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31428A - 실시간 데이터 저장장치 - Google Patents

실시간 데이터 저장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31428A
KR20040031428A KR1020020060867A KR20020060867A KR20040031428A KR 20040031428 A KR20040031428 A KR 20040031428A KR 1020020060867 A KR1020020060867 A KR 1020020060867A KR 20020060867 A KR20020060867 A KR 20020060867A KR 20040031428 A KR20040031428 A KR 200400314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al
time data
mode
digital
storage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608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성관수
Original Assignee
디비코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디비코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디비코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608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31428A/ko
Publication of KR200400314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31428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6Digital input from, or digital output to, record carriers, e.g. RAID, emulated record carriers or networked record carriers
    • G06F3/0601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storage systems
    • G06F3/0628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storage systems making use of a particular technique
    • G06F3/0655Vertical data movement, i.e. input-output transfer; data movement between one or more hosts and one or more storage devices
    • G06F3/0661Format or protocol conversion arrang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13/38Information transfer, e.g. on bus
    • G06F13/42Bus transfer protocol, e.g. handshake; Synchronisation
    • G06F13/4282Bus transfer protocol, e.g. handshake; Synchronisation on a serial bus, e.g. I2C bus, SPI b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6Digital input from, or digital output to, record carriers, e.g. RAID, emulated record carriers or networked record carriers
    • G06F3/0601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storage systems
    • G06F3/0628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storage systems making use of a particular technique
    • G06F3/0655Vertical data movement, i.e. input-output transfer; data movement between one or more hosts and one or more storage devices
    • G06F3/0659Command handling arrangements, e.g. command buffers, queues, command schedu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ignal Processing For Digit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지탈 캠코더와 같은 디지탈 소스기기와 연결되어 이로부터 실시간 오디오/비디오 데이터를 제공받아 실시간으로 기록할 수 있고 컴퓨터 시스템과 같은 전자계산기기와 디지탈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어 전술한 기록된 실시간 데이터를 소정의 파일의 형태로 즉시 제공할 수 있는 기능을 구비한 실시간 데이터 저장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동작 모드로서 디지탈 소스기기로부터 실시간 데이터를 제공받아 실시간으로 기록할 수 있는 데이터 기록모드와 전자계산기기에 대해서 상기 기록된 실시간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는 데이터 제공모드를 갖는 실시간 데이터 저장장치로서, 상기 디지탈 소스기기와의 연결 및 상기 전자계산기기와의 연결을 제공하는 디지탈 인터페이스부; 상기 실시간 데이터를 소정의 파일시스템에 따른 파일의 형태로 보유할 수 있고 랜덤액세스가 가능한 저장매체부; 상기 디지탈 인터페이스부와 상기 저장매체부 사이를 매개하고 상기 저장매체부에 대한 기록 및 판독 매커니즘을 제공하는 저장매체 인터페이스부; 및 상기 실시간 데이터 저장장치의 동작 모드를 판단하여, 상기 데이터 기록모드의 경우에 상기 디지탈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제공되는 상기 실시간 데이터를 상기 저장매체 인터페이스부의 상기 기록 매커니즘을 이용하여 상기 저장매체부 내에 상기 파일시스템에 따른 파일의 형태로 기록하고, 상기 데이터 제공모드의 경우에 상기 저장매체부 내에 기록된 상기 실시간 데이터를 상기 저장매체 인터페이스부의 상기 판독 매커니즘을 이용하여 판독하여 상기 디지탈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상기 전자계산기기에 대해서 상기 파일시스템에 따른 파일의 형태로 제공하는 제어판단부를 포함하는 특징을 갖는 실시간 데이터 저장장치가 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간 데이터 저장장치에 따르면 디지탈 소스기기로부터 획득한 실시간 데이터를 컴퓨터 시스템으로 복사하는 과정에서 소요되는 시간을 감소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실시간 데이터 저장장치{A real-time data storage device}
본 발명은 디지탈 캠코더와 같은 디지탈 소스기기와 연결되어 이로부터 실시간 데이터를 제공받아 실시간으로 기록할 수 있고 컴퓨터 시스템과 같은 전자계산기기와 디지탈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어 전술한 기록된 실시간 데이터를 소정의 파일의 형태로 제공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는 실시간 데이터 저장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들어 소위 비선형편집(non-linear editing) 시스템이라고 불리는 영상편집 시스템이 사용되고 있는데, 이 비선형편집 시스템에서는 오디오/비디오 데이터를 디지탈 데이터의 형태로 컴퓨터 시스템의 하드디스크에 저장하고, 이렇게 저장된 오디오/비디오 데이터를 소정의 편집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컴퓨터 모니터 상에서 편집을 수행한다.
이러한 비선형편집 시스템의 개념 및 실시예에 대해서는, 1999년 2월 6일자로 대한민국 특허청에 특허출원된 출원번호 제10-1999-7001013호의 "가정용 비선형편집 시스템"에 상세히 기술되어 있는데, 이 특허출원에 개시된 발명은 본 발명의 최초의 특허출원일 이전에 대한민국 특허청에 의해 출원공개된 바, 본 발명의 해석 및 특허성 심사에 있어서 참고자료로 사용될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 청구하는 실시간 데이터 저장장치의 기능 및 내부구성, 기타 동작방식에 대해서는 개시하는 바가 없다.
도1은 종래기술에 따른 비선형편집 시스템의 동작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으로서, 도1(a)는 사용자가 디지탈 캠코더(120)를 사용해서 특정의 대상물(110)을 녹화하여 이 때 발생되는 오디오/비디오 데이터를 디지탈 테이프(130)에 저장하는 동작을 도시하고, 도1(b)는 도1(a)에서 저장된 오디오/비디오 데이터를 소정의 디지탈 네트워크(150)를 통해 디지탈 캠코더(120)로부터 컴퓨터 시스템(140)으로 복사하는 동작을 도시한다.
도1에서 디지탈 캠코더(120)는 디지탈 방식의 녹화/재생 기능을 갖는 공지기술의 캠코더로서, 그 기록매체로서 통상적으로 공지의 디지탈 테이프(130)를 사용하여 녹화 모드에서 실시간 오디오/비디오 데이터를 획득하여 이 디지탈 테이프(130)에 저장한다. 디지탈 테이프(130)로는 통상의 미니 DV 규격의 6 mm 테이프나 마이크로 MV 규격의 4 mm 테이프가 일반적으로 사용되는데, 최근에 이러한 디지탈 테이프 방식이 아닌 DVD-RAM이나 DVD-R과 같은 디스크 방식의 디지탈 캠코더도 출시된 바 있다.
디지탈 캠코더(120)는 컴퓨터 기기와 디지탈 데이터를 상호 교환하기 위해서 전술한 바와 같이 소정의 디지탈 인터페이스를 갖는데, 이러한 디지탈 인터페이스로는 통상 i.Link라고 불리는 IEEE 1394 시리얼 버스 인터페이스가 널리 사용된다. 사용자는 이러한 디지탈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IEEE 1394 케이블과 같은 디지탈 네트워크(150)를 통해 디지탈 캠코더(120)와 컴퓨터 시스템(140)을 연결한 후, 전술한 디지탈 테이프(130)에 저장되어 있는 디지탈 형식의 오디오/비디오 데이터를 디지탈 캠코더(120)로부터 컴퓨터 시스템(140)으로 복사한다.
