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007Y1 - 선별판 및 이를 구비한 어류 선별장치 - Google Patents

선별판 및 이를 구비한 어류 선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007Y1
KR200400007Y1 KR20-2005-0022503U KR20050022503U KR200400007Y1 KR 200400007 Y1 KR200400007 Y1 KR 200400007Y1 KR 20050022503 U KR20050022503 U KR 20050022503U KR 200400007 Y1 KR200400007 Y1 KR 20040000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sh
sorting
plate
moving slit
sorting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2250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근영
Original Assignee
유근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근영 filed Critical 유근영
Priority to KR20-2005-002250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00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0000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007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3/00Grad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by dr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orting articles otherwise than by indirectly controlled devices
    • B07B13/04Grad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by dr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orting articles otherwise than by indirectly controlled devices according to siz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00Sieving, screening, sift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using networks, gratings, grids, or the like
    • B07B1/28Moving scree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swinging, reciprocating, rocking, tilting or wobbling scre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00Sieving, screening, sift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using networks, gratings, grids, or the like
    • B07B1/42Drive mechanisms, regulating or controlling devices, or balanc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cre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3/00Grad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by dr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orting articles otherwise than by indirectly controlled devices
    • B07B13/14Details or accessories
    • B07B13/16Feed or discharge arrangements

Landscapes

  • Combined Means For Separation Of Solids (AREA)
  • Sorting Of Articles (AREA)

Abstract

선별효율이 향상된 선별판이 개시된다. 개시된 본 고안에 따른 선별판은, 일측으로 공급된 어류를 진동시켜 타측으로 이송시키면서 그 크기별로 선별하기 위한 것으로, 판상의 몸체; 상기 몸체에 어류의 이송방향을 따라 형성되며 어류의 이송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복수개가 소정간격으로 배치되는 돌출부; 어류의 적어도 일부가 삽입된 채 이송되며, 상기 돌출부들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어류 이송방향으로 상기 몸체에 마련된 이동 슬릿; 및 이송되는 어류가 그 크기에 따라 선택적으로 통과되도록 상기 이동 슬릿의 갭(G)을 확장하여 마련된 선별공;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선별판 및 이를 구비한 어류 선별장치{FISHES SORTING PLATE AND FISHES SORT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본 고안은 어류를 크기별로 분류하기 위한 선별판 및 이를 구비하는 어류 선별장치에 관한 것이다.
멸치와 같은 작은 어류들은 그 크기에 관계없이 그물망 등의 포획수단에 의해 다량으로 포획된다. 포획된 어류들은 건조 등의 과정을 거쳐 상품화되는 과정에서 수익성 및 상품가치를 향상시키기 위해 크기별로 분류된다. 분류 작업은 통상 어민들의 수작업으로 진행된다. 그러나 수작업으로 어류들을 분류할 경우, 장시간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분류기준이 정확하지 않아 분류 정밀도가 떨어지게 되어 인건비 등에 따른 수익성이 악화 및 상품가치가 저하될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최근에는 어류를 자동으로 분류하기 위한 장치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자동 어류 선별장치는 진동모터에 의해 진동되는 복수의 선별판을 구비한다. 복수의 선별판은 선별판 별로 구멍의 크기가 다른 메시(Mesh)의 형태로 제작되며, 복수의 선별판은 선별판 별로 구멍의 크기가 다르다. 상기 선별판에 공급된 어류들은 진동에 의해 일측으로 이송된다. 그리고 이송되는 어류들 중 선별판에 형성된 구멍보다 작은 어류들은 상기 구멍을 통해 빠져 나가 크기별로 분류된다.
그러나 메시 형태의 선별판은 그 구멍보다 큰 어류들이 구멍에 끼여 구멍을 막게 된다. 이러한 경우, 후속적으로 공급되는 어류의 이송이 어려워질 뿐만 아니라 선별판을 빠져나가야 할 작은 어류들이 선별판을 통과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하여 선별효율이 떨어지게 되며, 더욱 심한 경우, 어류의 선별을 할 수 없는 경우까지 발생하게 된다.
