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23025Y1 - Puzzle for children - Google Patents

Puzzle for childre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23025Y1
KR200423025Y1 KR2020060005691U KR20060005691U KR200423025Y1 KR 200423025 Y1 KR200423025 Y1 KR 200423025Y1 KR 2020060005691 U KR2020060005691 U KR 2020060005691U KR 20060005691 U KR20060005691 U KR 20060005691U KR 200423025 Y1 KR200423025 Y1 KR 20042302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zzle
pieces
image
user
bab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05691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원구
Original Assignee
이원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원구 filed Critical 이원구
Priority to KR202006000569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23025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2302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23025Y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9/00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9/06Patience; Other games for self-amusement
    • A63F9/10Two-dimensional jig-saw puzzl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9/00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9/06Patience; Other games for self-amusement
    • A63F9/10Two-dimensional jig-saw puzzles
    • A63F2009/1016Two-dimensional jig-saw puzzles the pieces having additional connections, i.e. in addition to the connection by the jig-saw shapes

Abstract

본 고안은 상기 퍼즐조각은 다각형의 판형태이며, 그 전면에 제1이미지부와 제1공간부가 형성되고, 상기 퍼즐조각의 테두리에는 복수개의 결합돌출부와 복수개의 결합삽입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나 이상의 퍼즐조각을 포함하는 유아용퍼즐에 관해 개시한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uzzle piece has a polygonal plate shape, and a first image part and a first space part are formed on a front surface thereof, and a plurality of coupling protrusions and a plurality of coupling inserting parts are formed on the edge of the puzzle piece. Disclosed is a baby puzzle comprising the above puzzle pieces.

이에 따라, 본 고안에 따른 유아용퍼즐의 구성에 의하면 퍼즐을 이용한 놀이과정에서 유아의 상상력과 창의력 및 논리력을 자연스럽게 향상시킬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Accordingly, 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of the baby puzz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effect that can naturally improve the imagination, creativity and logic of the infant in the play process using the puzzle.

유아용퍼즐, 퍼즐조각, 제1이미지부, 제1공간부 Children's puzzles, puzzle pieces, the first image part, the first space part

Description

유아용 퍼즐{PUZZLE FOR CHILDREN}Baby Puzzles {PUZZLE FOR CHILDREN}

도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하나 이상의 퍼즐조각을 포함하는 유아용퍼즐의 평면도. 1 is a plan view of a baby puzzle including one or more puzzle piec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의 저면도.2 is a bottom view of FIG. 1.

도 3은 은 본 고안에 따른 유아용 퍼즐을 구성하는 퍼즐조각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도면.Figure 3 is a view showing a combined state of the puzzle pieces constituting the baby puzz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 및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유아용 퍼즐의 사용상태도. 4 and 7 is a state of use of the baby puzz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Code Description of Main Parts of Drawing>

100, 200, 300; 퍼즐조각의 전면 100',200',300'; 퍼즐조각의 후면
150, 250, 350; 제1이미지부 150', 250', 350'; 제2이미지부
100, 200, 300; The front of the puzzle piece 100 ', 200', 300 '; Back of puzzle pieces
150, 250, 350; First image portions 150 ', 250', 350 '; Second Image

170, 270, 370; 제1공간부 170', 270', 370'; 제2공간부 170, 270, 370; First space portions 170 ′, 270 ′, 370 ′; Second space part

110, 210, 310; 결합돌출부 130, 230, 330; 결합삽입부110, 210, 310; Coupling protrusions 130, 230, and 330; Insert

본 고안은 이야기 퍼즐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상상력, 창의력 및 논리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유아용퍼즐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ory puzzle, and more particularly, to a baby puzzle that can improve the user's imagination, creativity and logic.

일반적으로, 퍼즐은 어려운 문제 또는 생각하게 하는 문제를 뜻하는 것으로, 넓은 의미로는 학문적인 것보다 놀이로 풀어보는 '수수께끼' 전반을 가리킨다.In general, puzzles refer to difficult or thought-prone problems, and broadly refer to the whole 'mystery' that is solved by play rather than academic.

