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5212Y1 - 번들튜브의 기밀유지 시험장치 - Google Patents

번들튜브의 기밀유지 시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5212Y1
KR200465212Y1 KR2020100008582U KR20100008582U KR200465212Y1 KR 200465212 Y1 KR200465212 Y1 KR 200465212Y1 KR 2020100008582 U KR2020100008582 U KR 2020100008582U KR 20100008582 U KR20100008582 U KR 20100008582U KR 200465212 Y1 KR200465212 Y1 KR 20046521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flange
bundle tube
flange
sliding bar
test apparat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0858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01349U (ko
Inventor
유동수
이태경
허남철
유백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국가스기술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국가스기술공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국가스기술공사
Priority to KR202010000858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5212Y1/ko
Publication of KR2012000134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134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521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521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3/00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 G01M3/02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DBURNERS
    • F23D14/00Burners for combustion of a gas, e.g. of a gas stored under pressure as a liquid
    • F23D14/46Details, e.g. noise reduction means
    • F23D14/72Safety devices, e.g. operative in case of failure of gas supp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xamining Or Testing Airtightnes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가스히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가스히터의 번들튜브의 기밀유지를 시험하는 장치이다.
본 고안의 번들튜브의 기밀유지 시험장치는, 번들튜브의 기밀유지를 시험하기 위한 시험장치에 있어서, 둘레에 일정간격으로 이격된 다수의 볼트홀이 형성된 원형의 블라인드커버플랜지; 상기 블라인드커버플랜지 양측에 형성된 힌지결합부; 상기 힌지결합부에 연결되되, 상기 블라인드커버플랜지와 볼트 체결되도록 둘레에 일정간격으로 이격된 다수의 볼트홀이 형성되는 2조각의 반고리형 커버플랜지; 상기 커버플랜지의 일측에 형성되는 커버플랜지연결부; 및 일단이 상기 힌지결합부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커버플랜지연결부를 관통하여 연장 형성되는 슬라이딩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번들튜브의 기밀유지 시험장치는 블라인드커버플랜지와 2조각의 커버플랜지를 슬라이딩바로 연결하여 일체화함으로써 안정적이고 효율적인 번들튜브의 기밀유지 시험을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번들튜브의 기밀유지 시험장치 {TESTER IS SECRET EXISTENCE OF BUNDLE TUBE}
본 고안은 가스히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가스히터의 번들튜브의 기밀유지를 시험하는 장치이다.
일반적으로 천연가스는 LNG수송선으로부터 저장탱크에 저장되고, 배관망을 통하여 지역별 관리소에 약 70kg/㎠의 압력으로 인입되며, 가스필터와 정압설비를 통과하여 약 8.5kg/㎠~20kg/㎠의 압력으로 감압되고, 계량설비를 통해 수요처인 도시가스와 발전소로 공급된다.
이때, 1kg/㎠당 감압될 때마다 가스온도가 0.5℃씩 내려가는 줄톰슨효과의 현상이 발생되어 정압설비를 통과한 후에는 저온취성으로 인한 문제가 발생되므로, 이를 보완하는 설비로써 가스히터가 가스필터와 정압설비 사이에 설치된다.
이와 같은 가스히터는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몸체(11)와, 가스필터를 경유한 가스가 디스트리뷰터(distributor;13)에 의해서 분배되어 유입되고 정압설비로 공급시키는 가스번들튜브(12)와 몸체(11) 내에 수용되는 열교환수(14)와 상기 열교환수(14)를 가열시키는 연소관(16)과 연소관(16) 내에 화염과 스모크를 발생시키는 버너(15), 및 배기관(17)으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구조의 가스히터(10)의 번들튜브(12)의 기밀유지를 확인하는 것은 가스설비 관련법규에 의해 정기적으로 행하여지는 연차정기점검이다.
종래에는 상기와 같은 번들튜브(12)의 기밀유지를 시험하기 위해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시험장치를 사용했다."U"자형의 번들튜브 양 끝단을 지지하는 지지공이 형성된 플랜지(18)의 전면에 결합되는 블라인드커버플랜지(110)와 상기 플랜지(18)의 후면과 번들튜브의 둘레면에 결합되는 2조각으로 분리된 커버플랜지(120)가 형성된다.
