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16096Y1 - Blowing system for clothes dryer - Google Patents
Blowing system for clothes drye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16096Y1 KR200416096Y1 KR2020060005166U KR20060005166U KR200416096Y1 KR 200416096 Y1 KR200416096 Y1 KR 200416096Y1 KR 2020060005166 U KR2020060005166 U KR 2020060005166U KR 20060005166 U KR20060005166 U KR 20060005166U KR 200416096 Y1 KR200416096 Y1 KR 200416096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lower
- cross flow
- housing
- laundry
- blowing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 238000007664 blowing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3
- 238000001035 dry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5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1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8000009423 ventilation Methods 0.000 abstract 3
- 238000004804 wi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428 dus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7/00—Supporting means, other than simple clothes-lines, for linen or garments to be dried or aired
- D06F57/06—Supporting means, other than simple clothes-lines, for linen or garments to be dried or aired comprising vertical members connected by horizontal bars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7/00—Supporting means, other than simple clothes-lines, for linen or garments to be dried or aired
- D06F57/12—Supporting means, other than simple clothes-lines, for linen or garments to be dried or aired specially adapted for attachment to walls, ceilings, stoves, or other structures or objects
- D06F57/122—Supporting means, other than simple clothes-lines, for linen or garments to be dried or aired specially adapted for attachment to walls, ceilings, stoves, or other structures or objects for attachment by clamping between two retaining-planes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7/00—Supporting means, other than simple clothes-lines, for linen or garments to be dried or aired
- D06F57/12—Supporting means, other than simple clothes-lines, for linen or garments to be dried or aired specially adapted for attachment to walls, ceilings, stoves, or other structures or objects
- D06F57/125—Supporting means, other than simple clothes-lines, for linen or garments to be dried or aired specially adapted for attachment to walls, ceilings, stoves, or other structures or objects for attachment to, or close to, the ceiling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Accessory Of Washing/Drying Machine, Commercial Washing/Drying Machine, Other Washing/Drying Machin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빨래건조기용 송풍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빨래건조기의 하우징 내부를 따라 횡류송풍기가 왕복하도록 하여, 빨래를 거는 건조봉들 전체 영역으로 바람을 고르게 송풍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lowing system for a laundry dryer, and aims to allow the cross flow blower to reciprocate along the inside of the housing of the laundry dryer, so that the air can be evenly blown to the entire area of the drying rods to which the clothes are to be hung.
본 고안의 빨래건조기용 송풍시스템은, 빨래건조기의 건조봉 쪽을 향하는 커버에 전체적으로 송풍그릴이 형성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는 횡류송풍기와; 그리고, 상기 횡류송풍기를 상기 하우징의 내부를 따라 왕복운동시키는 전동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A laundry system for a laundry dry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ousing in which a blowing grill is formed on a cover facing the drying rod side of the laundry dryer; A cross flow blower disposed inside the housing; And a transmission device reciprocating along the inside of the housing.
따라서, 커버의 전체 영역에 송풍그릴이 형성되고, 상기 송풍그릴을 따라 횡류송풍기가 왕복하면서 상기 송풍그릴을 통해 건조봉들에 널린 빨래들 쪽으로 바람을 송풍함으로써, 빨래들 쪽으로 전체적으로 고르게 바람이 송풍될 수 있으므로, 빨래의 건조효율을 높일 수 있다. Therefore, a ventilation grille is formed in the entire area of the cover, and the air flows evenly toward the laundry by blowing the wind toward the laundry hanging on the drying rods through the ventilation grille while the cross flow blower reciprocates along the ventilation grille. Therefore, the drying efficiency of the laundry can be improved.
Description
도 1은, 빨래건조기의 일종인 천장부착형 전동식 빨래건조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eiling-mounted electric laundry dryer that is a type of laundry dryer.
도 2는, 도 1의 전동식 빨래건조대가 천장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where the electric laundry dryer of FIG. 1 is installed on a ceiling.
도 3은, 도 1의 전동식 빨래건조대를 구성하는 커버의 예를 나타내는 저면도이다. FIG. 3 is a bottom view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cover constituting the electric laundry dryer of FIG. 1.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송풍시스템이 천장부착형 전동식 빨래건조대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blow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on the ceiling-mounted electric clothes dryer.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빨래건조기용 송풍시스템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blowing system for a laundry dry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도 5의 부분 확대 사시도이다. 6 is a partially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FIG. 5.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빨래건조기용 송풍시스템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xample of a blowing system for a laundry dry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8 및 도 9는, 각각 바람을 송풍하기 위한 송풍그릴이 형성된 커버를 나타내는 저면도이다. 8 and 9 are bottom views each showing a cover on which a blowing grill for blowing wind is formed.