이와 동일한 퍼즐은 크로스워드퍼즐로 대표되는 언어 퍼즐과 수학 퍼즐이 있다. 수학 퍼즐이란 수학과 관계있는 수수께끼 또는 알아맞히기로서 일반 사람이라도 흥미를 가지고 문제를 풀거나, 해답을 알고 싶어하거나, 풀어나가는 방법을 보고 감탄하거나 하는 등 매력 있는 문제를 말한다. 즉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수학에 관계되는 것으로서 많은 예제를 생각할 수 있다.These same puzzles include language puzzles and math puzzles represented by crossword puzzles. Math puzzles are mathematics-related riddles or guessing problems that are appealing to the average person, such as interesting, solving problems, wanting to know the answers, or admiring how to solve them. That is, many examples can be thought of as directly or indirectly related to mathematics.

이러한, 퍼즐은 많은 종류가 있으며 언어, 수학, 도형뿐만 아니라 다양한 이미지의 사진을 그림 맞추기 형태로 이미지를 종합하는 능력을 발전시키는 이미지 조각 퍼즐을 사용하고 있다.There are many kinds of such puzzles, and image puzzles are developed that develop not only language, mathematics, and shapes, but also the ability to synthesize images in the form of picture matching of various images.

상기와 같은, 이미지 조각을 맞추는 퍼즐은 단지 전체적인 이미지를 여러 가지 조각으로 나눈 다음에 원본의 형태를 보면서 이미지를 기억하고 나누어진 조각의 위치에 퍼즐 조각을 안치시켜 하나의 이미지를 완성하는 것이다. As described above, the puzzle that fits the image pieces simply divides the whole image into several pieces, then looks at the shape of the original, memorizes the image, and places the puzzle pieces in place of the divided pieces to complete one image.

그러나 유아들이 사용하는 퍼즐은 숫자나 문자에 호기심을 갖고 스스로 이해하며 익히기 위한 놀이 도구 중 하나이다. 즉, 퍼즐 판에 인쇄되어 있는 숫자, 문자, 그림을 눈으로 보면서 퍼즐을 맞추어가며 즐기고 놀이를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However, the puzzles that children use are one of the play tools for children who are curious about numbers or letters and understand and learn by themselves. In other words, while watching the numbers, letters, and pictures printed on the puzzle board with the eyes to match the puzzle to enjoy and play.

그런데 종래의 퍼즐은 그 위에 이미 완성된 숫자, 문자 또는 그림이 인쇄된 상태로 표시되어 있어 지능이 발달 되지 않은 유아 및 어린이는 유치원이나 가정에서 가르치는 단순한 문자나 그림 인쇄물로서는 주입식 교육이 되어 교육방법이 단조롭고 학습효율이 떨어지고 쉽게 싫증을 내며, 유아의 창의력 향상에는 도움이 되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다.However, conventional puzzles are printed with numbers, letters, or pictures already completed on them, so that infants and children who are not advanced in intelligence are injectable education as simple letters or pictures printed in kindergarten or home. There was a problem of monotonous, poor learning efficiency, easily get tired, and do not help the creativity of children.

또한 상기 숫자, 문자 또는 그림은 단지 눈으로 볼 수 있는 것이어서 유아나 어린이가 스스로 문자나 숫자를 쓰고 그림을 그릴 수 있는 학습교재로서는 적합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the numbers, letters or pictures are only visible to the eye, there was a problem that is not suitable as a teaching material for infants and children to write letters and numbers by themselves and draw pictures.

따라서, 본 고안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한 것으로써, 본 고안의 목적은 퍼즐놀이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사용자의 상상력 및 창의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유아용 퍼즐을 제공함에 있다.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such a problem,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uzzle for a child that can naturally improve the imagination and creativity of the user during the puzzle play process.

모티부 제공 역할을 하는 이미지부가 형성된 퍼즐조각에 자신이 상상한 것을 글이나 그림으로 표현할 수 있는 공간부가 형성되어 사용자 자신만의 독특한 퍼즐조각을 만들 수 있는 유아용 퍼즐을 제공한다. It provides a puzzle for children to create their own unique puzzle pieces by forming a space part that can express one's imagination in writing or drawing on a puzzle piece formed with an image part serving as a motif.