상기 블라인드커버플랜지(110)와 2조각의 커버 플랜지(120)는 각부가 단독으로 결합된다. 먼저 2조각의 상기 커버플랜지(120)를 상기 플랜지(18)의 후면에 결합하고, 상기 블라인드커버플랜지(110)는 전면에 결합하게 되며, 상기 블라인드커버플랜지(110)의 중앙에 형성된 압력레코더연결부(115)에 압력레코더(170)를 연결하여 상기 번들튜브(12)의 기밀유지를 확인한다. 이때, 후면의 상기 커버플랜지(120)와 전면의 상기 블라인드커버플랜지(110)의 볼트홀(130)이 일치하지 않으면 볼트홀(130) 위치를 재조정해야 하고, 상기 볼트홀(130)이 정확하게 일치하지 않은 상태에서 조립이 되면 후면의 2조각의 상기 커버플랜지(120)의 조립상태를 불안정하게 만들어 전체 작업을 처음부터 다시 해야 하는 경우도 발생하며, 무거운 금속으로 형성된 상기 블라인드커버플랜지(110)와 커버플랜지(120)를 각각 따로 들어올려 작업을 하려면 크레인의 사용횟수가 많아진다.
이와 같이 종래의 번들튜브의 기밀유지 시험장치를 이용한 작업은 난이도가 매우 높고 작업자 부상의 위험 또한 내포하고 있으며 크레인 사용횟수가 많아 안정성과 효율성이 많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블라인드커버플랜지와 2조각의 커버플랜지를 일체화하여 안정적이고 효율적인 번들튜브의 기밀유지 시험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번들튜브의 기밀유지 시험장치는, 번들튜브의 기밀유지를 시험하기 위한 시험장치에 있어서, 둘레에 일정간격으로 이격된 다수의 볼트홀이 형성된 원형의 블라인드커버플랜지; 상기 블라인드커버플랜지 양측에 형성된 힌지결합부; 상기 힌지결합부에 연결되되, 상기 블라인드커버플랜지와 볼트 체결되도록 둘레에 일정간격으로 이격된 다수의 볼트홀이 형성되는 2조각의 반고리형 커버플랜지; 상기 커버플랜지의 일측에 형성되는 커버플랜지연결부; 및 일단이 상기 힌지결합부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커버플랜지연결부를 관통하여 연장 형성되는 슬라이딩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상기 시험장치는, 상기 블라인드커버플랜지가 상기 번들튜브를 지지하는 플랜지 전면에 위치되고, 상기 커버플랜지가 상기 플랜지 후면에 위치하였을 때, 상기 커버플랜지가 상기 블라인드커버플랜지 쪽으로 슬라이딩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시험장치는, 상기 슬라이딩바의 일단이 상기 힌지결합부의 회전축 양단에 결합되도록 복수개가 구비되며, 복수개의 슬라이딩바는 서로 평행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시험장치는, 복수개의 슬라이딩바 일단에 개재하여 구성된 이송프레임; 상기 이송프레임의 일측에 형성되며, 원통형의 내주면에 암나사산이 형성된 이송축홀; 및 상기 이송축홀의 암나사산에 삽입되며 외면에 수나사산이 형성되는 이송축;으로 구성되어지는 이송부를 포함하되, 상기 이송축의 일단은 핸들이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커버플랜지연결부에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상기 이송부는, 상기 이송축의 회전에 의해 상기커버플랜지를 슬라이딩바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커버플랜지는 상기 이송부에 의해 상기 슬라이딩바의 일단에서부터 타단까지 슬라이딩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슬라이딩바는 상기 힌지결합부의 회전축 상단에 상기 슬라이딩바가 회전, 또는 고정되도록 제어하는 회전잠금장치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블라인드커버플랜지는, 둘레에 형성된 다수의 볼트홀의 안쪽으로 오링삽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오링삽입홈에 상기 플랜지와 블라인드커버플랜지 결합부의 기밀유지용 오링이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번들튜브의 기밀유지 시험장치는 블라인드커버플랜지와 2조각의 커버플랜지에 슬라이딩바를 연결하여 일체화함으로써, 안정적이고 효율적인 번들튜브의 기밀유지 시험을 할 수 있다.
