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39310Y1 - 주차장용 프레임 컨베이어 - Google Patents

주차장용 프레임 컨베이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39310Y1
KR200439310Y1 KR2020070006912U KR20070006912U KR200439310Y1 KR 200439310 Y1 KR200439310 Y1 KR 200439310Y1 KR 2020070006912 U KR2020070006912 U KR 2020070006912U KR 20070006912 U KR20070006912 U KR 20070006912U KR 200439310 Y1 KR200439310 Y1 KR 20043931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chain
idle
conveyor
parking lo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0691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승구
Original Assignee
강승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승구 filed Critical 강승구
Priority to KR202007000691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3931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3931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39310Y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6/00Buildings for parking cars, rolling-stock, aircraft, vessels or like vehicles, e.g. garages
    • E04H6/08Garages for many vehicles
    • E04H6/12Garages for many vehicles with mechanical means for shifting or lifting vehicles
    • E04H6/18Garages for many vehicles with mechanical means for shifting or lifting vehicles with means for transport in vertical direction only or independently in vertical and horizontal directions
    • E04H6/20Garages for many vehicles with mechanical means for shifting or lifting vehicles with means for transport in vertical direction only or independently in vertical and horizontal directions characterised by use of conveyor chains or rotatable rollers for horizontal transport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6/00Buildings for parking cars, rolling-stock, aircraft, vessels or like vehicles, e.g. garages
    • E04H6/08Garages for many vehicles
    • E04H6/12Garages for many vehicles with mechanical means for shifting or lifting vehicles
    • E04H6/30Garages for many vehicles with mechanical means for shifting or lifting vehicles with means for transport in horizontal direction only
    • E04H6/32Garages for many vehicles with mechanical means for shifting or lifting vehicles with means for transport in horizontal direction only characterised by use of conveyor chains or rotatable roll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ain Convey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폭방향으로 요입홈이 형성되도록 절곡된 다수의 프레임 패널들에 의해 프레임을 구성하고, 상기 체인의 순환이송을 아이들링 지지하기 위한 수단으로 아이들 롤러를 적용함으로써, 구조를 단순화시킬 수 있고, 조립공수 및 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의 프레임 컨베이어는, 프레임(100)과; 적어도 한 쌍의 체인(130)과; 적어도 한 쌍의 메인 스프로켓(140)과; 상기 각 쌍의 체인들을 연결하는 다수의 지지봉(150)과; 그리고, 상기 체인이 상기 프레임에 닿지 않도록 상기 체인의 순환이동을 아이들링 지지하는 다수의 아이들 수단(16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프레임은, 양단부에 각각 위로 굴곡된 양쪽 플랜지부(111)와 상기 양쪽 플랜지부 사이의 중앙부에 폭방향을 따라 위로 형성된 요입홈(113)을 각각 가지도록 절곡된 다수의 프레임 패널(110)들이 폭방향으로 나란하게 연결되고, 상기 프레임들 패널 상부가 평판패널(120)로 덮여, 이루어진다. 상기 아이들 수단(160)은, 상기 프레임(100)의 하부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브래킷(161)과, 상기 브래킷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아이들 롤러(167)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주차장, 컨베이어, 스프로켓, 체인, 아이들링, 롤러, 프레임, 패널

