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29064Y1 - 육묘판 받침용 트레이 - Google Patents

육묘판 받침용 트레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29064Y1
KR200429064Y1 KR2020060020067U KR20060020067U KR200429064Y1 KR 200429064 Y1 KR200429064 Y1 KR 200429064Y1 KR 2020060020067 U KR2020060020067 U KR 2020060020067U KR 20060020067 U KR20060020067 U KR 20060020067U KR 200429064 Y1 KR200429064 Y1 KR 20042906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y
seedling
nutrient solution
seedling plate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2006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변우용
Original Assignee
변우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변우용 filed Critical 변우용
Priority to KR202006002006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2906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2906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2906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4/0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 A01G24/60Apparatus for preparing growth substrates or culture media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의 목적은 육묘판으로의 양액(養液: 비료 등을 녹인 물) 공급작업과 아울러 회수 작업성을 향상시킨 육묘판 받침용 트레이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러한 본 고안은 장방형의 육묘판 트레이에 입설된 측벽들 중 하나 혹은 어느 양측벽 혹은 전(全)측벽들의 높이를 육묘판의 높이보다는 낮게 형성하고, 측벽들의 상단 전 길이에는 인접배치되는 트레이들의 상호 간을 일체로 연결하기 위한 홈을 갖는 연결용 곡부를 형성한 것이다. 따라서 어느 하나의 트레이에만 양액을 공급하더라도 낮은 측벽을 통하여 양액이 넘쳐서 연속하여 연결된 모든 트레이에 자동적으로 공급되는 효과를 발휘하게 한 것이다. 또한, 사용된 양액은 트레이의 바닥에 설치한 회수공을 통하여 쉽게 수거하여 다시 활용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육묘판, 트레이, 양액, 수반

Description

육묘판 받침용 트레이{TRAY FOR WATER WORKING}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육묘판 받침용 트레이의 제1실시 예를 표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표시의 트레이를 서로 조립한 상태를 나타낸 트레이의 조립 사시도,
도 3은 도 2의 I-I선 방향에 따른 사용상태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육묘판 받침용 트레이의 제2실시 예를 표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육묘판 받침용 트레이의 제3실시 예를 표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의 상기 실시 예에 따른 육묘판 받침용 트레이들을 조립된 상태로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육묘판 받침용 트레이의 제4실시 예를 표시한 사시도,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육묘판 받침용 트레이의 제5실시 예를 표시한 사시도,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제4내지 5실시 예의 육묘판 받침용 트레이를 조립된 상태로 나타낸 사시도,
도 10a는 도 3에 표시된 도면부호 "20"을 확대한 단면도,
도 10b는 도 10a의 작동상태를 설명한 도면,
도 11a는 도 10a의 배수구에 대한 다른 실시 예를 도 10a와 동일 방향에서 보아 나타낸 확대 단면도,
도 11b는 도 11a의 작동상태를 설명한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육묘판 10: 육표판 받침용 트레이
12: 트레이 본체 13: 끼움용 곡부
14: 일류벽(溢流壁) 20: 양액 회수용 회수공
본 고안은 육묘판 받침용 트레이에 관한 것으로, 특히 육묘판 받침용 트레이가 그 트레이들의 측벽에 전부 혹은 일부를 육묘판의 높이보다 낮게 하면서 상호 연결할 수 있는 구조를 이루게 하여 육묘판에 대한 양액의 공급 작업을 쉽고 편리하게 할 수 있게 한 육묘판 받침용 트레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씨앗을 발아시키는 육묘작업 후 밭에 이식하는 데에 육묘판을 사용하고, 이러한 육묘판의 어린 모가 튼튼하게 발육하도록 공급되는 양액(養液: 비료 등을 녹인 물)이 지속적으로 육묘판의 육묘에 공급되도록 하기 위한 목적에서 트레이가 사용됨은 주지된 사실이다.
