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2683Y1 - Food Packing Case - Google Patents

Food Packing Cas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2683Y1
KR200472683Y1 KR2020120003652U KR20120003652U KR200472683Y1 KR 200472683 Y1 KR200472683 Y1 KR 200472683Y1 KR 2020120003652 U KR2020120003652 U KR 2020120003652U KR 20120003652 U KR20120003652 U KR 20120003652U KR 200472683 Y1 KR200472683 Y1 KR 20047268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od
main body
guide hole
grip portion
bo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03652U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30006512U (en
Inventor
박민영
조경식
Original Assignee
씨제이제일제당 (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씨제이제일제당 (주) filed Critical 씨제이제일제당 (주)
Priority to KR202012000365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2683Y1/en
Publication of KR2013000651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6512U/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268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2683Y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72Contents-dispensing means
    • B65D5/728Contents-dispensing means for drawer-and-shell-type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54Lines of weakness to facilitate opening of container or dividing it into separate parts by cutting or tearing
    • B65D5/5475Lines of weakness to facilitate opening of container or dividing it into separate parts by cutting or tearing for dividing a "cross-like" container body into separate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5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living organisms, articles or materials sensitive to changes of environment or atmospheric conditions, e.g. land animals, birds, fish, water plants, non-aquatic plants, flower bulbs, cut flowers or foli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2583/04For dispensing annular, disc-shaped or spherical or like small articles or tablets
    • B65D2583/0445For dispensing annular, disc-shaped or spherical or like small articles or tablet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container
    • B65D2583/0468For dispensing annular, disc-shaped or spherical or like small articles or tablet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container of drawer-and-shell type

Abstract

본 고안은 일측면에 가이드홀이 길게 형성된 본체부 및 상기 본체부와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는 분리부를 포함하는 박스; 및 상기 일측면을 관통하여 외부로 노출되는 파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박스 내에 수납되는 식품 받침대; 를 포함하는 식품 포장 용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르면, 수납된 음식물을 용이하게 꺼낼 수 있으며, 취식 시 음식물이 손에 묻는 것을 방지하는 식품 포장 용기를 제공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ox comprising a body portion having a long guide hole formed on one side thereof and a separating portion detachably connected to the body portion; And a grip portion which is expos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one side surface, the food support being housed in the box; To a food packaging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food packaging container that can easily take out stored foods and prevent foods from being put on the hands when eating.

Description

식품 포장 용기{Food Packing Case}{Food Packing Case}

본 고안은 식품 포장 용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수납된 음식물을 용이하게 꺼낼 수 있으며, 취식 시 음식물이 손에 묻는 것을 방지하는 식품 포장 용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ood packaging contain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food packaging container which can easily take food stored therein and prevents foods from being put on the hands when eating.

식품 포장 용기는 식품을 내부에 수납함으로써, 식품의 보관 및 운반 등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것이다. The food packaging container is intended to accommodate the food inside, thereby facilitating the storage and transportation of the food.

종래의 식품 포장 용기를 도시한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식품 포장 용기(100)는 일반적으로 종이 재질의 각형 형태로 제작된다. Referring to FIG. 1 showing a conventional food packaging container, a conventional food packaging container 100 is generally formed into a square shape of paper.

이러한 종래의 식품 포장 용기(100)는 그 내부에 다양한 종류의 음식물을 수납한 상태로 운반되어, 매대에 진열될 수 있다. Such a conventional food packaging container 100 can be transported in a state in which various kinds of foods are housed therein, and can be displayed on the shelf.

식품 포장 용기(100)에 수납된 음식물을 취식하기 위해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식품 포장 용기(100)의 일측을 개방한 후, 내부에 위치한 음식물을 손으로 직접 잡아 꺼내야만 하였다. In order to grasp the food stored in the food packaging container 100, one side of the food packaging container 100 has to be opened as shown in FIG.

그러나, 이 경우 음식물이 손에 묻는 불편함이 존재하였고, 음식물의 온도에 따라 음식물을 손으로 직접 잡아 꺼내기가 어려운 경우가 있었다. However, in this case, there was the inconvenience that the food stuck to the hand, and depending on the temperature of the food, it was difficult to take the food directly by hand.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고안의 목적은 식품 포장 용기의 수납된 음식물을 손쉽게 꺼낼 수 있는 식품 포장 용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food packaging container which can easily take out stored foods in a food packaging container.

또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취식 시 손에 음식물이 묻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식품 포장 용기를 제공하기 위함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food packaging container which can prevent foods from being put on hands when eating.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에 따르면, 본 고안은 일측면에 가이드홀이 길게 형성된 본체부 및 상기 본체부와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는 분리부를 포함하는 박스 및 상기 일측면을 관통하여 외부로 노출되는 파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박스 내에 수납되는 식품 받침대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box having a body including a long guide hole on one side and a separating part detachably connected to the body, And a grasping portion that is exposed to the outside, and includes a food pedestal accommodated in the box.

또한, 상기 본체부와 상기 분리부는, 절취 가능한 절취부를 통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main body and the separator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a cut-out cut-out portion.

또한, 상기 분리부가 상기 본체부로부터 분리된 경우, 상기 식품 받침대의 일측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 when the separating part is separated from the main body part, one side of the food support is exposed to the outside.

