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2597Y1 - Water-Current Basket Type Vegetable-Washer - Google Patents
Water-Current Basket Type Vegetable-Washe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62597Y1 KR200462597Y1 KR2020110000757U KR20110000757U KR200462597Y1 KR 200462597 Y1 KR200462597 Y1 KR 200462597Y1 KR 2020110000757 U KR2020110000757 U KR 2020110000757U KR 20110000757 U KR20110000757 U KR 20110000757U KR 200462597 Y1 KR200462597 Y1 KR 200462597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ashing
- basket
- water
- unit
- washing tank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5406 wash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32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38
- 235000013311 vegetables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9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1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1
- 238000001914 filtr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
- 238000007664 blow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0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07921 spra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7787 sol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4140 clea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507 spray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15572 biosynthet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708 enhanc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788 irregular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699 wast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N—MACHINES OR APPARATUS FOR TREATING HARVESTED FRUIT, VEGETABLES OR FLOWER BULBS IN BULK, NOT OTHERWISE PROVIDED FOR; PEELING VEGETABLES OR FRUIT IN BULK; APPARATUS FOR PREPARING ANIMAL FEEDING- STUFFS
- A23N12/00—Machines for cleaning, blanching, drying or roasting fruits or vegetables, e.g. coffee, cocoa, nuts
- A23N12/02—Machines for cleaning, blanching, drying or roasting fruits or vegetables, e.g. coffee, cocoa, nuts for washing or blanching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03—Cleaning involving contact with foam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4—Cleaning involving contact with liquid
- B08B3/045—Cleaning involving contact with liquid using perforated containers, e.g. baskets, or racks immersed and agitated in a liquid bath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Apparatuses For Bulk Treatment Of Fruits And Vegetables And Apparatuses For Preparing Feeds (AREA)
Abstract
본 고안에 따른 수류식 바스켓형 야채 세척기는 단위 세척조들 측면에 상기 단위 세척조로부터 오버플로우되는 세척수로부터 부유물을 거르는 거름망과 상기 오버플로우된 세척수를 수용하는 공간을 가지는 오버플로우 수용수단; 상기 오버플로우 수용수단에 대하여 상기 단위 세척조들의 반대편 측면에 상기 오버플로우 수용수단을 넘은 세척수를 수용하여 한 곳에서 그 세척수를 수집하는 도랑 수단; 및 상기 단위 세척조의 후면과 전면에 각각 설치된 공기분사구를 가지는 공기공급관을 포함한다. 상기 단위 세척조의 후면에 설치되는 공기분사구는 상기 단위 세척조의 전면에 설치되는 공기분사구보다 깊은 위치에 배치되어, 상기 세척조에 세척수를 공급하고 야채를 세척할 때 세척수의 표면에서는 단위 세척조의 전면에서 후면으로 세척수의 흐름이 발생하고, 세척수의 해당 수심에서는 단위 세척조의 후면에서 전면으로 세척수의 흐름이 발생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본 고안의 야채 세척기는 원활한 세척수 흐름에 의하여 세척성능을 향상시키고, 또한 세척조의 세척수를 오버플로우시켜서 부유물을 외부로 제거함으로써 세척성능 향상을 달성한다. The water flow basket type vegetable was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overflow accommodating means having a sieve filtering the suspended matter from the washing water overflowed from the unit washing tank and a space accommodating the overflowed washing water on the side of the unit washing tank; Ditch means for receiving the washing water beyond the overflow receiving means on the opposite side of the unit washing tanks with respect to the overflow receiving means and collecting the washing water at one place; And an air supply pipe having air injection ports respectively installed on the rear and front surfaces of the unit washing tank. The air injection port installed in the rear of the unit washing tank is disposed in a position deeper than the air injection hole installed in the front of the unit washing tank, when supplying the washing water to the washing tank and washing vegetables, the surface of the washing water from the front of the unit washing tank in the rear As the flow of wash water occurs, and at the corresponding depth of the wash water, the flow of wash water occurs from the rear of the unit washing tank to the front. With this configuration, the vegetable washer of the present invention improves the washing performance by a smooth washing water flow, and also improves the washing performance by removing the floating matter by overflowing the washing water of the washing tank.
Description
본 고안은 수류식 바스켓형 야채 세척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세척조의 세척수 표면에 공기에 의하여 세척수 흐름을 형성하고 또한 세척조의 세척수를 오버플로우시켜서 세척조에 발생하는 부유물을 거름망에 의하여 용이하게 제거함으로써 세척성능이 더욱 향상된 수류식 바스켓형 야채 세척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ater flow basket-type vegetable washer, more specifically, to form a wash water flow by the air on the surface of the washing water of the washing tank, and also to overflow the washing water of the washing tank to facilitate the floating matters generated in the washing tank by the strainer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ater flow basket-type vegetable washer that is further improved by removing the washing performance.
구내식당 및 대량 급식업소 등은 각종 야채를 다량으로 소비한다. 이를 위하여 먼저 야채는 세척되어야 하는데, 이러한 야채 세척은 상당한 인력과 시간을 필요로 한다. 인력과 시간을 절약하기 위하여 자동 세척기가 개발되어 있으나 대부분 고가이고 기계 조작 및 취급이 불편하며 세척수의 낭비율이 높아 경제적이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었다.The cafeteria and large lunch establishments consume large quantities of various vegetables. To do this, the vegetables must first be washed, which requires considerable manpower and time. Automatic washing machines have been developed to save manpower and time, but most of them are expensive, inconvenient to operate and handle the machine, and have a high waste rate of washing water, which is not economical.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출원인은 2003년 08월 06일에 야체 세척장치에 관한 실용신안등록출원을 하여 실용신안등록 제0332572호(이하, "본 출원인의 선등록 실용신안"이라 함)로 2003년 10월 29일에 등록을 받았다. 이 실용신안은 복수개의 단위 세척조 각각에 바스켓을 설치하고, 그 바스켓에 야채를 투입하여 세척하는 것이다. 이러한 야채 세척장치는 첫번째 야채 세척조의 바스켓에 세척할 야채를 투입하면 이후에는 그것에 의하여 자동적으로 세척을 완료한 후 그 야채를 두번째 야채 세척조로 이동시키고 그 다음에는 세번째 야채 세척조로 이동시키는 방식으로 야채를 세척하는 것이다.In order to solve such a problem, the applicant filed a utility model registration application for a yak washing device on August 06, 2003, and registered as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0332572 (hereinafter referred to as "the applicant's pre-registered utility model"). It was registered on October 29, 2003. This utility model installs a basket in each of the plurality of unit washing tanks, and puts vegetables into the basket to wash them. The vegetable washing apparatus puts the vegetables to be washed in the basket of the first vegetable washing tank and then automatically completes the washing by moving the vegetables to the second vegetable washing tank and then to the third vegetable washing tank. To wash.
