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94701Y1 - 음극리드와 양극리드가 파우치의 반대면에 돌출된리튬이차전지 - Google Patents

음극리드와 양극리드가 파우치의 반대면에 돌출된리튬이차전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94701Y1
KR200394701Y1 KR20-2005-0016825U KR20050016825U KR200394701Y1 KR 200394701 Y1 KR200394701 Y1 KR 200394701Y1 KR 20050016825 U KR20050016825 U KR 20050016825U KR 200394701 Y1 KR200394701 Y1 KR 20039470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ad
electrode
positive electrode
negative electrode
lithium seconda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1682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환진
박성우
정병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너랜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너랜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너랜드
Priority to KR20-2005-001682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9470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9470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94701Y1/ko
Priority to PCT/KR2006/002246 priority patent/WO2006135183A1/en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31Electrode connections inside a battery casing
    • H01M50/538Connection of several leads or tabs of wound or folded electrode stack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8Construction or manufacture
    • H01M10/0583Construction or manufacture of accumulators with folded construction elements except wound ones, i.e. folded positive or negative electrodes or separators, e.g. with "Z"-shaped electrodes or separ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72Arrangements of electric connectors penetrating the casing
    • H01M50/174Arrangements of electric connectors penetrating the casing adapted for the shape of the cells
    • H01M50/178Arrangements of electric connectors penetrating the casing adapted for the shape of the cells for pouch or flexible bag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H01M50/547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 disposition of the terminals on the cells
    • H01M50/548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 disposition of the terminals on the cells on opposite sides of the cel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H01M50/552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553Terminals adapted for prismatic, pouch or rectangular cells
    • H01M50/557Plate-shaped termina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Secondary Cells (AREA)
  • Connection Of Batteries Or Termina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음극리드와 양극리드가 파우치의 반대면에 돌출된 리튬이차전지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리튬이차전지는 a) 복수의 음극판, 복수의 양극판, 및 격리막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음극판과 복수의 양극판은, 상기 격리막에 의해 분리된 채, 서로 교호하게 배치된 전극조립체 --- 여기서, 하나의 음극판은 하나의 음극탭을 갖고, 하나의 양극판은 하나의 양극탭을 갖고 있음 ---, b) 상기 전극조립체로부터 생성된 전류를 외부로 유도하기 위한 음극리드와 양극리드, 및 c) 상기 전극조립체를 수납하는 캐비티를 구비한 파우치로 구성되되, 상기 음극탭들과 양극탭들은 상기 전극조립체의 반대면에서 서로 독립적으로 중첩되고, 상기 음극리드는 상기 중첩된 음극탭과 평행하게 연결되고, 상기 양극리드는 상기 중첩된 양극탭과 평행하게 연결되고, 상기 음극리드와 양극리드가 상기 파우치의 반대면으로 돌출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리튬이차전지는 전극탭 처리의 간편성과, 충방전시 전극조립체에서 발생하는 열을 효율적 분배와, 전극판 상에서의 전극탭의 크기 및 위치 조절의 간편함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음극리드와 양극리드가 파우치의 반대면에 돌출된 리튬이차전지{LITHIUM SECONDARY BATTERY HAVING ANODE LEAD AND CATHODE LEAD OPPOSITIVELY PROJECTED FROM POUCH}
본 고안은 리튬이차전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음극리드와 양극리드가 파우치의 반대면에 돌출된 리튬이차전지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또한 상기 리튬이차전지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지는 전기화학적 반응에 의해 화학적 에너지를 전기적 에너지로 변환시키는 장치로서, 이들은 크게 일차 전지와 이차 전지로 구분된다. 충방전이 가능한 이차전지 중 높은 전압과 높은 에너지 밀도를 갖고 있는 리튬이차전지가 현재 가장 주목받고 있다. 현재, 리튬이차전지는 휴대전화, 노트북 등의 정보통신가전용 소형 전지에 다양하게 응용되고 있다.
