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98807Y1 - Automatic water and humid air supplying apparatus installed in the interior gardon of apartment veranda - Google Patents
Automatic water and humid air supplying apparatus installed in the interior gardon of apartment veranda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398807Y1 KR200398807Y1 KR20-2005-0020886U KR20050020886U KR200398807Y1 KR 200398807 Y1 KR200398807 Y1 KR 200398807Y1 KR 20050020886 U KR20050020886 U KR 20050020886U KR 200398807 Y1 KR200398807 Y1 KR 200398807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ater
- air
- hose
- water supply
- supply
- Prior art date
Links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40
- 239000007921 spray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8000005086 pump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05580 one pot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1
- 235000013601 eggs Nutrition 0.000 abstract description 6
- 239000008400 supply water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41000196324 Embryophyta Species 0.000 description 32
- 239000002689 s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10000001736 Capillaries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80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789 fasten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5097 nutrients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245 partic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507 spray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8399 tap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20679 tap water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41000251468 Actinopterygii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2597 Solanum melongen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0000002686 Solanum melongen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273 ae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5572 biosynthet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266 cas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140 clea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755 form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102 growth fac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69 metal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011 modific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6642 wellbe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2—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having a water reservoir, the main part thereof being located wholly around or directly beside the growth substrate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5/00—Watering gardens, fiel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 A01G25/16—Control of watering
- A01G25/165—Cyclic operations, timing systems, timing valves, impulse oper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01—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with intermittent watering mean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03—Controls for self-acting watering device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Abstract
본 고안은 아파트 베란다와 같은 각종 건물의 실내 공간에 설치되는 화분진열대에 적용되는 것으로, 식재된 식물에 자동으로 급수와 습윤공기 공급이 가능하도록 한 자동 물 및 습윤공기 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공급장치는 환기가 어려운 아파트 실내 특성상 식물재배 공간에 적절한 공기를 제공하기 위하여 공기공급기와 에어호스를 구비하여 기존의 물 공급만이 아닌 공기 공급이 가능하도록 하고 있다. 또한 급수통 내부로 에어호스를 설치하여 습도가 많은 습윤공기를 실내정원 내 재배식물에 공급되도록 하여 난과식물 재배시 그 효용성을 높이도록 하고 있다. 사용자 설정에 따른 자동 공급이 가능하도록 타이머를 구비토록 하였으며, 베란다에 설치되는 화분진열대와 일체로 급수호스와 분사노즐장치를 구성하도록 하고, 베란다 구조에 따라서 베란다 바닥으로 본 고안에 따른 시스템의 빌트인 제공이 가능하도록 하여 보다 쉽고 효과적으로 베란다에 분재나 동양란 등을 재배할 수 있는 자동 물 및 습윤공기 공급시스템을 사용자에게 제공하도록 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the potted display stand installed in the interior spaces of various buildings such as an apartment veranda, and relates to an automatic water and wet air supply device that enables to supply water and wet air to planted plants automatically. The suppl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equipped with an air supply and an air hose in order to provide adequate air to the plant cultivation space due to the indoor characteristics of the apartment difficult to ventilate so that it is possible to supply air, not just the existing water supply. In addition, by installing an air hose inside the water supply tank, the humid air with high humidity is supplied to the cultivated plants in the indoor garden, thereby increasing its utility in cultivating eggs and plants. It is equipped with a timer to enable automatic supply according to the user's setting, and the water supply hose and the spray nozzle device are integrally formed with the flowerpot display rack installed on the veranda, and the built-in provision of th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on the veranda floor according to the veranda structure. This enables the user to provide an automatic water and wet air supply system that can grow bonsai or oriental eggs more easily and effectively on the veranda.
Description
일반적으로 식물은 땅속의 수분을 뿌리에 있는 잔뿌리에서의 모세혈관 작용을 통하여 토양 내 수분을 흡수하면서 성장하지만 아파트 또는 주택의 베란다의 실내정원에서 재배되는 식물의 경우에는 한정된 토양으로 인하여 하루에도 여러 번 물을 주어야 하며, 특히 여름 휴가철과 같이 몇 일간 집을 비우는 경우 실내정원과 화분의 식물은 일반 흙에서 자라는 식물과 같이 충분한 수분을 흡수하지 못하여 몇일간 물을 인위적으로 공급해주지 않는 경우에 식물은 고사하기 쉽다. In general, plants grow by absorbing moisture in the soil through capillary action in the roots of the roots of the ground, but in the case of plants grown in the indoor garden of the apartment or house veranda several times a day due to the limited soil Water must be watered, especially if you leave your home for a few days, such as during a summer vacation, when the plants in the garden and pots do not absorb enough moisture, such as plants that grow on ordinary soil, and do not artificially supply water for several days. easy.