이를 위해, 사용자는 디지탈 네트워크(150)를 사용하여 디지탈 캠코더(120)와 컴퓨터 시스템(140)을 연결한 후, 통상적으로 컴퓨터 시스템(140) 상에서 어도비 프리미어(Adobe Premiere)와 같은 영상편집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디지탈 캠코더(120)를 재생 모드로 절환시켜 디지탈 네트워크(150)를 통해 전달되는 오디오/비디오 데이터를 컴퓨터 시스템(140)의 하드디스크에 저장한다. 그리고 나서, 사용자는 전술한 영상편집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새로운 특수효과나 그래픽을 삽입하는 것과 같은 비선형편집 작업을 수행한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비선형편집 시스템에 있어서 가장 비효율적인 부분은 도1(b)에 도시된 바와 같은 실시간 오디오/비디오 데이터의 복사 과정인데, 이는 디지탈 캠코더(120) 상에서 디지탈 테이프(130)를 처음부터 끝까지 통상 1배속으로 재생동작을 수행하여야 하기 때문이다. 즉, 도1의 비선형편집 시스템의 동작 실시예에서는 예컨대 1시간 분량의 녹화를 수행하여 획득한 실시간 오디오/비디오 데이터를 컴퓨터 시스템(140)의 하드디스크로 복사하기 위해서는 디지탈 캠코더(120)를 1시간동안 재생시켜야 하므로 실시간 데이터의 복사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디지탈 캠코더와 같은 디지탈 소스기기와 연결되어 디지탈 소스기기에서 제공하는 실시간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기록할 수 있고 컴퓨터 시스템과 같은 전자계산기기와 디지탈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어 전술한 기록된 실시간 데이터를 소정의 파일의 형태로 즉시 제공할 수 있는 기능을 구비한 실시간 데이터 저장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도1은 종래기술에 따른 비선형편집 시스템의 동작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간 데이터 저장장치를 이용한 비선형편집 시스템의 동작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간 데이터 저장장치의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간 데이터 저장장치에서 파일형태로 저장된 실시간 데이터의 계층적 구조가 발생하는 동작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간 데이터 저장장치에서 계층적 구조로 저장된 실시간 데이터 파일의 실시예를 개념적으로 도시하는 도면.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간 데이터 저장장치의 내부구성의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
도7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간 데이터 저장장치의 내부구성의 다른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
도8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간 데이터 저장장치에서 저장매체의 내부구성을 설정하는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30 : 실시간 데이터 저장장치
250 : 디지탈 네트워크
310 : 모드설정 스위치
320 : 디지탈 인터페이스
510, 520 : 씨인(scene)
510:1, 510:2, 520:1 : 커트(cut)
610 : 모드설정부
620 : 디지탈 인터페이스부
630 : 제어판단부
640 : 저장매체 인터페이스부
650 : 저장매체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동작 모드로서 디지탈 소스기기로부터 실시간 데이터를 제공받아 실시간으로 기록할 수 있는 데이터 기록모드와 전자계산기기에 대해서 상기 기록된 실시간 데이터를 제공할 수있는 데이터 제공모드를 갖는 실시간 데이터 저장장치로서, 상기 디지탈 소스기기와의 연결 및 상기 전자계산기기와의 연결을 제공하는 디지탈 인터페이스부; 상기 실시간 데이터를 소정의 파일시스템에 따른 파일의 형태로 보유할 수 있고 랜덤액세스가 가능한 저장매체부; 상기 디지탈 인터페이스부와 상기 저장매체부 사이를 매개하고 상기 저장매체부에 대한 기록 및 판독 매커니즘을 제공하는 저장매체 인터페이스부; 및 상기 실시간 데이터 저장장치의 동작 모드를 판단하여, 상기 데이터 기록모드의 경우에 상기 디지탈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제공되는 상기 실시간 데이터를 상기 저장매체 인터페이스부의 상기 기록 매커니즘을 이용하여 상기 저장매체부 내에 상기 파일시스템에 따른 파일의 형태로 기록하고, 상기 데이터 제공모드의 경우에 상기 저장매체부 내에 기록된 상기 실시간 데이터를 상기 저장매체 인터페이스부의 상기 판독 매커니즘을 이용하여 판독하여 상기 디지탈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상기 전자계산기기에 대해서 상기 파일시스템에 따른 파일의 형태로 제공하는 제어판단부를 포함하는 특징을 갖는 실시간 데이터 저장장치를 제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간 데이터 저장장치를 이용한 비선형편집 시스템의 동작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으로서, 도2(a)는 사용자가 디지탈 캠코더(220)를 사용해서 특정의 대상물(210)을 녹화하여 실시간 데이터 저장장치(230)에 실시간으로 기록하는 동작을 도시하고, 도2(b)는 도2(a)에서 실시간 데이터 저장장치(230)에 저장된 데이터를 소정의 디지탈 네트워크(250)를 통해 컴퓨터 시스템(240)으로복사하거나, 혹은 컴퓨터 시스템(240)이 실시간 데이터 저장장치(230)에 저장된 데이터를 직접 조작하는 동작을 도시한다.
도2에서 디지탈 캠코더(220)는 도1에서와 마찬가지로 디지탈 녹화/재생 기능을 갖는 공지기술의 디지탈 캠코더이다. 본 발명에서는 디지탈 캠코더(220)에 대해서는 특별한 제한을 가하지 않으며, 다만 디지탈 녹화/재생 기능을 갖고 본 발명의 실시간 데이터 저장장치(230)와 소정의 디지탈 네트워크(250)를 통해 연결될 수 있는 기능만 있으면 족하다. 도2에 도시되어 있지는 않으나, 디지탈 캠코더(220)는 도1에서와 마찬가지로 기록매체로서 공지의 디지탈 테이프(130) 또는 디스크를 사용할 수 있다.
도1을 참조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디지탈 캠코더(220)와 실시간 데이터 저장장치(230)는 IEEE 1394 포트 또는 USB (Universal Serial Bus) 포트 등과 같은 소정의 디지탈 인터페이스를 구비하고, 이러한 디지탈 인터페이스를 이용한 디지탈 네트워크(250)를 통해 디지탈 캠코더(220)가 녹화 모드에서 촬영하는 실시간 오디오/비디오 데이터가 실시간으로 본 발명의 실시간 데이터 저장장치(230)로 전송되어 저장장치 내에 저장된다.
이를 위해, 도2(a)에서 디지탈 네트워크(250)가 전술한 IEEE 1394인 경우, 실시간 데이터 저장장치(230)는 바람직하게는 소위 AV/C 명령어 세트를 이용하여 디지탈 캠코더(220)의 상태를 모니터링하다가 디지탈 캠코더(220)가 녹화모드로 천이되면 이 이벤트를 검출하여 디지탈 네트워크(250)를 통해 전달되는 실시간 데이터를 저장하기 시작하고, 디지탈 캠코더(220)가 녹화모드를 벗어나면 역시 이 이벤트를 검출하여 실시간 데이터의 저장을 중단한다.
도2(a)에서 디지탈 네트워크(250)가 IEEE 1394인 경우, 디지탈 캠코더(220)는 통상적으로 녹화모드가 아닌 경우에도, 예컨대 카메라 모드(camera mode)로 동작하거나 재생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등에는 디지탈 네트워크(250)를 통해 실시간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기 때문에, 본 발명의 실시간 데이터 저장장치(230)는 전술한 소위 AV/C 명령어를 이용하여 디지탈 캠코더(220)의 상태를 모니터링하면서 실시간 데이터의 저장 여부를 판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AV/C 명령어는 IEEE 1394 디지탈 인터페이스를 채용한 기기가 서로 상대방의 상태를 모니터링하거나 상대방을 제어하기 위해서 사용하는 명령어 세트로서, 이 명령어의 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1394 TA (www.1394ta.org)에서 작성하는 일련의 AV/C 명령어 세트 규격을 참조한다.
한편, 구현방식에 따라서는 도2(a)에 도시된 동작 시나리오에 있어서 본 발명의 실시간 데이터 저장장치(230)가 디지탈 캠코더(220)의 상태를 모니터링하지 않고 실시간 데이터의 저장 여부를 판단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간 데이터 저장장치(230)가 별도의 동작설정버튼을 구비하여 사용자가 이 동작설정버튼을 사용함으로써 저장장치(230)의 동작모드를 녹화동작모드 및 정지동작모드로 설정하도록 구현된 경우에는, 본 발명의 실시간 데이터 저장장치(230)는 이 동작설정버튼의 입력에 기초하여 디지탈 네트워크(250)를 통해 전달되는 실시간 데이터를 저장할 것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이 경우 전술한 바와 같은 디지탈 캠코더(220)의 상태 모니터링은 필요하지 않을 수있다.
다만, 이렇게 구현되는 경우에 있어서, 디지탈 네트워크(250)를 통해 실시간 데이터가 전달되지 않는 상태에서 동작설정버튼의 입력에 의해 저장장치(230)의 동작모드가 녹화동작모드로 설정되는 경우, 내용물이 없는 실시간 데이터 파일을 생성하도록 동작할 것인지 아니면 실시간 데이터 파일을 생성하지 않도록 동작할 것인지는 구현하기에 따라서 임의로 선택될 수 있다.
도2(a)에서 본 발명의 실시간 데이터 저장장치(230)는 디지탈 캠코더(220)로부터 디지탈 네트워크(250)를 통해 전달되는 실시간 데이터를 내부 저장매체 상에 저장함에 있어서, 통상의 컴퓨터 시스템에서 실시간 데이터 저장장치(230)에 대한 인식 및 조작이 가능하도록 공지기술의 기술규격, 예컨대 공지기술의 파일시스템 규격이나 공지기술의 저장매체 인터페이스 규격에 합치(compliant)하도록 저장장치 내부의 데이터 저장매체를 관리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실시간 데이터 저장장치(230)는 공지기술의 파일시스템, 예컨대 FAT (Fila Allocation Table) 16 규격이나 FAT 32 규격, 또는 NTFS (NT File System) 규격에 합치하도록 저장매체 내에 실시간 데이터를 배열하고 또한 파일시스템 규격에 따른 소정의 관리정보 데이터를 생성하여 저장매체의 소정의 영역에 삽입 또는 갱신한다.
