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1136Y1 - Connection member for ground line - Google Patents
Connection member for ground lin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61136Y1 KR200461136Y1 KR2020100012578U KR20100012578U KR200461136Y1 KR 200461136 Y1 KR200461136 Y1 KR 200461136Y1 KR 2020100012578 U KR2020100012578 U KR 2020100012578U KR 20100012578 U KR20100012578 U KR 20100012578U KR 200461136 Y1 KR200461136 Y1 KR 200461136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ground
- connection
- wire
- fitting
- connection member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7789 seal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8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5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3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3
- 229920001187 thermosetting polymer Polymer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7797 corro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5260 corro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6
- RYGMFSIKBFXOCR-UHFFFAOYSA-N Copper Chemical compound [Cu] RYGMFSIKBFXOC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5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2159 abnorm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9413 insu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06010014357 Electric shock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0831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248 coat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576 coat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802 copper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49 copp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788 crimp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595 infilt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764 infilt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212 insula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545 inva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44000144972 livestock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3001 locomo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1220 stainless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35 stainless ste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59 ste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58—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characterised by the form or material of the contacting members
- H01R4/66—Connections with the terrestrial mass, e.g. earth plate, earth pin
Landscapes
- Cable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접지선 연결부위 체결용 연결부재에 관한 것으로, 본 고안은 전주(40)로부터 지중으로 연장되는 접지선(30)과 지면에 매설되는 접지봉(10)을 연결하는 과정에서 전주(40)와 접지봉(10) 사이에 별도의 접지선(20)을 매개하여 연결하는 연결부재(50)에 관한 것이다. 상기 연결부재(50)는, 일측 끝단면에서 몸체 중심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패인 전선삽입부(54)가 형성된 몸체부(51a)와, 이 몸체부(51a)의 타측 끝단 부위에 상대적으로 큰 직경으로 형성되어 외주면에 나사산(58)이 형성되고 타측 끝단면에서 내측으로 패인 끼움오목부(56)를 갖는 너트체결부(51b)를 갖춘 암연결구(51)와; 일측 끝단면에서 몸체 중심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패인 전선삽입부(53)가 형성된 몸체부(52a)와, 이 몸체부(52a)의 타측 끝단 부위에 플랜지부(55)로 구획되어 상기 끼움오목부(56)에 밀착 삽입될 수 있게 돌출 형성된 끼움볼록부(52b)를 갖춘 수연결구(52)와; 상기 수연결구(52)의 몸체부(52a)에 관통 조립되고, 상기 끼움오목부(56)와 끼움볼록부(52b)가 상호 끼움 체결된 상태에서 상기 너트체결부(51b)에 형성된 나사산(58)에 나사 결합될 수 있게 내주면에 나사산(59)이 형성된 고정너트(57)를 포함하는 구성을 갖는다.
이때, 상기 연결부재(50)의 연결부위에는 열경화성 열수축튜브와 같은 밀봉부재(60)가 구비되어 상기 연결부재(50)의 외주면을 간단하게 밀봉할 수도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nection member for fastening the ground wire connection por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a pole pole (40) and the ground rod in the process of connecting the ground wire 30 extending to the ground from the pole 40 and the ground rod 10 embedded in the ground It relates to a connection member 50 for connecting via a separate ground wire (20) between (10). The connecting member 50 has a body portion 51a having a wire insertion portion 54 formed to be elongat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enter of the body at one end surface, and a relatively large diameter at the other end portion of the body portion 51a. A female connector (51) formed with a nut (58)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having a nut fitting portion (51b) having a fitting recess (56) recessed inwardly from the other end surface; The fitting portion 52a formed with a wire insertion portion 53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enter of the body at one end surface, and the flange portion 55 at the other end portion of the body portion 52a is divided into the fitting recess portion. A male connector 52 having a fitting convex portion 52b that protrudes to be inserted in close contact with the 56; Threaded through the body portion 52a of the male connector 52, the threaded portion 58 formed on the nut fastening portion 51b in a state where the fitting concave portion 56 and the fitting convex portion 52b are fitted to each other. It has a configuration that includes a fixing nut (57) formed with a thread (59)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so that it can be screwed into.
At this time, the connecting portion of the connecting member 50 may be provided with a sealing member 60 such as a thermosetting heat shrink tube to easily seal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nnecting member 50.
