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33071A - 샤프 펜슬 - Google Patents

샤프 펜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33071A
KR20040033071A KR10-2004-7004354A KR20047004354A KR20040033071A KR 20040033071 A KR20040033071 A KR 20040033071A KR 20047004354 A KR20047004354 A KR 20047004354A KR 20040033071 A KR20040033071 A KR 200400330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im
holding member
diameter
shaft
sha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70043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루야마시게키
시게모리마사키
고다마히데토시
Original Assignee
펜텔 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펜텔 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펜텔 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400330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33071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9/00Combinations of writing implements with other articles
    • B43K29/02Combinations of writing implements with other articles with rub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1/00Propelling penc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1/00Propelling pencils
    • B43K21/02Writing-core feeding mechanisms
    • B43K21/16Writing-core feeding mechanisms with stepwise feed of writing-co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1/00Propelling pencils
    • B43K21/02Writing-core feeding mechanisms
    • B43K21/22Writing-cores gripping means, e.g. chucks

Landscapes

  • Mechanical Pencils And Projecting And Retracting Systems Therefor, And Multi-System Writing Instruments (AREA)

Abstract

샤프 펜슬에 있어서, 심 직경의 편차 범위는 어느 정도는 허용할 수 있지만, 만일, 최대 직경의 심을 사용하여 버린 경우에는, 조출되지 않게 되어 버리는 경우가 있다. 심 유지 부재인 탄성 박막의 탄성 변형의 허용 범위를 넘어 버리고 있기 때문이다. 본 발명은, 축통의 선단 근방에 심 유지 부재가 형성된 샤프 펜슬로서, 상기 심 유지 부재의 외형을, 그 심 유지 부재가 설치되는 상기 축통의 내형보다도 약간 소형으로 형성하는 동시에, 심 유지 부재의 전방에, 그 심 유지 부재의 축통으로부터의 탈락을 방지하는 내면 단부를 마련한 샤프 펜슬이다. 이 구성에 의해, 심을 확실하게 유지할 수 있는 동시에, 양호한 심의 조출 조작을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샤프 펜슬{MECHANICAL PENCIL}
상기 타입의 샤프 펜슬의 일례로서, 일본 실용신안 공고 소58-32959호 공보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그 공보의 실용신안등록 청구의 범위의 청구항 1에는, 「본체의 선단부에 미끄럼 이동이 가능하게 혹은 미끄럼 이동이 불가능하게 장착된 심 삽입 관통관과 심 유지부로 이루어지는 세심(細芯)용 샤프 펜슬의 심 보호 장치에 있어서, 심 삽입 관통관의 내면에 고무 등으로 이루어지는 탄성 박막이 일체로 적층되어 심 유지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심용 샤프 펜슬의 심 보호 장치.」라고 기재되어 있다. 즉, 심 삽입 관통관의 내면에 탄성 박막을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짧아진 심도 유효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여기서, 심은 JIS 일본공업규격에 의해 심의 최대ㆍ최소 직경, 즉, 심 지름의 편차 범위가 규정되어 있다. 예컨대, 호칭 직경이 0.5 ㎜인 심에 대해서는 0.58 ㎜(최대 직경)∼0.55 ㎜(최소 직경)로 규정되어 있다. 그 때문에, 상기 심 유지 부재의 내경은 규정되어 있는 최소 직경의 심도 유지할 수 있도록, 사용하는 심의 최소 직경에 맞춰 형성되어 있다. 즉, 심은 조출(繰出)될 때, 항상 심 유지부재를 외측 방향으로 확대 개방시키면서 조출되어, 전진하는 것이다.
그런데, 상기한 종래 기술에 있어서는, 심 유지부가 심 삽입 관통관에 밀착된 상태에서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그 때문에, 심의 직경의 편차 범위는 어느 정도는 허용할 수 있지만, 만일, 최대 직경의 심을 사용하여 버린 경우에는, 조출되지 않게 되는 경우가 있었다. 심 유지 부재인 탄성 박막의 탄성 변형의 허용 범위를 넘어 버리고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축통의 선단 근방에 심 유지 부재가 설치된 샤프 펜슬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샤프 펜슬의 종방향 반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주요부 확대도이다.
도 3은 도 2의 주요부 확대 횡단면도이다.
도 4는 작동예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3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횡단면도이다.
도 6은 도 3의 다른 변형예를 도시하는 횡단면도이다.
도 7은 심 보호관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종단면도이다.
도 8은 심 보호관 및 심 유지 부재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종단면도이다.
도 9는 심 유지 부재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종단면도이다.
도 10은 심 조출의 작동예를 도시하는 주요부 종단면도이다.
도 11은 심 조출의 작동예를 도시하는 주요부 종단면도이다.
도 12는 심 조출의 작동예를 도시하는 주요부 종단면도이다.