이러한 야채 세척장치는 조작 및 취급이 용이하고 세척성능이 우수하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으나 개선의 여지가 남아 있다.This vegetable washing device has the advantage of easy operation and handling and excellent washing performance, but there is room for improvement.
이에 본 고안자는 상기한 이전의 야채 세척장치를 세척성능이 더욱 우수하도록 개량하였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세척조의 세척수 표면에 공기에 의하여 세척수 흐름을 형성하고 또한 세척조의 세척수를 오버플로우시켜서 세척조에 발생하는 부유물을 거름망에 의하여 용이하게 제거함으로써 세척성능이 더욱 향상된 수류식 바스켓형 야채 세척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In this regard, the present inventors have improved the previous vegetable washing apparatus to further excellent washing performance. 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form a washing water flow by the air on the surface of the washing tank of the washing tank, and also to overflow the washing water of the washing tank to easily remove the floating matters generated in the washing tank by the filtering net water flow basket type further improved To provide a vegetable washer.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수류식 바스켓형 야채 세척기는 상부가 개방된 직육면체 형태의 단위 세척조가 직렬로 복수개 배치된 세척조; 상기 단위 세척조에 세척수가 일정한 수위로 유지되도록 상기 단위 세척조에 세척수를 공급 및 배출하는 세척수 급배수수단; 상기 단위 세척조에 배치되어 세척될 야채를 수용하는 바스켓; 상기 바스켓과 결합되어 상기 바스켓을 들어올려 회전시켜서 상기 바스켓에 수용된 상기 야채를 그 다음 단위 세척조에 배치된 바스켓으로 이송하는 바스켓 회동축; 상기 바스켓 회동축에 결합되어 상기 바스켓 회동축을 회전시키는 회전구동수단; 및 상기 회전구동수단의 구동을 제어하는 콘트롤러와 전원공급수단을 가지는 배전반을 포함하는 것이다. 이러한 야채 세척기는 또한 상기 단위 세척조들 측면에 상기 단위 세척조로부터 오버플로우되는 세척수로부터 부유물을 거르는 거름망과 상기 오버플로우된 세척수를 수용하는 공간을 가지는 오버플로우 수용수단; 상기 오버플로우 수용수단에 대하여 상기 단위 세척조들의 반대편 측면에 상기 오버플로우 수용수단을 넘은 세척수를 수용하여 한 곳에서 그 세척수를 수집하는 도랑 수단; 및 상기 단위 세척조의 후면과 전면에 각각 설치된 공기분사구를 가지는 공기공급관을 포함하고, 상기 단위 세척조의 후면에 설치되는 공기분사구는 상기 단위 세척조의 전면에 설치되는 공기분사구보다 깊은 위치에 배치되어, 상기 세척조에 세척수를 공급하고 야채를 세척할 때 세척수의 표면에서는 단위 세척조의 전면에서 후면으로 세척수의 흐름이 발생하고, 세척수의 해당 수심에서는 단위 세척조의 후면에서 전면으로 세척수의 흐름이 발생하도록 하는 것이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water flow basket type vegetable was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washing tank having a plurality of unit washing tanks arranged in series with an open top; Washing water supply and drainage means for supplying and discharging the washing water to the unit washing tank so that the washing water is maintained at a constant level in the unit washing tank; A basket accommodating the vegetables to be disposed in the unit washing tank; A basket rotating shaft coupled to the basket to lift and rotate the basket to transfer the vegetables contained in the basket to a basket disposed in a next unit washing tank; Rotation driving means coupled to the basket rotation shaft to rotate the basket rotation shaft; And a switchboard having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driving of the rotation driving means and a power supply means. The vegetable washer also includes: an overflow receiving means having a sieve filtering the suspended matter from the washing water overflowed from the unit washing tank and a space for receiving the overflowed washing water on the side of the unit washing tanks; Ditch means for receiving the washing water beyond the overflow receiving means on the opposite side of the unit washing tanks with respect to the overflow receiving means and collecting the washing water at one place; And an air supply pipe having air spray holes respectively installed on the rear and front surfaces of the unit washing tank, and the air spray holes installed on the rear of the unit washing tank are disposed at a position deeper than the air spray holes installed on the front of the unit washing tank. When the washing water is supplied to the washing tank and the vegetables are washed, the washing water flows from the front to the rear of the washing unit at the surface of the washing water, and the washing water flows from the rear to the front of the washing unit at the corresponding depth of the washing water.
상기에서, 상기 오버플로우 수용수단에서 상기 거름망은 상기 세척조 쪽으로부터 상기 도랑 수단 쪽으로 아래로 경사진 형태의 틀에 그 틀과 동일한 경사로 설치되고, 상기 도랑 수단 쪽의 상기 틀에는 상부 방향으로 돌출된 세척수 넘침 방지턱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overflow receiving means, the sieve is installed in the same slope as the frame in the frame inclined downward from the washing tank side toward the groove means, washing water protruding upward in the frame on the groove means side It is preferable that the overflow prevention jaw is formed.
