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33761Y1 - Self-Clinching Type Fasteners - Google Patents
Self-Clinching Type Fasteners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33761Y1 KR200433761Y1 KR2020060026025U KR20060026025U KR200433761Y1 KR 200433761 Y1 KR200433761 Y1 KR 200433761Y1 KR 2020060026025 U KR2020060026025 U KR 2020060026025U KR 20060026025 U KR20060026025 U KR 20060026025U KR 200433761 Y1 KR200433761 Y1 KR 200433761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elf
- bore
- head
- clinching
- barrel
- Prior art date
Links
- 229910000975 Carbon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
- 239000010962 carbon stee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
- 238000010273 cold forg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
- 238000004140 clean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6
- 238000001338 self-assembly Methods 0.000 claims 1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8
- 238000005520 cutt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7
- 238000010079 rubber tapp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3
- 239000010960 cold rolled ste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0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0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0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30000015572 biosynthet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7
- 229910001335 Galvanized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6
- 239000008397 galvanized ste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XEEYBQQBJWHFJM-UHFFFAOYSA-N iron Substances [Fe] XEEYBQQBJWHFJ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6
- 229910000831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7747 pla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9000010959 ste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9000011248 coat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0576 coat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5056 comp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HCHKCACWOHOZIP-UHFFFAOYSA-N Zinc Chemical compound [Zn] HCHKCACWOHOZI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0000015556 catabol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3912 environmental poll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242 for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742 ir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3754 machi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080 punch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725 zinc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701 zin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10000915 Free machining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0655 Killed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1209 Low-carbon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29910019142 PO4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ZCDOYSPFYFSLEW-UHFFFAOYSA-N chromate(2-) Chemical compound [O-][Cr]([O-])(=O)=O ZCDOYSPFYFSLEW-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804 chrom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097 cold rol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797 corro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260 corro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547 de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7525 heat dissip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1385 heavy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689 insp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45 lead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856 pack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NBIIXXVUZAFLBC-UHFFFAOYSA-K phosphate Chemical compound [O-]P([O-])([O-])=O NBIIXXVUZAFLBC-UHFFFAOYSA-K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452 phosph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704 phys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750 progress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904 shorte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546 transfer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721 upset for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K—MAKING FORGED OR PRESSED METAL PRODUCTS, e.g. HORSE-SHOES, RIVETS, BOLTS OR WHEELS
- B21K1/00—Making machine elements
- B21K1/64—Making machine elements nuts
- B21K1/68—Making machine elements nuts from round or profiled bar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37/00—Nuts or like thread-engaging members
- F16B37/04—Devices for fastening nuts to surfaces, e.g. sheets, plates
- F16B37/045—Devices for fastening nuts to surfaces, e.g. sheets, plates specially adapted for fastening in channels, e.g. sliding bolts, channel nuts
- F16B37/047—Barrel nu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rg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셀프-클린칭 타입 파스너(self-clinching type fastener)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냉간 압조용 탄소강 선재(carbon steel wire rods for cold heading and cold forging)를 이용하되, 배럴의 외주연 타단부에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되 두께가 줄어든 원통형의 돌기부를 형성함으로써 인쇄회로기판 등과 같은 전기전자부품을 보다 안정적이면서도 균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나사부 형성 셀프-클린칭 타입 파스너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셀프-클린칭 타입 파스너는, 양단부가 각각 바닥면과 헤드면의 외부로 개방된 보어(bore)를 갖는 배럴(barrel)과; 상기한 배럴의 외주연 일단부에 형성되는 헤드(head)와; 상기한 바닥면이 형성된 상기한 배럴의 외주연 타단부에 두께가 감소되어 형성되는 돌기부로 구성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elf-clinching type fastener, and more specifically, using carbon steel wire rods for cold heading and cold forging, the outer peripheral edge of the barrel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hreaded self-clinching type fastener capable of supporting a stable and balanced electric and electronic component such as a printed circuit board by extending the other 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but reducing the thickness thereof. The self-clinching type fastener includes: a barrel having bores at both ends open to the outside of the bottom surface and the head surface, respectively; A head formed at one end of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barrel; The bottom surface is formed with a protrusion formed by reducing the thickness at the other end portion of the outer peripheral edge of the barrel.
셀프-클린칭(self-clinching), 파스너(fastener), 배럴, 보어, 헤드, 돌기부, 확대부 Self-clinching, fasteners, barrels, bores, heads, protrusions, enlargements
Description
도 1은 종래의 일반적인 셀프-클린칭 타입 파스너의 결합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upling structure of a conventional self-cleaning type fastener.
도 2는 도 1의 셀프-클린칭 타입 파스너의 제조 과정을 나타내는 순차 개략 설명도이다.FIG. 2 is a schematic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self-cleaning type fastener of FIG. 1.
도 3은 종래의 다른 셀프-클린칭 타입 파스너의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nother conventional self-cleaning type fastener.
도 4는 도 3의 셀프-클린칭 타입 파스너의 제조 과정을 나타내는 순차 개략 설명도이다.FIG. 4 is a schematic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self-cleaning type fastener of FIG. 3.
도 5a 및 도 5b는 각각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구체예에 따른 셀프-클린칭 타입 파스너의 구조를 나타내는 평면도 및 단면도이다.5A and 5B are a plan view and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self-cleaning type fasten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spectively.