도 13은 심 조출의 작동예를 도시하는 주요부 종단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주요부 종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 기술의 결함을 불식하여, 개량된 샤프 펜슬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심을 확실하게 유지할 수 있는 동시에, 양호한 심의 조출 조작을 얻을 수 있는 개량된 샤프 펜슬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1 형태에 있어서, 축통의 선단 근방에 심 유지 부재가 설치된 샤프 펜슬로서, 상기 심 유지 부재의 외형을, 그 심 유지 부재가 설치되는 상기 축통의 내형보다도 약간 소형으로 형성하는 동시에, 심 유지 부재의 전방에, 그 심 유지 부재의 축통으로부터의 탈락을 방지하는 내면 단부를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2 형태에 있어서, 축통의 선단 근방에 심 유지 부재가 설치된 샤프 펜슬로서, 상기 심 유지 부재의 내면의 단면 형상을 이형(異形) 형상으로 하는 동시에, 그 심 유지 부재를 전후 이동 가능한 것으로 하고, 또한, 심 유지 부재의 전방에, 그 심 유지 부재의 축통으로부터의 탈락을 방지하는 내면 단부를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상기 구성에 의해서, 심의 직경 편차가, 심 유지 부재의 직경 방향 및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탄성 변형 및 심 유지 부재와 축통의 간극, 나아가서는 심과 심 유지 부재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부에 의해서 흡수된다.
본 발명의 적합한 실시예에 관해서 도 1∼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전축(1)의 내부에는 복수의 심을 수납하는 심 탱크(2)가 미끄럼 이동이 자유롭게 배치되어 있고, 그 심 탱크(2)의 전단에는 심의 파지ㆍ해방을 행하는 척 바디(3)가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그 척 바디(3)의 전방부에는 척 바디(3)를 개폐하는 척 링(4)이 둘러싸고 있다. 도면 부호5는 상기 심 탱크(2)나 척 바디(3)를 후방으로 밀어 부치는 코일 스프링 등의 탄발(彈撥) 부재이다. 또한, 도면 부호6은 전축(1)의 전방 외주에 착탈 가능하게 부착된 고무형 탄성체로 이루어지는 그립 부재인데, 전축(1)의 표면에 널링 가공 등을 실시하여, 그 널링에 의해서 파지했을 때의 미끄럼 방지 효과를 갖게 하더라도 좋다.
또한, 상기 전축(1)의 전단에는, 선단 부재(7)가 나사 결합 등의 수단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는데, 전축(1)에 일체로 성형하더라도 좋다. 그 선단 부재(7)의 내부에는 심을 전방을 향해 안내하는 고무형 탄성체로 이루어지는 가이드 부재(8)가 배치되어 있지만, 반드시 필요한 부재는 아니다. 또한, 선단 부재(7)의 선단에는 필기시의 시인성(視認性)을 좋게 하기 위해서 스테인레스 등의 금속 재질로 이루어지는 심 보호관(9)이 압입ㆍ고정되어 있는데, 선단 부재(7)와 일체 성형하는 등으로 하더라도 좋다.
그리고, 그 심 보호관(9)의 내측에는 본 발명의 심 유지 부재(10)가 배치되어 있다. 그 심 유지 부재(10)는 심 보호관(9)의 양단 근방에 압입된 고정 링(11, 12)에 의해서 심 보호관(9)으로부터의 탈락이 방지되고 있지만, 심 유지 부재(10)는 심 보호관(9)의 축선 방향에 대하여 전후 이동할 수 있는 길이로 되어 있다.즉, 상기 고정 링(11, 12) 사이에서 이동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물론, 이들 고정 링(11, 12)의 내경은 심의 외경보다도 크게 형성되어 있는데, 전방에 위치하는 고정 링(12)에 있어서는, 심의 외경보다 아주 약간 크게 형성되어 있다. 필기할 때의 심의 진동을 이 고정 링(12)에 의해서 최대한 방지하고 있는 것이다. 또한, 후방부에 위치하는 고정 링(11)을 제거하여, 상기 가이드 부재(8)에 의해 심 유지 부재(10)의 탈락을 방지하도록 하더라도 좋다.
또, 심 유지 부재(10)의 외경은 심 보호관(9)의 내경보다도 약간 소직경으로 형성되며, 이들 구성에 의해서 간극(13)이 형성된다. 이 간극(13)은 도 3,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양측에 형성되지만(간극 13a, 간극 13b), 심 유지 부재(10)의 위치 여하에 따라서는 어느 하나로 치우쳐 버리는 경우도 있다. 그리고, 그 양측에 형성되는 간극(13)의 총합(간극 13a+간극 13b)은 사용하는 심의 직경의 6.7% 이상을 갖고 있다. 상술하면, JIS 규격에 의한 심의 호칭 직경의 6.7% 이상을 갖고 있으며, 예컨대, 심의 호칭 직경이 0.3 ㎜인 경우에는 0.0201(=0.3×0.067) ㎜ 이상의 간극(13)으로 되고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 간극(13)이란, 양측에 형성되는 간극(13a)과 간극(13b)의 합이다. 또한 본 실시예를 이용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간극(13)이 0.0201 ㎜인 본 실시예에 호칭 직경이 0.3 ㎜인 심을 사용하면, 그 심의 편차의 최대 직경(직경이 0.39 ㎜)에 있어서는, 심 유지 부재(10)의 외면이 심 보호관(9)의 내면에 가볍게 접촉하게 된다. 실질적으로는, 리브(14)가 위치하는 심 유지 부재(10)의 외면 부분이 심 보호관(9)의 내면에 접촉한다(도 4 참조).
