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59803A - 반도체 소자의 캐패시터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반도체 소자의 캐패시터 제조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0059803A KR20040059803A KR1020020086306A KR20020086306A KR20040059803A KR 20040059803 A KR20040059803 A KR 20040059803A KR 1020020086306 A KR1020020086306 A KR 1020020086306A KR 20020086306 A KR20020086306 A KR 20020086306A KR 20040059803 A KR20040059803 A KR 20040059803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apacitor
- film
- capacitor oxide
- oxide film
- etching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Withdrawn
Links
- 239000003990 capacitor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4
- 239000004065 semiconductor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6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1
- 239000010410 layer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2
- 150000004767 nitrides Chemical clas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8
- 238000003860 storage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7
- 238000005530 etch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4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4
- 239000000758 substrat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3
- 239000011229 interlayer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
- 230000004888 barrier funct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7517 polish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29910021420 polycrystalline silic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3
- 229920005591 polysilicon Polymers 0.000 description 3
- BOTDANWDWHJENH-UHFFFAOYSA-N Tetraethyl orthosilicate Chemical compound CCO[Si](OCC)(OCC)OCC BOTDANWDWHJENH-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5380 borophosphosilicate glas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0151 deposi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9413 insu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10354 integ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751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OGIDPMRJRNCKJF-UHFFFAOYSA-N titanium oxide Inorganic materials [Ti]=O OGIDPMRJRNCKJF-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29910003071 Ta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GWEVSGVZZGPLCZ-UHFFFAOYSA-N Titan oxide Chemical compound O=[Ti]=O GWEVSGVZZGPLCZ-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15572 biosynthet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021 deposi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BPUBBGLMJRNUCC-UHFFFAOYSA-N oxygen(2-);tantalum(5+) Chemical compound [O-2].[O-2].[O-2].[O-2].[O-2].[Ta+5].[Ta+5] BPUBBGLMJRNUCC-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059 patter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498 polish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467 substitu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MZLGASXMSKOWSE-UHFFFAOYSA-N tantalum nitride Chemical compound [Ta]#N MZLGASXMSKOWSE-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10001936 tantalum oxid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D—INORGANIC ELECTRIC SEMICONDUCTOR DEVICES
- H10D1/00—Resistors, capacitors or inductors
- H10D1/60—Capacitors
- H10D1/68—Capacitors having no potential barrier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0—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or of parts thereof; Manufacture of integrated circuit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1—Manufacture of specific parts of devices defined in group H01L21/70
- H01L21/768—Applying interconnections to be used for carrying current between separate components within a device comprising conductors and dielectrics
- H01L21/76801—Applying interconnections to be used for carrying current between separate components within a device comprising conductors and dielectrics characterised by the formation and the after-treatment of the dielectrics, e.g. smoothing
- H01L21/76829—Applying interconnections to be used for carrying current between separate components within a device comprising conductors and dielectrics characterised by the formation and the after-treatment of the dielectrics, e.g. smoothing characterised by the formation of thin functional dielectric layers, e.g. dielectric etch-stop, barrier, capping or liner lay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Semiconductor Mem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캐패시터 산화막 식각시 발생되는 보우잉 현상을 캐패시터 용량을 저하시키는 것 없이 효과적으로 방지하여 소자의 수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반도체 소자의 캐패시터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부에 층간절연막에 의해 서로 분리된 스토리지노드 콘택이 형성된 반도체 기판을 준비하는 단계; 기판 전면 상에 제 1 캐패시터 산화막을 형성하는 단계; 스토리지노드 콘택 주변 상의 제 1 캐패시터 산화막을 일정 깊이만큼 식각하여 홈을 형성하는 단계; 홈 표면 및 제 1 캐패시터 산화막 표면 상에 질화막을 형성하는 단계; 질화막이 형성된 홈에 매립되도록 질화막 상부에 제 2 캐패시터 산화막을 형성하는 단계; 제 2 캐패시터 산화막 및 질화막을 제 1 캐패시터 산화막의 표면이 노출되도록 전면식각하는 단계; 및 질화막을 식각배리어로하여 스토리지노드 콘택이 노출되도록 제 1 캐패시터 산화막을 식각하여 캐패시터용 홀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반도체 소자의 캐패시터 제조방법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반도체 소자의 캐패시터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캐패시터 산화막 식각시 발생하는 보우잉(bowing) 현상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반도체 소자의 캐패시터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메모리셀(memory cell)에 사용되는 캐패시터는 스토리지(storage node) 전극, 유전막, 및 플레이트(plate) 전극으로 이루어지며, 고집적화에 따라 감소하는 셀면적 내에서 소자에 대응하는 충분한 캐패시터 용량을 얻기 위하여 캐패시터의 높이를 점점 더 증가시키고 있다.
