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5501Y1 - 습식 문서 분쇄기 - Google Patents

습식 문서 분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5501Y1
KR200455501Y1 KR2020100009355U KR20100009355U KR200455501Y1 KR 200455501 Y1 KR200455501 Y1 KR 200455501Y1 KR 2020100009355 U KR2020100009355 U KR 2020100009355U KR 20100009355 U KR20100009355 U KR 20100009355U KR 200455501 Y1 KR200455501 Y1 KR 20045550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sludge
cutting blade
document
thir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0935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효철
Original Assignee
(주)소니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소니텍 filed Critical (주)소니텍
Priority to KR202010000935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550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550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550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23/00Auxiliary methods or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crushing or disintegrating not provided for in preceding groups or not specially adapted to apparatus covered by a single preceding group
    • B02C23/18Adding fluid, other than for crushing or disintegrating by fluid energ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3/00Disintegrating by mills having rotary beater elements ; Hammer mills
    • B02C13/26Details
    • B02C13/28Shape or construction of beater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3/00Disintegrating by mills having rotary beater elements ; Hammer mills
    • B02C13/26Details
    • B02C13/286Feeding or dischar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007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sintegrating docu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9/00Other disintegrating devices or methods
    • B02C19/0012Devices for disintegrating materials by collision of these materials against a breaking surface or breaking body and/or by friction between the material particles (also for grain)
    • B02C19/005Devices for disintegrating materials by collision of these materials against a breaking surface or breaking body and/or by friction between the material particles (also for grain) the materials to be pulverised being disintegrated by collision of, or friction between, the material p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007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sintegrating documents
    • B02C2018/0038Motor dr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007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sintegrating documents
    • B02C2018/0061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sintegrating documents with compacting devices for the disintegrated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rushing And Pulverization Proces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습식 문서 분쇄기에 관한 것으로, 그 구성은 물이 주입되는 물주입구를 가지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안치되며, 일면이 개방된 원통형의 형상을 가지며, 그 원주측면과 밑면에는 복수개의 관통공인 슬러지통과공을 가지는 메쉬부재와, 상기 하우징의 외면에 위치되며, 상기 하우징의 외부에서 상기 메쉬부재의 상부로 분쇄를 요하는 문서철이 투입되어 상기 메쉬부재 내에 수용되는 문서투입구와, 모터에 의해 회전되며, 상기 메쉬부재 내에 위치되어 상기 메쉬부재 내에 위치되는 문서를 파쇄하는 파쇄절단날부재와, 상기 물주입구로 수분을 공급하는 펌프와, 상기 하우징의 하단 측면에 위치되며 상기 메쉬부재의 슬러지통과공을 통과한 파쇄된 문서뭉치가 유동되는 슬러지유동관과, 상기 슬러지유동관과 연결되어 공급되는 상기 파쇄된 문서뭉치를 압축하여 상기 문서뭉치에 포함된 수분은 드레인시키고, 수분이 제거된 문서뭉치를 배출되도록 하는 슬러지압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으로서, 많은 양의 문서철을 물을 이용하여 용이하면서도 효과적으로 분쇄하여 분쇄된 후의 문서철 슬러지가 차지하는 공간을 적게 할 수 있으며, 분쇄되는 문서철의 내용을 전혀 식별할 수 없게 하여 기업체나 관공서의 기밀이 외부로 유출되는 염려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습식 문서 분쇄기{Liquid type document pulverizer}
본 고안은 습식 문서 분쇄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많은 양의 문서철을 물을 이용하여 용이하면서도 효과적으로 분쇄하여 분쇄된 후의 문서철 슬러지가 차지하는 공간을 적게 할 수 있으며, 분쇄되는 문서철의 내용을 전혀 식별할 수 없게 하여 기업체나 관공서의 기밀이 외부로 유출되는 염려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습식 문서 분쇄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기업체나 관공서 등 여러 단체에서 문서를 많이 작성하고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각종 문서에는 그 단체의 기밀이나 정보 등이 수록되어 있으며, 인터넷이나 컴퓨터의 사용이 늘어남에 따라 문서(종이)의 사용은 더욱 증대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문서들은 정보 단위별로 묶음을 하여 문서철로 보관되기도 한다.
