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19842A - 반송장치 - Google Patents

반송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19842A
KR20040019842A KR1020030009733A KR20030009733A KR20040019842A KR 20040019842 A KR20040019842 A KR 20040019842A KR 1020030009733 A KR1020030009733 A KR 1020030009733A KR 20030009733 A KR20030009733 A KR 20030009733A KR 20040019842 A KR20040019842 A KR 200400198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iving
mast
traveling
frames
lif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097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99825B1 (ko
Inventor
타이아키토
이마무라유지
고토후미키
Original Assignee
무라타 기카이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2251205A external-priority patent/JP3843916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2256227A external-priority patent/JP3960171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2255138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4091137A/ja
Application filed by 무라타 기카이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무라타 기카이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400198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198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998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99825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Floor-to-roof stacking devices, e.g. "stacker cranes", "retrievers"
    • B66F9/072Travelling gear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Floor-to-roof stacking devices, e.g. "stacker cranes", "retrievers"

Abstract

승강모터 등의 스태커크레인으로부터의 돌출을 방지하여, 자동창고의 벽과 스태커크레인의 간섭을 억제할 수 있는 반송장치를 제공한다.
스태커크레인(1)의 주행대차(2)에는, 차륜(9)을 구동시키는 주행구동수단(20·20)과, 승강대(4)를 승강시키는 승강구동수단(35)을 구비하고, 양 구동수단(20·35)의 길이방향이 주행대차(2)의 주행방향과 대략 평행하게 되도록 양 구동수단(20·35)을 배치하며, 주행대차(2)는 소정 간격을 두고 설치한 한쌍의 프레임(17·17)과, 양 프레임(17·17)을 연결하는 복수의 연결부재(18)를 구비하고, 상기 양 구동수단(20·35)이 프레임(17)의 외측에 배치되고, 주행대차(2)의 전후에 차륜(9·9)이 설치됨과 아울러, 각 차륜(9)에는 각각 주행구동수단(20)이 접속되고, 전후의 차륜(9·9) 사이에 승강대(4)의 승강용 풀리(34)가 설치되며, 그 풀리(34)에는 승강구동수단(35)이 접속되었다.

Description

반송장치{TRANSPORTATION APPARATUS}
본 발명은, 자동창고에 적용되는 반송장치에 관한 것이고, 특히 반송장치에 구비되는 주행대차의 구성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자동창고의 선반에 물품을 입출고하는 스태커크레인은, 하부의 주행대차에 마스트를 세워 설치하여, 마스트를 따라서 승강대를 승강시키고 있다. 승강대에는, 물품을 이송하기 위한 이송장치가 탑재되어 있다.
스태커크레인에 있어서, 승강대를 승강시키기 위한 승강모터 및, 주행대차를 주행시키기 위한 주행모터를, 주행대차에 설치한 것이 알려져 있다. 이 스태커크레인은 승강모터 및 주행모터를, 마스트보다 아래쪽이고, 또한 그 길이방향이 주행방향과 직교하도록 설치하고 있다. 승강모터 및 주행모터는, 마스터보다 평면에서 볼때 주행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다. 자동창고의 최하단의 선반 아래쪽에는, 승강대를 하강시키기 위한 공간이 필요하기 때문에, 데드스페이스로 되는 공간이 형성되어 있고, 이 데드스페이스에 스태커크레인의 돌출된 부분을 배치함으로써, 자동창고 전체의 바닥면적이 커지지 않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자동창고의 선반의 밑에는, 자동창고의 후방에 접속된 처리장치의 스테이션이 배치되는 경우가 있고, 이 경우에는, 데드스페이스로 되는 공간에 스테이션이 설치되게 된다. 상기 스태커크레인에서는, 마스트보다 승강모터 및 주행모터가 돌출되어 있는 만큼 차촉이 크게 되어 있고, 그 돌출분만큼 주행경로를 크게 할 필요가 있어, 자동창고의 바닥면적이 커지게 된다는 문제가 있었다. 그래서 본 발명은, 승강모터 및 주행모터를 주행대차에 설치하여도, 주행대차의 차폭이 커지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반송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과제이다.