종래의 리튬이차전지의 제조방법의 한 예가 도 5에 도시되어 있다. 상기 방법에 따른 리튬이차전지는 그리드 형태의 음극 집전체(111), 매트릭스 필름 형태의 음극(112), 매트릭스 필름 형태의 격리막(113), 매트릭스 필름 형태의 양극(114), 그리드 형태의 양극 집전체(115)를 순차 적층한 후 라미네이터를 통과시켜 상기 요소들을 일체화시킨 후, 다시 지그-재그 형태로 접어 원하는 형태의 구조를 갖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방법의 예로는 미국특허 제5,460,904호를 참조하기 바란다. 상기한 방법에 의해 제조된 리튬이차전지는 전극이 연속적으로 연결되어 있고, 따라서 "연속형 리튬이차전지"라 칭할 수 있다. 상기한 형태의 리튬이차전지는 전극이 서로 연결되어 있어 탭처리가 불필요하다는 장점을 갖고 있으나, 접는 공정을 수행할 때, 접히는 부분에서 전극물질의 탈리가 발생하고, 이것은 전극의 손상이 필연적으로 동반한다는 문제점을 갖는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복수의 음극판 및 복수의 양극판을 사용한 예가 한국특허 제309604호 및 제336396호, 한국공개특허공보 제2002-93781호에 개시되어 있다. 이 때, 복수의 음극판과 복수의 양극판은 교대로 적층되어 있으며, 따라서, "적층형 리튬이차전지"라 불리운다. 이러한 형태의 리튬이차전지는 접음 공정에서 동반되는 전극의 손상(즉, 전극물질의 탈리)이 발생하지 아니한다는 장점을 갖는다. 도 6은 종래의 적층형 리튬이차전지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6에 도시된 적층형 리튬이차전지를 제조하기 위한, 격리막상에서의 전극판의 배치 등은 상기 한국특허 제309604호 및 제336396호, 한국공개특허공보 제2002-93781호를 참조하기 바란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리튬이차전지(1')는 음극리드(30a')와 양극리드(30b')가 파우치(20')의 같은 면에서 돌출된다. 도 6에서 미설명된 도면부호 22'는 전극조립체가 수납되는 캐비티이다. 충방전시 전지 내부에서 발생하는 열분포를 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전극판에서 발생하는 열분포는 리드와의 거리에 상관이 있음을 보여준다. 즉, 리드와의 거리가 멀수록, 열발생이 낮고, 리드와의 거리가 가까울수록 많은 열이 발생한다. 그러나, 한면에서 음극리드(30a')와 양극리드(30b')를 모두 형성하는 것은 전지 내부의 열분포에 역행한다. 즉, 동일한 면에 음극리드(30a')와 양극리드(30b')를 형성할 경우, 전지 내부의 열분포가 점차 강화되어, 리드(또는 전극탭)와 가까운 위치는 더욱 많은 열이 발생하게 된다. 그리고, 전자제품의 소형화와 더불어, 리튬이차전지도 점차 소형화되고 있다. 따라서, 좁은 한면에서 음극리드(30a')와 양극리드(30b')를 돌출시키는데 일정한 한계가 존재한다. 일반적으로, 음극리드(30a')와 양극리드(30b')는 통상 5 - 10 mm의 폭을 갖는다. 따라서, 음극리드와 양극리드가 차지하는 폭은 최소 10 mm이다. 따라서, 10 mm 이하의 폭을 갖는 리튬이차전지의 제조는 불가능하다.
