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15037Y1 - Gang Form Level Adjusting Apparatus for Guide Climbing System - Google Patents
Gang Form Level Adjusting Apparatus for Guide Climbing System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15037Y1 KR200415037Y1 KR2020060004453U KR20060004453U KR200415037Y1 KR 200415037 Y1 KR200415037 Y1 KR 200415037Y1 KR 2020060004453 U KR2020060004453 U KR 2020060004453U KR 20060004453 U KR20060004453 U KR 20060004453U KR 200415037 Y1 KR200415037 Y1 KR 200415037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ixed
- gangform
- sliding frame
- fixing
- gcs
- Prior art date
Links
- 230000002493 climbing Effects 0.000 title description 2
- 230000002787 reinforcemen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06260 foam Substances 0.000 claims 2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19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6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0000000875 corresponding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0789 fasten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630 rising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0605 extr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904 shorte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466 we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7/00—Connecting or other auxiliary members for forms, falsework structures, or shutterings
- E04G17/14—Bracing or strutting arrangements for formwalls; Devices for aligning forms
Abstract
본 고안은 지씨에스의 상부에 설치된 갱폼의 높이와 수직 및 수평 상태를 적절하게 조절함은 물론 건축구조물의 초기 시공시에 갱폼으로 외벽을 시공하도록 하는 지씨에스용 갱폼 레벨 조절장치를 개시한다.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s a gangform level control device for GS to control the height and vertical and horizontal state of the gangform installed on the top of the GS, as well as to construct the outer wall with the gangform during the initial construction of the building structure.
본 고안은 소형으로 제작된 캐리지 장치를 설치하여 지씨에스의 너비를 줄이고, 높이 및 각도 조절수단을 간단한 구조로 설치함으로써 지씨에스의 중량을 줄이며, 건축구조물의 초기 시공시 부터 지씨에스의 사용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플레이트 배면에 작업발판이 구비된 케이지를 고정한 갱폼과, 가이드 레일의 후방에 작업대를 구비한 견출 작업대와, 갱폼과 견출 작업대를 연결, 고정시키며, 고정 프레임 사이에 중간 레일을 설치하고, 고정 프레임에 슬라이딩 되도록 슬라이딩 프레임을 결합하며, 슬라이딩 프레임 저면에 다수개의 롤러를 설치하고, 중간 레일에 실린더 일측을 고정하며, 이에 결합된 피스톤 로드를 슬라이딩 프레임 저면에 고정하고, 슬라이딩 프레임의 상부에 형성된 제1고정 브라켓트에 고정부재를 고정하되, 이에 결합된 높이조절볼트에 고정부재의 저면에서 고정편을 고정하고, 높이조절볼트를 슬라이딩 프레임의 저면에 너트로 체결한 캐리지 장치로 이루어진 지씨에스용 갱폼 레벨 조절장치를 제안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duces the width of GCS by installing a carriage device made small and reduces the weight of GCS by installing the height and angle adjusting means with a simple structure, and it is possible to use GCS from the initial construction of building structures. It is intended to connect and secure the gangform holding the cage with the working scaffold on the back of the plate, the worktable provided with the workbench at the rear of the guide rail, the gangform and the workbench, and install an intermediate rail between the fixed frames. And a sliding frame coupled to the fixed frame, a plurality of rollers are installed on the bottom of the sliding frame, one side of the cylinder is fixed to the middle rail, and the piston rod coupled thereto is fixed to the bottom of the sliding frame, and the top of the sliding frame Fix the fixing member to the first fixing bracket formed in the A fixing piece fixed at the lower surface of the fixing member in a height adjustment bolt and, if made of a height adjustable bolt fastening with a carriage unit with a nut on the lower surface of the sliding frame proposes a CS gaengpom level control apparatus.
이와 같이 하여 본 고안은 지씨에스의 무게를 경량으로 제작할 수 있어 이의 제작에 소요되는 경제적인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건축구조물의 초기 시공시 갱폼을 이용하여 건축구조물을 시공할 수 있어 비계 미설치에 따른 비용 절감은 물론 비계의 설치 및 철거에 소요되는 작업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게 되는 유용한 효과가 있다.In this way, the present invention can manufacture the weight of GCS light weight, which can reduce the economic cost of its production, and the construction structure can be constructed using the gang form during the initial construction of the building structure. In addition to the cost savings, there is a useful effect that can reduce the time required to install and dismantle the scaffold.