즉, 하드디스크 등과 같은 저장매체를 위한 컴퓨터 분야의 파일시스템 규격인 FAT 16 규격이나 FAT 32 규격 등에 따르면, 데이터를 저장 및 처리함에 있어서 클러스터(cluster)를 기본단위로 하여 다루도록 되어있고, 추가로 부트레코드(bootrecord) 및 파일할당표(FAT) 등을 일종의 관리정보 데이터로서 별도로 삽입 및 관리하도록 되어있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실시간 데이터 저장장치(230)는 실시간 데이터를 기록 및 처리함에 있어서 이러한 공지기술의 파일시스템 규격에 합치하도록 실시간 데이터가 전술한 클러스터 단위에 정렬되도록 하고 부트레코드 및 파일할당표 등과 같은 관리정보 데이터도 별도로 관리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간 데이터 저장장치(230)는 공지기술의 저장매체 인터페이스 규격, 예컨대 E-IDE (Enhanced Integrated Drive Electronics) 규격 혹은 ATA (Advanced Technology Attachment) 규격 등에 따라 저장매체의 인터페이스 작업를 수행한다.
즉, 하드디스크 등과 같은 대용량 저장매체를 위한 컴퓨터 분야의 표준 전자 인터페이스 규격인 E-IDE 규격이나 ATA 규격 등에 따르면, 대용량 저장매체의 인터페이스는 16비트 혹은 32비트 데이터 버스(data bus)를 통해 PIO (Programmed Input/Output) 모드나 DMA (Direct Memory Access) 모드에 따라 동작하고, 또한 규격에 따라 선택적으로 28비트 LBA (Logical Block Addressing) 기술을 사용하도록 되어있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실시간 데이터 저장장치(230)는 실시간 데이터를 처리함에 있어서 이러한 공지기술의 저장매체 인터페이스 규격에 합치하도록 인터페이스를 수행한다.
도2(b)는 도2(a)에서 실시간 데이터 저장장치(230)에 저장된 데이터를 소정의 디지탈 네트워크(250)를 통해 컴퓨터 시스템(240)에서 사용하는 동작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실시간 데이터 저장장치(230)는 실시간 데이터를저장함에 있어서 공지기술의 파일시스템 규격에 합치되도록 처리하고 또한 공지기술의 저장장치 인터페이스 규격에 합치되도록 데이터 인터페이스를 수행하므로, 컴퓨터 시스템(240)은 실시간 데이터 저장장치(230)를 일종의 외장형 저장장치로서 인식하고, 또한 실시간 데이터 저장장치(230)에 저장되어 있는 실시간 데이터를 일종의 파일(file)로서 인식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간 데이터 저장장치(230)는 내부 저장매체로서 랜덤액세스(random access)가 가능한 기록매체, 예컨대 하드디스크나 플래시 메모리, 또는 DVD-RAM이나 DVD-R 등을 사용하므로, 도2(b)에서 컴퓨터 시스템(240)은 실시간 데이터 저장장치(230)에 저장되어 있는 실시간 데이터를 일종의 파일로서 컴퓨터 시스템 내부로 즉시 복사한 후 조작하거나 혹은 실시간 데이터 저장장치(230)를 일종의 외장형 저장장치로서 인식하여 복사없이 저장장치(230) 상에서 바로 조작할 수 있고, 따라서 도1을 참조하여 전술하였던 종래기술의 문제점, 즉 비선형편집을 위해서 컴퓨터 시스템(140)으로 장시간을 소모하여 실시간 데이터를 복사하는 비효율성을 제거할 수 있다.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간 데이터 저장장치(300)의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으로서, 특히 실시간 데이터 저장장치(300)에서 측면의 구현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간 데이터 저장장치(300)는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은 네트워크 연결을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소정의 디지탈 인터페이스(320)로서 IEEE 1394 포트 또는 USB 포트 등과 같은 공지기술의 디지탈 인터페이스 포트를 구비한다. 도3에는 디지탈 인터페이스(320)의 일 실시예로서 4핀 구성의 IEEE 1394 포트를 도시하였다.
도2에 도시된 본 발명의 동작 실시예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실시간 데이터 저장장치(300)는 한 종류의 디지탈 인터페이스를 제공하여 이로써 도2(a)(b)의 디지탈 캠코더(220)와 컴퓨터 시스템(240)과의 디지탈 네트워크(250)에 공통으로 사용하는 것이 비용이나 제품개발 기간 등 여러가지 면에서 바람직하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간 데이터 저장장치(230, 300)는 이러한 사항에 한정되지 않으며, 디지탈 캠코더(220)와 컴퓨터 시스템(240)에 대해서 별도로 디지탈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간 데이터 저장장치(300)에서는 바람직하게는 본 장치의 사용자가 소정의 모드설정 스위치(310)를 사용함으로써 실시간 데이터 저장장치(300)의 동작 모드를 소망하는 대로 설정할 수 있도록 하였다. 본 발명의 실시간 데이터 저장장치(300)에서는 모드설정 스위치(310)를 사용하여 그 동작 모드를 다양하게 설정할 수 있는데, 기본적으로는 전원 온/오프를 선택할 수 있고, 선택적으로 기록 모드(recording mode)와 데이터통신 모드(data communication mode)를 선택할 수 있다.
기록 모드는 도2(a)에 도시된 동작 실시예에서와 같이 실시간 데이터 저장장치(230)가 디지탈 캠코더(220)와 연결되어 디지탈 캠코더(220)가 녹화 동작을 수행할 때 디지탈 네트워크(250)를 통해 전달되는 실시간 오디오/비디오 데이터를 내부의 저장매체에 기록할 때의 동작 모드이다. 한편, 데이터통신 모드는 도2(b)에 도시된 동작 실시예에서와 같이 실시간 데이터 저장장치(230)가 컴퓨터 시스템(240)과 연결되어 컴퓨터 시스템(240)이 본 발명의 실시간 데이터 저장장치(230) 내에 저장된 실시간 데이터를 일종의 파일로서 읽어들여 컴퓨터 시스템(240)의 내부로 복사할 때의 동작 모드이다.
도3(b)는 본 발명에 따른 모드설정 스위치(310)의 실시예를 도시하는데, 도3(b)에서 스위치(310)의 레버(330)가 "off" 위치에 있는 경우에는 본 발명의 저장장치(300)는 전원-오프 모드가 되어 동작을 수행하지 않는 상태에 있고, 레버(330)가 "on" 위치에 있는 경우에는 본 발명의 실시간 데이터 저장장치(300)는 전원-온 모드이면서 데이터통신 모드가 되어 도2(b)에 도시된 동작이 가능한 상태에 있다. 또한, 도3(b)에서 레버(330)가 "record" 위치에 있는 경우에는 본 발명의 실시간 데이터 저장장치(300)는 전원-온 모드이면서 기록 모드가 되어 도2(a)에 도시된 동작이 가능한 상태에 있다.
도3(b)는 본 발명에 있어서 모드설정 스위치(310)를 구현하는 일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을 제품으로 구현하고자 하는 사람은 도3(b)와 도3(c)를 비롯하여 다양한 형태로 모드설정 스위치(310)를 구현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3(c)의 구현예는 기본적인 동작에 있어서 도3(b)와 동일한 것으로 해석되는데, 다만 레버(340)의 위치에 있어서 데이터통신 모드를 위한 위치가 전원-오프 모드를 위한 위치와 서로 바뀌었고, 데이터통신 모드를 위한 레이블이 "on"에서 "pc"로 변경되었다. 또한, 도시되어 있지는 않으나 본 발명의 저장장치(30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저장장치(300)의 동작모드설정을 위해 동작설정버튼을 더 구비할수도 있다. 이러한 동작설정버튼은 도시된 모드설정 스위치(310) 내에 구현될 수도 있고 모드설정 스위치(310)와는 별도로 구현될 수도 있다.
도2 및 도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간 데이터 저장장치(230, 300)의 동작을 기술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간 데이터 저장장치(230, 300)는 모드설정 스위치(310)가 전원-오프 모드의 위치에 있을 때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도2(a)에서의 디지탈 캠코더(220)로부터 실시간 오디오/비디오 데이터가 전달되더라도 이 데이터를 저장매체에 기록하는 동작을 수행하지 않으며, 또한 도2(b)에서의 컴퓨터 시스템(240)에 연결되더라도 내부에 저장된 실시간 데이터를 파일로서 제공하는 동작을 수행하지 않는다.
