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13253Y1 - 하수도, 상수도, 도로, 하천 및 매립장침출수 배수공사에 사용되는 관거용 충격흡수구조 - Google Patents
하수도, 상수도, 도로, 하천 및 매립장침출수 배수공사에 사용되는 관거용 충격흡수구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13253Y1 KR200413253Y1 KR2020060002625U KR20060002625U KR200413253Y1 KR 200413253 Y1 KR200413253 Y1 KR 200413253Y1 KR 2020060002625 U KR2020060002625 U KR 2020060002625U KR 20060002625 U KR20060002625 U KR 20060002625U KR 200413253 Y1 KR200413253 Y1 KR 200413253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ater
- buffer member
- sewage
- sewage pipe
- horizontal plat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7/00—Foundations as substructures
- E02D27/32—Foundations for special purposes
- E02D27/46—Foundations for supply conduits or other canals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7/00—Water main or service pipe systems
- E03B7/02—Public or like main pipe systems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7/00—Water main or service pipe systems
- E03B7/04—Domestic or like local pipe systems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3/00—Sewer pipe-line systems
- E03F3/06—Methods of, or installations for, laying sewer pip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00—Laying or reclaiming pipes; Repairing or joining pipes on or under water
- F16L1/024—Laying or reclaiming pipes on land, e.g. above the ground
- F16L1/06—Accessories therefor, e.g. anchors
- F16L1/11—Accessories therefor, e.g. anchors for the detection or protection of pipes in the groun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하수도, 상수도, 도로, 하천 및 매립장침출수 배수공사에 사용되는 관거용 충격흡수구조를 개시한다. 본 고안에 따른 관거용 충격흡수구조는 상면에 상하수도관의 하측이 삽입되도록 반원형상의 결합홈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양측에는 앵커볼트가 타설되어 있는 기초콘크리트블록과; 상기 상하수도관에 전달되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상기 상하수도관의 외면 상측에 접촉되어 있으며, 양측단부는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어 너트에 의하여 상기 앵커볼트에 고정되는 플랜지가 형성되어 있는 완충부재와; 지반에서 전달되는 충격이 분산되도록 상기 완충부재의 상측으로 소정간격 이격되어 매설되어 있는 수평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수평판과 상기 완충부재 사이에는 모래가 채워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도로의 지반으로부터 상하수도관에 전달되는 충격이나 외력이 완충부재 및 수평판에 의하여 흡수 및 분산되므로, 외부의 충격이나 외력에 의하여 상하수도관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하수도관, 상수도, 하수도, 도로
Description
도 1은 종래의 상하수도관 설치구조를 보인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하수도, 상수도, 도로, 하천 및 매립장침출수 배수공사에 사용되는 관거용 충격흡수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하수도, 상수도, 도로, 하천 및 매립장침출수 배수공사에 사용되는 관거용 충격흡수구조를 보인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상하수도관 10 : 기초콘크리트블록
11 : 결합홈부 15 : 완충패드
20 : 완충부재 40 : 수평판
30 : 모래
본 고안은 하수도, 상수도, 도로, 하천 및 매립장침출수 배수공사에 사용되는 관거용 충격흡수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상하수도관의 상측에 외부에서 전달되는 충격이나 외력이 흡수되도록 보호커버를 설치하여 상하수도관으로 전달되는 충격을 저하시킬 수 있는 하수도, 상수도, 도로, 하천 및 매립장침출수 배수공사에 사용되는 관거용 충격흡수구조에 관한 것이다.