그러나 기존에는 육묘판에 양액을 주려고 하면, 육묘판 하나하나마다 일일이 양액을 공급하지 않으면 안 되는 문제가 있다. 그 이유는 육묘판을 받치는 트레이들이 육묘판에 공급되는 양액의 흐름을 막고 있기 때문이다. 이 때문에 대량으로 육모를 하는 것에서는 육묘판에의 양액 공급 작업에 많은 노동력과 시간이 소모되어 생산성과 경제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제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육묘판을 받치는 트레이들로 하여금 육묘판에 공급되는 양액의 유동을 할 수 있는 구조를 이루게 하여, 대량의 육묘판으로도 양액 공급을 신속하고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편리성 및 경제성을 갖게 하였고, 또한 양액의 회수 작업도 쉽게 할 수 있는 편리성을 갖게 한 육묘판 받침용 트레이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육묘판 받침용 트레이는 육묘판을 올려놓을 수 있게 된 장방형의 기판(基板)부와 그 기판부의 모서리에서 각각 수직으로 입설되어 상기 육묘판에 공급하기 위한 양액 수용홈을 형성하는 측벽부들을 갖는 육묘판 받침용 트레이 본체; 상기 트레이 본체의 모든 측벽부들 혹은 일부 측벽부들을 상기 육묘판의 높이보다는 낮은 구조를 이루게 하여 상기 육묘판에 공급되는 양액이 인접 배치된 육묘판 받침용 트레이 본체에 공급되게 하는 일류로(溢流路)를 형성하는 일류벽(溢流壁); 및 상기 일류벽의 상단부위 전체에 걸쳐서 하방으 로만 개구되는 홈을 이루어, 인접배치되는 육묘판 받침용 트레이 본체의 일류벽에 탈착되게 끼움 연결할 수 있게 한 끼움용 곡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트레이 본체의 기판에는 덮개를 갖는 양액 회수용 회수공이 더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덮개의 일 부위는 상기 회수공의 주연에 회동가능하게 연결한 힌지부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덮개에는 배수용 홈이 더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면 전체를 통하여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한다.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자명한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 또한 생략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육묘판 받침용 트레이의 제1실시 예를 표시한 사시도이다.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육묘판 받침용 트레이(10)의 제1실시 예는 탄성을 갖는 두께가 얇은 수지재로 이루어지며, 소정 크기의 수용실(11)을 형성한 일면 즉, 윗면만이 개방된 트레이 본체(12)를 구비한다.
상기 수용실(11)에는 씨앗을 발아시켜 육묘하기 위한 육묘판(1)과 상기 육묘판(1)에 공급하기 위한 양액(養液: 비료 등을 녹인 물)이 함께 수용된다. 상기 육묘판(1)과 양액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널리 알려진 기술이기 때문에 생략한다.
상기 트레이 본체(12)의 측벽들 중 모든 측벽들의 상단은 외측으로 굴곡된 둥근 곡부를 이루며 상기 트레이 본체(12)와 일체를 이루어 텐션을 갖는 일류벽(溢流壁)(14)이 설치되며 그 일류벽(溢流壁)(14)의 하부 전체에 걸쳐서 하방으로만 개구되는 홈을 이루는 끼움용 곡부(13)가 형성된다.
도 2는 도 1의 표시의 트레이를 서로 조립한 상태를 나타낸 트레이의 조립 사시도이다.
도면 표시와 같이, 상기 끼움용 곡부(13)들은 서로 다른 상기 육묘판 받침용 트레이(10)들을 탈착되게 연결하기 위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육묘판 받침용 트레이(10)의 끼움용 곡부(13)에 다른 상기 육묘판 받침용 트레이(10)들의 일류벽(溢流壁)(14)이 삽입 고정되어 연결되고 다른 상기 육묘판 받침용 트레이(10)들에 또 다른 상기 육묘판 받침용 트레이(10)들이 연결되는 방식으로 상기 일류벽(溢流壁)(14)과 끼움용 곡부(13)에 의해 다수개의 상기 육묘판 받침용 트레이(10)들을 탈착되게 연결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일류벽(溢流壁)(14)과 끼움용 곡부(13)는 서로 텐션을 가지고 상하로 적층하며 설치되게 함으로써 여러개의 상기 육묘판 받침용 트레이(10)들을 착탈이 가능하며 설치시 결속력이 강하게 연결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일류벽(溢流壁)(14)은 두께가 얇아 서로 상하로 겹쳐져도 그에 따른 높이 차는 미묘하여 영향을 주지 않는다.
도 3은 도 2의 I-I선 방향에 따른 사용상태 단면도이다.