또한, 상기 본체부는, 상기 식품 받침대가 안착되는 제2 측면, 상기 제2 측면과 대향하는 제1 측면, 상기 제1 측면과 상기 제2 측면을 연결하며 서로 대향하는 제3 측면과 제4 측면, 상기 측면들과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후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main body portion may include a second side on which the food support is seated, a first side opposite to the second side, a third side and a fourth side that connect the first side and the second side, And a rear surface forming the side surfaces and the inner space.

또한, 상기 가이드홀은, 상기 제2 측면, 상기 제3 측면 및 상기 제4 측면 중 적어도 어느 한 측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guide hole may be formed on at least one of the second side surface, the third side surface, and the fourth side surface.

또한, 상기 본체부는, 상기 파지부를 인출하기 위한 개구부를 가이드홀과 연결하여 더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 the main body is further formed by connecting an opening for drawing out the grip portion to a guide hole.

또한, 상기 파지부는, 상기 가이드홀을 따라 이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grip portion is movable along the guide hole.

또한, 상기 식품 받침대는, 상기 가이드홀을 따라 움직이는 상기 파지부에 의해 상기 본체부로부터 이탈되거나 상기 본체부로 삽입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food cradle may be detached from the main body or inserted into the main body by the gripper moving along the guide hole.

또한, 상기 식품 받침대는, 식품이 안착되는 하면 및 상기 하면의 양단에 각각 연결되는 한 쌍의 측면을 포함한다.In addition, the food cradle includes a bottom surface on which the food is placed and a pair of side surfaces connected to both ends of the bottom surface.

또한, 상기 파지부는, 상기 식품 받침대의 하면과 한 쌍의 측면 중 적어도 어느 한 면과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 the grip portion is connected to at least one of a lower surface and a pair of side surfaces of the food support.

또한, 상기 파지부는, 상기 식품 받침대에 부착되는 고정부를 통해 상기 식품 받침대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grip portion is connected to the food supporter through a fixing portion attached to the food supporter.

또한, 상기 파지부는, 상기 고정부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 the holding portion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fixing portion.

또한, 상기 고정부는, 상기 식품 받침대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 the fixing portion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food support.

또한, 상기 고정부는, 상기 식품 받침대의 측면의 선단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되, 외측으로 접혀 상기 식품 받침대의 하면 또는 측면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fixing part is formed to extend from the front end of the side surface of the food support, and is folded outward and attached to the lower surface or the side surface of the food support.

또한, 상기 파지부는, 상기 본체부의 일측면과 절취선을 사이에 두고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grip portion is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main body portion with a perforated line interposed therebetween.

또한, 상기 식품 받침대는, 상기 한 쌍의 측면과 상기 하면을 따라 형성되는 절취선 및 상기 측면의 선단에 각각 형성되어 상기 절취선과 연결되는 절취홈을 더 포함하는 특징으로 한다.The food cradle may further include a perforated line formed along the pair of side surfaces and the lower surface, and a cutout groove formed at the tip of the side surface and connected to the perforated line.

또한, 상기 박스와 상기 식품 받침대는, 종이 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box and the food cradle are made of paper.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르면, 식품 포장 용기의 수납된 음식물을 손쉽게 꺼낼 수 있는 식품 포장 용기를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provide a food packaging container that can easily take out the food stored in the food packaging container.

또한, 본 고안에 따르면 취식 시 손에 음식물이 묻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식품 포장 용기를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food packaging container which can prevent foods from being put on hands when eating.

도 1은 종래의 식품 포장 용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박스의 사시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식품 받침대의 사시도이다.
도 6 및 도 7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식품 받침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 내지 도 10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식품 포장 용기의 동작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식품 포장 용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식품 포장 용기의 동작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식품 포장 용기를 나타낸 도면이다.
1 is a view showing a conventional food packaging container.
2 and 3 are perspective views of a box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and 5 are perspective views of a food suppor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s. 6 and 7 are views showing food supporter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to 10 are views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food packaging contain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view showing a food packaging contain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view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food packaging container shown in FIG.
13 is a view showing a food packaging contain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The details of other embodiments are includ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drawings.

본 고안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고안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고안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고안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how to accomplish them, will becom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detail below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should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herein but may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To the person having the invention, and this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들 및 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식품 포장 용기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a food packaging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rawings for describing the same.

도 2 및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박스의 사시도이다. 특히, 도 3은 가이드홀(60) 등이 잘 보이도록 도 2에 도시된 박스(10)를 뒤집어 도시하였다. 2 and 3 are perspective views of a box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articularly, FIG. 3 shows the box 10 shown in FIG. 2 so that the guide hole 60 and the like can be seen clearly.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박스(10)는 내부에 식품 받침대(50)를 수납할 수 있으며, 일례로 종이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The box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house the food support 50 therein, and may be made of paper, for example.

또한,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박스(10)는 분리부(20) 및 본체부(30)로 이루어질 수 있다. 2 and 3, the box 10 may include a separator 20 and a main body 30.

분리부(20)는 본체부(30)와 분리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하나의 박스(10)를 구성할 수 있다. The separator 20 may be detachably connected to the main body 30 to form one box 10.

이를 위하여, 일례로 분리부(20)는 본체부(30)와의 사이에 절취 가능한 절취부(40)를 구비할 수 있다. For this purpose, the separating portion 20 may include a cut-out portion 40 that can be cut between the separating portion 20 and the body portion 30.