이러한 전원-오프 모드는 본 발명의 실시간 데이터 저장장치(230, 300)에 있어서 발명의 본질적인 부분은 아니며, 오히려 디지탈 캠코더(220)와 함께 휴대용으로 사용함에 있어서 내장 전원을 효과적으로 사용하고 이동시에 충격으로 인한 시스템 고장을 예방하기 위한 방안으로서 이해되어야 한다. 한편, 실시간 데이터 저장장치(230, 300)는 전원-오프 모드에서 최소한의 동작은 수행할 수 있도록 구현될 수 있는데, 예컨대 사용자의 편이를 위해서 리모컨이 함께 제공되는 경우 전원-오프 모드에 있다고 하더라도 이 리모컨의 전원-온 명령은 인식하고 이에 대응하여 저장장치(230, 300)의 주 전원을 기동시키는 등의 동작은 수행할 수 있도록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사용자는 본 발명의 실시간 데이터 저장장치(230, 300)를 도2(a)에 도시된바와 같이 디지탈 캠코더(220)와 연결하여 녹화 내용을 실시간 오디오/비디오 데이터로서 실시간으로 파일의 형태로 저장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저장장치(230, 300)의 모드설정 스위치(310)를 기록 지점("record")으로 위치시킴으로써, 저장장치(230, 300)의 동작 모드를 기록 모드로 설정하여야 한다.
도2를 참조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디지탈 캠코더(220)는 통상적으로 기록 동작을 수행하고 있지 않은 경우에도, 예컨대 카메라 모드로 동작하거나 재생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등에는 디지탈 네트워크(250) 상에 실시간 데이터를 발생시킬 수 있기 때문에, 본 발명의 실시간 데이터 저장장치(230, 300)는 동작 모드가 기록 모드로 설정되었다고 하더라도 바로 실시간 데이터의 기록동작을 수행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대신, 실시간 데이터 저장장치(230, 300)는 기록 모드로 설정되면 소정의 상태질의 명령어(status inquiry command), 예컨데 IEEE 1394 기술을 위해 1394 TA에서 제정한 "AV/C Tape Recorder/Player Subunit Specification"의 TRANSPORT_STATE 상태 명령어 등을 이용하여 현재 연결되어 있는 디지탈 캠코더(220)의 동작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그 동작 상태를 참조하여 자신이 수행할 동작을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 따른 실시간 데이터 저장장치(230, 300)는 예컨대 0.5초마다 한번씩 상태질의 명령어를 보내어 디지탈 캠코더(220)의 동작 상태를 주기적으로 모니터링하다가 사용자가 디지탈 캠코더(220)를 조작하여 기록 동작을 수행하기 시작하면 이러한 동작상태 천이 이벤트를 검출하여 즉시 실시간 데이터의 기록동작을 개시하는 것이다.
이러한 동작이 가능해지도록, 본 발명에서 디지탈 캠코더(220)와 실시간 데이터 저장장치(230, 300)를 연결하기 위한 디지탈 네트워크(250)는 IEEE 1394와 같이 연결된 기기 상호간에 서로의 상태를 모니터링할 수 있는 방법이 제공되는 기술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러한 과정을 거쳐서, 실시간 데이터 저장장치(230, 300)가 디지탈 네트워크(250)를 통해 디지탈 캠코더(220)로부터 전달되는 실시간 오디오/비디오 데이터를 저장매체에 기록하는 상태에서, 사용자가 디지탈 캠코더(220)의 동작 상태를 기록 모드에서 그 이외의 모드로 절환하거나 혹은 실시간 데이터 저장장치(230, 300)의 동작 모드를 기록 모드에서 그 이외의 모드로 절환하는 경우에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간 데이터 저장장치(230, 300)는 수행하고 있던 실시간 데이터의 기록동작을 중단한다.
전자의 경우, 즉 사용자가 디지탈 캠코더(220)의 동작 상태를 기록 모드에서 그 이외의 모드로 절환하는 경우에 대해서 기술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간 데이터 저장장치(230, 300)는 디지탈 캠코더(220)의 동작 상태를 모니터링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디지탈 캠코더(220)의 동작 상태를 기록모드에서 그 이외의 모드로 절환하는 이벤트를 검출할 수 있고 이에 대응하여 실시간 데이터를 저장매체에 기록하는 동작을 중단할 수 있다.
후자의 경우, 즉 사용자가 실시간 데이터 저장장치(230, 300)의 동작 모드를 기록 모드에서 그 이외의 모드로 절환하는 경우에 대해서 기술한다. 디지탈 캠코더(220)는 현재 기록 모드에 있으므로 디지탈 네트워크(250)를 통해 제공되는 실시간 오디오/비디오 데이터는 여전히 유효한 데이터이지만, 이 경우에는 실시간 데이터 저장장치(230, 300)가 이러한 실시간 데이터를 저장매체에 기록하지 않고 버린다. 이 때, 실시간 데이터 저장장치(230, 300)의 제어모듈이 비활성 상태에 있어 외부로부터 전달되는 실시간 데이터를 처리하지 못할 수도 있고, 혹은 제어모듈은 정상적으로 동작하지만 현재 저장장치(230, 300)의 모드가 기록 모드가 아니므로 버릴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간 데이터 저장장치(230, 300)에 있어서, 도2 및 도3을 참조하여 전술하였던 모드설정 스위치(300) 및 이에 따른 저장장치의 동작 시나리오는 본 발명에 있어서 선택적인 사항인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즉, 전술한 AV/C 명령어 세트의 소정의 상태 명령어, 혹은 디바이스 디스커버리 매커니즘 등을 이용하면 실시간 데이터 저장장치(230, 300)는 현재 디지탈 네트워크(250)를 통해서 연결된 상대방 기기의 종류 및 성능을 파악할 수 있고, 따라서 도2(a) 및 도2(b) 중에서 현재 어떠한 동작 시나리오에 있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전술하였던 모드설정 스위치(300)를 통하지 않더라도 실시간 데이터 저장장치(230, 300)는 전술하였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간 데이터 저장장치(230, 300)는 바람직하게는 전술한 두가지 이벤트, 즉 사용자가 디지탈 캠코더(220)의 동작 상태를 절환하는 이벤트와 실시간 데이터 저장장치(230, 300)의 동작 모드를 절환하는 이벤트를 서로 상이하게 처리함으로써, 실시간 데이터 저장장치(230, 300) 내에 저장되는 실시간 데이터를 계층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한다. 즉, 위의 두가지 이벤트 중에서 실시간 데이터 저장장치(230, 300)의 동작 모드를 절환하는 이벤트를 보다 상위의 개념으로 다루는데, 본 명세서에서는 이러한 계층구조를 설명하기 위해서 씨인(scene)과 커트(cut)라는 용어를 사용하고자 한다.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간 데이터 저장장치(230, 300)에 있어서 일종의 파일형태로 저장된 실시간 데이터의 계층적 구조가 발생하게 되는 동작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4에 도시된 본 발명의 동작 실시예를 앞의 도2 및 도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사용자는 도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지탈 캠코더(220)와 실시간 데이터 저장장치(230, 300)를 디지탈 네트워크(250)를 이용하여 연결한 후, 모드설정 스위치(310)를 사용하여 실시간 데이터 저장장치(230, 300)의 동작 모드를 기록 모드로 설정(단계 410)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간 데이터 저장장치(230, 300)는 자신의 동작 모드가 기록 모드로 절환되면 새로운 씨인을 오픈(open)하는데, 설명의 편이를 위해 도4에서는 단계(410)에서 k번째 씨인, 즉 씨인(k)가 오픈되었다고 가정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씨인(scene)은 하나이상의 실시간 데이터 파일을 포함할 수 있는 일종의 폴더(folder)와 같은 것인데,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씨인이 오픈된 상태에서 디지탈 캠코더(220)가 녹화와 정지 동작을 수행하면 그 때마다 실시간 데이터 파일, 즉 커트(cut)가 본 발명의 실시간 데이터 저장장치(230, 300)의 기록매체 내에 생성된다.
도4의 실시예에서는 씨인(k)가 오픈된 상태에서 디지탈 캠코더(220)가 녹화와 정지 동작을 2회 수행(단계 420, 430; 단계 440, 450)하였는데 1회 수행에 대해서 커트가 하나씩 생성되어 총 2개의 커트(k:1, k:2)가 생성되었다. 사용자가 모드설정 스위치(310)를 사용하여 실시간 데이터 저장장치(230, 300)의 동작 모드를 기록 모드로부터 다른 모드, 예컨대 전원-오프 모드로 절환(단계 460)하면 실시간 데이터 저장장치(230, 300)는 현재 오픈된 씨인, 즉 씨인(k)를 클로즈(close)하여 더이상 커트가 포함되지 못하도록 한다.