도 1은 스태커크레인의 측면도,
도 2는 스태커크레인의 정면도,
도 3은 주행대차의 좌측면도,
도 4는 주행대차의 우측면도,
도 5는 도 4의 A-A 단면도,
도 6은 도 4의 B-B 단면도,
도 7은 도 4의 C-C 단면도,
도 8은 승강대의 최하강 위치로 한 스태커크레인의 측면도,
도 9는 스태커크레인의 프레임세트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
도 10은 마스트의 지지구성을 나타내는 스태커크레인 하부의 프레임세트 구성을 나타내는 후면도,
도 11은 마스트의 지지구성을 나타내는 스태커크레인 하부의 프레임세트 구성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스태커크레인 2 : 주행대차
3 : 마스트 4 : 승강대
9 : 차륜 17 : 프레임
18 : 연결부재 20 : 주행구동수단
21 : 차축 34 : 풀리
35 : 승강구동수단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과 같고, 다음에 그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을 설명한다. 즉, 청구항 1에 있어서는, 주행대차와, 주행대차에 세워 설치하는 마스트와, 마스트를 따라서 승강하는 승강대를 구비한 반송장치로서, 주행대차에는 차륜을 구동시키는 주행구동수단과 승강대를 승강시키는 승강구동수단을 구비하고, 양 구동수단의 길이방향이 주행대차의 주행방향과 대략 평행하게 되도록, 양 구동수단을 배치한 것이다.
청구항 2에 있어서는, 주행구동수단 및 승강구동수단은, 마스트보다 하측에서, 또한 측면에서 볼 때에 주행대차로부터 전후방향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배치된 것이다.
청구항 3, 4에 있어서는, 주행대차는, 소정 간격을 두고 설치하는 한쌍의 프레임과, 양 프레임을 연결하는 복수의 연결부재를 구비하고, 한쌍의 프레임 사이의전후로 차륜이 배치됨과 아울러, 각 차륜에는 각각 주행구동수단이 접속되고, 전후에 차륜의 사이에 승강대의 승강용 풀리가 배치되며, 그 승강용 풀리에는 승강구동수단이 접속되고, 주행구동수단 및 승강구동수단을 프레임의 외측에 각각 배치한 것이다.
청구항 5에 있어서는, 한쌍의 프레임 사이에, 승강대의 하부를 수납가능하게 한 것이다.
청구항 6에 있어서는, 한쌍의 프레임의 외측에, 마스트 지지부재를 각각 돌출설치함과 아울러, 프레임 및 마스트 지지부재의 윗쪽에 마스트를 배치한 것이다.
청구항 7에 있어서는, 평면에서 볼 때에 주행구동수단 및 승강구동수단을 마스트의 외측면보다 내측에 배치한 것이다.
다음에, 발명의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도 1은 스태커크레인의 측면도, 도 2는 마찬가지로 정면도, 도 3은 주행대차의 좌측면도, 도 4는 마찬가지로 우측면도, 도 5는 도 4의 A-A 단면도, 도 6은 도 4의 B-B 단면도, 도 7은 도 4의 C-C 단면도, 도 8은 승강대의 최하강 위치에 있어서의 스태커크레인의 측면도, 도 9는 스태커크레인의 프레임세트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 도 10은 마스트의 지지구성을 나타내는 스태커크레인 하부의 프레임세트 구성을 나타내는 후면도, 도 11은 마찬가지로 측면도이다.
우선, 도 1, 도 2에 의해, 본 발명의 반송장치의 일실시예인 스태커크레인(1)의 개략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하에 있어서, 스태커크레인(1)의 주행방향을 전후방향이라 하고, 그 주행방향과 수평면 내에서 직교하는 방향을좌우방향이라 한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태커크레인(1)은 바닥위를 주행하는 주행대차(2)와, 주행대차(2)에 세워 설치하는 마스트(3)와, 마스트(3)를 따라서 승강하는 승강대(4)를 구비하고 있고, 그 승강대(4)에는 물품(12)을 이송하는 이송장치(5)가 설치되어 있다.