이러한 캐패시터는 통상적으로 스토리지노드 콘택의 형성 후 희생막인 캐패시터 산화막을 적용하여 캐패시터 영역을 한정한 후 스토리지노드 전극, 유전막 및 플레이트 전극을 순차적으로 형성하기 때문에, 원하는 높이의 캐패시터를 얻기 위해서는 캐패시터 높이에 해당되는 두께로 캐패시터 산화막을 형성 및 식각하여야 한다.
그러나, 예컨대 2㎛ 이상의 두께로 캐패시터 산화막을 적용하고 이를 식각하게 되면, 캐패시터 산화막 상부에서 식각부위인 홀은 점점 더 커지고 남아있는 캐패시터 산화막 사이의 공간은 좁아지게 되어 보우잉(bowing) 현상이 유발되면서, 예컨대 캐패시터 산화막 최상부로부터 3000Å 정도에서는 인접 홀끼리 수평방향으로 관통됨으로써, 후속 스토리지노드 전극 사이의 절연특성을 저하시키고 스토리지노드 전극간 브리지(bridge)를 유발하여 소자의 수율을 저하시키게 된다. 또한, 이러한 보우잉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식각부위인 홀의 크기를 감소시키게 되면 남아있는 캐패시터 산화막 사이의 충분한 절연공간은 확보할 수 있으나 식각부위가 완전히 오픈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캐패시터 용량이 부족하게 되어 결국 소자의 수율을 저하시키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캐패시터 산화막 식각시 발생되는 보우잉 현상을 캐패시터 용량을 저하시키는 것 없이 효과적으로 방지하여 소자의 수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반도체 소자의 캐패시터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a 내지 도 1f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소자의 캐패시터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소자의 캐패시터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반도체 기판 11 : 층간절연막
12 : 스토리지노드 콘택 13 : 제 1 질화막
14A, 14B : 제 1 및 제 2 캐패시터 산화막
15 : 홈 16 : 제 2 질화막
17 : 캐패시터용 홀 18 : 스토리지노드 전극
19 : 유전막 20 : 플레이트 전극
100 : 캐패시터 R1 : 셀영역
R2 : 주변영역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의 본 발명의 목적은 상부에 층간절연막에 의해 서로 분리된 스토리지노드 콘택이 형성된 반도체 기판을 준비하는 단계; 기판 전면 상에 제 1 캐패시터 산화막을 형성하는 단계; 스토리지노드 콘택 주변 상의 제 1 캐패시터 산화막을 일정 깊이만큼 식각하여 홈을 형성하는 단계; 홈 표면 및 제 1 캐패시터 산화막 표면 상에 질화막을 형성하는 단계; 질화막이 형성된 홈에 매립되도록 질화막 상부에 제 2 캐패시터 산화막을 형성하는 단계; 제 2 캐패시터 산화막 및 질화막을 제 1 캐패시터 산화막의 표면이 노출되도록 전면식각하는 단계; 및 질화막을 식각배리어로하여 스토리지노드 콘택이 노출되도록 제 1 캐패시터 산화막을 식각하여 캐패시터용 홀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반도체 소자의 캐패시터 제조방법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 1 캐패시터 산화막은 적어도 2㎛ 이상의 두께로 형성하고, 홈은 제 1 캐패시터 산화막의 최상부로부터 3000 내지 5000Å 정도의 깊이로 식각한다.
또한, 질화막은 저압-질화막이나 플라즈마강화-질화막으로 형성하고, 전면식각은 화학기계연마 공정이나 에치백 공정으로 수행한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보다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소개하기로 한다.
도 1a 내지 도 1f 및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소자의 캐패시터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및 평면도로서, 도 2a 및 도 2b는각각 도 1a 및 도 1b에 대한 평면도를 나타낸다.
도 1a 및 도 2a를 참조하면, 셀영역(R1) 및 주변영역(R2)이 정의되고, 트랜지스터 및 비트라인 등의 소정의 공정이 완료된 반도체 기판(10) 상에 층간절연막(11)을 형성하고, 스토리지노드 콘택용 마스크를 이용하여 기판(10)의 일부가 노출되도록 층간절연막(11)을 식각하여 콘택홀을 형성한다. 그 다음, 콘택홀에 매립되도록 층간절연막(11) 상부에 폴리실리콘막 등의 도전막을 증착하고 화학기계연마(Chemical Mechanical Polishing; CMP) 공정이나 에치백(etch-back) 공정으로 층간절연막(11)의 표면이 노출되도록 전면식각하여 도전막을 서로 분리시켜, 셀영역(R1)에 기판(10)과 콘택하는 스토리지노드 콘택(12)를 형성한다.