Description
본 고안은 접지선 연결부위 체결용 연결부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전주 등에서 지중으로 연장되는 접지선과, 이 접지선의 말단을 연결시켜 지중에 매설되는 접지봉을 상호 연결하기 위한 연결부위에 사용될 암수 구조로 체결되는 리드단자 구조를 갖춘 연결부재를 제공함으로써, 종래 사용하던 연결용 슬리브를 사용하지 않으면서 연결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함은 물론, 연결부위의 절연 상태를 크게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접지선 연결부위 체결용 연결부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nection member for fastening the ground wire connection part, and more specifically, a male and female structure to be used for a connection part for interconnecting a ground wire extending into the ground in a pole, and a ground rod embedded in the ground by connecting the ends of the ground wire. By providing a connection member having a lead terminal structure that is fastened to the connector, the connection work can be easily performed without using a connection sleeve that is used in the past, and a ground wire connection part can be greatly improved to improve the insulation state of the connection part. It relates to a connection member for.
일반적으로 전선케이블의 연결부위 및 접속부분은 절연이 가능하도록 테이프를 접착시키거나 절연체로 전선케이블의 노출 부위를 격리하도록 하였으나, 이는 쉽게 접속부위가 벗겨지거나 훼손될 뿐만 아니라 수분이 접촉하게 되면 누전 또는 감전사고의 위험도 뒤따랐기 때문에 안전성에 문제가 있었다.In general, the connection part and the connection part of the wire cable are taped to insulate or insulate the exposed part of the wire cable with an insulator, but this is not only easily peeled or damaged, but also short circuit There was also a safety problem because of the risk of electric shock.
그래서, 근래에 들어 안전성을 고려하면서도 연결부위의 부식을 방지하도록 전선 접속부분을 완전히 밀폐하는 여러 형태의 전선 분기용 슬리브 등이 제공된 바 있었다. Therefore, in recent years, there have been provided various types of wire branch sleeves and the like which completely seal the wire connection part to prevent corrosion of the connection part while considering safety.
한편, 송/배전선로는 송/배전용 전선과 이를 지지하기 위한 철탑 혹은 전주 등으로 이루어지는데, 철탑 혹은 전주에는 송/배전선로 및 변압기 등의 기기를 낙뢰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피뢰기가 설치되어 이 피뢰기로부터 지중으로 연장되는 접지선을 갖추고 있고, 이 접지선과 지면에 매설된 접지봉을 연결하여 철탑 혹은 전주에서 발생하는 전류를 지면으로 유도하여 방전하도록 접지 구조를 갖추고 있다.On the other hand, transmission / distribution lines consist of transmission / distribution wires and steel towers or poles for supporting them, and lightning arresters are installed in the towers or poles to protect devices such as transmission / distribution lines and transformers from lightning strikes. It has a grounding wire extending from the ground to ground, and it is equipped with a grounding structure to connect the grounding wire and the grounding rod embedded in the ground to induce the electric current generated from the pylon or pole to the ground and discharge it.
즉, 송/배전용 가공선로는 공중에 노출된 상태로 장거리에 걸쳐서 이어지기 때문에 낙뢰와 같은 이상전압의 내습을 빈번히 받을 뿐만 아니라 고전압의 혼촉이나 지락사고 등과 같은 장애를 자주 일으킨다. 상기와 같은 사고로 인해 송/배전선로에 내습하는 이상전압이나 전류로부터 각종 배전설비를 보호하고 인명이나 가축이 피해를 입지 않도록 하기 위해 송/배전선로를 타고 내습된 이상전압을 접지선 및 접지봉을 통해 지중으로 신속히 방전시킬 필요가 있는 것이다.In other words, the overhead line for transmission / distribution is exposed to the air, and thus, over a long distance, it frequently receives invasion of abnormal voltages such as lightning strikes and frequently causes obstacles such as high voltage mixing and ground faults. In order to protect various distribution facilities from abnormal voltage or current invading transmission / distribution line due to the above accidents and to prevent damage to humans or livestock, the abnormal voltage invaded by transmission / distribution line through grounding wire and ground rod. It is necessary to discharge quickly to the ground.
이때, 상기 접지선과 지중에 매설되는 접지봉 사이를 상호 연결하기 위한 방법으로 접지봉에 리드단자를 구비하여 접지선과 연결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대부분이었다.At this time, as a method for interconnecting the grounding wire and the grounding rod embedded in the ground, the grounding rod was provided with a lead terminal to configure the connection with the grounding wire.