도면 표시와 같이 상기 끼움용 곡부(13)들을 구비하는 측벽들은 다른 측벽에 비해 높이가 낮게 형성된 일류벽(溢流壁)(14)을 이룬다. 따라서 상기 일류벽(溢流 壁)(14)은 양액이 상기 수용실(11)에 가득 차게 될 경우 그 양액이 상기 끼움용 곡부(13)에 의해 연결된 서로 다른 상기 육묘판 받침용 트레이(10)로 유출되도록 안내하기 위한 일류로(溢流路)를 형성하는 것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육묘판 받침용 트레이의 제2실시 예를 표시한 사시도이다.
도면 표시와 같이 본 고안의 육묘판 받침용 트레이(10)의 제2실시 예는 상기 트레이 본체(12)의 측벽부들 중 3개의 측벽의 상단이 둥근 곡부를 갖는 일류벽(溢流壁)(14)을 이루고 나머지 하나의 측벽부는 상기 일류벽(溢流壁)(14)들보다 높이가 비교적 높은 측벽을 이룬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육묘판 받침용 트레이의 제3실시 예를 표시한 사시도이다.
도면 표시와 같이 본 고안의 육묘판 받침용 트레이(10)의 제3실시 예는 상기 트레이 본체(12)의 측벽부들 중 직각으로 접하는 2개의 측벽의 상단이 둥근 곡부를 갖는 일류벽(溢流壁)(14)을 이루고 나머지 2개의 측벽부들은 상기 일류벽(溢流壁)(14)들보다 높이가 비교적 높은 측벽을 이룬다.
도 6은 본 고안의 상기 실시 예에 따른 육묘판 받침용 트레이들을 조립된 상태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면 표시와 같이 상기 제2실시 예와 제3실시 예는 제1실시 예와 특성과 성질이 거의 동일하며 단지 차이점은 상기 육묘판 받침용 트레이(10)들이 사방으로 서로 연결되었을 시 상기 제2실시 예는 그 측단에 위치하여 높이가 비교적 높은 측 벽이 외측으로 배치되게 함으로써 공급되는 양액이 외부로 유출되지 않게 하는 마감재 역활을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3실시 예는 연결된 상기 육묘판 받침용 트레이(10)들의 모서리 부분에 위치하여 상기 제2실시 예과 같이 마감재 역활을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상기 제1, 제2, 제3실시 예의 육묘판 받침용 트레이(10)들을 서로 연결 설치하면 연결된 상기 육묘판 받침용 트레이(10) 중 어느 하나에 양액을 공급하면 연결된 전체 상기 육묘판 받침용 트레이(10)로 양액을 공급할 수 있기 때문에 양액의 공급 및 관리가 아주 편리하여 인력 및 소용 비용을 절약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육묘판 받침용 트레이의 제4실시 예를 표시한 사시도이다.
도면 표시와 같이 본 고안의 육묘판 받침용 트레이의 제4실시 예는 상기 트레이 본체(12)의 측벽부들 중 서로 마주보는 2개의 측벽의 상단이 둥근 곡부를 갖는 일류벽(溢流壁)(14)을 이루고 나머지 2개의 측벽부들은 상기 일류벽(溢流壁)(14)들보다 높이가 비교적 높은 측벽을 이룬다.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육묘판 받침용 트레이의 제5실시 예를 표시한 사시도이다.
도면 표시와 같이 본 고안의 육묘판 받침용 트레이의 제5실시 예는 상기 트레이 본체(12)의 측벽부들 중 한 개의 측벽의 상단이 둥근 곡부를 갖는 일류벽(溢流壁)(14)을 이루고 나머지 3개의 측벽부들은 상기 일류벽(溢流壁)(14)들보다 높이가 비교적 높은 측벽을 이룬다.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제4내지 5실시 예의 육묘판 받침용 트레이를 조립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면 표시와 같이 상기 제4실시 예와 제5실시 예는 제1실시 예와 특성과 성질이 거의 동일하며 단지 차이점은 상기 육묘판 받침용 트레이(10)들이 일 열을 이루게 서로 연결되었을 시 상기 제4실시 예의 육묘판 받침용 트레이(10)가 서로 연결되어 일 열로 연속으로 배열되고 그 연결된 상기 육묘판 받침용 트레이(10)의 양단에는 제5실시 예의 육묘판 받침용 트레이(10)가 연결되게 설치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상기 제4, 제5실시 예의 육묘판 받침용 트레이(10)들을 서로 연결 설치하고 끝단에 위치한 제5실시 예의 육묘판 받침용 트레이(10) 중 하나에 양액을 공급하면 높이가 낮게 형성된 1개의 일류벽(溢流壁)(14)으로 양액이 흘러가도록 나머지 측벽은 마감재 역할을 하게 된다. 이렇게 공급된 양액은 상기 제5실시 예의 육묘판 받침용 트레이(10)와 연결된 상기 제4실시 예의 육묘판 받침용 트레이(10)로 흘러가가는데 그 제4실시 예의 육묘판 받침용 트레이(10)의 외측에 위치한 마주보는 측벽들은 다른 측벽들보다 비교적 높이가 높아 마감재 역할을 한다. 따라서 양액은 연속적으로 연결된 제4실시 예의 육묘판 받침용 트레이(10)를 따라 흘러가 마지막에 위치한 제5실시 예의 육묘판 받침용 트레이(10)로까지 흘러가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방식으로 제1, 제2, 제3실시 예의 육묘판 받침용 트레이(10)와 같은 특성과 효과를 갖는다.
