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91598A - 자수용 틀 장착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자수용 틀 장착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91598A
KR20040091598A KR1020040027929A KR20040027929A KR20040091598A KR 20040091598 A KR20040091598 A KR 20040091598A KR 1020040027929 A KR1020040027929 A KR 1020040027929A KR 20040027929 A KR20040027929 A KR 20040027929A KR 20040091598 A KR20040091598 A KR 200400915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embroidery frame
embroidery
pizza
bas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279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48202B1 (ko
Inventor
다지마이쿠오
미야자키나오히토
오노나루히코
Original Assignee
도카이 고교 미싱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카이 고교 미싱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도카이 고교 미싱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400915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915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482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48202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96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arrangements for alternate or simultaneous use of different digging elements
    • E02F3/966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arrangements for alternate or simultaneous use of different digging elements of hammer-type tool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7/00Cast-iron alloys
    • C22C37/04Cast-iron alloys containing spheroidal graphite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7/00Cast-iron alloys
    • C22C37/10Cast-iron alloys containing aluminium or silic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ewing Machines And Sew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피자수 천의 장력에 의하여 자수용 틀이 내부측으로 변형하는 것을 방지하여, 자수 무늬 어긋남 현상을 효과적으로 예방한다.
직사각형 형상의 기본 틀에 대해 1 또는 복수의 직사각형 형상의 자수용 틀을 설치 수단을 이용하여 착탈 가능하게 장착하는 자수용 틀의 장착 장치에 있어서, 자수용 틀의 내부측을 향한 변형을 방지하기 위해, 자수용 틀의 한 변을 그것에 접한 상기 기본 틀의 한 변에 계합하거나, 또는 인접한 자수용 틀의 인접하는 변 끼리를 계합하는 규제 수단을 적어도 하나 구비한다. 이것에 의해 자수용 틀의 한 변을 그것에 접한 상기 기본 틀의 한 변, 또는, 인접한 자수용 틀이 인접하는 변 끼리의 상대 위치가 고정된다.

Description

자수용 틀 장착 장치 및 방법 {SETTING DEVICE OF EMBROIDERY FRAME AND IT'S SETTING METHOD}
본 발명은 자수기에 있어서, 피자수물을 기본 틀에 세트하기 위한 자수용 틀에 관한 것으로, 자세하게는 자수용 틀을 장착하기 위한 기구의 개량에 관한 것이다.
< 특허 문헌 1 : 실개평 4­106392호 >
기본 틀(원단 틀)에는 이른바 원단을 직접 장착하는 경우와 복수의 미싱 헤드에 각각 대응하여 복수의 자수용 틀(단두식 미싱의 경우는 1개)을 장착하는 경우가 있다. 이 자수용 틀에는 여러 가지의 크기와 형태의 것이 준비되어 있고, 피자수물(피자수 천)에 맞추어 선택하여 사용한다.
그런데, 최근에 큰 무늬의 자수가 유행하고 따라서 자수 면적이 큰 치수의 피자수 천을 자수용 틀에 세트할 필요가 있다. 이와 같은 요구에 따른 자수용 틀의 형태로서 직사각형으로 형성된 소위 각틀 이라는 것이 출현하였다. 이러한 자수용 틀(각틀)은 기본 틀의 자수 범위를 완전하게 살리도록, 4변의 각 변 중 Y방향의 두변이 기본 틀의 내측을 따라 배치되고, 또 서로 인접하여 설치된 자수용 틀끼리의 대응하는 두변도 거의 근접하여 배치되는 것과 같은 대형의 것이다.
또, 자수용 틀을 기본 틀에 대하여 장착하기 위한 구조로서, 기본 틀의 Y방향 안쪽 및 앞측의 틀변에 각각 받이용구가 구비되며, 한편 자수용 틀에 있어서 그 받이용구에 계합시키는 연결구가 구비된다. 기본 틀측에 설치된 받이용구와 자수용 틀측에 설치된 연결구와의 계합 관계로서, Y방향 안쪽 및 Y방향 앞측의 양측에 있어서 완전히 위치 결정된 타입과, Y방향 앞측에 있어서는 위치 결정용의 규제 부재가 없는(위치 결정이 완전히 되지는 않는다) 타입이 있고, 상기 특허 문헌 1에는 후자의 타입의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특허 문헌 1에 개시된 장치의 일례를 도 11 및 도 12에 도시하였다. 도 11 및 도 12에 있어서, 1은 자수 미싱의 테이블 면에 거의 평행하게 X/Y 방향으로 구동되는 기본 틀이고, 이 기본 틀(1)에 대하여 피자수 천을 전개한 상태로 지지하는 복수의 자수용 틀(2)이 장착된다. 자수용 틀(2)의 내주연 윗면에는 돌조(3)가이어지고, 이 돌조(3)의 상방으로부터 착탈 가능하게 끼워 장착되는 주지의 지지 클립(미도시)에 의하여, 돌조(3)의 위에 재치한 피자수 천을 끼워 넣고 지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자수용 틀(2)은 설치 수단을 통하여 기본 틀(1)에 대해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으로, 도면의 예에 있어서, 이 설치 수단은 후방부(Y방향 안쪽)에 설치된 제 1연결 기구(4)와, 또 그 전방부(Y방향 앞측)에 설치된 2개의 제 2연결 기구(5)로 이루어진다. 제 1연결 기구(4)는, 기본 틀(1)의 한 변에 설치된 제 1받이부재(6)와, 자수용 틀(2)의 뒤쪽의 변에 설치된 제 1접속부재(7)로 구성되어 있다. 제 1받이부재(6)에는, 제 1접속부재(7)와 계합하여 제 1접속부재(7)의 상대 이동을 규제하는 홈(6a)이 설치되어 있는 동시에 마그넷(8)과 2장의 자성판(9)이 매입되어 있다. 제 1접속부재(7)의 선단에는 금속제의 흡착판(10)이 설치되어 있고, 제 1접속부재(7)를 제 1받이부재(6)의 홈(6a)에 계합시키면, 흡착판(10)이 자력에 의하여 흡착되고, 제 1받이부재(6)와 제 1접속부재(7)가 연결된다.
