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83048Y1 - 바닥매립형 표시등 - Google Patents

바닥매립형 표시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83048Y1
KR200383048Y1 KR20-2005-0004141U KR20050004141U KR200383048Y1 KR 200383048 Y1 KR200383048 Y1 KR 200383048Y1 KR 20050004141 U KR20050004141 U KR 20050004141U KR 200383048 Y1 KR200383048 Y1 KR 20038304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lding
case
upper side
floor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0414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수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도시와광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도시와광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도시와광고
Priority to KR20-2005-000414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8304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8304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83048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04Signs, boards or panels, illuminated from behind the insignia
    • G09F13/0413Frames or casing structures therefor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04Signs, boards or panels, illuminated from behind the insignia
    • G09F13/0404Signs, boards or panels, illuminated from behind the insignia the light source being enclosed in a box forming the character of the sig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04Signs, boards or panels, illuminated from behind the insignia
    • G09F13/0418Constructional details
    • G09F13/0495Signs, boards or panels attached to the ground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9/00Advertising or display mea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9F19/22Advertising or display means on roads, walls or similar surfaces, e.g. illuminated
    • G09F19/228Ground signs, i.e. display signs fixed on the ground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04Signs, boards or panels, illuminated from behind the insignia
    • G09F13/0418Constructional details
    • G09F2013/05Constructional details indicating exit way or orientatio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2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 G09F13/22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electroluminescent
    • G09F2013/222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electroluminescent with LED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Marketing (AREA)
  • Illuminated Signs And Luminous Advertis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상측이 개방된 상자형상을 이루게 되는 케이스(11)의 내부에 제어장치(13)가 설치된 케이스부와; 내측은 하측으로 절곡되어 단을 이루게 되어 외측은 상기 케이스(11)의 상측에 올려져 지지되는 하부몰딩(21)과 상기 하부몰딩(21)의 내측의 단 상측에 거치되어 상측방향으로 문양 또는 문자를 표시하게되는 표시수단으로 구성되는 하부몰딩부와; 내측은 하측으로 경사를 이루며 절곡되어 단을 형성하고 단의 내측은 관통되어 상기 하부몰딩(21)의 상측에 거치되는 상부몰딩(30)과 상기 상부몰딩(30)의 내측 단 상측에 거치되는 투명판(31)으로 구성되는 상부몰딩부와; 내측이 관통된 판 형상을 이루게 되며 상기 상부몰딩부의 상측에 결합되어 상기 상부몰딩부에 거치된 투명판(31)의 주변을 감싸게 되는 표면몰딩(40);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매립형 표시등에 관한 것이다.
이에따라 설치가 용이하며 수리시 상측의 구성요소부터 차례로 제거할 수 있어 유지보수가 매우 편리하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내부로 물이 스며드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고장의 발생이 적다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바닥매립형 표시등{floor light}
본 고안은 바닥매립형 표시등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케이스의 상측에 다수개의 구성요소들을 차례로 적층한 후 볼트를 사용하여 전체를 체결하도록 구성한 바닥매립형 표시등에 관한 것이다.
건물내부 또는 지하철과 같은 지하공간에서 화재가 발생하게 되면 대부분의 사람들은 비상구 또는 대피로를 알지 못하여 인명피해가 발생할 우려가 있다. 이러한 상황을 방지하기 위해 소방관련법에서는 비상구 또는 대피로를 안내하는 비상유도표시등을 설치하도록 의무화하고 있다. 상기 비상유도표시등은 비상시 빛을 발하게 되면 이에따라 화살표 등의 기호를 표시하여 사람들을 유도하게 된다.