도 1은 가스히터의 측면도
도 2는 종래기술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고안과 번들튜브의 사시도
도 4는 본고안과 번들튜브의 결합 사시도
도 5는 본고안과 번들튜브의 결합 측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슬라이딩바 측면도
도 7은 본 고안의 오링 결합 사시도
이하,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첨부된 도면을 사용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첨부된 도면은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일예에 불과하므로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이 첨부된 도면의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고안은 일반적으로 천연가스가 도시가스와 발전소로 공급될 때 통과하는 가스필터와 정압설비 사이에 설치되는 가스히터의 번들튜브의 기밀유지 시험장치(100)에 관한 것이다.
도3을 참조하면, "U"자형의 번들튜브(12) 양 끝단을 지지하는 지지공이 형성된 원형의 플랜지(18)에 결합되는 상기 번들튜브의 기밀유지 시험장치(100)는, 둘레에 일정간격으로 이격된 다수의 볼트홀(130)이 형성된 원형의 블라인드커버플랜지(110)가 형성된다. 상기 블라인드커버플랜지(110)는 양측에 힌지결합부(111)가 형성된다. 상기 힌지결합부(111)는 상기 블라인드커버플랜지(110)와 볼트 체결되도록 둘레에 일정간격으로 이격된 다수의 볼트홀(130)이 형성되는 2조각의 반고리형 커버플랜지(120)가 연결된다. 상기 커버플랜지(120)는 일측에 커버플랜지연결부(121)가 형성된다. 상기 커버플랜지연결부(121)는 슬라이딩가이드홀(122)이 형성된다. 상기와 같은 구조의 시험장치(100)는 일단이 상기 힌지결합부(111)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커버플랜지연결부(121)의 슬라이딩가이드홀(122)을 통과하여 연장 형성되는 슬라이딩바(140)를 포함한다.
도5와 도6을 참조하면, 상기 번들튜브의 기밀유지 시험장치(100)는, 상기 블라인드커버플랜지(110)가 상기 번들튜브(12)를 지지하는 상기 플랜지(18) 전면에 위치된다. 이때, 상기 블라인드커버플랜지 양측에 힌지결합된 상기 커버플랜지(120)가 회동하여 상기 플랜지(12) 후면에 위치되면, 상기 커버플랜지(120)가 상기 블라인드커버플랜지(110) 쪽으로 슬라이딩 된다.
도5와 도6을 참조하면, 상기 슬라이딩바(140)는 금속으로 형성된 상기 커버플랜지(120)의 하중을 받게 된다. 상기와 같은 구조의 시험장치(100)는 상기 슬라이딩바(140)에 무리가 가지 않도록 상기 슬라이딩바(140)가 복수개 구비된다. 이때, 복수개의 상기 슬라이딩바(140)는 일단이 힌지결합부(111)의 회전축(112) 양단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커버플랜지(120)에 형성된 복수개의 슬라이딩가이드홀(122)을 통과하여 연장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복수개가 구비되는 슬라이딩바는 상기 커버플랜지(120)의 슬라이딩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 상기 힌지결합부(111)의 회전축(112)과 직각으로 서로 평행하게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5와 도6을 참조하면, 상기 번들튜브의 기밀유지 시험장치(100)는, 상기 커버플랜지(120)를 슬라이딩 시키는 이송부(160)가 형성된다. 상기 이송부(160)는 복수개의 상기 슬라이딩바(140)의 일단에 개재되어 구성되는 이송프레임(163)이 형성된다. 상기 이송프레임(163)은 일측에 원통형의 내주면에 암나사산이 형성되는 이송축홀(164)이 형성된다. 상기와 같은 구조의 이송부(160)는 상기 이송축홀(164)의 암나사산에 삽입되며 외면에 수나사산이 형성되는 이송축(161)을 포함한다. 상기 이송축(161)의 일단은 핸들(162)이 결합되고 타단은 커버플랜지연결부(121)의 일측에 체결된다.