또한, 생멸치나 생새우와 같이 살아있는 어류들은 사방으로 튀어서 선별판에 의해 선별이 불가능하다. 따라서, 기존의 선별판의 형태를 구비한 선별장치로는 선박에서 어류를 포획한 즉시 선별하지 못하게 된다. 이러한 이유로, 선박에서 포획된 어류들은 쪄서 말려진 후 육지로 운반되어 선별된다. 그러나 크기별로 어류를 선별하지 않고 찌는 경우, 어류를 쪄서 말리기 위한 열량이 어류의 크기에 따라 달라져서 모든 어류들을 적당한 정도로 익히는 것이 어렵게 된다. 따라서, 선박에서 쪄서 말린 어류들은 상품가치가 떨어지게 된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보다 효율적으로 어류를 크기별로 선별할 수 있는 선별판 및 이를 구비하는 어류 선별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어류의 생사에 관계없이 어류를 크기별로 선별할 수 있는 선별판 및 이를 구비하는 어류 선별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의한 선별판은, 일측으로 공급된 어류를 진동시켜 타측으로 이송시키면서 크기별로 선별하며, 판상의 몸체, 돌출부, 이동 슬릿 및 선별공을 포함한다. 상기 돌출부는, 상기 몸체에 어류의 이송방향을 따라 형성되며 어류의 이송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복수개가 소정간격으로 배치된다. 상기 이동 슬릿은, 어류의 적어도 일부가 삽입된 채 이송되며, 상기 돌출부들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어류 이송방향으로 상기 몸체에 마련된다. 상기 선별공은, 이송되는 어류가 그 크기에 따라 선택적으로 통과되도록 상기 이동 슬릿의 갭(G)을 확장하여 마련된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은, 프레임과, 선별판 및 진동원을 포함하는 선별장치에 의해서도 달성될 수 있다. 상기 선별판은, 상기 프레임에 지지되고 일측으로 공급된 어류의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어 타측으로 이송되도록 이동 슬릿이 어류의 이송방향으로 마련되며, 상기 이동슬릿을 따라 이송되는 어류가 그 크기에 따라 선택적으로 통과되는 선별공이 상기 이동 슬릿을 확장시키는 형태로 마련된다. 상기 진동원은, 상기 선별판의 일측으로 공급된 어류를 타측으로 이송되도록 상기 선별판을 진동시킨다.
여기서, 상기 선별판은 어류를 상기 이동 슬릿 측으로 유도하기 위한 돌출부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이동 슬릿은 복수개가 어류 이송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된다. 상기 선별공은 복수개가 상기 각 이동 슬릿을 따라 소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된다. 상기 이동 슬릿은 상기 선별판의 일측으로부터 상기 선별판의 일측과 어류 이송방향으로 가장 인접한 선별공으로 갈수록 그 갭이 점진적으로 확대된다.
한편, 상기 선별판은 복수개가 상기 프레임에 중력방향으로 나란하게 적층되며, 상기 프레임의 최상측에 마련된 선별판으로부터 상기 프레임의 최하측의 선별판으로 갈수록 각 선별판의 선별공의 크기는 점진적으로 작아진다.
이하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류 선별장치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류 선별장치는, 프레임(10), 공급부(20), 선별판(30), 진동원(40) 및 배출부(50)를 포함한다.
상기 프레임(10)은, 그 하부에 바퀴(14)가 부착된 지지대(12)에 지지된다. 상기 프레임(10)과 상기 지지대(12)의 사이에는 탄성부재(13)가 개재된다. 상기 탄성부재(13)는 상기 프레임(10)에 발생한 진동을 완충시켜 상기 지지대(12)로 전달되는 진동이 감소시킨다. 그러나 상기 프레임(10)은 상술한 바와는 달리 지면에 직접 탄력적으로 지지가 될 수 있다.
상기 공급부(20)는 크기별로 선별하기 위한 어류들이 공급되는 부분으로서, 어류들을 용이하게 투입할 수 있도록 깔때기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공급부(20)는 상기 지지대(12)에 지지된다.
상기 선별판(30)은, 상기 공급부(20)를 통해 공급된 어류들을 상기 배출부(50) 측으로 이송하면서 어류를 크기별로 분류한다. 이러한 선별판(30)은 4개의 선별판(30a)(30b)(30c)(30d) 즉, 제1 내지 제4선별판(30a)(30b)(30c)(30d)이 중력방향으로 적층되도록 상기 프레임(10)에 지지된다. 4개의 선별판(30a)(30b)(30c)(30d)은 프레임(10)의 일측으로 삽입된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10)에 마련된 걸쇠부재(16)를 록킹시켜면 고정바(18)는 제1선별판(30a)을 하측으로 가압하게 된다. 이러한 원리로 각 선별판(30a)(30b)(30c)(30d)은 프레임(10)에 지지가 된 채로 고정된다.