종래의 비상 유도등 장치는 열에 강한 구조로 형성하고 램프를 연결하는 전선또한 내측에 모두 시공가능하도록 하여 화재시에 유용하도록 하고자 하였으나, 지면에 형성된 구멍에 상기 고정부재를 건식몰탈에 의해 고정시킨 후 상기 이엘램프과 강화유리를 상측에 차례로 놓고 고정용 캡으로 마감하도록 구성함에 따라, 지면상으로의 설치작업이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내부 부품에 수리가 요구될 시 각각의 부품을 지면으로부터 일일이 분리시켜야 하고, 벽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설치됨에 따라 보행자나 수하물 등과 충돌되기 쉬워 보행에 불편을 주거나, 벽면으로부터의 이탈 내지는 파손이 발생할 우려가 크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를해결하기위해 본 출원인이 출원하여 등록된 실용신안등록 호에서는 다수개가 연속설치되어 지정형상의 틀을 형성하는 상판몰딩을 구비한 비상유도등에 있어서, 상기 상판몰딩을 전,후방에 차단턱을 형성하는 전방차단부 및 후방차단부와, 상기 전,후방차단부 사이에 연속형성되는 벽면삽입부 및 지지부와, 연속결합되는 개별의 상판몰딩 연결단부에 삽입공을 형성하는 조립결합부로 구성한 벽부매립형 유도표시등에 대해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유도표시등은 별도의 외측마감구를 상판몰딩에 결합한 후 이를 벽면과 결합하게 되어 조립이 불편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고장발생시 전체를 구멍에서 꺼낸 후 뒤집고 후측의 차단판을 분리하여야 하므로 불편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위해 안출된 것으로 설치와 분해가 간단하여 유지보수가 편리하며 내구성이 높은 바닥매립형 표시등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위해 상측이 개방된 상자형상을 이루게 되는 케이스의 내부에 제어장치가 설치된 케이스부와; 내측은 하측으로 절곡되어 단을 이루게 되어 외측은 상기 케이스의 상측에 올려져 지지되는 하부몰딩과 상기 하부몰딩의 내측의 단 상측에 거치되어 상측방향으로 문양 또는 문자를 표시하게되는 표시수단으로 구성되는 하부몰딩부와; 내측은 하측으로 경사를 이루며 절곡되어 단을 형성하고 단의 내측은 관통되어 상기 하부몰딩의 상측에 거치되는 상부몰딩과 상기 상부몰딩의 내측 단 상측에 거치되는 투명판으로 구성되는 상부몰딩부와; 내측이 관통된 판 형상을 이루게 되며 상기 상부몰딩부의 상측에 결합되어 상기 상부몰딩부에 거치된 투명판의 주변을 감싸게 되는 표면몰딩;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매립형 표시등을 기술적 요지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케이스부는 판형상을 이루게 되며 상측면에 축전지와 제어장치가 고정되는 고정판이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케이스는, 측면에 전선 통과용 관통공이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며 상기 관통공에 고무로 이루어진 패킹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하부몰딩은 상하면에 고무패킹이 결합되어 내측으로 물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고무패킹은 단면이 'ㄷ'자 형상을 이루어 내측에 하부몰딩의 가장자리가 삽입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고무패킹은 표면에 둘레를 따라 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홈은 내측에 가장자리측보다 높게 경사를 이루며 돌출되는 돌출띠가 적어도 하나이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하부몰딩은 내측 단에 돌출돌기가 적어도 하나이상 형성되어 표시수단에 형성된 통공에 결합되어 상기 표시수단을 정위치시키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상부몰딩부는 투명판의 둘레를 따라 아크릴계 하드록접착제로 접착시켜 밀폐시키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바닥에 매립되어 바닥과 결합되며 상부가 개방되어 상기 케이스가 삽입되는 외부케이스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바닥매립형 표시등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바닥매립형 표시등은 크게 케이스부와 하부몰딩부와 상부몰딩부 그리고 표면몰딩(40)으로 구성됨을 알 수 있다.
먼저 케이스부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케이스부는 지하에 삽입되는 부분으로 상측이 빈 상자형상을 이루는 케이스(11)와 상기 케이스(11)의 내부에 설치되는 축전지(14), 제어장치(13)들로 이루어 진다. 본 고안에서는 상기 케이스(11)를 직육면체를 이루도록 구성하고 있으나 원통형, 6각기둥등 다양한 형상이 가능하다. 상기 케이스(11)는 측면에 관통공이 형성된다. 상기 관통공으로는 외부로부터 전원이 공급되는 전원선 또는 제어선등이 통과하게된다. 이때 상기 관통공 또는 상기 선을 통해 물이 칩입하는 것을 방지하기위해 관통공에 고무재질로 이루어진 패킹(16)을 결합하게된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11)의 상측 가장자리는 외측으로 절곡되어 있다.
