)과, 상기 사이드 프레임(21)의 타측 끝단에 설치되는 손잡이(22)로 이루어진 핸들(20)과; 상기 사이드 프레임(21)에 양단이 고정되는 지지대(30)와; 상기 사이드 프레임(21)에 양단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어 그 끝단이 상기 래치기어(11b)의 기어치 사이에 끼움되는 레버(40)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벨트고정쇠(10)에는 자석(M)이 고정 설치되어 상기 자석(M)이 화물차(C)의 적재함(B)에 부착되고,
상기 핸들(20)의 사이드 프레임(21)은 상기 지지대(30) 옆에 보강봉(21b)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결속용 자동바.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벨트(11a)와 제2벨트(12) 중 적어도 하나에는 상기 화물차(C)의 적재함(B)에 부착되는 자석(M)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결속용 자동바.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30)는 그 단면 형태가 'ㄷ'자 형태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결속용 자동바.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40007696U KR200479568Y1 (ko) | 2014-10-23 | 2014-10-23 | 화물결속용 자동바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40007696U KR200479568Y1 (ko) | 2014-10-23 | 2014-10-23 | 화물결속용 자동바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479568Y1 true KR200479568Y1 (ko) | 2016-02-15 |
Family
ID=553521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140007696U KR200479568Y1 (ko) | 2014-10-23 | 2014-10-23 | 화물결속용 자동바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479568Y1 (ko)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755191B1 (ko) | 2017-03-30 | 2017-07-10 | 변정화 | 구조적인 안전성과 제작편의성을 갖는 자력을 이용한 화물차용 벨트 텐셔너 |
KR20180048096A (ko) | 2016-11-02 | 2018-05-10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화물 차량용 자동바 장치 |
KR102205198B1 (ko) | 2020-07-22 | 2021-01-19 | 곽재근 | 화물차용 자동바 |
KR20220127972A (ko) | 2021-03-12 | 2022-09-20 | 정성렬 | 화물 결속용 벨트의 텐션 지지구 |
KR20220127969A (ko) | 2021-03-12 | 2022-09-20 | 정성렬 | 벨트 텐션 기능을 갖는 화물 결속용 벨트 조임기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197749Y1 (ko) * | 2000-04-22 | 2000-09-15 | 박봉호 | 화물고정용 벨트 텐셔너 |
JP2003027749A (ja) * | 2001-07-11 | 2003-01-29 | Fujii Denko Co Ltd | ベルト締付具 |
KR101292810B1 (ko) * | 2013-01-21 | 2013-08-02 | 유근임 | 자석이 부착된 화물고정용 라쳇벨트 |
-
2014
- 2014-10-23 KR KR2020140007696U patent/KR200479568Y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197749Y1 (ko) * | 2000-04-22 | 2000-09-15 | 박봉호 | 화물고정용 벨트 텐셔너 |
JP2003027749A (ja) * | 2001-07-11 | 2003-01-29 | Fujii Denko Co Ltd | ベルト締付具 |
KR101292810B1 (ko) * | 2013-01-21 | 2013-08-02 | 유근임 | 자석이 부착된 화물고정용 라쳇벨트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80048096A (ko) | 2016-11-02 | 2018-05-10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화물 차량용 자동바 장치 |
KR101755191B1 (ko) | 2017-03-30 | 2017-07-10 | 변정화 | 구조적인 안전성과 제작편의성을 갖는 자력을 이용한 화물차용 벨트 텐셔너 |
KR102205198B1 (ko) | 2020-07-22 | 2021-01-19 | 곽재근 | 화물차용 자동바 |
KR20220127972A (ko) | 2021-03-12 | 2022-09-20 | 정성렬 | 화물 결속용 벨트의 텐션 지지구 |
KR20220127969A (ko) | 2021-03-12 | 2022-09-20 | 정성렬 | 벨트 텐션 기능을 갖는 화물 결속용 벨트 조임기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0479568Y1 (ko) | 화물결속용 자동바 | |
EA014924B1 (ru) | Натяжное устройство | |
US6494435B1 (en) | Spring-loaded safety winch for load restraint system | |
KR101176332B1 (ko) | 중량 화물의 운송을 위한 로프 고정 방법 | |
KR101495491B1 (ko) | 자력을 이용해 고정되는 화물차용 벨트 텐셔너 | |
DE202006007981U1 (de) | Ladegutsicherung für Behälter auf Transportfahrzeugen | |
US8998547B2 (en) | Cargo catch | |
KR20100095963A (ko) | 화물적재차량용 화물결박장치 | |
BE1019236A5 (nl) | Spanmiddelsysteem, alsmede laadruimte en voertuig voorzien van een dergelijk spanmiddelsysteem. | |
EA014921B1 (ru) | Бортовая штора для кузовов грузовых автомобилей и прицепов | |
KR102429482B1 (ko) | 화물 차량용 자동바 장치 | |
US7987563B2 (en) | Zipper cord | |
CN211364395U (zh) | 货物固定装置及货运车辆 | |
KR20130000753U (ko) | 화물적재차량용 화물결박장치 | |
KR102454212B1 (ko) | 벨트 텐션 기능을 갖는 화물 결속용 벨트 조임기 | |
KR200419201Y1 (ko) | 자동차용 화물결박장치 | |
JP4287327B2 (ja) | 車両運搬車における積載車両の固定装置 | |
KR200479567Y1 (ko) | 화물결속용 탄력띠 | |
CN215436947U (zh) | 货运无人机用舱内货物固定装置 | |
DE202005013599U1 (de) | Ladegutsicherung für Absetzbehälter auf Transportfahrzeugen | |
KR102454211B1 (ko) | 화물 결속용 벨트의 텐션 지지구 | |
DE102016006492B4 (de) | Ladungsfixierungsgurtsystem für Lastkraftwagen, oder Lastkraftwagenanhänger | |
FI58288B (fi) | Anordning foer att spaenna fast lasten pao ett lastbilsflak | |
KR102227658B1 (ko) | 화물 고정용 벨트 권선장치 | |
CN202593358U (zh) | 货运车货物捆绑紧绳器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207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200122 Year of fee payment: 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