절취부(40)와 분리부(20) 사이 및 절취부(40)와 본체부(30) 사이에는 절취선(41)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구매자는 상기 절취부(40)를 뜯어냄으로써 분리부(20)를 본체부(30)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다. Since the perforated line 41 is formed between the cut-out portion 40 and the separating portion 20 and between the cut-out portion 40 and the main body portion 30, the purchaser removes the cut- Can be separated from the main body 30.

이에 따라, 박스(10) 내부에 식품 받침대(50)를 수납한 식품 포장 용기에서 분리부(20) 및 절취부(40)는 제거되고,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부(30) 및 식품 받침대(50)만이 남게 될 수 있다. Thus, the separating portion 20 and the cut-out portion 40 are removed from the food packaging container housing the food support 50 inside the box 10, and as shown in FIG. 8, the body portion 30 and the food Only the pedestal 50 may be left.

이 때, 분리부(20)가 본체부(30)로부터 분리됨으로써,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식품 받침대(50)의 일부분은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separation unit 20 is separated from the main body 30, so that a part of the food support 50 can be exposed to the outside as shown in FIG.

박스(10)는 각형의 다면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일례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육면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The box 10 may be formed as a rectangular polyhedron, and may have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as shown in FIG.

이 때, 본체부(30)는 네 개의 측면(31, 32, 33, 34)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 기준으로 하측에 위치하는 제2 측면(32)에는 식품 받침대(50)가 안착될 수 있으며, 제1 측면(31)은 상기 제2 측면(32)에 대향하도록 위치한다. At this time, the main body portion 30 may include four side surfaces 31, 32, 33, and 34. The food support 50 can be seated on the second side 32 positioned on the lower side of FIG. 2, and the first side 31 is positioned to face the second side 32.

또한, 제3 측면(33)과 제4 측면(34)은 상기 제1 측면(31)과 상기 제2 측면(32)을 각각 연결하며 서로 대향하도록 위치한다. The third side surface 33 and the fourth side surface 34 are located so as to connect the first side surface 31 and the second side surface 32 and oppose each other.

후면(35)은 상기 측면들(31, 32, 33, 34)과 식품 받침대(50)가 수납될 수 있는 내부 공간을 형성한다. The rear surface 35 forms an inner space in which the side surfaces 31, 32, 33, 34 and the food pedestal 50 can be housed.

박스(10) 내부로 식품 받침대(50)의 수납이 가능하도록, 본체부(30)의 후면(35)은 어느 한 측면(31, 32, 33, 34)의 선단과 연결되는 통상의 개폐 가능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The rear face 35 of the main body portion 30 is formed in a generally openable and closable form connected to the ends of any one of the side faces 31, 32, 33, 34 so that the food support 50 can be received into the box 10 As shown in FIG.

분리부(20) 역시 상기 본체부(30)와 마찬가지로 네 개의 측면(21, 22, 23, 24)을 포함할 수 있다. The separator 20 may also include four sides 21, 22, 23, 24 as in the case of the main body 30.

도 2 기준으로 하측에 위치하는 제2 측면(22)에는 식품 받침대(50)가 안착될 수 있으며, 제1 측면(21)은 상기 제2 측면(22)에 대향하도록 위치한다. The food support 50 can be seated on the second side 22 positioned on the lower side of FIG. 2, and the first side 21 is positioned to face the second side 22.

또한, 제3 측면(23)과 제4 측면(24)은 상기 제1 측면(21)과 상기 제2 측면(22)을 각각 연결하며 서로 대향하도록 위치한다. The third side surface 23 and the fourth side surface 24 are located so as to connect the first side surface 21 and the second side surface 22 and oppose each other.

전면(25)은 상기 측면들(21, 22, 23, 24)과 식품 받침대(50)가 수납될 수 있는 내부 공간을 형성한다.The front surface 25 forms an inner space into which the side surfaces 21, 22, 23, 24 and the food pedestal 50 can be housed.

상기 전면(25)은 후면(35)과 대향하도록 위치하며, 박스(10) 내부로 식품 받침대(50)의 수납이 가능하도록 어느 한 측면(21, 22, 23, 24)의 선단과 연결되는 통상의 개폐 가능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The front surface 25 is positioned to face the rear surface 35 and is connected to the front end of one side 21, 22, 23, 24 so as to accommodate the food support 50 into the box 10. [ As shown in FIG.

도 3을 참조하면, 본체부(30)의 일측면에는 가이드홀(60)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홀(60)은 박스(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 될 수 있으며, 본체부(30)에 포함된 다수의 측면 (31, 32, 33, 34)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형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a guide hole 60 may be formed on one side of the main body 30. The guide hole 60 may be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ox 10 and may be formed on at least one of a plurality of side surfaces 31, 32, 33, and 34 included in the main body 30. [ have.

도 3에서는 식품 받침대(50)가 제2 측면(32)에 안착되고 식품 받침대(50)의 하면에 파지부(70)가 설치된 경우를 가정하여 가이드홀(60)이 제2 측면(32)에 형성된 경우를 도시하였으나, 파지부(70)의 위치에 대응하여 가이드홀(60)은 다른 측면(31, 33, 34)에 형성될 수 있다. 3, it is assumed that the food supporter 50 is seated on the second side surface 32 and the grasp portion 70 is provid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food supporter 50 so that the guide hole 60 is formed on the second side surface 32 The guide hole 60 may be formed on the other side 31, 33, 34 in correspondence with the position of the grip portion 70. [

또한, 본체부(30)에는 상기 가이드홀(60)과 연결된 개구부(62)가 더 형성될 수 있다. The main body 30 may further include an opening 62 connected to the guide hole 60.