그런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에는 지면에 매설되는 접지봉(100)과 전주(130)로부터 지중으로 연장되는 접지선(110)을 연결하는 과정에서 상기 접지선(110)을 직접 지중에 매설되는 접지봉(100)에 연결하는 것이 아니라 그 중간에 연결용 슬리브(140)와 리드단자 연결부(121)를 갖춘 별도의 접지선(120)을 매개하여 연결하는 것이 보통이었다.However, as shown in FIG. 1, conventionally, the
이는 접지봉(100)의 매설 시공에 따른 작업 여건 등을 고려한 조치로써, 상기 접지봉(100)의 리드단자(101)에 리드단자 연결부(121)를 통해 별도의 접지선(120)을 연결하고, 이 접지봉(100)의 리드단자(101)에 연결된 접지선(120)은 연결용 슬리브(140)를 매개로 전주(130)로부터 지중으로 연장되는 접지선(110)과 연결하는 방식을 채택하고 있었다.This is a measure taking into consideration the working conditions of the
이때, 상기 연결용 슬리브(140)는 동 재질로 이루어진 분기용 슬리브의 일종으로써, 양방향으로 각각의 접지선(110,120)을 연결한 다음, 이 연결부위를 절연테이프(150)로 테이핑 작업을 실시하여 마무리하는 방식을 채택하고 있었다.At this time, the connecting
그런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연결용 슬리브(140)로 연결된 부위가 지중에 매설되는 것이 통상적인 시공 방식이었다. 그로 인해 상기 연결용 슬리브(140)에 의한 연결부위가 절연테이프(150)로 테이핑 작업이 이루어진 상태에서도 그 기밀성이 떨어지기 때문에 지면 내에서 습기 등으로 인해 시공 접속부위가 쉽게 부식되어 접촉저항을 증가시키고 다시 접속부위의 온도가 상승되어 전해 부식을 가속화하는 과정이 반복됨으로써, 최종적으로 단선 등을 일으키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By the way, as shown in the figure, it was a conventional construction method that the portion connected to the conventional connecting
또한, 종래의 연결용 슬리브(140)는 각 접지선(110,120)과의 연결부위 접지면이 작기 때문에 인장력이 약하여 연결용 슬리브(140) 내에서 각 접지선(110,120이 쉽게 미끄러져 빠져나올 우려가 높았고, 작은 접지면적에 의해 접속부위의 온도가 쉽게 상승하여 연결용 슬리브(140)와 접촉하고 있는 각 접지선(110,120)의 피복이 녹거나 탈 수 있다는 단점이 있었다.In addition, the conventional connecting
이에 본 고안은 종래 접지선끼리의 연결부위를 연결용 슬리브로 연결함에 따른 문제점을 획기적으로 개선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써, 본 고안의 목적은 전주 등에서 지중으로 연장되는 접지선과, 이 접지선의 말단을 연결시켜 지중에 매설되는 접지봉을 상호 연결하기 위한 연결부위에 종래 사용하던 연결용 슬리브를 사용하지 않으면서 연결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함은 물론, 연결부위의 절연 상태를 크게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접지선 연결부위용 연결부재를 제공하는 데 있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was devised to drastically improve the problems caused by connecting the connecting portions of the conventional ground wires with the connecting sleeve,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connect the ground wire extending from the pole to the ground and the end of the ground wire The grounding connection is designed to facilitate the connection work without using the connecting sleeve conventionally used for connecting the ground rods buried in the ground, and to greatly improve the insulation state of the connecting portion. To provide an absence.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전주로부터 지중으로 연장되는 접지선과 지면에 매설되는 접지봉을 연결하는 과정에서 전주와 접지봉 사이에 별도의 접지선을 매개하여 연결하기 위해 구비되는 연결부재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접지선을 연결할 수 있게 일측 끝단면에서 몸체 중심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패인 전선삽입부가 형성된 몸체부, 이 몸체부의 타측 끝단 부위에 몸체부의 직경에 비해 상대적으로 큰 직경으로 형성되어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타측 끝단면에서 내측으로 패인 끼움오목부가 형성된 너트체결부를 갖춘 암연결구와; 상기 접지선을 연결할 수 있게 일측 끝단면에서 몸체 중심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패인 전선삽입부가 형성된 몸체부, 이 몸체부의 타측 끝단 부위에 플랜지부로 구획되어 상기 끼움오목부에 밀착 삽입될 수 있게 돌출 형성된 끼움볼록부를 갖춘 수연결구와; 상기 수연결구의 몸체부에 관통 조립되고, 상기 끼움오목부와 끼움볼록부가 상호 끼움 체결된 상태에서 상기 너트체결부에 형성된 나사산에 나사 결합될 수 있게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고정너트를 포함하는 접지선 연결부위 체결용 연결부재를 제공함에 그 특징을 갖는다.In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n the connection member provided for connecting by a separate ground wire between the pole and the ground rod in the process of connecting the ground wire extending from the pole to the ground and embedded in the ground, The connecting member has a body portion formed with a wire insertion portion which is formed to be elongat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ody center at one end surface so as to connect the ground wire, and formed on the other end portion of the body portion with a relatively large diameter compared to the diameter of the body portion A female connector having a screw thread formed therein and having a nut coupling portion formed with a recessed portion recessed inward from the other end surface; Body portion formed with a wire insertion portion lo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ody center from one end surface to connect the ground wire, partitioned by the flange portion in the other end portion of the body portion protruding to be inserted close to the fitting recess portion A male connector having a convex portion; A ground wire connection including a fixing nut threaded on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male connector so as to be screwed to the thread formed in the nut fastening part in a state in which the fitting recess and the fitting convex part are fitted to each other; It is characterized by providing a connection member for site fastening.