마스트(3)는, 주행대차(2)의 상부에서 주행방향의 전후 한쪽에 설치되어 있고, 다른 쪽에는, 사다리(6)가 설치되어 있다. 마스트(3) 및 사다리(6)는, 하단부에서는 주행대차(2)에 각각 고정설치되고, 상단부에서는 마스트(3)와 사다리(6) 사이를 가교하는 좌우 한쌍의 가교프레임(7·7)에 고정설치된다. 그리고, 사다리(6)와 가교프레임(7·7)으로, 승강대(4)의 승강하는 마스트(3)를 보강하여 스태커크레인(1)의 강성을 높이고 있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태커크레인(1)은, 자동창고(50)에 구비되는 반송장치로 되어 있다. 그 자동창고(50)에는, 바닥면 위에 스태커크레인(1)의 주행경로로서 레일(8)이 고정설치됨과 아울러, 그 주행경로의 양측에 다수의 물품적재대를 전후 및 상하에 구비한 래크(rack)(51·51)이 배치된다.
주행대차(2)에는, 레일(8)의 상면을 주행면으로 하는 차륜(9·9)이 전후로 소정 간격을 두고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그 차륜(9·9)의 회전구동에 의해 레일(8)을 따라 스태커크레인(1)이 주행한다. 또, 주행대차(2)에는 레일(8)의 양측면을 가이드면으로 하는 가이드롤러(11·11)가 전후에 한쌍씩 구비되어 있다(도 5). 그리고, 가이드롤러(11·11…)를 레일(8)의 양측에 접촉시켜서 차륜(9·9…)이레일(8)로부터 탈락하지 않도록 하고 있다. 덧붙여서, 자동창고(50)의 천정측으로부터 아래쪽을 향해서, 레일(8)과 평행하게 되는 가이드레일(52)이 매달려 설치됨과 아울러, 마스트(3)와 사다리(6)의 상단부에 각각, 가이드레일의 양측으로부터 접촉되는 한쌍의 가이드롤러(53…53)가, 각각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스태커크레인(1)이 바닥면측과 천정측의 상하 양측에서 지지되도록 하고 있다.
이송장치(5)는, 스칼라암식 로봇핸드로 구성되고, 물품(12)을 놓는 핸드(13)와, 제1암(14), 제2암(15)을 구비하고 있다. 핸드(13) 및 암(14·15)은 동일한 구동원으로부터 감속기나 벨트 등을 개재하여 접속되고, 핸드(13)의 방향을 고정한 채 승강대(4)에 대하여 진퇴이동가능하다. 승강대(4)에는, 이송장치(5)의 선회수단으로서 좌우 회전가능한 요동암(16)이 설치되어 있다. 이송장치(5)는 그 요동암(16)에 지지되어 있다. 그리고, 요동암(16)을 좌우로 회전시켜서 스태커크레인(1)의 주행경로의 측방에 배치되는 래크(51)와의 사이에서, 이송장치(5)가 물품(12)을 이송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또, 승강대(4)는, 마스트(3)에 가이드되는 가이드체(47)와, 그 가이드체(47)로부터 사다리(6)측으로 돌출되는 지지대(48)를 구비하고 있다. 지지대(48)에는 요동암(16)을 구동시키는 구동원 등이 수납되어 있고, 가이드체(47)보다 아래쪽으로 돌출되는 형상으로 되어 있다.
다음에, 주행대차(2)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5,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주행대차(2)의 좌우에는 판재로 형성되는 한쌍의 프레임(17·17)이 소정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다. 그 프레임(17·17) 사이는, 양단부에 나사홈이형성된 원기둥형의 접속부재(18·18…)에 의해 연결되고, 그 접속부재(18)는 프레임(17)에 볼트에 의해 고정된다.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주행대차(2)의 하부에는, 좌우 한쌍의 상기 가이드롤러(11·11)가 전후로 배치되어 있다. 가이드롤러(11)는 연직방향의 차축(11a)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 그 차축(11a)은 프레임(17)의 내면에 세워 설치한 지지대(19)에 고정설치되어 있다. 또, 도 3,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좌우의 프레임(17·17)에 있어서, 가이드롤러(11) 및 차축(11a)의 측방 부위가 구멍이 뚫려 있어, 가이드롤러(11)의 교환이나 유지보수가 용이하게 되어 있다.