지씨에스, 캐리지 장치, 높이조절볼트, 슬라이딩 프레임 GCS, carriage device, height adjusting bolt, sliding frame
Description
도1은 본 고안의 갱폼 레벨 조절장치를 보인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gangform level adjustment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2는 본 고안의 갱폼 레벨 조절장치를 보인 분해 사시도.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gangform level control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3은 도1의 A-A선 단면도.3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of FIG.
도4는 도1의 B-B선 단면도.4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B-B in FIG.
도5는 본 고안의 갱폼 레벨 조절장치가 설치된 상태를 보인 측단면도.Figure 5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gangform level control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도6은 본 고안의 갱폼 레벨 조절장치가 설치된 상태를 보인 정면도.Figure 6 is a front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gangform level adjustment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도7은 본 고안 갱폼 레벨 조절창치의 높이 조절 상태를 보인 측단면도.Figure 7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height adjustment state of the present invention gangform level adjustment window.
도8은 본 고안 갱폼 레벨 조절장치의 수직 조절 상태를 보인 측단면도.Figure 8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vertical adjustment state of the gangform level control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9는 본 고안 갱폼 레벨 조절장치의 수평 조절 상태를 보인 정면도.9 is a front view showing a horizontal adjustment state of the gangform level control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
10: 갱폼 11: 플레이트10: Gangform 11: Plate
13: 작업 발판 14: 케이지13: working scaffold 14: cage
20: 견출 작업대 21: 고정 브라켓트20: worktable 21: fixing bracket
22: 가이드 레일 23: 작업대22: guide rail 23: worktable
30: 캐리지 장치 31: 고정 프레임30: carriage unit 31: fixed frame
31a: 플랜지 31b: 체결공31a:
32: 중간 레일 33: 갱폼 작업대32: intermediate rail 33: gangform workbench
34: 슬라이딩 프레임 35: 라운드부34: sliding frame 35: round part
35a: 장공 36: 제1고정 브라켓트35a: long hole 36: first fixing bracket
36a: 고정공 37: 제2고정 브라켓트36a: fixing hole 37: second fixing bracket
37a: 고정공 38: 높이조절볼트37a: fixing hole 38: height adjustment bolt
39: 체결공 40: 롤러39: fastener 40: roller
41: 실린더 42: 피스톤 로드41: cylinder 42: piston rod
43: 브라켓트 44: 유압펌프43: bracket 44: hydraulic pump
45: 레버 46: 유압 호스45: lever 46: hydraulic hose
50: 고정부재 51: 통공50: fixing member 51: through hole
본 고안은 지씨에스용 갱폼 레벨 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지씨에스에 설치되는 갱폼의 높이dhk 수평 및 수직 상태를 적절하게 조절하도록 하는 지씨에스용 갱폼 레벨 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gangform level control device for GS, and more particularly to a gangform level control device for GS to adjust the height dhk horizontal and vertical state of the gangform installed in the GS.
주지하는 바와 같이 지씨에스(G.C.S: Guide Climbing System)는 갱폼, 가이드 레일, 캐리지 장치, 케이지, 작업대, 견출 작업대 등으로 이루어진 중량물로, 건축구조물의 외벽을 시공하는데 사용되는 것이다.As is well known, G.C.S (Guide Climbing System) is a heavy object consisting of a gang form, a guide rail, a carriage device, a cage, a workbench, a worktable, and the like, and is used to construct an exterior wall of a building structure.
이와 같은 지씨에스는 건축구조물의 외벽에 고정 브라켓트를 고정하고, 타워 크레인의 인상 작업으로 상승되는 가이드 레일을 결합하며, 가이드 레일 상단부에 수평 방향으로 갱폼 작업대와 고정 프레임을 설치한다. 이러한 고정 프레임 일측은 가이드 레일에 고정하고, 타측은 그 하부에 경사 프레임을 고정하며, 경사 프레임 타측을 가이드 레일에 고정한다. 또한 고정 프레임은 피니언을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고, 고정 프레임 상면에 래크가 치합되게 결합하며, 래크의 일측에 갱폼을 수직으로 고정하고, 래크의 타측에 턴버클을 고정하여 이를 갱폼에 경사지게 고정한 삼각 버팀 구조로 이루어진 캐리지 장치를 설치한다.GCS fixed the fixing bracket on the outer wall of the building structure, combines the guide rail which is raised by the lifting work of the tower crane, and installs the gangform work platform and the fixing fram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in the upper guide rail. One side of the fixing frame is fixed to the guide rail, the other side is fixed to the inclined frame on the lower portion, and the other side of the inclined frame is fixed to the guide rail. In addition, the fixed frame is a triangular brace structure in which the pinion is rotatably coupled, the rack is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fixed frame, the gangform is vertically fixed to one side of the rack, and the turnbuckle is fixed to the other side of the rack to be inclined to the gangform. Install a carriage device consisting of.
