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1159Y1 - 고기 구이 장치 - Google Patents

고기 구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1159Y1
KR200401159Y1 KR20-2005-0024770U KR20050024770U KR200401159Y1 KR 200401159 Y1 KR200401159 Y1 KR 200401159Y1 KR 20050024770 U KR20050024770 U KR 20050024770U KR 200401159 Y1 KR200401159 Y1 KR 20040115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at
plate
roasting
roasting plate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2477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형연
Original Assignee
조형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형연 filed Critical 조형연
Priority to KR20-2005-002477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115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0115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1159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4Roasting apparatus with movably-mounted food supports or with movable heating implements; Spits
    • A47J37/041Roasting apparatus with movably-mounted food supports or with movable heating implements; Spits with food support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axi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A47J37/0745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with motor-driven food suppor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A47J37/0786Accesso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고기 구이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본체 내부에서 회전하는 구이판을 다수개 형성하여 다양한 종류의 고기 및 고기의 크기에 상관하지 않고 구울 수 있으며, 구워진 고기를 알맞은 온도에서 보관 및 저장할 수 있는 형태의 고기 구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고기 구이 장치 {A DEVICE FOR ROASTING MEAT}
본 고안은 고기 구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본체 내부에서 회전하는 구이판을 다수개 형성하여 다양한 종류의 고기 및 고기의 크기에 상관하지 않고 구울 수 있으며, 구워진 고기를 알맞은 온도에서 보관 및 저장할 수 있는 형태의 고기 구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회전식 고기 구이기는 원통형의 망체에 고기를 넣고 회전시키면서 구는 방식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가열장치는 구이 장치부의 하부에 위치하므로 뜨거운 상승열에 의해 고기가 직접 구워지므로 온도의 조절이 용이하지 못하며, 고기로 부터 배출되는 기름 및 연소된 숯가루 등이 상승기류에 의해 다시 고기에 묻기도 하는 매우 비위생적인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고기에 함유된 지방질은 조리과정에서 외부로 유출되어 느끼한 맛을 느끼게 하므로 쉽게 질리게 할 뿐만 아니라 각종 성인병을 유발시키는 요인으로 작용되기 때문에 최근 들어 고기로부터 지방을 제거할 수 있는 다양한 조리법들이 개발되고 있다.
한편, 최근에는 조리의 편의를 의하여 구이의 대상이 되는 고기를 자동으로 회전시키면서 구울 수 있는 바베큐 구이기나 숯불 구이기 등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고기 구이장치는 부피가 큰 고기 예컨대 통돼지 바베큐 및 꼬치용 고기 조각들을 굽기에 적합한 용도이다.
또한, 상기한 장치들은 구워진 고기를 장시간 보관 할 수 있도록 하는 수단이 형성되어 있지 못하여 고기를 적시에 제공하기 힘든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숯불의 교체가 용이하면서 본체 내부에서 회전하는 구이판을 다수개 형성하여 다양한 종류의 고기 및 고기의 크기에 상관하지 않고 구울 수 있으며, 구워진 고기를 알맞은 온도에서 보관 및 저장할 수 있는 형태의 고기 구이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체 내부에서 회전하는 구이판을 상하로 다수개 형성시키되, 상기 구이판은 분리 플레이트에 의해 상부 구이판과 하부 구이판으로 각각 분리되도록 형성하며, 상기 상부 구이판과 하부 구이판의 내부에는 고기의 이동을 방지함은 물론, 익힐 수 있는 공간의 확보를 위한 격벽을 수개씩 구성하고, 상기 구이판 내부에서 발생되는 고기 기름은 타공부를 통하여 하부로 낙하되며, 상기 구이판과 하부 구이판의 각 전면에는 열고 닫을 수 있는 구이판 커버를 형성하여 고기를 외부로 배출하고, 상기 구이판은 구동모터의 회전력을 전달받는 체인기어와 결합된 샤프트의 회전력으로 회동하면서 상부 구이판과 하부 구이판 내부에 저장된 고기를 익힐 수 있는 고기 구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례를 첨부된 도면에 의해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요부가 조립된 상태의 사시도이며, 도 2의 (a)(b)는 본 고안의 요부가 조립된 상태의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요부를 발췌하여 확대한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요부가 작동하는 상태의 사시도이다.