그 이후에, 사용자가 실시간 데이터 저장장치(230, 300)의 동작 모드를 다시 기록 모드로 절환(단계 470)하면 새로운 씨인, 즉 씨인(k+1)이 오픈되고, 그 이후의 동작은 전술한 바와 동일하다. 즉, 디지탈 캠코더(220)가 녹화와 정지 동작을 1회 수행할 때마다 커트가 하나씩 생성된다. 도4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편이를 위해서 1회의 녹화 및 정지 동작이 수행(단계 480, 490)되었고, 이에 씨인(k+1)에 대해서 하나의 커트(k+1:1)가 생성된 것으로 도시하였다. 도4에 도시되어 있지는 않으나, 사용자가 저장장치(230, 300)의 동작 모드를 기록 모드로부터 다른 모드로 절환하면 실시간 데이터 저장장치(230, 300)는 현재 오픈된 씨인, 즉 씨인(k+1)를 클로즈한다.
한편, 위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간 데이터 저장장치(230, 300)가 디지탈 캠코더(220)의 동작모드를 모니터링하다가 디지탈 캠코더(220)가 녹화와 정지동작을 수행할 때마다 실시간 데이터 파일을 생성시키는 것으로 기술되었으나, 전술한 바와 같이 저장장치(230, 300)가 캠코더(220)의 동작모드를 모니터링하지 않고 별도의 동작설정버튼을 구비하여 그 버튼입력에 따라서 자신의 동작을 결정하도록 구현하는 것도 가능하며, 그러한 경우에는 버튼입력에 의해 저장장치(230, 300)가 녹화와 정지동작을 수행하면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은 커트(k:1, k:2)가 생성되도록 구현된다.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간 데이터 저장장치(230, 300)에서 계층적 구조로 저장된 실시간 데이터 파일의 실시예를 개념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4를 참조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씨인은 상위계층에 해당하고 커트는 일종의 파일 객체로서 하위계층에 해당하는데, 도5에서 씨인(k)(510)에는 두 개의 커트(k:1, k:2) (510:1, 510:2)가 존재하고, 씨인(k+1)(520)에는 한 개의 커트(k+1:1)(520:1)가 존재한다. 이로부터, k번째 씨인(510)에서는 디지탈 카메라(220)의 녹화/정지 작업이 2회 수행되었고, (k+1)번째 씨인(520)에서는 디지탈 카메라(220)의 녹화/정지 작업이 1회 수행되었음을 짐작할 수 있다.
사용자가 컴퓨터 시스템(240)과 실시간 데이터 저장장치(230)를 도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지탈 네트워크(250)를 이용하여 연결한 경우, 본 발명의 실시간 데이터 저장장치(23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일종의 외장형 저장장치로서 인식되고 또한 동작한다.
이렇게 연결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컴퓨터 시스템(240)의 모니터 상에서 예컨대 마이크로소프트 윈도우즈 2000의 탐색기 프로그램(explorer)을 사용하여 실시간 데이터 저장장치(230)의 내부를 탐색하면 저장장치(230)에 저장되어 있는 실시간 데이터는 통상의 파일로서 발견될 것이고, 도5에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 세 개의 실시간 데이터 파일이 발견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간 데이터 저장장치(230)의 기술 내용에 최적화되어 설계된 응용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저장장치(230)의 내부를 탐색하는 경우에는, 저장장치(230)에 저장되어 있는 실시간 데이터는 바람직하게는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씨인(510, 520)과 커트(510:1, 510:2, 520:1)로 구성된 계층적 구조를 갖는 것으로 발견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간 데이터 저장장치(230, 300)에 있어서 내부의 저장매체에 실시간 데이터가 배치되어 파일을 형성하는 방식은 전술한 바와 같이 FAT 16이나 FAT 32 등과 같은 공지기술의 파일시스템에 합치되도록 구성되는데, 그 자세한 기술적 내용은 본 발명의 범위를 넘는 것이므로 본 명세서에서는 이러한 사항에 대해서는 설명하지 않는다.
다만, 전술한 공지기술의 파일시스템은 공지의 컴퓨터 시스템(240)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간 데이터 저장장치(230)를 액세스하여 내부에 저장된 실시간 데이터를 탐색할 때 일종의 파일로서 보일 수 있도록 한다는 목적의 범위 내에서 한정되는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한다. 즉, 이러한 목적이 만족되는 범위내에서 본 발명의 실시간 데이터 저장장치의 운영의 효율성을 제고하기 위해서 혹은 전술한 씨인과 커트의 계층구조를 구현하기 위해서 실시간 데이터가 저장되는 데이터 유닛(data unit)을 새로이 정의한다거나 관리정보 데이터 구조를 추가로 정의하여사용하는 것 등은 본 발명의 사상 내에서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간 데이터 저장장치(230, 300)에서 사용되는 파일시스템에 있어서 주의할 사항은 공지기술의 파일시스템, 예컨대 FAT 16이나 FAT 32를 이용하는 것은 통상의 컴퓨터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일반적인 응용 프로그램과 호환성을 유지하기 위함이라는 것이다. 따라서, 일반적인 응용 프로그램과는 전혀 호환성을 갖지않고 전용의 응용 프로그램에 대해서만 사용하더라도 무방하다면 공지기술의 파일시스템을 사용하지 않고 전용의 파일시스템을 사용하는 것도 본 발명의 사상 내에서 역시 가능하다.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간 데이터 저장장치(600)의 내부구성의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6의 실시간 데이터 저장장치(600)는 실시간 데이터 저장장치(600)의 동작 모드에 대한 설정을 입력받기 위한 모드설정부(610), 외부기기와 디지탈 데이터를 상호 교환하기 위한 디지탈 인터페이스부(620), 디지탈 데이터를 소정의 파일의 형태로 위치시키기 위한 저장매체(650), 전술한 디지탈 인터페이스부(620)와 저장매체(650) 간의 경로 상에서 전술한 디지털 데이터를 매개하고 저장매체(650)에 대한 기록/판독 매커니즘을 제공하기 위한 저장매체 인터페이스부(640), 및 전술한 모드설정부(610)로부터 저장장치(600)의 동작 모드에 대한 설정을 입력받고 디지탈 인터페이스부(620), 저장매체(650), 및 저장매체 인터페이스부(640)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판단부(630)를 포함한다.
도6에서는 저장매체(650)가 본 발명의 실시간 데이터 저장장치(600)를 구성하는 일부분으로서 도시되어 있지만, 본 발명은 반드시 이러한 구성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예컨대, 저장매체로서 DVD-RAM이나 DVD-R, 또는 CD-R이나 CD-RW 등과 같은 교체가능한 종류의 매체가 사용되는 경우에는 저장매체(650)는 저장장치(600)를 구성한다기 보다는 저장장치(600)에 의해 사용된다고 보는 것이 보다 정확할 것이다. 이렇게 동작하는 실시간 데이터 저장장치(600)의 구성도 본 발명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다만, 저장매체(650)로서 전술한 교체가능한 종류의 매체가 사용되는 경우에는 본 발명의 저장장치에 있어서 보다 다양한 구성이 가능한데, 이는 사용자가 본 발명의 저장장치를 이용하여 실시간 데이터를 기록한 후에 매체만을 분리하여 컴퓨터 시스템의 DVD 드라이브나 CD 드라이브 등에서 실시간 데이터를 파일의 형태로 읽을 수 있기 때문이다. 즉, 이러한 경우 본 발명의 실시간 데이터 저장장치에 있어서 도2(b)에 도시된 동작 시나리오의 기능을 지원하는 것은 필수적인 사항이 아니라 선택적인 사항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도6에서 저장매체 인터페이스부(640)는 전술한 바와 같이 통상의 컴퓨터 시스템에서 실시간 데이터 저장장치(700)에 대한 인식 및 조작이 가능하도록 공지기술의 저장매체 인터페이스 규격, 예컨대 E-IDE 규격이나 ATA 규격에 합치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6에서 제어판단부(630)는 저장매체 인터페이스부(640)를 적절히 제어 및 설정함으로써 도2(a)에 도시된 동작 시나리오에서 디지탈 인터페이스부(620)를 통해 외부로부터 제공되는 디지탈 형식의 실시간 데이터가 전술한 바와 같이 저장매체(650) 내에 FAT 16이나 FAT 32 등과 같은 공지기술의 파일시스템에 합치하도록 배열되고 또한 관리정보 데이터가 저장매체(650)의 소정의 영역에 삽입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도6에서 제어판단부(630)는 저장매체 인터페이스부(640)를 적절히 제어 및 설정함으로써 도2(b)에 도시된 동작 시나리오에서 저장매체(650) 내에 FAT 16이나 FAT 32 등과 같은 공지기술의 파일시스템에 합치하도록 배열된 소정의 파일 형식의 실시간 데이터가 디지탈 인터페이스부(620)를 통해 외부로 제공될 때 해당 디지탈 인터페이스부(620)의 구현기술의 규격에 합치되도록 한다.