도 3,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주행대차(2)에는 좌우의 일측에 차륜(9·9)을 회전구동시키는 주행구동유닛(30·30)이 배치되어 있다. 또, 도 4,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주행대차(2)의 상기 타측에는 승강대(4)를 승강구동시키는 승강구동유닛(40)이 설치되어 있다.
주행구동유닛(30·30)은 주행대차(2)의 전후에 배치되어 있고, 상세한 구성은 후술하지만, 각 주행구동유닛(30)은 차륜(9)을 구동하는 주행구동수단(20)을 구비하고, 그 주행구동수단(20)은 구동모터(20a)와 하이포이드기어(hypoid gear)식 감속기(20b)를 연결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전후의 주행구동수단(20·20)은 동기하여 구동하도록 제어된다.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 차륜(9)은 프레임(17·17)간의 좌우 중앙에 배치되어 있다. 차륜(9)이 고정설치되는 차축(21)은, 상기 주행구동수단(20)의 출력축으로 되어 있고, 차륜(9)의 좌우에서 베어링(22·22)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베어링(22·22)은 각각 프레임(17)에 부착되는 베어링 지지부재(23·23)로 지지된다.
각 프레임(17)의 전후에는, 차축(21)을 삽입통과함과 아울러, 베어링 지지부재(23·23)를 부착하기 위한 부착구멍(17a·17a)이 형성되어 있다. 부착구멍(17a)의 직경은, 차륜(9)의 직경(외경)보다 크게 형성되어 있어, 부착구멍(17a)을 통과시켜서 차륜(9)을 꺼내는 것이 가능하다. 부착구멍(17a·17a)에는 각각, 상기 베어링 지지부재(23·23)가 부착되어 있다. 그리고, 그 베어링 지지부재(23·23)에 베어링(22·22)이 부착되고, 그 베어링(22·22)에 의해 차축(21)을 지지하는 것으로 하고 있다.
또, 주행구동유닛(30)에는, 프레임(17)에 주행구동수단(20)을 설치하기 위한 토크암(31)이 설치되어 있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토크암(31)은 측면에서 볼때 대략 Y자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Y자를 옆으로 눕힌 것 같은 위치로, 주행대차(2)에 배치되어 있다. 그 토크암(31)의 분기측(두갈래측)의 양단부(31a·31a)는, 차축(21)의 상하에서 볼트에 의해 감속기(20b)에 고정되어 있다. 또, 토크암(31)의 비분기측의 단부(31b)에는 보스(boss)(32)가 내부에 끼워넣어져 있고, 그 보스(32)는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프레임(17)의 외측면에 세워 설치되어 있는 원기둥부재(33)에 여유있게 끼워지도록 되어 있다. 토크암(31)을 개재하여 주행구동수단(20)을 프레임(17)에 부착함으로써, 베어링 지지부재(23), 부착구멍(17a) 등의 제작오차를 그다지 신경쓰지 않고 설치할 수 있음과 아울러, 프레임(17)으로부터 토크암(31)마다 주행구동수단(20)을 삽입·이탈 가능하게 하고있다. 그리고, 토크암(31)에 의해 차축(21) 주위로 회전할 수 있는 주행구동유닛(30)이, 주행대차 2개체에 돌아서 멈춰지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주행구동수단(20)과, 차륜(9)과, 차축(21)과, 베어링(22)과, 베어링 지지부재(23)와, 토크암(31)으로 주행구동유닛(30)이 구성된다. 그리고, 주행구동유닛(30)은, 프레임(17)의 부착구멍(17a)에 차륜(9)을 통과시킴으로써 프레임(17)의 측방으로부터 일체적으로 부착, 또는 분리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도 4,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승강구동유닛(40)은, 승강대(4)를 구동시키기 위한 벨트(54)가 감겨지는 승가용 풀리(34)와, 그 승강용 풀리(34)를 구동시키는 승강구동수단(35)을 구비하고 있다. 승강구동수단(35)은, 구동모터(35a)와 하이포이드기어식 감속기(35b)를 연결한 구성이다. 또, 승강용 풀리(34)는, 승강구동수단(35)의 출력축(36)에 고정설치되어 있다. 그 출력축(36)은 베어링(37·37)에 축지지되고, 그 베어링(37·37)은 각각 프레임(17)에 형성되는 부착구멍(17b·17b)에 부착되는 베어링 지지부재(38·38)로 지지되어 있다.