상기 축전지(14)와 제어장치(13)는 상기 케이스(11)내부에 삽입되는 고정판(12)의 상측에 결합된다. 상기와 같이 고정판(12)을 설치하는 이유는 상기 케이스(11)내부로부터 용이하게 축전지(14)와 제어장치(13)를 분리할 수 있으며 케이스(11)와 직접 결합시 케이스(11)에 나사구멍등이 형성되어 물이 칩입할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케이스(11)에 직접 축전지(14)와 제어장치(13)를 부설하고 구멍을 밀폐시켜 방수시키는 것도 무방하다. 본고안의 일실시예에서는 축전지(14)를 설치하고 있으나 광고용으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상기 축전지를 제거하고
다음으로 하부몰딩부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하부몰딩부는 크게 하부몰딩(21)과 표시수단 그리고 고무패킹(28)으로 구성된다. 상기 하부몰딩(21)은 판재의 내측을 절곡하어 단을 이루도록 한 것으로 상기 케이스(11)의 상측 가장자리에 외측이 적층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하부몰딩(21)의 내측은 관통시켜 무게를 줄이는 것도 무방하다. 상기 하부몰딩(21)의 내측에는 표시수단이 올려진다.
본 고안의 표시수단은 도광판(22)과 상기 도광판의 일측 가장자리에 결합되며 내부에 CCFL이 설치된 제1브라켓(50)과 상기 제1브라켓의 맞은편에 상기 제1브라켓과 외부가 유사한 형상을 이루어 상기 도광판이 상기 하부몰딩(21) 상측에 평형을 이루면서 설치될 수 있도록 높이를 조절하게되는 제2브라켓(52)이 결합된다. 상기 도광판(22)의 상측에는 상기 도광판(22)에서 발생하는 빛을 사용하여 원하는 광고 또는 안내를 위한 문양 또는 문자를 표시하기위한 표시판(26)이 설치된다. 상기 표시판(26)은 투명 또는 반투명의 합성수지재 표면에 인쇄를 한 것이다. 본 고안의 표시수단은 도광판과 표시판을 사용하도록 구성하고 있으나 유기EL등 면광원을 사용하여 문양 또는 문자를 표시하는 것도 무방하다.
이때 상기 도광판 또는 제1브라켓(50)과 제2브라켓(51)에는 통공을 형성하고 상기 하부몰딩(21)의 내측 단에 상기 통공에 대응하는 돌출돌기(27)를 형성하여 상기 도광판이 정해진 위치에 결합될 수 있도록 구성하게 된다.
상기 하부몰딩(21)의 외측 단 상 하에는 고무패킹(28)이 결합된다. 상기 고무패킹(28)은 상기 하부몰딩(21)의 상하측면을 따라 물이 칩입하여 내부의 전기적인 회로가 파괴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고무패킹(28)을 사각형을 이루는 띠형상으로 형성하고 있으나 상기 하부몰딩(21)의 형상에 따라 다른 형상을 이루도록 하는 것도 무방하다. 그리고 본 고안에서는 상기 고무패킹(28)을 단면이 'ㄷ'자형상을 이루도록 하여 상기 하부몰딩(21)의 가장자리가 상기 고무패킹(28)에 삽입되도록 구성하고 있다. 이는 고무패킹(28)과 하부몰딩(21)사이로 물이 침입하는 것을 완전히 방지하기 위함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일체로된 고무패킹을 사용하는 것으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하부몰딩(21)의 상하면에 각각 별도의 고무패킹을 결합하는 것도 무방하다.
상기 고무패킹(28)의 표면에는 양측 가장자리로부터 소정거리(약 5mm정도)내측에 넓게 파여진 홈(29)이 형성된다. 내측 상기 홈(29)은 고무패킹(28)의 표면을 따라 침입한 물이 상기 홈(29)에 모여 내측으로 더 이상 침입하지 않도록 하기위함이다. 이때 상기 홈(29)은 내측에 돌출띠(53)가 형성된다. 상기 돌출띠는 홈내측을 따라 홈 가장자리측의 높이보다 약간 높게(예를 들면 약 0.5mm정도)형성된다. 이는 상측의 상부몰딩 또는 하측의 케이스와 결합시 상기 돌출띠가 하측으로 눌려지면서 보다 잘 밀착되어 방수효과를 증가시키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고무패킹은 결합시 나사가 통과하는 나사삽입용 통공(54)이 형성되며 상기 통공의 주위는 상기 돌출띠와 유사하게 돌출된 돌출부(55)가 형성되어 나사산을 따라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물이 고무패킹의 표면을 따라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여기서 나사산을 통해 침입한 물이 상기 하부몰딩과 고무패킹의 사이면을 따라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기위해 상기 고무패킹의 내측 둘레를 따라 실리콘 등의 접착제를 도포하는 것도 무방하다.