또한, 본 고안은 새로운 퍼즐조각을 연결함에 따라, 새로운 논리를 세워갈 수 있도록 하기 때문에 자연스럽게 사용자의 논리력이 향상시킬 수 있는 즉, 사용자가 자신이 완성한 퍼즐조각을 서로 결합, 해체하면서 자신만의 긴 스토리를 구성할 수 있는 유아용 퍼즐을 제공한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the user to build a new logic by connecting new puzzle pieces, so that the user's logic can be naturally improved, that is, the user can combine and disassemble the puzzle pieces that he / she completed, Provides toddler puzzles for organizing stories.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하나 이상의 퍼즐조각을 포함하는 유아용퍼즐은 상기 퍼즐조각은 다각형의 판형태이며, 그 전면에 제1이미지부와 제1공간부가 형성되고, 상기 퍼즐조각의 테두리에는 복수개의 결합돌출부와 복수개의 결합삽입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Baby puzzles comprising one or more puzzle piec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puzzle pieces are in the form of a polygonal plate, the first image portion and the first space is formed on the front, the edge of the puzzle pieces It characterized in that a plurality of coupling projections and a plurality of coupling insertion portion is formed.

상기 퍼즐조각은 그 후면에 제2이미지부와 제2공간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1 공간부와 상기 제2공간부는 서로 다른 색상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puzzle piece has a second image portion and a second space portion formed on a rear surface thereof, and the first space portion and the second space portion are configured in different colors.

상기 퍼즐조각은 정사각형의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puzzle pieces are characterized in that the shape of the square.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유아용퍼즐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for the baby puzz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하나 이상의 퍼즐조각을 포함하는 유아용 퍼즐의 평면도이다.1 is a plan view of a baby puzzle comprising one or more puzzle piec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하나 이상의 퍼즐조각(100, 200, 300)을 포함하는 유아용 퍼즐의 상기 퍼즐조각은 다각형의 판형태이며, 그 전면에 형성된 제1이미지부(150, 250, 350)와 제1공간부(170, 270, 370)가 형성되어 있다. As illustrated in FIG. 1, the puzzle pieces of the infant puzzle including one or more puzzle pieces 100, 200, and 3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in the form of a polygonal plate and have a first image part formed on the front surface thereof. 150, 250, and 350 and the first space portions 170, 270, and 370 are formed.

상기 퍼즐조각의 테두리에는 복수개의 결합돌출부(110,210,310) 즉, 제1결합돌출부(111,211,311), 제2결합돌출부(112,212,312)와 복수개의 결합삽입부(130,230,330) 즉, 제1결합삽입부(131,231,331), 제2결합삽입부(132,232,332)가 형성되어 상기 하나 이상의 퍼즐조각들(100, 200, 300)이 결합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The plurality of coupling protrusions 110, 210 and 310, that is, the first coupling protrusions 111, 211 and 311, the second coupling protrusions 112, 212 and 312 and the plurality of coupling insertion portions 130, 230 and 330, that is, the first coupling insertion portions 131, 231 and 331, are formed on the edges of the puzzle pieces. Second coupling inserting parts 132, 232 and 332 are formed so that the one or more puzzle pieces 100, 200 and 300 can be combined.

즉, 사용자는 퍼즐조각 A(100)의 제1결합삽입부(131)에 퍼즐조각 B(200)의 제1결합돌출부(212)를 끼워 넣음으로써 상기 두개의 퍼즐조각(100, 200)이 결합된다. 이때,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퍼즐조각 C(300)의 제1결합돌출부(311)를 퍼즐조각 A(100)의 제2결합삽입부(132)나 퍼즐조각B(200)의 제1결합삽입부(231)에 끼워 넣음으로써 2개 또는 3개 이상의 퍼즐조각이 하나로 연결되도록 할 수 있다.That is, the user inserts the first coupling protrusion 212 of the puzzle piece B 200 into the first coupling insertion part 131 of the puzzle piece A 100, thereby combining the two pieces of puzzle 100 and 200. do. In this case, the first coupling protrusion 311 of the puzzle piece C 300 may be replaced by the second coupling inserting part 132 of the puzzle piece A 100 or the first coupling inserting part of the puzzle piece B 200 according to a user's selection. By inserting into 231, two or three or more puzzle pieces may be connected as one.