도 6은 본 고안의 셀프-클린칭 타입 파스너의 제조과정을 나타내는 순차 개략 설명도이다.Figure 6 is a schematic schematic illustrat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self-cleaning type fastener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고안의 셀프-클린칭 타입 파스너의 내부 나사산을 형성하는 탭핑 과정을 설명하는 단면도이다.7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tapping process for forming an internal thread of a self-clinching type fastener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 본 고안의 셀프-클린칭 타입 파스너(Self-clinching type fastener)1: Self-clinching type fastener of the present invention
2: 헤드2: head
3: 클린칭 홈(clinching groove) 4: 배럴(barrel)3: clinching groove 4: barrel
4c: 확대부 4d: 돌기부4c: enlarged
5: 경사부 6: 제1 보어(bore)5: inclined portion 6: first bore
6a: 제1 보어 확개부(擴開部) 7: 제2 보어6a: expansion of the first bore 7: second bore
7a: 제2 보어 확개부 7b: 나사부 7a:
8: 제1 면(바닥면) 8a: 내향 경사부8: 1st surface (bottom surface) 8a: inward inclination part
9: 제2 면(헤드면) 9a: 내향 경사부9: 2nd side (head side) 9a: inward inclination part
10: 냉간압조용강선 10a: 롤러 축10: cold rolled
10b: 가이드 롤러 11: 절단 봉상체10b: guide roller 11: cutting rod
11a: 조면(粗面) 12: 다짐 처리 봉상체11a: rough surface 12: compacted rod
12a: 다짐 면 13: 제1 중간 가공체12a: compaction surface 13: first intermediate workpiece
14: 제2 중간 가공체14: second intermediate workpiece
21, 22, 25, 28, 28a: 그립 다이(grip die)21, 22, 25, 28, 28a: grip die
21a, 21b, 23, 24, 27: 펀치 26, 28a: 압압(壓壓) 다이21a, 21b, 23, 24, 27: Punch 26, 28a: Press die
29: 천공(穿孔) 펀치 29a: 선단부29:
29b: 기저부 30: 그립 다이29b: base 30: grip die
40: 탭퍼(tapper) 41: 나사 형성용 선단부40: tapper 41: end portion for screw formation
42: 몸체부 50: 베이스 플레이트42: body 50: base plate
60: 인쇄회로기판 70: 볼트60: printed circuit board 70: bolt
본 고안은 셀프-클린칭 타입 파스너(self-clinching type fastener)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냉간 압조용 탄소강 선재(carbon steel wire rods for cold heading and cold forging)를 이용하되, 배럴의 외주연 타단부에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되 두께가 줄어든 원통형의 돌기부를 형성함으로써 인쇄회로기판 등과 같은 전기전자부품을 보다 안정적이면서도 균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나사부 형성 셀프-클린칭 타입 파스너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elf-clinching type fastener, and more specifically, using carbon steel wire rods for cold heading and cold forging, the outer peripheral edge of the barrel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hreaded self-clinching type fastener capable of supporting a stable and balanced electric and electronic component such as a printed circuit board by extending the other 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but reducing the thickness thereof.
일반적으로 내부에 나사부를 갖는 셀프-클린칭 타입 파스너는 볼트 및 너트의 결합 구조를 통하여 전기전자기기의 인쇄회로기판 등과 같은 전기전자적 부품을 케이싱 또는 베이스 플레이트에 이격하여 고정시킴으로써, 외부 충격이 케이싱 또는 베이스 플레이트를 통하여 전기전자적 부품에 직접 전달되는 것을 방지함과 아울러, 전기전자적 부품으로부터 발생되는 열이 효율적으로 방출될 수 있도록 한 너트의 일종으로서, 스탠드-오프(stand-off), 팝 너트(pop nut), 펨 너트(PEM nut), 또는 너트 인서트(nut insert) 등으로 불려지기도 한다.In general, a self-clinching type fastener having a screw portion therein is fixed to an electric or electronic component such as a printed circuit board of an electric and electronic device by being spaced apart from a casing or a base plate through a coupling structure of bolts and nuts. A stand-off and pop nut that prevents direct transfer of electrical and electronic components through the base plate and allows efficient heat dissipation from the electrical and electronic components. It may also be called a nut, a PEM nut, or a nut insert.