도6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간 데이터 저장장치(600)의 구성의 구현 실시예로서, IEEE 1394 초고속 시리얼 디지탈 네트워크 기술을 이용하여 외부와의 디지탈 네트워크(250)를 구현하고 공지의 하드디스크를 이용하여 저장매체(650)를 구현하는 경우에 대해서 기술한다.
디지탈 네트워크(250)로서 IEEE 1394 기술을 이용하는 경우, 실시간 데이터 저장장치(600)는 도2(a)에 도시된 동작 시나리오에서는 디지탈 캠코더(220)와 등시성 통신모드(isochronous communication mode)로 통신을 수행하고, 도2(b)에 도시된 동작 시나리오에서는 컴퓨터 시스템(240)과 통상 SBP-2 (Serial Bus Protocol 2) 프로토콜에 따라서 통신을 수행한다. 한편, 저장매체(650)인 하드디스크와는 통상 E-IDE 규격에 따라서 데이터 입출력을 수행한다.
이렇게 구현된 실시간 데이터 저장장치(600)에 있어서, 도6에서 디지탈 인터페이스부(620)는 IEEE 1394 포트와 물리층 칩(physical layer chip), 그리고 링크층 칩(link layer chip)으로 구성된다. 또한, 이 때 도시된 저장매체 인터페이스부(640)는 도2(a)에 도시된 동작 시나리오에서는 등시성 통신모드와 E-IDE 간의 프로토콜 변환을 수행하고 도2(b)에 도시된 동작 시나리오에서는 SBP-2와 E-IDE 간의 프로토콜 변환을 수행하는 프로토콜 변환모듈과 E-IDE 콘트롤러, 그리고 E-IDE 컨넥터로 구성되는 것으로 이해된다. 도6에서 제어판단부(630)는 이러한 관련 칩들을 메이커가 제공하는 칩 매뉴얼을 참조하여 설정하고 제어함으로써 데이터의 흐름 및 변환이 적절히 이루어지도록 한다.
한편, 실시간 데이터 저장장치(600)에 있어서전술한 바와는 다소 상이하게 프로토콜 변환기능이 디지탈 인터페이스부(620)에서 수행되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즉, 전술한 IEEE 1394의 경우, 예컨대 물리층 칩과 링크층 칩, 그리고 프로토콜 변환모듈이 단일칩으로 구현되어 사용되는 경우, 이 단일칩의 내부구성 부분을 기능적으로 디지탈 인터페이스부(620)에 속하는 부분과 저장매체 인터페이스부(640)에 속하는 부분으로 분리하여 분석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지만, 한편 단순하게 디지탈 인터페이스부(620)가 SBP-2와 E-IDE 간의 프로토콜 변환기능을 수행한다고 보는 것도 가능하다.
도7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간 데이터 저장장치(700)의 내부구성의 다른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7의 실시간 데이터 저장장치(700)는 도6의 실시간 데이터 저장장치(600)와 비교하면 도6의 디지탈 인터페이스부(620)가 제1 디지탈 인터페이스부(720:1)와 제2 디지탈 인터페이스부(720:2)로 분리되어, 도2에도시된 바와 같은 동작 실시예에 있어서 디지탈 캠코더(220)와 연결하기 위해서는 제1 디지탈 인터페이스부(720:1)를 사용하고 컴퓨터 시스템(240)과 연결하기 위해서는 제2 디지탈 인터페이스부(720:2)를 사용한다.
도7에 있어서, 제1 디지탈 인터페이스부(720:1)와 제2 제2 디지탈 인터페이스부(720:2)를 동일한 기술을 사용하여 구성할 수도 있고, 혹은 서로 상이한 기술, 예컨대 제1 디지탈 인터페이스부(720:1)는 IEEE 1394 기술을, 제2 디지탈 인터페이스부(720:2)는 USB 기술을 사용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도7의 실시예는 제1 및 제2 디지탈 인터페이스부(720:1, 720:2)를 제외한 다른 구성부분, 즉 모드설정부(710), 제어판단부(730), 저장매체 인터페이스부(740), 및 저장매체(750)에 있어서는 도6의 실시예에 대해서 전술한 내용이 동일하게 적용된다.
도8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간 데이터 저장장치에서 저장매체(810)의 내부구성을 설정하는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간 데이터 저장장치에서 저장매체(810)는 전술한 방식과 시나리오에 따라 실시간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고, 공지의 외장형 저장장치와 마찬가지로 일반 데이터도 통상의 방식에 따라 저장할 수 있다. 이는 본 발명의 실시간 데이터 저장장치의 효용성을 높이기 위한 것인데, 본 발명의 실시간 데이터 저장장치는 도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시간 데이터와 일반 데이터에 대해서 각각 특정의 비율만큼 공간(810:1, 810:2)을 할당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간 저장장치는 바람직하게는 사용자가 도8(a)에 도시한 실시간 데이터 섹션(810:1)과 일반 데이터 섹션(810:2)의 비율을 소망하는 대로 변경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도8(b)는 그 한가지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8(b)에 도시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저장장치(230)를 도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컴퓨터 시스템(240)에 연결한 후 컴퓨터 시스템(240)의 모니터 상에서 저장장치(230)의 내부구성을 설정하는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 본 저장장치의 사용자는 도8(b)의 "Dvico Real-Time Storage 등록정보"에서 "스토리지 분할" 부분의 수평바를 적절히 조정함으로써 저장장치에서 실시간 데이터 섹션(810:1)과 일반 데이터 섹션(810:2)의 비율을 설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간 데이터 저장장치에 따르면 디지탈 소스기기로부터 실시간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제공받아 저장하여 컴퓨터 시스템으로 실시간 데이터를 파일의 형태로 제공함으로써 디지탈 소스기기로부터 획득한 실시간 데이터를 컴퓨터 시스템으로 복사하는 과정에서 종래기술의 비효율성을 제거하고 데이터 복사시간을 감소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간 데이터 저장장치에 따르면 디지탈 소스기기로부터 제공받은 실시간 데이터를 씨인(scene)과 커트(cut)의 개념을 이용하여 계층적으로 관리함으로써 저장장치에 저장되어 있는 실시간 데이터의 관리 효율을 제고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명세서에서 "저장장치"라 함은 디지탈 형식의 데이터를 내부에 저장할 수 있는 장치로서, 특히 하드디스크나 DVD-RAM, 또는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이 랜덤액세스(random access)가 가능한 기록매체로 구성된 장치를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전자계산기기"이라 함은 개인용 컴퓨터(PC) 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 따른 영상편집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전자적으로 계산을 수행하는 임의의 기기를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디지탈 네트워크"라 함은 전술한 IEEE 1394나 USB 등과 같은 유선 네트워크 뿐만 아니라 무선랜 등과 같은 무선 네트워크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디지탈 소스기기"라 함은 전술한 디지탈 캠코더와 같이 자체적으로 디지탈 데이터를 발생시켜 디지탈 네트워크 상에 실시간 데이터를 제공하는 기기 뿐만 아니라, 디지탈 VCR이나 DVD 플레이어 등과 같이 소정의 미디어에 기록되어 있는 데이터를 재생함으로써 디지탈 데이터를 얻어 디지탈 네트워크 상에 실시간 데이터를를 제공하는 기기도 포함하며, 더욱이 디지탈 셋톱박스 등과 같이 소정의 전송매체를 통해 전달된 데이터를 디코딩함으로써 디지탈 데이터를 얻어 디지탈 네트워크 상에 실시간 데이터를를 제공하는 기기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Claims (19)