그런데, 위의 문서들은 일정한 시간이 지나면 폐기처분된다. 왜냐하면 시간이 이미 지나버린 정보나 기밀들을 계속해서 보관할 수 있는 저장공간이 점점 축소됨에 따라 시간이 지난 정보나 기밀이 수록된 문서철은 폐기처분 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종래의 문서나 종이 파쇄기(분쇄기)는 단순하게 절단날을 이용하여 단지 문서나 종이를 절단하여 버리는 방식을 취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으로는 한 장의 종이가 단지 여러 갈래로 절단된 것일 뿐 그 폐기 되는 종이의 물리적인 체적이 변화된 것이 아니어서, 폐기되는 문서철이 차지하는 공간이 많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이렇게 폐기되는 문서철에는 기업의 각종 세금계산서 등을 포함하여, 그 기업이나 단체에서는 보관할 장소가 없어 폐기처분하지만, 그 정보가 외부로 유출되면 곤란한 정보를 수록한 문서철도 많이 포함되어 있다.
그런데 종래의 방식은 문서철이 그냥 절단된 뿐이어서, 그 조각을 다시 맞추면 기업이나 관공서 등의 단체가 가지는 기밀 사항을 외부에서 알 수가 있다는 우려가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그 목적은 많은 양의 문서철을 물을 이용하여 용이하면서도 효과적으로 분쇄하여 분쇄된 후의 문서철 슬러지가 차지하는 공간을 적게 할 수 있으며, 분쇄되는 문서철의 내용을 전혀 식별할 수 없게 하여 기업체나 관공서의 기밀이 외부로 유출되는 염려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습식 문서 분쇄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습식 문서 분쇄기는, 물이 주입되는 물주입구를 가지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안치되며, 일면이 개방된 원통형의 형상을 가지며, 그 원주측면과 밑면에는 복수개의 관통공인 슬러지통과공을 가지는 메쉬부재와, 상기 하우징의 외면에 위치되며, 상기 하우징의 외부에서 상기 메쉬부재의 상부로 분쇄를 요하는 문서철이 투입되어 상기 메쉬부재 내에 수용되는 문서투입구와, 모터에 의해 회전되며, 상기 메쉬부재 내에 위치되어 상기 메쉬부재 내에 위치되는 문서를 파쇄하는 파쇄절단날부재와, 상기 물주입구로 수분을 공급하는 펌프와, 상기 하우징의 하단 측면에 위치되며 상기 메쉬부재의 슬러지통과공을 통과한 파쇄된 문서뭉치가 유동되는 슬러지유동관과, 상기 슬러지유동관과 연결되어 공급되는 상기 파쇄된 문서뭉치를 압축하여 상기 문서뭉치에 포함된 수분은 드레인시키고, 수분이 제거된 문서뭉치를 배출되도록 하는 슬러지압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습식 문서 분쇄기의 상기 메쉬부재의 원주 내면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되며, 그 원주 중심을 향해서 돌출되는 분쇄돌출부가 더 마련되어, 회전되는 상기 파쇄절단날부재가 제공하는 원심력에 의해서 분쇄를 요하는 서류철이 충돌되어 그 분쇄가 더욱 용이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습식 문서 분쇄기의 상기 파쇄절단날부재는, 세 개의 독립된 절단체인 제1절단날과, 제2절단날과, 제3절단날로 구비되되, 상기 제1절단날과, 제2절단날과, 제3절단날은 각각 원주방향으로 등간격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습식 문서 분쇄기의 상기 제1절단날은, 수평방향과 평행한 제11수평부와, 상기 제11수평부로부터 하방으로 경사지게 연장되는 제12경사부와, 상기 제12경사부로부터 연장되며 수평방향과 평행한 제13수평부와, 상기 제13수평부로부터 하방으로 경사지게 연장되는 제14경사부와, 상기 제14경사부로부터 연장되며 수평방향과 평행한 제15수평부를 가지며, 상기 제13수평부에는 삼각형 형상의 제1결합관통공을 가지며, 상기 제2절단날은, 수평방향과 평행한 형상을 가지며, 그 중앙부위에는 삼각형 형상의 제2결합관통공을 가지며, 상기 제3절단날은, 수평방향과 평행한 제31수평부와, 상기 제31수평부로부터 하방으로 경사지게 연장되는 제32경사부와, 상기 제32경사부로부터 연장되며 수평방향과 평행한 제33수평부와, 상기 제33수평부로부터 하방으로 경사지게 연장되는 제34경사부와, 상기 제34경사부로부터 연장되며 수평방향과 평행한 제35수평부를 가지며, 상기 제33수평부에는 삼각형 형상의 제3결합관통공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습식 문서 분쇄기의 상기 제32경사부와 제34경사부의 경사는, 상기 제12경사부와 제14경사부보다 완만한 각도로 경사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습식 문서 분쇄기의 상기 슬러지압축부재는, 원통형상의 외부몸체부와, 상기 외부몸체부 내에 위치되며, 그 끝단부가 일방향으로 갈수록 그 폭이 점진적으로 좁아지도록 테이퍼진 경사면을 가지며, 상기 경사면에는 복수개의 관통공이 마련되어 수분이 통과되는 경사수분통과공이 마련되는 내부몸체부(82)와, 상기 내부몸체부 내에 위치되며, 투여되는 수분이 포함된 문서뭉치를 압축시키는 스크류와, 상기 스크류(83)를 회전시키는 스크류모터와, 상기 경사수분통과공을 통과하여 상기 외부몸체부와 내부몸체부 사이에 위치된 수분을 배출하는 드레인밸브와, 상기 내부몸체부의 끝단과 연결되어 수분이 제거된 문서뭉치를 배출하는 슬러지배출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습식 문서 분쇄기의 상기 슬러지압축부재는, 원통형상의 외부몸체부와, 상기 외부몸체부 내에 위치되며, 그 끝단부가 일방향으로 갈수록 그 폭이 점진적으로 좁아지도록 테이퍼진 경사면을 가지며, 그 하방에는 복수개의 관통공이 마련되어 수분이 통과되는 내부몸체수분통과공이 마련되는 내부몸체부와, 상기 