도 1은 종래의 전형적인 셀프-클린칭 타입 파스너(100)의 결합구조를 도시한 단면도로서, 상기한 종래의 전형적인 셀프-클린칭 타입 파스너(100)의 구조는 헤드(2)와, 클린칭 홈(clinching groove)(3)과, 나사부(7b)가 형성된 보어(7)를 갖는 배럴(4)로 구성되며, 상기한 클린칭 홈(3)은 케이싱 또는 베이스 플레이트(50)에 관통 설치(즉, 셀프-클린칭)되어 헤드(2) 외면이 케이싱 또는 베이스 플레이트(50)의 저면과 동일 평면을 이루고, 인쇄회로기판과 같은 전기전자부품(60)은 나사부(71)를 갖는 볼트(70)에 의해 나사부(7b)를 갖는 보어(7)에 체결되며, 상기한 볼트(70)와 전기전자부품(60) 사이에는 통상적으로 와셔(도면부호 미부여)가 개재된다.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upling structure of a conventional typical self-
상기한 종래의 전형적인 셀프-클린칭 타입 파스너(100)의 소재로서는, 통상적으로 열간압연선재를 원형 또는 육각 단면으로 냉간인발(cold-drawn: CD)하면서 일정 치수로 절단한 후 연마 및 교정 처리한 KS SUM24L(C 0.15중량% 이하; Mn 0.85∼1.15중량% 이하; P 0.04∼0.09중량% 이하; S 0.26∼0.35중량% 이하; Pb 0.10∼0.35중량% 이하; 잔부는 Fe) 쾌삭강(free cutting carbon steels)이 주로 사용된다.As a material of the conventional typical self-
도 2는 도 1의 종래의 셀프-클린칭 타입 파스너(100)의 제조 과정을 나타내는 순차 개략 설명도로서, 일반적으로는 약 2.5m 길이의 육각형 봉재(10')의 일단을 바이트(45)로 절삭하여 원형으로 가공(원형 봉재의 경우에는 원 직경보다 작은 직경으로 절삭 가공)하여 배럴(4)을 형성한 후, 탭퍼(tapper)(40)를 이용하여 단부 중앙을 탭핑 가공하여 내부 나사부를 갖는 보어(7)를 형성한 다음, 바이트(45)로 육각 헤드(2) 부분이 남도록 절단(원형 봉재의 경우에는 헤드(2)가 형성되도록 육각으로 절삭)하는 것에 의하여, 내부 나사부(7b)를 갖는 보어(7)가 일단에 형성된 배럴(4)과 육각 헤드(2)를 형성시키는 것으로 제조된다.FIG. 2 is a sequential schematic explanatory view show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conventional self-
그러나 상기한 쾌삭강은 기계적 특성이 양호하며 특히 우수한 절삭 가공성을 갖고 있고 이로 인하여 절삭 공구의 수명이 연장되는 등의 장점을 갖고는 있으나, 도금막 부착성이 열등하며, 절삭 가공 공정 중에 약 40중량% 정도가 절삭되어 버리므로 쾌삭성 향상을 위하여 첨가되는 Pb 성분의 폐기로 인한 심각한 환경오염의 문제가 있을 뿐만 아니라, 그로부터 제조되는 셀프-클린칭 파스너(100)에 있어서는 보어(7)가 양단이 개방된 천공 형태가 아니라 일단이 폐공된 형태이므로 절삭 칩이 보어(7) 내부에 잔류할 우려가 있고, 후속 공정에서의 도금 처리 시 도금액의 유통이 원활치 못하여 도금 불량의 우려가 있으며, 쾌삭강의 단가가 상대적으로 높으므로 경제성이 열등하다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e above-mentioned free-cutting steel has good mechanical properties, particularly excellent cutting processability, and thus has the advantage of prolonging the life of the cutting tool. However, inferior adhesion of the coating film and about 40% by weight during the cutting process As the degree is cut, not only there is a serious environmental pollution problem due to the disposal of the Pb component added to improve the machinability, but also the self-
도 3은 종래의 다른 셀프-클린칭 타입 파스너(101)의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로서, 그 구조는 칼라 드로잉(collar drawing) 또는 컬링(curling)에 의한 칼라(4a)와, 딥 드로잉(deep drawing)에 의한 배럴(4)과, 배럴 하단 외주연의 헤드(2)와, 아이언 코이닝(iron coining)을 위한 상기한 헤드(2)에 인접한 상방에 형성되는 두께가 증대된 기저부(4b)와, 상기한 칼라(4a) 내부의 탭핑에 의한 나사부(7b')와, 중앙 전체의 제1 보어(7')와 상기한 칼라(4a) 외주연부에 형성되는 제2 보어(7a')로 이루어져 있다.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nother conventional self-
상기한 셀프-클린칭 타입 파스너(101)는 칼라 드로잉 및 딥 드로잉 가공에 의하여 제조되거나, 또는 딥 드로잉 및 컬링 가공에 의하여 제조되므로, 상기한 종래의 셀프-클린칭 타입 파스너(101)의 소재로서는, 딥 드로잉 가공용 냉간압연강판(SPCE(SPCEN)) 또는 딥 드로잉 가공용 아연도금강판(Galvanized steel sheet or Zinc coated steel sheet)(SECD(SECDN))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며, 특히 딥 드로잉용 전기아연도금강판(Electrolytic Galvanized Iron: EGI)이 주로 사용된다. 상기한 딥 도로잉용 전기아연도금강판은 핫코일(Hot-coil)을 상온에서 40% 이상의 압하율로 냉간압연하여 높은 가공성을 부여한 냉간압연강판의 표면에 전기 아연 도금막을 피복시켜 내식성을 향상시킨 강판으로서, 별도의 열처리 없이 상온에서 아연 도금한 것이므로 그 물리적 특성은 딥 드로잉용 냉간압연강판과 동등하다.Since the self-
딥 드로잉용 냉간압연강판(SPCE: C 0.08중량%; Mn 0.40중량%; P 0.03중량%; S 0.03중량%; 잔부는 Fe)은 충분한 강도 확보를 위하여 P를 다량 첨가하고 C 함량을 0.01중량% 이하의 극저탄소강으로 함으로써 심한 가공에 견딜 수 있도록 한 강판으로서, 통상적으로 두께 0.8㎜의 경우 인장강도는 약 32Kg/㎟ 정도 또는 그 이상, 항복강도는 약 18Kg/㎟ 정도 또는 그 이상, 연신율은 최소 36% 이상, 일반적으로는 약 45% 정도이다.Cold rolled steel sheet for deep drawing (SPCE: C 0.08% by weight; Mn 0.40% by weight; P 0.03% by weight; S 0.03% by weight; remainder Fe) is added a large amount of P to ensure sufficient strength and C content of 0.01% by weight A steel sheet that can withstand severe processing by using the following ultra low carbon steel. In the case of 0.8 mm thick, the tensile strength is about 32 Kg / mm2 or more, the yield strength is about 18 Kg / mm2 or more, and the elongation is It is at least 36%, usually about 45%.