상기 바스켓의 전면, 후면, 양측면 및 하면에는 물이 관통하는 복수개의 바스켓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고, 이때, 상기 바스켓의 후면에 설치되는 바스켓 관통공은 상기 단위 세척조의 후면에 설치되는 공기분사구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고, 상기 바스켓의 전면에 설치되는 공기분사구에 대응하는 위치에는 형성되지 않으며, 또한 상기 바스켓의 전면 상부부분에는 복수의 노즐 공기 분출홀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바스켓의 전면에 설치되는 공기분사구에 의하여 분출된 공기가 상기 노즐 공기 분출홀을 통하여 상기 바스켓 내 세척수의 표면에서 세척수의 흐름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front, rear, both sides and the bottom of the basket is formed with a plurality of basket through-holes through which water passes, wherein the basket through-holes installed in the rear of the basket corresponds to the air injection port installed in the rear of the unit washing tank It is formed in the position, and is not formed in the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air injection port is installed on the front of the basket, and also a plurality of nozzle air blowing holes are formed in the upper front portion of the basket is installed in the front of the basket It is preferable that the air blown out by the air forms a flow of the wash water on the surface of the wash water in the basket through the nozzle air blowing hole.
본 고안의 수류식 바스켓형 야채 세척기는 세척조의 세척수 표면에서 한 방향으로 세척수 흐름을 형성하고 그 보다 깊은 수심에서는 반대방향으로 세척수 흐름을 형성함으로써 원활한 세척수 흐름에 의하여 세척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야채 세척기는 세척하는 동안 발생하는 부유물로 인하여 세척효과가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세척조의 세척수를 오버플로우시켜서 부유물을 외부로 제거하고, 특히 거름망에 의하여 부유물을 걸러서 용이하게 제거함으로써 세척성능 향상과 더불어 취급의 편리성을 달성할 수 있다. The water flow basket-type vegetable washer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improve the washing performance by smooth washing water flow by forming the washing water flow in one direction at the washing water surface of the washing tank and forming the washing water flow in the opposite direction at a deeper depth. In addition, the vegetable washer of the present invention to remove the floating to the outside by overflowing the washing water of the washing tank in order to prevent the cleaning effect from falling due to the floating that occurs during the washing, in particular, cleaning performance by easily removing the floating by filtering Along with the improvement, the convenience of handling can be achieved.
도 1은 본 고안의 수류식 바스켓형 야채 세척기의 한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야채 세척기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A 부분 확대도이다.
도 4는 도 1의 야채 세척기의 정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야채 세척기를 정면방향에서 수직하게 자른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1의 야채 세척기의 측단면도이다.
도 7은 바스켓의 상세도이다.
도 8은 바스켓의 회전에 관한 작동상태를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9는 단위 세척조 내에 설치된 공기공급관 및 공기분사구조를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10은 도 1의 야채 세척기의 동작순서를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11은 도 1의 야채 세척기로 야채를 세척하는 사용 상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one embodiment of a water flow basket type vegetable washer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lan view of the vegetable washer of FIG.
3 is an enlarged view of a portion A of FIG. 1.
4 is a front view of the vegetable washer of FIG.
FIG. 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vegetable washing machine of FIG. 1 cut vertically from the front direction. FIG.
6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the vegetable washer of FIG.
7 is a detail view of the basket.
8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an operating state with respect to the rotation of the basket.
9 is a conceptual view illustrating an air supply pipe and an air injection structure installed in a unit washing tank.
10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n operation procedure of the vegetable washer of FIG.
11 is a state diagram used to wash vegetables with the vegetable washer of FIG.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출원인의 선등록 실용신안의 야채 세척장치는 세척을 위한 물의 흐름을 형성하기 위하여 단위 세척조의 하부에 공기분사 노즐을 배치하고 그것을 통하여 공기를 상방향으로 분사함에 의하여 상방향으로 물의 흐름을 형성하였다. 이러한 물의 흐름은 그 자체로 불규칙한 와류를 형성함으로써 세척효과를 높인다는 측면에서 유리하게 작용할 수 있으나, 깊은 수심을 뚫고 세척수의 표면까지 공기가 분사될 수 있어야 하므로 상당한 에너지가 소비될 뿐만 아니라 와류 형성에 의하여 물 튀김이 많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물 튀김을 방지하기 위하여 세척장치의 양 측면에 물튀김방지판을 설치하였다. 그러나 본 출원인의 선등록 실용신안의 야채 세척장치는 세척과정이 반복됨에 따라 누적되는 부유물로 인하여 물이 더러워질 뿐만 아니라 세척된 야채에도 일부이지만 부유물이 부착되어 세척효과가 반감된다는 점을 인식하지 못하였고 그럼에 따라서 부유물 제거를 위한 적절한 수단을 강구하지 못하였다. The vegetable washing apparatus of the applicant's pre-registered utility model forms the flow of water upward by arranging an air spray nozzle at the bottom of the unit washing tank and spraying the air upward through the unit washing tank to form the flow of water for washing. . This water flow can be advantageous in terms of enhancing the cleaning effect by forming an irregular vortex by itself, but since it must be able to inject air to the surface of the washing water through a deep depth, it consumes a considerable amount of energy and also forms a vortex. There was a problem that occurs a lot of water splashes. In order to prevent such splashing water was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washing apparatus to prevent the splashing. However, the vegetable washing apparatus of the applicant's pre-registered utility model not only recognizes that the water becomes dirty due to the accumulated suspended matters as the washing process is repeated, but also that some of the washed vegetables are attached but the washing effect is halved. And therefore did not find adequate means to remove the suspended solids.