여기서, 예컨대, 심의 호칭 직경에 대하여 20%의 간극(13)을 형성하면, 심은심 유지 부재(10)에 유지되어 있지만, 심 유지 부재(10)와 심 보호관(9)의 사이에는 간극(13)이 아직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필기할 때에 심이 흔들려 버려 필기하기 어렵게 되는 것처럼 생각되는데, 상기 고정 링(11, 12)에 의해서 심의 진동이 방지되어 위화감 없이 필기할 수 있다. 한편, 간극(13)이 심의 호칭 직경의 6.7% 이하이면, 배경기술에서 말한 것과 같이, 큰 직경(편차의 최대 직경 : 예컨대, 호칭 직경이 0.3 ㎜인 심의 최대 직경은 0.39 ㎜)의 심이 사용된 경우에, 심이 조출되지 않게 될 위험성이 있다. 심 유지 부재(10)의 외면이 심 보호관(9)의 내면에 압접되어, 심 유지 부재(10)의 탄성 확대 개방이 불가능한 상태로 되어 버리는 것이다.
또, 본 실시예의 심 유지 부재(10)의 내면에는 6개의 세로 리브(14)가 등간격으로 형성되어 있지만, 이 개수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예컨대, 4개를 등간격으로 형성하더라도 좋고, 8개 혹은 10개를 등간격으로 형성하더라도 좋다. 이들 세로 리브(14)의 내접 원형은 JIS(일본공업규격, 이하 동일함)의 심의 호칭 직경에 의한 최소치와 동등하거나, 혹은 약간 작은 직경인 것으로 되어 있다. 즉, 심(X)이 상기한 세로 리브(14)에 의해서 가볍게 유지되는 정도의 것으로 되고 있다. 상술하면, 최소 직경의 심을 사용한 경우에는 세로 리브(14)의 정상부에 심의 외경이 선 접촉하고, 또, 최대 직경의 심을 사용한 경우에는 심 유지 부재(10) 자체가 탄성 확대 개방되는 데 더하여, 세로 리브(14)도 탄성 변형시켜 면 접촉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세로 리브(14)를 형성함으로써, JIS 규격의 편차의 상한에 위치하는 심도 확실하게 조출할 수 있으며, 또한, JIS 규격에서 약간 벗어난 심도확실하게 유지하여 조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심 유지 부재(10)의 세로 리브(14)의 전단과 후단에는 모따기 가공(모따기부 14a, 14b)이 실시되어 있다. 그 후단 모따기부(14a)는 심의 조출시에 있어서의 삽입 관통성을 양호하게 하고, 전단 모따기부(14b)는 심의 후퇴ㆍ수납성을 양호하게 한다.
한편,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심 유지 부재(10)의 단면 형상을 원형으로 하여도 좋다. 단, 그 심 유지 부재(10)와 심 보호관(9) 사이에는 앞의 예와 같이 간극(13)이 형성되어 있고, 그 간극(13)은 사용하는 심의 직경의 6.7% 이상으로 되어 있다. 본 예에서는, JIS 규격 이외의 심에 대해서는 심 유지 부재(10)의 탄성 변형율 여하에 따라서는 본 발명의 효과를 발휘할 수 없는 경우도 있지만, JIS 규격 범위의 편차에는 충분한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심 유지 부재의 또 다른 변형예를 도 6에 도시하여 설명한다. 심 유지 부재(15)의 내면에, 상기 예와 같이 세로 리브(14)를 형성하는 동시에, 심 유지 부재(15)의 외면에 세로 홈(16)을 등간격으로 형성한 예이다. 상술하면, 이 세로 홈(16)은 내면에 형성되어 있는 세로 리브(14)의 대향 외측의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즉, 본 예에서는 세로 리브(14)가 탄성 변형되는 것은 물론인데, 세로 리브(14)가 세로 홈(16)을 이용하여 외경 방향으로 확대 개방 가능한 것으로 되어 있다.
덧붙여서 말하면, 본 예에서는, 심 보호관(9)에 심 유지 부재(15)를 삽입 장착할 때, 그 심 유지 부재(15)을 손가락 등으로 직경 축소시킬 수 있고, 이로써,조립성의 향상도 도모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또한, 직경 축소시키지 않더라도, 심 보호관 내면과의 접촉 면적이 적기 때문에, 삽입 장착하기 쉽게 되어 있다.
