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8851Y1 - 습식 집진기 - Google Patents

습식 집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8851Y1
KR200478851Y1 KR2020130007627U KR20130007627U KR200478851Y1 KR 200478851 Y1 KR200478851 Y1 KR 200478851Y1 KR 2020130007627 U KR2020130007627 U KR 2020130007627U KR 20130007627 U KR20130007627 U KR 20130007627U KR 200478851 Y1 KR200478851 Y1 KR 20047885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st
partition
main body
partition wall
contaminated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3000762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01186U (ko
Inventor
김효수
Original Assignee
크린에어테크(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크린에어테크(주) filed Critical 크린에어테크(주)
Priority to KR202013000762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8851Y1/ko
Publication of KR2015000118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118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885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885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0/00Combinations of methods or devices for separating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50/40Combinations of devices covered by groups B01D45/00 and B01D47/00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5/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by gravity, inertia, or centrifugal forces
    • B01D45/04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by gravity, inertia, or centrifugal forces by utilising inertia
    • B01D45/08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by gravity, inertia, or centrifugal forces by utilising inertia by impingement against baffle separ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7/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air or vapours by liquid as separating agent
    • B01D47/02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air or vapours by liquid as separating agent by passing the gas or air or vapour over or through a liquid ba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74General processes for purification of waste gases;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53/77Liquid phase processes
    • B01D53/78Liquid phase processes with gas-liquid contact

Abstract

본 고안은 집진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오염된 공기나 배기가스등을 액체와 접촉시켜 여과함으로써 오염된 공기와 배기가스에 포함된 이물질이나 먼지 등을 제거할 수 있고 이와 더불어 경제성 및 기술력 등의 향상을 통해 보다 효율적, 경제적인 운용이 가능한 습식집진기에 관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구체적인 해결적 수단은,
"본체 외부 일측에 분진 및 오염된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구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유입구와 연하여 상기 본체 내부 일측은 유입부가 타측은 배출부로 자연스럽게 구획하는 제1 격벽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제1 격벽의 하끝단은 개구되어 있되 상기 유입부에서 배출부로 분진 및 오염된 공기가 정화과정을 통해 소통토록 상기 배출부 하단 중앙에는 세로방향으로 분진 및 오염된 공기를 일차적으로 차단하는 제2 격벽이 형성되어 있되 상기 제2 격벽은 가운데가 제1 격벽쪽으로 절곡되어 있고 상기 절곡된 부위 끝단 가까이에는 상기 제1 격벽과 연결되어 분진 및 오염된 공기를 이차적으로 차단 정화하는 타공판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 격벽, 타공판 상부에는 상기 제1 격벽과 연하여 배출부 중앙쪽으로 끝단이 'ㄷ'자 형상으로 절곡된 가로방향의 제3 격벽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3 격벽보다 상대적으로 상부에 위치된 것으로 상기 본체의 내벽과 연하여 배출부의 중앙쪽으로 절곡된 제4 격벽이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본체의 내측 상부에는 토출부가 천공되어 있고 최상단에는 배출구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본체 하부에는 물이 수용되어 있는 것"을 구성적 특징으로 함으로서,
본 고안은 고가의 필터 대신 물 등의 습식을 이용하여 집진 작업을 수행함으로서, 필터의 교체 등에 소요되는 유지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수용성 가스 및 미세 분진 등의 완벽한 제거가 가능하게 되어 집진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특히, 송풍기 등으로 흡입을 하게 되면 내부의 수위가 변화하면서 파도가 치게되며 이와 같은 파도와 분진 등이 서로 부딪치면서 분진이 제거되되 이때 파도치는 부위에 타공판을 부착하여 파도가 타공판과 부딪치면서 더욱 작은 입자로 분진을 제거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그라인딩시 발생되는 미세한 금속분진을 제거하는데 매우 효과적인 것이다.