또, 승강구동유닛(40)에는, 프레임(17)에 승강구동수단(35)을 부착하기 위한 토크암(39)이 구비되어 있다. 토크암(39)에 의한 프레임(17)과 승강구동수단(35)의 연결구성은 상기 토크암(31)의 경우와 같고, 토크암(39)의 일단은 승강구동유닛(40)에 고정되고, 타단은 프레임(17)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된다.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프레임(17)의 외측에는 주행구동수단(20·20) 및 승강구동수단(35)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기판(44)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프레임(17·17)의 외측의 한쪽에는, 주행구동수단(20·20)이 배치되고, 다른쪽에는승강구동수단(35)과 제어기판(44)이 배치되는 것으로 되어 있다. 상기 원통부재(43)는, 프레임(17·17)의 외측 사이에서의 급전이나 제어신호의 전달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제어기판(44)은 원통부재(43) 내를 통과하는 신호선을 이용하여, 주행대차(2)에 대하여 반대측에 위치하는 주행구동수단(20·20)을 제어한다.
다음에, 주행대차(2)상에 세워 설치하는 마스트(3)의 지지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마스트(3)는, 중앙측의 메인마스트(45)와, 그 메인마스트(45)의 좌우에 배치되는 한쌍의 서브마스트(46·46)로 구성된다. 메인마스트(45)는 평면에서 볼때 사각형으로 형성되고, 서브마스트(46)는 평면에서 볼때 "I"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메인마스트(45)에는 승강대(4)의 가이드체(47)가 가이드롤러를 개재하여 지지되어 슬라이딩 가능하게 되어 있다.
도 10,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한쌍의 프레임(17·17) 상부에 형성되는 돌출부(17c·17c)의 외측에는, 메인마스트(45)의 좌우의 내벽(45a·45a)이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그 내벽(45a)과 돌출부(17c)가 볼트체결에 의해 고정되어, 메인마스트(45)가 주행대차(2)에 지지되도록 되어 있다.
또,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한쌍의 프레임(17·17)에는, 외측을 향해서 연장되는 마스트 지지부재(49·49)가 각각 볼트체결에 의해 고정 설치되어 있다. 마스트 지지부재(49)상에는 지주(支柱)(55)가 세워 설치되어 있고, 그 지주(55)의 외측에 서브마스트(46)가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서브마스트(46)와 지주(55)가 볼트체결에 의해 고정되어, 서브마스트(46)가 마스트 지지부재(49)에 지지되도록 되어 있다.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메인마스트(45)와 좌우의 서브마스트(46·46)는, 각각 접속부재(56·56…)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접속부재(56)는 마스트(3)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소정의 간격마다 설치되어 있고, 메인마스트(45)와 서브마스트(46)를 연결지지한다. 또, 메인마스트(45)와 서브마스트(46)는 이간하여 설치되어 있고, 전장품의 배치공간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그 배치공간에는, 주행대차(2)와 승강대(4)의 사이를 접속하는 급전선(57)이 배치되어 있고, 그 급전선(57)의 일단측이 승강대(4)에 지지되고, 타단측이 메인마스트(45)에 지지되어, 승강하는 이송장치(5)로 급전가능하게 되어 있다.