이하, 상기 심 보호관(9)과, 심 유지 부재(10, 15)의 재질에 관해서 여러 가지 예를 들지만, 이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여러 가지 선택이 가능하다. 심 보호관(9)의 재질로서는 알루미늄 또는 그 합금, 구리 또는 그 합금, 철 또는 그 합금, 아연 또는 그 합금, 마그네슘 또는 그 합금 등의 금속 재료, ABS, AS, 아크릴, 폴리카보네이트,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폴리에스테르, 폴리스티렌 등의 열가소성 수지, 알루미나, 지르코니아, 도토(陶土) 등의 세라믹 재료 등의 천연 재료 등, 파이프 형상을 형성할 수 있는 것이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또, 심 유지 부재(10, 15)에 이용하는 탄성 수지의 구체예로서는, 에폭시 수지, 우레탄 수지, 아크릴멜라민 수지, 아크릴-실리콘 수지, 아크릴-우레탄 수지, 불포화 폴레에스테르 수지, 알키드 수지, 실리콘 수지, 염화비닐, 초산비닐, 염화-초산비닐 공중합체, 비닐부티랄 수지, 실리콘 고무, 우레탄 고무, 에틸렌아크릴 고무, 에피크롤히드린 고무, 아크릴 고무, 에틸렌프로필렌 고무, 클로로프렌 고무, 천연 고무, 이소프렌 고무, 염소화폴리에틸렌, 니트릴 고무, 스티렌계 엘라스토머, 올레핀계 엘라스토머, 에스테르계 엘라스토머, 우레탄계 엘라스토머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자외선 경화형 수지를 이용할 수도 있으며, 그 구체예로서는 관능기로서 말단에 아크릴로일기를 갖는 아크릴산에스테르, 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의 단관능성 모노머나, 다관능성 모노머, 광중합성 프리폴리머로서, 폴리에스테르아크릴레이트,에폭시아크릴레이트, 폴리우레탄아크릴레이트, 폴레에테르아크릴레이트, 멜라민아크릴레이트, 알키드아크릴레이트가 이용된다. 모노머는 단체(單體)로서는 이용되지 않고, 광중합성 프리폴리머와 병용하여 이용되며, 광중합성 프리폴리머는 1종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이용된다. 또, 이들 수지에는 발포제나 분체 등을 포함하게 하더라도 좋다.
발포제는 화학 발포제, 물리 발포제, 열팽창성 마이크로 캡슐 등이 이용된다. 화학 발포제의 구체예는 아조 화합물, 니트로소 화합물, 히드라진 유도체, 세미칼바지드 화합물, 아지드 화합물, 트리아졸 화합물 등의 유기계 열분해형 발포제,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등의 유기계 반응형 발포제, 중탄산염, 탄산염, 아황산염, 수소화물 등의 무기계 열분해형 발포제, 중탄산나트륨과 산의 혼합물, 과산화수소와 이스트균과의 혼합물, 아연 분말과 산의 혼합물 등의 무기계 반응형 발포제 등을 들 수 있다. 물리 발포제의 구체예는, 부탄, 펜탄, 헥산, 디클로로에탄, 디클로로메탄, 프론, 공기, 탄산가스, 질소가스 등을 들 수 있다. 열팽창성 마이크로 캡슐의 구체예는, 이소부탄, 펜탄, 석유에테르, 헥산 등의 저비등점 탄화수소를 심 물질로 하고, 염화비닐덴, 아크릴로니트릴, 아크릴산에스테르, 메타크릴산에스테르 등의 공중합체로 이루어지는 열가소성 수지를 셸로 한 마이크로 캡슐 등을 들 수 있다.
분체의 구체예로서는, 스티렌, 나일론, 폴리올레핀, 실리콘, 에폭시, 폴리메타크릴산메틸 등의 수지 분체나, 실리카, 알루미나, 지르코니아 등의 무기 분체 등을 들 수 있다. 또, 이들 분체에, 아크릴계, 우레탄계, 에폭시계 등의 분체 도포막을 피복한 복합 분체, 나아가서는, 자동유발(自動乳鉢), 볼밀, 제트밀, 아토마이저(atomizer), 하이브리다이저 등을 이용하여 수지 분체에 이 수지 분체보다 작은 무기 분체를 흡착시키거나, 주입하거나 한 것 등도 들 수 있다. 또한, 분체의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구형, 판형, 바늘형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이들 분체는 1종 또는 2종 이상 첨가하더라도 좋다. 또한, 상기 심 유지 부재를 미리 주상물로 형성하는 동시에, 상기 수지의 융점보다 높은 융점의 분체를 첨가하고, 계속해서, 레이저빔 등으로 심 유지 부재의 수지 일부를 제거하더라도 좋으며, 그 조작에 의해서 분체에 의한 요철이 형성되어, 심 지름의 편차를 보다 흡수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전축(1)의 후방부에 막대 형상체 조출 기구(17)가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고, 막대 형상체로서 지우개(18)가 출몰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간단히 설명하면, 후축(19)의 내면에는 나선 홈(20)이 형성되어 있고, 그 나선 홈(20)에는 상기 지우개(18)를 상하 이동시키는 수납 부재(21)가 나사 결합되어 있다. 또한, 상기 나선 홈(20)과 수납 부재(21) 사이에는, 슬릿(22)이 형성된 막대 형상체 안내 부재(23)가 개재되어 있고, 그 막대 형상체 안내 부재(23)는 상기 심 탱크(2)의 후방부에 착탈 가능하게 압입되어 있다. 또한, 막대 형상체 안내 부재(23)의 전방 외면과 상기 전축(1)의 후방부 내면에는 다각형부가 형성되어 있어, 서로가 회전 불가능하게 결합하고 있다. 즉, 후축(19)을 전축(1)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지우개(18)가, 후축(19)의 후단으로부터 출몰하는 것이다. 도면 부호24는 후축(19)에 고정된 클립이지만, 후축(19)에 일체 성형하더라도 좋다.