Description

습식 집진기{Wet Dust Collector}
본 고안은 집진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오염된 공기나 배기가스등을 액체와 접촉시켜 여과함으로써 오염된 공기와 배기가스에 포함된 이물질이나 먼지 등을 제거할 수 있고 이와 더불어 경제성 및 기술력 등의 향상을 통해 보다 효율적, 경제적인 운용이 가능한 습식집진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집진기(集塵器)는 미세 분진, 각종 유해가스, 잡균, 곰팡이 및 바이러스 등의 오염물질이 포함된 공기를 정화시킨 후 청정한 공기를 배출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집진기는 공기 정화는 물론 각종 냄새 제거 및 진드기나 꽃가루, 애완동물 털과 같은 미세 입자의 제거등을 통해 쾌적하고 건강한 환경을 제공하는 기능을 한다.
보통 집진기는 건식과 습식 두 종류로 구분되며, 건식은 다시 전기 집진식과 필터 여과식 등으로 나뉘어질 수 있다.
상기 필터 여과식은 공기를 필터 사이로 흘려 먼지 등의 각종 미립자가 필터에 의해 필터링되도록 하는 구성을 갖는데, 주기적으로 필터를 교환해야 하는 등의 유지 비용이 발생하는 단점이 있다.
상기 전기 집진식은 필터를 사용하지 않는 구조이므로 필터를 교환할 필요가 없다는 장점이 있으나, 집진판에 먼지가 쌓이면 먼지 제거 능력이 약화되어 정화 능력이 감퇴되면서 먼지 이외의 가스나 냄새 제거에 취약하다는 등의 단점이 있다.
반면에, 습식 집진기는 흡입된 공기를 물 등의 습식 정화제에 접촉시킴으로써, 이 과정에서 먼지나 가스 등의 오염 물질을 침전 또는 용해시켜 정화시키는 방식으로, 필터를 교환할 필요가 없고 소음이 적다는 등의 장점이 있어 근래 들어 점차 그 사용이 증가하는 추세에 있다.
상기와 같은 습식 집진기에 대한 선행기술을 살펴보면,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2-0013771호에는 미세한 물방울을 분사하여 분진을 1차로 제거한 후 제거되지 않은 분진은 다시 물을 통과시켜 2차로 제거하고 최종적으로 다단계의 필터를 통해 분진이 완벽하게 걸러지도록 한 정화성능이 개선된 습식집진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그리고,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1-0108971호에는 내부로 공기가 유입되며, 유입된 공기를 여과하는 여과부가 내부에 구비되어 유입된 공기를 여과부로 여과시켜 배출시키는 여과 집진기와, 상기 여과 집진기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에 암모니아를 분사하는 암모니아 분사 기기를 포함하여 연소 공기 내의 분진 및 미세 먼지 그리고 황산화물을 황산 암모늄으로 변형하여 상기 여과부로 여과하여 동시에 처리 가능한 집진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습식 집진기는 통상 대형의 고정식 구조를 갖도록 구성되어 필요한 장소로의 이동 배치 등이 불가능하며, 습식 정화제의 교체 또는 침전물의 제거 작업이 번거롭다는 등의 문제점이 있고,
또한, 오염물질의 제거를 위해 물 또는 액체를 분사하게 될 때 오염물질이 효과적으로 제거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습식 집진기의 경우, 집진기 본체의 내부에 채워져 있는 물의 와류를 이용하여 공기를 유동시키면서 공기에 포함되어 있는 각종 이물질을 수중에 여과한 후 배출시키는 방식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이때 물의 수위가 지나치게 높을 경우 물이 블로어측으로 오버되면서 블로어의 기능저하를 초래하게 되고, 또 물의 수위가 지나치게 낮을 경우 와류가 조성되지 못하면서 여과 효율이 떨어지게 된다.
따라서, 소형의 습식 집진기를 구성함으로써 집진기가 요구되는 장소에 이의 이동 배치를 가능하도록 하고, 나아가 손쉽게 습식 정화제의 교체나 침전물의 제거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방안이 요구되고 있다.
한국 특허공개번호 제10-2012-0013771호 한국 특허공개번호 제10-2011-0108971호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우선, 고가의 필터 대신 물 등의 습식을 이용하여 집진 작업을 수행함으로서, 필터의 교체 등에 소요되는 유지 비용을 절감할 수 있어 경제적인 측면과 수용성 가스 및 미세 분진 등의 완벽한 제거가 가능하게 하는 집진 성능을 향상시키는 기술적 측면을 모두 향상토록 함에 본 고안의 목적이 있으며,
타공판을 설치함으로서 내부에 물의 수위가 지나치게 높아 물이 송풍기측으로 오버되면서 송풍기의 기능저하를 초래치 아니하도록 하며 더불어, 물이 타공판에 부딪치도록 하여 더욱 작은 물 입자가 생기도록 하여 분진과 물이 닿는 면적을 상승시켜 분진의 제거의 효울성을 높이고 특히, 금속분진과 같은 분진을 물과 함께 타공판에 부딪쳐 완벽한 분진의 제거를 도모할 수 있도록 함에 본 고안의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구체적인 해결적 수단은,