여기서, 상기 암,수연결구의 상호 끼움 체결로 형성되는 상기 연결부재의 연결부위에는 밀봉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밀봉부재가 상기 연결부재의 외주면을 감싸 밀봉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a sealing member is provided at the connection portion of the connection member formed by the interfitting of the female and male connectors, and the sealing member is preferably sealed to surrou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nnection member.
이때, 상기 밀봉부재는 열경화성 열수축튜브이고, 상기 열수축튜브는 상기 연결부재의 연결부위에 끼움 삽입되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the sealing member is a thermosetting heat shrink tube, the heat shrink tube is preferably provided by being inserted into the connection portion of the connection member.
본 고안에 따르면, 전주 등에서 지중으로 연장되는 접지선과, 이 접지선의 말단을 연결시켜 지중에 매설되는 접지봉을 상호 연결하기 위한 연결부위에 사용될 암수 구조로 체결되는 리드단자 구조를 갖춘 연결부재를 제공함으로써, 종래 사용하던 연결용 슬리브를 사용하지 않으면서 연결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함은 물론, 연결부위의 절연 상태를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providing a connection member having a ground terminal extending from the pole to the ground, and a lead terminal structure is fastened to the male and female structures to be used for connecting the ground rods buried in the ground by connecting the ends of the ground wire In addition, the connection operation is easily performed without using the connection sleeve that is conventionally used, and the effect of improving the insulation state of the connection portion is greatly improved.
특히, 본 고안에 따른 연결부재가 암수연결구로 이루어져 직선형 연결구조를 가지고 있는 관계로, 상기 연결부재의 외주면에 밀봉부재를 끼워서 연결부위를 매우 긴밀하게 밀봉할 수 있기 때문에, 접지선 연결부위에서의 수분 침투를 차단하여 수분에 의한 부식 문제를 크게 개선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particular, since the connection memb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traight connection structure consisting of a male and female connector, it is possible to seal the connection portion very tightly by inserting a sealing member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nnection member, so that water infiltration in the ground line connection portion By blocking the effect that can greatly improve the corrosion problems caused by moisture.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접지봉과 접지선을 연결하는 과정에서 연결용 슬리브가 이용되어 접지선끼리 연결 시공된 형태를 보여주는 사용예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접지봉과 접지선을 연결하는 과정에서 연결부재가 이용되어 접지선끼리 연결 시공된 형태를 보여주는 사용예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도 2에 도시된 연결부재의 구성을 보여주는 분해 조립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도 3에 도시된 연결부재의 체결 상태를 보여주는 결합 조립도.
도 5 및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연결부재가 전주 밑에 매설되는 원형접지체와 접지선을 연결하는 과정에 적용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용예시도.1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the use of the connecting sleeves in the process of connecting the grounding rod and the grounding wire according to the prior art, the connection structure between the ground wires.
Figure 2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the use of the connection member in the process of connecting the grounding rod and the grounding wi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struction of the ground wires connected to each other.
Figure 3 is an exploded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connecting member shown in Figure 2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combined assembly showing the fastening state of the connecting member shown in Figure 3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and 6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onnection memb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the process of connecting the ground and the ground line buried under the pole.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접지선 연결부위 체결용 연결부재에 대해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connection member for fastening the ground wire connection por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이때, 종래 기술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접지봉과 접지선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부재와 관련된 것이나, 본 고안의 연결부재는 접지봉과 접지선 사이를 연결하는 부재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통상의 배전선로와 같이 전선케이블의 연결을 필요로 하는 곳을 비롯한 기타 산업용 기기에서 종래 연결용 슬리브를 대체하여 전선케이블의 연결을 필요로 하는 부위에 적용 가능함은 당연하다.At this time, as described in the prior ar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nection member connecting the ground rod and the ground wire, but the connection memb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a member connecting the ground rod and the ground wire, as in a general distribution line Naturally, it is possible to replace the conventional connecting sleeve in other industrial equipment including the place requiring the connection of the wire cable and to apply to the area requiring the connection of the wire cable.