이에 따라 종래에도 자동 물 급수장치가 개시되어 있는데, 이 경우 대부분은 수조와 같은 물 공급원으로부터 펌프에 의하여 압송 후 분무기 또는 노즐을 통하여 분사하는 방식이 대부분이다. 이러한 경우 물 공급이 주요 생장인자인 식물 재배의 경우에는 효과적일 수 있으나, 난과식물과 같이 습윤한 공기 형성이 더욱 중요하고 뿌리에 직접적으로 과다한 물 공급시에는 고사 위험성이 높은 식물 재배시에는 그 효용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Accordingly, a conventional automatic water supply device is disclosed. In this case, most of the methods are sprayed through a sprayer or a nozzle after being pumped by a pump from a water source such as a water tank. This may be effective for plant cultivation, where water supply is the main growth factor, but when moist air formation is more important, such as eggs, and when cultivating plants with high risk of mortality when water is supplied directly to the roots. There is a disadvantage of poor utility.
일반적으로, 재배식물에 적당한 습도를 제공하기 위한 수분으로는 큰 입자보다는 작은 입자일수록 습도가 균등 분포하여 재배식물에 미치는 영향이 양호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실내에서 식물을 키우는 경우 우천시나 겨울철에는 난방효율한계와 식물의 동사 문제로 인하여 문을 열어 환기하기가 매우 어려우므로 식물에는 최악의 환경이 된다. 따라서 물 공급 외에 적절한 습도를 포함하는 공기를 공급하여 주는 것은 베란다 내 식물 재배시 꼭 필요한 과정이다. 특히 난과식물의 경우에는 뿌리 자체에 수분을 저장할 수 있는 스폰지층(벨라민층)이 있어 물의 과다 공급시 통기량 부적으로 부패 위험이 생기게 되므로 그 필요성은 더욱 절실하다.In general, as moisture for providing adequate humidity to the cultivated plants, it is known that the smaller the particles than the larger particles, the better the humidity is distributed and the effect on the cultivated plants is good. In the case of growing plants indoors, it is the worst environment for plants because it is very difficult to open and ventilate the door due to the heating efficiency limit and the verb problem of the plant during rainy season or winter. Therefore, supplying air with adequate humidity in addition to water supply is an essential process for growing plants on the veranda.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egg plants, there is a sponge layer (belamine layer) that can store moisture in the root itself, so that the risk of spoilage due to aeration volume abundance when water is excessively supplied, the need is more urgent.
그리고, 종래의 화분에 공급되는 자동 물공급장치의 경우 모세관 현상을 이용하여 식물 뿌리에 충분한 물을 공급하기 위하여 수조에서 공급된 물을 물 공급호스를 통하여 분사하는 과정에서 별도의 물 공급장치를 화분 내부로 장입시켜 공급하는 경우가 대부분으로, 이 경우에는 화분 내부로 장입하여 연결시키기 위한 별도 연결장치가 필요하고 그 설치 어려움이 있으며 미관상 좋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In addition, in the case of the automatic water supply device supplied to the conventional flowerpot, a separate water supply device is used in the process of spraying the water supplied from the tank through the water supply hose in order to supply sufficient water to the plant root using a capillary phenomenon. In most cases, the charging and supplying to the inside, in this case requires a separate connection device for charging and connecting to the inside of the pot, there is a difficult installation and aesthetic problems.
또한 종래의 분무 형식의 자동 급수장치는 대부분 공기청정 기능과 더하여져 공기청정기 내부로 설치되거나 관상어수조와 함께 설치되어 이용되는 경우가 많아 재배식물 관상만을 목적으로 하는 경우 그 적용에 문제가 있었다. 그리고 최근 유행하고 있는 실내정원의 경우 대부분 용토를 이용하여 재배공간에 직접 식물을 심어 관리하는 형태로 이 경우에는 관상이 주 목적인 난과식물 또는 분재식물과 같은 종류인 경우 서재나 거실로 옮겨 감상할 수 없는 시스템이었다. In addition, the conventional spray type automatic water supply device is mostly installed inside the air purifier in addition to the air cleaning function or used together with the tubular fish tank, there is a problem in the application if the purpose is only for cultivated plants. In recent years, indoor gardens, which are in vogue, are mostly planted and managed in the cultivation space by using soil. In this case, they are transferred to the study or living room in the case of ornamental or bonsai plants whose main purpose is ornamental. It could not be a system.
따라서 최근 웰빙 바람과 함께 수요가 늘어나고 있는 아파트 내 실내정원을 구성함에 있어서 베란다에 설치되는 식물화분을 재치하는 화분진열대와 일체로 제공되는 자동 물 및 공기 공급 시스템 또는 그 장치의 필요성은 커지고 있다. 특히 다양한 식물의 생장 최적조건에 따라 물 공급과 습윤공기 공급이 적절하게 분배되어 환경 변화에 따라 자동으로 선택되어 공급되는 시스템의 필요성은 더욱 절실하다. Therefore, in constructing indoor gardens in apartments with increasing demand for well-being, the need for an automatic water and air supply system or a device provided integrally with a potted display stand for mounting plant pots installed on a veranda is increasing. In particular, there is an urgent need for a system in which the water supply and the wet air supply are properly distributed according to the optimum growth conditions of various plants, and are automatically selected and supplied according to environmental changes.
