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69616Y1 - 거치가 가능한 휴대용 거울 - Google Patents

거치가 가능한 휴대용 거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69616Y1
KR200369616Y1 KR20-2004-0023702U KR20040023702U KR200369616Y1 KR 200369616 Y1 KR200369616 Y1 KR 200369616Y1 KR 20040023702 U KR20040023702 U KR 20040023702U KR 200369616 Y1 KR200369616 Y1 KR 20036961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rror
support
portable
handle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2370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인태
Original Assignee
유인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인태 filed Critical 유인태
Priority to KR20-2004-002370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6961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6961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69616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00Mirrors; Picture frames or the like, e.g. provided with 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means
    • A47G1/02Mirrors used as equipmen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00Mirrors; Picture frames or the like, e.g. provided with 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means
    • A47G1/16Devices for hanging or supporting pictures, mirrors, or the like
    • A47G1/18Picture loop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00Mirrors; Picture frames or the like, e.g. provided with 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means
    • A47G1/16Devices for hanging or supporting pictures, mirrors, or the like
    • A47G1/24Appliances for adjusting pictures, mirrors, or the like, into a desired position, especially inclined

Landscapes

  • Mirrors, Picture Frames, Photograph Stands, And Related Fasten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선회 가능하도록 설치된 지지대를 구비하여 탁상용 및 휴대용으로 모두 사용할 수 있도록 개선한 거치가 가능한 휴대용 거울을 제공한다.
상기 거치가 가능한 휴대용 거울은, 일측면에 거울이 고정되는 거울본체, 상기 거울본체와 고정된 손잡이 및 상기 거울본체의 타측면에 선회 가능하도록 고정되는 지지대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하면, 휴대용 거울의 특징인 용이한 휴대성과 탁상용 거울의 특징인 거치 가능함을 모두 구현하여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사용상의 편의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거치가 가능한 휴대용 거울{A portable mirror capable of being stationed}
본 고안은 손잡이를 구비한 휴대용 거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선회 가능하도록 설치된 지지대를 구비하여 탁상용 및 휴대용으로 모두 사용할 수 있도록 개선한 거치가 가능한 휴대용 거울에 관한 것이다.
거울은 간편한 휴대를 그 주된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거울과 책상 등의 위에 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탁상용 거울로 대개 구분할 수 있다. 상기 휴대용 거울은 휴대를 간편하게 하기 위해 손잡이 이외의 다른 구성수단을 구비하지 않으며 컴팩트하게 구성되고, 탁상용 거울은 책상 등의 상부나 바닥 등에 거치될 수 있도록 받침대를 구비하고 있다.
도 1a와 도 1b는 각각 종래의 휴대용 거울(100)과 탁상용 거울(100')을 도시한 것이다.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휴대용 거울(100)은 거울(102)이 고정되는 바디(104) 및 상기 바디(104)와 연결되도록 형성된 손잡이(106)를 구비하고 있다. 따라서, 그 휴대성은 양호하나 사용시 거치가 불가능하므로 양손을 사용해야 하는 경우에는 사용하기 불편하다는 사용상의 제약이 있었다.
한편, 도 1b에 도시된 종래의 탁상용 거울(100')은 일측면에 거울(102')이 부착되는 바디(104')와 상기 바디(104')를 지지하는 받침대(106')로 구성된다. 상기 받침대(106')는 바디(104')를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위해서 그 하부에 바닥면과 접촉하는 지지판(106a')이 형성되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지지판(106a')은 상기 바디(104')의 안정적인 지지를 위해 일정 크기의 지지면적을 갖추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종래의 탁상용 거울(100')은 상술한 휴대용 거울(100)이 가진 거치가 불가능하다는 사용상의 제약을 해소할 수 있으나 받침대(106')로 인해 그 휴대가 불편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서, 거울본체에 선회 가능하도록 설치된 지지대를 구비하여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탁상용 및 휴대용 거울로 사용할 수 있는 거치가 가능한 휴대용 거울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종래의 거울을 도시한 것으로,
(a)는 휴대용 거울의 사시도이고,
(b)는 탁상용 거울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거치가 가능한 휴대용 거울을 도시한 것으로,
(a)는 후방사시도이고,
(b)는 (a)의 A-A를 따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거치가 가능한 휴대용 거울이 휴대용 거울로 사용되는 것을 도시한 것으로,
(a)는 사시도이고,
(b)는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거치가 가능한 휴대용 거울이 탁상용 거울로 사용되는 것을 도시한 후방사시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거치가 가능한 휴대용 거울이 벽에 설치된 고리에 걸려 보관되는 것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거울본체 12..... 거울
14..... 돌출부 20..... 손잡이
30..... 지지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일측면에 거울이 고정되는 거울본체;
상기 거울본체와 고정된 손잡이; 및
상기 거울본체의 타측면에 선회 가능하도록 고정되는 지지대;