한편, 도 2는 도 1의 저면도로서, 도 1과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인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퍼즐조각(100)의 후면(100',200',300')에도 다양한 형상의 이미지를 포함하는 제2이미지부(150',250',350')와 빈 공간인 제2공간부(170',270',370')를 형성된다.
이때, 도 1에 도시된 제1이미지부(150,250,350)와 도 2에 도시된 제2이미지부(150',250',350')를 형성하는 이미지를 서로 다르게 구성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전면과 후면에 형성된 서로 다른 이미지의 새로운 결합에 의해 자신이 상상한 것을 표현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창의력을 한층 더 향상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전면(100,200,300)과 후면(100',200',300')을 서로 다른 색상으로 구성함이 더 바람직하다.
도 2에서, 도 1과 동일한 구성요소인 결합돌출부(110,210,310) 및 결합삽입부(130,230,330)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FIG. 2 is a bottom view of FIG. 1, and the same components as in FIG. 1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shown in FIG. 2, the second image unit 150 ′, 250 ′, 350 ′ and the bin including images of various shapes are also included on the back surfaces 100 ′, 200 ′, and 300 ′ of the puzzle piece 100. Second space portions 170 ′, 270 ′, and 370 ′ which are spaces are formed.
At this time, the image forming the first image unit 150,250,350 shown in FIG. 1 and the second image unit 150 ', 250', 350 'shown in FIG. It is desirable to improve the user's creativity by being able to express one's imagination by a new combination of different images formed. At this time, it is more preferable that the front (100, 200, 300) and the rear (100 ', 200', 300 ') are configured in different colors.
In FIG. 2, descriptions of the coupling protrusions 110, 210, and 310 and the coupling insertion units 130, 230, and 330, which are the same components as those of FIG. 1, are omitted.

도 3을 참조하여 이미지부와 공간부에 대해 자세히 설명한다. 도 3은 은 본 고안에 따른 유아용 퍼즐을 구성하는 퍼즐조각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도 1과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부호를 붙인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이미지부(150,250,350)는 동식물을 포함한 다양한 사물, 사람 또는 이것들을 단순화하여 표현한 그림 등의 이미지 또는 숫자, 문자, 간단한 문장 등으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제1이미지부(150,250,350)를 구성하는 이미지는 사용자로 하여금 자신만의 상상력을 발휘하여 독특하고 창의적인 스토리를 구성할 수 있도록 하는 특정 모티브를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An image unit and a space uni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3. 3 is a view showing a coupling state of the pieces of the puzzle constituting the puzzle for childre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ame components as in Figure 1 are give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shown in FIG. 3, the first image unit 150, 250, 350 is composed of various objects, including animals and plants, people, or images such as a simplified representation of these or numbers, letters, simple sentences, and the like. At this time, the image constituting the first image unit (150, 250, 350) serves to provide a specific motif that allows the user to compose his own imagination to compose a unique and creative story.

상기 제1공간부(170,270,370)는 빈 공간으로서, 사용자가 상기 제1이미지부(150,250,350)를 보고 상상한 것을 글이나 그림으로 표현하는 곳이다. 이때, 부모나 선생님 등의 보조사용자는 "이건 뭘까? 뭘하고 있는 걸까?" 또는 인쇄된 이미지와 연관된 과거 사건 등에 관한 다양한 질문을 통하여 사용자의 상상력을 자극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자신만의 창의적인 스토리를 만들고 그것을 말로 표현하는 과정에서보다 논리적으로 사고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first spaces 170, 270, and 370 are empty spaces, where the user views the first image units 150, 250, and 350 and expresses them in writing or pictures. At this time, the assistant user, such as parents or teachers, "What is this? What are you doing?" Or by stimulating the user's imagination through a variety of questions about past events and the like associated with the printed image, it is desirable to help the user to think more logically in the process of creating your own creative story and express it in words.

또한, 사용자가 자신의 상상한 것을 글이나 그림으로 제1이미지부(150,250,350)에 표현한 후에 대화하면서 그 내용을 다시 한번 말로 표현할 수 있는 기회를 주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서로 다른 사용자가 동일한 제1이미지부(150,250,350)를 사용하여 제1공간부(170,270,370)에 자신이 상상한 것을 표현한 후에는 자신만의 스토리를 발표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과정을 통하여 서로 무슨 생각을 하고 있는지, 무는 일이 일어났는지, 기분이 어떤지 알 수 있게 되고, 사용자들은 이와 같은 이야기를 나누면서 서로를 더 잘 이해하게 된다. In addition, it is more preferable that the user expresses his or her imagination in the first image unit 150, 250, 350 as a writing or a picture, and then gives a chance to express the contents once again while talking. After different users express their imaginations in the first space units 170, 270 and 370 using the same first image units 150, 250 and 350, it is more preferable to provide an opportunity to present their own stories. Through the above process, it is possible to know what they are thinking about each other, what is biting, and how they are feeling, and users can understand each other better by talking like this.