내부몸체부(82) 내에 위치되며, 투여되는 수분이 포함된 문서뭉치를 압축시키는 스크류와, 상기 스크류를 회전시키는 스크류모터와, 상기 경사수분통과공을 통과하여 상기 외부몸체부와 내부몸체부 사이에 위치된 수분을 배출하는 드레인밸브와, 상기 내부몸체부의 끝단과 연결되어 수분이 제거된 문서뭉치를 배출하는 슬러지배출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습식 문서 분쇄기의 상기 드레인밸브의 하방에는 물순환부재가 더 마련되되, 상기 물순환부재는, 용기 형상을 가져서 상기 드레인밸브를 통해서 유출되는 물을 수용하는 컨테이너부와, 상기 컨테이너부의 내부 상면에서 하방을 향해서 돌출되는 하향막음판과, 상기 컨테이너부의 내부 하면에서 상방을 향해서 돌출되는 상향막음판을 가지며, 상기 하향막음판과 상향막음판은 상호 번갈아서 위치되는 지그재그 형으로 배치되며, 상기 하향막음판과 상향막음판을 통과하면서 이물질이 제거된 물은 상기 펌프를 통해 상기 하우징 내로 재순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습식 문서 분쇄기에 의하면, 많은 양의 문서철을 물을 이용하여 용이하면서도 효과적으로 분쇄하여 분쇄된 후의 문서철 슬러지가 차지하는 공간을 적게 할 수 있으며, 분쇄되는 문서철의 내용을 전혀 식별할 수 없게 하여 기업체나 관공서의 기밀이 외부로 유출되는 염려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고안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나, 이는 예시적인 것이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보호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습식 문서 분쇄기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습식 문서 분쇄기의 메쉬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절개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습식 문서 분쇄기의 분쇄돌출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습식 문서 분쇄기의 제1절단날을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위)와 평면도(아래)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습식 문서 분쇄기의 제2절단날을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위)와 평면도(아래)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습식 문서 분쇄기의 제3절단날을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위)와 평면도(아래)
도 7은 도 1에 도시된 습식 문서 분쇄기의 파쇄절단날부재의 평면도
도 8은 도 1에 도시된 습식 문서 분쇄기의 파쇄절단날부재의 정면도
도 9는 도 1에 도시된 습식 문서 분쇄기의 슬러지압축부재의 내부몸체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습식 문서 분쇄기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8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습식 문서 분쇄기를 도시한 것으로,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습식 문서 분쇄기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낸 도면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습식 문서 분쇄기의 메쉬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절개사시도를,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습식 문서 분쇄기의 분쇄돌출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를,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습식 문서 분쇄기의 제1절단날을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위)와 평면도(아래)를,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습식 문서 분쇄기의 제2절단날을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위)와 평면도(아래)를,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습식 문서 분쇄기의 제3절단날을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위)와 평면도(아래)를, 도 7은 도 1에 도시된 습식 문서 분쇄기의 파쇄절단날부재의 평면도를, 도 8은 도 1에 도시된 습식 문서 분쇄기의 파쇄절단날부재의 정면도를, 도 9는 도 1에 도시된 습식 문서 분쇄기의 슬러지압축부재의 내부몸체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을 각각 나타낸 것이다.
상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습식 문서 분쇄기(100)는 하우징(10)과, 메쉬부재(20)와, 문서투입구(30)와, 파쇄절단날부재(50)와, 펌프(60)와, 슬러지유동관(70)과, 슬러지압축부재(80)와, 물순환부재(90)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하우징(10)은 물이 주입되는 물주입구(12)를 가지며, 원통형이나 사각통 등의 통 형상을 가진다.