이에 본 고안에 따른 수류식 바스켓형 야채 세척기는 상기에서 언급한 본 출원인의 선등록 실용신안의 야채 세척장치를 더욱 개선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고안의 야채 세척기는 세척조의 세척수 표면에서 한 방향으로 세척수 흐름을 형성하고 그 보다 깊은 수심에서는 반대방향으로 세척수 흐름을 형성함으로써 원활한 세척수 흐름에 의하여 세척성능을 향상시키고 또한 세척하는 동안 발생하는 부유물로 인하여 세척효과가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세척조의 세척수를 오버플로우시켜서 부유물을 외부로 제거하고, 특히 거름망에 의하여 부유물을 걸러서 용이하게 제거함으로써 세척성능 향상을 달성하는 것이다. The water-flow basket type vegetable was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to further improve the vegetable washing device of the applicant's pre-registered utility model mentioned above. Specifically, the vegetable washing machin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ms a washing water flow in one direction on the surface of the washing water of the washing tank and forms a washing water flow in the opposite direction at a deeper depth, thereby improving the washing performance by the smooth washing water flow and In order to prevent the washing effect from dropping due to the float, the washing water of the washing tank is overflowed to remove the float from the outside, and in particular, by removing the float by the filtering net, the washing performance is improved.
이를 위하여, 본 고안의 야채 세척기는 도 1 및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가 개방된 직육면체 형태의 단위 세척조(100)가 직렬로 복수개 배치된 세척조를 가진다. 도면은 4개의 단위 세척조(100)가 배치된 예를 도시하는데, 통상적으로 단위 세척조는 4개가 적당하다. 단위 세척조(100)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판(101), 후면판(103), 양측면판(105 및 107) 그리고 밑면판(109)로 형성되고 상부는 개방된 구조를 가진다. To this end, the vegetable washer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ure 1 and 2, has a washing tank in which a plurality of
단위 세척조(100)에 세척수가 일정한 수위로 유지되도록 단위 세척조에 세척수를 공급 및 배출하는 세척수 급배수수단이 설치된다. 도 1에는 세척수 공급관(410) 및 밸브(430)가 도시되어 있으나 세척수 공급장치는 도시되어 있지 않다. 세척수 공급장치는 예를 들어, 상수도시설일 수 있으며, 수도꼭지가 세척수 공급관(410)과 연결되어 세척수가 공급되는 구조일 수 있다. 세척수 배출홀(102)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위 세척조(100)의 바닥에 설치되어 세척수 배출관(440)에 의하여 배출된다. 이때 배출 밸브(450)에 의하여 배출량이 조절될 수 있다. 배출된 세척수는 다시 세척수 공급관(410)으로 순환되어 사용될 수 있다. The washing water supply and drainage means for supplying and discharging the washing water to the unit washing tank is installed in the
단위 세척조(100)에는 바스켓(110)이 배치된다. 바스켓(110)은 세척될 야채를 수용한다. 바스켓(110)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면(111), 전면(113), 양측면(115 및 117) 그리고 밑면(119)으로 구성되며, 상부는 개방되어 있다. 바스켓(110)의 각 면에는 복수개의 바스켓 관통홀(123)이 형성되어 있다. 바스켓(110)에는 양 측면(115 및 117)의 앞쪽 부분에는 두 개의 바스켓 손잡이(121)가 설치되어 있으며, 또한 양 측면(115 및 117)의 뒷쪽 부분에는 두 개의 바스켓 지지대(127)가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바스켓 지지대(127)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바스켓이 회전될 수 있도록 바스켓을 지지하는 것이며, 바스켓 회동축(130)에 결합하는 것이다. The
바스켓(110)의 전면(113)은 상부부분(113')과 하부부분(113")으로 구분되는데, 상부부분(113')은 수직한 판 형상으로 되어 있고, 그것에는 복수개의 노즐 공기 분출홀(114)이 형성되어 있다. 하부부분(113")은 수직한 판 형상의 상부부분(113')에 대하여 아래로 갈수록 안쪽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으며, 여기에 바스켓 관통공(123)이 형성되어 있다. The
또한, 바스켓(110)의 후면(111)은 아래쪽으로 갈수록 안쪽으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따라서 바스켓(110)의 양 측면들(115 및 117)은 아래가 좁고 위가 넓은 사다리꼴 형태를 가진다. 또한 후면(111)은 전면(113)의 면적보다 크게 형성되는데, 후면(111)의 하변은 전면(113)의 하변과 수평하지만 후면(111)의 상변은 전면(113)의 상변보다 높은 곳에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전면(113)의 상변으로부터 하면(119)과 수평하게 후면으로 향하게 되면 후면(113)의 상변보다 아래에 있는 후면(113) 영역을 만나게 된다. 즉, 바스켓(110)의 전면(113)의 상부부분(113')에 형성된 복수의 노즐 공기 분출홀(114)을 통과하여 바스켓(110)의 하면(119)과 수평하게 후면(111)으로 향하게 되면 후면(113)의 판과 만나게 된다. 이렇게 만나는 후면(113)의 영역에는 바스켓 관통공(123)이 형성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the
왜냐하면, 후술하는 바와 같이, 바스켓(110)의 전면(113)에는 노즐공기 분출홀(114)에 대응하는 위치에 공기분사노즐(550)이 위치하는데, 그러한 공기분사노즐로부터 압축 공기가 분사되면 공기는 노즐 공기 분출홀(114)을 통과하여 바스켓(110) 내에서 세척수의 표면에 물 흐름을 일으키게 된다. 이때 대응하는 후면(111)에 바스켓 관통공(123)이 형성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물의 흐름은 더 나아가지 못하고 바스켓(110)의 후면(111)에서 수심방향으로 바뀐 다음에, 후술하는 바와 같이 바스켓(110)의 후면(111)에 놓여지는 공기분출홀(540)로부터 분사되는 공기에 의하여 형성되는 물의 흐름과 합쳐져서 순환적 물의 흐름을 이루게 된다. 이러한 물의 흐름은 야채의 세척에 유리하게 작용하여 세척성능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바스켓(110)의 후면(111)에 형성된 바스켓 관통공(123)은 전면(113)에 형성된 노즐 공기 분출홀(114)에 대응하는 후면(111)에는 형성되지 않지만, 공기분출홀(540)에 대응하는 후면(111)에는 형성되어야 한다. Because, as will be described later, the