  1. 동작 모드로서 디지탈 소스기기로부터 실시간 데이터를 제공받아 실시간으로 기록할 수 있는 데이터 기록모드와 전자계산기기에 대해서 상기 기록된 실시간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는 데이터 제공모드를 갖는 실시간 데이터 저장장치로서, 상기 디지탈 소스기기와의 연결 및 상기 전자계산기기와의 연결을 제공하는 디지탈 인터페이스부; 상기 실시간 데이터를 소정의 파일시스템에 따른 파일의 형태로 보유할 수 있고 랜덤액세스가 가능한 저장매체부; 상기 디지탈 인터페이스부와 상기 저장매체부 사이를 매개하고 상기 저장매체부에 대한 기록 및 판독 매커니즘을 제공하는 저장매체 인터페이스부; 및 상기 실시간 데이터 저장장치의 동작 모드를 판단하여, 상기 데이터 기록모드의 경우에 상기 디지탈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제공되는 상기 실시간 데이터를 상기 기록 매커니즘을 이용하여 상기 저장매체부 내에 상기 파일시스템에 따른 파일의 형태로 기록하고, 상기 데이터 제공모드의 경우에 상기 저장매체부 내에 기록된 상기 실시간 데이터를 상기 판독 매커니즘을 이용하여 판독하여 상기 디지탈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상기 전자계산기기에 대해서 상기 파일시스템에 따른 파일의 형태로 제공하는 제어판단부를 포함하는 특징을 갖는 실시간 데이터 저장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탈 인터페이스는 IEEE 1394 시리얼버스 인터페이스이고, 상기 저장매체부는 E-IDE 인터페이스를 지원하는 하드디스크이며, 상기 파일시스템은 FAT 32이고, 상기 저장매체 인터페이스는 IEEE 1394 데이터 통신과 E-IDE 간의 프로토콜 변환모듈 및 E-IDE 콘트롤러를 포함하는 특징을 갖는 실시간 데이터 저장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장치 인터페이스의 프로토콜 변환모듈은 상기 데이터 기록모드에서 IEEE 1394 등시성 데이터 통신과 E-IDE 간의 프로토콜 변환을 수행하고 상기 데이터 제공모드에서는 SBP-2와 E-IDE 간의 프로토콜 변환을 수행하는 특징을 갖는 실시간 데이터 저장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판단부는 상기 실시간 데이터 저장장치의 동작 모드가 상기 데이터 기록모드인 경우에 상기 디지탈 인터페이스부에 대해서 이용가능한 소정의 상태질의 명령어를 사용하여 상기 디지탈 소스기기의 동작 정보를 획득할 수 있고, 상기 상태질의 명령어를 통해 상기 디지탈 소스기기가 유효한 실시간 데이터를 발생시키는 소정의 동작을 수행하는 것을 검출하면 상기 디지탈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공되는 상기 실시간 데이터를 상기 기록 매커니즘을 이용하여 상기 저장매체부 내에 상기 파일시스템에 따른 파일의 형태로 기록하는 특징을 갖는 실시간 데이터 저장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탈 인터페이스는 IEEE 1394 시리얼버스 인터페이스이고, 상기 상태질의 명령어는 AV/C 명령어 세트의 소정의 상태 명령어인 특징을 갖는 실시간 데이터 저장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판단부는 상기 디지탈 인터페이스부에 대해서 이용가능한 소정의 상태질의 명령어를 사용하여 상기 디지탈 인터페이스를 통해 연결된 상대방 기기의 종류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실시간 데이터 저장장치의 동작 모드를 판단하는 특징을 갖는 실시간 데이터 저장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판단부는 상기 디지탈 인터페이스부에 대해서 이용가능한 소정의 디바이스 디스커버리 동작을 수행함으로써 상기 디지탈 인터페이스를 통해 연결된 상대방 기기의 종류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실시간 데이터 저장장치의 동작 모드를 판단하는 특징을 갖는 실시간 데이터 저장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시간 데이터 저장장치는 상기 데이터 기록모드와 상기 데이터 제공모드 중에서 어떠한 동작 모드로 동작할 것인지에 대한 동작모드설정을 입력받는 모드설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판단부는 상기 모드설정부의 동작모드 설정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실시간 데이터 저장장치의 동작 모드를 판단하는 특징을 갖는 실시간 데이터 저장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판단부는 상기 모드설정부의 동작모드 설정입력에 의해 상기 실시간 데이터 저장장치의 동작 모드가 상기 데이터 기록모드인 경우에 상기 디지탈 인터페이스부에 대해서 이용가능한 소정의 상태질의 명령어를 사용하여 상기 디지탈 소스기기의 동작 정보를 획득할 수 있고, 상기 상태질의 명령어를 통해 상기 디지탈 소스기기의 동작 모드가 유효한 실시간 데이터를 발생시키는 소정의 제1 동작모드로 천이되는 것을 검출하면 상기 디지탈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공되는 상기 실시간 데이터를 상기 기록 매커니즘을 이용하여 상기 저장매체부 내에 상기 파일시스템에 따른 파일의 형태로 기록하는 동작을 수행하고, 상기 상태질의 명령어를 통해 상기 디지탈 소스기기의 동작 모드가 상기 제1 동작모드로부터 유효한 실시간 데이터를 발생시키지 않는 소정의 제2 동작모드로 천이되는 것을 검출하면 상기 기록 동작을 중단하는 특징을 갖는 실시간 데이터 저장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판단부는 상기 실시간 데이터 저장장치의 동작 모드가 상기 데이터 기록모드인 경우에 상기 상태질의 명령어를 통해 상기 디지탈 소스기기의 동작 모드가 상기 제1 동작모드로 천이된 후 상기 제2 동작모드로 천이되는 것을 검출하면 상기 디지탈 소스기기의 모드천이 사이에 상기 디지탈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공되는 상기 실시간 데이터를 상기 파일시스템에 따른 파일의 형태로 저장함으로써 하위계층의 커트(cut)를 형성하고, 상기 모드설정부의 동작모드 설정입력에 의해 상기 실시간 데이터 저장장치의 동작 모드가 상기 데이터 기록모드로 천이된 후 상기 데이터 제공모드로 천이되면 상기 실시간 데이터 저장장치의 모드천이 사이에 생성된 상기 커트로부터 상위계층의 씨인(scene)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실시간 데이터 저장장치에 저장된 실시간 데이터를 계층적으로 관리하는 특징을 갖는 실시간 데이터 저장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매체부는 전체 저장영역에서 소정의 비율 이내로 통상의 비실시간 데이터를 상기 파일시스템에 따른 파일의 형태로 더 저장할 수 있되, 상기 비율은 상기 저장매체부가 초기화될 때 소정의 기본비율로 설정되고, 상기 초기화 이후에 상기 비율은 상기 실시간 데이터 저장장치가 상기 디지탈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전자계산기기와 연결되어 상기 전자계산기기에 의해 재설정될 수 있는 특징을 갖는 실시간 데이터 저장장치.
  12. 디지탈 소스기기와 소정의 디지탈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어 실시간 데이터를 제공받아 랜덤액세스가 가능한 소정의 저장매체에 실시간으로 기록할 수 있는 기능을 갖는 실시간 데이터 저장장치로서, 상기 디지탈 소스기기와의 상기 디지탈 네트워크 연결을 제공하는 디지탈 인터페이스부; 상기 저장매체에 대한 기록 매커니즘을 제공하는 저장매체 인터페이스부; 및 상기 디지탈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제공되는 상기 실시간 데이터를 상기 저장매체 인터페이스부의 기록 매커니즘을 이용함으로써 상기 저장매체 상에 소정의 파일시스템에 따른 파일의 형태로 기록하는 제어판단부를 포함하는 특징을 갖는 실시간 데이터 저장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판단부는 상기 디지탈 인터페이스부에 대해서 이용가능한 소정의 상태질의 명령어를 사용하여 상기 디지탈 소스기기의 동작 정보를 획득할 수 있고, 상기 디지탈 소스기기가 유효한 실시간 데이터를 발생시키는 소정의 동작을 수행하는 것이 검출되면 상기 실시간 데이터를 상기 기록 매커니즘을 이용하여 상기 저장매체 상에 상기 파일시스템에 따른 파일의 형태로 기록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특징을 갖는 실시간 데이터 저장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탈 인터페이스는 IEEE 1394 시리얼버스 인터페이스이고, 상기 상태질의 명령어는 AV/C 명령어 세트의 소정의 상태 명령어인 특징을 갖는 실시간 데이터 저장장치.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판단부는 상기 디지탈 인터페이스부에 대해서 이용가능한 소정의 상태질의 명령어를 사용하여 상기 디지탈 소스기기의 동작 정보를 획득할 수 있고, 상기 상태질의 명령어를 통해 상기 디지탈 소스기기의 동작 모드가 유효한 실시간 데이터를 발생시키는 소정의 제1 동작모드로 천이되는 것을 검출하면 상기 실시간 데이터를 상기 기록 매커니즘을 이용하여 상기 저장매체 상에 상기 파일시스템에 따른 파일의 형태로 기록하는 동작을 수행하고, 상기 상태질의 명령어를 통해 상기 디지탈 소스기기의 동작 모드가 상기 제1 동작모드로부터 유효한 실시간 데이터를 발생시키지 않는 소정의 제2 동작모드로 천이되는 것을 검출하면 상기 기록 동작을 중단하는 특징을 갖는 실시간 데이터 저장장치.