즉, 본 고안의 유아용 퍼즐은 종래의 퍼즐들과 같이 여러 개의 조각들로 구성된 정답이 이미 정해진 이미지를 맞추기 위해 사용자가 상기 조각들을 제자리에 위치시켜 하나의 완성된 퍼즐판을 만드는 것이 아니라, 상기 제1이미지부(150,250,350)에 형성된 이미지로부터 자신이 상상한 것을 상기 제1공간부(170,270,370)에 글이나 그림으로 표현하여 자신만의 독특한 이야기 퍼즐을 만드는 것에 그 특징이 있다. In other words, in the infant puzzl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does not make the completed puzzle board by placing the pieces in place in order to match an image in which a correct answer composed of several pieces is already determined as in the conventional puzzles. It is characterized by making his own unique story puzzle by expressing his or her imagination from the image formed in the first image unit 150, 250, 350 as a text or a picture in the first space unit 170, 270, 370.

한편, 도 1 내지 도 3에서는 상기 복수개의 결합돌출부(110,210,310)를 모서리를 둥글린 사다리꼴 형상, 결합삽입부(130,230,330)도 그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구성하였으나, 이는 퍼즐조각의 제작 및 사용의 용이성을 고려한 한가지 예시에 불과하며, 상기 결합돌출부(110,210,310) 및 결합삽입부(130,230,330)의 형상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다. Meanwhile, in FIGS. 1 to 3, the plurality of coupling protrusions 110, 210, and 310 are formed in a trapezoidal shape with rounded corners, and the coupling inserting portions 130, 230, and 330 also have corresponding shapes, but considering the ease of manufacture and use of puzzle pieces. Only one example, and there is no particular limitation on the shape of the coupling protrusions 110, 210, and 310 and the coupling insertion units 130, 230, and 330.

또한, 상기 퍼즐조각은 정사각형인 것이 바람직하나, 상기 퍼즐조각의 형상에는 정삼각형, 정오각형, 정육각형, 직사각형 등 특별한 제한이 없이 사용자가 놀이하기에 편리한 다각형의 판형태이면 충분하다.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puzzle pieces are square, but the shape of the puzzle pieces may be a polygonal plate shape which is convenient for the user to play without particular limitations such as regular triangle, regular pentagon, regular hexagon, and rectangle.

뿐만 아니라, 상기 퍼즐조각의 재질도 사용자가 연필, 색연필, 볼펜, 싸인펜, 크레파스나 물감 등으로 글이나 그림을 표현할 수 있는 것이면, 그 재질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다. In addition, the material of the puzzle piece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the user can express the writing or drawing with a pencil, colored pencil, ball pen, sign pen, crayons, paints, and the like.

도 4 및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유아용 퍼즐의 사용상태도로서, 도 4 내지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여러 개의 조각을 포함하는 유아용퍼즐 중, 사용자가 서로 다른 제1이미지부가 형성된 2개 또는 3개의 퍼즐조각을 스스로 선택, 사용하여 만든 유아용 퍼즐의 사용상태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일한 조각을 사용하더라도 사용자마다 서로 다른 스토리를 구성하고, 이를 글이나 그림으로 표현하는 것을 볼 수 있다. 3개 이상의 퍼즐조각을 사용하여 보다 논리적이고 긴 스토리를 구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4 and 7 are diagrams illustrating the use state of the infant puzz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4 to 7 are two or three of the children's puzzles including several piec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is is a state diagram of the use of puzzles for children made by selecting and using pieces of the puzzles themselves.
As shown in these drawings, even if the same pieces are used, different users can compose different stories and express them in writing or pictures. Of course, more than three puzzle pieces can be used to compose a more logical and long story.