도5와 도6을 참조하면, 상기 이송부는 상기 이송축(161)이 회전하면서 슬라이딩바(140) 길이 방향으로 회동되고, 상기 커버플랜지(120)는 상기 이송축(161)을 따라 상기 슬라이딩바(140)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된다. 상기와 같은 구조의 이송부(160)는 나사의 원리를 이용하여 적은 힘으로 무거운 금속으로 형성된 상기 커버 플랜지(120)의 슬라이딩을 가능하게 함은 물론, 상기 이송부(160)는 핸들(162)을 회전시키지 않으면 상기 커버플랜지(120)가 슬라이딩 되지 않도록 고정시키는 안전장치 역할을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커버플랜지(120)는 상기 슬라이딩바(140)의 일단에서부터 타단까지 슬라이딩바(140)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이 가능하다. 이와 같은 구조의 상기 시험장치(100)는 상기 블라인드커버플랜지(110), 플랜지(18), 및 2조각의 커버플랜지(120)를 결합 가능하게 한다.
도3을 참조하면, 이와 같은, 시험장치는 무거운 금속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번들튜브(12)의 기밀유지 시험을 할 때는 상기 블라인드커버플랜지(110)의 상단에 아이볼트(19)를 연결하고 크레인(20)을 이용하여 본 고안의 시험장치(100)를 들어올린다. 이때 상기 블라인드커버플랜지(110)에 힌지 결합된 상기 슬라이딩바(140)가 고정되지 않고 움직이면 작업자의 부상이 발생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힌지결합부(111)의 상단에 상기 슬라이딩바가 회전, 또는 고정되도록 제어하는 회전잠금장치(150)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회전잠금장치(150)는 상기 블라인드커버플랜지(110)와 양측의 슬라이딩바(140)가 일직선이 되는 위치에서 잠금과 풀림이 가능하게 형성된다.
도7을 참조하면, 상기 번들튜브의 기밀유지 시험장치(100)는, 상기 블라인드플랜지(110)의 둘레에 형성된 다수의 볼트홀(130)의 안쪽으로 오링삽입홈(113)이 형성된다. 상기 오링삽입홈(113)은 상기 플랜지(18)와 블라인드커버플랜지(110)의 결합부의 기밀유지용 오링(114)이 삽입된다. 상기 번들튜브(12)의 기밀유지 시험작업에 있어서, 금속면과 금속면이 결합하여 기밀유지되는 면에 오링(114)을 이용함으로써 좀 더 확실한 기밀유지를 할 수 있어 신뢰성 있는 기밀유지 시험결과를 얻을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조의 번들 튜브의 기밀유지 시험장치(100)를 이용하여 번들튜브(12)의 기밀유지 시험을 실시한다.
도3과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시험장치(100)의 블라인드커버플랜지(110)에 아이 볼트(19)를 결합하고 크레인(20)을 연결하여 들어올린다. 이때, 상기 힌지결합부(111) 상단의 회전잠금장치(도3;150)는 잠겨 있어 상기 회전축(112)은 고정되고, 상기 시험장치(100)는 양팔을 벌린 모양을 하게 된다. 지면에서 들어올려진 상기 블라인드커버플랜지(110)의 오링삽입홈(113)에 오링(114)이 장착된다. 오링(114)장착이 끝나면 상기 시험장치(100)를 상기 플랜지(18)의 전측으로 이동시킨다.
도4와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플랜지(18)의 전측에 상기 블라인드커버플랜지(110)가 위치되면, 상기 회전잠금장치(도4;150)를 풀고, 상기 블라인드커버플랜지(110) 양측에 힌지 결합된 상기 슬라이딩바(140)를 회전시키면 상기 2조각의 커버플랜지(120)가 상기 플랜지(18) 후면에 위치된다. 이때, 상기 블라인드커버플랜지(110), 슬라이딩바(140), 및 2조각의 커버플랜지(120)를 평면에서 볼 때 직사각형 형상을 하게 되며, 상기 블라인드커버플랜지(110)와 2조각의 커버플랜지(120)는 평행하게 위치하고, 마주보는 볼트홀(130)이 일치하게 된다. 또한, 상기 플랜지(18)는 상기 블라인드커버플랜지(110)와 2조각의 상기 커버플랜지(120) 사이에 위치하게 된다.