아울러 지씨에스는 캐리지 장치의 하방에 작업자의 통행 및 작업공간을 제공하도록 다수의 견출 작업대를 구비한다.GCS is also equipped with a number of standouts to provide the operator's passage and work space below the carriage device.
이와 같은 지씨에스는 갱폼, 가이드 레일, 캐리지 장치 등 다수의 부품들을 조립, 결합하는 것으로, 대략 12m 정도의 길이로 이루어지고, 너비는 캐리지 장치의 전,후진 및 작업자의 작업공간을 확보하기 위하여 대략 2m 정도이며, 높이가 대략 10m 정도로 이루어진 대형 구조물로써, 대략 7톤 정도의 중량을 가지는 중량물이다.This GCS is to assemble and combine a number of parts, such as gangforms, guide rails, carriage devices, and the length of about 12m, the width is approximately to secure the working space of the forward and backward and the operator of the carriage device It is a large structure of about 2m and a height of about 10m, and a weight having a weight of about 7 tons.
이러한 지씨에스는 건축구조물의 외벽을 시공하기 전에 미리 제작하여 두고, 건축구조물에 지씨에스를 설치할 수 있는 높이인 3층 높이 이상으로 시공하게 된다. 이때 지씨에스는 10m 정도의 높이를 가지므로, 건축구조물을 3층 높이까지 시공할 때에는 건축구조물의 외부에 비계를 설치하여 시공한다. 이와 함께 건축구조물의 외벽에는 지씨에스를 고정시키기 위한 다수의 고정 브라켓트를 고정한다.The GCS will be manufactured in advance before the construction of the outer wall of the building structure, and will be constructed more than three stories high, which can be installed on the building structure. At this time, GCS has a height of about 10m, so when constructing the building structure up to 3 stories high, install the scaffold outside the building structure. Along with this, the outer wall of the building structure fixes a plurality of fixing brackets for fixing the GS.
이와 같이 건축구조물이 3층 또는 그 이상으로 시공되면 기 제작된 지씨에스를 타워 크레인의 인양후크에 걸어 인상시킨 다음 지씨에스가 고정 브라켓트에 고정되도록 하강시킨다.When the building structure is constructed on three or more floors as described above, the fabricated GCS hangs on the lifting hook of the tower crane, and the GCS is lowered to be fixed to the fixing bracket.
이와 같이 하여 외벽에 설치된 지씨에스로 외벽을 시공한 다음 이에 설치된 캐리지 장치로 갱폼을 후퇴시키고, 이러한 상태에서 타워 크레인으로 지씨에스를 상승시키고, 다시 갱폼을 전진시켜 상부층의 외벽을 시공하게 된다.In this way, the outer wall is constructed with GCS installed on the outer wall, and then the gangform is retracted by the carriage device installed therein. In this state, the GCS is raised by the tower crane, and the gangform is advanced again to construct the outer wall of the upper layer.
이러한 지씨에스는 건축구조물의 초기 시공시에는 지씨에스를 사용할 수 없게 되는 폐단이 있으며, 건축구조물을 3층까지 시공하는 동안 비계의 설치, 철거하는 비용이 추가적으로 소요되어 경제적인 비용 부담이 발생하게 됨은 물론 작업시간이 오래 걸리게 되어 공사 기간이 길어지게 되고, 건축구조물 시공시 사용되는 공구 등의 낙하로 인한 안전 사고 발생 우려 등 비계 사용에 따른 작업자 등의 안전을 확보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GCS has a closed stage in which GCS cannot be used during the initial construction of building structures, and the cost of installing and dismantling scaffolding during the construction of building structures up to the 3rd floor requires additional economic costs. Of course, the work takes a long time, the construction period is long, there is a problem that can not secure the safety of workers, such as the use of scaffolding, such as the risk of safety accidents caused by the fall of tools used in the construction of construction structures.