이때, 보조사용자는 사용자가 각각의 퍼즐조각에 자신이 상상한 것을 글이나 그림으로 표현한 후에 상기 퍼즐조각을 결합한 후에, 다양한 질문을 하고 그에 대한 피드백을 요청하는 등 함께 이야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사용자는 대화과정에서 자연스럽게 논리적 구성을 만들어 가면서 자신만의 긴 스토리가 있는 퍼즐을 만들 수 있게 된다. 물론 사용자는 상기 결합된 퍼즐을 해체한 후에 다시 그 배열을 달리하여 새로운 논리로 또다른 독특한 구성의 스토리를 만들 수 있다. 이때, 보조사용자는 상기와 같은 놀이가 보다 효과적으로 진행될 수 있도록 적절한 질문을 하되 보조사용자 자신의 생각을 가용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At this time, the auxiliary user is preferred to talk together, such as asking a variety of questions and ask feedback for the user after combining the puzzle pieces after the user expresses his or her imagination in each puzzle piece. The user is able to create a puzzle with his own long story while naturally creating a logical composition in the dialogue process. Of course, the user can disassemble the combined puzzle and change the arrangement again to create another unique story with new logic.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auxiliary user asks an appropriate question so that the play can be more effectively performed, but does not use the idea of the auxiliary user.

그러나, 보조사용자는 사용자에게 다양한 제1이미지부로 구성된 여러 개의 퍼즐조각을 동시에 제시하고, 사용자 자신이 원하는 퍼즐조각을 선택한 후에 스스로 그 배열을 다양하게 변화시켜 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함이보다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앞뒤에 위치하게 될 퍼즐조각의 제1이미지부 또는 제2이미지부가 무엇인지, 즉 이웃하는 이미지가 무엇인지에 따라 사용자의 상상력을 자극하는 모티브 자체가 다양하게 변화할 수 있어 동일한 퍼즐조각을 사용하는 경우라도 그 배열에 따라 매우 다양한 스토리를 구성할 수 있기 때문이다. However, it is more preferable that the auxiliary user simultaneously presents the user with a plurality of puzzle pieces composed of various first image parts, and provides the user with an opportunity to vary the arrangement by himself or herself after selecting a desired puzzle piece. Because, depending on what is the first image portion or the second image portion of the puzzle pieces to be located before and after, that is, the neighboring image, the motif itself that stimulates the user's imagination can be changed in various ways, the same puzzle pieces Even if you use it, you can compose a wide variety of stories according to the arrangement.

본 고안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당분야에서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내에서 많은 변형에 의한 실시가능함은 명백하다. It is apparent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s and can be implemented by many modifications within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by those skilled in the art.

이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유아용퍼즐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Thus, the baby puzz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following effects.

우선, 사용자가 퍼즐조각의 제1이미지부에 인쇄된 이미지로부터 상상한 것을 제1이미지부에 글이나 그림으로 표현하여 자신만의 독특한 퍼즐조각을 만들 수 있다. 즉, 본 고안의 제1이미지부는 모티부를 제공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동일한 퍼즐조각을 사용하더라도 사용자마다 자신만의 독특한 퍼즐조각을 만들 수 있으므로, 본 고안에 따르면 퍼즐놀이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사용자의 상상력 및 창의력을 향상 시킬 수 있다. First, the user may express his or her imagination from the image printed on the first image part of the puzzle piece by writing or drawing on the first image part to make his own unique puzzle piece. That is, the first image part of the present invention serves to provide a morty part, and even if the same puzzle piece is used, each user can make their own unique puzzle pie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s imagination and Improve your creativity.

또한, 본 고안의 유앙용퍼즐은 종래의 여러 개의 조각에 나뉘어서 인쇄된 이미 완성된 그림을 사용자가 각 퍼즐조각을 제자리에 위치시켜 정답을 맞추는 것이 아니라, 사용자가 자신이 완성한 퍼즐조각을 서로 결합, 해체하면서 자신만의 긴 스토리를 구성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와 같은 놀이 과정에서 퍼즐조각들의 연결에 따라, 새로운 논리를 세워갈 수 있도록 하기 때문에 자연스럽게 사용자의 논리력이 향상된다. In addition, the puzzle puzzl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divided by the user to place each puzzle piece in place to match the correct answer to the already completed picture printed by dividing into a number of conventional pieces, the user combines the puzzle pieces that he completed, While dismantling, you can compose your own long story. In this play process, according to the connection of the puzzle pieces, it is possible to build a new logic naturally improves the logic of the user.