본 고안은 이와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아파트 베란다와 같은 각종 건물의 실내 공간에 설치된 실내정원에 식재된 식물에 자동으로 급수가 가능하도록 그 장치를 구성하기 위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such a problem, it is to configure the device to automatically supply water to the plants planted in the indoor garden installed in the interior space of various buildings, such as apartment veranda.
이를 위하여 본 고안은 수도꼭지와 연결되어 물을 공급받고 항상 적정 수위를 갖도록 내부에 플로우터가 구비된 급수통과, 상기 급수통 내부로 설치되어 상기 급수통 내부의 물을 압송하기 위한 수중펌프와, 상기 수중펌프 단부 일측면과 연결되어 신장되며 상기 화분진열대 상면부에 재치된 다수개 화분으로의 물 공급이 용이한 구조로 설치되는 급수호스와, 압송되는 급수량을 선택적으로 조절하기 위하여 상기 급수호스에 설치되는 솔레노이드밸브와, 상기 수중펌프 작동과 상기 솔레노이드밸브 개폐를 제어하기 위한 타이머와, 상기 급수호스 단부 상면으로 적정 간격으로 배치되어 상방향으로 다수개 설치되는 플렉서블호스와 분무용노즐로 이루어진 분사노즐장치를 구성한다. To this end, the present invention is connected to the faucet is supplied with water and the water supply is provided with a floater therein to always have a proper level, the submersible pump is installed inside the water supply tank for pumping water in the water supply tank, and It is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submersible pump end and is installed in the water supply hose to selectively control the water supply hose and the water supply hose installed in a structure that is easy to supply water to a plurality of pots moun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pot display stand A solenoid valve, a timer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submersible pump and opening / closing the solenoid valve, and an injection nozzle device including a flexible hose and a spray nozzle which are disposed at a suitable interval on an upper surface of an end portion of the water supply hose and installed in a plurality of upward directions. Configure.
또한, 급수통 내로 공급된 공기가 수증기 발생에 의하여 습도가 많은 습윤공기로 되어 실내정원 내 재배식물에 공급되도록 에어호스가 구비되어 물 공급만이 아닌 습윤공기 공급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In addition, the air supplied into the water supply tank is a humid air by the generation of water vapor is provided with an air hose to be supplied to the cultivated plants in the indoor garden to enable the supply of wet air, not just water supply.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상기 급수통 내부로 압축공기를 공급하는 공기공급기와, 상기 공기공급기와 상기 급수통을 연결하는 공기공급용 에어호스와, 상기 공기공급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공기공급기로부터 생성되는 압축공기 공급량을 조절하기 위한 타이머와, 상기 공기공급용 에어호스에 설치되어 상기 타이머에 의하여 자동으로 상기 공기공급용 에어호스를 개폐하는 전자밸브와, 상기 급수통 내 생성된 습윤공기를 식물에 공급하기 위하여 일단은 상기 급수통 상면부 일측과 연결하고 타단은 상기 급수호스로 연결되도록 한 습윤공기 공급용 에어호스를 더 구비하여 시스템을 구성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an air supply for supplying compressed air into the water supply tank, an air supply air hose for connecting the air supply and the water supply tank, and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air supply A timer for adjusting the compressed air supply amount generated from the air supply unit, a solenoid valve installed in the air supply air hose and automatically opening and closing the air supply air hose by the timer, and generated in the water supply tank. In order to supply wet air to the plant, one end is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water container and the other end is further provided with a wet air supply air hose configured to be connected to the water supply hose.
아울러, 본 고안은 아파트 신축시 화분진열대 저면인 베란다 바닥 내부로 자동 물 및 공기공급 시스템 장치를 빌트인 제공하도록 하여 입주자가 보다 쉽게 베란다에 분재나 동양란 등을 재배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공하고 베란다의 공간 활용도를 높이는데 그 목적이 있으며, 이에 따른 아파트 가치와 이미지를 개선하는 효과를 꾀하도록 하고자 한 것이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built-in automatic water and air supply system to the interior of the veranda floor, which is the bottom of the potted display stand when the apartment is newly constructed, to provide a system that enables the tenant to grow bonsai or oriental eggs on the veranda more easily. The purpose is to increase the utilization rate, and to improve the apartment value and image accordingly.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고안에 따른 자동 물 및 습윤공기 공급장치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on the basis of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spect to the automatic water and wet air supply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1은 본 고안에 따른 자동 물 및 습윤공기 공급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이고, 도2는 본 고안에 따른 시스템이 적용되어 설치된 실내정원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3은 본 고안에 따른 급수호스와 분사노즐장치 구성을 도시한 측면도이다.1 is a schematic configuration diagram of an automatic water and wet air supply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indoor garden installed by applying th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water supply hos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a sid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 injection nozzle apparatus.