도 10은, 본 고안에 따른 송풍시스템이 캐비넷형 빨래건조기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10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blow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a cabinet type laundry dryer.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0 : 하우징, 102 : 커버, 100: housing, 102: cover,
106 : 송풍그릴, 108 : 도어, 106: blowing grill, 108: door,
114 : 건조봉, 140 : 횡류송풍기, 114: drying rod, 140: cross flow blower,
141 : 송풍기 케이스, 142 : 토출구, 141: blower case, 142: discharge port,
143 : 횡류팬(Cross Flow Fan), 144 : 팬모터(Fan Motor), 143: Cross Flow Fan, 144: Fan Motor,
145 : 구동풀리, 146 : 종동풀리, 145: driving pulley, 146: driven pulley,
147 : 벨트, 148 : 안내롤러, 147: belt, 148: guide roller,
149 : 안내레일, 150 : 풍향분배덕트, 149: guide rail, 150: wind direction distribution duct,
160 : 히터, 170 : 전동장치, 160: heater, 170: electric motor,
171a, 171b, 171c, 171d : 풀리 172′, 172″ : 와이어, 171a, 171b, 171c, 171d:
172a : 걸림돌기, 173 : 구동축, 172a: locking projection, 173: drive shaft,
174 : 종동축, 175 : 스텝핑 모터(Stepping Motor), 174: driven shaft, 175: stepping motor
180 : 고정장치, 181 : 고정브래킷, 180: fixing device, 181: fixing bracket,
182 : 체결수단, 183 : 슬라이더(Slider)182: fastening means, 183: slider
184 : 개방슬롯(Slot), 190 : 장력유지장치.184: open slot, 190: tension holding device.
본 고안은 빨래건조기용 송풍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빨래건조기의 하 우징 내부를 따라 횡류송풍기(Cross Flow Fan)가 왕복하도록 하여, 빨래를 거는 건조봉들 전체 영역으로 바람을 고르게 송풍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빨래의 건조효율을 높일 수 있고, 또한 천장부착형 빨래건조대 뿐만 아니라 캐비넷형 빨래건조기나 이동식 빨래건조대 등 다양한 형태의 빨래건조기에 효과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빨래건조기용 송풍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lowing system for a laundry dryer, and in particular, to allow the cross flow fan to reciprocate along the inside of the housing of the laundry dryer, thereby allowing the air to be evenly blown to the entire area of the drying rods to which the laundry is dried.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drying efficiency of the laundry, and also relates to a laundry dryer blowing system that can be effectively applied to various types of laundry dryers, such as a cabinet-type laundry dryer or a mobile laundry dryer.
빨래건조시스템의 일례로, 아파트나 일반주택 등 각종 주거지의 실내나 베란다에는, 다양한 형태의 빨래건조기가 설치되어 사용되는데, 그 예로 전동식 빨래건조대가 최근 많이 설치되어 사용되고 있고, 또한 캐비넷형 빨래건조기나 이동식 빨래건조대도 널리 사용되고 있다. 예컨대, 상기 전동식 빨래건조대는 실내공간의 활용도를 높이기 위하여 실내나 베란다의 천장에 설치되도록 이루어져 있다. As an example of a laundry drying system, various types of laundry dryers are installed and used in the interiors and verandas of various residential areas such as apartments and general houses. For example, many electric laundry dryers have recently been installed and used. Mobile clothes dryers are also widely used. For example, the electric laundry dryer is configured to be installed on the ceiling of a room or a veranda in order to increase the utilization of the indoor space.
천장부착형 전동식 빨래건조대는 한국 공개실용신안 제2005-95295호 등의 선행기술에 잘 나타나 있다. 이러한 전동식 빨래건조대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가 커버(12)로 개폐되고 천장에 고정되는 하우징(10)과; 상기 하우징(10)의 하부 양쪽에 배치되는 한 쌍의 홀더(Holder, 22a, 22b) 및 빨래를 걸도록 상기 홀더들에 걸쳐 소정의 간격으로 평행하게 지지되는 다수의 건조봉(24)을 구비하는 건조대(20)와; 상기 하우징(10)에 상단이 결합되고 하단이 상기 홀더(22a, 22b)에 결합되는 한 쌍의 신축링크(30a, 30b)와; 그리고, 상기 신축링크(30a, 30b)를 신축조절하는 전동장치(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Ceiling mounted electric laundry dryers are well represented in the prior art, such as Korean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2005-95295. Such an electric laundry dryer includes a
상기 전동장치(40)는, 상기 하우징(10)의 내부에 설치되는 모터(42)와, 상기 모터의 축에 결합되는 보빈(Bobbin, 44)과, 그리고 상기 보빈(44)에 엇갈리게 권치 되어 그 양단이 상기 각 홀더(22a, 22b)나 각 신축링크(30a, 30b)의 하단에 연결되는 와이어(46a, 46b)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The
또한, 상기 건조봉(24) 쪽으로 바람을 송풍할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10)의 바닥쪽에 적어도 하나의 송풍기(50)가 더 설치될 수 있고, 온풍을 송풍할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의 히터(60)가 더 설치될 수 있다. 이 경우에, 상기 송풍기(50)로 주로 축류송풍기가 적용되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커버(12)중 상기 송풍기(50)와 대응하는 부분에는, 상기 송풍기(50)로부터의 바람을 건조봉(24) 쪽으로 송풍하기 위한 송풍그릴(Grille, 14)이 설치된다. 그리고, 도 2에서, 참조부호 48은 상기 와이어(46a, 46b)를 지지하면서 그 권취 및 해권을 안내하는 지지롤러를 나타내고, 도 3에서 참조부호 16은 신축링크(30a, 30b)와 와이어(46a, 46b)가 이동할 수 있도록 커버(12)의 양단부에 형성되는 이동통로를 나타낸다. In addition, at least one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종래 전동식 빨래건조대에 따르면, 예컨대 미도시된 조작스위치나 리모콘 등에 의하여 모터(42)를 하강구동하여 와이어(46a, 46b)를 해권시키면, 상기 와이어(46a, 46b)의 풀림에 따라 신축링크(30a, 30b)의 길이가 아래로 늘어남으로써 건조대(20)가 하강할 수 있다. 상기 건조대(20)의 건조봉(24) 위치가 적절한 위치로 하강하면 모터(42)의 구동을 정지시키고, 상기 건조봉(24)에 빨래를 건 다음, 다시 상기 모터(42)를 적절한 위치로 상승시킨다. According to the conventional electric laundry dryer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for example, when the
그런데, 상기한 바와 같은 구조를 가진 전동식 빨래건조대에 있어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However, in the electric laundry dryer having the above structure, there are the following problems.