Description

주차장용 프레임 컨베이어{FRAME CONVEYER FOR PARKING LOT}
도 1은 종래 주차장용 프레임 컨베이어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2는 종래 주차장용 프레임 컨베이어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주차장용 프레임 컨베이어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주차장용 프레임 컨베이어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주차장용 프레임 컨베이어을 구성하는 프레임 패널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주차장용 프레임 컨베이어를 구성하는 아이들 수단의 장착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평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프레임, 110 : 프레임 패널,
111 : 플랜지부, 113 : 요입홈,
120 : 평판패널, 130 : 체인,
140 : 스프로켓, 150 : 지지봉,
160 : 아이들 수단, 161 : 브래킷,
167 : 아이들 롤러.
본 고안은 주차장용 프레임 컨베이어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양쪽 체인을 순환이송하기 위한 스프로켓들과, 상기 양쪽 체인에 걸쳐 연결되는 지지봉들을 지지하기 위한 프레임을, 폭방향으로 요입홈이 형성되도록 절곡된 다수의 프레임 패널들을 폭방향으로 나란하게 연결하여 구성하고, 상기 체인의 순환이송을 아이들링 지지하기 위한 수단으로 아이들 롤러를 적용함으로써, 구조를 단순화시킬 수 있고, 조립공수 및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주차장용 프레임 컨베이어에 관한 것이다.
생활필수품이라 할 수 있을 정도로 차량의 보급이 광범위하게 이루어지고 있고, 도시 내로 진입하는 차량의 수가 날로 증가하고 있음에 따라, 주차장의 수가 절대적으로 부족해지고, 주차공간도 점점 협소해지고 있으므로, 협소한 공간을 이용하여 여러 대의 차량을 효율적으로 주차시키기 위한 주차설비가 다양한 형태로 제안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주차설비의 방식으로 순환식과 왕복식으로 구분되고, 순환식은 수직순환방식과 다층순환방식으로 구분되며, 왕복식에는 이단주차방식과, 삼단주차 및 평면왕복방식, 엘리베이터방식, 엘리베이터 슬라이딩방식 등으로 구분될 수 있 다. 이러한 다양한 주차설비는 대부분 대형으로 구성되어 차량이 탑재된 파레트가 수직방향으로 순환되거나, 파레트 양측이 행거에 의해서 지지되어 다단의 현가 장치에 의해서 수직 또는 수평방향으로 이송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져, 주로 대형 빌딩이 밀집한 도심이나 유동 인구가 많은 백화점 주변등에 설치된다.
이러한 주차설비에 있어서, 차량을 어느 한 장소에서 다른 장소로 수평이동시키기 위한 수단으로, 예컨대 프레임 컨베이어가 적용될 수 있는데, 이러한 프레임 컨베이어의 예가 도 1 및 도 2에 도시되어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 컨베이어는, I빔이나 H빔과 같은 형강 빔(11)들을 폭방향으로 나란하게 연결하여 이루어지는 프레임(10)과; 상기 프레임(10)의 길이방향으로 순환이송하도록 설치되는 적어도 한 쌍의 체인(20)과; 상기 체인(20)을 이송시키도록 상기 프레임(10)에 지지되는 적어도 한 쌍의 메인 스프로켓(30)과; 상기 각 쌍의 체인(20)들에 걸쳐 나란하게 연결되어 차량을 지지하는 다수의 지지봉(40)과; 그리고, 상기 체인(20)이 상기 프레임(10)에 닿지 않도록 상기 체인(20)의 순환이동을 아이들링 지지하는 다수의 아이들 스프로켓(5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따라서, 각 쌍의 체인(20)을 연결하는 지지봉(40)들 위에 차량이 놓이거나 차량 바퀴가 놓인 상태에서, 모터 등의 구동수단으로 메인 스프로켓(30)을 회전시키면, 체인(20)들의 순환이송에 의하여 지지봉(40)들이 순환이송함에 따라 차량이 다른 장소로 이송될 수 있다.
그런데, 상기한 바와 같은 프레임 컨베이어에 있어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 이 있다.