본 고안의 첫 번째 목적은 충방전시 열분포의 불균형이 해소된 리튬이차전지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두 번째 목적은 음극리드 또는 양극리드에 의해 전지의 폭이 제한받지 아니하는 리튬이차전지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들 및 고안의 상세한 설명에서 기술된 다른 목적들은 충방전이 가능한 전극조립체와, 상기 전극조립체를 수납하는 캐비티를 구비한 파우치와, 상기 전극조립체로부터의 전류를 외부로 유도하기 위한 음극리드와 양극리드를 포함하는 리튬이차전지에 있어서, 상기 음극리드와 상기 양극리드가 상기 전극조립체를 중심으로 상기 파우치의 반대면으로 돌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이차전지의 제공에 의해 성취된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전극조립체가 복수의 음극판과 복수의 양극판을 포함하고, 하나의 음극판은 하나의 음극탭을 갖고, 하나의 양극판은 하나의 양극탭을 갖고, 상기 복수의 음극판과 복수의 양극판은, 상기 격리막에 의해 분리된 채, 서로 교호하게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이차전지가 제공된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바람직한 구체예에 따르면, 격리막은 정해진 한쪽 방향으로 일정하게 순차 접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이차전지가 제공된다.
본 고안은 또한 상기 음극리드와 양극리드가 파우치의 반대면에 돌출된 리튬이차전지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을 토대로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리튬이차전지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리튬이차전지의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리튬이차전지의 분해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리튬이차전지(1)는 캐비티(22)를 구비한 파우치(20)와, 상기 캐비티(22)에 수납된 전극조립체(10)와, 상기 전극조립체(10)를 중심으로 상기 파우치(20)의 반대면에서 바깥쪽으로 돌출된 음극리드(30a)와 양극리드(30b)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 때, 전극 조립체(10)는 복수의 음극판(12a), 복수의 양극판(12b)을 포함하며, 상기 음극판(12a)과 양극판(12b)은 격리막(14)에 의해 분리되고, 서로 교호하게 형성된다. 여기서, 하나의 음극판(12a)은 하나의 음극탭(16a)을 갖고, 하나의 양극판(12b)도 하나의 양극탭(16b)을 갖는다. 복수의 음극판(12a)과 복수의 양극판(12b)이, 격리막(14)에 의해 분리된 채, 교호하게 적층될 때, 상기 음극탭(16a)과 양극탭(16b)은 서로 독립적으로 중첩된다. 상기 중첩된 음극탭(16a)과 양극탭(16b)은 탭처리에 의해 서로 독립적으로 일체화된다. 전극탭 처리에 대한 보다 상세한 사항은 한국공개특허공보 제2003-95519호 및 본 고안자들에 의해 출원된 한국특허출원번호 제2004-82841호를 참조하기 바란다.
상기 일체화된 음극탭(16a)과 상기 양극탭(16b)은 서로 독립적으로 음극리드(30a)와 양극리드(30b)에 평행하게 연결되어, 상기 전극 조립체(10)로부터의 전류를 외부로 유도하거나, 외부로부터의 전류에 의해 전극 조립체(10)를 충전시킨다. 이 때, 본 고안의 가장 큰 특징은 음극리드(30a)와 양극리드(30b)가 전극 조립체(10)의 중심을 기준으로 대향하며 형성되며, 또한 파우치(20)의 반대면에 돌출된다는 것이다. 이러한 배치는 충방전시 열분포의 불균형을 해소한다. 종래기술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충방전시 전지 내부에서 발생하는 열분포는 리드와의 거리에 비례한다. 음극리드(30a)와 양극리드(30b)를, 상기 전극 조립체(10)를 중심으로 상기 파우치(20)의 반대면에 돌출시킴으로써, 음극판(12a)과 양극판(12b)에 발생된 열이 서로 상쇄된다. 따라서, 전극 조립체(10) 내부에서의 열적 불균형이 해소된다.
더 나아가, 음극리드(30a)와 양극리드(30b)가 서로 반대면에 형성됨으로써, 음극리드(30a)와 양극리드(30b)에 의한 리튬이차전지의 폭제한이 없어진다. 음극리드(30a)와 양극리드(30b)의 폭이 각각 5 mm로 설정되었다고 가정해보자. 이럴 경우, 도 6에서 보여진 음극리드(30a')와 양극리드(30b')를 동일한 면에 갖는 종래의 리튬이차전지(1')는 최소 10 mm를 초과한 폭을 가져야 한다. 통상 13 mm 이상은 되어야 한다. 그러나,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리튬이차전지의 폭은 약 6 mm를 갖더라도 무방하다. 따라서, 음극리드(30a) 또는 양극리드(30b)에 의해, 전지의 폭이 거의 제한받지 아니한다.