본 고안의 세척기 본체(10)의 프레임에는 베어링 수단(132)에 의하여 바스켓 회동축(130)이 설치된다. 이러한 바스켓 회동축(130)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스켓(110)의 양 측면(115 및 117)에 결합된 바스켓 지지대(127)와 결합한다. 또한 바스켓 회동축(130)은 회전구동수단(600)에도 결합한다. 바스켓 회동축(130)은 회전구동수단에 의하여 회전되고, 그 회전에 의하여 바스켓(110)은 들어올려지고 회전되어서 바스켓(110)에 수용된 야채가 그 다음 단위 세척조에 배치된 바스켓으로 이송된다.The
바스켓 회동축(130)을 회전시키는 회전구동수단(60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리고 도 8에 상세 동작이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체에 고정브라켓(620)에 의하여 고정된 공기실린더(610)를 포함한다. 공기실린더(610)에는 작동로드(630)가 결합되어 있으며, 작동로드(630)는 회전로드(640)와 힌지결합한다. 회전로드(640)는 바스켓 회동축(130)과 결합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공기실린더(610)가 직선방향으로 수축되면 그에 따라 작동로드(630)가 직선운동을 하게 되고, 작동로드(630)와 회전로드(640)을 연결하는 힌지축의 이동 및 회전로드(640)의 이동이 동시에 일어나서 결국 바스켓 회동축(130)이 회전하게 된다. 그러면 그것에 연결된 바스켓(130)은 회전하게 되는데, 바스켓(130)의 회전은 바스켓(130)이 들어올려져서 뒤집어지는 과정으로 진행되고 결국 바스켓(130)에 수용되어 세척된 야채는 그 다음의 바스켓으로 이송된다. 상기에서 바스켓 회동축(130)을 구동시키는 회전구동수단(600)으로서 공기실린더를 사용하는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유압실린더 또는 다른 수단을 사용할 수 있음을 쉽게 이해될 수 있다. The rotation driving means 600 for rotating the
본 고안의 야채 세척기는 배전반(700)을 가지는데, 이러한 배전반(700)은 회전구동수단(600)의 구동을 제어하는 콘트롤러와 전원공급수단을 가질 수 있다. The vegetable washer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본 고안의 야채 세척기는 또한, 오버플로우 수용수단(200)을 가진다. 이러한 오버플로우 수용수단(200)은 단위 세척조들(100) 측면에 형성되는 것이다. 본 고안의 야채 세척기에서는 일정 수위 이상으로 세척수가 공급이 되면 그 세척수는 오버플로우 수용수단(200)으로 오버플로우되도록 작동되는 것이다. 오버플로우 수용수단(200)은 단위 세척조들(100) 측면에 단위 세척조로부터 오버플로우되는 세척수로부터 부유물을 거르는 거름망(210)을 포함한다. 이러한 거름망(21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틀(205)에 지지되어 설치된다. 오버플로우된 세척수의 흐름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거름망(210) 및 틀(205)은 세척조(100)의 반대쪽으로 아래로 약간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세척조(100)의 반대쪽에 있는 틀(205)에는 상부 방향으로 돌출되어 세척수가 넘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세척수 넘침 방지턱(240)이 설치된다. The vegetable washer of the present invention also has an overflow receiving means (200). Such overflow receiving means 200 is formed on the side of the unit washing tank (100). In the vegetable washing machine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washing water is supplied above a predetermined level, the washing water is operated to overflow to the overflow receiving means 200. The overflow receiving means 200 includes a
세척조(100)로부터 오버플로우된 세척수는 거름망(210)을 통과하고 부유물은 거름망(210)에서 걸러진다. 이렇게 걸러진 부유물은 사람에 의하여 쉽게 제거될 수 있으며, 거름망(210)의 경사로 인하여 부유물이 다시 세척조(100)로 돌아가는 것이 방지된다. 한편, 거름망(210)을 통과한 세척수는 도 4 및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버플로우 세척수 수집공간(220)에서 수집된다. 수집공간(220)은 직육면체 형태의 용기로 형성될 수 있으며, 그것의 바닥에는 오버플로우 세척수 배출홀(230)이 형성되고 그것을 통하여 오버플로우 세척수는 배출된다. 이때, 배출된 오버플로우 세척수는 세척수 배출관(442)를 통하여 배출되고, 세척조(100)로부터 세척수 배출관(440)을 통하여 배출된 세척수와 합수부(444)에서 합쳐져서 배출된다. 이렇게 배출된 세척수는 다시 사용될 수 있다. The washing water overflowed from the
한편, 도면에서는 첫번째 단위 세척조의 측면에 배치되는 오버플로우 수용수단(200)에는 거름망(210)이 없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첫번째 단위 세척조에서 야채가 처음으로 세척되기 때문에 야채로부터 많은 오물 및 부유물이 발생하게 된다. 그러한 결과로 첫번째 단위 세척조로부터 오버플로우되는 세척수에 포함되는 상당량의 부유물을 거름망에 의하여 거를 경우에는 거름망으로부터 그 부유물을 자주 제거하여 주어야 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거름망이 막히는 결과가 발생할 수 있다. 거름망이 막히면 부유물을 포함하는 세척수가 후술하는 바와 같은 도랑쪽으로 넘치게 되어 부유물의 제거가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 따라서, 첫번째 단위 세척조에는 거름망을 설치하지 않고, 부유물을 별도의 장소에서 제거하는 것이 작업성을 높이는 길이 된다. On the other hand, in the figure is shown that there is no
오버플로우되는 세척수는 오버플로우 수용수단(200)에서 수용되지만 흐름이 강한 경우에는 그것을 넘어갈 수 있다. 이런 경우 세척기가 설치되는 작업장에 세척수가 고여서 불편을 초래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오버플로우 수용수단(200)에 대하여 단위 세척조들(100)의 반대편 측면에는 도랑 수단이 마련된다. 이러한 도랑 수단은 도 1, 2, 4 및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버플로우 수용수단(200)을 넘은 오버플로우 세척수를 수용하는 도랑(300)과 도랑(300)을 통하여 흐른 세척수를 수집하는 수집부(310)로 이루어진다. 세척수의 흐름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도랑(300)은 약간 기울어진 형태가 바람직하며, 그것의 하류에 수집부(310)가 위치한다. The washing water overflowed is accommodated in the overflow receiving means 200, but if the flow is strong, it may be beyond that. In this case, washing water may accumulate in the workplace where the washing machine is installed, which may cause inconvenience. In order to prevent this, grooves are provided on opposite sides of the