또한, 타워 크레인의 인상 작업시 타워 크레인의 인상 하중 한계를 줄이기 위하여 지씨에스를 분할 설치함으로써 인상 작업 횟수가 증가하게 되며, 이에 따라 인상 작업 시간이 오래 걸리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by dividing the GS to increase the lifting load limit of the tower crane during the lifting operation of the tower crane increases the number of pulling operations, there is a problem that the lifting operation takes a long time.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고안의 목적은 소형으로 제작된 캐리지 장치를 설치하여 지씨에스의 너비를 줄이고, 높이 및 각도 조절수단을 간단한 구조로 설치함으로써 지씨에스의 중량을 줄이고, 건축구조물의 초기 시공시 부터 지씨에스의 사용이 가능하도록 하는 지씨에스용 갱폼 레벨 조절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devi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is to install a carriage device made of compact to reduce the width of the GS, and to reduce the weight of the GS by installing the height and angle adjustment means in a simple structure, construction It is to provide a gangform level control device for the GS to enable the use of GS from the initial construction of the structure.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플레이트 배면에 수직재 및 수평재가 일정한 간격으로 고정되고, 이의 배면에 수평 보강재가 고정되며, 이의 후방에 작업발판을 고정한 케이지로 이루어진 갱폼이 설치되고, 이의 하방에 가이드 레일 배면으로 작업대가 구비된 견출작업대를 구비한 공지의 것에 있어서, “ㄷ”자 형상으로 대칭된 고정 프레임 사이에 중간 레일이 고정되고, 고정 프레임의 플랜지에 슬라이딩 되게 슬라이딩 프레임이 결합되며, 이의 상부에 수직으로 제1고정 브라켓트 및 제2고정 브라켓트가 고정되고, 제1,2고정 브라켓트에 높이조절볼트가 체결된 고정 부재가 고정되며, 실린더 일단이 중간 레일에 고정되고, 이에 결합된 피스톤 로드가 슬라이딩 프레임에 고정되며, 유압을 공급하도록 유압호스가 유압펌프와 실린더에 연결된 캐리지 장치가 설치된 지씨에스용 갱폼 레벨 조절장치를 제안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subject innovation is the vertical and horizontal members are fixed at regular intervals on the back of the plate, the horizontal reinforcement is fixed on the back thereof, the gangform consisting of a cage fixed to the working scaffold is installed at the rear thereof, and downward In the well-known thing having a worktable with a workbench provided on the back of the guide rail, the intermediate rail is fixed between the fixed frame symmetrical in the "c" shape, the sliding frame is coupled to slide on the flange of the fixed frame, A first fixing bracket and a second fixing bracket are fix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upper part thereof, and a fixing member having a height adjusting bolt fastened to the first and second fixing brackets is fixed, and one end of the cylinder is fixed to the intermediate rail, and a piston coupled thereto. The rod is fixed to the sliding frame, and the hydraulic hose is connected to the hydraulic pump and the cylinder to supply hydraulic pressure. Proposes a gaengpom level control device not connected for the carriage device is installed CS.