제 2연결기구(5)는, 기본 틀(1)에 설치된 제 2받이부재(11)와, 자수용 틀(2)의 앞측의 변에 설치된 제 2접속부재(12)에 의해 구성된다. 제 2받이부재(11)는 윗면에 홈(11a)이 설치되어 있는 동시에 마그넷(13)과 2장의 자성판(14)이 매입되어 있고, 2장의 자성판(14)의 한 표면이 홈(11a)의 바닥면의 일부를 형성하고 있다. 제 2접속부재(12)는, 제 2받이부재(11)의 홈(11a)과 계합하는 흡착부(12a)와 상기 흡착부(12a)로부터 입설된 파지부(12b)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제 2접속부재(12)의 흡착부(12a)를 제 2받이부재(11)의 홈(11a)에 계합하면, 흡착부(12a)가 자력에의하여 흡착되고 제 2받이부재(11)와 제 2접속부재(12)가 연결된다. 자수용 틀(2)을 기본 틀(1)로부터 분리할 때는, 제 2접속부재(12)의 파지부(12b)를 이용하여 자수용 틀(2)을 기본 틀(1)로부터 상방으로 끌어올린다. 이로 인해 제 2접속부재(12)와 제 2받이부재(11)의 연결이 해제되고, 계속하여 제 1접속부재(7)와 제 1받이부재(6)의 연결이 해제되어 자수용 틀(2)을 기본 틀(1)로부터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각형의 자수용 틀에 피자수 천을 지지할 때에는 피자수 천을 자수용 틀에 전개하여 펼친 상태로 지지한다. 이 때문에 자수용 틀의 크기가 크면(자수용 틀의 각변이 길면), 자수용 틀의 각 변은 피자수 천에 의해 잡아 당겨져서 도 11의 가상의 선(2'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내측을 향해서 변형된다. 피자수 천의 자수용 틀에 대한 장력은 자수가 진행됨에 따라 더욱 강해지므로 자수의 진행에 수반하여 자수용 틀의 변형은 점점 커지고, 이로 인해 무늬 어긋남 현상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자수용 틀의 변형은 제 1및 제 2연결기구(4, 5)를 구비하지 않는 좌우 양측의 변에 있어서 크게 나타난다. 또 제 2연결기구(5)를 구비한 전방부(Y방향 앞측)의 변도, 제 2연결기구(5)의 자력에 의하여 흡착되어 있기는 하나, Y방향에 대한 위치 결정부재가 없고, Y방향으로 상대 이동이 가능한 상태이므로, 피자수 천의 장력이 증대하면 변형해 버리고 만다. 또한 제 1연결기구(4)를 구비한 뒤쪽의 변은, 제 1연결기구의 자력이 약해져서 벗어나게 될 때까지는 상대 이동하지 않으므로,해당 변에 있어서의 변형은 거의 발생하지 않는다.
본 발명은 이상의 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자수용 틀의 변형을 막는 것으로 자수무늬 어긋남 현상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자수용 틀의 장착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관련된 다두식 미싱을 나타내는 평면도,
도 2는 도 1에 나타내는 자수용 틀의 하나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평면도,
도 3은 도2의 I-I선 단면도,
도 4는 도2의 II-II선 단면도,
도 5는 동 실시예에 관련되는 기본 틀에 대한 자수용 틀의 설치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6은 자수용 틀에 피자수 천을 전개하여 펼치는데 이용하는 지지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7은 도 6에 나타내는 지지장치에 대한 자수용 틀의 설치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8은 도7에 있어서의 지지부재 하나를 추출하여 확대한 사시도,
도 9는 도6에 나타내는 지지장치의 단면도,
도 10은 도6에 나타내는 지지장치를 이용한 피자수 천을 전개하여 펼쳐진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1은 종래의 기본 틀에 대한 자수용 틀의 연결 기구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12는 도 11의 III-III선 단면도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기본 틀 2 : 자수용 틀
3 : 돌조 4 : 제 1연결기구
5 : 제 1연결기구 6 : 제 1받이부재
7 : 제 1접속부재 11 : 제 2받이수재
12 : 제 2접속부재 15 : 지지부재
16 : 감합부재 17 : 손잡이
18 : 감합부재 19 : 손잡이
20 : 지지부재 21 : 지지장치
22 : 테이블 23 : 지지부재
24 : 피자수 천 25 : 지지 클립
본 발명에 따른 자수용 틀의 장착 장치는, 직사각형 형상의 기본 틀에 대해 하나 또는 복수의 직사각형 형상의 자수용 틀을 설치 수단으로 이용하여 착탈 가능하게 장착하는 자수용 틀의 장착 장치에 있어서, 상기 자수용 틀의 내측으로 향하는 변형을 방지하기 위해서, 상기 자수용 틀의 한 변을 그것에 접한 상기 기본 틀의 한 변에 계합하거나, 또는 인접하는 자수용 틀의 인접하는 변 끼리를 계합하는 규제 수단을 적어도 1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자수용 틀의 장착 방법은 자수용 틀의 적어도 한 변에 대응하여 지지부재를 설치하여 이루어지는 지지장치에, 상기 지지부재를 이용하여 자수용 틀을 가고정한 상태에서 이 자수용 틀에 피자수 천을 전개하여 펼치는 제 1공정과, 상기 피자수 천이 전개하여 펼쳐진 자수용 틀을 상기 지지장치로부터 분리하고, 그것을 청구항 1 내지 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상기 자수용 틀의 장착 장치를 이용하여 자수 미싱의 상기 기본 틀에 장착하는 제 2공정을 구비한다.