먼저, 도 1과 같이 본 고안의 본체(10)는 장방체의 형태로 구성되며, 그 전면에 양측으로 형성되는 도어(28)를 구성하게 된다.
한편, 도 2의 (a)(b)와 같이 본체(10)의 내부에는 다수개의 구이판(27)이 상하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구이판(27)은 자체적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체인기어(17)와 일체로 결합된 샤프트(15)와 연결되는 구성이다.
즉, 구동기어(24)의 회전력을 전달받는 체인에 의해 상기 체인기어(17) 부분이 연동되면서 샤프트(15)를 서서히 회전시키게 되는 구성이다.
그리고, 상기 샤프트(15)에 고정된 구이판(27)은 도 3과 같이 상부 구이판(11)과 하부 구이판(12)으로 각각 구분되는 구성이다.
이때, 상기 상부 구이판(11)과 하부 구이판(12)은 분리 플레이트(13)에 의해 공간이 분리될 수 있으며, 또한 상부 구이판(11)과 하부 구이판(12)의 내부에는 고기를 저장할 수 있는 자리를 확보하기 위한 격벽(14) 부분이 형성된다.
상기의 상황에서 격벽(14)은 상부 구이판(11)과 하부 구이판(12) 내부에 각각으로 형성됨과 아울러 소정의 간격으로 구비되어 고기를 크기별로 익힐 수 있다.
한편, 상기 구이판(11)의 전면에는 구이판 커버(25)를 형성하며 회전하는 구이판(27) 내부의 고기 부분이 외부로 빠져 나오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구성이다.
그리고, 구이판(27) 전체를 타공부(19)로 형성하여 고기에서 발생되는 기름을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다.
이때, 본체(10) 내부 바닥은 구이판(27)에서 낙하되는 기름을 저장하기 위한 경사판(21)과 기름받이(20)를 형성하게 된다.
또한, 그 일측에 숯통(23)을 보관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하여 구이판(27) 내부에 저장된 고기를 익힐 수 있는 구성이다.
한편, 본체(10) 내부에서 발생되는 연기는 연돌(22)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될 수 있으며, 또한 구이판(27)에 투입된 고기는 본체(10) 전면에 형성된 도어(28)를 통하여 확인할 수 있는 것은 당연하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의 작용과 효과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1과 같이 본체(10)에 형성된 도어(28)를 오픈 시킨 후, 도 3과 같이 형성된 구이판(27)의 커버(25)를 오픈시키게 된다.
그리고, 양념된 고기 및 생고기를 상부 구이판(11) 및 하부 구이판(12)에 형성된 공간에 채우게 된다.
이때, 구이판(27) 내부에는 다수의 격벽(14)이 형성되어 있어 고기를 채울 수 있는 공간부는 자연스럽게 형성된다.
그리고, 작업자는 구이판(27) 전면에 형성된 커버(25)를 닫아 구이판(27) 내부에 저장된 고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게 된다.
이와 같은 작업이 종료되면 작업자는 도어(28)를 닫고, 구동기어(24)에 동력을 인가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동력은 샤프트(15)에 고정된 체인기어(17)에 전달되면서 상기 샤프트(15)와 일체로 형성된 구이판(27)을 서서히 회전시키게 된다.
한편, 본체(10) 내부에 투입된 숯통(23)에서는 고온의 열을 방출하게 되면서 본체(10) 내부의 온도는 고온을 계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고기에서 발생되는 기름은 본체(10) 바닥에 형성된 경사판(21)에 낙하됨과 아울러 기름받이(20) 내측으로 흘러내려 저장될 수 있다.
상기의 상황에서 발생되는 기름은 별도의 배관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는 것은 당연하다.
또한, 본체(10) 외부에 형성된 도어(28)를 통하여 구이판(27) 상황을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고기를 익히고 구이판(27)에 저장된 고기를 외부로 배출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구동기어를 임시적으로 정지시킨 후, 구이판에 형성된 커버를 오픈시킨 후, 목적을 달성하게 되는 것이다.
결과적으로 본체(10) 내측 상하방향으로 형성된 다수의 구이판에 의해 고기를 대량적으로 구워 낼 수 있다.
또한, 구이판(27) 전체 표면을 타공부(19)로 형성하여 고기에서 배출되는 기름을 완벽하게 배출시킬 수 있어 고기의 맛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고안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있어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여러가지 치환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례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숯불의 교체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고기를 익힐 수 있는 구이판을 복수로 형성하여 보다 많은 고기를 대량적으로 구워낼 수 있는 특징이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은 작은 고기 조각도 구울 수 있으며, 특히 종래의 통 바베큐 방식보다 작업자의 작업 방식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고객의 다양한 요구를 만족시켜 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요부가 조립된 상태의 사시도
도 2의 (a)(b)는 본 고안의 요부가 조립된 상태의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요부를 발췌하여 확대한 상태의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요부가 작동하는 상태의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본체 11. 상부 구이판
12. 하부 구이판 13. 분리 플레이트
14, 격벽 15. 샤프트
16. 베어링 17. 체인기어
18. 체인 19. 타공부
20. 기름받이 21. 경사판
22. 연돌 23. 숯통
24. 구동기어 25. 구이판 커버
26. 고정핀 27. 구이판