이때, 도4, 도5, 및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송부(10)를 작동하여 상기 커버 플랜지(120)를 상기 블라인드커버플랜지쪽(110)으로 슬라이딩시킨다. 상기 블라인드커버플랜지(110), 플랜지(18), 및 2조각의 커버플랜지(120)가 밀착되면 상기 볼트홀(130)에 볼트를 체결하여 고정하고, 상기 블라인드커버플랜지(110)의 중앙에 형성된 압력레코더연결부(115)에 압력레코더(170)를 연결하여 기밀유지 시험을 한다.
이와 같은 번들튜브의 기밀유지 시험장치(100)를 이용하여 실시한 작업은 종래의 각부가 단독으로 결합되는 번들튜브의 기밀유지 시험장치를 이용한 작업보다 안정적이고 효율적이며 신뢰성을 갖는다.
12 : 번들튜브 18 : 플랜지
100 : 기밀유지 시험장치
110 : 블라인드커버플랜지 111 : 힌지결합부
112 : 회전축 113 : 오링삽입홈
114 : 오링 115 : 압력레코더연결부
120 : 커버플랜지 121 : 커버플랜지연결부
122 : 슬라이딩가이드홀
130 : 볼트홀
140 : 슬라이딩 바
150 : 회전잠금장치
160 : 이송부 161 : 이송축
162 : 핸들 163 : 이송프레임
164 : 이송축홀
170 : 압력레코더

Claims (8)

  1. 번들튜브(12)의 기밀유지를 시험하기 위한 시험장치(100)에 있어서,
    둘레에 일정간격으로 이격된 다수의 볼트홀(130)이 형성된 원형의 블라인드커버플랜지(110);
    상기 블라인드커버플랜지(110) 양측에 형성된 힌지결합부(111);
    상기 힌지결합부(111)에 연결되되, 상기 블라인드커버플랜지(110)와 볼트 체결되도록 둘레에 일정간격으로 이격된 다수의 볼트홀(130)이 형성되는 2조각의 반고리형 커버플랜지(120);
    상기 커버플랜지(120)의 일측에 형성되는 커버플랜지연결부(121); 및
    일단이 상기 힌지결합부(111)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커버플랜지연결부(121)를 관통하여 연장 형성되는 슬라이딩바(14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번들튜브의 기밀유지 시험장치(100).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시험장치(100)는,
    상기 블라인드커버플랜지(110)가 상기 번들튜브(12)를 지지하는 플랜지(18) 전면에 위치되고, 상기 커버플랜지(120)가 상기 플랜지(18) 후면에 위치하였을 때, 상기 커버플랜지(120)가 상기 블라인드커버플랜지(110) 쪽으로 슬라이딩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번들튜브의 기밀유지 시험장치(100).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시험장치(100)는,
    상기 슬라이딩바(140)의 일단이 상기 힌지결합부(111)의 회전축(141) 양단에 결합되도록 복수개가 구비되며, 복수개의 슬라이딩바(140)는 서로 평행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번들튜브의 기밀유지 시험장치(100).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시험장치는,
    복수개의 슬라이딩바(140) 일단에 개재하여 구성된 이송프레임(163);
    상기 이송프레임(163)의 일측에 형성되며, 원통형의 내주면에 암나사산이 형성된 이송축홀(164); 및
    상기 이송축홀(164)의 암나사산에 삽입되며 외면에 수나사산이 형성되는 이송축(161);
    으로 구성되어지는 이송부(160)를 포함하되, 상기 이송축(161)의 일단은 핸들(162)이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커버플랜지연결부(121)에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번들튜브의 기밀유지 시험장치(100).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부(160)는 상기 이송축(161)의 회전에 의해 상기커버플랜지(120)를 슬라이딩바(140)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번들튜브의 기밀유지 시험장치(100).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플랜지(120)는 상기 이송부(160)에 의해 상기 슬라이딩바(140)의 일단에서부터 타단까지 슬라이딩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번들튜브의 기밀유지 시험장치(100).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바(140)는 상기 힌지결합부(111)의 회전축(141) 상단에 상기 슬라이딩바(140)가 회전, 또는 고정되도록 제어하는 회전잠금장치(150)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번들튜브의 기밀유지 시험장치(100).
  8.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블라인드커버플랜지(110)는 둘레에 형성된 다수의 볼트홀(130)의 안쪽으로 오링삽입홈(112)이 형성되고, 상기 오링삽입홈(112)에 상기 플랜지(18)와 블라인드커버플랜지(110) 결합부의 기밀유지용 오링(113)이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번들튜브의 기밀유지 시험장치(100).