본체부(30)에 형성된 가이드홀(60)은 그 폭이 좁기 때문에, 파지부(70)가 형성된 식품 받침대(50)를 박스(10)에 삽입한 후 가이드홀(60)로 파지부(70)를 인출하기는 쉽지 않다. Since the guide hole 60 formed in the main body portion 30 is narrow in width, the food support 50 having the grip portion 70 formed therein is inserted into the box 10 and then guided by the grip portion 70 It is not easy to withdraw.

따라서, 파지부(70)를 인출하기 위한 충분한 면적의 개구부(62)를 별도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상기 개구부(62)를 통해 외부로 인출된 파지부(70)는 가이드홀(60)을 따라 이동될 수 있어야 하므로, 상기 개구부(62)와 상기 가이드홀(60)은 상호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refore, it is preferable to separately form the opening portion 62 having a sufficient area for pulling out the grip portion 70. Since the grip portion 70 drawn out to the outside through the opening 62 can be moved along the guide hole 60, the opening 62 and the guide hole 60 are preferably connected to each other Do.

도 4 및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식품 받침대의 사시도이다. 특히, 도 5는 파지부(70) 등이 잘 보이도록 도 4에 도시된 식품 받침대(50)를 뒤집어 도시하였다. 4 and 5 are perspective views of a food suppor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articularly, FIG. 5 shows the food support 50 shown in FIG. 4 in an inverted state so that the grip portion 70 and the like can be seen easily.

식품 받침대(50)는 음식물을 올려 놓은 상태에서 박스(10) 내로 수납될 수 있으며, 일례로 종이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The food supporter 50 may be housed in the box 10 with the food placed thereon, and may be formed of a paper material, for example.

도 4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식품 받침대(50)는 상측으로 식품이 안착되는 하면(55), 상기 하면(55)의 양단에 각각 연결되는 한 쌍의 측면(56)을 포함할 수 있다. 4, the food supporter 5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lower surface 55 on which food is seated upwardly and a pair of side surfaces 56 connected to both ends of the lower surface 55, can do.

측면(56)은 식품 받침대(50)에 거치된 음식물이 박스(10)의 측면(예를 들어, 제3 측면(23, 33), 제4 측면(24, 34))에 닿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상기 측면(56)을 잡고 음식물을 취식 할 수 있으므로 손에 음식물이 묻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다. The side surface 56 can prevent the food stored in the food support 50 from touching the side surface (e.g., the third side surface 23, 33, the fourth side surface 24, 34) of the box 10 The user can hold the side surface 56 and eat food, thereby preventing food from being put on his or her hands.

또한, 식품 받침대(50)는 하면(55)의 후단에 추가적으로 형성되는 후면(57)을 더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food support 50 may further include a rear surface 57, which is additionally formed at the rear end of the lower surface 55.

상기 후면(57)은 식품 받침대(50)에 거치된 음식물이 박스(10)의 후면(35)에 닿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The rear surface 57 can prevent the food stuck to the food support 50 from touching the rear surface 35 of the box 10.

따라서, 식품 받침대(50)가 본체부(30) 내에 삽입되는 경우, 식품 받침대(50)의 하면(55)은 본체부(30)의 제2 측면(32)에 안착될 수 있고, 식품 받침대(50)의 후면(57)은 본체부(30)의 후면(35)과 마주보며 위치할 수 있고, 식품 받침대(50)의 측면(56)은 각각 본체부(30)의 제3 측면(33), 제4 측면(34)과 마주보며 위치할 수 있다. The lower surface 55 of the food supporter 50 can be seated on the second side surface 32 of the main body portion 30 and the food supporter 50 50 may face the rear face 35 of the body portion 30 and the side faces 56 of the food pedestal 50 may be located on the third side 33 of the body portion 30, , And the fourth side (34).

도 5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식품 받침대(50)는 가이드홀(60)이 형성된 본체부(30)의 일측면을 관통하여 외부로 노출되는 파지부(70)를 구비할 수 있다. 5, the food support 5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have a grip portion 70 which is exposed to the outside through one side of the main body portion 30 having the guide hole 60 formed therein have.

이 때, 파지부(70)는 본체부(30)에 형성된 가이드홀(60)을 통하여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다만, 식품 포장 용기의 사용자는 가이드홀(60)과 연결된 개구부(62)를 통하여 파지부(70)를 먼저 인출한 후, 파지부(70)를 가이드홀(60)로 이동시킬 수 있다. At this time, the grip portion 70 can be expos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guide hole 60 formed in the main body portion 30. The user of the food packaging container can move the grip portion 70 to the guide hole 60 after first pulling the grip portion 70 through the opening portion 62 connected to the guide hole 60.

파지부(70)는 본체부(30)와 마주보는 식품 받침대(50)의 외부면에 위치할 수 있는데, 일례로 파지부(7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식품 받침대(50)의 하면(55)에 연결될 수 있다. The grip portion 70 may be locat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food supporter 50 facing the main body portion 30. For example, as shown in FIG. 5, the grip portion 70 may be provid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food supporter 50 (Not shown).