도 4는 딥 드로잉용 전기아연도금 강판재를 칼라 드로잉 가공한 다음, 딥 드로잉 가공하여 도 3의 셀프-클린칭 타입 파스너(101)를 제조하는 과정을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순차 개략 설명도로서, 전기아연도금강판을 원형으로 프레스 절단한 후 중앙에 홀을 천공하고, 칼라 드로잉에 의해 칼라(4a)를 형성한 후, 점진적이고도 단계적인 과정의 딥 드로잉에 의해 배럴(4)과 그 하단 외주연부에 헤드(2)(또는 플랜지)를 형성시킨 후, 헤드(2)에 인접한 상방에 두께가 증대된 기저부(도 3에서의 도면부호 4b 참조)를 형성시키고 있다.FIG. 4 is a sequential schematic explanatory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of manufacturing the self-
그러나 상기한 딥 드로잉용 냉간압연강판 또는 전기아연도금강판을 이용하여 제조되는 종래의 셀프-클린칭 타입 파스너(101)는 판재로 제작되는 관계로 전술한 종래의 셀프-클린칭 타입 파스너(100) 중량의 1/5에 불과하여 현저한 경량화를 이루고는 있으나 PDP 등과 같은 전기전자부품의 베이스 플레이트(백킹 플레이트)에 천공된 다수의 구멍에 자동화 설비를 이용하여 제조된 셀프-클린칭 타입 파스너(101)를 투입 시 오히려 지나친 경량화로 인하여 자중(自重)에 의한 정위치 자동 삽입이 곤란하다는 심각한 문제가 있어 업계로부터 기피되고 있을 뿐만 아니라, 그 제조 공정이 복잡하고 까다로우며, 칼라 드로잉에 의하여 형성되는 칼라(4a)의 미세한 각도 편차 또는 불량은 후속하는 탭핑 공정에서의 심각한 불량으로 직결될 우려가 크고, 탭핑 공정에서의 나사부(도 3에서의 도면부호 7b' 참조)의 형성으로 칼라(4)의 두께가 얇아지게 되어 결과적으로 강도 저하를 초래하게 되어 볼트(미도시)에 의해 칼라(4a) 내부의 나사부에 나사 결합되는 전기전자적 부품의 정위치 이탈로 인한 제품 불량의 우려가 있으며, 기저부(도 3에서의 도면부호 4b 참조) 형성이 용이하지 않고, 인산염 처리되지 않고 크롬산염 처리된 경우에는 환경오염의 문제가 있으며, 더욱이 비록 톤당 가격은 상대적으로 낮다 하더라도 셀프-클린칭 타입 파스너(101) 제조를 위한 다수의 작은 원형 플레이트로 프레스 절단하여야 하므로 쓸모없이 폐기하여야 하는 부분이 많아 전혀 경제적이지 못하다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e conventional self-
더구나,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쇄회로기판과 같은 전기전자부품(60)은 나사부(71)를 갖는 볼트(70)에 의해 나사부(7b)를 갖는 보어(7)에 체결될 뿐, 상기한 베럴(4)에 전기전자부품(60)이 용이하게 안착할 수 있는 안착부가 별도 형성되 어 있지 않아 인쇄회로기판 등과 같은 전기전자부품을 안정적이면서도 균형적으로 지지하는데는 한계가 있다.Moreover, as shown in FIG. 1, the electrical and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인쇄회로기판 등과 같은 전기전자부품을 보다 안정적으로 균형 있게 지지하면서도 기계적 특성 및 가공성이 우수하며, 상대적으로 저렴하고 중금속 Pb나 Cr을 포함하지 않는 환경친화적인 소재로 제조되며 탭핑 가공 시의 절삭 칩이 보어 내부에 잔류하지 않아 절삭 칩에 의한 전기전자 부품의 고장 우려가 없고 세정(洗淨)이 용이하며 도금 피복성이 우수한 셀프-클린칭 타입 파스너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Therefore,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upport the electrical and electronic components such as a printed circuit board more stably, while maintaining excellent mechanical properties and processability, and is made of environmentally friendly materials that are relatively inexpensive and do not contain heavy metal Pb or Cr.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elf-clinching type fastener with no cutting chips remaining in the bore during tapping processing, without fear of breakdown of electrical and electronic components due to the cutting chips, easy cleaning, and excellent plating coating properties.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셀프-클린칭 타입 파스너는, 양단부가 각각 바닥면과 헤드면의 외부로 개방된 보어(bore)를 갖는 배럴(barrel)과; 상기한 배럴의 외주연 일단부에 형성되는 헤드(head)와; 상기한 바닥면이 형성된 상기한 배럴의 외주연 타단부에 두께가 감소되어 형성되는 돌기부로 구성된다.Self-clinching type faste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barrel (barrel) having a bore (bore) open at both ends of the bottom surface and the head surface, respectively; A head formed at one end of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barrel; The bottom surface is formed with a protrusion formed by reducing the thickness at the other end portion of the outer peripheral edge of the barrel.
여기서, 상기 셀프-클린칭 타입 파스너는 냉간압조용강선(carbon steel wire rods for cold heading and cold forging) 소재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Here, the self-clinching type fastener is preferably made of carbon steel wire rods for cold heading and cold forging material.
