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1527Y1 - 요추지지 듀얼 쿠션 - Google Patents

요추지지 듀얼 쿠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1527Y1
KR200471527Y1 KR2020120009447U KR20120009447U KR200471527Y1 KR 200471527 Y1 KR200471527 Y1 KR 200471527Y1 KR 2020120009447 U KR2020120009447 U KR 2020120009447U KR 20120009447 U KR20120009447 U KR 20120009447U KR 200471527 Y1 KR200471527 Y1 KR 20047152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umbar support
cushion
fastening
fastening means
du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0944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용언
Original Assignee
김용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용언 filed Critical 김용언
Priority to KR202012000944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1527Y1/ko
Priority to PCT/KR2012/008978 priority patent/WO2014061851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152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152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40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40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 A47C7/405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with double backres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40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 A47C7/42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of detachable or loose typ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40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 A47C7/42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of detachable or loose type
    • A47C7/425Supplementary back-rests to be positioned on a back-rest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40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 A47C7/4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with special, e.g. adjustable, lumbar region support profile; "Ackerblom" profile chairs

Abstract

본 고안은 요추지지 듀얼에 관한 것으로, 본 고안에 따른 요추지지 듀얼 쿠션은 전면부가 사용자의 허리 라인을 따라 굴곡지게 형성되고 우측부에 좌측 결합수단이 구비되는 좌측 요추지지 쿠션체와, 전면부가 사용자의 허리 라인을 따라 굴곡지게 형성되고 좌측부에 상기 좌측 결합수단과의 체결 및 분리가 가능하게 하는 우측 결합수단이 구비되는 우측 요추지지 쿠션체와, 좌측 말단이 상기 좌측 요추지지 쿠션체의 좌측부와 결합하고 우측 말단부에는 좌측 체결수단이 구비되는 좌측 고정띠 및 우측 말단이 상기 우측 요추지지 쿠션체의 우측부와 결합하고 좌측 말단부에는 우측 체결수단이 구비되는 우측 고정띠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좌측 체결수단은 상기 좌측 결합수단 또는 상기 우측 체결수단과 체결 및 분리가 가능하고,상기 우측 체결수단은 상기 우측 결합수단 또는 상기 좌측 체결수단과 체결 및 분리가 가능하게 구성된다.