다음에, 스태커크레인(1) 하부의 주행대차(2)에 있어서의 레이아웃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한쌍의 프레임(17·17)은 소정 간격을 두고 설치되고, 그 프레임(17·17) 사이는 접속부재(18·18…)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또,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주행대차(2)의 상부에서는 프레임(17·17) 사이에 마스트(3)측으로부터 사다리(6)측으로 향해서, 종동풀리(41·42), 접속부재(18), 원통부재(43), 접속부재(18)가 설치되어 있다. 종동풀리(41·42)에는 승강대(4)를 승강시키는 상기 벨트(54)가 감겨져 있다. 이때, 그 상부에 있어서, 좌우를 프레임(17·17)에, 전후를 접속부재(18)와 원통부재(43)에 의해서 공간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지지대(48)의 좌우 폭은, 프레임(17·17) 사이의 이간거리보다 작은 것으로 되어 있다. 또, 한쌍의 프레임(17·17) 사이에는, 지지대(48) 및 승강대(4) 하단의 진입을 허용하는 공간이 형성되어 있다. 이렇게 해서,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승강대(4)가 최하강한 위치에서 상기 한쌍의 프레임(17·17)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승강대(4) 하부의 일부가 수납되고, 측면에서 볼 때에, 프레임(17)과 승강대(4) 하부의 일부가 중복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상기 마스트 지지부재(49)는 프레임(17)의 외측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그 마스트 지지부재(49)와 간섭하지 않고, 승강대(4)를 더욱 하강시키는 것이 가능하여, 승강대(4)의 아래쪽에 발생하는 승강방향의 데드스페이스를 작게 하고 있다.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차륜(9·9)은 한쌍의 프레임(17·17)의 전후의 끝부에, 각각 배치되어 있다. 차륜(9·9)은 각각, 상기 주행구동수단(20)과 차축(21)을 개재하여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전후의 차륜(9·9) 사이에, 출력축(36)을 개재하여 승강구동수단(35)과 접속되는 승강용 풀리(34)가 배치되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이렇게 하여, 차륜(9·9) 및 승강용 풀리(34)가 대략 직선상에 위치하도록 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전후의 차륜(9·9) 사이의 공간을, 승강용 풀리(34)의 설치공간으로서 이용하게 하여, 프레임(17·17) 사이의 공간을 효과적으로 활용하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차륜(9)을 구동시키는 주행구동수단(20) 및 승강용 풀리(34)를 구동시키는 승강구동수단(35)을 프레임(17)에 설치할 수 있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주행구동수단(20·20) 및 승강구동수단(35)은 마스트(3)의 하단으로부터 아래쪽에 설치되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또,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주행대차(2)의 한쪽의 프레임(17) 외측에 주행구동수단(20·20)이, 다른쪽의 프레임(17)의 외측에 승강구동수단(35)이 각각 설치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이, 프레임(17)의 좌우 양측에 양구동수단(20·35)을 설치하여, 프레임(17)과 양 구동수단(20·35)을, 측면에서 볼 때에 중복시켜서 배치함으로써, 데드스페이스를 발생하지 않고, 마스트(3)의 아래쪽에 형성되는 공간을 유효하게 활용하여 주행대차(2)를 소형으로 구성할 수 있다.
청구항 1과 같이, 주행대차와, 주행대차에 세워 설치되는 마스트와, 마스트를 따라서 승강하는 승강대를 구비한 반송장치로서, 주행대차에는 차륜을 구동시키는 주행구동수단과, 승강대를 승강시키는 승강구동수단을 구비하고, 양 구동수단의 길이방향이 주행대차의 주행방향과 대략 평행하게 되도록, 양 구동수단을 배치하였기 때문에, 주행구동수단 및 승강구동수단의 길이방향을 주행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배치한 경우에 비하여, 주행대차의 차폭을 작게 할 수 있다.
청구항 2와 같이, 주행구동수단 및 승강구동수단은 마스트보다 하측에서, 또한 측면에서 볼때 주행대차로부터 전후방향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배치하였기 때문에, 주행대차의 차높이가 높아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양 구동수단이 원인인 전후방향의 데드스페이스를 없앨 수 있고, 자동창고의 벽에 보다 가까이까지 반송설비를 이동시킬 수 있다. 이 때문에, 주행대차를 소형으로 할 수 있음과 아울러, 자동창고의 바닥면적을 보다 적게 할 수 있다.