"본체 외부 일측에 분진 및 오염된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구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유입구와 연하여 상기 본체 내부 일측은 유입부가 타측은 배출부로 자연스럽게 구획하는 제1 격벽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제1 격벽의 하끝단은 개구되어 있되 상기 유입부에서 배출부로 분진 및 오염된 공기가 정화과정을 통해 소통토록 상기 배출부 하단 중앙에는 세로방향으로 분진 및 오염된 공기를 일차적으로 차단하는 제2 격벽이 형성되어 있되 상기 제2 격벽은 가운데가 제1 격벽쪽으로 절곡되어 있고 상기 절곡된 부위 끝단 가까이에는 상기 제1 격벽과 연결되어 분진 및 오염된 공기를 이차적으로 차단 정화하는 타공판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 격벽, 타공판 상부에는 상기 제1 격벽과 연하여 배출부 중앙쪽으로 끝단이 'ㄷ'자 형상으로 절곡된 가로방향의 제3 격벽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3 격벽보다 상대적으로 상부에 위치된 것으로 상기 본체의 내벽과 연하여 배출부의 중앙쪽으로 절곡된 제4 격벽이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본체의 내측 상부에는 토출부가 천공되어 있고 최상단에는 배출구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본체 하부에는 물이 수용되어 있는 것"을 그 구성적 특징으로 함으로서 상기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고가의 필터 대신 물 등의 습식을 이용하여 집진 작업을 수행함으로서, 필터의 교체 등에 소요되는 유지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수용성 가스 및 미세 분진 등의 완벽한 제거가 가능하게 되어 집진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특히, 송풍기 등으로 흡입을 하게 되면 내부의 수위가 변화하면서 파도가 치게되며 이와 같은 파도와 분진 등이 서로 부딪치면서 분진이 제거되되 이때 파도치는 부위에 타공판을 부착하여 파도가 타공판과 부딪치면서 더욱 작은 입자로 분진을 제거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그라인딩시 발생되는 미세한 금속분진을 제거하는데 매우 효과적인 것이다.
이상에서 본 고안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고안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인 습식 집진기에 있어서 본체의 내부를 볼 수 있도록 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인 습식 집진기에 있어서 본체의 내부 정면도,
도 3은 본 고안인 습식 집진기에 있어서 오염된 공기 및 분진이 소통되는 흐름을 나타낸 본체의 내부 정면도,
도 4는 본 고안인 습식 집진기에 있어서 오염된 공기 및 분진이 유입부를 통해 유입되어 물과 함께 타공판에 충돌하면서 제거되는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이다.
이하, 본 고안인 습식 집진기에 대하여 구체적인 설명 및 구성을 도면과 함께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고안인 습식 집진기에 있어서 본체의 내부를 볼 수 있도록 한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고안인 습식 집진기에 있어서 본체의 내부 정면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인 습식 집진기에 있어서 오염된 공기 및 분진이 소통되는 흐름을 나타낸 본체의 내부 정면도이며, 도 4는 본 고안인 습식 집진기에 있어서 오염된 공기 및 분진이 유입부를 통해 유입되어 물과 함께 타공판에 충돌하면서 제거되는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이다.
본 고안에 대한 설명에 앞서 본 고안의 도면이나 상세한 설명은 가장 핵심적인 내용만 기재되어 있는 것으로서 기존의 블로어 즉, 송풍기, 모터 등등의 기계적인 구성요소등은 생략하며 이와 같이 생략하는 것은 습식 집진기에 있어서 상기 기계적인 구성요소는 당연한 공지기술이므로 하기에서는 도면에 비록 도시되어 있지 아니하였지만 당연히 존재하는 상기 기계적 구성요소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고자 한다.
본 고안의 가장 핵심적인 구성요소는 본체(10)에 있다.
이하, 본체(10)에 대하여 그 구성을 설명하면,
상기 본체(10)은 원통형이거나 각을 이루는 통형상이거나 모두 본 고안의 범위에 속하는 것이며 도면상에서는 하부측에 마치 호퍼형상으로 하였으나 원통형상이든 하측이 원뿔형상이든 모두 본 고안에 속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보면, 상기 본체(10)는 외부 일측에 분진 및 오염된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구(100)가 형성되어 있다.
즉, 상기 유입구(100)는 명칭 그대로 예를들면 그라이딩 작업장이나 기타 분진이 많이 발생하는 모든 작업장에 본 고안을 설치하여 유입구(100)에 플렉시블한 유입관 등등을 결합하거나 또는 후드 등에 연결될 수도 있는 것으로서 이와 같은 상기 유입구(100)는 분진이나 오염된 물질 및 공기등을 유입하는 구성요소로서 유입키 위한 원동력은 송풍기 등으로 흡입토록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유입구(100)와 연하여 상기 본체(10) 내부 일측은 유입부(110)가 타측은 배출부(200)로 자연스럽게 구획하는 제1 격벽(120)이 구비되어 있다.