전극판(12a, 12b)의 형태는, 탭(16a, 16b)을 갖는다는 조건하에, 특별히 제한되지 아니하며, 전지의 최종 형태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시킬 수 있다. 현재, PDA 또는 휴대폰에 많이 사용되는 형태는 직사각형이다. 상기 전극판(12a, 12b)은 집전체에 전극활물질(구체적으로는 양극활물질 및 음극활물질)을 코팅시켜 얻어진다. 양면코팅에 의해 에너지 밀도를 향상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양극활물질 및 음극활물질의 바람직한 예들은 미국특허 제5,837,015호, 제5,635,151호 및 제5,501,548호 등에 자세히 기재되어 있다. 구체적 예로서는, LiCoO2, LiMn2O4, LiNiO2, LiMnO2 등의 리튬 전이금속 화합물을 들 수 있다. 또한 음극활물질의 예로는 리튬 금속 또는 리튬합금이나, 탄소 또는 흑연과 같이 리튬 이온의 삽입/탈리가 가능한 물질을 들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탄소 또는 흑연이다. 상기한 양극활물질 및 음극활물질은 적당한 용매에 분산된 후 전류집전체에 코팅되고, 일정한 크기로 절단하여 양극판(12b) 및 음극판(12a)을 각각 형성한다. 상기 전극활물질은 집전체의 한면에 코팅될 수 있으나, 양면에 코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양면에 코팅함으로써 전지의 체적당 방전용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집전체로 사용될 수 있는 금속의 예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아니하며, 상기한 미국특허 제5,837,015호, 제5,635,151호 및 제5,501,548호에 자세히 기재되어 있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구체예에서는 알루미늄박판 및 구리박판을 각각 양극용 및 음극용 집전체로 사용하였다. 한편, 상기한 전극활물질은 일반적으로 전도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도전성 물질 및 결합제와 함께 집전체에 피복된다. 상기한 도전성 물질 및 결합제의 선택은 사용되는 전극활물질의 종류에 따라 적절히 선택할 수 있으며, 이러한 사항은 전지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널리 공지되어 있다.
격리막(14)은 음극판(12a)과 양극판(12b)을 전기적으로 절연시키며 이온의 통로를 제공해주는 역할을 한다. 바람직한 예로는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등과 같은 폴리에틸렌 필름, 폴리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 헥사프로필렌플루오라이드 및 폴리에틸렌옥사이드 필름을 들 수 있다. 폴리에틸렌 필름이 격리막으로서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도 4에서, 격리막(14)은 정해진 한쪽 방향으로 일정하게 순차 접혀진 형태를 보여준다. 이것은 격리막(14)을 보다 팽팽하게 유지시켜 향상된 전극특성을 나타낸다. 격리막을 지그재그 형태로 접은 전극 조립체(10)가 사용될 수 있는 데, 이것은 한국특허 제309604호 및 제336396호, 그리고 일본공개특허공보 평9-320637호에 기재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격리막(14)이 정해진 한쪽 방향으로 일정하게 순차 접혀진 형태이다.
상기 음극리드(30a)와 양극리드(30b)는 파우치(20)의 캐비티(22)에 삽입되고, 그 후, 전해액이 주입되고, 파우치(20)의 반대면에 돌출된 채 적절히 실링된다. 음극리드(30a)와 양극리드(30b)의 실링을 보다 완벽히 하기 위해 열접착성 시트(40)가 추가로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사항은 한국특허 제274,867호를 참조하기 바란다. 도 2, 3에서 미설명된 도면부호 50은 실란트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음극리드와 양극리드가 파우치의 반대면에 돌출된 리튬이차전지는 다음과 같은 이점을 제공한다.