또한, 각각의 퍼즐조각의 색상을 서로 다르게 구성하거나, 동일한 퍼즐조각의 전면과 후면에 서로 다른 이미지가 인쇄된 이미지부를 형성하여 사용자의 창의력을 한층 더 향상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the colors of each puzzle piece may be configured differently, or an image unit having different images printed on the front and rear surfaces of the same puzzle piece may be further improved.

Claims (3)

하나 이상의 퍼즐조각을 포함하는 유아용퍼즐에 있어서, In the baby puzzle containing one or more puzzle pieces, 상기 퍼즐조각은 다각형의 판형태이며, 그 전면(100, 200, 300)에 제1이미지부(150, 250, 350)와 제1공간부(170, 270, 370)가 형성되고, The puzzle pieces have a polygonal plate shape, and first image parts 150, 250, and 350 and first space parts 170, 270, and 370 are formed on the front surfaces 100, 200, and 300. 상기 퍼즐조각의 테두리에는 복수개의 결합돌출부(110, 210, 310)와 복수개의 결합삽입부(130, 230, 330)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퍼즐. A puzzle for a baby, characterized in that a plurality of coupling protrusions (110, 210, 310) and a plurality of coupling insertion parts (130, 230, 330) are formed on the edge of the puzzle piece. 제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퍼즐조각은 그 후면(100', 200', 300')에 제2이미지부(150', 250', 350')와 제2공간부(170', 270', 370')가 형성되고, 상기 제1공간부(170, 270, 370)와 상기 제2공간부(170', 270', 370')는 서로 다른 색상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퍼즐. The puzzle pieces have second image parts 150 ', 250' and 350 'and second space parts 170', 270 'and 370' formed on their back surfaces 100 ', 200' and 300 ', The first space portion (170, 270, 370) and the second space portion (170 ', 270', 370 ') is a baby puzzle,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in different colors. 제2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2, 상기 퍼즐조각은 정사각형의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퍼즐. The puzzle piece is a baby puzzle, characterized in that the shape of the square.
KR2020060005691U 2006-03-02 2006-03-02 Puzzle for children KR200423025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5691U KR200423025Y1 (en) 2006-03-02 2006-03-02 Puzzle for childr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5691U KR200423025Y1 (en) 2006-03-02 2006-03-02 Puzzle for childre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23025Y1 true KR200423025Y1 (en) 2006-08-02

Family

ID=417716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05691U KR200423025Y1 (en) 2006-03-02 2006-03-02 Puzzle for childre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23025Y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32831A (en) 2019-09-17 2021-03-25 최나래 Augmented reality smart toy system for child educatio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32831A (en) 2019-09-17 2021-03-25 최나래 Augmented reality smart toy system for child educa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Britannica Me and You
Vankúš Didactic games in mathematics
Bruce The importance of play
Zuckerman Historical overview and classification of traditional and digital learning objects
KR200423025Y1 (en) Puzzle for children
KR20190043707A (en) A block play set with a play sheet for promoting creativity and the play method thereof
KR101302538B1 (en) Puzzle for language education
McNamee Museum readiness: Preparation for the art museum (ages 3–8)
Cote Children's Perception of the Learning Value of Play
Nazarova Development of painting skills in preschool children in fine arts classes
Grossman Enhancing the self
Kabát et al. Virtual Reality Games and Environmental Awareness
Shkhaliyeva Organization of corners or centers in pre-school education institutions
Troutman Positioning Play as Abolition
Goltz et al. Children’s storytelling in virtual worlds: A critique
KR200374032Y1 (en) Learning card for playing puzzle
AU2008207385B2 (en) An apparatus and method for evoking a descriptive narrative storyline from a subject person
Imre Virtuality and Development: Philosophical, Aesthetic, Psychological and Pedagogical aspects
WO2023033774A1 (en) Multipurpose educational material
KR20200120061A (en) Double-sided puzzle with play means
Kubisova In an era of screen-based technology, can cardboard toys encourage children to engage in hands-on, tactile play and unprogrammed imagination?
Jan Designing new media for new literacy in an arts classroom: A lesson about designed affordance and perceived affordance
Bastianoni The linguistic benefits of using crafts in TEYL
JP2007283056A (en) Building block
Nichols Literacy learning and children's social agendas in the school entry classroo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9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