이에 따라, 파지부(70)는 본체부(30)의 제2 측면(32)에 형성된 가이드홀(60)을 따라 이동될 수 있다. The grip portion 70 can be moved along the guide hole 60 formed in the second side surface 32 of the main body portion 30. [

그 외에도 파지부(70)는 식품 받침대(50)의 측면(56)에도 형성될 수 있는데, 이 경우에는 상기 식품 받침대(50)의 측면(56)과 마주보는 본체부(30)의 측면(예를 들어, 제3 측면(33)과 제4 측면(34))에 형성된 가이드홀(60)을 따라 이동될 수 있다. The grip portion 70 may be formed on the side surface 56 of the food supporter 50. In this case, the side surface 56 of the food supporter 50 faces the side surface of the main body portion 30 Along the guide holes 60 formed in the third side surface 33 and the fourth side surface 34. [

파지부(70)는 식품 받침대(50)로부터 수직하게 돌출 형성될 수 있으며, 식품 받침대(50)와의 연결을 위하여 식품 받침대(50)에 부착되는 고정부(8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The grip portion 70 may be vertically protruded from the food supporter 50 and may be formed integrally with the fixing portion 80 attached to the food supporter 50 for connection with the food supporter 50.

즉, 파지부(70)와 일체로 형성된 고정부(80)가 식품 받침대(50)에 고정 부착됨으로써, 식품 받침대(50)에 파지부(70)가 설치될 수 있다. That is, the fixing portion 80 integrally formed with the grip portion 70 is fixedly attached to the food support 50, so that the grip 70 can be installed on the food support 50.

도 5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지부(70)와 고정부(80)는 식품 받침대(50)와 별도로 형성된 후, 상기 식품 받침대(50)에 부착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5, the grip portion 70 and the fixing portion 8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separately formed from the food support 50, and then attached to the food support 50.

즉, 하면(55), 측면(56), 후면(57)을 구비한 식품 받침대(50)를 준비하고, 또한 상기 식품 받침대(50)와 별도로 일체 형성된 파지부(70)와 고정부(80)를 준비한 뒤, 상기 고정부(80)를 식품 받침대(50)의 하면(55) 또는 측면(56)에 부착함으로써 파지부(70)를 식품 받침대(50)에 설치할 수 있다. That is, a food support 50 having a lower surface 55, a side surface 56 and a rear surface 57 is prepared, and a grip portion 70 and a fixing portion 80, which are separately formed from the food support 50, The grip portion 70 can be attached to the food support 50 by attaching the fixing portion 80 to the lower surface 55 or the side surface 56 of the food supporter 50. [

도 6 및 도 7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식품 받침대를 나타낸 도면이다. 특히, 도 7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파지부(70) 및 고정부(80)가 전개된 상태를 도시하였다. Figs. 6 and 7 are views showing food supporter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articularly, FIG. 7 shows a state in which the grip portion 70 and the fixing portion 80 are deployed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파지부(70)는 식품 받침대(50)의 측면(56)의 선단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되, 외측으로 접혀 상기 식품 받침대(50)의 하면(55) 또는 측면(56)에 부착되는 고정부(80)와 연결될 수 있다. 6 and 7, the grip portion 7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to extend from the front end of the side surface 56 of the food supporter 50, And can be connected to the fixing portion 80 attached to the lower surface 55 or the side surface 56.

즉, 식품 받침대(50)와 별도로 파지부(70)와 고정부(80)를 제작할 필요없이, 파지부(70)와 고정부(80)를 식품 받침대(50)와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생산 편의를 도모할 수 있다. That is, by forming the grip portion 70 and the fixing portion 80 integrally with the food supporter 50 without manufacturing the grip portion 70 and the fixing portion 80 separately from the food supporter 50, .

이를 위하여 고정부(80)를 식품 받침대(50)의 측면(56)과 처음부터 연결된 상태로 생산한 후, 고정부(80)를 외측으로 접어 식품 받침대(50)의 하면(55) 및/또는 측면(56)과 접착시킬 수 있다. The fixing unit 80 may be produced in a state of being connected to the side surface 56 of the food supporter 50 from the beginning and then folded out to fix the lower surface 55 of the food supporter 50 and / And can be adhered to the side surface 56.

파지부(70)를 식품 받침대(50)의 하면(55)에 위치시키는 경우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부(80)를 식품 받침대(50)의 측면(56)을 넘어 하면(55)까지 연장 형성하여, 고정부(80)를 식품 받침대(50)의 측면(56)과 하면(55)에 부착할 수 있다. When the grip portion 70 is positioned on the lower surface 55 of the food supporter 50, as shown in FIG. 6, when the fixing portion 80 is moved beyond the side surface 56 of the food supporter 50 So that the fixing portion 80 can be attached to the side surface 56 and the lower surface 55 of the food supporter 50. As shown in Fig.

또한, 파지부(70)를 식품 받침대(50)의 측면(56)에 위치시키는 경우에는, 고정부(80)를 하면(55)까지 연장 형성시킬 필요 없이 측면(56)까지만 연장 형성하여도 무방하며, 상기 고정부(80)를 식품 받침대(50)의 측면(56)에만 부착하여도 된다. When the grip portion 70 is positioned on the side surface 56 of the food supporter 50, the fixing portion 80 may be extended to the side surface 56 without extending to the lower surface 55, And the fixing portion 80 may be attached only to the side surface 56 of the food supporter 50.