< 실시예 >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한 실시 형태에 관하여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전술한 도 11, 도 12에서 이미 나타낸 것과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다두 자수 미싱의 전체 평면도이다. 복수(도시의 예로는 4개)의 미싱 헤드(H)를 구비한 다두 자수 미싱의 테이블(T)의 윗면에 평면 장방형의 기본 틀(1)이 재치된다. 이 기본 틀(1)은 도시하지 않는 X축 구동 기구 및 Y축 구동 기구에 의하여 X, Y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다. 기본 틀(1)에는, 각 미싱 헤드(H)에 각각 대응해 4개의 자수용 틀(2)이 기본 틀(1)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각 자수용 틀(2)은, 직사각형의 프레임 상에 구성되어 있고, 후방부(Y방향 안쪽의 가로 변)에 있어서 2개의 제 1연결기구(4)에 의하여, 또 전방부(Y방향 앞측의 가로 변)에 있어서 2개의 제 2연결기구(5)에 의하여, 각각 기본 틀(1)에 연결되어 있다. 이 제 1연결기구(4) 및 제 2연결기구(5)의 상세한 구성, 및 제 1연결기구(4) 및 제 2 연결 기구(5)에 의한 기본 틀(1)과 각 자수용 틀(2)과의 연결 상태는 도 11 및 도 12에서 상술한 종래의 기술과 동일하다.
도시한 바와 같이, 4개의 자수용 틀(2)은 평면 장방형의 기본 틀(1)의 틀내에 있어서, 각 자수용 틀(2)의 뒤쪽의 변 및 앞쪽의 변이 기본 틀(1)의 뒤쪽의 변 및 앞쪽의 변을 따라 평행을 이루고, 접근된 상태에서 X방향으로 병설되는 것으로 서로 이웃하는 자수용 틀(2)의 상호 간격이 근접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즉, 서로 인접하여 배치된 양 자수용 틀(2)에 있어서 서로 대하는 프레임부재(세로변) 끼리가 거의 맞닿아 접한다. 또 X방향으로 병설된 자수용 틀(2) 중 오른쪽 끝에 위치하는 자수용 틀(2)은, 그 오른쪽의 세로변이 기본 틀(1)의 오른쪽의 세로변의 내측을따라 평행하게 거의 근접되도록 배치되고, 또 좌단에 위치하는 자수용 틀(2)은 그 왼쪽의 세로변이 기본 틀(1)의 왼쪽의 세로변의 내측을 따라 평행하게 거의 근접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기본 틀(1)의 좌우의 양 세로변에는, 해당 부분에 있어서의 자수용 틀(2)의 변형을 방지하기 위한 규제 수단의 한 구성 요소로서 사용되는 지지부재(15)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도 2는 자수용 틀(2)의 일례로서, 도 1에 있어서 오른쪽 끝에 위치하는 것을 확대하여 나타낸 평면도이다. 또, 도 3 은 도 2의 I-I 방향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2의 II-II 방향에 따른 단면도이다. 자수용 틀(2)은 내주연부(2b)로부터 입설된 외주벽(2a)을 갖춘 단면 L자형의 프레임부재에 의하여 구성된다. 내주연부(2b)의 윗면에는 돌조(3)가 설치되어 있고, 주지의 지지클립(미도시)에 의하여 돌조(3)의 위에 재치한 피자수 천을 끼워 넣는 것으로, 자수용 틀(2)에 피자수 천이 지지되도록 한다.