도시된 바와 같이, 급수통(10)은 수도꼭지(11)와 수도배관(12)으로 연결시키며, 소정 수위를 갖는 급수통(10) 내부로는 플로우터(13)가 구비되어 있어 변기와 같이 플로우팅 방식으로 제작되어 물이 일정 수위 이하로 내려가면 수도물이 공급되고 물이 차면 플로우터(13)가 작동하여 수도물의 공급을 중단시킨다. 따라서 상기 급수통(10) 내로 항상 일정한 수위를 유지시킬 수 있게 된다. As shown, the water supply tank 10 is connected to the faucet 11 and the water pipe 12, the inside of the water supply tank 10 having a predetermined water level is provided with a floater 13 flows like a toilet bowl It is produced by the casting method, when the water is lowered below a certain level, the tap water is supplied, and when the water is filled, the plotter 13 operates to stop the supply of tap water. Therefore, it is possible to maintain a constant level at all times into the water container (10).
이하 자동으로 물 공급이 가능한 본 고안 시스템의 구성과 그 작용을 설명한다. 상기 급수통(10) 내부로는 수중펌프(14)를 설치하여 급수통(10) 내 물을 펌핑하게 하고 상기 수중펌프(14) 일측면으로 연결된 급수호스(20)를 통하여 압송시켜준다. 이렇게 압송된 물은 상기 급수호스(20) 단부 상면으로 대략 50~60㎝ 간격으로 하여 수직 방향으로 다수 설치된 분사노즐장치(30)를 통하여 식물에 물을 공급하게 된다. 상기 수중펌프(14)로부터 연결된 상기 급수호스(20) 전단부에는 솔레노이드밸브(21)를 장착하여 타이머(42)에 의한 개폐 기능을 수행한다. 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ystem capable of automatically supplying water and its operation will be described. The water tank 10 is installed in the water pump 14 to pump the water in the water tank 10 and to be pumped through the water supply hose 20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water pump 14. The water thus pumped supplies water to the plant through a plurality of spray nozzle devices 30 install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t intervals of approximately 50 to 60 cm to the upper surface of the water supply hose 20. The solenoid valve 21 is attached to the front end of the water supply hose 20 connected from the submersible pump 14 to perform the opening and closing function by the timer 42.
그리고 상기 분사노즐장치(30)는 플렉서블 호스(31)와 분무노즐(32)로 구성되며, 상기 급수호스(20) 상단면에 볼트부와 너트부등과 같은 체결구(33)를 이용하여 설치하는 플렉서블 호스(31)는 유연한 재질로 구성하며 구브러짐과 방향 및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플렉서블호스(31) 끝단에는 소형 분무기 모양의 분무노즐(32)을 장착한다. 이렇게 하여 필요한 만큼의 분사노즐장치(30)를 급수호스(20) 단부 상면에 설치하도록 한다. And the injection nozzle device 30 is composed of a flexible hose 31 and the spray nozzle 32, which is installed on the top surface of the water supply hose 20 using a fastener 33, such as bolts and nuts. The flexible hose 31 is made of a flexible material and allows adjustment of the bend, direction, and height. At the end of the flexible hose 31 is mounted a spray nozzle 32 of a small sprayer shape. In this way, as many injection nozzle devices 30 as necessary are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water supply hose 20 end.
펌핑·압송 후 분사되는 작동 과정을 간단히 설명하면, 먼저 상기 수중펌프(14)가 작동하여 상기 급수통(10) 내 물을 상기 급수호스(20)를 통하여 압송하고, 상기 급수호스(20)에 연결된 상기 분사노즐장치(30)의 분무노즐(32)을 통하여 원하는 만큼의 물을 자동으로 공급하게 된다.Briefly explaining the operation process is injected after the pumping, pumping, the submersible pump 14 is first operated to pump the water in the water supply tank 10 through the water supply hose 20, to the water supply hose 20 Through the spray nozzle 32 of the injection nozzle device 30 is connected to automatically supply as much water as desired.
상술한 물 공급에 대한 제어는 상기 수중펌프(14)와 상기 솔레노이드밸브(21)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타이머(42)에 의한다. 이를 설명하면, 먼저 타이머(42)에 작동시간과 횟수 및 1회 작동시 ON되는 간격을 설정하여 놓으면 시간이 된 경우 타이머(42)가 작동하여 스위치(142)가 ON으로 되어 솔레노이드밸브(21)를 열어줌과 동시에 급수통(10)의 물이 수중펌프(14)에 의하여 압송되어 급수호스(20)로 흐르며 정하여진 작동시간이 지나면 솔레노이드밸브(21)는 닫히고 물 공급은 중단되게 되는 것이다. Control of the above water supply is by a timer 42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ubmersible pump 14 and the solenoid valve 21. To explain this, first set the operating time and the number of times and the interval to be turned on once in the timer 42, the timer 42 is activated when the time is turned on, the switch 142 is turned ON to the solenoid valve 21 At the same time, the water in the water supply tank 10 is pumped by the submersible pump 14 and flows into the water supply hose 20. After the predetermined operation time, the solenoid valve 21 is closed and the water supply is stopped.