상기 메쉬부재(20)는 상기 하우징(10)의 내부에 안치되며, 일면이 개방된 원통형의 형상을 가지며, 그 원주측면과 밑면에는 복수개의 관통공인 슬러지통과공(22)을 가진다.
또한, 상기 메쉬부재(20)의 밑면 중앙에는 결합관통공(25)이 형성되어 있는데, 이는 후술하는 모터(40)의 동력을 후술하는 파쇄절단날부재(50)에 전달하기 위한 회전축(미도시) 등이 통과되기 위한 구멍이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 상기 메쉬부재(20)의 원주 내면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되며, 그 원주 중심을 향해서 돌출되며, 그 끝단은 첨예하게 형성되는 분쇄돌출부(27)가 더 마련되어 있다. 따라서 회전되는 상기 파쇄절단날부재(50)가 제공하는 원심력에 의해서 분쇄를 요하는 서류철이 상기 분쇄돌출부(27)와 충돌되어 그 분쇄가 더욱 용이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문서투입구(30)는 상기 하우징(10)의 외면에 위치되며, 상기 하우징(10)의 외부에서 상기 메쉬부재(20)의 상부로 분쇄를 요하는 문서철이 투입되는 것이다. 상기 문서투입구(30)로 투입된 문서철은 상기 메쉬부재(20)의 내부공간에 수용되는 것이다.
상기 파쇄절단날부재(50)는 모터(40)에 의해 회전되며, 상기 메쉬부재(20) 내에 위치되어 상기 메쉬부재(20) 내에 위치되는 문서를 파쇄하는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파쇄절단날부재는 세 개의 독립된 절단체인 제1절단날(150)과, 제2절단날(160)과, 제3절단날(170)로 구비되되, 상기 제1절단날(150)과, 제2절단날(160)과, 제3절단날(170)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 원주방향으로 등간격으로 배치되어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절단날(150)이 수직방향으로 놓여 지면, 상기 제2절단날(160)은 상기 제1절단날(150)과 60 도 회전된 위치에서 상기 제1절단날(150)과 결합되며, 상기 제3절단날(170)은 상기 제2절단날(160)과는 60 도 회전된 위치(상기 제1절단날과는 120 도 회전된 위치)에서 상기 제2절단날(160)과 결합되는 것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상기 파쇄절단날부재(50)의 제1절단날(150)과 제2절단날(160)과 제3절단날(170)을 도 3 내지 도 7을 참조하면서 좀 더 자세히 설명한다.
상기 제1절단날(150)은, 수평방향과 평행한 제11수평부(151)와, 상기 제11수평부(151)로부터 하방으로 경사지게 연장되는 제12경사부(152)와, 상기 제12경사부(152)로부터 연장되며 수평방향과 평행한 제13수평부(153)와, 상기 제13수평부(153)로부터 하방으로 경사지게 연장되는 제14경사부(154)와, 상기 제14경사부(154)로부터 연장되며 수평방향과 평행한 제15수평부(155)를 가지며, 상기 제13수평부(153)에는 삼각형 형상의 제1결합관통공(157)을 가진다.
상기 제2절단날(160)은, 수평방향과 평행한 형상을 가지며, 그 중앙부위에는 삼각형 형상의 제2결합관통공(167)을 가진다.
상기 제3절단날(170)은, 수평방향과 평행한 제31수평부(171)와, 상기 제31수평부(171)로부터 하방으로 경사지게 연장되는 제32경사부(172)와, 상기 제32경사부(172)로부터 연장되며 수평방향과 평행한 제33수평부(173)와, 상기 제33수평부(173)로부터 하방으로 경사지게 연장되는 제34경사부(174)와, 상기 제34경사부(174)로부터 연장되며 수평방향과 평행한 제35수평부(175)를 가지며, 상기 제33수평부(173)에는 삼각형 형상의 제3결합관통공(177)을 가진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32경사부(172)와 제34경사부(174)의 경사는, 상기 제12경사부(152)와 제14경사부(154)보다 완만한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한다.
또한, 상기 제1절단날(150)과 제2절단날(160)과 제3절단날(170)의 결합은 다음과 같이 한다.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결합관통공(157)과 제2결합관통공(167)과 제3결합관통공(177)을 중첩시켜 하나의 삼각형 형상이 만들어지도록 결합시켜 상기 제1절단날(150)과 제2절단날(160)과 제3절단날(170)을 상하 방향으로 차례로 결합시킨다.
이렇게 하면, 상기 제1절단날(150)과 제2절단날(160)과 제3절단날(170)은 상호 원주방향으로 등간격으로 배치되게 된다.