도 2에서 기본 틀(1)의 우측의 변(세로변)에 설치된 지지부재(15)는, 자수용 틀(2)의 세로변의 거의 중간 위치에 대응하는 부분에 있어서 기본 틀(1)의 가장자리부에 대하여 이 지지부재(15)의 후단부가 나사 고정 등에 의하여 고정되고, 그 선단측이 이 기본 틀(1)의 내측으로 돌출되도록 설치된다. 지지부재(15)의 선단부는, 자수용 틀(2)의 우측의 세로변의 외주벽(2a)에 맞닿아 접한다. 감합(嵌合 : 끼워맞춤)부재(16)는, 자수용 틀(2)의 변형을 방지하기 위한 규제 수단의 일 구성 요소로서 지지부재(15)와 자수용 틀(2)을 계합하는 부재이고, 지지부재(15)의 선단부와 자수용 틀(2)의 외주벽(2a)과의 접하는 부분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된다. 감합부재(16)의 한 끝에는 손잡이(17)가 구비되어 있고, 이것에 의해 작업자는 감합부재(16)의 착탈을 용이하게 실행할 수 있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지지부재(15)의 선단부는 오목형으로 굴곡 형성되어 있고, 오목홈부 바닥면으로부터 연장되는 상승부(15a)가 형성된다. 이 상승부(15a)는, 상대하는 자수용 틀(2)의 외주벽(2a)의 외측면에 접한 상태에서 이 외주벽(2a)과 병립하고 있다. 상승부(15a)의 상단부는 이 외주벽(2a)의 상단부와 동일 평면상에 위치되어 있고, 또 상기 오목홈부의 바닥면이 자수용 틀(2)의 내주연부(2b)와 대략 동일한 높이에 위치되므로, 상승부(15a)와 외주벽(2a)은 거의 동등한 높이 폭을 갖게 된다. 따라서 상승부(15a)와 상대하는 외주벽(2a)의 외측면은, 그 높이 폭의 거의 전폭에 걸쳐 맞닿아 접한다. 이것이, 감합부재(16)에 의한 지지부재(15)와 자수용 틀(2)과의 계합을 보다 확실하게 하고 있다.
지지부재(15)와 외주벽(2a)에 대하여 장착된 감합부재(16)는, 단면이 U자 모양의 부재이고, U자의 개구측을 하향하여 자수용 틀(2)의 외주벽(2a)과 상승부(15a)가 병립한 부분을 상방에서 덮도록 장착된다. 이것에 의해, 외주벽(2a)과 상승부(15a)가 감합부재(16)에 의하여 끼워 지지되어, 지지부재(15)와 자수용 틀(2)의 우측변의 상대 위치가 고정된다.
도 1에 나타내는 기본 틀(1)의 왼쪽의 세로변에 설치된 지지부재(15)도 상기와 동일하게 구성되어, 인접한 자수용 틀(2)의 한 변과 계합되는 것으로, 해당 변의 상대 위치를 고정한다.
또, 자수용 틀(2)의 좌측에는 다른 자수용 틀(2)이 인접하여 배치되어 있다.서로 인접하여 배치된 2개의 자수용 틀(2)의 상호간에는, 자수용 틀(2)의 세로변과 거의 동일한 길이의 감합부재(18)가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감합부재(18)는, 자수용 틀(2)의 변형을 방지하기 위한 규제 수단의 일 구성 요소로서 서로 인접하여 배치된 자수용 틀(2)의 상대하는 변(프레임부재)끼리를 계합하는 부재이다. 감합부재(18)의 한 끝에는 손잡이(19)가 마련되어 있고, 감합부재(18)의 착탈을 용이하게 하고 있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인접한 양 자수용 틀(2)이 상대하는 외주벽(2a)은 각각의 외측면 끼리 맞닿아 접한 상태에서 병립하고 있다. 여기서 상대하는 외주벽(2a)은 각각 동등한 길이 및 높이를 갖는 것이므로, 양 외주벽(2a)의 외측면끼리 맞닿아 접하게 된다. 이 양 외주벽(2a)을 계합시키는 감합부재(18)가 자수용 틀(2)의 세로변과 거의 동일한 길이를 갖는 것으로, 해당 부분의 계합을 보다 확실한 것으로 할 수 있다. 이 감합부재(18)는 단면이 U자 모양의 부재이고, U자의 개구측을 하향으로 하여, 상기 맞닿아 접한 상태에서 병립한 양 외주벽(2a)을 상방에서 덮도록 설치된다. 이것에 의해 양 외주벽(2a)이 감합부재(18)에 의하여 끼워 지지되며, 이와같이 협지된 양변의 상대 위치가 고정된다.
도 1에 있어서, 인접하여 배치된 2개의 자수용 틀(2)의 상호간의 어느 부분에 있어서도 상기와 동일한 감합부재(18)가 각각 설치된다.
기본 틀(1)의 앞쪽의 변(Y방향 앞측의 가로변)에는, 해당 부분에 있어서의 자수용 틀(2)의 변형을 방지하기 위한 규제 수단의 일 구성 요소로서 사용되는 지지부재(20)가 마련되어 있다. 지지부재(20)는 자수용 틀(2)의 앞쪽의 변(Y방향 앞측의 가로변)의 거의 중간 위치에 대응하는 부분에 있어서, 기본 틀(1)의 가장자리부에 대하여 그 지지부재(20)의 후단부를 나사 고정 등에 의하여 고정하고, 그 선단측이 기본 틀(1)의 내측으로 돌출하도록 설치된다. 지지부재(20)의 선단부는 자수용 틀(2)의 앞쪽의 변의 외주벽(2a)의 외측면에 맞닿아 접한다. 지지부재(15)의 선단부와 자수용 틀(2)의 외주벽(2a)과의 접하는 부분에는 지지부재(20)와 자수용 틀(2)을 계합하는 부재로서, 상기와 동일한 감합부재(16)가 착탈 가능하게 장착된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지지부재(20)의 선단부는 오목형으로 굴곡 형성되어 있고, 오목홈부의 바닥면으로부터 연장되는 상승부(20a)가 형성된다. 이 상승부(20a)는 상대하는 자수용 틀(2)의 외주벽(2a)의 외측면에 맞닿아 접한 상태에서 그 외주벽(2a)과 병립하고 있다. 상승부(20a)의 상단부는 그 외주벽(2a)의 상단부와 동일 평면상에 위치되어 있고, 또 상기 오목홈부의 바닥면이 자수용 틀(2)의 내주연부(2b)와 대략 동일한 높이에 위치되므로, 상승부(20a)와 이것에 상대하는 외주벽(2a)은 거의 동등한 높이 폭을 가지며, 따라서 상승부(20a)와 상대하는 외주벽(2a)의 외측면은 그 높이 폭의 거의 전 범위에 걸쳐서 맞닿아 접한다. 이것이 감합부재(16)에 의한 지지부재(20)와 자수용 틀(2)과의 계합을 보다 확실한 것으로 하고 있다.