즉, 프레임(10)을 구성하기 위하여, I빔이나 H빔과 같은 형강 빔(11)을 적용하게 되는데, 이 형강 빔(11)은 두께가 두껍고 무겁기 때문에, 형강 빔(11)들의 조립이 힘들 뿐만 아니라, 비용도 많이 든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인(20)을 아이들링 지지하기 위하여 아이들 스프로켓(50)이 상기 프레임(10)의 길이방향 하부 양쪽에 설치되는데, 두 아이들 스프로켓(50, 50) 사이의 거리가 두 메인 스프로켓(30, 30) 사이의 거리보다 작아야 한다. 따라서, 메인 스프로켓(30)의 스프로켓의 경우 프레임(10)의 길이방향의 양쪽에서 회전지지수단 등을 통해 비교적 간단하게 설치할 수 있으나, 아이들 스프로켓(50)을 설치할 경우에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즉, 상기 아이들 스프로켓(50)의 크기가 메인 스프로켓(30)의 크기와 동일하거나 유사할 정도로 커서, 이를 설치하기 위해서는 상기 프레임(10)에서 체인(20)과 간섭되는 부분과 아이들 스프로켓(50)이 설치될 부분을 절단하고, 브래킷과 같은 지지수단을 용접하여 상기 프레임(10)에 아이들 스프로켓(50)을 설치하여야 하기 때문에, 프레임 컨베이어의 조립이 힘들 뿐만 아니라 조립공수가 늘어나고, 비용이 증가하며, 또한 절단작업에 의해 프레임의 강도가 저하하는 등 많은 문제점을 야기하게 된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 문제점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양쪽 체인을 순환이송하기 위한 스프로켓들과, 상기 양쪽 체인에 걸쳐 연결되는 지지봉들을 지 지하기 위한 프레임을, 폭방향으로 요입홈이 형성되도록 절곡된 다수의 프레임 패널들을 폭방향으로 나란하게 연결하여 구성하고, 상기 체인의 순환이송을 아이들링 지지하기 위한 수단으로 아이들 롤러를 적용함으로써, 구조를 단순화시킬 수 있고, 조립공수 및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주차장용 프레임 컨베이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주차장용 프레임 컨베이어는, 수평으로 배치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길이방향으로 순환이송하도록 설치되는 적어도 한 쌍의 체인과; 상기 체인을 이송시키도록 상기 프레임에 지지되는 적어도 한 쌍의 메인 스프로켓과; 상기 각 쌍의 체인들에 걸쳐 나란하게 연결되어 차량을 지지하는 다수의 지지봉과; 그리고, 상기 체인이 상기 프레임에 닿지 않도록 상기 체인의 순환이동을 아이들링 지지하는 다수의 아이들 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주차장용 프레임 컨베이어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양단부에 각각 위로 굴곡된 양쪽 플랜지부와 상기 양쪽 플랜지부 사이의 중앙부에 폭방향을 따라 위로 형성된 요입홈을 각각 가지도록 절곡된 다수의 프레임 패널들이 폭방향으로 나란하게 연결되고, 상기 프레임들 패널 상부가 평판패널로 덮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아이들 수단은, 상기 프레임의 하부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브래킷과, 상기 브래킷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아이들 롤러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본 고안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고안자가 그 자신의 고안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도 3 및 도 4에는 본 고안에 따른 주차장용 프레임 컨베이어가 도시되어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주차장용 프레임 컨베이어는, 프레임(100)과, 적어도 한 쌍의 체인(130)과, 적어도 한 쌍의 스프로켓(140)과, 다수의 지지봉(150)과, 다수의 아이들 수단(16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프레임(100)은 수평으로 배치되는 것으로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프레임 패널(110)과, 평판패널(120)을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프레임 패널(110)은 양쪽 플랜지부(111)와 요입홈(113)을 구비하도록 절곡되어 이루어지는데, 상기 플랜지부(111)는 프레임 패널(110)의 길이방향(즉, 차량 이송방향)의 양단부에 각각 위로 굴곡되어 형성되고, 상기 요입홈(113)은 상기 양쪽 플랜지부(111) 사이의 중앙부에 폭방향을 따라 위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플랜지부(111)의 상단에는 안쪽으로 굴곡된 내향플랜지(112)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요입홈(113)에 의하여 형성되는 평면과 상기 내향플랜지(112)들이 동일한 평면을 이루게 된다. 이와 같은 프레임 패널(110)들중 서로 대응하는 플랜지 부(111)들을 맞대어 폭방향으로 나란하게 연결하고, 이들의 상면을 평판패널(120)로 덮음으로써, 상면에 수평면을 가진 프레임(100)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프레임 패널(110)들을 연결하는 구조는 용접구조나 볼트 및 너트와 같은 체결수단에 의한 체결구조 등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체인(130)은 상기 프레임(100)의 길이방향(차량 주행방향)으로 순환이송하도록 설치되는데, 차량 이송구조에 따라 적어도 한 쌍이 설치(도 3에는 두 쌍이 설치된 것이 예시됨)되며, 이 각 쌍의 체인(130)은 중공파이프와 같은 다수의 지지봉(150)으로 연결된다. 