본 고안의 야채 세척기는 공기분사수단을 가진다. 이러한 공기분사수단은 펌프(510) 및 펌프에 연결되는 공기공급관(520)을 포함한다. 그리고 공기공급관에는 복수의 공기분출홀(540) 및 노즐(550)과 같은 공기분사구가 설치된다. 이러한 공기분사구는 단위 세척조(100)의 후면과 전면에 각각 설치된다. 더욱 구체적으로 단위 세척조(100)의 전면과 바스켓(110)의 전면(113) 사이에 바람직하게, 공기분사구로서 구멍크기가 작은 노즐(550)이 설치된다. 이러한 노즐(550)은 도 4, 5 및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척조(100)의 하면을 관통하는 수직 공기공급관(520), 이 수직 공기공급관(520)에 연결된 수평 공기공급관(521) 및 수평 공기공급관(521)에 연결된 복수의 가는 공기공급관(523)에 의하여 공기를 공급받아 공기를 세게 분출하는 작은 구멍을 가진 장치이다. 이러한 노즐(550)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스켓(110)의 전면(113)의 상부부분(113')에 형성된 노즐 공기 분출홀(114)에 대응하는 위치에 설치된다. 그리하여 노즐(550)에 공기가 공급되면 그 공기는 노즐 공기 분출홀(114)을 관통하여 바스켓(110) 내의 세척수로 분사되어 세척수의 표면에서 물의 흐름을 형성한다. 이러한 물의 흐름은 전면에서 후면으로 수평하게 흘러가서 바스켓(110)의 후면(111)에 부딪히게 되고 그 흐름은 아래방향으로 바뀌게 된다. The vegetable washer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air spraying means. The air injection means includes a
한편, 단위 세척조(100)의 후면과 바스켓(110)의 후면(111) 사이에 바람직하게는, 공기분사구로서 구멍크기가 큰 공기분출홀(540)이 설치된다. 이러한 공기분출홀(540)은 도 6 및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척조(100)의 하면을 관통하는 수직 공기공급관(520), 이 수직 공기공급관(520)에 연결된 수평 공기공급관(521)에 복수개로 형성된다. 이러한 공기분출홀(540)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스켓(110)의 후면(111)에 형성된 바스켓 관통공(123)에 대응하는 위치에 설치된다. 그리하여 공기공급관(520)에 공기가 공급되면 그 공기는 공기분출홀(540)을 관통하여 세척조(100) 내로 분사되고 이어서 바스켓(110)의 후면(111)에 형성된 바스켓 관통공(123)을 관통하여 바스켓(110) 내에서 해당 수심층에서 후면에서 전면으로 향하는 방향으로 물의 흐름을 형성한다. 이러한 물의 흐름은 전면에서 후면으로 향하는 방향으로 세척수 표면에서 형성된 물의 흐름 그리고 바스켓(110)의 후면(111)에서 수직한 물의 흐름에 이어 물의 흐름을 연속적으로 그리고 순환적으로 형성하는데 기여하게 된다. On the other hand, between the rear surface of the
결국 본 고안의 야채 세척기에서는 세척수의 흐름이 순환적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물이 많이 튀지 않으면서도 야채 세척에 충분한 물 흐름을 형성하여 세척성능을 향상시키게 된다. As a result, in the vegetable washing machine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flow of washing water is cyclically formed, the washing performance is improved by forming a sufficient water flow for washing vegetables without splashing a lot of water.
본 고안에서 공기분출홀(540)은 노즐(550)의 구멍과 같은 크기를 가져도 괜찮지만, 작은 구멍을 가지는 노즐 형태는 일반적인 공기분사구보다 정밀한 장치에 속하므로 공기분출홀(540)을 굳이 노즐 형태로 제작할 필요는 없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도 10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야채 세척기의 작동은 다음과 같다. 먼저 첫번째 단위 세척기에 배치된 바스켓(110)에 세척할 야채를 두입한다. 그러면 첫번째 단위 세척기에서 세척이 완료되면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첫번째 단위 세척기의 바스켓을 회전시켜 야채를 두번째 단위 세척기의 바스켓으로 이동시킨다. 두번째 단위 세척기로 야채가 이동된 후에는 첫번째 야채 세척기에 다시 야채가 투입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야채는 계속적으로 투입되고 세척된다. Referring to Figure 10, the operation of the vegetable wash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s follows. First, the vegetables to be washed in the
도 10a는 4개의 바스켓 모두에서 야채가 세척중인 상황을 표현한다. 도 10b에 도시한 바와 같이, 4번째 단위 세척조에서 세척이 완료되면 그 단위 세척조의 바스켓(110)은 회전하여 야채를 가이드 프레임(150) 안으로 쏟는다. 그러면 가이드 프레임(150) 밑에 배치된 이송 바스켓(도시하지 않음)에 야채가 수집된다. 도 10b에서 4번째 단위 세척기의 바스켓이 들어올려져서 회전하는 동안에는 바스켓의 전면에서의 공기분사는 일시적으로 작동이 멈추게 할 수 있다. 그러면 4번째 단위 세척조에서는 전면에서 후면으로 세척수 표면에서의 흐름은 일시적으로 멈추게 된다. 도 10c에 도시된 바와 같이, 4번째 단위 세척조의 바스켓이 다시 제자리로 돌아오면 이어서 3번째 단위 세척조의 바스켓이 들어올려지고 회전하여 야채를 4번째 단위 세척조로 이송시킨다. 도 10d 및 10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와 같은 과정이 첫번째 단위 세척조의 바스켓까지 계속적으로 진행된다. 도 11에는 실제로 야채가 도시되어 있다. 10A represents the situation where vegetables are being washed in all four baskets. As shown in FIG. 10B, when the washing is completed in the fourth unit washing tank, the
100:단위 세척조 102: 세척수 배출홀
110: 바스켓 114: 노즐 공기 분출홀
121: 바스켓 손잡이 123: 바스켓 관통공
125: 바스켓 걸림턱 127: 바스켓 지지대
130: 바스켓 회동축 132: 베어링
200: 오버플로우 수용수단 205: 틀
210: 거름망 220: 오버플로우 세척수 수집공간
230: 오버플로우 세척수 배출홀 240: 세척수 넘침 방지턱
300: 도랑 310: 수집부
410: 세척수 공급관 430,450,530: 밸브
440,442: 세척수 배출관 444: 합수부
510: 펌프 520: 공기공급관
540: 공기분출홀 550: 노즐
610: 공기실린더 620: 고정브라켓
630: 작동로드 640: 회전로드
700: 배전반100: unit washing tank 102: washing water discharge hole
110: basket 114: nozzle air blowing hole
121: basket handle 123: basket through hole
125: basket jam 127: basket support
130: basket rotation shaft 132: bearing
200: overflow receiving means 205: frame
210: strainer 220: overflow washing water collection space
230: overflow washing water discharge hole 240: washing water overflow prevention jaw
300: ditch 310: collector
410: washing
440,442: wash water discharge pipe 444: water inlet
510: pump 520: air supply pipe
540: air blowing hole 550: nozzle
610: air cylinder 620: fixed bracket