감합부재(16)는 U자의 개구측을 하향으로 하여 외주벽(2a)과 상승부(20a)가 병립한 부분을 상방에서 덮도록 장착되는 것으로, 외주벽(2a)과 상승부(20a)를 끼워 지지하고 이것에 의해 지지부재(20)와 자수용 틀(2)의 앞쪽의 변의 상대 위치가고정된다. 또한, 도 1에 나타내는 각 자수용 틀(2)의 앞쪽의 변에 있어서, 상기와 동일한 지지부재(20)와 감합부재(16)로 구성되는 규제 수단이 구비된다.
도 5를 참조해 본 실시예의 작용을 설명한다. 자수용 틀(2)을 기본 틀(1)에 장착할 때는, 작업자가 우선 자수용 틀(2)의 후방측의 변(제 1연결 기구(4)가 설치된 측의 변)이 낮아지도록 자수용 틀(2)을 비스듬하게 파지하고, 제 1접속부재(7)와 제 1 받이부재(6)를 맞닿아 접하게 되면, 자력에 의하여 흡착판(10)이 자성판(9)에 흡착되고, 홈(6a)에 제 1접속부재(7)가 계합된다. 그리고 이 상태에서 자수용 틀(2)의 앞쪽의 위치를 내리면 제 1접속부재(7)와 제 1받이부재(6)가 완전히 계합된 상태에서 흡착되고 제 1연결 기구(4)가 연결됨과 동시에, 제 2접속부재(12)가 제 2받이부재(11)의 홈 (11a)에 계합되어 제 2연결 기구(5)가 연결된다. 제 1연결 기구(4) 및 제 2연결 기구(5)에 의하여 기본 틀(1)의 소정 위치에 장착된 자수용 틀(2)은, 우측 변에 있어서 지지부재(15)에 맞닿아 접하고, 앞쪽의 변(제 2연결 기구(5)가 설치된 측의 변)에 있어서 지지부재(20)에 맞닿아 접하고, 좌측 변에 있어서 인접하는 자수용 틀의 한 변(우측 변)에 맞닿아 접한다.
그리고, 이 상태에서 자수용 틀(2)의 우측 외주벽(2a)과 지지부재(15)의 상승부(15a)에 대하여 상방에서 감합부재(16)를 장착하고, 자수용 틀(2)의 앞쪽의 외주벽(2a)과 지지부재(20)의 상승부(20a)에 대하여 상방에서 감합부재(16)를 장착하고, 또 인접하여 배치된 자수용 틀(2)이 상대하는 외주벽(2a) 상호간에 대하여 상방에서 감합부재(18)를 장착한다. 작업자는 손잡이(17, 19)를 쥐고 감합부재(16, 18)의 착탈 작업을 할 수 있기 때문에 감합부재(16, 18)의 착탈을 간편하게 실행할수 있다.
각 감합부재(16 및 18)가 각각 대응하는 각 변(프레임부재)의 규제 수단으로서 기능함으로써 상기 각 변의 상대 위치가 고정된다. 이로 인해 피자수 천을 자수용 틀(2)에 지지했을 때에, 자수용 틀(2)의 우측의 세로변, 좌측의 세로변 및 앞측의 가로변에 대하여 피자수 천에 의한 장력이 가해졌다고 하여도, 상기 각 변이 틀의 내측 방향으로 변형되는 것(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이로 인한 무늬 어긋남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전술의 도 11의 가상선(2'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피자수 천의 장력에 의한 자수용 틀(2)의 변형은, 각변의 중앙 부근에서 크게 나타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감합부재(16)가 대응하는 변의 거의 중앙 부근에 감합되고, 여기서 위치를 결정하고 있으므로, 해당 부분에 있어서의 변형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 인접한 자수용 틀(2)의 세로변 끼리를 계합하는 감합부재(18)가 자수용 틀(2)과 거의 같은 길이를 갖는 것으로, 피자수 천으로부터의 장력이 각각 가해지는 양변에서의 위치 규제가 보다 확실하게 된다.
또한, 자수용 틀(2)의 뒤쪽의 변은 제 1연결 기구(4)에 있어서 제 1접속부재(7)와 제1받이부재(6)를 흡착시키고 있는 자력이 풀릴 때까지는, 상대적으로 이동하는 일이 없으므로, 피자수 천의 장력에 의한 변형이 거의 발생하지 않는다. 따라서, 해당 변에 있어서는 위치 규제 수단(지지부재 및 감합부재)을 설치하지 않더라도 무방할 것이다.