상기 체인(130)과 지지봉(150)의 연결을 위하여,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컨대 브래킷(151)과 체결수단(152)이 적용될 수 있다. 차량 전체를 상기 지지봉(150)들 위에 올려 이송시킬 수 있고, 차량의 한 쪽 바퀴들을 상기 지지봉(150)들 위에 올려 이송시킬 수 있는데, 후자의 경우에는 양쪽 바퀴들을 올려 놓기 위하여 두 쌍의 체인(130)이 설치되어야 한다.
또한, 상기 체인(130)을 이송시키도록, 상기 프레임(100)에는 상기 체인(130)의 설치개수에 대응하여 적어도 한 쌍의 스프로켓(140)이 설치되며, 그 중 하나는 예컨대, 모터와 같은 구동수단과 연결되어 그 스프로켓(140)의 회전에 따라 체인(130)이 순환이송하게 된다.
상기 스프로켓(140)은 상기 프레임(100)의 상부 양쪽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체인(130)의 순환시 체인(130)이 상기 프레임(100)에 닿아 간섭되지 않게 상기 체인(130)의 순환이동을 아이들링 지지하기 위하여, 각 체인(130)에 대하여 상기 프레임(100)의 하부 양쪽에 아이들 수단(160)이 설치된다.
상기 아이들 수단(160)은,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프레임(100)의 하부, 구체적으로 프레임 패널(110)의 하부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브래킷(161)과, 상기 브래킷(161)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아이들 롤러(167)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브래킷(161)은 상기 프레임 패널(110)을 관통하여 나란하게 설치되어 체결수단(163)으로 고정되는 한 쌍의 지지대(162)를 구비하는데, 이 지지대(162)들의 간격은 이들을 서로 연결하는 체결수단(164) 둘레로 삽입되는 스페이서(165)에 의하여 유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아이들 롤러(167)는 상기 지지대(162)들에 걸쳐 설치되는 지지축(166) 둘레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공회전할 수 있으며, 그 하단이 체인(130)을 순환이동가능하게 아이들링 지지하게 된다.
다음에,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주차장용 프레임 컨베이어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차량이 진입하여 지지봉(150) 위로 재치되면, 스프로켓(140)이 회전구동하게 된다. 스프로켓(140)의 회전구동에 따라 체인(130)이 순환이송하고, 이에 따라 한 쌍의 체인(130)들을 연결하고 있는 지지봉(150)들도 순환이송하게 되므로, 상기 지지봉(150)들 위에 재치되는 차량이 이송될 수 있다. 이 차량의 이송과정에서, 차량의 자중에 의하여 지지봉(150)들이 평판패널(120)에 닿게 되지만, 지지봉(150)들과 평판패널(120)이 미끄럼 접촉하게 됨으로써, 차량의 이송에 지장을 초래하지 않는다.
한편, 상기 체인(130)의 순환이송과정에서, 체인(130)은 프레임(100)의 하부 에 설치된 아이들 롤러(167)들에 의하여 프레임(100)에 접촉하지 않도록 지지되면서, 그 순환이송이 안내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주차장용 프레임 컨베이어에 의하면, 프레임(100)이 플랜지부(111)들과 요입홈(113)을 구비하는 프레임 패널(110)들과, 상기 프레임 패널(110)들 위를 덮는 평판패널(120)에 의하여 구성되므로, 얇고 가벼운 철판으로도 프레임(100)을 구성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프레임 패널(110)들은 간단하게 연결할 수 있으므로, 종래 I빔이나 H빔과 같은 형강 빔을 적용하여 프레임(100)을 만드는 것에 비하여 프레임(100)의 조립에 소요되는 재료비, 조립공수 등을 획기적으로 절감할 수 있음에 따라, 프레임 컨베이어의 생산성 향상 및 제조원가 절감을 도모할 수 있고, 또한 프레임 컨베이어의 경량화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프레임 패널(110)에 별다른 가공을 하지 않고 아이들 수단(160)을 구성하는 브래킷(161)을 설치하기 위한 구멍만 형성하여, 아이들 수단(160)을 조립할 수 있으므로, 프레임 컨베이어의 생산성을 더욱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종래 아이들 스프로켓에 비하여 저렴한 아이들 롤러(167)를 구비한 아이들 수단(160)을 적용함으로써, 프레임 컨베이어의 제조원가를 더욱 낮출 수 있다.