첫째, 리튬이차전지의 충방전시 발생하는 열적 불균형을 해소한다. 전지 내부에 균일한 열분포 형성하며, 이것은 전지의 안전성을 향상시킨다. 균일한 열분포는 과도한 열적 불균형에 의해 초래되는 전지의 폭발위험성을 감소시킨다.
둘째, 전지의 폭이 리드의 존재에 의해 거의 제한받지 아니한다. 이것은 소형화된 전지의 제작을 보다 용이하게 한다. 또한 특정 폭의 리튬이차전지의 경우, 리드의 폭을 보다 증가시킬 수 있으며, 이것은 전류의 원활한 공급을 제공한다. 따라서, 대용량 고출력 전지의 제조가 가능해진다.
셋째, 리드를 전극판의 중심에 위치시킬 수 있으며, 이것은 격리막 상에서의 전극판의 배치를 단순화시킨다. 음극리드와 양극리드를 같은 면에 갖는 종래의 리튬이차전지는, 전극판을 격리막 상에 배치할 때, 동일한 양극판(또는 음극판)이라 하더라도 접음공정을 고려하여 서로 다른 2개의 배치를 갖는다. 그러나, 본 고안에서는 음극리드와 양극리드가 파우치의 반대면에 돌출되는 관계로, 전극판의 탭을 중앙에 위치시킬 수 있으며, 이것은 동일한 전극판이 하나의 배치를 갖도록 한다.
넷째, 리튬이차전지에 사용되는 전극 조립체에서, 한쪽 방향으로 일정하게 순차 접혀진 격리막은 전극특성(예: 수명특성, 충방전 특성 등)을 향상시킨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리튬이차전지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리튬이차전지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리튬이차전지의 분해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리튬이차전지에 사용되는 전극조립체의 바람직한 구현예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5는 종래기술에 따른 연속형 리튬이차전지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6은 종래기술에 따른 리튬이차전지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Claims (4)

  1. 충방전이 가능한 전극 조립체와, 상기 전극 조립체를 수납하는 캐비티를 구비한 파우치와, 상기 전극 조립체로부터의 전류를 외부로 유도하기 위한 음극리드와 양극리드를 포함하는 리튬이차전지에 있어서, 상기 음극리드와 상기 양극리드가 상기 전극 조립체를 중심으로 상기 파우치의 반대면으로 돌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이차전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 조립체가 복수의 음극판과 복수의 양극판을 포함하고, 하나의 음극판은 하나의 음극탭을 갖고, 하나의 양극판은 하나의 양극탭을 갖고, 상기 복수의 음극판과 복수의 양극판은, 상기 격리막에 의해 분리된 채, 서로 교호하게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이차전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격리막은 정해진 한쪽 방향으로 일정하게 순차 접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이차전지.
  4. 제1항에 있어서, a) 복수의 음극판, 복수의 양극판, 및 격리막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음극판과 복수의 양극판은, 상기 격리막에 의해 분리된 채, 서로 교호하게 배치된 전극 조립체 --- 여기서, 하나의 음극판은 하나의 음극탭을 갖고, 하나의 양극판은 하나의 양극탭을 갖고 있음 ---, b) 상기 전극 조립체로부터 생성된 전류를 외부로 유도하기 위한 음극리드와 양극리드, 및 c) 상기 전극 조립체를 수납하는 캐비티를 구비한 파우치로 구성되되, 상기 음극탭들과 양극탭들은 서로 독립적으로 중첩되고, 상기 음극리드는 상기 중첩된 음극탭과 평행하게 연결되고, 상기 양극리드는 상기 중첩된 양극탭과 평행하게 연결되고, 상기 음극리드와 상기 양극리드가 상기 전극 조립체를 중심으로 상기 파우치의 반대면으로 돌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이차전지.