특히,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성을 위해 과장되거나 생략될 수 있으며, 도면에 병기된 도면부호에 따라 부여되는 용어들은 본 고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In particular, the thickness of the lines or the size of the components shown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for explaining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xaggerated or omitted for clarity and convenience of description, according to the reference numerals written in the drawings Terms to be assigned are terms defined in consideration of functions in the present invention, which may vary depending on the intention or custom of a user or an operator.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접지선 연결부위 체결용 연결부재(50)는 암수 구조로 상호 끼움 체결되는 암, 수연결구(51,52)와, 상기 암,수연결구(51,52)의 상호 끼움 체결된 부위를 나사 체결하여 견고하게 상호 연결할 수 있는 고정너트(57)로 이루어져 있다.2 to 4, the
여기서, 상기 암연결구(51)는 일정길이를 갖는 몸체부(51a)와, 이 몸체부(51a)의 일측 끝단면에 몸체부(51a)의 직경에 비해 상대적으로 큰 직경을 갖고 형성되어 외주면에 나사산(58)이 형성되고 이 끝단면에서 내측으로 패인 끼움오목부(56)를 갖는 너트체결부(51b)와, 상기 몸체부(51a)의 타측 끝단면에서 접지선(30)을 연결할 수 있게 몸체 중심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패인 전선삽입부(54)가 구비되는 구조를 갖는다.Here, the
그리고, 상기 수연결구(52)는 일정길이를 갖는 몸체부(52a)와, 이 몸체부(51a)의 일측 끝단 부위에 플랜지부(55)로 구획되어 상기 끼움오목부(56)에 밀착 삽입될 수 있게 반구형으로 돌출 형성된 끼움볼록부(52b)와, 상기 몸체부(52a)의 타측 끝단면에서 접지선(20)을 연결할 수 있게 몸체 중심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패인 전선삽입부(53)가 구비되는 구조를 갖는다.In addition, the
따라서, 상기 암,수연결구(51,52)는 상호 연결하고자 하는 접지선(20,30)의 피복을 벗겨 상기 각각의 전선삽입부(53,54)에 끼움 삽입하여 연결한 상태에서 상기 끼움오목부(56)와 끼움볼록부(52b)가 상호 끼움 삽입되어 밀착되게 맞물림 됨으로써 양쪽의 접지선(20,30)을 상호 연결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Accordingly, the female and
이때, 상기 암,수연결구(51,52)의 몸체부(51a,52a)는 원통형 구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상기 몸체부(51a,52a)는 필요에 따라 사각 혹은 다각형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At this time, the
또한, 상기 암,수연결구(51,52)는 내식성 및 전기전도율이 우수한 스테인레스나 동 재질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female and
또, 상기 수연결구(52)의 전방에 형성되는 끼움볼록부(52b)는 반구형 형태로 돌출된 구조를 갖는 것으로 설명되고 있으나, 이 역시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한 것이다. 다만, 상기 끼움볼록부(52b)가 상기 끼움오목부(56)에 상호 밀착되게 끼움 체결되었을 때, 상호 접촉면적을 최대한 넓힐 수 있는 형상 구조이면 무엇이든 무방하다. 즉, 암,수연결구(51,52)가 상호 연결되었을 때 상호 접촉면적을 최대한 넓혀 접촉저항을 줄이기 위함이다.In addition, the
상기 고정너트(57)는 상기 수연결구(52)의 몸체부(52a)에 관통 조립되고, 상기 끼움오목부(56)와 끼움볼록부(52b)가 상호 끼움 체결된 상태에서 상기 너트체결부(51b)에 형성된 나사산(58)에 나사 결합될 수 있게 내주면에 나사산(59)이 형성된 구조를 갖는다.The
특히, 상기 고정너트(57)는 조립 과정에서 상기 수연결구(52)의 후방쪽으로 관통 삽입되고, 상기 수연결구(52)의 플랜지부(55)에 의해 이동이 제한되도록 상기 나사산(59)이 형성된 내주면에 단턱이 형성된 구조를 가지고 있다. 즉, 상기 고정너트(57)의 내주면에 형성된 나사산(59)은 상기 암연결구(51)의 너트체결부(51b)에 형성된 나사산(58)과 맞물려 나사 결합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이다.In particular, the
이때, 상기 고정너트(57)와 너트체결부(51b)에 형성되는 나사산수는 3~5개 범위로 형성되어 고정너트(57)를 3~4회 정도만 나사 회전시키는 동작만으로 체결 작업이 완료되도록 함으로써, 체결 작업속도를 빠르고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the number of threads formed in the
한편, 상기 연결부재(50)의 암,수연결구(51,52)가 상호 끼움 체결되고, 상기 너트체결부(51b)에 고정너트(57)가 나사 결합되어 상기 접지선(20,30)끼리의 연결이 완료되면, 지면에 매설되는 상기 연결부재(50)에서 수분 접촉을 최대한 차단하여 연결부위에서의 부식이 일어나는 것을 최대한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Meanwhile, the female and
이를 위해 본 고안에서는 종래 단순히 절연테이프로 연결부위를 테이핑하는 방식이 아닌 밀봉부재(60)를 통해 견고하게 연결부위를 밀봉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있다.To this end,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seal the connection portion firmly through the sealing
즉, 상기 밀봉부재(60)는 상기 연결부재(50)에서 수분 접촉을 최대한 차단하여 연결부위에서의 부식이 일어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부재로써, 종래 절연테이프와 같은 테이핑 방식을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열경화성 열수축튜브나 젤(gel)타입의 조인트(예를 들어, 남해전기(주)에서 생산 시판 중인 "GILS(Gel in Line Splice)"와 같은 저압용 젤(GEL) 조인트를 의미하는 것으로, 특수한 젤(GEL)로 인해 100% 완전방수가 가능한 케이블의 접속 스플라이스(Splice)이다.)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at is, the sealing