공장이나 일반 가정에서 사용하고 있는 수돗물은 취수장에서 강이나 호수 또는 댐과 같은 상수원에서 원수를 취수하여 정화시킨 후, 대형 상수관을 통하여 공장이나 일반 가정에 공급하는 것이다. 그리고 공장이나 가정에서 배출되는 하수는 대형 하수관을 통하여 하수종말처리장으로 취합된 후, 여과되어 강이나 호수로 방류하는 것이다. 이러한 상수 및 하수의 공급 및 배수를 위하여 설치되는 상하수도관은 지상의 공간확보 및 생활환경미화를 위해 지하에 매설하여 설치하게 되며, 도심지에 매설되는 대부분의 상하수도관은 도로를 따라 매설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도 1은 종래의 상하수관의 설치구조를 보인 것으로, 도 1에 도시된바와 같이, 도로에는 대형차량(3)들이 항상 주행을 하게 되므로, 주행하는 대형차량(3)의 하중에 의하여 도로가 침하되는 현상이 빈번하게 발생하게 되고, 이에 의하여 대형차량(3)에 의하여 발생되는 하중이 도로 밑에 매설되어 있는 상하수도관(1)까지 전달되어 상하수도관(1)이 파손되는 경우가 자주 발생되고 있다.
특히, 상하수도관을 매립할 때 굴토한 흙을 그대로 이용하게 되면 흙에 섞여 있는 돌이나 자갈 등이 상하수도관에 접촉되고, 돌이나 자갈 등에 의하여 상하수도관에 가해지는 하중이 한 곳으로 집중되어 상하수도관이 약한 외력에도 쉽게 파손되는 경우가 많이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한국 등록특허 제538981호 연약지반 설치용 상수도관 보호구조는 상수도관이 보호되도록 상부덮개 와 하부기초블록으로 이루어진 보호케이스의 내부에 상수도관을 설치함으로써, 상수도관의 파손을 방지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한국 등록특허 제538981호에 개시된 기술은 하부기초블록이 상수도관에 비하여 너무 크게 제작되어 있어서 상수도관이 유동되면서 파손될 수 있으며, 상수도관이 콘크리트에 의하여 제작된 하부기초블록에 선접촉되어 있으므로, 하수도관에 외력이 가해지면 힘이 상수도관의 한점으로 집중되어 약한 충격에도 쉽게 파손될 수 있는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또한, 상부덮개가 충격을 흡수할 수 없으므로, 상부덮개가 외부의 하중이나 충격에 의하여 쉽게 파손될 수 있으며, 상부덮개의 파손은 곧 상수도관의 파손으로 이어지게 되므로, 상수도관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없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여러 가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도로에 매설되는 상하수도관의 외면에 외부에서 전달되는 충격이나 외력을 흡수 및 분산시킬 수 있는 완충부재를 부착하여 외부의 충격이나 외력에 의하여 상하수도관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하수도, 상수도, 도로, 하천 및 매립장침출수 배수공사에 사용되는 관거용 충격흡수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하수도, 상수도, 도로, 하천 및 매립장침출수 배수공사에 사용되는 관거용 충격흡수구조는 상면에 상하수도관의 하측이 삽입되도록 반원형상의 결합홈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양측에는 앵커볼트가 타설되어 있는 기초콘크리트블록과; 상기 상하수도관에 전달되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상기 상하수도관의 외면 상측에 접촉되어 있으며, 양측단부는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어 너트에 의하여 상기 앵커볼트에 고정되는 플랜지가 형성되어 있는 완충부재와; 지반에서 전달되는 충격이 분산되도록 상기 완충부재의 상측으로 소정간격 이격되어 매설되어 있는 수평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수평판과 상기 완충부재 사이에는 모래가 채워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완충부재 및 상기 수평판의 상면에는 그 상측에 덮여지는 흙과의 접촉면적을 넓게 하여 충격 및 외력을 분산시킬 수 있도록 엠보싱처리 되어 있으며, 상기 기초콘크리트블록의 결합홈부에는 상기 상하수도관을 상기 결합홈부에 안착시킬 때 상기 상하수도관의 자중에 의하여 상기 상하수도관이 파손되지 않도록 완충패드가 부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하수도, 상수도, 도로, 하천 및 매립장침출수 배수공사에 사용되는 관거용 충격흡수구조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하수도, 상수도, 도로, 하천 및 매립장침출수 배수공사에 사용되는 관거용 충격흡수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하수도, 상수도, 도로, 하천 및 매립장침출수 배수공사에 사용되는 관거용 충격흡수구조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2와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의 관거용 충격흡수 구조는 굴토되어 있는 지면에 다수 설치되는 기초콘크리트블록(10)과, 이 기초콘크리트블록(10)의 상측에 가설되며 내부로 상수 또는 하수가 흐르는 상하수도관(1)과, 상하수도관(1)의 사면에 설치되어 있는 완충부재(20) 및 수평판(40)으로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완충부재(20)와 수평판(40) 사이에는 모래(30)가 채워져 있다.