630: working rod 640: rotating rod
700: switchboard
Claims (4)
상기 단위 세척조들 측면에 상기 단위 세척조로부터 오버플로우되는 세척수로부터 부유물을 거르는 거름망과 상기 오버플로우된 세척수를 수용하는 공간을 가지는 오버플로우 수용수단; 상기 오버플로우 수용수단에 대하여 상기 단위 세척조들의 반대편 측면에 상기 오버플로우 수용수단을 넘은 세척수를 수용하여 한 곳에서 그 세척수를 수집하는 도랑 수단; 및 상기 단위 세척조의 후면과 전면에 각각 설치된 공기분사구를 가지는 공기공급관을 포함하고,
상기 단위 세척조의 후면에 설치되는 공기분사구는 상기 단위 세척조의 전면에 설치되는 공기분사구보다 깊은 위치에 배치되어, 상기 세척조에 세척수를 공급하고 야채를 세척할 때 세척수의 표면에서는 단위 세척조의 전면에서 후면으로 세척수의 흐름이 발생하고, 세척수의 해당 수심에서는 단위 세척조의 후면에서 전면으로 세척수의 흐름이 발생하도록 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수류식 바스켓형 야채 세척기.A washing tank in which a plurality of unit washing tanks having an open top shape are arranged in series; Washing water supply and drainage means for supplying and discharging the washing water to the unit washing tank so that the washing water is maintained at a constant level in the unit washing tank; A basket accommodating the vegetables to be disposed in the unit washing tank; A basket rotating shaft coupled to the basket to lift and rotate the basket to transfer the vegetables contained in the basket to a basket disposed in a next unit washing tank; Rotation driving means coupled to the basket rotation shaft to rotate the basket rotation shaft; And a switchboard having a controller and a power supply means for controlling the driving of the rotation driving means.
Overflow accommodating means having a sieve filtering the suspended matter from the washing water overflowed from the unit washing tank and a space accommodating the overflowed washing water on the side of the unit washing tanks; Ditch means for receiving the washing water beyond the overflow receiving means on the opposite side of the unit washing tanks with respect to the overflow receiving means and collecting the washing water at one place; And an air supply pipe having air injection ports respectively installed on rear and front surfaces of the unit washing tank.
The air injection port installed in the rear of the unit washing tank is disposed in a position deeper than the air injection hole installed in the front of the unit washing tank, when supplying the washing water to the washing tank and washing vegetables, the surface of the washing water from the front of the unit washing tank in the rear As the flow of the washing water occurs, the water flow basket type vegetable washer, characterized in that the washing water flow from the rear of the unit washing tank to the front at the corresponding depth of the washing water.
상기 오버플로우 수용수단에서 상기 거름망은 상기 세척조 쪽으로부터 상기 도랑 수단 쪽으로 아래로 경사진 형태의 틀에 그 틀과 동일한 경사로 설치되고, 상기 도랑 수단 쪽의 상기 틀에는 상부 방향으로 돌출된 세척수 넘침 방지턱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류식 바스켓형 야채 세척기.The method of claim 1,
In the overflow receiving means, the strainer is installed in the frame inclined downward from the washing tank side toward the groove means, and is installed at the same slope as the frame. Water-flow basket type vegetable washer,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상기 바스켓의 전면, 후면, 양측면 및 하면에는 물이 관통하는 복수개의 바스켓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고, 이때, 상기 바스켓의 후면에 설치되는 바스켓 관통공은 상기 단위 세척조의 후면에 설치되는 공기분사구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고, 상기 바스켓의 전면에 설치되는 공기분사구에 대응하는 위치에는 형성되지 않으며, 또한 상기 바스켓의 전면 상부부분에는 복수의 노즐 공기 분출홀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바스켓의 전면에 설치되는 공기분사구에 의하여 분출된 공기가 상기 노즐 공기 분출홀을 통하여 상기 바스켓 내 세척수의 표면에서 세척수의 흐름을 형성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수류식 바스켓형 야채 세척기.The method of claim 1,
The front, rear, both sides and the bottom of the basket is formed with a plurality of basket through-holes through which water passes, wherein the basket through-holes installed in the rear of the basket corresponds to the air injection port installed in the rear of the unit washing tank It is formed in the position, and is not formed in the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air injection port is installed on the front of the basket, and also a plurality of nozzle air blowing holes are formed in the upper front portion of the basket is installed in the front of the basket Water flow basket type vegetable washer characterized in that the air blown out by forming the flow of the washing water on the surface of the washing water in the basket through the nozzle air blowing hole.