Description

요추지지 듀얼 쿠션 {DUAL CUSHION FOR SUPPORTING LUMBAR VERTEBRA}
본 고안은 요추지지 듀얼 쿠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일체형 및듀얼 등받이가 구비된 의자 모두에 사용 가능한 요추지지 듀얼 쿠션에 관한 것이다.
기존의 쿠션은 의자나 쇼파, 탈것의 좌석 따위에 등 부위를 지지하도록 솜,스펀지 따위를 천 또는 가죽 재질의 겉통에 넣어 만들어 허리를 지탱해주는 완충작용의 쿠션 용도로 제작되며 거의 전제품이 일체형 방식으로 만들어져 유통되고 있다.
고정방법 또한 일체형에 맞게 하나의 체결방식이 사용되고 있는데, 벨크로나 고무줄 등 끈 하나로 기존 의자나 쇼파, 탈것의 좌석 따위에 위에서 아래로 끼워 걸쳐 사용하는 방식 또는 좌, 우측의 끈 끝에 달린 클립 형태의 벨트로 끈과 마찬가지로 하나로 결합해 위에서 아래로 끼워 걸쳐 사용하는 방식으로만 제작되고 있다.
상기한 것과 같은 종래의 쿠션은 구조상 일체형으로 제작되어 하나의 등받침구조로 제작된 제품에만 적용할 수밖에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는 쿠션과 기존 의자의 등받침대를 결합할 때, 쿠션체가 각각 따로 떨어져 분리되지 않아 듀얼 또는 기타 다른 구조의 의자나 좌석의 지지대에는 사용이 불편할 뿐 아니라 아예 사용하지 못할 수도 있어, 사용자가 본래 목적으로 사용하고자 하는 방식인 허리를 탄탄하게 받쳐주면서 쿠션체의 단단한 고정을 이룰 수 있는, 형태의 보전성과 장시간 않아 사용해도 허리를 편하게 또는 움직임에 따라 알맞게 유동적인 쿠션체를 원하는 고객의 요구를 충족시키지 못한다. 왜냐하면 등받침대가 듀얼로 나뉘어져서 사용자의 움직임에 따라 움직이게 되어 있는 구조 위에 일체형 단일 쿠션을 갖다대거나 단일 끈으로 끼워 사용하게 되면 듀얼 등받침대와 쿠션 사이의 유격이 뜨게 되어 사용자가 등을 기대고 사용하게 될 경우 밀착감도 떨어질 뿐만 아니라, 듀얼등받침대와 쿠션의 들뜸 현상으로 인해 단일 끈으로 체결되 부위가 위 또는 아래로 밀려 고정이 잘 되지 않는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이러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은 등받이가 듀얼형인 의자와 등받이가 일체형인 의자에 모두 사용 가능한 요추지지 듀얼 쿠션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요추지지 듀얼 쿠션은 전면부가 사용자의 허리 라인을 따라 굴곡지게 형성되고 우측부에 좌측 결합수단이 구비되는 좌측 요추지지 쿠션체와, 전면부가 사용자의 허리 라인을 따라 굴곡지게 형성되고 좌측부에 상기 좌측 결합수단과의 체결 및 분리가 가능하게 하는 우측 결합수단이 구비되는 우측 요추지지 쿠션체와, 좌측 말단이 상기 좌측 요추지지쿠션체의 좌측부와 결합하고 우측 말단부에는 좌측 체결수단이 구비되는 좌측 고정띠 및 우측 말단이 상기 우측 요추지지 쿠션체의 우측부와 결합하고 좌측 말단부에는 우측 체결수단이 구비되는 우측 고정띠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좌측 체결수단은 상기 좌측 결합수단 또는 상기 우측 체결수단과 체결 및 분리가 가능하고, 상기 우측 체결수단은 상기 우측 결합수단 또는 상기 좌측 체결수단과 체결 및 분리가 가능하게 구성된다.
또한, 상기 좌측 및 우측 결합수단과 상기 좌측 및 우측 체결수단은 벨크로 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좌측 및 고정띠와 상기 우측 고정띠는 각각 상하 간격을 두고 두개씩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요추지지 듀얼 쿠션에 의하면 종래의 일체형 등받이 쿠션과 같이 일체형 등받이에 사용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좌측부와 우측부로 분리하여 각각을 듀얼 등받이 의자의 좌측부와 우측부에 고정할 수 있어서 사용자의 움직임에 따라 유연하게 작용할 수 있어서 쿠션과 의자 등받이 사이의 유격이 벌어지는 현상을 방지하며 안락감을 느끼게 한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요추를 지지할 수 있는 쿠션 역할 뿐만 아니라 듀얼로 각각 분리된 쿠션은 쿠션 뒤쪽 고정띠를 결합수단과 연결하고 그 고정띠 안쪽에 손목과 팔을 넣어 쿠션 전면부를 가격할 수 있는 신종 운동기구로도 사용이 가능하며 그외에도 휴대성을 고려해 쿠션체의 가운데 부위를 접혀지거나 탈착가능하게 만들어 경추받침으로도 사용가능하며, 책상과 의자 사이의 공간을 본 고안에 따른 쿠션체가 메어주어 배 부위를 감싸줌으로써 장시간 공부 또는 업무시 신체가 앞으로 쏠려 거북목의 형태로 자세가 틀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도구로 사용할 수도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 및 도2는 본 고안에 의한 요추지지 듀얼 쿠션의 분리된 모습을 나타낸 배면도.
도 3 및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요추지지 듀얼 쿠션의 결합된 모습을 나타낸 배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의한 요추지지 듀얼 쿠션을 나타낸 정면도.
도 6은 본 고안에 의한 요추지지 듀얼 쿠션을 나타낸 좌측면도.
도 7은 본 고안에 의한 요추지지 듀얼 쿠션을 나타낸 우측면도.
도 8 내지 도 10은 본 고안에 의한 요추지지 듀얼 쿠션을 듀얼 등받침 의자에 사용할 때의 모습을 나타낸 사용 상태도.
도 11 내지 도 16는 본 고안에 의한 요추지지 듀얼 쿠션을 일체형 등받침 의자에 사용할 때의 모습을 나타낸 사용 상태도.