KR20-2005-0016825U 2005-06-13 2005-06-13 음극리드와 양극리드가 파우치의 반대면에 돌출된리튬이차전지 KR200394701Y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6825U KR200394701Y1 (ko) 2005-06-13 2005-06-13 음극리드와 양극리드가 파우치의 반대면에 돌출된리튬이차전지
PCT/KR2006/002246 WO2006135183A1 (en) 2005-06-13 2006-06-13 Lithium secondary battery having anode lead and cathode lead oppositely projected from pouch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6825U KR200394701Y1 (ko) 2005-06-13 2005-06-13 음극리드와 양극리드가 파우치의 반대면에 돌출된리튬이차전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94701Y1 true KR200394701Y1 (ko) 2005-09-05

Family

ID=375324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16825U KR200394701Y1 (ko) 2005-06-13 2005-06-13 음극리드와 양극리드가 파우치의 반대면에 돌출된리튬이차전지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0394701Y1 (ko)
WO (1) WO2006135183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8416B1 (ko) * 2006-04-03 2008-09-11 주식회사 엘지화학 안전성이 향상된 리튬 이차전지
US9379371B2 (en) 2009-12-01 2016-06-28 Samsung Sdi Co., Ltd. Secondary battery
US10468638B2 (en) 2013-11-27 2019-11-05 Lg Chem, Ltd. Method for forming a pouch for a secondary battery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62172A (en) * 1990-12-14 1992-11-10 Arch Development Corporation Bipolar battery
US6136466A (en) * 1995-05-25 2000-10-24 Wilson Greatbatch Ltd. Prismatic high rate cell
KR100440933B1 (ko) * 2002-02-06 2004-07-21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전지부와, 이를 채용한 리튬폴리머전지와, 그 제조방법
US6713987B2 (en) * 2002-02-28 2004-03-30 Front Edge Technology, Inc. Rechargeable battery having permeable anode current collector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8416B1 (ko) * 2006-04-03 2008-09-11 주식회사 엘지화학 안전성이 향상된 리튬 이차전지
US9379371B2 (en) 2009-12-01 2016-06-28 Samsung Sdi Co., Ltd. Secondary battery
US10468638B2 (en) 2013-11-27 2019-11-05 Lg Chem, Ltd. Method for forming a pouch for a secondary batter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6135183A1 (en) 2006-1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56577B2 (en) Battery cell of novel structure
KR101379957B1 (ko) 단차를 갖는 전극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셀, 전지팩 및 디바이스
JP4628682B2 (ja) 電池部ユニット及びこれを採用したリチウム2次電池
KR100786875B1 (ko) 전지 모듈
US8568929B2 (en) Electrode assembly including separators having crossing pores and rechargeable battery
US20060088759A1 (en) Stacked lithium secondary battery and its fabrication
US20150086842A1 (en) Battery pack of irregular structure
KR101155920B1 (ko) 전극 어셈블리 및 이를 이용한 이차 전지
WO2008016229A1 (en) Pouch-type secondary battery having an non-sealing residue portion
KR101666873B1 (ko) 전극 어셈블리와 이를 갖는 이차전지
CN208298952U (zh) 电池及电子设备
KR100646508B1 (ko) 세퍼레이터 및 이를 구비하는 이차 전지
KR100922742B1 (ko) 파우치형 케이스와, 이를 적용한 리튬 이차 전지
KR20060102854A (ko) 이차전지의 전극판, 이의 제조 방법 및 이 전극판을 이용한이차전지
US8663835B2 (en) Cap assembly and secondary battery having the same
KR100635743B1 (ko) 이차 전지
US20120321942A1 (en) Electrode assembly and secondary battery using the same
KR20150040437A (ko) 낮은 저항의 젤리-롤형 전극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KR200394701Y1 (ko) 음극리드와 양극리드가 파우치의 반대면에 돌출된리튬이차전지
KR101515672B1 (ko) 2 이상의 양극 및 음극을 포함하는 전극 조립체 및 이에 의한 전기 화학 소자
US7166387B2 (en) Thin battery with an electrode having a higher strength base portion than a tip portion
KR20200091687A (ko) 전극 조립체 및 이차 전지
KR20200102848A (ko) 단위셀 및 그 제조방법
KR100659887B1 (ko) 이차 전지의 제조 방법
KR100614401B1 (ko) 이차 전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0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1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31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