예를 들어, 상기 밀봉부재(60)로 열경화성 열수축튜브를 사용할 경우, 상기 연결부재(50)의 연결부위에는 상기 암,수연결구(51,52))를 모두 감쌀 수 있는 열수축튜브인 밀봉부재(60)가 끼움 삽입되고, 상기 암,수연결구(51,52)의 상호 끼움 체결 후에 상기 밀봉부재(60)에 열을 가함으로써, 간단하게 상기 연결부재(50)의 외주면을 따라 밀봉부재(60)가 긴밀하게 밀착되면서 완전히 밀봉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For example, when using a thermosetting heat shrink tube as the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접지선 연결부위 체결용 연결부재의 시공 과정을 첨부도면을 통해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Looking at the construction process of the connection member for fastening the ground wire connection por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n more detail through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2와,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부재(50)는 전주(40)에서 지중으로 연장되는 접지선(30)과, 전주(40) 측면의 지면에 매설되는 접지봉(10) 혹은 전주(40) 밑에 매설되는 원형접지체(70)를 상호 연결하는 데 사용하게 된다.As shown in Figure 2, 5 and 6, the connecting
즉, 종래 기술에서도 살펴본 바와 같이, 상기 접지선(30)과 상기 접지봉(10) 혹은 원형접지체(70)를 상호 연결하는 데 있어서, 지중으로 연장된 상기 접지선(30)의 끝단을 상기 접지봉(10) 혹은 원형접지체(70)에 각각 구비된 리드단자(11,71)에 직접 연결할 수도 있으나, 통상 상기 리드단자(11,71)가 상기 접지봉(10) 혹은 원형접지체(70)로부터 매우 짧게 돌출되어 있는 관계로, 상기 접지봉(10) 혹은 원형접지체(70)를 지중에 매설하기 전에 사전에 상기 리드단자(11,71)에 별도의 접지선(20)의 리드단자 연결부(21)를 통해 연결하고, 이 연결된 접지선(20)의 다른 쪽 끝단을 작업이 용이한 지면 쪽으로 연장한 다음, 지면에서 상기 전주(40)로부터 연장된 접지선(30)과 상기 리드단자(11,71)에 연결된 접지선(20)을 상호 연결하는 작업 방식을 채택하고 있다.That is, as described in the related art, in connecting the
따라서,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작업 방식으로 상기 접지선(20,30)끼리 연결하는 과정에서 상기 연결부재(50)를 사용하여 연결작업을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erform the connection work using the
이때, 상기 접지선(20)의 일단에는 상기 고정너트(57)가 관통 삽입된 수연결구(52)를 체결 조립한다. 즉, 상기 접지선(20)의 피복을 벗겨서 접지선(20)의 동선을 상기 수연결구(52)의 전선삽입구(53)에 끼우고, 이 상태에서 상기 수연결구(52)의 몸체부(52a) 외주면을 압착하여 전선삽입구(53)에 끼워진 접지선(20)의 동선이 빠져나갈 수 없도록 견고하게 고정한다. 도 4에는 상기 몸체부(52a)의 외주면을 압착함에 따라 형성되는 압착공(61)이 도시되어 있다. 도면상에서는 상기 몸체부(52a)의 외주면을 압착하는 것을 표시하기 위해서 압착공(61) 형태로 도시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몸체부(52a) 자체의 단면이 압착되는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At this time, one end of the
그리고,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전주(40)에서 지중으로 연장된 접지선(30)의 끝단에는 상기 암연결구(51)가 체결 조립된다. 즉, 상기 암연결구(51)의 전선삽입구(54)에 피복이 벗겨진 상기 접지선(30)의 동선이 끼움 삽입되고, 이 상태에서 상기 수연결구(52)의 체결 조립할 때와 마찬가지로, 상기 암연결구(51)의 몸체부(51a)를 압착하여 압착공(61)이 접지선(30)의 동선을 견고하게 고정함으로써 체결 조립작업이 완료된다.In this state, the
이렇게 상기 암연결구(51)와 수연결구(52)가 상호 연결이 필요한 각각의 접지선(20,30) 끝단에 체결 조립이 완료되면, 상기 암,수연결구(51,52)의 어느 한쪽에 상기 밀봉부재(60)를 끼워서 추후 암,수연결구(51,52)가 상호 체결된 이후에 밀봉부재(60)로 밀봉할 수 있도록 준비한다.When the
즉, 상기 암연결구(51)의 끼움오목부(56)에 상기 수연결구(52)의 끼움볼록부(52b)가 끼워지게 되면, 상기 끼움볼록부(52b)가 끼움오목부(56)에 밀착된 상태로 상호 연결되게 되고, 이 상태에서 상기 수연결구(52)에 관통 삽입되어 있던 상기 고정너트(57)를 암연결구(51)의 너트체결부(51b)쪽으로 이동시켜 고정너트(57)를 너트체결부(51b)에 나사 결합함으로써, 상기 암,수연결구(51,52)가 분리되지 않고 견고하게 조립 연결되게 된다.That is, when the fitting
그리고, 이 상태에서 상기 밀봉부재(60)를 상기 암,수연결구(51,52) 전체를 감싸는 위치로 이동시키고 열을 가하게 되면, 상기 밀봉부재(60)가 수축하여 상기 암,수연결구(51,52)의 외주면에 경화되어 밀착됨으로써, 상기 연결부재(50)의 연결부위를 완전히 감싸 밀봉하게 되는 것이다.In this state, when the sealing
이상 본 고안은 도면에 도시된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preferred embodiment shown in the drawings, but this is only an example,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embodiments are possible therefrom. .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보호범위는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Therefore, the tru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fined only by the attached utility model registration claims.