이하, 본 고안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7은 본 고안에 의한 요추지지 듀얼 쿠션을 나타낸 것이다.
본 고안에 의한 요추지지 듀얼 쿠션은 좌측 요추지지 쿠션체(10), 우측 요추지지 쿠션체(20), 좌측 고정띠(30) 및 우측 고정띠(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좌측 요추지지 쿠션체(10)와 우측 요추지지 쿠션체(20)는 좌우 대칭의 듀얼형태의 쿠션체로서, 각각의 쿠션체(10,20)는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것과 같이 사용자가 등을 댈 때 등이 좌우로 벗어나지 않고 고정되도록 전면부의 위쪽 부분은 오목한 형태를 가지고 전면부의 아래쪽 부분은 상요자의 오목하게 들어간 허리 부분에 의해 생기는 공간부를 메워줄 수 있도록 허리 라인을 따라 볼록한 형태를 가진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좌측 및 우측 고정띠(30,40)는 좌우 방향으로 길게 뻗는 띠 형태의 부재로서, 좌측 고정띠(30)는 상하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한 쌍이 구비되며 우측 고정띠(40)도 상하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한 쌍이 구비된다.
좌측 고정띠(30)는 한쪽 말단부는 좌측 요추지지 쿠션체(10)의 좌측 말단에 결합하고 다른 한쪽 말단부 중 좌측 요추지지 쿠션체(10)의 배면에 포개지도록 한상태에서 좌측 요추지지 쿠션체(10)의 배면을 바라보는 면에는 벨크로(11)가 구비된다.
우측 고정띠(40)는 한쪽 말단부는 우측 요추지지 쿠션체(20)의 우측 말단에 결합하고 다른 한쪽 말단부의 앞면과 뒷면 모두에는 벨크로(41)가 구비된다.
한편, 좌측 요추지지 쿠션체(10)의 배면의 우측 가장자리와 우측 요추지지 쿠션체(20)의 배면의 좌측 가장자리에는 각각 벨크로(11,21)가 달려있어서 상호 접착할 수 있다.
좌측 요추지지 쿠션체(10)와 우측 요추지지 쿠션체(20)를 분리한 상태로 사용할 경우에는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좌측 고정띠(30)의 벨크로(31)를 좌측 요추지지 쿠션체(10)의 벨크로에 붙이고 우측 고정띠(40)의 벨크로(41)를 우측 요추지지 쿠션체(20)에 붙여서 사용한다. 이와 같이 좌측 및 우측 고정띠(30,40)의 양말단 모두를 쿠션체에 붙인 상태로 만들면 도 8 내지 도 10에 도시된 것과 같이 듀얼 등받이 의자에 사용할 때 좌측 고정때(30)는 좌측 등받이를 팽팽하게 감싸서 좌측 요추지지 쿠션체(10)가 좌측 등받이에 고정되고, 우측 고정띠(40)는 우측 등받이를 팽팽하게 감싸서 우측 요추지지 쿠션체(20)가 우측 등받이에 고정됨으로써 사용자의 움직임에 의해 좌측 등받이와 우측 등받이가 따로 움직일 때 좌측 요추지지쿠션체(10)와 우측 요추지지 쿠션체(20)도 등받이와 함께 개별적으로 움직일 수 있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좌측 요추지지 쿠션체의 벨크로(11)와 우측요추지지 쿠션체의 벨크로(21)를 서로 붙이면 좌측 요추지지 쿠션체(10)와 우측 요추지지 쿠션체(20)가 서로 결합함으로써 일체형 쿠션으로 사용 가능한 상태가 된다. 이때 좌측 고정띠(30)와 우측 고정띠(40)는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좌측 고정띠의 벨크로(31)를 우측 고정띠의 벨크로(41)에 붙임으로써 하나로 좌측 고정띠(30)와 우측 고정띠(40)가 하나로 이어진 기다란 띠를 형성하게 된다.
좌측 고정띠(30)와 우측 고정띠(40)를 하나로 길게 이으면 도 11 내지 도 16에 도시된 것과 같이 일체형 등받이를 가진 의자에 사용할 때 좌측 고정띠(30)와 우측 고정띠(40)가 연결되어 형성된 끈이 등받이의 뒷면을 팽팽하게 감싸도록 하여 좌측 요추지지 쿠션체(10)와 우측 요추지지 쿠션체(20)와 결합하여 형성된 쿠션이 등받이에 고정된다.
벨크로는 서로 접착되는 한 쌍의 각 면의 구조가 다르기 때문에 좌측 요추지지 쿠션체의 벨크로(11)와 우측 요추지지 쿠션체의 벨크로(20)가 서로 접착 가능하도록 구성되어야 하고, 좌측 고정띠의 벨크로(31)와 좌측 요추지지 쿠션체의 벨크로(11)가 서로 접착 가능하도록 구성되어야 하며, 우측 고정띠(40)의 한쪽 말단부의 양면에 형성된 벨크로(41) 중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우측 고정띠(40)를 우측요추지지 쿠션체(20)의 뒤로 보냈을 때 우측 요추지지 쿠션체(20)의 뒷면을 향하는 벨크로(21)는 우측 요추지지 쿠션체의 벨크로(21)와 서로 접착 가능하도록 구성되어야 하고 우측 고정띠(40)의 한쪽 말단부의 양 면에 형성된 벨크로(41) 중 바깥쪽을 향하는 벨크로(41)는 좌측 고정띠의 벨크로(31)와 서로 접착 가능하도록 구성되어야 한다.
이상의 설명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바람직한 구체적인 예들에 대해서만 기술하였으나, 상기의 구체적인 예들을 바탕으로 한 본 고안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의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또한,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실용시안등록청구범의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10: 좌측 요추지지 쿠션체 11: 벨크로(좌측 결합수단)
20: 우측 요추지지 쿠션체 21: 벨크로(우측 결합수단)
30: 좌측 고정띠 31: 벨크로(좌측 고정띠)
40: 우측 고정띠 41: 벨크로(우측 고정띠)