또한, 상기한 보어가 헤드면에 인접한 제1 보어와 바닥면에 인접한 제2 보어를 가지며, 상기한 제1 보어의 직경이 상기한 제2 보어의 직경 보다 크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It is also preferred that the bore has a first bore adjacent to the head surface and a second bore adjacent to the bottom surface, wherein the diameter of the first bore is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second bore.
또한, 상기한 바닥면에 인접한 보어의 내주면에 나사부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thread portion is preferably formed o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bore adjacent to the bottom surface.
또한, 상기한 헤드에 인접한 배럴의 외주면에 클린칭 홈(clinching groove)이 형성되고, 상기한 헤드에 인접한 배럴의 외주면에는 그 외주연 두께가 증대된 확대부가 형성되며, 상기한 기저부와 상기한 헤드 사이에 상기 클린칭 홈(clinching groove)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a clinching groove is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arrel adjacent to the head, and an enlarged portion having an increased outer circumferential thickness is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arrel adjacent to the head, wherein the base and the head are formed. Preferably, the clinching groove is formed therebetween.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5a 및 도 5b는 각각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구체예에 따른 셀프-클린칭 타입 파스너의 구조를 나타내는 평면도 및 단면도이다.5A and 5B are a plan view and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self-cleaning type fasten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spectively.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셀프-클린칭 타입 파스너(1)는 냉간압조용강선(carbon steel wire rods for cold heading and cold forging) 소재로 이루어지며, 양단부가 각각 바닥면(8)과 헤드면(9)의 외부로 개방된 제 1 및 2 보어(6,7)를 갖는 배럴(4)과, 상기한 배럴(4)의 외주연 일단부에 형성되는 헤드(2)와, 상기한 바닥면(8)이 형성된 상기한 배럴(4)의 외주연 타단부에는 두께가 감소되어 형성되는 돌기부(4d)로 구성된다.As shown, the self-clinching
여기서, 상기한 돌기부(4d)는 상기한 배럴(4)의 타단부에서 연장되어 그 외주연 길이(직경 두게 크기)가 줄어든 대략 원통 형태이며, 상기한 바닥면(8)이 상기한 돌기부(4d)의 전면(前面)이 된다. 이와 같은 돌기부(4d)의 형성에 의해 상기한 돌기부(4d)와 배럴(4) 사이에 안착면(도면 번호 미부여)이 형성됨으로써 인쇄회로기판 등과 같은 전기전자부품이 상기한 안착면에 보다 안정적이면서도 균형적으로 지지될 수 있게 된다.Here, the
또한, 상기한 헤드(2)에 인접한 배럴(4)의 외주면에는 그 두께가 증대된 확대부(4c)가 형성되며, 상기한 확대부(4c)와 상기한 헤드(2) 사이에 클린칭 홈(3)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두께가 증대된 확대부(4c)와 클린칭 홈(3)의 형성에 의해 헤드(2) 외면이 케이싱 또는 베이스 플레이트(50)(도 1 참조)를 보다 안정적으로 삽입하여 지지할 수 있게 된다. 물론, 이러한 확대부(4c)의 형성은 선택사항이며 종래와 같이, 클린칭 홈(3)만을 형성할 수도 있다.Further, an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한 헤드면(9)에 인접한 제 1 보어(6)의 직경이 상기한 바닥면(8)에 인접한 제 2 보어(7)의 직경 보다 크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나, 바닥면(8)과 헤드면(9)에 개방된 제 1 및 2 보어(6, 7)의 직경이 동일한 것이라 하더라도 본 고안의 영역에 포함됨을 물론이다.As shown, the diameter of the
또한, 도시된 예의 셀프-클린칭 타입 파스너(1)는 바닥면(8)에 인접한 제2 보어(7)의 내주면에 나사부(7b)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헤드면(9)에 인접한 제1 보어(6)의 내부면에는 상기한 바와 같은 나사부는 형성되어 있지 않다. 물론, 상기한 바닥면(8)에 인접한 보어(7)의 내주면에 나사부(7b)가 형성되어 있지 않더라도, 그리고 헤드(2)에 인접한 배럴(4)의 외주면에 확대부(4c) 및 클린칭 홈(3)이 형성되어 있지 않더라도, 강제 끼워 맞춤식 고정 등과 같은 협지 고정이 가능하므로 마찬가지로 셀프-클린칭 타입 파스너(1)로서의 기능을 충분히 수행할 수 있으며, 따라서 이 또한 본 고안의 영역 내이다Further, in the illustrated example, the self-clinching
아울러, 상기한 헤드면(9)과 제 1 보어(6) 사이에는 내향 경사부(9a)에 의한 제1 보어 확개부(6a)가 형성될 수 있고, 상기한 돌기부(4d)의 전면(前面)인 바닥 면(8)과 제 2 보어(7) 사이에는 내향 경사부(8a)에 의한 제 2 보어 확개부(7a)가 형성될 수 있으며, 이들은 볼트(미도시) 등의 체결 시 가이드 기능을 담당하게 된다. 또한, 돌기부(4d)의 바닥면(8)의 외주연부는 그 확대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경사부(5)를 형성시킴으로써 PDP 등과 같은 전기전자부품의 베이스 플레이트(백킹 플레이트)(미도시)에 천공된 구멍(미도시)에 자동화 설비(미도시)를 이용하여 투입 시 자중(自重)에 의한 정위치 자동 삽입이 용이하게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In addition, a
여기서, 상기한 헤드(2)의 전체적인 평면 형상은 육각형이 바람직하나 원형 또는 다각형일 수 있으며, 본 고안에 있어 그 형상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Here, the overall planar shape of the
이어서, 본 고안에 따른 셀프-클린칭 타입 파스너(1)를 이루는 냉간압조용강선 소재에 대하여 설명하면, 이들은 KS D 7033에 규정된 알루미늄 킬드강(Al-killed steel)인 SWRCH A 타입이며, 이 중에서도 바람직한 것은 SWRCH 6A, SWRCH 8A, SWRCH 10A, SWRCH 12A 등이고, 더욱 바람직한 것은 SWRCH 6A, SWRCH 8A, SWRCH 10A이며, 가장 바람직할 수 있는 것은 SWRCH 10A이다.Next, the cold-rolled steel wire material constituting the self-clinching