상기 트레이 본체(12)의 저면 모퉁이 부근에는 상기 수용실(11)에 저류된 양액을 배출할 시 그 양액의 배출을 안내하는 양액 회수용 회수공(20)이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양액 회수용 회수공(20)은 그 양액 회수용 회수공(20)을 개봉해 상기 양액이 배출되게 하거나 상기 양액이 상기 수용실(11)에 저류할 수 있도록 상기 양액 회수용 회수공(20)을 폐쇄할 수 있게 하는 덮개(23)를 적어도 1개 이상 갖는다.
상기 덮개(23)는 용액의 배수를 위한 양액 회수용 회수공 등을 개폐하기 위해 기존에 사용되고 있는 다양한 종류의 개폐수단이 사용될 수 있는데 그 중에서 몇 가지만 예를 들어 설명하겠다.
도 10a는 도 3에 표시된 도면부호 "20"을 확대한 단면도이고, 도 10b는 도 10a의 작동상태를 설명한 도면이다.
도면 표시와 같이 상기 덮개(23)는 내부에 공간을 갖고 하부만이 개봉된 원통의 본체(23a)가 상기 양액 회수용 회수공(20)을 관통하여 끼워지고, 상기 양액 회수용 회수공(20)에 끼워진 상기 원통 본체(23a)의 측벽에는 그 측벽을 관통하며 내부 공간과 연락하는 배수용 홈(23b)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원통 본체(23a)의 상단에는 그 원통 본체(23a)보다 넓은 원주를 갖게 돌출된 걸림 턱(23c)이 설치되어 그 걸림 턱(23c)이 상기 트레이 본체(12)의 저면에 걸리게 형성됨으로써 상기 원통 본체(23a)가 상기 양액 회수용 회수공(20)에서 이탈하지 않게 고정한다. 이러한 구성의 상기 덮개(23)는 평상시에는 하중에 의해 상기 덮개(23)가 밑으로 쳐짐으로 해서 상기 배수 홈(23b)을 폐쇄해 상기 수용실(11)에 저류된 양액이 배출되지 않는다. 양액을 배출시키고자 할 시에는 사람이 상기 덮개(23)를 잡아 올림으로 해서 상기 덮개(23)의 배수용 홈(23b)이 상기 수용실(11)로 출몰하여 상기 수용실(11)에 저류된 양액이 상기 배수용 홈(23b)의 안내로 상기 덮개(23)의 원통 본 체(23a)의 내부 공간으로 유도되어 개봉된 상기 내부 공간의 하부를 따라 외부로 배출되게 하는 것이다.
도 11a는 도 10a의 배수구에 대한 다른 실시 예를 도 10a와 동일 방향에서 보아 나타낸 확대 단면도이고, 도 11b는 도 11a의 작동상태를 설명한 도면이다.
도면 표시와 같이 배수구에 대한 다른 실시 예는 상기 양액 회수용 회수공(20)의 주연에는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힌지부(23d)에 의해 연결 설치되어 상기 양액 회수용 회수공(20)을 개폐하는 형태의 뚜껑(23e)이 설치된다. 이러한 구성의 상기 덮개(23)는 상기 뚜껑(23e)을 개폐함으로써 손쉽게 상기 수용실(11)에서 상기 회수공(20)을 통해 하측으로 양액을 배출하거나 상기 수용실(11)에 저류시킨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대량으로 육묘시에도 어느 한곳에의 육묘판으로만 양액을 공급하더라도, 트라이를 따라서 육묘판 각각으로 공급됨으로써 기존에 일일이 육묘판마다 양액을 공급해야만 하는 번거로움과 불편이 해소되는 효과가 있고, 또한 그만큼 양액 공급을 위한 작업시간과 노동력이 줄어들어 육묘에 따른 생산 및 경제력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또 양액의 회수도 편리하여 양액의 재활용도가 높아지는 효과도 있다.