Claims (2)

  1. 수평으로 배치되는 프레임(100)과; 상기 프레임의 길이방향으로 순환이송하도록 설치되는 적어도 한 쌍의 체인(130)과; 상기 체인을 이송시키도록 상기 프레임에 지지되는 적어도 한 쌍의 스프로켓(140)과; 상기 각 쌍의 체인들에 걸쳐 나란하게 연결되어 차량을 지지하는 다수의 지지봉(150)과; 그리고, 상기 체인이 상기 프레임에 닿지 않도록 상기 체인의 순환이동을 아이들링 지지하는 다수의 아이들 수단(16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주차장용 프레임 컨베이어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양단부에 각각 위로 굴곡된 양쪽 플랜지부(111)와 상기 양쪽 플랜지부 사이의 중앙부에 폭방향을 따라 위로 형성된 요입홈(113)을 각각 가지도록 절곡된 다수의 프레임 패널(110)들이 폭방향으로 나란하게 연결되고, 상기 프레임들 패널 상부가 평판패널(120)로 덮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장용 프레임 컨베이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이들 수단(160)은, 상기 프레임(100)의 하부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브래킷(161)과, 상기 브래킷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아이들 롤러(167)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장용 프레임 컨베이어.
KR2020070006912U 2007-04-26 2007-04-26 주차장용 프레임 컨베이어 Expired - Fee Related KR20043931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6912U KR200439310Y1 (ko) 2007-04-26 2007-04-26 주차장용 프레임 컨베이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6912U KR200439310Y1 (ko) 2007-04-26 2007-04-26 주차장용 프레임 컨베이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39310Y1 true KR200439310Y1 (ko) 2008-04-08

Family

ID=436579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06912U Expired - Fee Related KR200439310Y1 (ko) 2007-04-26 2007-04-26 주차장용 프레임 컨베이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39310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457506A (zh) * 2018-05-15 2018-08-28 广东怡丰智能车库有限公司 一种立体车库用预制舱及其骨架组件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457506A (zh) * 2018-05-15 2018-08-28 广东怡丰智能车库有限公司 一种立体车库用预制舱及其骨架组件
CN108457506B (zh) * 2018-05-15 2023-12-29 广东怡丰智能车库有限公司 一种立体车库用预制舱及其骨架组件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56681B2 (en) Stacker crane and weight reduction method for mast of the stacker crane
CN101337565B (zh) 带有升降和旋转功能的输送台车以及使用其的汽车组装线
CN102992030B (zh) 集装箱板材自动上料系统
KR101290361B1 (ko) 냉각상의 제품 이송장치
KR101441332B1 (ko) 크린룸 악세스 플로어 프레임 설치용 자재 공급방법 및 장치
KR200439310Y1 (ko) 주차장용 프레임 컨베이어
CN107814138A (zh) 一种物品运输装置
KR101637169B1 (ko) 분리형 레일을 구비한 운행 장치 셋
CN112360214B (zh) 用于智能平面车库的链式输送系统
JP2650810B2 (ja) スラットコンベヤ用スラットバー
CN220765571U (zh) 四向车库内层间链式输送机
JP2009286545A (ja) スラットコンベヤ
CN217262934U (zh) 一种高效物料输送设备
JP2003327381A (ja) 乗客コンベア
CN221115704U (zh) 一种铝型材生产用传输装置
CN218908754U (zh) 一种楼层板生产线
CN112252789B (zh) 用于智能车库的链式输送机
CN119283953B (zh) 一种电流互感器装配用输送装置
JPH07238710A (ja) スラットコンベア
CN109878991B (zh) 一种同步带驱动式升降搬运装置
CN110259220A (zh) 一种升降横移载车板
JP4322374B2 (ja) マンコンベアのガイドレール支持装置
JPH0192109A (ja) 入出庫用走行クレーン
JP7102887B2 (ja) スタッカクレーン
KR100455406B1 (ko) 차량주차설비의팰릿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70426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80222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80326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20080326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11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105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24

Year of fee payment: 6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424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7

Year of fee payment: 7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107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date: 20170209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