그리고 상기 하부몰딩부에는 일측에 문제발생시 신호를 표시하기위한 LED(52를 부설하여 정전이나 충전량의 부족시 점등되어 표시할 수 있도록 구성하게된다.
다음으로 상부몰딩부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상부몰딩부는 상부몰딩(30)과 투명판(31)으로 구성된다. 상기 상부몰딩(30)은 내측이 절곡되어 단을 이루게 되며 내측은 관통된다. 본 고안에서는 상기 상부몰딩(30)의 단은 소정의 각도로 경사를 이루도록 구성하고 있으나 90도로 절곡하는 것도 무방하다.
상기 상부몰딩(30)의 내측 단 상측에는 상기 상부몰딩(30)의 외측 단의 높이보다 상측으로 돌출되도록 투명판(31)이 설치된다. 상기 투명판(31)은 일반적으로 강화유리를 사용하게되나 투명한 합성수지를 사용하는 것도 무방하다. 여기서 상기 투명판(31)의 가장자리는 접착제(32)를 사용하여 상기 상부몰딩(30)에 고정된다. 때 상기 접착제(32)는 상기 투명판(31)과 상부몰딩(30)과의 사이로 물이 침입하지 못하도록 상기 투명판(31)의 가장자리를 따라 틈이 없도록 주입되어 완전히 밀폐시키게된다. 본고안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접착제(32)로 아크릴계 하드록접착제(32)를 사용하고 있다. 이는 상기 아크릴계 하드록 접착제(32)가 신속하게 건조되며 접착강도가 우수하기때문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아크릴계 하드록 접착제(32)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실리콘등을 사용하여 결합시키는 것도 무방하다.
다음으로 표면몰딩(40)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표면몰딩(40)은 판형상을 이루며 내측은 상기 투명판(31) 형상과 동일하게 관통되어 있어 상기 상부몰딩(30)의 상측에 결합시 상기 투명판(31)이 결합된다. 이때 상기 표면몰딩(40)의 두께는 상기 투명판(31)이 상기 상부몰딩(30)의 상측으로 돌출된 높이와 동일하도록 구성하여 상기 표면몰딩(40)과 투명판(31)이 동일한 높이를 이루도록 구성하게된다. 이는 보행인의 발에 걸려 표시등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위함이다.
여기서 상기 케이스(11), 하부몰딩(21), 상부몰딩(30), 표면몰딩(40)은 다수개의 볼트삽입공이 형성되어 상측에서 투입된 볼트에 의해 모두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바닥매립형 표시등의 작용과 효과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본 고안의 바닥매립형 표시등을 설치하기위해 바닥에 소정 깊이로 구멍을 파게된다. 그리고 상기 구멍에 외부케이스(15)를 먼저 삽입하게된다. 상기 외부케이스(15)는 상측이 비어있으며 상기 케이스(11)와 유사한 형상을 이루게 되며 상기 케이스(11)가 삽입될 수 있도록 케이스(11)보다 약간 크게 구성된다. 상기 외부케이스(15)는 구멍속에 삽입된후 볼트등으로 지면에서 고정되어 분리되지 않도록 설치된다. 상기와 같이 외부케이스(15)를 사용하는 것은 설치의 편리를 도모함과 동시에 케이스(11)에 형성되는 통공의 수를 최소화하여 방수가 되도록 하기위함이다.
이후 상기 외부케이스(15)의 내측에 케이스(11)를 설치하고 상기 케이스(11)의 내측에 축전지(14)와 제어장치(13)가 고정된 고정판(12)을 삽입하게 된다. 이때 상기 축전지(14)와 제어장치(13)에 연결된 전선은 상기 케이스(11)의 일측에 구비된 패킹(16)이 결합된 관통공을 통해 외부와 연결된다. 여기서 케이스(11)를 설치한 후 상기 고정판(12)을 삽입하는 대신 케이스(11)내부에 고정판(12)을 설치한 후 케이스(11)를 설치하는 것도 무방하다.