자수용 틀(2)을 기본 틀(1)로부터 분리할 때는, 제 2접속부재(12)의 파지부(12b)를 가지고 자수용 틀(2)을 기본 틀(1)로부터 상방으로 끌어 올리면 된다. 이로 인해 제 2접속부재(12)와 제 2받이부재(11)의 연결이 해제되어서, 제 2연결기구(5)에서 연결이 풀리고, 계속해서 제 1접속부재(7)와 제 1받이부재(6)의 연결이 해제되고, 제 1연결 기구(4)의 연결이 풀린다. 자수용 틀(2)이 상방으로 끌어 올려지는 것으로, 자수용 틀(2)의 외주벽(2a)과 함께 각 감합부재(16, 18)가 들어 올려져, 그 계합이 풀린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위치 규제 수단에 의하면, 자수용 틀(2)을 기본 틀(1)에 대하여 상방으로 끌어올리는 것만으로, 제 1및 제 2연결 기구(4, 5)의 해제와 함께, 각 감합부재(16, 18)의 계합도 해제되도록 되어 있다. 이 때문에, 예를 들면 나사 고정 등에 의한 고정 수단을 사용한 경우에 비하여, 자수용 틀(2) 및 위치 규제 수단(지지부재 및 감합부재)의 분리를 극히 용이하게 실행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 감합부재(18)의 길이는 자수용 틀(2)의 세로 변과 거의 동일한 길이로 하였으나, 이에 한하지 않고, 감합부재(18)로서 길이가 짧은 것을 채용함으로써, 작업성을 향상시켜도 된다. 이 경우, 감합부재(18)는 서로 인접하는 자수용 틀(2)의 세로변의 거의 중앙 부근에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감합부재(18)로서 비교적 길이가 짧은 것을 복수개 장착하여도 된다. 또 지지부재(15, 20) 및 감합부재(16)의 구성도 상기의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각 변에 있어서 복수의 감합부재(16)가 장착되는 것과 같은 구성이어도 좋으며, 또는 감합부재(16)로서 대응하는 변과 거의 동등한 길이를 갖는 것과 같은 비교적 긴 길이의 것을 사용해도 된다.
또, 상기 실시예에서, 지지부재(20)를 설치하여 자수용 틀(2)의 앞쪽의 변에있어서도 위치 규제를 행하고 있으나, 이 부분에서 위치 규제는 행하지 않고, 좌우의 양측 변에 있어서만 위치 규제 수단을 구비하도록 구성해도 무방하다. 또, 제 1연결 기구(4)가 구비된 뒤쪽의 변에 위치 규제 수단을 설정해도 된다.
또, 상기 실시예에서, 제 1연결 기구(4) 및 제 2연결 기구(5)를 각 자수용 틀(2)마다 2개씩 설치하는 예를 나타내었으나, 이러한 설치 개수는 상기에 한정되지 않고 각각 적절히 증감시켜도 무방하다.
또, 규제 수단으로서는, 착탈 가능한 것에 한하지 않고, 자수용 틀(2)의 한 변을 그것에 접하는 기본 틀(1)의 한 변에 계합하는, 또는 인접하는 자수용 틀(2)의 인접하는 변 끼리를 계합하는 기구이면 된다. 예를 들면, 자수용 틀(2)의 한 변과 그것에 접하는 기본 틀(1)의 한 변 자체에 상호 연결을 위한 기구를 구비하는 것, 또는 인접하는 자수용 틀의 인접하는 변끼리 자체적으로 상호 연결을 위한 기구를 구비하는 것과 같은 구성도 가능하다.
그런데, 미싱 헤드에 대응하여 복수의 자수용 틀(2)(단두식 미싱의 경우는 1개)을 기본 틀(1)(원단 틀)에 장착하고 자수를 행할 때에는, 자수용 틀(2)에 피자수 천을 전개하여 펼쳐 지지한 후에, 그 자수용 틀(2)을 기본 틀(1)에 장착하는 것이 대부분이다. 이것은, 피자수 천을 전개하여 펼치는 작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어떤 자수용 틀(2)에 대하여 자수를 행하고 있는 사이에, 비어 있는 자수용 틀에 대하여 피자수 천을 전개하여 펼쳐 지지해 두는 것으로 작업 효율을 향상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렇지만, 상술의 실시예에 의하면, 자수용 틀(2)을 기본 틀(1)에 세트한 후에 피자수 천을 전개하고 펼쳐 지지한 경우는, 전개하여 펼쳐진 피자수 천의 장력에 의한 자수용 틀(2)의 변형(휘어짐)을 방지할 수 있기는 하나, 자수용 틀(2)을 기본 틀(1)에 세트하기 전에 피자수 천을 자수용 틀(2)에 전개하여 펼친 경우는, 자수용 틀(2)의 각 변은 피자수 천의 장력에 끌려가서 변형되고 말아, 자수용 틀(2)을 기본 틀(1)에 세트할 수 없게 되는 것 등의 불편함이 생길 수 있다.