이하, 상기 선별판(30)의 구조에 대하여 설명하되, 상기 제1 내지 제3선별판(30a)(30b)(30c)은, 각 선별판(30a)(30b)(30c)에 마련된 선별공(36)의 크기만 다를 뿐 그 구조 및 작용이 동일함으로 하나의 선별판(30)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한편, 제4선별판(30d)은 중력방향 최하측에 마련된 것으로서, 제1 내지 제3선별판(30a)(30b)(30c)에 의해 선별된 가장 작은 어류가 선별되어 배출부(50) 측으로 이송되므로 선별공(36) 및 이동 슬릿(34)을 구비하지 않는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제1 내지 제3선별판(30a)(30b)(30c) 각각은, 판상의 몸체(31), 상기 몸체(31)에 마련된 돌출부(32), 상기 몸체(31)에 마련된 이동 슬릿(34) 및 상기 이동 슬릿(34)을 따라 형성된 선별공(36)이 마련된다.
상기 돌출부(32)는 어류를 상기 이동 슬릿(34)으로 유도하기 위한 것으로서, 복수개가 어류 이송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게 형성되며, 각 돌출부(32)는 어류 이송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돌출부(32)의 어류 이송방향 단면이 삼각형인 것을 예시하였으나, 상기 돌출부(32)의 단면은 이동 슬릿(34)으로 어류를 유도할 수만 있다면 돔형 등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될 수 있다.
상기 이동 슬릿(34)은 상기 돌출부(32)들의 사이사이에 상기 돌출부(32)의 개수에 대응하는 개수만큼 마련되며, 소정 갭(G)을 가지도록 선별판(30)을 관통하여 형성된다. 상기 이동 슬릿(34)은 어류 이송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된다. 상기 이동 슬릿(34)의 갭(G)은 어류의 종류에 따라 크기가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멸치의 경우, 상기 멸치의 머리는 통과되지 않고 꼬리부분을 통과될 수 있는 갭(G)의 크기가 결정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로, 상기 돌출부(32)에 의해 이동 슬릿(34)으로 유도된 어류는 꼬리부분이 삽입된 채로 배출부(50) 측으로 진동에 의해 이동된다. 다시 말하면, 어류는 이동 슬릿(34)에 적어도 일부가 삽입된 채로 배출부(50, 도 1 참조) 측으로 이동된다.
한편, 상기 이동 슬릿(34)은 인접하는 두개의 선별공(36)들의 사이에서 어류 이송방향으로 그 갭(G)이 점진적으로 확대된다. 또한, 상기 이동 슬릿(34)은 상기 선별판(30)의 일측 즉, 공급부(20) 측으로부터 상기 선별판(30)의 일측과 어류 이송방향으로 가장 인접한 선별공(36) 측으로 그 갭(G)이 점진적으로 확대된다. 즉, 상기 이동 슬릿(34)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류 이송방향에 대하여 소정각도(θ) 경사지게 형성된다. 이처럼, 상기 이동 슬릿(34)의 갭(G)이 어류 이송방향으로 확대됨으로써 어류가 이동 슬릿(34)에 끼이는 현상이 발생하더라도, 이동 슬릿(34)로부터 어류를 탈출시키기 위해 필요한 힘이 이동 슬릿(34)에 낀 어류를 기준으로 공급부(20) 측보다 배출부(50)이 작게 되어 이동 슬릿(34)에 끼어 있는 어류가 진동에 의해 배출부(50) 측으로 용이하게 탈출 및 이송된다. 즉, 상술한 바와 같이, 선별공(36) 사이에 배치된 이동 슬릿(34) 및 선별판(30)의 일 측과 상기 선별판(30)의 일 측으로부터 가장 인접한 선별공(36) 사이의 이동 슬릿(34)의 갭(G)이 어류 이송 방향으로 점진적으로 확대되게 형성됨으로써 어류 이송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선별공(36)은 이동 슬릿(34)을 따라 이송되는 어류를 크기별로 선별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이동 슬릿(34)을 따라 소정 간격으로 복수개가 이동 슬릿(34)의 갭(G)을 확장시키는 형태로 형성된다. 이러한 형상에 의해 상기 이동 슬릿(34)에 일부가 삽입되어 이동되는 어류들 중 선별공(36)보다 작은 어류는 선별공(36)을 통과하여 그 하측의 선별판(30)에 적재된다.