Claims (3)

  1. 전면부가 사용자의 등과 허리 라인을 따라 굴곡지게 형성되고 우측부에 좌측 결합수단이 구비되는 좌측 요추지지 쿠션체;
    전면부가 사용자의 허리 라인을 따라 굴곡지게 형성되고 좌측부에 상기 좌측 결합수단과의 체결 및 분리가 가능하게 하는 우측 결합수단이 구비되는 우측 요추지지 쿠션체;
    한쪽 말단부가 상기 좌측 요추지지 쿠션체의 좌측부와 결합하고 다른 한쪽 말단부에는 좌측 체결수단이 구비되는 좌측 고정띠; 및
    한쪽 말단부가 상기 우측 요추지지 쿠션체의 우측부와 결합하고 다른 한쪽 말단부에는 우측 체결수단이 구비되는 우측 고정띠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좌측 체결수단은 상기 좌측 결합수단 또는 상기 우측 체결수단과 체결 및 분리가 가능하고,
    상기 우측 체결수단은 상기 우측 결합수단 또는 상기 좌측 체결수단과 체결 및 분리가 가능하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추지지 듀얼 쿠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좌측 및 우측 결합수단과 상기 좌측 및 우측 체결수단은 벨크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추지지 듀얼 쿠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좌측 고정띠와 상기 우측 고정띠는 각각 상하 간격을 두고 두개씩 구비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추지지 듀얼 쿠션.