  16. 동작 모드로서 디지탈 소스기기로부터 실시간 데이터를 제공받아 실시간으로 기록할 수 있는 데이터 기록모드와 전자계산기기에 대해서 상기 기록된 실시간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는 데이터 제공모드를 갖는 실시간 데이터 저장장치로서, 상기 디지탈 소스기기와의 연결을 제공하는 제1 디지탈 인터페이스부; 상기 전자계산기기와의 연결을 제공하는 제2 디지탈 인터페이스부; 상기 실시간 데이터를 소정의파일시스템에 따른 파일의 형태로 보유할 수 있고 랜덤액세스가 가능한 저장매체부; 상기 데이터 기록모드에서 상기 제1 디지탈 인터페이스부와 상기 저장매체부 사이를 매개하고 상기 저장매체부에 대한 기록 매커니즘을 제공하며, 상기 데이터 제공모드에서 상기 제2 디지탈 인터페이스부와 상기 저장매체부 사이를 매개하고 상기 저장매체부에 대한 판독 매커니즘을 제공하는 저장매체 인터페이스부; 및 상기 실시간 데이터 저장장치의 동작 모드를 판단하여, 상기 데이터 기록모드의 경우에 상기 제1 디지탈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제공되는 상기 실시간 데이터를 상기 기록 매커니즘을 이용하여 상기 저장매체부 내에 상기 파일시스템에 따른 파일의 형태로 기록하고, 상기 데이터 제공모드의 경우에 상기 저장매체부 내에 기록된 상기 실시간 데이터를 상기 판독 매커니즘을 이용하여 판독하여 상기 제2 디지탈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상기 전자계산기기에 대해서 상기 파일시스템에 따른 파일의 형태로 제공하는 제어판단부를 포함하는 특징을 갖는 실시간 데이터 저장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판단부는 상기 실시간 데이터 저장장치의 동작 모드가 상기 데이터 기록모드인 경우에 상기 제1 디지탈 인터페이스부에 대해서 이용가능한 소정의 상태질의 명령어를 사용하여 상기 디지탈 소스기기의 동작 정보를 획득할 수 있고, 상기 상태질의 명령어를 통해 상기 디지탈 소스기기가 유효한 실시간 데이터를 발생시키는 소정의 동작을 수행하는 것을 검출하면 상기 제1 디지탈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공되는 상기 실시간 데이터를 상기 기록 매커니즘을 이용하여상기 저장매체부 내에 상기 파일시스템에 따른 파일의 형태로 기록하는 특징을 갖는 실시간 데이터 저장장치.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실시간 데이터 저장장치는 상기 데이터 기록모드와 상기 데이터 제공모드 중에서 어떠한 동작 모드로 동작할 것인지에 대한 동작모드설정을 입력받는 모드설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판단부는 상기 모드설정부의 동작모드 설정입력에 의해 상기 실시간 데이터 저장장치의 동작 모드가 상기 데이터 기록모드인 경우에 상기 제1 디지탈 인터페이스부에 대해서 이용가능한 소정의 상태질의 명령어를 사용하여 상기 디지탈 소스기기의 동작 정보를 획득할 수 있고, 상기 상태질의 명령어를 통해 상기 디지탈 소스기기의 동작 모드가 유효한 실시간 데이터를 발생시키는 소정의 제1 동작모드로 천이되는 것을 검출하면 상기 제1 디지탈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공되는 상기 실시간 데이터를 상기 기록 매커니즘을 이용하여 상기 저장매체부 내에 상기 파일시스템에 따른 파일의 형태로 기록하는 동작을 수행하고, 상기 상태질의 명령어를 통해 상기 디지탈 소스기기의 동작 모드가 상기 제1 동작모드로부터 유효한 실시간 데이터를 발생시키지 않는 소정의 제2 동작모드로 천이되는 것을 검출하면 상기 기록 동작을 중단하는 특징을 갖는 실시간 데이터 저장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판단부는 상기 실시간 데이터 저장장치의 동작 모드가 상기 데이터 기록모드인 경우에 상기 상태질의 명령어를 통해 상기 디지탈 소스기기의 동작 모드가 상기 제1 동작모드로 천이된 후 상기 제2 동작모드로 천이되는 것을 검출하면 상기 디지탈 소스기기의 모드천이 사이에 상기 제1 디지탈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공되는 상기 실시간 데이터를 상기 파일시스템에 따른 파일의 형태로 저장함으로써 하위계층의 커트(cut)를 형성하고, 상기 모드설정부의 동작모드 설정입력에 의해 상기 실시간 데이터 저장장치의 동작 모드가 상기 데이터 기록모드로 천이된 후 상기 데이터 제공모드로 천이되면 상기 실시간 데이터 저장장치의 모드천이 사이에 생성된 상기 커트로부터 상위계층의 씨인(scene)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실시간 데이터 저장장치에 저장된 실시간 데이터를 계층적으로 관리하는 특징을 갖는 실시간 데이터 저장장치.
KR1020020060867A 2002-10-07 2002-10-07 실시간 데이터 저장장치 KR2004003142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60867A KR20040031428A (ko) 2002-10-07 2002-10-07 실시간 데이터 저장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60867A KR20040031428A (ko) 2002-10-07 2002-10-07 실시간 데이터 저장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31428A true KR20040031428A (ko) 2004-04-13

Family

ID=373316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60867A KR20040031428A (ko) 2002-10-07 2002-10-07 실시간 데이터 저장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31428A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19556A (ko) * 1995-09-30 1997-04-30 김광호 메모리 카드를 매체로한 데이터기록 재생방법 및 장치
KR970056941A (ko) * 1995-12-28 1997-07-31 배순훈 하드디스크 저장형 디지탈 캠코더
KR19980018265A (ko) * 1996-08-05 1998-06-05 가나이 츠토무 디스크를 기록매체로 하는 카메라
KR200146061Y1 (ko) * 1996-06-15 1999-06-15 윤종용 퍼스널컴퓨터를 위한 저장기능을 갖는 캠코더
JP2002091767A (ja) * 2000-09-13 2002-03-29 Toshiba Corp コンテンツ蓄積装置および携帯型電子機器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19556A (ko) * 1995-09-30 1997-04-30 김광호 메모리 카드를 매체로한 데이터기록 재생방법 및 장치
KR970056941A (ko) * 1995-12-28 1997-07-31 배순훈 하드디스크 저장형 디지탈 캠코더
KR200146061Y1 (ko) * 1996-06-15 1999-06-15 윤종용 퍼스널컴퓨터를 위한 저장기능을 갖는 캠코더
KR19980018265A (ko) * 1996-08-05 1998-06-05 가나이 츠토무 디스크를 기록매체로 하는 카메라
JP2002091767A (ja) * 2000-09-13 2002-03-29 Toshiba Corp コンテンツ蓄積装置および携帯型電子機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88961B1 (en) Recording apparatus, playback apparatus, recording method, and playback method
KR20050088458A (ko) 사전-구성 백업 dvd-rw
JP2001186423A (ja) パーソナルコンピュータを用いたtv視聴、録画、再生装置及びpcカード電源供給方法並びにpcカード
US7860821B2 (e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content output apparatus, and method and program of controlling a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by a content output apparatus
US2004010533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the recording of digital information, and recording medium therefor
JP2004173227A (ja) デジタルビデオ編集装置とその編集方法
EP2192768A1 (en) Method for generating and accessing a scheduled program list and multimedia device for the same
US20060280488A1 (en) Reproduction apparatus
KR20040031428A (ko) 실시간 데이터 저장장치
JP3489440B2 (ja) データ送受信方法
TWI257806B (en) Camcorder and method of recording thereof
JP2006314017A (ja) ハードディスクレコーダ
JP2008034954A (ja) 映像記録再生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CN100521737C (zh) 数码影像设备的电源开启状态控制设备及其方法
WO2006129905A1 (en) Detachable hard disk drive rack
JP2006195632A (ja) 記録再生装置及びその管理情報制御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JP4173391B2 (ja) 記録装置、記録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3463833B2 (ja) 磁気記録再生装置
JP4206872B2 (ja) 情報編集装置、撮像装置および情報編集方法
JP3907006B2 (ja) Ieee1394シリアルバスに接続されるhdd内蔵dvdレコーダ、及びieee1394シリアルバスに接続されるディスク録画装置
JP4289482B2 (ja) 可換型ディスクのディスク再生装置及びその再生方法
CN102054506A (zh) 在光盘驱动器中产生存储器盘的方法
JP2004336255A (ja) データ処理装置、ビデオデータの編集方法及び編集プログラム
JP3859900B2 (ja) データ送受信装置およびその方法
JP2002050156A (ja) 記録装置および記録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