청구항 3, 4와 같이, 주행대차는 소정간격을 두고 설치하는 한쌍의 프레임과, 양 프레임을 연결하는 복수의 연결부재를 구비하고, 한쌍의 프레임 사이의 전후에 차륜이 설치됨과 아울러, 각 차륜에는 각각 주행구동수단이 접속되고, 전후의 차륜 사이에 승강대의 승강용 풀리가 설치되며, 그 승강용 풀리에는 승강구동수단이 접속되고, 주행구동수단 및 승강구동수단을 프레임의 외측에 각각 배치하였기 때문에, 한쌍의 프레임 내의 공간을 유효하게 활용할 수 있다. 그리고, 주행대차가 안정됨과 아울러, 전후의 차륜간의 공간을 승강용 풀리의 배치공간으로서 이용할 수 있어, 주행대차를 보다 소형으로 할 수 있다. 또, 승강대의 하부를 한쌍의 프레임의 간격보다 좁게 함으로써, 승강대의 하부를 한쌍의 프레임 내에 수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처욱항 5와 같이, 한쌍의 프레임 사이에 승강대의 하부를 수납할 수 있도록 하였기 때문에, 승강대를 더욱 하강시킬 수 있고, 승강대의 아래쪽에 발생하는 승강방향의 데드스페이스를 작게 할 수 있다.
청구항 6과 같이, 한쌍의 프레임 외측에, 마스트 지지부재를 각각 돌출설치함과 아울러, 프레임 및 마스트 지지부재의 윗쪽에 마스트를 배치하였기 때문에, 마스트의 아래쪽에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이 공간에 주행구동수단이나 승강구동수단을 배치함으로써 유효하게 활용할 수 있음과 아울러, 주행대차의 차폭을 작게 할 수 있다.
청구항 7과 같이, 평면에서 볼 때에 주행구동수단 및 승강구동수단을 마스트의 외측면보다 내측에 배치하였기 때문에, 반송장치의 폭을 작게 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자동창고의 폭방향의 공간을 작게 할 수 있다.

Claims (7)

  1. 주행대차와, 주행대차에 세워 설치하는 마스트와, 마스트를 따라서 승강하는 승강대를 구비한 반송장치로서, 주행대차에는 차륜을 구동시키는 주행구동수단과 승강대를 승강시키는 승강구동수단을 구비하고, 양 구동수단의 길이방향이 주행대차의 주행방향과 대략 평행하게 되도록, 양 구동수단을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송창치.
  2. 제1항에 있어서, 주행구동수단 및 승강구동수단은, 마스트보다 하측에서, 또한 측면에서 볼 때에 주행대차로부터 전후방향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송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주행대차는, 소정 간격을 두고 설치하는 한쌍의 프레임과 양 프레임을 연결하는 연결부재를 구비하고, 한쌍의 프레임 사이의 전후에 차륜이 배치됨과 아울러 각 차륜에는 각각 주행구동수단이 접속되고, 전후의 차륜 사이에 승강대의 승강용 풀리가 배치되며, 그 승강용 풀리에는 승강구동수단이 접속되고, 주행구동수단 및 승강구동수단을 프레임의 외측에 각각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송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주행대차는, 소정 간격을 두고 설치하는 한쌍의 프레임과양 프레임을 연결하는 연결부재를 구비하고, 한쌍의 프레임 사이의 전후에 차륜이 배치됨과 아울러 각 차륜에는 각각 주행구동수단이 접속되고, 전후의 차륜 사이에 승강대의 승강용 풀리가 배치되며, 그 승강용 풀리에는 승강구동수단이 접속되고, 주행구동수단 및 승강구동수단을 프레임의 외측에 각각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송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한쌍의 프레임 사이에 승강대의 하부를 수납가능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송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한쌍의 프레임 외측에 마스트 지지부재를 각각 돌출설치함과 아울러, 프레임 및 마스트 지지부재의 윗쪽에 마스트를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송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평면에서 볼 때에 주행구동수단 및 승강구동수단을 마스트의 외측면보다 내측에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송장치.