이와 같이 하여 본 고안은 지씨에스의 무게를 경량으로 제작할 수 있어 이의 제작에 소요되는 경제적인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건축구조물의 초기 시공시 갱폼을 이용하여 건축구조물을 시공할 수 있어 비계 미설치에 따른 비용 절감은 물론 비계의 설치 및 철거에 소요되는 작업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게 되는 유용한 효과가 있다.In this way, the present invention can manufacture the weight of GCS light weight, which can reduce the economic cost of its production, and the construction structure can be constructed using the gang form during the initial construction of the building structure. In addition to the cost savings, there is a useful effect that can reduce the time required to install and dismantle the scaffold.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지씨에스 상부에 설치되는 갱폼(10)과, 지씨에 스 하부에 설치되는 견출 작업대(20)와, 갱폼(10)과 견출 작업대(20)의 결합 및 갱폼(10)의 높낮이 또는 전,후진시키는 캐리지 장치(30)로 이루어진다.As show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아울러 갱폼(10)은 통상의 갱폼과 같이 소정 크기를 가지는 플레이트(11)를 구비하고, 이의 배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의 수평재(12a)를 고정하며, 이의 배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의 수직재(12b)를 고정하고, 이의 배면에 수평 보강재(12c)를 고정한다. 이와 함께 이의 후방에 작업자가 통행할 수 있도록 다수의 작업 발판(13)이 구비된 케이지(14)를 고정하되, 갱폼(10)과 케이지(14)의 폭을 600~900㎜로 고정한다.In addition, the
또한, 견출 작업대(20)는 갱폼(10)의 하방에 설치되며, 외벽에 고정된 고정 브라켓트(21)에 걸리도록 가이드 레일(22)을 구비하며, 가이드 레일(22)에 소정 간격으로 돌출부재(도면상 미도시됨)를 고정하고, 이의 후방에 작업자가 통행하면서 견출 작업을 할 수 있도록 다층으로 이루어진 작업대(23)를 고정한다.In addition, the
아울러 캐리지 장치(30)는 지씨에스의 갱폼(10)과 견출 작업대(20)를 연결, 고정되게 하며, 가이드 레일(22)의 상부에 “ㄷ”자 형상으로 된 고정 프레임(31)을 대칭되게 고정하고, 이들 고정 프레임(31) 사이에 중간 레일(32)을 설치하며, 고정 프레임(31)의 좌우로 작업자가 통행할 수 있도록 작업 발판(13)을 고정한다. 이와 함께 고정 프레임(31)은 길이방향 좌우 양측에 체결공(31b)을 형성한다.In addition, the
또한, 고정 프레임(31)의 플랜지(31a)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슬라이딩 프레임(34)을 결합하되, 슬라이딩 프레임(34) 양측으로 돌출된 라운드부(35)를 형성하고, 고정 프레임(31)의 체결공(31b)과 대응되는 위치에 소정 길이의 장공(35a)을 라운 드부(35)에 형성하며, 이러한 장공(35a)은 그 길이를 대략 100㎜ 정도로 함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sliding
이와 함께 슬라이딩 프레임(34)의 일측 상부에 제1고정 브라켓트(36)를 형성하고, 이에 수직으로 된 고정공(36a)을 형성하며, 타측에 제2고정 브라켓트(37)를 형성하고, 이에 수직으로 된 고정공(37a)을 형성하며, 제1,2고정 브라켓트(36,37) 일측에 높이조절볼트(38)가 체결되도록 체결공(39)을 형성한다.Along with this, a
아울러 슬라이딩 프레임(34)은 좌우측 저면에 다수개의 롤러(40)를 설치하며, 고정 프레임(31)에 설치된 실린더(41)의 피스톤 로드(42)가 고정되도록 하방으로 돌출된 브라켓트(43)를 고정한다.In addition, the sliding
이와 함께 실린더(41)는 고정 프레임(31)의 중간 레일(32) 일측에 실린더(41) 일단을 고정하고, 이에 결합된 피스톤 로드(42)를 슬라이딩 프레임(34)의 돌출된 브라켓트(43)에 고정한다. 이와 함께 실린더(41)에 유압이 공급되도록 유압펌프(44)를 설치하며, 이의 상부에 유압이 공급 및 배출되도록 상하로 조작하는 레버(45)를 결합하고, 유압펌프(44)와 실린더(41)에 유압호스(46)를 연결한다.In addition, the