한편, 상기 선별공(36)은 상측에 위치한 선별판(30)으로부터 하측에 위치한 선별판(30)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작아진다. 따라서, 최상측에 위치한 제1선별판(30a)의 제1선별공(36a)이 제2선별판(30b)의 제2선별공(36b) 보다 크다. 그리고 제2선별판(30b)의 제2선별공(36b)이 제3선별판(30c)의 제3선별공(36c)보다 크다. 즉, 제1 내지 제3선별공(36a)(36b)(36c)이 원이라고 가정하고, 그 직경이 각각 D1, D2, D3라고 가정할 때, 상술한 내용은 다음의 수학식 1과 같이 표시될 수 있다.
D1 〉D2 〉D3
선별판(30)의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에 의해, 제1선별판(30a)에는 가장 큰 어류가 잔존하게 되며, 제4선별판(30d)은 가장 작은 제3선별공(36c)을 통과한 가장 작은 어류가 잔존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선별판(30)이 4개인 것을 예시하였으나, 선별판(30)의 개수는 필요한 어류의 분류 등급 수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제4선별판(30d)에 선별공이 형성되지 않는 것을 예시하였으나, 제4선별판(30d)에도 선별공을 형성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제4선별판(30d)의 하부에 제4선별판(30d)의 선별공을 통과한 어류를 담을 수 있는 용기를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 진동원(40)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진동모터(40)로 구현된다. 상기 진동모터(40)는 프레임(10) 양측에 설치된다. 상기 진동모터(40)는 전원의 인가 여부에 따라 내측에 설치된 언밸런스 웨이트(Unbalance Weight)가 회전하여 진동이 발생하는 구조를 가진다. 진동모터(40)의 구조 및 작동원리는 일반적인 진동발생장치 등에 널리 사용되고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진동모터(40)에 의한 프레임(10)의 진동형태는 언밸런스 웨이트의 설치구조 및 진동모터(40)의 프레임(10) 상의 설치 자세 등에 의해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진동모터(40)는 공급부(20) 측으로부터 배출부(50) 측으로 어류를 이송시킬 수 있도록 프레임(10)에 설치하였다. 즉, 진동모터(40)는 프레임(10)에 소정각도 기울어진 상태로 설치되어 공급부(20) 측으로부터 배출부(50) 측으로 어류가 이동되는 관성력을 발생시킨다. 진동모터(40)의 진동에 의해 어류가 이송되는 원리는 이미 공지 또는 공용되고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배출부(50)는 상기 공급부(20)의 반대편 타측에 마련되며, 선별판(30)에 의해 선별된 어류를 배출한다. 상기 배출부(50)는 각 선별판(30)에 대응되도록 제1 내지 제4배출부(50a)(50b)(50c)(50d)로 구성되며, 각 선별판(30a)(30b)(30c)(30d)에 잔존하는 어류를 포장용기로 배출되도록 안내한다.
이하,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류 선별장치의 선별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우선 사용자가 공급부(20)에 선별하고자 하는 어류를 투입한다. 공급부(20)로 투입된 어류는 최상측에 위치한 제1선별판(30a) 일 측에 적재된다. 그리고 진동원(40)은 외부의 전원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구동되기 시작한다. 상기 진동원(40)이 구동되면, 상기 프레임(10)이 진동된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10)이 진동되면, 상기 프레임(10)에 지지되는 제1 내지 제4선별판(30a)(30b)(30c)(30d)이 진동하게 된다. 그러면, 공급부(20)로 투입된 어류는 진동하면서 배출부(50) 측으로 이송된다. 이하, 각 선별판(30a)(30b)(30c)(30d)이 어류를 선별하는 동작을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제1선별판(30a)이 진동되면, 상기 제1선별판(30a)에 적재된 어류들은 배출부(50) 측으로 이동된다. 이때, 돌출부(32)는 어류를 이동 슬릿(34)으로 유도한다. 이동 슬릿(34)으로 유도된 어류는 그 몸체의 일부가 이동 슬릿(34)에 삽입된 채로 이동한다. 이처럼, 어류들이 이동 슬릿(34)에 삽입된 채 이동 슬릿(34)을 따라 이동됨으로써, 기존에 어류가 메시에 삽입된 채 걸려 이동되지 않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즉, 어류의 이송방향으로 형성된 이동 슬릿(34)을 이용함으로써 어류는 보다 효율적으로 이동될 수 있게 된다. 특히, 이동 슬릿(34)이 어류 이송방향으로 점진적으로 확장됨에 따라 어류는 더욱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이송된다. 또한, 돌출부(32)가 어류를 이동 슬릿(34)으로 안내함으로써 살아있는 어류들이 튀더라도 이동 슬릿(34)을 따라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살아서 사방으로 튀는 어류들도 크기별로 선별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이동 슬릿(34)을 따라 이동되는 어류들은 제1선별공(36a)과 만나게 된다. 그리고 어류들 중 제1선별공(36a)보다 작은 어류는 제1선별공(36a)을 통과하며 빠져나간다. 제1선별공(36a)을 통과한 어류는 하측에 마련된 제2선별판(30b)에 적재된다. 그리고 상기 제1선별공(36a) 보다 큰 어류는 선별공(36)으로 빠지지 않고 이동 슬릿(34)을 따라 제1배출부(50a) 측으로 계속 이동하여 배출부(50)를 통해 미 도시된 포장용기로 배출된다.