즉, 송풍기(50)로 축류송풍기가 적용되고, 그 바람을 송풍하기 위하여 대략 상기 송풍기(50)와 대응하는 면적의 송풍그릴(14)이 커버(12)에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송풍그릴(14)을 통하여 송풍되는 바람이나 온풍이 건조봉(24)에 걸린 빨래에 국부적으로 송풍된다. 이 때문에, 건조봉(24)들의 전체 영역에 걸친 빨래가 전체적으로 고르게 건조되지 못하고, 건조시간에 차이가 발생하므로, 결과적으로 빨래를 신속하게 건조시킨다는 본래의 목적을 달성할 수 없게 된다. That is, since the axial flow blower is applied to the
한편, 상기한 문제점을 고려하여, 본 출원인에 의하여 한국 등록실용신안 제374993호로 제안된 빨래건조기용 횡류송풍기의 풍향분배기가 제안되었다. 상기 횡류송풍기의 풍향분배기가 적용된 빨래건조기는, 하우징에 길이방향으로 횡류송풍기가 내장되며, 상기 횡류송풍기와 대응하여 커버의 중앙에 길이방향으로 송풍그릴이 형성되며, 상기 횡류송풍기의 토출구로부터 커버의 송풍그릴에 걸쳐 확대구조로 풍량분배기가 설치되어 이루어진 것이다. On the other hand, in consideration of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has proposed a wind direction distributor of the cross-flow blower for the laundry dryer proposed by the Korean Utility Model No. 374993. The laundry dryer to which the wind direction distributor of the cross flow blower is applied has a cross flow blower built in the housing in a longitudinal direction, and a blow grill is formed in the center of the cover in a longitudinal direction corresponding to the cross flow blower, and the cover of the cover is discharged from the outlet of the cross flow blower. The airflow distributor is installed in an enlarged structure over the blowing grill.
그러나, 이 기술에 있어서도, 커버의 건조봉들에 걸리는 빨래 쪽으로 실질적으로 바람을 송풍하기 위한 송풍그릴이, 커버의 일부 영역, 즉 중앙에 길이방향으로만 비교적 좁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전자의 경우보다는 효과적이나, 바람이 국부적으로 송풍된다는 점은 전자와 다를 바 없으므로, 건조효율을 효과적으로 높일 수 없다. 또한, 횡류송풍기가 횡류팬(Cross Flow Fan)의 축선과 팬모터의 축선이 동일선상에 배치되도록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상기 팬모터의 돌출길이만큼 횡류팬의 길이를 길게 할 수 없기 때문에, 송풍량을 크게 할 수 없는 문제점도 있다. However, even in this technique, since the blowing grill for substantially blowing wind toward the laundry hanging on the drying rods of the cover is formed relatively narrowly only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a part of the cover, that is, in the center, It is effective, but the fact that the wind is locally blown is no different from the former, it is not possible to effectively increase the drying efficiency. In addition, since the cross flow fan is arranged such that the axis of the cross flow fan and the axis of the fan motor are arranged on the same line, the length of the cross flow fan cannot be lengthened as much as the protruding length of the fan motor. There is also a problem that cannot be done.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 문제점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빨래건조기의 하우징 내부를 따라 횡류송풍기가 왕복하도록 하여, 빨래를 거는 건조봉들 전체 영역으로 바람을 고르게 송풍할 수 있고, 또한 천장부착형 빨래건조대 뿐만 아니라 캐비넷형 빨래건조기나 이동식 빨래건조대 등 다양한 형태의 빨래건조기에 효과적으로 적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is made in consideration of the above-described conventional problems, by allowing the cross flow blower to reciprocate along the inside of the housing of the laundry dryer, it is possible to blow the wind evenly to the entire area of the drying rods to hang the clothes, and also the ceiling-mounted clothes dryer In addition, it aims to be effectively applied to various types of clothes dryers, such as a cabinet type laundry dryer or a mobile clothes dryer.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빨래건조기용 송풍시스템은, 빨래건조기의 건조봉 쪽을 향하는 커버에 전체적으로 송풍그릴이 형성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는 횡류송풍기와; 그리고, 상기 횡류송풍기를 상기 하우징의 내부를 따라 왕복운동시키는 전동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laundry dryer blow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housing is formed with a blowing grill on the cover toward the drying rod side of the laundry dryer; A cross flow blower disposed inside the housing; And a transmission device for reciprocating the cross flow blower along the inside of the housing.