또한, 제1,2고정 브라켓트(36,37)에 고정되어 갱폼(10)이 고정되는 고정부재(50)를 구비한다. 이러한 고정부재(50)는 제1,2고정 브라켓트(36,37)의 고정공(36a,37a)과 대응되는 위치에 고정공(50a)을 형성하며, 고정부재(50)에 슬라이딩 프레임(34)의 체결공(39)과 대응되는 위치에 높이조절볼트(38)가 결합되도록 통공(51)을 형성한다.In addition, the fixing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은 건축구조물의 초기 시공시 지면에 갱폼(10)을 설치하고, 이와 대응되는 갱폼(10)을 타이볼트(15)로 체결시킨 상태에서 콘크리트를 타설, 양생하여 건축구조물의 1층 외벽을 시공한다. 이때 외벽에는 지씨에스의 가이드 레일(22)이 고정되도록 고정 브라켓트(21)를 견고하게 고정시킨다. 이러한 갱폼(10)의 하단에 도1 내지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은 갱폼 레벨 조절장치를 결합시킨다. 이는 “ㄷ”자 형상의 고정 프레임(31)을 대칭되게 위치시키고, 이들 고정 프레임(31) 사이에 중간 레일(32)을 고정시키되, 좌우 양측에 적정 길이로 분할되게 고정시켜 실린더(41)가 설치되도록 이격시키며, 실린더(41) 및 피스톤 로드(42)를 결합시키기 위하여 고정 프레임(31)의 양측면을 적정 길이로 개방시킨다.The present invention made of such a configuration is to install the
아울러 높이조절볼트(38)는 고정부재(50)의 통공(51)에 회전 가능하도록 삽입시키고, 고정부재(50)의 저면으로 돌출된 높이조절볼트(38)에 두께가 두꺼운 와셔 등의 고정편(38a)을 용접으로 고정시킨다. 이러한 높이조절볼트(38)는 통공(51)에서 자유로이 회전하게 되며, 슬라이딩 프레임(34)의 체결공(39)에 체결되어 높낮이 및 갱폼(10)의 수평, 수직 각도를 조절하게 되는 것이다.In addition, the
이와 함께 실린더(41)는 중간 레일(32)의 일측에 고정시키고, 고정 프레임(31)의 플랜지(31a)에 슬라이딩 프레임(34)의 라운드부(35)를 끼운 상태에서 고정 프레임(31)의 체결공(31b)과 슬라이딩 프레임(34)의 장공(35a)을 일치시켜 이에 볼트, 너트로 된 체결수단으로 고정시킨다. 이러한 체결수단은 슬라이딩 프레임(34)이 좌우로 슬라이딩 되도록 헐겁게 체결시키며, 슬라이딩 프레임(34)의 저면에 설치된 롤러(40)는 중간 레일(32)과 구름 접촉되어 갱폼(10)의 자중을 분산시켜 슬라 이딩 프레임(34)의 슬라이딩을 원활하게 한다.At the same time, the
또한, 고정부재(50)는 슬라이딩 프레임(34)의 상부에 고정되는데, 이는 고정부재(50)에 결합되어 저면으로 돌출된 높이조절볼트(38)를 슬라이딩 프레임(34)의 체결공(39)에 체결시키고, 슬라이딩 프레임(34)의 저면으로 돌출된 높이조절볼트(38)에 너트(38b)를 체결시킨다.In addition, the fixing
이와 같이 갱폼(10)의 하단에 캐리지 장치(30)를 결합시킨 상태로 상부층을 시공하기 위하여 타워 크레인의 인양후크를 갱폼(10)의 인양고리에 걸어 인상(引上)시켜 안정되게 고정시키며, 상기에서와 같이 갱폼(10)을 타이볼트(15)로 체결하여 콘크리트를 타설, 양생시켜 상부층 외벽을 시공하되, 외벽에 고정 브라켓트(21)를 견고하게 고정시킨다.In this way, the lifting hook of the tower crane is hooked on the lifting ring of the
이와 같은 갱폼(10)으로 건축구조물을 3층 또는 4층 높이까지 시공한 다음 갱폼(10)의 하방에 견출 작업대(20)를 결합시킨다. 이때 갱폼(10)은 외벽에 고정시킨 상태에서 타워 크레인의 인양후크로 견출 작업대(20)를 인상시켜 캐리지 장치(30)의 고정 프레임(31) 전면에 가이드 레일(22)을 고정시킴으로써 갱폼(10) 및 견출 작업대(20)를 일체로 결합시킨다.Construction of the building structure to the third floor or the fourth floor with the
이와 같이 갱폼(10)에 견출 작업대(20) 및 캐리지 장치(30)가 결합되면, 지씨에스는 타워 크레인의 인양후크를 갱폼(10)의 인양고리에 걸어 인상시키며, 인상된 지씨에스는 도5 및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벽에 고정된 고정 브라켓트(21)에 가이드 레일(22)의 돌출부재가 걸리게 되어 지씨에스를 안정되게 고정시킨다. 이러한 지씨에스의 갱폼(10)이 정확한 위치에 설치되었는지를 확인하여 도7에서와 같이 갱폼(10)의 높이가 정확한 위치에 설치되어 있지 않으면 이의 높이를 적절하게 조절하게 된다.When the
이는 갱폼(10)이 고정시키고자 하는 위치 보다 낮은 위치에 설치되면, 슬라이딩 프레임(34)과 고정부재(50)에 체결된 2개의 높이조절볼트(38)를 회전시키면 높이조절볼트(38)가 상승하게 되고, 이에 따라 고정부재(50)가 상승하게 된다. 이는 높이조절볼트(38)가 고정부재(50) 저면에 고정편(38a)으로 받쳐진 상태에서 슬라이딩 프레임(34)과 그 저면의 너트(38b)에 체결되어 있고, 고정부재(50)의 통공(51)에 자유로이 회전하도록 결합되어 있어 높이조절볼트(38)의 회전으로 고정부재(50)가 상승하게 되는 것이다.If the