를 포함하는 거치가 가능한 휴대용 거울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손잡이는 상기 거울본체의 타측면에 돌출된 돌출부에 고정되고, 상기 지지대는 절곡되어 그 일단이 상기 돌출부에 선회 가능하도록 압입고정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거울본체의 타측면에 돌출된 돌출부에는 추가적으로 부시(bush)가 삽입되어 고정되고, 상기 부시의 내경에는 상기 지지대가 절곡되어 그 일단이 삽입되며, 이때 상기 지지대는 상기 부시 내에 선회 가능하도록 압입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대는 상기 거울본체의 영역 내에 위치하는 길이를 가질 수 있으며, 상기 손잡이는 거울을 걸기 위한 개구를 구비할 수도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거치가 가능한 휴대용 거울을 도시한 것으로, (a)는 후방사시도이고, (b)는 (a)의 A-A를 따른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거치가 가능한 휴대용 거울이 휴대용 거울로 사용되는 것을 도시한 것으로, (a)는 사시도이고, (b)는 측면도이다.
그리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거치가 가능한 휴대용 거울이 탁상용 거울로 사용되는 것을 도시한 후방사시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거치가 가능한 휴대용 거울이 벽에 설치된 고리에 걸려 보관되는 것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a에는 본 고안에 따른 거치가 가능한 휴대용 거울(1)이 도시되어 있다. 본 고안에 따른 거치가 가능한 휴대용 거울(1)은 크게 거울본체(10), 손잡이(20) 및 지지대(30)를 포함하고 있는데, 그 구조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거울본체(10)는 그 일측면, 즉 전면에 거울(12)이 부착되어 있고, 그 타측면, 즉 후면에는 돌출부(14)가 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돌출부(14)의 원주면상에는 삽입개구(미도시)가 형성되어 상기 손잡이(20)의 일부가 삽입되어 고정되며, 상기 손잡이(20)는 개구(22)를 구비하는 형태로 구성된다.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손잡이는 도 2a에 도시된 선재형태로 구성되어 제작이 용이하고 보다 가볍게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에서는 손잡이(20)가 돌출부(14)에 고정되는 구조를 돌출부(14)의 원주상에 마련된 삽입개구에 손잡이의 일부을 삽입시켜 고정하는 구조로 설명하였으나 상술한 구조 이외에 손잡이(20)와 거울본체(10)가 일체로 형성되는 구조등 다양한 변형구조가 적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돌출부(14)의 원주면상 일 개소에는 지지대(30)가 삽입되기 위한 삽입구(14a)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대(30)는 예각으로 절곡된 선재형태로 형성될 수 있고 그 일단이 상기 삽입구(14a)에 선회 가능하도록 압입되어 있을 수있다.
따라서, 상기 지지대(30)의 타단은 상기 거울본체(10)의 후방에서 상기 삽입구(14a)를 중심으로 선회 가능하다. 이때, 상기 삽입구(14a)는 그 직경이 상기 지지대(30) 일단의 외경보다 작도록 형성되어 지지대(30) 일단이 압입되는 경우 지지대(30)의 회전에 대해 마찰력을 부여하게 된다.
즉, 상기 지지대(30)는 상기와 같이 발생되는 마찰력에 의해 삽입구(14a)를 중심으로 임의의 각도로 선회된 후 그 상태가 유지된다.
도 2a와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대(30)를 원하는 각도로 선회시킨 후 그 상태로 유지시키기 위해 상기 삽입구(14a)에는 별도의 부시(32)가 추가적으로 삽입될 수도 있다. 이는 지지대(30)가 반복하여 선회됨에 따라 삽입구(14a)가 변형되어 지지대(30) 일단에 적당한 마찰력이 발생되지 못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즉, 상기 부시(32)는 변형이 쉽게 되지 않는 재질, 예를 들면 금속 등으로 제작되어 지지대(30)에 의한 삽입구(14a)의 변형을 방지하고, 상기 지지대(30)가 임의의 각도로 선회된 후 그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적당한 마찰력을 상기 지지대(30)의 일단외측에 부여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부시(32)의 내경은 상술한 삽입구(14a)와 마찬가지로 상기 지지대(30)의 일단 외경보다 작도록 형성되어, 상기 부시(32)의 내경에 지지대(30)의 일단이 압입되면 상기 부시(32)의 내경과 지지대(30)의 일단 사이에서 마찰력이 발생되어 지지대(30)의 선회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한편, 상기 지지대(30)는 상기 거울본체(10)의 영역 내에 위치하는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지지대(30)는 상기 거울본체(10)의 외부로 돌출되지 않는 길이를 갖추고 있어서 거울의 용이한 휴대를 도모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에서 상기 돌출부(14)는 그 단면이 원형인 원주(圓柱)형인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그 밖의 다양한 다른 형상도 적용 가능하다.
상술한 본 고안에 따른 거치가 가능한 휴대용 거울(1)의 일 실시예는 다음과 같은 작용효과를 갖는다.
즉, 도 3a와 도 3b는 본 고안에 따른 거치가 가능한 휴대용 거울(1)이 휴대용 거울로 사용되는 경우를 도시한 것이다. 이때,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대(30)는 상기 거울본체(10)의 후면에 밀착되도록 선회되어 있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거치가 가능한 휴대용 거울(1)을 손잡이(20)를 이용하여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지지대(30)가 상기 거울본체(10)의 외측 및 후방으로 돌출되지 않으므로 용이하게 휴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거치가 가능한 휴대용 거울(1)이 거치되어 탁상용 거울로 사용되는 경우를 도시한 것이다.
즉,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대(30)가 상기 거울본체(10)의 후면상에서 임의의 각도로 선회되어 유지되므로 상기 거치가 가능한 휴대용 거울(1)은거울본체(10), 손잡이(20) 및 지지대(30)에 의해 지지된다.
이때, 상기 지지대(30)의 선회각도를 조절하면 상기 거울본체(10)의 각도가 조절되어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거울의 각도를 조절 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지지대(30)와 상기 거울본체(10)의 후면 사이의 지지대 선회각이 커질수록 상기 거울본체(10)의 후면과 바닥면 사이의 각도가 작아지게 된다. 이는 거울(12)이 상기 바닥면에 점차 눕혀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반대로 상기 지지대(30)와 상기 거울본체(10)의 후면 사이의 지지대 선회각이 작아질수록 상기 거울본체(10)의 후면과 바닥면사이의 각도는 커지게 된다. 이는 거울(12)이 상기 바닥면에 대해 점차 직각에 가깝게 놓여지는 것을 의미한다.
한편,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거치가 가능한 휴대용 거울(1)은 손잡이에 형성된 개구(22)를 이용하여 벽등에 설치된 고리등에 걸어 보관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거치가 가능한 휴대용 거울(1)은 거울본체(10)후방에 선회 가능하도록 설치된 지지대(30)를 선회시킴으로서 휴대용 거울의 특징인 용이한 휴대성과 탁상용 거울의 특징인 거치 가능함을 모두 구현하여 사용자의 편의를 크게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휴대용 거울의 특징인 용이한 휴대성과탁상용 거울의 특징인 거치 가능함을 모두 구현하여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사용상의 편의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고안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의해 마련되는 본 고안의 정신이나 분야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본 고안이 다양하게 개조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을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용이하게 알 수 있음을 밝혀두고자 한다.