KR2020100008582U 2010-08-18 2010-08-18 번들튜브의 기밀유지 시험장치 KR20046521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8582U KR200465212Y1 (ko) 2010-08-18 2010-08-18 번들튜브의 기밀유지 시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8582U KR200465212Y1 (ko) 2010-08-18 2010-08-18 번들튜브의 기밀유지 시험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1349U KR20120001349U (ko) 2012-02-28
KR200465212Y1 true KR200465212Y1 (ko) 2013-02-07

Family

ID=459395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08582U KR200465212Y1 (ko) 2010-08-18 2010-08-18 번들튜브의 기밀유지 시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5212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2243U (ko) 2014-12-19 2016-06-29 주식회사 한국가스기술공사 가스히터용 열교환 번들튜브의 기밀 시험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8859Y1 (ko) * 2012-08-21 2013-09-10 주식회사 한국가스기술공사 가스히터용 번들튜브의 기밀시험 장치
KR102077700B1 (ko) * 2018-06-28 2020-02-17 현대비씨엔지니어링(주) 튜브다발형 열교환기의 누설 시험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04657A (ko) * 2003-07-03 2005-01-12 한라공조주식회사 열교환기 검사용 핏팅 클램프 및 이를 이용한 검사방법
KR100869896B1 (ko) * 2007-07-05 2008-11-24 한국가스공사 가스히터 튜브번들 건전성 검사방법
KR100875083B1 (ko) * 2007-09-19 2008-12-18 주식회사 한국가스기술공사 가스관 기밀시험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04657A (ko) * 2003-07-03 2005-01-12 한라공조주식회사 열교환기 검사용 핏팅 클램프 및 이를 이용한 검사방법
KR100869896B1 (ko) * 2007-07-05 2008-11-24 한국가스공사 가스히터 튜브번들 건전성 검사방법
KR100875083B1 (ko) * 2007-09-19 2008-12-18 주식회사 한국가스기술공사 가스관 기밀시험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2243U (ko) 2014-12-19 2016-06-29 주식회사 한국가스기술공사 가스히터용 열교환 번들튜브의 기밀 시험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1349U (ko) 2012-0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65212Y1 (ko) 번들튜브의 기밀유지 시험장치
US10414004B1 (en) Pipe alignment system
US10132243B2 (en) Mounting and dismounting device for a liner of a gas turbine and a related method
IL209936A (en) Assembled handle with handle
US8240167B2 (en) Cryogenic freezing apparatus
CN110900097A (zh) 一种管道拼装装置
US10208627B2 (en) Combustor assembly lift systems
CN105402743B (zh) 一种车载移动式燃气放散装置
US11346465B2 (en) Flange management and services tool
US20100140918A1 (en) mechanical assembly for securing the structural integrity of a pipe joint
KR20160045671A (ko) 열가수분해 반응기 내에서 이용하기 위한 가열 모듈
KR200490384Y1 (ko) 가스히터의 헤드 조립용 기구
US10344467B1 (en) Glide rail
CN209262668U (zh) 一种便于运输的混合气体充装排
CN109027508A (zh) 外壁为倾斜状大接管的机械密封保护装置
CN209084276U (zh) 外壁为倾斜状大接管的机械密封保护装置
KR200489923Y1 (ko) 천연가스 공급설비의 시험장치
JP6789787B2 (ja) 油焚きバーナガン、ボイラ、ボイラに対する油焚きバーナガンの着脱方法
GB2558216A (en) Method of heat treatment
CN102564139B (zh) 用于冶金炉的加料口装置
CN204301122U (zh) 一种可拆卸油枪枪体
CN216307034U (zh) 一种便捷拆卸的液化天然气槽罐车装卸料快速接头
KR200497499Y1 (ko) 튜브번들 누설 시험 장치
KR102263242B1 (ko) Lng 저장탱크 운영설비 보수 방법
CN220453411U (zh) 一种乙炔充装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100818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U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U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20120712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21122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30201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20130204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01

Year of fee payment: 4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20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13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1

Year of fee payment: 6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20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04

Year of fee payment: 7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304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3

Year of fee payment: 8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203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