KR2020120009447U 2012-10-19 2012-10-19 요추지지 듀얼 쿠션 KR200471527Y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9447U KR200471527Y1 (ko) 2012-10-19 2012-10-19 요추지지 듀얼 쿠션
PCT/KR2012/008978 WO2014061851A1 (ko) 2012-10-19 2012-10-30 요추지지 듀얼 쿠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9447U KR200471527Y1 (ko) 2012-10-19 2012-10-19 요추지지 듀얼 쿠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1527Y1 true KR200471527Y1 (ko) 2014-02-27

Family

ID=504883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09447U KR200471527Y1 (ko) 2012-10-19 2012-10-19 요추지지 듀얼 쿠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0471527Y1 (ko)
WO (1) WO2014061851A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3925Y1 (ko) 2003-02-13 2003-05-22 주식회사 야기야기 쿠션
KR200340667Y1 (ko) 2003-11-17 2004-02-05 박주영 의자용 보조등받이
KR20080005162U (ko) * 2007-05-02 2008-11-06 엄윤수 척추기립근을 지지하는 의자등받침대
KR20090008618U (ko) * 2008-02-22 2009-08-26 최봉락 다용도 등받이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420370A1 (en) * 1989-09-25 1991-04-03 Medical Corporation Brunswick Fitted seating apparatus and manufactur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3925Y1 (ko) 2003-02-13 2003-05-22 주식회사 야기야기 쿠션
KR200340667Y1 (ko) 2003-11-17 2004-02-05 박주영 의자용 보조등받이
KR20080005162U (ko) * 2007-05-02 2008-11-06 엄윤수 척추기립근을 지지하는 의자등받침대
KR20090008618U (ko) * 2008-02-22 2009-08-26 최봉락 다용도 등받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4061851A1 (ko) 2014-04-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7341499U (zh) 椅背结构
KR101517350B1 (ko) 착석시 바른자세 유도와 안락성을 기대할 수 있는 의자
US20050225134A1 (en) Seat cushion
RU2613874C2 (ru) Усовершенствования в подушках и относящиеся к подушкам
KR101829876B1 (ko) 유아용 캐리어
US20100299838A1 (en) Travel pillow
KR20230125096A (ko) 자세 유지구
US20160100689A1 (en) Portable multifunction seat cushion
KR200416722Y1 (ko) 밴드형 탈부착 의자 등받이
KR200447418Y1 (ko) 다용도 등받이
JP3165297U (ja) 調整可能な背中クッション構造
KR200471527Y1 (ko) 요추지지 듀얼 쿠션
KR20100011743U (ko) 의자 등받이용 기능성 쿠션
JP6325259B2 (ja) 上向き作業のサポート装置
KR20110008513U (ko) 허리 베개
KR20110077053A (ko) 헤어밴드가 달린 여행용 베개
KR20140001628U (ko) 요추지지 더블접착방식 쿠션
JP4716608B2 (ja) 対面・前向きだっこ兼用ベビーキャリア
KR101125694B1 (ko) 아기띠 겸용 아기포대기
CN202128135U (zh) 保健椅靠
CN209332526U (zh) 一种轮椅坐垫以及轮椅
CN2838393Y (zh) 加固学生座椅
KR20090103468A (ko) 의자용 신체받이류의 결합연결구조
KR101161288B1 (ko) 의자용 등받이
KR200476173Y1 (ko) 의자등받이의 등받이 쿠션 체결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3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