이하 습윤공기를 공급하는 시스템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재배식물에 습윤공기를 공급하기 위하여 상기 급수통(10) 내부로 압축공기를 공급하는 공기공급기(50)와, 상기 공기공급기(50)와 상기 급수통(10)를 연결하는 공기공급용 에어호스(51)와, 상기 급수통(10) 내 생성된 습윤공기를 식물에 공급하기 위하여 급수통(10) 상면부 일측으로 설치된 습윤공기 공급용 에어호스(52)를 더 구성한다. Hereinafter, a system for supplying wet air will be described. An air supply unit 50 for supplying compressed air into the water supply tank 10 to supply wet air to a cultivated plant, and an air hose for supplying air connecting the air supply unit 50 and the water supply tank 10 to each other; 51 and a wet air supply air hose 52 installed at one side of the upper surface portion of the water supply tank 10 to supply the wet air generated in the water supply tank 10 to the plant.
상기 공기공급기(50)는 컴프레서일 수도 있고 흡입팬을 설치할 수도 있다. 상기 공기공급기(50) 일단으로 연결된 공기공급용 에어호스(51)는 그 타단이 상기 급수통(10) 내부에 수용된 물로 잠겨 압축공기를 급수통(10) 내부로 공급하게 한다. 이렇게 급수통(10) 내부로 공급된 압축공기는 물 내부에 다량의 기포를 발생시키며 기포 발생과 다습한 가습통(10) 내부 환경으로 수증기를 다량 함유한 습윤공기가 상기 가습통(10) 내부로 생성되고, 생성된 습윤공기는 상기 가습통(10) 내부 상단부 일측면에 연결된 습윤공기 공급용 에어호스(52)를 통하여 배출되므로 직접적인 공기 주입이 아닌 급수통(10)의 물을 거치게 함으로서 습도를 다량 함유한 습윤공기 배출이 가능하게 된다. 이 경우에도 공기공급량과 그 시간을 공기공급용 타이머(41)에 의하여 미리 설정하여 상기 공기공급기(50) 작동을 위한 스위치(141)를 ON시켜 자동으로 압축공기 공급이 가능하도록 하며 이를 위하여 상기 공기공급용 에어호스에는 상기 타이머(41)에 의하여 제어되는 전자밸브(22)를 설치한다. The air supplier 50 may be a compressor or a suction fan may be installed. The air supply air hose 51 connected to one end of the air supplier 50 is locked to the other end of the water supply tank 10 to supply compressed air into the water supply tank 10. The compressed air supplied into the water supply tank 10 generates a large amount of bubbles in the water, and the wet air containing a large amount of water vapor as a bubble generation and a humid humidification tank 10 environment inside the humidification tank 10. The generated wet air is discharged through the wet air supply air hose 52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upper end portion of the humidification tank 10, so that the wet air passes through the water in the water supply tank 10 instead of directly injecting air. It is possible to discharge the wet air containing a large amount of. Even in this case, the air supply amount and time are set in advance by the air supply timer 41 to turn on the switch 141 for operating the air supply 50 so that the compressed air can be supplied automatically. The solenoid valve 22 controlled by the timer 41 is provided in the supply air hose.
아울러 본 고안 시스템에 의할 경우, 상기 급수통(10) 내부로 물 공급을 막기 위하여 수도배관(12) 연결을 차폐하고 액체 식물 영양제를 주입한 후 이를 분무토록 하여 적절한 시기에 인위적 작동이지만 상기 화분 내 재배식물로의 영양분 공급을 용이하게 할 수도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ystem, in order to prevent the water supply into the water container (10) to shield the water pipe (12) connection and inject the liquid plant nutrients and then spray it to artificially operate at the appropriate time, but the pollen It may also facilitate the supply of nutrients to my plant.
도2를 참조하여 상술한 물 및 습윤공기 공급 시스템이 소정 크기와 면적을 갖는 화분진열대(60)에 적용되어 시공시 일체로 빌트인 공급이 가능하도록 한 장치를 설명한다. 이 경우 베란다에 설치되는 화분진열대(60)는 다수개 화분(61)을 소정 간격으로 위치시킬 수 있도록 평면형인 판 형상으로 소정 두께를 가지도록 설치되며 베란다 면적에 따라 2단 또는 3단으로의 적용이 가능하다. With reference to Figure 2 will be described the device that the above-described water and wet air supply system is applied to the potted display rack 60 having a predetermined size and area to be built-in supply integrally during construction. In this case, the potted display stand 60 installed on the veranda is installed to have a predetermined thickness in a flat plate shape so that the plurality of pots 61 can be position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and applied to two or three stages depending on the veranda area. This is possible.