그러면, 자수용 틀(2)을 기본 틀(1)에 세트하기 전에, 자수용 틀(2)에 대하여 피자수 천을 전개하여 펼칠 때에는, 이하 도 6 ∼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하는 것과 같은 지지장치를 사용하면 좋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기술한 것과 동일한 구성 부재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설명은 생략한다.
도 6 ∼ 도 10에 있어서, 부호 21은 자수용 틀(2)에 피자수 천을 전개하여 펼칠때에 자수용 틀(2)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장치이다. 지지장치(21)는, 테이블(22)과, 테이블 윗면에 고정된 4개의 지지부재(23)로 구성되고 있다. 각 지지부재(23)는,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테이블 면에서 L자 모양으로 연장되는 지지 벽(23a)을 갖고 있다. 각 지지부재(23)는, 자수용 틀(2)의 각 변에 대응하고, 자수용 틀(2)을 테이블(22) 위에 장착했을 때에, 각 지지벽(23a)이 대응하는 자수용 틀(2)의 각 변의 외주벽(2a)의 외측면에 병립하는 위치에 각각 설치되어 있다.
자수용 틀(2)에 피자수 천을 전개하여 펼칠 때는, 우선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자수용 틀(2)을 지지장치(21)에 상방으로부터 세트한다. 자수용 틀(2)이 지지장치(21)에 재치되면, 도 9의 단면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 지지부재(23)의 지지 벽(23a)의 내부측에, 자수용 틀(2)의 각 변의 외주벽(2a)이 병립한다. 그리고,각 지지벽(23a)과 각 외주벽(2a)이 병립하는 각 부분에 대하여, 각각 감합부재(16)를 장착한다. 이 감합부재(16)는 기술한 것과 동일하다. 즉, 이것은 단면이 U자 모양의 부재이고, U자의 개구측을 하향으로 하여 병립하는 외주벽(2a)과 지지벽(23a)을 상방에서 덮도록 장착되는 것으로, 양 부재를 끼워 지지하고, 자수용 틀(2)의 각 변과 각 지지부재의 상대 위치를 고정한다. 작업자는, 지지장치(21)에 있어 각 변의 상대적 위치가 고정된 자수용 틀(2)에 대하여,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피자수 천(24)을 지지 클립(25)으로 전개하여 펼친다.
이처럼, 자수용 틀(2)에 피자수 천(24)을 전개하여 펼칠 때에 지지장치(21)를 이용하면, 감합부재(16)에 의하여 자수용 틀(2)의 각 변이 각 지지부재(23)의 지지벽(23a)에 고정된 상태에서 피자수 천(24)을 전개하여 펼칠 수 있으므로, 자수용 틀(2)의 각 변이 피자수 천(24)에 끌려가서 내측으로 변형하는(휘는) 일이 없다. 이 때문에, 작업자는 자수용 틀(2)에 피자수 천(24)를 전개하여 펼친 후, 그 자수용 틀(2)을 지지장치(21)로부터 분리하여, 이것을 기본 틀(1)에 세트하고, 그 각 변에 감합부재(16, 18)를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자수용 틀(2)을 기본 틀(1)에 세트하기 전에 피자수 천을 자수용 틀(2)에 전개하여 펼친 경우에도, 본 발명에 관계된 감합부재(16 및 18)에 의하여, 기본 틀(1)에 있어서의 자수용 틀(2)의 상기 각 변의 상대 위치를 고정할 수 있다. 또한, 피자수 천(24)을 전개하여 펼친 자수용 틀(2)을 지지장치(21)로부터 분리할 때에는, 자수용 틀(2)의 각 변이 피자수 천(24)에 끌려가서 내측으로 변형하는 경우도 있지만, 그 변형은 근소한 것이기 때문에, 이 경우에도 감합부재(16, 18)를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게된다.
또한, 도 6 ∼ 도 10에 나타내는 예로는, 지지부재(23)를 자수용 틀(2)의 각 변에 대응하여 4개 설치하는 예를 나타내었으나, 지지부재(23)는 반드시 4개 설치할 필요는 없고, 자수용 틀(2)의 좌우의 변에 대응하는 2개로 하는 등, 그 수는 임의로 구성해도 된다. 또, 지지부재(23)를 자수용 틀(2)의 각종 크기에 대응할 수 있도록 테이블(22)에 대하여 위치 조정 가능한 구성으로 해도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자수용 틀의 장착 장치에 의하면, 자수용 틀의 내측을 향하는 변형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자수용 틀의 한 변을 그것에 접한 상기 기본 틀의 한 변에 계합하거나, 또는 인접하는 자수용 틀의 인접하는 변끼리 계합하는 규제 수단을 적어도 1개 구비하는 것으로, 자수용 틀의 한 변을 그것에 접한 상기 기본 틀의 한 변, 또는 인접하는 자수용 틀의 인접하는 변 끼리의 상대 위치가 고정된다. 이것에 의해, 자수용 틀에 대하여 피자수 천에 의한 장력이 가해질 경우에도, 자수용 틀이 내측을 향하여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이로 인한 무늬 어긋남 현상도 방지할 수 있다.