KR1020030009733A 2002-08-29 2003-02-17 반송장치 KR10059982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2-00251205 2002-08-29
JP2002251205A JP3843916B2 (ja) 2002-08-29 2002-08-29 搬送装置
JPJP-P-2002-00256227 2002-08-30
JP2002256227A JP3960171B2 (ja) 2002-08-30 2002-08-30 搬送装置
JPJP-P-2002-00255138 2002-08-30
JP2002255138A JP2004091137A (ja) 2002-08-30 2002-08-30 搬送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19842A true KR20040019842A (ko) 2004-03-06
KR100599825B1 KR100599825B1 (ko) 2006-07-12

Family

ID=319821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09733A KR100599825B1 (ko) 2002-08-29 2003-02-17 반송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7191874B2 (ko)
KR (1) KR100599825B1 (ko)
TW (1) TWI254695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33051A (ko) * 2016-09-23 2018-04-02 가부시키가이샤 다이후쿠 물품 반송차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76699A (ja) * 2004-09-08 2006-03-23 Daifuku Co Ltd 物品搬送車
JP4502127B2 (ja) * 2005-04-01 2010-07-14 株式会社ダイフク カセット保管及び被処理板の処理設備
JP4910385B2 (ja) * 2005-12-16 2012-04-04 ムラテックオートメーション株式会社 垂直搬送装置
JP4013990B1 (ja) * 2006-09-28 2007-11-28 株式会社Ihi スタッカクレーン
US20100096220A1 (en) * 2008-10-20 2010-04-22 Reite John B Stackable frame dumbwaiter
KR101709947B1 (ko) 2012-09-05 2017-02-24 무라다기카이가부시끼가이샤 스태커 크레인
JP6201977B2 (ja) * 2014-12-19 2017-09-27 村田機械株式会社 自動倉庫及びその運転方法
JP6443264B2 (ja) * 2015-08-12 2018-12-26 株式会社ダイフク 物品収納設備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116558A (en) 1976-03-26 1977-09-30 Daifuku Co Ltd Device for driving self-propulsive runner
JPH0431800U (ko) 1990-07-10 1992-03-13
KR100196671B1 (ko) * 1992-12-24 1999-06-15 이도 스스므 보수용 승강체 부착 입출장치
US5433292A (en) * 1993-08-26 1995-07-18 Hk Systems, Inc. Stacker
JPH10194407A (ja) 1997-01-17 1998-07-28 Toyota Autom Loom Works Ltd 自動倉庫のスタッカクレーン
KR19980058847U (ko) * 1997-02-27 1998-10-26 이종수 자동창고 시스템의 스태커 크레인
JP2001019115A (ja) 1999-07-01 2001-01-23 Kito Corp スタッカークレーン
US6776263B2 (en) * 2000-05-19 2004-08-17 Esw-Extel Systems Wedel Gesellschaft Fuer Austruestung Mbh Elevator system for the vertical transport of loads in an aircraft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33051A (ko) * 2016-09-23 2018-04-02 가부시키가이샤 다이후쿠 물품 반송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40042887A1 (en) 2004-03-04
TWI254695B (en) 2006-05-11
US7191874B2 (en) 2007-03-20
KR100599825B1 (ko) 2006-07-12
TW200403178A (en) 2004-03-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61095B2 (en) Article storage system and maintenance method in article storage system
KR101533366B1 (ko) 반송 시스템 및 반송 방법
CN104837748B (zh) 搬运设备和自动化仓库
CN215827594U (zh) 升降式换向位智能调节轨道搬运车
KR100599825B1 (ko) 반송장치
CN113184438A (zh) 一种升降式换向位智能调节轨道搬运车
KR102121590B1 (ko) 무인운반차
KR20160119917A (ko) 멀티 암 반송 로봇
JP3843916B2 (ja) 搬送装置
JP3960171B2 (ja) 搬送装置
JP3879632B2 (ja) 搬送装置
JP2004091137A (ja) 搬送装置
KR102587566B1 (ko) 반송대차 및 이를 포함하는 반송 시스템
JP2003212308A (ja) 物品移載装置
CN217676602U (zh) 单柱式垂直输送机
CN219687001U (zh) 一种行走轮安装装置和机器人
CN217321841U (zh) 一种可转位穿梭车
CN217294301U (zh) 电池取卸设备及包含其的电池转运系统
JP2004091136A (ja) 搬送装置
JP2743721B2 (ja) 1本支柱型昇降搬送装置
JP2004091157A (ja) 搬送装置
JP2022178482A (ja) 物品搬送設備
JPH041011Y2 (ko)
JP3818245B2 (ja) 走行台車
CN116353266A (zh) 一种行走轮安装装置和机器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