이어서, 상기 심 유지 부재(10)(15)의 심 보호관(9)으로부터의 탈락 방지 수단의 변형예를 여러 가지 예를 들어 설명한다. 우선, 제1 변형예를 도 7에 도시하여 설명한다. 심 보호관(25)의 양단부를 코오킹 가공에 의해서 직경 축소시키고, 그 직경 축소부(26, 27)에 의해서 심 유지 부재(10)의 탈락을 방지한 예이다. 물론, 그 직경 축소부(26, 27)는 심 유지 부재(10)가 전후 이동 가능한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예에 비하여, 고정 링을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부품을 삭감할 수 있어, 부품 비용의 저감이나 생산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예에서는, 심 보호관(25)의 선단이 직경 축소되어 있기 때문에, 필기할 때의 시인성 향상도 도모할 수 있다.
제2 변형예를 도 8에 도시하여 설명한다. 상기 제1 예의 가이드 부재와 심 유지 부재를 일체 성형한 예이다. 부품 비용의 저감이나 생산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동시에, 가이드부(28)와 심 유지부(29)가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심이 원활하게 가이드부(28)에서 심 유지부(29)로 유도된다.
제3 변형예를 도 9에 도시하여 설명한다. 심 유지 부재(30)를 심 보호관(9)에 인서트 성형 혹은 2색 성형이라 불리는 성형 방법으로 일체 성형한 예이다. 삽입 장착하는 작업을 삭감할 수 있어, 상기한 여러 예에 비하여 생산성 향상을 크게 도모할 수 있다.
한편, 본 예에서는, 고정 링(12)을 개재시켜, 필기할 때의 심의 진동을 방지하고 있지만, 상기 제1예와 같이 코오킹 가공에 의해서 직경 축소부를 형성하더라도 좋다. 또한, 본 예에서는, 심 유지 부재(30)의 내면에 세로 리브(31)를 형성하고 있는 것은 물론인데, 심 유지 부재(30)의 후단을 심 보호관(9)의 후단으로부터 돌출시키고 있다. 이 돌출부(32)에 의해서도, 심 지름의 편차를 흡수하고 있는 것이다.
이어서, 상기 척 바디(3)나 척 링(4) 및 심을 조출할 때의 조작 이동량, 즉, 척 바디(3)의 이동 범위나 척 링(4)의 이동 범위 등에 관해서 설명한다. 척 바디(3)의 전방 내면에는 실제로 심을 파지하는 심 파지부(3a)가 형성되어 있다. 그 심 파지부(3a)의 길이 방향(축선 방향)의 거리를A로 한다. 또, 그 심 파지부(3a)의 후방에는 그 심 파지부(3a)보다도 대직경인 심 삽입 통과 구멍(3b)이 형성되어 있다. 물론, 그 심 삽입 통과 구멍(3b)의 내형은 사용하는 심의 직경보다 큰 것으로 되어 있지만, 2개는 들어가지 않을 정도의 내경으로 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척 링(4)이 이동할 수 있는 거리, 즉, 선단 부재(7)에 형성되어 있는 내면단부(7a)에 접촉하기까지의 거리를B로 한다. 또, 심을 조출할 때의 최대 조작량, 본 예에서는, 후술하는 후축(19)의 내면 단부(19a)가 상기 전축(1)의 후단부(1a)에 접촉할 때까지의 거리를C로 한다. 그리고, 이들 관계가 A+B>C로 되고 있다. 즉, 심 파지부의 거리(A)에 척 링의 이동 거리(B)를 가산한 거리는 심을 조출하기 위한 조작 이동량(C)보다도 크게 설정되어 있다. 또, 상기 조작 이동량을 규제하는 수단으로서는 탄발 부재가 밀착하는 것이나, 척 바디의 선단이 선단 부재의 내면 단부에 접촉하는 것, 축통의 후단에 조작 부재가 잠입되어 버리는 것 등이 있다.