상기한 알루미늄 킬드 냉간압조용강선 소재의 화학조성은 C: 0.05∼0.23중량%, 바람직하게는 0.08∼0.13중량%, Si: 0.10중량% 이하, Mn: 1.00중량% 이하, 바람직하게는 0.30∼0.60중량% 이하, P: 0.03중량% 이하, S: 0.035중량% 이하, Al: 0.02중량% 이상인 것으로서, 인장강도가 28∼45Kg/㎟, 바람직하게는 30∼42Kg/㎟이고, 항복강도가 18∼35Kg/㎟, 바람직하게는 18∼26Kg/㎟이며, 연신율이 18∼35%, 바람직하게는 18∼26%인 것이다. 알루미늄 킬드 냉간압조용강선은 CHQ 강선(Cold Heading Quality Wire)이라 칭하여 지며, 냉간압조용 소재로서 양호한 가공성과 표면품질을 갖고 있다.The chemical composition of the aluminum-kilted cold-rolled steel wire material is C: 0.05 to 0.23% by weight, preferably 0.08 to 0.13% by weight, Si: 0.10% by weight or less, Mn: 1.00% by weight or less, preferably 0.30 to 0.60. It is weight% or less, P: 0.03 weight% or less, S: 0.035 weight% or less, Al: 0.02 weight% or more, tensile strength is 28-45Kg / mm <2>, Preferably it is 30-42Kg / mm <2>, Yield strength is 18- It is 35 Kg / mm <2>, Preferably it is 18-26Kg / mm <2>, Elongation is 18 to 35%, Preferably it is 18 to 26%. Aluminum-kilted cold-rolled steel wire is called CHQ steel wire (Cold Heading Quality Wire) and has good workability and surface quality as a material for cold-rolled steel.
이어서, 본 고안의 셀프-클린칭 타입 파스너(1)의 제조과정을 나타내는 순차 개략 설명도인 도 6과 본 고안의 셀프-클린칭 타입 파스너의 내부 나사산을 형성하는 탭핑 과정을 설명하는 도 7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Subsequently, FIG. 6 which is a schematic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self-cleaning
(A) 봉상체 형성 단계:(A) rod-shaped forming step:
롤러 축(10a) 주위에 롤 형태로 권취된 냉간압조용강선(10)을 가이드 롤러(10b)로 안내하면서 셀프-클린칭 타입 파스너 제조에 적합한 소정의 치수로 절단하여 상면과 하면에 조면(粗面)(11a)을 갖는 봉상체(11)를 형성한다. The cold
(B) 다짐면 형성 단계:(B) compaction surface forming step:
선택적 단계로서, 상기한 봉상체(11)를 상하 또는 좌우로 개폐되는 그립 다이(grip die)(21)와 전후로 운동하는 펀치(heading tool)(21a, 21b)를 이용한 업 셋 단조(Upset Forging)에 의하여 상기한 봉상체(11)의 조면(11a)을 다짐면(12a)으로 형성한다(도시된 예에서는 도시의 편의상 펀치(21a, 21b)가 상하 운동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실제로는 좌우 내지 전후 운동하는 것이 일반적임). As an optional step, an upset forging using a grip die 21 for opening and closing the rod-shaped
(C) 확대부 및 돌기부 형성 단계:(C) enlargement and protrusion forming step:
다단의 경사면(도면번호 미부여)을 그립 다이(21c)에 다짐면(12a)이 형 성된 봉상체(12b)의 상하단부가 노출되게 협지하고, 상하방으로부터 펀치(heading tool)(21d)(21e)를 이용하여 상기한 다단의 경사면 형상으로 냉간압조(cold heading)하여 베럴(4)의 외주연에 상술한 바와 같은 확대부(4c)와 돌기부(4d)를 형성한다. 여기서, 상기한 확대부(4c)의 형성은 선택적 사항이다. A multi-stage inclined surface (not shown in the drawing number) is sandwiched on the grip die 21c so that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rod-shaped
(D) 헤드 형성 단계:(D) head forming step:
저면의 펀치 관통공(22b)에 인접한 부분에 경사부(22a)를 갖는 그립 다이(22)에 봉상체(13)의 확대부(4c)의 상단부가 노출되게 협지하고, 상방으로부터 헤드 형성용 펀치(23)를, 하방으로부터는 펀치(24)를 이용하여 냉간압조(cold heading)하여 원형의 헤드(2)를 형성한다. The upper end of the
여기서 상기한 헤드 형성용 펀치(23)의 저면은 상기한 봉상체(13)의 직경보다 커서 상기한 봉상체(13)에 헤드(2)를 형성시키며, 헤드 형성용 펀치(23)와 펀치(24)의 타발(打發) 단부 형상에 의하여, 헤드(2)가 형성된 봉상체(13)의 헤드면(9) 중앙에는 경사부(도면부호 미부여)를 개재한 덴트(dent) 형상의 제1 보어 확개부(6a)가, 그리고 돌기부(4d)의 바닥면(8) 중앙에는 내향 경사부(8a)를 개재한 덴트 형상의 제2 보어 확개부(7a)가 형성된다. The bottom face of the
(E) 보어 형성 단계:(E) Bore Formation Steps:
그립 다이(25)의 상면에 헤드(2)가 지지되도록 봉상체(13)를 협지시키고 그 상방에 압압 다이(26)를 위치시킨 다음, 펀치(27)로 냉간단조(구체적으로는, 업 셋 단조(Upset Forging))에 의하여 배럴(4) 중앙에 연장된 길이를 갖는 보어(7c)를 형성시킨 헤드 부착 봉상체(14)를 제조한다. The
(F) 관통(천공) 보어 형성 단계:(F) Through (bore) bores forming step:
그립 다이(28)의 상면에 헤드(2)가 지지되도록 봉상체(14)를 협지시키고 그 상방에 압압 다이(28a)를 위치시킨 다음, 천공 펀치(29)로 냉간단조(구체적으로는, 업 셋 단조(Upset Forging))에 의하여 배럴(4) 중앙에 그 양단이 천공된 관통 보어를 형성시킨다. The
여기서 선택적으로는, 상광하협의 직경을 갖는 천공 펀치(29)를 사용하는 것에 의하여 헤드면(도면부호 미부여)에 개구되어 있는 넓은 직경의 제1 보어(6)와 바닥면(도면부호 미부여)에 개구된 작은 직경의 제2 보어(7)가 상호 연통되어 천공된 형태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Optionally here, a wide diameter first bore 6 and a bottom surface (not shown) are opened to the head surface (not shown) by using a punching
이와 같이 하여 제조되는 본 고안에 따른 셀프-클린칭 타입 파스너는 도 5a 및 도 5b에 도시한 셀프-클린칭 타입 파스너(1)에 비하여 헤드(2)의 전체적인 평면 형상이 육각형이 아니라 원형인 점을 제외하고는 본질적으로 동일하다. The self-clinching type faste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nufactured as described above has the point that the overall planar shape of the