도 1b 및 도 2b를 참조하면, 스토리지노드 콘택(12) 및 층간절연막(11) 상에 제 1 질화막(13)을 증착하고 셀영역(R1)에만 남도록 제 1 질화막(13)을 패터닝한 후, 기판 전면 상에 적어도 2㎛ 이상의 두께로 제 1 캐패시터 산화막(14A)을 형성한다. 여기서, 제 1 캐패시터 산화막(14A)은 HDP 산화막, USG막, PSG막, BPSG막, HLD 산화막, SOG막 및 TEOS막 중 선택되는 하나의 막으로 형성한다. 그 다음, 셀영역(R1)의 스토리지노드 콘택(12) 주변 상의 제 1 캐패시터 산화막(14A)을 일정 깊이만큼 식각하여 홈(15)을 형성한다. 바람직하게, 홈(15)은 종래의 보우잉이 발생되는 깊이를 감안하여 제 1 캐패시터 산화막(14A) 최상부로부터 3000 내지 5000Å 정도의 깊이로 식각한다.
도 1c를 참조하면, 홈(15) 표면 및 제 1 캐패시터 산화막(14A) 표면 상에 제 2 질화막(16)을 형성한다. 바람직하게, 제 2 질화막(16)은 저압(Low Pressure; LP)-질화막이나 플라즈마강화(Plasma Enahnced ; PE)-질화막으로 형성한다. 그 다음, 도 1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질화막(16)이 형성된 홈(15)에 매립되도록 기판 전면 상에 제 2 캐패시터 산화막(14B)을 증착한다. 여기서, 제 2 캐패시터 산화막(14B)은 제 1 캐패시터 산화막(14A)과 마찬가지로 HDP 산화막, USG막, PSG막, BPSG막, HLD 산화막, SOG막 및 TEOS막 중 선택되는 하나의 막으로 형성한다. 그 다음, CMP 공정이나 에치백공정으로 제 1 캐패시터 산화막(14A)의 표면이 노출되도록 제 2 캐패시터 산화막(14B)과 제 2 질화막(16)을 전면식각하여 기판 표면을 평탄화한다.
도 1e를 참조하면, 스토리지노드 전극용 마스크를 이용하여 스토리지노드 콘택(12) 상의 제 1 캐패시터 산화막(14A)을 스토리지노드 콘택(12)이 노출되도록 식각하여 캐패시터용 홀(17)을 형성한다. 이때, 스토리노드 콘택(12) 주변 상의 홈에 형성된 제 2 질화막(16)이 식각배리어로서 작용하여 캐패시터 산화막 상부에서의 보우잉 현상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캐패시터 산화막 상부가 가파르게(sharp) 식각되는 것을 방지한다.
도 1f를 참조하면, 홀(17)이 형성된 기판 전체 표면 상에 폴리실리콘막 또는 금속막으로 스토리지노드 전극(18)을 형성하고, CMP 공정이나 에치백공정으로 스토리지노드 전극(18)을 전면식각하여 서로 분리시킨다. 그 다음, 셀영역(R1)에 유전막(19) 및 플레이트 전극(20)을 형성하여 실린더형 캐패시터(100)를 완성한다. 여기서, 유전막(19)은 PZT, BST, STO, 탄탈륨산화막(TaO), 탄탈륨질산화막(TaON), 티타늄산화막(TiO), ONO막, 및 NO막 중 선택되는 하나의 막으로 형성하고, 플레이트 전극(20)은 폴리실리콘막 도는 금속막으로 형성한다.