기초콘크리트블록(10)은 상면에 상하수도관(1)의 하측이 삽입되도록 반원형상의 결합홈부(11)가 형성되어 있으며, 양측에는 상면에는 완충부재(20)를 고정할 수 있도록 앵커볼트(13)가 타설되어 있다. 상하수도관(1)이 기초콘크리트블록(10)의 결합홈부(11)에 안착되면 상하수도관(1)이 기초콘크리트블록(10)에 움직이는 것이 방지된다. 기초콘크리트블록(10)의 결합홈부(11)에는 완충패드(15)가 부착되어 있으며, 완충패드(15)는 결합홈부(11)에 상하수도관(1)을 안착시킬 때 상하수도관(1)의 자중에 의하여 상하수도관(1)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한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완충패드(15)는 완충효과를 높이기 위하여 탄력성이 있는 실리콘러버(Silicon Rubber)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합성고무, 폴리우레탄, 스폰지 등의 다양한 소재로 제작할 수도 있다.
완충부재(20)는 상하수도관(1)의 상측 외면에 밀착되도록 반원형상으로 제작되어 있으며, 양측단부에는 외측으로 연장되어 있는 플랜지(21)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완충부재(20)의 플랜지(21)에는 기초콘크리트블록(10)의 앵커볼트(13)가 삽입되는 결합구멍(23)이 형성되어 있으며, 앵커볼트(13)에 체결되는 너트(25)에 의하여 기초콘크리트블록(10)에 고정되어 있다. 완충부재(20)의 상면은 완충부재(20)의 상측에 덮여지는 모래(30)와의 접촉면적을 넓게 하여 충격 및 외력을 분산시킬 수 있도록 엠보싱(Embossing)처리되어 있다. 즉, 완충부재(20)의 외면에는 다수의 돌기(20a)들이 돌출 형성되어 있다.
수평판(40)은 완충부재(20)의 상측으로 소정간격 이격되어 매설되며, 지반에서 전달되는 충격이나 외력을 흡수 및 분산시킨다. 수평판(40)의 상면도 완충부재(20)와 마찬가지로 상측에 덮여지는 흙과의 접촉면적을 넓게 하여 충격 및 외력을 분산시킬 수 있도록 다수의 돌기(41)들이 형성되어 있는데, 돌기(41)들은 엠보싱(Embossing)가공에 의하여 형성된다.
한편, 본 고안에 따른 완충부재(20) 및 수평판(40)은 완충효과를 높이기 위하여 탄력성이 있는 실리콘러버(Silicon Rubber)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합성고무, 폴리우레탄, 스폰지 등의 다양한 소재로 제작할 수도 있다.