(G) 헤드 가공 단계:(G) Head Machining Steps:
선택적 단계로서, 상기한 셀프-클린칭 타입 파스너(1)는 그 원형 헤드(2)의 평면 형상이 육각이 되도록 프레스 절단 또는 절삭하여 도 5a 및 도 5b에 도시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셀프-클린칭 타입 파스너(1)를 제조한다. As an optional step, the above-described self-clinching
(H) 클린칭 홈 형성 단계:(H) clinching groove forming step:
선택적 단계로서, 상기한 헤드 가공 단계(G)의 전, 후, 또는 그와 동시에, 셀프-클린칭 타입 파스너(1)의 헤드(2)에 인접한 배럴(4)의 확대부(4c)의 외주면에 클린칭 홈(3)을 단일 바이트에 의한 회전 절삭 또는 더블 선상 블레이드의 상호 교호적 왕복 운동에 의한 부분적 회전 절삭 등에 의하여 형성함으로써 본 고안에 따른 셀프-클린칭 타입 파스너(1)를 형성한다. As an optional step,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 탭핑 단계:(I) Tapping Steps:
선택적 단계로서, 상기한 클린칭 홈 형성 단계 (H)의 전, 후, 또는 그와 동시에, 탭퍼(40)를 이용하여 바닥면에 인접한 보어(7)(제2 보어)의 내주면에 나사부(7b)를 형성시킨다. As an optional step, before or after the above-described clinching groove forming step (H), or at the same time, the threaded
여기서, 보어가 직경이 서로 다른 제1 보어(6)와 이보다 직경이 약간 작은 제2 보어(7)로 형성되는 경우에 있어서의 셀프-클린칭 타입 파스너(1)의 제 2 보어(7) 내주면에 나사부(도면부호 미부여)를 형성하는 탭핑 과정을 설명하는 단면도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그립 다이(30)에 배럴(4) 부분을 클램핑(헤드 부분의 손상 방지를 위하여 헤드 쪽을 클램핑 할 수는 없음)한 다음, 나사 형성용 선단부(41)와 몸체부(42)를 갖는 탭퍼(40)를 헤드 쪽의 넓은 직경을 갖는 제1 보어(6)로부터 그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 제2 보어(7) 쪽으로 도입하여 탭핑하게 되면, 제1 보어(6)의 내경이 탭퍼(40)의 외경보다 크므로 공차 C 만큼 이격하게 위치하므로 제1 보어(6)의 내주면에 대한 탭핑 없이 바로 제2 보어(7)의 내주면 만에 대한 탭핑 작업이 수행되게 되므로, 탭핑에 의한 절삭 칩의 발생이 최소화될 뿐만 아니라 탭핑 작업량 및 탭핑 작업 시간 단축에 따른 공정 효율성 제고로 인한 비용 절감은 물론, 탭퍼의 수명 연장을 도모할 수가 있다. Here,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이상 본 고안의 셀프-클린칭 타입 파스너의 제조방법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상기한 사항에 부연하면, 통상적인 탈유 단계, 세정 단계, 도금 단계, 포장 단계, 치수 및 표면 상태 등에 대한 검수 단계 등을 더욱 경유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The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elf-clinching type fastener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bove. However, if the above-mentioned matters are addressed, the method may be further passed through a normal deoiling step, a cleaning step, a plating step, a packing step, a inspection step for dimensions and surface conditions, and the like. Of course you can.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셀프-클린칭 타입 파스너에 의하면, 배럴의 외주연 타단부에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두께가 줄어든 원통형의 돌기부를 형성함으로써 인쇄회로기판 등과 같은 전기전자부품을 보다 안정적이면서도 균형적으로 지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친환경적 소재인 냉간압조용 강선으로 제조되며 탭핑 가공 시 절삭 칩이 보어 내부에 잔류하지 않아 절삭 칩에 의한 전기전자 부품의 고장 우려가 없고 세정(洗淨)이 용이하며 도금 피복성도 우수하고, 적절한 자중을 보유하여 PDP 등과 같은 전기전자부품의 베이스 플레이트(백킹 플레이트)에 천공된 구멍에 자동화 설비를 이용하여 투입 시 자중(自重)에 의한 정위치 자동 삽입이 용이하며, 탭핑 가공 시간 단축 및 그에 따른 공구 수명 연장을 도모할 수가 있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self-clinching type faste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forming a cylindrical protrusion having a reduced thickness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t the other end of the outer peripheral portion of the barrel more stable electronic and electronic components such as a printed circuit board In addition, it can be supported in a balanced manner, and is made of cold-rolled steel wire, which is an environmentally friendly material, and the cutting chips do not remain inside the bore during tapping, so there is no fear of breakdown of electrical and electronic components due to the cutting chips. It is easy to use and has excellent coating coating property, and it has proper self weight so that it can be automatically inserted in position due to its own weight when it is put in by using the automation equipment in the hole drilled in the base plate (backing plate) of electric and electronic parts such as PDP. It is easy and has the effect of shortening the tapping processing time and consequently extending the tool life.
Claims (6)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60026025U KR200433761Y1 (en) | 2006-09-27 | 2006-09-27 | Self-Clinching Type Fasteners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60026025U KR200433761Y1 (en) | 2006-09-27 | 2006-09-27 | Self-Clinching Type Fasteners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433761Y1 true KR200433761Y1 (en) | 2006-12-12 |