일반적으로 최근 아파트 신축시 거실 앞 베란다는 방쪽 베란다보다 높게 설계가 되는 경우가 많으므로, 이 경우에는 상술한 자동 물 및 습윤공기 공급시스템(90)을 거실 베란다 바닥 밑으로 빌트인 설치하고 타이머(41,42)와 스위치(141,142)는 벽쪽으로 설치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고려하여 제작함이 바람직하다. 베란다 구조가 그렇지 않은 주택이나 아파트의 경우에는 상술한 공급 시스템(90)을 박스 형태로 제작하여 베란다의 모서리 적정 부분에 위치되도록 구성한다. 다만 이 경우에도 타이머(41,42)와 스위치(141,142)는 사용 편의성을 위하여 벽쪽으로 설치함이 바람직하다. In general, in recent apartment construction, the front porch of the living room is often designed to be higher than the room veranda. In this case, the above-described automatic water and wet air supply system 90 is installed under the floor of the living room porch, and the timer (41, 42) and the switches (141, 142) is preferably installed to the wall side in consideration of the user's convenience. In the case of houses or apartments that do not have a veranda structure, the above-described supply system 90 is manufactured in a box shape so as to be positioned at a corner proper portion of the veranda. However, even in this case, the timers 41 and 42 and the switches 141 and 142 are preferably installed toward the wall for ease of use.
상기 시스템의 빌트인 공급시 베란다 바닥(69)에는 빌트인 연결구(62)가 설치되어 상기 시스템에 의하여 공급되는 물 및 습윤공기의 분사를 가능하게 하는 급수호스(20)가 수직 방향으로 연결되도록 한다. 상기 연결구(62)의 끝단 상면부 외경과 급수호스(20)의 일측 끝단부 외경이 나사결합과 같은 소정 체결구로 체결되도록 구성한다. 아울러, 이 경우 상기 연결구(62)로는 물이 공급되는 것을 막기 위하여 돌려서 개폐 가능한 마개(63)를 체결할 수 있도록 한다. 이렇게 하여 화분 식물을 기르는 경우에는 상기 급수호스(20)를 연결하여 사용하도록 하고 식물을 기르지 않는 경우에는 마개(63)를 돌려서 막아 놓게 한다. In the built-in supply of the system, the veranda bottom 69 is provided with a built-in connector 62 so that the water supply hose 20 which enables the injection of water and wet air supplied by the system is connected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outer diameter of the upper end of the connector 62 and the outer diameter of one end of the water supply hose 20 are configured to be fastened by a predetermined fastener such as screwing. In this case, in order to prevent the water from being supplied to the connector 62, the stopper 63 which can be opened and closed can be fastened. In this way, when growing a potted plant to connect and use the water supply hose 20, and when not growing the plant to turn the stopper 63 to block.
그리고 수직 연결된 상기 급수호스(20)는 그 일단은 상기 연결구(62)와 체결되도록 하고, 타단은 급수가 필요한 화분진열대(60)에 재치된 다수개 화분(61)의 후방 가로방향으로 상기 화분진열대(60) 상면 모서리 부근으로 길이 신장시켜 수평연결한다. 또한 상기 화분진열대(60)가 다단으로 형성된 경우에는 상기 연결구(62)에 장착되어 수직 방향으로 연결된 급수호스(20)로부터 좌우 및 전후 방향으로 분지시켜 화분진열대(60) 형상에 맞게 상기 급수호스(20) 방향을 조절하여 연결한다. 한편 상기 바닥 연결구(62)에 장착된 급수호스(20)의 타단 끝단부로는 필요에 따라 같은 크기와 높이로 설계된 화분진열대(60)를 블록 연결식으로 하여 연결이 가능하도록 체결부재를 이용하여 끼워서 화분 재치공간이 더 필요할 경우 쉽게 재배 가능한 공간을 늘릴 수 있도록 한다.The vertically connected water supply hose 20 is one end is fastened to the connector 62, the other end of the potted plant display stand in the rear transverse direction of the plurality of pots 61 mounted on the potted display rack 60 that requires water supply. (60) Extend the length near the upper edge and connect horizontally. In addition, when the potted display rack 60 is formed in multiple stages, the water supply hose (30) is mounted to the connector 62 and branched from the water supply hose 20 connected in the vertical direction to the left and right and front and rear directions to match the shape of the potted display rack 60. 20) Adjust the direction and connect. On the other hand, the other end of the water supply hose 20 mounted on the bottom connector 62 is inserted into the pot using a fastening member to enable the connection to the potted display stand 60 designed to be the same size and height as a block connection type if necessary If you need more space, you can increase the amount of space you can easily grow.
한편 상기 화분진열대(60)에 재치된 화분으로의 물 공급에 따른 화분진열대(60) 상면부에서의 물 적체시 이의 배수를 위하여 상기 화분받침대(60) 상면 모서리로 소정 높이의 차단벽(64)을 설치하고, 상기 차단벽(64) 안쪽으로는 배수를 위한 안내홈(65)을 배수구(66)까지 형성되게 하여 일정 수위에 다다르면 자동으로 상기 안내홈(65)을 경유하여 배수구(66)로 배출되도록 한다. Meanwhile, a barrier wall 64 having a predetermined height toward the top edge of the pot stand 60 for drainage of water from the top of the pot stand 60 according to the supply of water to the pot placed on the pot stand 60. And the guide groove 65 for drainage is formed to the drainage port 66 inside the blocking wall 64 and automatically reaches the drain hole 66 via the guide groove 65 when the water level reaches a predetermined level. To be discharged.