상기 제2선별판(30b)에 적재된 어류는 상술한 바와 동일한 원리로 이동되어 제2선별공(36b)을 만난다. 제2선별공(36b) 보다 작은 어류들은 제2선별공(36b)을 통과하여 제3선별판(30c)에 적재된다. 그리고 제2선별공(36b)보다 큰 어류는 제2선별공(36b)을 통과하지 못하고 제2선별판(30b) 상에서 제2배출부(50b)로 이동되어 포장용기로 배출된다.
제3선별판(30c)에 적재된 어류는 배출부(50) 측으로 이동하면서 제3선별공(36c)을 만나게 되고, 상기 제3선별공(36c)보다 작은 어류는 제3선별공(36c)을 통과하여 제4선별판(30d)에 적재된다. 제3선별공(36c)보다 큰 어류는 제3선별공(36c)을 통과하지 못하고 제3선별판(30c) 상에서 제3배출부(50c) 측으로 이송되어 포장용기로 배출된다.
제4선별판(30d)에 적재된 어류는 모두 제4배출부(50d) 측으로 이동되어 포장용기로 배출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하면, 선별판에 마련된 이동 슬릿을 마련하고 상기 이동 슬릿을 따라 선별공을 형성함으로써, 어류가 효율적으로 이송할 수 있게 되어 선별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특히, 상기 이동 슬릿을 어류 이송방향으로 점진적으로 확장함에 따라 어류를 더욱 효율적으로 이송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선별판에 돌출부를 마련하여 어류를 이동 슬릿으로 유인함으로써 선별효율을 더욱 높일 수 있다. 특히, 살아 있는 어류까지도 이동 슬릿을 따라 이송시킬 수 있게 된다. 즉, 살아 있는 어류까지도 크기별로 선별할 수 있게 된다.
이상, 본 고안을 본 고안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즉,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고안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하다는 것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도 본 고안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류 선별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의 결합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선별판을 Ⅲ-Ⅲ을 따라 절개한 단면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선별판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
도 5는 도 4의 A부분에 대한 상세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프레임 20; 공급부
30; 선별판 31; 몸체
32; 돌출부 34; 이동 슬릿
36;선별공 40; 진동원
50;배출부

Claims (10)

  1. 일측으로 공급된 어류를 진동시켜 타측으로 이송시키면서 그 크기별로 선별하기 위한 선별판에 있어서,
    판상의 몸체;
    상기 몸체 상에 어류의 이송방향을 따라 형성되며 어류의 이송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복수개가 소정간격으로 배치되는 돌출부;
    어류의 적어도 일부가 삽입된 채 이송되며, 상기 돌출부들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어류 이송방향으로 상기 몸체에 마련된 이동 슬릿; 및
    이송되는 어류가 그 크기에 따라 선택적으로 통과되도록 상기 이동 슬릿의 갭(G)을 확장하여 마련된 선별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별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별공은 상기 이동 슬릿을 따라 소정 간격으로 복수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별판.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슬릿은 상기 복수의 선별공 중 어느 하나의 선별공으로부터 어류 이송방향으로 인접하는 다른 어느 하나의 선별공 측으로 그 갭이 점진적으로 확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별판.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슬릿은 상기 선별판의 일측으로부터 상기 선별판의 일측과 어류 이송방향으로 가장 인접한 선별공 측으로 그 갭이 점진적으로 확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별판.