Claims (2)

  1. 고기 구이 장치에 있어서,
    본체 내부에서 회전하는 구이판을 상하로 다수개 형성시키되,
    상기 구이판은 분리 플레이트에 의해 상부 구이판과 하부 구이판으로 각각 분리되도록 형성하며.
    상기 상부 구이판과 하부 구이판의 내부에는 고기의 이동을 방지함은 물론, 익힐 수 있는 공간의 확보를 위한 격벽을 수개씩 구성하고,
    상기 구이판 내부에서 발생되는 고기 기름은 타공부를 통하여 하부로 낙하되며,
    상기 상부 구이판과 하부 구이판의 각 전면에는 열고 닫을 수 있는 구이판 커버를 형성하여 고기를 외부로 배출하고,
    상기 구이판은 구동모터의 회전력을 전달받는 체안기어와 결합된 샤프트의 회전력으로 회동하면서 상부 구이판과 하부 구이판 내부에 저장된 고기를 익힐 수 있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고기 구이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내부 바닥은 구이판에서 낙하되는 기름을 저장하기 위한 경사판과 기름받이로 형성될 수 있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고기 구이장치
KR20-2005-0024770U 2005-08-25 2005-08-25 고기 구이 장치 KR20040115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4770U KR200401159Y1 (ko) 2005-08-25 2005-08-25 고기 구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4770U KR200401159Y1 (ko) 2005-08-25 2005-08-25 고기 구이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1159Y1 true KR200401159Y1 (ko) 2005-11-15

Family

ID=437021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24770U KR200401159Y1 (ko) 2005-08-25 2005-08-25 고기 구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1159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2311B1 (ko) * 2006-11-07 2008-10-13 윤덕명 바비큐 장치
KR20160088058A (ko) * 2015-01-15 2016-07-25 곽인주 직화 구이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2311B1 (ko) * 2006-11-07 2008-10-13 윤덕명 바비큐 장치
KR20160088058A (ko) * 2015-01-15 2016-07-25 곽인주 직화 구이장치
KR101647724B1 (ko) 2015-01-15 2016-08-11 곽인주 직화 구이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86834B1 (ko) 열전달이 용이한 회전식 구이기
KR101910103B1 (ko) 회전형 구이장치
KR100843323B1 (ko) 회전식 바베큐 장치
KR101983863B1 (ko) 보온유지가 되어 구이용 음식물이 빠르고 균일하게 익힘이 가능한 숯불구이기
KR200489004Y1 (ko) 회전식 구이기
KR20120030741A (ko) 숯불구이기
KR200401159Y1 (ko) 고기 구이 장치
KR101298093B1 (ko) 바베큐장치
US9155421B2 (en) Rotisserie grill
KR200419588Y1 (ko) 석쇠장착형 회전식 고기구이기
KR102172587B1 (ko) 원심 탈지구조를 갖는 회전식 구이장치
JP4873350B2 (ja) 回転式の炭火焼き板
KR100719475B1 (ko) 회전식 숯불 구이장치
KR101559429B1 (ko) 부분화력차폐가 가능한 육류구이판
KR100776306B1 (ko) 바베큐 장치
KR100862311B1 (ko) 바비큐 장치
KR200179520Y1 (ko) 통닭 숯불구이기
KR20050062179A (ko) 구이기
KR20170024723A (ko) 고강도 가스통을 재활용한 타지 않는 간접화 바비큐 장치
KR200196640Y1 (ko) 회전식 고기구이기
KR20070047541A (ko) 회전식 숯불 구이장치용 고기 거치대
KR102469309B1 (ko) 초벌 구이 장치
KR20150017110A (ko) 분리형 회전 육류 구이기
CN210471939U (zh) 一种多功能热狗机
KR20200097436A (ko) 구이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50825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51107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1

Payment date: 20050830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date: 20071010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