상기 횡류송풍기는, 상기 송풍그릴을 향하는 토출구가 형성된 송풍기 케이스와, 상기 송풍기 케이스의 일측에 겹쳐진 상태로 설치되는 팬모터와, 상기 팬모터에 의해 회전하도록 상기 송풍기 케이스에 내장되는 횡류팬과, 상기 팬모터의 모터축에 결합되는 구동풀리와, 상기 송풍기 케이스 밖으로 인출되는 횡류팬의 팬축에, 상기 구동풀리와 대응하여 결합되는 종동풀리와, 그리고 상기 구동풀리와 종동풀리를 연결하는 벨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The cross flow blower may include a blower case having a discharge port facing the blower grill, a fan motor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blower case, a cross flow fan embedded in the blower case to rotate by the fan motor, and the A drive pulley coupled to the motor shaft of the fan motor, a fan shaft of the crossflow fan drawn out of the blower case, a driven pulley coupled corresponding to the drive pulley, and a belt connecting the drive pulley and the driven pulley; Can be done.
상기 횡류송풍기의 대안으로, 상기 송풍그릴을 향하는 토출구가 형성된 송풍기 케이스와, 상기 송풍기 케이스에 내장되는 횡류팬과, 그리고 상기 횡류팬을 회전시키도록 상기 송풍기 케이스에 직렬로 설치되는 팬모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As an alternative to the cross flow blower, a blower case having a discharge port toward the blower grill is formed, a cross flow fan embedded in the blower case, and a fan motor installed in series in the blower case to rotate the cross flow fan. Can be done.
또한, 상기 횡류송풍기의 토출구가 형성된 면에는 상기 송풍그릴 쪽으로 확대되고 풍향을 분배할 수 있도록 내부가 다수 개의 통로로 구획된 풍향분배덕트가 더 설치될 수 있다. In addition, a wind direction distribution duct may be further installed on a surface on which a discharge port of the cross flow blower is formed, the inside of which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passages so as to extend toward the blowing grill and distribute the wind direction.
또한, 상기 풍향분배덕트의 내부에는 적어도 하나의 히터가 더 설치될 수 있다. In addition, at least one heater may be further installed inside the wind direction distribution duct.
또한, 상기 횡류송풍기의 길이방향 양단에는 안내롤러가 회전가능하게 각각 지지되고, 상기 하우징의 양쪽 내벽면에는 상기 안내롤러를 삽입하여 그 회전이동을 안내하는 안내레일이 각각 설치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guide rollers are rotatably supported at both ends of the transverse blow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guide rails for inserting the guide rollers to guide the rotational movement may be installed at both inner wall surfaces of the housing.
또한, 상기 송풍그릴은 다수의 통기공에 의하여 형성되거나, 상기 하우징을 개폐하는 도어에 의하여 개방되는 통로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blowing grill may be formed by a plurality of vents, or may be formed by a passage that is opened by a door for opening and closing the housing.
또한, 상기 전동장치는, 상기 하우징 내부의 사방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4개의 풀리와, 서로 대응하는 풀리쌍들을 거쳐 양단이 상기 횡류송풍기의 끝단에 각각 연결되는 한 쌍의 와이어와, 폭방향으로 서로 대응하는 풀리쌍들을 연결하는 구동축 및 종동축과, 그리고 상기 구동축을 정역회전시키는 스텝핑 모터(Stepping Motor)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In addition, the transmission includes four pulleys rotatably supported in all directions inside the housing, a pair of wires each of which is connected to an end of the cross flow fan via a pair of pulleys corresponding to each other, and in a width direction. A driving shaft and a driven shaft for connecting the pulley pairs corresponding to each other, and a stepping motor for forward and reverse rotation of the driving shaft.
상기 횡류송풍기의 외벽면에는, 상기 각 와이어의 끝단을 고정함과 아울러 상기 와이어의 장력을 조절하는 4개의 고정장치가 설치되고, 상기 고정장치는, 상기 횡류송풍기의 외벽면에 고정되는 고정브래킷과, 상기 고정브래킷에 체결되는 체결수단과, 그리고 상기 와이어의 끝단이 삽입되어 걸리도록 개방슬롯(Slot)을 구비함과 아울러 상기 개방슬롯에 걸린 와이어를 이탈되지 않게 고정하도록 상기 체결 수단에 체결되어 상기 체결수단의 체결량에 따라 진퇴하여 상기 와이어의 장력을 조절하는 슬라이더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와이어의 각 끝단에는 상기 개방슬롯을 통하여 슬라이더에 걸리는 걸림돌기가 설치될 수 있다. On the outer wall surface of the cross flow blower, four fixing devices for fixing the ends of the wires and adjusting the tension of the wires are provided, and the fixing device includes a fixing bracket fixed to the outer wall face of the cross flow blower; And a fastening means fastened to the fixing bracket, and an open slot so that the end of the wire is inserted into and fastened to the fastening means, and fastened to the fastening means to secure the wire caught in the open slot so as not to be separated. It comprises a slider for advancing according to the fastening amount of the fastening means to adjust the tension of the wire, each end of the wire may be provided with a locking projection to the slider through the open slot.