도4는 다른 일실시예로 스탠드형 자동 물 및 습윤공기 공급장치를 도시하고 있다. 이의 경우는 상술한 바와 동일하게 시스템 적용이 가능하므로 그 자세한 작동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베란다 바닥으로는 두 개의 바형상인 지지대(71)를 구비하고 상기 지지대(71)와 연결하여 바닥으로 지지 가능하게 하면서 세로로 뻗는 다수개의 세로 지지봉(72)과 상기 세로 지지봉(72)을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가로봉(73)으로 구성된 스탠드형 프레임(70)을 적용하고 있다. 상기 프레임(70)을 화분진열대 상부 공간으로 설치하고, 상기 가로봉(73) 상면 단부로 분사노즐장치(30)를 구비한 상기 급수호스(20)를 설치한다. 한편 이러한 프레임(70) 구조에서는 상기 급수호스(20)를 상기 가로봉(73) 저면으로 연결하고 상기 플렉서블 호스(31)를 구성하지 않고 분무용 에어노즐(32)만을 구비하여 습윤공기 공급이 가능하게 할 수도 있다.Figure 4 shows a stand-type automatic water and wet air supply device in another embodiment. In this case, the system can be applied in the same manner as described above, so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The bottom of the veranda has two bar-shaped supports 71 and connects the plurality of vertical support rods 72 and the vertical support rods 72 to be connected to the support 71 so as to be supported by the floor. The stand type frame 70 comprised from the above-mentioned horizontal bar 73 is applied. The frame 70 is installed as an upper space of the flowerpot display stand, and the water supply hose 20 having the injection nozzle device 30 is installed at an upper end of the horizontal bar 73. On the other hand, in such a frame 70 structure, the water supply hose 20 is connect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horizontal rod 73 and only the spraying air nozzle 32 is provided without forming the flexible hose 31 to enable wet air supply. It may be.
다만 이 경우에는 화분진열대(60)와 일체형이 아닌 구성으로, 급수호스(20) 연결을 스탠드형 옷걸이 모양으로 하여 구성함으로써 기존의 베란다 실내정원으로의 본 고안에 따른 시스템 적용이 용이하도록 하였다. 이 경우 다단의 화분진열대(60)로 구성된 베란다에 설치된 실내정원의 경우에는 상기 지지대(71)로 연결되는 세로봉(72)을 좌우측 각각 2개 이상으로 구성하여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실시예에 따르면 세로봉(72) 높이를 조절하면 베란다 바닥에 진열된 화분들로의 적용도 가능하게 된다. In this case, however, the potted display rack 60 is not integrated with the constitution, so that the water hose 20 is configured in the form of a stand hanger to facilitate the application of the system to the existing veranda indoor garden. In this case, in the case of the indoor garden installed on the veranda consisting of a multi-stage potted display rack 60, the vertical rods 72 connected to the support 71 can be configured with two or more left and right sides, respectively, so that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by adjusting the height of the vertical rods 72 it is possible to apply to the pots displayed on the floor of the veranda.
또한 지지력과 안정감을 높이기 위하여 상기 봉(72,73) 형상 내부를 중공 형태로 하여 상기 봉(72,73) 내부로 상기 급수호스(20)를 장입하여 사용할 수도 있으며, 상기 급수호스(20) 재질에 따라 메탈 재질의 경우와 같이 별도의 고정용 프레임 없이 제작이 가능한 경우는 카프링을 연결구로 하여 급수호스(20) 자체만으로 상기 프레임(70) 제작이 가능하다. In addition, in order to increase the holding force and a sense of stability, the rod (72, 73) inside the shape of the hollow may be used by charging the water supply hose 20 into the rod (72, 73), the material of the water supply hose (20) According to the case of the metal material can be produced without a separate fixing frame, the coupling can be produced in the frame 70 by only the water supply hose 20 itself with the coupling port.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상기 실시예에 국한되지 않고 청구범위가 허용하는 기술적 사상 범주에서 다양한 변형된 실시예를 포함함은 자명하다. 예를 들면 상기 화분진열대 형상과 베란다 바닥의 구조에 따라 본 고안에 따른 물 및 습윤공기 공급 시스템을 적용하여 다양한 모습으로의 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It is obvious tha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s, but includes various modified embodiments in the technical scope of the claims. For example,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potted display stand and the structure of the veranda bottom, the water and wet air supply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pplied to various shapes.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이 아파트 베란다와 같은 각종 건물의 실내 공간에 설치하여 식재된 식물에 자동으로 급수가 가능하도록 그 장치를 구성하고 또한 습도가 많은 습윤공기를 실내정원 내 재배식물에 공급되도록 공기공급기와 에어호스를 더 구비하여 물 공급만이 아닌 습윤공기 공급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the interior spaces of various buildings, such as apartment porch as described above to configure the device to automatically supply the planted plants, and also to supply humid humid air to the cultivated plants in the indoor garden A supplyer and an air hose may be further provided to enable wet air supply as well as water supply.