  5.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지지되고, 일측으로 공급된 어류의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어 타측으로 이송시키기 위한 이동 슬릿이 어류의 이송방향으로 마련되며, 상기 이동슬릿을 따라 이송되는 어류를 그 크기에 따라 선택적으로 통과시키는 선별공이 상기 이동 슬릿을 확장시켜 마련된 선별판; 및
    상기 선별판의 일측으로 공급된 어류를 타측으로 이송되도록 상기 선별판을 진동시키기 위한 진동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선별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슬릿은 복수개가 어류 이송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되며,
    상기 이동 슬릿들의 사이에는 어류를 상기 이동 슬릿 측으로 유도하기 위한 돌출부가 상기 어류의 이송방향으로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류 선별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선별공은 복수개가 상기 각 이동 슬릿을 따라 소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류 선별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슬릿은 상기 복수의 선별공 중 어느 하나의 선별공으로부터 어류 이송방향으로 인접하는 다른 어느 하나의 선별공으로 갈수록 그 갭이 점진적으로 확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류 선별장치.
  9.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슬릿은 상기 선별판의 일측단으로부터 상기 선별판의 일측단과 어류 이송방향으로 가장 인접한 선별공으로 갈수록 그 갭이 점진적으로 확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류 선별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선별판은 복수개가 상기 프레임에 중력방향으로 나란하게 적층되며,
    상기 프레임의 최상측에 마련된 선별판으로부터 상기 프레임의 최하측의 선별판으로 갈수록 각 선별판의 선별공의 크기는 점진적으로 작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류 선별장치.
KR20-2005-0022503U 2005-08-03 2005-08-03 선별판 및 이를 구비한 어류 선별장치 KR20040000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2503U KR200400007Y1 (ko) 2005-08-03 2005-08-03 선별판 및 이를 구비한 어류 선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2503U KR200400007Y1 (ko) 2005-08-03 2005-08-03 선별판 및 이를 구비한 어류 선별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70860A Division KR100636689B1 (ko) 2005-08-03 2005-08-03 선별판 및 이를 구비한 어류 선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007Y1 true KR200400007Y1 (ko) 2005-11-02

Family

ID=437010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22503U KR200400007Y1 (ko) 2005-08-03 2005-08-03 선별판 및 이를 구비한 어류 선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007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6609B1 (ko) 2009-04-18 2009-11-11 김윤호 입형 공급장치
CN117983529A (zh) * 2024-04-03 2024-05-07 晋江市旺瓜食品有限公司 高效型瓜子加工用筛选设备及其筛选工艺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6609B1 (ko) 2009-04-18 2009-11-11 김윤호 입형 공급장치
CN117983529A (zh) * 2024-04-03 2024-05-07 晋江市旺瓜食品有限公司 高效型瓜子加工用筛选设备及其筛选工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49486B2 (en) Vibratory apparatus with multiple screening decks
AU2007351238B2 (en) Method of and apparatus for sorting mineral
BRPI0619279A2 (pt) Agitador de xisto, método para tratar o material introduzido em um separador vibratório e mídia legível por computador
KR101255731B1 (ko) 분체를 선별하고 수분을 제거하는 진동선별기
KR200400007Y1 (ko) 선별판 및 이를 구비한 어류 선별장치
KR100636689B1 (ko) 선별판 및 이를 구비한 어류 선별장치
KR100652225B1 (ko) 선별기
US20190070638A1 (en) Deblinding apparatuses and methods for screening
JP5625153B2 (ja) 乾電池の選別装置
CN210995235U (zh) 缓冲分级振筛机
KR20120127369A (ko) 투과구간의 하측에 경사판을 구비한 막힘없는 멸치선별판
KR20130117169A (ko) 원료 선별용 스크린 장치
KR101398874B1 (ko) 알루미늄 그래뉼 풍력 선별장치
JP2007301545A (ja) 栗選別機
JP2008284533A (ja) 選別機
KR102301901B1 (ko) 비중 선별 장치
KR101203633B1 (ko) 원료 선별용 스크린장치
US6173841B1 (en) Film cartridge sorting device for use with photographic film processor
JP2018187564A (ja) ペレット選別装置
JP6641249B2 (ja) コイルスプリング分離装置
JP6588937B2 (ja) 莢入り豆選別装置
JPH0625223U (ja) 組合せ秤の物品供給装置
US5176289A (en) Direct vertical pin feeder
US3109807A (en) Gaseous current separator
KR20070083438A (ko) 계단식 선별판으로 구성된 선별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