도 8 내지 도 10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식품 포장 용기의 동작을 나타낸 도면이다. 특히, 도 8 내지 도 10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분리부(20)가 제거된 상태를 도시하였다. 또한, 도 9 및 도 10에서는 파지부(70)의 동작을 명확히 나타내기 위하여 도 8에 도시된 식품 포장 용기를 뒤집어 도시하였다. 8 to 10 are views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food packaging contain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articularly, in FIG. 8 to FIG. 10, the separating portion 20 has been removed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In FIGS. 9 and 10, the food packaging container shown in FIG. 8 is shown in an inverted form to clearly show the operation of the grip portion 70. FIG.

박스(10) 내부에 삽입된 식품 받침대(50)는 가이드홀(60)이 형성된 본체부(30)의 일측면을 통하여 파지부(70)를 외부로 노출시킬 수 있다. The food support 50 inserted into the box 10 can expose the grip portion 70 through the one side of the main body 30 having the guide hole 60 formed therein.

일례로, 사용자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부(30)에 형성된 개구부(62)를 통하여 외부로 노출된 파지부(70)를 잡아 세운 뒤, 파지부(70)를 가이드홀(60)로 이동시킬 수 있다. 9, the user grasps the grasping portion 70 expos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opening 62 formed in the main body portion 30 and then grasps the grasping portion 70 in the guide hole 60, .

그 후, 사용자는 식품 받침대(50)에 위치한 음식물을 본체부(30)로부터 꺼내기 위하여, 도 10에 도시된 화살표 방향으로 가이드홀(60)을 따라 파지부(70)를 이동시킬 수 있다. Thereafter, the user can move the grip portion 70 along the guide hole 60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shown in Fig. 10, in order to remove the food placed in the food support 50 from the body portion 30. [

상기와 같은 파지부(70)의 움직임에 따라 파지부(70)와 연결된 식품 받침대(50)는 상기 본체부(30)로부터 외부로 이탈될 수 있다. The food supporter 50 connected to the grasping portion 70 can be released from the main body 30 to the outside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grasping portion 70. [

또한, 파지부(70)가 다시 개구부(62) 쪽으로 이동되는 경우(화살표 반대 방향), 식품 받침대(50)는 다시 본체부(30) 내로 삽입될 수 있다. The food support 50 can be inserted again into the main body portion 30 when the grip portion 70 is again moved toward the opening portion 62 (in the direction opposite to the arrow).

결국, 사용자는 외부로 노출된 파지부(70)를 이용하여 음식물을 손쉽게 꺼낼 수 있으며, 온도가 높은 음식물도 안전하게 꺼낼 수 있게 된다. As a result, the user can easily take out the food using the grasping unit 70 exposed to the outside, and can safely take out foods with a high temperature.

음식물을 취식하다 보면 취식의 용이성을 위해 식품 받침대(50)의 일부를 뜯어낼 필요가 있게 되는데, 이를 위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식품 받침대(50)는 한 쌍의 측면(56)과 하면(55)을 따라 형성되는 절취선(91) 및 상기 각 측면(56)의 선단에 각각 형성되어 상기 절취선(91)과 연결되는 절취홈(9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food support 5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pair of side surfaces 56 and a bottom surface 56. In this embodiment, And a cutout groove 92 formed at the distal end of each of the side faces 56 and connected to the perforated line 91. The cutout line 91 is formed along the cutout line 55,

이에 따라, 사용자는 식품 받침대(50)의 끝쪽 일부를 붙잡은 뒤, 절취홈(92) 측을 향해 힘을 가함으로써 식품 받침대(50)의 일부를 용이하게 절취해 낼 수 있게 된다. Accordingly, the user can easily cut out a portion of the food support 50 by holding a part of the end of the food support 50 and applying a force toward the cutout groove 92 side.

도 11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식품 포장 용기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식품 포장 용기의 동작을 나타낸 도면이다. 특히, 도 11 및 도 12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박스(10) 및 식품 받침대(50)를 뒤집어 도시하였다. 또한, 도 12에서는 분리부(20)가 제거된 상태를 도시하였다.FIG. 11 is a view showing a food packaging contain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2 is a view showing an operation of the food packaging container shown in FIG. In particular, Figs. 11 and 12 show the box 10 and the food stand 50 in an inverted state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12 shows a state in which the separating section 20 is removed.

또한, 여기서는 상술한 실시예와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기재하며, 그 외 중복되는 설명에 대하여는 생략하도록 하겠다. Herein, the differences from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will be mainly described, and the duplicat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도 11을 참조하면, 가이드홀(60)이 형성된 본체부(30)의 일측면(예를 들어, 제2 측면(32))은 파지부(60)와 절취선(72)을 통해 연결되고, 파지부(60)와 일체로 형성된 고정부(80)는 본체부(30)의 일측면으로부터 절단되어 위치할 수 있다. 11, one side (for example, the second side 32) of the main body 30 having the guide hole 60 is connected to the grip portion 60 through the perforation line 72, The fixing portion 80 integrally formed with the support portion 60 can be cut and positioned from one side of the main body portion 30. [

그 후, 식품 받침대(50)를 박스(10)의 전면(25) 또는 후면(35)을 통해 박스(10) 내부에 위치시킨 후, 식품 받침대(50)의 하면(55)의 소정 영역(A)을 상기 고정부(80)의 내측면과 접착시킨다. Thereafter, the food support 50 is placed inside the box 10 through the front surface 25 or the rear surface 35 of the box 10 and then the predetermined area A ) To the inner surface of the fixing portion (80).