다음에 동작에 관해서 설명한다. 도 1(도 2)에 도시하는 상태에서 심의 조출 조작, 즉, 후축(19)을 눌러 심 탱크(2)를 전진시키면 후속심(Y)을 파지한 척 바디(3)가 척 링(4)과 함께 전진한다. 이 후속심(Y)의 전진에 따라, 잔심(X)도 압박ㆍ전진하게 된다. 이윽고, 척 링(4)은 선단 부재(7)의 내면 단부(7a)에 접촉하여 그 전진 이동이 저지되고(도 10 참조), 이 때, 척 바디(3)가 파지하고 있던 후속심(Y)을 개방하는 동시에, 심 탱크(2)의 축선에 대하여 약간 경사지지만, 후속심(Y)의 전단은 심 삽입 통과 구멍(3b)의 내경에 접하고 있는 것이 아니라, 그 심 삽입 통과 구멍(3b)의 내경보다도 작은 심 파지부(3a)의 내경에 접하고 있기 때문에, 상기 후속심(Y)의 경사 각도는 매우 작은 것으로 되고 있다(도 11 참조). 여기서, 더욱 척 바디(3)가 전진하지만, 후속심(Y)은 척 바디(3)로부터 개방되어 있는 데다가, 잔심(X)이 심 유지 부재(10)에 유지되어 있기 때문에, 그 전진 이동이 저지되고 있다. 이 때, 후속심(Y)의 선단부는 척 바디(3)의 심 파지부(3a)의 후방부 근방에 위치하고 있다. 즉, 충분한 길이의 파지부(3a)로 하고 있기 때문에, 후속심(Y)의 전단은 파지부(3a)의 범위 내에 위치할 수 있는 것이다(도 12 참조).
여기서, 심의 조출 조작을 해제하면, 상기 심 탱크(2)가 탄발 부재(5)의 압박력에 의해서 후퇴하는 동시에, 척 바디(3)도 후퇴하여, 개방된 척 바디(3)가 척 링(4)에 접촉한다. 이 때, 후속심(Y)과 잔심(X) 사이에 일순 간극이 형성되고, 또, 후퇴하는 척 바디(3)가 폐쇄하고자 하지만, 후속심(Y)은 심 파지부(3a)의 후방부 근방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상기 척 바디(3)의 폐쇄 동작에 연동하여 상기 후속심(Y)의 경사 각도가 서서히 작아져, 이윽고, 후속심(Y)은 심 파지부(3a)의 면을 따라서 자중(自重)에 의해 낙하하여, 다시, 잔심(X)과 접촉한다(도 13 참조).
이 실시예의 변형예를 도 14에 도시하여 설명한다. 상기 심 탱크(2)의 내측에 심의 직경보다도 약간 큰 직경의 관통 구멍(33a)이 형성된 안내 부재(33)를 삽입 장착한 예이다. 물론, 그 관통 구멍(33a)은 심이 2개 들어가지 않는 직경으로 되어 있다. 척 바디(3)의 심 삽입 통과 구멍(3b)을 후방으로 연장 설치한 상태로 되어 있기 때문에, 후속심(Y)의 경사가 최대한 방지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그 때문에, 심의 조출 조작을 할 때, 필기면과 샤프 펜슬이 이루는 각도를 작게 하여 버린 경우라도, 원활하게 심을 조출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척 바디(3)는 금속 재질로 형성하고 있지만, 수지 성형품이라도 좋다. 그러나, 후속심의 후퇴량을 적게 하여, 필기할 때의 위화감을 적게 하는 것으로서는 금속 재질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심 파지부(3a)의 거리를 길게 형성하고 있지만, 통상의 척 바디의 심 파지부의 후방부를 연장 설치하여 형성하고 있는 것은 아니며, 전방부를 연장 설치하여 형성함으로써 심 파지부의 거리를 길게 하고 있다. 척 바디가 척 링에 접촉한 후에 있어서의 후속심의 척 바디에의 접촉에 의한 후퇴를 최대한 적게 함으로써, 잔심과의 사이에 발생하는 간극을 최대한 방지하고 있는 것이다. 더욱이, 척 링의 이동 거리도 본 실시예에서는 많이 채용하고 있지만, 너무 많게 하면 심의 조출량도 많아져, 위화감이 발생하기 때문에 적절한 설정이 필요하다.
이어서, 상기 심 유지 부재의 내면 형상과, 그 내면 형상에 심이 접촉하는양호한 구성에 관해서 설명한다. 심 유지 부재의 내면의 단면 형상은 본 발명에 있어서 중요하며, 전술한 것 이외에 타원형이나 다각형, 슬릿 형상 등을 들 수 있으며, 원형 이외의 이형 형상이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그러나, 심의 직경 편차를 흡수하기 위해서는, JIS S 6005에서 정해져 있는 샤프 펜슬 심의 직경의 최소치(호칭 직경이 0.5이면 0.55 ㎜)를 관통시켰을 때에, 적어도 탄성 수지체의 내면의 일부에 2점 이상 접촉하고, 공간(부)을 갖고 있을 필요가 있다. 이 공간을 지님으로써, 심의 직경의 최대치(호칭 직경이 0.5이면, 0.58 ㎜)를 관통시켰을 때라도, 접촉부가 변형되어, 심 유지력 편차를 흡수할 수 있다.