Family
ID=417820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60026025U KR200433761Y1 (en) | 2006-09-27 | 2006-09-27 | Self-Clinching Type Fasteners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433761Y1 (en)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8319511B2 (en) | 2007-11-30 | 2012-11-27 | Tokyo Electron Limited | Probe device having a structure for being prevented from deforming |
KR20220032804A (en) * | 2020-09-08 | 2022-03-15 | 김승현 | Insert parts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
2006
- 2006-09-27 KR KR2020060026025U patent/KR200433761Y1/en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8319511B2 (en) | 2007-11-30 | 2012-11-27 | Tokyo Electron Limited | Probe device having a structure for being prevented from deforming |
KR20220032804A (en) * | 2020-09-08 | 2022-03-15 | 김승현 | Insert parts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KR102495865B1 (en) * | 2020-09-08 | 2023-02-02 | 김승현 | Insert parts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9091290B2 (en) | Punch rivet and die | |
US5910052A (en) | Process for manufacturing a captive screw | |
DE602004000246T2 (en) | Method of making a crimped nut and crimping nut made by this method | |
US20080118327A1 (en) | Section for the manufacture of hollow body elements, hollow body element and component assembly | |
JP2009522114A (en) | Fastening boss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
CA2427201C (en) | Method of manufacturing a blind threaded insert | |
CN101743075B (en) | Manufacturing method for assembling nut | |
KR100850225B1 (en) | Self-clinching Type Fastene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
AU2001294003A1 (en) | Method of manufacturing a blind threaded insert | |
US20060053612A1 (en) | Method of manufacturing hollow body elements, section for use in the method, hollow body element, component assembly and die | |
KR200433761Y1 (en) | Self-Clinching Type Fasteners | |
KR100879531B1 (en) | Manufacturing method of fastening nut by forming rolled steel sheet | |
US20030066181A1 (en) | Method of manufacturing an electrical connection to a sheet metal part and component assembly | |
KR200428960Y1 (en) | Self-Clinching Type Fasteners | |
KR200433760Y1 (en) | Self-Clinching Type Fasteners | |
CN207660947U (en) | Self-pierce riveting presses fastener | |
WO2006135395A2 (en) | A self-attaching nut | |
KR20110010884A (en) | Manufacturing method of long self-cleaning type fastener and accordingly long self-cleaning type fastener | |
US3883915A (en) | Method of forming a nut | |
KR20080100891A (en) | Manufacturing Method of Positioning Fastening Nut by Forming Rolled Steel Sheet | |
CN207598689U (en) | Nut fixing structure | |
KR101014270B1 (en) | Manufacturing method of tightening nut | |
CN221482345U (en) | Riveting structure | |
CN215144079U (en) | Novel riveting punch for liquid crystal back plate | |
KR101080149B1 (en) | A nut and its fabricating method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UA0108 |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60927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U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Patent event date: 20061206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U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1 Payment date: 20060928 |
|
U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70928 Start annual number: 2 End annual number: 3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9122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01125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11206 Year of fee payment: 6 |
|
U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11206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U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date: 20131109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