즉, 상기 제1 격벽은 도 1 내지 도 4에서도 도시된 바와 같이 유입된 오염된 공기 및 분진을 하기에서 설명하는 배출부(200)으로 바로 배출치 못하도록 하면서 동시에 상기 오염된 물질, 공기 및 분진을 본체(10) 하부에 저장된 물(W)로 정화과정을 거치토록 하기 위한 것이다.
다음, 상기와 같은 기능을 하는 제1 격벽(120)의 하끝단은 개구되어 있되 상기 유입부(110)에서 배출부(200)로 분진 및 오염된 공기가 정화과정을 통해 소통토록 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와 같은 역할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격벽이 존재하여야 하며 그 역할을 제2 격벽(210)이 수행하면 이에 대하여 설명하면, 상기 배출부(200) 하단 중앙에는 세로방향으로 분진 및 오염된 공기를 일차적으로 차단하는 제2 격벽(210)이 형성되어 있되 상기 제2 격벽(210)은 가운데가 제1 격벽(120)쪽으로 절곡되어 있게 함으로서 유도판과 같은 역할을 동시에 수행토록 한 것이다.
한편 상기 제2 격벽(210)은 가운데가 제1 격벽(120)쪽으로 절곡되게 형성되었고 상기 절곡된 부위 끝단 가까이에는 상기 제1 격벽(120)과 연결되어 분진 및 오염된 공기를 이차적으로 차단 정화하는 타공판(220)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타공판(220)은 우선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개의 구멍이 천공되어 있는 것으로서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격벽(210)에 의해 유도된 물과 오염된 공기 및 분진의 혼합체가 상기 타공판(220)을 통과함에 있어 물은 물론이고 물과 함께 혼합된 분진이나 오염된 물질 예를들면 금속분진, 먼지 등등이 타공판(220)에서 한번 더 부딪치면서 제거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우선 유입부(110)을 통해 유입된 분진 등이 물과 접촉하되 상기 본체(10) 내부는 이미 도시화되지 아니한 송풍기에 의해 물은 물론이고 유입된 분진등이 요동을 치는 상태인 것이다.
즉, 유입된 분진이 당연히 제1 격벽(120)에 의해 물과 접촉하게 되면서 요동치는 물과 분진의 혼합체는 제2 격벽(210)에 의해 다시 한번 요동치고 이 과정에서 분진은 미세화 및 제거과정을 거치고 이런 상태에서 흡입하는 송풍기의 힘에 의해 타공판(220)으로 물과 분진 등은 혼합된 상태로 다시 한번 부딪치게 되면서 2차적으로 분진 및 오염된 물질의 제거가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다음, 상기 제2 격벽(210), 타공판(220) 상부에는 상기 제1 격벽(120)과 연하여 배출부(200) 중앙쪽으로 끝단이 'ㄷ'자 형상으로 절곡된 가로방향의 제3 격벽(230)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3 격벽(230)보다 상대적으로 상부에 위치된 것으로 상기 본체(10)의 내벽과 연하여 배출부(200)의 중앙쪽으로 절곡된 제4 격벽(240)이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본체(10)의 내측 상부에는 토출부(250)가 천공되어 있고 최상단에는 배출구(260)가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서 상기 토출부(250)는 본체(10) 내측 상부에 판 형태가 구비되어 있고 이와 같이 구비된 판에 천공된 것이 상기 토출부(250)라 명명한 것이다.
먼저 제3 격벽(230)은 중앙쪽 끝단 가까이가 'ㄷ'자 형상으로 절곡됨으로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과 분진의 혼합물이 일단, 과도하게 파도를 치거나 요동침에 따른 송풍기나 기타 기계의 손상 즉, 부식 등의 문제점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제3 격벽(230) 또한 제3차적으로 분진 등을 제거하는 기능을 수행토록 하는 것이다.
한편, 제4 격벽(24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격벽(230)의 상부 대응되는 본체(10) 내벽에 연하여 형성되면서 상기 제4 격벽(240) 또한 절곡된 형상으로서 이와 같은 형상의 궁긍적인 목적은 물 등의 요동에 의한 즉, 송풍기의 힘에 의해 물이 파도침에 따른 기계의 손상을 예방하기 위한 일차적인 목적이 있고 그 다음 동시에 분진 등과의 충돌로 인한 분진 제거를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과정을 거친 오염된 공기 등은 토출부(250) 및 배출구(260)을 통해 외부로 배출될 경우에는 유입구(100)를 통해 유입될때의 오염된 공기 및 분진이 아니라 정화된 깨끗한 공기로 배출되는 것이다.
기타, 상기 토출부(250)에 별도의 여과부를 구성하거나 기타 필터 등을 추가함으로서 더욱 공기 정화효과를 높힐 수 있는 것이다.
10 : 본체 100 : 유입구
110 : 유입부 120 : 제1 격벽
200 : 배출부 210 : 제2 격벽
220 : 타공판 230 : 제3 격벽
240 : 제4 격벽 250 : 토출부
260 : 배출구