이와 달리 갱폼(10)이 고정시키고자 하는 위치 보다 높은 위치에 설치되면, 높이조절볼트(38)를 회전시킴으로써 갱폼(10)의 위치를 낮출 수 있게 된다.On the contrary, when the
또한,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갱폼(10)이 전방측으로 기울어져 있으면 고정부재(50)의 전방측에 결합된 높이조절볼트(38)를 회전시켜 고정부재(50)의 상승과 함께 이에 고정된 갱폼(10)이 수직으로 위치하게 된다. 이와 달리 갱폼(10)이 후방으로 기울어져 있으면 고정부재(50)의 후방측에 결합된 높이조절볼트(38)를 회전시켜 고정부재(50)의 상승과 함께 갱폼(10)이 수직으로 위치하게 된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8, if the
아울러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갱폼(10)이 좌측으로 기울어져 있으면 좌우 양측에 설치된 캐리지 장치(30) 중 좌측 고정부재(50)에 결합된 2개의 높이조절볼트(38)를 회전시킴에 따라 고정부재(50)의 상승과 함께 갱폼(10)의 좌측이 상승하여 갱폼(10)의 수평을 맞추게 되고, 갱폼(10)이 우측으로 기울어져 있으면 우측 캐 리지 장치(30)의 높이조절볼트(38)를 회전시켜 갱폼(10)의 수평을 맞추게 되는 것이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9, when the
이와 같이 갱폼(10)을 정위치에 고정시킨 상태에서 건축구조물 내부에 설치된 갱폼(10)과 지씨에스의 갱폼(10)을 타이볼트로 체결하여 외벽이 시공되며, 외벽이 시공된 후 지씨에스를 인상시키기 위하여 갱폼(10)을 후퇴시키게 된다.In this way, the
이러한 갱폼(10)의 후퇴는 유압펌프(44)의 상부에 설치된 레버(45)를 상하로 조작시키면, 유압펌프(44)에 저장된 유압이 유압호스(46)를 따라 실린더(41)로 공급 및 배출됨에 따라 피스톤 로드(42)가 후퇴하게 되며, 피스톤 로드(42)의 선단에 고정된 슬라이딩 프레임(34)이 후퇴하게 된다. 이에 따라 슬라이딩 프레임(34)에 고정된 고정 부재(50)의 후퇴와 함께 이에 고정된 갱폼(10)이 후퇴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갱폼(10)은 대략 100㎜ 정도로 후퇴된다.When the
이와 같이 갱폼(10)이 후퇴된 상태에서 타워 크레인의 인양후크를 갱폼(10)의 인양고리에 걸어 지씨에스를 인상시키고, 가이드 레일(22)의 돌출부재를 고정 브라켓트(21)에 안정되게 고정시킨 다음 유압펌프(44)의 레버(45)를 조작하여 실린더(41)에 유압을 공급 및 배출함에 따라 피스톤 로드(42)가 전진하게 되며, 이에 고정된 슬라이딩 프레임(34) 및 고정부재(50)가 전진하게 되어 갱폼(10)을 전진시키게 된다.In this manner, the lifting hook of the tower crane is hooked on the lifting hook of the
이어서 갱폼(10)과 대응되는 갱폼(10)을 타이볼트로 체결하여 콘크리트의 타설, 양생으로 외벽을 시공하게 되는 것이며, 전술한 바와 같은 공정을 반복적으로 실시하여 건축구조물의 외벽을 시공하게 되는 것이다.Subsequently, the
이와 같이 하여 본 고안은 지씨에스의 무게를 경량으로 제작할 수 있어 이의 제작에 소요되는 경제적인 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지씨에스를 다수개로 분할 설치하지 않게 되어 지씨에스의 인상 작업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으며, 건축구조물의 초기 시공시 갱폼을 이용하여 건축구조물을 시공할 수 있어 비계 미설치에 따른 비용 절감은 물론 비계의 설치 및 철거에 따른 작업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공사 기간의 단축은 물론 작업능률을 향상시키게 되는 유용한 효과가 있다.In this way, the present invention can manufacture the weight of GCS light weight, which can reduce the economic cost of its production, and it can shorten the increase work time of GCS because it is not divided into multiple GCS installations. In addition, the construction structure can be constructed using gangforms during the initial construction of the building structure, thereby reducing the cost of not installing the scaffolding and shortening the working time due to the installation and dismantling of the scaffolding. There is a useful effect to improve work efficiency.