그리고,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32경사부(172)와 제34경사부(174)의 경사는, 상기 제12경사부(152)와 제14경사부(154)보다 완만한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제3절단날(170)의 끝단은 상기 제1절단날(150)의 끝단보다 수평방향으로도 짧은 위치에 오게 되고, 그 상하방향으로도 상기 제1절단날(150)의 끝단보다 짧은 위치에 오게 된다.
상기 제1절단날(150)과 제2절단날(160)과 제3절단날(170)이 상호 결합된 모습은 전체적으로 비대칭의 형상을 가진다.
이렇게 결합시킴으로써, 상기 제1절단날(150)과 제2절단날(160)과 제3절단날(170)이 상기 모터(40)에 의해 회전될 때 좀 더 다양한 위치에서 수분이 포함되며 파쇄를 요하는 문서철을 파쇄시킬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결합관통공(25)을 통해서 회전축(미도시)이 관통되어 베어링(미도시) 등을 통해서 상기 모터(30)에 의해서 상기 파쇄절단날부재(50)가 회전하는 것의 구성은 당업자라면 누구나 알 수 있는 것이므로 자세한 설명과 도면의 도시는 생략한다.
상기 펌프(60)는 상기 물주입구(12)로 수분을 공급하는 것이다.
상기 슬러지유동관(70)은 상기 하우징(10)의 하단 측면에 위치되며, 상기 메쉬부재(20)의 슬러지통과공(22)을 통과한 파쇄된 문서뭉치인 슬러지가 유동되는 것이다.
상기 슬러지압축부재(80)는 상기 슬러지유동관(70)과 연결되어 공급되는 상기 파쇄된 문서뭉치를 압축하여 상기 문서뭉치에 포함된 수분은 드레인시키고, 수분이 제거된 문서뭉치를 배출되도록 하는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슬러지압축부재(80)는 외부몸체부(81)와, 내부몸체부(82)와, 스크류(83)와, 스크류모터(84)와, 드레인밸브(85)와, 슬러지배출구(86)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외부몸체부(81)는 통형상을 가진다.
상기 내부몸체부(82)는 상기 외부몸체부(81) 내에 위치되며, 그 끝단부가 일방향으로 갈수록 그 폭이 점진적으로 좁아지도록 테이퍼진 경사면(821)을 가지며, 상기 경사면에는 복수개의 관통공이 마련되어 수분이 통과되는 경사수분통과공(823)이 마련되어 있다.
또한 상기 내부몸체부(82)에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통된 구멍인 외측면관통공(825)을 가지는데, 이는 상기 슬러지유동관(70)을 통해서 유출되는 수분을 포함한 파쇄된 문서뭉치가 상기 내부몸체부(82) 내로 유동되기 위한 구멍이다.
상기 스크류(83)는 상기 내부몸체부(82) 내에 위치되며, 투여되는 수분이 포함된 문서뭉치를 압축시키는 것이다.
상기 스크류모터(84)는 상기 스크류(83)를 회전시키기 위한 것이다.
상기 드레인밸브(85)는 상기 경사수분통과공(823)을 통과하여 상기 외부몸체부(81)와 내부몸체부(82) 사이에 위치된 수분을 배출하는 것이다.
상기 슬러지배출구(86)는 상기 내부몸체부(82)의 끝단과 연결되어 수분이 제거된 문서뭉치를 배출하는 것이다.
상기 물순환부재(90)는 상기 드레인밸브(85)의 하방에 위치되되, 컨테이너부(92)와, 하향막음판(94)와, 상향막음판(96)을 포함한다.
상기 컨테이너부(92)는 용기 형상을 가져서 상기 드레인밸브(85)를 통해서 유출되는 물을 수용하는 것이다.
상기 하향막음판(94)은 상기 컨테이너부(92)의 내부 상면에서 하방을 향해서 돌출되는 것이다.
상기 상향막음판(96)은 상기 컨테이너부(92)의 내부 하면에서 상방을 향해서 돌출되는 것이다.
상기 하향막음판(94)과 상향막음판(96)은 상호 번갈아서 위치되는 지그재그 형으로 배치되며, 상기 하향막음판(94)과 상향막음판(96)을 통과하면서 이물질이 제거된 물은 상기 펌프(60)를 통해 상기 하우징(10) 내로 재순환되는 것이다.
즉, 분쇄를 요하는 서류철에 포함되었던 금속 성분 등의 이물질은 자중에 의해서 아래에 모이게 되므로 상기 상향막음판(96)에 의해서 가로막혀 그 상향막음판(96)을 넘지 못하고, 이에 반해서 물은 상기 상향막음판(96)을 넘어서 유동되므로 이물질이 자연히 제거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진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습식 문서 분쇄기(100)는 다음과 같이 사용된다.