다음으로 상기 케이스(11)의 상측에 하부몰딩(21)을 적층하게된다. 이때 상기 하부몰딩(21)의 가장자리는 고무패킹(28)이 감싸도록 한다. 상기 하부몰딩(21)의 내측 단위에 도광판을 설치하게 된다. 이때 상기 도광판의 전후측에 결합된 제1브라켓과 제2브라켓에 형성된 통공과 상기 하부몰딩(21)에 형성될 돌출돌기가 결합되어 상기 도광판이 흔들리지 않고 정위치에 설치되도록 한다. 상기 도광판의 상측에는 비상구 안내용 문양이 형성된 표시판을 덮게된다.
다음으로 상부몰딩(30)과 투명판(31)의 결합체를 상기 하부몰딩(21)의 상측에 적층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상부몰딩(30)의 상측에 표면몰딩(40)을 결합한 후 상기 표면몰딩(40)에 형성된 볼트삽입공을 통해 볼트(60)를 삽입하여 모두 체결하여 분리되지 않도록 고정하게 된다.
본 고안에서는 구멍에 외부케이스(15)를 먼저 설치하고 그 내부에 케이스(11)를 설치하도록 구성하고 있으나 외부케이스(15)를 설치하지 않고 케이스(11)를 직접 지면에 고정하도록 하는 것도 무방하다.
이후 상기 표시등의 내부에 발생한 고장을 처리하기위해서는 상기 볼트만 분리하면 표면몰딩(40)부터 차례로 분리할 수 있으므로 유지 보수 작업이 매우 편리하게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바닥매립형 표시등에 의하면 볼트만으로 체결되어 분해와 조립이 간단하여 설치시 그리고 유지보수시 작업효율이 매우 높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내부로 물이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여 내구성이 매우 높다는 효과가 있다.
도1 :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바닥매립형 표시등의 분해 사시도
도2 :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바닥매립형 표시등의 일측 단면도
도3 : 고무패킹의 단면도
도4 : 고무패킹의 나사 삽입용 통공과 그 통공을 둘러싼 돌출부를 나타낸 평면도
<도면의 주요부에 사용된 기호의 설명>
11 : 케이스 12 : 고정판
15 : 외부케이스 16 : 패킹
21 : 하부몰딩 22 : 도광판
26 : 표시판 28 : 고무패킹
29 : 홈 30 : 상부몰딩
31 : 투명판 40 : 표면몰딩
53 : 돌출띠

Claims (10)

  1. 상측이 개방된 상자형상을 이루게 되는 케이스(11)의 내부에 제어장치(13)가 설치된 케이스부와;
    내측은 하측으로 절곡되어 단을 이루게 되어 외측은 상기 케이스(11)의 상측에 올려져 지지되는 하부몰딩(21)과 상기 하부몰딩(21)의 내측의 단 상측에 거치되어 상측방향으로 문양 또는 문자를 표시하게되는 표시수단으로 구성되는 하부몰딩부와;
    내측은 하측으로 경사를 이루며 절곡되어 단을 형성하고 단의 내측은 관통되어 상기 하부몰딩(21)의 상측에 거치되는 상부몰딩(30)과 상기 상부몰딩(30)의 내측 단 상측에 거치되는 투명판(31)으로 구성되는 상부몰딩부와;
    내측이 관통된 판 형상을 이루게 되며 상기 상부몰딩부의 상측에 결합되어 상기 상부몰딩부에 거치된 투명판(31)의 주변을 감싸게 되는 표면몰딩(40);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매립형 표시등.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부는
    판형상을 이루게 되며 상측면에 축전지(14)와 제어장치(13)가 고정되는 고정판(12)이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매립형 표시등.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11)는,
    측면에 전선 통과용 관통공이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며 상기 관통공에 고무로 이루어진 패킹(16)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매립형 표시등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몰딩(21)은
    상하면에 고무패킹(28)이 결합되어 내측으로 물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매립형 표시등.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고무패킹(28)은
    단면이 'ㄷ'자 형상을 이루어 내측에 하부몰딩의 가장자리가 삽입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매립형 표시등
  6.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고무패킹(28)은
    표면에 둘레를 따라 홈(29)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매립형 표시등.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홈(29)은
    내측에 가장자리측보다 높게 경사를 이루며 돌출되는 돌출띠(52)가 적어도 하나이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매립형 표시등.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몰딩(21)은,
    내측 단에 돌출돌기가 적어도 하나이상 형성되어 표시수단에 형성된 통공에 결합되어 상기 표시수단을 정위치시키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매립형 표시등.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몰딩부는
    투명판(31)의 둘레를 따라 아크릴계 하드록접착제(32)로 접착시켜 밀폐시키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매립형 표시등.