Claims (1)

  1. 본체(10) 외부 일측에 분진 및 오염된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구(100)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유입구(100)와 연하여 상기 본체(10) 내부 일측은 유입부(110)가 타측은 배출부(200)로 자연스럽게 구획하는 제1 격벽(120)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제1 격벽(120)의 하끝단은 개구되어 있되 상기 유입부(110)에서 배출부(200)로 분진 및 오염된 공기가 정화과정을 통해 소통토록 상기 배출부(200) 하단 중앙에는 세로방향으로 분진 및 오염된 공기를 일차적으로 차단하는 제2 격벽(210)이 형성되어 있되 상기 제2 격벽(210)은 가운데가 제1 격벽(120)쪽으로 절곡되어 있고 상기 절곡된 부위 끝단 가까이에는 상기 제1 격벽(120)과 연결되어 분진 및 오염된 공기를 이차적으로 차단 정화하는 타공판(220)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 격벽(210), 타공판(220) 상부에는 상기 제1 격벽(120)과 연하여 배출부(200) 중앙쪽으로 끝단이 'ㄷ'자 형상으로 절곡된 가로방향의 제3 격벽(230)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3 격벽(230)보다 상대적으로 상부에 위치된 것으로 상기 본체(10)의 내벽과 연하여 배출부(200)의 중앙쪽으로 절곡된 제4 격벽(240)이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본체(10)의 내측 상부에는 토출부(250)가 천공되어 있고 최상단에는 배출구(260)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본체(10) 하부에는 물(W)이 수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집진기.
KR2020130007627U 2013-09-11 2013-09-11 습식 집진기 KR20047885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7627U KR200478851Y1 (ko) 2013-09-11 2013-09-11 습식 집진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7627U KR200478851Y1 (ko) 2013-09-11 2013-09-11 습식 집진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1186U KR20150001186U (ko) 2015-03-19
KR200478851Y1 true KR200478851Y1 (ko) 2015-11-23

Family

ID=530390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30007627U KR200478851Y1 (ko) 2013-09-11 2013-09-11 습식 집진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8851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59995A (ko) * 2018-11-22 2020-05-29 김민호 개방형 습식 에어크리너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1658B1 (ko) * 2020-01-13 2020-07-08 제이에스엔지니어링 습건식 탈취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59995A (ko) * 2018-11-22 2020-05-29 김민호 개방형 습식 에어크리너
KR102135154B1 (ko) * 2018-11-22 2020-07-17 김민호 개방형 습식 에어크리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1186U (ko) 2015-03-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68009B1 (ko) 여과플레이트를 이용한 미세먼지 제거장치
KR102021789B1 (ko) 습식 집진기
KR100750480B1 (ko) 선박용 디젤엔진의 배기가스 중의 유해성분을 제거하기위한 세정집진기
KR102095722B1 (ko) 백연방지 기능이 구비된 일체형 집진장치
KR102191152B1 (ko) 먼지 저감 장치
KR101296799B1 (ko) 공기 정화장치용 습식 집진장치
KR20160139799A (ko) 습식형 가습 공기청정기
KR200478851Y1 (ko) 습식 집진기
KR100918982B1 (ko) 워터필터 공기청정기
CN109078419A (zh) 空气净化器
CN114269453A (zh) 湿式集尘单元及使用其的湿式集尘装置
KR100589791B1 (ko) 습식 공기정청기용 정화장치
CN112473305A (zh) 消音除尘器
KR102236966B1 (ko) 악취제거장치
KR101140287B1 (ko) 오일 흄 포집 장치
KR100795114B1 (ko) 소형 습식 집진기
US20190316502A1 (en) Air Cleaner for Vehicle
KR101347720B1 (ko) 분진 및 이물질 제거를 위한 집진기 구조
KR102395319B1 (ko) 습식 집진기
CN214051006U (zh) 消音除尘器
JP2531343Y2 (ja) 除塵装置
CN109519999B (zh) 水箱喷雾式除油烟机
KR100640748B1 (ko) 습식 공기청정기용 정화장치
KR20190036043A (ko) 분사형 습식노즐이 구비된 공기청정기
KR100643888B1 (ko) 습식 음이온 발생장치가 구비된 공기청정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