먼저, 상기 하우징(10)에 상기 펌프(60)를 이용하여 상기 물주입구(12)를 통해서 물을 공급하면서 파쇄를 요하는 문서철을 상기 문서투입구(30)에 넣는다.
이에 따라서, 상기 파쇄를 요하는 문서철은 상기 메쉬부재(20)의 내부 공간에 위치된다.
이어서, 상기 모터(40)를 이용하여 상기 파쇄절단날부재(50)를 회전시키면 상기 파쇄를 요하는 문서철은 수분을 포함한 채로 분쇄되어 덩어리를 형상을 가지게 된다.
상기 수분을 포함한 파쇄된 문서철인 덩어리는 상기 슬러지통과공(22)을 통과하면서 상기 슬러지통과공(22)의 지름보다 작은 지름을 가지게 되며, 이렇게 상기 슬러지통과공(22)을 통과한 수분을 포함한 덩어리는 상기 슬러지유동관(70)을 거쳐서 상기 슬러지압축부재(80)의 내부몸체부(82)로 유입된다.
이어서, 상기 내부몸체부(82)로 유입된 수분을 포함한 덩어리(파쇄된 문서철)는 상기 스크류(83)에 의해서 압축되면서 이동한다.
이어서, 상기 스크류(83)에 의한 압축력으로 상기 덩어리에 포함된 수분은 상기 내부몸체부(82)의 경사면(821)에 마련된 경사수분통과공(823)을 통과하면서 상기 외부몸체부(81)와 내부몸체부(82) 사이에 위치되면서 상기 드레인밸브(85)를 통해서 외부로 유출된다.
그리고, 수분이 제거된 상기 덩어리(파쇄된 문서철)은 상기 슬러지배출구(86)를 통해서 배출되는 것이다.
한편, 위에서 드레인밸브(85)를 통해서 유출된 물은 상기 컨테이너부(92)에 수용되면서 계속 그 컨테이너부(92) 내에서 유동된다.
상기 컨테이너부(92) 내에서 유동되는 물은 상기 하향막음판(94)과 상향막음판(96)을 통과하면서 이물질이 제거된 물은 상기 펌프(60)를 통해 상기 하우징(10) 내로 재순환되어 계속 사용된다.
이렇게, 투입되는 파쇄를 요하는 문서철은 물이 제공되면서 회전되는 상기 파쇄절단날부재(50)에 의해서 파쇄되고 일정한 직경 이하의 크기로 덩어리가 되고, 이어서 그 덩어리도 압축되어 수분이 제거됨으로써, 파쇄되고 난 뒤의 문서철은 그 부피도 현저하게 작아지고 그 내용도 도저히 알아볼 수 없게 되는 것이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상기 내부몸체부(82)의 경사면(821)에 경사수분통과공(821)이 마련된 것으로 설명되었으나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물론 아니다.
상기 내부몸체부(82)의 경사면(821)이 아닌 부위, 즉 원통 형상으로 된 부위의 하방에 복수개의 관통된 구멍인 내부몸체수분통과공(827)을 마련하여도 동일한 효과를 얻는다.