Claims (6)

  1. 일측면에 거울이 고정되는 거울본체;
    상기 거울본체와 고정된 손잡이; 및
    상기 거울본체의 타측면에 선회 가능하도록 고정되는 지지대;
    를 포함하는 거치가 가능한 휴대용 거울.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는 상기 거울본체의 타측면에 돌출된 돌출부에 고정되고, 상기 지지대는 절곡되어 그 일단이 상기 돌출부에 선회 가능하도록 압입고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거치가 가능한 휴대용 거울.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거울본체의 타측면에 돌출된 돌출부에는 추가적으로 부시가 삽입되어 고정되고, 상기 부시의 내경에는 상기 지지대가 절곡되어 그 일단이 삽입됨을 특징으로 하는 거치가 가능한 휴대용 거울.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는 상기 부시 내에 선회 가능하도록 압입됨을 특징으로 하는 거치가 가능한 휴대용 거울.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는 상기 거울본체의 영역내에 위치하는 길이를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거치가 가능한 휴대용 거울.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는 거울을 걸기 위한 개구를 구비하고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거치가 가능한 휴대용 거울.
KR20-2004-0023702U 2004-08-19 2004-08-19 거치가 가능한 휴대용 거울 KR20036961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3702U KR200369616Y1 (ko) 2004-08-19 2004-08-19 거치가 가능한 휴대용 거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3702U KR200369616Y1 (ko) 2004-08-19 2004-08-19 거치가 가능한 휴대용 거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69616Y1 true KR200369616Y1 (ko) 2004-12-09

Family

ID=494422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23702U KR200369616Y1 (ko) 2004-08-19 2004-08-19 거치가 가능한 휴대용 거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69616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511506B2 (ja) ディスプレイの支持装置
US20030217410A1 (en) Compression mount for a shower curtain rod
US2968995A (en) Portable mirror
US5804747A (en) Musical instrument holder
US20040149869A1 (en) Electric appliance stand with simple telescopic support rod
US20200214408A1 (en) Terminal holder and terminal case
KR100541457B1 (ko) 디스플레이 장치
US4984379A (en) Pen structure with a flag
JP3118022U (ja) 支持/吊り装置
KR200369616Y1 (ko) 거치가 가능한 휴대용 거울
JP2006209043A (ja) 薄型テレビ装置
KR200363813Y1 (ko) 독서대가 구비된 파일케이스
KR200410390Y1 (ko) 회전거울 지지구
US20220290703A1 (en) Apparatuses for securing a mount to a substrate
JPH07134907A (ja) スタンド型照明器具
KR200223328Y1 (ko) 벽걸이 및 탁상 겸용 전화기
KR200336902Y1 (ko) 낚싯대 받침구
JP3085955U (ja) コンピューター用デスク
JP2967467B2 (ja) 卓上三面鏡
JPH0446327Y2 (ko)
KR200184749Y1 (ko) 책받침대
KR200359686Y1 (ko) 탁상용 거울
JP4421092B2 (ja) 電話機
KR200383856Y1 (ko) 회전거울
KR100344799B1 (ko) 플립형 모니터 받침대의 지지구조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