10 : 접지봉 11,71 : 리드단자
20, 30 : 접지선 21 : 리드단자 연결부
40 : 전주 50 : 연결부재
51 : 암연결구 51a, 52a : 몸체부
51b : 너트체결부 52 : 수연결구
52b : 끼움볼록부 53, 54 : 전선삽입부
55 : 플랜지부 56 : 끼움오목부
57 : 고정너트 58,59 : 나사산
60 : 밀봉부재 61 : 압착공
70 : 원형접지체10:
20, 30: ground wire 21: lead terminal connection portion
40: pole 50: connecting member
51:
51b: nut connection portion 52: male connector
52b: fitting
55: flange portion 56: fitting concave portion
57: fixing
60: sealing member 61: crimping hole
70: circular ground body
Claims (3)
상기 연결부재(50)는, 일측 끝단면에서 몸체 중심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패인 전선삽입부(54)가 형성된 몸체부(51a), 이 몸체부(51a)의 타측 끝단 부위에 몸체부(51a)의 직경에 비해 상대적으로 큰 직경으로 형성되어 외주면에 나사산(58)이 형성되고, 타측 끝단면에서 내측으로 패인 끼움오목부(56)가 형성된 너트체결부(51b)를 갖춘 암연결구(51)와;
일측 끝단면에서 몸체 중심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패인 전선삽입부(53)가 형성된 몸체부(52a), 이 몸체부(52a)의 타측 끝단 부위에 플랜지부(55)로 구획되어 상기 끼움오목부(56)에 밀착 삽입될 수 있게 돌출 형성된 끼움볼록부(52b)를 갖춘 수연결구(52)와;
상기 수연결구(52)의 몸체부(52a)에 관통 조립되고, 상기 끼움오목부(56)와 끼움볼록부(52b)가 상호 끼움 체결된 상태에서 상기 너트체결부(51b)에 형성된 나사산(58)에 나사 결합될 수 있게 내주면에 나사산(59)이 형성된 고정너트(57)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지선 연결부위 체결용 연결부재.In order to connect the ground wire 30 extending from the pole 40 to the ground and the ground rod 10 buried in the ground through a separate ground wire 20 between the pole pole 40 and the ground rod 10. In the connection member 50 is provided,
The connecting member 50 has a body portion 51a having a wire insertion portion 54 formed to be elongat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ody center at one end surface, and a body portion 51a at the other end portion of the body portion 51a. A female connector 51 formed with a relatively large diameter compared to the diameter of the thread 58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having a nut connection portion 51b having a fitting recess 56 formed inwardly indented from the other end surface; ;
The body portion 52a having a wire insertion portion 53 formed to be elongat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enter of the body at one end surface is divided into a flange portion 55 at the other end portion of the body portion 52a, and the fitting recess portion ( A male connector 52 having a fitting convex portion 52b which protrudes so as to be closely inserted into the 56;
Threaded through the body portion 52a of the male connector 52, the threaded portion 58 formed on the nut fastening portion 51b in a state where the fitting concave portion 56 and the fitting convex portion 52b are fitted to each other. Connection member for fastening the ground line connecting por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fixing nut (57) formed with a thread (59)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so that it can be screwed to.