이에 따라, 고정부(80)는 식품 받침대(50)의 하면(55)에 고정 부착되게 된다. Thus, the fixing portion 80 is fixedly attached to the lower surface 55 of the food support 50.

도 12를 참조하면, 구매자는 절취선(72)을 이용해 파지부(70)를 본체부(30)로부터 뜯어낸 뒤 파지부(70)를 접어 세우고, 상기 파지부(70)를 가이드홀(60) 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12, the purchaser removes the grip portion 70 from the main body portion 30 by using the tear line 72 and then folds the grip portion 70. Then, the grip portion 70 is inserted into the guide hole 60, .

구매자가 파지부(70)를 가이드홀(60)을 따라 외측으로 이동시키는 경우, 식품 받침대(50)에 고정 부착된 고정부(80) 역시 외측으로 이동되게 되며, 이에 따라 식품 받침대(50)는 본체부(30)로부터 이탈되게 된다. When the purchaser moves the grip portion 70 outward along the guide hole 60, the fixed portion 80 fixedly attached to the food support 50 is also moved outward so that the food support 50 And is detached from the main body 30.

즉, 파지부(70)와 고정부(80)를 별도로 제작할 필요없이, 본체부(30)와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생산 편의를 증대시킬 수 있다. That is, the grip portion 70 and the fixing portion 80 may be formed integrally with the main body portion 30 without being separately manufactured, thereby increasing the production convenience.

도 13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식품 포장 용기를 나타낸 도면이다. 특히, 도 13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분리부(20)가 제거된 상태를 도시하였다. 또한, 여기서는 상술한 실시예와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기재하며, 그 외 중복되는 설명에 대하여는 생략하도록 하겠다.13 is a view showing a food packaging contain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particular, FIG. 13 shows a state in which the separating section 20 is removed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Herein, the differences from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will be mainly described, and the duplicat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도 13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식품 포장 용기에서는 파지부(70)가 본체부(30)의 제3 측면(33)을 통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3, in the food packaging contain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grip portion 70 may be expos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third side surface 33 of the body portion 30.

즉, 본체부(30)의 제2 측면(32)을 통해 파지부(70)가 외부로 노출되는 도 9의 식품 포장 용기와는 달리, 도 13의 식품 포장 용기는 본체부(30)의 제3 측면(33)을 통해 파지부(70)를 외부로 노출시킬 수 있다.9, in which the grip portion 70 is expos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second side surface 32 of the main body portion 30, the food packaging container shown in Fig. The grip portion 70 can be expos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three side surfaces 33.

이를 위하여, 가이드홀(60)과 개구부(62)는 본체부(30)의 제3 측면(33)에 형성될 수 있으며, 파지부(70)는 상기 제3 측면(33)과 마주보는 식품 받침대(50)의 측면(56)에 위치할 수 있다. The guide hole 60 and the opening 62 may be formed on the third side 33 of the main body 30 and the grip 70 may be formed on the third side 33, May be located on the side 56 of the housing 50.

또한, 추가적으로 제3 측면(33)에 대향하는 제4 측면(34) 쪽에도 파지부(70)가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식품 포장 용기의 양측에 위치하는 두 개의 파지부(70)를 이용해 식품 받침대(50)를 본체부(30)로부터 용이하게 꺼낼 수 있다. In addition, the grip portion 70 may be formed on the fourth side surface 34 facing the third side surface 33 in addition. Accordingly, the user can easily take out the food supporter 50 from the main body portion 30 by using the two grip portions 70 located on both sides of the food packaging container.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고안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고안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실용신안등록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실용신안등록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고안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essential characteristics thereof. It is therefore to be understood that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illustrative in all aspects and not restrictiv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fined by the scope of the utility model registration request described below rather than the above detailed description, and all modifications or vari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utility model registration claim and equivalents thereof are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included in.

10: 박스 20: 분리부
30: 본체부 40: 절취부
50: 식품 받침대 60: 가이드홀
70: 파지부 80: 고정부
10: box 20:
30: main body part 40:
50: food stand 60: guide hole
70: grip part 80:

Claims (17)