또, 상기 자수용 틀의 장착 방법에 의하면, 우선 자수용 틀의 적어도 한 변에 대응하여 지지부재를 설치하여 이루어지는 지지장치에, 상기 지지부재를 통하여 자수용 틀을 가고정한 상태에서, 그 자수용 틀에 피자수 천을 전개하여 펼치고, 상기 피자수 천이 전개하여 펼쳐진 자수용 틀을 상기 지지장치로부터 분리하고, 그것을 청구항 1 내지 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상기 자수용 틀의 장착 장치를 이용하여 자수 미싱의 상기 기본 틀에 장착한다. 이것에 의해 자수용 틀을 기본 틀에 장착하기 전에 이 자수용 틀에 대하여 피자수 천을 전개하여 펼칠 때, 그 자수용 틀의 각 변이 피자수 천의 장력에 의하여 내측을 향하여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Claims (4)

  1. 직사각형 형상의 기본 틀에 대해 하나 또는 복수의 직사각형 형상의 자수용 틀을 설치 수단을 이용하여 착탈 가능하게 장착하는 자수용 틀의 장착 장치에 있어서,
    상기 자수용 틀의 내부측을 향하는 변형을 방지하기 위해서, 상기 자수용 틀의 한 변을 그것에 접하는 상기 기본 틀의 한 변에 계합하거나, 또는 인접하는 자수용 틀의 인접하는 변 끼리를 계합하는 규제 수단을 적어도 1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수용 틀의 장착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규제 수단은 착탈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수용 틀의 장착 장치.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규제 수단은, 단면이 U자형의 부재로 구성되고, 상기 자수용 틀과 그 기본 틀과의 계합 부분 또는 서로 인접하여 배치된 상기 자수용 틀 끼리의 계합 부분을 끼워 지지하며, 상기 자수용 틀이 상기 기본 틀로부터 윗방향으로 분리될 때, 그 규제 수단에 의한 계합이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자수용 틀의 장착 장치.
  4. 자수용 틀의 적어도 한 변에 대응하여 지지부재를 설치하여 이루어지는 지지장치에, 상기 지지부재를 이용하여 자수용 틀을 가고정한 상태에서, 그 자수용 틀에 피자수 천을 전개하여 펼치는 제1 공정과,
    상기 피자수 천이 전개하여 펼쳐진 자수용 틀을 상기 지지장치로부터 분리하고, 그것을 청구항 1 내지 3의 어느 하나에 기재된 상기 자수용 틀의 장착 장치를 이용하여 자수 미싱의 상기 기본 틀에 장착하는 제2 공정을 포함하는 자수용 틀의 장착 방법.
KR1020040027929A 2003-04-22 2004-04-22 자수용 틀 장착 장치 및 방법 KR10054820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3117253 2003-04-22
JPJP-P-2003-00117253 2003-04-22
JP2003287100A JP2004337575A (ja) 2003-04-22 2003-08-05 刺繍用枠の装着装置及び方法
JPJP-P-2003-00287100 2003-08-0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91598A true KR20040091598A (ko) 2004-10-28
KR100548202B1 KR100548202B1 (ko) 2006-02-02

Family

ID=335431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27929A KR100548202B1 (ko) 2003-04-22 2004-04-22 자수용 틀 장착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2004337575A (ko)
KR (1) KR100548202B1 (ko)
CN (1) CN154005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101435A2 (ko) 2009-03-06 2010-09-10 주식회사 미싱이야기 자수기용 피자수물 클램핑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자수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8168494A (ja) * 2017-03-29 2018-11-01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刺繍枠
CN107978242B (zh) * 2017-11-16 2019-12-24 浙江威克特广告有限公司 一种方便安装的灯箱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101435A2 (ko) 2009-03-06 2010-09-10 주식회사 미싱이야기 자수기용 피자수물 클램핑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자수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4337575A (ja) 2004-12-02
KR100548202B1 (ko) 2006-02-02
CN1540057A (zh) 2004-10-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5179559A (ja) 刺繍ミシンの刺繍枠取付装置
KR100548202B1 (ko) 자수용 틀 장착 장치 및 방법
JP4994430B2 (ja) 後部ガーニッシュクリップ
US7083447B2 (en) Printed circuit board module and disconnect bow
KR20070026032A (ko) 미싱에 있어서의 피봉제 소재 유지틀의 보조구 및 그를이용한 봉제 방법
JP2001262457A (ja) 刺繍機及び刺繍枠保持装置
JP4272610B2 (ja) 遊技機の制御装置
JP2001336509A (ja) クランプおよび係合構造
KR200435185Y1 (ko) 미싱에 있어서의 피봉제 소재 유지틀의 보조구
JP2009265205A (ja) 画像表示装置
JP2003283163A (ja) レール取付機構
JP2525492Y2 (ja) 刺繍用枠の装着装置
JP2018075083A (ja) 什器における支持構造、および什器
KR100348025B1 (ko) 재봉틀용 누름쇠
JP2005170540A (ja) エレベータの乗りかご
JP3852732B2 (ja) 電気機器装置の筐体構造
JP3056945U (ja) スピーカーの固定構造
KR100528012B1 (ko) 차량용 보조손잡이 고정브라켓
WO2024113223A1 (zh) Led显示模组
JP2519282Y2 (ja) ディスプレイ装置と固定台との組立構造
JPH05142871A (ja) 複写機の連結固定機構
JP3849243B2 (ja) ピンフック
JP3779396B2 (ja) 刺繍枠の取付構造
US6092477A (en) Presser foot for sewing machine
KR0137227Y1 (ko) 샤시홀더 고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21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13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