또한,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는 상기 와이어를 탄성적으로 가압함으로써, 와이어의 장력을 유지하는 장력유지장치가 더 설치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tension holding device for maintaining the tension of the wire may be further installed in the housing by pressing the wire elastically.
본 고안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고안자가 그 자신의 고안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The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based on the accompanying drawings. Prior to this, terms or word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claims are defined in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based on the principle that the inventor can appropriately define the concept of the term in order to best describe his or her own design. It must be interpreted to mean meanings and concepts.
도 4에는 본 고안의 송풍시스템이 적용된 천장용 전동식 빨래건조대의 예가 도시되어 있다. Figure 4 shows an example of the electric laundry dryer for ceiling to which the blowing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상기 천장용 전동식 빨래건조대는, 하부가 커버(102)로 개폐되고 천장에 고정되는 하우징(100)과, 상기 하우징(100)의 하부 양쪽에 그 폭방향으로 서로 대응하여 배치되는 한 쌍의 홀더(112a, 112b) 및 빨래를 걸도록 상기 홀더(112a, 112b)들에 걸쳐 소정의 간격으로 평행하게 지지되는 다수의 건조봉(114)을 구비하는 건조대(110)와, 상기 하우징(100)에 상단이 결합되고 하단이 상기 홀더(112a, 112b)에 결합되는 한 쌍의 신축링크(120a, 120b)와, 그리고 상기 신축링크(120a, 120b)를 신축조절하는 승하강장치(1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The ceiling-type electric laundry dryer has a
상기 승하강장치(130)는, 상기 하우징(100)의 내부에 설치되는 모터(131)와, 상기 모터(131)의 축에 결합되는 보빈(132)과, 그리고 상기 보빈(132)에 엇갈리게 권치되어 그 양단이 상기 각 홀더(112a, 112b)나 각 신축링크(120a, 120b)의 하단에 연결되는 와이어(133a, 133b)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100) 내부의 양쪽에는 상기 와이어(133a, 133b)를 지지하면서 그 권취 및 해권을 안내하는 지지롤러(134)가 각각 설치될 수 있다. The
따라서, 미도시된 조작스위치나 리모콘 등에 의하여 모터(131)를 하강구동하여 와이어(133a, 133b)를 해권시키면, 상기 와이어(133a, 133b)의 풀림에 따라 신축링크(120a, 120b)의 길이가 아래로 늘어남으로써 건조대(110)가 하강할 수 있다. 상기 건조대(110)의 건조봉(114) 위치가 적절한 위치로 하강하면 모터(131)의 구동을 정지시키고, 상기 건조봉(114)에 빨래를 건 다음, 거주자의 활동이 방해받지 않도록 다시 상기 모터(131)를 상승구동하여 상기 건조봉(114)들의 높이를 적절한 위치로 상승시켜, 빨래를 건조시킬 수 있다. Therefore, when the
본 고안의 빨래건조기용 송풍시스템은, 예컨대 상기한 바와 같은 전동식 빨래건조대에도 적용될 수 있는 것으로서,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100)과, 횡류송풍기(140)와, 그리고 전동장치(17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The laundry system for a laundry dryer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for example, an electric laundry dryer as described above. As shown in FIGS. 4 and 5, the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100)은 하부가 개방부가 커버(102)에 의해 개폐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커버(102)의 양단부에는 신축링크(120a, 120b)와 와이어(133a, 133b)가 이동할 수 있도록 이동통로(104)가 각각 형성된다. 또한, 상기 커버(102)에는 전체적으로 송풍그릴(106)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송풍그릴(106)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통기공에 의하여 형성되거나,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00)을 개폐하는 도어(108)에 의하여 개방되는 통로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도어(108)는, 예컨대 후술하는 횡류송풍기(140)에 의하여 건조봉(114) 쪽으로 바람을 송풍하지 않을 경우에 하우징(100)을 폐쇄하도록 함으로써, 먼지 등이 하우징(100)의 내부로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는데 유용하다. As described above, the lower portion of the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횡류송풍기(140)는 상기 하우징(100)의 내부에, 그 폭방향으로 배치된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상기 횡류송풍기(140)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면에 상기 송풍그릴(106)을 향하는 토출구(142)가 형성된 송풍기 케이스(141)와, 상기 송풍기 케이스(141)의 일측에 겹쳐진 상태로 설치되는 팬모터(144)와, 상기 팬모터(144)에 의해 회전하도록 송풍기 케이스(141)에 내장되는 횡류팬(143)과, 상기 팬모터(144)의 모터축에 결합되는 구동풀리(145)와, 상기 송풍기 케이스(141) 밖으로 인출되는 횡류팬(143)의 팬축에, 상기 구동풀리(145)와 대응하여 결합되는 종동풀리(146)와, 그리고 상기 구동풀리(145)와 종동풀리(146)를 연결하는 벨트(147)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As shown in FIGS. 4 and 5, the