또, 심의 최소 직경(호칭 직경이 0.5이면 0.55 ㎜)의 단면적을 X로 하고, 공간의 단면적(심 직경의 최소치를 관통시켰을 때에 생기는 공간의 단면적)을 Y로 했을 때의 관계식을 0.09≤Y/X≤1.12로 함으로써, JIS S 6005에서 정해져 있는 샤프 펜슬용 심의 전부(호칭 직경 0.3, 호칭 직경 0.5, 호칭 직경 0.7, 호칭 직경 0.9, 호칭 직경 2.0) 및 샤프 펜슬용 색심에 있어서 대응이 가능하다. 또한, JIS S 6005에 정해진 샤프 펜슬용 심 및 색심 이외의 것에 있어서도, 그 심의 직경이 0.275 ㎜∼2.07 ㎜의 범위라면 대응이 가능하다.
이어서, 호칭 직경이 0.5인 일례를 들어 상세히 설명한다. JIS S 6005에서 정해져 있는, 호칭 직경 0.5의 직경의 최소치는 0.55 ㎜이며, 단면적은 0.238 ㎟이다. 한편, 직경의 최대치는 0.58 ㎜이며, 단면적은 0.264 ㎟가 된다. 0.55 ㎜의 심을 관통했을 때에, 적어도 탄성 수지체의 내면의 일부에 2점 이상 접촉하여, 공간을 갖고 있을 필요가 있다. 또한 상기 공간은 0.58 ㎜의 심을 관통시켰을 때에도 갖고 있을 필요가 있으므로, 상기 공간의 단면적은 0.58 ㎜의 심의 단면적과 0.55 ㎜의 심의 단면적의 차 이상 필요하게 된다. 즉, 최소 공간의 단면적은 0.264(㎟)-0.238(㎟)=0.026(㎟)으로 된다. 상기 최소 공간의 단면적에 대한 최소의 심의 단면적의 비율은 0.026(㎟)/0.238(㎟)=0.11이 된다.
또, 샤프 펜슬용 심이 2개 이상(후속심이나 부러진 심 등) 들어가는 공간을 지닌 경우, 노크하더라도 심이 나오지 않게 되는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그래서, 최대 공간 단면적은 최대 심 단면적(0.264 ㎟)이 된다. 즉, 최대 공간 단면적에 대한 최소 심의 단면적의 비율은 0.264(㎟)/0.238(㎟)=1.12가 된다.
이상의 점에서, Y/X의 관계식을, 0.11≤Y/X≤1.12로 함으로써, 심의 직경의 최대치(0.58 ㎜)를 관통시켰을 때에도 공간을 지니며, 심이 2개 이상 들어가 심이 나오지 않게 되는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다.
또, 심을 조출할 때에 생기는 마찰력에 의해서 심이 마모되어, 심 유지 부재 내에 심 찌꺼기가 쌓여, 그 심 찌꺼기가 탄성 박막 표면에 부착, 적층되어, 탄성 박막이 늘어난 상태로 되면 심을 유지하는 압력이 상승할 가능성이 있으므로, 심 찌꺼기가 적층되기 어려운 이형 형상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그 제1 형태에 있어서, 축통의 선단 근방에 심 유지 부재가 마련된 샤프 펜슬로서, 상기 심 유지 부재의 외형을, 그 심 유지 부재가 설치되는 상기 축통의 내형보다도 약간 소형으로 형성하는 동시에, 심 유지 부재의 전방에, 그 심 유지 부재의 축통으로부터의 탈락을 방지하는 내면 단부를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제2 형태에 있어서는, 축통의 선단 근방에 심 유지 부재가 마련된 샤프 펜슬로서, 상기 심 유지 부재의 내면의 단면 형상을 이형 형상으로 하는 동시에, 그 심 유지 부재를 전후 이동 가능한 것으로 하고, 또한, 심 유지 부재의 전방에, 그 심 유지 부재의 축통으로부터의 탈락을 방지하는 내면 단부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 구성에 의해, 심을 확실하게 유지할 수 있는 동시에, 양호한 심의 조출 조작을 얻을 수 있다.

Claims (7)

  1. 축통의 선단 근방에 심 유지 부재가 마련된 샤프 펜슬로서, 상기 심 유지 부재의 외형을, 그 심 유지 부재가 설치되는 상기 축통의 내형보다도 약간 소형으로 형성하는 동시에, 심 유지 부재의 전방에, 그 심 유지 부재의 축통으로부터의 탈락을 방지하는 내면 단부를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샤프 펜슬.
  2. 축통의 선단 근방에 심 유지 부재가 마련된 샤프 펜슬로서, 상기 심 유지 부재의 내면의 단면 형상을 이형 형상으로 하는 동시에, 그 심 유지 부재를 전후 이동 가능한 것으로 하고, 또한, 심 유지 부재의 전방에, 그 심 유지 부재의 축통으로부터의 탈락을 방지하는 내면 단부를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샤프 펜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심 유지 부재의 내면의 단면 형상을 이형 형상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샤프 펜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심 유지 부재의 외형을, 심이 삽입 관통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는 축통의 내형보다도 작지만, 심이 삽입 관통된 상태에서는 탄성 확대 개방되어 축통 내면에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샤프 펜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심 유지 부재의 내면의 단면 형상을 이형 형상으로 한것을 특징으로 하는 샤프 펜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심 유지 부재의 외형과 상기 축통의 내형의 차를, 사용하는 심 직경의 6.7% 이상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샤프 펜슬.