아울러, 기존 실내정원에서와 같이 용토에 심어진 관상용 재배식물의 경우 관상을 위하여 거실이나 서재등 실내 타공간으로 이동시키고자 할 때 불가능한 경우를 위하여 난과식물과 같은 관상용 식물 재배시 그 효용도를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ornamental cultivated plants planted in the soil as in the existing indoor garden can increase the utility of cultivating ornamental plants such as eggs for the occasions when it is impossible to move them to other spaces such as the living room or study room for ornamental purposes. It has an effect.
또한, 본 고안은 아파트 신축시 화분진열대와 상기 급수호스를 일체화하여 빌트인 제작하여 입주자에게 제공하도록 함으로써 보다 쉽게 베란다에 분재나 동양란 등을 재배할 수 있도록 하여 아파트 이미지와 가치를 높여주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increasing the image and value of the apartment by making it easier to cultivate bonsai or oriental eggs on the veranda by providing a built-in by providing a built-in by integrating the potted display stand and the water hose during the construction of the apartment.
도1은 본 고안에 따른 자동 물 및 습윤공기 공급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 1 is a schematic configuration diagram of an automatic water and wet air supply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2는 본 고안에 따른 시스템이 적용되어 설치된 실내정원을 도시한 사시도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indoor garden installed by applying th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3은 본 고안에 따른 급수호스와 분사노즐장치 구성을 도시한 측면도Figure 3 is a sid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water supply hose and the injection nozzl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4는 다른 일실시예인 스탠드형 자동 물 및 습윤공기 공급장치의 사시도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of another stand-type automatic water and wet air supply device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drawings **
10: 급수통 14: 수중펌프10: water reservoir 14: submersible pump
20: 급수호스 21, 22: 전자밸브20: water supply hose 21, 22: solenoid valve
31: 플렉서블호스 32: 분무노즐31: flexible hose 32: spray nozzle
41, 42: 타이머 50: 공기공급기41, 42: timer 50: air supply
51: 공기공급용 에어호스 52: 습윤공기 공급용 에어호스51: air hose for air supply 52: air hose for wet air supply
60: 화분진열대 70: 스탠드형 프레임60: flower pot display 70: stand frame
Claims (4)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5-0020886U KR200398807Y1 (en) | 2005-07-18 | 2005-07-18 | Automatic water and humid air supplying apparatus installed in the interior gardon of apartment veranda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5-0020886U KR200398807Y1 (en) | 2005-07-18 | 2005-07-18 | Automatic water and humid air supplying apparatus installed in the interior gardon of apartment veranda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398807Y1 true KR200398807Y1 (en) | 2005-10-18 |
Family
ID=436998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5-0020886U KR200398807Y1 (en) | 2005-07-18 | 2005-07-18 | Automatic water and humid air supplying apparatus installed in the interior gardon of apartment veranda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398807Y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90086658A (en) * | 2008-02-11 | 2009-08-14 | 나노제트(주) | Humidifier |
-
2005
- 2005-07-18 KR KR20-2005-0020886U patent/KR200398807Y1/en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90086658A (en) * | 2008-02-11 | 2009-08-14 | 나노제트(주) | Humidifier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139614B1 (en) | Plant planting apparatus of wall | |
US6634138B2 (en) | Self-sustaining indoor waterfall planter | |
US20110258925A1 (en) | Vertical planter | |
CN206413474U (en) | A kind of plant mural painting suitable for home decoration | |
EP3533319A1 (en) | Verticle grow box module and module and system of vertical grow boxes that incorporates it | |
KR20150087510A (en) | Box-typed container for slantly mounting flowerpot and apparatus for wall gardening removably equipped with the box-typed containers in a modularized way | |
KR101466179B1 (en) | Hydroponics apparatus with aquarium | |
CN104542071A (en) | Flowerpot | |
CN204426130U (en) | Flowerpot | |
KR200485979Y1 (en) | Standing Fog-culturing Apparatus | |
KR200479346Y1 (en) | Prefabricated plant pot assembly for interior greening | |
CN110366988A (en) | A kind of balcony roof organic imitation field production equipment | |
JP2001095402A (en) | Automatic irrigating apparatus for plant culture | |
KR200398807Y1 (en) | Automatic water and humid air supplying apparatus installed in the interior gardon of apartment veranda | |
CN206273079U (en) | Self-water-supplying plants planter | |
KR101216583B1 (en) | The frame pot where Sprinkler is had | |
KR200416056Y1 (en) | orchid incubator | |
CN105660223A (en) | Plant wall | |
CN208191483U (en) | A kind of greening decorative panel structure | |
CN205830487U (en) | A kind of energy saving and environment friendly flowerpot | |
CN205305622U (en) | Plant wall's irrigation system | |
JP2005110515A (en) | Shelf type rooftop greening equipment | |
JP3227028U (en) | Ornamental plant showcase | |
KR101641680B1 (en) | Plant Cultivation System | |
CN211020163U (en) | Organic field-imitating cultivation equipment on roof of balcony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60829 Year of fee payment: 3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