Claims (5)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60004453U KR200415037Y1 (en) | 2006-02-17 | 2006-02-17 | Gang Form Level Adjusting Apparatus for Guide Climbing System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60004453U KR200415037Y1 (en) | 2006-02-17 | 2006-02-17 | Gang Form Level Adjusting Apparatus for Guide Climbing System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415037Y1 true KR200415037Y1 (en) | 2006-04-26 |
Family
ID=417645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60004453U KR200415037Y1 (en) | 2006-02-17 | 2006-02-17 | Gang Form Level Adjusting Apparatus for Guide Climbing System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415037Y1 (en)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146735B1 (en) * | 2011-10-12 | 2012-05-17 | 미진정공(주) | Auto climbing system form |
KR101320089B1 (en) | 2012-01-20 | 2013-10-18 | 미진정공(주) | Falling prevention apparatus for auto climbing system form |
KR101967786B1 (en) * | 2018-10-10 | 2019-04-18 | (주) 성도정공 | Upper and lower cage connecting structuer of gang form |
KR20210146620A (en) * | 2020-05-27 | 2021-12-06 | 폼으로 주식회사 | Retaining Support Unit of Formwork for Building Slab Formation |
-
2006
- 2006-02-17 KR KR2020060004453U patent/KR200415037Y1/en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146735B1 (en) * | 2011-10-12 | 2012-05-17 | 미진정공(주) | Auto climbing system form |
KR101320089B1 (en) | 2012-01-20 | 2013-10-18 | 미진정공(주) | Falling prevention apparatus for auto climbing system form |
KR101967786B1 (en) * | 2018-10-10 | 2019-04-18 | (주) 성도정공 | Upper and lower cage connecting structuer of gang form |
KR20210146620A (en) * | 2020-05-27 | 2021-12-06 | 폼으로 주식회사 | Retaining Support Unit of Formwork for Building Slab Formation |
KR102383082B1 (en) * | 2020-05-27 | 2022-04-05 | 폼으로 주식회사 | Retaining Support Unit of Formwork for Building Slab Formation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201506699U (en) | Electric lifting bridge rack for construction | |
CN102677889A (en) | System for alternatively supporting whole lifting steel platform formwork by steel column casing rack and construction method | |
KR101553966B1 (en) | Wall-mounted Tower Crane Climbing Device | |
KR101223614B1 (en) | gang form rail Device for construction | |
KR200415037Y1 (en) | Gang Form Level Adjusting Apparatus for Guide Climbing System | |
KR101312400B1 (en) | structure for safety working foothold having form fixing means | |
CN103206074B (en) | Elevator shaft template construction method, platform and support | |
KR101076562B1 (en) | Supporting structure of slab form | |
EP2503077A1 (en) | Self-climbing perimetric protection system adaptable to buildings undergoing construction having a variable vertical projection | |
CN110259088B (en) | Method for erecting external protection scaffold of building with twisted vertical face | |
KR20070000811U (en) | Gang form climbing guide | |
CN205577383U (en) | Attached lifting scaffold | |
CN206707237U (en) | Cable-stayed type top layer construction platform for elevator installation | |
CN207296479U (en) | Steel structure stairway in elevator | |
JP4958861B2 (en) | Construction scaffolding | |
CN103950811A (en) | People and cargo elevator mounting structure of complicated external building structure and mounting method thereof | |
CN101457587B (en) | Template mutually lifting climbing apparatus and method | |
CN203701552U (en) | Attached scaffold for lifted through worm, gear and screw rod | |
KR100901016B1 (en) | Safety bracket to external wall scaffolding for a structure | |
CN203430006U (en) | Quick disassembly and assembly cantilever bracket for building outer wall construction | |
CN207988462U (en) | A kind of succinct steel construction elevator hoistway construction platform | |
KR101021945B1 (en) | Steel form for forming lining wall of vertical tunnel | |
KR20130065941A (en) | Arch type system scaffolding and the construction method of the same | |
KR200426297Y1 (en) | Construcion safety working cage with scaffold | |
JP3204708U (en) | Lifting scaffold equipment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10420 Year of fee payment: 6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