일측면에 가이드홀이 길게 형성된 본체부 및 상기 본체부와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는 분리부를 포함하는 박스; 및
상기 일측면을 관통하여 외부로 노출되는 파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박스 내에 수납되는 식품 받침대; 를 포함하고,
상기 식품 받침대는, 식품이 안착되는 하면 및 상기 하면의 양단에 각각 연결되는 한 쌍의 측면을 포함하고,
상기 파지부는, 상기 식품 받침대에 부착되는 고정부를 통해 상기 식품 받침대의 하면과 한 쌍의 측면 중 적어도 어느 한 면과 연결되고, 또한 상기 본체부의 일측면과 절취선을 사이에 두고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포장 용기.
A box including a main body portion having a long guide hole formed on one side thereof and a separating portion detachably connected to the main body portion; And
A food pedestal accommodated in the box, the food pedestal having a grasping portion penetrating the one side surface and exposed to the outside; Lt; / RTI >
Wherein the food cradle includes a bottom surface on which the food is placed and a pair of side surfaces connected to both ends of the bottom surface,
The grip portion is connected to at least one of a lower surface and a pair of side surfaces of the food supporter through a fixing portion attached to the food supporter and is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main body portion with a perforated line therebetween. Food packaging container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와 상기 분리부는, 절취 가능한 절취부를 통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포장 용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main body part and the separating part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a cut-out cut-out par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부가 상기 본체부로부터 분리된 경우, 상기 식품 받침대의 일측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포장 용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one side of the food support is exposed to the outside when the separating part is separated from the main body par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상기 식품 받침대가 안착되는 제2 측면, 상기 제2 측면과 대향하는 제1 측면, 상기 제1 측면과 상기 제2 측면을 연결하며 서로 대향하는 제3 측면과 제4 측면, 상기 측면들과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후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포장 용기.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A first side opposite to the first side, a second side on which the food support is seated, a first side opposite to the second side, a third side and a fourth side opposite to each other connecting the first side and the second side, And a rear surface for forming the food container.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홀은,
상기 제2 측면, 상기 제3 측면 및 상기 제4 측면 중 적어도 어느 한 측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포장 용기.
[5] The apparatus of claim 4,
The second side, the second side, the third side, and the fourth sid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상기 파지부를 인출하기 위한 개구부를 가이드홀과 연결하여 더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포장 용기.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And an opening for withdrawing the grip portion is further connected to the guide hol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부는,
상기 가이드홀을 따라 이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포장 용기.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ood packaging container is movable along the guide hole.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식품 받침대는,
상기 가이드홀을 따라 움직이는 상기 파지부에 의해 상기 본체부로부터 이탈되거나 상기 본체부로 삽입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포장 용기.
The food stapler according to claim 7,
Wherein the grip portion is detachable from the main body portion or can be inserted into the main body portion by the grip portion moving along the guide hol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부는,
상기 고정부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포장 용기.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And the second container is integrally formed with the fixing part.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식품 받침대는,
상기 한 쌍의 측면과 상기 하면을 따라 형성되는 절취선 및 상기 측면의 선단에 각각 형성되어 상기 절취선과 연결되는 절취홈을 더 포함하는 특징으로 하는 식품 포장 용기.
The food stapler according to claim 1,
And a cutout groove formed on the pair of side surfaces and the bottom surface, respectively, and a cutout groove formed in the tip of the side surface and connected to the perforated lin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박스와 상기 식품 받침대는, 종이 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포장 용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box and the food pedestal are made of paper.
KR2020120003652U 2012-05-03 2012-05-03 Food Packing Case KR200472683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3652U KR200472683Y1 (en) 2012-05-03 2012-05-03 Food Packing Cas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3652U KR200472683Y1 (en) 2012-05-03 2012-05-03 Food Packing Cas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6512U KR20130006512U (en) 2013-11-13
KR200472683Y1 true KR200472683Y1 (en) 2014-05-14

Family

ID=514900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03652U KR200472683Y1 (en) 2012-05-03 2012-05-03 Food Packing Cas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2683Y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6918Y2 (en) * 1981-08-06 1987-02-18
JPH11334723A (en) * 1998-03-25 1999-12-07 Mitsuboshi Kogyo Kk Storage box having inner and outer boxes
JP2000085750A (en) 1998-09-18 2000-03-28 Dainippon Printing Co Ltd Shaking-out carton
KR20110009229U (en) * 2010-03-23 2011-09-29 씨제이푸드빌 주식회사 Cutting type stick cake support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6918Y2 (en) * 1981-08-06 1987-02-18
JPH11334723A (en) * 1998-03-25 1999-12-07 Mitsuboshi Kogyo Kk Storage box having inner and outer boxes
JP2000085750A (en) 1998-09-18 2000-03-28 Dainippon Printing Co Ltd Shaking-out carton
KR20110009229U (en) * 2010-03-23 2011-09-29 씨제이푸드빌 주식회사 Cutting type stick cake suppor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6512U (en) 2013-11-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933280C (en) Dispenser for interfolded napkins
KR101527654B1 (en) A packing box
JP6905471B2 (en) Glove dispense assembly
JP6196245B2 (en) Packet for tobacco products
KR20200000188U (en) Package box and goods dispenser
US9380914B2 (en) Comestible product carrier and/or handle and associated methods
KR200472683Y1 (en) Food Packing Case
JP2006255026A (en) Dripping coffee filter
JP6046415B2 (en) Clothing packing box
KR20170129365A (en) Fruit packing boxes
JP6092671B2 (en) Package
US20160302628A1 (en) Dispenser for a stack of napkins
KR101322569B1 (en) Apparatus for wrapping
JP3217095U (en) Polyethylene bag packaging bag
JP3217096U (en) Polyethylene bag packaging bag
JP2015113141A (en) Sheet-like material in storage box
JP6142310B1 (en) Flower stand and packing unit
JP3166178U (en) Cake packaging box
JP3190242U (en) Roll paper container, developed body thereof and roll paper
KR200482684Y1 (en) Tissue case
JP2009190194A (en) Document storage box
JP3164741U (en) container
KR101492183B1 (en) Wrap film container
JP2016088560A (en) Packaging container for cleaning tool
JP3110963U (en) Box-shaped container of plate packag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5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