10. 하우징 12. 물주입구
20. 메쉬부재 22. 슬러지통과공
27. 분쇄돌출부
30. 문서투입구 40. 모터
50. 파쇄절단날부재 60. 펌프
70. 슬러지유동관 80. 슬러지압축부재
81. 외부몸체부 82. 내부몸체부
821. 경사면 823. 경사수분통과공
83. 스크류 84. 스크류모터
85. 드레인밸브 86. 슬러지배출구
90. 물순환부재 92. 컨테이너부
94. 하향막음판 96. 상향막음판
150. 제1절단날
151. 제11수평부 152. 제12경사부
153. 제13수평부 154. 제14경사부
155. 제15수평부 157. 제1결합관통공
160. 제2절단날
167. 제2결합관통공
170. 제3절단날
171. 제31수평부 152. 제32경사부
173. 제33수평부 154. 제34경사부
175. 제35수평부 177. 제3결합관통공

Claims (8)

  1. 물이 주입되는 물주입구(12)를 가지는 하우징(10);
    상기 하우징(10)의 내부에 안치되며, 일면이 개방된 원통형의 형상을 가지며, 그 원주측면과 밑면에는 복수개의 관통공인 슬러지통과공(22)을 가지는 메쉬부재(20);
    상기 하우징(10)의 외면에 위치되며, 상기 하우징(10)의 외부에서 상기 메쉬부재(20)의 상부로 분쇄를 요하는 문서철이 투입되어 상기 메쉬부재(20) 내에 수용되는 문서투입구(30);
    모터(40)에 의해 회전되며, 상기 메쉬부재(20) 내에 위치되어 상기 메쉬부재(20) 내에 위치되는 문서를 파쇄하는 파쇄절단날부재;
    상기 물주입구(12)로 수분을 공급하는 펌프(60);
    상기 하우징(10)의 하단 측면에 위치되며 상기 메쉬부재(20)의 슬러지통과공(22)을 통과한 파쇄된 문서뭉치가 유동되는 슬러지유동관(70);
    상기 슬러지유동관(70)과 연결되어 공급되는 상기 파쇄된 문서뭉치를 압축하여 상기 문서뭉치에 포함된 수분은 드레인밸브(85)를 통해서 드레인시키고, 수분이 제거된 문서뭉치를 배출되도록 하는 슬러지압축부재(8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문서 분쇄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쉬부재(20)의 원주 내면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되며, 그 원주 중심을 향해서 돌출되는 분쇄돌출부(27)가 더 마련되어, 회전되는 상기 파쇄절단날부재(50)가 제공하는 원심력에 의해서 분쇄를 요하는 서류철이 충돌되어 그 분쇄가 더욱 용이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문서 분쇄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파쇄절단날부재(50)는,
    세 개의 독립된 절단체인 제1절단날(150)과, 제2절단날(160)과, 제3절단날(170)로 구비되되, 상기 제1절단날(150)과, 제2절단날(160)과, 제3절단날(170)은 각각 원주방향으로 등간격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문서 분쇄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절단날(150)은,
    수평방향과 평행한 제11수평부(151)와, 상기 제11수평부(151)로부터 하방으로 경사지게 연장되는 제12경사부(152)와, 상기 제12경사부(152)로부터 연장되며 수평방향과 평행한 제13수평부(153)와, 상기 제13수평부(153)로부터 하방으로 경사지게 연장되는 제14경사부(154)와, 상기 제14경사부(154)로부터 연장되며 수평방향과 평행한 제15수평부(155)를 가지며, 상기 제13수평부(153)에는 삼각형 형상의 제1결합관통공(157)을 가지며,
    상기 제2절단날(160)은, 수평방향과 평행한 형상을 가지며, 그 중앙부위에는 삼각형 형상의 제2결합관통공(167)을 가지며,
    상기 제3절단날(170)은,
    수평방향과 평행한 제31수평부(171)와, 상기 제31수평부(171)로부터 하방으로 경사지게 연장되는 제32경사부(172)와, 상기 제32경사부(172)로부터 연장되며 수평방향과 평행한 제33수평부(173)와, 상기 제33수평부(173)로부터 하방으로 경사지게 연장되는 제34경사부(174)와, 상기 제34경사부(174)로부터 연장되며 수평방향과 평행한 제35수평부(175)를 가지며, 상기 제33수평부(173)에는 삼각형 형상의 제3결합관통공(177)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문서 분쇄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32경사부(172)와 제34경사부(174)의 경사는, 상기 제12경사부(152)와 제14경사부(154)보다 완만한 각도로 경사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문서 분쇄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슬러지압축부재(80)는,
    원통형상의 외부몸체부(81)와,
    상기 외부몸체부(81) 내에 위치되며, 그 끝단부가 일방향으로 갈수록 그 폭이 점진적으로 좁아지도록 테이퍼진 경사면(821)을 가지며, 상기 경사면에는 복수개의 관통공이 마련되어 수분이 통과되는 경사수분통과공(823)이 마련되는 내부몸체부(82)와,
    상기 내부몸체부(82) 내에 위치되며, 투여되는 수분이 포함된 문서뭉치를 압축시키는 스크류(83)와,
    상기 스크류(83)를 회전시키는 스크류모터(84)와,
    상기 경사수분통과공(823)을 통과하여 상기 외부몸체부(81)와 내부몸체부(82) 사이에 위치된 수분을 배출하는 드레인밸브(85)와,
    상기 내부몸체부(82)의 끝단과 연결되어 수분이 제거된 문서뭉치를 배출하는 슬러지배출구(8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문서 분쇄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슬러지압축부재(80)는,
    원통형상의 외부몸체부(81)와,
    상기 외부몸체부(81) 내에 위치되며, 그 끝단부가 일방향으로 갈수록 그 폭이 점진적으로 좁아지도록 테이퍼진 경사면(821)을 가지는 내부몸체부(82)와,
    상기 내부몸체부(82) 내에 위치되며, 투여되는 수분이 포함된 문서뭉치를 압축시키는 스크류(83)와,
    상기 스크류(83)를 회전시키는 스크류모터(84)와,
    상기 경사수분통과공(823)을 통과하여 상기 외부몸체부(81)와 내부몸체부(82) 사이에 위치된 수분을 배출하는 드레인밸브(85)와,
    상기 내부몸체부(82)의 끝단과 연결되어 수분이 제거된 문서뭉치를 배출하는 슬러지배출구(86)를 포함하되,
    상기 내부몸체부(82)의 하방에는 복수개의 관통공인 내부몸체수분통과공(827)이 마련되어 상기 내부몸체수분통과공(827)으로 수분이 통과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문서 분쇄기.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드레인밸브(85)의 하방에는 물순환부재(90)가 더 마련되되,
    상기 물순환부재(90)는,
    일면이 개방된 육면체로 이루어지는 용기 형상을 가져서 상기 드레인밸브(85)를 통해서 유출되는 물을 수용하는 컨테이너부(92)와,