  7. 제6항에 있어서, 축통의 선단 근방에 심 유지 부재가 설치된 샤프 펜슬로서, 상기 심 유지 부재의 내면의 단면 형상을 이형 형상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샤프 펜슬.
KR10-2004-7004354A 2001-09-28 2002-09-24 샤프 펜슬 KR2004003307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1-00299757 2001-09-28
JP2001299757 2001-09-28
JPJP-P-2001-00364946 2001-11-29
JP2001364946 2001-11-29
PCT/JP2002/009758 WO2003029021A1 (fr) 2001-09-28 2002-09-24 Portemin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33071A true KR20040033071A (ko) 2004-04-17

Family

ID=266232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04354A KR20040033071A (ko) 2001-09-28 2002-09-24 샤프 펜슬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7128487B2 (ko)
EP (1) EP1431066A1 (ko)
KR (1) KR20040033071A (ko)
CN (1) CN1250404C (ko)
HK (1) HK1069154A1 (ko)
WO (1) WO200302902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8027262A1 (en) * 2006-08-28 2008-03-06 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 Liquid supramolecular nanostamping (lisuns)
FR2936739B1 (fr) * 2008-10-03 2013-03-22 Bic Soc Instrument d'ecriture comprenant un organe d'extremite monte par emmanchement.
KR20090056955A (ko) * 2009-05-14 2009-06-03 김준기 기계식 연필용 심
JP6422692B2 (ja) * 2013-09-03 2018-11-14 三菱鉛筆株式会社 複数の樹脂成形部材を備えた筆記具または塗布具
CN109730927A (zh) * 2019-03-22 2019-05-10 日照市中医医院 一种中医简易隔物艾灸筒
CN113427930A (zh) * 2021-07-23 2021-09-24 温州天骄笔业有限责任公司 自动铅笔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174979A (en) * 1931-09-09 1939-10-03 Paul S Hauton Mechanical pencil
US4281939A (en) * 1979-06-04 1981-08-04 Yoshihide Mitsuya Mechanical pencil
JPS5832959A (ja) 1981-08-20 1983-02-26 Toyota Motor Corp デイ−ゼルエンジンの排気ガス再循環制御装置
JPS6287884A (ja) 1985-10-14 1987-04-22 Seikosha Co Ltd デジタル時計の調時方法
JPS6287884U (ko) * 1985-11-21 1987-06-04
JP2858010B2 (ja) 1988-10-04 1999-02-17 富士写真フイルム株式会社 写真感光材料用一重包装袋
JPH0299689U (ko) * 1989-01-28 1990-08-08
WO1990009896A1 (en) * 1989-02-27 1990-09-07 Pentel Kabushiki Kaisha Mechanical pencil
JP3852126B2 (ja) * 1995-02-28 2006-11-29 ぺんてる株式会社 シャ−プペンシル
JP3870560B2 (ja) * 1998-06-30 2007-01-17 ぺんてる株式会社 シャ−プペンシル
EP1151874A1 (en) * 1999-10-15 2001-11-07 Pentel Kabushiki Kaisha Mechanical pencil and production method for its lead protection memb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HK1069154A1 (en) 2005-05-13
CN1250404C (zh) 2006-04-12
US7128487B2 (en) 2006-10-31
CN1561295A (zh) 2005-01-05
WO2003029021A1 (fr) 2003-04-10
EP1431066A1 (en) 2004-06-23
US20040247371A1 (en) 2004-1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231893A1 (en) Writing instrument
KR20040033071A (ko) 샤프 펜슬
JP7454718B2 (ja) 筆記具
KR102462876B1 (ko) 출몰구 부착 필기구
JP3918702B2 (ja) シャープペンシル
JP3918636B2 (ja) シャープペンシル
CN110497716B (zh) 一种着力往复笔
JP4992270B2 (ja) 多芯筆記具
JP2005199594A (ja) 軸体
US4884910A (en) Mechanical pencil
JPH01110199A (ja) シヤープペンシル
JP4433711B2 (ja) 軸体
JP3376450B2 (ja) ボールペン
EP3222438B1 (en) Thermochromic writing instrument
EP0850784A2 (en) Container with means for selectively extending and retracting a substantially stick-shaped object
JP6779764B2 (ja) シャープペンシル
JPH0717585U (ja) ノック式筆記具
JP2002200880A (ja) シャープペンシルの芯保護部材の製造方法
JPS62113598A (ja) シヤ−プペンシル
CN216101202U (zh) 一种具有防断芯功能的自动铅笔
JP7362127B2 (ja) 芯折れ防止機構付きシャープペンシル
JP2003226092A (ja) シャープペンシルの芯保護部材
JPS5828878Y2 (ja) ノック式シャ−プペンシル
JP4670290B2 (ja) 軸体
JP2005081821A (ja) 複合筆記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