상기 실시예에 의하면, 스토리지노드 콘택 주변 상의 캐패시터 산화막에 홈을 형성하고, 홈 표면에 질화막을 형성하여 캐패시터 산화막 식각시 식각배리어로서 작용하도록 함으로써, 캐패시터 산화막 상부에서의 보우잉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스토리지노드 전극 사이의 충분한 절연공간이 확보되어 스토리지노드 전극간 브리지가 방지되므로 소자의 수율이 향상된다. 또한, 캐패시터용 홀의 크기를 감소시킬 필요가 없으므로 고집적화에 대응하는 충분한 캐패시터 용량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홈 표면에 형성된 질화막에 의해 식각시 캐패시터산화막 상부가 가파르게 식각되는 것이 방지되어 캐패시터용 홀의 식각 프로파일 특성이 향상되므로 후속 유전막의 증착특성이 향상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전술한 본 발명은 캐패시터 산화막 식각시 발생되는 보우잉 현상을 캐패시터 용량을 저하시키는 것 없이 효과적으로 방지함으로써 소자의 수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Claims (5)
- 상부에 층간절연막에 의해 서로 분리된 스토리지노드 콘택이 형성된 반도체 기판을 준비하는 단계;상기 기판 전면 상에 제 1 캐패시터 산화막을 형성하는 단계;상기 스토리지노드 콘택 주변 상의 상기 제 1 캐패시터 산화막을 일정 깊이만큼 식각하여 홈을 형성하는 단계;상기 홈 표면 및 상기 제 1 캐패시터 산화막 표면 상에 질화막을 형성하는 단계;상기 질화막이 형성된 홈에 매립되도록 상기 질화막 상부에 제 2 캐패시터 산화막을 형성하는 단계;상기 제 2 캐패시터 산화막 및 질화막을 상기 제 1 캐패시터 산화막의 표면이 노출되도록 전면식각하는 단계; 및상기 질화막을 식각배리어로하여 상기 스토리지노드 콘택이 노출되도록 상기 제 1 캐패시터 산화막을 식각하여 캐패시터용 홀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반도체 소자의 캐패시터 제조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제 1 캐패시터 산화막은 적어도 2㎛ 이상의 두께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의 캐패시터 제조방법.
-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상기 홈은 상기 제 1 캐패시터 산화막의 최상부로부터 3000 내지 5000Å 정도의 깊이로 식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의 캐패시터 제조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질화막은 저압-질화막이나 플라즈마강화-질화막으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의 캐패시터 제조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전면식각은 화학기계연마 공정이나 에치백 공정으로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의 캐패시터 제조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20086306A KR20040059803A (ko) | 2002-12-30 | 2002-12-30 | 반도체 소자의 캐패시터 제조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20086306A KR20040059803A (ko) | 2002-12-30 | 2002-12-30 | 반도체 소자의 캐패시터 제조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40059803A true KR20040059803A (ko) | 2004-07-06 |
Family
ID=373517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20086306A Withdrawn KR20040059803A (ko) | 2002-12-30 | 2002-12-30 | 반도체 소자의 캐패시터 제조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40059803A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09772B1 (ko) * | 2007-10-31 | 2009-07-29 |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 반도체 소자의 커패시터 제조 방법 |
-
2002
- 2002-12-30 KR KR1020020086306A patent/KR20040059803A/ko not_active Withdrawn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09772B1 (ko) * | 2007-10-31 | 2009-07-29 |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 반도체 소자의 커패시터 제조 방법 |
US7875515B2 (en) | 2007-10-31 | 2011-01-25 | Hynix Semiconductor Inc. | Method for manufacturing capacitor of semiconductor device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2002083880A (ja) | 半導体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 |
KR100382732B1 (ko) | 반도체 소자의 실린더형 커패시터 제조 방법 | |
US20050093046A1 (en) | Plurality of capacitors employing holding layer patterns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 |
KR100533971B1 (ko) | 반도체 소자의 캐패시터 제조방법 | |
KR100408411B1 (ko) | 반도체 메모리 소자 및 그 제조방법 | |
US6844229B2 (en) | Method of manufacturing semiconductor device having storage electrode of capacitor | |
JP2007081013A (ja) | 半導体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 |
KR20040059889A (ko) | 캐패시터의 제조 방법 | |
KR20040059803A (ko) | 반도체 소자의 캐패시터 제조방법 | |
KR20040052326A (ko) | 반도체 소자의 캐패시터 제조방법 | |
KR100878495B1 (ko) | 반도체 소자의 캐패시터 제조방법 | |
KR100353807B1 (ko) | 고유전체 캐패시터의 하부전극 형성방법 | |
US5658817A (en) | Method for fabricating stacked capacitors of semiconductor device | |
KR20040059437A (ko) | 반도체 소자의 캐패시터 제조방법 | |
JP2002009259A (ja) | 半導体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 |
KR100955263B1 (ko) |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 | |
KR20040008622A (ko) | 더미 스토리지노드를 구비한 반도체소자의 제조 방법 | |
KR20050011944A (ko) |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 | |
KR100418588B1 (ko) | 반도체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 |
KR20010058141A (ko) | 반도체 소자의 캐패시터 형성방법 | |
KR20050019196A (ko) | 반도체 소자의 캐패시터 제조 방법 | |
KR20050002028A (ko) | 배리어메탈의 산화를 방지하기 위한 하부전극을 구비한강유전체 캐패시터 및 그 제조 방법 | |
KR20050049755A (ko) | 반도체 소자의 캐패시터 제조방법 | |
KR20040066678A (ko) | 반도체 장치의 커패시터 제조방법 | |
KR20040095918A (ko) | 반도체 메모리장치 제조 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21230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C1203 |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 ||
WITN |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