또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횡류송풍기(140)의 대안으로, 상기 송풍그릴(106)을 향하는 토출구(142)가 형성된 송풍기 케이스(141)와, 상기 송풍기 케이스(141)에 내장되는 횡류팬(143)과, 그리고 상기 횡류팬(143)을 회전시키도록 상기 송풍기 케이스(141)에 직렬로 설치되는 팬모터(144)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In addition, as shown in FIG. 7, as an alternative to the
전자의 횡류송풍기(140)의 경우, 풀리들(145, 146)과 벨트(147)가 요구되지만, 팬모터(144)의 길이만큼 횡류팬(143)의 길이를 길게 형성할 수 있으므로, 송풍량을 증대시키는 이점이 있다. 또한, 후자의 횡류송풍기(140)의 경우, 횡류팬(143)의 길이가 전자의 횡류송풍기(140)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짧아 송풍량은 감소하지만, 전자의 풀리들(145, 146)과 벨트(147)가 필요없기 때문에 구성을 단순화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In the case of the
어느 경우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횡류송풍기(140)의 토출구(142)가 형성된 면에는 상기 토출구(142)로부터 송풍그릴(106) 쪽으로 확대되고 풍향을 분배할 수 있도록 내부가 다수 개의 통로로 구획된 풍향분배덕트(150)가 더 설치될 수 있다. In any case, as shown in FIG. 4, the inside of the
상기 횡류송풍기(140)의 가동시, 건조봉(114) 쪽으로 온풍을 송풍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하우징(100)의 내부에 적어도 하나의 히터(160)가 더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히터(160)는 하우징(100) 내부의 어느 곳이나 설치될 수 있으나, 건조효율을 감안한다면 상기 풍향분배덕트(150) 내부, 구체적으로는 상기 풍향분배덕트(150)의 입구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At the time of operation of the
한편, 전동장치(170)는, 상기 횡류송풍기(140)를 상기 하우징(100)의 내부를 따라 왕복운동시키도록 설치된다. 상기 전동장치(170)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100) 내부의 사방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4개의 풀리(171a, 171b, 171c, 171d)와, 서로 대응하는 풀리(171a, 171b)(171c, 171d)쌍들을 거쳐 양단이 상기 횡류송풍기(140)의 끝단에 각각 연결되는 한 쌍의 와이어(172′, 172″)와, 폭방향으로 서로 대응하는 풀리(171a, 171b)(171c, 171d)쌍들을 연결하는 구동축(173) 및 종동축(174)과, 그리고 상기 구동축(173)을 정역회전시키는 스텝핑 모터(175)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상기 와이어(172′, 172″)의 끝단은 고정장치(180)에 의하여 횡류송풍기(140)의 외벽면에 착탈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다. 상기 고정장치(18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각 와이어(172′, 172″)의 끝단을 착탈가능하게 고정하면서, 상기 와이어(172′, 172″)들의 장력을 조절하도록 상기 횡류송풍기(140)의 외벽면에 4개가 설치된다. Ends of the
상기 고정장치(180)는, 상기 횡류송풍기(140)의 외벽면에 고정되는 고정브래킷(181)과, 상기 고정브래킷(181)에 체결되는 체결수단(182)과, 그리고 상기 와이어(172′, 172″)의 끝단이 삽입되어 걸리도록 개방슬롯(184)을 구비함과 아울러 상기 개방슬롯(184)에 걸린 와어어(172′, 172″)를 이탈되지 않게 고정하도록 상기 체결수단(182)에 체결되어 상기 체결수단(182)의 체결량에 따라 진퇴하여 상기 와이어(172′, 172″)의 장력을 조절하는 슬라이더(183)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와이어(172′, 172″)의 각 끝단에는 상기 개방슬롯(184)을 통하여 상기 슬라이더(183)에 걸리는 걸림돌기(172a)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fixing
또한, 상기 하우징(100)의 내부에는, 상기 와이어(172″)를 탄성적으로 가압함으로써, 와이어(172″)의 장력을 유지하는 장력유지장치(190)가 더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장력유지장치(190)는, 하우징(100)에 고정되는 브래킷(191)과, 상기 브래킷(191)에 승강 및 회전가능하게 지지되고 와이어(172″)가 경유하는 가압롤러 (192)와, 그리고 상기 가압롤러(192)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도록 상기 브래킷(191)에 고정되는 스프링(193)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본 고안의 도면에서는 상기 와이어(172′, 172″)중 어느 하나에만 설치되어 있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둘다 설치될 수도 있다. In addition, a
또한, 상기 횡류송풍기(140)의 길이방향 양단에는 안내롤러(148)가 회전가능하게 각각 지지되고, 상기 하우징(100)의 양쪽 내벽면에는 상기 안내롤러(148)를 삽입하여 그 회전이동을 안내하는 안내레일(149)이 각각 설치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다음에,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빨래건조기용 송풍시스템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Next, the operation of the blowing system for the laundry dryer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본 고안의 송풍시스템은 각종 빨래건조기, 예컨대 천장부착형 전동식 빨래건조대, 캐비넷형 빨래건조기, 이동식 빨래건조대 등 다양한 빨래건조기에 적용되어 사용될 수 있으며, 여기서는 편의상 그 한 예로 천장부착형 전동식 빨래건조대에 적용된 경우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The blower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various laundry dryers, for example, a ceiling-mounted electric clothes dryer, a cabinet-type clothes dryer, a mobile clothes dryer, and here, for convenience, applied to the ceiling-mounted electric clothes dryer. The operation of the case will be described.