상기 암,수연결구(51,52)의 상호 끼움 체결로 형성되는 상기 연결부재(50)의 연결부위에는 밀봉부재(60)가 구비되고, 상기 밀봉부재(60)가 상기 연결부재(50)의 외주면을 감싸 밀봉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지선 연결부위 체결용 연결부재.The method of claim 1,
A sealing member 60 is provided at the connection portion of the connection member 50 formed by the interfitting of the female and male connectors 51 and 52, and the sealing member 60 is connected to the connection member 50. Connection member for fastening the ground wire connecting por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o be sealed.
상기 밀봉부재(60)는 열경화성 열수축튜브이고, 상기 열수축튜브는 상기 연결부재(50)의 연결부위에 끼움 삽입되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지선 연결부위 체결용 연결부재.
The method of claim 2,
The sealing member (60) is a thermosetting heat shrink tube, and the heat shrink tube is connected to the ground wire connection part fastening member, characterized in that the insertion member provided in the connection portion of the connection member (50).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00012578U KR200461136Y1 (en) | 2010-12-06 | 2010-12-06 | Connection member for ground lin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00012578U KR200461136Y1 (en) | 2010-12-06 | 2010-12-06 | Connection member for ground lin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004240U KR20120004240U (en) | 2012-06-14 |
KR200461136Y1 true KR200461136Y1 (en) | 2012-06-22 |
Family
ID=468759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100012578U KR200461136Y1 (en) | 2010-12-06 | 2010-12-06 | Connection member for ground lin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461136Y1 (en)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9546366A (en) * | 2018-10-29 | 2019-03-29 | 中国能源建设集团广东省电力设计研究院有限公司 | The upper end insulation structure of deep-well type earthing pole |
KR102377570B1 (en) | 2021-11-09 | 2022-03-22 | 주식회사 엔비플러스 | Ground Line Connector for Underground-buried Power Distributing Installatio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186578B1 (en) * | 2020-03-20 | 2020-12-03 | (주)서해전설 | Grounding Wire for Binding and Isolating of Cut to Length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80006620U (en) * | 2007-06-25 | 2008-12-31 | 원남운 | Ground clamp |
-
2010
- 2010-12-06 KR KR2020100012578U patent/KR200461136Y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80006620U (en) * | 2007-06-25 | 2008-12-31 | 원남운 | Ground clamp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9546366A (en) * | 2018-10-29 | 2019-03-29 | 中国能源建设集团广东省电力设计研究院有限公司 | The upper end insulation structure of deep-well type earthing pole |
CN109546366B (en) * | 2018-10-29 | 2020-10-30 | 中国能源建设集团广东省电力设计研究院有限公司 | Upper end insulation structure of deep well type grounding electrode |
KR102377570B1 (en) | 2021-11-09 | 2022-03-22 | 주식회사 엔비플러스 | Ground Line Connector for Underground-buried Power Distributing Installation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004240U (en) | 2012-06-1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9287636B2 (en) | Plug and power connector | |
CN204991997U (en) | Power cable connecting terminal sub -assembly | |
MX2011004213A (en) | Electrical connector having alignment mechanism. | |
CA2921403C (en) | Multi-piece jacket for separable connectors | |
KR100850769B1 (en) | Branch sleeve for low voltage wire connection | |
EP0087267A1 (en) | An electrical high-voltage connector and connection assembly | |
US3961127A (en) | Universal power cable joint for use with power cables having various insulations | |
KR200461136Y1 (en) | Connection member for ground line | |
KR100751518B1 (en) | Branch sleeve for connecting low voltage wire | |
KR200401178Y1 (en) | Sleeve for water-proof and insulating | |
US8616908B2 (en) | Electrical connector with a cap with a sacrificial conductor | |
US20160172073A1 (en) | Power cable polymer joint | |
KR100819143B1 (en) | Branch sleeve of power distribution line | |
CN204885746U (en) | Transition joint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electrical equipment and external conductors | |
CN204885471U (en) | Electrical equipment terminals | |
CN207896640U (en) | The end connection component of built-in fiber cable | |
US20160172835A1 (en) | Power cable polymer joint | |
CN209963294U (en) | Insulating sealing joint and connecting structure thereof | |
EP4148928A1 (en) | Cable connection structure and connector-equipped cable | |
MX2014004629A (en) | Electrical connector with sacrificial appendage. | |
KR102532797B1 (en) | A protection device for connecting underground distribution lines that can protect underground distribution lines | |
CN221947412U (en) | A moisture-proof and leakage-proof connection structure for wire connection | |
KR101178797B1 (en) | electric wire connector for drain water off power line | |
CN204732554U (en) | The T-shaped splicing ear of insulated conductor | |
JP2024044169A (en) | Cable connection structur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UA0108 |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101206 |
|
U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U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20111227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U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date: 20120518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
|
U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U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Patent event date: 20120618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U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20120619 |
|
U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5040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525 Year of fee payment: 5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0525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718 Year of fee payment: 6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0718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710 Year of fee payment: 7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0710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614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