지금부터는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 있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하수도, 상수도, 도로, 하천 및 매립장침출수 배수공사에 사용되는 관거용 충격흡수구조의 설치과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상하수도관(1)이 매설될 도로의 지반을 굴삭기 등을 이용하여 소정 깊이로 굴토한 후, 그 내부에 기초콘크리트블록(10)들을 설치하고 기초콘크리트블록(10)의 결합홈부(11)에 상하수도관(1)의 하측 외면이 밀착되도록 안착시킨다. 이때, 기초콘크리트블록(10)의 결합홈부(11)에 완충패드(15)가 부착되어 있어서, 상하수도관(1)이 그 자중에 의하여 파손되는 것이 방지된다. 그리고 상하수도관(1)의 상측 외면에 완충부재(20)가 밀착되도록 하여 완충부재(20)를 기초콘크리트블록(10)에 고정시킨다. 그러면 상하수도관(1)이 결합홈부(11) 및 완충부재(20)에 의하 여 기초콘크리트블록(10)에서 움직이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상하수도관(1)이 기초콘크리트블록(10) 및 완충부재(20)와 면접촉되어 있으므로, 상하수도관(1)에 가해지는 외력이 용이하게 분산되는 효과가 있다.
이후, 완충부재(20)의 상측에 모래(30)를 도포하여 다져주고, 이 모래(30) 위에 수평판(40)을 올려놓은 후, 굴토한 흙을 이용하여 메워주는 것이다. 이때, 완충부재(20)의 상측에 모래(30)를 채워주는 것은 굴토한 흙을 다시 사용하게 되면, 흙에 섞여 있는 자갈이나 돌들이 완충부재(20)에 접촉하게 되어 완충부재(20)가 손상되기 때문이다. 즉, 모래(30)를 사용함으로써, 완충부재(20)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변경 및 변형한 것도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속함은 당연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하수도, 상수도, 도로, 하천 및 매립장침출수 배수공사에 사용되는 관거용 충격흡수구조에 의하면, 도로의 지반으로부터 상하수도관에 전달되는 충격이나 외력이 완충부재 및 수평판에 의하여 흡수 및 분산되므로, 외부의 충격이나 외력에 의하여 상하수도관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 상면에 상하수도관의 하측이 삽입되도록 반원형상의 결합홈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양측에는 앵커볼트가 타설되어 있는 기초콘크리트블록과;상기 상하수도관에 전달되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상기 상하수도관의 외면 상측에 접촉되어 있으며, 양측단부는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어 너트에 의하여 상기 앵커볼트에 고정되는 플랜지가 형성되어 있는 완충부재와;지반에서 전달되는 충격이 분산되도록 상기 완충부재의 상측으로 소정간격 이격되어 매설되어 있는 수평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수평판과 상기 완충부재 사이에는 모래가 채워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도, 상수도, 도로, 하천 및 매립장침출수 배수공사에 사용되는 관거용 충격흡수구조.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완충부재 및 상기 수평판의 상면에는 그 상측에 덮여지는 흙과의 접촉면적을 넓게 하여 충격 및 외력을 분산시킬 수 있도록 엠보싱처리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수도, 상수도, 도로, 하천 및 매립장침출수 배수공사에 사용되는 관거용 충격흡수구조.
-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상기 기초콘크리트블록의 결합홈부에는 상기 상하수도관을 상기 결합홈부에 안착시킬 때 상기 상하수도관의 자중에 의하여 상기 상하수도관이 파손되지 않도록 완충패드가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도, 상수도, 도로, 하천 및 매립장침출수 배수공사에 사용되는 관거용 충격흡수구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60002625U KR200413253Y1 (ko) | 2006-01-27 | 2006-01-27 | 하수도, 상수도, 도로, 하천 및 매립장침출수 배수공사에 사용되는 관거용 충격흡수구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60002625U KR200413253Y1 (ko) | 2006-01-27 | 2006-01-27 | 하수도, 상수도, 도로, 하천 및 매립장침출수 배수공사에 사용되는 관거용 충격흡수구조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413253Y1 true KR200413253Y1 (ko) | 2006-04-05 |