  10. 제1항에 있어서
    바닥에 매립되어 바닥과 결합되며 상부가 개방되어 상기 케이스(11)가 삽입되는 외부케이스(15)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매립형 표시등
KR20-2005-0004141U 2005-02-16 2005-02-16 바닥매립형 표시등 KR20038304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4141U KR200383048Y1 (ko) 2005-02-16 2005-02-16 바닥매립형 표시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4141U KR200383048Y1 (ko) 2005-02-16 2005-02-16 바닥매립형 표시등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83048Y1 true KR200383048Y1 (ko) 2005-04-28

Family

ID=436845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04141U KR200383048Y1 (ko) 2005-02-16 2005-02-16 바닥매립형 표시등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83048Y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5805B1 (ko) 2005-06-10 2007-07-06 임태근 바닥 매립형 표시등의 결합방법
KR100888955B1 (ko) 2008-12-02 2009-03-16 (주)세광산업조명 Led 매입등
KR100991366B1 (ko) * 2010-07-15 2010-11-02 (주)리더스테크 방수강화 피난 유도선
KR101081807B1 (ko) 2010-08-25 2011-11-10 주식회사 한영아이피 방수형 프레임을 갖는 led 면 발광장치
KR101090200B1 (ko) 2010-02-17 2011-12-07 서울메트로 방수패킹을 포함하는 유도등 조립체
KR200476074Y1 (ko) * 2014-11-07 2015-01-26 이선영 매립형 바닥 표지물
KR20180023542A (ko) 2016-08-26 2018-03-07 (주)늘푸른광고산업 방수형 엘이디 조명장치
KR102578237B1 (ko) * 2022-11-08 2023-09-13 유재열 바닥 설치용 정보 표시장치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5805B1 (ko) 2005-06-10 2007-07-06 임태근 바닥 매립형 표시등의 결합방법
KR100888955B1 (ko) 2008-12-02 2009-03-16 (주)세광산업조명 Led 매입등
KR101090200B1 (ko) 2010-02-17 2011-12-07 서울메트로 방수패킹을 포함하는 유도등 조립체
KR100991366B1 (ko) * 2010-07-15 2010-11-02 (주)리더스테크 방수강화 피난 유도선
KR101081807B1 (ko) 2010-08-25 2011-11-10 주식회사 한영아이피 방수형 프레임을 갖는 led 면 발광장치
KR200476074Y1 (ko) * 2014-11-07 2015-01-26 이선영 매립형 바닥 표지물
KR20180023542A (ko) 2016-08-26 2018-03-07 (주)늘푸른광고산업 방수형 엘이디 조명장치
KR102578237B1 (ko) * 2022-11-08 2023-09-13 유재열 바닥 설치용 정보 표시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765939A (en) Wall mounting for neon lights
KR200383048Y1 (ko) 바닥매립형 표시등
KR100972598B1 (ko) 방음 펜스
KR200413200Y1 (ko) 가로등의 베이스 커버
JP4393979B2 (ja) カーテンウォール
JP5374240B2 (ja) 建物広告構造体
KR20110000509U (ko) 휀스용 조명장치
KR101153897B1 (ko) 엘이디 끝발광기능을 갖는 커튼 월
KR100938137B1 (ko) 엘이디 발광체 및 그 제조방법과 시공방법
KR200367411Y1 (ko) 바닥매립형 비상유도등
KR101032467B1 (ko) 방수강화 매립형 피난 유도등
KR100986145B1 (ko) 피난유도 시스템
KR200424020Y1 (ko) 바닥매립형 표시등
KR200478111Y1 (ko) 간판 조명등의 설치지지대
KR200473604Y1 (ko) 방수 구조를 가지는 간판
JP4795996B2 (ja) 照明装置
KR200476928Y1 (ko) 형광등 타입 led 램프
KR200361111Y1 (ko) 일체식 구조를 지닌 광고판
KR200367398Y1 (ko) 벽부매립형 비상유도등
CN210667189U (zh) 人行道斑马线警示灯
KR100736343B1 (ko) 사인보드
CN211853680U (zh) 一种百变标志灯
KR101096117B1 (ko) Led전광판 조형물 설치방법
KR100921258B1 (ko) 가로등 지주와 지지수단 결합구조
KR20120008569A (ko) 엘리베이터의 도착표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51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10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