    상기 컨테이너부(92)의 내부 상면에서 하방을 향해서 돌출되는 하향막음판(94)과,
    상기 컨테이너부(92)의 내부 하면에서 상방을 향해서 돌출되는 상향막음판(96)을 가지며,
    상기 하향막음판(94)과 상향막음판(96)은 상호 번갈아서 위치되는 지그재그 형으로 배치되며,
    상기 하향막음판(94)과 상향막음판(96)을 통과하면서 이물질이 제거된 물은 상기 펌프(60)를 통해 상기 하우징(10) 내로 재순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문서 분쇄기.

KR2020100009355U 2010-09-06 2010-09-06 습식 문서 분쇄기 KR20045550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9355U KR200455501Y1 (ko) 2010-09-06 2010-09-06 습식 문서 분쇄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9355U KR200455501Y1 (ko) 2010-09-06 2010-09-06 습식 문서 분쇄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55501Y1 true KR200455501Y1 (ko) 2011-09-07

Family

ID=492998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09355U KR200455501Y1 (ko) 2010-09-06 2010-09-06 습식 문서 분쇄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5501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973896A (zh) * 2021-03-29 2021-06-18 合肥祯祥污水处理有限公司 一种剩余污泥破壁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119307A (en) 1977-03-25 1978-10-18 Nagano Shikou Kk Waste paper treating apparatus
KR200432685Y1 (ko) 2006-07-11 2006-12-07 최돈신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119307A (en) 1977-03-25 1978-10-18 Nagano Shikou Kk Waste paper treating apparatus
KR200432685Y1 (ko) 2006-07-11 2006-12-07 최돈신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973896A (zh) * 2021-03-29 2021-06-18 合肥祯祥污水处理有限公司 一种剩余污泥破壁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081945B2 (ja) 一軸破砕機
CN207537807U (zh) 一种碎纸机
CN210729756U (zh) 一种会计用碎纸机
KR200455501Y1 (ko) 습식 문서 분쇄기
DE102012010064A1 (de) Zerkleinerungsmühle
US8882008B1 (en) Dual shredding system for a mobile document shredding vehicle and method of use
KR20120087417A (ko) 목재 파쇄기
CN206392193U (zh) 一种便于使用的财会用碎纸桶
CN204799349U (zh) 一种文件销毁机
KR20130069911A (ko) 폐음식물용 파쇄기
KR20100004535U (ko) 문서 등 폐기물 파쇄 장치
KR101167482B1 (ko) 음식물쓰레기 분쇄기
KR20050101127A (ko) 다기능 녹즙기
CN201525983U (zh) 一种纸浆挤干装置
KR101226064B1 (ko) 거치형 문서 분쇄기
CN210230100U (zh) 一种会计用废纸粉碎装置
KR20130106040A (ko) 분쇄장치
CN218486178U (zh) 一种新型的厨余垃圾处理一体机
CN207546725U (zh) 一种药物多级粉碎装置
CN101259445A (zh) 湿式精碎机
CN208618175U (zh) 一种碎纸机
KR102243498B1 (ko) 3축 파쇄기
CN220215063U (zh) 一种财务金融会计用账单粉碎设备
KR101432650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용 분쇄장치
CN216778940U (zh) 粉碎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100906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UA0301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Document of Request for Examination(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01108

Patent event code: UA03012R01D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00906

Patent event code: UA03011R01I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U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20110105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10607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10901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20110901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5

Year of fee payment: 5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615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8

Year of fee payment: 6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628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01

Year of fee payment: 7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90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31

Year of fee payment: 8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831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831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UC1801 Expiration of term

Termination category: Expiration of duration

Termination date: 202103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