상기 단위 세척조의 후면에 설치되는 공기분사구는 상기 단위 세척조의 전면에 설치되는 공기분사구보다 더 큰 구멍으로 형성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수류식 바스켓형 야채 세척기.The method of claim 1,
Water jet basket type washing machine, characterized in that the air injection port is installed in the rear of the unit washing tank is formed into a larger hole than the air injection hole is installed in the front of the unit washing tank.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10000757U KR200462597Y1 (en) | 2011-01-26 | 2011-01-26 | Water-Current Basket Type Vegetable-Washe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10000757U KR200462597Y1 (en) | 2011-01-26 | 2011-01-26 | Water-Current Basket Type Vegetable-Washer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005588U KR20120005588U (en) | 2012-08-03 |
KR200462597Y1 true KR200462597Y1 (en) | 2012-09-18 |
Family
ID=468746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110000757U KR200462597Y1 (en) | 2011-01-26 | 2011-01-26 | Water-Current Basket Type Vegetable-Washer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462597Y1 (en)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379352B1 (en) * | 2013-04-15 | 2014-04-04 | 주식회사 밀원 | Device cleaning and picking sand in red bean |
KR101697174B1 (en) * | 2016-02-29 | 2017-01-17 | 김채우 | Washing apparatus by micro bubble and flowing water |
KR101807993B1 (en) | 2017-05-26 | 2017-12-12 | 송금희 | Apparatus for washing wegetables |
KR101958251B1 (en) * | 2016-04-22 | 2019-03-14 | 주식회사 이시다매뉴팩쳐링코리아 | Vegetable cleaning machine and vegetable cleaning system using the same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5852683B (en) * | 2016-06-15 | 2019-01-22 | 青岛维码士自动化设备有限公司 | Automatic beet washer |
CN106618419B (en) * | 2016-12-02 | 2024-01-16 | 宁波方太厨具有限公司 | Turbulent flow cleaning water tank cleaning machine |
CN106617181B (en) * | 2016-12-20 | 2018-10-02 | 重庆市奇格食品有限公司 | Chinese cabbage automatic flushing device |
CN106955037A (en) * | 2017-05-15 | 2017-07-18 | 张岳 | A kind of multipurpose basket for washing vegetable, application method and purposes |
KR102752704B1 (en) * | 2021-12-01 | 2025-01-10 | 농업회사법인 팜포스 주식회사 | Broccoli sprouts germination methods and system thereof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62106691U (en) | 1985-12-23 | 1987-07-08 | ||
KR100622525B1 (en) | 2005-07-12 | 2006-09-12 | 오용호 | Vegetable Washer |
KR200449276Y1 (en) | 2008-03-31 | 2010-06-28 | 주식회사 대신종합주방기구 | Multifunctional food washer |
-
2011
- 2011-01-26 KR KR2020110000757U patent/KR200462597Y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62106691U (en) | 1985-12-23 | 1987-07-08 | ||
KR100622525B1 (en) | 2005-07-12 | 2006-09-12 | 오용호 | Vegetable Washer |
KR200449276Y1 (en) | 2008-03-31 | 2010-06-28 | 주식회사 대신종합주방기구 | Multifunctional food washer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379352B1 (en) * | 2013-04-15 | 2014-04-04 | 주식회사 밀원 | Device cleaning and picking sand in red bean |
KR101697174B1 (en) * | 2016-02-29 | 2017-01-17 | 김채우 | Washing apparatus by micro bubble and flowing water |
KR101958251B1 (en) * | 2016-04-22 | 2019-03-14 | 주식회사 이시다매뉴팩쳐링코리아 | Vegetable cleaning machine and vegetable cleaning system using the same |
KR101807993B1 (en) | 2017-05-26 | 2017-12-12 | 송금희 | Apparatus for washing wegetables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005588U (en) | 2012-08-0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0462597Y1 (en) | Water-Current Basket Type Vegetable-Washer | |
KR101289333B1 (en) | Vegetable automatic washer which can automatically discharge foreign substances | |
CN103110169B (en) | Cleaning device | |
EP2375957B1 (en) | Pre-rinsing of dishes | |
JP5404196B2 (en) | Cleaning device | |
CN211330623U (en) | Be applied to scrubbing device who washs pond | |
CN104138863A (en) | Cleaning machine with automatic contamination removing function | |
JP5264001B1 (en) | Floating oil separation and recovery device | |
CN109396111A (en) | It is used to prepare the supersonic wave cleaning machine of optical mirror slip | |
CN206153996U (en) | Machine tool working table | |
CN109465241B (en) | Bearing ring ultrasonic cleaning treatment equipment of circulation self-cleaning | |
CN204018309U (en) | With the aloe washing machine of automatic pollutant removal | |
KR101424187B1 (en) | Cleaning device for recycling the wash water | |
JP3903451B2 (en) | Fresh tea leaf cleaning device | |
CN209465390U (en) | Steel flange cleaning device | |
CN220804391U (en) | Screening and collecting device for steel casting processing waste | |
CN210673245U (en) | Dish washer with residue filter equipment | |
CN205074082U (en) | Water -saving roll formula log washer | |
KR101616225B1 (en) | Sludge removal device with cleaning filter | |
CN216821656U (en) | Automatic vegetable washing machine capable of circularly cleaning | |
CN203841075U (en) | Water-saving type vegetable washer | |
CN107467153B (en) | Processing of aquatic products technique | |
CN206168000U (en) | Water treatment device | |
CN217665013U (en) | Descaling device is used in cast member production and processing | |
CN107683887B (en) | Buffer-type aquatic products processing devic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UA0108 |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110126 |
|
U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U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U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date: 20120910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U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Patent event date: 20120912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U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20120912 |
|
U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910 Year of fee payment: 4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5091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912 Year of fee payment: 5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0912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911 Year of fee payment: 6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091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910 Year of fee payment: 7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0910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916 Year of fee payment: 8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916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1014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UC1801 | Expiration of term |
Termination category: Expiration of duration Termination date: 202107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