Family
ID=417635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60002625U KR200413253Y1 (ko) | 2006-01-27 | 2006-01-27 | 하수도, 상수도, 도로, 하천 및 매립장침출수 배수공사에 사용되는 관거용 충격흡수구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413253Y1 (ko)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293108C (zh) * | 2004-04-12 | 2007-01-03 | 上海应用技术学院 | 一步合成含苯甲撑结构的超支化聚合物的方法 |
KR102268810B1 (ko) * | 2021-04-06 | 2021-06-24 | 동양특수콘크리트 (주) | 오폐수관 보호블록 구조 및 상기 구조의 시공방법 |
CN114382948A (zh) * | 2020-10-20 | 2022-04-22 | 中国石油天然气集团有限公司 | 一种崩塌区油气管道抗冲击敷设方法 |
-
2006
- 2006-01-27 KR KR2020060002625U patent/KR200413253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293108C (zh) * | 2004-04-12 | 2007-01-03 | 上海应用技术学院 | 一步合成含苯甲撑结构的超支化聚合物的方法 |
CN114382948A (zh) * | 2020-10-20 | 2022-04-22 | 中国石油天然气集团有限公司 | 一种崩塌区油气管道抗冲击敷设方法 |
CN114382948B (zh) * | 2020-10-20 | 2024-04-30 | 中国石油天然气集团有限公司 | 一种崩塌区油气管道抗冲击敷设方法 |
KR102268810B1 (ko) * | 2021-04-06 | 2021-06-24 | 동양특수콘크리트 (주) | 오폐수관 보호블록 구조 및 상기 구조의 시공방법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324889B1 (ko) | 매설관의 보호층 충진방법 | |
KR200413253Y1 (ko) | 하수도, 상수도, 도로, 하천 및 매립장침출수 배수공사에 사용되는 관거용 충격흡수구조 | |
CN104631507A (zh) | 一种混凝土复合井盖及其制作方法 | |
KR100676681B1 (ko) | 침하방지용 하수도관 지지장치 | |
KR100776349B1 (ko) | 프리캐스트 기초구조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 |
KR200406094Y1 (ko) | 포장도로의 빗물배수구조 | |
KR100729621B1 (ko) | 교량 우물통 기초의 하부 보강구조 | |
CN210262553U (zh) | 一种具有防沉降功能的公路路基 | |
KR20100012273A (ko) | 폐타이어 칩을 이용한 폐기물 매립장의 침출수 배수구조 | |
KR200409783Y1 (ko) | 침하방지용 하수도관 지지장치 | |
KR100546240B1 (ko) | 하수관거 침하방지구조 | |
KR100538981B1 (ko) | 연약지반 설치용 상수도관 보호구조 | |
CN215629083U (zh) | 一种建筑施工地面路基结构 | |
JP6037770B2 (ja) | 排水システムおよび排水方法 | |
JP2013060797A (ja) | 液状化現象によるマンホールの浮上防止装置 | |
KR200413250Y1 (ko) | 하수도, 상수도, 도로, 하천 제방 및 매립장 침출수 배수공사에 사용되는 관거의 이탈 방지 앵커 설치 구조 | |
KR20100030293A (ko) | 매설관의 매설방법 | |
JP5314252B2 (ja) | 管路の構造 | |
KR200406776Y1 (ko) | 연약지반 상하수도관 침하방지용 방석매트 지지구조 | |
KR100659397B1 (ko) | 수평토압과 수직토압에 견디기 용이한 하수관 연결구조 | |
KR200413255Y1 (ko) | 하수도, 상수도, 도로, 하천 및 매립장 침출수 배수공사에 설치되는 관거용 보호구조물 | |
JP2007092293A (ja) | マンホール管の埋設構造 | |
CN210482099U (zh) | 一种高陡边坡轻型落石拦截构造 | |
KR200413256Y1 (ko) | 하수도, 상수도, 도로, 하천 및 매립장 침출수 배수공사에 서로 교차되게 설치되는 관거용 보호구조물 | |
KR101577187B1 (ko) | 상하수도관로 침하방지구조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T201 |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 ||
T701 |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 ||
G701 | Publication of correc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325 Year of fee payment: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303 Year of fee payment: 9 |
|
EXPY | Expiration of ter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