빨래를 건조하기 위하여, 우선 미도시된 조작스위치나 리모콘 등에 의하여 모터(131)를 하강구동하여 건조봉(114)의 위치를 적절한 위치로 낮춘다. 다음에, 상기 건조봉(114)들에 빨래를 걸고, 거주자의 활동이 방해받지 않도록 다시 상기 모터(131)를 상승구동하여 건조봉(114)의 위치를 적절한 위치로 상승시켜, 빨래를 건조시킨다. 이 상태에서, 빨래를 신속하게 건조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팬모터(144)를 구동하여 횡류팬(143)을 회전시키고, 또한 스텝핑 모터(175)를 구동시켜 횡류송풍기(140)를 왕복시킨다. In order to dry the laundry, first, the
상기 횡류팬(143)의 회전에 의하여 토출구(142)를 통해 토출되는 바람은 풍향분배덕트(150)에 의해 하우징(100)의 폭방향으로 고르게 분배되어 송풍그릴(106)을 통해 건조봉(114)들에 널린 빨래들 쪽으로 송풍된다. 또한, 스텝핑 모터(175)의 구동에 의하여 횡류송풍기(140)가 왕복함으로써, 하우징(100)의 길이방향으로 순차적으로 바람이 고르게 분배되어 송풍그릴(106)을 통해 건조봉(114)들에 널린 빨래들 쪽으로 송풍된다. The wind discharged through the
이러한 건조과정에서, 빨래를 좀 더 신속하게 건조시키고자 할 경우에는, 히터(160)를 가동하여 빨래들 쪽으로 온풍을 송풍한다. In this drying process, when the laundry is to be dried more quickly, the
한편, 도 10에는, 본 고안에 따른 송풍시스템이 캐비넷형 빨래건조기에 적용된 예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10에서 전술한 예의 빨래건조기와 대응하는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부호를 붙여 나타낸다. Meanwhile, FIG. 10 shows an example in which the blow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a cabinet type laundry dryer, and the elements corresponding to the laundry dryer of the example described above in FIG. 10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상기 캐비넷형 빨래건조기는, 커버(102)에 의해 하부가 개폐되는 상부의 하우징(100)과, 상기 하우징(100)의 하부쪽에 설치되는 건조봉(114)들을 구비하여 이루어질 수 있으며, 여기서 미도시되었으나 전술한 바와 같은 승하강장치(130)도 포함할 수 있다. The cabinet-type laundry dryer may include an
상기한 바와 같은 캐비넷형 빨래건조기에도 전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송풍시스템이 그대로 적용될 수 있다. 즉, 이 캐비넷형 빨래건조기에 적용되는 본 고안의 송풍시스템은, 상기 하우징(100)과, 상기 하우징(100)에 설치되는 전술한 바와 같은 횡류송풍기(140)와, 그리고 상기 횡류송풍기(140)를 왕복시키는 전술한 바와 같은 전동장치(170)를 구비하며, 나머지 구성요소들도 전술한 예의 송풍시스템 에서와 마찬가지로 그대로 적용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송풍시스템이 적용되는 이러한 캐비넷형 빨래건조기의 작용 역시 전술한 예와 마찬가지이므로, 여기서의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The blower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may also be applied to the cabinet-type laundry dryer as described above. That is, the blower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applied to the cabinet-type laundry dryer includes the
또한, 여기서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본 고안의 송풍시스템이 예컨대, 이동식 빨래건조대에 적용될 수 있으며, 그 작용은 전술한 바와 같으며, 따라서 왕복운동하면서 송풍하여 빨래를 건조시키도록 적용된 것이라면, 모두 본 고안의 범위에 포함되어야 한다. In addition, although not shown here, the blower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for example, a mobile clothes dryer, and its function is as described above, so that if applied to dry the laundry by blowing while reciprocating, all of the present invention It must be included in the scope.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빨래건조기용 송풍시스템에 의하면, 예컨대 천장부착형 빨래건조대, 캐비넷형 빨래건조기, 이동식 빨래건조대 등 다양한 빨래건조기에 손쉽게 적용될 수 있으며, 송풍그릴을 따라 횡류송풍기가 왕복하면서 상기 송풍그릴을 통해 건조봉들에 널린 빨래들 쪽으로 바람을 송풍하도록 이루어져 있으므로, 빨래들 쪽으로 전체적으로 고르게 바람이 송풍될 수 있음에 따라, 빨래의 건조효율을 높일 수 있다. According to the blower system for a laundry dry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for example, it can be easily applied to various laundry dryers, such as a ceiling-mounted laundry dryer, a cabinet-type laundry dryer, a mobile laundry dryer, and a cross-flow blower reciprocates along the blower grill. While it is made to blow the wind toward the laundry hanging in the drying rods through the blowing grill, the wind can be evenly blown toward the laundry as a whole,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drying efficiency of the laundry.