Claims (4)

  1. 육묘판을 올려놓을 수 있게 된 장방형의 기판(基板)부와 그 기판부의 모서리에서 각각 수직으로 입설되어 상기 육묘판에 공급하기 위한 양액 수용홈을 형성하는 측벽부들을 갖는 육묘판 받침용 트레이 본체;
    상기 트레이 본체의 모든 측벽부들 혹은 일부 측벽부들을 상기 육묘판의 높이보다는 낮은 구조를 이루게 하여 상기 육묘판에 공급되는 양액이 인접 배치된 육묘판 받침용 트레이 본체에 공급되게 하는 일류로(溢流路)를 형성하는 일류벽(溢流壁); 및
    상기 일류벽의 상단부위 전체에 걸쳐서 하방으로만 개구되는 홈을 이루어, 인접배치되는 육묘판 받침용 트레이 본체의 일류벽에 탈착되게 끼움 연결할 수 있게 한 끼움용 곡부를 포함하는 육묘판 받침용 트레이.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 본체의 기판에는 덮개를 갖는 양액 회수용 회수공이 더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육묘판 받침용 트레이.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의 일 부위는 상기 회수공의 주연에 회동가능하게 연결한 힌지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묘판 받침용 트레이.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에는 배수용 홈이 더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육 묘판 받침용 트레이.
KR2020060020067U 2006-07-25 2006-07-25 육묘판 받침용 트레이 KR20042906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0067U KR200429064Y1 (ko) 2006-07-25 2006-07-25 육묘판 받침용 트레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0067U KR200429064Y1 (ko) 2006-07-25 2006-07-25 육묘판 받침용 트레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29064Y1 true KR200429064Y1 (ko) 2006-10-17

Family

ID=417774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20067U KR200429064Y1 (ko) 2006-07-25 2006-07-25 육묘판 받침용 트레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29064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01454A (ko) 2021-01-11 2022-07-19 나미희 개별 점적관수식 육묘 포트 세트
KR20230016115A (ko) 2021-07-23 2023-02-01 이화성 지피포트를 이용한 저면관수식 육묘방법 및 저면관수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01454A (ko) 2021-01-11 2022-07-19 나미희 개별 점적관수식 육묘 포트 세트
KR20230016115A (ko) 2021-07-23 2023-02-01 이화성 지피포트를 이용한 저면관수식 육묘방법 및 저면관수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30232872A1 (en) Hydroponic growing system
TWI321034B (ko)
US20080034654A1 (en) Planting device and planting structure for plants
TW201538071A (zh) 栽植單元及栽植器具
KR101452278B1 (ko) 분무경재배 시스템
TW201404294A (zh) 栽種裝置
CN208029823U (zh) 植物栽培柜
US11266078B2 (en) Seedling raising device, supporting device and cell plug for use in seedling raising device
KR20130017139A (ko) 수경 재배장치
US9445550B2 (en) Vertical garden systems and methods
KR200429064Y1 (ko) 육묘판 받침용 트레이
US20220264807A1 (en) Plant container for greening walls and a greening wall
CN103039285B (zh) 具有活动单元的墙面绿化系统及其安装方法
CN205830509U (zh) 一种组合式植物种植盒与种植模块
JP2009082102A (ja) 緑化ユニットおよび緑化システムならびに植栽ホルダーおよび収納コンテナ
CN102523972B (zh) 抽屉式花箱
JP5259330B2 (ja) 育苗箱ホルダー
ITPD20060246A1 (it) Contenitore modulare per la germinazione e/o lo stoccaggio di piantine
KR200367512Y1 (ko) 접시형의 하부 급수식 화분받침용 상자
CN206101198U (zh) 水培槽装置
CN217523514U (zh) 一种床式栽培架
JPH0753478Y2 (ja) 植物栽培装置
KR20160109298A (ko) 딸기 모종용 포트
JP2013013342A (ja) 植栽容器
CN219108302U (zh) 一种花卉种植用育苗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1013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