Claims (8)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60005166U KR200416096Y1 (en) | 2006-02-24 | 2006-02-24 | Blowing system for clothes drye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60005166U KR200416096Y1 (en) | 2006-02-24 | 2006-02-24 | Blowing system for clothes dryer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416096Y1 true KR200416096Y1 (en) | 2006-05-10 |
Family
ID=417655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60005166U Expired - Fee Related KR200416096Y1 (en) | 2006-02-24 | 2006-02-24 | Blowing system for clothes dryer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416096Y1 (en) |
Cited By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45388Y1 (en) | 2007-11-28 | 2009-07-28 | 이정규 | Laundry dryer with hot air supply |
CN107700179A (en) * | 2017-10-23 | 2018-02-16 | 浙江好易点智能科技有限公司 | The clothes airing machine of drying function |
CN109944041A (en) * | 2019-04-19 | 2019-06-28 | 中山巾管家电器科技有限公司 | Swing air-drying laundry care machine |
CN109944040A (en) * | 2019-04-19 | 2019-06-28 | 中山巾管家电器科技有限公司 | Movable drying clothes nursing machine |
CN110592907A (en) * | 2019-09-28 | 2019-12-20 | 广东晾霸智能科技有限公司 | An intelligent clothes dryer with a rotating air swing device and its air swing control method |
CN112144251A (en) * | 2020-10-15 | 2020-12-29 | 金螳螂精装科技(苏州)有限公司 | A balcony integrated clothes drying ceiling structure that is easy to install |
CN114318716A (en) * | 2022-02-10 | 2022-04-12 | 一书一码(北京)智慧图书技术有限公司 | Super anti-fake cellosilk processing equipment |
KR102790414B1 (en) | 2024-05-27 | 2025-04-01 | 배석 | Electric gust drying rack |
-
2006
- 2006-02-24 KR KR2020060005166U patent/KR200416096Y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Cited By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45388Y1 (en) | 2007-11-28 | 2009-07-28 | 이정규 | Laundry dryer with hot air supply |
CN107700179A (en) * | 2017-10-23 | 2018-02-16 | 浙江好易点智能科技有限公司 | The clothes airing machine of drying function |
CN109944041A (en) * | 2019-04-19 | 2019-06-28 | 中山巾管家电器科技有限公司 | Swing air-drying laundry care machine |
CN109944040A (en) * | 2019-04-19 | 2019-06-28 | 中山巾管家电器科技有限公司 | Movable drying clothes nursing machine |
CN109944041B (en) * | 2019-04-19 | 2024-11-08 | 中山巾管家电器科技有限公司 | Swing-type air-drying clothing care machine |
CN110592907A (en) * | 2019-09-28 | 2019-12-20 | 广东晾霸智能科技有限公司 | An intelligent clothes dryer with a rotating air swing device and its air swing control method |
CN112144251A (en) * | 2020-10-15 | 2020-12-29 | 金螳螂精装科技(苏州)有限公司 | A balcony integrated clothes drying ceiling structure that is easy to install |
CN114318716A (en) * | 2022-02-10 | 2022-04-12 | 一书一码(北京)智慧图书技术有限公司 | Super anti-fake cellosilk processing equipment |
KR102790414B1 (en) | 2024-05-27 | 2025-04-01 | 배석 | Electric gust drying rack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0416096Y1 (en) | Blowing system for clothes dryer | |
CN104279619A (en) | Air conditioner with clothes drying function and control method | |
KR101630968B1 (en) | Auto Elevating Type Drying Apparatus | |
KR101254165B1 (en) | drying device for drying noodle | |
KR20100120048A (en) | Clothes dryer | |
KR20210083904A (en) | Laundry Treatment Apparatus | |
KR20080044496A (en) | Ceiling air conditioners | |
US20130333235A1 (en) | Clothing dryer apparatus | |
JP4284530B2 (en) | Dehumidifying dryer | |
JP3814473B2 (en) | Air supply device | |
CN109944040A (en) | Movable drying clothes nursing machine | |
KR20110116864A (en) | Air conditioner | |
CN216143947U (en) | Air conditioner and indoor unit thereof | |
JP2005345068A (en) | Bathroom drier | |
JP2007225207A (en) | Bathroom dryer | |
JP2008220552A (en) | Clothes lift with blower function | |
CN111411493A (en) | Heating device | |
KR101139672B1 (en) | Indoor unit for air conditioner | |
CN221855069U (en) | Reversible air outlet device and clothes drying machine | |
KR20070066268A (en) | Ventilation | |
US12264837B2 (en) | Hygiene management device for entrance hall | |
CN1494619A (en) | convection dryer | |
KR20030041385A (en) | Cloth dryer | |
KR200264785Y1 (en) | Cloth dryer | |
JP3157397B2 (en) | Mounting structure of dehumidifying and drying equipment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UA0108 |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60224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U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Patent event date: 20060503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U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1 Payment date: 20060227 |
|
U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U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date: 20080410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